KR20170140067A -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수신기 및 그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수신기 및 그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0067A
KR20170140067A KR1020170038306A KR20170038306A KR20170140067A KR 20170140067 A KR20170140067 A KR 20170140067A KR 1020170038306 A KR1020170038306 A KR 1020170038306A KR 20170038306 A KR20170038306 A KR 20170038306A KR 20170140067 A KR20170140067 A KR 20170140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pplication
service
mbms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률
곽민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40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65/1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1Implementation details of TCP/IP or UDP/IP stack architecture; Specification of modified or new header fields
    • H04L69/162Implementation details of TCP/IP or UDP/IP stack architecture; Specification of modified or new header fields involving adaptations of sockets based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수신기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이 개시된다.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은,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단계; 상기 멀티캐스트 신호에 포함된 SLT(Service List Table)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SLT 정보에 기초하여 SLS(Service Layer Signalling)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SLT 정보 또는 상기 SL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MBMS 수신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수신기 및 그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Receiver and Multicast Signal Rece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수신기 및 그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수신 멀티캐스트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및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HD(High Definition) 이미지, 멀티채널(multi channel, 다채널) 오디오,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3.0과 같은 차세대 방송 시스템은 방송망뿐만 아니라 인터넷망 또는 통신망과 연결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망에서도 방송망과 연계된 서비스게 제공될 수 있다.
컨텐트 제공자는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환경에서, 수신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텐트 제공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를 적절한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수신기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은,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단계; 상기 멀티캐스트 신호에 포함된 SLT(Service List Table)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SLT 정보에 기초하여 SLS(Service Layer Signalling)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SLT 정보 또는 상기 SL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MBMS 수신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SLS 정보에 포함되거나, 상기 SLS 정보에 포함된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SLT 정보에 포함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으로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엔트리 포인트의 URL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획득 또는 제공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을 위한 수신기의 성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웹소켓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통신 유닛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수신기로서, 상기 MBMS 수신기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캐스트 신호에 포함된 SLT(Service List Table) 정보를 파싱하고, 상기 SLT 정보에 기초하여 SLS(Service Layer Signalling)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SLT 정보 또는 상기 SL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MBMS 수신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하고,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SLS 정보에 포함되거나, 상기 SLS 정보에 포함된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SLT 정보에 포함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으로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엔트리 포인트의 URL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획득 또는 제공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을 위한 수신기의 성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웹소켓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MBMS 환경에서 멀티캐스트 신호를 사용하여 수신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수신기의 애플리케이션 제어를 위한 AST 정보는 멀티캐스트 신호 또는 인터넷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수신기는 SLT 정보와 같은 기본적인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AST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기는 SLT에 기초하여 멀티캐스트 신호로 수신되는 SLS 정보로부터 AST 정보를 획득하거나, 인터넷망으로 AST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AST 정보의 전송이 복수의 경로로 가능하므로, 수신 안정성 및 다양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웹소캣을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컨텐트 제공자는 더욱 플렉서블하고 적응적으로 수신기의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BMS 서비스를 위한 3GPP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SS 서비스를 위한 3GPP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BMS에 대한 3GPP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SS에 대한 3GPP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GPP 네트워크에서의 MBMS/PSS 서비스를 위한 3GPP 사용자 장비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GPP MBMS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 상태(state) 및 상태들의 전이(transition)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의 AST 정보 획득 방법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의 AST 정보 획득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의 AST 정보 획득 방법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그 예는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실시예만을 나타내기보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세부 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세부 사항 없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용어는 해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것들에서 선택되지만, 일부 용어는 출원인에 의해 임의로 선택되며 그 의미는 필요에 따라 다음 설명에서 자세히 서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어의 단순한 명칭이나 의미가 아닌 용어의 의도된 의미에 근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차세대 방송 서비스에 대한 방송 신호 송신 및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방송 서비스는 지상파 방송 서비스, 모바일 방송 서비스, UHDTV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비-MIMO (non-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또는 MIMO 방식을 통해 차세대 방송 서비스에 대한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MIMO 방식은 MISO (Multiple Input Single Output) 방식, SISO (Single Input Single Output)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용도에 요구되는 성능을 달성하면서 수신기 복잡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적화된 피지컬 프로파일 (또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IMT-2000의 표준화로 비동기 방식(DS+GSM MAP)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럽과 일본의 주도로 결성된 표준화 단체이다. 이동통신 관련 단체들 간의 공동 연구 프로젝트로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IMT-2000 프로젝트의 범위 안에서 전 세계에 적용할 수 있는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규격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GPP는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3GPP 기술들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향상시키기 위함 표준화 작업을 진행해왔다. LTE(Long-Term Evolution of UMTS)는 기존 이동 통신 시스템인 UMTS의 기술적인 진화를 통해 구성되는 새로운 시스템으로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기술을 나타낸다.
3GPP 시스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사용자 서비스와 PSS(Packet-switched Streaming Service) 사용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는 MBMS 서비스와 PS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BMS 서비스를 위한 3GPP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1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포함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BMSC(1010; Broadcast/Multicast Service Centre): BMSC(1010)는 서비스/사용자 정보 저장 및 관리(management), 서비스 광고(advertisement)/디스커버리(discovery), 사용자 등록(registration), 멀티캐스트 트리 생성(generation)/멀티캐스트 그룹 매니지먼트, MBMS 서비스 인가(authorization), MBMS 세션 스케줄링, MBMS 트랜스포트, 시큐리티(security) 동작(operation) 지원, 및 컨텐트 프로바이더 차징(csarging)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PDN 게이트웨이(PDN Gateway; 1020): 퍼블릭(또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게이트웨이
SGSN(1030); 서빙 GPRS 서포팅 노드로서, 각각의 개별 UE(User Equipment)를 위해 MBMS 베어러(bearer) 서비스 컨트롤 펑션을 수행하고 UTRAN/GERAN에게 MBMS 전송을 제공함.
MBMS 게이트웨이(MBMS Gateway; 1040):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게이트웨이
MME(1050): 모바일 관리 엔터티
UTRAN(1060): 유니버설 지상(terrestrial)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Iu와 Uu 인터페이스들간의 RNC들 및 노드B들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의 파트를 식별하는 컨셉적인 용어.
E-UTRAN(1070): 진화된(Evolved)-UTRAN. 높은-데이터-레이트, 낮은-레이턴시 및 패킷-최적화된 라디오-액세스 네트워크를 향한(toward) 3G UMTS 라디오-액세스 네트워크의 진화.
UE(1080):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애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1090):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SGI-mb: MBMS 데이터 딜리버리를 위한 BM-SC 및 MBMS 게이트웨이 간의 인터페이스
SGmb: MME와 MBMS 게이트웨이 간의 컨트롤 플레인(plane)을 위한 인터페이스
Sm: MME와 MBMS 게이트웨이 간의 컨트롤 플레인을 위한 인터페이스
Sn: MBMS 데이터 딜리버리 및 컨트롤 플레인을 위한 MBMS 게이트웨이와 SGSN 간의 인터페이스
M1: MBMS 데이터 딜리버리를 위한 E-UTRAN/UTRAN과 MGMS 게이트웨이 간의 인터페이스. 데이터 포워딩하기 위해 MBMS 게이트웨이와 E-UTRAN 사이에서 IP 멀티캐스트가 사용된다.
M3: MME 및 E-UTRAN 사이의 컨트롤 플레인에 대한 인터페이스
Iu: SGSN과 UTRAN 간의 인터페이스
Uu: E-utran/Utran 및 UE 간의 인터페이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SS 서비스를 위한 3GPP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2의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포함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PSS 서버(PSS Server: 2010): 패킷-스위치드 스트리밍 서비스 서버. PSS 서버는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기능과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세그먼트 딜리버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PSS 서버는 MPD 및 DASH 세그먼트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및 터미널 프로필(User and terminal profile; 2020): 어답티브(adaptive) 스트리밍의 적절한 품질(quality)을 제공하는 정보
PCRF(2030):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패킷 게이트웨이(Packet Gateway: 2040): PCRF로부터의 정보로 PSS 패킷 컨트롤을 수행함.
UTRAN(2050): 유니버설 지상(terrestrial)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Iu와 Uu 인터페이스들간의 RNC들 및 노드B들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의 파트를 식별하는 컨셉적인 용어.
E-UTRAN(2060): 진화된(Evolved)-UTRAN. 높은-데이터-레이트, 낮은-레이턴시 및 패킷-최적화된 라디오-액세스 네트워크를 향한(toward) 3G UMTS 라디오-액세스 네트워크의 진화.
UE(2070):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애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2080):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SGi: PSS 데이터 딜리버리를 위한 패킷 게이트웨이 기능 및 PSS 서버 간의 인터페이스
Rx: PSS 서버 및 PCRF 간의 컨트롤 플레인에 대한 인터페이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BMS에 대한 3GPP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다.
도 3에 대해서, 본 발명에 밀접하게 연관된 일부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서비스 선언(announcement) 및 메타데이터 블록: MBMS 서비스 제공자가 UE에게 사용자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함께 사용자 서비스 번들 및 가용(available) MBMS 사용자 서비스의 리스트를 선언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연관-딜리버리 절차(Associated Delivery Procedures): 연관-딜리버리 과정은 MBMS 데이터 전송에 돤련된 UE에 의해 발동(invoke)될 수 있다. 아래와 같은 연관된 딜리버리 기능이 가용할 수 있다.
-손실된(missing) 데이터를 보완하는데 사용되는 다운로드 딜리버리 방법을 위한 파일 리페어(repair),
-딜리버리 확인(velification) 및 수신 통계(statics) 수집(collection) 절차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SS에 대한 3GPP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다.
도 4에 대해서, 본 발명에 밀접하게 연관된 일부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는 성능(capabillity) 교환(exchange), 장면(scene) 설명(description),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설명, 스틸(still) 이미지, 비트맵 그래픽스, 벡터 그래픽스, 텍스트, 타임드(timed) 텍스트, 합성(synthetic) 오디오, 비디오, 오디오, 및 스피치와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 각 트랜스포트/트랜스퍼(transfer) 프로토콜에서 전송이 허용되는 것은 아래와 같다.
RTP: 비디오, 오디오, 스피치, 타임드 택스트, 장면 설명
HTTP: 성능 교환, 신 설명, 프리젠테이션 설명, 스틸 이미지, 비트맵 그래픽스, 벡트 그래픽스, 텍스트, 타임드 텍스트, 합성 오디오
RTSP: 성능 교환, 프리젠테이션 설명
성능 교환은 PSS에서 중요한 기능이다. 성능 교환은 PSS 서버가 특정 디바이스에 적합한 컨텐트를 넓은 범위의 디바이스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다른 중요한 태스크로서, 성능 교환은 PSS의 상이한 릴리스들 간의 부드러운(smooth) 트래지션을 제공한다. 따라서, PSS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성능 교환을 지원해야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GPP 네트워크에서의 MBMS/PSS 서비스를 위한 3GPP 사용자 장비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5와 관련하여, 애플리케이션은 상호작용(interactivity) 또는 타겟된(targeted) 광고(ad) 삽입(insertion)의 제공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실행(run)되는 상호연관된(interrelated) 도큐먼드들(documents)의 집합을 나타낸다. 실시예로서, 애플리케이션의 도큐먼트들은 HTML, 자바스크립트(JabaScript), CSS, XML 및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Native Application; 5010): UE 디바이스 제조사(manufacturer)에 의해 기-인스톨(pre-install)되거나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네이티브 미디어 플레이어(Native Media Player; 5020): UE 디바이스 제조사(manufacturer)에 의해 기-인스톨(pre-install)되거나 제공되는 미디어 플레이어. 실시예로서, 네이티브 미디어 플레이어는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클라이언트가 될 수도 있다.
웹 브라우저(Web Browser; 5030)의 웹 애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 임의의 상대방(party)에 의해 제공되어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웹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다운로드되거나 액세스될 수 있다.
웹 브라우저(Web Browser; 5030)의 브라우저 미디어 플레이어(Browser Media Player): 임의의 상대방(party)에 의해 제공되어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미디어 플레이어. 브라우저 미디어 플레이어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다운로드되거나 액세스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Application Manager; 5040): 디바이스 성능 정보 및/또는 딜리버리된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매니징하는 엔터티(entity)
터미널 성능(Terminal Capabilities; 5050): 애플리케이션을 적절하게(properly) 실행하는데 필요한 디바이스 성능 정보를 수집하는 엔터티
MBMS & PSS 세션 매니저(MBMS & PSS Session Manager): MBMS 및/또는 PSS 세션을 매니징하는 엔터티. MBMS & PSS 세션 매니저는 세션 셋업, 유지(maintainint), 종료(terminating)과 같은 세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시그널링 매니저(Signaling Manager; 5070): 수신 데이터로부터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집하는 엔터티. 시그널링 매니저(5070)는 수집된 시그널링 데이터를 파싱하여 애플리케이션 매니저에게 전달할 수 있다.
스토리지(Storage; 5080): 파일, 컨텐트, 메타데이터와 같은 수신 데이터를 저장하는 엔터티. 저장된 데이터는 특정 시간 인스턴스까지 유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클라이언트(Network Client; 5090): 네트워크 레이어 또는 상위 레이어에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엔터티. 네트워크 클라이언트(5090)는 HTTP, RTP, FLUTE 등과 같은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을 수행/제어할 수 있다.
RF 전송/수신 유닛(RF Transmission/Reception; 5100): 데이터 링크 레이어 또는 하위 레이어에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엔터티. 예를 들면, RF 전송/수신 유닛은 피지컬 레이어 유닛으로서 인터리빙/디인터리빙, MIMO/MOSO 인코딩/디코딩, FEC 인코딩/디코딩 및 성상도 매핑/디매핑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GPP MBMS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에서, MBMS 송신기(sender)는 서비스 선언을 MBMS 베어러(bearer)에게 전송하고, 선언된 서비스의 세션을 시작하고 데이터 전송 후 세션을 중단할 수 있다. MBMS 베어러는 MBMS 송신기가 전송하려는 서비스를 MBMS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제공할 수 있다. MBMS 수신기는 서비스 선언에 기초하여 MBMS 베어러로부터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순서도에 포함된 MBMS 베어러의 동작들/단계들(phase)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등록(subscription): MBMS 수신기가 MBMS 서비스에 등록하는 단계로서, 등록된 MBMS 수신기들만이 MBMS 베어러로부터 MBMS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등록은 멀티캐스트 서비스에 필요한 단계가 될 수 있다.
서비스 선언(Service Announcement): MBMS 서비스 제공자가 가용 MBMS 사용자 서비스들, 사용자 서비스 번들, 사용자 서비스에 대한 정보 등을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에게 선언하는 단계이다.
가입(Joining): 등록된 MBMS 수신기들이 MBMS 데이터 수신을 시작하는 단계이다. 사용자 서비스 개시(initiation) 단계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세션 시작(Session Start): 가입 단계 후에, MBMS 세션이 시작된다.
MBMS 통지(MBMS Notification): MBMS 세션 아이덴티티(identity)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데이터 전송, 전달, 수신(Data Transmission/Transfer/Reception): MBMS 송신기가 데이터를 전송하면, MBMS 베어러가 수신 데이터를 MBMS 수신기에게 전달할 수 있다. MBMS 수신기는 MBMS 베어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세션 중단(Sessio Stop): MBMS 송신기가 세션을 중단하면, MBMS 베어러 또한 세션을 중단할 수 있다.
사용자 서비스 종료(User Service Termination): 수신기가 MBMS 사용자 서비스를 종료하면, 수신기는 MBMS 서비스를 더 수신하지 않는다.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경우, 네트워크는 해당 수신기가 등록은 되어 있지만 서비스를 떠났음을 알아야만 한다. 즉 MBMS 베어러는 해당 MBMS 수신기가 서비스를 떠났음(leaving)을 파악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관련하여, MBMS 세션으로 전송되는 MBMS 서비스 데이터 또는 이러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각각 방송 데이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신호 프레임 등으로 지칭할 수 있다. 방송이라는 용어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반드시 방송망을 사용하는 서비스/신호에 하용되는 것은 아니다. 방송 신호 프레임은 멀티캐스트 신호에 포함된 멀티캐스트 신호 프레임에 해당할 수 있다.
피지컬 레이어의 방송 신호 프레임이 전달하는 신호 스트림은 LLS (Low Level Signaling)를 운반할 수 있다. LLS 데이터는 웰 노운(well known) IP 어드레스/포트 로 전달되는 IP 패킷의 페이로드를 통해서 운반될 수 있다. 이 LLS 는 그 타입에 따라 SLT 를 포함할 수 있다. LLS 데이터는 LLS 테이블의 형태로 포맷될 수 있다. LLS 데이터를 운반하는 매 UDP/IP 패킷의 첫번째 바이트는 LLS 테이블의 시작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LLS 데이터를 전달하는 IP 스트림은, 다른 서비스 데이터들과 함께 같은 PLP 로 전달될 수도 있다.
SLT 는 빠른 채널 스캔을 통하여 수신기가 서비스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게 하고, SLS 를 로케이팅(locating) 하기 위한 액세스 정보를 제공한다. SLT 는 부트스트랩 정보를 포함하는데, 이 부트스트랩 정보는 수신기가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SLS (Service Layer Signaling) 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SLS, 즉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가 ROUTE(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 부트스트랩 정보는 SLS 를 운반하는 LCT(Layered Coding Transport) 채널 내지 그 LCT 채널을 포함하는 ROUTE 세션의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및 데스티네이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LS 가 MMT 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 부트스트랩 정보는 SLS 를 운반하는 MMTP(MPEG Media Transport Protocol) 세션의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및 데스티네이션 포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SLT 가 기술하는 서비스 #1 의 SLS 는 ROUTE 를 통해 전달되고, SLT 는 해당 SLS 가 전달되는 LCT 채널을 포함하는 ROUTE 세션에 대한 부트스트랩 정보(sIP1, dIP1, dPort1) 를 포함할 수 있다. SLT 가 기술하는 서비스 #2 의 SLS 는 MMT(MPEG Media Transport) 를 통해 전달되고, SLT 는 해당 SLS 가 전달되는 MMTP 패킷 플로우를 포함하는 MMTP 세션에 대한 부트스트랩 정보(sIP2, dIP2, dPort2) 를 포함할 수 있다.
SLS 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특성을 기술하는 시그널링 정보로서, 해당 서비스 및 해당 서비스의 서비스 컴포넌트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해당 서비스를 유의미하게 재생하기 위한 수신기 성능(capability)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서비스에 대해 별개의 서비스 시그널링을 가지면 수신기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내에서 전달되는 전체 SLS을 파싱할 필요 없이 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SLS를 획득하면 된다.
SLS 가 ROUTE 프로토콜을 통해 전달되는 경우, SLS 는 SLT 가 지시하는 ROUTE 세션의 특정(dedicated) LCT 채널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 LCT 채널은 tsi = 0 로 식별되는 LCT 채널일 수 있다. 이 경우 SLS 는 USBD/USD (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 User Service Description), S-TSID (Service-based Transport Session Instance Description) 및/또는 MPD (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SBD 내지 USD 는 SLS 프래그먼트 중 하나로서, 서비스의 구체적 기술적 정보들을 기술하는 시그널링 허브로서 역할할 수 있다. USBD 는 서비스 식별 정보, 디바이스 캐패빌리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USBD 는 다른 SLS 프래그먼트(S-TSID, MPD 등) 에의 레퍼런스 정보(URI 레퍼런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USBD/USD 는 S-TSID 와 MPD 를 각각 레퍼런싱할 수 있다. 또한 USBD 는 수신기가 전송 모드(방송망/브로드밴드)를 결정할 수 있게 해주는 메타데이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USBD/USD 의 구체적 내용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S-TSID 는 SLS 프래그먼트 중 하나로서, 해당 서비스의 서비스 컴포넌트를 운반하는 전송 세션에 대한 전체적인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TSID 는 해당 서비스의 서비스 컴포넌트가 전달되는 ROUTE 세션 및/또는 그 ROUTE 세션들의 LCT 채널에 대한 전송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TSID 는 하나의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컴포넌트들의 컴포넌트 획득(acquisition)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TSID 는, MPD 의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레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 과 해당 서비스 컴포넌트의 tsi 간의 매핑을 제공할 수 있다. S-TSID 의 컴포넌트 획득 정보는 tsi, 관련 DASH 레프리젠테이션의 식별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PLP ID 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컴포넌트 획득 정보를 통해 수신기는 한 서비스의 오디오/비디오 컴포넌트들을 수집하고 DASH 미디어 세그먼트들의 버퍼링, 디코딩 등을 수행할 수 있다. S-TSID 는 전술한 바와 같이 USBD 에 의해 레퍼런싱될 수 있다. S-TSID 의 구체적 내용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MPD 는 SLS 프래그먼트 중 하나로서, 해당 서비스의 DASH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에 관한 디스크립션을 제공할 수 있다. MPD 는 미디어 세그먼트들에 대한 리소스 식별자(resource identifier) 를 제공하고, 식별된 리소스들에 대한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내에서의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MPD 는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DASH 레프리젠테이션(서비스 컴포넌트)를 기술하고, 또한 브로드밴드를 통해 전달되는 추가적인 DASH 레프리젠테이션을 기술할 수 있다(하이브리드 딜리버리). MPD 는 전술한 바와 같이 USBD 에 의해 레퍼런싱될 수 있다.
SLS 가 MMT 프로토콜을 통해 전달되는 경우, SLS 는 SLT 가 지시하는 MMTP 세션의 특정(dedicated) MMTP 패킷 플로우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LS 를 전달하는 MMTP 패킷들의 packet_id 는 00 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SLS 는 USBD/USD 및/또는 MMT Package (MP)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SBD 는 SLS 프래그먼트의 하나로서, ROUTE 에서의 그것과 같이 서비스의 구체적 기술적 정보들을 기술할 수 있다. 여기서의 USBD 역시 다른 SLS 프래그먼트에의 레퍼런스 정보(URI 레퍼런스)를 포함할 수 있다. MMT 의 USBD 는 MMT 시그널링의 MP 테이블을 레퍼런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MMT 의 USBD 는 S-TSID 및/또는 MPD 에의 레퍼런스 정보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S-TSID 는 ROUTE 프로토콜을 통해 전달되는 NRT 데이터를 위함일 수 있다. MMT 프로토콜을 통해 리니어 서비스 컴포넌트가 전달되는 경우에도 NRT 데이터는 ROUTE 프로토콜을 통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MPD 는 하이브리드 서비스 딜리버리에 있어서, 브로드밴드로 전달되는 서비스 컴포넌트를 위함일 수 있다. MMT 의 USBD 의 구체적 내용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MP 테이블은 MPU 컴포넌트들을 위한 MMT 의 시그널링 메시지로서, 해당 서비스의 서비스 컴포넌트를 운반하는 MMTP 세션에 대한 전체적인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MP 테이블은 이 MMTP 세션을 통해 전달되는 에셋(Asset) 에 대한 디스크립션을 포함할 수 있다. MP 테이블은 MPU 컴포넌트들을 위한 스트리밍 시그널링 정보로서, 하나의 서비스에 해당하는 에셋들의 리스트와 이 컴포넌트들의 로케이션 정보(컴포넌트 획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MP 테이블의 구체적인 내용은 MMT 에서 정의된 형태이거나, 변형이 이루어진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Asset 이란, 멀티미디어 데이터 엔티티로서, 하나의 유니크 ID 로 연합되고 하나의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엔티티를 의미할 수 있다. Asset 은 하나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서비스 컴포넌트에 해당할 수 있다. MP 테이블을 이용하여 원하는 서비스에 해당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컴포넌트(MPU) 에 접근할 수 있다. MP 테이블은 전술한 바와 같이 USBD 에 의해 레퍼런싱될 수 있다.
기타 다른 MMT 시그널링 메시지가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MMT 시그널링 메시지들에 의해 MMTP 세션 내지 서비스에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들이 기술될 수 있다.
ROUTE 세션은 소스 IP 어드레스,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데스티네이션 포트 넘버에 의해 식별된다. LCT 세션은 페어런트 ROUTE 세션의 범위 내에서 유일한 TSI (transport session identifier)에 의해 식별된다. MMTP 세션은 데스티네이션 IP 어드레스 및 데스티네이션 포트 넘버에 의해 식별된다. MMTP 패킷 플로우는 페어런트 MMTP 세션의 범위 내에서 유일한 packet_id에 의해 식별된다.
ROUTE 의 경우 S-TSID, USBD/USD, MPD 또는 이 들을 전달하는 LCT 세션을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이라 부를 수도 있다. MMTP 의 경우, USBD/UD, MMT 시그널링 메시지들 또는 이들을 전달하는 패킷 플로우를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이라 부를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하나의 ROUTE 또는 MMTP 세션은 복수개의 PLP 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서비스는 하나 이상의 PLP 를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도시된 것과 달리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이 서로 다른 ROUTE 세션들을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이 서로 다른 MMTP 세션들을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이 ROUTE 세션과 MMTP 세션에 나뉘어 전달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가 브로드밴드를 통해 전달(하이브리드 딜리버리)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앱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신기에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수신 신호에 포함된 앱 관련 정보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앱 관련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 또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테이블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상술한 상술한 서비스 레이어 시그널링 정보로 전달되거나, 브로드밴드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브로드밴드로 전달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URL 정보가 SLT에 포함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URL 정보는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의 워터마크로서 전송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테이블 즉 AST(Application Signaling Table)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 즉 AST는 AST가 기술하는(describe)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ST는 시그널링 대상인 애플리케이션들의 리스트와 함께,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속성들을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AST에 포함된 정보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AST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명칭(appName),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애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descriptor), 애플리케이션 사용(usage) 디스크립터, 애플리케이션 바운더리(Boundary), 애플리케이션 트랜스포트(transport), 애플리케이션 위치(Location), 애플리케이션 특정(Specifice) 디스크립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애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는 아래와 같은 하위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타입: 애플리케이션의 타입
컨트롤 코드: 앱 상태(state) 및 전이(transition)를 위한 컨트롤 코드
가시성(visibility): 시청자 및/또는 다른 앱에 대한 가시여부(visible)
서비스 바운드: 서비스 의존 또는 독립적
우선도(priority): 높은 수이면 높은 우선도
버전: 앱의 버전
MHP 버전: 플랫폼 프로파일, 매이저/마이너/마이크로 프로파일 버전
스토리지 성능: 실행가능(launchable) 컨디션
애플리케이션 사용 디크립터는 앱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탤레텍스트(Teletext), EAS(Emergency Alert System) 리치 미디어, 타겟 광고 삽입,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애플리케이션 바운더리 정보는 앱을 구성하는 데이터 엘레먼트들을 기술(describe)하는 URL 프레픽스들의 리스트를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 트랜스포트 정보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에 의존하는 정보를 자나낸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트랜스포트 정보는 HTTP 트랜스포트의 경우 URL 베이스 또는 URL 익스텐션(extension)을, ROUTE 트랜스포트의 경우 ROUTE 세션 정보 또는 LCT 세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위치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엔트리 포인트의 URL 또는 컨텐트 로케이션을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 위치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엔트리 포린트의 URL 정보를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 특정 디스크립터는 앱의 타입에 기초한 특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3GPP 전송을 위한 3GPP 디스크립터가 포함될 수도 있다.
3GPP 디스크립터는 사이즈, 요청 성능(requiredCapabilities), 아이콘, 애플리케이션 레코딩 디스크립터, 타임 슬롯 정보, 컨텐트 링키지, 컨텐트 아이템, 또는 그래픽 제한(constraint) 디스크립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타임 슬롯 정보는 앱 제어와 관련된 타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타임 슬롯 정보(timeSlotInfo)는 앱에 대한 타임 슬롯(획득(acquisition)/프리젠테이션)의 타입에 대한 타임 인터벌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로서, 타임 슬롯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는 아래와 같다.
timeslot_type: 타임 슬롯의 타입을 나타냄. 실시예로서, "0"은 획득 슬롯, "1"은 프리젠테이션 슬롯을 나타내고, "2"~"255"는 향후 사용을 위해 유보될 수 있음.
timeslot_start: 1980 1월 6일 UTC 00:00:00 이후 GPS 초의 숫자로서, 타임 슬롯의 시작 시간을 지시함. 0의 값은 타임 슬롯이 무기한(indefinite) 과거(past)에 시작했음을 지시한다.
timeslot_length: 타임 슬롯의 길이를 분단위로 나타냄.
acquitision_time: 타임 인터벌 동안 앱의 하나의 완전한 인스턴스가 전송되는 것을 보장하는데 필요한 최소 타임 인터벌 길이를 분단위로 나타냄. 타임 인터벌은 타임 슬롯의 바로 끝을 포함하는, 타임 슬롯 동안의 임의의 시간에 타임 인터벌이 시작하는 것을 가정함.
repeat_period: 타임 슬롯의 반복 주기를 분단위로 나타냄
앱 특정 디스크립터는 아래와 같은 정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location: 컨텐트 아이템의 URL
@contentLinkage: 컨텐트 아이템의 EFDT 지시 넘버
@updatesAvailable: 컨텐트 아이템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될 것인지 여부를 지시함
@size: 컨텐트 아이템이 사이즈를 바이트로 나타냄
timeSlotInfo: 컨텐트 아이템에 대한 타임 슬롯(획득/프리젠테이션)의 타입에 대한 타임 인터벌. 이 엘레먼트는 A/103 "Not-Real-Time Content Delivery"의 섹션 8.7("Time Slot Descriptor")에 의해 정의되는 타임 슬롯 디스크립터를 참조할 수 있음.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 상태(state) 및 상태들의 전이(transition)를 나타낸다.
도 9는 식별자에 따른 앱 라이프사이클 상태를 나타낸다. 식별자에 따른 의미는 이하와 같다.
액티브(Active): 앱 실행 중
대기(Suspended): 일시적으로 실행 대기되고, 상태는 저장됨
해제(Released): 액티브/대기되지 않음
준비(Ready): 다운로드되고 실행될 준비가 되어 있지만, 아직 실행되지 않음
도 10은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전이를 나타낸다.
도 10에서, 애플리케이션 제어를 위한 컨트롤 코드는 AST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컨트롤 코드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AUTOSTART: 앱이 이미 실행중이 아닌 경우, 서비스가 선택되면 앱이 실행되어야만 한다. 브로드밴드 관련 앱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PRESENT: 앱은 실행이 허용되나, 서비스 선택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행되지는 않는다.
KILL: 앱이 가능한 빨리 정지(stopped)되어야 한다.
DISABLED: 앱이 시작되지 않으야 하고, 시작 시도는 실패해야만 한다.
PREFETCH: 앱 파일이 수신기에 캐시되어야(cached) 한다.
EXEC: 앱이 가능한 빨리 시작되어야 한다.
도 10의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 및 상태 전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앱은 준비(Ready) 상태에서, 사용자 선택 또는 AST의 "AUTOSTART"에 의해 액티브 상태로 전이될 수 있다. AUTOSTART는 더 상위 우선도의 앱이 실행중이지 않거나, 사용자의 "KILL" 세팅이 없는 경우에 액티브 상태로 전이될 수 있다. 앱은 AST "DISABLED" 명령 또는 채널 변경(Tune away)에 의해 해제(Released) 상태로 전이될 수 있다.
앱은 AST의 "SUSPEND"/다른 앱 활성화(activated)/채널 변경(tune away)에 의해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Suspended) 상태로 전이할 수 있다. 또한, 앱은 사용자의 "KILL" 또는 AST의 "KILL"에 의해 액티브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이될 수 있다.
앱은 AST의 "AUTOSTART" 또는 채널 변경(Tune To) 및 다른 더 상위 우선도의 앱이 실행중이지 않거나 사용자의 "KILL" 세팅이 없는 경우에 대기(Suspended)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이될 수 있다. 앱은 AST의 "KILL" 명령 또는 일정 시간 이후에 해제 상태로 전이될 수 있다. 일정 기간(duration)은 수신기 구현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앱은 AST의 "AUTOSTART" 명령 또는 채널 변경(Tune To)에 의해 해제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이될 수 있다. AUTOSTART는 더 상위 우선도의 앱이 실행중이지 않거나, 사용자의 "KILL" 세팅이 없는 경우에 해제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전이될 수 있다. 또한, 앱은 AST의 "PRESENT" 또는 채널 변경(Tune To)에 의해 준비(Ready)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상술한 앱 인핸스먼트를 위한 AST는 MBMS 서비스의 데이터로 전송될 수 있다. AST는 서비스 레이어 시그널링 채널로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AST는 SLS 정보에 포함되어 전송되거나, SLS 정보에 의해 레퍼런싱되어 전송될 수 있다.
AST는 브로드밴드/인터넷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AST는 이러한 경우 서비스에 대한 SLT에서 시그널링되는 베이스 URL 정보를 사용하여 HTTP 리퀘스트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URL 정보는 오디오/비디오 워터마크를 통해 재분배(redistribution)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의 AST 정보 획득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MBMS 멀티캐스트 신호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L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BMS 수신기는 SLT가 기술하는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대한 SLS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SLS 정보는 MPD 정보, S-TSID 정보 및 USB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실시예에서, SLS 정보는 AS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BMS 수신기는 SLS 정보로부터 AST 정보를 획득하고, AST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AST 정보는 USBD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의 AST 정보 획득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MBMS 멀티캐스트 신호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L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BMS 수신기는 SLT가 기술하는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대한 SLS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SLS 정보는 MPD 정보, S-TSID 정보 및 USB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LT 정보는 시그널링 정보를 브로드밴드로 수신할 수 있는 URL 정보를 포함한다. 도 12의 실시예에서, AST 정보를 브로드밴드로 수신할 수 있는 URL 정보는 broadbandServerURL_AST로 도시하였다.
MBMS 수신기는 SLT에 포함된 URL 정보로 접속하여, AST 정보를 브로드밴드로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MBMS 수신기는 수신한 AST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AST 정보는 USBD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MBMS 수신기는 USBD 정보를 다운받기 위한 URL 정보를 사용하여 AST 정보를 포함하는 USBD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의 AST 정보 획득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MBMS 멀티캐스트 신호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L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BMS 수신기는 SLT가 기술하는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에 대한 SLS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SLS 정보는 MPD 정보, S-TSID 정보 및 USB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LT 정보는 시그널링 정보를 웹소캣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신할 수 있는 URL 정보를 포함한다. 도 12의 실시예에서, AST 정보를 브로드밴드로 수신할 수 있는 URL 정보는 broadbandServerWSURL_AST로 도시하였다.
웹소캣 프로토콜은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에서 풀-듀플렉스(full-duplex)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양방향 통신 프로토콜이다. 웹소캣 프로토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HTTP를 사용하여 한번 연결(connect)된 후에는 필요한 통신 모두를 그 연결 상에서 제공할 수 있다.
도 13에서 웹소캣 연결은 SLT에 포함된 어드레스(broadbandServerWSURL_AST)에 기초하여 설립(establish)될 수 있다. 서버는 수신기의 요청이 없어도 필요한 시점에 AST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수신기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AST를 전송할 수도 있다.
실시예로서, AST 정보는 USBD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MBMS 수신기는 USBD 정보를 다운받기 위한 URL 정보를 사용하여 AST 정보를 포함하는 USBD 정보를 웹소켓 프로토콜로 수신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MBMS 수신기(14000)는 통신 유닛(14010), 프로세서(14020), 메모리(140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MBMS 수신기(14000)는 도 6과 같이 MBMS 베어러로부터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유닛(14010)은 프로세서(1402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통신 유닛(14010)은 프로세서(140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송수신 대역으로 업컨버팅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20)는 통신 유닛(14010)과 연결되어 MBMS 시스템에 따른 피지컬 레이어 및/또는 링크 레이어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20)는 상술한 도면 및 설명에 따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14000)의 동작을 구현하는 모듈이 메모리(1403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402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4030)는 프로세서(1402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402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4030)는 프로세서(14020)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4020)의 외부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4020)와 공지의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MBMS 수신기(140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가 메모리(14030)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도 5의 MBMS 수신 장치 구성이 도 14의 MBMS 수신기(14000)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리지가 메모리(14030)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RF 전송/수신 유닛이 RF 유닛이 통신 유닛(14010)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네트워크 클라이언트는 통신 유닛(140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5에서, 스토리지 및 RF 송신/수신 유닛 외의 구성은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메모리(1403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4020)에 의해 구성되는 논리적 블록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BMS 수신기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을 나타낸다.
MBMS 수신기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5010). 멀티캐스트 신호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MBMS 서비스 데이터로서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멀티캐스트 신호는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LT 정보, SLS 정보 및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MBMS 수신기는 멀티캐스트 신호에 포함된 SLT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S15020). MBMS 수신기는 SLT 정보에 기초하여 SLS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5030).
MBMS 수신기는 SLT 정보 또는 SLS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5040). 상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SLS 정보에 포함되거나, SLS 정보에 포함된 USBD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SLT 정보에 포함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브로드밴드로 수신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가 인터넷으로 수신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웹소캣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수신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도 8과 관련하여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엔트리 포인트의 URL 정보, 애플리케이션의 획득 또는 제공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제공을 위한 수신기의 성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MBMS 수신기는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S15050).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은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엔트리 포인트에 접속하여 컨텐트를 제공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술된 각 단계들은 하드웨어/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술된 각 모듈/블락/유닛들은 하드웨어/프로세서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방법들은 코드로서 실행될 수 있다. 이 코드는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쓰여질 수 있고, 따라서 장치(apparatus)가 제공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제공되는 본 발명의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장치 및 방법 발명이 모두 언급되고, 장치 및 방법 발명 모두의 설명은 서로 보완하여 적용될 수 있다.
14000: MBMS 수신기
14010: 통신 유닛
14020: 프로세서
14030: 메모리

Claims (12)

  1.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수신기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단계;
    상기 멀티캐스트 신호에 포함된 SLT(Service List Table)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SLT 정보에 기초하여 SLS(Service Layer Signalling)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SLT 정보 또는 상기 SL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MBMS 수신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BMS 수신기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SLS 정보에 포함되거나, 상기 SLS 정보에 포함된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정보에 포함되는, MBMS 수신기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SLT 정보에 포함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으로 수신되는, MBMS 수신기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엔트리 포인트의 URL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획득 또는 제공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을 위한 수신기의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MBMS 수신기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MBMS 수신기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웹소켓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MBMS 수신기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
  7.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통신 유닛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수신기로서, 상기 MBMS 수신기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캐스트 신호에 포함된 SLT(Service List Table) 정보를 파싱하고,
    상기 SLT 정보에 기초하여 SLS(Service Layer Signalling)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SLT 정보 또는 상기 SL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MBMS 수신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하고,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MBMS 수신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SLS 정보에 포함되거나, 상기 SLS 정보에 포함된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정보에 포함되는, MBMS 수신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SLT 정보에 포함된 URL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으로 수신되는, MBMS 수신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엔트리 포인트의 URL 정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획득 또는 제공에 대한 시간 정보,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을 위한 수신기의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MBMS 수신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MBMS 수신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그널링 정보는 웹소켓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MBMS 수신기.
KR1020170038306A 2016-06-12 2017-03-27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수신기 및 그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 KR201701400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49066P 2016-06-12 2016-06-12
US62/349,066 2016-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067A true KR20170140067A (ko) 2017-12-20

Family

ID=60931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306A KR20170140067A (ko) 2016-06-12 2017-03-27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수신기 및 그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400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8817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of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of receiving broadcast signals
US20210344986A1 (en)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apparatus,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method
KR101853670B1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101871727B1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101823483B1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20220095021A1 (en)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launching broadcaster application based on url in application signaling information
US201800981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ervice signaling for broadcasting service
US104051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casting emergency alert message in broadcast signal to companion device
KR101880468B1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CN111954030B (zh) 广播信号发送和接收设备及广播信号发送和接收方法
KR101829845B1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20180001559A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EP40609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cast signal
KR20170140066A (ko)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수신기 및 그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
KR20170140067A (ko)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수신기 및 그의 멀티캐스트 신호 수신 방법
KR20220075367A (ko) Dash/hls 하이브리드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한 방법
KR20170106647A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20170140113A (ko)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수신기 및 그의 데이터 수신 방법
KR20170140114A (ko)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수신기 및 그의 데이터 수신 방법
CN116941233A (zh) 多播信号处理方法和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