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9307A -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분리된 부착성 규조류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 Google Patents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분리된 부착성 규조류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39307A KR20170139307A KR1020160071647A KR20160071647A KR20170139307A KR 20170139307 A KR20170139307 A KR 20170139307A KR 1020160071647 A KR1020160071647 A KR 1020160071647A KR 20160071647 A KR20160071647 A KR 20160071647A KR 20170139307 A KR20170139307 A KR 201701393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rent
- diatoms
- water
- substrate
- cul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성 규조류의 대량배양방법에 있어서, 일정 부피를 갖는 수조 바닥에 부착기질을 바닥면에 수평으로 형성하고 제주도 용암해수를 취수하여 소통시켜 부착성 규조류를 부착시키는 단계(1), 상기 부착성 규조류가 부착된 부착기질을 실외수조로 이동시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배양시키는 단계(2), 상기부착기질 하부에서 기포를 공급하여 부착기질에서 배양된 부착성 규조류를 탈락시키는 단계(3), 상기 탈락된 부착성 규조류의 주광성을 이용하여 수면으로 부유시키고 수류를 이용하여 회수하는 단계(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성 규조류의 대량배양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여러 산업분야의 기초재로서 가치가 높은 자원인 부착성규조류를 낮은 에너지 및 자원으로 대량배양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의 해수로부터 부착성 규조류를 분리하여 대량 배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주도의 동쪽 해안에 분포하는 용암해수로부터 부착성 규조류를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규조류를 일정 조건에서 대량 배양시키는 단계, 주광성을 이용하여 배양된 부착성 규조류를 수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착성 규조류의 분리 배양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 후반부터 식물플랑크톤을 포함하는 미세조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기 시작하여 1980년대 후반부터 생리생태학, 생화학, 유전공학 및 생물공학적인 연구로 확산되었었다. 이후 환경 및 생명산업 등의 응용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미세조류는 일반적으로 해양에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무기물로부터 유기물을 생산하는 생산자로서 동물성 플랑크톤이나 어류 등 해양의 1차 소비자의 먹이가 되며, 광합성을 통하여 해중 용존산소를 높이는 등, 해양 생태계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미세조류는 함유하고 있는 엽록소의 종류 등에 따라 녹조류에서 홍조류, 시아노박테리아까지 매우 다양하다.
현재 상업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미세조류들은 주로 고밀도로 배양할 수 있는 광생물 반응기를 이용하여 배양된다. 일반적인 광생물 반응기는 일정한 부피의 수조에 배양하려는 미세조류의 종류에 따라 배양액을 공급하고, 미세조류를 접종한 후, 미세조류의 성장에 유해한 원생동물 및 곰팡이의 유입을 차단하여 순수배양이 이루어지도록 배양액을 여과, 살균 공급하게 된다.
또한 충분한 광합성이 이루어지도록 이산화탄소 등의 탄소원이 포함된 기체를 배양액 내에 폭기시키고, 이를 통해 주입되는 기체 및 배양액 내의 영양물질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교반시키게 된다. 효율적인 광합성을 위하여 배양하는 미세조류의 특성에 따라 LED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파장의 빛을 조사하게 된다. 특히, 광반응기는 일정한 성장효율을 갖고 미세조류를 대량배양하기 위해서는 배양액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가온장치, 열교환장치 등을 설치하여 배양하게 된다.
따라서, 배양액의 공급과 폭기, 광원을 통한 빛의 조사 및 수온 조절 등의 문제로 미세조류의 대량배양에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가 있고, 특히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의 경우, 일년내내 미세조류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일은 에너지 효율 상의 어려움이 있다.
한편 용암해수란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주도의 현무암층을 뚫고 육지 지하로 흘러 들어온 바닷물이다. 용암해수는 제주도의 서부 일부지역과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발견되며 고농도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일반해수는 생활하수, 산업폐수, 항만오염 등의 불안정한 환경에 노출되어 산업화 소재 가공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반면, 용암해수는 화산암반층에 의한 자연정화와 여과를 거쳐 중금속 흡착 및 유해물질을 차단하기 때문에 안전성과 안정성, 경제성을 확보하고 있고, 깊은 바다에서 취수하는 해양심층수에 비해서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취수비용이 저렴하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제주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양식을 하는 과정에서 용암해수와 함께 부착성 규조류가 취수되는 것을 확인하고, 이들 부착성 규조류를 우점시켜 대량 배양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본원 발명에서 분리 확인된 부착성 규조류는 양식 산업의 사료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또는 의학, 환경, 생명산업 등 여러 산업분야의 기초재로서 가치가 높은 자원으로 활용가능하다.
부착성 규조류 중, 대량배양이 용이하면서 수산양식에서 우수한 사료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종 선택 및 배양방법의 확립이 필요하다. 제주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양식하는 과정에서 용암해수에 포함되어 취수되는 부착성 규조류를 확인하고 이들 부착성 규조류를 우점종시켜 대량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부피를 갖는 수조 바닥에 부착기질을 바닥면에 수평으로 형성하고 제주도 용암해수를 취수하여 소통시켜 부착성 규조류를 부착시키는 단계(1), 상기 부착성 규조류가 부착된 부착기질을 실외수조로 이동시켜 태양광을 이용하여 배양시키는 단계(2), 상기부착기질 하부에서 기포를 공급하여 부착기질에서 배양된 부착성 규조류를 탈락시키는 단계(3), 상기 탈락된 부착성 규조류의 주광성을 이용하여 수면으로 부유시키고 수류를 이용하여 회수하는 단계(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부착성 규조류의 분리, 대량배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성 규조류의 대량 배양방법을 통하여 제주 용암해수와 함께 취수되는 부착성 규조류를 분리하여 대량 배양시켜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부착성 규조류의 친환경적인 대량배양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용암해수로부터 분리 확인된 부착성 규조류를 양식산업의 사료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또는 의학, 환경, 생명산업 등 여러 산업분야의 기초재로서 가치가 높은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주도에 분포하는 용암해수의 분포 위치 및 일반적 설명을 나타낸다.(http://jejutp.or.kr/lavawater/whatis/what.htm)
도 2은 제주도에 분포하는 용암해수의 특성을 일반해수와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http://jejutp.or.kr/lavawater/whatis/what.htm)
도 3는 제주도 용암해수에서 분리된 체인형 부착규조류인 Fragilariopsis sp. 와 Melosira nummuloides .의 사진이다.
도 4는 주광성을 이용한 부착규조류의 회수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망수거장치를 이용한 부착규조류의 회수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은 제주도에 분포하는 용암해수의 특성을 일반해수와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http://jejutp.or.kr/lavawater/whatis/what.htm)
도 3는 제주도 용암해수에서 분리된 체인형 부착규조류인 Fragilariopsis sp. 와 Melosira nummuloides .의 사진이다.
도 4는 주광성을 이용한 부착규조류의 회수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망수거장치를 이용한 부착규조류의 회수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일반적으로 부착성 규조류는 광합성으로부터 유기물을 생산하는 1차 생산자로 양식업에서는 먹이생물로 흔히 이용되고 있다. 주로 사육수로부터 유입되어 양식수조나 양식용 파판에 붙어 자라면서 양식동물의 먹이가 되며, 특히 전복, 소라 등의 복족류, 조개와 같은 이매패류, 해삼, 성게 등의 극피류 및 새우 등의 갑각류의 유생 사육 시 초기의 먹이생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착성 규조류는 주로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등의 소재로 된 양식동물 부착용 파판에 자연 해수에서 부착되어 자라게 된다.
그러나 부착규조류의 배양은 부착하는 특성 때문에 일반적인 부유 미세조류 배양의 방법으로 대량생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부착 및 성장에 의하여 미세조류가 증식할수록 self-shading에 의한 빛 전달률이 감소하면서, 미세조류의 성장이 정체되게 되고, 사멸하는 세포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부착, 성장한 후, 미세조류를 회수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다.
한편 제주도 서부 일부지역과 동부지역은 용암이 굳어 형성된 화산암이 지표에서부터 해수면 아래 약 150m 내외까지 두텁게 분포하며, 본암층은 지하수를 저류시킬 수 있는 공극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며, 해안과 인접하여 해수와 약간의 지하수가 혼합된 대수층이 발달하고 있다(도 1). 화산암 하부의 서귀포층은 저투수성 지층으로서 화산암층 내 두터운 용암해수 층을 떠받치고 있으며, 화산암층 내 유리질 쇄설성 각력암과 용암류의 경계 및 절리대는 고염분의 염지하수(이하 제주용암해수)의 부존을 용이하게 하는 부존특성을 보이고 있다. 제주 용암해수는 지하 70m 또는 그 이상의 깊이에 대량으로 매장되어 있어 세균, 바러스, 유해 화학물질 등으로부터 완전히 격리되어 있는 반면 일반 해수보다 미네랄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도 2).
도 2의 결과를 살펴보면 일반 미생물의 수는 일반해수에서 6만 CFU/ml까지 검출되나, 용암해수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청정한 용암해수와 함께 취수되는 미생물을 분리하여 동정함으로서 부착성 규조류인 Fragilariopsis sp. 와 Melosira nummuloides인 것으로 확인하는 한편, 상기 부착성 규조류가 우점종을 이루어 배양될 수 있도록 하는 대량 배양방법을 확립하였다.
1. 용암해수로부터 부착성 규조류의 입수
일반적인 해양성 부착규조류의 배양 수온은 16-24 도, 염도는 25 ‰이상으로 제주도에 분포하는 지하해수의 경우, 연중 17-18 도, 염도는 최저 25 ‰를 유지하고 있어, 해양성 부착규조류를 배양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고 있다. 특히, 용암해수를 계속해서 소통시킬 경우, 노지 내 수온변화는 동절기 17도 이상, 하절기 24도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해양성 부착규조류가 수온 12도 이하에서는 생육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고려하면 연중 안정된 배양이 가능하다.
본원발명의 발명자는 용암해수를 취수하여 생물학적 검사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이 함께 취수되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동정한 결과, 체인형 부착규조류인 Fragilariopsis sp. 와 Melosira nummuloides.인 것으로 특정하였다. 상기 특정된 식물플랑크톤은 국내에서 산업적 활용이 알려지지 않은 종이다.
초기 용암해수 유입수에는 2-4 cells/L 정도로 부착성 규조류가 포함되어 있으며, 용암해수를 취수하여 부착기질(나일론망)을 통과시켜 흘려주면 3-5일정도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할 정도로 부착되며, 이 후 부착기질을 토대로 대량 번식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주도 지하해수에서 입수된 체인형 부착규조류인 Fragilariopsis sp. 와 Melosira nummuloides.의 사진이다. 상기 특정된 부착성규조류는 본 발명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부착기질과 배양방법을 개선함으로서 확립된 배양방법이다.
(1) 미세조류 부착 수조(또는 노지)의 준비
부착성 규조류 배양을 위하여 용암해수를 공급하기 용이한 위치에 수조를 준비한다. 수조는 가로, 세로, 깊이 3~6 m × 5~10 m × 0.5~1.5 m 의 평평한 바닥을 갖도록 하며, 용암해수를 수조의 일단에서 주입하고, 타단에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수조에 일정한 수류가 형성되도록 한다. 용암해수의 속도는 취수펌프에 의하여 입수되는 수량 및 수조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며, 부착성규조류가 부착기질에 충분히 부착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조절한다. 따라서 상기 수조의 크기를 기준으로 1일 2-4회전 정도의 용암해수를 취수하는데, 여름철은 2회전 정도, 겨울철은 4회전 정도가 되도록 조절한다.
부착수조가 아닌 노지에서 부착성규조류를 부착시킬 경우, 노지 바닥으로부터 병원성 미생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지에 차단막을 깔고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부착기질
용암해수로부터 부착성규조류를 입수하기 위하여 부착성규조류가 부착할 수 있는 부착기질을 수조(또는 노지)의 바닥에 설치한다. 부착기질로서는 나일론망(mesh size : 0.1~0.3 mm)가 부착효율이 가장 좋았으며, 이보다 망목이 크면 부착성규조류의 부착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며, 이보다 망목이 작을 경우, 이후 부착성 규조류의 배양 및 회수과정이 용이하지 않았다. 부착기질의 재질은 나일론, PP, 또는 PE로 사용할 수 있으나, 나일론이 부착성규조류 부착 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착기질은 부착수조의 바닥에 넓게 펴서 깔고, 가장자리는 벽면의 하부에 고정한다. 또는 부착기질을 프레임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부착기질에 부착성규조류가 부착한 후, 증식을 시작하면, 부착된 부착성규조류의 광합성 작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산소가 수중에 발산되면서 부착기질의 바닥면 아래에 모이게 되어 부착기질을 바닥면으로부터 떠오르게 한다.
이 경우, 부착기질이 해수 밖으로 노출되면서 부착성규조류가 말라버리거나, 파래포자 등이 번식할 수 있다. 따라서 부착기질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기질에 0.5~1 m의 간격을 두고 십자형 또는 일자형의 절개부를 두어 부착성규조류에 의해 생성된 기체가 수중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부착기질 상부에 3~5 m 간격의 격자형 와이어를 놓아 부착기질이 바닥에서 떠오르는 것을 방지한다.
부착기질이 설치되고 4~5일 정도면 부착기질에 부착성규조류 부착이 완료되어 증식하게 되며, 부착기질을 배양수조로 옮겨 대량배양시킨다.
2.
부착성
규조류의 대량배양
(1) 부착성규조류의 종 조성
부착성 규조류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 전복 등의 양식에 이용되는 부착성 규조류는 주로, Cocconeis sp., Navicula britannica, Navicula sp. Navicula closterium, Navicula longissima, Navicula marina, Navicula sp. 등이 있다. 생육위치에 따라 포복형, 직립형, 마트릭스형으로 나뉘며, 다독생육 또는 군체생육을 하며, 운동성이 있는 것과 없는 것, 그리고, 매우 빠른 운동성을 갖는 종류가 있다.
제주도 용암해수에서 입수한 부착성 규조류는 수차례의 부착 및 동정실험결과 국내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Fragilariopsis sp. 와 Melosira nummuloides 이 일정하게 우점종을 유지하였으며, 따라서 용암해수로부터 입수한 부착성규조류의 대량 배양 조건을 확립하는 데에 유리하였다.
동정된 부착성 규조류 Fragilariopsis sp. 는 차가운 물에서도 생장이 뛰어난 체인형 부착규조류이다. 또한 Melosira nummuloides 는 실린더형의 단위세포가 역시 체인을 이루며 자라는 부착규조류로 연중 배양이 가능하며 영양이 뛰어나 전복, 해삼 등의 먹이로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2) 부착
부착성규조류의
대량배양
제주도에 분포하는 용암해수의 경우, 연중 17-18 도를 유지하고 있어, 동절기에도 17도 이상, 하절기 24도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염도 또한 연중 최저 25 ‰을 유지하고 있어 연중 부착규조의 배양이 가능하다.
표 1은 봄철 측정된 일간 조도와 운량에 따른 부착규조 부상상태 변화를 나타낸다.
시간 | 조도(Lux) | 부착규조부상상태 | 운량 | 비고 |
07:00 | 4400 | - | 0 | |
08:00 | 22700 | - | 0 | |
09:00 | 21100 | + | 1 | |
09:40 | 59500 | ++ | 0 | |
15:00 | 33500 | +++ | 4 | |
16:30 | 22300 | +++ | 4 | |
17:30 | 9700 | +++ | ||
18:30 | 2700 | - | ||
2013. 7. 17 | ||||
07:30 | 9500 | - | 1 | |
08:30 | 31900 | + | 1 | |
09:30 | 67200 | ++ | 1 | |
10:30 | 90100 | +++ | 1 | |
14:00 | 105100 | +++ | 1 | |
17:00 | 56400 | +++ | 1 | |
18:00 | 49500 | +++ | 1 | |
19:00 | 27200 | + | 1 |
1) 운량 ; 0(구름100%), 1(80-90%), 2(60-80%), 3(40-60%), 4(10-40%), 5(10%미만)2) 부착규조부상상태 ; +(조금), ++(많음), +++(아주 많음)
본 발명에 따른 부착규조류의 대량배양은 기본적으로 태양광을 이용하여 야외에서의 배양을 기초로 한다. 해양성 부착규조는 조도 1,000 Lux 이상에서 분열 증식이 일어나는데, 제주도의 경우, 자연광은 일반적으로 일출시 4,000 Lux 이상, 일몰시 2,000 Lux 이상 유지하고 하절기 일 최대 조도량은 100,000 Lux에 달한다. 일출시간은 동지 9시간 30분, 하지 14시간 45분임을 고려하면, 일 평균 12시간 이상 미세부착규조에 태양광이 조사되므로, 따로 광원을 위한 에너지 소모 없이 부착성규조류 배양에 충분하다.
또한 일반적인 부착성 규조류의 생활사(Life cycle)가 최대 14일임을 고려하면, 생육조건이 보다 좋은 하절기에 미세부착조류의 생활사가 단축되어 생산량이 증대된다.
3. 대량배양된 부착성 규조류의 회수
(1) 기포를 이용한 부착 부착성규조류의 분리
부착기질에서 증식한 부착성규조류는 생장을 거듭하여 바이오매스가 증가하면 부착기질에 부착한 부분이 탈락되면서 자연적으로 부착기질로부터 분리되어 콜로니를 형성한다. 부착기질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남아 있는 부착성규조류는 에어콤프레셔 또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부착기질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부착기질로부터 분리된 부착성규조류 덩어리는 배양수조 수면에 부유하게 된다.
(2) 주광성을 이용한 부착성규조류 회수
부착기질로부터 분리된 부착성규조류 덩어리는 수조 내에 부유하게 되는데, Fragilariopsis sp. 와 Melosira nummuloides 가 99% 이상을 이루며, 이들 종은 주광성을 갖고 있다. Fragilariopsis sp. 와 Melosira nummuloides 은 30,000 Lux 보다 높은 조도에서 강한 주광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표 1에서 보듯이 낮 시간 동안 수조의 상부에 뜨게 된다. 이때 수류를 따라 거치대를 설치함으로써 부유하는 부착 규조류 덩어리를 운집시켜 회수함으로써 다른 에너지원의 이용없이 부착성규조류를 회수할 수 있다.
도 4는 주광성을 이용한 부착규조류의 회수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회수기간에 구름양의 증가 날씨 변화 등으로 30,000 Lux 이상의 조도를 얻지 못할 경우, 외부 광원으로 30,000 Lux 빛을 배양 수조 상부 일측에 비추어 부유하는 부착성 규조류 덩어리를 부상시킬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목재나 PCV 파이프를 길이를 따라 절개하여 거치시키면, 배양 중, 배양수조에 지속적으로 형성되는 수류를 따라 부착성규조류 덩어리가 한데로 모이게 된다.
도 5는 망수거장치를 이용한 부착규조류의 회수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수류를 따라 운집하는 부착성 규조류 덩어리는 뜰채로 떠서 나일론 망(mesh size : 0.1 ~ 0.3 mm)을 포함하는 수거장치에 의하여 걸러서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수거된 부착성 규조류는 습식으로 그대로 사용하거나, 건조와 분쇄과정을 거쳐 사료 및 사료첨가물, 또는 2차 공정을 거쳐 환경, 생명산업 등 응용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 따른 연간 부착성 규조류 생산량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 규조류의 대량배양방법에 의한 부착성 규조류의 연간 생산량을 나타낸 표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체 54 m2의 부착기질로 부착성규조류를 부착, 배양시킨 결과, 연간 미세부착규조 평균 생산량은 부착기질에서 생산되는 수분함유율 50 %미만의 미세부착규조 콜로니(shake형태) 85.6 g/㎡로 이는 연간 31.1 kg/㎡의 생산성을 보였다. 이는 부유성 부착 성규조류를 이용한 타 연구결과(한국해양연구원 14.4 kg/㎡, 2012)와 비교하여 크게 앞서는 결과로, 본 발명에 의한 부착규조류 대량배양방법에 의하여 매우 적은 에너지로 높은 생산성을 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년/월 | 2012. 10. |
11 | 12 | 2013. 10. |
2 | 3 | 4 | 5 | 6 | 7 | 8 | 9 |
월 총 회수량(kg) |
1,348 | 869 | 703 | 1,290 | 790 | 1,842 | 1,125 | 1,120 | 1,455 | 1,440 | 2,890 | 2,060 |
일 평균 회수량 (g/㎡) | 80.53 | 53.64 | 42.00 | 77.06 | 52.25 | 110.04 | 69.44 | 66.91 | 89.81 | 86.02 | 172.64 | 127.16 |
이와 같이 제주도 용암해수를 취수하여 부착기질에 일정 시간동안 노출시켜, 부착성 규조류 Fragilariopsis sp. 또는 Melosira nummuloides 를 부착기질에 부착시켜 수조에서 대량 배양가능하며 상기 배양된 부착성 규조류를 회수, 건조한 후 가공하여 항산화 및 미백활성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성 규조류의 대량배양방법을 통하여 용암해수와 함께 취수되는 부착성 규조류를 분리 동정함으로서 이를 대량배양시켜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부착성규조류 대량배양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수산양식 과정에서 사료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1)
- 제주도 용암해수를 취수하여 부착기질에 일정 시간동안 노출시켜, 부착성 규조류F ragilario psis sp. 또는 Melosira nummuloides 를 부착기질에 부착시켜 수조에서 대량 배양한 것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미백활성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1647A KR20170139307A (ko) | 2016-06-09 | 2016-06-09 |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분리된 부착성 규조류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1647A KR20170139307A (ko) | 2016-06-09 | 2016-06-09 |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분리된 부착성 규조류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9307A true KR20170139307A (ko) | 2017-12-19 |
Family
ID=6092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1647A KR20170139307A (ko) | 2016-06-09 | 2016-06-09 |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분리된 부착성 규조류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39307A (ko) |
-
2016
- 2016-06-09 KR KR1020160071647A patent/KR20170139307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767893B (zh) | 利用微藻深度处理污水耦合生产生物油的装置及方法 | |
CN104221982B (zh) | 温室内鱼菜食用菌共生系统 | |
CN106035190B (zh) | 一种海水工厂化循环水系统的双通道水处理方法 | |
CN203661815U (zh) | 一种室内海水养殖生态循环系统 | |
CN109735455B (zh) | 一种蓝藻门微囊藻水华中出现硅藻生长的培养方法 | |
CN102382769A (zh) | 通过三氯化铁絮凝作用采收微藻及培养水体的再循环利用 | |
EP391456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total dissolved solids (tds) in wastewater by an algal biofilm treatment | |
KR101710301B1 (ko) |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분리된 부착성 규조류를 이용한 해삼양식방법 | |
CN1530336A (zh) | 富营养化浅水小水体的生态修复方法 | |
CN102533522B (zh) | 一种全塑密闭模块化气升式光生物反应器 | |
CN105084569B (zh) | 适合鱼菜耦合种养模式的节能温室 | |
KR101861972B1 (ko) | 부착성 규조류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양방법 | |
CN105309388B (zh) | 一种水溞耐温驯化方法及利用水溞对水体进行生态修复的方法 | |
KR101810782B1 (ko) |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부착성 규조류의 분리 및 대량배양방법 | |
KR101788507B1 (ko) | 제주도 용암해수로부터 분리한 부착성 규조류로부터 실리카를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분리한 실리카 | |
CN208908889U (zh) | 水产养殖系统 | |
CN106577445A (zh) | 海水大棚以及利用该大棚进行综合生态养殖的方法 | |
KR20170139313A (ko) |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분리, 배양된 부착성 규조류를 이용한 양식용 사료조성물 | |
KR101712317B1 (ko) |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부착성 규조류의 분리 및 대량배양방법 | |
KR20180008024A (ko) |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분리된 부착성 규조류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 |
KR20180008035A (ko) |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분리, 배양된 부착성 규조류를 이용한 양식용 사료조성물 | |
CN101874477B (zh) | 高寒地区温棚水生物净化养鱼装置 | |
CN101870954A (zh) | 盐藻的养殖方法及其在生物质能源中的应用 | |
CN112553080B (zh) | 夏季培养硅藻的方法 | |
KR20170139307A (ko) | 제주도 용암 해수로부터 분리된 부착성 규조류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