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8262A -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 Google Patents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8262A
KR20170138262A KR1020160070442A KR20160070442A KR20170138262A KR 20170138262 A KR20170138262 A KR 20170138262A KR 1020160070442 A KR1020160070442 A KR 1020160070442A KR 20160070442 A KR20160070442 A KR 20160070442A KR 20170138262 A KR20170138262 A KR 20170138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seed
extract
less
soybean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4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훙 추
Original Assignee
차사이어 바이오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사이어 바이오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차사이어 바이오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60070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8262A/en
Publication of KR20170138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2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ybean seed extract,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of the soybean seed extract to promote wound healing, promote proliferation of nerve cells and/or treat brain diseases and/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treat breast cancer, reduce side effects of drugs interfering DNA and/or RNA replication and/or reinforce medicinal effects of drugs interfering DNA and/or RNA replication.

Description

대두 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ybean seed extract, a soybean seed extract,

본 발명은 대두 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상처 치유 촉진, 신경 세포 증식 촉진 및/또는 뇌 질환 및/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유방암 치료,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물의 부작용 저하 및/또는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물의 약제 효과 강화에 있어서의 대두 종자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ybean seed extract,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ound healing, promotion of neuronal cell proliferation and / or treatment of brain diseases and / 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treatment of breast cancer, deterioration of side effects of drugs interfering with DNA and / / RTI > and / or the use of soybean seed extract in enhancing the drug effect of drugs which interfere with DNA and / or RNA replication.

대두 및 검정콩을 포함하는 대두 (Glycine max (L.) Merrill)는 전세계적으로 오일과 단백질의 가장 중요한 소스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대두는, 샐러드 오일로서 사용되는 식용 오일을 수득하거나, 또는 마가린 및 쇼트닝을 제조하기 위해 가공할 수 있다. 대두 오일은 또한 페인트, 리놀륨, 유포, 인쇄 잉크, 솝, 살충제 및 소독제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오일 공업의 부산물로부터 수득되는 레시틴 인지질은 식품, 화장품, 약제, 가죽, 페인트, 플라스틱, 솝 및 디터전트에 습윤제 및 안정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대두박 (soy meal)은 가축에게 단백질이 매우 풍부한 사료 제품이다. 아울러, 대두 단백질은 합성 섬유, 접착제, 직물 사이징, 방수, 소화용 폼 (fire-fighting foam) 등의 제조에도 이용될 수 있다.Soybeans containing soybeans and black beans (Glycine max (L.) Merrill)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s of oils and proteins worldwide. For example, soybeans can be processed to obtain edible oils used as salad oil, or to make margarines and shortenings. Soybean oil can also be used to make paints, linoleum, spreading, printing inks, soaps, pesticides and disinfectants. Lecithin phospholipids obtained from the by-products of the oil industry can also be used as wetting and stabilizing agents in foods, cosmetics, pharmaceuticals, leather, paints, plastics, soaps and detergents. Soy meal is a very rich feed product for livestock. In addition, the soy protein may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synthetic fibers, adhesives, fabric sizing, waterproofing, fire-fighting foam, and the like.

의학적인 용도로, 대두는 다수 질환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For medical purposes, soy has been reported to affect a number of diseases.

대두는 장, 심장, 신장, 간 및 위의 기능을 조절하는 영양 보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대두 오일은 불포화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고콜레스테롤혈당을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대두로부터 유래된 의학용 레시틴은 항-지방간 제제 (lipotropic agent)로 작용한다. 또한, 항-강직인자 (antistiffness factor)로 알려진 티그마스테롤과, 몇몇 고혈압 치료제에 디오스게닌의 대체제로서 사용되는 시토스테롤 역시 대두로부터 제조된다. 대두에서 발견되는 이소플라본과 피토-에스테로겐은 유방암, 전립선암 및 대장암을 비롯한 다양한 암에 대해 예방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시사되고 있다 (Adlercreutz, H.; Phyto-oestrogens and cancer. The Lancet Oncology, 2002, Vol. 3, p. 364-373). 다른 문헌에는, 이소플라본의 유방암 발병 예방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1달 동안 1일 용량으로 100 mg 이상을 계속 섭취하여야 하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으며, 고 용량으로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경우에만 이소플라본이 항-암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Lu LJ, Anderson KE, Grady JJ, Nagamani M.; Effects of soya consumption for one month on steroid hormones in premenopausal women: implications for breast cancer risk reduction.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996 Jan; 5(1): 6370). 피토스테롤-첨가된 마가린 섭취 역시 중년층의 고콜레스테롤혈증 개체에서 혈장내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 것으로 확인된다 (Matvienko, O. A., Lewis, D. S., Swanson, M., Aendt, B., Rainwater, D. L., Stewart, J., and Alekel, D. L.; A single daily dose of soybean phytosterols in ground beef decreases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in young, mildly hypercholesterolemic men. Am J Clin Nutr., 2002, 76, p. 57 64).Soybean can be used as a nutritional supplement to control bowel, heart, kidney, liver and stomach functions. Soybean oil contains a large amou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and can be used to treat hypercholesterolemia. Medical lecithin derived from soybean acts as an anti-fat lipidic agent. In addition, thiagramester, also known as the antistiffness factor, and sitosterol, which is used as an alternative to diosgenin in some hypertensive treatments, are also prepared from soy. It has been suggested that isoflavones and phyto-estrogens found in soybeans have a preventive effect on various cancers including breast, prostate, and colorectal cancer (Adlercreutz, H., Phyto-oestrogens and cancer. The Lancet Oncology, 2002, Vol.3, pp. 364-373). In another document, it has been stated that in order to achieve the preventive effect of isoflavone on the development of breast cancer, 100 mg or more is to be continuously consumed in a daily dose of 1 month, and isoflavones are administered only in a high- (LLJ, Anderson KE, Grady JJ, Nagamani M; Effects of soya consumption for one month on steroid hormones in premenopausal women: implications for breast cancer risk reduction.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996 Jan; 5 (1): 6370). Phytosterol-supplemented margarine intake is also found to lower plasma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in middle-aged hypercholesterolemic subjects (Matvienko, OA, Lewis, DS, Swanson, M., Aendt, B., Am J Clin Nutr., 2002, 76, p. 57 64). In the present study, the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in young, mildly hypercholesterolemic men, .

대두로부터 유래된 일부 추출물들 역시 약학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갈색 콩 품종인 아키타-자이라이 (Akita-Zairai)의 종피에 대한 70% 아세톤 수용액 추출물에서 1,1-다이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DPPH) 라디칼-포획 활성 (radical-scavenging activity)이 개시된 바 있다 (Takahata, Y., O.-Kameyama, M., Furuta, S., Takahashi, M., and Suda, I.; Highly polymerized procyanidins in brown soybean seed coat with a high radical-scavenging activity. J. Agric. Food Chem., 2001, 49, p. 5843 5847). 60℃ 미만의 온도에서 서서히 로스팅하고 3일간 아스퍼질러스 오리제를 첨가해 발효시켜 각 성분을 저분자량의 물질로 변형시킨, 배아 추출물, 대두, 쌀겨, 율무 (tear grass), 참깨, 밀, 시트론, 녹차, 녹차잎 추출물 및 쌀 누룩 (malted rice) 유래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inamiyama, Y., Yoshikawa, T., Tanigawa, T., Takahashi, S., Naito, Y., Ichikawa, H., and Kondo, M.; Antioxidative effects of a processed grain food. J. Nutr. Sci. Vitaminol., 1994, 40, p. 467 477). 검정콩의 수 추출물 역시 랫에서의 혈청 글루타메이트-옥살레이트-트랜스아미나제 (sGOT) 및 혈청 글루타메이트-피루베이트-트랜스아미나제 (sGPT) 활성 측정을 통해, 아세트아미노펜-유발성 간 손상에 대해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Wu, S.-J., Wang, J.-S. and Chang, C.-H.; Evaluation of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legumes. Phytomedicine, 2001, Vol. 8(3), p. 213 219).Some extracts from soybeans have also been reported to have pharmacological effects.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1,1-diphenyl-2-picrylhydrazide (DPPH) in an aqueous solution of 70% acetone to the seed coat of Akita-Zairai, a brown soybean variety, Takahata, Y., O.-Kameyama, M., Furuta, S., Takahashi, M., and Suda, I .; Highly polymerized procyanidins in brown soybean seed coat with a high radical-scavenging activity. Agric. Food Chem., 2001, 49, p. 5843 5847). Soybean, rice bran, tear grass, sesame, wheat, citron, etc., which are slowly roast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60 ° C and fermented by adding aspergillus oryzae for 3 days to transform each component into a low molecular weight substance , Green tea, green tea leaf extract and rice malted rice extracts were found to have antioxidant effects (Minamiyama, Y., Yoshikawa, T., Tanigawa, T., Takahashi, S., Naito, Y., Ichikawa, H., and Kondo, M .; Antioxidative effects of a processed grain food, J. Nutr. Sci. Vitaminol., 1994, 40, p. The water extract of black soybeans was also tested for activity against acetaminophen-induced liver damage by measuring serum glutamate-oxalate-transaminase (sGOT) and serum glutamate-pyruvate-transaminase (sGPT) (Wu, S.-J., Wang, J.-S. and Chang, C.-H.; Evaluation of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legumes. Phytomedicine, 2001, Vol.8 (3), p.213 219).

대두로부터 유래된 몇몇 특정 추출물들은 일부 피부 질환의 치료에 있어 화장품 또는 약제로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스핑고마이에린과 인지질을 지정된 비율로 함유하는 콩 추출물 (soya extract)을 건조한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화장품에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공개번호 US2002/0009509 A1). 이 추출물은, 숙성된 콩 (ripe whole soya bean) 또는 오일-프리 콩가루를 지방족 알코올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물과의 혼합물로 사용해 추출한 다음, 지방족 탄화수소를 처리하고, 지방족 케톤으로 처리함으로써, 제조한다. 즉, 이 추출물은 지용성이다.Some specific extracts derived from soy are known to be used as cosmetics or medicines in the treatment of some skin disorders.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US2002 / 0009509 A1 discloses the use of soya extract containing sphingomyelin and phospholipids in specified proportions in cosmetics for treating dry skin. This extract is prepared by treating ripe whole soya bean or oil-free soybean flour with aliphatic alcohol alone or as a mixture with water, treating with aliphatic hydrocarbons and treating with aliphatic ketones . That is, the extract is fat-soluble.

훼이 (whey) 및 황벽나무 (Phellodendeon amurense Ruprecht extract)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며,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컴프리 (Symphytum officinale Linne) 및 대두 (Glycine max (L.) Merrill)로부터 선택되는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치료제, 코스메틱 생성 저해제 (cosmetic production inhibitor) 또는 화장품 조성물이, 여드름 또는 여드름으로 인한 거친 염증성 피부 등의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JP 특허 번호 2001097842).Whey and Phellodendeon amurense Ruprecht extract a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Symphytum officinale Linne and Glycine max (L.) Merrill. An acne remedy, a cosmetic production inhibitor or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additional one or more extracts which have been found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eases such as rough inflammatory skin caused by acne or acne has been found 2001097842).

또한, 미생물에 의한 대두 발효 산물 역시 활성 산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조성물, 제제, 식품, 화장품 및 의약제로서 활용가능하다 (예, 일본 특허 번호 4139132).In addition, the fermented soybean products by microorganisms can also be used as compositions, preparations, foods, cosmetics and medicines for inhibiting the action of active oxyge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No. 4139132).

대두에 대한 다수의 용도들이 보고되어 있지만, 추출물의 다양한 활용도는 여전히 개발 중에 있다.Although a number of uses for soy have been reported, various uses of extracts are still under development.

본 발명은 대두 종자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상처 치유 촉진, 신경 세포 증식 촉진 및/또는 뇌 질환 및/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유방암 치료,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물의 부작용 저하 및/또는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물의 약제 효과 강화에 있어서의 대두 종자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ybean seed extract,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 method for the treatment of wound healing, promotion of neuronal cell proliferation and / or treatment of brain diseases and / 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treatment of breast cancer, deterioration of side effects of drugs interfering with DNA and / / RTI > and / or < RTI ID = 0.0 > DNA < / RTI > and / or RNA replication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두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ract composition comprising a soybean seed extract prepared by a process comprising the steps of:

(a) 대두 종자와 추출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추출 용액이 물이거나, 또는 알코올을 약 90 wt% 미만의 농도로 포함하는 알코올 용액인 단계;(a) providing a soybean seed and an extracting solution, wherein the extracting solution is water or an alcoholic solution comprising alcohol at a concentration of less than about 90 wt%;

(b) 약 1 atm 미만의 기압과 약 60℃ 미만의 온도에서, 추출 용액을 사용해 대두 종자를 추출하여, 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b) extracting the soybean seeds using an extraction solution at a pressure of less than about 1 atm and a temperature of less than about 60 캜 to obtain a crude extract; And

(c) 조 추출물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하여, 액상분을 수득하는 단계.(c) removing the solid from the crude extract to obtain a liquid fraction.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대두 종자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포함하는 전술한 추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cess for preparing an extract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comprising a process for preparing a soybean seed extract comprising the steps of:

(a) 대두 종자와 추출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추출 용액이 물이거나, 또는 알코올을 약 90 wt% 미만의 농도로 포함하는 알코올 용액인 단계;(a) providing a soybean seed and an extracting solution, wherein the extracting solution is water or an alcoholic solution comprising alcohol at a concentration of less than about 90 wt%;

(b) 약 1 atm 미만의 기압과 약 60℃ 미만의 온도에서, 추출 용액을 사용해 대두 종자를 추출하여, 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b) extracting the soybean seeds using an extraction solution at a pressure of less than about 1 atm and a temperature of less than about 60 캜 to obtain a crude extract; And

(c) 조 추출물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하여, 액상분을 수득하는 단계.(c) removing the solid from the crude extract to obtain a liquid fra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약제의 제조에 있어 전술한 추출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use of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composition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promoting wound healing.

또한, 본 발명은 신경 세포 증식의 촉진 및/또는 뇌 질환 및/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있어 전술한 추출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use of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composition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promotion of neuronal cell proliferation and / or for the treatment of brain diseases and / 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또한, 본 발명은 유방암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있어 전술한 추출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use of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composition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또한, 본 발명은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물의 부작용을 낮추거나 및/또는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물의 약제 효과를 강화하는 약제의 제조에 있어 전술한 추출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the use of the above-mentioned extraction composition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lowering the adverse effects of a drug interfering with DNA and / or RNA replication and / or enhancing the pharmaceutical effect of a drug interfering with DNA and / or RNA replication Lt; / RTI >

본 발명은 아래 단락들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과 청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The inven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paragraphs. Other features,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can be fou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도 1 -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두 종자 추출물 (GMA1)의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스펙트로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두 종자의 증기 분획 (GMC1)의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스펙트로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이소플라본 표준 물질의 고 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스펙트로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대두 종자 증기 분획 (GMC1)의 HPLC 스펙트로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대두 종자 추출물 (GMA1) 0.3 중량부와 대두 종자 증기 분획 (GMC1)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의 HPLC 스펙트로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당뇨병성 상해 치유에 있어 GMA1과 GMC1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GMC1과 GMA1이 상처 봉합 개선에 효과가 있는 지를 조사하기 위해, STZ-유발성 당뇨병 랫 모델을 이용하였다. 비교를 위해, 크림 베이스와 CGS-21680을 처리한 2 그룹도 수행하였다. 그 결과, 0.3 % GMA1 및 GMC1 둘다 크림 베이스 단독에 비해 상처 봉합에 효과적이었으며, 0.3 % GMA1 처리군이 GMC1 보다 상처 봉합에 좀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도 11은 당뇨병성 상해 치유에 있어 GMC1과 조합된 여러가지 용량의 GMA1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은 당뇨병성 상해 치료에 GMA1과 GMC1의 최상의 조합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GMA1을 여러가지 농도, 각각 0.009%, 0.045% 및 0.09%에서 GMC1과 조합하였다. 비교를 위해, 모든 실험 연구들에서 크림 베이스와 CGS-21680을 처리한 2 그룹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상처 치유에 있어, 0.009%, 0.045% 및 0.09% 용량 수준의 GMA1과 GMC1의 조합 효과가 GMC1 단독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다. 가장 효과적인 조합 치료는 GMA1 최고 용량 (0.09%)에서 나타난다.
도 12는 HaCaT 세포 이동에 대한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으로 된 조합물들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GMA1으로 처리된 IMR-32 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도시한 것이다. 데이타는 7개의 그룹의 평균 ± SEM으로 나타낸다. 25 mg/ml GMA1으로 처리된 IMR-32 세포와 양성 대조군의 생존율은 매우 유의하였으며,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GMA1 p=0.0008, 양성 대조군 p=0.0246). 그 결과, GMA1이 세포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된다 (*** p<0.001).
도 14는 GMA1으로 처리된 IMR-32 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도시한 것이다. 데이타는 7개의 그룹의 평균 ± SEM으로 나타낸다. 25 mg/ml GMC1으로 처리된 IMR-32 세포와 양성 대조군의 생존율은 매우 유의하였으며,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GMC1 p=0.0255, 양성 대조군 p=0.0246). 그 결과, GMC1이 세포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된다 (* p<0.05).
도 15는 GMA1과 GMC1 (GM)을 처리한 IMR-32 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도시한 것이다. 데이타는 7개의 그룹의 평균 ± SEM으로 나타낸다. 25 mg/ml GM을 처리한 IMR-32 세포와 양성 대조군의 생존율은 매우 유의하였으며,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GMC1 p=0.0059, 양성 대조군 p=0.0246). 그 결과, GM이 세포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된다 (** p<0.01).
도 16은 방사성 미로 (radial arm maze)의 다이아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방사성 미로에서 치매 랫의 추적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4일째 랫의 추적 경로에 따르면, AlCl3 + N2 그룹의 랫이 훈련 후 기억으로 미끼가 있는 위치에 도달할 수 있으며, AlCl3 그룹과 AlCl3 + 크림 베이스 그룹의 랫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도 18은 방사성 미로 검사에서 치매 랫의 TME (total number of error) 다이아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AlCl3 그룹과 AlCl3 + 크림 베이스 그룹의 TME 값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p>0.05),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을 처리한 지 4일째의 TME 값은 AlCl3 그룹 (AlCl3+N2 p=0.0128) 보다 현저하게 낮다.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이 랫의 치매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데이타는 평균 ± SEM으로 나타낸다. 통계 분석을 위해 스튜던트 t-검정과 반복 ANOVA를 이용한다. AlCl3 그룹과 AlCl3+크림 베이스 그룹의 비교시, p<0.05는 *로 표시하고, p<0.01은 **로 표시하는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9는 방사성 미로 검사에서 치매 랫의 참조 (장기) 기억 에러 (RME) 다이아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AlCl3 그룹과 AlCl3+크림 베이스 그룹의 RME 값들은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p>0.05),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을 처리한 지 4일째의 RME 값은 AlCl3 그룹 (p=0.0046) 보다 현저하게 낮다.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이 랫의 장기 기억을 복원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데이타는 평균 ± SEM으로 나타낸다. 통계 분석을 위해 스튜던트 t-검정과 반복 ANOVA를 이용한다. p<0.05는 *로 표시하고, p<0.01은 **로 표시하는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0은 방사성 미로 검사에서 크림 베이스 (M), GMC1(M1) 및 GMC1+0.5%GMA1 (M3)으로 처리된 혈관성 치매 랫의 TME (total number of error) 다이아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양측 경동맥 결찰 (2VO) 그룹의 TME가 모의군 보다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8일, p=0.0013), 이는 양측 경동맥 결찰에 의해 랫에서 혈관성 치매가 성공적으로 유도되었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M1 및 M3 처리 후, TME 값이 2VO 그룹과 비교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8일, M1 p=0.0019; M3 p=0.0355). 이는, M1 및 M3가 랫에서 혈관성 치매를 치료하는 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데이타는 평균 ± SEM으로 나타낸다. 통계 분석을 위해 스튜던트 t-검정과 반복 ANOVA를 이용한다. p<0.05는 *로 표시하고, p<0.01은 **로 표시하는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1은 방사성 미로 검사에서 크림 베이스 (M), GMC1(M1) 및 GMC1+0.5%GMA1 (M3) 처리된 혈관성 치매 랫의 참조 기억 (장기 기억) 오류 (RME) 다이아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양측 경동맥 결찰 (2VO) 그룹의 RME가 모의군 보다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며 (8일, p=0.0016), 이는 양측 경동맥 결찰에 의해 랫에서 혈관성 치매가 성공적으로 유도되었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M1 및 M3 처리 후, RME 값이 2VO 그룹과 비교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8일, M1 p=0.0029; M3 p=0.0171). 이는, M1 및 M3가 랫에서 혈관성 치매의 RME를 치료하는 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시사한. 데이타는 평균 ± SEM으로 나타낸다. 통계 분석을 위해 스튜던트 t-검정과 반복 ANOVA를 이용한다. p<0.05는 *로 표시하고, p<0.01은 **로 표시하는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2는 방사성 미로 검사에서 크림 베이스 (M), GMC1(M1) 및 GMC1+0.5%GMA1 (M3)으로 처리된 혈관성 치매 랫의 실행 기억 (단기 기억) 오류 (WME) 다이아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양측 경동맥 결찰 (2VO) 그룹의 WME가 모의군 보다 현저하게 높은 (8일, p=0.0111)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양측 경동맥 결찰에 의해 랫에서 혈관성 치매가 성공적으로 유도되었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M1 및 M3 처리 후, WME 값은 2VO 그룹과 비교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8일, M1 p=0.0111; M3 p=0.0139). 이는, M1 및 M3가 랫에서 혈관성 치매의 WME를 치료하는 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데이타는 평균 ± SEM으로 나타낸다. 통계 분석을 위해 스튜던트 t-검정과 반복 ANOVA를 이용한다. p<0.05는 *로 표시하고, p<0.01은 **로 표시하는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3은 방사성 미로에서 혈관성 치매 (VD) 랫의 추적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8일째 VD 랫의 추적 경로는, 모의군, GMC1 (M1) 및 GMC1+0.5%GMA1 (M3) 그룹들이 훈련 후 기억에 의존해 미끼 위치에 도달할 수 있지만, 2VO와 M 그룹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도 24는 혈관성 치매 랫의 뇌 손상 등급에 대한 통계학적 다이아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랫 뇌의 CT 이미지에 따른 뇌 손상 정도를 0~4 등급으로 분류한다. 그 결과, 2VO (p=0.0000) 그룹의 중증 뇌 손상이 GMC1 (M1) 및 GMC1+0.5%GMA1 (M3) 처리 (M1 p=0.0030; M3 p=0.0238)에 의해 현저하게 완화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데이타는 평균 ± SEM으로 나타낸다. 통계 분석을 위해 스튜던트 t-검정과 반복 ANOVA를 이용한다. p<0.05는 *로 표시하고, p<0.01은 **로 표시하는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뇌 손상의 CT 등급:
0: CT 스캔에서 명백한 이상
1: 뇌 조직에서 비정상적인 강도 영역이 일부 있음
2: 편측 뇌 조직의 25% 이상의 비정상적인 강도 영역, 또는 양측 뇌 조직에서의 적은 면적의 비정상적인 강도 영역 존재
3: 편측 뇌 조직의 50% 이상의 비정상적인 강도 영역, 정중 편위 (midline shift) 또는 양측 뇌 조직의 25% 이상에서의 비정상적인 강도 영역 존재
4: 양측 뇌 조직의 50% 이상의 비정상적인 강도 영역, 또는 명백한 정중 편위/왜곡 (midline shift/distortion) 존재.
도 25는 누드 마우스의 종양 증식율에 대한 다이아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누드 마우스에서 종양을 유도하고, 마우스를 그룹핑한 다음 종양이 지정된 체적에 도달하면 종양 영역과 전체 등 피부에 0.1 g/일의 용량으로 추출 조성물을 투여하였다. 그 결과, 추출 조성물이 종양 대조군과 비교해 종양 증식율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도 26은 누드 마우스의 종양 증식율에 대한 다이아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누드 마우스에서 종양을 유도하고, 마우스를 그룹핑한 다음 종양이 지정된 체적에 도달하면 종양 영역과 전체 등 피부에 0.1 g/일의 용량으로 추출 조성물을 투여하였다. 그 결과, 추출 조성물이 종양 대조군과 비교해 종양 증식율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도 27은 누드 마우스의 종양 증식율에 대한 다이아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누드 마우스에서 종양을 유도하고, 마우스를 그룹핑한 다음 종양이 지정된 체적에 도달하면 종양 영역과 전체 등 피부에 0.1 g/일의 용량으로 CTX를 주사하거나 GMC1 및 GMA1을 투여하였다. 그 결과, 추출 조성물이 CTX 대조군과 비교해 종양 증식율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Figs. 1 to 3 show ion chromatographic spectrograms of the soybean seed extract (GMA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6 illustrate ion chromatographic spectrograms of the vapor fraction of soybean seeds (GMC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HPLC) spectrogram of isoflavone standards.
Figure 8 shows an HPLC spectrogram of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GMC1).
Figure 9 shows an HPLC spectrogram of an extract composition comprising 0.3 part by weight of soybean seed extract (GMA1) and 1 part by weight of soybean seed vapor fraction (GMC1).
Figure 10 shows the effect of GMA1 and GMC1 on diabetic injury healing. To investigate whether GMC1 and GMA1 are effective in improving wound closure, an STZ-induced diabetic rat model was used. For comparison, two groups treated with cream base and CGS-21680 were also performed. As a result, both 0.3% GMA1 and GMC1 were effective for wound closure compared to cream base alone, and 0.3% GMA1 treated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wound closure than GMC1.
Figure 11 shows the effect of various doses of GMA1 in combination with GMC1 in diabetic injury heal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est combination of GMA1 and GMC1 for the treatment of diabetic injury. As shown in Fig. 11, GMA1 was combined with GMC1 at various concentrations, 0.009%, 0.045% and 0.09%, respectively. For comparison, in all of the experimental studies, two groups treated with cream base and CGS-21680 were also performed. As a result, the combined effect of GMA1 and GMC1 at 0.009%, 0.045% and 0.09% capacity levels in wound healing was superior to GMC1 alone. The most effective combination treatment appears at the highest GMA1 dose (0.09%).
Figure 12 shows the effect of combinations of soybean seed extract and soybean seed vapor fraction on HaCaT cell migration.
Figure 13 shows cell viability of IMR-32 cells treated with GMAl.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EM of 7 groups. Viability of IMR-32 cells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 treated with 25 mg / ml GMA1 was very significant, and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008 GMA1, positive control, p = 0.0246).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GMA1 promotes cell proliferation (*** p < 0.001).
14 shows the cell survival rate of IMR-32 cells treated with GMA1.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EM of 7 groups. Survival rates of IMR-32 cells treated with 25 mg / ml GMC1 and positive contro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GMC1 p = 0.0255, positive control p = 0.0246).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GMC1 promotes cell proliferation (* p < 0.05).
15 shows the cell survival rate of IMR-32 cells treated with GMA1 and GMC1 (GM).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EM of 7 groups. The survival rate of IMR-32 cells treated with 25 mg / ml GM and positive contro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GMC1 p = 0.0059, positive control p = 0.0246).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GM promotes cell proliferation (** p < 0.01).
Figure 16 shows a diagram of a radial arm maze.
17 shows the tracing path of the demented rat in the radial maze. According to the rat's track path on day 4, the rats in the AlCl 3 + N2 group could reach the bait position in memory after training, suggesting that the rats in the AlCl 3 group and AlCl 3 + cream base group were not.
18 shows a total number of error (TME) diagram of a demented rat in a radioactive maze test. AlCl 3 group and AlCl 3 + cream TME value of the base group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soybean seed extract and TME value of soybean seeds day 4 not treated with the extraction composition containing vapor fraction is AlCl 3 Group (AlCl 3 + N 2 p = 0.0128). Extract compositions comprising soybean seed extract and soybean seed vapor fraction are found to be effective in treating dementia in rats.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EM. Student's t-test and repeated ANOVA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When comparing the AlCl 3 group with the AlCl 3 + cream base group, p <0.05 is denoted by * and p <0.01 is denoted by **, which means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igure 19 shows a reference (long-term) memory error (RME) diagram of a demented rat in a radioactive maze test. AlCl 3 group and AlCl 3 + cream base group of RME value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0.05), extraction compositions RME value of not the fourth day handle comprising a soybean seed extract and soybean seeds vapor fraction is AlCl 3 Group ( p = 0.0046). The extract composition containing the soybean seed extract and the soybean seed steam fraction has an effect of restoring long-term memory of the rat.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EM. Student's t-test and repeated ANOVA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p <0.05 is denoted by *, and p <0.01 is denoted by **, which means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0 shows a total number of error (TME) diagram of vascular demented rats treated with cream base (M), GMC1 (M1) and GMC1 + 0.5% GMA1 (M3) in a radioactive maze test. The TME of the bilateral carotid artery ligation (2VO)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simulated group (8 days, p = 0.0013 ), suggesting that vascular dementia was successfully induced in the rat by bilateral carotid artery lig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fter the treatment with M1 and M3, the TME value was remarkab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2VO group (8 days, M1 p = 0.0019; M3 p = 0.0355). This suggests that M1 and M3 have efficacy in treating vascular dementia in rats.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EM. Student's t-test and repeated ANOVA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p <0.05 is denoted by *, and p <0.01 is denoted by **, which means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igure 21 shows a reference memory (long term memory) error (RME) diagram of vascular demented rats treated with cream base (M), GMC1 (M1) and GMC1 + 0.5% GMA1 (M3) in a radioactive maze test. RME of the bilateral carotid artery ligation (2VO)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simulated group (8 days, p = 0.0016 ), suggesting that bilateral carotid artery ligation led to successful vascular dementia in the ra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fter the treatment with M1 and M3, the RME value was remarkab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2VO group (8 days, M1 p = 0.0029; M3 p = 0.0171). This suggests that M1 and M3 have efficacy in treating RME of vascular dementia in rats.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EM. Student's t-test and repeated ANOVA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p <0.05 is denoted by *, and p <0.01 is denoted by **, which means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igure 22 shows a run memory (short term memory) error (WME) diagram of vascular demented rats treated with cream base (M), GMC1 (M1) and GMC1 + 0.5% GMA1 (M3) in a radioactive maze test. The WME of the bilateral carotid artery ligation (2VO)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simulated group (8 days, p = 0.0111 ), indicating that bilateral carotid artery ligation resulted in successful vascular dementia in the ra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fter the treatment with M1 and M3, the WME value was remarkab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2VO group (8 days, M1 p = 0.0111; M3 p = 0.0139). This suggests that M1 and M3 have the efficacy of treating WME of vascular dementia in rats.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EM. Student's t-test and repeated ANOVA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p <0.05 is denoted by *, and p <0.01 is denoted by **, which means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3 shows the tracing path of vascular dementia (VD) rats in the radioactive maze. On the 8th day, the tracking pathway in the VD rats suggests that the GMO1 (M1) and GMC1 + 0.5% GMA1 (M3) groups can reach the bait position after training, depending on memory, but the 2VO and M groups are not .
24 shows a statistical diagram of brain damage rating of vascular dementia rats. Classify the degree of brain damage according to the CT image of the rat brain as 0-4 grad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evere brain damage in the 2VO ( p = 0.0000 ) group was remarkably alleviated by GMC1 (M1) and GMC1 + 0.5% GMA1 (M3) treatment (M1 p = 0.0030; M3 p = 0.0238 ).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EM. Student's t-test and repeated ANOVA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p <0.05 is denoted by *, and p <0.01 is denoted by **, which means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T grade of brain damage:
0: Obvious error in CT scan
1: There are some abnormal intensity areas in brain tissue.
2: Abnormal intensity region of more than 25% of unilateral brain tissue, or small area of abnormal intensity region in both brain tissues
3: Abnormal intensity range of more than 50% of unilateral brain tissue, midline shift, or abnormal intensity area of more than 25% of bilateral brain tissue
4: Abnormal intensity range of more than 50% of bilateral brain tissue, or presence of obvious midline shift / distortion.
Figure 25 shows a diagram of the tumor growth rate of nude mice. Tumors were induced in nude mice, grouped in mice, and then the extract composition was administered at a dose of 0.1 g / day to the tumor area and the entire skin once the tumor reached the specified volume.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extract composition can lower the tumor growth rate as compared with the tumor control.
Figure 26 shows a diagram of the tumor growth rate of nude mice. Tumors were induced in nude mice, grouped in mice, and then the extract composition was administered at a dose of 0.1 g / day to the tumor area and the entire skin once the tumor reached the specified volume.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extract composition can lower the tumor growth rate as compared with the tumor control.
Figure 27 shows a diagram of the tumor growth rate of nude mice. After induction of tumors in nude mice and grouping of mice, tumors were injected with CTX or GMC1 and GMA1 at a dose of 0.1 g / day to the tumor area and the entire skin when the tumor reached the specified volume.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extract composition can lower the tumor growth rate as compared with the CTX control.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두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ract composition comprising a soybean seed extract prepared by a process comprising the steps of:

(a) 대두 종자와 추출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추출 용액이 물이거나, 또는 알코올을 약 90 wt% 미만의 농도로 포함하는 알코올 용액인 단계;(a) providing a soybean seed and an extracting solution, wherein the extracting solution is water or an alcoholic solution comprising alcohol at a concentration of less than about 90 wt%;

(b) 약 1 atm 미만의 기압과 약 60℃ 미만의 온도에서, 추출 용액을 사용해 대두 종자를 추출하여, 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b) extracting the soybean seeds using an extraction solution at a pressure of less than about 1 atm and a temperature of less than about 60 캜 to obtain a crude extract; And

(c) 조 추출물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하여, 액상분을 수득하는 단계.(c) removing the solid from the crude extract to obtain a liquid fraction.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구현예들에 대한 하기 상세한 설명, 실시예 및 화학적인 도면과 표를 관련 설명과 더불어 참조함으로써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변경될 수 있음을 잘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청구항에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은 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제조 방법, 담체 또는 제형으로, 또는 본 발명의 추출물을 국소,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용으로 의도된 제품 또는 조성물로 제형화하는 특정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히 구체적인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invention may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examples and chemical drawings and tables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escrip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unless explicitly stated to the contrary,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methods of manufacture, carriers or formulations, or to the extract of the invention as a topical, oral or parenteral But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particular manner of formulation into the intended product or composition for administratio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되는 바와 같이, 하기 용어들은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하기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As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terms will be understood to have the following meanings, unless otherwise stated.

보통 범위는 "약" 하나의 특정 값에서 및/또는 "약" 다른 특정 값까지로 본원에서 표현된다. 이러한 범위로 표현된 경우, 구현예는 하나의 특정 값에서 및/또는 다른 특정 값까지의 범위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값들이 용어 "약"을 사용해 대략치로 표현되는 경우, 특정 값이 다른 구현예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범위의 양 끝값은 서로에 대해 의미가 있으며, 그리고 다른 끝값에 대해 독립적으로도 의미가 있는 것으로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Usually, ranges are expressed herein from " about "one particular value and / or" about "to another particular value. When expressed in this scope, an embodiment may encompass a range from one specific value and / or to another specific value. Likewise, when values are expressed as approximate values using the term "about ",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articular value constitutes another embodiment. It will be further understood that both ends of the range are meaningful to each other, and independently of the other end, as well.

"선택적" 또는 "선택적으로"는 이후에 열거된 현상 또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또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기재가 그러한 현상 또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와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물질을 포함하는"이라는 의미는 이 물질이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Optional" or "optionally" means that the subsequently listed phenomenon or circumstance may or may not occur and that the description includes instances where such phenomenon or circumstance occurs and instances where it does not. For example, "optionally including material" means that the material may or may not be present.

명세서와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단수형 ("a," "an" 및 "the")은 문장에서 명확하게 달리 언급되지 않은 한 복수의 언급을 포함하는 것임에 유념하여야 한다. 따라서, 내용상 그렇지 않은 한, 단수의 용어는 복수를 포괄하며, 복수의 용어는 단수를 포괄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appended claims,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ccordingly, unless the context requires otherwise, the singular terms encompass a plurality, and the plural terms encompass singular.

본원에서, 용어 "개체"는 모든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더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개체의 예로는 인간, 인간을 제외한 영장류, 설치류, 기니아피그, 토끼, 양, 돼지, 염소, 소, 말, 개 및 고양이를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individual" means all animals, preferably mammals, more preferably humans. Examples of individuals include humans, primates except humans, rodents, guinea pigs, rabbits, sheep, pigs, goats, cows, horses, dogs and cats.

본원에서 제공되는 활성 성분의 "유효량"이라는 용어는 원하는 기능에 대해 원하는 조절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성분의 양을 의미한다. 후술한 바와 같이, 실제 필요량은 질환 상태, 개체의 신체 상태, 나이, 성별, 인종 및 체중,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제형에 따라서는 개체별로 달라질 것이다. 투약 용법은 최적의 치료학적 반응을 유도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번 나누어 매일 투여하거나, 또는 치료 상황에 맞게 처방되는 바와 같이 용량을 비례적으로 줄일 수 있다. 즉, 실제 "유효량"을 명시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하지만, 적정 유효량은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단순히 일반적인 실험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The term "effectiv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provided herein means the amount of the ingredient sufficient to provide the desired modulation of the desired func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ctual required amount will vary depending on the disease state,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individual, the age, sex, race and body weight, the specific composition of the composition, and the formulation. Dosage regimens may be adjusted to induce optimal therapeutic response. For example, it may be administered several times in divided doses, or the dose may be proportionally reduced as prescribed for the treatment situation. That is, it is not possible to specify the actual "effective amount ". However, the appropriate effective amount can be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simple experimentation.

본원에서, 용어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이 용어가 사용되는 장애, 질환 또는 병태의 반전, 완화, 진행 저해, 또는 이러한 장애, 질환 또는 병태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반전, 완화, 진행 저해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 treating "or" treatment "refers to reversing, alleviating, inhibiting progression of, or reversing, alleviating, inhibiting the progression of one or more symptoms of such disorder, it means.

용어 "담체" 또는 "부형제"는 본원에서 그 자체가 치료제는 아니지만, 치료제를 개체에게 전달하기 위해 또는 취급 또는 저장 특성을 개선하거나 또는 용량 단위 (dose unit)의 조성물을 경구 투여에 적합한 캡슐제 또는 정제와 같은 분리된 물품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또는 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형에 첨가되는, 담체 및/또는 희석제 및/또는 보강제 또는 비히클로서 사용되는, 모든 물질을 지칭한다. 적절한 담체 또는 부형제들은 약제 제형 또는 식품 제품의 제조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다. 담체 또는 부형제는, 예로서, 비제한적으로, 완충제, 희석제, 붕해제, 결합제, 접착제, 습윤제, 폴리머, 윤활제, 유동화제, 유쾌하지 않은 맛 또는 향을 은폐 또는 상쇄하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 향료, 색소, 향수 및 조성물의 외양 개선을 위해 첨가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로는 사이트레이트 완충제, 포스페이트 완충제, 아세테이트 완충제, 바이카보네이트 완충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옥사이드, 인산 및 황산의 소듐 및 칼슘 염,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탈크, 젤라틴, 아카시아 검, 소듐 알기네이트, 펙틴, 덱스트린, 만니톨, 소르비톨, 락토스, 슈크로스, 전분, 젤라틴, 셀룰로스 물질 (예, 알칸산의 셀룰로스 에스테르 및 셀룰로스 알킬 에스테르), 저 융점 왁스 코코아 버터, 아미노산, 우레아, 알코올, 아스코르브산, 인지질, 단백질 (예, 혈청 알부민), 에틸렌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EDTA),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DMSO), 소듐 클로라이드 또는 기타 염, 리포좀, 만니톨, 소르비톨, 글리세롤 또는 분말, 폴리머 (예,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코올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그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물질을 포함한다. 담체는 치료제의 약리학적 활성을 파괴하지 않아야 하며, 물질의 치료학적 양을 전달하기에 충분한 용량으로 투여하였을 때 무독성이어야 한다.The term "carrier" or "excipient" as used herein is not a therapeutic agent per se, but may be used to deliver a therapeutic agent to an individual or to improve handling or storage characteristics, Refers to any substance used as a carrier and / or diluent and / or as a reinforcing agent or vehicle, which is added to a formulation to enable it to be made into a separate article such as tablets or to be easily manufactured. Suitable carriers or excipients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pharmaceutical formulation or manufacture of food products. The carrier or excipient can be, for example and without limitation, a buffer, diluent, disintegrant, binder, adhesive, wetting agent, polymer, lubricant, fluidizing agent, substance added to conceal or counteract an unpleasant taste or aroma, Perfumes, and materials added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composition. Acceptable carriers or excipie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ytotoxic buffers, phosphate buffers, acetate buffers, bicarbonate buffers, stearic acid, magnesium stearate, magnesium oxide, sodium and calcium salts of phosphoric and sulfuric acid, magnesium carbonate, talc, gelatin, (Such as cellulose esters and cellulose alkyl esters of alkanoic acids), low melting waxes, cocoa butter, amino acids, urea, alcohols, ascorbic acid, Such as, for example, acids, phospholipids, proteins (e.g., serum albumin),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dimethylsulfoxide (DMSO), sodium chloride or other salts, liposomes, mannitol, sorbitol, glycerol or powder, Vinyl-pyrrolidone, polyvinyl alcohol, and polyethylene glycol), And othe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materials. The carrier should not destroy the pharmacological activity of the therapeutic agent and should be non-toxic when administered at a dosage sufficient to deliver the therapeutic amount of the agent.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조성물은 대두 종자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자의 종피 색에 따라서, 대두는 노란콩, 베지터블 콩 (vegetable soybean), 백색 콩, 필 빈 (peel bean), 그린 빈 (green bean), 검정콩을 지칭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노란콩 또는 검정콩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콩과, 콩속에 속하며, 바람직하게는 대두 (Glycine max (L.) Merrill), 글리신 포르모사나 호소카와 (Glycine formosana Hosokawa) 또는 글리신 소야 옥트. non Sieb. & Zucc (Glycine soja auct. non Sieb. & Zucc)이다.The extrac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oybean seed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color of the seed coat of a seed, soybean may be referred to as yellow bean, vegetable soybean, white bean, peel bean, green bean, black bean; Preferably yellow soybeans or black b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ybean and belonging to the genus Soybean, preferably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glycine formosana Hosokawa or glycine soyaoct. non Sieb. & Zucc ( Glycine soja auct. Non Sieb. & Zucc).

본 발명에 따른 종자는 바람직하게는 콩 꼬투리 (pod)에서 껍질 (shell)을 제거함으로써 수득되는 종자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대두 열매는 털이 난 꼬투리이며, 꼬투리의 껍질이 종자를 덮고 있다. 꼬투리의 껍질은 내부 종자를 보호하기 위해 매우 딱딱하며, 방수성을 나타낸다. 대두 열매로부터 대두 종자를 수득하는 방법, 꼬투리에서 껍질을 제거하는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종자는 종자 외막 (seed coat), 자엽 및 배축을 포함한다.The s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means a seed obtained by removing a shell from a bean pod. Generally, soybeans are hairy pods, and the shell of the pods covers the seeds. The shell of the pod is very hard and waterproof to protect the inner seeds. Methods for obtaining soybean seeds from soybeans, methods for removing peels from pods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Preferably, the se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ed coat, cotyledon and hypocotyl.

본 발명에 따른 대두 종자 추출물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The soybean seed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대두 종자와 추출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추출 용액이 물이거나, 또는 알코올을 약 90 wt% 미만의 농도로 포함하는 알코올 용액인 단계;(a) providing a soybean seed and an extracting solution, wherein the extracting solution is water or an alcoholic solution comprising alcohol at a concentration of less than about 90 wt%;

(b) 약 1 atm 미만의 기압과 약 60℃ 미만의 온도에서, 추출 용액을 사용해 대두 종자를 추출하여, 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b) extracting the soybean seeds using an extraction solution at a pressure of less than about 1 atm and a temperature of less than about 60 캜 to obtain a crude extract; And

(c) 조 추출물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하여, 액상분을 수득하는 단계.(c) removing the solid from the crude extract to obtain a liquid fraction.

본 발명에 따른 대두 종자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용액은 물이거나, 또는 알코올을 약 90 wt% 미만의 농도로 포함하는 알코올 용액이다. 바람직하게는 알코올은 C1 내지 C7 알코올이다. 용어 "C1 내지 C7 알코올"은, 본원에서, 직선형 또는 분지형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또는 다가 불포화된 알코올이며;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된 일가 포화 알코올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옌에서, C1 내지 C7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iso-부탄올, sec-부탄올, tert-부탄올, 1-펜탄올, 2-펜탄올, 3-펜탄올, 2-메틸-1-부탄올, 2-메틸-2-부탄올, 3-메틸-2-부탄올, 3-메틸-1-부탄올, 2,2-다이메틸-1-프로판올, 1-헥사놀, 2,4-헥사다이엔-1-올, 2-메틸-사이클로펜탄올, 사이클로헥사놀, 1-헵타놀, 2-헵타놀 또는 사이클로헵틸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C1 - C7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C1 - C7 알코올은 에탄올이다. C1 - C7 알코올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extraction solution for extracting soybean see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ater or an alcohol solution containing alcohol at a concentration of less than about 90 wt%. Preferably, the alcohol is a C1 to C7 alcohol. The term "C1 to C7 alcohol ", as used herein, is a linear or branched,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mono- or polyunsaturated alcohol; Preferably, it is an unsubstituted monovalent saturated alcohol.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1 to C7 alcohols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nol, ethanol, n-propanol, isopropanol, n-butanol, iso-butanol, sec-butanol, tert- Butanol, 3-methyl-1-butanol, 2,2-dimethyl-1-propanol, 1-hexa 2,4-hexadien-1-ol, 2-methyl-cyclopentanol, cyclohexanol, 1-heptanol, 2-heptanol or cycloheptyl alcohol. More preferably, the C1 - C7 alcohol is methanol or ethanol; Most preferably, the C1 - C7 alcohol is ethanol. The C1 - C7 alcohol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알코올은, 본원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90% (v/v)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5% (v/v) - 약 90% (v/v);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 (v/v) - 약 85% (v/v);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 (v/v) - 약 75% (v/v)의 농도를 가진 알코올 용액이다.The alcohol is herein preferably less than about 90% (v / v); Preferably about 5% (v / v) to about 90% (v / v); More preferably about 30% (v / v) to about 85% (v / v); , More preferably from about 50% (v / v) to about 75% (v / v).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b) 약 1 atm 미만의 기압과 약 60℃ 미만의 온도에서, 추출 용액을 사용해 대두 종자를 추출하여, 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종자의 일부를 용매로 추출하는 방식은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에를 들어, 조 추출물은, 대두 종자를 분쇄, 교반, 교란, 절단 또는 세절 등과 같은 임의의 통상적인 수단으로 작은 조각으로 자르고, 이 조각들을 추출용 추출 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종자 세절 방식을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대두 종자는 분말로 분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대두 종자는 추출용 추출 용액에 침지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대두 종자는 추출 용액에 침지하고, 초음파 진동 추출 (ultrasonic vibration extraction)을 거친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 of (b) extracting the soybean seed using an extracting solution at a pressure of less than about 1 atm and a temperature of less than about 60 캜 to obtain a crude extract. The manner in which a portion of the seed is extracted with a solvent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crude extract can be obtained by cutting the soybean seed into small pieces by any conventional means such as grinding, stirring, disturbing, cutting or finishing, and immersing the pieces in an extraction solution for extraction. The seed-cutting method in the technical field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ybean seeds are ground into a powd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ybean seed is immersed in an extractive solution for extraction, more preferably the soybean seed is immersed in an extractive solution and subjected to ultrasonic vibration extraction.

본 발명의 방법에서, 단계 (b)에 앞서 대두 종자는 바람직하게는 건조된다.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ybean seed is preferably dried prior to step (b).

본 발명에서, 대두 종자와 추출 용액의 비율 (w/v)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대두 종자와 추출 용액의 비율 (w/v)은 약 1:1 - 약 1:30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 약 1:2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10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w / v) of the seed seed to the extraction solu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w / v) of the soybean seed to the extraction solution is about 1: 1 to about 1:30; More preferably from about 1: 5 to about 1: 20; Most preferably about 1:10.

본 발명에 따르면 단계 (b)에서 추출 온도는 약 60℃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25℃ - 약 55℃;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 - 약 5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45℃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temperature in step (b) is less than about 60 DEG C, preferably from about 25 DEG C to about 55 DEG C; More preferably from about 30 캜 to about 50 캜; More preferably about 45 &lt; 0 &gt; C.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추출 단계 (b)는 반복할 수 있으며, 추출물은 조합 (merging)에 의해 수집한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xtraction step (b) can be repeated and the extracts are collected by merging.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c) 조 추출물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하여, 액상분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고형물을 제거하여 액상분을 수득하는 방식은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그 예로 여과, 원심분리 또는 석출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c) removing the solids from the crude extract to obtain a liquid fraction. Methods of removing solids to obtain liquid fractions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iltration, centrifugation or precipitation.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d) 단계 (c)에서 수득되는 액상분을 농축하여, 농축된 고형분 (solid portion)을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농축 방법은 감압 콘덴서에 의해서와 같이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Preferably,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further comprises (d) concentrating the liquid fraction obtained in step (c) to obtain a concentrated solid portion. The concentration method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by means of a vacuum condenser.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e) 단계 (d)에서 수득한 농축된 고형분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건조 방식은 공기-건조 또는 동결 건조기에 의해서와 같이,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Preferably,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further comprises (e) drying the concentrated solids obtained in step (d). Drying methods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by air-drying or freeze-dry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대두 종자 추출물에 대해 CarboPac PA1 Analytical (4 x 250mm) 컬럼을 이용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수행한다. 이동 상은 물 87%와 500 mM NaOH 13%이며, 내부 표준 물질은 말토스 일수화물이다. 등용매성 용출을 1.0 ml/min의 낮은 유속과 0.5초 사이클로 수행한다. 각 사이클에서, 분석은 0.00초 - 0.2초, 기준 전위 0.1 V; 0.2초 - 0.4초까지 0.1 V; 0.41초 - 0.42초에 -2.0 V; 0.43초,에 0.6 V; 0.44초 - 0.5초에 -0.1 V로 수행하며, 전체 분석 기간은 55분이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oybean seed extract is subjected to an ion chromatographic analysis using a CarboPac PA1 Analytical (4 x 250 mm) column. The mobile phase is 87% of water and 13% of 500 mM NaOH, and the internal standard substance is maltose monohydrate. The isocratic elution is carried out at a low flow rate of 1.0 ml / min and a 0.5 second cycle. In each cycle, the analysis was performed for 0.00 seconds to 0.2 seconds, reference potential 0.1 V; 0.2 sec - 0.1 V to 0.4 sec; 0.41 seconds to -2.0 V in 0.42 seconds; 0.43 seconds, to 0.6 V; 0.44 sec - 0.5 s at -0.1 V, and the total analysis time is 55 min.

수득한 스펙트로그램은 도 1-3에 나타낸다. 피크 시간은 표 1에 나타낸다.The obtained spectrogram is shown in Figs. 1-3. Peak time is shown in Table 1.

피크 시간 (분)Peak time (minutes) 피크 1Peak 1 피크 2Peak 2 피크 3Peak 3 피크 4Peak 4 피크 5Peak 5 내부 표준물질Internal reference material 도 11 5.9135.913 6.6606.660 10.12010.120 18.01018.010 20.51020.510 28.39028.390 도 22 5.6605.660 6.4206.420 10.24410.244 18.60018.600 20.78420.784 28.59728.597 도 33 5.8575.857 6.5906.590 10.10010.100 18.16718.167 20.84720.847 28.30428.304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조성물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extrac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oybean seed vapor fraction prepared by a process comprising the steps of:

(i) 대두 종자를, 물이거나, 또는 알코올을 약 15 wt% 미만의 농도로 포함하는 알코올 용액인 제2 추출 용액에 제공하는 단계; 및(i) providing the soybean seed to a second extraction solution which is water or an alcohol solution comprising alcohol at a concentration of less than about 15 wt%; And

(ii) 약 1 atm 미만의 기압과 약 110℃ 미만의 온도에서 대두 종자를 제2 추출 용액으로 추출하고, 증기 분획을 수집하는 단계.(ii) extracting the soybean seeds with a second extraction solution at an atmospheric pressure of less than about 1 atm and a temperature of less than about 110 &lt; 0 &gt; C, and collecting the vapor fraction.

본 발명에 따른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제조하기 위한 제2 추출 용액은 물이거나, 또는 알코올을 약 15 wt% 미만의 농도로 포함하는 알코올 용액이며,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알코올 종류는 대두 종자 추출물의 제조용 추출 용액과 동일할 수 있으며, 본원에서 반복되지 않는다.The second extraction solution for producing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ater or an alcohol solution containing less than about 15 wt% alcohol, preferably water. The alcohol species may be the same as the extract solution for the preparation of the soybean seed extract and is not repeated here.

제2 추출 용액인 알코올은, 농도가 약 15% (v/v)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0% (v/v)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약 5% (v/v) 미만인 알코올 용액이다.The alcohol as the second extraction solution is an alcohol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less than about 15% (v / v), preferably less than about 10% (v / v), more preferably less than about 5% (v / v).

본 발명에 따른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의 제조 방법은, (ii) 약 1 atm 미만의 기압과 약 110℃ 미만의 온도에서 대두 종자를 제2 추출 용액으로 추출하고, 증기 분획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출 방식은,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약 1 atm 미만의 기압과 약 110℃ 미만의 온도에서 증발시키는 한, 대두 종자 추출물의 제조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증기 분획은 증기 물질을 냉각시켜 액체 형태로 수집할 수 있다.The process for producing a soybean seed vapor f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 of (ii) extracting the soybean seed with a second extraction solution at a pressure of less than about 1 atm and a temperature of less than about 110 캜, and collecting the vapor fraction . The extraction method may be the same as the method of producing the soybean seed extract as long as the soybean seed steam fraction is evaporated at a pressure of less than about 1 atm and a temperature of less than about 110 캜. The vapor fraction can be collected in liquid form by cooling the vapor material.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소정의 기압과 온도에서 대두 종자를 증발시키고, 증기를 냉각시켜 증기 분획을 수집하는 과정은, 증기를 냉수가 공급되는 콘덴싱 관으로 증발시킨 다음, 증기를 콘덴싱 관을 통과시켜 냉각시킴으로써 액체 형태로 증기 분획을 수집하는, 회전 증발기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은 간단하며, 비용이 적게 든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evaporating the soybean se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temperature and cooling the steam to collect the steam fraction is performed by evaporating the steam into a condensing tube to which cold water is supplied, In a rotary evaporator, which collects the vapor fraction in liquid form by passing and cooling it. This operation is simple and low cost.

본 발명에 따르면, 대두 종자와 제2 추출 용액의 비율 (w/v)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대두 종자와 제2 추출 용액의 비율 (w/v)은 약 1:1 - 약 1:30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 - 약 1:2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10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w / v) of the soybean seed to the second extraction solu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w / v) of the soybean seed to the second extraction solution is about 1: 1 to about 1:30; More preferably from about 1: 5 to about 1: 20; Most preferably about 1:10.

본 발명에 따른 단계 (ii)에서 추출 온도는 약 110℃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60℃ - 약 110℃이다.The extraction temperature in step (ii)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less than about 110 캜; Preferably about 60 &lt; 0 &gt; C to about 110 &lt; 0 &gt; C.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추출 단계 (ii)는 반복할 수 있으며,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은 조합 (merging)에 의해 수집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xtraction step (ii) can be repeated and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is collected by merg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대두 종자 증기 분획에 대해 CarboPac PA1 Analytical (4 x 250mm) 컬럼을 이용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수행한다. 이동 상은 물 87%와 500 mM NaOH 13%이며, 내부 표준 물질은 말토스 일수화물이다. 등용매성 용출을 1.0 ml/min의 낮은 유속과 0.5초 사이클로 수행한다. 각 사이클에서, 분석은 0.00초 - 0.2초에 기준 전위 0.1 V; 0.2초 - 0.4초까지 0.1 V; 0.41초 - 0.42초에 -2.0 V; 0.43초에 0.6 V; 0.44초 - 0.5초에 -0.1 V로 수행하며, 전체 분석 기간은 55분이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 ion chromatographic analysis is performed on a CarboPac PA1 Analytical (4 x 250 mm) column for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The mobile phase is 87% of water and 13% of 500 mM NaOH, and the internal standard substance is maltose monohydrate. The isocratic elution is carried out at a low flow rate of 1.0 ml / min and a 0.5 second cycle. At each cycle, the analysis was performed at a reference potential of 0.1 V at 0.00 second to 0.2 second; 0.2 sec - 0.1 V to 0.4 sec; 0.41 seconds to -2.0 V in 0.42 seconds; 0.6 V at 0.43 second; 0.44 sec - 0.5 s at -0.1 V, and the total analysis time is 55 min.

수득한 스펙트로그램은 도 4-6에 나타낸다. 피크 시간은 표 2에 나타낸다.The obtained spectrogram is shown in Figs. 4-6. The peak times are shown in Table 2.

피크 시간Peak time 도 44 2.6902.690 도 55 2.5872.587 도 66 2.6642.664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추출 조성물에 대해 대두 종자 추출물의 함량은 약 0.001% wt - 약 10% wt; 바람직하게는 약 0.01% wt - 약 5% wt;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01% wt - 약 1.5% wt이다. 다른 측면에서, 추출 조성물에 대해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의 함량은 약 0.04% wt - 약 99.999% wt; 바람직하게는 약 10% wt - 약 99.9% wt;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 wt - 약 99% wt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soybean seed extract for the extract composition is about 0.001% wt to about 10% wt; Preferably from about 0.01% wt to about 5% wt; More preferably from about 0.001% wt to about 1.5% wt. In another aspect, the content of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for the extract composition is from about 0.04% wt to about 99.999% wt; Preferably from about 10% wt to about 99.9% wt; More preferably from about 30% wt to about 99% wt.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품 조성물이다.The extrac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 food composition or a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 방법에 의해 국소로 또는 전신으로 투여되며, 비제한적인 예로, 근육내, 진피내, 정맥내, 피하, 복막내, 비강내, 경구, 점막 경로나 또는 외용 경로 (external route)를 포함한다. 적절한 경로, 제형 및 투여 스케줄은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 조성물은 대응되는 투여 경로에 따라, 액체 용액, 현탁제, 유제, 시럽, 정제, 환제, 캡슐제, 서방형 제형, 산제, 과립제, 앰플, 주사액, 주입액, 키트, 연고, 로션, 리니먼트제 (liniment), 크림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살균하거나 또는 임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으며, 이들 다수는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preferably administered locally or systemically by any method known in the art and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intramuscular, intradermal, intravenous, subcutaneous, intraperitoneal, intranasal, Oral, mucosal, or external routes. Appropriate routes, formulations, and administration schedules may be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in the form of a liquid, a suspension, an emulsion, a syrup, a tablet, a pill, a capsule, a sustained-release formulation, a powder, a granule, an ampule, Lotions, liniments, creams, or combinations thereof. &Lt; RTI ID = 0.0 &gt; If desired, they may be sterilized or mixed with the addition of any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or excipient, many of which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외용 경로는, 본원에서, 국소 투여라고도 하며, 비제한적인 예로, 통기 (insufflation) 및 흡입 (inhalation)에 의한 투여를 포함한다. 국소 투여를 위한 다양한 타입의 조제물의 예로는 연고제, 로션제, 크림제, 겔제, 폼제, 경피 패치에 의한 전달용 조제물, 산제, 스프레이제, 에어로젤, 캡슐제 또는 흡입기나 취입기에 사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또는 점적제 (예, 점안제 또는 점비제), 분무용 용액제/현탁제, 좌제, 페서리제, 정체 관장제 (retention enema) 및 씹거나 또는 삼키는 정제 또는 펠렛제 또는 리포좀 또는 마이크로엔캡슐레이션 조제물을 포함한다.External routes of administration are also referred to herein as topical administration and include, by way of non-limiting example, administration by insufflation and inhalation. Examples of various types of formulations for topical administration include ointments, lotions, creams, gels, formulations, delivery formulations by transdermal patches, powders, sprays, aerogels, capsules or cartridges for use in inhalers or insufflations , Or suspending agents (e. G., Eye drops or nasal drops), sprayable solutions / suspensions, suppositories, pessaries, retention enema and chew or swallow tablets or pellets or liposomes or microencapsulation preparations .

연고제, 크림제 및 겔제는, 예를 들어, 적절한 증점제, 겔화제 및/또는 용매를 첨가하여 수성 또는 오일성 베이스와 함께 제형화할 수 있다. 이들 베이스는, 따라서, 예를 들어, 물 및/또는 액체 파라핀 또는 아라키스 오일 또는 캐스터 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등의 오일,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의 특성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증점제와 겔화제로는 연질 파라핀,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양모지 (woolfat), 밀랍, 카르복시폴리메틸렌 유도체, 셀룰로스 유도체, 및/또는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및/또는 비-이온성 유화제를 포함한다.Ointments, creams and gels may be formulated with an aqueous or oily base, for example, by the addition of suitable thickening, gelling and / or solvents. These bases may thus comprise, for example, oils such as water and / or oils such as liquid paraffin or arachis oil or vegetable oils such as castor oil, or solvents such as polyethylene glycol. The thickener and gelling agent that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e include soft paraffin, aluminum stearate, cetostearyl alcohol, polyethylene glycol, woolfat, beeswax, carboxypolymethylene derivative, cellulose derivative, and / or glyceryl monostearate Rate and / or non-ionic emulsifiers.

로션제는 수성 또는 오일성 베이스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유화제, 안정화제, 분산화제, 현탁화제 또는 증점제도 포함할 것이다.Lotions may be formulated with an aqueous or oily base and will in general also include one or more emulsifying, stabilizing, dispersing, suspending or thickening agents.

외용 산제는 임의의 적절한 분말 베이스, 예를 들어, 탈크, 락토스 또는 전분을 보조로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점적제는, 하나 이상의 분산화제, 가용제, 현탁화제 또는 보존제를 또한 포함하는 수성 또는 비-수성 베이스를 사용해 제형화할 수 있다.External powders may be prepared using any suitable powder base, for example, talc, lactose or starch as a supplement. The drip agent may be formulated using an aqueous or non-aqueous base also comprising one or more dispersing agents, solubilizers, suspending agents or preservatives.

스프레이 조성물은 정량 투약 흡입기와 같은 가압 팩으로부터, 적절한 액화 추진제를 사용하여 전달되는 수용액 또는 현탁제 또는 에어로졸제로서 제형화할 수 있다. 흡입용으로 적합한 에어로졸 조성물은 현탁물 또는 용액일 수 있다. 에어로졸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올레산 또는 레시틴 및 공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 등의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추가적인 제형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ray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as an aqueous solution or suspension or aerosol formulation delivered using a suitable liquefied propellant from a pressurized pack, such as a metered dose inhaler. Aerosol compositions suitable for inhalation may be suspensions or solutions. The aerosol composition may optionally comprise additional surfactants, for example, oleic acid or lecithin and additional formulating agents well known in the art, such as co-solvents, for example, ethanol.

국소 조제물은 발병 부위에 1일 1회 이상 도포함으로써 투여할 수 있으며; 피부 영역 위에 폐쇄 드레싱을 사용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접착식 저장 시스템 (adhesive reservoir system)을 통해 계속적인 또는 지속적인 전달을 달성할 수 있다.The topical preparation may be administered by application to the site of onset at least once a day; It may be beneficial to use a closed dressing over the skin area. Continuous or continuous delivery can be achieved through an adhesive reservoir system.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물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수 상 제형일 수 있으며; 또한, 물과 물-혼화성 용매 (25℃에서, 50 중량% 이상의 물에 혼화가능함)의 혼합물, 예를 들어,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과 같이 탄소 원자 1-5개를 함유한 저급 모노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또는 다이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이 탄소 원자 2-8개를 함유한 글리콜, C3-C4 케톤과 C2-C4 알데하이드, 및 글리세린과의 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성 제형은, 바람직하게는 수성 겔 또는 하이드로겔 제형의 형태이다. 하이드로겔 제형은 액체 용액의 점성을 높이기 위해 증점제를 포함한다. 증점제의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카보머, 셀룰로스 기재 물질, 검, 알긴, 아가, 펙틴, 카라기난, 젤라틴, 미네랄 또는 개질된 미네랄 증점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그외 폴리머성 증점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에 안정성을 부여하고, 최적의 유동 특징을 제공하는 증점제가 사용된다.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queous formulation which is essentially composed of water; Also suitable are mixtures of water and water-miscible solvents (which may be miscible with water at 50% by weight or more at 25 DEG C), for example lower alcohols containing 1-5 carbon atoms such as ethanol or isopropanol, , Glycols containing 2-8 carbon atoms such as eth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 or dipropylene glycol, water mixtures of C3-C4 ketone with C2-C4 aldehyde, and glycerin. Such an aqueous formulation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n aqueous gel or a hydrogel formulation. Hydrogel formulations include thickening agents to increase the viscosity of the liquid solution. Examples of thicken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arbomers, cellulosic materials, gums, algin, agar, pectin, carrageenan, gelatin, minerals or modified mineral thickeners, polyethylene glycols and polyalcohols, polyacrylamides and other polymeric thickeners . Thickening agents are preferably used which impart stability to the composition and provide optimal flow characteristics.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유제 또는 크림 제형의 형태일 수 있다. 이 조성물은 유화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특성과 기능 (유화)에 대한 내용은 문헌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Kirk-Othmer", volume 22, pp. 333-432, 3rd edition, 1979, Wiley, 특히 347-377 페이지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대해 참조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form of an emulsion or cream formulation. The composition may comprise an emulsifying surfactant. Such surfactants can be selected from anionic surfactants and non-ionic surfactants. The content and function (emulsification) of surfactants are described in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Kirk-Othmer, volume 22, pp. 333-432, 3rd edition, 1979, Wiley, especially pages 347-377, for anionic surfactants and non-ionic surfactants.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지방산, 지방산 알코올, 폴리에톡시화 또는 폴리글리세롤화 지방산 알코올, 예를 들어, 폴리에톡시화 스테아릴 또는 세틸스테아릴 알코올, 슈크로스의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글루코스 에스테르, 특히 C1-C6 알킬 글루코스의 폴리옥시에틸렌화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아민, 수성 암모니아 또는 알칼리 염으로 중화된 C16-C30 지방산,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수중유 또는 수중왁스 에멀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는 사용된다.Surfactants preferably used i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nonionic surfactants; Fatty acids, fatty acid alcohols, polyethoxylated or polyglycerolated fatty alcohols, such as polyethoxylated stearyl or cetylstearyl alcohol, fatty acid esters of sucrose, alkylglucose esters, especially poly Oxyethylenated fatty acid esters, and mixtures thereof; Anionic surfactants; Amines, C16-C30 fatty acids neutralized with aqueous ammonia or alkali salts, and mixtures thereof. Surfactants which enable the production of oil-in-water or water-in-oil wax emulsions are preferably used.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부틸화 p-크레솔, 부틸화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 및 토코페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항산화제를 유효량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n effective amount of a physiologically acceptable antioxida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ylated p-cresol, butylated hydroquinone monomethyl ether and tocopherol.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천연 또는 개질된 아미노산, 천연 또는 개질된 스테롤 화합물, 천연 또는 개질된 콜라겐, 실크 단백질 또는 콩 단백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natural or modified amino acids, natural or modified sterol compounds, natural or modified collagen, silk protein or soy protein.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피부, 털, 속눈썹 또는 손발톱과 같은 케라틴 물질에 국소 적용하기 위한 용도로 제형화된다. 이는, 이러한 적용 타입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제시 형태, 특히 수성 또는 오일성 용액, 수중유 또는 유중수 유제, 실리콘 유제, 마이크로유제 또는 나노유제, 수성 또는 오일성 겔 또는 액체, 페이스티 또는 고형 무수 산물의 형태일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formulated for topical application to keratinous materials such as skin, hair, eyelashes or nails. This may be achieved in all presentation forms commonly used in this application type, especially in the form of aqueous or oily solutions, oil or water emulsions, silicone emulsions, microemulsions or nanoemulsions, aqueous or oily gels or liquids, pastes or solid anhydrous products Lt; / RTI &gt;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유동성이 높거나 낮을 수 있으며, 백색 또는 유색 크림, 연고, 밀크, 로션, 세럼, 페이스트, 무스 또는 겔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이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패치 또는 산제의 형태로 피부 위에 국소 적용할 수 있다. 이는, 또한, 고형 형태, 예를 들어 스틱 형태일 수 있다. 이는 피부 관리 제품 및/또는 메이크업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것은 샴푸 또는 컨디셔너로 제조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high or low fluidity and may have the appearance of white or colored creams, ointments, milks, lotions, serums, pastes, mousses or gels. The composition may optionally be topically applied to the skin in the form of an aerosol, patch or powder. It may also be in solid form,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stick. It can be used as a skin care product and / or as a makeup product. As another example, it can be made with a shampoo or conditioner.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공지 방식으로, 화장품에 일반적인 첨가제와 보강제, 예를 들어,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향제, 충진제, 색소, 향 흡착제 및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in a known manner, conventional additives and adjuvants in cosmetics, for example, hydrophilic or lipophilic gelling agents, preservatives, antioxidants, solvents, flavoring agents, fillers, pigments, .

추출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의 제조 공정에서 전통적인 식품 조성물 (즉, 식용 식품 또는 음료 또는 이의 전구체)에 첨가할 수 있다. 거의 모든 식품 조성물에 본 발명의 추출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 조성물이 보충될 수 있는 식품 조성물로는, 비제한적으로, 캔디, 제과제빵 제품 (baked good), 아이스크림, 유제품, 달콤하고 맛있는 스낵, 스낵 바, 식사 대체품, 패스트 식품, 스프, 파스타, 면, 캔 식품, 냉동 식품, 건조 식품, 냉장 식품, 오일 및 지방류, 유아용 식품 또는 빵에 도포되는 소프트 식품을 포함한다.The extract composition can be added to a conventional food composition (i.e., edible food or beverage or its precurso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food composition. The extrac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to almost all food compositions. Food compositions to which the extract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pplemented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andies, baked good, ice cream, dairy products, sweet and savory snacks, snack bars, meal substitutes, fast food, , Cotton, canned foods, frozen foods, dried foods, refrigerated foods, oils and fats, infant foods, or soft foods applied to breads.

또한, 본 발명은 상처 치유 촉진 약제의 제조에 있어 전술한 추출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use of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composition in the manufacture of wound healing accelerators.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추출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선택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상처 치유 촉진이 필요한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에서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promoting wound healing in an individual comprising administering an effective amount of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composition, optionally, to a subject in need of accelerated wound healing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or excipient do.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조성물은 피부 세포 이동을 촉진함으로써 상처 치유를 촉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추출 조성물은 각질 형성 세포의 이동을 촉진할 수 있으며, 피부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각질 형성 세포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동물 모델에서, 추출 조성물은 당뇨병 환자에서 상처 치유를 촉진할 수 있으며, 상처는 바람직하게는 당뇨병성 상해이다.Preferably, the extrac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wound healing by promoting skin cell migration. 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xtract composition can promote migration of keratinocytes, wherein the skin cells are preferably keratinocytes. In another aspect, in an animal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 composition can promote wound healing in a diabetic patient, wherein the wound is preferably a diabetic injury.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크림 베이스와 비교해, 상처 봉합에 유의한 효과 (p<0.5)를 가지며, 대두 종자 추출물은 대두 종자 증기 분획 보다 상처 봉합에 약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oybean seed extract and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wound closure (p < 0.5) compared to the cream base, and the soybean seed extract has a It exhibits slightly better performance in wound closure.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대두 종자 추출물을 다양한 용량 수준으로, 대두 종자 증기 분획과 조합하여, 당뇨병성 상처 치유에 있어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사용한다. 그 결과, 상처 치유에 있어,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의 조합 효과가 대두 종자 증기 분획 단독 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다. 가장 효과적인 조합 치료는 대두 종자 추출물을 최고 용량으로 사용한 경우에서 확인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ybean seed extract is used at various dose levels in combination with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diabetic wound healing.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bination effect of the soybean seed extract and the soybean seed steam fraction was superior to the soybean seed steam fraction alone in wound healing. The most effective combination treatments are found in the case of using the soybean seed extract at the highest dos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피부 각질 형성 세포의 이동을 촉진하는데 있어 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이용한다. 그 결과, 피부 각질 형성 세포의 이동을 촉진하는데 있어,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의 조합 효과가 대두 종자 추출물 또는 대두 종자 증기 분획 단독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oybean seed extract and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ar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to analyze the effect of promoting migration of dermal keratinocytes. As a result, the combined effect of the soybean seed extract and the soybean seed steam fraction was found to be superior to the soybean seed extract or the soybean seed steam fraction alone in promoting migration of keratinocytes.

또한, 본 발명은 신경 세포 증식의 촉진 및/또는 뇌 질환 및/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있어 전술한 추출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use of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composition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promotion of neuronal cell proliferation and / or for the treatment of brain diseases and / 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또한, 본 발명은, 유효량의 전술한 추출 조성물과 선택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요한 개체에서 신경 세포의 증식 촉진 및/또는 뇌 질환 및/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promoting the proliferation of neurons and / or preventing brain diseases and / or neuropathies in a necessary individual, comprising administering to said individual an effective amount of the aforementioned extract composition and optionally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or excipient A method for treating a degenerative disease.

바람직하게는, 신경 세포는 중추 신경계 세포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뇌 신경 세포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신경모세포종 세포이다.Preferably, the nerve cell is a central nervous system cell; More preferably, it is a brain nerve cell; Even more preferably, it is a neuroblastoma cell.

본 발명에 따른 뇌 질환 및/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은 바람직하게는, 혈관성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뇌 혈관 질환, 염증성 뇌 손상, 뇌 손상 주변의 염증 반응, 뇌 병변, 뇌 혈종, 뇌실 부종 (swelling ventricle) 및 뇌실 확장 (ventricular dilatatio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The brain diseases and / 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ascular dementia,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inflammatory brain injury, inflammatory reaction around brain injury, brain lesion, swelling ventricle, and ventricular dilatation.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대두 종자 추출물, 대두 종자 증기 분획, 및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을 사용해, 인간 신경모세포종 세포를 치료한다. 그 결과, 대두 종자 추출물, 대두 종자 증기 분획, 및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을 처리한 후, 세포 생존성은 현저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대두 종자 추출물, 대두 종자 증기 분획 및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은 신경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진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uman neuroblastoma cells are treated using an extract composition comprising a soybean seed extract, a soybean seed vapor fraction, and a soybean seed extract and a soybean seed vapor fraction. As a result, after treating the extract composition containing the soybean seed extract, the soybean seed steam fraction, and the soybean seed extract and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the cell viability is remarkably increased. Therefore, the extract composition containing the soybean seed extract, the soybean seed steam fraction and the soybean seed extract and the soybean seed steam fraction has an effect of promoting neuronal cell proliferation.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치매 랫 동물 모델의 방사성 미로 검사에서,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을 처리한 이후에, 총 기억 오류와 참조 기억 오류가 무처리 군 보다 현저하게 낮았다. 이는,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이 치매 랫을 치료하는 효과를 가짐을 보여주는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radioactive labyrinth test of a demented rat model, after treating an extract composition comprising a soybean seed extract and a soybean seed vapor fraction, total memory errors and reference memory errors were significantly Respectively. This shows that the extract composition containing the soybean seed extract and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has the effect of treating demented rats.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치매 랫 동물 모델의 방사성 미로 검사에서,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총 기억 오류와 참조 기억 오류가 무처리 군 보다 현저하게 낮았다. 이는,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이 치매 랫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tract composition containing the soybean seed extract and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was treated in the radioactive maze test of the demented rat animal model, total memory errors and reference memory errors were significantly Low. This shows that an extract composition containing a soybean seed extract and a soybean seed vapor fraction is effective for treating demented rats.

혈관성 치매 모델에서, 그 결과에 따르면, 혈관성 치매로 인한 기억 장애가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조성물의 처리 후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두 종자 증기 분획 및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은 둘다 실행 기억 오류, 참조 기억 오류 및 총 기억 오류를 개선한다.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은, 대두 종자 증기 분획 단독과 비교해, 혈관성 치매로 인한 기억 장애를 치료하는데 보다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In the vascular dementia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memory impairment due to vascular dementia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of the extrac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soybean seed steam fraction and the extract composition including the soybean seed extract and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improve the performance memory error, the reference memory error, and the total memory error. Extraction compositions comprising a soybean seed extract and a soybean seed vapor fraction have a better effect in treating memory disorders due to vascular dementia compared to soybean seed vapor fraction alone.

또한, 본 발명은 유방암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있어 전술한 추출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the use of the above-described extraction composition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또한, 본 발명은, 유효량의 전술한 추출 조성물과 선택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가 필요한 개체에서 유방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breast cancer in a subject in need thereof,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n effective amount of the aforementioned extract composition and optionally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or excipient.

바람직하게는, 유방암은 p53 돌연변이 타입의 유방암이다.Preferably, the breast cancer is a breast cancer of the p53 mutation typ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p53 돌연변이 타입의 인간 유방암 세포주를 이용해, 마우스에서 종양 증식을 관찰하기 위한 원발성 부위에서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동물 모델을 확립한다. 인간에서의 투여를 시뮬레이션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조성물을 여러가지 농도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조성물은 종양을 가진 마우스에서 종양 증식율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된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 animal model is established for simulating the situation at a primary site for observing tumor growth in mice, using a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of p53 mutation type. When simulating administration in humans, the extrac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at various concentrations. The extrac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rmed to have an effect of suppressing tumor growth rate in a tumor-bearing mouse.

또한, 본 발명은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물의 부작용을 낮추거나 및/또는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물의 약제 효과를 강화하는 약제의 제조에 있어 전술한 추출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the use of the above-mentioned extraction composition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lowering the adverse effects of a drug interfering with DNA and / or RNA replication and / or enhancing the pharmaceutical effect of a drug interfering with DNA and / or RNA replication Lt; / RTI &gt;

또한, 본 발명은, 유효량의 전술한 추출 조성물과 선택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물의 부작용 저하 및/또는 약물의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제의 효과 강화가 필요한 개체에서,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물의 부작용 저하 및/또는 약물의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제 효과를 강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the prevention and / or amelioration of side effects of drugs interfering with DNA and / or RNA replication, and / or the administration of a medicament, In a subject in need of enhancing the effect of a drug interfering with the DNA and / or RNA replication of the drug, and / or enhancing the medicinal effect of interfering with DNA and / or RNA replication of the drug, and / . &Lt; / RTI &gt;

용어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물"은, 본원에서, 유사분열에서 필수적인 DNA 및/또는 RNA 복제 과정을 방해함으로써 종양 세포를 사멸시키는 약물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물로는 사이클로포스파미드, 테모졸로미드, 헥사메틸멜라민, 백금 착화물, 블레오마이신 (bleomycin), 빈블라스틴 (vinblastine), 빈크리스틴 (vincristine),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docetaxel), 폴릭산 길항제, 퓨린 길항제 또는 피리미딘 길항제를 포함한다.The term "drug interfering with DNA and / or RNA replication" refers herein to a drug that kills tumor cells by interfering with DNA and / or RNA replication processes that are essential in mitosis. Preferably, drugs that interfere with DNA and / or RNA replicati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yclophosphamide, temozolomide, hexamethylmelamine, platinum complex, bleomycin, vinblastine, vincristine, ), Paclitaxel, docetaxel, polynic acid antagonists, purine antagonists or pyrimidine antagonis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인간 유방암 세포주를 이용해, 원발성 부위에서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동물 모델을 확립한다. 사이클로포스파미드를 투여한 종양-보유 동물과 비교해,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조성물은, 종양-보유 마우스에서 화학요법제의 종양 증식을 저해하는 효과를 강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 조성물은 종양 증식을 저해하며, 화학요법제의 종양 크기 축소 효과를 강화하며, 종양 압박을 완화함으로써 통증을 경감함으로써, 환자는 보다 나은 삶의 질을 가질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are used to establish animal models for simulating conditions at primary sites. Compared with tumor-bearing animals that received cyclophosphamide, the extract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hance the effect of inhibiting tumor growth of chemotherapeutic agents in tumor-bearing mice. The extrac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tumor growth, enhances the tumor size reduction effect of the chemotherapeutic agent, and alleviates the pain by relieving tumor pressure, so that the patient can have a better quality of life.

아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도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ai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대두 종자 추출물 (GMA1) Soybean seed extract (GMA1)

대두 (Glycine max (L.)Merr.)의 종자를 분말로 분쇄하고, 70 중량%의 에탄올 또는 증류수를 추출 용액으로서 이용하였으며; 대두 종자와 추출 용액의 비율 (w/v)은 약 1:10이었다. 대두 종자를 약 1 atm 기압 및 약 45℃에서 추출하여, 조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조 추출물에서 고형물을 제거하여, 액상분을 수득하였다. 액상분을 감압 콘덴서로 추가로 농축하여, 농축된 고형분을 수득하였다. 농축된 고형분을 70℃에서 추가로 건조하였다.Seeds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Were pulverized into powders and 70% by weight of ethanol or distilled water was used as the extraction solution; The ratio (w / v) of the soybean seed to the extract solution was about 1:10. The soybean seeds were extracted at about 1 atm atmospheric pressure and about 45 캜 to give crude extracts. The solids were removed from the crude extract to give a liquid fraction. The liquid portion was further concentrated using a pressure-reducing condenser to obtain a concentrated solid. The concentrated solids were further dried at 70 &lt; 0 &gt; C.

대두 종자 증기 분획 (GMC1) The soybean seed steam fraction (GMC1)

대두 (Glycine max (L.)Merr.)의 종자를 분말로 분쇄하고, 2 중량%의 에탄올 또는 증류수를 제2 추출 용액으로서 이용하였으며; 대두 종자와 제2 추출 용액의 비율 (w/v)은 약 1:10이었다. 대두 종자를 약 1 atm 미만의 압력과 90℃의 온도에서 회전 증발기 (EYELA N-1000S, 1000S-W)를 사용해 증발시키고, 냉수가 공급되는 콘덴싱 관을 통과시켜, 증기 분획을 수득하였다.Seeds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Were ground into powder and 2% by weight of ethanol or distilled water was used as the second extraction solution; The ratio (w / v) of the soybean seed to the second extraction solution was about 1:10. The soybean seeds were evaporated using a rotary evaporator (EYELA N-1000S, 1000S-W) at a pressure of less than about 1 atm and a temperature of 90 캜 and passed through a condensing tube to which cold water was supplied to obtain a vapor fraction.

대두 종자 추출물 (GMA1)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 (GMC1)의 분석Analysis of soybean seed extract (GMA1) and soybean seed steam fraction (GMC1)

수득한 대두 종자 추출물 (GMA1)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 (GMC1)에 대해, CarboPac PA1 Analytical (4 x 250mm) 컬럼으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동상은 물 87%와 500 mM NaOH 13%였으며; 내부 표준물질은 말토스 일수화물이었다. 등용매성 용출을 1.0 ml/min의 저속으로 0.5초 사이클로 수행하였다. 각 사이클에서, 분석은 0.00초 - 0.2초에 기준 전위 0.1 V; 0.2초 - 0.4초까지 0.1 V; 0.41초 - 0.42초에 -2.0 V; 0.43초에 0.6 V; 0.44초 - 0.5초에 -0.1 V로 수행하며, 전체 분석 기간은 55분이었다.The resulting soy seed extract (GMA1) and soybean seed vapor fraction (GMC1) were subjected to ion chromatography analysis on a CarboPac PA1 Analytical (4 x 250 mm) column. The mobile phase was 87% of water and 13% of 500 mM NaOH; The internal standard was maltose monohydrate. The isocratic elution was carried out at a low speed of 1.0 ml / min with a 0.5 second cycle. At each cycle, the analysis was performed at a reference potential of 0.1 V at 0.00 second to 0.2 second; 0.2 sec - 0.1 V to 0.4 sec; 0.41 seconds to -2.0 V in 0.42 seconds; 0.6 V at 0.43 second; 0.44 seconds - 0.5 seconds at -0.1 V, and the total analysis time was 55 minutes.

대두 종자 추출물 (GMA1)의 스펙트로그램은 도 1-3에 도시한다. 피크 시간은 표 1에 나타낸다.The spectrogram of the soybean seed extract (GMA1) is shown in Figs. 1-3. Peak time is shown in Table 1.

대두 종자 증기 분획 (GMC1)의 스펙트로그램은 도 4-6에 도시한다. 피크 시간은 표 2에 나타낸다.The spectrogram of the soybean seed steam fraction (GMC1) is shown in Figures 4-6. The peak times are shown in Table 2.

대두 종자 추출물 (GMA1)은 이소플라본을 극소량 함유하며, 대두 종자 증기 분획 (GMC1)은 이소플라본을 함유하지 않는다.Soybean seed extract (GMA1) contains very small amounts of isoflavones, and soybean seed steam fraction (GMC1) does not contain isoflavones.

대두 종자 추출물 (GMA1)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 (GMC1)에 이소플라본이 함유되었는 지를 분석하기 위해, 고 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를 이용하였다.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as used to analyze whether soybean seed extract (GMA1) and soybean seed steam fraction (GMC1) contained isoflavone.

HPLC 조건은 하기에 열거한다:The HPLC conditions are listed below:

장치: Hitachi HPLC CM5000 Series; 펌프: CM5110; 검출기: CM5430 (DAD); 자동 공급 시스템: CM5210; 컬럼 오븐: CM5310; 소프트웨어: OpenLab.Apparatus: Hitachi HPLC CM5000 Series; Pump: CM5110; Detector: CM5430 (DAD); Automatic supply system: CM5210; Column oven: CM5310; Software: OpenLab.

컬럼: RP C18, 4.6x250 mm 5㎛; 검출 파장: UV 254nm; 유속: 0.8 min/ml; 컬럼 오븐 온도: 30℃; 농도 구배: 표 3에 도시됨.Column: RP C 18 , 4.6 x 250 mm 5 탆; Detection wavelength: UV 254 nm; Flow rate: 0.8 min / ml; Column oven temperature: 30 占 폚; Concentration Gradient: Shown in Table 3.

시간 (분)Time (minutes) 용매 (%)Solvent (%) 용출 1Dissolution 1 용출 2Dissolution 2 00 9595 55 1010 8585 1515 2525 7777 2323 3535 7272 2828 4040 2020 8080 4545 2020 8080 4646 9595 55 5555 9595 55

용출 1: 1% 포름산 + 0.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 / 물Elution 1: 1% formic acid + 0.01% trifluoroacetic acid (TFA) / water

용출 2: 1% 포름산 + 0.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 아세토니트릴Elution 2: 1% formic acid + 0.01% trifluoroacetic acid / acetonitrile

이소플라본 표준 물질의 HPLC 스펙트로그램을 도 7에 나타내었으며, 18.853분과 24.693분 체류 시간에 피크가 확인되었다.The HPLC spectrogram of the isoflavone standard material is shown in FIG. 7, and peaks were observed at the retention times of 18.853 minutes and 24.693 minutes.

대두 종자 증기 분획 (GMC1)의 HPLC는 도 8에 도시하며, 피크가 없었다.The HPLC of the soybean seed steam fraction (GMC1) is shown in Fig. 8, and there was no peak.

대두 종자 추출물 (GMA1) 0.3 중량부와 대두 종자 증기 분획 (GMC1)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연고제의 HPLC 스펙트로그람을 도 9에 나타내었는데, 체류 시간 17.307분, 19.313분, 20.267분, 20.853분, 24.307분 및 25.247분에 피크가 나타났다.The HPLC spectrogram of the ointment agent containing 0.3 part by weight of the soybean seed extract (GMA1) and 1 part by weight of the soybean seed steam fraction (GMC1) is shown in FIG. 9, and the retention time was 17.307 minutes, 19.313 minutes, 20.267 minutes, 20.853 minutes, And a peak at 25.247 min.

도 7 - 9를 비교한 바, 도 8에서 대두 종자 증기 분획 (GMC1)의 HPLC 스펙트로그램에서는 피크가 없어, 대두 종자 증기 분획 (GMC1)에는 이소플라본이 함유되어 있지 않으며; 도 9에서 대두 종자 추출물 (GMA1) 0.3 중량부와 대두 종자 증기 분획 (GMC1) 1 중량부를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의 HPLC 스펙트로그람에서는 이소플라본 핑거프린트 흡수 피크에 해당되는 피크가 극소량인 것으로 보인다. 전환 후, 다이진 (daidzin)의 양은 4.8 ㎍/ml이고, 게니스틴 (genistin)의 양은 8.23 ㎍/ml이었으며, 이들 내용물은 이소플로본의 약제학적 유효량과는 거리가 멀었다. 따라서, 대두 종자 추출물 (GMA1)만 극소량의 이소플라본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의 약제 효과는 극소량의 이소플라본에 의해 발현되는 것이 아니다.Comparing FIGS. 7 to 9, in FIG. 8 there is no peak in the HPLC spectrogram of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GMC1),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GMC1) is free of isoflavone; In Fig. 9, the peak corresponding to the isoflavone fingerprint absorption peak appears to be minimal in the HPLC spectrogram of the extract composition containing 0.3 part by weight of the soybean seed extract (GMA1) and 1 part by weight of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GMC1). After the conversion, the amount of daidzin was 4.8 μg / ml and the amount of genistin was 8.23 μg / ml, which was far from the pharmacologically effective amount of isoflurane. Therefore, only soybean seed extract (GMA1) contains very small amounts of isoflavone, and its pharmaceutical effect is not expressed by a very small amount of isoflavone.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추출 조성물Extraction composition promoting wound healing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약 8주령의 체중 250 g - 300 g인 SD 수컷 랫을 대만 국립 실험 동물 센터로부터 입수하였다. 7일간 격리한 후, 체중이 350 g 이상이 되었을 때 이동시켰다. 랫은 동물의 귀 노치 (ear notch)로 식별하였다. 각 케이지 텍에는 케이지 번호, 실험 번호, 성별 및 그룹 명을 표시하였다. 랫은 AAALAC 공인된 동물 시설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케이지에 케이지 당 2마리씩 두었다.SD male rats weighing 250 g - 300 g, weighing about 8 weeks, were obtained from the Taiwan National Laboratory Animal Center. After 7 days of isolation, they were moved when their body weight was over 350 g. The rat was identified as the ear notch of the animal. Each cage tee shows the cage number, experiment number, gender, and group name. Rats were housed in polycarbonate cages at two AAALAC accredited animal facilities, two per cage.

환경 조건은 다음과 같다: 온도 21 ± 2℃; 습도: 50 ± 20%; 광 사이클: 12시간 명, 12시간 암 조건. 실험 전 기간 동안 실험용 설치류 사료 5001 (PMIR Nutrition International, Inc., MO, USA)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공급하였다. 케이지에 부착된 바틀을 통해 수돗물을 자유롭게 섭취하게 공급하였다.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as follows: temperature 21 ± 2 ° C; Humidity: 50 ± 20%; Light cycle: 12 hours, 12 hour dark conditions. During the entire study period, experimental rodent feed 5001 (PMI R Nutrition International, Inc., MO, USA) was fed ad libitum. The tap water was fed freely through a bottle attached to the cage.

실험 방법:Experimental Method:

샘플 (테스트 물품)은 표 4에 따라 준비하였다.Samples (test article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able 4.

실험 1Experiment 1 그룹group 동물/수/성별Animal / Male / Sex 테스트 물품 및 투여량Test article and dose 1One 당뇨병 랫/5/수컷Diabetic rat / 5 / male 크림 베이스Cream base 22 당뇨병 랫/5/수컷Diabetic rat / 5 / male CGS-21680 10㎍/상처CGS-21680 10 μg / wound 33 당뇨병 랫/5/수컷Diabetic rat / 5 / male GMC1GMC1 44 당뇨병 랫/5/수컷Diabetic rat / 5 / male 0.3% GMA1 0.3% GMA1 실험 2Experiment 2 그룹group 동물/수/성별Animal / Male / Sex 테스트 물품 및 투여량Test article and dose 1One 당뇨병 랫/5/수컷Diabetic rat / 5 / male 크림 베이스Cream base 22 당뇨병 랫/5/수컷Diabetic rat / 5 / male CGS-21680 6.7㎍/상처CGS-21680 6.7 / / wound 33 당뇨병 랫/5/수컷Diabetic rat / 5 / male GMC1GMC1 44 당뇨병 랫/5/수컷Diabetic rat / 5 / male GMC1+0.009% GMA1GMC1 + 0.009% GMA1 55 당뇨병 랫/5/수컷Diabetic rat / 5 / male GMC1+0.045% GMA1GMC1 + 0.045% GMA1 66 당뇨병 랫/5/수컷Diabetic rat / 5 / male GMC1+0.09% GMA1GMC1 + 0.09% GMA1

CGS-21680: 크림 베이스 248.4 g 중에 CGS-21680 1.67 mg을 첨가하여 제조한, 특이적인 아데노신 A2A 서브타입 수용체 작용제.CGS-21680: A specific adenosine A 2A subtype receptor agonist, prepared by adding 1.67 mg of CGS-21680 in 248.4 g of a cream base.

당뇨병 랫: 체중이 300 g 이상의 랫에 정맥내 주사를 통해 스트렙토조톡신 (streptozotocin) (STZ, 65mg/kg)을 1회 투여량으로 투여하였다. 2달간 고 혈당 (>300mg/dL)을 나타내는 STZ-유발성 랫을 상처 봉합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선별하였다.Diabetic rats: Streptozotocin (STZ, 65 mg / kg) was administered in a single dose via intravenous injection into rats weighing 300 g or more. STZ-induced rats exhibiting high blood glucose (> 300 mg / dL) for 2 months were selected for wound closure testing.

당뇨병 랫에 대한 외상 수술: 체중이 300 g 미만인 당뇨병 랫을 제외시키고, 랫들을 6개의 그룹으로 랜덤 추출하였다. 이후, 펜토바르티발로 랫을 마취시키고, 수술할 부위 (등 부위)를 제모하였다. 각 랫은 등쪽 중앙 영역의 피부 3곳 (2개의 견갑골 가운데에서 4, 6 및 8 cm 떨어진 곳)을 라운드 절단 블레이드를 사용해 (전층) 절개하였다.Trauma Surgery for Diabetic Rats Diabetic rats weighing less than 300 g were excluded and the rats were randomly extracted into six groups. Thereafter, pentobarbitalolate was anesthetized and the site to be operated (epidermis) was removed. Three rats (4, 6, and 8 cm apart from the two scapulae) in the dorsal central area of each rat were incised (full thickness) using a round cutting blade.

약물 치료 및 상처 봉합 측정: 동물의 체중을 측정하고, 상처 봉합을 평가하기 위해 상처 면적을 2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하루에 2번 각 상처 부위에 약물을 도포하였으며, 상처는 치즈클로스 (cheesecloth)로 덮었다. 동물이 상처 부위를 긁지 않도록 하기 위해 랫의 목에 후드를 끼웠다. 상처 봉합 측정을 위해, 4, 6, 8, 10, 12 및 14일에 상처 부위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였다. 촬영시, 기준자 (standard ruler)를 상처 옆에 위치시켰다. 상처를 Image pro (Media cybernetics)로 분석하기 전에, 사진 촬영 거리 차이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사진에서 기준자를 사용해 길이를 표준화하였다.Medication and wound suture measurements: Animals were weighed and wound area measured at 2-day intervals to assess wound healing. Twice a day, the drug was applied to each wound site and the wound was covered with cheesecloth. The hood was put on the neck of the rat to prevent the animal from scratching the wound. Photographs of wound sites were taken at 4, 6, 8, 10, 12 and 14 days for wound closure measurements. At the time of shooting, a standard ruler was placed next to the wound. Before analyzing the wounds with Image pro (Media cybernetics), standard lengths were standardized in the photographs to avoid errors due to differences in photographic distance.

데이타 분석 및 통계: 랫의 등쪽에 위치한 상처 3곳을 Image pro로 분석하였다. 오리지날 상처 면적은 0일째의 면적이었다. 오리지날 상처 면적에서 각 시간대의 상처 면적을 제한 다음 오리지날 상처 면적으로 나누어, 상처 봉합율을 구하였다. 각 랫의 상처 3곳의 봉합율 평균으로 각 랫의 상처 봉합을 나타낸다. 데이타는 평균 ± 표준 오차 (SEM)로 표시하였다. 검사 결과에 대한 p-값은, 통계 소프트웨어 (SYSTAT, Systat software Inc)로 t-검정을 수행함으로써 계산하였다. P<0.05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로 표시하였다. P<0.01은 상당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로 표시하였다. P<0.001은 매우 상당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로 표시하였다.Data analysis and statistics: Three scars located on the back of the rat were analyzed with Image pro. The original wound area was the area of day 0. The wound area of each time zone was limited in the original wound area, and then divided into the original wound area, and the wound suture ratio was obtained. The wound sutures of each rat are shown by the average suture rate of the three wounds of each rat. Data we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error (SEM). The p-values for the test results were calculated by performing a t-test with statistical software (SYSTAT, Systat software Inc). P <0.05 mean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is marked with *. P <0.01 mean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dicated as **. P <0.001 means that there is a very significant significant difference, denoted by ***.

결과:result:

약물 치료 후, 상처 면적을 여러 시간대에 측정하고, 상처 봉합율을 통계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여 표 5와 도 10에 나타내었다. 4일째, 각 그룹, 크림 베이스, CGS-21680, GMC1 및 0.3% GMA1의 상처 봉합율은 각각 -83.33 ± 6.60 (%), 21.87 ± 5.61 (%), -11.44 ± 4.34 (%) 및 -7.09 ± 3.65 (%)이었다. 치료군 모두 크림 베이스 그룹과는 실험 전기간 동안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8일에서 10일까지, 상처 봉합율은 대부분 GMC1 그룹과 3% GMA1 그룹에서 각각 -4.10 ± 3.04 (%)에서 40.15 ±6.47 (%)로, 그리고 21.21 ± 5.52 (%)에서 62.19 ± 3.85 (%)로 증가하였다. 14일째, GMC1 및 0.3% GMA1 그룹의 상처 봉합율은 크림 베이스가 58.92 ± 13.14 (%)인데 비교해, 각각 86.20 ± 1.88 (%) 및 91.21 ± 2.23(%)로 현저하게 높아졌다.After the drug treatment, the wound area was measured at various time intervals, and the wound closure rate was analyzed by statistical software and shown in Table 5 and FIG. On day 4, the wound closure rates of each group, cream base, CGS-21680, GMC1 and 0.3% GMA1 were -83.33 ± 6.60 (%), 21.87 ± 5.61 (%), -11.44 ± 4.34 3.65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ream base group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From 8th to 10th day, wound closure rat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4.10 ± 3.04 (%) to 40.15 ± 6.47 (%) in GMC1 group and 3% GMA1 group and from 62.19 ± 3.85% ). At 14 days, the wound closure rates of the GMC1 and 0.3% GMA1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o 86.20 ± 1.88 (%) and 91.21 ± 2.23 (%), respectively, compared to 58.92 ± 13.14% of the cream base.

표 5: GMC1 및 0.3% GMA1으로 처치된 당뇨병 랫의 상처 봉합율 비교Table 5: Comparison of wound closure rates of diabetic rats treated with GMC1 and 0.3% GMA1

DayDay 크림 베이스Cream base CGS-21680CGS-21680 GMC1GMC1 0.3% GMA10.3% GMA1 평균 ± SEMMean ± SEM 평균 ± SEMMean ± SEM 평균 ± SEMMean ± SEM 평균 ± SEMMean ± SEM 44 -83.33±6.60-83.33 + - 6.60 21.87±5.61 *** 21.87 ± 5.61 *** -11.44±4.34 *** -11.44 + 4.34 *** -7.09±3.65 *** -7.09 ± 3.65 *** 66 -65.84±11.19-65.84 ± 11.19 25.45±4.46 *** 25.45 + - 4.46 *** 6.74±4.86 *** 6.74 ± 4.86 *** 4.15±3.19 *** 4.15 ± 3.19 *** 88 -63.32±23.22-63.32 + - 23.22 45.88±4.28 *** 45.88 ± 4.28 *** 4.10±3.04 * 4.10 ± 3.04 * 21.21±5.52 ** 21.21 + - 5.52 ** 1010 -10.08±16.87-10.08 + - 16.87 93.80±2.79 *** 93.80 ± 2.79 *** 40.15±6.47 * 40.15 + - 6.47 * 62.19±3.85 ** 62.19 + - 3.85 ** 1212 30.85±20.0830.85 ± 20.08 91.15±2.72 ** 91.15 ± 2.72 ** 74.36±2.04 * 74.36 ± 2.04 * 82.71±2.82 * 82.71 + - 2.82 * 1414 58.92±13.1458.92 + - 13.14 98.74±0.60 ** 98.74 ± 0.60 ** 86.20±1.88 * 86.20 ± 1.88 * 91.21±2.23 * 91.21 + - 2.23 *

주석: 각 수치는 평균 ± SEM으로 나타낸다. 2개의 그룹 간의 비교 값은 스튜던트의 t 검정에 의해 **p<0.01 및 ***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한다.Note: Each figure is expressed as mean ± SEM.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was significant at ** p <0.01 and *** p <0.001 by Student's t test.

이들 결과는, 0.3% GMA1과 GMC1 둘다 크림 베이스 단독에 비해 상처 봉합에 효과적이며, 0.3% GMA1 처치 그룹이 GMC1 보다 약간 더 우수한 상처 봉합 성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These results show that both 0.3% GMA1 and GMC1 are effective in wound closure compared to cream base alone and 0.3% GMA1 treatment group exhibits slightly better wound closure performance than GMC1.

당뇨병성 상처 봉합을 촉진하는데 있어, GMA1과 GMC1의 최상의 조합을 조사하였다. GMA1을 여러가지 투여량 수준으로 즉 0.009%, 0.045% 및 0.09%로 사용해 GMC1과 조합하였다. 비교를 위해, 크림 베이스와 CGS-21680 그룹들도 참여시켰다.The best combination of GMA1 and GMC1 was investigated in promoting diabetic wound closure. GMA1 was combined with GMC1 at different dosage levels, i.e. 0.009%, 0.045% and 0.09%. For comparison, Cream Base and CGS-21680 groups were also involved.

약물 치료 후, 상처 면적을 여러 시간대에 측정하고, 상처 봉합율을 통계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여 표 6과 도 11에 나타내었다. 표 6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림 베이스 그룹과 비교해 보면, 조합 약물 그룹에서 GMA1의 투여량 수준 증가에 따라, 즉, 0.009%, 0.045% 및 0.09%에 따라 통계학적 유의성 증가가 관찰된다. 이 결과는, 상처 치유에 있어, GMA1의 여러가지 투여량 수준 0.009%, 0.045% 및 0.09%와 GMC1의 조합 효과가 GMC1 단독 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가장 효과적인 조합 치료는 GMA1의 최고 투여량 (0.09%)에서 확인된다.After the drug treatment, the wound area was measured at various time points, and the wound closure rate was analyzed by statistical software and shown in Table 6 and FIG. As shown in Table 6 and FIG. 11,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with increasing dose levels of GMA1, i.e. 0.009%, 0.045% and 0.09%, in the combination drug group compared to the cream base group . This result shows that the combination effect of GMC1 with 0.009%, 0.045% and 0.09% of various dose levels of GMA1 in wound healing is more effective than GMC1 alone. The most effective combination treatment is identified at the highest dose (0.09%) of GMA1.

표 6: GMA1 0.009% ~ 0.09%와 GMC1의 조합 처치한 당뇨병 랫에서의 상처 봉합율 비교Table 6: Comparisons of wound closure rates in diabetic rats treated with 0.009% to 0.09% GMA1 and GMC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주석: 각 수치는 평균 ± SEM으로 나타낸다. 2개의 그룹 간의 비교 값은 스튜던트의 t 검정에 의해 **p<0.01 및 ***p<0.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Note: Each figure is expressed as mean ± SEM.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 p <0.01 and *** p <0.001 by Student's t test.

피부 세포의 이동을 촉진하는 추출 조성물An extract composition for promoting migration of skin cells

HaCaT 세포 (인간 피부 각질 형성 세포)를, 피부 세포 이동 촉진에 대한 추출 조성물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였다.HaCaT cells (human dermal keratinocyte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xtract composition on promoting skin cell migration.

세포 이동 분석용 샘플은 다음과 같다:Samples for cell migration analysis were as follows:

A1-0.3: GMA1 0.3 ㎍/mL 함유A1-0.3: GMA1 containing 0.3 占 퐂 / mL

A1-0.3-CSTC-2500X: 2500배 희석된 GMC1과 GMA1 0.3 ㎍/mL 함유A1-0.3-CSTC-2500X: containing 2500-fold diluted GMC1 and GMA1 at 0.3 占 퐂 / mL

세포주: HaCaTCell line: HaCaT

배지: 10% 소 태아 혈청이 첨가된 DMEMMedium: DMEM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양성 대조군: CGS-21680Positive control: CGS-21680

세포 배양: HaCaT 세포는 10% 소 태아 혈청이 첨가된 DMEM에서 37℃ 및 5% CO2 조건 하에 배양하였고, 주당 2회 서브배양하였다.Cell culture: HaCaT cells were cultured in DMEM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at 37 ° C and 5% CO 2 , and sub-cultured twice a week.

상처 치유 분석: Oris 세포 이동 분석 키트를 사용하였다. 세포를 스토퍼가 장착된 96웰 플레이트 (4x104 cells/well)에 접종하여,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밤새 배양한 후, 스토퍼를 떼어내 상처를 만들고, 새 배지나 테스트 물품 또는 CGS-21680 (양성 대조군)이 함유된 배지를 첨가하였다. 0, 16 및 24시간 동안 처치한 후, 세포를 100배 배율에서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상처 치유 모니터링을 위해 사진 촬영하였다.Wound healing analysis: Oris cell migration assay kit was used. The cells were inoculated into 96-well plates ( 4 x 10 4 cells / well) equipped with a stopper, and cultured in a carbon dioxide incubator. After overnight incubation, the stopper was removed to create a wound, and a fresh medium, test article, or medium containing CGS-21680 (positive control) was added. After treatment for 0, 16, and 24 hours, the cells were observed under a light microscope at 100x magnification and photographed for wound healing monitoring.

분석: image j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상처 치유 면적을 정량하였다. 0시간대의 면적을 상처 오리지날 크기로 하였다. 일정 기간 경과 후, 상처 면적이 점차적으로 줄어들었으며, 상처 치유 정도를 0시간대의 오리지날 면적 대비 상처 면적을 계산함으로써 (치유율 = T0과 T16 또는 T24 시간대의 면적 차이 / T0 면적) 정량하여, HaCaT 세포 이동 활성에 대한 약물의 효과를 평가하였다.Analysis: We used image j software to quantify wound healing area. The area of the 0 time zone was set as the wound original siz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wound area gradually decreased, and the degree of wound healing wa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wound area (recovery ratio = area difference between T0 and T16 or T24 time / T0 area) relative to the original area at time 0, The effect of the drug on the activity was evaluated.

통계: 각 그룹을 4회 이상 반복하였다. 데이타는 평균 ± 표준 편차 (SEM)로 나타내었다. 검사 결과의 유의성은 t-검사로 계산하였다.Statistics: Each group was repeated more than 4 times.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SEM). The significance of test results was calculated by t-test.

결과:result:

상처 치유 촉진에 있어 GMC1과 GMA1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HaCaT 세포 이동 분석을 이용하였다. 2500배 희석한 GMC1과 0.3 ㎍/mL의 GMA1 (A1-0.3-CSTC-2500X)의 조합 효과가, A1-0.3 단독에 비해 HaCaT 세포 이동 촉진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도 12).HaCaT cell migration assay was used to compare the effects of GMC1 and GMA1 in promoting wound healing. The combination effect of 2500-fold diluted GMC1 and 0.3 / / mL of GMA1 (A1-0.3-CSTC-2500X) was superior to A1-0.3 alone in promoting HaCaT cell migration (Fig. 12).

신경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추출 조성물Extract composition for promoting proliferation of nerve cells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세포주: 인간 신경모세포종 세포 IMR-32 (대만 Industry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에서 구입함)Cell line: human neuroblastoma cell IMR-32 (purchased from Taiwan Industry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시약: HyClone™ DMEM/High 글루코스 배지 (Thermo Scientific), 소 태아 혈청 (FBS, Gibco®), HyClone® 포스페이트 완충화된 염수 (PBS, Thermo Scientific), 항생 항진균성 용액 (Pen/Strep/Fungizone 100x; Thermo Scientific), 트립판 블루, 3-(4,5-다이메틸티아졸-2-일)-2,5-다이페닐 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MTT), 및 다이메틸 설폭사이드 (DMSO, Sigma).Reagents: HyClone ™ DMEM / High Glucose medium (Thermo Scientific),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HyClone®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Thermo Scientific), antibiotic antifungal solution (Pen / Strep / Fungizone 100x; (Thermo Scientific), trippine blue, 3- (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nd dimethylsulfoxide (DMSO, Sigma).

장비: Laminar Flow (VERTICAL HF-4BH).Equipment: Laminar Flow (VERTICAL HF-4BH).

세포 배양: IMR-32 세포를, 10% 소 태아 혈청이 첨가된 DMEM/고 글루코스 배지 (HyClone™)에서 37℃, 습윤 공기 및 5% CO2 조건 하에 배양하였다.Cell culture: IMR-32 cells were cultured in DMEM / high glucose medium (HyClone ™)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at 37 ° C, humidified air and 5% CO 2 .

IMR-32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5 x 104 밀도로 접종하고 10% FBS가 첨가된 배양 배지 100 ㎕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도징 (dosing) 후, 배양 배지를 5% FBS가 첨가된 배지 100 ㎕로 교체한 다음, 각 그룹에 대해 25 mg/mL GMC1, 25 mg/mL GMA1, GMC1+0.3% GMA1 (GM) 또는 PBS (대조군) 및 10% FBS (양성 대조군)가 첨가된 배지 100 ㎕로 조제하였다. 각 그룹을 96웰 플레이트에서 7회 이상 반복하였으며, MTT 분석을 위해 72시간 인큐베이션하였다.IMR-32 cells were inoculated into 96-well plates at 5 x 10 4 density and cultured in 100 [mu] l of culture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BS for 24 hours. After dosing, the culture medium was replaced with 100 μl of medium supplemented with 5% FBS, and then 25 mg / ml GMC1, 25 mg / ml GMA1, GMC1 + 0.3% GMA1 (GM) Control) and 10% FBS (positive control). Each group was repeated seven or more times in 96 well plates and incubated for 72 hours for MTT analysis.

MTT 분석: 인큐베이터에서 배양 디쉬를 꺼내 층류 후드로 이동시켰다. 각 웰에서 배지를 0.5 mg/ml MTT 시약이 첨가된 무혈청 배지 100 ㎕로 대체하여, 30-60분간 배양하였다. 각 웰에 동일 부피의 DMSO를 첨가하여 5분간 흔들었다. ELISA 판독기에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MTT analysis: The culture dish was taken out from the incubator and moved to the laminar flow hood. In each well, the medium was replaced with 100 μl of serum-free medium supplemented with 0.5 mg / ml MTT reagent, and cultured for 30-60 minutes. The same volume of DMSO was added to each well and shaken for 5 minutes. Absorbance was measured at 570 nm in an ELISA reader.

데이타 분석 및 통계: 결과는 GraphPad Prism 6로 분석하고, T-검정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데이타는 세포 생존율 ± SEM으로 나타내었다.Data Analysis and Statistic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GraphPad Prism 6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T-test. Data are expressed as the cell survival rate ± SEM.

결과:result:

세포 생존율을 표 7-9 및 도 13-15에 나타낸다. 세포 생존율은, 25 mg/mL GMA1 (표 7 및 도 13), 25 mg/mL GMC1 (표 8 및 도 14) 또는 GMC1+0.3% GMA1(GM, 표 9 및 도 15) 처리 후, PBS 대조군과 비교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Cell viability is shown in Tables 7-9 and 13-15. Cell viability was measured after treatment with 25 mg / mL GMA1 (Table 7 and Figure 13), 25 mg / mL GMC1 (Table 8 and Figure 14) or GMC1 + 0.3% GMA1 (GM, Table 9 and Figure 15) In comparison, it increased remarkably.

GMA1 그룹GMA1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25 mg/mL25 mg / mL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 group 평균 ± SEMMean ± SEM 평균 ± SEMMean ± SEM 평균 ± SEMMean ± SEM 1One 99.2 ± 17.299.2 ± 17.2 106.7 ± 8.3106.7 8.3 137.9 ± 9.8137.9 ± 9.8 22 110.1 ± 6.9110.1 ± 6.9 119.7 ± 6.7119.7 ± 6.7 128.7 ± 13.8128.7 13.8 33 86.3 ± 5.686.3 ± 5.6 123.2 ± 6.3 **123.2 ± 6.3 ** 94.5 ± 2.894.5 ± 2.8 44 98.3 ± 1.898.3 ± 1.8 130.2 ± 7.8 **130.2 ± 7.8 ** 119.0 ± 7.7 *119.0 + - 7.7 * 55 88.6 ± 2.688.6 ± 2.6 114.2 ± 5.8 **114.2 ± 5.8 ** 90.7 ± 1.690.7 ± 1.6 66 94.8 ± 1.994.8 ± 1.9 111.4 ± 6.1 *111.4 ± 6.1 * 105.7 ± 3.1 *105.7 ± 3.1 * 77 92.1 ± 5.792.1 ± 5.7 105.7 ± 10.2105.7 ± 10.2 128.2 ± 2.9 ***128.2 ± 2.9 *** 평균Average 95.6 ± 3.095.6 ± 3.0 115.9 ± 3.4 ***115.9 ± 3.4 *** 115.0 ± 6.9 *115.0 + - 6.9 *

GMC1 그룹GMC1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25 mg/mL25 mg / mL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 group 평균 ± SEMMean ± SEM 평균 ± SEMMean ± SEM 평균 ± SEMMean ± SEM 1One 99.2 ± 17.299.2 ± 17.2 94.1 ± 3.394.1 ± 3.3 137.9 ± 9.8137.9 ± 9.8 22 110.1 ± 6.9110.1 ± 6.9 144.1 ± 8.2 *144.1 ± 8.2 * 128.7 ± 13.8128.7 13.8 33 86.3 ± 5.686.3 ± 5.6 120.0 ± 11.0 *120.0 + - 11.0 * 94.5 ± 2.894.5 ± 2.8 44 98.3 ± 1.898.3 ± 1.8 149.2 ± 6.4 ***149.2 ± 6.4 *** 119.0 ± 7.7 *119.0 + - 7.7 * 55 88.6 ± 2.688.6 ± 2.6 106.4 ± 7.2106.4 ± 7.2 90.7 ± 1.690.7 ± 1.6 66 94.8 ± 1.994.8 ± 1.9 101.5 ± 3.1101.5 ± 3.1 105.7 ± 3.1 *105.7 ± 3.1 * 77 92.1 ± 5.792.1 ± 5.7 107.8 ± 6.3107.8 ± 6.3 128.2 ± 2.9 ***128.2 ± 2.9 *** 평균Average 95.6 ± 3.095.6 ± 3.0 117.6 ± 8.1 *117.6 ± 8.1 * 115.0 ± 6.9 *115.0 + - 6.9 *

GM 그룹GM Group 대조군Control group 25 mg/mL25 mg / mL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 group 평균 ± SEMMean ± SEM 평균 ± SEMMean ± SEM 평균 ± SEMMean ± SEM 1One 99.2 ± 17.299.2 ± 17.2 117.2 ± 11.6117.2 ± 11.6 137.9 ± 9.8137.9 ± 9.8 22 110.1 ± 6.9110.1 ± 6.9 115.1 ± 12.5115.1 ± 12.5 128.7 ± 13.8128.7 13.8 33 86.3 ± 5.686.3 ± 5.6 103.0 ± 6.0103.0 ± 6.0 94.5 ± 2.894.5 ± 2.8 44 98.3 ± 1.898.3 ± 1.8 118.2 ± 10.1118.2 ± 10.1 119.0 ± 7.7 *119.0 + - 7.7 * 55 88.6 ± 2.688.6 ± 2.6 106.1 ± 5.5 *106.1 ± 5.5 * 90.7 ± 1.690.7 ± 1.6 66 94.8 ± 1.994.8 ± 1.9 99.9 ± 2.099.9 ± 2.0 105.7 ± 3.1 *105.7 ± 3.1 * 77 92.1 ± 5.792.1 ± 5.7 105.7 ± 1.6 *105.7 ± 1.6 * 128.2 ± 2.9 ***128.2 ± 2.9 *** 평균Average 95.6 ± 3.095.6 ± 3.0 109.3 ± 2.8 **109.3 ± 2.8 ** 115.0 ± 6.9 *115.0 + - 6.9 *

표 7 - 9의 주석: 각 수치는 평균 ± SEM으로 나타낸다. 2개의 그룹의 서로 다른 투여량 간의 비교는 T-검정을 이용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p<0.05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로 표시된다. p<0.01은 상당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로 표시된다. p<0.001은 매우 상당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로 표시된다.Comments in Table 7 - 9: Each figure is expressed as mean ± SEM. Comparisons between different doses of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a T-test. p <0.05 mean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is marked with *. p <0.01 mean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dicated by **. p <0.001 means that there is a very significant difference, indicated by ***.

뇌 질환 및/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추출 조성물Extract compositions for treating brain and / 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I) 치매 유발:(I) Induced dementia: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약 6주령의 체중 250 g - 300 g인 수컷 랫을 대만 BioLASCO 사로부터 입수하였다. 7일간 격리한 후, 체중이 300 g 이상이 되었을 때 이동시켰다. 랫은 꼬리 타투로 식별하였다. 각 케이지 텍에는 케이지 번호, 실험 번호, 성별 및 그룹 명을 표시하였다. 랫은 동물 시설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케이지에 케이지 당 2마리씩 두었다.Male rats weighing 250 g - 300 g at about 6 weeks of age were obtained from BioLASCO, Taiwan. After 7 days of isolation, they were moved when their body weight was over 300 g. Rats were identified as tail tattoos. Each cage tee shows the cage number, experiment number, gender, and group name. Rats were placed in polycarbonate cages in animal facilities with two cages per cage.

환경 조건은 다음과 같다: 온도 25 ± 1℃; 습도: 60 ± 5%; 광 사이클: 12시간 명, 12시간 암 조건. 실험 전 기간 동안 Altromin 1324 FORTI (Germany)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공급하였다. 케이지에 부착된 바틀을 통해 수돗물을 자유롭게 섭취하게 공급하였다.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as follows: temperature 25 ± 1 ° C; Humidity: 60 ± 5%; Light cycle: 12 hours, 12 hour dark conditions. Altromin 1324 FORTI (Germany) was fed ad libitum throughout the experiment. The tap water was fed freely through a bottle attached to the cage.

그룹들을 표 10에 나타내었다.The groups are shown in Table 10.

그룹group 치매 유도Dementia induction 테스트 물품Test article 정상normal 안함Do not 없음none AlCl3 AlCl 3 AlCl3 AlCl 3 AlCl3 대조군AlCl 3 control AlCl3 + 크림 베이스AlCl 3 + cream base AlCl3 AlCl 3 크림 베이스Cream base AlCl3+N2AlCl 3 + N 2 AlCl3 AlCl 3 0.5% GMA1+GMC10.5% GMA1 + GMC1

치매 유도:Dementia induction:

8주령의 랫에 15 mg/mL AlCl3 용액을 11주간 100 mg/kg의 투여량으로 매일 경구 투여하여, 치매 모방 증상을 유도하였다. 랫을 표 10에 나타낸 그룹들로 분할하고, 테스트 물품을 두경부 영역에 30초간 마사지하면서 국소 도포하고, 5주에서 11주까지 코 점막에 국소 도포하였다. 11주에 훈련을 시작하고, 11주에 방사성 미로로 기억력을 평가하였다. 치료 기간 동안 랫에 AlCl3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8-week-old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15 mg / mL AlCl 3 solution daily at a dose of 100 mg / kg for 11 weeks to induce dementia mimicry symptoms. The rats were divided into the groups shown in Table 10 and topically applied topically to the nasal mucosa for 5 to 11 weeks by massaging the test article in the head and neck area for 30 seconds. Training was started at 11 weeks, and the memory was evaluated with a radioactive maze at 11 weeks. AlCl 3 wa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rats during the treatment period.

방사성 미로: 방사성 미로는 랫에서 공간 학습과 기억을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들 중 한가지이다. 방사성 미로는 70년대에 Olton에 의해 설계되었다. 배고픈 랫이 각 통로의 끝 지점에서 사료를 체크하는 원동력에 기반하며, 일정 기간 동안 미로에서 사료 위치를 기억하도록 훈련시킨다. 이는 동시에 랫의 실행 기억 (단기 기억이라 함) 및 참조 기억 (장기 기억이라 함)을 측정할 수 있다. 방사성 미로를 도 16에 나타낸다. 크기: (A) 122 cm; (B) 47 cm; (C) 30 cm; (D) 10 cm; (E) 20 cm.Radioactive Labyrinth: A radioactive labyrinth is one of the most common methods of measuring spatial learning and memory in the rat. The radioactive labyrinth was designed by Olton in the seventies. The hungry rats are trained to remember the feed position in the maze for a period of time, based on the driving force to check the feed at the end of each passage. This can simultaneously measure the run memory (referred to as short-term memory) and the reference memory (referred to as long-term memory). The radioactive maze is shown in Fig. Size: (A) 122 cm; (B) 47 cm; (C) 30 cm; (D) 10 cm; (E) 20 cm.

랫을 1주간 환경에 적응시켰다. 각 랫의 체중을 측정하고, 24시간 금식시켰다. 실험하기 전까지, 랫의 체중을 오리지날 체중의 80~85%로 유지시켰으며; 정상 식이의 60%를 매일 훈련 후 (1일 2회) 제공하였다. 1일과 2일에 미끼를 각 통로 팔과 중앙 플랫폼에 뿌려두었다. 랫 4마리를 동시에 중앙 플랫폼에 놓고, 10분간 미끼를 탐색하게 하였다. 3일과 4일에는, 미끼를 각 통로 팔의 끝 지점에 두었다. 각 랫을 중앙 플랫폼에 분리하여 놓고, 사료를 찾을 때까지 미로를 탐색하게 하였다. 랫이 10분내에 사료를 찾지 못하면, 훈련을 정지하였다. 5~14일에, 미끼를 4개의 고정 팔 끝 지점에 두었다. 각 랫을 중앙 플랫폼에 놓고, 4개의 팔에 있는 미끼를 모두 찾을 때까지 미로를 탐색하게 하였다. 랫이 10분내에 사료를 다 찾지 못하면, 훈련을 정지하였다. 미로의 팔에 들어간 경로 기록하였고, 자동 분석하였다. 각각의 랫은 하루에 2회 훈련하였으며, 훈련은 1시간 간격을 두고 수행하였다.The rats were adapted to the environment for one week. The weight of each rat was measured and fasted for 24 hours. Prior to the experiment, the rats were kept at 80-85% of their original weight; 60% of normal diets were given daily (twice a day) after training. On days 1 and 2, bait was sprinkled on each aisle arm and central platform. Four rats were placed on the central platform at the same time, and the bait was searched for 10 minutes. On days 3 and 4, bait was placed at the end of each passage arm. Each rat was separated from the central platform and allowed to navigate the maze until the feed was found. If the rat could not find the feed within 10 minutes, the training was stopped. On days 5-14, baits were placed at the end points of four fixed arms. Each rat was placed on a central platform and the maze was searched until all the baits in the four arms were found. When the rats could not find the feed within 10 minutes, the training was stopped. Paths recorded in the arms of the labyrinth were recorded and analyzed automatically. Each rat was trained twice a day, and training was conducted at 1 hour intervals.

아래 3가지 지표를 분석하였다:The following three indicators were analyzed:

a. 실행 기억 (단기 기억) 오류 (WME): 미끼가 있는 팔에 재진입한 횟수.a. Execution memory (short-term memory) error (WME): Number of re-entry into the bait arm.

b. 참조 기억 (장기 기억) 오류 (RME): 미끼가 없는 팔에 재진입한 횟수.b. Reference memory (long-term memory) error (RME): Number of re-entry into the baitless arm.

c. 총 기억 오류 (TME): WME+RMEc. Total Memory Error (TME): WME + RME

이들 3가지 지표는 랫의 학습 및 기억 능력을 나타내며, 뇌 손상 수준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할 것이다.These three indicators represent the learning and memory capacities of the rat, and will increase markedly with brain damage levels.

데이타 분석 및 통계: 스튜던트 t-검정 및 반복 ANOVA를 통계 분석에 사용하였다. 데이타는 각 그룹의 평균 결과 ± SEM으로 나타내었다. AlCl3 그룹의 데이타를 정상 그룹과 비교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계산하였다. 또한, AlCl3 그룹의 데이타를 AlCl3+N2 그룹과 비교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계산하였다. p<0.05이면, *로 표시된다. p<0.01이면, **로 표시된다.Data analysis and statistics: Student t-test and repeated ANOV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Data are presented as mean ± SEM for each group. The data of AlCl 3 group were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alculated. In addition, the data in the group compared to the AlCl 3 AlCl 3 + N2 group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alculated. If p < 0.05, it is indicated by *. If p < 0.01, ** is indicated.

결과:result:

중금속-유발성 치매가 알츠하이머 질환과 유사하다는 것은 보고되어 있다. 이 둘다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의 형성을 유도하며, 노인반과 신경섬유 매듭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의 알츠하이머-유사 질환에 대한 효과를 이해하기 위해, 동물 모델로서 중금속-유발성 치매를 채택하였다. 결과들을 도 17 - 19에 나타낸다. 도 17에서, 4일째 랫의 추적 경로에 따르면, AlCl3 + N2 그룹의 랫은 훈련 후 기억으로 미끼 위치에 도달할 수 있으며, AlCl3 그룹과 AlCl3+크림 베이스 그룹의 랫은 그렇지 않았다. 도 18에 따르면, AlCl3 그룹과 AlCl3+크림 베이스 그룹의 TME 값들은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p>0.05),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을 처리한 후 4일째 TME 값은 AlCl3 그룹 (AlCl3+N2 p=0.0128) 보다 현저하게 낮았다.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은 치매 랫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도 19에 따르면, AlCl3 그룹과 AlCl3+크림 베이스 그룹의 RME 값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p>0.05),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을 처리한 후 4일째 RME 값이 AlCl3 그룹 보다 현저하게 낮았다 (p=0.0046). 이는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이 랫의 장기 기억 복원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들에 따르면, 방사성 미로 테스트에서 AlCl3 그룹의 오류가 대조군 보다 현저하게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랫에서 AlCl3에 의한 치매가 성공적으로 유도되었음을 의미한다. 참조 기억과 관련된 기억 장애 역시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의 처리 후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이는, 대두 종자 추출물과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이 치매 치료 효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t has been reported that heavy metal-induced dementia is similar to Alzheimer's disease. Both of these induce the formation of amyloid precursor proteins, which produce the nervous and nerve fiber knot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an extract composition containing a soybean seed extract and a soybean seed vapor fraction on Alzheimer-like disease, heavy metal-induced dementia was adopted as an animal model. Results are shown in Figures 17-19. In FIG. 17, according to the tracking path on the 4th day of rats, the rats of the AlCl 3 + N 2 group could reach the bait position as memory after training and not the rats of the AlCl 3 group and the AlCl 3 + cream base group. According to FIG. 18, the TME values of the AlCl 3 group and the AlCl 3 + cream base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0.05). After treating the extract composition containing the soybean seed extract and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Valu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AlCl 3 group (AlCl 3 + N 2 p = 0.0128). Extracted compositions comprising a soybean seed extract and a soybean seed vapor fraction appear to be effective in treating demented rats. According to FIG. 1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between the RME values of the AlCl 3 group and the AlCl 3 + cream base group, and the extract composition containing the soybean seed extract and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was treated. Valu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lCl 3 group (p = 0.0046). This means that the extract composition containing the soybean seed extract and the soybean seed steam fraction is effective for the long-term memory recovery of rats. According to the results, errors in the AlCl 3 group in the radio-maze tes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indicating that AlCl 3 -induced dementia was successfully induced in the rat. Memory impairment associated with reference memory has also been significantly improved following treatment of the extract composition comprising the soybean seed extract and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This means that the extract composition comprising the soybean seed extract and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is effective for treating dementia.

(I) 혈관성 치매(I) Vascular dementia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그룹들을 표 11에 나타내었다.The groups are shown in Table 11.

그룹group 치매 유도Dementia induction 테스트 물품Test article 모의imitation 안함Do not 모의imitation 2VO2VO 양쪽 경동맥 결찰Ligation of both carotid arteries 양쪽 경동맥 결찰 대조군Both carotid artery ligation controls M M 양쪽 경동맥 결찰Ligation of both carotid arteries 크림 베이스 Cream base M1M1 양쪽 경동맥 결찰Ligation of both carotid arteries GMC1 GMC1 M3 M3 양쪽 경동맥 결찰Ligation of both carotid arteries GMC1+0.5% GMA1GMC1 + 0.5% GMA1

랫과 동물 시설은 (I)의 치매 유발 실험과 동일하다.Rat and animal facilities are identical to the dementia induction test of (I).

랫을 1:1.5의 케타민-롬푼 혼합물 (0.1 mL/100g, i.p.)을 사용해 마취시키고, 수술대 위에 고정하였다. 등쪽 목 영역에 정중선 목 절개하여 경동맥 양쪽을 노출시키고, 실크 봉합사로 이중 봉합하였다. 상처를 봉합하고, 랫을 회복될 때까지 따뜻한 조명 (warm light) 아래에 두었다.The rats were anesthetized using a 1: 1.5 ketamine-lrompun mixture (0.1 mL / 100 g, i.p.) and fixed on the operating table. Both sides of the carotid artery were exposed by midline incision in the dorsal neck area and double sutured with a silk suture. The wound was sutured and the rats were placed under a warm light until they were restored.

크림 베이스 (M), GMC1 (M1) 및 GMC1+0.5%GMA1 (M3)을 30초간 마사지하면서 두경부 영역에, 그리고 코 점막에 국소 도포 (2g/랫)하였다. 4주간 처치를 지속하였고, 마지막 2주간 방사성 미로에서 랫의 기억을 측정하였다. 방사성 미로 검사는 (I) 치매 유발에 기술된 바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The cream base (M), GMC1 (M1) and GMC1 + 0.5% GMA1 (M3) were massaged for 30 seconds while topically applied to the nose area and the nasal mucosa (2g / rat). 4 weeks of treatment was continued and the memory of the rat was measured in the last two weeks of the radioactive maze. The radioactive maze test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I) induction of dementia.

데이타 분석 및 통계: unpaired Student t-검정과 2원식 ANOVA를 통계학적 분석에 사용하였다. 데이타는 각 그룹의 평균 결과 ± SEM이다. 모의 그룹의 데이타는 2VO 그룹과 비교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계산하였다. 약물 처리 그룹들은 2VO 그룹들과 비교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계산하였다. p<0.05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로 표시된다. p<0.01은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로 표시된다.Data analysis and statistics: Unpaired Student t-test and 2-way ANOV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Data are the mean ± SEM of each group. The data of the simulation group were compared with the 2VO group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alculated. The drug treatment groups were compared statistically with 2VO groups. p <0.05 mean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is marked with *. p <0.01 means that there is a very significant difference, indicated by **.

결과:result:

2VO 그룹의 오류 횟수가 모의 그룹 보다 현저하게 높은데 (도 20 - 23), 이는 양쪽 경동맥 결찰에 의해 혈관성 치매가 랫에서 성공적으로 유도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혈관성 치매로 인한 기억 장애는 M1 및 M3를 2주간 처리한 후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VD 랫 뇌에 대한 전산화 단층 촬영 결과에 따르면, 양쪽 경동맥 (2VO)의 양측 폐쇄로 인해 뇌 조직이 붓고, 연화되고, 조직 분해되거나, 또는 심지어 응혈이 발생하였으며, 즉 치매가 유도되었다. 뇌 손상은 M1과 M3 처리 후 현저하게 감소된다.The number of errors in the 2VO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simulated group (Figures 20-23), indicating that vascular dementia was successfully induced in the rat by both carotid artery ligation, After weekly treatment, it was remarkably improved.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of the VD rats showed that bilateral occlusion of both carotid arteries (2VO) resulted in swelling, softening, tissue degradation, or even clotting of the brain tissue, leading to dementia. Brain damage is markedly reduced after M1 and M3 treatment.

유방암을 치료하고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물의 부작용을 낮추거나, 및/또는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물의 약제 효능을 강화하는, 추출 조성물Extract compositions that treat breast cancer and lower the side effects of drugs that interfere with DNA and / or RNA replication, and / or enhance the drug efficacy of drugs that interfere with DNA and / or RNA replication

재료:material:

세포주 및 시료: MDA-MB-231 (대만, Food Industry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에서 구입);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네오마이신 혼합물 (100x), 소 태아 혈청 (FBS) 및 둘베코의 변형된 이글스 배지 (DMEM)는 Gibco®사에서 구입함;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CTX, Endoxan®).Cell lines and samples: MDA-MB-231 (purchased from Food Industry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Taiwan); Penicillin-streptomycin-neomycin mixture (100x), fetal bovine serum (FBS) and modified Dulbecco's medium (DMEM) of Dulbecco were purchased from Gibco®; Cyclophosphamide (cyclophosphamide) (CTX, Endoxan®).

동물 시설: 대략 6 - 8주령의 BALB/cAnN.Cg-Foxn1nu/CrlNarl 암컷 마우스를 대만 국립 실험 동물 센터로부터 입수하였다. 환경 조건은 다음과 같다: 온도 25 ± 1℃; 습도: 60 ± 5%; 독립적인 공기 컨디션; 조절되는 광 사이클. 실험 전 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공급하였다. 마우스는 실험 동물 위원회의 표준 절차에 따라 사육하였다.Animal facility: BALB / cAnN.Cg-Foxn1 nu / CrlNarl female mice approximately 6-8 weeks old were obtained from Taiwan National Laboratory Animal Center.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as follows: temperature 25 ± 1 ° C; Humidity: 60 ± 5%; Independent air conditioning; Adjusted photocycle. During the whole experiment, water and feed were fed to be free. Mice were raised according to the standard procedure of the Laboratory Animals Committee.

종양을 가진 마우스 유도: MDA-MB-231 세포 (인간 유방암 세포)를 암컷 누드 마우스에 주사하는데 필요한 5 x 106개가 될 때까지 배양하고, 트립신을 처리하여 수집한 다음, 종양 유도를 위해 PBS 용액에 재현탁하였다. 누드 마우스에 세포 용액 100 ㎕를 피하 주사함으로써, 종양을 유도하였고, 다시 케이지로 보내 정상 사료를 제공하였다. 종양이 약 300 mm3에 도달하면, 추출 조성물을 여러가지 투여량으로 국소 투여하고, CTX 그룹과 비-CTX 그룹으로 그룹핑하였다. 추출 조성물의 효능을 보기 위해, 체중, 식욕, 혈당 및 종양 크기 성장을 매주 관찰하여, 누드 마우스의 정상적인 생리 상태 발현을 분석하였다.Tumor-bearing mice: MDA-MB-231 cells (human breast cancer cells) were cultured to 5 x 10 6 required for injection into female nude mice, treated with trypsin, . Nude mice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with 100 μl of the cell solution to induce tumors and sent back to the cage to provide a normal diet. When the tumors reached about 300 mm 3 , the extract composition was topically administered at various doses and grouped into CTX and non-CTX groups. To see the efficacy of the extract composition, body weight, appetite, blood sugar and tumor size growth were observed weekly to analyze the normal physiological state expression of nude mice.

종양-보유 마우스 및 처치 그룹핑: 종양이 약 300 mm3가 되면, 마우스를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핑하였다. 추출 조성물과 더불어 화학치료제 (주당 1회 주사)를 투여하였다. 치료군은 종양 부위, 종양 주위 피부에 국소 적용하였고, 등쪽 피부 전체에는 투여량 0.1 g/일로 적용하였다. 5주간 치료한 후, 누드 마우스의 체중, 식욕, 혈당 및 종양 크기 성장을 관찰하였다.Tumor-bearing mice and treatment Grouping: When the tumors were about 300 mm 3 , mice were grouped as shown in Table 12. A chemotherapeutic agent (one injection per week) was administered in addition to the extract composition. The treatment group was topically applied to the tumor site and surrounding skin, and to the dorsal skin at a dose of 0.1 g / day. After 5 weeks of treatment, body weight, appetite, blood glucose and tumor size growth of nude mice were observed.

그룹group 종양 유도Tumor induction 화학치료제Chemotherapeutic agent 테스트 물품Test article 정상normal 안함Do not 무처리No treatment 무처리No treatment 종양tumor MDA-MB-231 유도MDA-MB-231 induction 무처리No treatment 무처리No treatment J1J1 MDA-MB-231 유도MDA-MB-231 induction 무처리No treatment GMC1GMC1 J2J2 MDA-MB-231 유도MDA-MB-231 induction 무처리No treatment 0.3%GMA10.3% GMA1 NO CTX+ L5NO CTX + L5 MDA-MB-231 유도MDA-MB-231 induction 무처리No treatment GMC1+0.5%GMA1GMC1 + 0.5% GMA1 CTXCTX MDA-MB-231 유도MDA-MB-231 induction CTX/4회 주사CTX / 4 injections 무처리No treatment CTX+ L1CTX + L1 MDA-MB-231 유도MDA-MB-231 induction CTX/4회 주사CTX / 4 injections 크림 베이스Cream base CTX+ L5CTX + L5 MDA-MB-231 유도MDA-MB-231 induction CTX/4회 주사CTX / 4 injections GMC1+0.5%GMA1GMC1 + 0.5% GMA1

종양-보유 마우스의 임상 평가: 종양-보유 마우스의 체중, 식욕, 혈당 및 종양 크기 등의 생리학적 상태와 종양 크기를 평가하였다. 종양의 크기는 종양 체적 (mm3) = ab2/2로 계산하여, 종양 증식율을 평가하였다.Clinical evaluation of tumor-bearing mice: Physiological conditions such as body weight, appetite, blood sugar and tumor size of tumor-bearing mice and tumor size were evaluated. The tumor size was calculated as tumor volume (mm 3) = ab 2/ 2, was evaluated for tumor jeungsikyul.

결과: result:

인간 유방암 세포 MDA-MB-231에 의해 유도된 종양-보유 누드 마우스 모델에서, 처리 후, 추출 조성물 J1과 J2는 누드 마우스에서의 종양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13 및 도 25). 생리학적 상태에 대한 평가에서, 추출 조성물 그룹이 보다 나은 식욕과 혈당 수치를 나타내었다.In the tumor-bearing nude mouse model induced by human breast cancer cell MDA-MB-231, after treatment, extract compositions J1 and J2 showed the effect of inhibiting tumor growth in nude mice (Table 13 and Figure 25). In evaluating physiological conditions, the extract composition group showed better appetite and blood glucose levels.

종양 크기 (mm3)Tumor size (mm 3 ) 0주0 weeks 1주1 week 2주2 weeks 3주3 weeks J1J1 0.00.0 63.4063.40 126.23 126.23 369.51369.51 J2J2 0.00.0 -2.02 -2.02 26.83 26.83 182.19182.19 종양tumor 0.000.00 72.6972.69 380.71 380.71 696.90696.90

GMC1+0.5%GMA1 (NO CTX+ L5) 그룹에서, 추출 조성물이 누드 마우스에서 종양 증식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26).In the GMC1 + 0.5% GMA1 (NO CTX + L5) group, the extract composition inhibited tumor growth in nude mice (Figure 26).

정상 그룹과 비교해, 종양 + 화학치료제 그룹 (CTX 그룹), 추출 조성물 + 화학치료제 그룹 (CTX+L1 그룹과 CTX+L5 그룹)의 생리학적 상태와 종양 증식을 평가하였다. 표 14와 도 26 및 27을 참조하면, CTX+L1 그룹과 CTX+L5 그룹의 결과는, 화학치료제를 투여받은 종양-보유 마우스에서 종양을 축소하는 화학치료제의 효능을 강화하는데, 체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평균적인 사료 섭취율과 평균적인 혈당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5 - 17) The physiological status and tumor proliferation of tumor + chemotherapeutic group (CTX group), extract composition + chemotherapeutic group (CTX + L1 group and CTX + L5 group) were evaluated compared with normal group. Referring to Table 14 and Figures 26 and 27, the results of the CTX + L1 and CTX + L5 groups enhance the efficacy of chemotherapeutic agents that shrink tumors in tumor-bearing mice receiving chemotherapeutic agents, Average feed intake rate and average blood sugar were shown to be insignificant (Table 15 - 17)

표 14: 종양 크기 감소 (mm3)Table 14: Tumor size reduction (mm 3 )

4/284/28 5/25/2 5/55/5 5/95/9 5/125/12 5/165/16 5/195/19 5/235/23 5/265/26 5/305/30 정상normal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0.000.00 종양tumor 0.000.00 108.05108.05 364.31364.31 428.36428.36 627.45627.45 874.62874.62 1295.631295.63 1961.511961.51 2727.562727.56 2938.302938.30 CTXCTX 0.000.00 99.6199.61 78.9578.95 -19.52-19.52 -45.11-45.11 -157.57-157.57 -176.41-176.41 -264.85-264.85 -293.68-293.68 -391.42-391.42 CTX+L1CTX + L1 0.000.00 89.2289.22 113.36113.36 21.2721.27 -46.75-46.75 -138.97-138.97 -179.55-179.55 -224.38-224.38 -294.03-294.03 -384.43-384.43 CTX+L5CTX + L5 0.000.00 149.85149.85 173.28173.28 48.5448.54 -56.91-56.91 -170.01-170.01 -220.34-220.34 -274.15-274.15 -338.79-338.79 -510.04-510.04

표 15: 평균 체중 (g)Table 15: Average weight (g)

4/284/28 5/25/2 5/55/5 5/95/9 5/125/12 5/165/16 5/195/19 5/235/23 5/265/26 5/305/30 정상normal 20.6120.61 21.3421.34 20.9120.91 21.1621.16 20.3120.31 21.1321.13 20.4120.41 21.9021.90 21.6321.63 21.9621.96 종양tumor 19.6419.64 19.1119.11 20.0320.03 18.7518.75 18.5718.57 20.2220.22 20.4820.48 21.3621.36 21.7421.74 22.6722.67 CTXCTX 19.6419.64 20.0420.04 18.4618.46 19.0019.00 19.5119.51 20.9920.99 20.4220.42 21.1621.16 20.2120.21 22.1822.18 CTX+L1CTX + L1 20.0520.05 20.5920.59 18.7218.72 19.3419.34 18.7918.79 19.2319.23 19.9819.98 20.0820.08 19.9419.94 21.3121.31 CTX+L5CTX + L5 19.1219.12 19.5119.51 18.4518.45 19.0919.09 19.2319.23 19.6119.61 19.9319.93 19.6919.69 19.0319.03 20.5220.52

표 16: 평균 사료 섭취 (g)Table 16: Average feed intake (g)

5/5~5/95/5 ~ 5/9 5/9~5/125/9 ~ 5/12 5/12~5/165 / 12-5 / 16 5/16~5/195/16 - 5/19 5/19~5/235/19 ~ 5/23 5/23~5/265 / 23-5 / 26 5/26~5/305/26 ~ 5/30 정상normal 4.954.95 4.754.75 5.185.18 4.694.69 4.524.52 4.374.37 4.504.50 종양tumor 4.944.94 4.484.48 4.564.56 4.754.75 4.254.25 4.654.65 4.204.20 CTXCTX 4.894.89 5.615.61 5.385.38 5.215.21 4.704.70 4.764.76 5.225.22 CTX+L1CTX + L1 4.454.45 4.584.58 4.884.88 4.644.64 4.084.08 4.014.01 4.464.46 CTX+L5CTX + L5 4.604.60 5.125.12 4.474.47 5.095.09 4.364.36 4.214.21 4.624.62

표 17: 평균 혈당 (dL)Table 17: Mean blood glucose (dL)

5/25/2 5/95/9 5/165/16 5/235/23 5/305/30 정상normal 110110 8484 9999 9797 9898 종양tumor 6060 6666 8282 8989 7474 CTXCTX 113113 9393 109109 122122 108108 CTX+L1CTX + L1 110110 9393 9292 9999 101101 CTX+L5CTX + L5 110110 109109 104104 106106 102102

임상적으로, 암 치료를 포기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가 암으로 인한 암 통증이다. 암 통증은 종양에 의해, 주로 염증으로 인해, 그리고 종양이 내부 장기, 말초 신경 및 뼈로 침습함으로써 야기되는 신경 압박으로 인해, 일부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출 조성물은 종양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으며, 또한 일부 암으로 인한 암 통증을 억제하고,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Clinically, one of the main reasons for abandoning cancer treatment is cancer pain caused by cancer. Cancer pain is known to be caused in part by tumors, mainly due to inflammation, and nerve compression caused by tumors invading the internal organs, peripheral nerves and bones. The extract composition can effectively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the tumor, inhibit cancer pain due to some cancers, and can be helpful for treatment.

본 발명은 전술한 구체적인 구현예를 들어 기술되어 있지만,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이에 대한 여러가지 대안 및 변형과 수정이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대안, 변형 및 수정들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While this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ll such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두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
(a) 대두 종자와 추출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추출 용액이 물이거나, 또는 알코올을 약 90 wt% 미만의 농도로 포함하는 알코올 용액인 단계;
(b) 약 1 atm 미만의 기압과 약 60℃ 미만의 온도에서, 상기 추출 용액을 사용해 상기 대두 종자를 추출하여, 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조 추출물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하여, 액상분을 수득하는 단계.
An extraction composition comprising a soybean seed extract prepared by a process comprising the steps of:
(a) providing a soybean seed and an extracting solution, wherein the extracting solution is water or an alcoholic solution comprising alcohol at a concentration of less than about 90 wt%;
(b) extracting the soybean seed using the extraction solution at a pressure of less than about 1 atm and a temperature of less than about 60 캜 to obtain a crude extract; And
(c) removing the solid from the crude extract to obtain a liquid fra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 종자 추출물의 제조 방법이 단계 (c)에서 수득되는 액상분을 농축하여, 농축된 고형분을 수득하는 단계 (d)를 더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The extraction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soybean seed extract further comprises the step (d) of concentrating the liquid fraction obtained in step (c) to obtain a concentrated solid fra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 종자 추출물의 제조 방법이 단계 (d)에서 수득되는 농축된 고형분을 건조하는 단계 (e)를 더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3. The extraction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rocess for producing the soybean seed extract further comprises a step (e) of drying the concentrated solid obtained in step (d). 제1항에 있어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대두 종자 증기 분획 (soybean seed vapor fraction)을 더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
(i) 대두 종자를, 물이거나, 또는 알코올을 약 15 wt% 미만의 농도로 포함하는 알코올 용액인 제2 추출 용액에 제공하는 단계; 및
(ii) 약 1 atm 미만의 기압과 약 110℃ 미만의 온도에서 상기 대두 종자를 상기 제2 추출 용액으로 추출하고, 증기 분획을 수집하는 단계.
The extraction composition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oybean seed vapor fraction produced by a process comprising the steps of:
(i) providing the soybean seed to a second extraction solution which is water or an alcohol solution comprising alcohol at a concentration of less than about 15 wt%; And
(ii) extracting said soybean seeds with said second extraction solution at an atmospheric pressure of less than about 1 atm and a temperature of less than about 110 &lt; 0 &gt; C, and collecting the vapor fraction.
제4항에 있어서, 단계 (i)에서 알코올 용액이 알코올을 약 5 wt% 미만의 농도로 포함하는, 추출 조성물.The extraction composition of claim 4, wherein the alcohol solution in step (i) comprises less than about 5 wt% alcohol. 제4항에 있어서, 대두 종자 추출물의 함량이 약 0.001 wt% - 약 5 wt%이고; 대두 종자 증기 분획의 함량이 약 95 wt% - 약 99.999 wt%인, 추출 조성물.5. The composition of claim 4, wherein the content of the soybean seed extract is about 0.001 wt% to about 5 wt%; Wherein the content of the soybean seed vapor fraction is from about 95 wt% to about 99.999 wt%.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대두 종자 추출물의 제조 공정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추출 조성물의 제조 방법:
(a) 대두 종자와 추출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추출 용액이 물이거나, 또는 알코올을 약 90 wt% 미만의 농도로 포함하는 알코올 용액인 단계;
(b) 약 1 atm 미만의 기압과 약 60℃ 미만의 온도에서, 상기 추출 용액을 사용해 상기 대두 종자를 추출하여, 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조 추출물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하여, 액상분을 수득하는 단계.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extract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comprising a process for producing a soybean seed extract comprising the steps of:
(a) providing a soybean seed and an extracting solution, wherein the extracting solution is water or an alcoholic solution comprising alcohol at a concentration of less than about 90 wt%;
(b) extracting the soybean seed using the extraction solution at a pressure of less than about 1 atm and a temperature of less than about 60 캜 to obtain a crude extract; And
(c) removing the solid from the crude extract to obtain a liquid fra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 종자 추출물의 제조 공정이 단계 (c)에서 수득되는 액상분을 농축하여, 농축된 고형분을 수득하는 단계 (d)를 더 포함하는, 방법.8. A proces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rocess for producing the soybean seed extract further comprises the step (d) of concentrating the liquid fraction obtained in step (c) to obtain a concentrated solid fra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 종자 추출물의 제조 공정이 단계 (d)에서 수득되는 농축된 고형분을 건조하는 단계 (e)를 더 포함하는, 방법.8. 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rocess for producing the soybean seed extract further comprises a step (e) of drying the concentrated solids obtained in step (d).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약제의 제조에 있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추출 조성물의 용도.Use of an extract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promoting wound healing. 제10항에 있어서, 피부 세포 이동을 촉진하는 약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용도.11. Use according to claim 10 for the preparation of a medicament for promoting skin cell migr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세포가 각질 형성 세포인, 용도.12. The us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skin cells are keratinocyt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처가 당뇨병성 상해인, 용도.11. The us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wound is a diabetic injury. 신경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거나 및/또는 뇌 질환 및/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추출 조성물의 용도.Use of an extract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promoting proliferation of neuronal cells and / or for treating brain and / 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 세포가 신경모세포종 세포인, 용도.15. The us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said nerve cell is a neuroblastoma cel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뇌 질환 및/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이 혈관성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뇌 혈관 질환, 염증성 뇌 손상, 뇌 손상 주변의 염증 반응, 뇌 병변, 뇌 혈종, 뇌실 부종 (swelling ventricle) 및 뇌실 확장 (ventricular dilatatio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said brain and / or neurodegenerative diseas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ascular dementia,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inflammatory brain injury, inflammatory reaction around brain injury, ventricle, and ventricular dilatation. 유방암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추출 조성물의 용도.Use of an extract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breast cancer. 제17항에 있어서, 유방암이 P53 돌연변이 타입의 유방암인, 용도.18. Us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breast cancer is breast cancer of the P53 mutation type.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물의 부작용을 낮추거나 및/또는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물의 약제 효과를 강화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추출 조성물의 용도.The use of any one of claims 1 to 6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lowering the side effects of drugs interfering with DNA and / or RNA replication and / or enhancing the medicinal effects of drugs interfering with DNA and / or RNA replication Use of the extract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제19항에 있어서, DNA 및/또는 RNA 복제를 간섭하는 약물이 사이클로포스파미드, 테모졸로미드, 헥사메틸멜라민, 백금 착화물, 블레오마이신 (bleomycin), 빈블라스틴 (vinblastine), 빈크리스틴 (vincristine),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docetaxel), 폴릭산 길항제, 퓨린 길항제 또는 피리미딘 길항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도.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drug interfering with DNA and / or RNA replica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clophosphamide, temozolomide, hexamethylmelamine, platinum complex, bleomycin, vinblastine, vincristine, paclitaxel, docetaxel, polynic acid antagonist, purine antagonist or pyrimidine antagonist.
KR1020160070442A 2016-06-07 2016-06-07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201701382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442A KR20170138262A (en) 2016-06-07 2016-06-07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442A KR20170138262A (en) 2016-06-07 2016-06-07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249A Division KR20170138352A (en) 2017-06-02 2017-06-02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1020170069248A Division KR20170138351A (en) 2017-06-02 2017-06-02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1020170069250A Division KR101884221B1 (en) 2017-06-02 2017-06-02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1020180006233A Division KR20180010286A (en) 2018-01-17 2018-01-17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262A true KR20170138262A (en) 2017-12-15

Family

ID=6095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442A KR20170138262A (en) 2016-06-07 2016-06-07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826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9767A (en) * 2022-05-25 2022-09-23 中山大学 Soybean wound repair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9767A (en) * 2022-05-25 2022-09-23 中山大学 Soybean wound repair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N115089767B (en) * 2022-05-25 2023-06-20 中山大学 Soybean wound repair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0128B2 (en)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US9308233B2 (en) Extract of adlay bran and uses thereof
JP6417576B2 (en)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oybean seed extract and use thereof
KR20200140749A (en) Composition for improvement, treatment or prevention of muscular disorders, or improvement of muscular functions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a
KR20170138351A (en)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101884221B1 (en)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20170138262A (en)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CA2932277C (en)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RU2657439C2 (en) Soybean extract, method of its production, composition of soybean extract, method of stimulation of proliferation of neurons, treatment of brain diseases and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options)
TWI640318B (en)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20180093851A (en)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20180093852A (en)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20180010286A (en)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20170138352A (en)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10183039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squalene for enhancement of muscle function and prevention of muscle damage
TWI724417B (en) Uses of soybean seed extract composition for relieving cancer pain and/or skin inflammation
EP3254686A1 (en)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EP3735980B1 (en) Uses of soybean seed extract composition for alleviating skin pain caused by skin inflammation induced by cancer radiation therapy
US11083766B2 (en) Uses of soybean seed extract composition for alleviating cancer pain and/or treating cancer skin inflammation
AU2016203746B1 (en) Soybean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US20220088106A1 (en)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e as effective component for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muscular diseases, or improving muscule functions
KR102517662B1 (en) Composition for improvement, treatment or prevention of muscular disorders, or improvement of muscular functions comprising chaga
JP6288759B2 (en) Transglutaminase activator
EP2937095A1 (en) Extract of coix lacryma-jobi seed bran and use thereof
CN107456477A (en) Soya seeds extract, manufacture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