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867A -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867A
KR20170136867A KR1020160068968A KR20160068968A KR20170136867A KR 20170136867 A KR20170136867 A KR 20170136867A KR 1020160068968 A KR1020160068968 A KR 1020160068968A KR 20160068968 A KR20160068968 A KR 20160068968A KR 20170136867 A KR20170136867 A KR 20170136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cultural
performer
terminal
cultur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7560B1 (ko
Inventor
최은희
이유진
이솔아
Original Assignee
최은희
이솔아
이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희, 이솔아, 이유진 filed Critical 최은희
Priority to KR1020160068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7560B1/ko
Publication of KR20170136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실연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실연 조건 및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등록된 공연 기획 조건 및 영상 홍보인에 의해 등록된 공연 영상 제작 홍보 정보 및 문화 후원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후원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공연 실연 조건 및 상기 공연 기획 조건 및 상기 영상 제작 홍보 정보 및 상기 공연 후원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해당 공연 실연자 및 해당 문화 공간 주체 및 해당 영상 홍보인 및 해당 문화 후원자를 연결하여 상기 공연 실연자 및 상기 문화 공간 주체 및 상기 영상 홍보인 및 상기 문화 후원자 사이의 계약을 중개하여 전자 표준 계약서를 공연 실연자 단말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 및 영상 홍보인 단말 및 문화 후원자 단말 각각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비용 선결제가 처리되면 공연 종료 후 특정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공연 실연자의 계좌에 공연료로 입금처리 하는 단계와 영상 제작 및 홍보 완료 후 특정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영상 홍보인의 계좌에 홍보비로 입금처리 하는 단계 및 문화 후원자가 후원금을 결제하면 조건에 따라 후원금을 후원 대상자에게 입금 처리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문화 공간을 발굴하여 카페나 가정집 등을 포함한 전국 곳곳에서 이루어지는 소규모 공연을 소비자들이 손쉽게 관람함으로써 공연이 활성화되고 문화로 소통하며 문화 복지가 실현되는 등 문화를 매개로 각 이해 당사자의 브랜드 가치가 높아지고 문화 융성 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BUSINESS METHOD OF PROVIDING INTERMEDIATION SERVICE OF DIRECT TRANSACTIONS FOR PERFORMANCES}
본 발명은 인터넷을 매개로, 소규모 공연을 위한 문화 공간을 발굴하고, 문화 공간 주체와 실연자 간 공연 직거래를 가능케 하고, 공연 홍보를 매개해 주고, 일련의 계약 체결과 분쟁 중재를 지원해 주며, 일반인이 시간적 경제적 부담 없이 문화 공연을 향유할 수 있게 해주는 등, 공연을 매개로 발생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문화 공간 주체와 실연자의 브랜드 가치를 높여 주는 문화 비즈니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양질의 공연을 제공할 수 있는 재능 있는 실연자들이 상당히 많이 배출되고 있다. 가수(실용음악학원 출신 가수 지망생, 무명이지만 실력 있는 가수, 인기가 시들어진 유명 가수 등), 마술사, 행위 예술가, 댄서(비보이, 방송댄서, 고전무용가 등), 연주자(기타리스트, 색소폰 연주자, 실내악단 등), 강연자(개그맨, 행사 진행자, 명강사) 등 프로급 실연자가 많이 배출되고 있으나, 이들은 좀처럼 자신의 재능을 펼칠 수 있는 마당을 찾지 못해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공연 장소로 활용될 수 있는 문화 공간은 찾아 보면 무수히 많다. 지금까지 공연은 주로 무대와 조명이 갖춰진 정식 공연장에서 고비용 대형 공연 위주로 이루어져 왔다. 홍대, 신촌, 대학로나 미사리 카페 등 일부 문화 특구에서는 인디 문화 중심의 소공연이 이루어지고 있고, 최근엔 ‘버스킹(거리에서 사람들과 소통하며 예술 활동을 하는 길거리 공연)’도 행해지고 있지만, 공연자들의 자리 싸움, 소음, 주변 상가 민원 등 여러 문제도 함께 대두되고 있다. 과거에는 마당에 멍석만 깔면 공연장으로 변모했듯이,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공연장으로 활용될 훌륭한 공간이 무수히 많다. 멋진 인테리어와 조명이 설치된 커피전문점(통계청 집계 기준 2014년 커피전문점 가맹점 수는 총 12022개), 베이커리, 호프집, 깔끔한 레스토랑, 빌딩라운지, 학회 세미나장, 아파트 공원, 어린이집, 학교, 잔칫집 등도 실연자의 공연만 있으면 훌륭한 공연장으로 변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변 곳곳의 공간들이 공연장으로 발굴된다면 실연자들의 공연 기회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또 다행스럽게 최근 문화판촉이나 문화지원 등 문화를 매개로 자신의 이미지를 높이기 위한 문화마케팅,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공유 가치 창출(Created Shared Value) 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일정 시스템이 갖춰진다면 위의 문화 공간 주체들도 그들의 공간에서 공연을 주최하며 문화를 매개로 소비자들과 공유 가치를 창출하고 싶어할 것이다.
그러나 위 문화 공간 주체들은 사실상 라이브 공연을 기획하고 주최하기가 어렵다. 아직까지 공연 기획은 주로 공연 기획사의 전문 영역에 속해 있기 때문에, 일반인이 실연자들을 섭외하기가 쉽지 않다. 또 공연 초청 비용도 부담스러울 수 있다. 이러한 연유로 문화 공간 주체들은 라이브 공연보다는 주로 미디어(음원이나 비디오 등)를 소비하게 된다.
한편, 우리 국민들은 라이브 공연에 대한 욕구가 크다. 여가 시간이 늘어나고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문화 향유 욕구와 문화 공연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통계청 자료(2015)에 따르면 ‘경제적 부담’과 ‘시간 부족’으로 여가 시간 활용에 대해 만족하는 사람은 26.0%에 불과하며, “공연 이벤트 관람 장애 요인과 태도 및 구매 의도의 영향 관계”(한현숙, 2006)라는 연구에 따르면, 공연 수용자(audience)들은 관람 시간 제약성, 공연 작품의 한정성, 공연 장소의 접근성, 관람료 부담, 재미나 관심 부족 등으로 인해 공연 예술 관람에 충분히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이상으로 배경 기술을 모두 기술하지는 못했지만, 다양한 능력을 지닌 실연자의 대량 출현, 공연으로 활용될 수 있는 문화 공간의 무궁무진함, 일반인들의 문화 소비 욕구 증대 등 공연 시장 활성화를 위한 환경이 좋아지고 있지만, 이들을 잘 연결할 수 있는 시스템과 기술의 부재로 문화 융성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50344호(취하, 심사미청구) 공연 응모 및 중개 시스템 : 프로모터와 공연자 간 요구 사항을 조율하고 계약 체결을 매개하는 공연 응모 및 중개 시스템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44050호(거절, 거절결정 일반) 수요자 및 공연자에게 최적화된 공연 기획 시스템 및 그 방법 : 공연 관람 수요자의 니즈를 반영한 공연 기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단말에 소비자들이 원하는 공연을 등록하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공연의 예상 수요를 예측하여 등록된 공연의 개최 여부를 결정하도록 해주는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8706호(등록, 재심사후 등록결정) 행사초청 중개서비스 방법 : 행사 공연 에이전시 회사가 행사 중개를 용이할 수 있도록 개발된 방법으로, 준프로(아마추어)급 행사 공연인을 회원으로 가입시켜 이들의 특이사항 및 요구 조건을 DB화 함으로써 행사를 치르고자 하는 클라이언트들이 운영자(에이전시) 홈페이지에 접속 및 검색하여 적합한 행사 공연인을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
본 발명은 문화 공연 확산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으로, 동네 곳곳의 공간을 공연이 가능한 문화 공간으로 발굴하고, 실연자가 공연 직거래 중개 사이트에 자신의 재능을 손쉽게 홍보할 수 있도록 하고, 문화 공간 주체와 실연자의 공연 계약을 직거래 하도록 중개해 주는 방법, 공연 계약 시 영상 홍보인을 함께 매칭시켜 상기 공연을 영상물로 제작하고 추후 SNS 등에 홍보할 수 있도록 하는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연이 확정됐을 경우 공연을 후원하고 싶어하는 문화 후원자가 금전적 혹은 비금전적으로 상기 공연을 후원할 수 있도록 하고, 공연 일정을 홍보하여 문화 공간 인근 소비자들이 부담 없이 라이브 공연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 필요한 (저작권)계약 체결 및 분쟁 중재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 모든 기술적 방법을 통해 문화 공간과 실연자의 문화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시민들이 시간적 경제적 부담 없이 문화 공연을 향유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문화 융성에 이바지할 수 있는 비즈니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연 문화 확산을 위해 공연 장소를 기존 전문적인 대형 공연장 중심에서 동네 카페나 가정집 등으로까지 확장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연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공연 장소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공연은 주로 무대와 조명이 갖춰진 정식 공연장에서 고비용 대형 공연 위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특히 준프로급이나 무명 실연자가 공연할 수 있는 공연장이 부족했다. 그러나 공연 장소로 활용될 수 있는 문화 공간은 찾아 보면 무수히 많다. 과거 마당에 멍석만 깔면 공연장으로 변모했듯이,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공연장으로 활용될 훌륭한 공간이 무수히 많다. 멋진 인테리어와 조명이 설치된 커피전문점, 베이커리, 호프집, 깔끔한 레스토랑, 빌딩 라운지, 학회 세미나장, 아파트 공원, 어린이집, 학교, 잔칫집 등도 공연장으로 변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능 있는 실연자들이 수시로 공연할 수 있고 공연을 통해 이웃과 소통할 수 있도록 주변 곳곳의 공간들을 공연을 위한 공연장으로 발굴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재능 있는 실연자들(준프로급 혹은 아마추어 실연자 등)이 본인을 효과적으로 홍보하고 공연 실연 조건을 공개하여 다양한 공연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문화 공간 주체와 실연자가 공연 기획 에이전시를 거치지 않고 직접 공연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연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공연 수요자와 공급자를 매칭해 주는 역할이 필요하다. 위 문화 공간의 주체들은 라이브 공연을 기획하고 주최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 공연 기획은 아직까지 주로 공연 기획사의 전문 영역에 속해 있기 때문에 문화 공간 주체들이 실연자들을 직접 섭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라이브 공연보다 미디어(음원이나 비디오 등)의 소비가 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문화 공간 주체들과 실연자들이 공연 기획 에이전시를 거치지 않고 직접 공연 계약을 체결하고 적절한 비용으로 공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공연을 후원하고 싶어하는 문화 후원자가 금전적 혹은 비금전적인 방법으로 상기 공연을 후원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문화 공간 주체와 실연자 간 공연 계약 시 영상 홍보인도 매칭시켜 공연 시 공연 장면을 영상으로 촬영하게 하고 이를 SNS 등으로 홍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문화를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가 주요 이벤트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찍고 이를 SNS에 올리듯이 문화 공간 주체나 실연자들도 문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공연을 사진이나 영상으로 기록하고 이를 홍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문화 공간 주체나 실연자들은 영상 홍보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 중요한 라이브 공연 순간을 매체로 기록하지 못하고 추억 속으로 흘려버리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문화 공간 주체와 실연자의 공연 중개 시 영상 홍보인도 함께 중개시켜 공연 시 영상 홍보인이 공연을 촬영하고 이를 홍보물로 제작하거나 유튜브 등 SNS 등에 업로드 시켜주는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문화 공간 주체, 실연자, 영상 홍보인 간 공연 관련 계약 시 발생하는 일련의 제반 계약 및 분쟁 해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거래와 합의에는 문서화된 계약 체결이 이루어져야 분쟁이 덜 발생하고 분쟁 발생 시에도 해결이 수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간단한 규모의 경우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실제 공연과 홍보를 위해서는 문화 공간 주체 및 실연자 및 영상 홍보인 간 계약, 공연 및 SNS 홍보 시 필요한 저작권 계약, 계약 불이행 시 분쟁 해결을 위한 중재 계약 등이 필요하다. 이에 공연 중개 시 이해 당사자간 표준 계약서 형태의 전자 계약을 체결하도록 하고 계약서에 중재 조항을 삽입하여 분쟁 발생 시 중재를 통해 조속히 문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 기술된 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공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공연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공연 실연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실연 조건 및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등록된 공연 기획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공연 실연 조건 및 상기 공연 기획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해당 공연 실연자 및 해당 문화 공간 주체를 연결하여 상기 공연 실연자 및 상기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공연 계약을 중개하여 전자 표준 계약서를 공연 실연자 단말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 각각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비용 선결제가 처리되면 공연이 종료된 후 특정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공연 실연자의 계좌에 공연료로 입금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연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영상 홍보인에 의해 등록된 영상 홍보인 정보를 공연 실연자 단말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 각각에 제공하는 단계, 공연 실연자 단말 또는 문화 공간 주체 단말로부터 상기 영상 홍보인에 의한 공연 영상 생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단말에 비용 선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비용 선결제가 처리되면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상기 영상 홍보인의 계좌로 입금 처리하는 단계 및 공연 중에 상기 영상 홍보인에 의해 생산된 공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연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공연장에서 사용 가능한 음향 장비 리스트를 문화 공간 주체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문화 공간 주체 에 의해 음향 장비 리스트 중 특정 음향 장비에 대한 대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음향 장비 리스트에 있는 음향 장비의 시간 별 대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음향 장비의 시간 별 대여 상태가 대여 가능 상태이면 상기 대여 요청 메시지에 대한 긍정 응답 메시지를 해당 문화 공간 주체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 장비 리스트에 있는 음향 장비의 시간 별 대여 상태가 대여 불가능 상태이면 상기 대여 요청 메시지에 대한 부정 응답 메시지를 해당 문화 공간 주체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연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공연 실연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실연 조건 및 문화 후원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후원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공연 실연 조건 및 상기 공연 후원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등록된 공연 기획 조건 및 문화 후원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후원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공연 기획 조건 및 상기 공연 후원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문화 후원자에 의한 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 또는 비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을 해당 공연 실연자 또는 해당 문화 공간 주체에게 지급되도록 중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연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문화 공간 주체 및 상기 공연 실연자 사이의 공연 계약이 완료되어 전자 표준 계약서가 작성되면, 상기 전자 표준 계약서를 기초로 공연 시간 이전에 공연장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에 공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들 중에서, 공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공연 기획에 의해 등록된 공연 기획 조건이 저장되어 있는 문화 공간 주체 정보 테이블, 공연 실연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조건이 저장되어 있는 공연 실연자 정보 테이블, 공연 실연자에 의해 상기 공연 실연자 정보 테이블에 등록된 공연 실연 조건 및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상기 문화 공간 주체 정보 테이블에 등록된 공연 기획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공연 실연 조건 및 상기 공연 기획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해당 공연 실연자 및 해당 문화 공간 주체를 연결하여 상기 공연 실연자 및 상기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공연 계약을 중개하여 전자 표준 계약서를 공연 실연자 단말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 각각에 제공하는 매칭 중개부 및 상기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비용 선결제가 처리되면 공연이 종료된 후 특정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공연 실연자의 계좌에 공연료로 입금처리 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영상 홍보인에 의해 등록된 영상 홍보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영상 홍보인 정보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 중개부는 상기 영상 홍보인 정보 테이블에 등록된 영상 홍보인 정보를 공연 실연자 단말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 각각에 제공하고, 상기 공연 실연자 단말 또는 상기 문화 공간 주체 단말로부터 상기 영상 홍보인에 의한 공연 영상 생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단말에 비용 선결제를 요청하고, 공연 중에 상기 영상 홍보인에 의해 생산된 공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공연 생산 요청에 따른 비용 선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비용 선결제가 처리되면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상기 영상 홍보인의 계좌로 입금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대여 가능한 음향 장비가 있는 음향 장비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 중개부는 상기 음향 장비 테이블에서 추출한 공연장에서 사용 가능한 음향 장비 리스트를 문화 공간 주체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음향 장비 리스트 중 특정 음향 장비에 대한 대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음향 장비 리스트에 있는 음향 장비의 시간 별 대여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음향 장비의 시간 별 대여 상태가 대여 가능 상태이면 상기 대여 요청 메시지에 대한 긍정 응답 메시지를 해당 문화 공간 주체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음향 장비 리스트에 있는 음향 장비의 시간 별 대여 상태가 대여 불가능 상태이면 상기 대여 요청 메시지에 대한 부정 응답 메시지를 해당 문화 공간 주체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문화 후원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후원 조건이 저장되어 있는 문화 후원자 정보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 중개부는 공연 실연자에 의해 상기 공연 실연자 정보 테이블에 등록된 공연 실연 조건 및 문화 후원자에 의해 상기 문화 후원자 정보 테이블에 등록된 공연 기획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공연 실연 조건 및 상기 공연 후원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문화 후원자에 의한 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 또는 비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을 해당 공연 실연자에게 지급되도록 중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칭 중개부는 상기 문화 공간 주체 및 상기 공연 실연자 사이의 공연 계약이 완료되어 전자 표준 계약서가 작성되면, 상기 전자 표준 계약서를 기초로 공연 시간 이전에 공연장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에 공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조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연 장소를 기존의 전문 대형 공연장에서 동네 카페나 가정집 등으로 확장함으로써 실연자가 공연할 수 있는 무대가 늘어나는 효과를 가져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급증하고 있는 실연자(예대 재학생, 젊은 실연자, 인기 없어진 기존 가수, 강연자 등)들이 소규모 공연을 통해서라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예술인 문화 복지가 일정 부분 해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급증하고 있는 영상 제작자(영상 제작 및 홍보 대행 프리랜서 등)들이 소규모 공연의 영상 제작 및 홍보 대행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영상인의 문화 복지가 일정 부분 해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문화 공간 주체가 공연 기획 전문 에이전시를 거치지 않고 실연자와 직접 접촉할 수 있어 손쉽고도 합리적인 비용으로 공연을 기획하고 주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연 매개를 위한 문화 공간 주체, 실연자, 영상 홍보인의 정보 입력, 검색, 매칭 과정에서 업체 또는 개인을 홍보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가져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칭된 공연을 인근 사람들에게 알림 서비스 하는 과정에서 문화 공간(의 비즈니스)과 실연자를 소비자들에게 홍보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거리, 시간, 비용의 부담 없이 손쉽게 다양한 공연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공연 소식을 듣고 문화 공간을 방문함으로써 매출 증대 효과를 가져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연 시 문화 공간과 실연자의 공연을 영상으로 제작함으로써 포트폴리오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고, 이를 SNS 등에 업로드함으로써 홍보 효과를 가져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인이 문화 후원자로서 본인이 선호하는 실연자의 공연을 금전적 혹은 비금전적 방식으로 손쉽게 후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문화 후원 문화를 확산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문화 공간 주체가 공연을 주최하고 실연자를 후원한다는 이미지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문화마케팅, 기업의 사회적 책임, 문화를 통한 지역민들과의 소통 및 가치 창출이라는 문화브랜드 효과를 가져오는 장점이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연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 공연 실연자 단말(200),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 문화 후원자 단말(400) 및 영상 홍보인 단말(500)을 포함한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로부터 공연 기획 조건(예를 들어, 업종, 위치, 매장 크기, 실내 인테리어 사진, 홈페이지 주소 등 문화 공간을 홍보할 수 있는 정보나 원하는 공연의 장르, 일시, 사례비 등의 공연 실연 조건)을 수신하여 관리한다.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실연자 단말(200)로부터 공연 실연 조건(예를 들어, 자신들의 인적 사항, 기존 공연자료(페북이나 블로그 등 개인/단체 SNS 링크 가능), 가능한 공연 장르, 지역, 일시, 사례비 등의 공연 실연 조건)을 수신하여 관리한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문화 후원자 단말(400)로부터 공연 후원 조건(예를 들어, 인적 사항, 후원 내역, 후원 조건 등)을 수신하여 관리한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영상 홍보인 단말(500)로부터 영상 홍보 제작 조건(예를 들어, 음향 장비 대여 여부 등)을 수신하여 관리한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실연자의 공연 실연 조건 및 문화 공간 주체의 공연 기획 조건을 비교하여 매칭되는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를 연결한다. 이때,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및/또는 영상 홍보인 및/또는 문화 후원자 사이의 공연 계약 관련 전자 표준 계약서를 각 계약 당사자 단말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실연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실연 조건 및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등록된 공연 기획 조건을 비교하여 공연 실연 조건 및 공연 기획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실연 조건 및 공연 기획 조건이 매칭되면 해당 공연 실연자 및 해당 문화 공간 주체를 연결하여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공연 계약을 중개한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공연 계약을 중개하는 과정에서 전자 표준 계약서를 생성하고, 전자 표준 계약서를 공연 실연자 단말(200)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 각각에 제공한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전자 표준 계약서를 생성할 때 공연의 저작권 조항, 중재 조항, 공연 영상 데이터의 활용 조항, 공연 날짜, 공연 시간, 공연 비용, 공연 비용 선입금 기한, 공연 취소 조항, 수수료, 공연료 입금 날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전자 표준 계약서 생성 시 상기와 같은 조항을 포함시킴으로써 추후에 분쟁이 발생했을 때 전자 표준 계약서를 기초로 대체적 분쟁 해결(ADR) 제도의 한 형태인 중재를 통해 분쟁을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전자 표준 계약서를 공연 실연자 단말(200)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 각각에 제공한 후, 공연 실연자 단말(200)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 각각으로부터 직인이 날인된 전자 표준 계약서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전자 표준 계약서에 있는 공연 비용 선입금 기한 내에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비용 선결제가 처리되면, 공연이 종료된 후 전자 표준 계약서에 있는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공연 실연자의 계좌에 서비스료로 입금 처리한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분쟁 발생 시 전자 표준 계약서의 중재 조항을 기초로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분쟁을 중재의 방식으로 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문화 공간 주체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공연 영상 데이터가 공연 실연자에 의해 사용되어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분쟁 발생 시, 전자 표준 계약서 상의 중재 조항에 따라 중재 규칙에 의거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분쟁을 중재의 방식으로 해결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실연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공연 영상 데이터가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사용되어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분쟁 발생 시, 전자 표준 계약서 상의 중재 조항에 따라 중재 규칙에 의거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분쟁을 중재의 방식으로 해결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각각의 요청에 따라 공연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더라도 문화 공간 주체 또는 공연 실연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활용 범위 이외의 용도로 공연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분쟁 발생 시, 전자 표준 계약서 상의 중재 조항에 따라 중재 규칙에 의거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분쟁을 중재의 방식으로 해결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문화 공간 주체 또는 공연 실연자에 의해 공연 취소가 요청 되면, 전자 표준 계약서의 내용 중 공연 취소 조항에 따라 공연 취소에 대한 위약금을 처리한다.
이때,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비용 선결제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공연 취소가 요청된 경우, 전자 표준 계약서의 내용 중 공연 취소 조항에 따라 선결제가 이루어진 비용을 이용하여 수수료 및 위약금을 처리한 후 나머지 비용을 문화 공간 주체의 계좌에 입금처리 한다.
만일,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비용 선결제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공연 취소가 요청된 경우, 전자 표준 계약서의 내용 중 공연 취소 조항에 따라 위약금 없이 공연 취소를 처리한다.
또한,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비용 선결제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공연 실연자에 의해 공연 취소가 요청된 경우, 전자 표준 계약서의 내용 중 공연 취소 조항에 따라 수수료 및 위약금을 공연 실연자에게 청구하며 공연 실연자에 의해 수수료 및 위약금이 입금되면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선결제된 비용을 문화 공간 주체의 계좌에 환급한 후 공연 취소를 처리한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의 계약이 체결된 후, 영상 홍보인에 의해 등록된 영상 홍보인 정보를 공연 실연자 단말(200)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 각각에 제공한다.
이때,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실연자 단말 또는 문화 공간 주체 단말로부터 영상 홍보인에 의한 공연 영상 생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단말에 비용 선결제를 요청하며, 비용 선결제가 처리되면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상기 영상 홍보인의 계좌로 입금처리 한다. 그리고,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중에 상기 영상 홍보인에 의해 생산된 공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실연자에 의해 공연 영상 생산이 요청되면 공연 실연자 및 영상 홍보인 사이의 영상 생성 계약을 중개한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실연자 및 영상 홍보인 사이의 영상 생성 계약을 중개하는 과정에서 전자 표준 계약서를 생성하고, 전자 표준 계약서를 공연 실연자 단말(200) 및 영상 홍보인 단말(500) 각각에 제공한다.
또한,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공연 영상 생산이 요청되면 문화 공간 주체 및 영상 홍보인 사이의 영상 생성 계약을 중개한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문화 공간 주체 및 영상 홍보인 사이의 영상 생성 계약을 중개하는 과정에서 전자 표준 계약서를 생성하고, 전자 표준 계약서를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 및 영상 홍보인 단말(500) 각각에 제공한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전자 표준 계약서를 생성할 때 공연의 저작권 조항, 중재 조항, 공연 날짜, 공연 시간, 공연 영상 생성 비용, 공연 영상 생성 비용 선입금 기한, 공연 영상 생성 비용 선입금 위반 시 공연 영상 취소 조항, 수수료, 제작비 입금 날짜, 음향 장비 신청 여부, 대여 가능한 음향 장비 중 대여 신청한 음향 장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전자 표준 계약서 생성 시 상기와 같은 조항을 포함시킴으로써 추후에 분쟁이 발생했을 때 전자 표준 계약서를 기초로 분쟁을 중재의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전자 표준 계약서를 공연 실연자 단말(200) 및 영상 홍보인 단말(500) 또는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 및 영상 홍보인 단말(500) 각각에 제공한 후, 공연 실연자 단말(200) 및 영상 홍보인 단말(500) 또는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 및 영상 홍보인 단말(500)각각으로부터 직인이 날인된 전자 표준 계약서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전자 표준 계약서에 있는 공연 영상 생성 비용 선입금 기한 내에 공연 영상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즉, 문화 공간 주체 또는 공연 실연자)에 의해 비용 선결제가 처리되면, 공연 영상의 생성이 완료된 후 전자 표준 계약서에 있는 수수료를 제외한 제작비를 제작비 입금 날짜에 영상 홍보인의 계좌에 입금 처리한다.
또한,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실연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실연 조건 및 문화 후원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후원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공연 실연 조건 및 상기 공연 후원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등록된 공연 기획 조건 및 문화 후원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후원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공연 기획 조건 및 상기 공연 후원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문화 후원자에 의한 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 또는 비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을 해당 공연 실연자 또는 해당 문화 공간 주체에게 지급되도록 중개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기 문화 후원자에 의한 후원 조건이 금전적인 방식인 경우 해당 당사자의 계좌에 후원금을 입금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문화 공간 주체 및 공연 실연자 사이의 공연 계약이 완료되어 전자 표준 계약서가 작성되면, 전자 표준 계약서를 기초로 공연 시간 이전에 공연장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에 공연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기일이 임박하면 문자, 이메일을 비롯한 각종 스마트한 전자 방법을 통해 공연이 이루어질 문화 공간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에 공연 정보를 제공한다.
공연 실연자 단말(200)은 공연을 실연할 수 있는 공연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예를 들어, 공연 실연자는 가수, 댄서, 기타 리스트, 실내악 연주자, 마술사, 강연자 등과 같이 공연을 실연할 수 있는 모든 사용자를 의미한다.
공연 실연자 단말(200)은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회원 가입 인터페이스를 수신하면, 회원 가입 인터페이스에 공연 조건을 입력한 후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회원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공연 조건은 공연 홍보 정보(예를 들어, 기존 공연 영상 데이터, 홍보 음악 데이터, 공연 이미지 데이터, 공연 실연자의 SNS 상에 업로드되어 있는 공연 영상 데이터, 공연 이미지 데이터, 홍보 음악 데이터의 주소 정보 등), 공연 시간, 공연 장소, 가격대, 실연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은 공연 실연자를 초대하여 공연을 하고자 하는 문화 공간 주체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예를 들어, 문화 공간 주체는 베이커리, 동네 카페, 호프집, 회사 로비, 회사 세미나실 등에서 공연 실연자를 초대하여 공연을 하고자 하는 모든 사용자를 의미한다.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은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회원 가입 인터페이스를 수신하면, 회원 가입 인터페이스에 공연 기획 조건을 입력한 후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회원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공연 기획 조건은 매장 소개 정보(예를 들어, 매장 이미지, 업종, 문화 공간 주체의 SNS 상에 업로드되어 있는 이미지의 주소 정보, 매장 규모 등), 공연 시간, 공연장 위치, 원하는 공연 내용, 사례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문화 후원자 단말(400)은 공연 진행에 대한 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 또는 비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을 지원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공연을 후원하고자 하는 일반인 또는 기업 또는 정부는 문화 후원자로 활동할 수 있다. 문화 후원자는 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 외에도 비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을 지원할 수 있다.
문화 후원자 단말(400)은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회원 가입 인터페이스를 수신하면, 회원 가입 인터페이스에 공연 후원 조건을 입력한 후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회원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공연 후원 조건은 후원 이력, 후원 종류(예를 들어, 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 또는 비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 나이, 성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홍보인 단말(500)은 공연 실연자 또는 문화 공간 주체의 요청에 따라 공연 과정을 촬영하여 공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예를 들어, 공연 생산자는 영상 생산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폰, 캠코더, 테블릿 PC)를 보유하는 모든 사용자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영상 생산 장치를 보유하는 모든 사용자가 영상 홍보인으로 활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젊은 영상 전문인(예를 들어, 영상학과 학생들)도 부수입을 얻을 수 있다.
영상 홍보인 단말(500)은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회원 가입 인터페이스를 수신하면, 회원 가입 인터페이스에 영상 홍보인 정보를 입력한 후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회원 가입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 홍보인 정보는 이력 정보(예를 들어, 영상 생산 일별 영상 데이터 정보), 직업, 나이, 성별, 출장 가능 시간, 출장 가능 공연장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홍보인 단말(500)은 공연 중 또는 공연이 종료된 후에 공연 별 공연 영상 데이터를 SNS 등에 업데이트하여 공연 관람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관람 후기를 수집한다.
영상 홍보인 단말(500)은 공연 실연자 또는 문화 공간 주체와의 영상 홍보인 서비스 계약을 진행할 때 공연 실연자 또는 문화 공간 주체자에 의해 선택된 음향 장비 신청 여부 및 대여 가능한 음향 장비 중 대여 신청한 음향 장비에 대한 대여 확인 신호를 공연 실연자 단말(200) 또는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에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회원 가입부(110), 결제 처리부(120), 문화 공간 주체 정보 테이블(130), 공연 실연자 정보 테이블(140), 영상 홍보인 정보 테이블(150), 문화 후원자 정보 테이블(160), 음향 장비 테이블(170) 및 매칭 중개부(180)을 포함한다.
회원 가입부(110)는 사용자가 회원 가입 시 선택된 회원의 종류가 문화 공간 주체인 경우,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입력된 공연 기획 조건을 문화 공간 주체 정보 테이블(130)에 저장한다. 공연 기획 조건은 매장 소개 정보(예를 들어, 매장 이미지, 문화 공간 주체의 SNS 상에 업로드되어 있는 이미지의 주소 정보 등), 공연 시간, 공연장 위치, 원하는 공연 내용, 사례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가입부(110)는 사용자가 회원 가입 시 선택된 회원의 종류가 공연 실연자인 경우, 공연 실연자에 의해 입력된 공연 실연 조건을 공연 실연자 정보 테이블(140)에 저장한다. 공연 실연 조건은 공연 홍보 정보(예를 들어, 기존 공연 영상 데이터, 홍보 음악 데이터, 공연 이미지 데이터, 공연 실연자의 SNS 상에 업로드되어 있는 공연 영상 데이터, 공연 이미지 데이터, 홍보 음악 데이터의 주소 정보 등), 공연 시간, 공연 장소, 가격대, 실연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가입부(110)는 사용자가 회원 가입 시 선택된 회원의 종류가 영상 홍보인인 경우, 영상 홍보인에 의해 입력된 영상 홍보인 정보를 영상 홍보인 정보 테이블(150)에 저장한다. 영상 홍보인 정보는 이력 정보(예를 들어, 영상 생산 일별 영상 데이터 정보), 직업, 나이, 성별, 출장 가능 시간, 출장 가능 공연장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가입부(110)는 사용자가 회원 가입 시 선택된 회원의 종류가 문화 후원자인 경우, 문화 후원자에 의해 입력된 공연 후원 조건을 문화 후원자 정보 테이블(160)에 저장한다. 공연 후원 조건은 후원 이력, 후원 종류(예를 들어, 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 또는 비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 나이, 성별, 후원 가능 시간, 후원 가능 공연장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문화 공간 주체 정보 테이블(130)에는 공연 기획에 의해 등록된 공연 기획 조건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공연 기획 조건은 매장 소개 정보(예를 들어, 매장 이미지, 문화 공간 주체의 SNS 상에 업로드되어 있는 이미지의 주소 정보 등), 공연 시간, 공연장 위치, 원하는 공연 내용, 사례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연 실연자 정보 테이블(140)에는 공연 실연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실연 조건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공연 실연 조건은 공연 홍보 정보(예를 들어, 기존 공연 영상 데이터, 홍보 음악 데이터, 공연 이미지 데이터, 공연 실연자의 SNS 상에 업로드되어 있는 공연 영상 데이터, 공연 이미지 데이터, 홍보 음악 데이터의 주소 정보 등), 공연 시간, 공연 장소, 가격대, 실연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홍보인 정보 테이블(150)에는 영상 홍보인에 의해 등록된 영상 홍보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영상 홍보인 정보는 이력 정보(예를 들어, 영상 생산 일별 영상 데이터 정보), 직업, 나이, 성별, 출장 가능 시간, 출장 가능 공연장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문화 후원자 정보 테이블(160)에는 문화 후원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후원 조건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공연 후원 조건은 후원 이력, 후원 종류(예를 들어, 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 또는 비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 나이, 성별, 후원 가능 시간, 후원 가능 공연장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칭 중개부(180)는 공연 실연자에 의해 공연 실연자 정보 테이블(140)에 등록된 공연 실연 조건 및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문화 공간 주체 정보 테이블(130)에 등록된 공연 기획 조건을 비교하여 공연 실연 조건 및 상기 공연 기획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매칭 결과에 따라 해당 공연 실연자 및 해당 문화 공간 주체를 연결하여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공연 계약을 중개한다.
매칭 중개부(180)는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공연 계약을 중개하는 과정에서 전자 표준 계약서를 생성하고, 전자 표준 계약서를 공연 실연자 단말(200)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 각각에 제공한다.
매칭 중개부(180)는 전자 표준 계약서를 생성할 때 공연의 저작권 조항, 중재 조항, 공연 영상 데이터의 활용 조항, 공연 날짜, 공연 시간, 공연 비용, 공연 비용 선입금 기한, 공연 취소 조항, 수수료, 공연료 입금 날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칭 중개부(180)는 전자 표준 계약서 생성 시 상기와 같은 조항을 포함시킴으로써 추후에 분쟁이 발생했을 때 전자 표준 계약서를 기초로 분쟁을 중재의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매칭 중개부(180)는 전자 표준 계약서를 공연 실연자 단말(200)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 각각에 제공한 후, 공연 실연자 단말(200)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 각각으로부터 직인이 날인된 전자 표준 계약서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매칭 중개부(180)는 전자 표준 계약서에 있는 공연 비용 선입금 기한 내에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비용 선결제가 처리되면, 공연이 종료된 후 전자 표준 계약서에 있는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공연료 입금 날짜에 공연 실연자의 계좌에 공연료로 입금 처리한다.
매칭 중개부(180)는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분쟁 발생 시 전자 표준 계약서의 내용을 기초로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분쟁을 중재의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칭 중개부(180)는 문화 공간 주체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공연 영상 데이터가 공연 실연자에 의해 사용되어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분쟁이 발생 시, 전자 표준 계약서의 내용 중 공연 영상 데이터의 활용 조항에 따라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분쟁을 중재 규칙에 의거 중재의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매칭 중개부(180)는 공연 실연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공연 영상 데이터가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사용되어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분쟁이 발생 시, 전자 표준 계약서의 내용 중 공연 영상 데이터의 활용 조항에 따라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분쟁을 중재 규칙에 의거 중재의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매칭 중개부(180)는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각각의 요청에 따라 공연 영상 데이터가 생성되더라도 문화 공간 주체 또는 공연 실연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 활용 범위 이외의 용도로 공연 영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분쟁이 발생 시, 전자 표준 계약서의 내용 중 공연 영상 데이터의 활용 조항에 따라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분쟁을 중재 규칙에 의거 중재의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매칭 중개부(180)는 문화 공간 주체 또는 공연 실연자에 의해 공연 취소가 요청 되면, 전자 표준 계약서의 내용 중 공연 취소 조항에 따라 공연 취소에 대한 위약금을 처리하도록 결제 처리부(120)를 제어한다.
이때, 매칭 중개부(180)는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비용 선결제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공연 취소가 요청된 경우, 전자 표준 계약서의 내용 중 공연 취소 조항에 따라 선결제가 이루어진 비용을 이용하여 수수료 및 위약금을 처리한 후 나머지 비용을 문화 공간 주체의 계좌에 입금처리 되도록 결제 처리부(120)를 제어한다.
만일,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비용 선결제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공연 취소가 요청된 경우, 전자 표준 계약서의 내용 중 공연 취소 조항에 따라 위약금 없이 공연 취소를 처리한다.
또한, 매칭 중개부(180)는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비용 선결제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공연 실연자에 의해 공연 취소가 요청된 경우, 전자 표준 계약서의 내용 중 공연 취소 조항에 따라 수수료 및 위약금을 공연 실연자에게 청구하며 결제 처리부(120)에 의한 처리 결과에 따라 공연 취소를 처리한다.
즉, 매칭 중개부(180)는 결제 처리부(120)를 통해 공연 실연자에 의해 수수료 및 위약금이 입금되고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선결제된 비용을 문화 공간 주체의 계좌에 환급되었다고 확인되면, 공연 취소를 처리한다.
매칭 중개부(180)는 공연 실연자 및 문화 공간 주체의 계약이 체결된 후, 영상 홍보인에 의해 영상 홍보인 정보 테이블(150)에 등록된 영상 홍보인 정보를 공연 실연자 단말(200)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 각각에 제공한다.
이때, 매칭 중개부(180)는 공연 실연자 단말 또는 문화 공간 주체 단말로부터 영상 홍보인에 의한 공연 영상 생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단말에 비용 선결제를 요청하며, 비용 선결제가 처리되면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상기 영상 홍보인의 계좌로 입금처리 한다. 그리고, 매칭 중개부(180)는 공연 중에 상기 영상 홍보인에 의해 생산된 공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매칭 중개부(180)는 공연 실연자에 의해 공연 영상 생산이 요청되면 공연 실연자 및 영상 홍보인의 사이의 영상 생성 계약을 중개한다. 매칭 중개부(180)는 공연 실연자 및 영상 홍보인 사이의 영상 생성 계약을 중개하는 과정에서 전자 표준 계약서를 생성하고, 전자 표준 계약서를 공연 실연자 단말(200) 및 영상 홍보인 단말(500) 각각에 제공한다.
또한, 매칭 중개부(180)는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공연 영상 생산이 요청되면 문화 공간 주체 및 영상 홍보인 사이의 영상 생성 계약을 중개한다. 매칭 중개부(180)는 문화 공간 주체 및 영상 홍보인 사이의 영상 생성 계약을 중개하는 과정에서 전자 표준 계약서를 생성하고, 전자 표준 계약서를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 및 영상 홍보인 단말(500) 각각에 제공한다.
매칭 중개부(180)는 전자 표준 계약서를 생성할 때 공연의 저작권 조항, 중재 조항, 공연 날짜, 공연 시간, 공연 영상 생성 비용, 공연 영상 생성 비용 선입금 기한, 공연 영상 생성 비용 선입금 위반 시 공연 영상 취소 조항, 수수료, 제작비 입금 날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칭 중개부(180)는 전자 표준 계약서 생성 시 상기와 같은 조항을 포함시킴으로써 추후에 분쟁이 발생했을 때 전자 표준 계약서 상의 중재 조항을 기초로 분쟁을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매칭 중개부(180)는 전자 표준 계약서를 공연 실연자 단말(200) 및 영상 홍보인 단말(500) 또는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 및 영상 홍보인 단말(500) 각각에 제공한 후, 공연 실연자 단말(200) 및 영상 홍보인 단말(500) 또는 문화 공간 주체 단말(300) 및 영상 홍보인 단말(500)각각으로부터 직인이 날인된 전자 표준 계약서를 수신하여 관리한다.
매칭 중개부(180)는 전자 표준 계약서에 있는 공연 영상 생성 비용 선입금 기한 내에 공연 영상 생성을 신청한 사용자(즉, 문화 공간 주체 또는 공연 실연자)에 의해 비용 선결제가 처리되면, 공연 영상의 생성이 완료된 후 전자 표준 계약서에 있는 수수료를 제외한 제작비를 제작비 입금 날짜에 영상 홍보인의 계좌에 입금 처리한다.
또한, 매칭 중개부(180)는 문화 공간 주체 및 공연 실연자 사이의 공연 계약이 완료되어 전자 표준 계약서가 작성되면, 전자 표준 계약서를 기초로 공연 시간 이전에 공연장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에 공연 정보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연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실연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실연 조건 및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등록된 공연 기획 조건을 비교하여 공연 실연 조건 및 공연 기획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310).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실연 조건 및 공연 기획 조건이 매칭되면(단계 S320), 해당 공연 실연자 및 해당 문화 공간 주체를 연결하여 상기 공연 실연자 및 상기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공연 계약을 중개한다(단계 S330).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기 공연 실연자 및 상기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공연 계약을 중개하는 과정에서 전자 표준 계약서를 생성하여 공연 실연자 단말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 각각에 제공한다(단계 S340).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비용 선결제가 처리되면(단계 S350), 공연이 종료된 후(단계 S360) 특정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공연 실연자의 계좌에 공연료로 입금처리 한다(단계 S370).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영상 홍보인에 의해 등록된 영상 홍보인 정보를 공연 실연자 단말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 각각에 제공하고, 공연 실연자 단말 또는 문화 공간 주체 단말로부터 상기 영상 홍보인에 의한 공연 영상 생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단말에 비용 선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비용 선결제가 처리되면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상기 영상 홍보인의 계좌로 입금처리하며, 공연 중에 상기 영상 홍보인에 의해 생산된 공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공연 실연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실연 조건 및 문화 후원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후원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공연 실연 조건 및 상기 공연 후원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등록된 공연 기획 조건 및 문화 후원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후원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공연 기획 조건 및 상기 공연 후원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문화 후원자에 의한 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 또는 비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을 해당 공연 실연자 또는 해당 문화 공간 주체에게 지급되도록 중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110: 회원 가입부
120: 결제 처리부
130: 문화 공간 주체 정보 테이블
140: 공연 실연자 정보 테이블
150: 영상 홍보인 정보 테이블
160: 문화 후원자 정보 테이블
170: 매칭 중개부
200: 공연 실연자 단말
300: 문화 공간 주체 단말
400: 문화 후원자 단말
500: 영상 홍보인 단말

Claims (10)

  1.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공연 실연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실연 조건 및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등록된 공연 기획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공연 실연 조건 및 상기 공연 기획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해당 공연 실연자 및 해당 문화 공간 주체를 연결하여 상기 공연 실연자 및 상기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공연 계약을 중개하여 전자 표준 계약서를 공연 실연자 단말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 각각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비용 선결제가 처리되면 공연이 종료된 후 특정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공연 실연자의 계좌에 공연료로 입금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영상 홍보인에 의해 등록된 영상 홍보인 정보를 공연 실연자 단말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 각각에 제공하는 단계;
    공연 실연자 단말 또는 문화 공간 주체 단말로부터 상기 영상 홍보인에 의한 공연 영상 생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단말에 비용 선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비용 선결제가 처리되면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상기 영상 홍보인의 계좌로 입금 처리하는 단계; 및
    공연 중에 상기 영상 홍보인에 의해 생산된 공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공연장에서 사용 가능한 음향 장비 리스트를 문화 공간 주체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음향 장비 리스트 중 특정 음향 장비에 대한 대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음향 장비 리스트에 있는 음향 장비의 시간 별 대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음향 장비의 시간 별 대여 상태가 대여 가능 상태이면 상기 대여 요청 메시지에 대한 긍정 응답 메시지를 해당 문화 공간 주체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 장비 리스트에 있는 음향 장비의 시간 별 대여 상태가 대여 불가능 상태이면 상기 대여 요청 메시지에 대한 부정 응답 메시지를 해당 문화 공간 주체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 실연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실연 조건 및 문화 후원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후원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공연 실연 조건 및 상기 공연 후원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등록된 공연 기획 조건 및 문화 후원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후원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공연 기획 조건 및 상기 공연 후원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문화 후원자에 의한 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 또는 비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을 해당 공연 실연자 또는 해당 문화 공간 주체에게 지급되도록 중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화 공간 주체 및 상기 공연 실연자 사이의 공연 계약이 완료되어 전자 표준 계약서가 작성되면, 상기 전자 표준 계약서를 기초로 공연 시간 이전에 공연장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에 공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6. 공연 기획에 의해 등록된 공연 기획 조건이 저장되어 있는 문화 공간 주체 정보 테이블;
    공연 실연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조건이 저장되어 있는 공연 실연자 정보 테이블;
    공연 실연자에 의해 상기 공연 실연자 정보 테이블에 등록된 공연 실연 조건 및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상기 문화 공간 주체 정보 테이블에 등록된 공연 기획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공연 실연 조건 및 상기 공연 기획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해당 공연 실연자 및 해당 문화 공간 주체를 연결하여 상기 공연 실연자 및 상기 문화 공간 주체 사이의 공연 계약을 중개하여 전자 표준 계약서를 공연 실연자 단말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 각각에 제공하는 매칭 중개부; 및
    상기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비용 선결제가 처리되면 공연이 종료된 후 특정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공연 실연자의 계좌에 공연료로 입금처리 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는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영상 홍보인에 의해 등록된 영상 홍보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영상 홍보인 정보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 중개부는
    상기 영상 홍보인 정보 테이블에 등록된 영상 홍보인 정보를 공연 실연자 단말 및 문화 공간 주체 단말 각각에 제공하고, 상기 공연 실연자 단말 또는 상기 문화 공간 주체 단말로부터 상기 영상 홍보인에 의한 공연 영상 생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단말에 비용 선결제를 요청하고, 공연 중에 상기 영상 홍보인에 의해 생산된 공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공연 생산 요청에 따른 비용 선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비용 선결제가 처리되면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상기 영상 홍보인의 계좌로 입금 처리하는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대여 가능한 음향 장비가 있는 음향 장비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 중개부는
    상기 음향 장비 테이블에서 추출한 공연장에서 사용 가능한 음향 장비 리스트를 문화 공간 주체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문화 공간 주체에 의해 음향 장비 리스트 중 특정 음향 장비에 대한 대여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음향 장비 리스트에 있는 음향 장비의 시간 별 대여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음향 장비의 시간 별 대여 상태가 대여 가능 상태이면 상기 대여 요청 메시지에 대한 긍정 응답 메시지를 해당 문화 공간 주체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음향 장비 리스트에 있는 음향 장비의 시간 별 대여 상태가 대여 불가능 상태이면 상기 대여 요청 메시지에 대한 부정 응답 메시지를 해당 문화 공간 주체 단말에 제공하는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9. 제6항에 있어서,
    문화 후원자에 의해 등록된 공연 후원 조건이 저장되어 있는 문화 후원자 정보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매칭 중개부는
    공연 실연자에 의해 상기 공연 실연자 정보 테이블에 등록된 공연 실연 조건 및 문화 후원자에 의해 상기 문화 후원자 정보 테이블에 등록된 공연 기획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공연 실연 조건 및 상기 공연 후원 조건이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매칭 결과에 따라 상기 문화 후원자에 의한 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 또는 비금전적 공연 후원 자원을 해당 공연 실연자에게 지급되도록 중개 하는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중개부는
    상기 문화 공간 주체 및 상기 공연 실연자 사이의 공연 계약이 완료되어 전자 표준 계약서가 작성되면, 상기 전자 표준 계약서를 기초로 공연 시간 이전에 공연장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에 공연 정보를 제공하는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160068968A 2016-06-02 2016-06-02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27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968A KR101827560B1 (ko) 2016-06-02 2016-06-02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968A KR101827560B1 (ko) 2016-06-02 2016-06-02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867A true KR20170136867A (ko) 2017-12-12
KR101827560B1 KR101827560B1 (ko) 2018-02-09

Family

ID=6094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968A KR101827560B1 (ko) 2016-06-02 2016-06-02 공연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75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687B1 (ko) * 2023-08-17 2024-04-08 차준영 스폰서십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688B1 (ko) * 2006-02-20 2007-07-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티켓 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3045174A (ja) * 2011-08-22 2013-03-04 Yasutoshi Matsuda パフォーマー検索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687B1 (ko) * 2023-08-17 2024-04-08 차준영 스폰서십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7560B1 (ko)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dura Urquiaga et al. Platform-mediated short-term rentals and gentrification in Madrid
Webster et al. Valuing live music: The UK live music census 2017 report
US11620676B2 (en) Technologies for live entertaining and entertainment trending
US20080097826A1 (en) Demand aggregation for future items contingent upon threshold demand
US20080082355A1 (en) Integrated rights marketplace systems and methods
US200900061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mand aggregation for proposed future items
US20080243532A1 (en) Contingent purchase rights associated with consumer products
US20090070249A1 (en) Contingent event rights relating to team location
US20080109322A1 (en) Rights exchange user interface
US20080097827A1 (en) Demand aggregation for future item planning contingent upon threshold demand
US20080109321A1 (en) Contingent forward rights exchange
CN108370491A (zh) 用于内容递送的系统和方法
US20080109234A1 (en) Secondary market for contingent rights exchange
US20080109345A1 (en) Contingent rights exchange relating to non-post season sporting events
US20080103801A1 (en) Contingent travel rights exchange
US2008010929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icing contingent rights
US20080109323A1 (en) Associating media channels with a contingent rights exchange
US20080103920A1 (en) Contingent rights relating to a weather phenomenon
JP2009506451A (ja) ユビキタス音楽及びマルチメディア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80103802A1 (en) Contingent rights exchange relating to music production
US20080103919A1 (en) Contingent consumer product rights exchange
US20080109233A1 (en) Contingent rights exchange relating to a private event, good or service
US20080103803A1 (en) Contingent event rights relating to an event participant
WO2008028188A2 (en) Demand aggregation for future items contingent upon threshold demand
US20140019173A1 (en) Entertainment arran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