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6315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6315A
KR20170136315A KR1020160068243A KR20160068243A KR20170136315A KR 20170136315 A KR20170136315 A KR 20170136315A KR 1020160068243 A KR1020160068243 A KR 1020160068243A KR 20160068243 A KR20160068243 A KR 20160068243A KR 20170136315 A KR20170136315 A KR 20170136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over
hinge cover
state
hing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림
한종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8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6315A/ko
Publication of KR20170136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를 구비한 바디, 디스플레이부, 힌지어셈블리 및 힌지커버를 포함한다.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힌지어셈블리에 의해 연결되며, 동일 평면인 제1 상태와 접혀서 마주보는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힌지커버는, 힌지어셈블리의 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디스플레이부가 바디에 접한 상태에서 힌지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접혀지는 폴더블(foldable)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힌지어셈블리의 후면이 힌지커버에 의해 커버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바디에 접한 상태에서 구부러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접혀진 상태의 이동 단말기에서, 힌지어셈블리의 후면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의 후면을 커버하는 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힌지어셈블리의 후면을 커버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서 이격된 제2 바디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제1,2 바디의 일면 측에 상기 제1 바디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상기 제2 바디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되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2 바디 사이에서 상기 제1,2 바디를 연결하되, 상기 제1,2 바디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제1 상태와 상기 제1,2 바디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폴드(fold)된 제2 상태로 상기 제1,2 바디의 상태가 변경되도록 하는 힌지어셈블리; 및 상기 힌지어셈블리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힌지어셈블리에 연결되되, 상기 제1,2 바디의 상태에 따라 상기 힌지어셈블리와의 거리가 변경되는 힌지커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힌지어셈블리와 상기 힌지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어셈블리와 상기 힌지커버를 연결하는 힌지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힌지커버의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힌지커버슬롯과, 상기 힌지어셈블리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힌지커버슬롯에 끼워져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커버슬롯은, 상기 힌지커버에서 상기 힌지어셈블리를 향하는 방향과 나란한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힌지커버에서 상기 힌지어셈블리로 향하는 힘을 상기 힌지커버에 제공하는 힌지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마그넷부와, 상기 힌지커버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마그넷부와 자성결합(magnetic coupling)하는 제2 마그넷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 마그넷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자기장(magnetic field)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힌지커버와 상기 힌지어셈블리를 연결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 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커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힌지커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내지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힌지커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내지 2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힌지커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 내지 2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힌지커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좌표계(coordinate system)은 직교좌표계로서 카테시안 좌표계(Cartesian coordinate)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좌표계는 XYZ 좌표계이다. 본 명세서에서 XYZ 좌표계는 왼손방향(left handed direction)이다. 즉 왼손으로 X축에서 Y축으로 감았을 때 엄지가 가리키는 방향이 Z축이 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동 단말기(1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는, 바디(230)가 접히는 (foldable)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230)의 일 끝단과 타 끝단이 근접 및/또는 상호 접촉하는 형태로 접히는 형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디(230)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디스플레이부(D)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바디(230)는,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는, 제1,2 바디(210,2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는, 하나가 연속적으로 제1,2 바디(210,2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는, 바디(230)의 적어도 일면의 실질적으로 전면(全面)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종래의 폴더폰과는 다를 수 있다. 즉, 일면의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부 영역이 존재하던 종래의 폴더폰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바디(230)의 일 끝단과 타 끝단까지 하나의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부(D)는, 플랙서블한 형태일 수 있다. 즉, 바디(230)가 접히면,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D)도 접힐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점은, 종래의 디스플레이부와 다른 특징일 수 있다. 플랙서블한 디스플레이부(D)는, 바디(230)의 적어도 어느 일면의 실질적으로 전(全)영역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즉, Z 방향으로 T 만큼의 두께를 가지고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0)의 두께는, 바디(230)와 디스플레이부(D) 등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 구성물의 Z 방향 합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제1 상태(S1) 또는/및 제2 상태(S2)에 있을 수 있다. 제1 상태(S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30)가 펴져있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220)와 제2 바디(230)로 구분되는 바디(230)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상태가 제1 상태(S1)일 수 있다. 제1 상태(S1)에서, 이동 단말기(10)는 스틱 형태로 보여질 수 있다.
제2 상태(S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30)가 구부러져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220)가 제2 바디(230)에 폴드(fold)된 상태가 제2 상태(S2)일 수 있다. 제2 상태(S2)에서, 이동 단말기(10)의 길이는 약 절반으로 보여질 수 있다.
제1 상태(S1)에서 제2 상태(S2)로 구부러지는 과정에서 또는 제2 상태(S2)에서 제1 상태(S1)로 펴지는 과정에서, 바디(23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는 길이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길이 차이는, 이동 단말기(10)의 두께 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의 두께로 인하여, 바디(230)가 접혀진 제2 상태에서 바디(230) 내측면의 길이보다 바디(230) 외측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될 수 있다. 바디(230) 내측면의 길이보다 바디(230) 외측면의 길이가 길어지면, 바디(230)를 접는 경우에 바디(230) 내측면의 디스플레이부(D)에 주름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2 상태의 중간 상태에 있는 이동 단말기(10)를 도시한다. 이동 단말기(10)는, 제1,2 바디(210, 220)가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제3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는, 제1,2 바디(210, 220)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는, 제1,2 바디(210, 220)를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는, 제1,2 바디(210, 220)를 제3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상태에 있는 이동 단말기(10)를 도시한다. 이동 단말기(10)는, 제1,2 바디(210, 220)가 힌지어셈블리(L)를 중심으로 회전한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2 바디(210, 220)는, 상호 중첩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2 바디(210, 220)의 전면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는, 제2 상태에서 제1,2 바디(210, 2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에 포함된 힌지어셈블리(L)의 위치를 도시한다. 힌지어셈블리(L)는, 제1,2 바디(210, 2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는, 제1,2 바디(210, 220)를 연결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는, 제1,2 바디(210, 220)에 회전을 제공할 수 있다.
기판(P)은, 이동 단말기(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P)은, 제1,2 바디(210, 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P)은, 제1 바디(210)의 일측 또는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B)는, 이동 단말기(10)의 일측 또는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B)는, 제1,2 바디(210, 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B)는, 기판(P)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B)는, 기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B)는, 기판(P)이 제1 바디(210)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바디(220)에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B)는, 기판이 제2 바디(220)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바디(210)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는, 이동 단말기(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는, 제1,2 바디(210, 220)의 사이에서 제1,2 바디(210, 22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D)의 중심부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에서 힌지어셈블리(L)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의 양 측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에서 제1,2 바디(210, 220)상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는, 제1 상태에서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는, 제1 상태에서 굴곡지지 않을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에 연결된 지지플레이트(SP)의 상부면은, 제1 상태에서 힌지어셈블리(L)의 상부면 및 제1,2 바디(210, 220)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user)는, 제1 상태에서, 평평한 디스플레이부(D)에서 제공되는 화면에 용이하게 집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의 적어도 일부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태에서 함몰영역(recess area, RA)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함몰영역(RA)은, 지지플레이트(SP)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SP)는, 제1 지지플레이트(SP1)와 제2 지지플레이트(S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플레이트(SP1)는, 제1 바디(210)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지지플레이트(SP2)는, 제2 바디(220)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2 지지플레이트(SP1,2)는, 디스플레이부(D)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2 지지플레이트(SP1,2)는, 바디(230)가 제1 상태(S1)에서 제2 상태(S2)로 변화함에 따라, 형상이 구부러지면서 디스플레이부(D)가 구부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2 지지플레이트(SP1,2)는, 바디(230)가 제1 상태(S1)에서 제2 상태(S2)로 변화함에 따라, 힌지어셈블리(L)에 전체 길이를 줄이면서 바디(230)의 접힘에 따른 길이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바디(230)가 제2 상태(S2)에서 제1 상태(S1)로 변화하는 경우, 제1,2 지지플레이트(SP1,2)는, 바디(230)가 제1 상태(S1)에서 제2 상태(S2)로 변화하는 경우의 무브먼트(movement)의 역으로(adversely) 작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는, 힌지어셈블리(L)의 중심부에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는, 제1,2 바디(210, 220)의 적어도 일부에 접하면서 힌지어셈블리(L)의 중심부에 부착됨으로써, 제2 상태(S2)에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태(S2)에서 힌지어셈블리(L)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가 외부로 노출될 경우, 이동 단말기(10)의 전체 외관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가 외부로 노출될 경우, 힌지어셈블리(L)와 제1,2 바디(210, 220) 사이의 경계가 문제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와 제1,2 바디(210, 220) 사이에, 이물질이 침투할 우려가 있다. 힌지어셈블리(L)와 제1,2 바디(210, 220)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경우, 바디(230)가 제2 상태(S2)에서 제1 상태(S1)로 변화하면, 상기 이물질이 힌지어셈블리(L)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의 후면을 커버할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다. 또는 힌지어셈블리(L)와 제1,2 바디(210, 220) 사이 경계를 커버할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힌지어셈블리(L)는, 제1,2 바디(210, 220)에 연결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는 링크연결부(LC)에 의해 링크고정부(LF)에 연결될 수 있다. 링크고정부(LF)는 제1,2 바디(210, 220)에 고정될 수 있다. 링크연결부(LC) 및 링크고정부(LF)는, 힌지어셈블리(L)의 양 끝단과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링크연결부(LC) 및 링크고정부(LF)는, 제1,2 바디(210, 22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다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링크연결부(LC)는, 지지플레이트(SP)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링크연결부(LC)는, 제1 바디(210) 측에 연결된 제1 링크연결부(LC1)와 제2 바디(220) 측에 연결된 제2 링크연결부(LC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30)가 제1 상태(S1)에서 제2 상태(S2)로 변화하면, 제1,2 링크연결부(LC1,2)는 슬라이딩 이동하며 제1,2 지지플레이트(SP1,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2 지지플레이트(SP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휘어진 형상의 디스플레이부(D)를 수용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FC)는, 힌지영역(HA)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FC)는, 링크고정부(LF) 및 힌지어셈블리(L)의 적어도 일부가 후면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FC)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screw)를 통해 바디(230)와 결합할 수 있다. 프레임커버(FC)는, 제1 바디(210) 측에 위치한 제1 프레임커버(FC1)와 제2 바디(220) 측에 위치한 제2 프레임커버(FC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GR)는, 프레임 커버(FC)와 링크연결부(LC)와 대응되는 부분에서 프레임커버(FC)에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GR)는, 링크연결부(LC)가 제2 상태(S2)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링크연결부(LC)는, 제2 상태(S2)에서 그루브(GR)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디(230)와 프레임커버(FC)의 후면에 백커버(BC)가 위치할 수 있다. 백커버(BC)는, 바디(230)의 후면과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백커버(BC)의 끝단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백커버(BC)는, 제1 바디(210) 측에 위치한 제1 백커버(BC1)와 제2 바디(220) 측에 위치한 제2 백커버(BC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힌지어셈블리(L)의 전면사시도이다. 힌지어셈블리(L)의 전면은, 힌지어셈블리(L)가 제1,2 바디(210, 220)에 연결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D)가 향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는, 힌지바디(LBD)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바디(LBD)는, 힌지어셈블리(L)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힌지바디(LBD)는, 힌지어셈블리(L)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는, 고정축(SC)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축(SC)은, 힌지어셈블리(L)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고정축(SC)은, 힌지바디(LBD)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축(SC)은, 힌지어셈블리(L)의 양 끝단에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축(SC)은, 제1 고정축(SC1)과 제2 고정축(SC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축(SC1)은, 제1 바디(210)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바디(210)는, 제1 고정축(SC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고정축(SC2)은, 제2 바디(220)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바디(220)는, 제2 고정축(SC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8은, 힌지어셈블리(L)의 후면사시도이다. 힌지어셈블리(L)의 후면은, 바디(230)가 제1 상태(S1)에서, 바디(230)의 후면을 의미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는, 연결바(C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CB)는, 힌지어셈블리(L)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바(CB)는,힌지바디(LBD)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바(CB)는, 힌지어셈블리(L)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의 길이 방향은, 바디(230)가 접히는 라인(line)과 나란할 수 있다. 연결바(CB)는, 힌지어셈블리(L) 후면의 일 단부 측에서 타 단부 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8 힌지어셈블리(L)의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8에서 A-A'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9의 (b)는, 도 8에서 B-B'의 단면을 나타낸다.
연결바(CB)의 일부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바디(LBD)와 이격될 수 있다. 고랑영역(FR)은, 힌지바디(LBD)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랑영역(FR)은, 힌지바디(LBD)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영역일 수 있다. 고랑영역(FR)은, 연결바(CB)에 마주하며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바(CB)의 일부는 힌지바디(LBD)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바(CB)의 양단은, 힌지바디(LBD)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바(CB)는, 도 9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커버(HC)의 사시도이다. 도 10에서 커팅라인(cutting line) A-A'는, 도 8에 도시된 커팅라인 A-A'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0에서 커팅라인(cutting line) B-B'는, 도 8에 도시된 커팅라인 B-B'에 대응될 수 있다.
힌지커버(HC)는, 힌지어셈블리(L)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힌지커버(HC)는, 힌지어셈블리(L)의 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 힌지커버(HC)는, 힌지어셈블리(L) 후면과 제1,2 바디(210, 220) 사이 경계를 커버할 수 있다.
힌지커버(HC)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커버바디(HCBD)와 힌지커버연결부(HCR)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커버바디(HCBD)는, 힌지커버(HC)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힌지커버바디(HCBD)는, 힌지어셈블리(L)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힌지커버연결부(HCR)은, 힌지커버바디(HCBD)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커버연결부(HCR)은, 힌지커버바디(HCBD)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힌지커버연결부(HCR)은, 힌지커버바디(HCBD)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커버바디(HCBD)의 전면(前面)은, 힌지어셈블리(L)를 향하는 힌지커버바디(HCBD)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힌지커버연결부(HCR)은, 힌지어셈블리(L)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 힌지커버(HC)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a)는, 도 10 힌지커버(HC)를 A-A'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11의 (b)는, 도 10 힌지커버(HC)를 B-B'를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다.
힌지커버슬롯(HCSL)은, 힌지커버연결부(HCR)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커버슬롯(HCSL)은, 힌지커버바디(HCBD)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커버슬롯(HCSL)은, 힌지커버연결부(HCR)과 힌지커버바디(HCBD)의 연결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커버슬롯(HCSL)은, 도 8에 도시된 연결바(CB)에 연결될 수 있다. 힌지커버슬롯(HCSL)은, 도 8에 도시된 연결바(CB)를 끼울 수 있다. 힌지커버슬롯(HCSL)은, 도 8에 도시된 연결바(CB)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힌지커버슬롯(HCSL)은, 힌지커버연결부(HCR)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커버슬롯(HCSL)은, 길이방향을 가질 수 있다. 힌지커버슬롯(HCSL)의 길이 방향은, 힌지커버(HC)가 힌지어셈블리(L)를 향하는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힌지커버슬롯(HCSL)은, 끼워진 연결바(CB)가 슬라이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힌지커버슬롯(HCSL)이 연결바(CB)에 끼워져 이동할 수 있다. 힌지커버슬롯(HCSL)이 이동함에 따라, 힌지커버(HC)는 힌지어셈블리(L)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힌지커버(HC)가 힌지어셈블리(L)에 대하여 이동하는 방향은, 힌지커버슬롯(HCSL)의 길이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힌지커버함몰부(HCP)는, 힌지커버바디(HCBD)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커버함몰부(HCP)는, 힌지커버바디(HCBD)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커버함몰부(HCP)는, 힌지커버바디(HCBD)의 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패인 형상일 수 있다. 힌지커버함몰부(HCP)는, 도 9의 (b)에 도시된 연결바(CB)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힌지커버함몰부(HCP)는, 길이방향을 가질 수 있다. 힌지커버함몰부(HCP)의 길이방향은, 힌지커버슬롯(HCSL)과 나란할 수 있다. 힌지커버함몰부(HCP)는, 힌지커버슬롯(HCSL)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커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14에서, 힌지어셈블리(L)는 편의상 점선(dotted line)으로 표시되었다.
도 12는, 제2 상태(S2)에서 힌지어셈블리(L)에 결합된 힌지커버(HC)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힌지연결부(HCM)과 힌지결합부(CPM)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연결부(HCM)는, 힌지어셈블리(L)와 힌지커버(HC)를 연결할 수 있다. 힌지연결부(HCM)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CB)와 힌지커버슬롯(HCSL)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CB)는, 힌지커버슬롯(HCSL)에 끼워질 수 있다. 연결바(CB)는, 힌지커버슬롯(HCSL)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힌지결합부(CPM)는, 힌지어셈블리(L)와 힌지커버(HC) 사이에 힘을 매개할 수 있다. 힌지결합부(CPM)는, 힌지어셈블리(L)와 힌지커버(HC) 사이의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힌지결합부(CPM)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마그넷부(MG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넷부(MG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바디(210, 22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마그넷부(MG1)는, 힌지어셈블리(L)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마그넷부(MG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3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마그넷부(MG1)는 분절(segment)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마그넷부(MG2)는, 힌지커버(HC)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마그넷부(MG1)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상태(S2)에서 제2 마그넷부(MG2)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2 마그넷부(MG1,2)는, 자성결합(magnetic coupling)할 수 있다. 제1,2 마그넷부(MG1,2)는, 상호 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제1,2 마그넷부(MG1,2)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magnet)일 수 있다. 제1,2 마그넷부(MG1,2) 중 하나는, 자석에 이끌림 힘(attractive force)을 받는 강자성체(ferromagnetic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커버(HC)는, 바디(230)의 상태에 따라, 힌지어셈블리(L)와의 거리가 다를 수 있다. 힌지커버(HC)와 힌지어셈블리(L)의 거리는, 힌지커버(HC)의 일 지점과 힌지어셈블리(L)의 일 지점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힌지커버(HC)의 일 지점은, 힌지커버슬롯(HCSL)의 지점 중 힌지어셈블리(L)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지점일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L)의 일 지점은, 연결바(CB)의 중심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상태(S2)에서 힌지커버(HC)와 힌지어셈블리(L)의 거리는, DST1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제2 상태(S2)에서 힌지커버(HC)와 힌지어셈블리(L) 사이의 거리는, DST1으로부터 offset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바디(230)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에서 바디(230)의 상태는, 제2 상태(S2)와 제1 상태(S1) 사이의 상태일 수 있다. 제1,2 바디(210, 220)가 회전함에 따라 제1,2 바디(210, 220)의 일측이 힌지커버(HC)를 밀어낼 수 있다. 제1,2 바디(210, 220)가 힌지커버(HC)를 밀어냄에 따라, 힌지커버(HC)는 힌지어셈블리(L)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힌지커버(HC)가 힌지어셈블리(L)로부터 멀어지더라도, 제1,2 마그넷부(MG1,2)에 의하여, 힌지커버(HC)는 힌지어셈블리(L)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커버(HC)와 힌지어셈블리(L) 사이의 거리는, DST2로 나타낼 수 있다. DST2는, 도 12에 도시된 DST1에 비하여 클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바디(230)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제1 상태(S1)에서 힌지어셈블리(L)와 힌지커버(HC)의 결합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어셈블리(L)와 힌지커버(HC) 사이의 거리는 DST3로 나타낼 수 있다. DST3는, 도 13에 도시된 DST2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도 15 내지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힌지커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17에서, 힌지어셈블리(L)는 편의상 점선(dotted line)으로 표시되었다.
도 15는, 제2 상태(S2)에서 힌지어셈블리(L)에 결합된 힌지커버(HC)를 나타낸 도면이다. 힌지연결부(HCM)는, 연결바(CB)와 힌지커버슬롯(HCSL)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CB)는, 힌지커버슬롯(HCSL)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바(CB)는, 힌지커버슬롯(HCSL)에 끼워져 움직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커버(HC)와 힌지어셈블리(L) 사이의 거리는, DST1으로 나타낼 수 있다.
힌지결합부(CPM)는, 탄성부(SPR)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SPR)는, 힌지어셈블리(L)와 힌지커버(HC)를 연결할 수 있다. 탄성부(SPR)는,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 탄성부(SPR)는, 힌지어셈블리(L)와 힌지커버(HC)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SPR)는, 힌지어셈블리(L)와 힌지커버(HC) 사이에 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SPR)는, 힌지어셈블리(L)와 힌지커버(HC)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다른 힘을 힘지어셈블리(L)와 힌지커버(HC)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바디(230)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6에서 바디(230)의 상태는, 제2 상태(S2)와 제1 상태(S1) 사이의 상태일 수 있다. 제1,2 바디(210, 220)가 힌지커버(HC)를 밀어냄에 따라, 힌지커버(HC)는 힌지어셈블리(L)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힌지커버(HC)가 힌지어셈블리(L)로부터 멀어지더라도, 탄성부(SPR)에 의하여, 힌지커버(HC)는 힌지어셈블리(L)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커버(HC)와 힌지어셈블리(L) 사이의 거리는, DST2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7은, 도 16의 바디(230)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7은, 제1 상태(S1)에서 힌지어셈블리(L)와 힌지커버(HC)의 결합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어셈블리(L)와 힌지커버(HC) 사이의 거리는 DST3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8 내지 2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힌지커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내지 20에서, 힌지어셈블리(L)는, 편의상 점선(dotted line)으로 표시되었다.
도 18은, 제2 상태(S2)에서 힌지어셈블리(L)에 결합된 힌지커버(HC)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커버(HC)는, 힌지커버바디(HCBD)와 힌지커버보스(HCBS)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커버바디(HCBD)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힌지커버바디(HCBD)의 휘어진 형상은, 힌지커버바디(HCBD)와 힌지어셈블리(L)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힌지커버바디(HCBD)의 일 지점에서 힌지어셈블리(L) 사이의 거리는, 위치마다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커버바디(HCBD)의 중심에 인접한 일 지점과 힌지어셈블리(L) 사이의 거리는, GP1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힌지커버바디(HCBD)의 엣지에 인접한 일 지점과 힌지어셈블리(L) 사이의 거리는 GP2로 표시될 수 있다. 힌지커버바디(HCBD)의 휘어진 형상으로 인하여, GP1이 GP2에 비하여 클 수 있다.
힌지커버바디(HCBD)의 휘어진 형상은, 제1,2 바디(210, 220)가 회전할 때 제1,2 바디(210, 220)가 수용될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힌지커버(HC)가 힌지어셈블리(L)로부터 후퇴하지 않더라도 제1,2 바디(210, 220)가 회전될 수 있다.
힌지커버보스(HCBS)는, 힌지커버바디(HCBD)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힌지커버보스(HCBS)는, 힌지커버바디(HCBD)의 면(surface) 중에서 힌지어셈블리(L)를 향하는 면(surface)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커버보스(HCBS)는,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힌지커버보스(HCBS)는, 힌지어셈블리(L)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힌지커버보스(HCBS)는, 힌지어셈블리(L)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힌지커버보스(HCBS)는, 힌지커버(HC)가 힌지어셈블리(L)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8의 바디(230)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9에서 바디(230)의 상태는, 제2 상태(S2)와 제1 상태(S1) 사이의 상태일 수 있다. 힌지커버바디(HCBD)의 휘어진 형상은, 제1,2 바디(210, 220)가 회전한 상태에서, 제1,2 바디(210, 22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의 바디(230)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20은, 제1 상태(S1)에서 힌지어셈블리(L)와 힌지커버(HC)의 결합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1 내지 2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힌지커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내지 23에서, 힌지어셈블리(L)는 편의상 점선(dotted line)으로 표시되었다.
도 21은, 제2 상태(S2)에서 힌지어셈블리(L)에 결합된 힌지커버(HC)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헌지커버(HC)는, 힌지커버바디(HCBD)와 힌지커버보스(HCBS)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커버보스(HCBS)는, 힌지어셈블리(L)를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힌지커버보스(HCBS)는, 힌지커버바디(HCBD)의 일 면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커버보스(HCBS)는, 힌지어셈블리(L)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1,2 바디(210, 220)의 부분 중에서 힌지커버(HC)에 인접한 부분에, 커브드면(CRVS, curved surface)이 형성될 수 있다. 커브드면(CRVD)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커브드면(CRVD)은, 힌지커버(HC)를 향해 볼록한(convex)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2 바디(210, 220)가 회전하면, 커브드면(CRVD)의 형상은 제1,2 바디(210, 220)가 힌지커버(HC)에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2는, 도 21의 바디(230)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에서 바디(230)의 상태는, 제2 상태(S2)와 제1 상태(S1) 사이의 상태일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바디(210, 220)가 회전한 상태에서도 제1,2 바디(210, 220)가 힌지커버(HC)를 후퇴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23은, 도 22의 바디(230)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23은, 제1 상태(S1)에서 힌지어셈블리(L)와 힌지커버(HC)의 결합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S1)에서도 힌지커버(HC)는 힌지어셈블리(L)의 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
도 24 내지 2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힌지커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 내지 26에서, 힌지어셈블리(L)는, 편의상 점선(dotted line)으로 표시되었다.
도 24는, 제2 상태(S2)에서 힌지어셈블리(L)에 결합된 힌지커버(HC)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커버(HC)는, 힌지커버바디(HCBD)와 힌지커버연장부(HCEF)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커버바디(HCBD)는 힌지어셈블리(L)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힌지커버연장부(HCEF)는, 힌지커버바디(HCBD)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힌지커버연장부(HCEF)는 힌지어셈블리(L)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힌지커버연장부(HCEF)는,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힌지커버연장부(HCEF)는,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다. 힌지커버연장부(HCEF)는, 바디(230)와 힌지커버바디(HCBD)를 연결할 수 있다. 힌지커버연장부(HCEF)는, 부분적으로 신축성 또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힌지커버연장부(HCEF)의 부분 중에서 가요성을 가지는 부분은, 바디(23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커버연장부(HCEF)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커버연장부(HCEF)는, 제1,2 힌지커버연장부(HCEF)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힌지커버연장부(HCEF1)는, 제1 바디(2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힌지커버연장부(HCEF2)는, 제2 바디(2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함몰부(251)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바디(210, 22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함몰부(251)는, 제1,2 바디(210, 220)의 엣지(edge)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함몰부(251)는, 제1,2 바디(210, 220)의 면에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함몰부(251)는, 힌지어셈블리(L)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함몰부(251)는, 힌지커버(HC)의 엣지를 향하여 개구(opening)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함몰부(251)의 함몰된 방향은, 힌지커버(HC)에서 힌지어셈블리(L)를 향하는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함몰부(251)는, 힌지커버바디(HCBD)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함몰부(252)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함몰부(251)의 일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함몰부(252)는, 제1 함몰부(251)의 종점에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함몰부(252)의 함몰된 방향은, 제1 함몰부(251)의 함몰된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제2 함몰부(252)는, 힌지커버연장부(HCEF)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함몰부(252)는, 힌지커버연장부(HCEF)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5는, 도 24의 바디(230)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25에서 바디(230)의 상태는, 제2 상태(S2)와 제1 상태(S1) 사이의 상태일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바디(210, 220)가 회전한 상태에서도 제1,2 바디(210, 220)가 힌지커버(HC)를 후퇴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힌지커버연장부(HCEF)의 길이는, 도 24에 도시된 힌지커버연장부(HCEF)의 길이에 비하여 짧을 수 있다. 제1 함몰부(251)는, 힌지커버바디(HCBD)의 엣지에 인접할 수 있다.
도 26은, 도 25의 바디(230)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26은, 제1 상태(S1)에서 힌지어셈블리(L)와 힌지커버(HC)의 결합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태(S1)에서도 힌지커버(HC)는 힌지어셈블리(L)의 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상태(S1)에서, 제1 함몰부(251)는 힌지커버바디(HCBD)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이동 단말기 210: 제1 바디
220: 제2 바디 230: 바디
CB: 연결바 D: 디스플레이부
HC: 힌지커버 L: 힌지어셈블리

Claims (8)

  1.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에서 이격된 제2 바디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제1,2 바디의 일면 측에 상기 제1 바디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상기 제2 바디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중첩되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1,2 바디 사이에서 상기 제1,2 바디를 연결하되, 상기 제1,2 바디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 제1 상태와 상기 제1,2 바디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폴드(fold)된 제2 상태로 상기 제1,2 바디의 상태가 변경되도록 하는 힌지어셈블리; 및
    상기 힌지어셈블리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힌지어셈블리에 연결되되, 상기 제1,2 바디의 상태에 따라 상기 힌지어셈블리와의 거리가 변경되는 힌지커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어셈블리와 상기 힌지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어셈블리와 상기 힌지커버를 연결하는 힌지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힌지커버의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힌지커버슬롯과,
    상기 힌지어셈블리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힌지커버슬롯에 끼워져 연결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커버슬롯은,
    상기 힌지커버에서 상기 힌지어셈블리를 향하는 방향과 나란한 길이 방향을 가지는 이동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커버에서 상기 힌지어셈블리로 향하는 힘을 상기 힌지커버에 제공하는 힌지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마그넷부와,
    상기 힌지커버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마그넷부와 자성결합(magnetic coupling)하는 제2 마그넷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마그넷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자기장(magnetic field)을 형성하는 이동 단말기.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부는,
    상기 힌지커버와 상기 힌지어셈블리를 연결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60068243A 2016-06-01 2016-06-01 이동 단말기 KR20170136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243A KR20170136315A (ko) 2016-06-01 2016-06-01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243A KR20170136315A (ko) 2016-06-01 2016-06-01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315A true KR20170136315A (ko) 2017-12-11

Family

ID=6094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243A KR20170136315A (ko) 2016-06-01 2016-06-01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63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19A1 (ko) * 2018-09-21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231313A1 (ko) * 2021-04-30 2022-1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19A1 (ko) * 2018-09-21 2020-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231313A1 (ko) * 2021-04-30 2022-1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04662A1 (en) Mobile terminal
US9612623B2 (en) Mobile terminal
KR102415651B1 (ko) 이동 단말기
KR102319310B1 (ko) 이동단말기
US9729688B2 (en) Mobile terminal
US20180164852A1 (en) Mobile terminal
EP3255967A1 (en) Mobile terminal
KR102379913B1 (ko) 전자장치
KR101759950B1 (ko) 이동 단말기
US9877389B2 (en) Mobile terminal
KR101801192B1 (ko) 이동 단말기
KR20190007788A (ko) 이동 단말기
US10225385B2 (en) Mobile terminal
KR20170052964A (ko) 이동 단말기
KR101731375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97035A (ko) 이동 단말기
KR20170104837A (ko) 이동 단말기
KR20170136315A (ko) 이동 단말기
KR20160144105A (ko) 이동단말기
KR102166834B1 (ko) 이동 단말기
KR20180020653A (ko) 이동 단말기
KR20210149860A (ko) 접착 테이프 및 이동 단말기
KR20170111969A (ko) 이동 단말기
KR102269850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46129A (ko) 이동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