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647A - 다리 보호대 - Google Patents

다리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647A
KR20170135647A KR1020160173845A KR20160173845A KR20170135647A KR 20170135647 A KR20170135647 A KR 20170135647A KR 1020160173845 A KR1020160173845 A KR 1020160173845A KR 20160173845 A KR20160173845 A KR 20160173845A KR 20170135647 A KR20170135647 A KR 20170135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plate
foot
state
pro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환
Original Assignee
김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환 filed Critical 김충환
Priority to KR1020160173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5647A/ko
Publication of KR20170135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5Shoe-like orthopaedic devices for protecting the feet against injuries after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발과 다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탄성소재로 이뤄진 다리 보호대로서, 발을 받치는 바닥판부; 및 상기 바닥판부의 상측으로 연결 형성되며 발과 다리의 측면부와 후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보호부는 상기 바닥판부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의 변위가 이뤄지지 않은 제1 상태와, 상기 바닥판부의 전방 측으로 기울어진 제2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상태에서 보호부에 발생한 탄성변형에 의해 제1 상태로의 복원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보호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다리 보호대 {Leg Protector}
본 발명은 다리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발 또는 다리의 골절, 염좌 등의 상황에서 발 또는 다리에 깁스를 하지 않고서도 다리 등을 보호할 수 있으며, 특히 하나의 형상으로 좌측 및 우측 다리 모두에 적용될 수 있고, 발과 다리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보행에 따른 탄성변형을 형상 복원력으로 제공함으로써, 착용감이 뛰어나고 다리 등의 견고한 고정이 이뤄지며 착용자의 보행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리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사무실 또는 가정에 앉아서 생활하는 일이 많아짐에 따라 과거보다 다리를 포함한 하반신을 움직이는 일이 줄어들게 되고, 다리 등이 갑작스러운 움직임에 대처할만큼의 근력 및 유연성이 떨어져서 부상을 당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발 또는 다리 등에 염좌, 골절 등의 부상이 발생하는 경우, 물리적 치료와 더불어 발 또는 다리 등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등의 안정적 보호가 필요하여 종래, 부목 등을 이용하거나 깁스(Gibs)에 의해 발 또는 다리 등을 고정 및 보호함으로써 부상에서 빠른 회복을 돕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부목 또는 깁스가 부상을 당한 다리를 견고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다리 등을 고정하기 위해 여러 부재를 필요로 하고, 특히 깁스를 이용한 기술의 경우 움직임이 지나지게 제한되어 간단한 움직임조차 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다.
다리 등의 부상시에도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5186호의 "깁스용 신발"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깁스한 발의 하부를 받칠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밑창을 구비하여, 깁스한 환자를 위해 발 보호뿐 아니라 충격흡수를 향상시키고 외부 활동 시 편리하고 안전하게 착화를 도와준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실외에서의 활동을 위한 깁스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에 그칠 뿐, 실내에서의 보행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리 고정을 위해 깁스를 한 상태이므로 장시간 다리를 씻기 어려우며, 깁스한 측의 다리가 무거워지며, 환자의 골절의 개선 상태 확인을 위해 X-ray 등을 촬영하거나 상태 변화에 따른 깁스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깁스를 해체하고 다시 깁스를 해야 하므로 환자의 상태에 따른 대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착용자는 깁스용 신발을 신고 보행 시에 발이나 다리가 다친 상태이므로 정상 상태처럼 힘을 주며 보행을 하기에 어려움이 있는데, 종래기술은 착용자의 발을 감싸서 보호하는 기본적인 기능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행 시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5186호 (2013년04월10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 또는 다리의 골절, 염좌 등의 상황에서 발 또는 다리에 깁스를 하지 않고서도 다리 등을 보호할 수 있으며, 특히 하나의 형상으로 좌측 및 우측 다리 모두에 적용될 수 있고, 발과 다리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보행에 따른 탄성변형을 형상 복원력으로 제공함으로써, 착용감이 뛰어나고 다리 등의 견고한 고정이 이뤄지며 착용자의 보행 편의성을 향상시킨 다리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발과 다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탄성소재로 이뤄진 다리 보호대로서, 발을 받치는 바닥판부; 및 상기 바닥판부의 상측으로 연결 형성되며 발과 다리의 측면부와 후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보호부는 상기 바닥판부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의 변위가 이뤄지지 않은 제1 상태와, 상기 바닥판부의 전방 측으로 기울어진 제2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상태에서 보호부에 발생한 탄성변형에 의해 제1 상태로의 복원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보호대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부는 발목 부위 좌우 양측에 착용자의 복숭아뼈 위치에 상응하는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변형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상기 보호부가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부는, 발과 다리의 후면부를 보호하는 뒷판과, 발과 다리의 측면부를 보호하는 좌측 및 우측 측판을 포함하여 이뤄지고, 상기 뒷판과 좌측 및 우측 측판은 각각 제1 연결부에 의해 연결 형성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측판은 각각 상기 개구부의 하측 전단에 위치한 발보호판과 상기 개구부의 상측 후단에 위치한 다리보호판을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측판에는 각각 파스너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파스너 체결부는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착용자의 발등 쪽에서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발보호판에 형성되는 제1 파스너 체결부와,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착용자의 다리 전면 쪽에서 다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다리보호판에 형성되는 제2 파스너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발 또는 다리에 골절, 염좌, 타박상 등이 발생하여 발 또는 다리를 보호해야 하는 경우, 깁스를 하지 않고도 발과 다리를 전체적으로 고정 및 보호하여 환자가 부상에서 빨리 회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좌측 및 우측 다리의 구분이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면서도 슬림한 형상을 가지며, 발과 다리에 적절하게 밀착 고정되므로 착용감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리 보호대의 탈착이 용이하며, 착용자마다 다른 다리의 두께, 형상 등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으므로, 다리 등의 견고한 고정이 이뤄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발과 다리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보행에 따른 탄성변형을 형상 복원력으로 제공함으로써, 발이나 다리가 다친 상태인 착용자의 보행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스너가 체결된 다리 보호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스너가 체결된 다리 보호대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착용자의 보행에 의한 탄성변형이 발생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는 발과 다리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발과 다리의 크기, 모양 등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압박, 고정, 보호가 이뤄질 수 있도록 탄성소재(예, 합성수지재, 경질 고무재)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수지재로서는, PE, PC, 나일론 수지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다리 보호대(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발과 다리를 감싸도록 형성된 보호부(20)가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바닥판부(10)의 전방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이룰 때, 탄성변형에 의한 원 상태로의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의 경질 탄성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는 발을 받치는 바닥판부(10), 발과 다리를 고정, 보호하는 보호부(2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바닥판부(10)는 일예로, 좌측 또는 우측 발바닥의 평면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좌, 우측 양쪽의 발 모두에 적용될 수 있도록 좌우가 대칭이고 전면부가 후면부보다 넓은 형태의 판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은 다리 보호대(1)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다리 보호대(1)의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하며, 같은 상태에서 발가락에 가까운 쪽이 '전면', 발뒤꿈치에 가까운 쪽이 '후면'에 해당된다.
상기 바닥판부(10)는 편안한 걸음을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닥판부(10) 하면에는 굽(부호 미도시)이 형성되어 바닥판부(1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뒤꿈치의 적절한 각도 조절이 이뤄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부(20)는 상기 바닥판부(10)의 상측으로 연결 형성되며, 발과 다리의 측면부와 후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부(10)와 보호부(20)는 제조 및 조립공정의 단순화를 통한 비용절감을 위해 일체로 연결 형성(예, 용융된 탄성소재를 금형을 이용하여 일체로 가압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예로, 결합수단(예, 바닥판부(10) 및 보호부(20) 각각에 기구적으로 형성된 결합수단, 리벳, 볼트와 너트 등)을 통해 바닥판부(10)와 보호부(20)의 상호 결합이 이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보호부(20)는 상기 바닥판부(10)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의 변위가 이뤄지지 않은 제1 상태와, 상기 바닥판부(10)의 전방 측으로 기울어진 제2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제2 상태에서 보호부(20)에 발생한 탄성변형에 의해 제1 상태로의 복원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바닥판부(10)와 보호부(20)는 탄성소재가 사출성형 또는 가압성형을 통해 일체로 연결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호부(20)는 발목 부위 좌우 양측에 착용자의 복숭아뼈 위치에 상응하는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부(29)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 착용시 착용자의 복숭아뼈에 압박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29)가 좌우 양측에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를 착용한 착용자의 복숭아뼈 부위의 보호부(20)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좌우 폭이 슬림한 다리 보호대(1)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호부(20)는 제1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부(10)의 전방 측으로 기울어진 제2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개구부(29)를 중심으로 상기 보호부(20)가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탄성변형이 이뤄지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제2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29)를 중심으로 상기 보호부(20)가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탄성변형이 이뤄지면, 제1 상태(서 있는 상태)와 제2 상태(보행을 위해 발바닥 앞쪽을 내딛어 바닥판부와 보호부 간의 휨이 발생된 상태)의 변화 시에 착용자의 발이나 다리를 압박하지 않으면서 제1 상태로의 형상 복원을 위한 복원력을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착용자는 다친 다리나 발에 큰 힘을 주지 않으면서도 다리보호대(1)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편하게 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의 측단면도로서 도 4의 B-B'를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스너가 체결된 다리 보호대(1)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호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의 후면부를 보호하는 뒷판(22)과 발과 다리의 측면부를 보호하는 좌측 및 우측 측판(26, 26')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보호부(20)의 후면부에 위치한 뒷판(22)은 다리의 뒷부분을 지지하게 되고, 보호부(20)의 양측면에 위치한 좌측 및 우측 측판(26, 26')은 다리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한편, 발등을 포함한 발을 고정, 보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뒷판(22)과 좌측 및 우측 측판(26, 2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1 연결부(24)에 의해 연결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24)는 바람직하게 뒷판(22)과 좌측 및 우측 측판(26, 26')과 일체로 형성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의 탄성소재로 이뤄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뒷판(22)과 좌측 및 우측 측판(26, 26')은 상대적으로 경질의 소재로 이뤄지고 제1 연결부(24)는 상대적으로 연질의 소재로 이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예로, 본 실시예의 상기 제1 연결부(24)는 뒷판(22) 및 측판과 동일 소재로 이뤄지면서 각각의 연결부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뒷판(22)과 좌측 및 우측 측판(26, 26')이 동일한 재질의 탄성소재로 이뤄진 경우에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4)의 두께(t2)를 측판의 연결부위의 두께(t1) 및 뒷판(22)의 연결부위의 두께(부호 미도시)보다 얇게 형성함으로써, 뒷판(22), 좌측 및 우측 측판(26, 26')과 제1 연결부(24) 사이의 상대적 두께 차이로 인해 각각 상대적으로 경질과 연질의 소재로 구성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게 된다.
따라서, 상기 뒷판(22)과 좌측 및 우측 측판(26, 26')이 상대적으로 경질의 특성으로 인해 각각 다리의 후면 및 측면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각 판의 상호간에는 유연성을 가지므로 다리를 모든 방향에서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게 된다.
부연하면 상기 보호부(20) 형상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경질로 이뤄지게 되는 뒷판(22)과 좌측 및 우측 측판(26, 26')이 상대적으로 연질로 이뤄지게 되는 제1 연결부(24)에 의해 연결된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종래 부목이 갖는 견고성 및 부목으로 다리를 압박하도록 연결하는 붕대(줄)가 갖는 유연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제1 연결부(24)를 통한 연결 형성 구성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 또는 그 역으로의 변형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연결부위의 두께는 뒷판(22)과 좌측 및 우측 측판(26, 26')과 제1 연결부(24)가 직접 연결되는 부위의 두께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좌측 및 우측 측판(26, 26')에는 각각 전단에 위치한 발보호판과 후단에 위치한 다리보호판이 포함되어 이뤄진다.
일예로, 상기 발보호판은 상기 개구부의 하측 전단에 위치하며, 상기 다리보호판은 개구부의 상측 후단에 위치한다. 상기 발보호판 및 다리보호판의 위치는 전반적인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발보호판 및 다리보호판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하측 후단 또는 상측 전단까지 일부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좌측 측판(26)에는 좌측 발보호판(26a)과 좌측 다리보호판(26b)이 포함되며, 우측 측판(26')에는 우측 발보호판(26a')과 우측 다리보호판(26b')이 포함되어 이뤄진다.
상기 좌측 및 우측 발보호판(26a, 26a')은 발을 고정하는 한편 외부의 충격, 손상으로부터 발을 보호하며, 좌측 및 우측 다리보호판(26b, 26b')은 다리를 고정하는 한편 외부의 충격, 손상으로부터 다리를 보호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발보호판(26a, 26a'), 좌측 및 우측 다리보호판(26b, 26b')은 상호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발과 다리를 일체로 고정하면서도 각각의 부위를 더욱 잘 감싸도록 전술한 제1 연결부(24) 및 후술하는 제2 연결부(28)와 유사한 형태의 연결재(부호 미도시)에 의해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측판(26, 26'), 즉 상기 좌측 및 우측 발보호판(26a, 26a') 및 좌측 및 우측 다리보호판(26b, 26b')에는 일예로, 각각 파스너(fastener) 체결부(26c,26d)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스너 체결부(26c)는 상기 개구부(29)를 중심으로 착용자의 발등 쪽에서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발보호판(26a, 26a')에 형성되는 제1 파스너 체결부(26c)와, 상기 개구부(29)를 중심으로 착용자의 다리 전면 쪽에서 다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다리보호판(26b, 26b')에 형성되는 제2 파스너 체결부(26d)를 포함한다.
이때, 좌측 및 우측 발보호판(26a, 26a')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제1 파스너 체결부(26c)가 형성될 수 있으며, 좌측 및 우측 다리보호판(26b, 26b')에도 각각 하나 이상의 제2 파스너 체결부(26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파스너 체결부(26c,26d)에는 파스너(90)가 삽입되어 발과 다리를 고정, 보호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벨크로(velcro) 타입의 파스너(90)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공지의 연결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파스너(90) 및 파스너 체결부(26c,26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좌측 및 우측 다리보호판(26b, 26b')에 형성된 제2 파스너 체결부(26d)의 높이 범위는 상기 제1 연결부(24)의 높이 범위와 적어도 일부가 중복된다.
이러한 높이 범위의 중복은, 상기 좌측 및 우측 다리보호판(26b, 26b')에 형성된 제2 파스너 체결부(26d)에 체결되는 파스너 폭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 연결부(24)의 폭의 적어도 일부는 환상(環狀)을 이루는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파스너 폭의 일부와 제1 연결부(24) 폭의 일부가 하나의 띠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너를 전면에만 체결함에도 전체적으로 다리를 파스너에 의해 고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다리의 밀착 고정이 이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파스너 체결부(26c)와 제2 파스너 체결부(26d)가 착용자의 발등과 다리를 견고하게 착용 상태로 유지해줌에 따라, 착용자의 보행 시에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의 변형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연결부(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뒷판(22)과 좌측 및 우측 다리보호판(26b, 26b')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 상부연결부(24a)와, 상기 뒷판(22)과 좌측 및 우측 다리보호판(26b, 26b')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1 하부연결부(24b)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제1 상부연결부(24a) 및 제1 하부연결부(24b)는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뒷판(22), 좌측 및 우측 다리보호판(26b, 26b')과 동일한 소재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상부연결부(24a)는 2개로 이뤄지며, 이러한 구성은 상기 뒷판(22), 좌측 및 우측 다리보호판(26b, 26b')이 착용자의 다리를 전체적으로 더욱 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상부연결부(24a)의 상하 폭의 최소값은 상기 제1 하부연결부(24b)의 상하 폭의 최소값보다 크지 않게 형성된다.
일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연결부(24a)가 2개로 이뤄진 경우, 2개 모두의 상하 폭의 최소값을 더한 값(l1a + l1b)이 상기 제1 하부연결부(24b)의 상하 폭의 최소값(l2)보다 크지 않게 형성되도록 한다.
발목 등의 골절시 발에 근접한 다리의 하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더욱 견고히 고정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1 하부연결부(24b)가 제1 상부연결부(24a)에 비해 더욱 견고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동일한 소재,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 연결단면적이 더 넓을수록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상부연결부(24a)의 상하폭의 최소값이 상기 제1 하부연결부(24b)의 상하 폭의 최소값보다 크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뒷판(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형성되는 상판(22a)과 하부에 형성되는 하판(22b)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다리는 상부측에 가까울수록 두껍고, 하부측에 가까울수록 상대적으로 얇게 되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다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부측과 하부측이 각각 별도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상판(22a)과 하판(22b)은 각각 일정 범위내 상호 유동성 있는 움직임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예로, 상판(22a)과 하판(22b)이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상판(22a)과 하판(22b)이 별도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판(22a)과 하판(22b)은 제2 연결부(28)에 의해 연결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부(28)는 바람직하게 상기 상판(22a) 및 하판(22b)과 일체로 형성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의 탄성소재로 이뤄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상판(22a) 및 하판(22b)은 상대적으로 경질의 소재로 이뤄지고 제2 연결부(28)는 상대적으로 연질의 소재로 이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예로, 본 실시예의 상기 제2 연결부(28)는 상판(22a) 및 하판(22b)과 동일 소재로 이뤄지면서 각각의 연결부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상판(22a) 및 하판(22b)이 동일한 재질의 탄성소재로 이뤄진 경우에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28)의 두께(t4)를 상판(22a)의 연결부위의 두께(t3) 및 하판(22b)의 연결부위의 두께(t5)보다 얇게 형성함으로써, 상판(22a) 및 하판(22b)과 제2 연결부(28) 사이의 상대적 두께 차이로 인해 각각 상대적으로 경질과 연질의 소재로 구성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판(22a) 및 하판(22b)이 상대적으로 경질의 특성으로 인해 각각 다리의 상부측과 하부측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각 판의 상호간에는 유연성을 가지므로 다리를 모든 방향에서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게 된다.
상기 각각의 연결부위의 두께는 상판(22a) 및 하판(22b)과 제2 연결부(28)가 직접 연결되는 부위의 두께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좌측 및 우측 측판(26, 26')은 동일 소재로 이뤄지면서 상기 상판(22a) 및 하판(22b)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즉, 발과 다리의 뒷 부분을 지지하는 상판(22a) 및 하판(22b)을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다리 뒷 부분의 견고한 지지가 이뤄질 수 있고, 좌측 및 우측 측판(26, 26')을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함으로써 발과 다리의 양 측면을 밀착하여 감싸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는 상기 하판(22b) 및 상판(22a)보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측판(26, 26')이 더 얇게 형성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측판(26, 26')보다 상기 제1 연결부(24) 및 제2 연결부(28)가 더 얇게 형성된다.
이렇게 각각의 판과 연결부의 두께를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 또는 그 역으로의 변형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상기 하판(22b) 및 상판(22a)의 두께는 5mm±0.5mm로 형성되는 것이 견고함을 유지하면서도 적절한 무게를 갖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측판(26, 26')의 두께는 각각 4mm±0.4mm, 상기 제1 연결부(24) 및 제2 연결부(28)의 두께는 각각 3mm±0.3mm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부(2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의 무게를 줄이고, 땀 배출 및 통풍을 원활하게 하도록 통기공(23)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부(10)의 하면에 밑창(60)을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밑창(60)은 다리 보호대(1)의 착용 상태에서 편안하게 걸을 수 있도록 쿠션감을 제공하는 한편, 다리 보호대(1)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밑창(60)은 일예로, 공지의 압입식 체결 구조를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다리 보호대(1)와 접착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밑창(60)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경우, 실내에서는 밑창(60)을 탈거하고, 실외에서는 상기 밑창(60)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착용자가 다리 보호대(1)를 착용한 상태에서 실내외 어느 곳이든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리 보호대(1)는, 발가락을 보호하기 위한 발가락 덮개부(30)를 더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발가락 덮개부(30)는 상기 바닥판부(10)의 전면부 상측에 구비되며, 발가락을 상부에서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발가락 덮개부(30)는 신발의 신발코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발가락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발가락 덮개부(30)는 발가락을 보호하는 커버(32)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커버(32)는 일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를 절반으로 나눈 것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커버(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2)의 단부가 상기 바닥판부(10)의 주변측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의 단면도로서, 도 1의 A-A'를 바라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가락 덮개부(30) 일측 위치에 형성되어 다리 보호대(1) 착용상태에서도 발가락 덮개부(30)를 착탈가능하도록 하는 착탈결합수단(40)을 더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착탈결합수단(40)은 일예로, 탄성력에 의한 끼움결합이 이뤄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착탈결합수단(40)은, 상기 커버(32)의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탄성삽입편(44)과, 상기 바닥판부(10)에 형성되되 상기 탄성삽입편(44)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삽입공(46)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탄성삽입편(44)은 일예로, 상기 커버(32)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삽입편(44)은 일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으로 이뤄져 일단이 상기 커버(32)의 단부에 연결되며, 타단에는 결합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46)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착탈부(49)가 구비된다.
착탈부(49)는 결합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부(10)의 삽입공(46)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므로, 착용자는 바닥판부(10)의 상측에서 착탈부(49)를 조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판부(10)의 상면에는 3~7 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쿠숀 패드(미도시)가 부착될 수도 있으며, 착탈부(49)의 최상단부는 쿠숀 패드(미도시)의 상단면보다 약간 낮은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착용 상태에서 착탈부(49)의 최상단부는 쿠숀 패드(미도시)의 상단면보다 높게 노출되지 않으므로 착용자의 착용감에 불편을 주지 않으면서도, 착탈 조작이 필요한 경우 착용자는 쿠숀 패드를 약간 눌러 압축시킨 상태에서 착탈부(49)의 최상단부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46)보다 U자 형상의 탄성삽입편(44)의 수축 전 크기(너비)가 더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탄성삽입편(44)이 삽입공(46)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탄성삽입편(44)의 타단(착탈부(49)측)은 상기 삽입공(46)의 일측면에 가압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삽입편(44)이 가압 접촉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상기 삽입공(46)으로부터 탈락되지 않으므로, 상기 발가락 덮개부(30)와 바닥판부(10)가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삽입편(44)은 상기 타단 일측에 걸림부(45)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45)는 상기 접촉이 이뤄지는 삽입공(46)의 일측면에 구비된 걸림턱(47)에 걸림이 이뤄져 착탈결합수단(40)이 삽입공(46)으로부터 용이탈락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바닥판부(10)에서 발가락 덮개부(30)를 분리하는 것은 다리 보호대(1)의 착용상태에서 상기 덮개부(30) 내측으로 손가락을 넣어 상기 착탈부(49)를 외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삽입편(44), 특히 상기 착탈부(49)는 상기 커버의 끝단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착탈결합수단(40)이 상기 커버(32)의 단부 좌우 양측으로 하나씩 형성되므로, 착용자의 발이 한쪽으로 쏠려서 상기 착탈부(49)를 밀게 되더라도 상기 발가락 덮개부(30)와 바닥판부(10)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32)는 단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삽입편(34)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부(10)는 상기 돌출삽입편(34)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돌출삽입편(34)이 삽입 가능한 홈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삽입편(34) 및 홈부(14)는 상기 착탈결합수단(40)과 더불어 발가락 덮개부(30)와 바닥판부(10) 사이의 결합이 더욱 견고히 이뤄지도록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돌출삽입편(34)은 상기 홈부(14)에 억지 끼움결합에 의해 고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상기 홈부(14)의 내부 크기(길이 및/또는 너비)가 상기 돌출삽입편(34)의 외부 크기(길이 및/또는 너비)보다 크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삽입편(34) 및 홈부(14)는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32)의 전면(前面) 단부 주변으로 형성되어 상기 발가락 덮개부(30)와 상기 바닥판부(10)의 전면(前面)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32)와 바닥판부(10)가 결합되는 부분(돌출삽입편(34)과 홈부(14) 및 착탈결합수단(40))은 착용자(예, 발가락 골절 환자)의 발바닥에 의해 눌려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 보호대(1)의 착용자 자신의 하중에 의해 바닥판부(10)가 하부로 가압되어도, 상기 커버(32)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발가락 덮개부(30)와 바닥판부(10) 사이의 분리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어 발가락 덮개부(30)를 상부측으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스너가 체결된 다리 보호대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착용자의 보행에 의한 탄성변형이 발생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상태에 해당하며, 도 8은 제2 상태에 해당한다.
제1 상태에서는 상기 개구부(29)의 상부(29a), 중간부(29b), 하부(29c)가 대략 동일한 면(측면부)에 위치한 것과 같은 상태를 이룬다.
착용자의 보행(바닥을 딛고 다리를 앞으로 기울인 상태)에 의해, 상기 보호부(20)가 제1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부(10)의 전방 측으로 기울어진 제2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개구부(29)를 중심으로 상기 보호부(20)가 외측(E1,E2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탄성변형이 이뤄진다.
이때, 좌측 및 우측 발보호판(26a, 26a')은 제1 파스너 체결부(26c)에 의해 착용자의 발등에 밀착 고정되고, 좌측 및 우측 다리보호판(26b, 26b')은 제2 파스너 체결부(26d)에 의해 착용자의 다리에 밀착 고정된 상태이므로, 파스너 체결부가 위치하지 않는 상기 개구부(29)의 중간부(29b) 및 그 인접부가 외측으로 확장하게 된다.
이 경우, 다리 보호대(1)가 탄성 소재로 이뤄지므로, 외측으로 확장된 부위에 탄성변형에 의한 응력이 축적되며, 이러한 응력이 제1 상태로의 복원력으로 작용하게 되며, 착용자는 상기 복원력에 의해 발이나 다리에 무리하게 힘을 주지 않아도 보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착용자가 보행 상태에서 직립 상태(또는 발이 바닥과 이격된 상태)를 이룸에 따라, 상기 복원력에 의해 제2 상태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 다리 보호대
10: 바닥판부 14: 홈부
20: 보호부 22: 뒷판
22a: 상판 22b: 하판
24: 제1 연결부 24a: 제1 상부연결부
24b: 제1 하부연결부 26: 좌측 측판
26': 우측 측판 26a: 좌측 발보호판
26b: 좌측 다리보호판 26a': 우측 발보호판
26b': 우측 다리보호판 26c: 파스너 체결부
28: 제2 연결부 30: 발가락 덮개부
32: 커버 34: 돌출삽입편
40: 착탈결합수단 44: 탄성삽입편
46: 삽입공 60: 밑창
90: 파스너

Claims (3)

  1. 발과 다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탄성소재로 이뤄진 다리 보호대로서,
    발을 받치는 바닥판부; 및
    상기 바닥판부의 상측으로 연결 형성되며 발과 다리의 측면부와 후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호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보호부는 상기 바닥판부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의 변위가 이뤄지지 않은 제1 상태와, 상기 바닥판부의 전방 측으로 기울어진 제2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상태에서 보호부에 발생한 탄성변형에 의해 제1 상태로의 복원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발목 부위 좌우 양측에 착용자의 복숭아뼈 위치에 상응하는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변형은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상기 보호부가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보호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발과 다리의 후면부를 보호하는 뒷판과, 발과 다리의 측면부를 보호하는 좌측 및 우측 측판을 포함하여 이뤄지고, 상기 뒷판과 좌측 및 우측 측판은 각각 제1 연결부에 의해 연결 형성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측판은 각각 상기 개구부의 하측 전단에 위치한 발보호판과 상기 개구부의 상측 후단에 위치한 다리보호판을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측판에는 각각 파스너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파스너 체결부는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착용자의 발등 쪽에서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발보호판에 형성되는 제1 파스너 체결부와,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착용자의 다리 전면 쪽에서 다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다리보호판에 형성되는 제2 파스너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보호대.
KR1020160173845A 2016-12-19 2016-12-19 다리 보호대 KR20170135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845A KR20170135647A (ko) 2016-12-19 2016-12-19 다리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845A KR20170135647A (ko) 2016-12-19 2016-12-19 다리 보호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694 Division 2016-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647A true KR20170135647A (ko) 2017-12-08

Family

ID=6091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845A KR20170135647A (ko) 2016-12-19 2016-12-19 다리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56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6411B2 (ja) 足プロテクターおよびそのためのインソール
KR101694792B1 (ko)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CN113840555B (zh) 易穿功能鞋
JP3218602U (ja) 足部補助具
JP7440114B2 (ja) 足プロテクター
US20180042336A1 (en) Cushion pad
KR101694805B1 (ko) 다리 보호대
KR101694798B1 (ko) 다리 보호대
KR101996622B1 (ko) 다리 보호대
CN217337582U (zh) 一种护踝鞋和脚踝保护件
KR20170135647A (ko) 다리 보호대
KR20170107356A (ko) 다리 보호대
KR102472598B1 (ko) 다리 보호대
KR102506592B1 (ko)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KR20170135646A (ko) 다리 보호대
CN114173601A (zh) 踝足矫形器
KR102238690B1 (ko) 보행보조 기구
KR200465099Y1 (ko) 보행 개선용 재활 보조기
KR20170130913A (ko) 안전화
KR20230123797A (ko) 아치 스프링 결합 구조의 신발 물품
JP2020058679A (ja) 短下肢装具
TW202108095A (zh) 具有氣墊之復健鞋
TWM583749U (zh) 矯正鞋墊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