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493A -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 - Google Patents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493A
KR20170135493A KR1020160067501A KR20160067501A KR20170135493A KR 20170135493 A KR20170135493 A KR 20170135493A KR 1020160067501 A KR1020160067501 A KR 1020160067501A KR 20160067501 A KR20160067501 A KR 20160067501A KR 20170135493 A KR20170135493 A KR 20170135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oral cavity
main body
sensor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563B1 (ko
Inventor
김창훈
김효현
Original Assignee
㈜엠알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알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엠알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60067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56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5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3Evaluating skin constituents, e.g. elastin, melan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5Evaluating skin irritation or skin trauma, e.g. rash, eczema, wound, bed s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와 구강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된 미용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에 파지 가능하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고, 일면에 삽설하여 피부 또는 구강에 근접하여 가압을 통해 on/off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위치(11)(12)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스위치(11)(12) 상에 각각 설치되어 피부 또는 구강의 PH(hydrogen exponent) 측정을 통한 피부질병과 충치 예측과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센서부(20); 상기 본체(10) 상에 센서부(20)로부터 얻은 피부PH 정보와 체온 정보를 저장하는 마이컴부(30); 및 상기 본체(10) 상에 피부 또는 구강의 PH와 체온 정보를 확인하는 단말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와 구강에 PH 측정을 통하여 피부질병 또는 충치의 발생을 사전에 예측함에 따라 병의 악화를 방지하고, 단말수단을 통해 피부와 치아를 관리하는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care beauty instrument capable mobile healthcare}
본 발명은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피부와 구강에 PH 측정을 통하여 피부질병 또는 충치의 발생을 사전에 예측함에 따라 병의 악화를 방지하고, 단말수단을 통해 피부와 치아를 관리하는 편의성이 증진되는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피부질병과 충치 등은 사전 관리가 철저히 하여야하는 질병으로 써, 정기적으로 병원을 다니면서 항상 관리를 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피부질병과 충치 등은 항상 병원을 다녀야하는 시간적 여유가 없음은 물론이고, 막상 피부질병과 충치가 발생한 뒤, 병원을 찾게 되면 그때는 이미 늦어버려 많은 비용 지출과함께 엄청난 노력의 치료가 필요하다.
일예로, 한국등록특허 제0956678호에 따르면, ‘배터리와 통전되는 한 쌍의 측정 커넥터 및 접지 커넥터와, 상기 측정 커넥터에 연결되는 접속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접속커넥터에 이음 연결되는 전선에 접속전극를 결합하여 치아를 천공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파일에 접속전극을 통전되게 연결한 측정모듈과, 상기 접지 커넥트에 연결되는 접속 커넥터가 마련되고, 상기 접속커넥터에 이음 연결되는 전선에 어스전극을 결합하여 입술이나 잇몸에 접지되는 어스모듈과, 상기 파일이 치아 표면으로 부터 침투되어 치근단으로 접근하면서 가변되는 전원 저항값을 수치로 환산하는 전압검출모듈과, 상기 전압검출모듈에서 환산된 신호에 의해 치근단으로 접근하는 파일의 첨단의 접근 거리에 따라 점등되어 시각 시인성을 만족하도록 하는 접근모듈과, 상기 파일이 치근단까지 근접되어 치아 내부 천공작업이 마무리되면 전압검출모듈로 부터 치근단의 총 길이가 수치로 환산된 신호를 외부로 표시하는 길이표시모듈이 탑재된 휴대용 근관장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접근모듈, 길이표시모듈가 내장되는 케이스를 마련하되, 상기 케이스의 상부 양측에 한 쌍의 돌출부를 형성시켜 상기 돌출부 단부에 상기 측정커넥터와 접속커넥터를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는 길이표시모듈의 mm 단위를 갖는 눈금을 형성하되, 상기 눈금 중앙으로 LED 표시창을 가로질러 마련하여 치근단의 측정 길이에 맞추어 LED가 해당 눈금만큼 점등되도록 하며, 상기 케이스는 돌출부의 사이 공간 상면에는 케이스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공을 형성시켜 배터리를 장착한 커버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배터리 교체를 교체를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커버는 개구공에 결합시 케이스 상면과 동일한 면을 갖는 마감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부 하부에는 배터리를 수납하는 일부가 절개된 환형의 단턱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개구공을 통해 커버를 케이스 내부로 결합시 케이스 내부에 마련된 단자와 배터리의 단자가 접지되는 동시에 상기 케이스의 마감부 하부 양측에 형성시킨 걸림편이 탄력적으로 개구공 내부 단부에 걸림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근관장 측정장치.’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용 근관장 측정장치는 인체의 전기적 저항을 이용하여 장치가 치근단 조직에 도달하는 것을 측정하는 구성이지만, 아주 복잡한 구성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조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전기적 저항으로 치근단 조직에 도달에 의한 오류가 많다.
또 다른 예로, 한국공개특허 제2016-0051221호에 따르면,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며, 내부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피부관리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구를 가지고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축선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피부관리물질이 분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비공을 갖는 수용본체와; 상기 수용본체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관리기구.’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피부관리기구도 역시 적정 PH를 유지할 수 없어 피부트러블의 발생을 줄일 수 없었다.
한국등록특허 제0956678호 “휴대용 근관장 측정장치” 한국공개특허 제2016-0051221호 “피부관리기구”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피부와 구강에 PH 측정을 통하여 피부질병 또는 충치의 발생을 사전에 예측함에 따라 병의 악화를 방지하고, 단말수단을 통해 피부와 치아를 관리하는 편의성이 증진되는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부와 구강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된 미용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에 파지 가능하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고, 일면에 삽설하여 피부 또는 구강에 근접하여 가압을 통해 on/off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스위치 상에 각각 설치되어 피부 또는 구강의 PH 측정을 통한 피부질병과 충치 예측과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본체 상에 센서부로부터 얻은 피부PH 정보와 체온 정보를 저장하는 마이컴부; 및 상기 본체 상에 피부 또는 구강의 PH와 체온 정보를 확인하는 단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센서부는 스위치 상에 피부와 구강의 PH를 감지하여 측정하게 산도센서를 구비하고, 또 다른 스위치 상에 체온을 감지하여 측정하게 온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도센서는 피부 상에 PH 수치가 5.9 이상 상승할 경우 아토피 또는 발진을 예상하고, 구강 상에 PH 수치가 5.5 이하 하락할 경우 충치를 예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수단은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PC,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 그외 PDA 등의 휴대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고, 본체(10)와 유선을 통해 연결어 PH 측정정보를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와 구강에 PH 측정을 통하여 피부질병 또는 충치의 발생을 사전에 예측함에 따라 병의 악화를 방지하고, 단말수단을 통해 피부와 치아를 관리하는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를 사용하여 피부 측정을 시행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를 사용하여 구강 측정을 시행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피부와 구강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된 미용기구에 관련되며, 본체(10), 센서부(20), 마이컴부(30), 단말수단(4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 가능하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고, 일면에 삽설하여 피부 또는 구강에 근접하여 가압을 통해 on/off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위치(11)(12)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 가능하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바, 사용자가 자신에게 직접 또는 타인에게 시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휴대성을 겸비할 수 있도록 10∼15cm 가량 길이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파지의 용이성이 향상되도록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본체(10)의 일면에는 피부 또는 구강에 근접하여 가압을 통해 on/off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위치(11)(12)를 구비하는 바, 스위치(11)(12)는 내부에 스프링(13)을 통한 탄성력으로 지지되고, 가압을 통하여 on/off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20)는 상기 본체(10)의 스위치(11)(12) 상에 각각 설치되어 피부 또는 구강의 PH(hydrogen exponent) 측정을 통한 피부질병과 충치 예측과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한다. 센서부(20)는 상술한 스위치(11)(12) 상에 각각 설치되어 피부 또는 구강에 근접한 상태로 PH 측정을 시행하게 된다. 이러한, PH 측정은 피부질병과 충치 예측을 시행하는 스위치(11)와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스위치(12)를 구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부(20)는 스위치(11) 상에 피부와 구강의 PH를 감지하여 측정하게 산도센서(21)를 구비하고, 또 다른 스위치(12) 상에 체온을 감지하여 측정하게 온도센서(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서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11)에는 피부 상의 PH와 구강 내부의 PH를 측정할 수 있도록 산도센서(21)를 구비하게 되고, 또 다른 스위치(12)에는 산도를 측정 시 체온도 함께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22)가 장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산도센서(21)는 피부 상에 PH 수치가 5.9 이상 상승할 경우 아토피 또는 발진을 예상하고, 구강 상에 PH 수치가 5.5 이하 하락할 경우 충치를 예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스위치(11) 상에 설치된 산도센서(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부 또는 구강 내의 PH를 측정하는 것으로 건강한 피부의 일반적인 PH가 5.5∼5.8이기 때문에 PH 수치가 5.9 이상 상승할 경우 피부발진, 아토피초기증상 등을 초기에 발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구강의 경우 사용자의 혓바닥에 근접시켜 PH 수치를 측정하게 되는 바, 일반적인 구강 PH 수치가 5.5이하로 떨어질 경우 충치 발생율이 높아짐에 따라 초기에 발견할 수 있게 되어 대응을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부(30)는 상기 본체(10) 상에 센서부(20)로부터 얻은 피부PH 정보와 체온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마이컴부(30)는 회로가 내장된 상태로 상술한 센서부(20)의 산도센서(21)와 온도센서(22)와 연동하게 됨으로 산도센서(21)와 온도센서(22)의 정보 즉, 감지된 사용자의 피부와 구강 HP의 치수 정보를 인지하고, 사용자의 체온을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마이컴부(30)에는 피부와 구강 HP의 치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메모리칩을 구비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단말수단(40)과 원활한 데이터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수단(40)은 상기 본체(10) 상에 피부 또는 구강의 PH와 체온 정보를 확인한다. 상술한 센서부(20)를 통해 감지된 피부와 구강의 PH의 수치를 마이컴부(30)에서 수집하고, 이러한 정보를 사용자는 단말수단(40)을 통해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피부발진, 아토피초기증, 충치 등을 미리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단말수단(40)은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PC,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 그외 PDA 등의 휴대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고, 본체(10)와 유선을 통해 연결되어 PH 측정정보를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말수단(40)은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PC,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 그외 PDA 등의 다양한 단말수단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여 시각적 확인이 가능하고, 자신의 피부 및 구강 상태 데이터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교환할 수 있어 관리의 용이성이 향상하게 된다. 또한, 본체(10)와 단말수단(40)은 상기와 같이 다양한 정보를 수집 및 교환하기 위해서는 유선을 통해 연결하는 바, 이는 본체(10) 상에 별도의 배터리를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유선의 충전을 통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와 구강에 PH 측정을 통하여 피부질병 또는 충치의 발생을 사전에 예측함에 따라 병의 악화를 방지하고, 단말수단을 통해 피부와 치아를 관리하는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본체 11, 12: 스위치
13: 스프링 20: 센서부
21: 산도센서 22: 온도센서
30: 마이컴부 40: 단말수단

Claims (4)

  1. 피부와 구강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된 미용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에 파지 가능하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고, 일면에 삽설하여 피부 또는 구강에 근접하여 가압을 통해 on/off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위치(11)(12)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스위치(11)(12) 상에 각각 설치되어 피부 또는 구강의 PH(hydrogen exponent) 측정을 통한 피부질병과 충치 예측과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센서부(20);
    상기 본체(10) 상에 센서부(20)로부터 얻은 피부PH 정보와 체온 정보를 저장하는 마이컴부(30); 및
    상기 본체(10) 상에 피부 또는 구강의 PH와 체온 정보를 확인하는 단말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는 스위치(11) 상에 피부와 구강의 PH를 감지하여 측정하게 산도센서(21)를 구비하고, 또 다른 스위치(12) 상에 체온을 감지하여 측정하게 온도센서(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도센서(21)는 피부 상에 PH 수치가 5.9 이상 상승할 경우 아토피 또는 발진을 예상하고, 구강 상에 PH 수치가 5.5 이하 하락할 경우 충치를 예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수단(40)은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PC,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 그외 PDA 등의 휴대단말기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고, 본체(10)와 유선을 통해 연결되어 PH 측정정보를 확인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
KR1020160067501A 2016-05-31 2016-05-31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 KR101919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501A KR101919563B1 (ko) 2016-05-31 2016-05-31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501A KR101919563B1 (ko) 2016-05-31 2016-05-31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493A true KR20170135493A (ko) 2017-12-08
KR101919563B1 KR101919563B1 (ko) 2018-11-16

Family

ID=60919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501A KR101919563B1 (ko) 2016-05-31 2016-05-31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5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607B1 (ko) * 2012-12-21 2013-10-30 에이엠씨주식회사 피부 상태 측정기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60015321A1 (en) * 2014-07-15 2016-01-21 A. T. Still University Oral health monitoring and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563B1 (ko) 201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5215B2 (en) Connector interface system for data acquisition
AU2016303577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noninvasively monito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US7693579B2 (en) Electronic acupuncture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meridian energy balance data of a patient
WO2013166465A1 (en) Tissue oximetry probe with tissue marking feature
KR1005912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그 정보관리방법
JP2016500537A (ja) 歯根膜ポケットの深さを測定するための歯根膜プローブ及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KR100762929B1 (ko) 다중접속 3분할 혈당측정기
KR20190008059A (ko) 바이오 프로세서,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및 바이오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KR101448932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피부 상태 측정장치 및 피부 상태 측정장치의 인터페이스 방법
CN102469963A (zh) 一种可测量体温的血氧测量仪
KR101919563B1 (ko) 모바일 헬스케어 미용기구
KR20040036324A (ko) 심전도계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CN111388126A (zh) 一种语音交互式智能牙周探针及方法
KR20090103312A (ko)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된 혈당 측정기
CN211239911U (zh) 一种手机保护壳
JP2019036188A (ja) う蝕予測システム
JP4396290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CN105358060A (zh) 使用操作范围配置技术的分析物仪表
CN212853445U (zh) 体征参数测量装置
CN216676011U (zh) 牙周袋深度测量装置和牙科治疗仪
CN207590667U (zh) 监测系统
CN113633422A (zh) 一种牙刷刷头及牙刷
CN201073316Y (zh) 皮肤科用刮刀
US20170224225A1 (en) Reading device
TWI276786B (en) Digital thermometer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