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459A -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an arm - Google Patents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an a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459A
KR20170135459A KR1020160067420A KR20160067420A KR20170135459A KR 20170135459 A KR20170135459 A KR 20170135459A KR 1020160067420 A KR1020160067420 A KR 1020160067420A KR 20160067420 A KR20160067420 A KR 20160067420A KR 20170135459 A KR20170135459 A KR 20170135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raining
information
upper limb
rehabil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4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상훈
조현경
김성신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67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5459A/en
Publication of KR20170135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4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59Free spatial automatic movement of interface within a working area, e.g. Rob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1Interfaces to the user control is restricted to certain individu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08Other bio-electrical signals
    • A61H2230/10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s
    • A61H2230/105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s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0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e.g. Electromyography [EMG]
    • A61H2230/605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e.g. Electromyography [EMG]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The device determines training concentration by using bio-signals measured from brain, muscles, etc. of a user who performs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and can improve training participation will by giving a user feedback on training concentration sensuously in real time. Moreover, the device evaluates individual exercise functions based on the bio-signals and exercise abilities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users, extracts properties for assisting rehabilitation treatment by analyzing evaluation results and can provide training modes suitable for each person by comparing and learning the extracted properties and medical information.

Description

상지 재활 훈련 장치{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AN ARM}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AN ARM}

본 발명은 상지 재활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봇을 이용한 상지 재활 훈련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a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using a robot.

일상 생활에 불편을 느끼는 정도로 근력이 약화된 노인들이나 뇌졸중 등에 의한 마비 환자의 경우 상지 재활 훈련용으로 로봇 매개 치료를 적용하고 있다. 로봇 매개 치료는 환자의 상지를 로봇 장치에 고정하고, 구동 장치를 사용하여 상지 회전 운동 등을 지원하는 방식을 적용한다.Robotic medication is applied to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for elderly people whose strength is weak enough to feel uncomfortable in daily life or for paralysis caused by stroke. In the robot mediation therapy, the upper limb of the patient is fixed to the robot apparatus, and a driving system is used to support the upper limb rotational motion.

일반적으로 상지 기능에 문제가 있는 마비 환자의 경우 일상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기 때문에 일상 생활 동작과 관련된 재활 동작/과제 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뇌 가소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뇌 가소성은 뇌의 손상된 부분이 담당하던 운동 제어 등의 능력을 다른 부분이 학습하여 신체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현상을 말한다.In general, patients with paralysis who have problems with upper extremity function feel uncomfortable in daily life,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brain plasticity by repeatedly performing rehabilitation movements / tasks related to daily life movements. Brain plasticity refers to the phenomenon that other parts can learn the ability of the brain to repair the function of the body, such as the ability to control the movement, which was damaged.

그런데, 로봇 매개 치료의 경우 환자가 훈련에 집중하지 않더라도 로봇이 환자의 상지를 움직여주기 때문에 재활 효과가 증진되지 않고, 훈련 과제를 계속적으로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 환자가 재활 훈련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가 저하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robot medication treatment, the robot does not improve the rehabilitation effect because the robot moves the upper limb of the patient even if the patient does not concentrate on the training, and if the training task is not continuously achieved, .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지 재활 훈련을 진행 중인 사용자의 훈련 참여 의지를 향상시키고, 개인 별로 적합한 훈련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상지 재활 훈련 장치를 제공한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willingness of the user to participate in training in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and providing an appropriate training mode for each individua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지 재활 훈련 장치는 훈련 모드에 따라 사용자의 상지 운동을 제어하고, 상기 상지 운동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감지하여 운동 능력 정보를 생성하는 재활 훈련 수단;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생체 활성화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 신호 측정 수단; 상기 생체 활성화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집중력을 판단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 의료 정보, 상기 운동 능력 정보 및 상기 생체 활성화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별 훈련 모드를 결정하는 재활 관리 수단; 및 상기 훈련 모드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생체 감각을 피드백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한다.The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habilitation training means for controlling upper limb movement of a user according to a training mode and sensing exercise capacity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upper limb movement to generate exercise capacity information; Bio-signal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bio-signals of the user to generate bio-activity information; Wherein the bioinformatic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cquires user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thletic performance information, and bio-activ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users by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bio-activat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feedback information, A rehabilitation management means for making a decision; And interface means for providing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training mode, and for feedbacking the biometric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feedback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재활 관리 수단은 상기 운동 능력 정보 및 상기 생체 활성화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지 기능을 평가하고, 상기 평가 결과로부터 치료 보조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특징을 학습하여 상기 훈련 모드를 결정한다.Here,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means evaluates the upper limb function of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athletic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activation information, extracts at least one feature necessary for a treatment assist from the evaluation result, And determines the training mode by learning the extracted features.

그리고, 상기 훈련 모드는 일상 생활 동작 및 목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요구 경로, 강도 및 빈도를 제공한다. 상기 운동 능력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력의 크기와 방향, 팔의 위치, 각도, 이동 속도,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And, the training mode provides the required path, intensity, and frequency for performing the daily life operation and the target operation. The athletic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magnitude and direction of a resistance generated by the user, a position of an arm, an angle, a moving speed, and an acceleration.

또한, 상기 재활 훈련 수단은 착좌 상태, 두 발을 지면에 지지한 상태, 보행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생체 활성화 정보는 근육 및 뇌의 활성도를 포함한다.Further, the rehabilitation training means provides at least one of a sitting state, a state where the two feet are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walking state. And, the bio-activation information includes muscle and brain activity.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상지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촬영 수단; 상기 훈련 모드에 대응하는 영상, 상기 사용자의 시각을 자극하는 피드백 영상 및 상기 사용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상기 훈련 모드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 영상 및 증강 현실 영상을 표시하는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사용자의 청각, 촉각 및 후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극하는 피드백 모듈을 포함한다.The interface device may further include: image capturing means for capturing an upper limb of the user to generate a user imag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training mode, a feedback image for stimulating the time of the user, and the user image; A head mounte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virtual reality image and an augmented reality image corresponding to the training mode; And a feedback module for stimulating at least one of the auditory, tactile, and olfactory angles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지 재활 훈련을 진행 중인 사용자의 뇌, 근육 등에서 측정된 생체 신호를 이용하여 훈련 집중 여부를 판단하고, 훈련 집중 상태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감각적으로 피드백하여 훈련 참여 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training is concentrated by using the bio-signals measured in the brain, muscle, etc. of the user who is in the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and improve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training by sensibly feedbacking the training concentration state to the user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생체 신호 및 운동 능력을 기반으로 개인 별 운동 기능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재활 치료를 보조하기 위한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과 의료 정보를 비교 학습하여 개인 별로 적합한 훈련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valuates individual exercise functions based on bio-signals and exercise capacities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users, extracts features for assisting rehabilitation by analyzing evaluation resul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ropriate training mode for each individual by comparing and learn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지 재활 훈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지 재활 훈련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봇부(110)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좌석 부재(132)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신체 지지부(130)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1 illustrates a topo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the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the robot unit 110 shown in Fig. 2. Fig.
4 shows the seat member 132 shown in Fig. 2. Fig.
FIGS.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ody support 130 shown in FI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Like numbers refer to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Also,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지 재활 훈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지 재활 훈련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도식화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봇부(11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좌석 부재(132)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신체 지지부(130)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n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the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eat member 132 shown in FIG. 2, and FIGS. 5 and 6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ody support 130 shown in FIG. Is an illustration showing an example.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지 재활 훈련 시스템(1)은 재활 훈련 장치(100), 인터페이스 장치(200), 생체 신호 측정 장치(300) 및 시스템 제어 장치(400) 및 재활 관리 장치(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지 재활 훈련 시스템(1)은 뇌졸중(Stroke), 뇌성 마비(Cerebral palsy), 척수 손상(Spinal cord injury),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근육위축가쪽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회전근개파열(Rotator cuff tear), 유착성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 등과 같은 신경 손상과 근골격계 손상에 의한 병명으로 진단받은 환자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지는 어깨 관절, 위팔, 아래팔, 팔꿉 관절(elbow joint), 손목 관절을 포함한다.1, the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an interface device 200, a living body signal measurement device 300, and a system control device 400, And a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The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stroke, cerebral palsy, spinal cord injury, multiple sclerosis,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Rotator cuff tear, adhesive capsulitis, and other nerve injuries and musculoskeletal injuries. Here, the upper limb includes the shoulder joint, the upper arm, the lower arm, the elbow joint, and the wrist joint.

구체적으로, 재활 훈련 장치(100)는 시스템 제어 장치(400)로부터 요구 경로, 강도 및 빈도를 포함하는 훈련 모드를 실시간으로 전달 받고, 훈련 모드에 따라 사용자에게 재활 훈련을 실시한다. 여기서, 요구 경로는 재활 훈련 프로그램 상에서 제공하는 일상 생활 동작 또는 과제(목표 동작)의 수행을 하기 위해 3차원 공간 상에서 상지가 움직여야 하는 운동 경로이다.Specifically,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100 receives the training mode including the request path, the intensity and the frequency from the system control device 400 in real time, and performs the rehabilitation training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training mode. Here, the required path is a motion path in which the upper limb should move in the three-dimensional space in order to perform the daily living operation or the task (target operation) provided i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그리고, 훈련의 강도는 사용자가 요구 경로를 벗어난 경우 요구 경로로 회귀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요구 경로에 따라 움직임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 움직임을 도와주는 보조력의 크기, 요구 경로 상에서 움직임을 방해하는 저항력의 크기, 요구 경로에 따른 움직임의 반복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rength of the training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s ability to return to the desired path if the user is out of the desired path or the magnitude of the assist force to assist the user when the user fails to perform the motion along the desired path,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motion according to the required path, and the like.

예컨대, 보조력은 힘이 부족한 환자가 요구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로봇 등에 의해 요구 경로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며, 저항력은 움직임은 가능하나 근력이 약한 환자를 훈련 시키는 경우 요구 경로의 반대 방향이나 다른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다.For example, an assist force is a force applied by a robot or the like in a direction of a desired path so that a patient having a weak force can move along a desired path, and resistance can be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desired path, Direction.

그리고, 훈련의 빈도는 훈련 세션(session)의 횟수 및 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훈련의 빈도는 1주일에 훈련을 2회 진행할지, 3회 진행할지 등을 나타낸다.And, the frequency of training may include the number and duration of training sessions. For example, the frequency of training indicates whether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twice or three times a week.

또한, 재활 훈련 장치(100)는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감지하여 운동 능력 정보를 생성하고, 운동 능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시스템 제어 장치(400) 및 재활 관리 장치(500)에 전달한다. 여기서, 운동 능력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력의 크기와 방향, 팔의 위치, 각도, 이동 속도, 가속도 등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100 senses the user's exercise ability to generate exercise ability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exercise ability information to the system control device 400 and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in real time. Here, the athletic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es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resistance generated by the user, the position of the arm, the angle, the moving speed, and the acceleration.

구체적으로, 재활 훈련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부(110), 운동 능력 감지부(120) 및 신체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로봇부(110)는 사용자의 손과 물리적으로 결합되고, 시스템 제어 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훈련 모드에 따라 구동되어 사용자가 재활 훈련을 수행하게 한다.2,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100 includes a robot unit 110, an athletic performance sensing unit 120, and a body support unit 130. As shown in FIG. The robot unit 110 is physically coupled to a user's hand and is driven according to a training mode provided from the system control device 400 to allow a user to perform rehabilitation training.

여기서, 훈련 모드는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스스로 움직이는 수동 모드(passive mode), 환자의 움직임을 따라 저항 없이 움직이는 능동 모드(active mode), 환자의 움직임을 보조하고, 조절 가능한 보조력을 제공하는 능동 보조 모드(active assistive mode), 환자가 움직이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능동 저항 모드(active resistive mode), 환자의 팔이 조절 가능한 일정 속도로 움직이도록 하는 능동 등속성 모드(active isokinetic mode), 환자의 팔이 움직이지 않는 고정된 상태로 일정한 또는 변화되는 크기의 저항력을 제공하는 등척성 모드(isometric mode), 가상의 환경 하에서 가능한 가상의 역장(force field)을 제공하는 가상 역장 모드(virtual force field mode)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 the training mode includes a passive mode in which the patient moves according to a training program, an active mode in which the patient moves without resistance according to the patient's motion, an active assist mode in which the patient's motion is assisted, an active assistive mode, an active isokinetic mode in which the patient's arm moves at an adjustable constant speed, An isometric mode that provides a constant or variable magnitude of resistance in a fixed state where the patient's arm is immobile, a virtual force mode that provides a virtual force field possible under a virtual environment, and a field mod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훈련 모드는 훈련 환경을 변화시켜 훈련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규제된 일정한 환경으로부터 규제되지 않고, 일정하지 않은 환경으로 훈련 환경을 변화시켜 훈련의 난이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raining m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de of adjusting the difficulty of the training by changing the training environmen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raining by changing the training environment from a regulated constant environment to an unregulated, non-constant environment.

여기서, 규제된 일정한 환경은 물체의 크기나, 형태, 무게, 지지면 등이 변하지 않아 예측이 가능한 환경이다. 그리고, 규제되지 않고, 일정하지 않은 환경은 운동 기능을 방해할 수 있는 요소, 예컨대 주변 밝기, 소음, 지지면 등이 변화하는 요소로 인해 예측이 불가능한 환경이다.Here, the regulated constant environment i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size, shape, weight, support surface, etc. of an object do not change and can be predicted. An unregulated, non-uniform environment is an unpredictable environment due to factors that may interfere with motor functions, such as ambient brightness, noise, and support surface.

즉, 가만히 앉은 자세나 선 자세와 같이 예측된 환경 하에서 일차적으로 훈련을 하고, 보행을 하거나 불안정한 지면 상에서 훈련을 하여 훈련의 난이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운동 조절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exercise control function can be further improved by training first in a predicted environment such as a sitting posture or a standing posture, by walking on an unstable ground, or by raising the difficulty of training.

구체적으로, 로봇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암(112), 손 지지 부재(114), 구동부(116) 및 제어부(118)를 포함한다. 로봇 암(112)은 손 지지 부재(114)를 통해 사용자의 손과 결합되고, 요구 경로 및 요구 강도에 따라 구동된다. 로봇 암(112)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3, the robot unit 110 includes a robot arm 112, a hand holding member 114, a driving unit 116, and a control unit 118. [ The robot arm 112 is engaged with the user's hand through the hand-supporting member 114, and is driven according to the required path and the required strength. The robot arm 112 may have at least one degree of freedom.

손 지지 부재(114)는 로봇 암(112)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을 지지한다. 구동부(116)는 로봇 암(112)의 회동 축에 연결되어 로봇 암(112)을 구동시킨다. 구동부(116)는 x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x축 구동 부재(116a), y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y축 구동 부재(116b) 및 z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z축 구동 부재(116c)를 포함한다. 여기서, x, y, z축 구동 부재(116a, 116b, 116c) 각각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8)는 시스템 제어 장치(400)에 의해 제어되어 구동부(116)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hand supporting member 114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robot arm 112 and supports the user's hand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by hand. The driving unit 116 is connected to the pivot shaft of the robot arm 112 to drive the robot arm 112. The driving unit 116 includes an x-axis driving member 116a driven in the x-axis direction, a y-axis driving member 116b driven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z-axis driving member 116c driven in the z-axis direction. Here, each of the x, y, and z-axis driving members 116a, 116b, and 116c may include a motor. The control unit 118 is controlled by the system control device 400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16.

운동 능력 감지부(120)는 로봇 암(112)에 결합되어 있고, 로봇 암(112)을 지지하는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감지하여 운동 능력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운동 능력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력의 크기와 방향, 팔의 위치, 각도, 이동 속도, 가속도 등을 포함한다. The exercise capacity sensing unit 120 is coupled to the robot arm 112 and senses the exercise capacity of the user supporting the robot arm 112 to generate exercise capacity information. Here, the athletic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es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resistance generated by the user, the position of the arm, the angle, the moving speed, and the acceleration.

이를 위해, 운동 능력 감지부(120)는 저항력을 측정하는 6축 힘-토크 센서(미도시), 로봇 암(112)의 말단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센서(미도시) 및 로봇 암(112)의 관절 각도를 측정하는 관절 각도 측정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6축 힘-토크 센서는 손 지지 부재(11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운동 능력 감지부(120)는 운동 능력 정보를 시스템 제어 장치(400) 및 재활 관리 장치(500)에 각각 전달한다. The motion sensing unit 120 includes a six-axis force-torque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a resistance force, a position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a distal end position of the robot arm 112, And a joint angle measurement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joint angle. Here, the six-axis force-torque sensor may be disposed on the hand-supporting member 114. The exercise capacity sensing unit 120 transmits the exercise capacity information to the system control unit 400 and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unit 500, respectively.

신체 지지부(130)는 사용자 체중의 적어도 일부가 대퇴부를 포함하는 다리에 작용하도록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지지한다. 신체 지지부(130)는 사용자에게 착좌 상태, 두 발을 지면에 지지한 상태, 걷기, 뛰기 등의 보행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신체 지지부(130)는 사용자의 훈련에 필요한 다양한 자세를 제공할 수 있다.The body support 130 supports a portion of the user's body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weight acts on the leg including the thigh. The body support 130 may provide the user with at least one of a sitting state, a state in which the two feet are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walking state such as walking or run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ody support 130 may provide various postures required for the training of the user.

예컨대, 신체 지지부(130)는 사용자의 둔부 및 등을 지지하여 사용자를 착좌 상태로 지지하는 좌석 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석 부재(132)는 위치, 높이 및 회전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좌석 부재(1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뒤 좌우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높이가 조절되거나,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석 부재(132)가 몸의 앞뒤 축 또는 좌우 축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틸팅(tilting)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dy support 130 may include a seat member 132 that supports the user's buttocks and back and supports the user in a seated state. At least one of the position, height, and rotation angle of the seat member 132 can be adjus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seat member 132 can be adjus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height can be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at member 132 can be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at member 132 may be tilt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axes or the left and right axes of the body.

좌석 부재(132)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되기 위한 레버(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시스템 제어 장치(400)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예컨대, 재활 관리 장치(500)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 별 의자 위치 정보에 따라 좌석 부재(132)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The seat member 132 may include a lever (not shown) or the like to be manually adjusted by a user, and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by the system controller 400, including a motor (not shown). For example, the seat member 132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pecific chair positi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

또한, 신체 지지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여 사용자를 두 발로 선 상태로 지지하는 발판 부재(134),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상체 지지 부재(136a, 136b)을 포함할 수 있다.5, the body supporting portion 130 includes a foot member 134 for supporting the user's foot in a line state with two feet, a first and a second body supporting member 130 for supporting the user's upper body, Members 136a and 136b.

제1 상체 지지 부재(136a)는 발판 부재(134)와 결합되어 제2 상체 지지 부재(136b)를 고정시킨다. 제2 상체 지지 부재(136b)는 사용자의 상체와 결합되어 재활 치료 중 사용자의 체중을 보조하거나, 사용자가 부상을 입지 않도록 보호한다. 여기서, 발판 부재(13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밀 장치로 구성되어 걷기, 뛰기 등 사용자의 보행 자세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upper body supporting member 136a is engaged with the foot member 134 to fix the second upper body supporting member 136b. The second upper body supporting member 136b is combined with the upper body of the user to assist the user's weight during rehabilitation treatment or protect the user from injury. Here, as shown in FIG. 6, the foot member 134 is constituted by a treadmill device and can provide a walking posture of the user such as walking or running.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시스템 제어 장치(400) 및 재활 관리 장치(500) 중 어느 하나와 사용자 간에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10), 영상 촬영부(220),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부(230) 및 피드백 모듈부(240)를 포함한다.1 and 2, the interface device 200 provides an input and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system control device 400 and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and the user. The interface device 200 includes a display unit 210, an image capturing unit 220, a head mounted display unit 230, and a feedback module unit 240.

디스플레이부(210)는 시스템 제어 장치(400) 및 재활 관리 장치(500)에 의해 제어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로봇 베이스(B)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에 배치되는 제1 스크린(212) 및 수평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스크린(214)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스크린(212, 214) 각각은 터치 스크린이나 입체 영상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10 is controlled by the system control device 400 and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to display an image. The display unit 210 includes a first screen 212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bot base B and a second screen 214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212 and 214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or a stereoscopic screen.

이러한 터치 스크린에 의해 시스템 제어 장치(400) 및 재활 관리 장치(500) 중 어느 하나와 사용자 간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정보, 훈련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정보 등을 입력 받거나, 훈련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영상, 훈련 프로그램에 연계된 가상 및 증강 현실 영상, 사용자의 상지 모션을 캡쳐한 사용자 영상, 사용자의 시각을 자극하는 피드백 영상 등을 출력할 수 있다. Such a touch screen can provide an input interface and an output interface between any one of the system control device 400 and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and a user. For example, user information, training program interface information, and the like may be input, and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images associated with images and training programs provided by the training programs, user images capturing the user's upper limb motion, feedback images And so on.

여기서, 훈련 영상은 예컨대, 훈련 프로그램이 식사하기, 머리 빗기, 양치질, 컵 옮기기 등의 일상 생활 동작/과제와 관련된 경우 식사 테이블, 빗, 거울, 컵 등을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다. 그리고, 가상 및 증강 현실 영상은 사용자가 훈련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제공되는 영상이다.Here, the training image may be, for example, an image including a meal table, a comb, a mirror, a cup, and the like when the training program is related to daily living activities / tasks such as eating, hair brushing, brushing and cupping. In addition, the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images are provided so that the user may be interested in the training.

또한, 피드백 영상은 사용자의 집중을 유도하기 위한 영상, 사용자를 격려(encourage)하기 위한 영상 등 사용자가 훈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영상이다.In addition, the feedback image is an image provided to enable the user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training, such as an image for inducing user's concentration and an image for encouraging the user.

또한, 피드백 영상은 사용자의 훈련 진행 상황, 예컨대 사용자의 상지가 요구 경로 상에서 움직일 때 로봇 암(112)으로부터 사용자에게 저항력이 가해질 경우 운동 능력 감지부(120)를 통해 측정된 저항력의 크기와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eedback image may include a magnitude and a direction of the resistance measured through the motion capability sensing unit 120 when a resistance force is applied from the robot arm 112 to the user when the user's upper limb moves on the required path, Can be displayed.

또한, 터치 스크린에 의해 터치 동작을 포함하는 훈련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평면 상에서 미로를 탈출하거나, 계산식의 결과를 선택하거나, 제시되는 그림과 동일한 그림을 찾거나, 동일한 두 장의 카드를 기억하여 선택하는 등 사용자의 인지 능력이 필요한 훈련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 training task including a touch operation can be performed by a touch screen. For example, a training task requiring a user's cognitive ability can be performed, such as escaping a maze on a plane, selecting a result of a calculation formula, finding the same picture as a presented picture, or memorizing and selecting the same two cards.

또한, 제1 및 제2 스크린(212, 214) 각각은 시스템 제어 장치(400)에 의해 제어되어 방향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정될 수 있다.Furthe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212 and 214 may be controlled by the system control device 400 so that at least one of the direction and the height may be adjusted.

영상 촬영부(220)는 사용자의 상지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고, 재활 관리 장치(500)에 전달한다. 영상 촬영부(220)는 사용자의 상지 모션을 실시간으로 캡쳐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촬영부(220)는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capturing unit 220 captures an upper limb of a user, generates a user imag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user image to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apparatus 500. The image capturing unit 220 can capture a user's upper limb motion in real time to generate a user image. For this, the image capturing unit 220 may include a camera or the like.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230)는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고, 재활 관리 장치(500)에 의해 제어되어 훈련 프로그램에 연계된 가상 현실 영상 및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230)는 사용자의 주변 환경을 촬영하고, 훈련 영상에 주변 환경 영상이 증강된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상 현실 영상 및 증강 현실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흥미가 유발되어 재활 치료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head mounted display 230 may be mounted on the head of the user and may be controlled by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image and an augmented reality image associated with the training program. For example, the head-mounted display 230 may photograph an environment of the user and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image in which a peripheral environment image is enhanced to a training image. Such a virtual reality image and an augmented reality image can induce the interest of the user and enhance the effect of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및 제2 스크린(220, 230)을 통해 가상 현실 영상 및 증강 현실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피드백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is, and one of the virtual reality image and the augmented reality imag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creens 220 and 230. In addition, a feedback image may be provided through the head mounted display 230.

피드백 모듈부(240)는 재활 관리 장치(500)로부터 피드백 정보를 전달 받고, 피드백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피드백 감각을 제공한다. 예컨대, 피드백 모듈부(240)는 사용자의 청각, 촉각, 후각 등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드백 모듈부(240)는 음향 출력 수단, 햅틱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eedback module 240 receives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and provides a feedback feeling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example, the feedback module unit 240 can stimulate a user's sense of hearing, tactile sense, smell, and the like. To this end, the feedback module section 240 may include acoustic output means, a haptic module, and the like.

즉, 사용자는 제1 스크린(212), 제2 스크린(214),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230) 등을 통해 피드백 영상을 제공받고, 피드백 모듈부(240)를 통해 소리, 진동, 향기 등을 제공받아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등을 자극 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눈, 귀, 피부 감각 등으로 자신의 움직임, 훈련 참여 정도 및 훈련 몰입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중추 신경 손상 환자의 경우 신경 가소성(neuro-plasticity)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운동 학습의 필수 요소인 집중력을 높여 재활 치료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user receives the feedback image through the first screen 212, the second screen 214, the head mounted display 230, etc., and receives the sound, vibration, and fragrance through the feedback module 240 It is stimulated by sight, hearing, touch, and smell. Therefore, the user can confirm his / her movement, degree of participation in training, and degree of training immersion due to the eyes, ears, and skin senses. Thus, in patients with central nervous system damage, the efficiency of rehabilitation therapy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concentration,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of exercise learning based on the neuro-plasticity theory.

생체 신호 측정 장치(30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생체 활성화 정보를 생성하고, 생체 활성화 정보를 시스템 제어 장치(400) 및 재활 관리 장치(500)에 전달한다. 여기서, 생체 활성화 정보는 사용자의 근육 및 뇌의 활성도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300 measures biological signals of the user in real time to generate bio-activ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bio-activation information to the system control apparatus 400 and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apparatus 500. Herein, the bio-activ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ctivity of the user's muscles and brain.

예컨대, 생체 신호 측정 장치(300)는 사용자의 상지 근육에 부착된 센서(310)로부터 근전도 신호를 취득하고, 근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근육 활성도를 검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300 can acquire an EMG signal from a sensor 310 attached to a user's upper limb muscle, and can detect muscle activity using an EMG signal.

또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300)는 사용자의 두피 침습(invasive) 및 비침습(noninvasive) 전극을 포함하는 센서(320)로부터 대뇌에서 일어나는 전위 변동을 통한 뇌전도 신호를 취득하고, 뇌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부위별 뇌 활성도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근육 및 뇌 활성도를 검출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근적외분광법(fNIRS), 뇌자도(MEG), 기능적자기공명영상(fMRI), 뇌피질전도(ECoG: Electrocorticogram) 등을 통해 뇌 활성도를 검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300 acquires an electroencephalogram signal through a potential variation occurring in the cerebrum from a sensor 320 including a user's scalp invasive and noninvasive electrodes, Brain activity of each region can be detecte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method of detecting muscle and brain activity may be variously applied. For example, brain activity may be detected through near infrared spectroscopy (fNIRS),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E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and electrocorticography (ECoG).

시스템 제어 장치(400)는 재활 관리 장치(500)와 통신하여 재활 관리 장치(500)로부터 훈련 모드를 전달 받고, 훈련 모드에 따라 재활 훈련 장치(100) 및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제어한다. The system control device 400 receives the training mode from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in communication with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and controls the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100 and the interface device 200 according to the training mode.

시스템 제어 장치(400)는 생체 신호 측정 장치(300)로부터 생체 활성화 정보를 전달 받고, 생체 활성화 정보에 따라 로봇 암(112)으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보조력 및 저항력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조절한다. 예컨대, 시스템 제어 장치(400)는 생체 활성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훈련 몰입도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훈련 몰입도가 저하된 경우 보조력의 크기를 감소시켜 사용자가 훈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system control device 400 receives the bio-activity information from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300 and adjusts the magnitude of the auxiliary force and the resistance force provided to the user from the robot arm 112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bio- For example, the system control device 400 determines the training commitment of the user in real time using the bio-activation information, and decreases the size of the auxiliary force when the training immersion degree is low, so that the user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training .

또한, 시스템 제어 장치(400)는 생체 활성화 정보에 따라 위급 상황을 판단하여 재활 훈련 장치(100)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근육에 경련이 발생하는 등의 위급 상황이 발생하면 시스템 제어 장치(400)는 강제로 훈련을 중단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control device 400 can stop driving th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100 by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biologic activ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n emergency occurs such as a user having muscle spasms, the system control device 400 can forcibly stop the training.

재활 관리 장치(500)는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장치로서, 복수의 재활 훈련 장치(100)로부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 각각에 적합한 훈련 모드를 관리한다.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is a big data-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that collects big data from a plurality of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s 100 via a wired / wireless network, analyzes big data, and manages a training mode suitable for each user do.

구체적으로, 재활 관리 장치(500)는 운동 능력 감지부(120)로부터 운동 능력 정보를 전달 받고,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전달받고, 생체 신호 측정 장치(300)로부터 생체 활성화 정보를 전달받는다. 여기서, 기본 정보는 각 국가 별로 관련 법이 허용하는 내에서 사용자의 이름, 환자 등록 번호 등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receives the exercise ability information from the exercise ability detection unit 120, receives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device 200, receives the user's basic information from the living body signal measurement device 300, Information is received. Here, the basic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user such as the user's name, patient registration number, and the like within each country, as permitted by the relevant law.

재활 관리 장치(500)는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 및 의료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성별, 나이, 질환, 병변의 정도, 경과 기간 등을 포함하며, 의료 정보는 의사 등의 의료진의 진단/재활 훈련 처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및 의료 정보는 재활 관리 장치(500) 내부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별도의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추출된 정보일 수 있다.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collects user inform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using basic information of the user. Herein,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gender, age, disease, degree of lesion, elapsed period, etc., and the medical information may include a diagnosis / rehabilitation training prescription of a medical staff such as a doctor.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medical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database (not shown) in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apparatus 500 and may be information extracted from a separate external server (not shown).

재활 관리 장치(500)는 운동 능력 정보 및 생체 활성화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상지 기능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저장한다. 예컨대, 재활 관리 장치(500)는 개인적인 운동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지각 평가, 인지 평가 및 행동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지각 평가는 시각, 촉각, 고유 수용 감각 등의 말초 감각 입력에 대한 상위 중추에서의 해석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고, 인지 평가는 목적 있는 움직임을 위한 집중력, 동기 부여 여부, 감성적인 요소 등을 평가하는 것이다.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evaluates the upper limb func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exercise ability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activation information, and stores the evaluation result. For example,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may perform a perceptual evaluation, a cognitive evaluation, and a behavioral evaluation in order to evaluate a personal exercise function. Here, the perception evaluation is to evaluate the interpreting ability of peripheral sensory input such as visual, tactile, and intrinsic receptive senses, and the cognitive evaluation evaluates concentration, motivation, and emotional factors for the desired movement .

행동 평가는 근력, 근 긴장도, 관절의 자유도, 근육-관절의 조화로운 움직임, 기능적인 움직임 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러한 평가 결과에는 근력, 가동 범위, 고유 수용 감각, 근 긴장도, 관절의 자유도, 근육-관절의 조화로운 움직임, 안정성, 관절의 기계적 저항 등이 포함될 수 있다.Behavioral assessment is assessing muscle strength, muscle tension, joint freedom, muscle-joint coordination, and functional movement. These results may include strength, range of motion, proprioceptive sense, muscle tension, degree of freedom of the joint, coordinated movement of the muscles - joints, stability, and mechanical resistance of the joints.

재활 관리 장치(500)는 데이터 마이닝, 기계학습, 패턴인식, 군집 분석, 다변량 통계(multivariate statistics) 등의 거대자료분석(big data analytics) 기술 등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재활 치료를 보조하기 위한 특징을 추출한다.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analyzes the evaluation results of a plurality of users through data mining, machine learning, pattern recognition, cluster analysis, and large data analysis techniques such as multivariate statistics, Extract features to aid in treatment.

예컨대, 평가 결과로 질환을 분석하는 판별 분석(discriminant analysis)을 수행하거나, 질환 별 평가 결과에 대한 요인 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해 환자의 운동 기능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요인(예컨대, 근력, 감각, 인지, 가동 범위 등)을 파악하거나, 질환 별로 기 분석된 데이터를 회귀 분석(regression analysis) 하여 질환의 경과와 회복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질환 별로 기 분석된 데이터는 질환의 경중, 시간 경과에 따른 회복의 정도 등이 포함된 데이터일 수 있다.For example, a discriminant analysis for analyzing a disease as an evaluation result, or a factor analysis for a disease-based evaluation result, may be used to determine a fundamental factor (e.g., strength, sensation, , Range of motion, etc.), or regression analysis of data analyzed for each disease can predict disease progression and recovery. Here, the data analyzed by disease may be data including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degree of recovery over time, and the like.

재활 관리 장치(500)는 추출된 특징들을 의료 정보와 비교하여 학습하고, 학습 결과에 따라 사용자 각각의 훈련 모드를 결정한다. 재활 관리 장치(500)는 결정된 훈련 모드를 시스템 제어 장치(400)에 전달한다.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learns the extracted features by comparing them with the medical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training mode of each of the users according to the learning results.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delivers the determined training mode to the system control device 400. [

여기서, 훈련 모드는 요구 경로, 환자에게 제공되는 저항력 및 보조력의 크기, 훈련의 빈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재활 관리 장치(500)는 일상 생활 동작 또는 과제 기반의 재활 훈련 프로그램에서 제시되는 요구 경로 상에서 상지가 움직이도록 보조할 것인지, 반대로 요구 경로로 사용자가 움직이기 어렵게 저항할 것인지 등을 정량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질환, 치료 경과, 과거의 훈련 성과 등에 따라 재활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Here, the training mode may include the required path, the resistance provided to the patient and the size of the assist force, the frequency of the training,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quantitatively adjusts whether the upper limb will be assisted to move on the request path presented in the daily life operation or the task-based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 In addition,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participates i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disease, treatment progress, and past training performance.

또한, 재활 관리 장치(500)는 실제 재활 치료사의 선행 동작을 학습하여 재활 학습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요구 경로와 다른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재활 관리 장치(500)는 환자 맞춤형으로 재활 훈련을 처방하고, 치료 시기를 환자에게 알리고, 치료 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 의사나 재활 치료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재활 관리 장치(500)는 재활 훈련에 필요한 요구 경로, 저항력, 보조력 등을 조정하는 메커니즘을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may learn a preceding operation of the actual rehabilitation therapist and generate a different path from the desired path provided by the rehabilitation learning program. That is,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can perform a role such as a doctor or a rehabilitation therapist who can prescribe rehabilitation training in a patient-customized manner, notify a patient of a treatment timing, and show therapeutic results. 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can manage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required path, resistance, assistance force,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rehabilitation training.

그리고, 재활 관리 장치(500)는 생체 활성화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집중력을 판단하여 생체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전달한다. 예컨대, 재활 관리 장치(500)는 사용자의 근육 또는 뇌 활성도에 따라 훈련의 참여 정도, 훈련의 몰입도 등을 판단하고, 훈련의 참여 정도가 낮거나 훈련의 몰입도가 저하되는 경우 사용자의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등을 자극하는 생체 피드백을 통해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훈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제어한다.Then,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generates feedback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biometric activ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biometric feedback, and transmits the feedback information to the interface device 200. For example,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500 judge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the training and the degree of engagement of the training according to the user's muscle or brain activity, and wh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the training is low or the immersion of the training is low, And controls the interface device 200 so that the user can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training through biofeedback stimulating hearing, tactile sense, smell, and the like.

예컨대, 사용자가 훈련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의 집중을 유도하는 피드백 영상을 생성하거나, 경고 음성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훈련 결과에 낙담한 경우 사용자를 격려하는 문구를 담은 피드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요구 경로 상에서 사용자 자신의 움직임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훈련 영상과 사용자의 상지 모션을 실시간으로 캡쳐한 사용자 영상을 합성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 can not concentrate on training, a feedback image may be generated to induce user's concentration, or a warning voice may be generated. In addition, if the user is dissatisfied with the training result, the feedback image containing the phrase encouraging the user can be generated. Then, the training image and the user image captured in real time by the user's upper limb motion can be synthesized so that the user's own motion can be confirmed directly on the required path.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재활 훈련 장치
200: 인터페이스 장치
300: 생체 신호 측정 장치
400: 시스템 제어 장치
500: 재활 관리 장치
100: Rehabilitation device
200: Interface device
300: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400: System control device
500: Rehabilitation management device

Claims (7)

훈련 모드에 따라 사용자의 상지 운동을 제어하고, 상기 상지 운동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감지하여 운동 능력 정보를 생성하는 재활 훈련 수단;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생체 활성화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 신호 측정 수단;
상기 생체 활성화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집중력을 판단하여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 의료 정보, 상기 운동 능력 정보 및 상기 생체 활성화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별 훈련 모드를 결정하는 재활 관리 수단; 및
상기 훈련 모드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피드백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생체 감각을 피드백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을 포함하는 상지 재활 훈련 장치.
A rehabilitation training means for controlling a user's upper limb movement according to a training mode and sensing exercise capacity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upper extremity exercise to generate exercise ability information;
Bio-signal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bio-signals of the user to generate bio-activity information;
Wherein the bioinformatics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acquires user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athletic performance information, and bio-activ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users by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bio-activation information and generates feedback information, A rehabilitation management means for making a decision; And
Providing an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training mode and providing feedback to the user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The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ncludes the upper limb.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관리 수단은
상기 운동 능력 정보 및 상기 생체 활성화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지 기능을 평가하고, 상기 평가 결과로부터 치료 보조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및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특징을 학습하여 상기 훈련 모드를 결정하는 상지 재활 훈련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habilitation management means
Evaluating the upper limb func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exercise ability information and the biometric activation information, extracting at least one feature required for a treatment assist from the evaluation result, and extracting the extracted feature us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medical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training mo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모드는 일상 생활 동작 및 목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요구 경로, 강도 및 빈도를 제공하는 상지 재활 훈련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ining mode provides a desired path, intensity and frequency for performing a daily life operation and a target oper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능력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력의 크기와 방향, 팔의 위치, 각도, 이동 속도, 가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지 재활 훈련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ercise ability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magnitude and direction of a resistance generated by the user, a position of an arm, an angle, a moving speed, and an acceler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훈련 수단은 착좌 상태, 두 발을 지면에 지지한 상태, 보행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세를 제공하는 상지 재활 훈련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habilitation training means provides at least one of a sitting state, a state in which the two feet are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walking sta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활성화 정보는 근육 및 뇌의 활성도를 포함하는 상지 재활 훈련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o-activation information includes muscle and brain activit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상지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촬영 수단;
상기 훈련 모드에 대응하는 영상, 상기 사용자의 시각을 자극하는 피드백 영상 및 상기 사용자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상기 훈련 모드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 영상 및 증강 현실 영상을 표시하는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 수단; 및
상기 사용자의 청각, 촉각 및 후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극하는 피드백 모듈
을 포함하는 상지 재활 훈련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device
A photographing means for photographing the upper limb of the user to generate a user image;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training mode, a feedback image for stimulating the time of the user, and the user image;
A head mounte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virtual reality image and an augmented reality image corresponding to the training mode; And
A feedback module for stimulating at least one of the auditory, tactile,
The upp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includes the upper limb.
KR1020160067420A 2016-05-31 2016-05-31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an arm KR201701354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420A KR20170135459A (en) 2016-05-31 2016-05-31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an a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420A KR20170135459A (en) 2016-05-31 2016-05-31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an a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459A true KR20170135459A (en) 2017-12-08

Family

ID=6091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420A KR20170135459A (en) 2016-05-31 2016-05-31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an a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5459A (en)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1224A (en) * 2019-02-22 2019-05-03 重庆市北碚区中医院 A kind of augmented reality AR wrist joint rehabilitation assessment and training system
KR102140010B1 (en) * 2019-03-07 2020-08-04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Training system for upper limb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104025A (en) * 2019-02-26 2020-09-03 한국과학기술원 Muscle synergy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using the same
KR20200119559A (en) * 2019-04-10 2020-10-20 김창걸 Device and method for rehabilitation training of upper limb
CN112043268A (en) * 2020-09-03 2020-12-08 天津理工大学 Upper limb rehabilitation evaluation method based on rehabilitation exercise initiative participation judgment
CN112206124A (en) * 2020-09-28 2021-01-12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Neural loop-guided upper limb function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JP2021007633A (en) * 2019-07-01 2021-0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Learning device,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method, program, and learned model
KR102238707B1 (en) * 2020-10-28 2021-04-12 알바이오텍 주식회사 Gait training system base on AR footstep guide
KR102259078B1 (en) * 2019-11-22 2021-06-01 대한민국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for activate lower limb musculatures using virtual reality and tilting table and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thereof
EP3797750A4 (en) * 2019-07-31 2021-06-16 Medivr, Inc. Rehabilitation support device and rehabilitation support method
CN113101134A (en) * 2021-04-02 2021-07-13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新华医院 Children lower limb movement auxiliary rehabilitation system based on power exoskeleton
KR20210095315A (en) 2020-01-23 2021-08-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 Remedial Exercise Machine for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ening
KR20210101825A (en) * 2020-02-11 2021-08-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force control ability of upper limb and prosthesis
CN113576831A (en) * 2021-07-27 2021-11-02 南京麦澜德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Auxiliary hand function operation training rehabilit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CN113730178A (en) * 2021-07-27 2021-12-03 深圳华鹊景医疗科技有限公司 Upper limb constant-speed training rehabilitation robot system and robot control method
KR102345638B1 (en) * 2021-05-24 2021-12-29 박연복 Non-face-to-face movement management platform system for the disabled
WO2022025563A1 (en) * 2020-07-28 2022-02-03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training brain of central nervous system demyelinating disease patient on basis of virtual reality
CN114366563A (en) * 2022-01-17 2022-04-19 山东科技大学 Parallel ankle rehabilitation robot system based on machine vision
WO2022102851A1 (en) *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Virtual reality interactive typ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KR20220072026A (en) * 2020-11-23 2022-06-02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nd System Using Rehabilitation Robot
WO2022139031A1 (en)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Rehabilitation diagnosis training system and rehabilitation diagnosis training method
KR20220152642A (en) * 2021-05-10 2022-11-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 medical auxiliary system using motion detection and a method thereof
KR20230076993A (en) * 2021-11-24 2023-06-01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Posture monitering method of rehabilitation exercise system
CN117398074A (en) * 2023-12-13 2024-01-16 慧创科仪(北京)科技有限公司 Near infrared data-based brain function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nd device
WO2024090830A1 (en) * 2022-10-27 2024-05-02 한국 한의학 연구원 Cognitive trai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eye tracking

Cited B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1224B (en) * 2019-02-22 2024-02-23 重庆市北碚区中医院 Augmented reality AR wrist joint rehabilitation evaluation and training system
CN109701224A (en) * 2019-02-22 2019-05-03 重庆市北碚区中医院 A kind of augmented reality AR wrist joint rehabilitation assessment and training system
KR20200104025A (en) * 2019-02-26 2020-09-03 한국과학기술원 Muscle synergy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using the same
KR102140010B1 (en) * 2019-03-07 2020-08-04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Training system for upper limb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119559A (en) * 2019-04-10 2020-10-20 김창걸 Device and method for rehabilitation training of upper limb
JP2021007633A (en) * 2019-07-01 2021-0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Learning device,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method, program, and learned model
EP3797750A4 (en) * 2019-07-31 2021-06-16 Medivr, Inc. Rehabilitation support device and rehabilitation support method
KR102259078B1 (en) * 2019-11-22 2021-06-01 대한민국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for activate lower limb musculatures using virtual reality and tilting table and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thereof
KR20210095315A (en) 2020-01-23 2021-08-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 Remedial Exercise Machine for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ening
KR20210101825A (en) * 2020-02-11 2021-08-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force control ability of upper limb and prosthesis
WO2022025563A1 (en) * 2020-07-28 2022-02-03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training brain of central nervous system demyelinating disease patient on basis of virtual reality
CN112043268A (en) * 2020-09-03 2020-12-08 天津理工大学 Upper limb rehabilitation evaluation method based on rehabilitation exercise initiative participation judgment
CN112043268B (en) * 2020-09-03 2024-01-26 天津理工大学 Upper limb rehabilitation evaluation method based on rehabilitation exercise initiative participation judgment
CN112206124A (en) * 2020-09-28 2021-01-12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Neural loop-guided upper limb function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CN112206124B (en) * 2020-09-28 2022-02-15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Neural loop-guided upper limb function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KR102238707B1 (en) * 2020-10-28 2021-04-12 알바이오텍 주식회사 Gait training system base on AR footstep guide
WO2022102851A1 (en) *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Virtual reality interactive type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KR20220065162A (en) * 2020-11-12 2022-05-20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Virtual reality feeling type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KR20220072026A (en) * 2020-11-23 2022-06-02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nd System Using Rehabilitation Robot
WO2022139031A1 (en) * 2020-12-23 2022-06-30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Rehabilitation diagnosis training system and rehabilitation diagnosis training method
CN113101134B (en) * 2021-04-02 2023-11-28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新华医院 Child lower limb movement auxiliary rehabilitation system based on power exoskeleton
CN113101134A (en) * 2021-04-02 2021-07-13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新华医院 Children lower limb movement auxiliary rehabilitation system based on power exoskeleton
KR20220152642A (en) * 2021-05-10 2022-11-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 medical auxiliary system using motion detection and a method thereof
KR102345638B1 (en) * 2021-05-24 2021-12-29 박연복 Non-face-to-face movement management platform system for the disabled
CN113730178A (en) * 2021-07-27 2021-12-03 深圳华鹊景医疗科技有限公司 Upper limb constant-speed training rehabilitation robot system and robot control method
CN113576831A (en) * 2021-07-27 2021-11-02 南京麦澜德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Auxiliary hand function operation training rehabilita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KR20230076993A (en) * 2021-11-24 2023-06-01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Posture monitering method of rehabilitation exercise system
CN114366563A (en) * 2022-01-17 2022-04-19 山东科技大学 Parallel ankle rehabilitation robot system based on machine vision
CN114366563B (en) * 2022-01-17 2023-12-22 山东科技大学 Parallel ankle rehabilitation robot system based on machine vision
WO2024090830A1 (en) * 2022-10-27 2024-05-02 한국 한의학 연구원 Cognitive trai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eye tracking
CN117398074A (en) * 2023-12-13 2024-01-16 慧创科仪(北京)科技有限公司 Near infrared data-based brain function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nd device
CN117398074B (en) * 2023-12-13 2024-04-05 慧创科仪(北京)科技有限公司 Near infrared data-based brain function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an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5459A (en)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for an arm
Bayon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ovel robotic platform for gait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CPWalker
US11273344B2 (en) Multimodal sensory feedback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and assessment of disequilibrium, balance and motion disorders
Pedrocchi et al. MUNDUS project: MUltimodal Neuroprosthesis for daily Upper limb Support
US10258259B1 (en) Multimodal sensory feedback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and assessment of disequilibrium, balance and motion disorders
US8938289B2 (en) Motor training with brain plasticity
JP5117726B2 (en) Methods and instruments for rehabilitation and training
US9526946B1 (en) Enhanced system and method for vibrotactile guided therapy
Sawers et al. Small forces that differ with prior motor experience can communicate movement goals during human-human physical interaction
KR102014176B1 (en) Brain training simulation system based on behavior modeling
RU2622206C2 (en) Method for patients rehabilitation after stroke or injury by a robotic complex comprising human limb exoskeleton controlled by brain-computer interface using motion imaging
Sramka et al. Combined methods of rehabilitation of patients after stroke: virtual reality and traditional approach
RU2617199C2 (en) Device for hands functions recovery and development
US20220187913A1 (en) Neurorehabilitation system and neurorehabilitation method
Pan et al. A vibrotactile feedback device for balance rehabilitation in the EksoGT™ robotic exoskeleton
Schließmann et al. Feasibility of visual instrumented movement feedback therapy in individuals with motor incomplete spinal cord injury walking on a treadmill
KR20110050954A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exercise and study service
McKinney et al. Pilot evaluation of wearable tactile biofeedback system for gait rehabilitation in peripheral neuropathy
Williams et al. Training conditions influence walking kinematics and self-selected walking speed in patients with neurological impairments
Pan et al. Interactive balance rehabilitation tool with wearable skin stretch device
Aliverti et al. Functiona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Goodworth et al. Physical Therapy and Rehabilitation
Valencia-Jimenez et al. The effect of smart mirror environment on proprioception factors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Hasegawa et al. Motor learning on postural control using auditory biofeedback training
Kilicarslan et al. Neuro-Robotics: Rehabilitation and Restoration of Walking Using Exoskeletons via Non-invasive Brain–Machine Inte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