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391A -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391A
KR20170135391A KR1020160067247A KR20160067247A KR20170135391A KR 20170135391 A KR20170135391 A KR 20170135391A KR 1020160067247 A KR1020160067247 A KR 1020160067247A KR 20160067247 A KR20160067247 A KR 20160067247A KR 20170135391 A KR20170135391 A KR 20170135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product
user
providing
particip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7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5391A/ko
Publication of KR2017013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은, (a) 특정 전자 제품군에 대한 사용성과 관련된 평가 항목들 및 평가 문항들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b) 평가 의뢰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평가 대상 제품과 관련된 평가 문항들을 생성하여 평가 참여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평가 참여자들이 상기 평가 대상 제품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e) 상기 평가 참여자들이 수행한 평가 결과를 평가 기준, 제품 구성 요소 및 사용자 계층별로 분류하고 종합 평가 결과를 상기 평가 의뢰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누구나 쉽게 다양한 전자 제품군에 맞추어 사용자가 체감하는 사용자 경험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고 다양한 제품 개발 단계에 대응하는 다양한 사용자의 경험 및 평가를 정량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전자 제품의 개발 시 문제점을 발견 및 보완할 수 있고 중소기업의 전자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USABILITY OF ELECTRONIC PRODUCTS}
본 발명은 전자 제품의 사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중소기업에서 생산 및 판매하는 다양한 전자 제품의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얻는 경험 또는 판매 예정인 전자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는 전자 제품의 개발 시 간과하기 쉬운 제품 사용상의 문제점들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여 전자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필수적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전자 제품은 제품군에 따라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매우 다양한 제품 개발 단계를 거쳐 개발 및 생산되기 때문에, 전자 제품을 개발한 평가 의뢰자가 다양한 제품 개발 단계에 대응하여 전자 제품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의 경험 및 평가를 정량적으로 획득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누구나 쉽게 다양한 전자 제품군에 맞추어 다양한 사용자가 체감하는 사용자 경험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고 다양한 제품 개발 단계에 대응하는 다양한 사용자의 경험 및 평가를 정량적으로 획득하여 종합 평가 결과를 평가 의뢰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KR 10-2015-0037828 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누구나 쉽게 다양한 전자 제품군에 맞추어 사용자가 체감하는 사용자 경험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고 다양한 제품 개발 단계에 대응하는 다양한 사용자의 경험 및 평가를 정량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전자 제품의 개발 시 문제점을 발견 및 보완할 수 있고 중소기업의 전자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누구나 쉽게 다양한 전자 제품군에 맞추어 사용자가 체감하는 사용자 경험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고 다양한 제품 개발 단계에 대응하는 다양한 사용자의 경험 및 평가를 정량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전자 제품의 개발 시 문제점을 발견 및 보완할 수 있고 중소기업의 전자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은,
(a) 특정 전자 제품군에 대한 사용성과 관련된 평가 항목들 및 평가 문항들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b) 평가 의뢰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평가 대상 제품과 관련된 평가 문항들을 생성하여 평가 참여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평가 참여자들이 상기 평가 대상 제품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e) 상기 평가 참여자들이 수행한 평가 결과를 평가 기준, 제품 구성 요소 및 사용자 계층별로 분류하고 종합 평가 결과를 상기 평가 의뢰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대상 제품은, 주 평가 대상 제품 및 비교 대상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평가 문항에 대한 상기 평가 참여자들의 답변들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상기 평가 문항에 대한 답변들 각각에는 소정의 차등적인 점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평가 참여자들은 예상 사용자, 기존 사용자 및 개발자를 포함하고, 상기 예상 사용자는, 평가 대상이 되는 전자 제품을 사용해 본 적이 없는 사용자를 나타내며, 상기 기존 사용자는, 평가 대상이 되는 시중에 유통된 전자 제품을 사용한 적이 있는 사용자를 나타내고, 상기 개발자는 평가 대상이 되는 전자 제품을 개발하는 주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평가 의뢰자에게 평가 수행자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b-2) 상기 평가 의뢰자에게 주 평가 대상 제품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b-3) 상기 평가 의뢰자에게 주 평가 대상 제품 및 비교 대상 제품 정보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b-4) 상기 평가 의뢰자에게 제품 구성 요소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은, 상기 단계 (a) 이전에,
(a-1) 평가 설계자가 관심 제품군이 더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a-2) 상기 단계 (a-1)에서 관심 제품군이 더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평가 설계자가 소정의 전자 제품군을 선택하는 단계; 및
(a-3) 상기 평가 설계자가 상기 소정의 전자 제품군에 대한 사용성과 관련된 평가 항목들 및 평가 문항들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고 상기 단계 (a-1)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평가 항목들은 i개의 평가 기준과 j개의 제품 구성 요소를 조합한 평가 항목들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i, j는 1 이상인 정수이며, 상기 평가 기준은 사용 편의성, 감성 및 사용자 가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 원칙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 구성 요소는, 각 제품의 세분화된 구성 요소 및 기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그룹화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 편의성은 사용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얼마나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도를 나타내고, 상기 감성은 제품 또는 서비스의 외관 및 외형에 의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감정을 나타내며, 상기 사용자 가치는 사용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고 사용함으로써 스스로 느끼고 얻을 수 있는 주관적인 가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 편의성은, 정보 제공성, 학습성, 효율성, 및 인체적합성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성은 정보를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전달하는지를 나타내며, 상기 학습성은 원하는 기능을 쉽고 빠르게 이해하거나 기억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고, 상기 효율성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성공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한지를 나타내며, 상기 인체적합성은 형태와 조작 방법이 사용자의 신체에 알맞은 형태이거나 신체에 맞게 조절 가능한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성은, 매력성, 정교성, 고급감, 안정감 및 조화감을 포함하고, 상기 매력성은 아름답고 매력적인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정교성은 정교하고 세밀한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고급감은 세련되고 우아한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안정감은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느껴지는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조화감은 다른 구성 요소 및 주변 제품들과의 일체감 및 조화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가치는, 안전, 위생, 내구성, 성능 및 기능성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은 제품 사용시, 다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위생은 위생적이고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내구성은 강건하고 내구성이 높아 성능이 떨어지거나 고장나지 않는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성능은 제공되는 기능의 수행 능력이 탁월한 정도를 나타내고, 상기 기능성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층은 사용자의 연령, 성별 및 생활수준에 따른 계층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상기 평가 참여자들이 수행한 평가 결과를 평가 기준, 제품 구성 요소, 사용자 계층 및 설문 시점별로 분류하고 종합 평가 결과를 상기 평가 의뢰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평가 참여자들에게 평가 개요를 설명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c-2) 상기 평가 참여자들에게 평가 참여자 정보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c-3) 상기 평가 참여자들에게 제품 설명 및 사용법에 대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c-4) 상기 평가 참여자들에게 기존의 유사 제품 사용 경험 수집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c-5) 상기 평가 참여자들에게 평가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c-6) 상기 평가 참여자들에게 상기 평가 대상 제품의 구성 요소별 평가 문항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시스템은,
특정 전자 제품군에 대한 사용성과 관련된 평가 항목들 및 평가 문항들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동작, 평가 의뢰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평가 대상 제품과 관련된 평가 문항들을 생성하여 평가 참여자들에게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평가 참여자들이 수행한 평가 결과를 평가 기준, 제품 구성 요소 및 사용자 계층별로 분류하고 종합 평가 결과를 상기 평가 의뢰자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서버;
상기 평가 항목들 및 평가 문항들을 저장하기 위한 평가 항목 및 평가 문항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평가 기준, 제품 구성 요소 및 사용자 계층별 종합 평가의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평가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대상 제품은, 주 평가 대상 제품 및 비교 대상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평가 문항에 대한 상기 평가 참여자들의 답변들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상기 평가 문항에 대한 답변들 각각에는 소정의 차등적인 점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평가 참여자들은 예상 사용자, 기존 사용자 및 개발자를 포함하고, 상기 예상 사용자는, 평가 대상이 되는 전자 제품을 사용해 본 적이 없는 사용자를 나타내며, 상기 기존 사용자는, 평가 대상이 되는 시중에 유통된 전자 제품을 사용한 적이 있는 사용자를 나타내고, 상기 개발자는 평가 대상이 되는 전자 제품을 개발하는 주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평가 항목들은 i개의 평가 기준과 j개의 제품 구성 요소를 조합한 평가 항목들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i, j는 1 이상인 정수이며, 상기 평가 기준은 사용 편의성, 감성 및 사용자 가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 원칙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 구성 요소는, 각 제품의 세분화된 구성 요소 및 기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그룹화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누구나 쉽게 다양한 전자 제품군에 맞추어 사용자가 체감하는 사용자 경험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고 다양한 제품 개발 단계에 대응하는 다양한 사용자의 경험 및 평가를 정량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전자 제품의 개발 시 문제점을 발견 및 보완할 수 있고 중소기업의 전자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전자 제품의 평가와 관련하여, 연령 또는 성별과 같은 사용자 계층별 평가 점수를 파악할 수 있고, 더욱이 평가 참여자의 생활 수준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전자 제품의 평가와 관련하여 연령, 성별 및 생활 수준에 따른 평가 참여자의 평가를 획득하여 종합 결과를 평가 의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의뢰자는 전자 제품의 개발 시 사용자의 연령, 성별 및 생활 수준에 따른 맞춤형 전자 제품을 최적으로 개발할 수 있고, 제품 판매 이전에 문제점을 사전에 발견하여 보완함으로써 전자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 판매 이후라도 판매 중인 제품의 문제점을 발견 및 보완함으로써 경쟁 제품에 비해 더 나은 전자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평가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 획득 단계의 상세 흐름도.
도 4는 관심 제품군이 더 있는 경우의 평가 항목 및 평가 문항 추가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평가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 획득 단계의 상세 단계들에서 평가 의뢰인에게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평가 참여자의 유형에 따른 평가 문항 제공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10 내지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평가 문항 제공 절차의 각 단계에서 평가 참여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제품 모델에 따른 사용자 경험 원칙별 점수를 분석한 도면.
도 18은 성별에 따른 사용자 경험 원칙 점수를 분석한 도면.
도 19는 나이에 따른 사용자 경험 원칙별 점수를 분석한 도면.
도 20은 사용자 경험 원칙별 가격 대비 점수를 비교한 도면.
도 21은 설문 시점에 따른 사용자 경험 원칙별 점수를 분석한 도면.
도 22는 구성 요소별 모델에 따른 점수를 비교한 도면.
도 23은 설문 시점에 따른 구성 요소별 점수를 분석한 도면.
도 24는 각 설문 문항에 대해 구성 요소 스펙별 점수를 비교한 도면.
도 25는 구성 요소 마다 구성 요소 스펙별 점수를 비교한 도면.
도 26은 구성 요소별 가격 대비 점수를 비교한 도면.
도 27은 성별에 따른 구성 요소별 점수를 분석한 도면.
도 28은 나이에 따른 구성 요소별 점수를 분석한 도면.
도 29 및 도 30은 사용자 경험 원칙마다 구성 요소 스펙별 점수를 비교한 도면.
도 31은 각 설문 문항에 대한 모델별 점수를 비교한 도면.
도 32는 설문 시점에 따른 설문 문항별 점수를 분석한 도면.
도 33은 성별에 따른 설문 문항별 점수를 분석한 도면.
도 34는 나이에 따른 사용자 경험 설문 문항별 점수를 분석한 도면.
도 35는 설문 문항별 가격 대비 점수를 비교한 도면.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시스템은,
특정 전자 제품군에 대한 사용성과 관련된 평가 항목들 및 평가 문항들을 데이터베이스(110)로 구축하는 동작, 평가 의뢰자(100-1 내지 100-n)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평가 대상 제품과 관련된 평가 문항들을 생성하여 평가 참여자들(102-1 내지 102-n, 100-4 내지 104-n, 106-1 내지 106-n)에게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평가 참여자들(102-1 내지 102-n, 100-4 내지 104-n, 106-1 내지 106-n)이 수행한 평가 결과를 평가 기준, 제품 구성 요소 및 사용자 계층별로 분류하고 종합 평가 결과를 평가 의뢰자(100-1 내지 100-n)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서버(108), 상기 평가 항목들 및 평가 문항들을 저장하기 위한 평가 항목 및 평가 문항 데이터베이스(110), 및 상기 평가 기준, 제품 구성 요소 및 사용자 계층별 종합 평가의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평가 결과 데이터베이스(112)를 포함한다.
평가 의뢰자(100-1 내지 100-n)와 평가 참여자들(102-1 내지 102-n, 100-4 내지 104-n, 106-1 내지 106-n)은 통신망을 통해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서버(108)와 통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평가 의뢰자(100-1 내지 100-n)와 평가 참여자들(102-1 내지 102-n, 100-4 내지 104-n, 106-1 내지 106-n)은 실질적으로 통신망을 통해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서버(108)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즉, 평가를 의뢰하는 사람은 컴퓨팅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서버(108)에 접속하여 전자 제품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의뢰하거나 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평가를 수행하는 사람은 컴퓨팅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서버(108)에 접속하여 전자 제품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관리자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시스템을 총괄 관리하는데, 주로 평가 의뢰인과 평가 참여자의 계정을 관리하고, 평가 시스템 구성 요소, 문항, 평가 결과 등을 필요에 따라 지속적으로 관리 및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시스템 관리자는, 전자 제품 유형, 전자 제품 구성 요소, 전자 제품 유형과 구성 요소와의 관계, 사용자 경험 요소 및 전자 제품 평가 문항, 평가 결과 제공 양식 및 히스토리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업데이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시스템의 동작을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과 연계하여 하기에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200에서, 평가 설계자(미도시)가, 특정 전자 제품군에 대한 사용성과 관련된 평가 항목들 및 평가 문항들을 데이터베이스(110)로 구축한다.
단계 S202에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서버(108)가, 예를 들어 제1 평가 의뢰자(100-1)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서버(108)는, 평가 수행자 선택 화면 제공 단계(단계 S300), 주 평가 대상 제품 선택 화면 제공 단계(단계 S302), 주 평가 대상 제품 및 비교 대상 제품 정보 입력 화면 제공 단계(단계 S304), 및 제품 구성 요소 선택 화면 제공 단계(S306)를 수행하여, 제1 평가 의뢰자(100-1)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300은 도 5에 도시된 평가 수행자 선택 화면을 제1 평가 의뢰자(100-1)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평가 참여자들은 평가 대상이 되는 전자 제품을 사용해 본 적이 없는 사용자인 제1 내지 제n 예상 사용자(102-1 내지 102-n), 평가 대상이 되는 시중에 유통된 전자 제품을 6개월 이상 사용한 적이 있는 사용자인 제1 내지 제n 기존 사용자(104-1 내지 104-n), 및 평가 대상이 되는 전자 제품을 개발하는 주체를 나타내는 제1 내지 제n 개발자(106-1 내지 106-n)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초기 사용 시 발생 가능한 문제점뿐만 아니라 사용 상의 문제점 등을 발견하기 위한 것이 평가 의뢰의 목적인 경우, 제1 평가 의뢰자(100-1)는 제1 내지 제n 예상 사용자(102-1 내지 102-n)를 선택하고, 해당 제품의 사용 상의 문제점 등을 발견하기 위한 것이 평가 의뢰의 목적인 경우, 제1 평가 의뢰자(100-1)는 제1 내지 제n 기존 사용자(104-4 내지 104-n)를 선택하며, 해당 제품 개발 시 간과하기 쉬운 문제점들을 조기에 발견하고 해결하기 위한 자가 진단이 평가 의뢰의 목적인 경우, 제1 평가 의뢰자(100-1)는 제1 내지 제n 개발자(106-1 내지 106-n)를 선택한다.
상기와 같이 제1 평가 의뢰자(100-1)는 평가 의뢰의 목적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평가 수행자 선택 화면에서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 수행자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평가 의뢰자(100-1)가 제1 내지 제n 예상 사용자(102-1 내지 102-n)를 선택했다고 가정한다.
단계 S302는 도 6에 도시된 주 평가 대상 제품 선택 화면을 제1 평가 의뢰자(100-1)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제1 평가 의뢰자(100-1)는 도 6에 도시된 주 평가 대상 제품 선택 화면에서 주 평가 대상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304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주 평가 대상 제품 및 비교 대상 제품 정보 입력 화면을 제1 평가 의뢰자(100-1)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제1 평가 의뢰자(100-1)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주 평가 대상 제품 및 비교 대상 제품 정보 입력 화면에서, 주 평가 대상 제품 및 비교 대상 제품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특히,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평가 의뢰자(100-1)는 주 평가 대상 제품의 대표 작업과 관련 동영상 및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 S306은 도 8에 도시된 제품 구성 요소 선택 화면을 제1 평가 의뢰자(100-1)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제1 평가 의뢰자(100-1)는 도 8에 도시된 제품 구성 요소 선택 화면에서, 평가 대상 제품의 제품 구성 요소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204에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서버(108)는, 상기 평가 항목 및 평가 문항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평가 대상 제품과 관련된 평가 문항들을 생성하여 평가 참여자인 제1 내지 제n 예상 사용자(102-1 내지 102-n)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평가 문항에 대한 상기 평가 참여자들의 답변들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상기 평가 문항에 대한 답변들 각각에 소정의 차등적인 점수가 부여된다.
예를 들어, 각 평가 문항에 대해서 5점을 척도로 평가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우 아니다"라는 답변에는 1점, "아니다"라는 답변에는 2점, "보통이다"라는 답변에는 3점, "그렇다"라는 답변에는 4점, "매우 그렇다"라는 답변에는 5점을 부여한다.
도 16의 예시적인 문항의 경우 평가 참여자가 "아니다"라는 답변에 체크하였으므로, 이 평가 문항에는 2점이 부여된다.
이 단계에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서버(108)는, 평가 참여자의 유형에 따라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동작들을 수행한다.
평가 참여자가 예상 사용자인 경우,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서버(108)는, 도 9a에 도시된 단계 S900 내지 단계 S910의 동작들을 수행한다.
즉, 평가 참여자가 예상 사용자인 경우,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서버(108)는, 도 10에 도시된 평가 개요 설명 화면을 제공하고(단계 S900), 도 11에 도시된 평가 참여자 정보 입력 화면을 제공하며(단계 S902), 도 12에 도시된 제품 설명 및 사용법 설명 화면을 제공하고(단계 S904),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기존 유사 제품 사용 경험 수집 화면을 제공하며(단계 S906), 도 15에 도시된 평가 방법 설명 화면을 제공하고(단계 S908), 도 16에 도시된 구성 요소별 문항 제공 및 평가 화면을 제공한다(단계 S910).
평가 참여자가 기존 사용자인 경우,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서버(108)는, 도 9b에 도시된 단계 S912 내지 단계 S922의 동작들을 수행한다.
평가 참여자가 개발자인 경우,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서버(108)는, 도 9c에 도시된 단계 S924 내지 단계 S930의 동작들을 수행한다.
단계 S206에서, 평가 참여자인 제1 내지 제n 예상 사용자(102-1 내지 102-n)는 사용자 계층별로 평가 대상 제품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다.
단계 S208에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서버(10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평가 참여자인 제1 내지 제n 예상 사용자(102-1 내지 102-n)가 수행한 평가 결과를 평가 기준, 제품 구성 요소 및 사용자 계층별로 분류하고 종합 평가 결과를 제1 평가 의뢰자(100-1)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평가 항목들은 i개의 평가 기준과 j개의 제품 구성 요소를 조합한 평가 항목들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i, j는 1 이상인 정수이다.
또한, 상기 평가 기준은 사용 편의성, 감성 및 사용자 가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 원칙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 구성 요소는, 각 제품의 세분화된 구성 요소 및 기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그룹화한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 편의성은 사용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얼마나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도를 나타내고, 상기 감성은 제품 또는 서비스의 외관 및 외형에 의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감정을 나타내며, 상기 사용자 가치는 사용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고 사용함으로써 스스로 느끼고 얻을 수 있는 주관적인 가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사용 편의성은, 정보 제공성, 학습성, 효율성, 및 인체적합성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제공성은 정보를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전달하는지를 나타내며, 상기 학습성은 원하는 기능을 쉽고 빠르게 이해하거나 기억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고, 상기 효율성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성공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한지를 나타내며, 상기 인체적합성은 형태와 조작 방법이 사용자의 신체에 알맞은 형태이거나 신체에 맞게 조절 가능한지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감성은, 매력성, 정교성, 고급감, 안정감 및 조화감을 포함하고, 상기 매력성은 아름답고 매력적인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정교성은 정교하고 세밀한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고급감은 세련되고 우아한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안정감은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느껴지는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조화감은 다른 구성 요소 및 주변 제품들과의 일체감 및 조화 정도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사용자 가치는, 안전, 위생, 내구성, 성능 및 기능성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은 제품 사용시, 다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위생은 위생적이고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내구성은 강건하고 내구성이 높아 성능이 떨어지거나 고장나지 않는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기능성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사용자 계층은 사용자의 연령, 성별 및 생활수준에 따른 계층을 나타낸다.
상기 제품 구성 요소는 평가 대상 제품의 설계 요소인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것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제품의 세분화된 구성 요소(외형적 부품) 및 기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기반으로 그룹화한 요소이다.
상기 제품 구성 요소는, 예시적으로 단위 기능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요소, 및 외형 등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 기능 모듈은 예를 들어 흡입/배출구, 필터/먼지 봉투, 팬/모터, 열원, 센서 등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는 시각 정보, 청각 정보, 촉각 자극, 조작부 등을 포함하여, 상기 외형은 색/프린트, 텍스처, 형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시각 정보는, 사용자에게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품의 구성 요소 및 제공되는 시각 정보, 상태 표시등, 숫자 표시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각 정보는, 청각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품의 구성 요소 및 제공되는 청각 정보와 제품 사용 중 발생하는 소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각 자극은, 지압부와 같이 사용자의 피부와 상호작용하는 표면과 이를 통해 제공되는 자극 및 지압 롤러, 마사지 헤드, 텍스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제품의 제어를 위해 제공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것을 감지하는 입력 장치로서 터치식 버튼 및 푸시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두 가지 이상의 모드 중 한가지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장치인 토글/스위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그/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형은, 제품의 외형/디자인과 관련된 설계 요소로서, 제품의 외부 색상과 표면의 프린트/도안을 나타내는 색/무늬, 제품 외관을 구성하는 재질의 디자인을 나타내는 재질, 및 제품 외관의 물리적인 형태, 크기, 두께 등의 디자인을 나타내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품 구성 요소는 제품별로 제품을 구성하는 설계 요소가 상이하기 때문에, 제품별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평가 문항의 예시로서, 구성 요소가 팬/모터인 경우를 예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평가 기준인 사용자 경험 원칙이 성능인 경우, 평가 문항은 "흡입 및 배기 성능이 좋다"가 될 수 있고, 평가 기준이 안전인 경우, 평가 문항은 "팬, 모터에 신체 일부나 옷이 끼일 위험이 적다"가 될 수 있으며, 평가 기준이 내구성인 경우, 평가 문항은 "팬, 모터가 쉽게 고장나지 않는다"가 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가 청각 정보인 경우를 예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평가 기준인 사용자 경험 원칙이 학습성인 경우, 평가 문항은 "효과음의 의미를 이해하기 쉽다"가 될 수 있고, 평가 기준이 인체적합성인 경우, 평가 문항은 "효과음이 잘 들린다"가 될 수 있으며, 평가 기준이 매력성인 경우, 평가 문항은 "효과음이 매력적이다"가 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35는, 상기 평가 참여자들(102-1 내지 102-n, 100-4 내지 104-n, 106-1 내지 106-n)이 수행한 전자 제품에 대한 평가 결과에 기반한 평가 기준, 제품 구성 요소, 사용자 계층 및 설문 시점별 평가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3개의 전제 제품 모델(A, B, C)에 대한 평가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 경험 원칙별 평가 점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각 전자 제품 모델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 평가 참여자들의 사용자 경험 원칙인 감성 점수 및 매력성 점수 등의 평가 결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8은 평가 참여자의 성별에 따른 사용자 경험 원칙 점수를 도시한 것으로, 평가 참여자의 성별 차이에 따라 사용 편의성, 감성, 사용자 가치에 대한 평가 결과가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남녀가 동일한 제품을 평가한 경우에도 상이한 사용자 경험 점수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도 19는 나이에 따른 사용자 경험 원칙별 점수를 분석한 도면으로, 평가 참여자의 나이에 따라 동일한 제품의 평가 시 상이한 사용자 경험 점수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도 20은 사용자 경험 원칙별 가격 대비 점수를 비교한 도면으로, 제품 가격에 따라 사용자 경험 원칙 점수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1은 설문 시점에 따른 사용자 경험 원칙별 점수를 분석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출시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품이 구형화되기 때문에, 동일 제품에 대한 사용자 경험 원칙별 점수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2는 구성 요소별 모델에 따른 점수를 비교한 도면으로, 모델 및 구성 요소에 따른 평가 점수를 비교할 수 있다.
도 23은 설문 시점에 따른 구성 요소별 점수를 분석한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출시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품이 구형화되기 때문에, 동일 제품에 대한 구성 요소별 점수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4는 각 설문 문항에 대해 구성 요소 스펙별 점수를 비교한 도면이고, 도 25는 구성 요소 마다 구성 요소 스펙별 점수를 비교한 도면이며, 도 26은 구성 요소별 가격 대비 점수를 비교한 도면이고, 도 27은 성별에 따른 구성 요소별 점수를 분석한 도면이며, 도 28은 나이에 따른 구성 요소별 점수를 분석한 도면이고, 도 29 및 도 30은 사용자 경험 원칙마다 구성 요소 스펙별 점수를 비교한 도면이며, 도 31은 각 설문 문항에 대한 모델별 점수를 비교한 도면이고, 도 32는 설문 시점에 따른 설문 문항별 점수를 분석한 도면이며, 도 33은 성별에 따른 설문 문항별 점수를 분석한 도면이고, 도 34는 나이에 따른 사용자 경험 설문 문항별 점수를 분석한 도면이며, 도 35는 설문 문항별 가격 대비 점수를 비교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전자 제품의 평가와 관련하여, 연령 또는 성별과 같은 사용자 계층별 평가 점수를 파악할 수 있고, 더욱이 평가 참여자의 생활 수준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는 경우, 전자 제품의 평가와 관련하여 연령, 성별 및 생활 수준에 따른 평가 참여자의 평가를 획득하여 종합 결과를 평가 의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의뢰자는 전자 제품의 개발 시 사용자의 연령, 성별 및 생활 수준에 따른 맞춤형 전자 제품을 최적으로 개발할 수 있고, 제품 판매 이전에 문제점을 사전에 발견하여 보완함으로써 전자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 판매 이후라도 판매 중인 제품의 문제점을 발견 및 보완함으로써 경쟁 제품에 비해 더 나은 전자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S200 이후에, 평가 설계자가 추가적인 전자 제품군에 대한 평가 항목들 및 평가 문항들을 평가 항목 및 평가 문항 데이터베이스(110)에 추가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2에서, 평가 설계자는, 관심 제품군이 더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단계 S400에서 관심 제품군이 더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S402에서, 소정의 전자 제품군을 선택하며, 단계 S404에서, 상기 소정의 전자 제품군에 대한 사용성과 관련된 평가 항목들 및 평가 문항들을 평가 항목 및 평가 문항 데이터베이스(110)에 추가한다.
상기 평가 항목들은 i개의 평가 기준과 j개의 제품 구성 요소를 조합한 평가 항목들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i, j는 1 이상인 정수이며, 상기 평가 기준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 편의성, 감성 및 사용자 가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 원칙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 구성 요소는, 각 제품의 세분화된 구성 요소 및 기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그룹화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누구나 쉽게 다양한 전자 제품군에 맞추어 사용자가 체감하는 사용자 경험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고 다양한 제품 개발 단계에 대응하는 다양한 사용자의 경험 및 평가를 정량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전자 제품의 개발 시 문제점을 발견 및 보완할 수 있고 중소기업의 전자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1 내지 100-n : 제1 내지 제n 평가 의뢰자
102-1 내지 102-n : 제1 내지 제n 예상 사용자
104-1 내지 104-n : 제1 내지 제n 기존 사용자
106-1 내지 106-n : 제1 내지 제n 개발자
108 :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서버
110 : 평가 항목 및 평가 문항 데이터베이스
112 : 평가 결과 데이터베이스

Claims (19)

  1. (a) 특정 전자 제품군에 대한 사용성과 관련된 평가 항목들 및 평가 문항들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단계;
    (b) 평가 의뢰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평가 대상 제품과 관련된 평가 문항들을 생성하여 평가 참여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평가 참여자들이 상기 평가 대상 제품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e) 상기 평가 참여자들이 수행한 평가 결과를 평가 기준, 제품 구성 요소 및 사용자 계층별로 분류하고 종합 평가 결과를 상기 평가 의뢰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대상 제품은, 주 평가 대상 제품 및 비교 대상 제품을 포함하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평가 문항에 대한 상기 평가 참여자들의 답변들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상기 평가 문항에 대한 답변들 각각에는 소정의 차등적인 점수가 부여되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평가 참여자들은 예상 사용자, 기존 사용자 및 개발자를 포함하고,
    상기 예상 사용자는, 평가 대상이 되는 전자 제품을 사용해 본 적이 없는 사용자를 나타내며,
    상기 기존 사용자는, 평가 대상이 되는 시중에 유통된 전자 제품을 사용한 적이 있는 사용자를 나타내고,
    상기 개발자는 평가 대상이 되는 전자 제품을 개발하는 주체를 나타내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b-1) 상기 평가 의뢰자에게 평가 수행자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b-2) 상기 평가 의뢰자에게 주 평가 대상 제품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b-3) 상기 평가 의뢰자에게 주 평가 대상 제품 및 비교 대상 제품 정보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b-4) 상기 평가 의뢰자에게 제품 구성 요소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a-1) 평가 설계자가 관심 제품군이 더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a-2) 상기 단계 (a-1)에서 관심 제품군이 더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평가 설계자가 소정의 전자 제품군을 선택하는 단계; 및
    (a-3) 상기 평가 설계자가 상기 소정의 전자 제품군에 대한 사용성과 관련된 평가 항목들 및 평가 문항들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고 상기 단계 (a-1)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가 항목들은 i개의 평가 기준과 j개의 제품 구성 요소를 조합한 평가 항목들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i, j는 1 이상인 정수이며,
    상기 평가 기준은 사용 편의성, 감성 및 사용자 가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 원칙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 구성 요소는, 각 제품의 세분화된 구성 요소 및 기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그룹화한 요소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 편의성은 사용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얼마나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도를 나타내고,
    상기 감성은 제품 또는 서비스의 외관 및 외형에 의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감정을 나타내며,
    상기 사용자 가치는 사용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고 사용함으로써 스스로 느끼고 얻을 수 있는 주관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용 편의성은, 정보 제공성, 학습성, 효율성, 및 인체적합성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공성은 정보를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전달하는지를 나타내며,
    상기 학습성은 원하는 기능을 쉽고 빠르게 이해하거나 기억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고,
    상기 효율성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성공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한지를 나타내며,
    상기 인체적합성은 형태와 조작 방법이 사용자의 신체에 알맞은 형태이거나 신체에 맞게 조절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감성은, 매력성, 정교성, 고급감, 안정감 및 조화감을 포함하고,
    상기 매력성은 아름답고 매력적인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정교성은 정교하고 세밀한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고급감은 세련되고 우아한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안정감은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느껴지는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조화감은 다른 구성 요소 및 주변 제품들과의 일체감 및 조화 정도를 나타내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가치는, 안전, 위생, 내구성, 성능 및 기능성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은 제품 사용시, 다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위생은 위생적이고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내구성은 강건하고 내구성이 높아 성능이 떨어지거나 고장나지 않는 정도를 나타내며,
    상기 성능은 제공되는 기능의 수행 능력이 탁월한 정도를 나타내고,
    상기 기능성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층은 사용자의 연령, 성별 및 생활수준에 따른 계층을 나타내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상기 평가 참여자들이 수행한 평가 결과를 평가 기준, 제품 구성 요소, 사용자 계층 및 설문 시점별로 분류하고 종합 평가 결과를 상기 평가 의뢰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c-1) 상기 평가 참여자들에게 평가 개요를 설명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c-2) 상기 평가 참여자들에게 평가 참여자 정보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c-3) 상기 평가 참여자들에게 제품 설명 및 사용법에 대한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c-4) 상기 평가 참여자들에게 기존의 유사 제품 사용 경험 수집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c-5) 상기 평가 참여자들에게 평가 방법을 설명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c-6) 상기 평가 참여자들에게 상기 평가 대상 제품의 구성 요소별 평가 문항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15. 특정 전자 제품군에 대한 사용성과 관련된 평가 항목들 및 평가 문항들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동작, 평가 의뢰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평가 대상 제품과 관련된 평가 문항들을 생성하여 평가 참여자들에게 제공하는 동작, 및 상기 평가 참여자들이 수행한 평가 결과를 평가 기준, 제품 구성 요소 및 사용자 계층별로 분류하고 종합 평가 결과를 상기 평가 의뢰자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서버;
    상기 평가 항목들 및 평가 문항들을 저장하기 위한 평가 항목 및 평가 문항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평가 기준, 제품 구성 요소 및 사용자 계층별 종합 평가의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평가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가 대상 제품은, 주 평가 대상 제품 및 비교 대상 제품을 포함하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평가 문항에 대한 상기 평가 참여자들의 답변들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상기 평가 문항에 대한 답변들 각각에는 소정의 차등적인 점수가 부여되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평가 참여자들은 예상 사용자, 기존 사용자 및 개발자를 포함하고,
    상기 예상 사용자는, 평가 대상이 되는 전자 제품을 사용해 본 적이 없는 사용자를 나타내며,
    상기 기존 사용자는, 평가 대상이 되는 시중에 유통된 전자 제품을 사용한 적이 있는 사용자를 나타내고,
    상기 개발자는 평가 대상이 되는 전자 제품을 개발하는 주체를 나타내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시스템.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평가 항목들은 i개의 평가 기준과 j개의 제품 구성 요소를 조합한 평가 항목들을 포함하고, 상기에서 i, j는 1 이상인 정수이며,
    상기 평가 기준은 사용 편의성, 감성 및 사용자 가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 원칙을 포함하고,
    상기 제품 구성 요소는, 각 제품의 세분화된 구성 요소 및 기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그룹화한 요소를 포함하는,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시스템.
KR1020160067247A 2016-05-31 2016-05-31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353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247A KR20170135391A (ko) 2016-05-31 2016-05-31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247A KR20170135391A (ko) 2016-05-31 2016-05-31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391A true KR20170135391A (ko) 2017-12-08

Family

ID=6092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247A KR20170135391A (ko) 2016-05-31 2016-05-31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53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862A (ko) * 2017-12-28 2019-07-08 (주)씽크포비엘 사용성 보완을 위한 후속 작업 제안 방법 및 장치
KR20190119333A (ko) * 2018-04-12 2019-10-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업의 제품 개발을 위한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016464A (ko) * 2018-08-07 2020-02-1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
KR20200017578A (ko) * 2018-07-25 2020-02-19 김호곤 인공지능을 통한 사용자 중심의 제품 디자인 가이드 도출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862A (ko) * 2017-12-28 2019-07-08 (주)씽크포비엘 사용성 보완을 위한 후속 작업 제안 방법 및 장치
KR20190119333A (ko) * 2018-04-12 2019-10-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업의 제품 개발을 위한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017578A (ko) * 2018-07-25 2020-02-19 김호곤 인공지능을 통한 사용자 중심의 제품 디자인 가이드 도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16464A (ko) * 2018-08-07 2020-02-1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가치 평가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rgström et al. First-person perspective virtual body posture influences stress: a virtual reality body ownership study
Bruun et al. Measuring the coolness of interactive products: the COOL questionnaire
Little et al. Using composite images to assess accuracy in personality attribution to faces
Nasar et al. Impressions of psychotherapists' offices.
Agost et al. Relationship between meanings, emotions, product preferences and personal values. Application to ceramic tile floorings
KR20170135391A (ko) 전자 제품 사용성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im et al. Identifying affect elements based on a conceptual model of affect: A case study on a smartphone
Ma et al. A design decision-making support model for customized product color combination
Pull et al. Assessment of body-image perception and attitudes in obesity
Axelrod et al. The reality of homes fit for heroes: design challenges for rehabilitation technology at home
Nickson et al. Subtle increases in BMI within a healthy weight range still reduce womens employment chances in the service sector
Fitrianie et al. The 19 unifying questionnaire constructs of artificial social agents: An iva community analysis
Taifa et al. The development of an ergonomically designed product through an integrated product team approach
Forgas-Coll et al. Gendered human–robot interactions in services
Bordegoni et al. A method for bringing user experience upstream to design: This paper intends to correlate human emotional response to product physical characteristics
Zitkus et al. Gradually including potential users: A tool to counter design exclusions
Sims 'Design for all': methods and data to support designers
Gao et al. The influence of context effects on exit choice behavior during building evacuation combining virtual reality and discrete choice modeling
Toet et al. Holistic quality assessment of mediated immersive multisensory social communication
Fuller-Tyszkiewicz et al. Examining the dissociative basis for body image disturbances
Huynh et al. User perception of situated product recommendations in augmented reality
Bevan Extending the concept of satisfaction in ISO standards
Kinney et al. Measuring Assistive Technology Outcomes: A User Centered Approach.
Kirvesoja Experimental ergonomic evaluation with user trials: EEE product development procedures
Clark et al. A systematic review on the influence of avatar appearance on health-related outco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