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300A - Input/output device - Google Patents

Input/out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300A
KR20170135300A KR1020160067019A KR20160067019A KR20170135300A KR 20170135300 A KR20170135300 A KR 20170135300A KR 1020160067019 A KR1020160067019 A KR 1020160067019A KR 20160067019 A KR20160067019 A KR 20160067019A KR 20170135300 A KR20170135300 A KR 20170135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splay
input
support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학림
정병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7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5300A/en
Priority to PCT/KR2017/000895 priority patent/WO2017209370A1/en
Publication of KR20170135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3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6Arrangements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integrated keyboard for transport,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output device having an input unit and an output unit. The input/output device comprises: a pillar-shaped main body which has an electronic unit formed to maximize portability, and is, extended in a first direction; a plurality of foldable keypads which have one side column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 connection unit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columns of the keypads and between one side columns of the keypads and the main body so that the columns of the keypads are connected to be bent and to cover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body; a first slit which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long the first direction; a bistable support rib which is withdrawn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first slit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or is inser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at least one region thereof is mounted; and a flexible display which is combin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rib.

Description

입/출력 장치{INPUT/OUTPUT DEVICE}An input / output device {INPUT / OUTPUT DEVICE}

본 발명은 펼친 경우에 입력 및 출력 기능을 모두 수행하고 접은 경우 휴대가 용이한 입/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 output device that performs both input and output functions when opened and is easy to carry when folded.

입/출력 장치는 입력과 출력이 동시 또는 이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예로 랩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을 들 수 있다.The input / output device collectively refers to a device that allows input and output to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at a time, and typical examples include a lap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nd the like.

입/출력 장치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식과 고정식으로 나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device can be divided into a movable type and a fixed type according to the movable type.

입/출력 장치는 일반적으로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가지게 된다.The input / output device usually has a display for outputting the contents.

한편 입/출력 장치에서 입력을 위한 구성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가 터치 패널을 구비하여 입력 및 출력을 모두 디스플레이에서 수행하는 통합형 방식이 있을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입력 장치, 예컨대 마우스, 물리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입력을 수행하는 분리형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for input at the input / output devic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There may be an integrated type in which the display has a touch panel to perform both input and output in the display or a separate type in which an input is performed using a separate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or a physical keyboard .

분리형 입/출력 장치의 경우 입력 및 출력이 구분되어 독립적인 공간을 통해 입력 및 출력이 제공되므로 각 기능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separate input / output device, the input and output are separated and the input and output are provided through the independent space,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each function.

통합형 입/출력 장치의 대표적인 예인 태블릿 PC 또는 통신 단말기와 같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가상 키보드(Virtual Keyboard) 등이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평편한 디스플레이를 가압해야하는 직관적이지 못한 입력 방식을 수행해야 하는 반면,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분리형 입/출력 장치의 경우에는 입력부는 물리 키보드의 구비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실제로 키가 거동할 수 있으며, 사용하는 중에도 디스플레이를 가리지 않게 되어 출력부의 효과 또한 극대화 시킬 수 있다.In the case of a tablet PC or a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integrated input / output device, a virtual keyboard is generally provided on the display, so that the user must perform an intuitive input method of pressing the flat display In a case of a detachable input / output device such as a notebook computer, the input unit can actually move the key by the user's input through the physical keyboard, and the display can be blocked even during use, maximizing the effect of the output unit .

다만 분리형 입/출력 장치의 경우 보통 통합형 입/출력 장치보다 더 큰 부피를 갖게 되어 휴대성에 상대적인 단점이 존재하게 된다.However, a separate input / output device usually has a larger volume than an integrated input / output device, so there is a disadvantage relative to portability.

입/출력 장치의 휴대성은 장치의 경량화 정도, 그리고 부피에 따라 주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장치를 가볍게 하고 부피를 최소화 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The portability of the input / output device may vary depending on the lightness and volume of the device. Efforts are therefore being made to lighten the device and minimize volume.

입/출력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입력부 또는 출력부를 최소화 하고 이를 구동하는 전자적 부품이 주로 실장된 본체의 크기를 최소화 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입/출력 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입력부 및 출력부가 일정 정도 크기 이상이 되어야 입력 및 출력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In order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input / output device, it is conceivable to minimize the size of the main body i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for minimizing the input or output portion and driving the electronic component is minimized. However, when the input / output device is used, The input and output can be easily realized.

상기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기 위해서는 입력부 및 출력부 등이 단순히 작아지는 것이 아니라 입력부 및 출력부의 크기는 극대화하되, 나머지 구성의 크기를 최소화 하거나, 입력부 및 출력부의 형태를 변형하여 장치의 전체 공간 차지를 최소화 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simultaneously,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are not simply reduced, but the size of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are maximized, but the size of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minimized or the shape of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is modified, I can think of a way to do that.

이와 관련된 발명으로 출원번호 10-2011-0112103과 같은 입력부의 키 어셈블리가 접히는 구조에 관한 발명, 나아가 출원번호 10-2014-0136047과 같이 상기 내용에 별도의 단말기 등을 거치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발명 등이 개시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in which a key assembly of an input unit such as an application No. 10-2011-0112103 is folded, and further to an invention relating to a structure capable of mounting a separate terminal or the like in the above-mentioned contents such as Application No. 10-2014-0136047 And the like.

다만 이러한 장치는 입력 장치에 국한될 뿐 출력 장치로서의 기능은 독립적으로 수행하지 못한다.However, such a device is limited to the input device, and the function as the output device can not be performed independently.

한편, 입/출력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기존 형태들은 납작한 형태로 구비되어 장치의 두께 방향에 대한 공간은 비교적 극소화 시키고 있으나 폭이나 너비 방향에 대한 공간의 극소화는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Meanwhile, existing types such as notebook computers simultaneously performing input / output functions are provided in a flat shape so that the space for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pparatus is relatively minimized, but the space for the width and the width direction is not minimiz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입/출력 장치에 있어서 입력부 및 출력부를 모두 가지는 경우 공간 차지가 일정 이상으로 커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부피를 최소화 함에도 입력부 및 출력부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구비되는 방식의 입/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space charge become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input / output device has both the input unit and the output uni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 output device in which input and output sections are separately provided independently while minimizing the volum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장부를 형성하고 제1 방향으로 뻗은 기둥 형상의 본체, 일측 열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복수 열의 폴더블(Foldable) 키패드, 상기 복수 열의 키패드 사이 및 상기 키패드의 일측 열과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 열의 키패드가 꺾어지도록 연결하여 상기 키패드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면을 감싸도록 하는 연결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따라 형성된 제1 슬릿, 상기 제1 슬릿을 통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인출되어 펼쳐지거나 상기 본체 내부로 인입되어 적어도 일 영역이 실장되는 바이스테이블(Bistable) 지지 리브 및 상기 지지 리브의 전면에 결합하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eypad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columnar body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having a total length, a plurality of rows of foldable keypads each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 connection part provided between the keypads and one side of the keypads and the main body so that the keypads of the plurality of columns are bent so as to surroun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surround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body, A first slit, a bice table support rib which is extend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n the main body through the first slit and is drawn into the main body to mount at least one region, An input / output device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a rib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일측 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한 열의 키패드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전장부와 연결되는 제2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리브가 상기 본체에 인입 시 상기 지지 리브의 내측 일단이 상기 제2 슬릿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eypad including a first slit formed on at least one row of keypads including the one row and connected to a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n inner end of the second sl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l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한 열의 키패드는, 상단에 구비되는 키탑, 상기 키탑의 밑면에 구비되는 키입력 기판 및 상기 키입력 기판의 아래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키입력 기판 및 상기 배터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row of keypads includes a keytop provided at an upper end, a key input board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keytop, and a battery provided below the key input board, And the second slit is provided between the key input board and the batter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 리브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양 측 배면에 각각 결합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ribs are coupled to the back sides of the flexible display, respectively, and the flexible display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an input / output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전장부 양 측면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리브는 상기 가이드 부를 따라 상기 본체에 나선형으로 말려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including a guid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a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guide rib portion being helically wound on the main body along the guide portion, Output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2 방향 일단 모서리와 결합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결합하는 접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는 일 방향으로 오목한 곡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holder coupled to one end edge of the flexible display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junction provided in the holder and coupled with the display,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슬릿은, 일정 길이 이상의 슬릿 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put / 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lit has a slit width of a predetermined length or long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서 돌출 구비되어 상기 지지 리브의 배면과 접하는 고정 스탑퍼(stopper), 상기 지지 리브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리브가 상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경우 상기 고정 스탑퍼가 안착되는 단차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xing device, comprising: a fixing stopper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and in contact with a back surface of the supporting rib; a fixing stopper provided on the supporting rib, And a stepped groove which is seated in the stepped groov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지지 리브가 상기 본체에 인입시 상기 지지 리브가 휘어지도록 가압하는 폴딩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put / outpu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olding guide member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and pressing the support rib to bend when the support rib is drawn into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인입 또는 인출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인입 또는 인출하는 힘을 제공하는 이송 서포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 서포트 부재는, 상기 본체에 고정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고정되어 일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나사선을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인입 또는 인출에 따라 회전하는 비대칭 샤프트 및 상기 비대칭 샤프트의 나사선에 회전 결합하여 상기 비대칭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라이닝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transporting support member for providing a force for fixing or pulling-in or pulling out the display of the display, wherein the transporting support member comprises: An asymmetric shaft fixed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to form a thread having an increased diameter in one direction and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drawing or drawing of the display and a screw thread of the asymmetric shaft, And a lining member for selectively supporting an inner surface of the lin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라이닝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본체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된 경우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하거나 지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put / output device, wherein the lining member does not selectively support or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when the display is drawn or drawn from the bod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라이닝 부재 및 상기 비대칭 샤프트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라이닝 부재를 상기 비대칭 샤프트의 두꺼운 축 방향 또는 얇은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도와주는 서포트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support spring for providing a tensile force to the lining member and the asymmetric shaft to assist in moving the lining member in a thick axial direction or a thin axial direction of the asymmetric shaft Output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의 인입 또는 인출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인입 또는 인출하는 힘을 제공하는 이송 서포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 서포트 부재는, 상기 본체에 고정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고정되어 양 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나사선을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인입 또는 인출에 따라 회전하는 대칭 샤프트 및 상기 대칭 샤프트의 나사선에 회전 결합하여 상기 대칭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라이닝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comprising a conveying support member for providing a force for fixing or pulling in or pulling out the display, wherein the conveying support member includes: a cylinder fixed to the main body; And a lining for selectively suppor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ymmetrical shaft so as to be rotatably engaged with the thread of the symmetrical shaft, And an input / output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다각 기둥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열의 키패드는 접힌 경우 상기 본체의 다각 면 중 적어도 일 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put / output device, wherein the main body includes a polygonal columnar shape, and the keypad of the plurality of rows surrounds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gonal surface of the main body when fold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 열의 키패트 타측 열에 인접한 상기 본체 상에 구비된 자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put / outpu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magnetic member provided on the main body adjacent to the other row of the plurality of rows of keypad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다각 기둥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다각 면 중 바닥을 지지하는 바닥면에 힌지 결합하는 틸팅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tilting support member hing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polygonal surface of the main body that supports the bottom, the main body including a polygonal columnar shap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결합하는 투명 물질을 포함하는 전면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put / outpu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ront film including a transparent material to be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결합하는 투명 물질을 포함하는 전면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put / outpu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ront film including a transparent material to be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복원력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put / output device,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material having a restoring for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 열의 폴더블 키패드를 서로 체결하는 힌지 결합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put / output device,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by a hinge coupling for fastening the plurality of rows of foldable keypads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전체 부피가 감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volume can be reduced when the input / output device is not u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입/출력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적정한 크기로 확장되어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 output device is used, the input / output device can be expanded to an appropriate size,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input and output functions without in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키패드 및 디스플레이가 각각 접힘에도 상호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keypad and the display may not collide with each other even when fol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키패드 또는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사용가능하고, 이러한 경우 각각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보다 작은 공간차지를 할 수 있어 공간 사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as an apparatus performing a function of either a keypad or a display. In this case, space can be occupied less than when each of them is used, can do.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가 본체로부터 인출된 경우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가 일정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display can have a certain rigidity when the display is pulled out of the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배터리의 배치를 통해 전체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tilization of the entire space can be maximized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batteri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가이드 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의 인입 또는 인출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pull-in or pull-out of the display through the guide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홀더를 통해 디스플레이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idity of the display can be maintained through the hold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가 본체에서 인출된 경우 의도하지 않게 다시 인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is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it can be prevented from unintentionally re-enter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가 본체에서 단계별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an be taken out stepwise in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를 본체에 인입시 디스플레이가 잘 말릴 수 있게 상태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distortion can be induced so that the display can be well dried when the display is drawn into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가 인입 또는 인출된 경우 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잡아줄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an be held so as to maintain each state when the display is brought in or ou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가 인입 또는 인출시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힘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can reduce the force required by the user upon entry or withdraw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를 본체에서 인출시킨 경우 디스플레이가 꺾인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t to which the display is bent can be selectively adjusted when the display is pulled out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의 키패드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모두 접힌 상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의 키패드가 펼쳐진 상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2의 A-A'방향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지지 리브의 두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의 일부가 본체에 인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의 후면 사시도 일부이고, 도 10(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의 상면도 일부이다.
도 11은 도 2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2의 C-C' 방향 단면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2의 C-C' 방향 단면도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의 본체 측면 내측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디스플레이가 본체에 인입되는 형상에 관한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도 3의 D-D' 방향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의 측면 내측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의 이송 서포트 부재가 팽창한 경우의 D-D' 방향 및 E-E' 방향 단면도 각각을, 도 19(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의 이송 서포트 부재가 팽창하지 않은 경우의 D-D' 방향 및 E-E' 방향 단면도 각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의 이송 서포트 부재가 팽창한 경우의 D-D' 방향 및 E-E' 방향 단면도 각각을, 도 20(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의 이송 서포트 부재가 팽창하지 않은 경우의 D-D' 방향 및 E-E' 방향 단면도 각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송 서포트 부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 output devic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n input / output devic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both the keypad and the flexible display of the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lded.
Figure 4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keypad of an input / output devic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folded state.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6 is a top view of an input / output devic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input / output devic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two states of the support ribs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where a part of the displa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into the main body.
10 (a)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input / output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b) is a top view of an input / output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of BB 'in Fig.
Figure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input / output devic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shows an embodiment of the cross-sectional view in the CC 'direction of FIG. 2. FIG.
Fig. 1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ross-sectional view in the CC 'direction of Fig.
Figure 15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inside of the body side of the input / output devic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1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pe in which the display is drawn into the main body.
17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D 'direction of Fig.
Fig. 18 shows a part of the inside of the side of the input / output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19 (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DD 'direction and the EE' direction when the transfer support member of the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and FIG. 19 (b) And the DD 'direction and the EE' direction cross section when the support member does not expand.
20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DD 'direction and the EE' direction when the transfer support member of the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pands, FIG. 20 (b) And the DD 'direction and the EE' direction cross section when the support member does not expand.
Fig. 21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transfer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input / output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 output device 100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입/출력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310), 입력부(320), 센싱부(340), 출력부(350), 인터페이스부(360), 메모리(370), 제어부(380) 및 전원 공급부(3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입/출력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입/출력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an input unit 320, a sensing unit 340, an output unit 350, an interface unit 360, a memory 370, a control unit 380, A power supply unit 390,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nd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Elements.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310)는, 입/출력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입/출력 장치(100)와 다른 입/출력 장치(100) 사이, 또는 입/출력 장치(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310)는, 입/출력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among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input / output apparatus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input / output apparatus 100 and another input / output apparatus 100, And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put device 100 and an external server.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connect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310)는, 방송 수신 모듈(311), 이동통신 모듈(312), 무선 인터넷 모듈(313), 근거리 통신 모듈(314), 위치정보 모듈(3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3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3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313,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3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315 .

입력부(3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3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3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3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320 includes a camera 3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 video signal, a microphone 3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n audio input unit, a user input unit 3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 touch key, a mechanical key, and the like).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3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by a user's control command.

센싱부(340)는 입/출력 장치(100) 내 정보, 입/출력 장치(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340)는 근접센서(3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3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3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3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입/출력 장치(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34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3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341, an illumination sensor 342,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sensor, a gyroscope sensor, a motion sensor, an RGB sensor, an infrared sensor, a finger scan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microphone 322, a battery gauge, an environmental sensor (for example, a barometer, a hygrometer, a thermometer, a radiation detec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thermal sensor, a gas sensor, etc.),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Meanwhile,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f the sensors.

출력부(3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351), 음향 출력부(352), 햅팁 모듈(353), 광 출력부(3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입/출력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3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입/출력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350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351, an acoustic output unit 352, a haptrip module 353, and a light output unit 354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can do. The display unit 351 may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may be integrally formed to realize a touch screen. This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3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nd a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nd a user .

인터페이스부(360)는 입/출력 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3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360 serves as a path to various kind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The interface unit 360 is connected to a device having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 / O port, a video I / O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terface 360,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can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또한, 메모리(370)는 입/출력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370)는 입/출력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입/출력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입/출력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입/출력 장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370)에 저장되고, 입/출력 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380)에 의하여 입/출력 장치(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Also, the memory 370 stores data that supports various functions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The memory 3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by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data for operation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lso,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be stored on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t the time of shipment for basic functions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e.g., phone call incoming, outgoing, message receiving, Can exist. The application program is stored in the memory 370 and installed on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to be operated to perform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by the control unit 380 .

제어부(3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입/출력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3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 unit 3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The control unit 380 may process or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and the like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or may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370 to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또한, 제어부(380)는 메모리(3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입/출력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1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370. In addition, the controller 380 can operate at least two or more components included in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for driving the application program.

전원공급부(390)는 제어부(3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입/출력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3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80, the power supply unit 390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supplies power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included in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The power supply unit 390 includes a battery, which may be an internal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입/출력 장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3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입/출력 장치(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one anoth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may also be implemented on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370.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n input / output device 100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입/출력 장치(100)는 크게 본체(110), 키패드(120), 디스플레이(130)의 세 구성으로 나눌 수 있다. 본체(110), 키패드(120), 디스플레이(130)의 세 구성은 독립된 부재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어 입/출력 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main body 110, a keypad 120, and a display 130. The main body 110, the keypad 120, and the display 130 may be formed as independent members and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본체(110)는 전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체(110)의 전장부에는 입/출력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적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본체(110)의 전장부에 실장되는 전자적 부품은 입/출력 장치(100)의 중앙처리장치(CPU),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주기억장치, 임시로 데이터를 기억하는 캐쉬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적 부품은 메인 기판(PCB)을 통해 본체(110)에 실장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may form a full-length portion. An electronic component for driving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may be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The electronic component mounted on the entire body of 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 main memory for storing data, a cache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and the like . These electronic components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through a main board (PCB).

한편, 후술할 키패드(120) 및 디스플레이(130) 등은 메인 기판에 전자적으로 연결되어 입/출력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keypad 120, the display 130, and the lik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to perform an input / output function.

키패드(120)는 본체(110)의 전면(1101) 일 영역에,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130)는 본체(110)의 상면(1102) 또는 후면(1103)의 일 영역에서 이어져 구비될 수 있다.The keypad 120 may be provided in one area of the front surface 1101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flexible display 130 may extend in one area of the top surface 1102 or the back surface 1103 of the main body 110 .

키패드(120)는 복수 열 중 일측 열(121-1)이 본체(110)의 전면(1101) 일 영역에 연결 되는 방식으로 본체(110)와 체결될 수 있다. 키패드(120)의 일측 열(121-1)과 본체(110)는 연결부(12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keypad 120 may be fastened to the main body 110 in such a manner that one row of the plurality of rows 121-1 is connected to a region of the front surface 1101 of the main body 110. [ One side 121-1 of the keypad 120 and the main body 110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on part 122. [

키패드(120)는 복수 열(121-1 내지 121-4)이 서로 꺾임 가능하도록 연결부(122)로 연결되어 전체가 다수의 관절 형태로 접힐 수 있다. 따라서 키패드(120)는 다양한 형태의 폴더블(foldable)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꺾인 형상의 키패드(120) 중 일 태양은 본체(110)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keypad 1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22 so that the plurality of rows 121-1 to 121-4 can be folded together, so that the entire keypad 120 can be folded into a plurality of joints. Accordingly, the keypad 1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ldable shapes. One of the folded keypads 12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main body 110.

키패드(120)의 복수 열(121-1 내지 121-4)은 필요에 따라 변형 가능할 수 있다. 키패드(120)는 4열이 될 수도 있고, 5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6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columns 121-1 through 121-4 of the keypad 120 may be deformable as needed. The keypad 120 may have four columns or five columns. Or may be composed of six columns as required.

키패드(120) 열(121)의 개수 및 연결부(122)의 길이 등은 본체(110)의 형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number of the rows 121 of keypads 120 and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s 122 may be closely related to the shape of the main body 110. [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키패드(120)의 각 열은 연결부(12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22)의 구조는 여러가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Each row of the keypad 120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on 122.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on portion 122 may include various forms.

연결부(122)는 복원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레이어 형태의 연결부(122)가 복수 열의 키패드(120) 및 본체(110)와 키패드(120)를 연결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제조 공정이 용이하고 재료비의 절감이 가능하며 공간 차지가 작을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2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t least one layer having a restoring force. When the layered connection part 122 connects the keypad 120 of the plurality of rows and the main body 110 and the keypad 120,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relatively easy, the material cost can be reduced, and the space charge can be reduced.

복원력을 갖는 연결부(122)의 소재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와 같은 합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천연 고무 또는 합성 고무와 같은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122 having the restoring force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polycarbonate or poly-amide. Or a material such as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결부(122)는 힌지 결합을 통해 체결되는 체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레이어 형태의 연결부(122)와 대비하여 힌지 결합의 체결 강도가 강해질 수 있어 키패드(120)의 꺾인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체인 형태의 연결부(122)를 통해 키패드(120)는 관절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connection part 12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hain fastened through a hinge connection. The coupling strength of the hinge coupling can be strengthened as compared with the layered coupling portion 122, so that the bent state of the keypad 120 can be fixed. The keypad 120 may implement a joint type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22 in the form of a chain.

즉, 힌지 결합을 통해 키패드(120) 복수 열(121-1 내지 121-4)을 체결하여 형상을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불안한 바닥, 예를 들어 사용자의 무릎 등에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비교적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fixing the shape by fastening the plurality of rows 121-1 to 121-4 of the keypad 120 through the hinge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relatively stable shape even when the keypad 120 is used in an unstable floor, for example, .

연결부(122)는 인접한 복수 열의 키패드(120) 사이를 모두 연결할 수도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두 열의 키패드(120), 예를 들어 키패드(120)의 두 중앙 열(121-2 및 121-3)은 연결부(122) 없이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서로 꺾이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122 may connect all of the adjacent plural columns of keypads 120 or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adjacent two columns of keypads 120 such as two central columns 121-2 and / 121-3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out the connecting portion 122 so as not to be broken.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100)의 키패드(12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가 모두 접힌 상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3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both the keypad 120 and the flexible display 130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lded.

복수 열의 키패드(120)는 다수의 관절 형태로 꺾여 본체(110)의 적어도 일 영역을 휘감아 접힐 수 있다. 이때 본체(110)는 다각 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키패드(120)는 다각 기둥의 다각 면 중 적어도 일면을 감싸 구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ows of keypads 120 may be folded into a plurality of joints to warp and fold at least one region of the main body 110. At this time, the main body 110 may include a polygonal columnar shape, and the keypad 120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polygonal surfaces of the polygonal column.

전술한 바와 같이, 키패드(120)의 열 수, 키패드(120) 각 열의 크기, 키패드(120)의 각 열을 연결하는 연결부(122)의 크기 등과 본체(110)의 크기 또는 두께 등은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columns of the keypad 120, the size of each column of the keypad 120, the size of the connection portion 122 connecting each column of the keypad 120, and the size or thickness of the main body 110 are closely related Lt; / RTI >

일 실시 예로서, 키패드(120)가 본체(110)를 감싼 경우, 연결부(122)와 본체(110)의 모서리(1106)는 인접하도록 각 크기를 맞출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열의 키패드(120)와 본체(110)의 각 면이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폴딩 이후에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keypad 120 is wrapped around the main body 110, the connecting portions 122 and the edges 1106 of the main body 110 may be sized to adjoin each other. In this case, the keypad 120 of a plurality of rows and the respective surfaces of the main body 110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a stable state can be maintained after folding.

상기와 같은 이유에서 본체(110)와 연결되는 키패드(120)의 일측 열(121-1)은 본체(110)의 전면(1101) 중 키패드(120)가 감기는 반대 방향인 하단 방향에 치우쳐 연결되는 것이 공간 활용상 유리할 수 있다.One side row 121-1 of the keypad 12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is bias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1101 of the main body 11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keypad 120 is wound Can be advantageous in space utilization.

본체(110)가 사각 기둥 형상을 갖는 경우, 키패드(120) 일측 열(121-1)의 폭은 본체(110)의 전면(1101)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키패드(120)의 중앙 두 열(121-2 및 121-3)은 본체(110)의 상면 폭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어 키패드(120)가 접힌 경우 본체(110)의 상면(1102)을 감싸고, 나머지 타측 열(121-4)은 본체(110)의 후면(1103)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width of one row 121-1 of the keypad 120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front surface 1101 of the main body 110 when the main body 110 has a rectangular column shape. The center rows 121-2 and 121-3 of the keypad 120 are siz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When the keypad 120 is folded, And the other row 121-4 may surround the rear surface 1103 of the main body 110. In this case,

상기 실시 예와 같이 키패드(120)는 적어도 세 면(1101, 1102 및 1103)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키패드(120)가 본체(110)의 몇 면을 감싸는 지는 본체(110)의 부피 및 길이, 키패드(120)의 폭 등에 종속적으로 결정되는 것이어서, 각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keypad 120 may be provided to cover at least three sides 1101, 1102, and 1103, a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extent to which the keypad 120 wraps the main body 110 depends on the volume and length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width of the keypad 120 and may vary depending on various conditions.

키패드(120)의 상기 일측 열(121-1) 반대에 구비되는 타측 열(121-4)은 본체(110)에 감긴후에 형상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키패드(120)의 타측 열(121-4)과 이와 대응되는 본체(110)의 일 영역,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110)의 후면(1103) 부근에는 상호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성부재(123)가 구비될 수 있다.The other row 121-4 provided opposite to the one row 121-1 of the keypad 120 may have a structure for fixing the shape after being wound on the main body 110. [ In one embodiment,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other row 121-4 of the keypad 120 and a corresponding area of the main body 110 in the vicinity of the rear surface 1103 of the main body 110 in this embodiment. (123) may be provided.

자성부재(123)에 의한 인력은 본체(110)에 폴딩된 키패드(120)가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attraction force by the magnetic member 123 can prevent the keypad 120 folded on the main body 110 from being unfolded by an unintended external force.

폴딩된 키패드(120)와 본체(110)의 결합은 상기 자성부재(123)에 의한 실시 예뿐만 아니라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후크 결합 등을 통한 물리적인 방법을 통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upling of the folded keypad 120 and the main body 110 may be realized not only by the magnetic member 123 but also by a physical method such as hook coupling or the like.

또는 본체(110)의 일면 일 영역에 홈이 형성되고 키패드(120)의 타측 열(121-4) 적어도 일부 또는 타측 열(121-4) 부근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Or a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t least a part of the other side 121-4 of the keypad 120 or a protrusion formed near the other side 121-4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fixed .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30)는 본체(1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접히거나 휘어질 수 있는 플레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의 대표적인 예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방식의 디스플레이(130)가 있을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2, the display 130 may be retra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110. Display 130 may include a flexible display 130 that may be folded or bent.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flexible display 130 may be a display 130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ype.

디스플레이(130)가 본체(110)의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플렉서블한 재료의 특성상 디스플레이(130)의 형태가 일정 정도 변형되면서 본체(1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When the display 130 is drawn into the main body 110, the shape of the display 130 may be deformed to a certain extent and be drawn into the main body 110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exible material.

디스플레이(130)가 본체(110)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은 동작에 한정된 것이며, 인입 이후에 반드시 본체(110)의 내부에 실장될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e introduction of the display 130 into the main body 110 is limited to the opera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display 130 is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10 after the entry.

즉, 디스플레이(130)는 본체(110)의 내부로 인입되어 본체(110)의 내부에 실장될 수도 있으며,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30)의 일부는 본체(110)의 내부에, 나머지 일부는 키패드(120)에 인입된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That is, the display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10 and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10, or a part of the display 13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Or may be provided in a state of being drawn into the keypad 120.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키패드(120)가 본체(110)에 감겨 구비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가 본체(110)의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입/출력 장치(100)는 키패드(120)와 디스플레이(130)를 모두 포함하고 있음에도 도 3의 형태와 같이 전체적으로 적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게 하거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The input / output device 100 includes both the keypad 120 and the display 130 when the keypad 120 is wound around the main body 110 and the flexible display 130 is drawn into the main body 110 It is possible to occupy a small space as a whole as in the case of FI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the user easily portable or to store easily.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100)의 키패드(120)가 펼쳐진 상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4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keypad 120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folded state.

키패드(120)와 디스플레이(130, 도 2참조) 중 디스플레이(130, 도 2참조)만 본체(110)에 인입되고, 키패드(120)는 펼쳐진 상태로 구비되는 경우, 입/출력 장치(100)는 입력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Only the display 130 (see FIG. 2) among the keypad 120 and the display 130 (see FIG. 2) is drawn into the main body 110. When the keypad 120 is provided in the unfolded state,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input device.

입/출력 장치(100)가 USB와 같은 유선 연결 장치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 연결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입력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includes a wired connection device such as a USB or a short-range wireless connection device such as Bluetooth,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may be connected to another device and function as an input device.

도 5는 도 2의 A-A'방향 단면도이다.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본 실시 예의 키패드(120)는 키탑(1201)이 물리적으로 거동하여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를 전제로 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키패드(120)의 입력 방식은 감압식 또는 정전식의 터치 입력을 받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keypad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presupposes the case where the key top 1201 physically acts to generate an input signal. However, if necessary, the input method of the keypad 120 may be a form of receiving a pressure-sensitive or electrostatic touch input As shown in FIG.

키패드(120)는 키탑(1201), 키입력 기판(1202), 제2 슬릿(1204) 및 배터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 열의 키패드(120) 중 일부만 전술한 네 가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한 열의 키패드(120)는 키탑(1201), 키입력 기판(1202), 제2 슬릿(1204) 및 배터리(2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keypad 120 may include a key top 1201, a key input substrate 1202, a second slit 1204, and a battery 210. However, only a part of the plurality of keypad 120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four configurations. That is, at least one row of keypads 120 may include a keytop 1201, a key input substrate 1202, a second slit 1204, and a battery 210.

키탑(1201)은 키패드(120)의 상단에 구비되어 키 입력에 대한 압력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다. 키탑(1201)은 외부의 압력에 의해 압축되어 키탑(1201)의 밑면에 구비되는 키입력 기판(1202)을 통해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key top 1201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keypad 120 to directly receive the pressure of the key input. The key top 1201 is compressed by external pressure and can generate an input signal through the key input substrate 1202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key top 1201.

키탑(1201)이 키입력 기판(1202)을 통해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조 및 원리는 키패드(12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기계식, 멤브레인 방식, 펜타그래프 방식 등 각 키탑(1201)이 별도의 입력 신호로서 전달되는지 혹은 하나의 입력 신호로서 전달되는지가 달라질 수 있다.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the key top 1201 generating the input signal through the key input board 1202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keypad 120. For example, whether each key top 1201, such as a conventional mechanical type, a membrane type, or a pentagonal type, is transmitted as a separate input signal or as an input signal can be changed.

상기 방식에 따라 키입력 기판(1202)의 구성도 달라질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key input board 1202 may als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키입력 기판(1202)의 아래에는 입/출력 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10)가 구비될 수 있다.Below the key input board 1202, a battery 2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may be provided.

배터리(210)는 복수 열의 키패드(120)의 배치와 대응되도록 복수 열의 배터리(210)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battery 2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rows of batteries 2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rows of keypads 120.

배터리(210)는 복수 열의 분리된 형태로 구비되어 키패드(120)가 꺾이는데 방해가 되지 않고 최대한 배터리(210)가 배치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The battery 210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so that the keypad 12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olding of the keypad 120, and a space for arranging the battery 210 as much as possible can be secured.

또한 키패드(120)의 최하단에 구비되어 키탑(1201)이 바닥에서 일정 정도 띄워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키패드(120)를 통해 입력을 수행하는데 용이한 높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key top 120 is provid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keypad 120 so that the key top 1201 is spaced from the floo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heighten the input through the keypad 120 .

키패드(120)에 배터리(210)가 배치되는 경우 무게 중심이 키패드(120)로 치우쳐 키패드(120)의 거치에 따른 입/출력 장치(100)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다. 배터리(210)의 배면은 지면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지지면, 지지면과 배터리(210)의 측면(2102)을 연결하는 경사면(2101)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battery 210 is disposed on the keypad 120,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ttery 210 is shifted to the keypad 120, so that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can be stab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mounting of the keypad 120. The back surface of the battery 210 may include a support surface provided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and a slope 2101 connecting the support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2102 of the battery 210.

배터리(210)는 본체(110)에 실장되어 입/출력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고,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키패드(120)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battery 210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to supply power to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or may be provided on the keypad 120 as described later.

배터리(210)는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10)는 다른 전자적 부품에 비해 밀도가 높아 입/출력 장치(100)에 구비되는 위치에 따라 무게 중심이 달라져 안정감이 달라질 수 있다.The battery 210 may generally include a lithium ion battery. The battery 210 has a higher density than other electronic components, and thu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ttery 210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battery 210 in the I /

배터리(210)는 경사면(2101)의 구비를 통해 키패드(120)를 본체(110)에 감았을 때 전체적으로 둥그스름한 단면을 형성하여 입/출력 장치(100)의 모서리가 날카롭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attery 210 may have a rounded cross section when the keypad 120 is wound around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2101 to prevent the edges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from being sharply projected .

제2 슬릿(1204)은 키입력 기판(1202) 및 배터리(2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키탑(1201)과 키입력 기판(1202)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필요가 있으므로 제2 슬릿(1204)은 이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인 배터리(210)와 키입력 기판(1202)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slit 120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key input substrate 1202 and the battery 210. Since the key top 1201 and the key input substrate 1202 ne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slit 1204 can be provided between the battery 210 and the key input substrate 1202, have.

제2 슬릿(1204)는 디스플레이(130)가 인입될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second slit 1204 may form a space through which the display 130 is to be drawn.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6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100)의 상면도이다.6 is a top view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키입력 기판(1202)을 통해 발생한 키 입력 신호는 제1 플렉서블 기판(124)을 통해 본체(11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플렉서블 기판(124)은 키패드(120)의 좌/우 측면 중 일측에 구비되어 본체(11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플렉서블 기판(124)은 키입력 기판(1202)이 구비된 위치와 동일 레이어 또는 인접한 상단 또는 하단에 구비되어 키입력 기판(12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key input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key input board 1202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first flexible board 124. The first flexible substrate 124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keypad 120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110. The first flexible substrate 124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same layer or adjacent to the position where the key input substrate 1202 is provided,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key input substrate 1202.

배터리(210)는 제2 플렉서블 기판(125) 또는 전원 공급선을 통해 본체(11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편의상 제2 플렉서블 기판(125)으로 구비된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제2 플렉서블 기판(125)은 제1 플렉서블 기판(124)과 같이 키패드(120)의 좌/우 측면 중 일측에 구비되어 본체(110)의 전장부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플렉서블 기판(125)은 제1 플렉서블 기판(124)과 같이 키패드(120)의 일측에 함께 구비되어 본체(110)로 연결될 수도 있고, 도 6의 실시 예와 같이 키패드(120)의 양 측에 나뉘어 본체(110)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battery 210 may provide power to the body 110 via the second flexible substrate 125 or a power supply line. The second flexible substrate 125 is provided for convenience. The second flexible substrate 125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keypad 120 as the first flexible substrate 124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ull length of the main body 110. The second flexible substrate 125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keypad 120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like the first flexible substrate 124 or may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keypad 12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100)의 후면 사시도이다.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input / output device 100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130)는 본체(110)의 후면(1103)에 형성된 제1 슬릿(111)에서 인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가 본체(110)로부터 인출되어 입/출력 장치(100)의 출력 장치로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30)가 의도하지 않게 휘어져 시인성에 문제가 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조를 필요하다.The display 130 may be drawn out from the first slit 111 formed on the rear surface 1103 of the main body 110. When the display 130 is taken out of the main body 110 and functions as an output device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 structure is required to fix the display 130 so that it does not inadvertently warp, .

지지 리브(140)는 디스플레이(130)의 배면(1301)에 결합하여 디스플레이(130)에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 리브(140)는 특히 디스플레이(130)의 배면(1301) 양측에 결합하여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리브(140)는 세로 방향에 대해 디스플레이(13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지지 리브(140)는 디스플레이(130)의 배면(1301) 중심에 결합하거나 디스플레이(130) 배면(1301) 전체 영역에 걸쳐 결합할 수도 있다.The support ribs 140 may be coupled to the back surface 1301 of the display 130 to provide rigidity to the display 130. The support ribs 140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1301 of the display 130, and may be provided as a pair. The support ribs 140 can prevent the display 130 from being warp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pport ribs 140 may b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back surface 1301 of the display 130 or may be coupl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back surface 1301 of the display 130 as necessary.

지지 리브(140)는 자체적으로 일정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리브(140)는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ribs 140 may have a certain rigidity. The support ribs 140 may comprise a metallic material.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지지 리브(140)의 두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8 illustrates two states of the support ribs 140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지지 리브(140)는 쌍안정 상태를 띠는 바이스테이블(Bistable)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상태는 도 8(a)와 같은 직선으로 펼쳐진 제1 상태를, 또 다른 일 상태는 도 8(b)와 같은 원형으로 감긴 제2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ribs 140 may have a bistable structure having a bistable state. The one state may include a first state in which a straight line is laid out as shown in Fig. 8 (a), and a second state in which another state is a circular state as shown in Fig. 8 (b).

직선으로 펼쳐진 제1 상태의 지지 리브(140)는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이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상태의 지지 리브(140)는 전면(1401)이 볼록하고 배면(1402)이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ing rib 140 of the first state, which is linearly extended, may have a curved shape in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support rib 140 in the first state may be provided with the concave shape of the front surface 1401 and the back surface 1402.

제1 상태의 지지 리브(140)의 볼록한 면에 누르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볼록한 면이 안쪽으로 말려 감긴 원형의 제2 상태로 탄성적으로 변형하게 된다. 제2 상태로 변형된 지지 리브(140)는 제1 상태로 완전히 펼치지 않는 이상 다시 제2 상태로 복원되는 힘을 갖게 될 수 있다.When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convex surface of the support rib 140 in the first state, the convex surface is elastically deformed into a circular second state in which it is curled inward. The support rib 140 deformed to the second state may have a force to be restored to the second state again as long as the support rib 140 does not fully expand to the first state.

즉, 지지 리브(140)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 각각의 쌍안정 상태(Bistable State)를 가져 제1 상태 및 제2 상태 각각에서 별도의 외력 없이 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support rib 140 has a bistable state of each of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and can maintain each state in the first state and the second state without a separate external force.

다시 도 7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3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130)가 결합된 지지 리브(140)가 제1 상태인 경우와 대응될 수 있다. 지지 리브(140)의 볼록한 전면(1401)이 디스플레이(130)의 배면(1301)과 접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7, when the display 130 is unfolded, the support ribs 140 to which the display 130 is coupled may correspond to the first state. The convex front surface 1401 of the support rib 140 can be engaged with the back surface 1301 of the display 130.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130)의 일부가 본체(110)에 인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9 is a 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display 13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rawn into the main body 110. Fig.

디스플레이(130)와 지지 리브(140)는 서로 결합되어 서로 종속적으로 거동하게 된다. 디스플레이(130)의 형상이 바뀌면 지지 리브(140)의 형상이 동일 경향으로 바뀌고, 반대로 지지 리브(140)의 형상이 바뀌면 디스플레이(130)의 형상도 동일한 경향으로 바뀔 수 있다.The display 130 and the support rib 14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behave in a dependent manner. When the shape of the display 130 is changed, the shape of the support rib 140 is changed to the same tendency. On the other hand, when the shape of the support rib 140 is changed, the shape of the display 130 may be changed to the same tendency.

설명의 편의상 이후 설명에서 별다른 언급이 없는 이상 디스플레이(130)와 지지 리브(140) 중 하나만 언급하더라도 두 부재가 함께 거동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tate in which two members behave together even if only one of the display 130 and the supporting rib 140 is referred 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디스플레이(130)가 본체(110)에 인입되는 경우 지지 리브(14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제1 상태에서 변형되어 입/출력 장치(100)의 전면을 내측방향으로 하여 휘어질 수 있다. 지지 리브(140)의 휘어진 적어도 일부 영역과 그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130)는 본체(110)에 삽입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130 is drawn into the main body 110,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of the support rib 140 may be deformed in the first state to be bent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t least a portion of the curved shape of the support rib 140 and the corresponding display 130 may refer to an area inserted into the body 110. [

지지 리브(140)는 일정한 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130)가 본체(110)에 구겨지지 않고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Since the support rib 140 has a predetermined rigidity, it can simultaneously guide the display 130 to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display can be guided without being bent.

지지 리브(140)는 디스플레이(130)가 본체(110)로부터 인출되어 펼쳐진 경우 안정적인 제1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하 방향에 대해 꺾이거나 감기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130 is pulled out from the main body 110 and is unfolded, the support rib 140 maintains a stable first state and can fix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ibs 140 so as not to be bent or rolled up in the vertical direction.

다만, 지지 리브(140)의 길이 방향이 디스플레이(130)의 종 방향과 일치하도록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130)의 종 방향에 대해 꺾이지 않도록 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130)의 횡 방향에 대해 꺾이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구조상 어려울 수 있다.However, w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ribs 140 is aligned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13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rce to preven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130 from being broken, To prevent it from being bent or bent with respect to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홀더(150)는 디스플레이(130)의 일단 모서리, 특히 상단 모서리와 결합할 수 있다. 즉, 홀더(150)의 길이방향이 디스플레이(130)의 횡 방향과 일치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To solve this problem, the holder 150 may engage with the one edge, particularly the top edge, of the display 130.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er 150 can be matched with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isplay 130.

홀더(150)는 디스플레이(130)가 횡 방향에 대하여 꺾이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older 150 can prevent the display 130 from being bent or bent with respect to the lateral direction.

도 10(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100)의 후면 사시도 일부이고, 도 10(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100)의 상면도 일부이다.10A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B is a top view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홀더(150)는 필요에 따라 지지 리브(140)의 각 일 단과 결합할 수도 있다. 홀더(150)는 디스플레이(130)의 상단이 결합할 수 있는 슬릿 형상의 접합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50)는 디스플레이(130)가 좌우 방향에 대해 일정 정도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holder 150 may be engaged with each end of the support rib 140 if necessary. The holder 150 may include a slit-shaped joint 151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130 can engage. The holder 150 can support the display 130 to have a certain rigidity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즉, 지지 리브(140)는 디스플레이(130)의 상하 방향에 대한 지탱을, 홀더(150)는 디스플레이(130)의 좌우 방향에 대한 지탱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support rib 140 can support the display 13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lder 150 can support the display 1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홀더(150)의 접합부(151)는 일직선의 형상을 띨 수도 있으나, 일 방향으로 오목한 곡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오목한 곡선 형상의 접합부(151)는 디스플레이(130)를 좌우 방향에 대해 일정 정도 휘어지게 잡아주어 디스플레이(130)부가 휘어지지 않고 정립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joint portion 151 of the holder 150 may have a straight line shape, but may have a concave curve in one direction. The concave curved joining portion 151 can hold the display 130 to be bent to a certain degree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o hold the display 130 without being bent.

홀더(150)에 의해 일정 정도 휘어진 디스플레이(130)는 자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강성을 갖게 되어입/출력 장치(100)의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 대해 의도하지 않게 꺾이거나 말리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e display 130, which is bent to a certain degree by the holder 150, has a certain degree of rigidity, thereby preventing the display 130 from swing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henomenon of breaking or curling.

도 11은 도 2의 B-B' 방향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홀더(150)는 디스플레이(130)를 잡아주고 디스플레이(130)가 인입시 본체(110)와 같이 외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30)가 본체(110)에 완전히 인입된 경우 홀더(150)의 윗면(1501)과 본체(110)의 상면(1102)은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고, 홀더(150)의 배면(1502)과 본체(110)의 후면(1103)은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holder 150 may serve to hold the display 130 and form an outer surface like the main body 110 when the display 130 is drawn in. That is, when the display 130 is completely drawn into the main body 110, the upper surface 1501 of the holder 150 and the upper surface 1102 of the main body 110 can form the same surface, 1502 and the rear surface 1103 of the main body 110 may form the same surface.

디스플레이(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30) 액정(131) 대표적인 실시 예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형태의 디스플레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130 may include a flexible display 130 as described above and a liquid crystal 131 of the flexible display 130 may include a display 130 in the form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 ≪ / RTI >

디스플레이(13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130)를 보호하고 디스플레이(130)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면 필름(132)이 구비될 수 있다. 전면 필름(132)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필름(132)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I(Polyimide)와 같은 합성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130 may be provided with a front film 132 for protecting the display 130 and ensuring the visibility of the display 130. The front film 132 may comprise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As the front film 132, a synthetic resin such as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I (Polyimide) may be used.

디스플레이(130)의 배면에는 디스플레이(130)에 탄성을 제공하는 고탄성 시트(133)가 결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에 결합된 고탄성 시트(133)는 디스플레이(130)가 의도하지 않게 휘어지거나 구겨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고 디스플레이(130)의 배면(1301)을 형성하여 액정(131) 배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 high elasticity sheet 133, which provides elasticity to the display 130, can be coupled to the back of the display 130. The high elasticity sheet 133 coupled to the display 130 prevents the display 130 from unintentionally bending or wrinkling and forms the backside 1301 of the display 130 to protect the backside of the liquid crystal 131 Can play a role.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100)의 후면 사시도이다.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130)는 본체(110)의 외주면에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슬릿(111)을 통해 인입 또는 인출 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특히 본체(110)의 길이 방향, 즉, 디스플레이(130)의 좌우 방향이 될 수 있다. 본체(110)는 제1 방향으로 뻗은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display 130 may be drawn in or drawn out through the first slit 111 formed along the first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he first direction may be, in particula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i.e.,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isplay 130. The main body 110 may have a columnar shap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디스플레이(130)는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인출되어 펼쳐지고,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인입되어 적어도 일 영역이 본체(110)에 실장될 수 있다.The display 130 may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so that at least one region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앞선 설명에서와 같이 홀더(150)에 의한 디스플레이(130) 상단은 일정 정도 휘어져 구비될 수 있으나, 반대로 디스플레이(130)의 내측, 즉 하단은 거의 휘어지지 않거나 완전히 휘어지지 않은 상태로 본체(110)에 인입될 수 있다. 이는 본체(110)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130)가 인입되는 통로인 제1 슬릿(111)의 형상에 의한 것인데, 제1 슬릿(111)은 홀더(150)의 접합부(151)와 달리 직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display 130 by the holder 150 may be bent to have a certain degree of curvature as described above but conversely the inside of the display 130, As shown in FIG. This is due to the shape of the first slit 111 which is formed in the main body 110 and through which the display 130 is drawn. The first slit 111 is linearly formed, unlike the joining portion 151 of the holder 150 .

디스플레이(130)가 본체(110)로부터 완전히 인출되는 경우, 지지 리브(140)는 제1 상태로 완전히 펼쳐져 직립하게 된다.When the display 130 is completely withdrawn from the main body 110, the support ribs 140 are fully extended to the first state and stand upright.

제1 슬릿(111)의 슬릿이 홀더(150)의 접합부(151)와 달리 직선형으로 구비되고 디스플레이(130)가 본체(110)에 완전히 인입되는 경우 제1 슬릿(111)과 홀더(150)의 접합부(151)는 인접하게 된다. 이때 홀더(150)의 접합부(151)는 곡선, 제1 슬릿(111)은 직선의 형상을 하므로 디스플레이(130)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The slit of the first slit 111 is linearly formed in a manner different from the joining portion 151 of the holder 150 and the slit of the first slit 111 and the holder 150 The joining portions 151 are adjacent to each other. At this time, since the joint 151 of the holder 150 has a curved shape and the first slit 111 has a straight shape, excessive stress can be concentrated on the display 130.

이러한 과도한 응력 집중을 막기 위해 제1 슬릿(111)은 일정 길이 이상의 여유 공간인 슬릿 폭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130)가 디스플레이(130)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excessive stress concentration, the first slit 111 may have a slit width that is a clearance of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so that the display 130 may flow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splay 130 surface.

도 13은 도 2의 C-C' 방향 단면도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3 shows an embodiment of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도 2의 C-C' 는 지지 리브(140)를 지나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C-C 'in FIG. 2 may refer to a point passing through the support rib 140.

본체(110)의 제1 슬릿(111) 부근에 구비된 걸림부(112)는 직립된 지지 리브(140)의 일단이 걸쳐져 자중에 의해 디스플레이(130) 및 지지 리브(140)가 의도하지 않게 본체(110)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112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slit 111 of the main body 110 is formed such that one end of the upright supporting rib 140 is stretched and the display 130 and the supporting rib 140 are unintentionally (110).

걸림부(112)는 지지 리브(140)의 일단(1403)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리브(140)의 일단(1403) 일 영역은 걸림부(112)에 걸쳐지기 위해서 디스플레이(130)의 배면(1301)과 부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112 may include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end 1403 of the support rib 140. [ One end 1403 of the support rib 140 may be formed not to be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1301 of the display 130 to cover the engagement portion 112. [

도 14는 도 2의 C-C' 방향 단면도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상기 도 13의 실시 예와 달리 다른 방식으로 인출된 지지 리브(140)를 고정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The supporting rib 140 may have a structure for fixing the supporting rib 140 drawn in a different manner from the embodiment of FIG.

고정 스탑퍼(stopper, 161)는 본체(110)와 지지 리브(140)가 마주하는 본체(110)의 일 영역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돌출된 고정 스탑퍼(161)는 지지 리브(140)의 배면에 형성된 단차 홈(141)에 안착될 수 있다.The fixed stopper 161 may protrude from an area of the main body 110 where the main body 110 and the support rib 140 face each other. The protruding fixed stopper 161 can be seated in the stepped groove 141 form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rib 140.

고정 스탑퍼(161)는 볼(1611) 및 스프링(1612)으로 구성되어 일정 거리 압축 또는 인장될 수 있다. 고정 스탑퍼(161)는 단차 홈(141)에 안착된 경우 인장되고 단차 홈(141)을 제외한 지지 리브(140)의 일 영역에 접한 경우 압축될 수 있다. 단차 홈(141)에 안착되어 인장된 고정 스탑퍼(161)는 안정적인 상태를 가질 수 있다.The fixed stopper 161 may consist of a ball 1611 and a spring 1612 and may be compressed or stretched a certain distance. The fixed stopper 161 is tensioned when it is seated in the stepped groove 141 and can be compressed when it touches one area of the support rib 140 except for the stepped groove 141. [ The stationary stopper 161 seated on the stepped groove 141 and stretched can have a stable state.

사용자는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작용해야만 단차 홈(141)에 안착된 고정 스탑퍼(161)의 고정을 해제하여 지지 리브(140)를 인입 또는 인출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힘에 의해 지지 리브(140)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is required to apply a forc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fixed stopper 161 that is seated in the stepped groove 141, thereby pulling the support rib 140 in or ou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pport rib 140 from being drawn or drawn out by an unintentional force.

하단 단차 홈(141-1)은 지지 리브(140)의 배면(1402) 하단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130)가 완전히 인출된 경우에 고정 스탑퍼(161)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단차 홈(141)이 지지 리브(140)의 배면 적어도 두 지점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130)부의 인출 정도가 단계별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lower stepped groove 141-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ack surface 1402 of the support rib 140 so that the fixing stopper 161 can be seated when the display 130 is completely drawn out. Or the stepped groove 141 may be provided on at least two points of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rib 140 so that the degree of drawing of the display 130 can be provided step by step.

일 예로, 단차 홈(141)이 지지 리브(140)의 배면(1402) 중앙 부근에 구비되는 중단 단차 홈(141-2) 및 하단에 구비되는 하단 단차 홈(141-1) 두 군데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30)를 완전히 인출 시킨 경우에 고정되는 것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130)를 반 정도 인출 시킨 경우에도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30)의 인출 정도를 단계별로 선택하여 필요에 맞게 공간을 차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tepped groove 141 is provided at two intermediate stepped grooves 141-2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back surface 1402 of the support rib 140 and at the lower stepped groove 141-1 provided at the lower end thereof , It is fixed not only when the display 130 is completely drawn out but also when the display 130 is drawn out about half. The user can select the degree of drawing of the display 130 in steps and occupy the space according to needs.

한편, 지지 리브(140)는 직선으로 펼쳐진 제1 상태에서 본체(110)의 제1 슬릿(111)을 통해 인입되는데, 이 때 의도하지 않게 본체(110)의 내측 일 지점에 피로를 가하거나 하중을 전달하여 내구성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rib 140 is drawn through the first slit 111 of the main body 110 in a first state in which the support rib 140 is unfolded in a straight line. At this time, unintentional fatigue is applied to the inner one point of the main body 110, And damage to the durability may occur.

폴딩 가이드 부재(162)는 본체(110)에 돌출 구비되어 지지 리브(140)가 본체(110)에 인입시 지지 리브(140)가 휘어지도록 가압할 수 있다. 폴딩 가이드 부재(162)는 지지 리브(14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30)의 전면(1302) 방향을 향해 본체(110)에서 돌출 구비되어 지지 리브(140)를 일정 거리 인입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130)의 전면(1302) 또는 지지 리브(140)의 전면(1401) 하단을 가압하여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형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olding guide member 162 is protruded from the main body 110 so that the supporting rib 140 can be pressed to be bent when the supporting rib 14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10. The folding guide member 162 is protruded from the main body 110 toward the front surface 1302 of the display 130 in a state where the supporting rib 140 is completely drawn out,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1401 of the supporting rib 140 or the front surface 1302 of the supporting rib 140 may be deformed to be transform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폴딩 가이드 부재(162)는 볼(1621) 및 스프링(1622)으로 구성되어 지지 리브(140)가 인입 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큰 힘을 가하여 지지 리브(140)에 큰 하중이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folding guide member 162 is composed of a ball 1621 and a spring 1622 and gradually applies a large force to the support rib 140 so that a large load is not transmitted to the support rib 140.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100)의 본체(110) 측면 내측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15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 side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a)는 지지 리브(140)가 인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 15(b)는 지지 리브(140)가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15 (a) shows a state before the support ribs 140 are drawn, and Fig. 15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ribs 140 are drawn.

지지 리브(140) 및 디스플레이(130)는 본체(110)에 인입되어 말린 상태로 실장될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부(171)는 나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71)는 본체(110)의 적어도 일측면의 내측에 구비되어 지지 리브(140)가 본체(110)에 인입시 나선형으로 말려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upport ribs 140 and the display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10 and mounted in a dried state. 15 (a), the first guide portion 171 may include a spiral. The first guide portion 171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so as to guide the support rib 140 so that the support rib 140 may be curled in a spiral manner when the main body 11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10.

제1 가이드부(171)는 본체(110)의 측면 내측에 특정 길이의 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공간 차지를 최소화 하기 위해 지지 리브(140)의 폭보다 더 짧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지지 리브(140)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를 문제없이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portion 171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with a predetermined length. However, the width of the support rib 140 may be shorter than the width of the support rib 140 to minimize the space charge. In this case, the guide ribs 140 can be guided in and out without problems.

제1 가이드부(171)를 통해 지지 리브(140)가 본체(110)에 인입되는 경우, 지지 리브(140) 및 디스플레이(130)는 본체(110) 내부에 실장될 수 있다.The support rib 140 and the display 130 may be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10 when the support rib 140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first guide portion 171. [

도 16은 디스플레이(130)가 본체(110)에 인입되는 형상에 관한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1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pe in which the display 130 is drawn into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도 15의 실시 예와 달리 지지 리브(140) 및 디스플레이(130)는 본체(110)에 인입되어 말리지 않고 일정 정도 휘어지기만 하여 인입될 수 있다.15, the supporting ribs 140 and the display 130 may be drawn into the main body 110 only with a certain degree of warpage without curling.

디스플레이(130)가 말리지 않고 다ˆž 휘어지기만 하여 인입되는 경우 본체(110)의 공간이 디스플레이(130)의 전체 길이를 수용할 수 없다.The space of the main body 110 can not accommodate the entire length of the display 130 when the display 130 is drawn in without being curled.

지지 리브(140) 및 디스플레이(130)는 제2 가이드부(176) 및 제3 가이드부(177)에 걸쳐 실장될 수 있다.The support ribs 140 and the display 130 may be mounted over the second guide portion 176 and the third guide portion 177.

제2 가이드부(176)는 본체(110)에 구비될 수 있고 제3 가이드부(177)는 키패드(120)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76)의 일단은 제3 가이드부(177)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portion 176 may be provided on the main body 110 and the third guide portion 177 may be provided on the keypad 120. One end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76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guide portion 177.

제3 가이드부(177)의 길이는 지지 리브(140) 또는 디스플레이(130)의 크기에 따라 종속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The length of the third guide portion 177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upport rib 140 or the display 130. [

제3 가이드부(177)는 키패드(12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76) 및 제3 가이드부(177)는 지지 리브(140) 및 디스플레이(130)부의 전면 및 배면 방향의 양쪽을 모두 잡아줄 수 있도록 슬릿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가이드부(177)는 전술한 연결부(122)가 형성하는 제2 슬릿(1204)을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guide portion 177 may b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keypad 120. The second guide portion 176 and the third guide portion 177 may form a slit so as to hold both the front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direction of the support rib 140 and the display 130. The third guide portion 177 may include a second slit 1204 formed by the connecting portion 122 described above.

제2 슬릿(1204)는 키패드(120)의 일측 열(121-1)을 포함하는 적어도 한 열의 키패드(120)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본체(110)의 전장부와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slit 1204 may be formed over at least one row of the keypad 120 including one row 121-1 of the keypad 12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entire body of the main body 110. [

제2 가이드부(176)는 본체(110)의 측면 내측에 형성되어 특정 길이의 폭으로 구비 될 수 있다. 제3 가이드부(177)는 키패드(12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심부 전체에 공간을 형성하는 레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guide portion 176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may have a specific length. The third guide portion 177 may include a layer forming a space in the entire central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keypad 120.

도 17은 도 3의 D-D' 방향 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제3 가이드부(177)를 통해 삽입된 지지 리브(140) 및 디스플레이(130)는 키패드(120)가 본체(110)에 감기는 거동에 의해 키패드(120)와 함께 적어도 일 지점 이상이 꺾여서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rib 140 inserted through the third guide portion 177 and the display 130 are bent at least one point along with the keypad 120 by the action of the keypad 120 being wound on the main body 110 .

지지 리브(140) 및 디스플레이(130)의 꺾이는 영역은 연결부(122)의 적어도 일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The support ribs 140 and the deflected area of the display 130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area of the connection 122. [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100)의 측면 내측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18 shows a part of the in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송 서포트(support) 부재(180)는 디스플레이(130) 또는 지지 리브(140)와 적어도 일 영역이 접하도록 구비되어 수축 또는 팽창하여 디스플레이(130)의 인입 또는 인출 상태의 고정을 도와주거나, 인입 또는 인출 거동을 도와주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The transfer support member 180 is provided to contact at least one area with the display 130 or the support rib 140 to contract or expand to help fix the display 130 in or ou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rce to assist the pulling out action.

이송 서포트 부재(180)는 디스플레이(130)가 본체(110)에 인출된 경우 팽창하여 지지 리브(140)에 특정 값 이상의 마찰력을 제공하고, 인입된 경우 수축하여 특정 값 이하의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transfer support member 180 may expand when the display 130 is pulled out of the main body 110 to provide the support ribs 140 with a frictional force of more than a certain value and, have.

즉, 이송 서포트 부재(180)는 디스플레이(130)가 본체(110)에서 인출된 경우 이를 고정하여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디스플레이(130)가 본체(110)에 인입하는 경우 고정을 해제하여 인입하는데 방해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isplay 130 is pulled out from the main body 110, the conveying support member 180 is fixed so that the movement does not move unless a force exceeding a certain level is applied. When the display 130 is pulled into the main body 110 It is possible to release the fixing and prevent the force that interferes with the drawing from being applied.

또는 이송 서포트 부재(180)는 반대의 힘 작용을 하여 디스플레이(130)가 본체(110)에 인입된 경우 이를 고정하여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디스플레이(130)가 본체(110)에서 인출된 경우 고정을 해제하여 인출하는데 방해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Or the conveying support member 180 acts to reverse the force so that the display 130 is fixed to the main body 110 when the display 130 is pulled in,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ce that interferes with withdrawing from releasing the fixation.

나아가 후술할 스프링(1612) 구조를 통해 인출 또는 인입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Further, it may facilitate drawing or drawing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spring 1612 to be described later.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9(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100)의 이송 서포트 부재(180)가 팽창한 경우의 도 18 D-D' 방향 및 E-E' 방향 단면도 각각을, 도 19(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100)의 이송 서포트 부재(180)가 팽창하지 않은 경우의 도 18 D-D' 방향 및 E-E' 방향 단면도 각각을 도시한 것이다.FIG. 19 (a) is a sectional view of FIG. 18 DD 'and EE' in the case where the conveying support member 180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FIG. 19 18D 'and EE' direction views when the transporting support member 180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related to FIG. 18 is not inflated.

이송 서포트 부재(180)는 실린더(181), 비대칭 샤프트(182), 라이닝 부재(183) 및 서포트 스프링(184)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fer support member 180 may include a cylinder 181, an asymmetric shaft 182, a lining member 183, and a support spring 184.

실린더(181)는 본체(110)상에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반면 비대칭 샤프트(182)는 실린더(18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나사선을 형성하고 지지 리브(140) 또는 디스플레이(130)에 고정되어 지지 리브(140)의 인입 또는 인출에 따라 같이 회전될 수 있다.The cylinder 181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so as not to rotate. On the other hand, the asymmetric shaft 182 is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cylinder 181 to form a thread and is fixed to the support rib 140 or the display 130 so that the asymmetric shaft 182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incoming or outgoing of the support rib 140 .

라이닝 부재(183)는 비대칭 샤프트(182)의 나사선에 회전 결합하여 비대칭 샤프트(182)의 회전에 따라 실린더(181)의 내측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lining member 183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thread of the asymmetric shaft 182 to selectively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181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asymmetric shaft 182.

실린더(181)는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 비대칭 샤프트(182)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비대칭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ylinder 181 may have a constant diameter and the asymmetric shaft 182 may include an asymmetric shape in which the diameter increases or decreases in one direction.

이러한 실린더(181)와 비대칭 샤프트(182)의 직경의 경향은 반드시 도면의 실시 예에 제한 되지 않으며, 상술한 이송 서포트 부재(180)의 효과를 달성하는 구조라면 유사하게 변형이 가능하다.The tendency of the diameters of the cylinder 181 and the asymmetric shaft 182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mbodiment of the drawing, but can be similarly modified if the structure achieves the effect of the above-described transporting support member 180.

비대칭 샤프트(182)의 일 방향 회전에 따라 라이닝 부재(183)가 비대칭 샤프트(182)의 직경이 큰 방향, 즉 도 19(b)에서 도 19(a)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비대칭 샤프트(182)에서 직경이 큰 방향으로 이동한 라이닝 부재(183)는 실린더(181) 내에서 팽창하여 실린더(181)의 내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내측면을 지지한 라이닝 부재(183)로 인해 비대칭 샤프트(182)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고, 비대칭 샤프트(182)가 회전하지 않음에 따라 지지 리브(140)도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다.The lining member 183 can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asymmetric shaft 182 is large, that is, in the state shown in Figs. 19 (b) to 19 (a) in accordance with one rotation of the asymmetric shaft 182. [ The lining member 183 moved in the direction of larger diameter in the asymmetric shaft 182 expands in the cylinder 181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181. The asymmetric shaft 182 is no longer rotated due to the inner side supporting lining member 183 and the supporting rib 140 is also fixed without rotating as the asymmetric shaft 182 does not rotate.

디스플레이(130)는 도 19(a) 상태가 인입, 도 19(b) 상태가 인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도 19(a) 상태가 인출, 도 19(b) 상태가 인입된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display 130 may be provided with the state shown in Fig. 19 (a), the state shown in Fig. 19 (b) taken out, or the state shown in Fig. 19 (a) As shown in FIG.

이 때 서포트 스프링(184)은 라이닝 부재(183)를 비대칭 샤프트(182)의 두꺼운 축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하여 실린더(181)가 팽창하는 쪽으로 도와주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The support spring 184 may then provide a force to pull the lining member 183 in the direction of the thick axis of the asymmetric shaft 182 to assist in expanding the cylinder 181.

즉, 서포트 스프링(184)은 도 19(b)의 상태에서 도 19(a)의 상태로 변형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support spring 184 can provide a force that deforms from the state of Fig. 19 (b) to the state of Fig. 19 (a).

예를 들어, 지지 리브(140) 및 디스플레이(130)가 본체(110)에 인입된 상태를 도 19(b), 본체(110)에서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도 19(a)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경우,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디스플레이(130)를 인출시킬 수 있고, 동시에 실린더(181)의 팽창에 의해 인출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rib 140 and the display 130 are drawn into the main body 110 is shown in Fig. 19 (b), and the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10 is fully drawn out is shown in Fig. 19 , The user can draw out the display 130 without applying a large force, and at the same time, the state drawn by the expansion of the cylinder 181 can be fixed.

도 20(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100)의 이송 서포트 부재(180)가 팽창한 경우의 도 18 D-D' 방향 및 E-E' 방향 단면도 각각을, 도 20(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100)의 이송 서포트 부재(180)가 팽창하지 않은 경우의 도 18 D-D' 방향 및 E-E' 방향 단면도 각각을 도시한 것이다.20 (a) is a sectional view in the DD 'direction and an EE' direction in the case where the conveying support member 180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FIG. 20 (b) 18D 'and EE' direction views when the transporting support member 180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related to FIG. 18 is not inflated.

반면, 도 20는 서포트 스프링(184)이 라이닝 부재(183)를 비대칭 샤프트(182)의 얇은 축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하여 실린더(181)가 팽창하지 않는 쪽으로 도와주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20, on the other hand, can provide the force that the support spring 184 provides to pull the lining member 183 in the direction of the thin axis of the asymmetric shaft 182, thereby helping the cylinder 181 not to expand.

즉, 서포트 스프링(184)은 도 20(a)의 상태에서 도 20(b)의 상태로 변형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support spring 184 can provide a force that deforms from the state of Fig. 20 (a) to the state of Fig. 20 (b).

예를 들어, 지지 리브(140)가 본체(110)에서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도 20(a), 본체(110)에 인입된 상태를 도 20(b)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경우, 사용자는 실린더(181)의 팽창에 의해 지지 리브(140) 인출이 고정된 상태인 도 20(a) 상태에서 조금만 힘을 가해 고정을 해제 시키면 서포트 스프링(184)의 힘에 의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지지 리브(140)를 인입 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rib 140 is completely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110 is shown in Fig. 20 (a) and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rib 140 is drawn into the main body 110 is shown in Fig. 20 (b) 20 (a) in which the withdrawal of the support ribs 140 is fixed by the expansion of the support ribs 181, 181, the support ribs 140 ).

종합하면, 샤프트의 나사선이 나 있는 방향, 샤프트가 두꺼워 지는 방향, 디스플레이(130)가 샤프트에 말리는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130)가 인출된 경우 이를 고정시킬 것인지 인입된 경우 이를 고정시킬 것인지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display 130 is pulled ou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reading of the shaft,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aft is thicken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130 is rotated on the shaft, .

또, 서포트 스프링(184)이 비대칭 샤프트(182)의 어느 방향에서 라이닝 부재(183)를 당겨주는지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130)가 인출되는 힘을 도와줄 것인지, 인입되는 힘을 도와줄 것인지 달라질 수 있다.Whether the support spring 184 pulls the lining member 183 in either direction of the asymmetric shaft 182 will either aid the force with which the display 130 is pulled out, have.

따라서 샤프트의 나사선 방향, 두꺼워 지는 방향, 말리는 방향으로 인한 디스플레이(130) 고정 구조와 서포트 스프링(184)이 구비되는 위치는 상호 독립적으로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display 130 fixing structure and the position of the support spring 184 due to the screw thread direction, the thickening direction, and the drying direction of the shaft can be independently combined and applied.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송 서포트 부재(18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21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veying support member 18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 예와 달리 좌우 대칭 형태의 대칭 샤프트(185)로 구비하여 양 단으로 갈수록 샤프트가 두꺼워 지도록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 실린더(181)의 팽창이 양 쪽에서 이루어 지므로, 디스플레이(130)가 완전히 인출된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130)가 완전히 인입된 경우 양 상태 각각을 고정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Since the expansion of the cylinder 181 is performed on both sides in the case where the shaft 181 is provided with the symmetrical shaft 185 having a symmetrical shape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 so that the shaft becomes thicker toward both ends, Or when the display 130 is fully retracted, it may be structured to fix each of the two states.

도 2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입/출력 장치(100)의 배면 사시도이다.2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입/출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30)의 각도 조절을 위해 틸팅 지지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 지지부재(190)는 본체(110)의 밑면(1104) 중 앞쪽에 치우쳐 힌지 결합할 수 있다. 틸팅 지지부재(190)를 돌출시키는 경우 본체(110)를 바닥에 거치시 본체(110) 앞부분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디스플레이(130)를 뒤로 젖혀지도록 거치시킬 수 있다.And may include a tilting support member 190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display 130 of the input / output device 100. The tilting support member 190 may be hinged to the front of the bottom surface 1104 of the main body 110. When the tilting support member 190 is protruded,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is relatively raised when the main body 110 is placed on the floor, so that the display 130 can be tilted backward.

거치부(191)는 힌지부(192)의 힌지 결합을 통해 본체(110)와 결합할 수 있다. 거치부(191)가 본체(110)에서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본체(110)의 안착부(193)에 안착되어 본체(110) 배면과 동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191 can engage with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hinge connection of the hinge portion 192. When the mounting portion 191 is not protruded from the main body 110, the mounting portion 193 may be seated on the mounting portion 193 of the main body 110 to form the same surface as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입/출력 장치 110: 본체
1101: 본체 전면 1102: 본체 상면
1103: 본체 후면 1104: 본체 밑면
1105: 본체 측면 1106: 본체 모서리
111: 제1 슬릿 112: 걸림부
120: 키패드 1201: 키탑
1202: 키입력 기판 1204: 제2 슬릿
121: 키패드 열 122: 연결부
123: 자성부재 124: 제1 플렉서블 기판
125: 제2 플렉서블 기판 130: 디스플레이
1301: 디스플레이 배면 1302: 디스플레이 전면
131: 액정 132: 전면 필름
133: 고탄성 시트 140: 지지 리브
1401: 지지 리브 일면 1402: 지지 리브 타면
1403: 지지 리브 일단 141: 단차 홈
150: 홀더 1501: 홀더 윗면
1502: 홀더 배면 151: 접합부
161: 고정 스탑퍼 1611: 볼
1612: 스프링 162: 폴딩 가이드 부재
1621: 볼 1622: 스프링
171: 제1 가이드부 176: 제2 가이드부
177: 제3 가이드부 180: 이송 서포트 부재
181: 실린더 182: 비대칭 샤프트
183: 라이닝 부재 184: 서포트 스프링
190: 틸팅 지지부재 191: 거치부
192: 힌지부 193: 안착부
210: 배터리 2101: 배터리 경사면
2102: 배터리 측면
100: input / output device 110:
1101: main body front surface 1102: main body upper surface
1103: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4: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105: main body side 1106: main body edge
111: first slit 112:
120: Keypad 1201: Key top
1202: key input substrate 1204: second slit
121: keypad row 122: connection
123: magnetic member 124: first flexible substrate
125: second flexible substrate 130: display
1301: Display back side 1302: Display front side
131: liquid crystal 132: front film
133: High elasticity sheet 140: Support rib
1401: one side of the supporting rib 1402: one side of the supporting rib
1403: Support ribs one end 141: Stepped groove
150: holder 1501: holder top surface
1502: holder back face 151:
161: Fixed Stopper 1611: Ball
1612: spring 162: folding guide member
1621: Ball 1622: Spring
171: first guide portion 176: second guide portion
177: third guide part 180: conveying support member
181: cylinder 182: asymmetric shaft
183: lining member 184: support spring
190: a tilting support member 191:
192: hinge portion 193:
210: Battery 2101: Battery slope
2102: Battery side

Claims (20)

전장부를 형성하고 제1 방향으로 뻗은 기둥 형상의 본체;
일측 열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복수 열의 폴더블(Foldable) 키패드;
상기 복수 열의 키패드 사이 및 상기 키패드의 일측 열과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 열의 키패드가 꺾어지도록 연결하여 상기 키패드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면을 감싸도록 하는 연결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따라 형성된 제1 슬릿;
상기 제1 슬릿을 통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인출되어 펼쳐지거나 상기 본체 내부로 인입되어 적어도 일 영역이 실장되는 바이스테이블(Bistable) 지지 리브; 및
상기 지지 리브의 전면에 결합하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입/출력 장치.
A columnar body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to form a full length portion;
A plurality of rows of foldable keypads, one row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 connection part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lumns of keypads and between one side of the keypads and the main body so that the plurality of rows of keypads are folded so that the keypads wrap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body;
A first slit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in the first direction;
A bistable supporting rib which is drawn out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nside the main body through the first slit and is drawn into the main body and at least one region is mounted; And
And a flexible display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rib.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한 열의 키패드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전장부와 연결되는 제2 슬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리브가 상기 본체에 인입 시 상기 지지 리브의 내측 일단이 상기 제2 슬릿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slit formed on at least one row of keypads including the one row and connected to a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wherein one end of the support rib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lit when the support rib is drawn into the main body, Input / output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열의 키패드는,
상단에 구비되는 키탑;
상기 키탑의 밑면에 구비되는 키입력 기판; 및
상기 키입력 기판의 아래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키입력 기판 및 상기 배터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t least one row of keypads comprises:
A key top provided at an upper end;
A key input board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key top; And
And a battery disposed under the key input board,
And the second slit is provided between the key input board and the batter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리브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양 측 배면에 각각 결합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ribs are coupled to the back sides of both sides of the flexible display, respectively, and the flexible display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장부 양 측면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리브는 상기 가이드 부를 따라 상기 본체에 나선형으로 말려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guid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spirally formed,
Wherein the support ribs are helically drawn into the body along the guide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2 방향 일단 모서리와 결합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결합하는 접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는 일 방향으로 오목한 곡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older coupled to an edge of the first direction of the flexible display; And
Further comprising a joint provided in the holder and coupled with the display, wherein the joint forms a concave curve in one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은,
일정 길이 이상의 슬릿 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lit
Wherein the slit width i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length.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서 돌출 구비되어 상기 지지 리브의 배면과 접하는 고정 스탑퍼(stopper);
상기 지지 리브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리브가 상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경우 상기 고정 스탑퍼가 안착되는 단차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ationary stopper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and contacting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rib;
Further comprising a stepped groove provided on the support rib and on which the stationary stopper is seated when the support rib is completely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지지 리브가 상기 본체에 인입시 상기 지지 리브가 휘어지도록 가압하는 폴딩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olding guide member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to press the support rib to bend when the support rib is drawn into the main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인입 또는 인출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인입 또는 인출하는 힘을 제공하는 이송 서포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 서포트 부재는,
상기 본체에 고정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고정되어 일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나사선을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인입 또는 인출에 따라 회전하는 비대칭 샤프트; 및
상기 비대칭 샤프트의 나사선에 회전 결합하여 상기 비대칭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라이닝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ransporting support member for providing a force for fixing or pulling in or out of the display,
The conveying support member
A cylinder fixed to the body;
An asymmetric shaft fixed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to form a thread having a diameter increasing in one direction and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drawing or drawing of the display; And
And a lin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a thread of the asymmetric shaft to selectively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asymmetric shaft.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본체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된 경우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하거나 지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lining member does not selectively support or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when the display is drawn or pulled from the body.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닝 부재 및 상기 비대칭 샤프트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라이닝 부재를 상기 비대칭 샤프트의 두꺼운 축 방향 또는 얇은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도와주는 서포트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spring for providing a tensile force to the lining member and the asymmetric shaft to assist in moving the lining member in the axial or thin axial direction of the asymmetric shaf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인입 또는 인출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인입 또는 인출하는 힘을 제공하는 이송 서포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 서포트 부재는,
상기 본체에 고정 구비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고정되어 양 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나사선을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인입 또는 인출에 따라 회전하는 대칭 샤프트; 및
상기 대칭 샤프트의 나사선에 회전 결합하여 상기 대칭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라이닝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ransporting support member for providing a force for fixing or pulling in or out of the display,
The conveying support member
A cylinder fixed to the body;
A symmetric shaft fixed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and forming a thread having a diameter increasing toward both ends and rotating according to a pull-in or pull-out of the display; And
And a lin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a thread of the symmetric shaft to selectively support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er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symmetrical shaf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각 기둥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열의 키패드는 접힌 경우 상기 본체의 다각 면 중 적어도 일 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includes a polygonal columnar shape,
Wherein the plurality of rows of keypads surround at least one side of a polygonal surface of the main body when folded.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열의 키패트 타측 열에 인접한 상기 본체 상에 구비된 자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magnetic member provided on the main body adjacent to the other row of the plurality of rows of keypad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각 기둥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다각 면 중 바닥을 지지하는 바닥면에 힌지 결합하는 틸팅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includes a polygonal columnar shape,
Further comprising a tilting support member hing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polygonal surface of the main body for supporting the flo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결합하는 투명 물질을 포함하는 전면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ront film comprising a transparent material coupled to a front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리브는 금속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rib is a metal materi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원력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comprises a material having a restoring for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복수 열의 폴더블 키패드를 서로 체결하는 힌지 결합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unit comprises a hinge coupling for fastening the plurality of rows of the foldable keypads to each other.
KR1020160067019A 2016-05-31 2016-05-31 Input/output device KR20170135300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019A KR20170135300A (en) 2016-05-31 2016-05-31 Input/output device
PCT/KR2017/000895 WO2017209370A1 (en) 2016-05-31 2017-01-25 Smart wa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019A KR20170135300A (en) 2016-05-31 2016-05-31 Input/outpu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300A true KR20170135300A (en) 2017-12-08

Family

ID=6047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019A KR20170135300A (en) 2016-05-31 2016-05-31 Input/output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35300A (en)
WO (1) WO2017209370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3099A (en) * 1974-11-11 1976-08-03 American Micro-Systems, Inc. Push button switch for electronic watch
KR200401245Y1 (en) * 2005-07-15 2005-11-15 심관보 Locking Apparatus of Connecter
KR20130027197A (en) * 2011-09-07 2013-03-15 신장진 Whist watch with infrared camera
KR101401049B1 (en) * 2013-04-18 2014-05-29 김두연 Opening and shutting cover device for partition containers
KR101338355B1 (en) * 2013-04-18 2013-12-06 김두연 Opening and shutting a cover device for partition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9370A1 (en)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23974B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its method of operation, and hardware memory device
US10231347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10996719B2 (en)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with layered, foldable, bendable, flippable, rotatable, removable, displaceable, and/or slideable component(s)
TWI795583B (en)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with removable keyboard
US8755181B2 (en) Electronic device
JP6407206B2 (en) Cover attachment with flexible display
US8477493B2 (en) Storage device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KR102228857B1 (en) Protable electronic device
KR102319310B1 (en) Mobile terminal
US10935182B2 (en) Mobile device and computer device stand
KR102527064B1 (en)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US20170212607A1 (en) Rollable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80426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120050075A1 (en) Retractable device
US10739826B1 (en) Keyboard deployment for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IHSs)
KR102556654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hinge structure
US7532460B2 (en) Portable computer system
US20160352878A1 (en) Mobile terminal
KR20110088870A (en) Flexible electronics having a shape change characteristic, device and method of shape change the same
US9092193B2 (en) Electronic device
KR20200095301A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20220187874A1 (en) Rollable mobile terminal
US20200042047A1 (en)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with an accessory backpack
KR20150125374A (en) Mobile terminal
EP4016508B1 (en) Electronic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