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223A - Keyboard interface providing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hanged bubble view - Google Patents

Keyboard interface providing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hanged bubble vie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223A
KR20170135223A KR1020160066778A KR20160066778A KR20170135223A KR 20170135223 A KR20170135223 A KR 20170135223A KR 1020160066778 A KR1020160066778 A KR 1020160066778A KR 20160066778 A KR20160066778 A KR 20160066778A KR 20170135223 A KR20170135223 A KR 20170135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balloon view
view
displaying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7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용창
Original Assignee
서용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창 filed Critical 서용창
Priority to KR1020160066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5223A/en
Publication of KR2017013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2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to display a changed balloon view are disclosed. The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includes: displaying a keyboard interface used in a user terminal; detecting users control on an input key included in the keyboard interface; and when the input key is selected or moved by the users control, displaying a balloon view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an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s control.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by changing at least one from the background of the balloon view, characters included in the balloon view, the shape of the balloon view, and the size of the balloon view is changed based on data downloaded from a server, which provides the keyboard interface.

Description

변경된 풍선뷰를 표시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KEYBOARD INTERFACE PROVIDING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HANGED BUBBLE VIEW}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interface for displaying a changed balloon view,

아래의 설명은 변경된 풍선뷰를 표시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키보드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입력 키를 선택하거나 이동시키는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keyboard interfa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changed balloon view,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lloon view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an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user control for selecting or moving an input key included in the keyboard interface To a keyboard interfa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최근 모바일(Mobile) 단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단말은 스마트 폰을 비롯하한 개인 정보 단말기(PDA) 등 다양한 예가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의 키 입력 인터페이스를 터치(Touch) 입력 방식에 기반하는 모바일 단말이 증가하고 있다.Recently, interest in mobile terminals is increasing. There are various examples of mobile terminals including smart phone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The number of mobile terminals based on a touch input method is increasing as the key input interface of the mobile terminal.

그런데, 모바일 단말의 특성 상 기존의 쿼티(Qwerty) 방식의 키 배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한정된 디스플레이 내에 많은 키가 디스플레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키 하나에 할당되는 면적은 비교적 작고 입력 시 오타(Typo)의 가능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키를 식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bile terminal, in order to display the existing Qwerty key arrangement, many keys must be displayed in the limited display. Thus, the area allocated to one key is relatively small and the likelihood of typo increases on input, and it may be difficult to identify the key to a user with poor eyesight.

이와 같이 입력된 키에 대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키보드 인터페이스에서 풍선뷰를 제공하고 있다. 풍선뷰는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캐릭터를 크게 확대해서 표시하는 객체로, 사용자는 풍선뷰에 확대되어 표시된 캐릭터를 확인함으로써, 현재 입력되고 있는 키를 식별할 수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readability of such keys, many keyboard interfaces provide balloon views. The balloon view is an object that greatly enlarges and displays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n input key. The user can identify the key currently input by checking the enlarged character displayed in the balloon view.

본 발명은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풍선뷰를 변경함으로써, 입력 캐릭터에 대한 가독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mprove the readability of the input character by changing the balloon view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본 발명은 풍선뷰가 표시되는 상태에 기초하여 각기 다른 풍선뷰가 표시될 수 있도록 복수의 풍선뷰를 포함하는 하나의 풍선뷰 세트를 이용함으로써, 풍선뷰가 표시되는 다양한 상태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single set of balloon views including a plurality of balloon views so that different balloon views can be displaye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balloon views are displayed, .

본 발명은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풍선뷰를 사용자 취향에 따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변경된 풍선뷰가 표시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who uses the keyboard interface in which the changed balloon view is displayed by changing the balloon view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입력 키에 대한 사용자 제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제어에 의해 상기 입력 키가 선택되거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풍선뷰는, 상기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풍선뷰의 배경, 상기 풍선뷰에 포함된 캐릭터, 상기 풍선뷰의 형태(shape),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어 표시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keyboard interface used in the user terminal; Sensing user control of an input key included in the keyboard interface; And displaying a balloon view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an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when the input key is selected or moved by the user control, wherein the balloon view provides the keyboard interface At least one of the background of the balloon view, the character included in the balloon view, the shape and size of the balloon view is changed and displayed based on data downloaded from the serv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입력 캐릭터의 종류는, 문자, 숫자, 부호,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balloon view may include displaying the balloon view by changing the type of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 Letters, numbers, signs, and emoticon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제어에 의해 상기 입력 키가 선택되거나 또는 이동되는 시간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balloon view may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balloon view based on the length of time that the input key is selected or moved by the user control ha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제어에 의해 상기 입력 키가 이동하는 거리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balloon view may include changing the balloon view based on at least one of a distance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input key moves by the user control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키보드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balloon view may change and display the balloon view based on an application executed while the keyboard interface is display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상기 풍선뷰가 표시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balloon view may include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displaying the balloon view and a time of displaying the balloon view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The balloon view can be changed and display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풍선뷰의 배경 색에 기초하여 풍선뷰에 포함된 캐릭터 색을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풍선뷰에 포함된 캐릭터 색에 기초하여 풍선뷰의 배경 색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balloon view may include changing a character color included in the balloon view based on the background color of the balloon view, The background color of the balloon view can be changed and display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명도 및 색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balloon view may change and display the balloon view based on at least one of a brightness and a tint of a display screen displaying the balloon view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풍선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풍선뷰의 배경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balloon view may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background of the balloon view on the basis of a position where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ha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는, 상기 풍선뷰가 표시되는 상태에 기초하여 각기 다른 풍선뷰가 표시될 수 있도록 복수의 풍선뷰를 하나의 풍선뷰 세트로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downloaded from the serv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lloon views as a single balloon view set so that different balloon views may be displaye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제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풍선뷰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풍선뷰를 상기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제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키보드 인터페이스의 입력 키를 선택하거나 이동시키는 컨트롤이고, 상기 풍선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풍선뷰의 배경, 상기 풍선뷰에 포함된 캐릭터, 상기 풍선뷰의 형태(shape),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changing a balloon view displayed based on user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And registering the changed balloon view in a server providing the keyboard interface, wherein the user control is a control for selecting or moving an input key of a keyboard interfac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Step changes at least one of the background of the balloon view that enlarges and displays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the character included in the balloon view, the shape and size of the balloon view.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에 내장된 매치 또는 삽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다.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executed by a processor of a user terminal, and is stored in a matched or insertable medium embedded in the user terminal.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풍선뷰를 변경함으로써, 입력 캐릭터에 대한 가독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by changing the balloon view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the readability to the input character can be effectively improved.

일실시예에 따르면, 풍선뷰가 표시되는 상태에 기초하여 각기 다른 풍선뷰가 표시될 수 있도록 복수의 풍선뷰를 포함하는 하나의 풍선뷰 세트를 이용함으로써, 풍선뷰가 표시되는 다양한 상태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by using a single set of balloon views including a plurality of balloon views so that different balloon views can be displaye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balloon views are displayed, Lt; / RTI >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풍선뷰를 사용자 취향에 따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변경된 풍선뷰가 표시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lloon view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is chan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thereby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using the keyboard interface in which the changed balloon view is displayed.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풍선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변경된 풍선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캐릭터의 종류 및 입력되는 사용자 제어에 기초하여 풍선뷰가 변경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풍선뷰가 변경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풍선뷰가 변경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풍선뷰가 표시되는 상태에 기초하여 풍선뷰가 변경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llustrates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 illustrates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alloo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balloon view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balloon view is changed based on a type of a character and an input user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balloon view is changed based o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balloon view is changed based on the posi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balloon view is changed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embodiments are set forth for illustration purposes only and may be embodied with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and the scope of the disclosure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such terms should be interpreted sole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although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one or more of the describ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들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실시예의 범위가 본문에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공지된 기능 및 구조는 생략하도록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be used to provide an interface, an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below are illustrat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to those described in the tex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and the well-known functions and structures are omitted.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1 illustrates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사용자 단말은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제어(예컨대, 터치 입력, 드래그 입력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웨어러블 장치, 태블릿, 랩톱 컴퓨터, 휴대용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디스플레이에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표시된 키보드 인터페이스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 받을 수 있다.A user terminal is a device equipped with a display capable of detecting user control (e.g., touch input, drag input, etc.) input from a user through a touch sensor. Examples of the device include a smart phone, a smart pad, a wearable device, A laptop computer, a portable terminal, and the like. The user terminal may display a keyboard interface on the display and receive user input from the user by sensing user input entered via the displayed keyboard interface.

도 1a를 참조하면, 키보드 인터페이스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키보드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입력 키들을 일정한 형태로 제공하며, 제1 행에 'q', 'w', 'e', 'r', 't', 'y', 'u', 'I', 'o', 'p' 입력 키를 제공하고, 제2 행에는 'a', 's', 'd', 'f', 'g', 'h', 'j', 'k', 'l' 입력 키를 제공하며, 제3 행에는 'z', 'x', 'c', 'v', 'b', 'n', 'm' 입력 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키보드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쿼티(Qwerty) 방식의 키보드 인터페이스에 해당된다.Referring to FIG. 1A, an example of a keyboard interface is shown. The keyboard interface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in FIG. 1A provides a plurality of input keys in a fixed form, and includes a plurality of keys such as 'q', 'w', 'e', 'r', 't', 'y' ',' s ',' d ',' f ',' g ',' h ',' , 'x', 'c', 'v', 'b', 'n', and 'm' input keys on the third row . The keyboard interface shown in FIG. 1A corresponds to a commonly used Qwerty keyboard interface.

도 1b를 참조하면, 사용자 제어가 키보드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입력 키에 입력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d'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단순히 'd' 입력 키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제어에 의해 'd' 입력 키가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제어에 따라 키보드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입력 캐릭터는 'd'로 결정되고 입력 캐릭터 'd'는 확대되어 풍선뷰(110)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B, an example in which user control is input to an input key included in a keyboard interface is shown. If the user desires to enter 'd', the user can simply select the 'd' input key. When the 'd' input key is selected by the user control, the input character input to the keyboard interface is determined as 'd' and the input character 'd' is enlarged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and displayed on the balloon view 110 .

풍선뷰(110)에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가 확대되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입력하고 있는 캐릭터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현재 입력된 캐릭터가 자신의 의도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balloon view 11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character currently inputting and can effectively grasp whether the character currently input matches his / her intention.

도 2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2 illustrates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2a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키보드 인터페이스는 행렬(matrix) 형태로 입력 키들을 제공하며, 행렬의 제1 행에 'A', 'C', 'E', 'G' 및 'I' 키를 제공하고, 제2 행에는 'J', 'L', 'N', 'P' 및 'R' 키를 제공하며, 제3 행에는 'S', 'U', 'W' 및 'Y' 키 및 백스페이스 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키보드 인터페이스(110)는 행렬의 제1 행에 'B', 'D', 'F', 'H'에 대응하는 입력 키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생략하고, 행렬의 제2 행에 'K', 'M', 'O', 'Q'에 대응하는 입력 키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생략하고, 행렬의 제3 행에 'T', 'V', 'W', 'Z'에 대응하는 입력 키를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생략함으로써, 한 번에 디스플레이해야 하는 입력 키의 수를 줄일 수 있다.The keyboard interface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in FIG. 2A provides input keys in the form of a matrix, and keys 'A', 'C', 'E', 'G' and 'I' S ',' U ',' W 'and' Y 'are provided on the second row, and' J ',' L ',' N ',' P ' Key and a backspace key. The keyboard interface 110 omits the input keys corresponding to 'B', 'D', 'F' and 'H' in the first row of the matrix and displays 'K' , 'V', 'W', and 'Z' in the third row of the matrix without omitting input keys corresponding to 'M', 'O' The number of input keys to be displayed at one time can be reduced.

사용자가 'L'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된 'L' 입력 키를 터치 입력하면 되고, 'N'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된 'N' 입력 키를 터치 입력하면 되며, 'M'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된 'L' 입력 키와 디스플레이된 'N' 입력 키를 조합 입력(Combinational input)하면 된다.If the user desires to input 'L', he / she can touch input the displayed 'L' input key. If he / she wants to input 'N', touch 'N' In case of inputting, the displayed 'L' input key and the displayed 'N' input key may be input in a combinational manner.

여기서 조합 입력은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가장 단순한 실시예로는 'M'를 입력하기 위해 'L' 입력 키와 'N' 입력 키를 동시에 터치하거나, 또는 'L' 입력 키를 터치한 상태로 'N' 입력 키 방향으로 드래그(Drag)하면 된다.The combination input may be various embodiments. In the simplest embodiment, the 'L' input key and the 'N' input key are simultaneously touched to input 'M', or the 'N' input key is touched ).

이 경우, 드래그 방향은 상관 없다. 즉 'L' 입력 키를 터치한 상태로 'N' 입력 키 방향으로 드래그하거나, 반대로 'N' 입력 키를 터치한 상태로 'L' 입력 키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의 결과는 동일할 수 있다. 이는 왼손 잡이와 오른손 잡이 사용자를 모두 배려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drag direction does not matter. That is, the result of dragging in the direction of the 'N' input key while touching the 'L' input key or in the direction of 'L' input key while touching the 'N' input key may be the same. This is a consideration for both left-handed and right-handed users.

그 밖에도 조합 입력은 'L' 입력 키를 'N' 입력 키 방향으로 밀거나 튕겨서 날려 보내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기타 여러 가지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입력 키를 튕겨서 날려 보내는 경우에도 'L' 입력 키를 'N' 입력 키 방향으로 튕겨서 날리는 경우와 'N' 입력 키를 'L' 입력 키 방향으로 튕겨서 날려서 튕기는 경우의 결과는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bination input may include an embodiment in which the 'L' input key is pushed or thrown in the direction of the 'N' input key, and there may be various other embodiments. The result of the case where the 'L' input key is repelled in the direction of the 'N' input key and the case where the 'N' input key is repelled in the direction of the 'L' input key and flicked is flipped .

그리고 이러한 조합 입력에 대응하여 드래그 입력 또는 튕겨서 날려 보내는 입력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에 있어서, 'L' 입력 키가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N' 입력 키 방향으로 실제 움직이도록 디자인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In order to visually express a drag input or a repulsive input corresponding to such a combination input, the 'L' input key may be designed to actually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N' input key according to the drag input of the user, It is possible.

나아가, 조합 입력은 서로 이웃한 키들, 이를테면 도 2의 'L' 입력 키와 'N' 입력 키 사이에서만 가능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조합 입력이 가능한 입력 키의 조합은 서로 다른 임의의 입력 키 쌍(pair)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서로 이웃 하지 않는 입력 키들 사이도 조합 입력이 가능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실제 디스플레이 되는 입력 키의 수를 더욱 줄이거나, 및/또는 조합 입력 할 수 있는 입력 값을 더욱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combination input is not limited to being possible between neighboring keys, such as the 'L' input key and the 'N' input key of FIG. The combination of the input keys capable of the combination input can be understood as any arbitrary input key pair. That is, a combination input can be performed between input keys that are not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is embodiment can further reduce the number of input keys actually displayed and / or increase the number of input values .

'K', 'M'와 같이 대응하는 입력 키가 없는 캐릭터들이 도시된 것은 사용자에게 조합 입력을 위한 도움을 주는 것에 불과하고, 'K', 'M' 캐릭터가 디스플레이된 부분은 입력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단순한 이미지에 불과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K', 'M'와 같이 대응하는 입력 키가 없는 캐릭터들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생략하여 화면 구성의 단순성(Simplicity)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The characters having no corresponding input key, such as 'K' and 'M', are shown to aid the user in inputting combinations, while the portion where the characters 'K' and 'M' are displayed performs the input function It is nothing but a simpl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omit characters without corresponding input keys such as 'K' and 'M' by user setting, thereby increasing the simplicity of the screen configuration.

도 2에 도시된 키보드 인터페이스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 응용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하는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제외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됨이 마땅하다.The keyboard interface shown in FIG. 2 is merely an exemplary application for facilit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construed as not being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사용자 제어에 의해 'L' 입력 키(210)가 선택된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L'로 결정하고, 결정된 입력 캐릭터 'L'를 확대하여 풍선뷰(22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풍선뷰(220)에 표시된 입력 캐릭터 'L'를 통해 현재 자신이 입력하고 있는 캐릭터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an example in which 'L' input key 210 is selected by user control is shown.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may determine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to be 'L', enlarge the determined input character 'L', and display the enlarged input character 'L' on the balloon view 220.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character currently input by the input character 'L' displayed in the balloon view 220.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 제어에 의해 'L' 입력 키(211)가 선택되고 이동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제어를 조합 입력으로 판단하고,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M'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입력 캐릭터 'M'을 확대하여 풍선뷰(221)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풍선뷰(221)에 표시된 입력 캐릭터 'M'를 통해 현지 자신이 입력하고 있는 캐릭터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an example in which the 'L' input key 211 is selected and moved by user control is shown.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can judge the user control as the combination input, determine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as 'M', enlarge the determined input character 'M', and display it on the balloon view 221.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character inputted by the local user through the input character 'M' displayed in the balloon view 221.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풍선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balloon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풍선뷰(300)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an example of a balloon view 300 is shown.

풍선뷰(300)는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객체로서, 배경(310), 캐릭터(320), 형태(shape)(330), 사이즈 등 풍선뷰(300)를 결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The balloon view 300 is an object that enlarges and displays an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a user control and is capable of determining a balloon view 300 such as a background 310, a character 320, a shape 330, May be displayed based on one or more parameters.

배경(310)은 풍선뷰(300)에 포함된 캐릭터(320)를 둘러싸고 있는 영역으로서, 단색 또는 특정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ckground 310 is an area surrounding the character 320 included in the balloon view 300, and may include a monochrome image or a specific image.

캐릭터(320)는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예컨대, 문자, 숫자, 부호, 이모티콘 등)를 확대한 것으로, 캐릭터 색, 캐릭터 폰트, 캐릭터 크기 등 캐릭터를 결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다.The character 320 is an enlarged image of an input character (e.g., letter, number, sign, emoticon, etc.)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and is displayed on the basis of one or more parameters that can determine the character, such as character color, character font, .

형태(330)는 풍선뷰(300)의 경계선에 대한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 3에서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모양(예를 들어, 원, 타원형, 다각형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가질 수 있다.The shape 330 indicates the shape of the boundary line of the balloon view 300. In FIG. 3, the shape is shown as a square having rounded corners. However, the shape 33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for example, , Polygons, or combinations thereof).

사이즈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풍선뷰(300)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The size may refer to the size of the balloon view 300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변경된 풍선뷰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ed balloon view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변경된 풍선뷰의 예시들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4, examples of modified balloon views are shown.

제1 풍선뷰(410)는 일정한 단색의 배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풍선뷰(410)가 일정한 단색의 배경을 가짐에 따라 흰색 배경을 가지는 풍선뷰에 비해, 캐릭터의 가독성이 다소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캐릭터의 가독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제1 풍선뷰(410)에 포함된 캐릭터는 흰색 배경을 가지는 풍선퓨의 캐릭터보다 굵게 표시될 수 있다.The first balloon view 410 may have a constant monochrome background. As the first balloon view 410 has a certain monochrome background, the readability of the character may be somewhat lower than the balloon view having a white background. In order to prevent the readability of such a character from deteriorating, the character included in the first balloon view 410 may be displayed in a thicker form than the character of the balloon pew having a white background.

제2 풍선뷰(420)는 배경으로 특정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이미지를 제2 풍선뷰(420)의 배경으로 포함시켜 사용자의 취향을 풍선뷰에 반영함으로써, 변경된 풍선뷰가 표시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2 풍선뷰(420)에 포함된 캐릭터의 가독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캐릭터 색, 캐릭터 폰트, 캐릭터 크기 등이 조절되어 표시될 수 있다. The second balloon view 420 may include a particular image as a background. The user's taste can be reflected in the balloon view by including a specific image as the background of the second balloon view 420, thereby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using the keyboard interface in which the changed balloon view is displayed. In this case, the character color, the character font, the character size, and the like can be adjusted and displayed so that the readability of the character included in the second balloon view 420 is not degraded.

제3 풍선뷰(430)는 배경으로 다른 특정 이미지를 포함하고, 배경으로 이용된 이미지에 따라 풍선뷰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제3 풍선뷰(430)에서는 배경으로 이용된 이미지에 따라 풍선뷰의 형태도 함께 변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을 보다 적극적으로 풍선뷰에 반영시킬 수 있다.The third balloon view 430 may include other specific images as the background, and the shape of the balloon view may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image used as the background. In the third balloon view 430, the shape of the balloon view is also modified according to the image used as the background, so that the user's taste can be more positively reflected in the balloon view.

마찬가지로, 배경으로 이용된 이미지를 고려하여 제3 풍선뷰(430)에 포함된 캐릭터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풍선뷰(430)에서 배경으로 이용된 이미지는 제2 풍선뷰(420)에서 배경으로 이용된 이미지보다 전체적으로 낮은 명도를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제3 풍선뷰(430)에 포함된 캐릭터는 제2 풍선뷰(420)에 포함된 캐릭터보다 높은 명도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풍선뷰의 배경으로 어떠한 이미지가 포함되더라도, 해당 이미지를 고려하여 풍선뷰에 포함된 캐릭터를 표시함으로써 캐릭터에 대한 가독성을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다.Likewise, the character included in the third balloon view 430 may be displayed in consideration of the image used as the background. For example, the image used as the background in the third balloon view 430 may have a lower overall brightness than the image used as the background in the second balloon view 420, The included character may be displayed with a higher brightness than the characters included in the second balloon view 420. [ Accordingly, even if any image is included in the background of the balloon view, the character included in the balloon view can be displayed in consideration of the image, thereby preventing the readability of the character from being deteriorated.

즉, 사용자 단말은 풍선뷰의 배경 색을 고려하여 풍선뷰에 포함된 캐릭터 색을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은 풍선뷰에 포함된 캐릭터 색을 고려하여 풍선뷰의 배경 색을 변경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user terminal can change the character color included in the balloon view in consideration of the background color of the balloon view. 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may change the background color of the balloon view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 color included in the balloon view.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캐릭터의 종류 및 입력되는 사용자 제어에 기초하여 풍선뷰가 변경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balloon view is changed based on the type of character and the user control input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a, 5b, 5c를 참조하면, 사용자 제어에 따라 키보드 인터페이스의 입력 키가 선택되거나 이동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5A, 5B and 5C, an example in which an input key of a keyboard interface is selected or moved according to user control is shown.

도 5a에서, 사용자 제어에 따라 'S' 입력 키가 선택됨으로써,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로 'S'가 결정되고 제1 풍선뷰(51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b에서, 사용자 제어에 따라 'A' 입력 키가 선택된 후 상단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로 '1"가 결정되고 제2 풍선뷰(52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c에서, 사용자 제어에 따라 'P' 입력 키가 선택된 후 하단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로 '+'가 결정되고 제3 풍선뷰(530)에 표시될 수 있다.5A, 'S' input key is selected according to user control, 'S' can be determined as an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and displayed in the first balloon view 510. 5B, '1' is determined as an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and displayed in the second balloon view 520 by moving the 'A' input key after the 'A' input key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 control. 5c, the 'P' input key is selected and moved in the lower direction according to the user control, so that '+' is determined as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and can be displayed in the third balloon view 530.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현재 입력되는 입력 캐릭터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의 종류에 기초하여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입력 캐릭터의 종류는, 문자, 숫자, 부호,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can change and display the balloon view based on the type of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input character currently input by the user. The type of the input charact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etter, a number, a sign, and an emoticon.

제1 풍선뷰(510)에서는 문자 'S'가 표시되고, 제2 풍선뷰(520)에서는 숫자 '1'이 표시되고, 제3 풍선뷰(530)에서는 부호 '+'가 표시되는데, 이 때, 제1 풍선뷰(510), 제2 풍선뷰(520), 제3 풍선뷰(530)는 표시하는 입력 캐릭터의 종류에 따라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The letter 'S' is displayed in the first balloon view 510, the number '1' is displayed in the second balloon view 520, and the sign '+' is displayed in the third balloon view 530. The first balloon view 510, the second balloon view 520, and the third balloon view 530 may be chan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put character to be displayed.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종류의 캐릭터를 표시하는 제1 풍선뷰(510), 제2 풍선뷰(520), 제3 풍선뷰(530)는 서로 다른 배경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1 풍선뷰(510), 제2 풍선뷰(520), 제3 풍선뷰(530)는 캐릭터, 형태,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구분되도록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balloon view 510, the second balloon view 520, and the third balloon view 530 displaying different kinds of characters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backgrounds. Alternatively, the first balloon view 510, the second balloon view 520, and the third balloon view 530 may be displayed so that at least one of the character, the shape, and the size is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사용자 단말은 풍선뷰에 표시되는 입력 캐릭터의 종류에 기초하여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입력하고 있는 입력 캐릭터를 쉽게 인지하고 입력 캐릭터가 오입력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can easily recognize the input character currently input by the user and effectively prevent the input character from being erroneously input by displaying and changing the balloon view based on the type of the input character displayed in the balloon view.

또는,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제어에 의해 입력 키가 선택되거나 이동되는 시간 길이에 기초하여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can change and display the balloon view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based on the length of time that the input key is selected or moved by the user control.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제어에 의해 입력 키가 선택되거나 이동되는 시간 길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에 풍선뷰가 변경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즉, 입력 키가 선택되거나 이동되는 시간 길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 길이를 초과하기 전까지는 풍선뷰가 변경되지 않고 초기 상태 그대로 표시될 수 있다. 시간이 더 지나 입력 키가 선택되거나 이동되는 시간 길이가 미리 정해진 임계 길이를 초과하면, 사용자 단말은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빠른 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balloon view may be changed and displayed when the length of time that the input key is selected or moved by the user control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length. That is, the balloon view can be displayed in its initial state without changing until the length of time that the input key is selected or moved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length. If the time length over which the input key is selected or moved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length, the user terminal may change the balloon view and display it, thereby inducing a quick input to the user.

제1 풍선뷰(510)는 사용자 제어에 의해 'S' 입력 키가 선택되는 시간 길이에 따라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 입력 키가 선택되는 시간 길이가 길어질수록 제1 풍선뷰(510)가 보다 큰 사이즈로 표시되고, 이를 통해 빠른 입력을 유도할 수 있다.The first balloon view 510 may be chan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ime that the 'S' input key is selected by the user's control. For example, as the length of time that the 'S' input key is selected becomes longer, the first balloon view 510 is displayed in a larger size, so that quick input can be induced.

제2 풍선뷰(520)는 사용자 제어에 의해 'A' 입력 키가 이동되는 시간 길이에 따라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A' 입력 키가 이동되는 시간 길이는 사용자 제어에 의해 'A' 입력 키에 대한 선택 및 이동이 유지되는 시간 길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입력 키가 이동되는 시간 길이가 미리 정해진 복수의 임계 길이를 초과할 때마다 제2 풍선뷰(520)의 배경, 캐릭터, 형태,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second balloon view 520 may be chan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ime the 'A' input key is moved by the user's control. At this time, the length of time during which the 'A' input key is moved may include both the length of time the selection and movement of the 'A' input key is maintained by the user control.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background, character, shape, and size of the second balloon view 520 can be changed and displayed whenever the length of time the 'A' input key is moved exceeds a predetermined plurality of threshold lengths have.

또는,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제어에 의해 입력 키가 이동되는 거리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입력하고 있는 입력 캐릭터를 쉽게 인지하고 입력 캐릭터가 오입력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may change the balloon view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and direction in which the input key is moved by the user's control, thereby easily recognizing the input character that the user is currently inputting,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입력 키가 이동되는 거리가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임계 길이를 초과할 때마다 풍선뷰의 배경, 캐릭터, 형태,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background, character, shape, and size of the balloon view can be changed and displayed whenever the distance over which the input key is moved exceeds the predetermined threshold length or more.

입력 키가 이동되는 방향을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대각선 방향 등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풍선뷰의 배경, 캐릭터, 형태,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at least one of the background, character, shape, and size of the balloon view based on the determined moving direction by determin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put key is moved in the up-down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diagonal direction,

예를 들어, 제2 풍선뷰(520)는 사용자 제어에 기초하여 'A' 입력 키가 상단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표시된 객체이고, 제3 풍선뷰(530)는 사용자 제어에 기초하여 'P' 입력 키가 하단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표시된 객체이다. 사용자 단말은 입력 키의 이동 방향이 상단 방향과 하단 방향으로 서로 다른 제2 풍선뷰(520)와 제3 풍선뷰(530)를 배경, 캐릭터, 형태,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도록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balloon view 520 is an object displayed as the 'A' input key is moved in the upper direction based on user control, and the third balloon view 530 is a ' It is the displayed object as the key is moved in the bottom direction. The user terminal changes and displays the second balloon view 520 and the third balloon view 530 in whi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input key is different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lower direction so that at least one of the character, .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풍선뷰가 변경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balloon view is changed based o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600)에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표시하는 풍선뷰(620)가 표시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a balloon view 620 is displayed that displays an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user control while an application is being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600.

사용자 단말(600)은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인터페이스(61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600)은 키보드 인터페이스(610)가 표시된 상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600 may display a keyboard interface 610 for inputting a message to an application being executed. The user terminal 600 can display and change the balloon view based on the application executed while the keyboard interface 610 is displayed.

일례로, 사용자 단말(600)은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판단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기초하여 배경, 캐릭터, 형태,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어플리케이션의 성격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을 나누는 기준으로서, 예를 들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문서편집 어플리케이션, 검색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600 may determine the type of applica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and may display and change at least one of background, character, shape, and size based on the type of application. Here, the type of applic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 messenger application, a document editing application, a search application, or the like as a reference for dividing applications based on the nature of the application.

다른 일례로, 사용자 단말(600)은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식별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600)은 식별된 어플리케이션을 대표하는 색, 로고, 엠블럼,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에 기초하여 풍선뷰의 배경, 캐릭터, 형태,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user terminal 600 can identify the application currently being execut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and display and change the balloon view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identified application. The user terminal 600 may change at least one of the background, character, shape, and size of the balloon view based on a color, a logo, an emblem, an animation character, or the like representing the identified application.

만약 식별된 어플리케이션을 대표하는 색이 노란색인 경우, 사용자 단말(600)은 풍선뷰의 배경을 노란색으로 변경하고, 캐릭터의 가독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노란색의 배경을 고려하여 캐릭터 색을 함께 변경할 수도 있다. 또는, 식별된 어플리케이션을 대표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600)은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대한 이미지로 풍선뷰의 배경을 변경할 수도 있다.If the color representing the identified application is yellow, the user terminal 600 may change the background of the balloon view to yellow and change the color of the character in consideration of the yellow background so that the readability of the character is not deteriorated. Alternatively, if an animation character representing the identified application is set, the user terminal 600 may change the background of the balloon view to an image for the animated character.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풍선뷰가 변경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 balloon view is changed based on the posi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고려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7, an example in which the location of a user terminal is considered is shown.

사용자 단말(700)은 사용자 제어에 의해 입력 키가 선택되거나 이동됨에 따라 풍선뷰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700)은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여 풍선뷰가 표시될 때의 사용자 단말(700)의 위치에 기초하여 풍선뷰의 배경, 캐릭터, 형태,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700 can display the balloon view as the input key is selected or moved by the user's control.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700 may change at least one of the background, character, shape, and size of the balloon view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700 when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

사용자 단말(700)은 사용자 제어에 의해 풍선뷰가 표시되는 위치가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설정된 일정 영역(710)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기초하여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설정된 일정 영역(710)은 특정 지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반경 이내의 범위, 특정 건물의 실내 공간, 미리 지정된 행정 구역(예컨대, 동, 구, 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700 can change and display the balloon view based on the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at which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by the user control is within the predetermined region 710 set around the specific point. The predetermined area 710 set around a specific point can be set in various forms such as a range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from a specific point, an indoor space of a specific building, a predetermined administrative area (e.g., east, have.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700)에 풍선뷰가 표시될 때의 사용자 단말(700)이 집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700)은 현 위치가 집인 것을 고려하여 풍선뷰의 배경, 캐릭터, 형태,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700 is located at home when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700, the user terminal 70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position is a home, At least one of a character, a shape, and a size can be changed and displayed.

또는, 사용자 단말(700)은 사용자 제어에 의해 입력 키가 선택되거나 이동됨에 따라 풍선뷰가 표시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풍선뷰의 배경, 캐릭터, 형태,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700 may change at least one of the background, character, shape, and size of the balloon view based on the time at which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as the input key is selected or moved by the user's control.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700)에 풍선뷰가 표시될 때의 시간이 밤 시간대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700)은 현재 시간이 밤 시간대인 것을 고려하여 풍선뷰의 배경, 캐릭터, 형태,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ime when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700 is the night time zone, the user terminal 700 sets the background, character, and shape of the balloon view , And size of the image can be changed and displayed.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풍선뷰가 표시되는 상태에 기초하여 풍선뷰가 변경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balloon view is changed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a, 8b를 참조하면, 사용자 제어에 따라 풍선뷰가 표시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8A and 8B, an example in which a balloon view is displayed according to user control is shown.

도 8a에서, 사용자 제어에 따라 'S' 입력 키가 선택됨으로써,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로 'S'가 결정되고 제1 풍선뷰(81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8b에서, 사용자 제어에 따라 'I' 입력 키가 선택됨으로써,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로 'I'가 결정되고 제2 풍선뷰(820)에 표시될 수 있다.In FIG. 8A, 'S' input key is selected according to user control, so that 'S' is determined as an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user control and can be displayed in the first balloon view 810. In FIG. 8B, 'I' input key is selected according to user control, so that 'I' can be determined as an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user control and displayed in the second balloon view 820.

제1 풍선뷰(810), 제2 풍선뷰(820)는 사용자 제어에 의해 선택되거나 이동되는 입력 키에 인접하게 표시되고, 예를 들어, 풍선뷰의 하단이 사용자 제어에 의해 선택되거나 이동되는 입력 키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풍선뷰(810), 제2 풍선뷰(820)는 사용자 제어에 의해 선택되거나 이동되는 입력 키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데, 사용자 단말은 풍선뷰가 표시되는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풍선뷰의 배경, 캐릭터, 형태,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first balloon view 810 and the second balloon view 820 are displayed adjacent to an input key selected or moved by the user's control such that the bottom of the balloon view is selected or moved by the user's control May be displayed to be associated with the top of the key. Thus, the first balloon view 810 and the second balloon view 820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input key selected or moved by the user control, The character,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balloon view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image of the balloon.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미리 정해진 이미지를 키보드 인터페이스 전체 영역에 매핑시킨 후, 사용자 제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풍선뷰의 위치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일부를 해당 풍선뷰의 배경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 단말은 제1 풍선뷰(810), 제2 풍선뷰(820)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표시되는 풍선뷰가 서로 다른 배경을 포함하도록 풍선뷰들을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can map a predetermined image to the entire area of the keyboard interface, and then set a part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alloon view displayed based on the user control as the background of the corresponding balloon view. Thus, the user terminal may change the balloon views such that the balloon views displayed at different locations, such as the first balloon view 810 and the second balloon view 820, may include different backgrounds.

또는, 사용자 단말은 풍선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명도 또는 색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풍선뷰의 배경, 캐릭터, 형태,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의 명도가 낮은 경우, 사용자 단말은 풍선뷰의 사이즈를 미리 결정된 크기 값보다 크게 표시함으로써 풍선뷰에 포함된 캐릭터에 대한 가독성이 저하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색조가 짙은 경우, 사용자 단말은 풍선뷰의 배경 색을 디스플레이 화면의 색조에 대응되도록 변경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풍선뷰를 자연스럽게 표시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user terminal may change at least one of the background, character, shape, and size of the balloon view based on at least one of brightness or tint of the display screen displaying the balloon view. For example, when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screen is low, the user terminal can display the size of the balloon view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value, thereby preventing the readability of the character included in the balloon view from deteriorating. Alternatively, when the color tone of the display screen is high, the user terminal can naturally display the balloon view displayed on the display by changing the background color of the balloon view to correspond to the color tone of the display screen.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is illustrated. A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erformed by a processor of a user terminal.

단계(910)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여기서, 키보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터치 또는 드래그 등 사용자 제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캐릭터를 특정할 수 있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디폴트 키보드 인터페이스,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부가 키보드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At step 910, the user terminal displays the keyboard interface used at the user terminal. Here, the keyboard interface is a keyboard interface capable of specifying a character input based on user control such as touch or drag input from a user. The keyboard interface includes, for example, a default keyboard interface fundamentally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An additional keyboard interface provided additionally by the application, and the like.

단계(920)에서, 사용자 단말은 키보드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입력 키에 대한 사용자 제어를 감지한다. 사용자 제어는 입력 키를 선택하거나 이동시키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At step 920, the user terminal senses user control of the input keys contained in the keyboard interface. User control may mean an input that selects or moves an input key.

단계(930)에서, 사용자 제어에 의해 입력 키가 선택되거나 이동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풍선뷰를 표시한다. 여기서, 풍선뷰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풍선뷰의 배경, 풍선뷰에 포함된 캐릭터, 풍선뷰의 형태,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어 표시된다.In step 930, when an input key is selected or moved by user control, the user terminal displays a balloon view that enlarges and displays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Here,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by changing at least one of the background of the balloon view, the character included in the balloon view, the shape and size of the balloon view, and the size based on the data downloaded from the server providing the keyboard interface.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의 종류, 사용자 제어에 의해 입력 키가 선택되거나 또는 이동되는 시간 길이, 사용자 제어에 의해 입력 키가 이동하는 거리 및 방향, 키보드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여 풍선뷰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풍선뷰가 표시되는 시간, 풍선뷰의 배경 색 또는 풍선뷰에 포함된 캐릭터 색, 풍선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명도 및 색조, 풍선뷰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type of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the length of time the input key is selected or moved by user control, the distance and direction in which the input key moves by user control, , The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displaying the balloon view in response to user control, the time at which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the background color of the balloon view or the character color contained in the balloon view, the brightness and hue of the display screen displaying the balloon view, The balloon view can be changed and display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ositions at which the view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는 풍선뷰가 표시되는 상태에 기초하여 각기 다른 풍선뷰가 표시될 수 있도록 복수의 풍선뷰를 하나의 풍선뷰 세트로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풍선뷰를 하나의 풍선뷰 세트로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음으로써, 디스플레이에 풍선뷰가 표시되는 상태에 기초하여 각기 다른 풍선뷰를 표시할 수 있다.Data downloaded from the serv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lloon views as a single set of balloon views so that different balloon views may be displaye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balloon views are displayed. Thus, the user terminal can display different balloon views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on the display by downloading the data including the plurality of balloon views as one balloon view set from the server.

여기서, 풍선뷰가 표시되는 상태는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의 종류, 사용자 제어에 의해 입력 키가 선택되거나 또는 이동되는 시간 길이, 사용자 제어에 의해 입력 키가 이동하는 거리 및 방향, 키보드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여 풍선뷰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풍선뷰가 표시되는 시간, 풍선뷰의 배경 색 또는 풍선뷰에 포함된 캐릭터 색, 풍선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명도 및 색조, 풍선뷰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ate in which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includes a type of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a length of time in which the input key is selected or moved by the user control, a distance and direction in which the input key moves by the user control, A display screen displaying an application executed in a displayed state, a position of a user terminal displaying a balloon view corresponding to user control, a time at which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a background color of the balloon view, or a character color included in the balloon view The brightness and hue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location where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또한, 서버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엔터티(entity)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 추가적인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온라인 스토어,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개발한 회사에서 관리하는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is an entity that provides a keyboard interface. For example, the server is an application online store that can download a keyboard application that provides an additional keyboard interface to a user terminal, a server that is managed by a company that developed a keyboard interface, etc. . ≪ / RTI >

도 9에 도시된 각 단계들에는 도 1 내지 도 8를 통하여 전술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ep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are applied to each step shown in FIG. 9 as it is,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0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is illustrated. A method of providing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erformed by a processor of a user terminal.

단계(1010)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제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풍선뷰를 변경한다. 여기서, 사용자 제어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키보드 인터페이스의 입력 키를 선택하거나 이동시키는 컨트롤이다. 풍선뷰는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객체이다.At step 1010, the user terminal changes the displayed balloon view based on user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Here, the user control is a control for selecting or moving the input key of the keyboard interfac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The balloon view is an object that enlarges and displays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풍선뷰의 배경, 풍선뷰에 포함된 캐릭터, 풍선뷰의 형태(shape),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한다.The user terminal changes at least one of the background of the balloon view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character, the balloon view included in the balloon view.

단계(1020)에서, 사용자 단말은 변경된 풍선뷰를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등록한다. 사용자 단말은 변경된 풍선뷰를 서버에 등록함으로써, 풍선뷰를 변경하고자 하는 다른 단말로 등록한 풍선뷰를 판매할 수 있다.At step 1020, the user terminal registers the changed balloon view with the server providing the keyboard interface. The user terminal can sell a balloon view registered with another terminal to change the balloon view by registering the changed balloon view in the server.

풍선뷰를 변경하고자 하는 다른 단말은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등록된 풍선뷰를 다운로드 받아 풍선뷰를 간단히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단말로 다운로드되는 풍선뷰에 대한 데이터에는 하나의 풍선뷰만이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풍선뷰가 표시되는 상태에 기초하여 각기 다른 풍선뷰가 표시될 수 있도록 복수의 풍선뷰를 하나의 풍선뷰 세트로 포함할 수도 있다.Other terminals that want to change the balloon view can download the balloon view registered in the server providing the keyboard interface and can easily change the balloon view. At this time, the data for the balloon view downloaded to the other terminal may include only one balloon view, or the plurality of balloon views may be displayed as one balloon view so that different balloon views may be displaye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It can also be included as a view set.

도 10에 도시된 각 단계들에는 도 1 내지 도 9를 통하여 전술한 사항들이 적용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teps described in FIG. 1 through FIG. 9 are applied to the respective steps shown in FIG. 10,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0)은 디스플레이(1110), 프로세서(1120), 메모리(1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a user terminal 1100 includes a display 1110, a processor 1120, and a memory 1130.

디스플레이(111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Display 1110 is a device for display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which represents a keyboard interf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프로세서(1120)는 디스플레이(1110)에 표시된 키보드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제어를 감지하고, 디스플레이(1110)에 표시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Processor 1120 senses user control of the keyboard interface displayed on display 1110 and controls the keyboard interface displayed on display 1110.

프로세서(1120)는 별도의 터치 센서를 통해 디스플레이(1110)에 표시된 키보드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제어를 감지하거나 또는 터치 패널이 포함된 디스플레이(1110)를 통해 사용자 제어를 감지할 수도 있다.The processor 1120 may sense user control of the keyboard interface displayed on the display 1110 via a separate touch sensor or may sense user control via the display 1110 including the touch panel.

프로세서(1120)는 키보드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입력 키에 대한 사용자 제어를 감지하고, 사용자 제어에 의해 입력 키가 선택되거나 이동되는 경우,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풍선뷰를 표시한다. 이 때, 프로세서(1120)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풍선뷰의 배경, 풍선뷰에 포함된 캐릭터, 풍선뷰의 형태(shape),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20 senses the user control of the input key included in the keyboard interface and displays an enlarged balloon view for displaying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when the input key is selected or moved by the user control . At this time, the processor 1120 changes at least one of the background of the balloon view, the shape and the size of the character included in the balloon view, the size of the balloon view, and the like, based on the data downloaded from the server providing the keyboard interface .

메모리(1130)는 프로세서(1120)에 의해 실행될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30)는 풍선뷰를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130 may store instructions to be executed by the processor 1120. In addition, the memory 1130 may store data for changing the balloon view.

도 11에 도시된 세부 구성요소들에는 도 1 내지 도 10을 통하여 전술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etails of the detailed components shown in FIG. 11 are appli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a computer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such as an array,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 the for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appli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Claims (12)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입력 키에 대한 사용자 제어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제어에 의해 상기 입력 키가 선택되거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풍선뷰는,
상기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풍선뷰의 배경, 상기 풍선뷰에 포함된 캐릭터, 상기 풍선뷰의 형태(shape),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어 표시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 keyboard interface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Displaying a keyboard interface used in the user terminal;
Sensing user control of an input key included in the keyboard interface; And
Displaying the balloon view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when the input key is selected or moved by the user control
Lt; / RTI >
In the balloon view,
Wherein at least one of a background of the balloon view, a character included in the balloon view, a shape and a size of the balloon view is changed and displayed based on data downloaded from a server providing the keyboard interface 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하고,
상기 입력 캐릭터의 종류는, 문자, 숫자, 부호,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balloon view comprises:
The balloon view is changed and displayed based on the type of the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Wherein the type of the input charact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character, a number, a sign, and an emotic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제어에 의해 상기 입력 키가 선택되거나 또는 이동되는 시간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balloon view comprises:
Wherein the balloon view is changed and displayed based on a time length in which the input key is selected or moved by the user contr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제어에 의해 상기 입력 키가 이동하는 거리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balloon view comprises:
And changing the balloon view based on at least one of a distance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input key moves by the user contr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키보드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balloon view comprises:
And changing and displaying the balloon view based on an application executed when the keyboard interface is display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상기 풍선뷰가 표시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balloon view comprises:
Changes the balloon view based on at least one of a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displaying the balloon view and a time at which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풍선뷰의 배경 색에 기초하여 풍선뷰에 포함된 캐릭터 색을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풍선뷰에 포함된 캐릭터 색에 기초하여 풍선뷰의 배경 색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balloon view comprises:
Changing the color of the character included in the balloon view based on the background color of the balloon view, or changing the background color of the balloon view based on the character color included in the balloon vie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명도 및 색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풍선뷰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balloon view comprises:
And changing and displaying the balloon view based on at least one of a brightness and a tint of a display screen displaying the balloon vie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뷰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풍선뷰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풍선뷰의 배경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balloon view comprises:
And changing the background of the balloon view based on a position at which the balloon view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는,
상기 풍선뷰가 표시되는 상태에 기초하여 각기 다른 풍선뷰가 표시될 수 있도록 복수의 풍선뷰를 하나의 풍선뷰 세트로 포함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downloaded from the server is,
Wherein the plurality of balloon views are included as one balloon view set such that different balloon views can be displaye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balloon views are displayed.
사용자 단말이 수행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제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풍선뷰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풍선뷰를 상기 키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제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키보드 인터페이스의 입력 키를 선택하거나 이동시키는 컨트롤이고,
상기 풍선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는 입력 캐릭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풍선뷰의 배경, 상기 풍선뷰에 포함된 캐릭터, 상기 풍선뷰의 형태(shape),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A keyboard interface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a user terminal,
Changing a balloon view displayed based on user control of the user terminal; And
Registering the changed balloon view with a server providing the keyboard interface
Lt; / RTI >
Wherein the user control is a control for selecting or moving an input key of a keyboard interfac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Wherein changing the balloon view comprises:
Wherein at least one of a background of a balloon view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an input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user control, a character included in the balloon view, a shape and a size of the balloon view is changed.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제1항 내지 제11항의 방법을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에 내장된 매치 또는 삽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13. An application, comprising: a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1 performed by a processor of a user terminal, wherein the application is stored in a matched or embeddable medium embedded in the user terminal.
KR1020160066778A 2016-05-30 2016-05-30 Keyboard interface providing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hanged bubble view KR201701352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78A KR20170135223A (en) 2016-05-30 2016-05-30 Keyboard interface providing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hanged bubble vie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78A KR20170135223A (en) 2016-05-30 2016-05-30 Keyboard interface providing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hanged bubble vie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223A true KR20170135223A (en) 2017-12-08

Family

ID=6091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778A KR20170135223A (en) 2016-05-30 2016-05-30 Keyboard interface providing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hanged bubble vie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522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353A (en) * 2020-05-25 2021-04-09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Virtual keyboard display method, virtual keyboard and displa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353A (en) * 2020-05-25 2021-04-09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Virtual keyboard display method, virtual keyboard and display device
US11635892B2 (en) 2020-05-25 2023-04-25 Beijing Baidu Netcom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virtual keyboard, virtual keyboard and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96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extures in graphical user interface widgets
US10698564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9678659B2 (en) Text entry for a touch screen
EP2406705B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extures in graphical user interface widgets
US20140235222A1 (en) System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ultiple personas on mobile technology platforms
US20240143165A1 (en) Content control system
EP2228708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3627299A1 (en) Control circuitry and method
JP2011216094A (en) Touch screen device and input processing method
US201400494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Based Two-Stage Text Input
US20120200503A1 (en) Sizeable virtual keyboard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US10628036B2 (en) Keyboard customization
KR20150021964A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KR101665223B1 (en) Display contro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EP1938177A1 (en) Improved text entry into electronic devices
KR20140073245A (en) Method for inputting back surfa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602036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diting map acquired from server
US20170003874A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keypad and keypad displaying method thereof
Pollmann et al. HoverZoom: making on-screen keyboards more accessible
US1024166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being operated by multi-touch
KR20170135223A (en) Keyboard interface providing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changed bubble view
US11360664B2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software keyboard without overlap with plural field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display control program stored thereon
US201402233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floating keys in a portable device
US20150015501A1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KR20180039569A (en) Keyboard interface providing method and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