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213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213A
KR20170135213A KR1020160066759A KR20160066759A KR20170135213A KR 20170135213 A KR20170135213 A KR 20170135213A KR 1020160066759 A KR1020160066759 A KR 1020160066759A KR 20160066759 A KR20160066759 A KR 20160066759A KR 20170135213 A KR20170135213 A KR 20170135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water supply
water
partition wall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홍
최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6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5213A/ko
Publication of KR20170135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06F2202/08
    • D06F2204/0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급수원에 연결된 공급부; 상기 캐비닛 및 상기 드로워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더; 상기 공급부에서 상기 수용부로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더에 구비된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의 일정 구간을 형성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제1유로 유입구; 상기 제1유로에서 배출되는 제1유로 배출구; 상기 제1유로 유입구 및 상기 제1유로 배출구를 연통하는 제1급수공간과, 상기 제1급수공간과 분리된 제1급수예비공간으로 상기 제1유로를 구획하는 제1급수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 세탁물을 건조하는 장치, 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세탁물을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서 투입하는 프론트 로딩 방식(일명 드럼 세탁기)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해 구비된 투입구가 사용자의 허리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세탁물을 의류처리장치에 투입하거나 의류처리장치에서 세탁물을 인출할 때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고자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프론트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받침대를 추가하여 투입구의 높이를 높인 것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받침대는 의류처리장치의 투입구를 높이기 위한 수단일 뿐 세탁물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로 세탁수를 급수하거나 배수하는 것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더의 동파를 방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급수원에 연결된 공급부; 상기 캐비닛 및 상기 드로워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더; 상기 공급부에서 상기 수용부로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더에 구비된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의 일정 구간을 형성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제1유로 유입구; 상기 제1유로에서 세탁수가 배출되는 제1유로 배출구; 상기 제1유로 유입구 및 상기 제1유로 배출구를 연통하는 제1급수공간과, 상기 제1급수공간과 분리된 제1급수예비공간으로 상기 제1유로를 구획하는 제1급수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급수공간과 분리되고, 상기 제1급수예비공간과도 분리된 제2급수예비공간으로 상기 제1유로를 구획하는 제2급수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격벽의 두께는 상기 제1유로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출유로; 상기 배출유로의 일정 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더에 구비된 제2유로; 상기 제2유로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제2유로 유입구; 상기 제2유로에서 세탁수가 배출되는 제2유로 배출구; 상기 제2유로 유입구 및 상기 제2유로 배출구를 연통하는 제1배수공간과, 상기 제1배수공간과 분리된 제1배수예비공간으로 상기 제2유로를 구획하는 제1배수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배수공간과 분리되고, 상기 제1배수예비공간과도 분리된 제2배수예비공간으로 상기 제2유로를 구획하는 제2배수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격벽의 두께는 상기 제2유로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는 하나의 격벽 사이에 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급수격벽 또는 상기 제2배수격벽의 두께는 상기 격벽의 두께 보다 얇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더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드로워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바디와 상기 드로워를 연결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바디에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 및 제1급수격벽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유로 및 제1배수격벽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더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드로워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바디와 상기 드로워를 연결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유로가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열융착되어 상기 제1유로를 밀폐시키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급수격벽은 상기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커버에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 가능한 별도의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로 세탁수를 급수하거나 배수하는 것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더의 동파를 방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드로워, 터브 및 도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가이더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드로워가 캐비닛에 인입된 상태에서 가이더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베이스의 상부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8B는 제1바디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드로워가 캐비닛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가이더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세탁물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제1처리장치(T), 상기 제1처리장치(T)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의 세탁이나 건조와 같은 의류처리 기능을 구현하는 제2처리장치(L)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2처리장치(L)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제1처리장치(T) 및 제2처리장치(L)가 모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T)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처리장치 캐비닛(1), 상기 제1처리장치 캐비닛(1)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1처리장치 터브(미도시), 상기 제1처리장치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이 저장되는 제1처리장치 드럼(미도시), 상기 제1처리장치 터브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1처리장치 급수부(미도시), 상기 제1처리장치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제1처리장치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처리장치 배수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장치 캐비닛(1)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제1처리장치 투입구(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제1처리장치 투입구는 제1처리장치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처리장치 도어(11)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상기 제1처리장치 터브에는 상기 제1처리장치 투입구에 연통하는 제1처리장치 터브 투입구가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1처리장치 도어(11)의 개방 시 세탁물을 제1처리장치 드럼에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장치(T)가 세탁물의 건조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1처리장치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제1처리장치 터브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열풍공급장치(미도시)는 제1처리장치 터브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비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 내부에 구비되어 제1처리장치 터브에서 배출된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을 위한 열교환부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열풍공급장치(미도시)는 제1처리장치 터브 내부의 공기를 제1처리장치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덕트, 제1처리장치 캐비닛(1) 외부의 공기를 제1처리장치 터브로 공급하는 공급덕트, 상기 공급덕트에 구비되는 열교환부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달리 제1처리장치(T)가 세탁물의 건조만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면, 제1처리장치(T)는 제1처리장치 터브가 불필요한 대신 열풍공급장치는 제1처리장치 캐비닛 내부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제2처리장치(L)는 제1처리장치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캐비닛(2), 상기 캐비닛(2)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3),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물의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4, 5)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2)은 제2처리장치(L)의 외관을 형성하는데, 제1처리장치 캐비닛(1)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2처리장치에 구비된 캐비닛(2)은 제1처리장치 캐비닛(1)의 상부면이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제2처리장치(L)가 제1처리장치(T)의 하부에 구비되면 제1처리장치 도어(11)의 높이가 높아지므로 사용자가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인출할 때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상기 캐비닛(2)에는 개방면(21)이 구비되는데, 상기 드로워(3)는 개방면(21)을 통해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L)가 제1처리장치(T)의 하부면에 구비될 경우, 상기 개방면(21)은 제1처리장치 도어(11)가 위치된 방향(제1처리장치의 전방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3)는 상부면이 개방된 드로워 바디(31), 상기 드로워 바디의 개방된 상부면에 구비되는 드로워 커버(35)를 포함한다.
상기 드로워 바디(31)는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커버(35)는 드로워 바디(3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드로워 바디(31)에 고정된다.
상기 드로워 바디(31)의 전방면에는 드로워 패널(33)이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에는 핸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핸들을 통해 캐비닛(2)에 삽입된 드로워 바디(31)를 캐비닛(2)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패널(33)에는 제2처리장치(L)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331)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331)은 상기 수용부(4, 5)에 세탁수를 급배수하기 위한 수단, 의류를 회전시키는 수단, 의류에 스팀이나 열풍을 공급하는 수단 등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331)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명령의 확인,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수단도 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커버(35)에는 상기 드로워 커버(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로워 바디(31) 내부를 드로워 바디(31)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353), 상기 드로워 커버(3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수용공간(4, 5)으로 세탁수를 안내하는 급수구(3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부(4, 5)는 상기 드로워 바디(31)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4),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5)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4)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되 상부면이 개방된 형상의 터브 바디(41) 및 상기 터브 바디(41)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터브 커버(43)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럼(5)은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5)은 상기 터브 바디(41)의 외부에 구비된 구동부에 의해 터브 바디(41)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는데, 상기 구동부는 터브 바디(41)에 고정되어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스테이터(M1),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M2), 터브 바디(4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럼(5)과 로터(M2)를 연결하는 구동축(M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5)의 외주면에는 드럼(5)의 내부를 터브 바디(41) 내부와 연통시키는 드럼관통홀(51)이 구비된다.
상기 터브 커버(43)는 상기 터브 바디(41)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커버 바디(431), 상기 커버 바디(4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353)와 상기 드럼(5)을 연통시키는 터브 투입구(435)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 투입구(435)에는 상기 커버 바디(43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49)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49)는 힌지(미도시)를 통해 상기 커버 바디(431)에 결합되는데, 투입구(353)는 터브 투입구(435)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도어(49) 및 상기 터브 투입구(435)의 크기는 상기 투입구(353)의 크기보다 작게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브 투입구(435)가 드로워 커버(35)의 하부에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어(49)를 통해 터브 투입구(435)를 개폐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49)의 외주면은 상기 투입구(353)의 내주면과 소정거리(X1, X2)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기하공차(geometric tolerance)나 위치공차(positional tolerance)에 의해 상기 도어(49)가 투입구(353)에 간섭되어 터브 투입구(435)를 개방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어(49)의 외주면이 투입구(353)의 내주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면, 터브의 진동 시 도어가 파손되는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49)에는 상기 도어(49)를 드로워 커버(35) 또는 커버 바디(43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도어핸들(493)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49)에는 상기 터브 투입구(435)를 통해 세탁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495)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급수유로를 통해 세탁수를 상기 터브 바디(41) 내부로 공급하고, 배수유로를 통해 터브 바디(41) 내부의 세탁수를 캐비닛(2)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상기 배수유로는 드로워(3)에 고정된 배출부(F, 도 4)와 배면패널(23)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급수유로는 공급부(S, 도 5)를 통해 캐비닛(2)의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과 드로워(3)에 구비된 급수구(355)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유로와 배수유로가 단순히 공급부(S)와 급수구(355)를 연결하는 관, 배출부(F)와 배면패널(23)을 연결하는 관으로 각각 구비된다면,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거나 캐비닛(2)으로 삽입될 때 급수유로나 배수유로가 꼬이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2) 내부에 구비되어 급수유로나 배수유로의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급수유로 및 배수유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더(6)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공급부(S)와 배출부(F)를 먼저 설명한 뒤 가이더(6)의 구조, 급수유로 및 배수유로에 대해 살펴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F)는 드로워 바디(31)에 고정되는 펌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드로워 바디(31)에 고정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F1),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F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F1)은 하우징 유입부(F3)를 통해 터브 바디(41)에 연결되며, 하우징 제1배출부(F4)를 통해 배수유로에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F2)에 의해 임펠러가 하우징(F1) 내부에서 회전하면, 터브 바디(41)에 저장된 세탁수는 하우징 유입부(F3)를 통해 하우징(F1)으로 유입된 뒤 하우징 제1배출부(F4)를 통해 배수유로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S)는 제1급수원에 연결되는 제1밸브(V1), 제1급수원이 공급하는 세탁수의 온도와 다른 온도의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2급수원에 연결된 제2밸브(V2)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캐비닛(2)의 외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원이 하나만 존재할 경우 본 발명에 구비되는 공급부(S)는 하나의 밸브만으로 구비될 것이다.
본 발명에 구비되는 가이더(6)는 캐비닛(2) 내부에 고정되는 지지부(61), 상기 지지부(6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바디(63), 상기 제1바디(63)와 드로워 커버(35)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제2바디(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1)는 캐비닛(2)에 고정되는 지지바디(611), 상기 지지바디(611)에 구비되어 배면패널(23)을 관통하는 배출관(615), 상기 제1바디(63)가 지지되는 축서포터(6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611)는 캐비닛의 배면패널(23)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온도의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원에 연결되는 제1밸브(V1) 및 제2온도의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2급수원에 연결된 제2밸브(V2)는 지지바디(611)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615)은 후술할 배수유로로 유입된 세탁수를 캐비닛(2)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인데, 상기 축서포터(613)는 상기 배출관(615)의 외주면에 고정(도 6 참고)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지지부(61)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63)는 공급부(S)에 연결되는 제1유로(71, 바디 급수관) 및 배출부(F)에 연결되는 제2유로(81, 바디 배수관)가 형성되는 베이스(631), 상기 베이스(631)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1유로(71) 및 제2유로(81)를 밀폐시키는 커버(635), 상기 베이스(631)를 상기 축서포터(61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제1축(637)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유로(71)와 제2유로(81)는 베이스(631)에 구비된 격벽(633)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유로를 형성하는데, 상기 베이스(631)와 커버(635)는 열융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제1유로(71)와 제2유로(81) 내부의 유체가 제1바디(63)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유로(71)는 제1밸브(V1)에 의해 개폐되는 제1연결관(73)에 연통하는 제1유입구(632)와 제2밸브(V2)에 의해 개폐되는 제2연결관(75)에 연통하는 제2유입구(63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유로(71)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는 제1유로 배출구(636)를 통해 급수관(77)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급수유로는 제1바디(63) 내부에 구비된 제1유로(71), 제1유로(71)와 각 급수원을 연결하되 밸브(V1, V2)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연결관(73, 75), 상기 제1유로 배출구(636)와 급수구(355)를 연결하되 상기 제2바디(65)에 의해 지지되는 급수관(77)으로 구비된다.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세탁수는 밸브(V1, V2)에 의해 개방된 연결관(73, 75)을 통해 제1유로(71)로 유입되며, 제1유로(71) 내부의 세탁수는 제1유로 배출구(636) 및 급수관(77)을 통해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된 급수구(355)에 공급된다. 상기 급수관(77)은 고정부(771)를 통해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된 급수구(355)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유로(81)에는 제2유로 유입구(638) 및 제2유로 배출구(639)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유로 유입구(638)와 상기 하우징 제1배출부(F4)는 제1배수관(83)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유로 배출구(639)와 상기 배출관(615)은 제2배수관(8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구비된 배수유로는 제1바디(63) 내부에 구비된 제2유로(81), 제2유로(81)를 하우징(F1)에 연결하는 제1배수관(83), 상기 제2유로(81)를 배출관(615)에 연결하는 제2배수관(85)으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더(6)에 구비되는 제2바디(65)는 제2축(651)을 통해 제1바디(6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3축(653)을 통해 드로워 커버(3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바디(65)에는 급수관(77)이 수용되는 공간(655,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1플랜지(656)와 제2플랜지(657)가 구비된다.
상기 제1플랜지(656)는 상기 제2바디(65)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제2바디(65)의 측면에서 캐비닛(2)의 상부면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2플랜지(657)는 상기 제2바디(65)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플랜지(656)와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플랜지(656)와 제2플랜지(65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급수관(77)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급수관(77)을 수용공간(655) 내부에 고정시키는 급수관 착탈부(659)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61)에 구비된 배출관(615)에는 배수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를 옥외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출관(615)과 하수구를 연결하는 하수관(F7)이 구비되므로 배출부의 모터(F2)가 작동하면 터브 바디(41) 내부의 세탁수가 사이펀(Siphon) 현상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부(F)에 구비된 모터(F2)가 작동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터브 바디(41)로 공급된 세탁수가 배수유로를 통해 터브 바디(41)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배출관(615)은 터브 바디(41)에 저장 가능한 세탁수의 최고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야 한다.
이 경우, 배수유로를 형성하는 제1배수관(83)은 제2유로(81)가 구비된 가이더(6)의 하부에서 상기 가이더(6)를 향해 연장되고, 배출부(F)의 모터(F2)가 임펠러의 작동을 중단시키면 배수유로에는 연통관(79)을 통해 터브 바디(41)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사이펀 현상이 차단되므로, 연통관(79)이 제1배수관(83)에 결합되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세탁수들은 제1배수관(83)에 잔류하게 될 것이다.
제1배수관(83)에 세탁수가 잔류하게 되면, 배수유로를 통해 하수구의 악취가 터브 바디(4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효과가 있지만 겨울에 제1배수관(83)이 동파될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제1배수관(83) 내부의 세탁수조차 배수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는 잔수배출부(9)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되는 잔수배출부(9)는 배출부(F)의 하우징(F1)에 연통하되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된 때 캐비닛(2)의 외부에 노출되는 잔수배수관(9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잔수배수관(91)의 고정단은 하우징 제2배출부(F5)를 통해 하우징(F1)에 연통하고, 잔수배수관(91)의 자유단은 상기 드로워 바디(3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잔수배수관(91)의 자유단에는 잔수배수관(91)을 개폐하는 배수관 개폐부(911)가 구비된다.
한편, 잔수배수관(91)의 자유단을 드로워 바디(3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잔수배출부(9)는 드로워 바디(31)에 구비되는 배수관 착탈부(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 착탈부(93)는 드로워 바디(31)에 구비되되 드로워 패널(33)의 후방에 인접한 위치(개방면(21)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다.
즉, 배수관 착탈부(93)는 상기 드로워 바디(31)에 고정되어 드로워 패널(33)의 배면과 투입구(353) 사이의 위치되는 고정바디(931), 상기 고정바디(9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바디 관통홀(933), 상기 고정바디 관통홀(933)이 고정바디(931)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고정바디(931)가 절개되어 구비되는 출입구(93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 관통홀(933)의 지름은 상기 잔수배수관(91)의 지름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935)의 너비는 상기 잔수배수관(91)의 지름보다 작게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출입구(935)를 통해 잔수배수관(91)을 상기 고정바디 관통홀(933)에 삽입시키거나 상기 고정바디 관통홀(933)에서 고정바디(931)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한편,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될 때 잔수배수관(91)이 캐비닛(2) 내부에서 엉키거나 캐비닛(2) 내부에 구비된 장치들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드로워 바디(31)에는 잔수배수관(91)이 캐비닛(2)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수관 지지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은 배수관 지지부(313)가 드로워 바디(31)의 하부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잔수배수관(91)을 통해 제1배수관(83) 및 하우징(F1)에 잔류하는 세탁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1배수관(83)은 배출부(F)의 하우징(F1)에 가까워질수록 드로워 바디(31)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1배수관(83)까지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배수관(83)은 배출부의 하우징(F1)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하우징 제1배출부(F4)에 연결되는 제1배수관(83)의 일부 영역이 하우징 제1배출부(F4)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하우징 제1배출부(F4)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배수관(83)을 드로워 바디(31)에 고정시키는 배수관 고정부(95)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배수관(83)에 의해 구현되는 효과는 상기 하우징 제1배출부(F4)가 드로워 바디(31)의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도 구현된다.
한편, 상기 가이더(6)에 구비된 제1바디(63)의 단면은 도 7에 도시된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7은 드로워(3)의 후방면 상부에 위치하는 제1바디(63)의 단면이 상기 드로워(3)의 후방면 상단 모서리를 수용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캐비닛(2)의 부피는 최소화하면서 드로워(3)의 부피는 최대화 가능하다.
상기 제1유로(71)는 상기 드로워(3)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드로워 커버, 35)에 평행하고, 상기 제2유로(81)는 상기 드로워(3)의 후방에 구비되어 드로워(3)의 후방면에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자중이나 외력(드로워의 진동 등)에 의해 제1바디(63)에 처짐이 발생하면, 상기 제1바디(63)의 영역 중 제1유로(71)가 구비된 영역은 상기 드로워의 상부면(35)에 지지 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제1바디(63)의 단면 형상은 가이더(6)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드로워(3)가 캐비닛(2)에 삽입된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제1바디(63)의 영역 중 제2유로(81)가 구비된 영역은 제1바디(63)가 드로워(3)를 향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술한 제1바디(63)의 단면 형상은 외력(드로워의 진동 등)에 의해 제1바디(63)가 설정된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터브(4)로 열풍을 공급하여 드럼(5)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을 건조하는 열풍공급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제1처리장치(T)에 구비될 수도 있고, 제2처리장치(L)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세탁이 완료된 후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로(71) 및 제2유로(81)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고여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잔수는 외부 온도가 내려간 경우에 얼 수 있고, 이는 제1유로(71) 및 제2유로(81)를 포함하는 제1바디(63)를 동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유로(71) 및 제2유로(81)를 형성하는 베이스(631)와, 제1유로(71)와 제2유로(81) 사이를 구획하기 위하여 베이스(631)에 구비된 격벽(633)과,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밀폐하는 커버(635)는 열융착으로 결합된다.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형성하는 베이스(631), 격벽(633), 커버(635)는 온도에 변화에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격벽, 커버를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제1유로 및 제2유로 내부의 잔수가 얼음으로 상변화하면서 부피가 커지면, 제1유로 및 제2유로의 내부 부피는 변하지 않으므로, 베이스(631)과 커버(635) 사이 또는 격벽(633)과 커버(635) 사이의 열융착 부분이 파손되면서 물이 제1유로(71) 또는 제2유로(81)의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1유로(71)를 구획하는 급수격벽 또는 제2유로(81)를 구획하는 배수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8을 참고하여 제1유로(71)를 구획하는 급수격벽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급수격벽은 제1유로 유입구(6321) 및 제1유로 배출구(636)를 연통하는 제1급수공간(6411)과, 제1급수공간(6411)과 분리되는 제1급수예비공간(6413)으로 제1유로를 구획하는 제1급수격벽(6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7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급수유로의 일정 구간을 형성하며, 급수유로는 가이더(6)에 구비되어 공급부(S)에서 수용부(4, 5)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유로를 말한다.
한편, 세탁수는 제1유로 유입구(6321)를 통해서 제1유로(71)로 유입되며, 제1유로(71)의 끝단에 구비된다. 제1유로 유입구(6321)는 본 발명에서 제1유입구(632) 및 제2유입구(634)가 모두 구비된 경우에는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를 포함하는 구조이며, 본 발명에서 제1유입구(632) 및 제2유입구(634)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된 경우에는 제1유입구(632) 및 제2유입구(634)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하는 구조이다.
세탁수는 제1유로 배출구(636)를 통해서 제1유로(71)에서 배출되며, 제1유로(71)의 다른 끝단에 구비된다.
제1급수공간(6411)은 제1유로 유입구(6321)와 제1유로 배출구(636) 사이를 연통하며, 제1유로(71) 내부에 구비된 공간이다. 즉, 공급부(S)에서 수용부(4, 5)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제1급수공간(6411)을 통해서 이동한다.
제1급수예비공간(6413)은 제1유로(71) 내부에서 비어 있는 공간이다. 다만, 외부 온도가 내려가 제1급수공간(6411) 내부에 고인 물이 얼어서 제1급수격벽(641)을 파손하는 경우에 제1급수공간(6411)에 일시적으로 고인 물은 제1급수예비공간(6413)으로 흘러들어 간다.
즉, 제1급수격벽(641)은 제1유로(71)를 이루는 베이스(631), 격벽(633), 커버(635)가 물의 동결로 파손되는 것을 1차적을 방지하는 동파방지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은 제1급수공간(6411)과 분리되고, 제1급수예비공간(6413)과도 분리되는 제2급수예비공간(6431)으로 제1유로(71)를 구획하는 제2급수격벽(6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용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1급수공간(6411)을 통해서 물이 이동하며, 제1급수공간(6411) 내부에 고인이 물이 동결되어 부피가 늘어나는 경우에 1차적으로 제1급수격벽(641)이 파손되어 제1급수예비공간(6413)에 물이 흘러 들어가서 제1바디(63) 또는 가이더(6)가 파손되어 세탁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2차적으로 제2급수격벽(643)이 파손되어 제2급수예비공간(6431)에 물이 흘러 들어가서 제1바디(63) 또는 가이더(6)가 파손되어 세탁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1급수격벽(641) 및 제2급수격벽(643)의 두께는 제1유로(7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그래야만 제1급수격벽(641) 또는 제2급수격벽(643)이 먼저 동결로 파손되고, 최후에 제1유로(71)가 파손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급수격벽(641) 및 제2급수격벽(643)의 두께는 베이스(631) 및 커버(635)의 두께 보다 얇게 구비되거나, 제1급수격벽(641) 또는 제2급수격벽(643)의 강도는 베이스(631) 및 커버(635) 사이의 열융착에 의한 결합력 보다 작게 구비된다.
제1급수격벽(641)와 제2급수격벽(643)은 베이스(631)에 형성된 제1유로(71)의 내부에 구비되며, 베이스(631)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리브 구조로 구비된다. 제1급수격벽(641) 또는 제2급수격벽(643)은 제1유로(71)의 내주면에서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제1급수격벽(641)과 제1유로(71)의 내주면에 의해 제1급수예비공간(6413)이 형성되며, 제2급수격벽(643)과 제1유로(71)의 내주면에 의해 제2급수예비공간(6431)이 형성된다.
한편, 제1유로(71)를 형성하는 부재, 제1급수격벽(641) 및 제2급수격벽(643)은 온도 변화에 변형이 안되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급수격벽(641) 또는 제2급수격벽(643)은 베이스(631)의 상측으로 커버(635)가 덮을 때 커버(635)에 접촉하며, 커버(635)의 내주면에 열융착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베이스(631)와 커버(635) 사이에는 열융착되는 면이 증가하여 베이스(631) 와 커버(635)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강도가 보강되는 효과를 얻는다.
다음으로, 제2유로(81)를 구획하는 배수격벽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배수격벽은 제2유로 유입구(638) 및 제2유로 배출구(639)를 연통하는 제1배수공간(6451)과, 제1배수공간(6451)과 분리된 제2배수예비공간(6471)으로 제2유로(81)를 구획하는 제1배수격벽(6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로(81)는 가이더(6)에 구비되며, 수용부(4, 5)에서 캐비닛(2)의 외부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출유로의 일정 구간을 형성한다.
제2유로 유입구(638)는 제2유로(81)에 세탁수를 유입하는 통로이며, 제2유로(81)의 끝단에 구비된다.
제2유로 배출구(639)는 제2유로(81)에서 세탁수가 배출되는 통로이며, 제2유로(81)의 다른 끝단에 구비된다.
제1배수공간(6451)은 제2유로 유입구(638)와 제2유로 배출구(639) 사이를 연통하며, 제2유로(81) 내부에 구비된 공간이다. 즉, 수용부(4, 5)에서 캐비닛(2) 외부로 배출되는 세탁수는 제1배수공간(6451)을 통해서 이동한다.
제1배수예비공간(6453)은 제2유로(81) 내부에서 비어있는 공간이다. 다만, 외부 온오가 내려가 제1배수공간(6451) 내부에 고인 물이 얼어서 제1배수격벽(645)을 파손하는 경우에 제1배수공간(6451)에 고인 물이 일시적으로 제1배수예비공간(6453)으로 흘러들어 간다. 따라서, 제1배수격벽(645)은 제2유로(81)를 형성하는 베이스(631), 격벽(633), 커버(635)가 물의 동결로 파손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하는 동파방지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은 제1배수공간(6451)과 분리되고, 제1배수예비공간(6453)과도 분리된 제2배수예비공간(6471)으로 제2유로(81)를 구획하는 제2배수격벽(6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에서 세탁수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제1배수공간(6451)을 통해서 물이 이동하며, 제1배수공간(6451) 내부에 고인 물이 동결되어 부피가 늘어나는 경우에 1차적으로 제1배수격벽(645)이 파손되어 제1배수예비공간(6453)에 물이 흘러들어가서 제2바디(65) 또는 가이더(6)가 파손되어 세탁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2차적으로 제2배수격벽(647)이 파손되어 제2배수예비공간(6471)에 물이 흘러들어가서 제2바디(65) 또는 가이더(6)가 파손되어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1배수격벽(645) 및 제2배수격벽(647)의 두께는 제2유로(81)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그래야만 동결시 제1배수격벽(645) 또는 제2배수격벽(647)이 먼저 파손되고, 최후에 제2유로(81)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배수격벽(645) 및 제2배수격벽(647)의 두께는 베이스(631) 및 커버(635)의 두께 보다 얇게 구비되거나, 제1배수격벽(645) 또는 제2배수격벽(647)의 강도는 베이스(631) 및 커버(635) 사이의 열융착에 의한 결합력 보다 작게 구비된다.
제1배수격벽(645)과 제2배수격벽(647)은 베이스(631)에 형성된 제2유로(81)의 내부에 구비되며, 베이스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리브 구조로 구비된다. 제1배수격벽(645) 또는 제2배수격벽(647)은 제2유로(81)의 내주면에서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제1배수격벽(645)과 제2유로(81)의 내주면에 의해 제1배수예비공간(6453)이 형성되며, 제2배수격벽(647)과 제2유로(81)의 내주면에 의해 제2배수예비공간(6471)이 형성된다.
한편, 제2유로(81)를 형성하는 부재, 제1배수격벽(645) 및 제2배수격벽(647)은 온도 변화에 변형이 안되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배수격벽(645) 또는 제2배수격벽(647)은 베이스(631)의 상측으로 커버(635)가 덮을 때 커버(635)에 접촉하며, 커버(635)의 내주면에 열융착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베이스(631)와 커버(635) 사이에는 열융착되는 면이 증가하여 베이스(631) 와 커버(635)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강도가 보강되는 효과를 얻는다.
한편, 제1유로(71)와 제2유로(81)는 베이스(631)에 구비된 격벽(633)에 의해 구획된다. 즉, 제1유로(71)와 제2유로는 하나의 격벽(633)을 사이에 두고 접하게 구비된다. 제1급수격벽(641), 제2급수격벽(643), 제1배수격벽(645) 및 제2배수격벽(647)의 두께는 상기 격벽(633)의 두께 보다 얇게 구비된다. 따라서, 동파에 의한 격벽(633)의 파손으로 급수유로와 배수유로 사이가 연통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이더(6)는 캐비닛(2) 및 드로워(3)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캐비닛(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바디(63)와, 제1바디(63) 및 드로워(3)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바디(63)와 드로워(3)를 연결하는 제2바디(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바디(63)에 상기 제1유로(71)와 제2유로(81)가 구비되며, 제1바디(63)는 상기 베이스(631), 커버(635), 격벽(63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급수격벽(641)는 제2급수격벽(643) 보다 격벽(633)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제1급수격벽의 두께 또는 강도는 제2급수격벽의 두께 또는 강도보다 얇게 또는 약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배수격벽(645)는 제2배수격벽(647) 보다 격벽(633)에 인접하게 구비되며, 제1배수격벽의 두께 또는 강도는 제2배수격벽()의 두께 또는 강도보다 얇게 또는 약하게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도 7와 도 9을 참고하여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처리장치(L)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전 드로워(3)는 캐비닛(2)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 있다.
세탁물을 드로워(3) 내부에 구비된 수용부(4, 5)에 투입하려면, 사용자는 드로워 패널(33)을 통해 드로워 바디(31)를 캐비닛(2)에서 인출시켜야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 바디(31)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면, 제1바디(63)는 제1축(637)을 중심으로 드로워 바디(31)가 인출되는 방향을 향해 회전하고, 제2바디(65)는 제2축(651)과 제3축(653)에 의해 제1바디(63)와 드로워 커버(35)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급수유로를 구성하는 제1유로(71)는 제1바디(63)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제1유로(71)를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된 급수구(355)에 연결하는 급수관(77)은 제2바디(65)에 의해 지지되므로 본 발명은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될 때 급수유로가 꼬이거나 캐비닛(2) 내부에 구비된 장치들에 걸려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배수유로를 구성하는 제2유로(81)는 제1바디(63) 내부에 구비되고, 제2유로(81)를 배출부(F)에 연결하는 제1배수관(83)은 가이더(6)의 하부에 위치되므로 드로워(3)가 캐비닛(2)에서 인출될 때 배수유로가 꼬이거나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63)의 회전중심과 제2배수관(85)의 회전중심이 상이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구비되는 제2배수관(85)은 탄성재질(고무 등)로 구비되거나 길이방향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 구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드로워 바디(31)가 캐비닛(2)에서 인출되면, 상기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된 투입구(353)는 캐비닛(2)의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입구(353) 내부에 위치된 도어(49)를 회전시켜 터브 투입구(435)를 개방함으로써 터브 투입구(435)의 하부에 위치된 드럼(5)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세탁물을 드럼(5)에 투입하면 사용자는 도어(49)로 터브 투입구(435)를 폐쇄시킨 뒤 드로워(3)를 캐비닛(2) 내부로 삽입시켜 도 7의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때, 가이더(6)의 제1바디(63)는 제1축(637)을 중심으로 드로워(3)가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바디(65)는 제2축(651)과 제3축(653)에 의해 제1바디(63)를 향해 회전하게 되므로 가이더(6)에 의해 본 발명에 구비된 급수유로와 배수유로는 캐비닛(2) 내부에 구비된 장치들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드로워(3)가 캐비닛(2)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트롤패널(331)을 통해 세탁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공급부(S)에 구비된 각 밸브(V1, V2)는 각 밸브와 제1유로(71)를 연결하는 연결관들(73, 7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개방하게 된다.
즉, 제1온도의 세탁수만이 필요하다면 제어부(미도시)는 제1밸브(V1)를 제어하여 제1연결관(73)만 개방시키고, 제2온도의 세탁수만이 필요하다면 제어부는 제2밸브(V2)를 제어하여 제2연결관(75)만 개방시킬 것이다.
어느 경우에나 제1바디(63)에 구비된 제1유로(71)는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게 되며, 제1유로(71)로 공급된 세탁수는 제2바디(65)에 지지된 급수관(77), 드로워 커버(35)에 구비된 급수구(355), 터브 커버(43)에 구비된 관통홀(미도시)을 거쳐 드럼(5)에 공급된다.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구동부는 드럼(5)을 회전시킨다. 상기 드럼(5)의 회전 시 터브 바디(41) 내부의 세탁수는 터브 바디(41) 내부에서 드럼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드럼(5)에 의해 세탁수가 터브 바디(41) 내부에서 회전되면, 터브 바디(41) 내부의 세탁수는 터브 바디(41)의 바닥면에서 터브 커버(43)를 향해 이동할 수 있지만 터브 커버(43)에는 경사부(4391)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드럼(5)의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세탁수를 드럼(5) 내부로 재유입시킬 수 있다.
세탁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터브 바디(41)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수한다.
즉, 제어부는 배출부(F)에 구비된 모터(F2)에 전력을 공급하여 터브 바디(41) 내부의 세탁수를 제1배수관(83)으로 이동시킨다. 제1배수관(83)으로 유입된 세탁수는 제1바디(63)에 구비된 제2유로(81), 제2배수관(85), 배출관(615) 및 하수관(F7)을 거쳐 하수구로 이동한다.
제1배수관(83)은 연통관(79)을 통해 급수관(77)에 연결되어 있고, 급수관(77)은 급수구(355)를 통해 드로워 바디(31) 내부와 연통하므로 제어부가 모터(F2)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면 제1배수관(83)에는 공기가 공급되어 사이펀 현상이 차단된다. 따라서, 제1배수관(83)을 통해 제2유로(81)로 이동하는 세탁수는 제1배수관(83)에 잔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제1배수관(83)은 제1배수관(83) 내부의 잔수가 배출부(F)를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므로, 제1배수관(83) 내부의 잔수는 대부분이 배출부의 하우징(F1)에 저장될 것이다.
하우징(F1)에 세탁수가 저장되어 있으면, 하수구의 악취가 배수유로를 통해 터브 바디(41)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의 외부온도가 낮아질 경우 제1배수관(83)이 파손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제2처리장치(L)가 제1처리장치(T)에 착탈 가능한 구조인 경우(제1처리장치의 캐비닛(1)과 제2처리장치의 캐비닛(2)이 서로 분리된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제2처리장치(L)는 제1처리장치(T)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처리장치(L)에 구비된 드로워(3)는 제1처리장치의 캐비닛(1)에서 인출되도록 구비(제2처리장치의 캐비닛(2)은 생략)되어야 하고, 제2처리장치의 캐비닛(2)에 고정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처리장치(L)의 구성들은 제1처리장치의 캐비닛(1)에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T: 제1처리장치 L: 제2처리장치
2: 캐비닛 3: 드로워 31: 드로워 바디
33: 드로워 패널 35 : 드로워 커버 353: 투입구
355: 급수구 4: 터브 41: 터브 바디
43: 터브 커버 435: 터브 투입구
45: 회수부 451: 제1회수부 453: 제2회수부
454: 회수바디 455: 바디 플랜지 456: 바디 관통홀
457: 플랜지 관통홀 47: 회수홀 49: 도어
495: 실링부 5: 드럼 6: 가이더
611: 지지바디 613: 축서포터 615: 배출관
63: 제1바디 631: 베이스 635: 커버
637: 제1축 65: 제2바디 655: 수용공간
71: 제1유로 73: 제1연결관 75: 제2연결관
77: 급수관 79: 연통관 81: 제2유로
83: 제1배수관 85: 제2배수관 9: 잔수배출부
91: 잔수배수관 93: 배수관 착탈부 F: 배출부
F1: 하우징

Claims (11)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급수원에 연결된 공급부;
    상기 캐비닛 및 상기 드로워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더;
    상기 공급부에서 상기 수용부로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더에 구비된 급수유로;
    상기 급수유로의 일정 구간을 형성하는 제1유로;
    상기 제1유로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제1유로 유입구;
    상기 제1유로에서 세탁수가 배출되는 제1유로 배출구;
    상기 제1유로 유입구 및 상기 제1유로 배출구를 연통하는 제1급수공간과, 상기 제1급수공간과 분리된 제1급수예비공간으로 상기 제1유로를 구획하는 제1급수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공간과 분리되고, 상기 제1급수예비공간과도 분리된 제2급수예비공간으로 상기 제1유로를 구획하는 제2급수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격벽의 두께는 상기 제1유로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출유로;
    상기 배출유로의 일정 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더에 구비된 제2유로;
    상기 제2유로로 세탁수가 유입되는 제2유로 유입구;
    상기 제2유로에서 세탁수가 배출되는 제2유로 배출구;
    상기 제2유로 유입구 및 상기 제2유로 배출구를 연통하는 제1배수공간과, 상기 제1배수공간과 분리된 제1배수예비공간으로 상기 제2유로를 구획하는 제1배수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공간과 분리되고, 상기 제1배수예비공간과도 분리된 제2배수예비공간으로 상기 제2유로를 구획하는 제2배수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격벽의 두께는 상기 제2유로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는 하나의 격벽 사이에 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급수격벽 또는 상기 제2배수격벽의 두께는 상기 격벽의 두께 보다 얇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드로워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바디와 상기 드로워를 연결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바디에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 및 제1급수격벽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 및 제1배수격벽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는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드로워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바디와 상기 드로워를 연결하는 제2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유로가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열융착되어 상기 제1유로를 밀폐시키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급수격벽은 상기 베이스에서 돌출되어 상기 커버에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066759A 2016-05-30 2016-05-30 의류처리장치 KR20170135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59A KR20170135213A (ko) 2016-05-30 2016-05-30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59A KR20170135213A (ko) 2016-05-30 2016-05-30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213A true KR20170135213A (ko) 2017-12-08

Family

ID=6091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759A KR20170135213A (ko) 2016-05-30 2016-05-30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52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01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55385B1 (ko) 의류처리장치
RU260296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EP1967638A1 (en) Drum-type washing machine
RU266424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EP2949800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6117870B2 (ja) 衣類処理装置
KR20160014974A (ko) 의류처리장치
KR20160098154A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135213A (ko)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