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205A - a feeder of fodder for a pig - Google Patents

a feeder of fodder for a pi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205A
KR20170133205A KR1020160064404A KR20160064404A KR20170133205A KR 20170133205 A KR20170133205 A KR 20170133205A KR 1020160064404 A KR1020160064404 A KR 1020160064404A KR 20160064404 A KR20160064404 A KR 20160064404A KR 20170133205 A KR20170133205 A KR 20170133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pedestal
wall
spac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4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합축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합축산
Priority to KR102016006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3205A/en
Publication of KR20170133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2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ed tank separating device of a pig feed supplier. A feed tank is separated at every predetermined section so as not to push feeds to one side while livestock consume feeds. Thus, fighting of the livestock caused due to feeds is prevented, and an unnecessary feed loss is prevented. The feed tank separating device comprises: an outer wall formed along an outer surface while having upper end opened; an inner wall formed to be separated into the outer wall at a predetermined space; a central protrusion unit formed to be separated into the inner wall at a predetermined space; a water tank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to store drinking water; and a support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central protrusion unit, and composed of a feed tank for storing feeds. In the feed tank of the support, at least one plate is formed to protrude so as to prevent feeds, which are contained in the feed tank, from being pushed to one side by dividing and separating the space of the feed tank at every predetermined section while livestock consume the feeds.

Description

돼지사료 급여기의 사료조 분리장치{a feeder of fodder for a pig}A feeder of fodder for a pig.

본 발명은 돼지사료 급여기의 사료조 분리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료조를 일정 구간마다 분리시켜 가축들이 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료가 한쪽으로 밀려가지 않도록 하여 가축들의 먹이 다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불필요한 사료허실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돼지사료 급여기의 사료조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ultry feed separ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ultry feed separation apparatus which separates a poultry tank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poultry is not pushed to one side during the feeding of the poultry, And to prevent the unnecessary feed loss and the like from occurring.

통상적으로, 돼지사료 급여장치는 하부에 사료 배출수단을 가지는 호퍼와 그 아래의 용기 즉 받침대로 구성된다. 그리고 물을 먹을 수 있도록 일측에 급수장치를 가지게 됨에 따라 이는 습식 돼지사료 급여장치로 구분된다. Typically, a pig feeder consists of a hopper with feed-discharging means at the bottom and a container or pedestal underneath. It is divided into a wet pig feeding unit as it has a water supply unit on one side so that it can eat water.

한편, 상기한 돼지사료 급여장치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2011년 9월 14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하여, 2013년 03월 22일자로 공개된 공개번호 제 10-2013-0029155 호(명칭: 축산용 식수 및 사료 급여기)(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As a representative prior art related to the pig feeder described above, the present applicant filed a petition wit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n September 14, 2011, and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29155, published on Mar. 22, 20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ior art ").

상기 선행기술은 호퍼의 하부 사료배출구 아래에 설치되고 중앙의 사료수납부 및 가장자리에 수조가 구비되어 있는 받침대와, 호퍼의 일측에서 수조에 투입되는 급수배관 및, 급수배관의 내부에 작용하는 압력변화에 의해 수도관으로 유입되는 물을 개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자동급수밸브와, 급수배관의 하단에 구비된 스크레퍼로 된 축산용 식수 및 사료 급여기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수밸브의 내측 고무판과 노즐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지지수단과, 상기 급수배관의 하단부에 끼워지고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절개부를 가지는 스크레퍼로 구성된 것을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ior art includes a pedestal installed below the lower feed port of the hopper and having a feed storage portion at the center and a water tank at the edge, a water supply pipe to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from one side of the hopper, An automatic water supply valve for opening or shutting off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pipe by the water supply pipe and a scrap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Elastic supporting means, and a scraper which is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has a cut-out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surface thereof.

위 선행기술은 가축의 성장 및 생태에 따라 사료와 식수를 건식 및 습식 급여방식으로 병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식수 및 사료의 섭취를 원활하게 하여 성장발육을 돕는 유용한 발명임에는 분명하다.It is clear that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a useful invention for facilitating growth and development by smoothly ingesting drinking water and feeds, as well as allowing feed and drinking water to be used in a dry and wet manner according to the growth and ecology of livestock.

그러나 위 선행기술은 사용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예상된다.However, the above prior art is expected to have the following problems in use.

먼저, 선행기술의 받침대의 사료조에 담겨진 사료를 가축들이 섭취하는 과정에서 한쪽으로 밀려가 버려 가축들이 사료를 먹기에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사료조에는 호퍼의 사료배출관을 받침대에 지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칸막이가 설치됨에 따라 사료가 밀려가 버리면 가축들의 움직임을 상기 칸막이가 방해하여 사료 섭취에 더욱 큰 불편함을 가져오게 된다. First,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livestock feed the feed contained in the animal feed tank of the prior art, and the livestock feeds the feed to the feed livestock. In particular, the feed tank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So that the movement of the livestock is disturbed by the partition, resulting in a greater inconvenience to the feed consumption.

또한 사료가 밀려난 곳으로 가축들이 동시에 모여들어 가축들간의 잦은 다툼을 유발하게 됨은 물론 불필요한 사료 허실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ivestock are gathered at the place where the feed is pushed to cause the frequent quarrels between the livestock, and the unnecessary feed loss is increased.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3-0029155 호Document 1: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3-0029155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료조를 일정 구간마다 분리시켜 가축들이 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료가 한쪽으로 밀려가지 않도록 하여 가축들의 먹이 다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불필요한 사료허실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사료조 분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feed tank from a feed tank, And to provide a poultry separating device for a poultry feeder that does not cause pancreatic canc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받침대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단은 개방된 상태로 외곽면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 상기 외측벽 안으로 일정공간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내측벽, 상기 내측벽 안으로 일정공간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중앙돌출부,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 사이 공간에 형성되며 음수를 저장하는 수조 및 상기 내측벽과 상기 중앙돌출부 사이 공간에 형성되며 사료를 저장하는 사료조로 구성한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의 사료조에는 상기 사료조의 공간을 일정 구간마다 구획 분리시켜 가축들이 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료조에 담겨져 있는 사료가 한쪽으로 밀려가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destal separating apparatus for a pig feeder, comprising: an outer wall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edestal along an outer surface thereof; an inner wall form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A middle protrusion form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water tank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a water tank storing negative water, and a feeder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central protrusion, Wherein at least one or more plates protruding from the feed tank for separating the space of the feed tank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feed contained in the feed tank is not pushed to one side during the feeding of the feed .

또한 본 발명은 돼지사료 급여장치의 받침대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단은 개방된 상태로 외곽면을 따라 형성되는 측벽, 상기 측벽 안으로 일정공간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중앙돌출부, 상기 측벽과 상기 중앙돌출부 사이 공간에 형성되며 음수와 사료조를 함께 혼합 저장하는 사료조로 구성한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의 사료조에는 상기 사료조의 공간을 일정 구간마다 구획 분리시켜 가축들이 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료조에 담겨져 있는 사료가 한쪽으로 밀려가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edestal separating apparatus for a pig feeder, comprising: a sidewall formed along an outer surface in an opened state; a central protruding portion form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idewall; And a feeder tank for mixing and storing negative water and a feeder tank, wherein the feeder of the feed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in the feeder tank so that the feeder feeds the feeder At least one plate is protruded so as not to be pushed by the plate.

상기 플레이트는 받침대 성형과정에서 일체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plate is integrally formed in the pedestal forming process.

본 발명은 사료조를 일정 구간마다 분리시켜 가축들이 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료가 한쪽으로 밀려가지 않도록 하여 가축들이 밀려난 사료가 밀려난 곳으로 계속적으로 움직여가며 섭취할 필요없이 각자 제자리에서 사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사료가 있는 곳으로 가축들이 한꺼번에 모여 가축간의 먹이 다툼이 발생할 수 있는 우려를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불필요한 사료허실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작용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diets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diets are not pushed to one side during the feeding of the diets, so that the diets are continuously moved to the place where the diets are pushed out, So that it is possible to avoid the possibility that the livestock are gathered together at the place where the feed is fed and the food strife between the livestock may occur, and the unnecessary feed loss caused by the livestock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돼지사료 급여기의 받침대 사료조 분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돼지사료 급여기의 받침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돼지사료 급여기의 받침대 사료조 분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돼지사료 급여기의 받침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ultry feed separator of a pig feed fee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pedestal configuration of the pig feed fastener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the plane of Fig. 2;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ultry feed separator of a pig feed fee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 pedestal configuration of a pig feed fastener shown in Fig. 4; Fig.
Fig. 6 is a view showing the plane of Fig. 5; Fig.
FIG. 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dest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destal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두 개의 실시 예를 대표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nly tw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embodiments which may be pres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laced by descriptions in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돼지사료 급여기의 받침대 사료조 구획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poultry feeding apparatus for poultry feed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돼지사료 급여기는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사료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호퍼(10), 상기 호퍼(10) 아래에 위치하며 지면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호퍼(10)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가축들이 먹을 수 있도록 담아내는 받침대(20), 상기 호퍼(10)의 하단에 연장 설치되며 상기 호퍼(10)에 담겨져 있는 사료를 상기 받침대(20)로 배출시키는 사료배출관(1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 the pig fee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pper 10 having a space capable of storing feed therein in an open state at an upper end thereof, a hopper 10 positioned below the hopper 10, A pedestal 20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hopper 10 to feed the feed contained in the hopper 10 to the pedestal 20, And a feed discharge pipe (12) for discharging the feed oil into the feed pipe (12).

상기 받침대는 가축(돼지)이 먹을 수 있는 사료 및 음수를 담을 수 있도록 마련된 수단이다.The pedestal is a means to contain feed and water that can be eaten by livestock (pig).

첨부된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받침대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view showing the plane of FIG.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받침대(20)는 건식사료방식 즉, 사료와 음수를 각각 따로 저장할 목적으로 성형된 것이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pedestal 20 is formed for the purpose of storing dry food, that is, food and water separately.

상기 받침대(20)는 상단은 개방된 상태로 외곽면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22), 상기 외측벽(22) 안으로 일정공간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내측벽(24), 상기 내측벽(24) 안으로 일정공간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중앙돌출부(26)로 구성한다.The pedestal 20 includes an outer wall 22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long an outer surface thereof, an inner wall 24 formed at a predetermined space in the outer wall 22, And a central protruding portion 26 formed in a spaced-apart state.

상기 받침대(20)의 외측벽(22)과 내측벽(24) 사이 공간은 음수를 담을 수 있는 수조(28)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20)의 내측벽(24)과 중앙돌출부(26) 사이 공간은 사료를 담을 수 있는 사료조(30)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조(28)와 사료조(30)는 그 위치가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pace between the outer wall 22 and the inner wall 24 of the pedestal 20 is formed by a water tank 28 capable of holding negative water and a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24 of the pedestal 20 and the central protruding portion 26 The space is formed by a feed tank 30 capable of containing feed. At this time, the water tank 28 and the feed tank 30 may be formed in opposite positions.

상기 호퍼(10)의 사료배출관(12)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칸막이대(14)의 상단이 용접으로 접합 고정되고, 상기 칸막이대(14)의 하단은 상기 받침대(20)의 외측벽(22)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칸막이대(14)는 상기 사료배출관(12)을 상기 받침대(20) 상단에 지지시킴과 더불어 상기 받침대(20)의 사료조(30) 및 수조(28)를 일정 크기만큼씩 구획시켜 가축들이 한 곳에 집중적으로 모여 투쟁하거나 먹이 다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The upper end of the at least one partition plate 14 is welded and fixed to the periphery of the feed pipe 12 of the hopper 10.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plate 14 is fixed to the outer wall 22 of the pedestal 20, Is coupled to the top. The partition plate 14 supports the feed pipe 12 at the upper end of the pedestal 20 and divides the feed tank 30 and the water tank 28 of the pedestal 20 by a predetermined size, Do not be intensively gathered in places to avoid struggles or food strife.

한편, 상기 받침대(20)의 사료조(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4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40)는 상기 사료조(30)를 일정 구간마다 구획 분리시켜 가축들이 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료조(30)에 담겨져 있는 사료가 한쪽으로 밀려가지 않도록 하여 가축들의 먹이 다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사료를 모이게 하는 효과가 있어 섭취를 용이하게 하며, 불필요한 사료허실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플레이트(40)는 일단은 받침대(20)의 내측벽(24)에 밀착 또는 연결되고 그 타단은 받침대(20)의 중앙돌출부(26)에 밀착 또는 연결되어 사료조(30)를 일정 구간마다 구획 분리시키게 된다.At least one plate (40) protrudes from the feed tank (30) of the pedestal (20). The plate 40 separates the feed tank 3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the feed contained in the feed tank 30 is not pushed to one side during the feeding of the feed, In addition, it has an effect of collecting feeds, which facilitates ingestion and prevents unnecessary feed loss or the like from occurring. One end of the plate 40 is in close contact with or connected to the inner wall 24 of the pedestal 20 and the other end of the plate 40 is closely contacted with or connected to the central protruding portion 26 of the pedestal 20, Respectively.

즉, 사료조(30)에 담겨진 사료를 가축들이 섭취할 때에는 섭취중에 주둥이에 의해 사료가 밀려서 다른 곳으로 흩어지는 경우가 많은 데, 이에 따라 가축들은 밀려난 사료를 계속적으로 섭취하기 위해 사료가 밀려난 곳으로 계속적으로 움직여가며 섭취하게 됨으로서 가축들이 사료가 있는 곳으로 한꺼번에 모여 가축간의 먹이 다툼이 발생할 수 있고, 다툼중에 사료가 허실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livestock feeds the feed contained in the feed tank 30, the feed is often pushed out by the snout during ingestion, and therefore, the livestock feeds the feed in order to continuously feed the feed As a result, the livestock are gathered at the place where the feeds are gathered, so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ivestock may have a food strife, and the feed is lost during the fighting.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사료조(30)를 플레이트(40)로 일정구간씩 구획 분리시키게 되면 사료가 밀려나는 과정에서 상기 플레이트(40)에 걸려져 더 이상 밀려나가지 않게 됨으로서 적은 양의 사료를 모아주는 역할을 하므로 항상 청결을 유지하고 가축들의 움직임을 최대한 제한시킨 상태에서 사료를 편안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diaphragm 3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by the plate 4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phragm 30 is caught by the plate 40 during the feeding process and is not pushed any further, So that it is always possible to keep the cleanliness and to feed the animals comfortably with the maximum movement of the livestock.

상기한 플레이트(40)는 받침대(2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일체로 성형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이외에 받침대(20)와 플레이트(40)를 각각 별개로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40)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 구성할 수도 있다.The plate 40 may be formed integrally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edestal 20 bu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late 40 in a state where the pedestal 20 and the plate 40 are separately formed. It can be detachably installed.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돼지사료 급여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받침대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n overall configuration of a pig feed fee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shown in FIG. 4, Fig.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돼지사료 급여기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호퍼(10), 상기 호퍼(10)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가축들이 먹을 수 있도록 담아내는 받침대(120), 상기 호퍼(10)의 하단에 연장 설치되며 상기 호퍼(10)에 담겨져 있는 사료를 상기 받침대(120)로 배출시키는 사료배출관(12)으로 구성하되, 상기 받침대(120)의 구조를 습식 사료방식에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한 것에 차이를 가진다.4 to 6, the pig feeder includes a hopper 10, a pedestal 120 for storing the feed discharged from the hopper 10 so that the animals can be eaten, And a feed pipe 12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hopper 10 and discharging the feed contained in the hopper 10 to the pedestal 120. The structure of the pedestal 120 is used in a wet feed method And the like.

이러한 습식 방식의 받침대(120)는 상단은 개방된 상태로 외곽면을 따라 형성되는 측벽(122), 상기 측벽 안쪽으로 일정공간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중앙돌출부(124)로 구성한다.The wet type pedestal 120 includes a side wall 122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in an opened state and a central protrusion 124 form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of the side wall.

상기 받침대(120)의 측벽(122)과 중앙돌출부(12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음수와 사료가 함께 공급되어 습식 형태의 사료를 저장하는 사료조(130)로 형성된다.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idewalls 122 and the central protrusion 124 of the pedestal 120 is formed of a feed tank 130 in which water and feed are supplied together to store wet type feed.

상기 받침대(120)의 사료조(1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4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40) 역시 전술한 건식 형태의 받침대(120)에 사용되는 플레이트(140)와 동일한 기능, 즉 상기 사료조(130)의 공간을 일정 구간마다 구획 분리시켜 가축들이 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료조(130)에 담겨져 있는 사료가 한쪽으로 밀려가지 않도록 먹기좋게 모아주는 역할을 하여 가축들의 먹이 다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불필요한 사료허실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At least one plate (140) protrudes from the feed tank (130) of the pedestal (120). The plate 140 has the same function as that of the plate 140 used in the dry type pedestal 120. That is, the plate 140 separates the space of the animal feed tank 13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130) so as not to be pushed to one side, so as not to cause a food strife of the livestock, and to prevent unnecessary feed loss.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dest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받침대(220)는 상단은 개방된 상태로 외곽면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222), 상기 외측벽(222) 안으로 일정공간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내측벽(224), 상기 내측벽(224) 안으로 일정공간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중앙돌출부(226)로 구성하여, 상기 받침대(220)의 외측벽(222)과 내측벽(224) 사이 공간은 음수를 담을 수 있는 수조(228)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220)의 내측벽(224)과 중앙돌출부(226) 사이 공간은 사료를 담을 수 있는 사료조(230)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받침대의 전체 형상을 평면상에서 원형이 아닌 직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edestal 220 includes an outer wall 222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in an opened state, an inner wall 224 form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222, A space between the outer wall 222 and the inner wall 224 of the pedestal 220 is formed by a water tank 228 capable of holding negative water, And a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224 of the pedestal 220 and the central protruding portion 226 is formed of a feed tank 230 capable of containing feedstuffs such that the entire shape of the pedestal 220 is rectangular or rectangular So as to be formed into a shape close to that of the base material.

이러한 직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태의 받침대(220) 사료조(230)에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240)를 돌출 형성하여 사료조(230)를 일정 구간마다 구획 분리시켜 가축들이 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료조(230)에 담겨져 있는 사료가 한쪽으로 밀려가지 않도록 하여 가축들의 먹이 다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사료를 모이게 하는 효과가 있어 섭취를 용이하게 하며, 불필요한 사료허실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At least one plate 240 is also protruded from the rectangular or rectangular rectangular shaped feeder tank 230 so that the animal feeder 23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so that the animals can be fed to the animal feeder 230 )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to one side so as not to cause a food strife of the livestock, and also has an effect of collecting the feed, which facilitates ingestion and prevents unnecessary feed loss.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edest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받침대(320)는 상단은 개방된 상태로 외곽면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322), 상기 외측벽(322) 안으로 일정공간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내측벽(324)으로 구성하여, 상기 받침대(320)의 외측벽(322)과 내측벽(324) 사이 공간은 음수를 담을 수 있는 수조(328)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320)의 내측벽(32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사료를 담을 수 있는 사료조(330)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받침대의 전체 형상을 평면상에서 원형이 아닌 직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edestal 320 includes an outer wall 322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in an opened state, and an inner wall 324 form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322 by a predetermined space,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ide wall 322 and the inner side wall 324 of the pedestal 320 is formed by a water tank 328 capable of storing negative water and a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side walls 324 of the pedestal 320 serves as a feed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ire shape of the pedestal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shape or a shape close to a rectangle instead of a circular shape on a plane.

이러한 직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태의 받침대(320) 사료조(330)에는 플레이트(340)가 돌출 형성되어 사료조(330)를 구획 분리시켜 가축들이 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료조(330)에 담겨져 있는 사료가 한쪽으로 밀려가지 않도록 하여 가축들의 먹이 다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사료를 모이게 하는 효과가 있어 섭취를 용이하게 하며, 불필요한 사료허실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A plate 340 is protruded from the feed tank 330 to divide and separate the feed tank 330 so that the feed stored in the feed tank 330 can be separated from the feed tank 330 So as not to be pushed to one side so as not to cause a food struggle between the livestock, and also to collect the feeds, thereby facilitating the ingestion and preventing unnecessary feed loss.

10: 호퍼 20: 받침대
22: 외측벽 24: 내측벽
26: 중앙돌출부 28: 수조
30: 사료조 40: 플레이트
10: hopper 20: pedestal
22: outer side wall 24: inner side wall
26: central protrusion 28:
30: feed tank 40: plate

Claims (3)

돼지사료 급여기의 받침대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단은 개방된 상태로 외곽면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
상기 외측벽 안으로 일정공간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내측벽;
상기 내측벽 안으로 일정공간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중앙돌출부;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 사이 공간에 형성되며 음수를 저장하는 수조 및 ;
상기 내측벽과 상기 중앙돌출부 사이 공간에 형성되며 사료를 저장하는 사료조로 구성한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의 사료조에는 상기 사료조의 공간을 일정 구간마다 구획 분리시켜 가축들이 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료조에 담겨져 있는 사료가 한쪽으로 밀려가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사료 급여기의 받침대 분리장치.
In a pedestal separating device for a pig feed,
An upper wall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in an opened state;
An inner wall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A central protrusion form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wall by a predetermined space;
A water tank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ide wall and the inner side wall and storing negative water;
A pedestal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central protrud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include a feed tank for storing feed;
Wherein at least one or more plates protruding from a feed tank of the pedestal are formed so that the feed contained in the feed tank is not pushed to one side during the feeding of the feed to the livestock by partitioning the space of the feed tank by a predetermined interval, Here is the pedestal separator.
돼지사료 급여기의 받침대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단은 개방된 상태로 외곽면을 따라 형성되는 측벽;
상기 측벽 안으로 일정공간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중앙돌출부;
상기 측벽과 상기 중앙돌출부 사이 공간에 형성되며 음수와 사료를 함께 혼합 저장하는 사료조로 구성한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의 사료조에는 상기 사료조의 공간을 일정 구간마다 구획 분리시켜 가축들이 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료조에 담겨져 있는 사료가 한쪽으로 밀려가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사료 급여기의 받침대 분리장치.
In a pedestal separating device for a pig feed,
A side wall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in an opened state at an upper end;
A central protrusion formed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A pedestal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center protrud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mix and store negative water and feed together;
Wherein at least one or more plates protruding from a feed tank of the pedestal are formed so that the feed contained in the feed tank is not pushed to one side during the feeding of the feed to the livestock by partitioning the space of the feed tank by a predetermined interval, Here is the pedestal separator.
돼지사료 급여기의 받침대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단은 개방된 상태로 외곽면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
상기 외측벽 안으로 일정공간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내측벽;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 사이 공간에 형성되며 음수를 저장하는 수조 및 ;
상기 내측벽 사이 공간에 형성되며 사료를 저장하는 사료조로 구성한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의 사료조에는 상기 사료조의 공간을 구획 분리시켜 가축들이 사료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사료조에 담겨져 있는 사료가 한쪽으로 밀려가지 않도록 하는 플레이트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사료 급여기의 받침대 분리장치.
In a pedestal separating device for a pig feed,
An upper wall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in an opened state;
An inner wall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A water tank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ide wall and the inner side wall and storing negative water;
A pedestal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ide walls and configured by a feed tank for storing feed;
Wherein a plate is protruded from the feed tank of the pedestal so as to prevent the feed contained in the feed tank from being pushed to one side during the feeding of the feed to the livestock by partitioning the space of the feed tank.
KR1020160064404A 2016-05-25 2016-05-25 a feeder of fodder for a pig KR201701332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404A KR20170133205A (en) 2016-05-25 2016-05-25 a feeder of fodder for a pi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404A KR20170133205A (en) 2016-05-25 2016-05-25 a feeder of fodder for a pi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205A true KR20170133205A (en) 2017-12-05

Family

ID=6092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404A KR20170133205A (en) 2016-05-25 2016-05-25 a feeder of fodder for a pi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3205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5441A (en) * 2019-12-17 2020-05-01 于景智 Feeding equipment with simple separation of fodder
KR20200067086A (en)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연합축산 Feed Pot of Liquid feed Bowl
KR102131547B1 (en) 2019-01-07 2020-07-08 주식회사 연합축산 Waste-feed Prevention Device of wet feed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086A (en)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연합축산 Feed Pot of Liquid feed Bowl
KR102131547B1 (en) 2019-01-07 2020-07-08 주식회사 연합축산 Waste-feed Prevention Device of wet feeder
CN111085441A (en) * 2019-12-17 2020-05-01 于景智 Feeding equipment with simple separation of fodd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2349A (en) Animal feeder
KR20170133205A (en) a feeder of fodder for a pig
KR20090096666A (en) Pig feeder with feed loss prevention function
KR100913645B1 (en) Feed a pig supply
US5758598A (en) Creep feeder device
KR101661038B1 (en) device of supply pig feed
US3935838A (en) Livestock mineral dispenser
KR20200067086A (en) Feed Pot of Liquid feed Bowl
KR101901052B1 (en) Waterproof-type Automatic Feeding Assembly
CN207639478U (en) A kind of novel aquaculture box body
CN219920006U (en) Split type automatic feeding hamper
CN206150157U (en) Automatic feed and eat novel chicken coop of feeding water
KR100761221B1 (en) A feed exhaust controlling device for stock raising hopper
RU225913U1 (en) Pig feeder
KR20160004275U (en) Feeder for pig breeding
CN219741518U (en) Pet feeder
KR102131547B1 (en) Waste-feed Prevention Device of wet feeder
CN207505729U (en) A kind of cage broiler chicken is bred as amount experiment hopper
CN214413822U (en) Bee feeding device
CN211298091U (en) Feeder and birdcage subassembly
US20210204526A1 (en) Pollen feeding system for bees
US1516989A (en) Self-feeding poultry hopper
US1541132A (en) Automatic feeding device
CN110710466A (en) Raise pigs and eat device with feeding
KR20160092642A (en) device of supply pig f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