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693A - 리모트 컨트롤 장치 - Google Patents

리모트 컨트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693A
KR20170132693A KR1020170064279A KR20170064279A KR20170132693A KR 20170132693 A KR20170132693 A KR 20170132693A KR 1020170064279 A KR1020170064279 A KR 1020170064279A KR 20170064279 A KR20170064279 A KR 20170064279A KR 20170132693 A KR20170132693 A KR 20170132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center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호
프라듐나 미즈라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핑거팁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핑거팁스랩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핑거팁스랩
Priority to PCT/KR2017/00542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204567A1/ko
Publication of KR20170132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25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36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 H01H2203/038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to be bridged by a dome shaped contact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극대화된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위하여,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부에 위치하며 플렉서블한 버튼플레이트와, 상기 버튼플레이트의 적어도 중앙에 대응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회전다이얼을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모트 컨트롤 장치{Remote control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안정성이 극대화된, 다양한 앱들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폰과 같은 스마트폰이나, 아이패드나 갤럭시탭과 같은 스마트패드 등의 다양한 전자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전자장치가 갖는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이용하게 된다. 하지만 그러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제어의 경우, 제대로 터치가 이루어졌는지 등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니터의 크기가 작은 경우, 정확한 위치를 터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의도된 대로 전자장치를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눈으로 보지 않고 청각으로 스마트폰의 컨텐트를 들을 수 있고 모든 앱들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예컨대 길을 걷거나, 대중교통을 사용하거나, 운전을 할 때, 시선은 앞을 보고 귀로 들으면서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안전하게 컨텐트를 소화하고 앱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특히 시각장애인들에게는 청각이나 진동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안정성이 극대화된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부에 위치하며 플렉서블한 버튼플레이트와, 상기 버튼플레이트의 적어도 중앙에 대응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회전다이얼을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또는 불빛을 방출할 수 있는 광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버튼플레이트의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의 하면의 중앙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하부프레임 방향의 하면의 중앙에 배치된 돔스위치(dome switch)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며, 중앙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중앙플레이트 상에 위치한 중앙포스트(central post)와,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중앙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며 플렉서블한 복수개의 갈래(prong)들을 갖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복수개의 갈래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돔스위치는 상기 중앙포스트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프레임 방향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튼플레이트는, 중앙에 위치한 중앙버튼과, 상기 중앙버튼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중앙버튼을 둘러싸는 링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다이얼은 상기 버튼플레이트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베젤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버튼플레이트는 중앙에 위치한 중앙버튼과, 상기 중앙버튼 외측에 위치하는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다이얼은, 상기 중앙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개구를 가지며 상기 버튼플레이트의 상기 날개부를 덮도록 상기 중앙버튼을 둘러싸는 링버튼과, 상기 링버튼을 둘러싸는 링 형상의 베젤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링버튼과 상기 베젤은 일체(一體)일 수 있다.
상기 회전다이얼은, 회전다이얼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주(一周)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터치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다이얼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다이얼은, 상기 베젤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 상기 베젤에 결합되며,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들을 내면에 갖는, 미들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미들유닛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져 상기 회전다이얼이 회전될 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복수개의 돌기들 중 적어도 일부에 컨택하여 상기 회전다이얼의 회전방향 또는 회전속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회전감지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버튼에 대응하도록 상기 버튼플레이트의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의 하면 상에 위치하는 중앙도전층과, 상기 중앙도전층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버튼플레이트 방향의 상면 상에 위치하고 상호 이격된 제1중앙도전패턴과 제2중앙도전패턴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버튼플레이트는, 상기 중앙버튼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의 하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으로 돌출된 제1이격부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링버튼에 대응하도록 상기 버튼플레이트의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의 하면 상에 위치하는 주변도전층과, 상기 주변도전층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버튼플레이트 방향의 상면 상에 위치하고 상호 이격된 제1주변도전패턴과 제2주변도전패턴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버튼플레이트는, 상기 링버튼의 외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의 하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으로 돌출된 제2이격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버튼플레이트의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의 하면의 중앙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하부프레임 방향의 하면의 중앙에 배치된 돔스위치(dome switch)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돔스위치가 클릭되었을 시, 상기 중앙도전층이 상기 제1중앙도전패턴과 상기 제2중앙도전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면 상기 중앙버튼이 클릭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주변도전층이 상기 제1주변도전패턴과 상기 제2주변도전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면 상기 링버튼이 클릭된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중앙도전층이 상기 제1중앙도전패턴과 상기 제2중앙도전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지 않고 상기 주변도전층이 상기 제1주변도전패턴과 상기 제2주변도전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지 않으면 상기 베젤이 클릭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돔스위치가 클릭되면 상기 중앙버튼, 상기 링버튼 및 상기 베질 중 어떤 것이 클릭된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전자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회전다이얼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다이얼의 회전방향 또는 회전속도에 대한 정보를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버튼에 대응하도록 상기 버튼플레이트의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의 하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다이얼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링버튼을 따라 일주(一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주변도전층들과, 상기 복수개의 주변도전층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버튼플레이트 방향의 상면 상에 위치하고 상호 이격된 제1주변도전패턴과 제2주변도전패턴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안정성이 극대화된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인쇄회로기판, 버튼플레이트 및 회전다이얼의 결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1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저면도들이다.
도 6은 도 1의 버튼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버튼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클립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클립에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다른 클립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클립에 장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자동차 핸들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충전기기와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연동되어 사용될 수 있는 앱이 스마트폰에서 구동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21은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와 스마트폰 사이에서의 정보 처리 방법을 보여주는 신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쇄회로기판(3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인쇄회로기판(300), 버튼플레이트(400) 및 회전다이얼(500)의 결합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저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는, 하부프레임(100), 프레임(200), 인쇄회로기판(300), 버튼플레이트(400) 및 회전다이얼(500)을 구비한다.
하부프레임(100)은 예컨대 원판과 같은 형상을 갖는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판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실린더 형상의 측판을 갖는다. 여기서 실린더 형상은 속이 빈 원통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측판은 베이스판의 +z 방향 상면 상에 위치한다. 베이스판과 측판은 수지 등으로 일체(一體)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하부프레임(100)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으면 족하다.
프레임(200)은 이러한 하부프레임(100)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는데, 프레임(200)은 하부프레임(100)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프레임(100)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110) 상에 고정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베이스(110)는 하부프레임(100) 방향의 저면 근방에서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돌출된 날개부(111)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날개부(111)는 하부프레임(100)의 측판 내면에 형성된 제1걸림턱(101) 또는 제1홈에 맞물려 베이스(110)가 하부프레임(1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11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호 대향되도록 이격된 두 개의 날개부(111)들을 갖고, 하부프레임(100)은 측판 내면에 상호 대향되도록 이격된 두 개의 제1걸림턱(101)들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110)의 두 개의 날개부(111)들 사이의 공간이 제1걸림턱(101)에 대응되도록 베이스(110)와 하부프레임(100)이 맞물리도록 한 후, 베이스(110)와 하부프레임(100)을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베이스(110)의 두 개의 날개부(111)들과 하부프레임(100)의 제1걸림턱(101)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베이스(110)와 하부프레임(100)이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100)에 직접 고정되거나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프레임(100)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110) 상에 고정되는 프레임(200)은, 중앙플레이트(210), 중앙포스트(central post, 220) 및 복수개의 갈래(prong, 230)들을 갖는다. 물론 중앙플레이트(210)와 복수개의 갈래(230)들은 수지 등과 같은 물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중앙포스트(220) 역시 중앙플레이트(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중앙포스트(220)는 중앙플레이트(210)로부터 돌출되는데, 구체적으로 하부프레임(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z 방향)으로 돌출된다. 복수개의 갈래(230)들 역시 중앙플레이트(210)로부터 연장되는데, 하부프레임(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만 복수개의 갈래(230)들은 중앙포스트(220)와 달리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퍼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복수개의 갈래(230)들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며, 중앙포스트(220)는 복수개의 갈래(230)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을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0)은 이러한 복수개의 갈래(230)들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갈래(230)들 각각은 그 끝단에 돌기(231)를 갖고, 인쇄회로기판(300)은 그러한 복수개의 갈래(230)들 각각의 돌기(231)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구멍(301)들을 가져, 복수개의 갈래(230)들 각각의 돌기(231)가 인쇄회로기판(300)의 복수개의 구멍(301)들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300)이 복수개의 갈래(230)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300)에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회전다이얼(500)의 회전방향 또는 회전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회전감지스위치(320, 도 2 참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전송부(325, 도 2 참조) 또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와 같은 다양한 전자소자가 부착될 수 있고, 또한 각종 도전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인쇄회로기판(300)의 프레임(200) 방향(-z 방향)의 하면에는 프레임(200)의 중앙포스트(220)에 대응하도록 돔스위치(dome switch, 310, 도 2 참조)가 위치하는데, 이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사용할 시, 조작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직감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버튼플레이트(400)는 인쇄회로기판(300)의 (+z 방향) 상부에 위치하며,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다. 버튼플레이트(400)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기에, 사용자에 의해 버튼플레이트(400)의 어느 일부분에 압력이 인가되어 해당 부분의 형상이 변형되더라도, 다른 부분의 형상의 변형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플레이트(400)는 예컨대 고무재질과 같은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다이얼(500)은 버튼플레이트(400)에 대응하는 개구를 가지며, 인쇄회로기판(30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하부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다이얼(5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젤(510)과 미들유닛(520)을 갖는다. 베젤(510)은 버튼플레이트(400)를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갖는다. 미들유닛(520)은 이 베젤(51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 베젤(510)에 결합되며, 나아가 내면에 회전 중심축(z축)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524)들을 갖는다. 그리고 미들유닛(520)은 하부프레임(100) 방향의 끝단 부분에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걸림돌기(522)들을 갖고, 이 복수개의 걸림돌기(522)들은 하부프레임(100)의 측판 내면에 형성된 제2걸림턱(102) 또는 제2홈에 맞물려, 회전다이얼(500)이 인쇄회로기판(300)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하부프레임(10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버튼플레이트(40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쇄회로기판(300) 방향의 저면에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401)들을 갖는다. 이 돌기(401)들은 회전다이얼(500)과 인쇄회로기판(300) 사이에 위치하여, 구체적으로는 회전다이얼(500)의 베젤(510)과 인쇄회로기판(300) 사이에 위치하여, 결과적으로 버튼플레이트(400)의 (z축 방향에서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의 경우, 사용자는 브라우징(browsing)과 선택(selection)과 같은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회전다이얼(500)을 회전시키면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연결된 전자기기에 있어서 브라우징을 실시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사용자가 버튼플레이트(400)에 압력을 가할 경우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연결된 전자기기에 있어서 클릭 또는 터치에 의한 선택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가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마트폰에서 전자메일함이 활성되어 있는 상태라면, 사용자는 회전다이얼(50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메일리스트를 하방으로 또는 상방으로 브라우징할 수 있고, 사용자는 버튼플레이트(40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특정 메일을 선택하여 해당 메일의 구체적인 내용이 전자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가 전자장치에 연결되어 전자장치의 메뉴가 활성되어 있는 상태라면, 사용자는 회전다이얼(50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메뉴의 리스트를 하방/상방 또는 시계방향/반시계방향 등으로 브라우징할 수 있고, 사용자는 버튼플레이트(40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특정 메뉴를 선택하여 해당 메뉴의 구체적인 내용이 전자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해당 메뉴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는 블루투스, 근거리적외선통신 및/또는 와이파이 등의 다양한 통신수단을 통해 스마트폰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는 도 1 등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회전다이얼(500)의 회전축(z축)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회전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는 특정 방향으로의 의존성을 갖지 않는 오리엔트 인디펜던트 디자인을 갖기에, 사용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를 사용할 시 특정한 방향으로 리모트 컨트롤 장치(1)를 위치시킨 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에, 그 사용의 용이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차의 핸들에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를 장착하여 사용할 시, 핸들이 회전되더라도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전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는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되는 회전감지스위치(320)를 구비하는바, 이를 통해 회전다이얼(500)의 회전방향 또는 회전속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회전감지스위치(32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들유닛(520)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21)를 갖는다. 이에 따라 회전다이얼(500)이 회전될 시 이 돌출부(321)가 미들유닛(520)의 내면에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524)들 중 적어도 일부에 컨택하게 되는데, 그 컨택방향 및 컨택의 주기 등에 대한 정보로부터 회전다이얼(500)의 회전방향 또는 회전속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z 방향으로 리모트 컨트롤 장치(1)를 바라보면서 회전다이얼(500)을 z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와 같은 상태에서의 도 3의 저면도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게 된다. 즉, 회전감지스위치(320)의 돌출부(321)는 일단이 미들유닛(520)의 복수개의 돌기(524)들에 컨택하면서 타단이 회전감지스위치(320)의 바디부(323) 내의 두 개의 단자들(323a, 323b) 중 일 단자(323b)에 반복하여 컨택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z 방향으로 리모트 컨트롤 장치(1)를 바라보면서 회전다이얼(500)을 z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와 같은 상태에서의 도 3의 저면도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게 된다. 즉, 회전감지스위치(320)의 돌출부(321)는 일단이 미들유닛(520)의 복수개의 돌기(524)들에 컨택하면서 타단이 회전감지스위치(320)의 바디부(323) 내의 두 개의 단자들(323a, 323b) 중 타 단자(323a)에 반복하여 컨택하게 된다. 물론 회전감지스위치(320)의 바디부(323) 내에는 돌출부(32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돌출부(321)의 타단이 바디부(323)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회전감지스위치(320)의 돌출부(321)의 타단이 바디부(323) 내의 두 개의 단자들(323a, 323b) 중 어떤 단자에 컨택하느냐에 따라 회전다이얼(500)의 회전방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나아가 특정 단자와 돌출부(321)의 타단의 단위시간당 컨택 수 등을 통해 회전다이얼(500)의 회전속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회전감지스위치(320)가 획득한 회전다이얼(500)의 회전방향 및/또는 회전속도에 대한 정보는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된 전송부(325)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연동된 전자기기에 전송된다.
한편, 사용자가 버튼플레이트(400)에 (-z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면 그 압력은 버튼플레이트(400)의 하부에 위치한 인쇄회로기판(300)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프레임(200)의 플렉서블한 복수개의 갈래(230)들에 의해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300)은 프레임(200)의 중앙플레이트(210) 방향(-z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300)의 프레임(200) 방향(-z 방향)의 하면에 배치된 돔스위치(310)는 프레임(200)의 중앙플레이트(210) 상에 위치한 중앙포스트(220)에 컨택하게 되며, 사용자는 해당 돔스위치(310)에서 발생하는 "딸깍"하는 소리 및/또는 촉감을 느끼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버튼플레이트(400)가 제대로 눌렸는지를 직감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돔스위치(310)가 작동하게 되면, 돔스위치(310)가 작동했다는 정보는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된 전송부(325)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연동된 전자기기에 전송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베이스(110)에 형성된 개구 또는 홈에 수납될 수 있는 모터(113)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버튼플레이트(400)를 작동시킬 시 해당 모터(113)에서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버튼플레이트(400)가 제대로 눌렸는지를 직감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버튼플레이트(400) 내부에 또는 인쇄회로기판(300) 등에 불빛을 방출할 수 있는 광원(미도시)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버튼플레이트(400)를 작동시킬 시 해당 광원에서 광을 방출하여 사용자가 버튼플레이트(400)가 제대로 눌렸는지를 직감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이나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버튼플레이트(400)는 한 개의 단일한 버튼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는, 버튼플레이트(400)는 복수개의 버튼들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버튼플레이트(400)는 중앙버튼(410)과 링버튼(42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버튼(410)은 중앙에 위치하며, 링버튼(420)은 이 중앙버튼(410) 외측에 위치하며 중앙버튼(410)을 둘러싸는 형상을 갖는다. 즉, 중앙버튼(410)은 프레임(200)의 중앙포스트(220)에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물론 중앙버튼(410)과 링버튼(420)은 일체(一體)일 수 있다. 이때 중앙버튼(410) 상면의 요철부와 링버튼(420) 상면의 요철부의 형상이 서로 다르도록 하여, 사용자가 촉감만으로도 중앙버튼(410)과 링버튼(420)을 명확하게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의 중앙버튼(410)과 링버튼(420)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의 버튼플레이트(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저면사시도인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버튼플레이트(400)의 인쇄회로기판(300) 방향(-z 방향)의 하면 중 중앙버튼(41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중앙도전층(411)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인쇄회로기판(3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인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쇄회로기판(300)의 버튼플레이트(400) 방향(+z 방향)의 상면 중 중앙도전층(41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호 이격된 제1중앙도전패턴(331)과 제2중앙도전패턴(332)을 포함하는 중앙도전패턴(330)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버튼플레이트(400)의 플렉서블한 중앙버튼(410)에 (-z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면, 중앙도전층(411)은 제1중앙도전패턴(331)과 제2중앙도전패턴(332)에 컨택하여 제1중앙도전패턴(331)과 제2중앙도전패턴(33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제1중앙도전패턴(331)과 제2중앙도전패턴(33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돔스위치(310)가 작동하면, 이는 버튼플레이트(400)의 중앙버튼(410)이 클릭된 것으로 인식하고 해당 정보를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된 전송부(325)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연동된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중앙도전패턴(331)과 제2중앙도전패턴(33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돔스위치(310)가 작동하면, 이는 버튼플레이트(400)의 링버튼(420)이 클릭된 것으로 인식하고 해당 정보를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된 전송부(325)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연동된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중앙버튼(410)과 링버튼(420)은 일체일 수 있는바, 이에 따라 링버튼(420)이 클릭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버튼플레이트(400)의 전체적인 형상 변형에 의해 제1중앙도전패턴(331)과 제2중앙도전패턴(332)이 중앙도전층(41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버튼플레이트(400)는, 중앙버튼(41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며, 인쇄회로기판(300) 방향(-z 방향)의 하면에서 인쇄회로기판(300) 방향으로 돌출된 제1이격부(431)를 가질 수 있다. 이 제1이격부(431)는 예컨대 중앙버튼(4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주(一周)하는 형상일 수도 있다. 물론 제1이격부(431)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불연속지점들을 가질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이러한 제1이격부(431)에 의해, 링버튼(420)이 클릭될 시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의 제1중앙도전패턴(331) 및 제2중앙도전패턴(332)과 중앙버튼(410) 하면의 중앙도전층(411)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중앙버튼(410)이 클릭됨에 따라 중앙도전층(411)이 인쇄회로기판 방향(-z 방향)으로 움직여 중앙도전층(441)과 제1중앙도전패턴(331) 및 제2중앙도전패턴(332)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술한 것과 같은 제1이격부(431)가 존재하기에, 중앙버튼(410)이 클릭되는 힘이 제거되었을 시 중앙버튼(410)이 다시 반대 방향(+z 방향)으로 움직여,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의 제1중앙도전패턴(331) 및 제2중앙도전패턴(332)과 중앙버튼(410) 하면의 중앙도전층(411)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고, 이에 따라 중앙도전층(441)과 제1중앙도전패턴(331) 및 제2중앙도전패턴(33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링버튼(420)도 중앙버튼(410)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버튼플레이트(400)의 인쇄회로기판(300) 방향(-z 방향)의 하면 중 링버튼(42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주변도전층(421)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쇄회로기판(300)의 버튼플레이트(400) 방향(+z 방향)의 상면 중 주변도전층(42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호 이격된 제1주변도전패턴(341)과 제2주변도전패턴(342)을 포함하는 주변도전패턴(340)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버튼플레이트(400)의 플렉서블한 링버튼(420)에 (-z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면, 주변도전층(421)은 제1주변도전패턴(341)과 제2주변도전패턴(342)에 컨택하여 제1주변도전패턴(341)과 제2주변도전패턴(34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제1주변도전패턴(341)과 제2주변도전패턴(34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돔스위치(310)가 작동하면, 이는 버튼플레이트(400)의 링버튼(420)이 클릭된 것으로 인식하고 해당 정보를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된 전송부(325)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연동된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제1중앙도전패턴(331)과 제2중앙도전패턴(33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돔스위치(310)가 작동하면, 이는 버튼플레이트(400)의 중앙버튼(410)이 클릭된 것으로 인식하고 해당 정보를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된 전송부(325)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연동된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중앙도전패턴(331)과 제2중앙도전패턴(33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제1주변도전패턴(341)과 제2주변도전패턴(342)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돔스위치(310)가 작동하면, 이는 버튼플레이트(400)가 아닌 회전다이얼(500)이 클릭된 것으로, 즉 베젤(510)이 클릭된 것으로 인식하고, 해당 정보를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된 전송부(325)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연동된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회전다이얼(500), 즉 베젤(510)에 압력을 인가하여 돔스위치(310)가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어느 경우이든, 하나의 돔스위치(310)를 이용하여, 중앙버튼(410), 링버튼(420) 및 회전다이얼(500)의 클릭여부를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기기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회전다이얼(500)을 클릭하려는 의도였으나, 링버튼(420)의 회전다이얼(500)에 인접한 부분에도 압력이 일부 인가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회전다이얼(500)을 클릭할 의도였음에도 불구하고 제1주변도전패턴(341)과 제2주변도전패턴(342)이 주변도전층(42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버튼플레이트(400)는, 링버튼(420)의 외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며, 인쇄회로기판(300) 방향(-z 방향)의 하면에서 인쇄회로기판(300) 방향으로 돌출된 제2이격부(432)를 가질 수 있다. 이 제2이격부(432)는 예컨대 링버튼(4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주(一周)하는 형상일 수도 있다. 물론 제2이격부(432)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불연속지점들을 가질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이러한 제2이격부(432)에 의해, 회전다이얼(500)이 클릭될 시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의 제1주변도전패턴(341) 및 제2주변도전패턴(342)과 링버튼(420) 하면의 주변도전층(421)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중앙버튼(410), 링버튼(420) 및 회전다이얼(500)이 클릭될 시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된 전송부(325)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연동된 전자기기에 어떤 버튼이 클릭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기기에서 이에 대응하여 어떤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것인지는 전자기기의 종류 및 전자기기에서 작동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해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회전다이얼(500)이 회전될 경우에는 전자기기에서 브라우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중앙버튼(410)이 클릭될 경우에는 특정 아이템이 실행되도록 하며, 링버튼(420)이 클릭될 경우에는 실행이 중단되도록 하고, 회전다이얼이 클릭될 경우에는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다른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회전다이얼(500)이 회전될 경우에는 메뉴의 아이템을 고르는 기능을 하고, 중앙버튼(410)이 클릭될 경우 특정 아이템이 실행되도록 하며, 링다이얼(420)은 스마트폰의 볼륨조절 같은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링버튼(420)도 그 부분들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버튼플레이트(400)의 인쇄회로기판(300) 방향(-z 방향)의 하면 중 링버튼(420)에 대응하는 부분에 복수개의 주변도전층(421)들이 위치하도록 하고, 이 복수개의 주변도전층(421)들이 회전다이얼(500)의 회전 중심축(z축)을 중심으로 링버튼(420)을 따라 일주(一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쇄회로기판(300)의 버튼플레이트(400) 방향(+z 방향)의 상면 중 주변도전층(421)들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호 이격된 제1주변도전패턴(341)과 제2주변도전패턴(342)의 쌍들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제1주변도전패턴(341)과 제2주변도전패턴(342)의 쌍들과 복수개의 주변도전층(421)들은 1대1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버튼플레이트(400)의 링버튼(420)의 여러 지점들에 선택적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면, 어떤 지점이 선택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된 전송부(325)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연동된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로서는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기에,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연동된 전자기기에서의 다양한 작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버튼플레이트(400)는 그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그러한 디스플레이 화면에 시간을 표시하여, 리모트 컨트롤 장치(1)가 시계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와 달리, 버튼플레이트(400)는 중앙에 위치한 중앙버튼(410)과, 중앙버튼(410) 외측에 위치하는 날개부(420')를 구비한다. 그리고 회전다이얼(500)은, 중앙버튼(410)에 대응하는 개구를 가지며 버튼플레이트(400)의 날개부(420')를 덮도록 중앙버튼(410)을 둘러싸는 링버튼(512)과, 이 링버튼(512)을 둘러싸는 링 형상의 베젤(510)을 구비한다. 즉, 회전다이얼(500)의 링버튼(512)과 베젤(510)은 일체(一體)일 수 있다. 물론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다이얼(500)은 베젤(510) 또는 링버튼(512)에 결합되는 미들유닛(520)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의 경우 링버튼(512)과 베젤(510)은 인쇄회로기판(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의 베젤(510)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베젤(51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다이얼(500)의 링버튼(512)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버튼플레이트(400)의 링버튼(42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의 경우에도, 도 8의 버튼플레이트(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저면사시도인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버튼플레이트(400)의 인쇄회로기판(300) 방향(-z 방향)의 하면 중 중앙버튼(41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중앙도전층(411)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300)의 버튼플레이트(400) 방향(+z 방향)의 상면 중 중앙도전층(41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호 이격된 제1중앙도전패턴(331, 도 7 참조)과 제2중앙도전패턴(332, 도 7 참조)이 위치할 수 있다. 중앙도전층(411), 제1중앙도전패턴(311) 및 제2중앙도전패턴(332)의 기능 및 작동원리는 도 7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버튼플레이트(400)의 인쇄회로기판(300) 방향(-z 방향)의 하면 중 회전다이얼(500)의 링버튼(512)에 대응하는 부분, 즉 버튼플레이트(400)의 인쇄회로기판(300) 방향(-z 방향)의 하면 중 버튼플레이트(400)의 날개부(42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주변도전층(421)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300)의 버튼플레이트(512) 방향(+z 방향)의 상면 중 주변도전층(42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호 이격된 제1주변도전패턴(341, 도 7 참조)과 제2주변도전패턴(342, 도 7 참조)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회전다이얼(500)의 플렉서블한 링버튼(512)에 (-z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면 그 압력은 버튼플레이트(400)의 역시 플렉서블한 날개부(420')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주변도전층(421)은 제1주변도전패턴(341)과 제2주변도전패턴(342)에 컨택하여 제1주변도전패턴(341)과 제2주변도전패턴(34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제1주변도전패턴(341)과 제2주변도전패턴(34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돔스위치(310)가 작동하면, 이는 버튼플레이트(400)의 링버튼(420)이 클릭된 것으로 인식하고 해당 정보를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된 전송부(325)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연동된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제1중앙도전패턴(331)과 제2중앙도전패턴(33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돔스위치(310)가 작동하면, 이는 버튼플레이트(400)의 중앙버튼(410)이 클릭된 것으로 인식하고 해당 정보를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된 전송부(325)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연동된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중앙버튼(410)과 날개부(420')는 일체일 수 있는바, 이에 따라 링버튼(512)이 클릭되어 플렉서블한 날개부(420')가 변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버튼플레이트(400)의 전체적인 형상 변형에 의해 제1중앙도전패턴(331)과 제2중앙도전패턴(332)이 중앙도전층(41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버튼플레이트(400)는, 중앙버튼(41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며, 인쇄회로기판(300) 방향(-z 방향)의 하면에서 인쇄회로기판(300) 방향으로 돌출된 제1이격부(431)를 가질 수 있다. 이 제1이격부(431)는 예컨대 중앙버튼(4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주(一周)하는 형상일 수도 있다. 물론 제1이격부(431)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불연속지점들을 가질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이러한 제1이격부(431)에 의해, 링버튼(420)이 클릭될 시 인쇄회로기판(300)의 상면의 제1중앙도전패턴(331) 및 제2중앙도전패턴(332)과 중앙버튼(410) 하면의 중앙도전층(411)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의 경우에도, 제1중앙도전패턴(331)과 제2중앙도전패턴(33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제1주변도전패턴(341)과 제2주변도전패턴(342)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돔스위치(310)가 작동하면, 이는 버튼플레이트(400)의 중앙버튼(410)이나 회전다이얼(500)의 링버튼(512)이 아닌 베젤(510)이 클릭된 것으로 인식하고, 해당 정보를 인쇄회로기판(300)에 장착된 전송부(325)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연동된 전자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베젤(510)에 압력을 인가하여 돔스위치(310)가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때 사용자가 베젤(510)에 압력을 인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링버튼(512)에 압력이 인가된 것으로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버튼플레이트(400)는, 링버튼(420)의 외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며, 인쇄회로기판(300) 방향(-z 방향)의 하면에서 인쇄회로기판(300) 방향으로 돌출된 제2이격부(432)를 가질 수 있다. 제2이격부(432)는 물론 날개부(420')의 외측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 제2이격부(432)는 예컨대 링버튼(4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주(一周)하는 형상일 수도 있다. 물론 제2이격부(432)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불연속지점들을 가질 수도 있다. 물론 베젤(510)은 이와 같이 단독으로 버튼 용도로 이용되지는 않고, 링버튼(512)과 함께 회전하는 용도로만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는, 하나의 돔스위치(310)를 이용하여, 중앙버튼(410), 링버튼(512) 및 베젤(510)의 클릭여부를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기기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의 그 외의 구성요소들, 예컨대 하부프레임(100), 프레임(200), 인쇄회로기판(300), 미들유닛(520) 등에는 도 1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와 상이한 점은, 프레임(200, 도 1 참조)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의 경우에는 인쇄회로기판(300)의 상하 위치가 가변하지 않고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의 경우, 돔스위치가 인쇄회로기판(300)의 하부프레임(100) 방향의 하면이 아닌, 버튼플레이트(400)의 인쇄회로기판(300) 방향의 하면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의 중앙도전층(411)의 위치에 돔스위치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돔스위치의 인쇄회로기판(300) 방향의 면에는 중앙도전층이 위치하게 된다. 또는, 돔스위치는 인쇄회로기판(300)의 버튼플레이트(400) 방향의 상면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의 중앙도전패턴(330)의 위치에 돔스위치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돔스위치의 버튼플레이트(400) 방향의 면에는 중앙도전패턴이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중앙버튼(410)을 클릭할 시 중앙버튼(410)과 인쇄회로기판(300) 사이에서 돔스위치에 압력이 인가되어 돔스위치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는 돔스위치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베이스(110)에 형성된 개구 또는 홈에 수납될 수 있는 모터(113)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중앙버튼(410), 링버튼(420) 또는 베젤(510)을 클릭하거나 작동시키면 해당 모터(113)에서 진동을 발생시켜, 의도한 작동이 이루어졌음을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버튼플레이트(400) 내부에 또는 인쇄회로기판(300) 등에 불빛을 방출할 수 있는 광원(미도시)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중앙버튼(410), 링버튼(420) 또는 베젤(510)을 클릭하거나 작동시키면 해당 광원에서 광을 방출하여, 의도한 작동이 이루어졌음을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 중 프레임(200)이나 돔스위치(300)에 대한 내용을 제외한 것은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와 상이한 점은, 프레임(200, 도 8 참조)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의 경우에는 인쇄회로기판(300)의 상하 위치가 가변하지 않고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의 경우, 돔스위치가 인쇄회로기판(300)의 하부프레임(100) 방향의 하면이 아닌, 버튼플레이트(400)의 인쇄회로기판(300) 방향의 하면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의 중앙도전층(411)의 위치에 돔스위치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돔스위치의 인쇄회로기판(300) 방향의 면에는 중앙도전층이 위치하게 된다. 또는, 돔스위치는 인쇄회로기판(300)의 버튼플레이트(400) 방향의 상면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의 중앙도전패턴(330)의 위치에 돔스위치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돔스위치의 버튼플레이트(400) 방향의 면에는 중앙도전패턴이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중앙버튼(410)을 클릭할 시 중앙버튼(410)과 인쇄회로기판(300) 사이에서 돔스위치에 압력이 인가되어 돔스위치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는 돔스위치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베이스(110)에 형성된 개구 또는 홈에 수납될 수 있는 모터(113)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중앙버튼(410), 링버튼(512) 또는 베젤(510)을 클릭하거나 작동시키면 해당 모터(113)에서 진동을 발생시켜, 의도한 작동이 이루어졌음을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버튼플레이트(400) 내부에 또는 인쇄회로기판(300) 등에 불빛을 방출할 수 있는 광원(미도시)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중앙버튼(410), 링버튼(512) 또는 베젤(510)을 클릭하거나 작동시키면 해당 광원에서 광을 방출하여, 의도한 작동이 이루어졌음을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 중 프레임(200)이나 돔스위치(300)에 대한 내용을 제외한 것은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8, 도 10 및 도 11에서는 회전다이얼(500)이 미들유닛(520)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유닛은 미들유닛(520)을 구비하지 않고, 회전다이얼(500) 또한 인쇄회로기판(300)에 대해 회전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회전다이얼(500)은 직접 하부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다이얼(500)은, 회전다이얼(500)의 중심(z축)을 기준으로 일주(一周)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터치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다이얼(500)이 도 8 또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질 경우, 회전다이얼(500)은 링버튼(512) 부분에 복수개의 터치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링버튼(512)에 손가락을 터치하여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링버튼(512)에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터치지점을 이동시킨다면, 이는 마치 회전다이얼(50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만일 회전다이얼(500)이 도 1 또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질 경우, 회전다이얼(500)은 베젤(510) 부분에 복수개의 터치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버튼플레이트(400)가 도 1이나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질 경우, 버튼플레이트(400)의 링버튼(420) 부분에 복수개의 터치센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는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클립(10)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클립(10)을 입고 있는 옷 등에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모트 컨트롤 장치(1)의 하부프레임(100)은 저면 근방에서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돌출된 날개부(103, 도 1 등 참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날개부(103)는 클립(10)의 외주부에 형성된 걸림턱(11) 또는 홈에 맞물려 리모트 컨트롤 장치(1)가 클립(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리모트 컨트롤 장치(1)의 하부프레임(100)은 도 1 등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호 대향되도록 이격된 두 개의 날개부(103)들을 갖고, 클립(10)은 외주부에 상호 대향되도록 이격된 두 개의 걸림턱(11)들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프레임(100)의 두 개의 날개부(103)들 사이의 공간이 걸림턱(11)에 대응되도록 하부프레임(100)과 클립(10)이 맞물리도록 한 후,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클립(10)을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하부프레임(100)의 두 개의 날개부(103)들과 클립(10)의 걸림턱(11)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클립(10)이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다른 클립(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클립에 장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클립(10)은 외주부에 상호 대향되도록 이격된 두 개의 걸림턱(11)들을 갖는 것 외에, 외주부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13)를 갖는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 장치(1)는 날개부(103)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13)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 또는 노치(notch, 103a)를 갖는다. 이에 따라 하부프레임(100)의 두 개의 날개부(103)들 사이의 공간이 걸림턱(11)에 대응되도록 하부프레임(100)과 클립(10)이 맞물리도록 한 후,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클립(10)을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클립(10)의 돌기(13)가 리모트 컨트롤 장치(1)의 홈 또는 노치(103a)에 위치하게 되면, 하부프레임(100)의 두 개의 날개부(103)들과 클립(10)의 걸림턱(11)들이 서로 맞물려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클립(10)이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클립(10)의 돌기(13)가 리모트 컨트롤 장치(1)의 홈 또는 노치(103a)에 위치하는 순간에는 약간의 진동 또는 소리가 발생하게 되는바, 사용자는 이러한 진동을 느끼거나 소리를 들음으로써 리모트 컨트롤 장치(1)와 클립(10)이 상호 적절하게 결합되었다는 것을 직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은 실시예들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는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시계끈이 리모트 컨트롤 장치(1)에 장착되어 시계와 같이 사용자가 손목 등에 착용한 상태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고, 목걸이줄이 리모트 컨트롤 장치(1)에 장착되어 목걸이와 같이 사용자가 목에 착용한 상태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동차의 핸들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15)를 갖는 클립(10)을 이용하여, 리모트 컨트롤 장치(1)를 자동차의 핸들에 장착한 상태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 장치(1)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등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그 외에도 블루투스, 근거리적외선통신 및/또는 와이파이 등의 다양한 통신수단을 통해 텔레비전, 각종 오디오기기, 건물 내의 조명기기, 온도제어기기 등 다양한 전자기기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조명기기와 연결되어 사용된다면, 중앙버튼(410)은 조명기기의 온/오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고, 회전다이얼(500)은 조명기기의 밝기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링버튼(420)은 그 클릭되는 위치에 따라 조명기기의 색온도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리모트 컨트롤 장치(1)가 스마트폰을 통하지 않고 텔레비전, 각종 오디오기기, 건물 내의 조명기기, 온도제어기기 등 다양한 전자기기와 직접 연결될 경우, 스마트폰이 주위에 없거나 꺼져 있을 때에도 다양한 전자기기를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1)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기(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충전기기와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충전기기(20)는 마이크로유에스비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전원연결부(21)를 갖는다. 그리고 충전기기(20)는 단자부(23)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 장치(1)에 충전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장치(1)는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신의 단자부(1a)가 충전기기(20)의 단자부(23)에 접촉되도록 충전기기(20)에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충전기기(20)는 내부에 자석들(25, 27)을 가져, 리모트 컨트롤 장치(1)가 언제나 사전설정된 위치에서 충전기기(2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기기(20) 내부의 자석들(25, 27)이 서로 상이한 극성이 상부를 향하도록 하고, 리모트 컨트롤 장치(1) 역시 내부에 갖는 자석들이 서로 상이한 극성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언제나 사전설정된 위치에서만 리모트 컨트롤 장치(1)가 충전기기(2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연동되어 사용될 수 있는 앱(이하 "기본앱"이라 함)이 스마트폰에서 구동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물론 기본앱은 반드시 스마트폰에만 저장되거나 설치되거나 스마트폰에서만 실행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컴퓨터, 스마트패드 또는 텔레비전 등을 비롯한 다양한 전자기기에 저장되거나 설치되거나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에서는 그러한 다양한 전자기기를 편의상 스마트폰이라고 칭한다.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는 블루투스, 근거리적외선통신 및/또는 와이파이 등의 다양한 통신수단을 통해 스마트폰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에는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연동되어 사용될 수 있는 기본앱이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기본앱은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마트폰 내에 설치된 다양한 다른 앱들을 간략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9에서는 기본앱이 전자메일, 트위터, 페이스북 및 메시지 등의 다양한 앱들을 표시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회전다이얼(500)을 회전시켜, 사용자는 기본앱이 표시하고 있는 다양한 앱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회전다이얼(50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에서 하부로 브라우징되고,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회전다이얼(50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하부에서 상부로 브라우징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는 기본앱이 표시하고 있는 다양한 앱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기본앱은 현재 선택될 수 있는 앱이 어떤 앱인지를 특정음영이나 특정색상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브라우징을 통해 기본앱이 표시하는 다양한 앱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후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중앙버튼(410)이 클릭되면, 기본앱은 그 선택된 앱이 그때까지 수신한 정보를 스마트폰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메일을 선택한 후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중앙버튼(410)을 클릭하게 되면, 기본앱은 그때까지 수신된 전자메일들을 스마트폰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기본앱은 그때까지 수신된 전자메일들의 제목 등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회전다이얼(500)을 회전시켜 어느 하나의 전자메일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중앙버튼(410)을 클릭하게 되면 해당 기본앱은 전자메일의 내용을 스마트폰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상태에서 중앙버튼(410)을 더블클릭하는 등의 사전설정된 작동이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서 이루어지면, 스마트폰의 기본앱은 전자메일의 내용이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스피커를 구비하도록 하여,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전자메일의 내용이 스마트폰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중앙버튼(410) 또는 링버튼(420, 512)을 더블클릭하는 등의 사전설정된 작동이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서 이루어지면, 전자메일에 답장을 할 수 있는 메뉴를 스마트폰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회전다이얼(500)을 회전시켜 어느 한 아이템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메뉴가 포함하는 아이템은 "예", "아니오" 또는 "좋아요" 등의 미리 설정된 답장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회전다이얼(500)을 회전시켜 어느 한 아이템을 선택하고 중앙버튼(410)을 클릭하면 해당 내용의 답장을 스마트폰에서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전자메일의 내용이 스마트폰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중앙버튼(410) 또는 링버튼(420, 512)을 더블클릭하는 등의 사전설정된 작동이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서 이루어지면,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포함하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메세지를 수신하고 이를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음성메세지를 스마트폰에서 발송할 수 있다. 또는, 전자메일의 내용이 스마트폰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중앙버튼(410) 또는 링버튼(420, 512)을 더블클릭하는 등의 사전설정된 작동이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서 이루어지면, 전자메일에 전화번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스마트폰을 통해 바로 전화를 걸 수도 있고, 전자메일에 주소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스마트폰을 통해 내비게이션 기능이 작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어떤 상태에서든, 링버튼(420 또는 512)이 클릭되면, 이전 상태로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기본앱이 특정 전자메일의 내용이 스마트폰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링버튼(420 또는 512)이 클릭되면, 기본앱은 그때까지 수신된 전자메일들의 제목 등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물론 리모트 컨트롤 장치(1)가 마이크로폰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폰을 이용해 사용자의 음성명령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스마트폰으로 송신하여, 상술한 것과 같은 스마트폰 상에서의 기본앱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기본앱은 스마트폰 내에 설치된 다양한 다른 앱들이 수신한 정보를 모아서 스마트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9에서는 기본앱이 전자메일, 트위터, 페이스북 및 메시지 외에 통지(notification)도 표시하고 있는바,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회전다이얼(500)을 회전시켜 브라우징을 통해 통지(notification)를 선택하고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중앙버튼(410)을 클릭하면, 기본앱은 스마트폰 내에 설치된 다양한 다른 앱들이 그때까지 수신한 정보를 모아서 스마트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0은 그와 같이 기본앱이 스마트폰 내에 설치된 다양한 다른 앱들이 그때까지 수신한 정보를 모아서 스마트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예컨대 하부에 위치한 정보일수록 스마트폰이 최근에 수신한 정보일 수 있다. 즉, 도 20의 경우 위챗(WeChat) 앱에서 제1정보를 수신하고, 이어 텔레그램(Telegram) 앱에서 제2정보를 수신하고, 이후 다시 위챗(WeChat) 앱에서 제3정보를 수신하며, 이후 카카오톡(KakaoTalk) 앱에서 제4정보와 제5정보를 수신하였기에, 기본앱은 순차로 제1정보부터 제5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본앱을 이용하게 되면, 스마트폰에 설치된 다양한 앱들이 수신한 정보들을 그 다양한 앱들 각각의 화면에서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앱에서 효과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것과 같은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이용하면, 그러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와 연동된 기본앱에서 다양한 앱들이 수신한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회전다이얼(500)을 회전시켜 브라우징을 통해 기본앱이 표시하고 있는 다양한 앱들이 수신한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중앙버튼(410)을 클릭하면, 그 선택된 특정 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이 스마트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거나 스마트폰의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가 스피커를 구비하도록 하여,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러한 상태에서 중앙버튼(410)이 사전설정된 시간동안 클릭되거나 더블클릭되는 등의 사전설정된 방식으로 조작되면, 그 특정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이용해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그 특정 정보에 포함된 발신정보를 이용해 발신자에게 메시지 등의 형식으로 회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어느 단계에서든 링버튼(420 또는 512)이 클릭되면, 이전 상태로 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기본앱이 특정 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을 스마트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링버튼(420 또는 512)이 클릭되면,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마트폰 내에 설치된 다양한 다른 앱들이 그때까지 수신한 정보를 모아서 스마트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1은 도 20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기본앱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와 스마트폰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정보 처리 방법을 보여주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마트폰의 제1앱(예컨대 위챗(WeChat))이 제1정보(Hi, Let's meet at the scho ...)를 수신하면, 스마트폰은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제1앱의 제1정보를 전송하고, 리모트 컨트롤 장치는 수신한 제1앱의 제1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재전송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기본앱은 제1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그 후 스마트폰의 제2앱(예컨대 텔레그램(Telegram))이 제2정보(Do you know the homework ...)를 수신하면, 스마트폰은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제2앱의 제2정보를 전송하고, 리모트 컨트롤 장치는 수신한 제2앱의 제2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재전송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기본앱은 제2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어 스마트폰의 제1앱(예컨대 위챗(WeChat))이 제3정보(I makde a reservation ...)를 수신하면, 스마트폰은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제1앱의 제3정보를 전송하고, 리모트 컨트롤 장치는 수신한 제1앱의 제3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재전송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기본앱은 제3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후 스마트폰의 제3앱(예컨대 카카오톡(KakaoTalk))이 제4정보(You are registered to the meeting ...)를 수신하면, 스마트폰은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제3앱의 제4정보를 전송하고, 리모트 컨트롤 장치는 수신한 제3앱의 제4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재전송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기본앱은 제4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제3앱(예컨대 카카오톡(KakaoTalk))이 제5정보(Please call to me when ...)를 수신하면, 스마트폰은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로 제3앱의 제5정보를 전송하고, 리모트 컨트롤 장치는 수신한 제3앱의 제5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재전송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기본앱은 제5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되면, 스마트폰의 기본앱은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마트폰에 설치된 서로 다른 앱들이 수신한 여러 정보들인 제1정보 내지 제5정보를 스마트폰의 화면에 일괄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0에서는 위챗, 텔레그램 및 카카오톡의 앱들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기본앱이 처리할 수 있는 앱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트위터, 페이스북 및/또는 이메일 등의 다양한 앱들이 수신한 정보를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괄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에 설치된 다양한 앱들은 보안 상의 이유로 서로 정보를 공유할 수 없다. 하지만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와 상술한 것과 같은 기본앱을 이용하게 되면, 다양한 앱들이 수신한 정보들을 모아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다양한 앱들로부터의 정보들을 수신하더라도, 사전설정된 단어나 문구가 포함된 정보는 스마트폰으로 재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homework"라는 단어를 사전에 블록처리하였다면,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제2앱의 제2정보(Do you know the homework ...)를 수신하더라도 이를 스마트폰으로 재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20에 도시된 것과 달리, 기본앱은 위에서 두 번째 메시지(Do you know the homework ...)는 표시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는 수신된 정보들을 필터링 또는 큐레이팅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다양한 앱들로부터의 정보들을 수신하면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를 모두 스마트폰으로 재전송하고, 다만 기본앱이 사전설정된 단어나 문구가 포함된 정보를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homework"라는 단어를 사전에 블록처리하였다면, 도 1 등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통해 기본앱이 제2정보(Do you know the homework ...)를 수신하더라도 이를 스마트폰의 화면에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도 20에 도시된 것과 달리, 기본앱은 위에서 두 번째 메시지(Do you know the homework ...)는 표시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기본앱은 수신된 정보들을 필터링 또는 큐레이팅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표시하지 않는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된 단어나 문구가 포함된 정보일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인공지능에 의해 스팸정보인 것으로 판단된 정보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기본앱은 스팸정보 여부를 판단하는 서버로 해당 정보(예컨대 제2정보)를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그 결과에 따라 해당 정보를 스마트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기본앱의 기능은, 반드시 도 1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리모트 컨트롤 장치를 통해서만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스마트폰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라면 그러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술한 것과 같은 기본앱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기본앱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리모트 컨트롤 장치 10: 클립
11: 걸림턱 20: 충전기기
21: 전원연결부 23: 단자부
100: 하부프레임 110: 베이스
200: 프레임 210: 중앙플레이트
220: 중앙포스트 230: 복수개의 갈래
300: 인쇄회로기판 310: 돔스위치
320: 회전감지스위치 325: 전송부
331: 제1중앙도전패턴 332: 제2중앙도전패턴
341: 제1주변도전패턴 342: 제2주변도전패턴
400: 버튼플레이트 410: 중앙버튼
411: 중앙도전층 420: 링버튼
421: 주변도전층 431: 제1이격부
432: 제2이격부 500: 회전다이얼
510: 베젤 520: 미들유닛
522: 걸림돌기 524: 돌기

Claims (18)

  1.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부에 위치하며 플렉서블한 버튼플레이트; 및
    상기 버튼플레이트의 적어도 중앙에 대응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회전다이얼;
    을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터 또는 불빛을 방출할 수 있는 광원을 더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플레이트의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의 하면의 중앙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하부프레임 방향의 하면의 중앙에 배치된 돔스위치(dome switch)를 더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며, 중앙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중앙플레이트 상에 위치한 중앙포스트(central post)와,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중앙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며 플렉서블한 복수개의 갈래(prong)들을 갖는,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복수개의 갈래들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돔스위치는 상기 중앙포스트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프레임 방향의 하면에 배치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플레이트는,
    중앙에 위치한 중앙버튼; 및
    상기 중앙버튼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중앙버튼을 둘러싸는 링버튼;
    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다이얼은 상기 버튼플레이트를 둘러싸는 링 형상의 베젤을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플레이트는,
    중앙에 위치한 중앙버튼; 및
    상기 중앙버튼 외측에 위치하는 날개부;
    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다이얼은,
    상기 중앙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개구를 가지며 상기 버튼플레이트의 상기 날개부를 덮도록 상기 중앙버튼을 둘러싸는 링버튼; 및
    상기 링버튼을 둘러싸는 링 형상의 베젤;
    을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버튼과 상기 베젤은 일체(一體)인, 리모트 컨트롤 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다이얼은, 회전다이얼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주(一周)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터치센서들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다이얼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된, 리모트 컨트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다이얼은, 상기 베젤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 상기 베젤에 결합되며,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들을 내면에 갖는, 미들유닛을 더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미들유닛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져 상기 회전다이얼이 회전될 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복수개의 돌기들 중 적어도 일부에 컨택하여 상기 회전다이얼의 회전방향 또는 회전속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회전감지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12.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버튼에 대응하도록 상기 버튼플레이트의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의 하면 상에 위치하는 중앙도전층; 및
    상기 중앙도전층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버튼플레이트 방향의 상면 상에 위치하고, 상호 이격된 제1중앙도전패턴과 제2중앙도전패턴;
    을 더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플레이트는, 상기 중앙버튼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의 하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으로 돌출된 제1이격부를 갖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링버튼에 대응하도록 상기 버튼플레이트의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의 하면 상에 위치하는 주변도전층; 및
    상기 주변도전층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버튼플레이트 방향의 상면 상에 위치하고, 상호 이격된 제1주변도전패턴과 제2주변도전패턴;
    을 더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플레이트는, 상기 링버튼의 외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의 하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으로 돌출된 제2이격부를 갖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플레이트의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의 하면의 중앙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하부프레임 방향의 하면의 중앙에 배치된 돔스위치(dome switch)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돔스위치가 클릭되었을 시,
    상기 중앙도전층이 상기 제1중앙도전패턴과 상기 제2중앙도전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면, 상기 중앙버튼이 클릭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주변도전층이 상기 제1주변도전패턴과 상기 제2주변도전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면, 상기 링버튼이 클릭된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중앙도전층이 상기 제1중앙도전패턴과 상기 제2중앙도전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지 않고 상기 주변도전층이 상기 제1주변도전패턴과 상기 제2주변도전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지 않으면, 상기 베젤이 클릭된 것으로 인식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며, 상기 돔스위치가 클릭되면 상기 중앙버튼, 상기 링버튼 및 상기 베질 중 어떤 것이 클릭된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전자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회전다이얼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다이얼의 회전방향 또는 회전속도에 대한 정보를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링버튼에 대응하도록 상기 버튼플레이트의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의 하면 상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다이얼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링버튼을 따라 일주(一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주변도전층들; 및
    상기 복수개의 주변도전층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버튼플레이트 방향의 상면 상에 위치하고, 상호 이격된 제1주변도전패턴과 제2주변도전패턴;
    을 더 구비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KR1020170064279A 2016-05-24 2017-05-24 리모트 컨트롤 장치 KR20170132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5429 WO2017204567A1 (ko) 2016-05-24 2017-05-24 리모트 컨트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40538P 2016-05-24 2016-05-24
US62/340,538 2016-05-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693A true KR20170132693A (ko) 2017-12-04

Family

ID=6092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279A KR20170132693A (ko) 2016-05-24 2017-05-24 리모트 컨트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269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149A1 (ko) * 2020-12-03 2022-06-09 경인전자 주식회사 인풋 디바이스
WO2022220571A1 (ko) * 2021-04-14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휠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WO2023128183A1 (ko) * 2021-12-28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149A1 (ko) * 2020-12-03 2022-06-09 경인전자 주식회사 인풋 디바이스
KR20220078035A (ko) * 2020-12-03 2022-06-10 경인전자 주식회사 인풋 디바이스
WO2022220571A1 (ko) * 2021-04-14 2022-10-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휠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WO2023128183A1 (ko) * 2021-12-28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198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earphone switching, earphone, and earphone system
CN113253856B (zh) 触控笔和电子设备组件
US9860436B2 (en) Changing display images of a camera timer remote control
EP3340264B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6457553B2 (ja) デバイスモードに基づくデバイス間のメッセージアラート提示の調整
KR20170132693A (ko) 리모트 컨트롤 장치
CN107577280A (zh) 用于电子设备的触觉开关
US9362639B2 (en) Audio jack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200903198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a Tactile Cue
AU2014281595A1 (en) Determining proximity for devices interacting with media devices
KR2015014015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301738A1 (en) Mobile terminal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20090153367A1 (en) Pen-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CN104350483A (zh) 电子设备的整体识别
WO2019195300A2 (en)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system
CN104571498A (zh) 一种应用程序启动方法
CN112689038B (zh) 电子装置的装饰组件和电子装置
KR20210101702A (ko)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생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00399371C (zh) 遥控发送机及使用它的发送接收装置
WO2017222948A1 (en) User input peripheral
JP2016502196A (ja) アプリインストール方法、アプリインストール装置、設備、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60095887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WO2017204567A1 (ko) 리모트 컨트롤 장치
WO2016175055A1 (ja) ウエアラブル装置
JP2015106716A (ja) 電子機器及び操作受付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