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988A -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인솔 - Google Patents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인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988A
KR20170131988A KR1020160062896A KR20160062896A KR20170131988A KR 20170131988 A KR20170131988 A KR 20170131988A KR 1020160062896 A KR1020160062896 A KR 1020160062896A KR 20160062896 A KR20160062896 A KR 20160062896A KR 20170131988 A KR20170131988 A KR 20170131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ressure
sensing
layer
intermediat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498B1 (ko
Inventor
조현진
김정한
조원근
조인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2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498B1/ko
Priority to PCT/KR2017/005302 priority patent/WO2017204514A1/ko
Priority to US16/302,589 priority patent/US10918156B2/en
Publication of KR20170131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2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e.g. of potentiometers, electric circuits therefor, e.g. bridges, amplifiers or signal conditioning
    • G01L9/06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by making use of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e.g. of potentiometers, electric circuits therefor, e.g. bridges, amplifiers or signal conditioning of piezo-resistiv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3Monitoring or controlling sensor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6Alloys based on copp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H01B1/127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comprising five-membered aromatic rings in the main chain, e.g. polypyrroles, polythiophe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동일 평면 상에 이격 배치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층 및 상기 연결층 상에 배치되는 중간층을 포함하고,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중간층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를 연결하여 압력을 감지한다.

Description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인솔{SENSOR FOR DETECTING PRESSURE AND INSOL OF SENSING PRESSUR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인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 및 인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과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헬스 케어(Health Care) 분야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즉,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람의 몸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건강 관리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신발 내에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를 장착하여 착용자의 건강 상태, 보행 자세 등을 파악하고자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신발의 밑창 또는 인솔 내에 압력 감지 센서를 내장하는 경우, 다수 의 센서가 필요하며, 센서의 삽입을 위하여 추가의 공간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센서가 유연성 및 신축성이 없으므로, 복곡면 형태의 신발에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으며, 공정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해진 무게에 따른 압력 및 위치를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 및 압력 감지 인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일 평면 상에 이격 배치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층 및 상기 연결층 상에 배치되는 중간층을 포함하고,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중간층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를 연결하여 압력을 감지한다.
상기 연결층과 상기 제1 전극이 접하는 부분의 면적은 상기 제1 전극의 상부면의 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연결층과 상기 제2 전극이 접하는 부분의 면적은 상기 제2 전극의 상부면의 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중간층 상에 배치되는 커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빗살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이 교대로 반복된 나선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전도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섬유는 금속 와이어이거나, 표면 상에 금속 막이 피복된 섬유일 수 있다.
상기 연결층은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인솔은 복수의 압력 감지 센서,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배선 및 상기 복수의 배선과 연결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 센서는, 동일 평면 상에 이격 배치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층 및 상기 연결층 상에 배치되는 중간층을 포함하고,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중간층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를 연결하여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전극층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압력을 감지하는 센싱영역과 상기 압력을 감지하지 않는 링크 영역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센서, 상기 복수의 배선 및 상기 커넥터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가해진 무게에 따른 압력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전극을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정밀하게 압력 분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인솔을 사용할 경우 신발 내에 센서를 내장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인솔은 유연하고 신축성이 좋아 다양한 형태의 신발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는 동일한 층 상에 양극과 음극이 모두 배치될 수 있어 인솔의 두께가 얇아진다. 이로써, 압력 감지 센서의 재료비가 적게 들고 가공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인솔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인솔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인솔의 하면도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인솔의 센싱 영역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element)가 상기 두 구성요소(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제1" 및 "제2,"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센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인솔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인솔의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압력 감지 센서 및 압력 감지 인솔(100)은 전극층(110), 연결층(120), 중간층(130) 및 커버층(140)을 포함한다.
압력 감지 인솔(100)은 압력을 감지하는 영역인 센싱 영역(113)에 압력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압력 감지 센서와 동일하게 복수의 층인 전극층(110), 연결층(120), 중간층(130) 및 커버층(140)을 포함한다.
전극층(110)은 직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2)을 포함한다. 또한, 전극층(110)의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2)은 동일 면 상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층에서 접지 연결이 가능하며, 추가 접지 전극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압력 감지 인솔(100)의 재료비 및 제작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압력 감지 인솔(100)의 두께(d)도 감소한다. 뿐만 아니라, 전극의 접지 연결이 용이해져, 불량률이 감소한다.
직물은 전도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도성 섬유는 금속 와이어 또는 표면 상에 금속 막이 피복된 일반 섬유일 수 있다. 전도성 섬유는 금속 입자가 분산된 일반 섬유일 수도 있다. 전도성 섬유가 금속 와이어인 경우, 금속 와이어의 직경은 10㎛ 내지 500㎛일 수 있다. 금속 와이어의 직경이 10㎛ 미만이면 금속 와이어의 강도가 약하여 직물 가공이 어려울 수 있으며, 금속 와이어의 직경이 500㎛를 초과하면 금속 와이어의 강성이 높아 직물의 유연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직물의 가공 시 설비에 데미지를 줄 수 있고, 사용자가 이질감을 느끼기 쉽다.
이때, 금속 와이어는 Cu, Ni, 또는 스테인레스 합금일 수 있다. 스테인레스 합금은, 예를 들면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 합금,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 합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합금, 2상계 스테인레스 합금, 석출경화계 스테인레스 합금 등일 수 있다. 금속 와이어가 스테인레스 합금인 경우, 압력 감지 인솔(100)의 내부식성을 높일 수 있다.
전도성 섬유가 표면 상에 금속 막이 피복된 일반 섬유인 경우, 금속 막은 금
속 입자가 도금 방식 또는 증착 방식으로 일반 섬유의 표면 상에 피복되는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금속 입자는 Cu, Ni, 또는 스테인레스 합금일 수 있으며, 금속 막의 두께는 1㎛ 내지 50㎛일 수 있다. 금속 막의 두께가 1㎛ 미만이면 전도율이 낮으므로 신호 전송 시에 손실을 유발할 수 있으며, 금속 막의 두께가 50㎛ 를 초과하면 섬유의 표면에서 금속 막이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연결층(120)은 절연 물질(121)을 포함하고, 전극층(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연 물질(121)은 전극층(110)의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2)과 중간층(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절연 물질(121)은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2)이 이격 배치되어, 절연물질 쌍(122)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절연체(121)는 필름의 양면 상에 절연 접착제가 코팅된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은 양극과 음극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실시예로, 센싱 영역(113)은 압력 감지 센서가 배치되어,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 사이의 간격을 포함하면서, 가해지는 외부 압력을 감지하는 영역으다. 압력 감지 인솔(100)에서 전극층(110)은 센싱영역(113)을 포함한다.
센싱 영역(113)은 압력을 감지하고자 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의 발 상태를 알기 원하는 지점의 압력을 감지하여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싱 영역(113) 상에 압력(F)이 가해지면, 탄성이 있는 중간층(130)의 두께가 변화한다. 이 때, 중간층(130)의 두께변화로 이격 배치된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 사이가 연결되어 전기가 통하게 된다. 그리고 발생된 전기 신호로부터 압력의 정도를 감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인솔(100)은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을 이격 배치하고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 상에 절연체도 이격 배치함으로써,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 사이에서 간격, 뿐만 아니라 한 쌍의 절연체(122)에서 절연체(121)간에 간격을 형성하여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절연체(121)와 제1 전극(111)이 접하는 면적은 제1 전극(111)의 상부면의 면적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11)의 일단과 절연체의 일단 사이에 소정의 간격(s)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연체(121)와 제2 전극(112)이 접하는 면적은 제2 전극(112)의 상부면의 면적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11)의 일단과 절연체(121)의 일단 사이에 소정의 간격(s)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인솔(100)에 낮은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중간층(130)의 두께가 적게 변하더라도 중간층(130)이 한 쌍의 절연체(122) 사이의 간격에서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압력 감지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링크 영역(114)은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2)와 동일 평면 상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으로 센싱 영역(113) 이외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링크 영역(114)은 센싱 영역(113)으로부터 발생한 전기 신호를 커넥터(115)에 전달한다. 여기서 커넥터(115)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rard)로 구현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커넥터(115)를 통해 수신한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압력 감지 인솔(100) 상에 가해진 사용자의 체압 분포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이 연결된 커넥터(115)는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의 동일 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링크 영역(114)에서 중간층(130)과 전극 사이는 절연체(121)가 배치되어 절연이 될 수 있다. 절연체의 배치로 인해,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인솔(100)은 링크 영역(114)상에 가해진 압력은 감지하지 않으며, 압력 감지 센서가 위치하고,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압력을 감지하는 센싱 영역(113) 상에 가해진 압력만을 감지한다.
한편, 중간층(130)은 탄성체, 그리고 탄성체 내에 분산된 전도성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는 발포폼, 부직포, 나노웹 등의 랜덤한 섬유 배열을 가지는 섬유 기재, 폴리우레탄, 나일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합성섬유 또는 천연 섬유, 엘라스토머, 고무, 우레탄 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층(130)에는 미세 기공이 존재하며, 탄성이 있다. 이때, 중간층(130)의 두께는 1 내지 4mm일 수 있다. 중간층(130)의 두께가 1mm 미만인 경우, 정상 상태, 즉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절연 기능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외력이 가해진 경우 두께의 변화량이 작으므로 저항의 변화량이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 감지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중간층(130)의 두께가 4mm를 초과하는 경우, 신발 내에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중간층(130)에 포함되는 전도성 복합체는 탄성체를 이루는 섬유의 표면 상에 피복되거나, 탄성체 내에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층(130)은 정상 상태에서 저항이 1kΩ이상으로 절연 특성을 가지나, 중간층(130, 140)의 주변에 물리적인 변화가 발생한 경우, 즉 센싱 영역(113) 상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 센싱 영역(113) 아래에 배치된 중간층(130)의 두께가 줄어들어, 저항이 변화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전도성 복합체는 전도성 고분자 및 전도성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복합체는 탄성체의 1 내지 10wt%로 포함될 수 있다. 전도성 복합체가 탄성체의 10wt%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절연 특성을 보장하기 어려워진다.
이때,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또는 폴리피롤(polypyrrole)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분말은 Au, Ag, Cu, Ni, CNT(Carbon Nano Tube), 그래핀 및 세라믹 필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도성 분말의 직경은 10nm 내지 500㎛일 수 있고, 구형, 침상형 또는 판상형일 수 있다. 전도성 분말의 직경이 10nm 미만이면 전도성 고분자 내 분산이 어려우며 입자간 계면 저항이 높아 중간층(130) 전체의 저항이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전도성 분말의 직경이 500㎛를 초과하면 중간층(130)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마찰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가공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중간층(130)은 복수의 층이 적층된 형태일 수도 있다.
커버층(140)은 압력 감지 인솔(100)의 외면을 감싸며, 압력 감지 인솔(10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인솔의 하면도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예로 센싱 영역(113-1 내지 113-6)은 6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조건은 전도성 직물이면서 금속막이 피복된 전극층을 에칭(etching)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나타내어 센싱 영역 및 링크 영역을 압력 감지 인솔에 나타내었다. 이에, 전도성 직물 자체는 균일한 선 저항을 가지나, 에칭 시에 직물 성향으로 인해 에칭 작업이 균일하게 일어나지 않게된다. 이로 인해, 센싱 영역의 각 위치에 따라 초기 저항은 상이하게 나타난다.
또한, 반복 굽힘 전/후로 선 저항 측정이 이루어지는 측정 위치에 약간의 오차가 존재하여, 반복 굽힘을 수행한 후에 측정된 선 저항 결과 값에 약간의 오차가 포함된다.
먼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동일 면 상에 수평으로 배치된 경우 각 센싱 영역(113-1 내지 113-6)에 대한 반복 굽힘(250,000회)을 실시하고 전극층의 초기 선 저항 대비 선 저항의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표 1 참조)
측정위치 초기 저항, [Ω/cm] 반복 굽힘 후, [Ω/cm]
(250,000회)
초기 대비 변화율, [%]
113-1 6.625 3.38 51
113-2 3.43 3.47 101
113-3 2.39 2.88 121
113-4 0.61 0.71 117
113-5 4.94 3.82 77
113-6 0.63 0.94 150
초기 대비 평균 변화율 103%
추가로, 센싱 영역에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수평이 아니라 수직으로 배치된 경우(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중간층을 형성한 구조)에 각 센싱 영역(113-1 내지 113-6)에 대한 반복 굽힘(250000회)을 실시하고 전극층의 초기 선 저항 대비 선 저항의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표 2 참조)
측정위치 초기 저항, [Ω/cm] 반복 굽힘 후, [Ω/cm]
(250,000회)
초기 대비 변화율, [%]
113-1 0.313 0.719 230
113-2 1.04 4.09 395
113-3 0.29 2.07 715
113-4 0.20 1.74 850
113-5 0.29 0.912 310
113-6 0.313 0.313 100
초기 대비 평균 변화율 433%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동일 면 상에 수평으로 이격 배치하여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보다 선 저항의 변화가 적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수평으로 이격 배치하는 경우가 압력 감지 인솔의 내구성면에서 훨씬 뛰어나다.
이는 초기 대비 선 저항의 평균 변화율의 차이를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수평으로 배치한 경우는 반복 굽힘으로 주름이 발생하지 않으나,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수직으로 배치된 경우는 반복 굽힘으로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 인솔의 센싱 영역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센싱 영역(113)에서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은 다양한 형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센싱 영역(113)에서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2)은 빗살형상일 수 있다. (도 5(a) 참조)
그리고 빗살 형상의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b) 참조) 뿐만 아니라, 빗살 형상의 제1 전극(111)과 제2 전극(112)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c) 참조)
또한, 센싱 영역(113)에서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2)이 교대로 반복된 나선형상일 수 있다. (도 5(d) 참조)이와 같이 센싱 영역(113)에서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2)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받아들이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센싱 영역(113)에서 겹쳐지는 전극의 수를 증가시켜 센서 민감도를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압력 감지 인솔
110: 전극층
111: 제1 전극
112: 제2 전극
113: 센싱 영역
120: 연결층
130: 중간층
140: 커버층

Claims (13)

  1. 동일 평면 상에 이격 배치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층; 및
    상기 연결층 상에 배치되는 중간층을 포함하고,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중간층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를 연결하여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 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층과 상기 제1 전극이 접하는 부분의 면적은 상기 제1 전극의 상부면의 면적보다 좁은 압력 감지 센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층과 상기 제2 전극이 접하는 부분의 면적은 상기 제2 전극의 상부면의 면적보다 좁은 압력 감지 센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상에 배치되는 커버층을 더 포함하는 압력 감지 센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빗살형상을 포함하는 압력 감지 센서.
  6.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압력 감지 센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는 압력 감지 센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이 교대로 반복된 나선형상인 압력 감지 센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센서.
  1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섬유는 금속 와이어이거나, 표면 상에 금속 막이 피복된 섬유인 압력 감지 센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층은 절연물질을 포함하는 압력 감지 센서.
  12. 복수의 압력 감지 센서;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 복수의 배선; 및
    상기 복수의 배선과 연결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 센서는,
    동일 평면 상에 이격 배치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층,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층 및 상기 연결층 상에 배치되는 중간층을 포함하고, 외부 압력에 의해 상기 중간층이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를 연결하여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전극층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여 압력을 감지하는 센싱영역과 상기 압력을 감지하지 않는 링크 영역을 더 포함하는 압력 감지 인솔.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센서, 상기 복수의 배선 및 상기 커넥터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압력 감지 인솔.
KR1020160062896A 2016-05-23 2016-05-23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인솔 KR102417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896A KR102417498B1 (ko) 2016-05-23 2016-05-23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인솔
PCT/KR2017/005302 WO2017204514A1 (ko) 2016-05-23 2017-05-23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인솔
US16/302,589 US10918156B2 (en) 2016-05-23 2017-05-23 Pressure detection sensor and pressure detection insole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896A KR102417498B1 (ko) 2016-05-23 2016-05-23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인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988A true KR20170131988A (ko) 2017-12-01
KR102417498B1 KR102417498B1 (ko) 2022-07-06

Family

ID=6092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896A KR102417498B1 (ko) 2016-05-23 2016-05-23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인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4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967B1 (ko) * 2019-11-29 2021-05-07 주식회사 카이트로닉스 스마트 인솔
CN113820050A (zh) * 2020-06-18 2021-12-21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压力传感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964A (ko) * 2010-05-12 2011-11-18 이진욱 걸음걸이 진단을 위한 신발 깔창
US20130213147A1 (en) * 2012-02-22 2013-08-22 Nike, Inc. Footwear Having Sensor System
KR20140004206A (ko) * 2011-02-17 2014-01-10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센서 시스템을 구비하는 신발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964A (ko) * 2010-05-12 2011-11-18 이진욱 걸음걸이 진단을 위한 신발 깔창
KR20140004206A (ko) * 2011-02-17 2014-01-10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센서 시스템을 구비하는 신발류
US20130213147A1 (en) * 2012-02-22 2013-08-22 Nike, Inc. Footwear Having Sensor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967B1 (ko) * 2019-11-29 2021-05-07 주식회사 카이트로닉스 스마트 인솔
CN113820050A (zh) * 2020-06-18 2021-12-21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压力传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498B1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23784B1 (en) A capacitive force and/or pressure sensor
CN108135362B (zh) 压力感测椅
CN102770742B (zh) 柔性压力传感器及柔性压力传感列阵
KR101985065B1 (ko) 스트레치가능한 도전 회로 및 그 제조방법
US20140130593A1 (en) Pressure measurement structure
US10918156B2 (en) Pressure detection sensor and pressure detection insole including same
KR20180117893A (ko) 압력 센서
US10591272B2 (en) Strain sensor with improved sensitivity
JP7416447B2 (ja) 伸縮性のある配線に接続されたセンサ
KR20180117891A (ko)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장치
KR20180049677A (ko) 압력 감지 인솔
KR20180038757A (ko) 압력 감지 장치
KR101783413B1 (ko)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인솔
KR102436635B1 (ko) 압력 감지 인솔
KR102417498B1 (ko)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인솔
US20220268646A1 (en) Pressure sensing system and pressure sensing setting method
FI128328B (en) Power and / or pressure sensors with at least two electrode bearings
KR20180117889A (ko) 압력 센서
KR102492375B1 (ko) 압력 감지 의자
WO2022181254A1 (ja) 荷重センサ
KR20180117895A (ko)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압력 감지 장치
JP2022533344A (ja) 静電容量タッチおよび圧力センサ
KR102568540B1 (ko) 압력 감지 센서
KR20180078708A (ko) 다채널 정전용량 압력 센서
KR20170077514A (ko) 압력 감지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