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204A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iot devi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io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204A
KR20170131204A KR1020170030162A KR20170030162A KR20170131204A KR 20170131204 A KR20170131204 A KR 20170131204A KR 1020170030162 A KR1020170030162 A KR 1020170030162A KR 20170030162 A KR20170030162 A KR 20170030162A KR 20170131204 A KR20170131204 A KR 20170131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iot terminal
iot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1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길수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Publication of KR2017013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20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04W4/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by utilizing an IoT terminal which can simply and effectively perform an operation of searching and tracking a location of a user by utilizing an IoT terminal. Provided are a system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by utilizing an IoT terminal and a method using the same, the system comprising a location management server coupled to an IoT terminal through an IoT network, coupled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through the IoT network from the IoT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IOT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n IoT terminal,

본 발명은,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라(LoRa) 단말 등과 같은 IoT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으며, 긴급 상황 발생시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린이나 노약자와 같은 피보호 대상자를 보호하고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n IoT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n IoT terminal such as a LoRa terminal, And to provide a monitoring service capable of protecting a person to be protected such as a child or an aged person and preventing an accident in advance in case of an emergency.

최근,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과 같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자동차, 가전제품 등의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자동으로 구동하는 등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such as the Internet of Things (IoT), in which all objects such as automobiles and household appliances are connected using a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automatically operate.

이와 함께, 최근에는 로라(LoRa, Long Range) 기술 또한 주목받고 있다. 로라(LoRa)는 저전력 및 장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서 대기 전력이 적고 단말 가격이 저렴하며, 초고속 및 광대역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는 기존의 스마트 기기 연결 환경과 달리 별도의 기지국이나 중계 장비 없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로라 기술과 같은 IoT 단말은 저전력/장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구체적인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지 않다.In addition, recently, LoRa (Long Range) technology has attracted attention. LoRa is a low-power and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can send and receive data without a separate base station or relay device, unlike existing smart device connection environments that require low standby power and low terminal prices and require high-speed and broadband networks. Technology. IoT terminals such as Laura technology enable low power / long distance communication, so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ervices using the IoT terminals can be developed, but specific services have not been proposed yet.

특히, 최근 노인 인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65세 인구 중 약 10% 이상인 67만명이 치매 환자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실종 아동 수는 연간 37,522에 달하며 이중에서 최종적으로 실종되는 숫자는 연간 348명이라는 통계가 있다.In particular, the elderly population has recently risen dramatically. It is known that about 670,000 people, or about 10% of the population aged 65, are demented. In addition, the number of missing children reaches 37,522 a year, and the number of missing children is 348 a year.

이와 같이, 미아 및 치매 환자들의 실종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바, 이러한 문제를 IoT 단말 및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서비스가 더욱 요망되고 있다.As such, the problem of disappearance of the patients suffering from mia and dementia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and a service that can prevent such problems more effectively by using the IoT terminal and the network is further desir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IoT 단말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조회 및 추적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easily and efficiently performing location inquiry and tracking of a user by utilizing an IoT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IoT 단말 착용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위치 추적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in advance by allowing the wearer of the IoT terminal to recognize an emergency situation in real time and perform position tracking.

또한, 본 발명은 저전력/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IoT 단말을 활용하므로 장비의 유지 보수 비용 문제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that can remarkably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equipment by utilizing IoT terminals capable of low-power / long-distance communic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서, IoT 단말과 IoT 망을 통해 결합하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하고, IoT 단말로부터 IoT 망을 통해 IoT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IoT 단말의 위치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n IoT terminal, the system comprising: an IoT terminal coupled to the IoT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location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IoT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여기에서, 상기 IoT 단말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 조회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IoT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Here, the IoT terminal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and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When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Lt; / RTI >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IoT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전자 지도상에서 IoT 단말의 위치 또는 위치의 변동에 따른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can display a movement route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the position of the IoT terminal on the electronic map through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또한,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상기 IoT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IoT 단말이 미리 설정해 둔 안심 존을 이탈했는지 또는 위험 존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고 경보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the IoT terminal has departed from the safety zone preset by the IoT terminal or has entered the danger zon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and may transmit the alarm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상기 안심 존 및 위험 존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IoT 단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비교하여 안심 존을 이탈했는지 또는 위험 존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may compare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safe zone and the danger zone with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safe zone has departed from the safe zone or has entered the danger zon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경보 신호를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user terminal may provide an alarm signal by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n audible signal, and a tactile signal.

또한,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는, IoT 단말로부터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긴급 신호가 수신된 경우, 긴급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may transmit the emergency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oT terminal to notify the occurrence of the emergency.

또한, 상기 IoT 단말은, 긴급 상황 발생시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긴급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긴급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경우 긴급 신호를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oT terminal may include an emergency button for generating an emergency signal when an emergency occurs, and may transmit an emergency signal to the system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pressed by a user.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긴급 신호를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can provide an emergency signal by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n audible signal, and a tactile signal.

또한,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는, IoT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긴급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and may transmit the emergency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또한,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는, 현재 수신된 위치 정보와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공간내에서 미리 설정해 둔 시간을 초과하여 위치 이동이 없을 경우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ompares the currently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with previously stored lo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when there is no location movement exceeding a preset time within a certain space have.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긴급 신호를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can provide an emergency signal by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n audible signal, and a tactile signal.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운영 시스템에 포함되거나 사용자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사에 의해 제공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은, IoT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지도상에서 IoT 단말의 위치 또는 위치의 변동에 따른 이동 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telephone application included in an operating system or provided by a user terminal or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and the telephone application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and stor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on the electronic map And may include a function for displaying a movement path according to the variation.

또한,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은, 전화 어플리케이션 내의 사용자 연락처에 IoT 단말 사용자를 표시하고 해당 사용자를 선택한 경우 해당 사용자의 IoT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전자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lephone application may display the IoT terminal user in the user contact in the telephone application and displa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of the user in the electronic map when the user is select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IoT 단말과 IoT 망을 통해 결합하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IoT 단말을 활용하여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IoT 단말로부터 IoT 망을 통해 IoT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수신한 IoT 단말의 위치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by using an IoT terminal in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n IoT terminal coupled with an IoT terminal through an IoT network, A first step of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IoT network; And 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IoT terminal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IoT terminal.

여기에서, 상기 제1 단계 이후, 상기 IoT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IoT 단말이 미리 설정해 둔 안심 존을 이탈했는지 또는 위험 존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고 경보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fter the first step, determining whether the IoT terminal deviates from the safety zone preset by the IoT terminal or enters the danger zone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and transmits an alarm signal to the user terminal can do.

또한,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IoT 단말로부터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긴급 신호가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 이후, 긴급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from the IoT terminal to notify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before the first step,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the emergency signal to the user terminal after the first step .

또한, 상기 제1 단계 이후, IoT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긴급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After the first step, it is determined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an emergency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 의하면, IoT 단말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조회 및 추적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that can easily and efficiently perform location inquiry and tracking of a user by utilizing an IoT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IoT 단말 착용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위치 추적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고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accident from occurring in advance by allowing a wearer of the IoT terminal to recognize an emergency situation in real time and perform position tracking.

또한, 본 발명은 저전력/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IoT 단말을 활용하므로 장비의 유지 보수 비용 문제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n IoT terminal capable of low-power / long-distance communic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for remarkabl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of equipm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3G 기반 위치 조회 및 추적 시스템에 사용된 IoT 단말 뿐 아니라 크기가 4G/5G 에서도 활용할 수 있으며, 몸에 부착이 가능하고 배터리 충전 및 교체가 필요없는 웨어러블 형태의 로라(LoRa) 단말 등과 같은 IoT 단말을 활용하여 저렴한 유지 비용으로 위치 추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tilize not only the IoT terminal used in the existing 3G based location inquiry and tracking system but also the 4G / 5G size, and a wearable type Laura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body, (LoRa) terminal and the like to provide location tracking service at a low maintenance cost.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반려 동물들에 로라 단말과 같은 IoT 단말을 소지/부착하도록 하고 이들에 대한 위치 정보를 파악하고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렌터카, 택시, 버스, 통학버스, 셔틀버스, 화물/택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ossess / attach an IoT terminal such as a Laura terminal to a child, an elderly person, a car, a motorcycle, a bicycle, a companion animal, It can also be applied to rental cars, taxis, buses, school buses, shuttle buses, cargoes, and courier servic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 및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IoT 단말(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위치 정보 보정 과정(S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 단말기(300)에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안심존 이탈 및 위험존 진입시 알림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긴급 상황 발생시 긴급 신호 알림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긴급 상황 감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00 utilizing the Io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thereof.
2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system 100. As shown in FIG.
FIG.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in the system 100 of FIGS. 1-3.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sition information correction process (S120).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300. FIG.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th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 th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n emergency signal notification function when an emergency occurs.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 th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function.
10 to 1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 및 전체적인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100 utilizing the Io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thereof.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이하, 간단히 "시스템(100)"이라 한다)은, IoT 망을 통해 IoT 단말(200)과 연결되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과 연결된다. 또한, 시스템(100)은 외부 시스템(400)과도 결합한다.Referring to FIG. 1,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system 100") utilizing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IoT terminal 200 through an IoT network, And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300. The system 100 also couples with the external system 400.

시스템(100)은 IoT(Internet of Things) 망을 통해 IoT 단말(200)들과 연결되는데 여기에서 IoT 망이라 함은, IoT 단말(2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무선랜(WiFi), 블루투스, 지그비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또한, 최근 제안되고 있는 LTE-M, LoRA(Long RAnge)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system 100 is connected to the IoT terminals 200 through a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Here, the IoT network refers to a network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IoT terminal 200, WiFi), Bluetooth, ZigBee, and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o use recently proposed networks such as LTE-M and LoRA (Long Range).

IoT 망은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이 아니며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IoT network is not a direc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ne known in the prior art can be us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IoT 단말(200)은 IoT 망을 통해 데이터를 시스템(100)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며, IoT 망의 종류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예컨대, IoT 망이 LoRa인 경우 IoT 단말(200)은 LoRa 단말일 수 있다.The IoT terminal 200 is a terminal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system 100 via the IoT network and has a communication interfa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oT network. For example, when the IoT network is LoRa, the IoT terminal 200 may be a LoRa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IoT 단말(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IoT 단말(200)은 위치 정보 획득부(210), 긴급 버튼 감지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한다.2, the IoT terminal 200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210, an emergency button detecting unit 220, and a communication unit 230.

위치 정보 획득부(210)는 IoT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 정보는 GPS 센서 또는 WiFi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된다. IoT 망이 셀(Cell)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셀 ID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 정보는 통신부(230)를 통해 시스템(100)으로 전송된다.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10 acquir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The loc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in real time by at least one of the GPS sensor or the WiFi information. And may include cell ID information when the IoT network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ell.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ystem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0.

위치 정보 획득부(21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통신부(230)로 전달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210 periodically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230. [

긴급 버튼 감지부(220)는 IoT 단말(200)에 구비되는 긴급 버튼(미도시)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졌는지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긴급 버튼이 눌려진 경우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긴급 신호를 통신부(230)로 전송하고, 통신부(230)는 긴급 신호를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The emergency button detection unit 220 detects whether the emergency button (not shown) provided in the IoT terminal 200 is pressed by the user.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pressed, an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30 to notify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and the communication unit 230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o the system 100.

통신부(230)는 IoT 망을 통해 시스템(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위치 정보 획득부(210)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정보를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또한, 긴급 버튼 감지부(220)로부터 긴급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30 is a mea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system 100 through the IoT network. The communication unit 23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210 to the system 100. When an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mergency button sensing unit 220, the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ystem 100.

IoT 단말(2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항상 함께 할 수 있도록 웨어러블(Wearable) 형태의 손목 밴드 형태나 목걸이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oT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a main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he IoT terminal 200 can be worn as a wearable wristband or a necklace .

또한,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등과 같은 기기에 임베디드되어 내장형이나 탈부착 형태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한다.In addition, it can be embedded in a device such as an automobile, a motorcycle, a bicycle, or the like, and can be embodied or detached.

특히, LoRa 망에 기반한 LoRa 단말을 IoT 단말(200)로 사용할 수 있는데, 저전력/장거리 통신 가능한 LoRa 단말은 충전이 불필요하며 수년간 배터리 교환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LoRa terminal based on the LoRa network can be used as the IoT terminal 200, but the LoRa terminal capable of low-power / long-distance communica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unnecessary to charge and battery replacement is unnecessary for many years.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user terminal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사용자 단말기(300)은 통신망을 통해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IoT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정보를 조회하여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user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system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searches for and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oT terminal 200.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은 시스템(100)으로부터 경보 신호 또는 긴급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0 may receive an alarm signal or an emergency signal from the system 100.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은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전자 지도를 통해 IoT 단말(200)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Also, the user terminal 300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 the loc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an electronic map.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은 경보 신호 또는 긴급 신호가 수신된 경우, 이를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3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When an alarm signal or an urgent signal is received, the user terminal 300 may provide the alert signal or the emergency sig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by using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n audible signal, and a tactile signal.

사용자 단말기(300)은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user terminal 300 is preferably a smart phone capable of installing and executing a dedicated application for performing such functions.

사용자 단말기(300)는 IoT 단말(200)에 대응하여 미리 시스템(100)상에 등록된다.The user terminal 300 is registered on the system 100 in advance in correspondence with the IoT terminal 200. [

한편, 도 1의 외부 시스템(400)은 위치 정보를 측위하기 위한 LBS 서버(410)와 사용자 단말기(300)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푸쉬 서버 또는 SMSC(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GIS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system 400 of FIG. 1 may include an LBS server 410 for positioning location information and a push server or SMSC 420 for transmitting a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300. Also, it may include a GIS server for providing an electronic map.

다음으로, 도 1의 시스템(10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ystem 100 of FIG. 1 will be described.

시스템(100)은 IoT 망을 통해 IoT 단말(200)과 결합하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와 결합한다. 또한, 외부 시스템(400)과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The system 100 is coupled to the IoT terminal 200 through the IoT network and to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t is also connected to the external system 400 through a network.

시스템(100)은 IoT 망을 통해 IoT 단말(2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통신망을 통해 IoT 단말(200)에 상응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위치 정보의 전송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의 조회 요청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The system 100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IoT terminal 200 through the IoT network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to the user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IoT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transmiss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according to an inquiry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300.

또한, 시스템(100)은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IoT 단말(200)이 미리 설정해 둔 안심 존을 이탈했는지 또는 위험 존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고 그에 상응하는 경보 신호를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The system 100 determines whether the IoT terminal 200 has departed from the safety zone preset by the IoT terminal 200 or has entered the danger zon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and transmits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IoT terminal 200 200 to the user terminal 300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또한, 시스템(100)은 IoT 단말(200)로부터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긴급 신호가 수신된 경우, 긴급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The system 100 may also transmit emergency signals a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00 when an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oT terminal 200 to notify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또한, 시스템(100)은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긴급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The system 100 also determines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and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a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can do.

한편, 시스템(100)은 IoT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system 100 may perform a function of correc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received from the IoT terminal 200.

위치 정보의 보정은 외부 시스템(400)에 포함되어 있는 LBS(Location Based Services, 410) 서버와 연동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Correc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an LBS (Location Based Services) server 410 included in the external system 400.

도 3은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system 100. As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100)은 가입자 관리 서버(SCS, Subscriber Control Server, 110), 위치 정보 관리 서버(LGS, Location Collection Gateway Server, 120), DBS/APS(DB Server/Application Platform Server, 130) 및 운영 서버(OMS, Operation, Administration & Management Server, 140)를 포함한다.3, the system 100 includes a Subscriber Control Server (SCS) 110, a Location Collection Gateway Server (LGS) 120, a DB Server / Application Platform Server (DBS / APS) 130 and an OMS (Operation, Administration & Management Server) 140.

가입자 관리 서버(110)는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가입자 및 단말 가입, 관리 및 인증 기능 등을 수행한다.The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110 is a server for managing subscribers subscribed to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erforms subscriber and terminal subscription, management and authentication functions.

DBS/APS(130)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이다.The DBS / APS 130 is a server that manages the database and provides a platform for application programs.

또한 운영 서버(140)는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운영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로서, 통계(주간/월간, 상황별 등) 기능, 과금(월별)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시스템(400)과의 시스템 연동을 관리한다.Also, the operation server 140 is a server that performs overall operation and management functions of the system 100, and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statistics (weekly / monthly, situation-specific), charging (monthly) In addition, it manages the system interworking with the external system 400.

위치 정보 관리 서버(120)는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는 서버로서, IoT 망을 통해 IoT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IoT 단말(200)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필요한 경우 외부 시스템(400)의 LBS 서버(410)와 연동하여 위치 정보를 보정한 후, 통신망을 통해 IoT 단말(200)에 상응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해당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20 is a server for collecting and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20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s 200 transmitted from the IoT terminal 200 through the IoT network, A function of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oT terminal 200 to the user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IoT terminal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fter corr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LBS server 410 of the system 400 .

또한, 위치 정보 관리 서버(120)는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IoT 단말(200)이 미리 설정해 둔 안심 존을 이탈했는지 또는 위험 존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고 그에 상응하는 경보 신호를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IoT terminal 200 has departed from the safety zone preset by the IoT terminal 200 or has entered the danger zon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and outputs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user terminal 300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또한, 위치 정보 관리 서버(120)는 IoT 단말(200)로부터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긴급 신호가 수신된 경우, 긴급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20 may also transmit the emergency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00 when the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oT terminal 200 to notify that the emergency has occurred have.

또한, 위치 정보 관리 서버(120)는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긴급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20 determines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and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a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Function can also be performed.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FIG.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in the system 100 of FIGS. 1-3.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IoT 단말(200)은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100).Referring to FIG. 4, the IoT terminal 200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S100).

위치 정보는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 획득부(210)에 의해 획득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GPS 센서 또는 WiFi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실시간으로 획득된다. IoT 망이 셀(Cell)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셀 ID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 정보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The position information is acquired by the posi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210 of the IoT terminal 200, and is obtained in real time by at least one of the GPS sensor and the WiFi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cell ID information when the IoT network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ell. The posi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periodically in accordance with a preset cycle.

위치 정보가 획득되면, IoT 단말(200)은 획득된 위치 정보를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110). 위치 정보의 전송은 IoT 단말(200)의 통신부(230)를 통해 이루어지며, IoT 망을 통해 시스템(100)으로 전송된다.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the IoT terminal 200 transmits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ystem 100 (S110). The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0 of the IoT terminal 200 and transmitted to the system 100 through the IoT network.

시스템(100)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120)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외부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LBS 서버(410)와 연동하여 위치 정보를 보정한다(S120). 위치 정보 보정 단계(S120)는 생략할 수 있다.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20 of the system 1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20 corr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LBS server 410 included in the external system (S120). The position information correction step (S120) may be omitted.

도 5는 위치 정보 보정 과정(S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sition information correction process (S120).

우선, 시스템(100)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120)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위치 정보가 GPS 정보인지를 판단한다(S1211).First,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20 of the system 1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it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s GPS information (S1211).

GPS 정보인 경우 해당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S1212).If it is the GPS informa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is stored (S1212).

GPS 정보가 아닌 경우, 위치 정보 관리 서버(120)는 수신된 위치 정보가 WiFi 정보인지를 판단하고(S1213) WiFi 정보인 경우 미리 설정해 둔 오차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고(S1214)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 해당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S1212).If it is not GPS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s WiFi information (S1213). If it is WiFi information, it determines whether it is within an error range that is set in advance (S1214) And stores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formation (S1212).

위치 정보가 WiFi 정보가 아니고 위치 정보로서 셀(Cell) ID가 수신된 경우 셀 ID와 함께 셀 ID에 기반하여 측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측위 정보, 예컨대 MCC(Mobile Country Code), MNC(Mobile Network Code)를 외부 시스템인 LBS 서버(410)로 전송한다(S1215,S1216)For example, MCC (Mobile Country Code), MNC (MCC), and the like, which are necessary for making positioning based on the cell ID together with the cell ID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not WiFi information and the cell ID is receiv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 Mobile Network Code) to the LBS server 410 (S1215, S1216)

LBS 서버(41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셀 ID 기반 측위를 수행하고(S1217), 측위 정보를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1218). LBS 서버(410)에서 셀 ID에 기반하여 측위를 수행하는 기술 자체는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이 아니고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The LBS server 410 performs the cell ID-based positioning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S1217), and transmits the positioning information to the system 100 (S1218). The technique of performing positioning based on the cell ID in the LBS server 410 is not a direc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known from the prior ar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측위에 성공하였으면(S1219), 시스템(100)은 측위 정보가 오차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고(S1214)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 수신된 측위 정보를 위치 정보로서 저장한다(S1212).If the positioning is successful (S1219), the system 100 determines whether the positioning information is within the error range (S1214). If the positioning information is within the error range, the system 100 stores the received positioning information as position information (S1212).

한편, 셀 ID에 기반하여 측위에 실패한 경우에는, 시스템(100)은 전화번호에 기반한 측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를 LBS 서버(410)로 전송하고 LBS 서버(410)는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측위를 수행하고 측위 정보를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1220,S1221,S1222,S1223). 전화 번호에 기초한 측위 기술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positioning fails based on the cell ID, the system 100 transmits the telephone number to the LBS server 410 so as to perform positioning based on the telephone number, and the LBS server 410 transmits the telephone number based on the telephone number And transmits the positioning information to the system 100 (S1220, S1221, S1222, S1223). Since the positioning technique based on the telephone number is also known from the prior art,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시스템(100)은 전화 번호에 기반한 측위가 성공한 경우 측위 정보가 오차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고 오차 범위 이내인 경우 해당 측위 정보를 위치 정보로서 저장한다(S1224,S1214,S1212).If the positioning based on the telephone number is successful, the system 100 determines whether the positioning information is within an error range, and if the positioning information is within an error range, stores the positioning information as position information (S1224, S1214, S1212).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위치 정보가 보정되면, 시스템(100)은 보정된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IoT 단말(200) 즉, 사용자에 대해 저장해 둔다(S130).Referring back to FIG. 4, when the position information is corrected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he system 100 stores the corrected positio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for the IoT terminal 200, that is, the user (S130).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300)는 시스템(100)으로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 조회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40).In this state, the user terminal 300 transmits a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signal of the IoT terminal 200 to the system 100 (S140).

시스템(100)은 해당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고, 조회된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150).The system 100 in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oT terminal 200 from the database and transmits the inquir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00 (S150).

사용자 단말기(300)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전자 지도 상에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S160). 이 때, 전자 지도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거나 외부 시스템(400)의 GIS 서버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3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300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electronic map through the display unit (S160). At this time, the electronic map may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300 or may be provided through the GIS server of the external system 400.

이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는 전자 지도 상에서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위치의 변동에 따른 이동 경로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300 can grasp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on the electronic map and also confirm the movement route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도 6은 사용자 단말기(300)에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화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is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300. FIG.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전자 지도(map) 상에서 IoT 단말(200) 즉, 피보호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위치 정보의 변동 즉,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정보와 함께 시간 정보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user terminal 300 can display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that is, the to-be-protected object, on an electronic map via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variation of positional information, that is, the movement route, with the passage of time. At this time, the tim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position information.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전자 지도 상에서 안심 존/위험 존 영역을 별도로 표시하여 안심 존 이탈 여부 또는 위험 존 진입 여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0 may display the safe zone / the danger zone separately on the electronic map so that the user terminal 300 intuitively grasps whether or not the safe zone is detached or enters the danger zone.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안심존 이탈 및 위험존 진입시 알림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th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단계(S200) 내지 단계(S230)를 통해 시스템(100)은 IoT 단말(2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데 이는 도 4의 단계(S100) 내지 단계(S130)과 동일하다.7, the system 100 first receives and stores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IoT terminal 200 through steps S200 through S230, which are performed in steps S100 through S130 of FIG. 4 same.

다음으로, 시스템(100)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120)는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IoT 단말(200)에 대해 미리 설정해 둔 안심 존을 이탈했는지의 여부 또는 위험 존에 진입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40). Next,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20 of the system 100 judges whether or not the safe zone preset for the IoT terminal 200 has departed from the safety zone or entered the danger zon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S240).

안심 존 이탈 및 위험 존 진입 여부의 판단은 위도 및 경도 정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Confidence zones can be determined by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안심 존을 이탈하거나 위험 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시스템(100)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120)는 푸쉬 서버/메시지 센터(SMSC,420)로 경보 신호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250).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20 of the system 100 transmits an alarm signal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push server / message center (SMSC) 420 (S250) .

푸쉬 서버/SMSC(420)는 종래 알려져 있는 푸쉬 알림(Push Notification) 방식이나 메시지 방식(SMS,MMS,LMS 등)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로 경보 신호를 전송한다(S260). 이 경보 신호는 해당 IoT 단말(200)이 안심 존을 이탈 또는 위험 존에 진입했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포함한다. 푸시 알림 및 SMS에 의한 메시지 전송 기술 자체는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이 아니고 종래 기술에 의해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The push server / SMSC 420 transmits an aler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a method such as a push notification method or a message method (SMS, MMS, LMS, etc.) known in the art (S260). This alarm signal include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IoT terminal 200 has departed from the safe zone or has entered the danger zone. The push notification and the message transmission technology by SMS are not a direc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well known in the prior art,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사용자 단말기(300)는 푸쉬 서버/SMSC(420)를 통해 경보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3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user terminal 300 receives the alarm signal through the push server / SMSC 420, the user terminal 300 can provide the alarm sig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by using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n audible signal, and a tactile signal have.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시스템(100)으로 위치 정보 조회를 요청하고 위치 정보를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S270,S280,S290). 이는 도 4의 단계(S140) 내지 단계(S160)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0 requests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to the system 100 and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ystem 100 and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S270, S280, S290). This is the same as step S140 to step S160 in Fig.

도 7의 실시예는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GPS 정보인 경우에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FIG. 7 can be performed only whe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is GPS information.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긴급 상황 발생시 긴급 신호 알림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 th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n emergency signal notification function when an emergency occurs.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단계(S200) 내지 단계(S230)를 통해 시스템(100)은 IoT 단말(2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데 이는 도 4의 단계(S100) 내지 단계(S130)과 동일하다.8, the system 100 receives and stores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IoT terminal 200 through steps S200 through S230, which are performed in steps S100 through S130 of FIG. 4 same.

우선, 전술한 바와 같이, IoT 단말(200)의 긴급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긴급 버튼 감지부(220)가 이를 검출하고, 통신부(230)를 통해 시스템(100)으로 긴급 신호를 전송한다(S300).Firs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mergency button of the IoT terminal 200 is pressed by the user, the emergency button detection unit 220 detects the emergency button and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o the system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0 (S300).

또한, IoT 단말(200)은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시스템(100)은 수신된 위치 정보를 보정하고 저장한다(S310 내지 S340). 이는 도 4의 단계(S200) 내지 단계(S230)와 동일하다.Also, the IoT terminal 200 acquires posi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ystem 100, and the system 100 corrects and stores the received position information (S310 to S340). This is the same as steps S200 through S230 of FIG.

다음으로, 시스템(100)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120)는 푸쉬 서버/메시지 ㅅ센터(SMSC,420)로 긴급 신호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350), 푸쉬 서버/SMSC(420)는 긴급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360).Next,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20 of the system 100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push server / message center (SMSC) 420 (S350), and the push server / SMSC 420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o the user terminal 300 (S360).

사용자 단말기(300)는 푸쉬 서버/SMSC(420)를 통해 긴급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3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Upon receiving the emergency signal through the push server / SMSC 420, the user terminal 300 can provide the emergency sig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by using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n audible signal, and a tactile signal have.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시스템(100)으로 위치 정보 조회를 요청하고 위치 정보를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S370,S380,S390).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0 requests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to the system 100 and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ystem 100 and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S370, S380, S390).

상기 단계(S350) 내지 단계(S390)은 도 7의 단계(S250) 내지 단계(S290)과 긴급 신호냐 경보 신호냐의 차이만 있을 뿐 동일하다.The steps S350 to S390 are the same as the steps S250 to S290 of FIG. 7 except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ergency signal and the alert signal.

이후, 사용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고 경찰서나 소방서 등의 관련 기관에 신고할 수 있다.After that,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300 confirms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and can report to the relevant agency such as a police station or a fire station.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긴급 상황 감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 th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function.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단계(S400) 내지 단계(S430)를 통해 시스템(100)은 IoT 단말(2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데 이는 도 4의 단계(S100) 내지 단계(S130)과 동일하다.9, the system 100 first receives and stores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IoT terminal 200 through steps S400 to S430, which are performed in steps S100 to S130 of FIG. 4 same.

다음으로, 시스템(100)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120)는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IoT 단말(200)이 긴급 상황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40).Next,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20 of the system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oT terminal 200 has generated an emergency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S440).

긴급 상황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는 현재 수신된 위치 정보와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IoT 단말(200)이 일정 공간내에서 미리 설정해 둔 시간을 초과하여 위치 이동이 없을 경우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수면 시간 등과 같은 시간대인 경우에는 긴급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Whether or not an emergency has occurred can be determined by a method of comparing the currently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with previously stored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IoT terminal 200 does not move beyond a preset time within a certain space,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At this time, if it is a time zone such as a sleeping time, it is judged that it is not an emergency situation.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시스템(100)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120)는 푸쉬 서버/SMSC(420)로 긴급 신호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S450), 푸쉬 서버/SMSC(420)는 긴급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460).If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20 of the system 100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request signal to the push server / SMSC 420 (S450), and the push server / SMSC 420 And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o the user terminal 300 (S460).

사용자 단말기(300)는 푸쉬 서버/SMSC(420)를 통해 긴급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3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Upon receiving the emergency signal through the push server / SMSC 420, the user terminal 300 can provide the emergency sig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by using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n audible signal, and a tactile signal have.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시스템(100)으로 위치 정보 조회를 요청하고 위치 정보를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S470,S480,S490).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0 requests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to the system 100 and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ystem 100 and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S470, S480, S490).

상기 단계(S450) 내지 단계(S490)은 도 8의 단계(S350) 내지 단계(S390)과 긴급 신호냐 경보 신호냐의 차이만 있을 뿐 동일하다.The steps S450 to S490 are the same as the steps S350 to S390 of FIG. 8 except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ergency signal and the alert signal.

이후, 사용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하고 경찰서나 소방서 등의 관련 기관에 신고할 수 있다.After that,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300 confirms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and can report to the relevant agency such as a police station or a fire station.

도 10 내지 도 13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10 to 1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도 10은 도 4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위치 정보를 IoT 단말(200)에서 획득하여 시스템(1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FIG. 10 corresponds to the embodiment of FIG. 4, in which position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IoT terminal 200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system 100. FIG.

도 10을 참조하면, IoT 단말(200)은 GPS, WiFi, 셀 ID 등과 같은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시스템(100)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시스템(100)은 필요한 경우 위치 정보를 보정하여 저장해 두고,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300)에 상응하는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위치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전자 지도상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IoT terminal 200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GPS, WiFi, cell ID, and the like, and periodically transmits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ystem 100. The system 100 corrects and stores the position information if necessary and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300 to the user terminal 300 in real time when the positio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300). The user terminal 300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n the electronic map through the display unit as shown in FIG.

도 11은 도 7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위치 정보를 IoT 단말(200)에서 획득하여 시스템(1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하되, 시스템(100)에서 안심 존 이탈 여부/위험 존 진입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경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FIG. 11 corresponds to the embodiment of FIG. 7, in which position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IoT terminal 200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system 100, It is judged whether zone entry is made and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transmitted.

도 11을 참조하면, IoT 단말(200)은 GPS, WiFi, 셀 ID 등과 같은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시스템(100)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시스템(100)은 필요한 경우 위치 정보를 보정하여 저장해 두고,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안심 존 이탈 여부 및 위험 존 진입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경보 신호를 푸쉬 서버(42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수신한 경보 신호를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300)을 통해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300)에 상응하는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위치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전자 지도상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IoT terminal 200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GPS, WiFi, cell ID, and the like, and periodically transmits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ystem 100. The system 100 corrects and stores the position information if necessary,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afety zone is deviated by the metho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anger zone is entered, and transmits an alarm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push server 420 To the user terminal (300). The user terminal 300 provides the received alarm sig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by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n audible signal, and a tactile signal.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300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in real time. The user terminal 300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n the electronic map through the display unit as shown in FIG.

도 12는 도 8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위치 정보를 IoT 단말(200)에서 획득하여 시스템(1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하되, IoT 단말(200)로부터 긴급 신호가 전송된 경우에 대한 것이다.12, the position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IoT terminal 200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system 100. When the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IoT terminal 200 It is about the case.

우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IoT 단말(200)의 구비된 긴급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경우 IoT 단말(200)은 긴급 신호를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이와 함께 GPS, WiFi, 셀 ID 등과 같은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시스템(100)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시스템(100)은 필요한 경우 위치 정보를 보정하여 저장해 두고, 긴급 신호를 사용자 푸쉬 서버(42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수신한 긴급 신호를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300)을 통해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300)에 상응하는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위치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전자 지도상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12, when the emergency button provided in the IoT terminal 200 is pressed by the user, the IoT terminal 200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o the system 100. [ At the same time,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GPS, WiFi, cell ID, and the like are acquired and periodically transmitted to the system 100. The system 100 corrects and stores position information if necessary, and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o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user push server 420. The user terminal 300 provides the received emergency sig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by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n audible signal, and a tactile signal.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300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in real time. The user terminal 300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n the electronic map through the display unit as shown in FIG.

도 13은 도 9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위치 정보를 IoT 단말(200)에서 획득하여 시스템(1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하되, 시스템(100)에서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긴급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FIG. 13 corresponds to the embodiment of FIG. 9, in which the position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IoT terminal 200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system 100, And the corresponding emergency signal is transmitted.

도 13을 참조하면, IoT 단말(200)은 GPS, WiFi, 셀 ID 등과 같은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시스템(100)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시스템(100)은 필요한 경우 위치 정보를 보정하여 저장해 두고,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상응하는 긴급 신호를 푸쉬 서버(42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수신한 긴급 신호를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300)을 통해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위치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기(300)에 상응하는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위치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전자 지도상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IoT terminal 200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GPS, WiFi, cell ID, and the like and periodically transmits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ystem 100. The system 100 corrects the positional information if necessary and stores the corrected positional information. The system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emergency is present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and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state to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push server 420. [ Lt; / RTI > The user terminal 300 provides the received emergency signal through the user terminal 300 by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n audible signal, and a tactile signal.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300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in real time. The user terminal 300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n the electronic map through the display unit as shown in FIG.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4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300)에 필요한 기능이 전화 어플리케이션에 통합 형성된 경우에 대한 것이다.The embodiment of FIG. 14 is for the case where the functions required for the user terminal 300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telephone application.

전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300)의 운영 시스템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거나, 스마트폰을 제조하는 제조사 OEM 또는 이동통신사에 의해 제공(예를 들면 SKT의 T전화와 같은 전화 어플리케이션)될 수 있다.The telephony application is inherently included i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user terminal 300, or it may be provided by a manufacturer OEM or mobile carrier (e.g., a telephony application such as SKT's T-Phone) that manufactures a smartphone.

도 14를 참조하면, 전화 어플리케이션 내의 사용자 연락처에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IoT 단말(200) 사용자를 표시하고 해당 사용자를 선택한 경우 해당 사용자의 IoT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전자 지도상에 표시해 줄 수 있다. 또는 실시간 추적 모드(이동 경로 표시)를 사용할 수도 있다.14, when the user of the IoT terminal 200 using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on the user contact in the telephone application and the user is selecte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of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map You can give. Alternatively, a real-time tracking mode (navigation path display) may be used.

또는 사용자가 연락처의 상세 보기 메뉴 화면을 선택한 경우 해당 메뉴에 위치 보기 탭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한 경우 IoT 단말(200) 사용자의 위치 정보 또는 트래킹 정보를 전자 지도상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user selects the detailed view menu screen of the contact, the location view tab may be provided in the menu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r tracking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IoT terminal 200 may be displayed on the electronic map when the user selects the location view tab.

이는 자녀나 노인들에게 밴드형으로 된 IoT 단말(200)을 착용하게 하고, 보호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수시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s has the advantage that a child or an elderly person wears a band-shaped IoT terminal 200 and a guardian can check position information from time to time through his smartphone.

또한 이렇게 스마트폰 제조사의 통화 OEM 또는 이동통신사 어플리케이션에 임베디드된 형태로 본 발명의 기능을 탑재할 경우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따로 개발하여 마켓에 업로드하고, 이를 고객이 다운로드, 설치 및 가입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 전화 어플리케이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바로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lso, when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a call OEM or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application of a smartphone manufacturer, a separate application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ly developed and uploaded to the marke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rectly provided in the smart phone application which the users generally use without having to use the servi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GPS, WiFi 및 Cell ID 기반 실시간 측위로 IoT 단말(200)의 정확한 위치정보 확인1) Confirm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of IoT terminal 200 by real-time positioning based on GPS, WiFi and Cell ID

2) 상황별 IoT 단말(200) 관리를 통해 N:M의 모니터링 대상을 효율적으로 관리/감독 가능2) Efficient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N: M monitored objects through management of IoT terminal (200) by context

3) 안심 존/위험 존 등과 같은 모니터링 존을 설정하여 보호 대상자의 예상 위치 파악 등 사고 예방 및 신속한 대응 가능3) Establish a monitoring zone such as safe zone / danger zone to prevent accidents such as finding the expected position of the person to be protected and to respond quickly

4) IoT 단말에서 긴급버튼을 누르거나, 시스템(100)에서 특정지역 범위내에서 장시간 움직임이 없을 경우 이를 자동 감지하여 긴급 상황 발생시 긴급 신호 전송이 가능하므로 위급 상황을 사전에 방지4) If the emergency button is pressed on the IoT terminal or if the system 100 does not move for a long time within a certain area, it is automatically detected, so that an emergency signal can be transmitted in case of an emergency,

5) 보호자의 스마트폰(App)을 통한 위치정보 확인 기능으로 시간/공간 제약 해소 5) Resolve time / space constraint by location information check through guardian's smartphone (App)

6) 모니터링 대상의 위치 정보 DB를 통한 행동 분석 가능6) Ability to analyze behavior through location information DB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 IoT 단말(200) 및 IoT 망은 LoRa, LoRa, LTE-M 및 NB(Narrow Band)-IoT 등과 같은 기술에 기반한 단말 및 망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4G 통신망 뿐 아니라 향후 5G LTE 및 IoT 망을 이용한 서비스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oT terminal 200 and the IoT network can be applied to terminals and networks based on technologies such as LoRa, LoRa, LTE-M and NB (Narrow Band) -IoT in the above embodiment.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services using 5G LTE and IoT networks as well as 4G communication networks.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300)를 개인 스마트폰인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개인 이외의 기업이나 법인 등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B2C 뿐 아니라 B2B 서비스에도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user terminal 300 is described as a personal smartphon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n individual but also to a corporation or the like.

100...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200...IoT 단말
300...사용자 단말기
100 ...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oT terminal
200 ... IoT terminal
300 ... user terminal

Claims (18)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서,
IoT 단말과 IoT 망을 통해 결합하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하고, IoT 단말로부터 IoT 망을 통해 IoT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IoT 단말의 위치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tilizing an IoT terminal,
The IoT terminal is coupled to the IoT terminal through the IoT network. The IoT terminal is coupl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IoT terminal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from the IoT terminal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IoT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Location management server to transmit
And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oT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은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 조회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IoT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oT terminal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When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And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oT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IoT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전자 지도상에서 IoT 단말의 위치 또는 위치의 변동에 따른 이동 경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ser terminal displays a movement route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the position of the IoT terminal on the electronic map through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상기 IoT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IoT 단말이 미리 설정해 둔 안심 존을 이탈했는지 또는 위험 존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고 경보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IoT terminal deviates from the safety zone preset by the IoT terminal or enters the danger zon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and transmits the alarm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oT terminal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상기 안심 존 및 위험 존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IoT 단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비교하여 안심 존을 이탈했는지 또는 위험 존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ocation management server compare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safe zone and the danger zone with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safe zone has departed from the safe zone or has entered the danger zon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경보 신호를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alarm signal by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n audible signal, and a tactil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는, IoT 단말로부터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긴급 신호가 수신된 경우, 긴급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emergency sig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oT terminal to notify that the emergency has occurr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은, 긴급 상황 발생시 긴급 신호를 발생하는 긴급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긴급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경우 긴급 신호를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oT terminal has an emergency button for generating an emergency signal when an emergency occurs and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o the system when the emergency button is pressed by the us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긴급 신호를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user terminal provides an emergency signal by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n audible signal, and a tactil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는,
IoT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긴급 신호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ncludes: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and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a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는, 현재 수신된 위치 정보와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일정 공간내에서 미리 설정해 둔 시간을 초과하여 위치 이동이 없을 경우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ompares the currently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with previously stored lo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when there is no location movement exceeding a preset time within a certain space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oT terminal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긴급 신호를 시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촉각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user terminal provides an emergency signal by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n audible signal, and a tactil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운영 시스템에 포함되거나 사용자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사에 의해 제공되는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은, IoT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 지도상에서 IoT 단말의 위치 또는 위치의 변동에 따른 이동 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 telephone application included in an operating system or provided by a user terminal or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and the telephone application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and changes the location or position of the IoT terminal on the electronic map And displaying a movement route along the IoT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어플리케이션은, 전화 어플리케이션 내의 사용자 연락처에 IoT 단말 사용자를 표시하고 해당 사용자를 선택한 경우 해당 사용자의 IoT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전자 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elephone application displays the IoT terminal user in the user contact in the telephone application and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selected, on the electronic map. .
IoT 단말과 IoT 망을 통해 결합하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IoT 단말을 활용하여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IoT 단말로부터 IoT 망을 통해 IoT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수신한 IoT 단말의 위치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를 포함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방법.
A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an IoT terminal in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n IoT terminal combined with an IoT terminal and an IoT network and combining with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first step of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from the IoT terminal through the IoT network; And
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eived IoT terminal to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IoT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이후, 상기 IoT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IoT 단말이 미리 설정해 둔 안심 존을 이탈했는지 또는 위험 존에 진입했는지를 판단하고 경보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IoT terminal has departed from the safety zone preset by the IoT terminal or has entered the danger zone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after the first step and transmitting an alarm signal to the user terminal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n IoT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IoT 단말로부터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긴급 신호가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 이후, 긴급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from the IoT terminal before the first step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to the user terminal after the first step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n IoT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이후, IoT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긴급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단말을 활용한 위치 정보 관리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Determining whether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on the basis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oT terminal after the first step and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to the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A method of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KR1020170030162A 2016-05-20 2017-03-09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iot device KR2017013120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218 2016-05-20
KR20160062218 2016-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204A true KR20170131204A (en) 2017-11-29

Family

ID=60812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162A KR20170131204A (en) 2016-05-20 2017-03-09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io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1204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837A (en) * 2018-12-10 2020-06-18 서호성 System for monitoring integrational safety of children using Beacon sig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22149918A1 (en) * 2021-01-07 2022-07-14 (주)지티에이컴 Private internet of things system for detecting location of thing, and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 of thing using same
WO2022225229A1 (en) * 2021-04-19 2022-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emergency messag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3221768A1 (en) * 2022-05-18 2023-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Product track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ing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837A (en) * 2018-12-10 2020-06-18 서호성 System for monitoring integrational safety of children using Beacon signal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22149918A1 (en) * 2021-01-07 2022-07-14 (주)지티에이컴 Private internet of things system for detecting location of thing, and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 of thing using same
WO2022225229A1 (en) * 2021-04-19 2022-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emergency messag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3221768A1 (en) * 2022-05-18 2023-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Product track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ing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48432B2 (en) Electronic location monitoring system
US8170581B2 (en) Systems for tracking kidnapped hostage tracking systems, transmitters used in the same, sensor network gateways used in the same, and methods of tracking kidnapped hostage
KR20170131204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iot device
US20150365796A1 (en) A method of generating an alert message
US20010009406A1 (en) Support request processing system using GPS data for locating a person requesting a support
US20100216487A1 (en) Mobile Object Monitoring System and Mobile Object Monitoring Method
US2008024231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ximity-based monitoring of wireless devices
US10044847B2 (en) Positional awareness and locating system for cognitively impaired individuals and their caregivers
KR101875377B1 (en) System for notifing emergency situation
KR101633006B1 (en) Remote managing system for specific detecting zone
KR20140124606A (en) Inegration security system using Bluetooth ID tag and GPS, Smart Phone for school zone
KR1012594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Missing Children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JP2004185245A (en) Safe driving information mediation system, safe driving information mediation device for use in the same, and confirmation method of safe driving information
WO2008143379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keeping a person under surveillance
JP2017005668A (en) Crime prevention and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20080068363A (en) System and method for chasing location
KR100782546B1 (en) Wide emergency transceiver complex system
JP6300878B1 (en) Management target terminal, server, mobile phone devic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program, mobile phone device program, and position management system
CA2774382C (en)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asset tracking
KR20060082541A (en)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safety zone separation of ward using of mobile communication
KR20080017189A (en) System for searching sufferers in a disaster are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GB2407937A (en) Position locating system
KR20050011612A (en) Emergency rescue system using mobile terminals capable of informing whereabouts of user by transmitting emergency rescue signal to police stations
KR20110061028A (en) Crime privention system that used real-time position movement information
KR101196770B1 (en) Kid position conform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