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424A - 공유된 통신 매체상에서의 공존 시스템 동기화 - Google Patents

공유된 통신 매체상에서의 공존 시스템 동기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424A
KR20170130424A KR1020177026726A KR20177026726A KR20170130424A KR 20170130424 A KR20170130424 A KR 20170130424A KR 1020177026726 A KR1020177026726 A KR 1020177026726A KR 20177026726 A KR20177026726 A KR 20177026726A KR 20170130424 A KR20170130424 A KR 20170130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and
acknowledgment
activation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희춘 이
아메드 카멜 사덱
타메르 아델 카도우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0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4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04W16/16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for PBS [Private Base St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공유된 통신 매체상의 공존을 관리하는 기법들이 개시된다. 각각 통신 매체를 통한 활성화된 동작 또는 활성화 해제된 동작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를 구성하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가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의 활성 주기들 및 비활성 주기들을 정의하는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된 (TDM) 통신 패턴에 따라 교환될 수도 있다. 확인응답 메시지가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에 응답하여 액세스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거나 액세스 단말기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통신은 각각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해 활성화되거나 활성화 해제되고, 및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지 않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해 활성화되거나 활성화 해제되지 않을 수도 있다.

Description

공유된 통신 매체상에서의 공존 시스템 동기화
본 특허 출원은 이것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참조에 의해 여기에 그의 전체가 포함되는, 2015년 3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2/136,703 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전기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유된 통신 매체 상에서의 동작들 등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데이터, 멀티미디어 등과 같은 여러 타입들의 통신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전개되어 있다. 통상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자원들 (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 등) 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시스템들이다. 그러한 다중 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시스템들 등을 포함한다. 이들 시스템들은 종종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GPP) 에 의해 제공된 롱 텀 에볼루션 (LTE),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 (3GPP2) 에 의해 제공된 UMB (Ultra Mobile Broadband: UMB) 및 EV-DO (Evolution Data Optimized: EV-DO),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에 의해 제공된 802.11 과 같은 사양들에 따라 전개된다.
셀룰러 네트워크들에서, "매크로 셀" 액세스 포인트들은 소정의 지리적 영역상의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연결성 및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매크로 네트워크 전개는 지리적 영역에 대한 양호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도록 주의깊게 계획, 설계, 및 구현된다. 주거 가정들 및 사무실 건물들에 대해서와 같은 실내 또는 다른 특정의 지리적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추가적인 "스몰 셀", 통상적으로 저전력 액세스 포인트들은 최근에 종래의 매크로 네트워크들을 보충하기 위해 전개되기 시작했다. 스몰 셀 액세스 포인트들은 또한 증분적 용량 성장, 더 풍부한 사용자 경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스몰 셀 LTE 동작들은, 예를 들어,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기술들에 의해 사용되는 비허가 내셔널 정보 인프라스트럭쳐 (U-NII) 와 같은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확장되었다. 스몰 셀 LTE 동작의 이러한 확장은 스펙트럼 효율 및 이리하여 LTE 시스템의 용량을 증가시키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통상적으로 동일한 비허가 대역들, 특히 "Wi-Fi" 로서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IEEE 802.11x WLAN 기술들을 이용하는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들 (RATs) 의 동작들을 침해할 수도 있다.
다음의 개요는 본 개시의 여러 양태들의 설명을 돕기 위해서만 제공되는 개관이며, 그 양태들의 설명을 위해서만 제공되며 이들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하나의 양태에서,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예를 들어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의 활성 주기들 및 비활성 주기들을 정의하는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 (TDM) 통신 패턴에 따라, 각각 통신 매체를 통한 활성화된 동작 또는 활성화 해제된 동작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를 구성하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에 응답하여 액세스 단말기로부터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각각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해제하고, 및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지 않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는 것을 삼가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장치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는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의 활성 주기들 및 비활성 주기들을 정의하는 TDM 통신 패턴에 따라, 각각 통신 매체를 통한 활성화된 동작 또는 활성화 해제된 동작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를 구성하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를 전송하고; 및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에 응답하여 액세스 단말기로부터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각각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고, 및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지 않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는 것을 삼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다른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장치는 예를 들어,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의 활성 주기들 및 비활성 주기들을 정의하는 TDM 통신 패턴에 따라, 각각 통신 매체를 통한 활성화된 동작 또는 활성화 해제된 동작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를 구성하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를 전송하는 수단;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에 응답하여 액세스 단말기로부터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 및 각각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고, 및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지 않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는 것을 삼가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개시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의 활성 주기들 및 비활성 주기들을 정의하는 TDM 통신 패턴에 따라, 각각 통신 매체를 통한 활성화된 동작 또는 활성화 해제된 동작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를 구성하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를 전송하는 코드;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에 응답하여 액세스 단말기로부터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코드; 및 각각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고, 및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지 않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는 것을 삼가는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다른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예를 들어,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의 활성 주기들 및 비활성 주기들을 정의하는 TDM 통신 패턴에 따라, 각각 통신 매체를 통한 활성화된 동작 또는 활성화 해제된 동작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를 구성하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에 응답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각각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고, 및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지 않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는 것을 삼가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다른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장치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는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의 활성 주기들 및 비활성 주기들을 정의하는 TDM 통신 패턴에 따라, 각각 통신 매체를 통한 활성화된 동작 또는 활성화 해제된 동작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를 구성하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를 수신하고,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에 응답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각각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고, 및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지 않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는 것을 삼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다른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장치는 예를 들어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의 활성 주기들 및 비활성 주기들을 정의하는 TDM 통신 패턴에 따라, 각각 통신 매체를 통한 활성화된 동작 또는 활성화 해제된 동작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를 구성하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단;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에 응답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수단; 및 각각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고, 및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지 않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는 것을 삼가는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다른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개시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의 활성 주기들 및 비활성 주기들을 정의하는 TDM 통신 패턴에 따라, 각각 통신 매체를 통한 활성화된 동작 또는 활성화 해제된 동작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를 구성하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를 수신하는 코드;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에 응답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코드; 및 각각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고, 및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지 않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는 것을 삼가는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첨부하는 도면들은 본 개시의 여러 양태들의 설명을 돕기 위해 제시되고 이들의 제한이 아니라 양태들의 설명을 위해서만 제공된다.
도 1a 는 예시의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하는 시스템-레벨 다이어그램이다.
도 1b 는 도 1a 의 무선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 및 액세스 단말기의 예시의 컴포넌트들을 더 상세히 도시하는 디바이스-레벨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는 예시의 불연속 송신 (DTX) 통신 스킴의 소정의 양태들을 도시한다.
도 3 은 액세스 단말기 활성화/활성화 해제 커맨드 및 확인응답 메시지 동기화를 갖는 예시의 불연속 송신 (DTX) 통신 스킴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4 는 예시의 액세스 단말기 활성화/활성화 해제 커맨드 재시도 절차를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5 는 다른 예시의 액세스 단말기 활성화/활성화 해제 커맨드 재시도 절차를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6 은 여기의 기법들에 따라 액세스 단말기를 활성화하고 활성화 해제하도록 리퍼포징 (repurposing) 될 수도 있는 예시의 활성화/활성화 해제 MAC CE 를 도시한다.
도 7 은 DTX 통신 스킴을 위한 예시의 액세스 단말기 활성화/활성화 해제 커맨드 및 확인응답 동기화 절차를 도시하는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8 은 여기에 기술된 기법들에 따른 통신의 예시의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 는 여기에 기술된 기법들에 따른 통신의 다른 예시의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 은 일련의 상호관련된 기능 모듈들로서 표현된 예시의 장치를 도시한다.
도 11 은 일련의 상호관련된 기능 모듈들로서 표현된 다른 예시의 장치를 도시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공유된 통신 매체상에서의 활성화 및 활성화 해제 동기화에 관한 것이다. 불연속 송신 (DTX) 통신 스킴은 통신 매체상의 동작의 활성 및 비활성 주기들의 시리즈를 포함하는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 (TDM) 통신 패턴을 정의할 수도 있다. 또, 이하에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기들은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들 및 대응하는 확인응답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이와 관련한 액세스 포인트 동작에 동기화될 수도 있다. 확인응답 메시지는 더 강건한 동기화를 보장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또한, 액세스 단말기들은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들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동기화를 돕기 위해 마진 주기와 같은 관련된 정보가 프러비져닝 (예를 들어, 미리 프로그래밍, 동적으로 구성 등) 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더욱 특정의 양태들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된 여러 예들로 지향된 다음의 설명 및 관련된 도면들에서 제공된다. 대안의 양태들이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고안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잘 알려진 양태들은 상세히 기술되지 않을 수도 있거나 더 관련된 상세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생략될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하에 기술된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부분적으로 특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부분적으로 원하는 설계에,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기술 등에 따라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 필드들 또는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양태들이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액션들의 시퀀스들에 의해 기술된다. 여기에 기술된 여러 액션들은 특정의 회로들 (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들 (ASICs)) 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양자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 여기에 기술된 양태들 각각에 대해, 임의의 그러한 양태의 대응하는 형태는 예를 들어 기술된 액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 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a 는 "프라이머리" 무선 액세스 기술 (RAT) 시스템 (100) 및 "경합" RAT 시스템 (190) 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예로서 도시된 예시의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하는 시스템-레벨 다이어그램이다. 각 시스템은 여러 타입들의 통신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멀티미디어 서비스들, 연관된 제어 시그널링 등) 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무선 링크를 통해 수신 및/또는 송신할 수 있는 상이한 무선 노드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프라이머리 RAT 시스템 (100) 은 무선 링크 (130) 를 통해 서로와 통신하는 액세스 포인트 (110) 및 액세스 단말기 (120) 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경합 RAT 시스템 (190) 은 별개의 무선 링크 (134) 를 통해 서로와 통신하는 2 개의 경합 노드들 (192) 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시되고, 유사하게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 액세스 단말기들, 또는 다른 타입들의 무선 노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로서, 프라이머리 RAT 시스템 (100) 의 액세스 포인트 (110) 및 액세스 단말기 (120) 는 롱 텀 에볼루션 (LTE) 기술에 따라 무선 링크 (130) 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는 반면, 경합 RAT 시스템 (190) 의 경합 노드들 (192) 은 Wi-Fi 기술에 따라 무선 링크 (134) 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각 시스템은 지리적 영역 전체에 걸쳐 분포된 임의의 수의 무선 노드들을 지원할 수도 있으며, 도시된 엔티티들은 예시의 목적만으로 도시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용어들 "액세스 단말기" 및 "액세스 포인트" 는 임의의 특정의 RAT 에 특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단말기들은 사용자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임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이동 전화, 라우터, 개인용 컴퓨터, 서버,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사물 인터넷 (IOT)/만물 인터넷 가능 디바이스, 차량내 통신 디바이스 등) 일 수도 있고, 대안적으로 상이한 RAT 환경들에서 사용자 디바이스 (UD), 이동국 (MS), 가입자국 (STA), 사용자 장비 (UE) 등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가 전개되는 네트워크에 의존하여 액세스 단말기들과 통신하는 하나 또는 수개의 RAT 들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고, 대안적으로 기지국 (BS), 네트워크 노드, 노드 B, 진화된 노드 B (eNB) 등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그러한 액세스 포인트는 예를 들어 스몰 셀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할 수도 있다. "스몰 셀들" 은 일반적으로 펨토 셀들, 피코 셀들, 마이크로 셀들,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액세스 포인트들, 다른 스몰 커버리지 영역 액세스 포인트들 등을 포함하거나 다르게는 그렇게 지칭될 수도 있는 저전력 액세스 포인트들의 클래스를 지칭한다. 스몰 셀들은 시골 환경에서 동네 또는 수 제곱 마일 내의 소수의 블록들을 커버할 수도 있는 매크로 셀 커버리지를 보충하기 위해 전개될 수도 있으며, 이것에 의해 향상된 시그널링, 증분된 용량 성장, 더 풍부한 사용자 경험 등을 야기한다.
도 1a 로 돌아가서, 프라이머리 RAT 시스템 (100) 에 의해 사용되는 무선 링크 (130) 및 경합 RAT 시스템 (190) 에 의해 사용되는 무선 링크 (134) 는 공유된 통신 매체 (132) 를 통해 동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타입의 통신 매체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캐리어들에 걸쳐 하나 이상의 채널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시간, 및/또는 공간 통신 자원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로서, 통신 매체 (132) 는 비허가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할 수도 있다. 상이한 비허가 주파수 대역들이 (예를 들어, 미국의 연방 통신 위원회 (FCC) 와 같은 정부 엔티티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위해 예약되었을 지라도, 일부 시스템들, 특히 스몰 셀 액세스 포인트들을 채용하는 것들은 Wi-Fi 를 포함하는 WLAN 기술들에 의해 사용되는 비허가 내셔널 정보 인프라스트럭쳐 (U-NII) 와 같은 비허가 주파수 대역들로의 확장된 동작을 갖는다.
통신 매체 (132) 의 공유된 사용에 기인하여, 무선 링크 (130) 와 무선 링크 (134) 사이에 크로스-링크 간섭의 잠재성이 존재한다. 또, 일부 RAT 들 및 일부 관할 구역들은 통신 매체 (132) 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경합 또는 "LBT (Listen Before Talk)" 를 요구할 수도 있다. 예로서, Wi-Fi IEEE 802.11 프로토콜 표준 패밀리는 각각의 Wi-Fi 디바이스가 매체를 통해 그 자신의 송신들을 위해 통신 매체를 포착 (및 일부 경우들에서 예약) 하기 전에 공유된 통신 매체상에서 다른 트래픽의 부재를 감지하는 것을 확인하는 캐리어 감지 다중 액세스/충돌 회피 (CSMA/CA)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다른 예로서, 유럽 통신 표준 위원회 (ETSI) 는 비허가 주파수 대역들과 같은 소정의 통신 매체들상에서 그들의 RAT 에 관계없이 모든 디바이스들에 대해 경합을 명령한다.
이하에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 (110) 및/또는 액세스 단말기 (120) 는 위에서 간단히 논의된 공존 관리 기법들을 제공하거나 다르게는 지원하기 위해 여기의 교시들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110) 는 공존 관리기 (160) 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액세스 단말기 (120) 는 공존 관리기 (17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b 는 프라이머리 RAT 시스템 (100) 의 액세스 포인트 (110) 및 액세스 단말기 (120) 의 예시의 컴포넌트들을 더 상세히 도시하는 디바이스-레벨 다이어그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 (110) 및 액세스 단말기 (120) 는 각각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RAT 을 통해 다른 무선 노드들과 통신하는 (통신 디바이스들 (112 및 122) 에 의해 표현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디바이스들 (112 및 122) 은 신호들을 송신 및 인코딩하기 위해, 그리고 역으로 지정된 RAT 에 따라 신호들 (예를 들어, 메시지들, 표시들, 정보, 파일롯들 등) 을 수신 및 디코딩하기 위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 디바이스들 (112 및 122) 은 (예를 들어, 경합 RAT 시스템 (190) 에 의해 채용된 RAT 에 대응하여) 각각 별개의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들 (140 및 150), 및 일부 설계들에서, (선택적인) 동일장소에 배치된 (co-located) 세컨더리 RAT 송수신기들 (142 및 152) 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 는 송신기 회로, 수신기 회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모든 설계들에서 송신 및 수신 기능성들 양자 모두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낮은 기능성 수신기 회로는 풀 (full)통신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저레벨 스니핑 (sniffing) 만을 제공하는 무선 칩 또는 유사한 회로) 비용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부 설계들에서 채용될 수도 있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동일 장소에 배치된" (예를 들어, 라디오들, 액세스 포인트들, 송수신기들 등) 은 여러 배열들 중 하나를 지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하우징 내에 있는 컴포넌트들; 동일한 프로세서에 의해 호스팅되는 컴포넌트들; 서로의 정의된 거리 내에 있는 컴포넌트들;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임의의 요구된 인터-컴포넌트 통신 (예를 들어, 메시징) 의 레이턴스 요건들을 맞족시키는 경우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이더넷 스위치) 를 통해 연결되는 컴포넌트들.
액세스 포인트 (110) 및 액세스 단말기 (120) 는 또한 각각 일반적으로 그들 각각의 통신 디바이스들 (112 및 122) 의 동작 (예를 들어, 다이렉팅, 변경, 인에이블링, 디스에이블링 등) 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기들 (114 및 124) 에 의해 표현된) 통신 제어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제어기들 (114 및 124) 은 각각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6 및 126), 및 그 프로세서들 (116 및 126) 에 커플링된 메모리들 (118 및 128)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들 (118 및 128) 은 온-보드 캐시 메모리로서,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조합 등으로서 데이터, 명령들, 또는 그들의 조합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들 (116 및 126) 및 메모리들 (118 및 128) 은 스탠드얼론 통신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거나 액세스 포인트 (110) 및 액세스 단말기 (120) 의 각각의 호스트 시스템 기능성의 부분일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 (110) 의 공존 관리기 (160) 는 커맨드 생성기 (144), 확인응답 분석기 (146), 및 동작 모드 제어기 (148) 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액세스 단말기 (120) 의 공존 관리기 (170) 는 커맨드 분석기 (154), 확인응답 생성기 (156), 및 동작 모드 제어기 (158) 를 포함한다. 그러나, 공존 관리기 (160) 및 공존 관리기 (170) 는 상이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과 그것과 연관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성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6) 및/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6))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 (118) 및/또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 (128)) 에 의해 다르게는 그들의 지령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2 는 통신 매체 (132) 상에서 프라이머리 RAT 시스템 (100)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는 예시의 불연속 송신 (DTX) 통신 스킴의 소정의 양태들을 도시한다. DTX 통신 스킴은 경합 RAT 시스템 (190) 과 시간-분할-기반 공존을 조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이머리 RAT 통신을 위한 통신 매체 (132) 의 사용은 통신의 활성 주기들 (204) 및 비활성 주기들 (206) 의 시리즈로 분할될 수도 있다. 활성 주기들 (204) 과 비활성 주기들 (206) 사이의 관계는 프라이머리 RAT 시스템 (100) 과 경합 RAT 시스템 (190) 사이의 공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상이한 방식들로 적응될 수도 있다.
주어진 활성 주기 (204)/비활성 주기 (206) 쌍은 더 큰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된 (TDM) 통신 패턴 (200) 내에서 송신 (TX) 사이클 (TDTX) (208) 을 구성할 수도 있다. 각각의 활성 주기 (204) 와 연관된 시간 주기 (TON) 동안, 통신 매체 (132) 상의 프라이머리 RAT 통신은 통상의, 상대적으로 높은 송신 전력 (TXHIGH) 에서 진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각각의 비활성 주기 (206) 와 연관된 시간 주기 (TOFF) 동안, 통신 매체 (132) 상의 프라이머리 RAT 통신은 디스에이블되거나 적어도 상대적으로 낮은 송신 전력 (TXLOW) 로 충분히 감소되어 경합 RAT 시스템 (190) 으로 통신 매체 (132) 를 양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간 동안, 매체 이용 측정들, 매체 이용 평가 감지 등과 같은 여러 네트워크 청취 기능들 및 연관된 측정들이 액세스 포인트 (110) 및/또는 액세스 단말기 (120)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DTX 통신 스킴은 하나 이상의 DTX 파라미터들의 세트에 의해 특징지워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기 지속기간 (예를 들어, TDTX 의 길이), 듀티 사이클 (예를 들어, TON/TDTX), 및 활성 주기들 (204) 및 비활성 주기들 (206) 동안의 각각의 송신 전력들 (각각, TXHIGH 및 TXLOW) 을 포함하는 연관된 DTX 파라미터들 각각은 DTX 통신 스킴의 공정성을 동적으로 최적화하기 위해 통신 매체 (132) 상에서 현재의 시그널링 조건들에 기초하여 적응될 수도 있다.
도 1b 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세컨더리 RAT 송수신기 (142) 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 (112) 는 통신 매체 (132) 를 통한 프라이머리 RAT 시그널링에 의해 간섭하거나 간섭될 수도 있는 경합 RAT 시스템 (190) 으로부터의 시그널링과 같은 세컨더리 RAT 시그널링에 대한 시간 주기 (TOFF) 동안 통신 매체 (132) 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세컨더리 RAT 시그널링에 의한 통신 매체 (132) 의 이용과 연관되는 이용 메트릭이 그 후 결정될 수도 있다. 그 이용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술된 연관된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이 설정될 수도 있고,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40) 는 그들에 따라 통신 매체 (132) 를 통한 통신의 활성 주기들 (204) 및 통신의 비활성 주기들 (206) 사이에서 사이클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로서, 이용 메트릭이 높으면 (예를 들어, 임계값 위이면),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은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40) 에 의한 통신 매체 (132) 의 사용이 (예를 들어, 듀티 사이클 또는 송신 전력에서의 감소를 통해) 감소되도록 조정될 수도 있다. 역으로, 이용 메트릭이 낮으면 (예를 들어, 임계값 아래이면),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은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40) 에 의한 통신 매체 (132) 의 사용이 (예를 들어, 듀티 사이클 또는 송신 전력에서의 증가를 통해) 증가되도록 조정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 (120) 를 활성화/활성화 해제 커맨드들 및 대응하는 확인응답 메시지들을 사용함으로써 DTX 동작 및 대응하는 TDM 통신 패턴 (200) 과 동기화시키는 것은 이로울 수도 있다. 동기화 없이, 액세스 단말기 (120) 는 비활성 주기들 (206) 동안 여러 측정들을 수행하기를 시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시간 동안 액세스 포인트 (110) 를 발견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한 측정들은 액세스 포인트 (110) 가 비활성 주기들 (206) 동안 송신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는 신호들 (예를 들어, 셀-특정 참조 신호 (CRS)) 에 기초하는, 예를 들어, 캐리어-대-간섭 (C/I) 측정들, 참조 신호 수신 전력 (RSRP) 측정들, 참조 신호 수신 품질 (RSRQ) 측정들, 및 채널 품질 표시자 (CQI) 측정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측정들의 손상은 측정 및 타이밍 정확성, 추적 루프 절차들 등에 영향을 줄 수도 있고, 시스템의 적절한 동작에 해롭게 영향을 줄 수도 있다. 활성화/활성화 해제 커맨드들과 결합한 확인응답 메시지들의 사용은 액세스 포인트 (110) 와 액세스 단말기 (120) 사이의 동기화의 효과성을 더 양호하게 보장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도 3 은 액세스 단말기 활성화/활성화 해제 커맨드 및 확인응답 메시지 동기화를 갖는 예시의 DTX 통신 스킴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 (110) 의 커맨드 생성기 (144) 는 활성 주기 (204) 의 예시의 인스턴스의 시작에 앞서 제 1 시간 (T1) 에 액세스 단말기 (120) 로 활성화 커맨드를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40) 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활성 커맨드는 TDM 통신 패턴 (200) 등과 같은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 (132) 를 통한 활성화된 동작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 (120) 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시간 (T1) 에서 동시적으로, 또는 그 시간 직후에, 액세스 단말기 (120) 의 커맨드 분석기 (154) 는 액세스 포인트 (110) 로부터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50) 를 통해) 활성화 커맨드를 수신할 수도 있다.
활성화 커맨드에 응답하여, 액세스 단말기 (120) 의 확인응답 생성기 (156) 는 나중의 시간 (T2) 에서 액세스 포인트 (110) 로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50) 를 통해) 확인응답 (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확인응답 메시지는 활성화 커맨드가 성공적으로 수신 및 디코딩되는 경우 활성화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또는 활성화 커맨드가 성공적으로 수신 및 디코딩되지 않는 경우 활성화 커맨드의 부정 확인응답을 표시할 수도 있다. 시간 (T2) 에서 동시적으로, 또는 그 시간 직후에, 액세스 포인트 (110) 의 확인응답 분석기 (146) 는 액세스 단말기 (120) 로부터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확인응답 메시지 교환은 활성 주기 (204) 의 시작 이전에 발생하고, 성공적이어서, 활성화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표시한다.
활성화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표시하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액세스 포인트 (110) 의 동작 모드 제어기 (148) 는 활성 주기 (204) 의 시작 (시간 (T3)) 에서 TDM 통신 패턴 (200) 에 따라 통신을 활성화 (예를 들어, 정상 시그널링의 송신을 재개) 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활성화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표시하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액세스 단말기 (120) 의 동작 모드 제어기 (158) 는 활성 주기 (204) 의 시작 (시간 (T3)) 에서 TDM 통신 패턴 (200) 에 따라 통신을 활성화 (예를 들어, 시간 분할 듀플렉스 (TDD) 동작 등을 위해 수신기 프로세싱을 활성화, 송신기/수신기 프로세싱 양자 모두를 활성화함으로써 정상 시그널링의 송신을 기대) 할 수도 있다.
또한, 그러나, 액세스 단말기 (120) 는 활성 주기 (204) 동안의 정상 동작을 위해 준비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램프-업 (ramp-up) 절차들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으며, 이들은 시간 (T3) 에서의 활성 주기 (204) 의 시작과 나중의 시간 (T4) 에서의 램프-업 절차들의 종결 사이에 활성화 오버헤드 (304) 를 나타낸다. 램프-업 절차들은 선행하는 비활성 주기 (206) 동안 운영 시스템 또는 환경에서의 변화들에 기초하여 조정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는, 예를 들어, 자동 이득 제어 (AGC), 펌웨어 등과 같은 액세스 단말기 (120) 의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50) 의 여러 모뎀 설정들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시간 (T3) 및 시간 (T4) 사이의 램프-업 시간 주기 동안, 액세스 포인트 (110) 의 동작 모드 제어기 (148) 는 램프-업 절차들 (예를 들어, CRS 와 같은 측정 시그널링 등) 을 용이하게 하는 것과 연관된 시그널링의 서브세트로 액세스 포인트 (110) 에 의한 송신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종래의 온/오프 절차들 (예를 들어, SCell 의 무선 자원 제어 (RRC) 구성/구성 해제) 에 비해 DTX 사이클 (208) 의 상대적으로 짧은 특성을 수용하기 위해, 액세스 단말기 (120) 는 (예를 들어, 선행하는 비활성 주기 (206) 에서의 복조 참조 신호 (DRS) 를 모니터링하고 그것을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함으로써) "빠른" 램프-업을 수행하도록 요구될 수도 있다. 예로서, 액세스 단말기 (120) 는 2-3 ms 와 같은 활성화 오버헤드 (304) 에 대한 상대적으로 짧은 양의 시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을 디코딩할 준비가 될 것이 기대될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액세스 단말기 (120) 는 선행하는 비활성 주기 (206) 의 지속시간에 따라 설정되는 활성화 오버헤드 (304) 에 대한 소정 양의 시간에서 준비가 될 것이 기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행하는 비활성 주기 (206) 의 지속기간이 임계값보다 작다면, 액세스 단말기 (120) 는 선행하는 비활성 주기 (206) 의 지속기간이 임계값 위에 있을 때보다 더 짧은 양의 시간에서 준비가 될 것이 기대될 수도 있다.
도 3 으로 돌아가서, 액세스 포인트 (110) 의 커맨드 생성기 (144) 는 비활성 주기 (206) 의 예시의 인스턴스의 시작에 앞서 나중의 시간 (T5) 에서 액세스 단말기 (120) 로 활성화 해제 커맨드를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40) 를 통해) 추가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활성화 해제 커맨드는 TDM 통신 패턴 (200) 등과 같은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 (132) 를 통한 활성화 해제된 동작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 (120) 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시간 (T5) 에서 동시적으로, 또는 그 시간 직후에, 액세스 단말기 (120) 의 커맨드 분석기 (154) 는 액세스 포인트 (110) 로부터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50) 를 통해) 활성화 해제 커맨드를 수신할 수도 있다.
활성화 해제 커맨드에 응답하여, 액세스 단말기 (120) 의 확인응답 생성기 (156) 는 나중의 시간 (T6) 에서 액세스 포인트 (110) 로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50) 를 통해) 다른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다시, 일반적으로, 확인응답 메시지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가 성공적으로 수신 및 디코딩되는 경우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가 성공적으로 수신 및 디코딩되지 않는 경우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부정 확인응답을 표시할 수도 있다. 시간 (T6) 에서 동시적으로, 또는 그 시간 직후에, 액세스 포인트 (110) 의 확인응답 분석기 (146) 는 액세스 단말기 (120) 로부터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확인응답 메시지 교환은 비활성 주기 (206) 의 시작 이전에 발생하고, 성공적이어서,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표시한다.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표시하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액세스 포인트 (110) 의 동작 모드 제어기 (148) 는 비활성 주기 (206) 의 시작 (시간 (T7)) 에서 TDM 통신 패턴 (200) 에 따라 통신을 활성화 해제 (예를 들어, 정상 시그널링의 송신을 중단) 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활성화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표시하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액세스 단말기 (120) 의 동작 모드 제어기 (158) 는 비활성 주기 (206) 의 시작 (시간 (T7)) 에서 TDM 통신 패턴 (200) 에 따라 통신을 활성화 해제할 (예를 들어, 정상 시그널링의 송신을 기대하지 않을, 여러 측정들을 수행하는 것을 삼갈) 수도 있다.
또한, 그러나, 액세스 단말기 (120) 는 또한 비활성 주기 (206) 동안 정상 동작으로부터 천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램프-업 절차들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으며, 이들은 시간 (T7) 에서의 비활성 주기 (206) 의 시작과 나중의 시간 (T8) 에서의 램프-업 절차들의 종결 사이에 활성화 해제 오버헤드 (304) 를 나타낸다. 램프-업 절차들은 예를 들어 상술된 램프-업 절차들에 대한 설정들과 대응적으로 유사한, 액세스 단말기 (120) 의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50) 의 여러 모뎀 설정들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시간 (T7) 및 시간 (T8) 사이의 램프-다운 시간 주기 동안, 액세스 포인트 (110) 의 동작 모드 제어기 (148) 는 램프-다운 절차들 (예를 들어, CRS 와 같은 측정 시그널링 등) 을 용이하게 하는 것과 연관된 시그널링의 서브세트로 액세스 포인트 (110) 에 의한 송신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DTX 사이클 (208) 의 상대적으로 짧은 특성을 수용하기 위해, 액세스 단말기 (120) 는 2-3 ms 와 같은 활성화 해제 오버헤드 (306) 에 대한 상대적으로 짧은 양의 시간에서 활성화 해제를 위해 준비가 될 것이 기대될 수도 있다.
도 4 는 예시의 액세스 단말기 활성화/활성화 해제 커맨드 재시도 절차를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이 예는 활성화 및 활성화 해제 커맨드들에 대한 확인응답 메시지들이 초기에 성공적이지 않아 재시도 절차를 프롬프트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3 의 예와 유사하다. 초기에 성공적이지 않은 활성화 및 활성화 해제 커맨드들 양자 모두에 대한 확인응답 메시지들은 예시의 목적으로만 도시된다는 것, 및 다른 시나리오들에서 활성화 커맨드는 성공적일 수도 있는 반면 활성화 해제 커맨드는 초기에 성공적이지 않고, 그역도 성립한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 (110) 의 확인응답 분석기 (146) 는 (i) 확인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만 부정 확인응답을 표시한다는 것 또는 (ii) 시간 (T1) 에서 전송된 활성화 커맨드에 응답하여 주어진 시간 주기 내에 (예를 들어, 대응하는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어떠한 확인응답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결정에 응답하여, 액세스 포인트 (110) 의 커맨드 생성기 (144) 는 재시도 절차를 개시하고 나중의 시간 (T2) 에서 활성화 커맨드를 재전송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 2 시도는 성공적이고, 액세스 단말기 (120) 의 확인응답 생성기 (156) 는 활성화 커맨드의 긍적 확인응답을 표시하는 활성 주기 (204) 의 시작 이전의 나중의 시간 (시간 (T3)) 에 액세스 포인트 (110) 로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50) 를 통해)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나, 추가적인 재전송 시도들은 필요하거나 원하는 대로 재시도 절차의 부분일 수도 있다. 또한, 예시의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동시적으로서 도시되지만, 추가적인 프로세싱 시간이 확인응답 메시지의 수신부터 활성 주기 (204) 의 시작까지 요구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유사하게, 액세스 포인트 (110) 의 확인응답 분석기 (146) 는 (i) 확인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만 부정 확인응답을 표시한다는 것 또는 (ii) 시간 (T5) 에서 전송된 활성화 해제 커맨드에 응답하여 주어진 시간 주기 내에 (예를 들어, 대응하는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어떠한 확인응답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결정에 응답하여, 액세스 포인트 (110) 의 커맨드 생성기 (144) 는 재시도 절차를 개시하고 나중의 시간 (T6) 에서 활성화 해제 커맨드를 재전송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 2 시도는 성공적이고, 액세스 단말기 (120) 의 확인응답 생성기 (156) 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적 확인응답을 표시하는 비활성 주기 (206) 의 시작 이전의 나중의 시간 (시간 (T7)) 에 액세스 포인트 (110) 로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50) 를 통해)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나, 추가적인 재전송 시도들은 필요하거나 원하는 대로 재시도 절차의 부분일 수도 있다. 또한, 예시의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동시적으로서 도시되지만, 추가적인 프로세싱 시간이 확인응답 메시지의 수신으로부터 활성 주기 (204) 의 시작까지 요구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5 는 다른 예시의 액세스 단말기 활성화/활성화 해제 커맨드 재시도 절차를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이러한 예는 활성화 및 활성화 해제 커맨드들에 대한 확인응답 메시지들이 초기에 성공적이지 않아 재시도 절차를 프롬프트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3 의 예와 유사하다. 또한, 이러한 예는 재시도 절차가 각각의 활성 주기 (204) 또는 비활성 주기 (206) 의 시작 후까지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들에 대한 성공적인 확인응답 메시지를 프롬프트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도 4 의 예와 유사하다. 다시, 초기에 성공적이지 않은 활성화 및 활성화 해제 커맨드들 양자 모두에 대한 확인응답 메시지들은 예시의 목적으로만 도시된다는 것, 및 다른 시나리오들에서 활성화 커맨드는 성공적일 수도 있는 반면 활성화 해제 커맨드는 초기에 성공적이지 않고, 그 역도 성립한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 (110) 의 확인응답 분석기 (146) 는 다시 (i) 확인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만 부정 확인응답을 표시한다는 것 또는 (ii) 시간 (T1) 에서 전송된 활성화 커맨드에 응답하여 주어진 시간 주기 내에 (예를 들어, 대응하는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어떠한 확인응답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결정에 응답하여, 액세스 포인트 (110) 의 커맨드 생성기 (144) 는 다시 재시도 절차를 개시하고 나중의 시간 (T2) 에서 활성화 커맨드를 재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시된 예에서, 액세스 단말기 (120) 의 확인응답 생성기 (156) 는 활성 주기 (204) 의 시작 이후의 나중의 시간 (시간 (T3)) 까지 활성화 커맨드의 긍적 확인응답을 표시하는 확인응답 메시지를 액세스 포인트 (110) 로 전송하지 않는다. 이것은 액세스 단말기 (120) 에서의 프로세싱 지연, 활성화 커맨드 (도시하지 않음) 의 여전히 추가의 재전송에 대한 필요, 또는 지연에 대한 다른 원인들에 기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 (110) 의 동작 모드 제어기 (148) 는 적어도 확인응답 메시지가 실제로 수신되는 그러한 시간 (시간 (T3)) 까지, TDM 통신 패턴 (200) 에 따라 통신을 활성화하는 것을 삼감으로써, 활성 주기 (204) 의 온셋 (onset) 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유사하게, 액세스 포인트 (110) 의 확인응답 분석기 (146) 는 다시 (i) 확인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만 부정 확인응답을 표시한다는 것 또는 (ii) 시간 (T3) 에서 전송된 활성화 해제 커맨드에 응답하여 주어진 시간 주기 내에 (예를 들어, 대응하는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어떠한 확인응답 메시지도 수신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결정에 응답하여, 액세스 포인트 (110) 의 커맨드 생성기 (144) 는 다시 재시도 절차를 개시하고 나중의 시간 (T6) 에서 활성화 해제 커맨드를 재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시된 예에서, 액세스 단말기 (120) 의 확인응답 생성기 (156) 는 비활성 주기 (206) 의 시작 이후의 나중의 시간 (시간 (T7)) 까지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적 확인응답을 표시하는 확인응답 메시지를 액세스 포인트 (110) 로 전송하지 않는다. 이것은 액세스 단말기 (120) 에서의 프로세싱 지연, 활성화 해제 커맨드 (도시하지 않음) 의 여전히 추가의 재전송에 대한 필요, 또는 지연에 대한 다른 원인들에 기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 (110) 의 동작 모드 제어기 (148) 는 적어도 확인응답 메시지가 실제로 수신되는 그러한 시간 (시간 (T7)) 까지, TDM 통신 패턴 (200) 에 따라 통신을 활성화 해제하는 것을 삼감으로써, 비활성 주기 (206) 의 온셋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 각각에서, 활성화 커맨드는 마진 주기 (Δ) 만큼 (예상된) 활성 주기 (204) 의 시작에 앞서 전송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사하게, 활성화 해제 커맨드는 마진 주기 (Δ) 만큼 (예상된) 비활성 주기 (206) 의 시작에 앞서 전송된다. 도시된 예들에서, 마진 주기 (Δ) 는 활성화 및 활성화 해제 양자 모두에 대해 동일하지만, 그것은 다른 설계들 또는 시나리오들에서 상이할 수도 있다. 마진 주기 (Δ) 는 확인응답 메커니즘의 강건성을 보장하고 필요한 경우에 재시도 절차들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진 주기 (Δ) 는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전송, 확인응답 메시지의 수신, 및 적어도 하나의 재시도 주기 (예를 들어,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하나의 재송신 및 확인응답 메시지 응답에 대한 기회) 에 걸치도록 충분히 길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마진 주기 (Δ) 는 미리 결정된 (예를 들어, 미리 프로그래밍된 또는 다르게는 전달된) 지속기간일 수도 있고 액세스 포인트 (110) 가 주어진 활성 주기 (204) 또는 비활성 주기 (206) 가 개시할 것으로 예상해야 하는 때에 대한 표시자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세스 단말기 (120) 의 동작 모드 제어기 (158) 는 대응하는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가 수신되는 때에 관련한 설정 포인트에서 TDM 통신 패턴 (200) 에 따라 통신을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진 주기 (Δ) 를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으로 설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강건한 동기화를 여전히 보장하면서 액세스 단말기 (120) 로 전달될 필요가 있는 DTX 파라미터들의 수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특정의 예로서, 액세스 포인트 (110) 의 동작 모드 제어기 (148) 는 (적어도, 천이 경계에 앞서, 제시간에 수신되고, 대응하는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표시하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각각의 활성 주기 (204) 와 비활성 주기 (206) 사이의 주기적 천이 경계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경계) 에서 액세스 단말기 (120) 를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마진 주기 (Δ) 는 그러한 천이 경계로부터 미리 결정된 오프셋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3 의 콘텍스트에서, 예를 들어, 활성 주기 (204) 의 시작 (시간 (T3)) 은 특정의 서브프레임 번호 (N) 와 정렬될 수도 있고, 비활성 주기 (206) 의 시작 (시간 (T7)) 은 다른 서브프레임 번호 (M) 와 정렬될 수도 있고, 마진 주기 (Δ) 는 미리 결정된 수의 서브프레임들 (예를 들어, 8 ms 오프셋에 대응하는, LTE 시스템에서의 8 개의 서브프레임들, 활성화 커맨드는 서브프레임 (N-8) 에서 전송되고 (즉, T1 = N - 8), 활성화 해제 커맨드는 서브프레임 (M-8) 에서 전송된다 (즉, T5 = M - 8)) 로 설정된다.
활성화/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특정의 예로서, SCell 활성화 및 활성화 해제 동작들에 대해 LTE 에서 제공된 미리 정의된 활성화/활성화 해제 매체 액세스 제어 (MAC) 제어 엘리먼트 (CE) 커맨드들을 사용하는 것이 이로울 수도 있다. LTE 에서의 활성화/활성화 해제 MAC CE 는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한, 명칭이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인 3GPP TS 36.321 에 기술되어 있다. 새로운 시그널링 프로토콜들 및 연관된 메시지들이 하나 이상의 DTX 파라미터들 (예를 들어, 새로운 특수-목적 MAC CE 메시지들, 마스터 정보 블록 (MIB) 메시지들 등) 에 대해 액세스 단말기 (120) 에게 통지하기 위해 생성될 수도 있지만, 레거시 디바이스들은 이들 새로운 메시지들을 지원하지 않거나 해석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미리 정의된 활성화/활성화 해제 MAC CE 커맨드들의 사용은 여러 면에서 이로울 수도 있다.
도 6 은 여기의 기법들에 따라 액세스 단말기 (120) 를 활성화하고 활성화 해제하도록 리퍼포징 (repurposing) 될 수도 있는 예시의 LTE 활성화/활성화 해제 MAC CE 를 도시한다. 활성화/활성화 해제 MAC CE (600) 는 통상적으로 '11O11' 으로 설정된 논리 채널 식별자 (LCID) 로 MAC 패킷 데이터 유닛 (PDU) 서브헤더에 의해 식별된다. 그것은 통상적으로 고정된 사이즈를 갖고 7 개의 C-필드들 및 하나의 R-필드를 포함하는 단일의 옥텟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활성화/활성화 해제 MAC CE (600) 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개의 SCellIndex 필드들 (Ci: C1 - C7) 및 예약된 비트 (R) 을 포함한다. 각각의 SCellIndex 필드는 SCellIndex i 를 갖는 SCell 의 활성화/활성화 해제 상태를 나타낸다. 각각의 SCellIndex 필드는 SCellIndex i 를 갖는 SCell 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1' 로 설정될 수도 있다. 각각의 SCellIndex 필드는 SCellIndex i 를 갖는 SCell 이 활성화 해제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0' 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약된 비트는 '0' 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7 은 DTX 통신 스킴을 위한 예시의 액세스 단말기 활성화/활성화 해제 커맨드 및 확인응답 동기화 절차를 도시하는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 (110) 는 액세스 단말기 (120) 와 DTX 동작을 동기화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액세스 단말기 (120) 는 초기에 액세스 단말기 (120) 가 주어진 활성화 및 활성화 해제 동작 모드 (예를 들어, 상술된 타입의 저 오버헤드 모드) 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립하는 선택적 능력 메시지 (702) 를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50) 와 결합하여 동작 모드 제어기 (158) 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 (110) 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능력 메시지 (702) 는 액세스 포인트 (110) 가 적절한 동작 모드를 위해 액세스 단말기 (120) 를 구성하는, 액세스 단말기 (120) 와 액세스 포인트 (110) 사이의 더 큰 핸드셰이크 절차의 부분일 수도 있다. 비록 구현이 애플리케이션 마다 변할 수도 있더라도, 선택적 능력 메시지 (702) 는 상이한 방식으로 동기화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는, 이러한 타입의 동작이 가능하지 않는 다른 레거시 디바이스들로부터 액세스 단말기 (120) 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든 디바이스들이 이러한 타입의 동작이 가능한 경우, 어떠한 능력 메시지도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임박한 활성화/활성화 해제 ("A/D") 천이를 예상하고 (블록 (704)), 액세스 포인트 (110) 는 통신 매체 (132) 를 통한 활성화된 동작 또는 활성화 해제된 동작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 (120) 를 구성하는 활성화/활성화 해제 커맨드 (706) 를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40) 와 결합하여 커맨드 생성기 (144) 를 통해) 액세스 단말기 (120) 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 에서의 시간 (T3) 에서의 활성 주기 (204) 의 시작 또는 시간 (T7) 에서의 비활성 주기 (206) 의 시작을 예상하고, 액세스 포인트 (110) 는 각각 시간 (T1 또는 T5) 에서 활성화/활성화 해제 커맨드 (706) 를 전송할 수도 있다. 활성화/활성화 해제 커맨드 (706) 의 성공 또는 실패에 따라, 하나 이상의 재시도 절차들이 필요하거나 원하는 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선택적 블록 (708)).
활성화/활성화 해제 커맨드 (706) (또는 그것의 재송신, 도시되지 않음) 의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50) 와 결합하여 커맨드 분석기 (154) 를 통해) 액세스 단말기 (120) 에서의 성공적인 수신에 응답하여 (블록 (710)), 액세스 단말기 (120) 는 활성화/활성화 해제 커맨드 (706) 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 (712) 를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50) 와 결합하여 확인응답 생성기 (156) 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 (110) 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 의 활성 주기 (204) 및 비활성 주기 (206) 의 위의 예로 돌아가면, 액세스 단말기 (120) 는 각각 시간 (T2 또는 T6) 에서 확인응답 메시지 (712) 를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나, 확인응답 메시지 (712) 의 타이밍은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위에서 더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지연들, 재시도 절차들 등에 의해 다양하게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활성화/활성화 해제 커맨드 (706) 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 (712) 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동작 모드 제어기 (148) 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 (110) 및 (예를 들어, 동작 모드 제어기 (158) 를 통해) 액세스 단말기 (120) 양자 모두가 통신 매체 (132) 를 통한 통신을 적절하게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할 수도 있다 (블록 (714)). 예를 들어, 다시 도 3 의 활성 주기 (204) 또는 비활성 주기 (206) 의 위의 예로 돌아가서, 액세스 포인트 (110) 및 액세스 단말기 (120) 는 시간 (T3) 에서의 활성 주기 (204) 의 시작에서 또는 시간 (T7) 에서의 비활성 주기 (206) 의 시작에서 통신 매체 (132) 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할 수도 있다. 다시, 그러나,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는 것 (블록 (714) 의 타이밍은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위에서 더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지연들, 재시도 절차들 등에 의해 다양하게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8 은 상술된 기법들에 따른 통신의 예시의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방법 (800) 은 예를 들어 공유된 통신 매체상에서 동작하는 액세스 포인트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액세스 포인트 (110))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로서, 통신 매체는 LTE 기술과 Wi-Fi 기술 디바이스들 사이에 공유된 비허가 무선 주파수 대역 상의 하나 이상의 시간, 주파수, 또는 공간 자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의 활성 주기들 및 비활성 주기들을 정의하는 TDM 통신 패턴 (예를 들어, DTX 통신 스킴) 에 따라 각각 통신 매체를 통한 활성화된 동작 또는 활성화 해제된 동작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를 구성하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 (예를 들어, MAC CE) 를 전송할 수도 있다 (블록 (804)). 전송하는 것은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40) 등과 같은 송수신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에 응답하여 액세스 단말기로부터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블록 (810)). 수신하는 것은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40) 등과 같은 송수신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그 후 각각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할 수도 있고 (블록 (812)), (예를 들어, 확인응답 메시지가 부정 확인응답을 나타내고, 적절하게 디코딩하는 것을 실패하는 등의 경우)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지 않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는 것을 삼갈 수도 있다.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는 것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6)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 (118) 등과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는 마진 주기 만큼 TDM 통신 패턴의 대응하는 활성 주기 또는 비활성 주기에 앞서 전송될 수도 있다. 예로서, 마진 주기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전송, 확인응답 메시지의 수신, 및 그 전송 및 수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재시도 주기에 걸치도록 충분히 길 수도 있다. 마진 주기는 또한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와 대응하는 활성 주기 또는 비활성 주기 사이의 예상된 오프셋을 액세스 단말기에 대해 식별하는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i) 확인응답 메시지가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부정 확인응답을 표시한다는 것 또는 (ii) 확인응답 메시지가 (예를 들어, 타이머에 기초하여) 주어진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고 (선택적 블록 (806)), 결정에 응답하여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를 재전송할 수도 있다 (선택적 블록 (808)). 결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6)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 (118) 등과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재전송하는 것은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40) 등과 같은 송수신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천이 경계에 앞서 수신되고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의 활성 주기 및 비활성 주기 사이의 주기적 천이 경계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경계) 에서 통신을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액세스 포인트는 천이 경계 이후에 수신되고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주기적 천이 경계 이후에 통신을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단말기의 램프-업 또는 램프-다운 절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참조 신호들 (예를 들어, CRS) 로 TDM 통신 패턴의 활성 주기 또는 비활성 주기의 제 1 미리 결정된 부분 동안 통신 매체상의 송신을 제한할 수도 있다 (선택적 블록 (814)). 제한하는 것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16)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 (118) 등과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또한 액세스 단말기가 주어진 (예를 들어, 저 오버헤드) 활성화 및 활성화 해제 동작 모드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립하는 능력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선택적 블록 (802)). 수신하는 것은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40) 등과 같은 송수신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9 는 상술된 기법들에 따른 통신의 예시의 방법을 도시하는 다른 흐름도이다. 방법 (900) 은 예를 들어 공유된 통신 매체상에서 동작하는 액세스 단말기 (예를 들어,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액세스 단말기 (120))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로서, 통신 매체는 LTE 기술과 Wi-Fi 기술 디바이스들 사이에 공유된 비허가 무선 주파수 대역 상의 하나 이상의 시간, 주파수, 또는 공간 자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기는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의 활성 주기들 및 비활성 주기들을 정의하는 TDM 통신 패턴 (예를 들어, DTX 통신 스킴) 에 따라 각각 통신 매체를 통한 활성화된 동작 또는 활성화 해제된 동작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를 구성하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 (예를 들어, MAC CE) 를 수신할 수도 있다 (블록 (904)). 수신하는 것은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50) 등과 같은 송수신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에 응답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블록 (906)). 전송하는 것은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50) 등과 같은 송수신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그 후 각각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할 수도 있고 (블록 (910)),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지 않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에 따라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는 것을 삼갈 수도 있다.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는 것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6)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 (128) 등과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위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는 마진 주기 만큼 TDM 통신 패턴의 대응하는 활성 주기 또는 비활성 주기에 앞서 전송될 수도 있다. 예로서, 마진 주기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전송, 확인응답 메시지의 수신, 및 그 전송 및 수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재시도 주기에 걸치도록 충분히 길 수도 있다. 마진 주기는 또한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와 대응하는 활성 주기 또는 비활성 주기 사이의 예상된 오프셋과 연관된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액세스 단말기는 또한 마진 주기의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에 기초하여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와 대응하는 활성 주기 또는 비활성 주기 사이의 예상된 오프셋을 결정할 수도 있다 (선택적 블록 (908)). 결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26)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 (128) 등과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액세스 단말기는 천이 경계에 앞서 전송되고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TDM 통신 패턴의 활성 주기와 비활성 주기 사이의 주기적 천이 경계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경계) 에서 통신을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액세스 단말기는 천이 경계 이후에 전송되고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주기적 천이 경계 이후에 통신을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할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액세스 단말기는 또한 액세스 단말기가 주어진 (예를 들어, 저 오버헤드) 활성화 및 활성화 해제 동작 모드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립하는 능력 메시지를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할 수도 있다 (선택적 블록 (902)). 전송하는 것은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RAT 송수신기 (150) 등과 같은 송수신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활성 및 비활성 주기 특성들의 예로서, TDM 패턴의 각각의 활성 주기는 적어도 CRS 가 통신 매체상의 송신을 위해 인에이블되는 주기에 대응할 수도 있고, TDM 패턴의 각각의 비활성 주기는 적어도 CRS 가 통신 매체상의 송신을 위해 디스에이블되는 주기에 대응한다.
편의상, 액세스 포인트 (110) 및 액세스 단말기 (120) 는 여기에 기술된 여러 예들에 따라 구성될 수도 있는 여러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다. 그러나, 도시된 블록들은 여러 가지 방식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도 1a 및 도 1b 의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ASIC 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회로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각각의 회로는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회로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 또는 실행가능한 코드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컴포넌트를 사용 및/또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 은 일련의 상호관련된 기능 모듈들로서 표현된 액세스 포인트 (110) 및/또는 액세스 단말기 (120) 를 구현하는 장치들의 대안적인 예시들을 제공한다.
도 10 은 일련의 상호관련된 기능 모듈들로서 표현된 예시의 액세스 포인트 장치 (1000) 를 도시한다. 수신하는 선택적 모듈 (1002) 은 예를 들어 여기에 논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또는 그것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112) 등) 에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대응할 수도 있다. 전송하는 모듈 (1004) 은 예를 들어 여기에 논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또는 그것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112) 등) 에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대응할 수도 있다. 결정하는 선택적 모듈 (1006) 은 예를 들어 여기에 논의된 바와 같은 통신 제어기 또는 그것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 (114) 등) 에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대응할 수도 있다. 재전송하는 선택적 모듈 (1008) 은 예를 들어 여기에 논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또는 그것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112) 등) 에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대응할 수도 있다. 수신하는 모듈 (1010) 은 예를 들어 여기에 논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또는 그것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112) 등) 에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대응할 수도 있다.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하는 모듈 (1012) 은 예를 들어 여기에 논의된 바와 같은 통신 제어기 또는 그것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 (114) 등) 에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대응할 수도 있다. 송신을 제한하는 선택적 모듈 (1014) 은 예를 들어 여기에 논의된 바와 같은 통신 제어기 또는 그것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 (114) 등) 에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대응할 수도 있다.
도 11 은 일련의 상호관련된 기능 모듈들로서 표현된 예시의 액세스 단말기 장치 (1100) 를 도시한다. 전송하는 선택적 모듈 (1102) 은 예를 들어 여기에 논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또는 그것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122) 등) 에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대응할 수도 있다. 수신하는 모듈 (1104) 은 예를 들어 여기에 논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또는 그것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122) 등) 에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대응할 수도 있다. 전송하는 모듈 (1106) 은 예를 들어 여기에 논의된 바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 또는 그것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122) 등) 에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대응할 수도 있다. 결정하는 선택적 모듈 (1108) 은 예를 들어 여기에 논의된 바와 같은 통신 제어기 또는 그것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 (124) 등) 에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대응할 수도 있다.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하는 모듈 (1110) 은 예를 들어 여기에 논의된 바와 같은 통신 제어기 또는 그것의 컴포넌트 (예를 들어, 통신 제어기 (124) 등) 에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대응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 의 모듈들의 기능성은 여기의 교시들과 일관된 여러 방식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이들 모듈들의 기능성은 하나 이상의 전기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이들 블록들의 기능성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이들 모듈들의 기능성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집적회로들 (예를 들어, ASIC) 의 적어도 일부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논의된 바와 같이, 집적회로는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다른 관련된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이한 모듈들의 기능성은 예를 들어 집적회로의 상이한 서브세트들,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세트의 상이한 서브세트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집적회로의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세트의) 주어진 서브세트는 2 이상의 모듈에 대한 기능성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도 10 및 도 11 에 의해 표현된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 뿐아니라 여기에 기술된 다른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한 수단은 또한 여기에 교시된 바와 같은 대응하는 구조를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 의 "~하는 모듈" 컴포넌트들과 결합하여 상술된 컴포넌트들은 또한 유사하게 지정된 "~하는 수단" 기능성에 대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양태들에서, 그러한 수단들의 하나 이상은 프로세서 컴포넌트들, 집적회로들, 또는 여기서 교시된 다른 적합한 구조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제 1", "제 2" 등과 같은 지정을 사용하는 여기의 엘리먼트에 대한 임의의 참조는 일반적으로 이들 엘리먼트들의 양 또는 순서를 제한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 지정들은 2 이상의 엘리먼트들 또는 엘리먼트의 인스턴스들 사이를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여기서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엘리먼트들에 대한 참조는 단지 2 개의 엘리먼트들만 채용될 수도 있다는 것 또는 제 1 엘리먼트가 일정한 방식으로 제 2 엘리먼트에 선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달리 진술되지 않는다면, 엘리먼트들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B, 또는 C 중 하나 이상" 또는 "A, B, 및 C 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의 형태의 용어는 "A 또는 B 또는 C 또는 이들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 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용어는 A, 또는 B, 또는 C, 또는 A 및 B, 또는 A 및 C, 또는 A 및 B 및 C, 또는 2A, 또는 2B, 또는 2C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의 설명들 및 기술들에 비추어,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는 본원에서 개시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여러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둘 모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 교환가능성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그 기능성의 측면에서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과, 전체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에 종속된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성을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판단들은 본 개시물의 범위로부터의 이탈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장치 또는 장치의 임의의 컴포넌트는 여기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또는 동작가능하게 될 또는 적응될) 수도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장치 또는 컴포넌트를 그것이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제작 (예를 들어, 제조) 함으로써; 장치 또는 컴포넌트들 그것이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프로그래밍함으로써;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구현 기법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로서, 집적회로는 필수 기능을 제공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집적회로는 필수 기능을 지원하도록 제조되고, 그 후 필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 회로는 필수 기능을 제공하는 코드를 실행할 수도 있다.
게다가, 본원에서 개시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들, 시퀀스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플래시 메모리, 리드 온리 메모리 (ROM),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리드 온리 메모리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리드 온리 메모리 (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분리가능한 디스크, CD-ROM, 또는 일시적이든 비일시적이든 당해 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서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정보를 저장 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결합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일체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시 메모리).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소정의 양태들은 통신을 위한 방법을 구현하는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인정될 것이다.
상기 개시는 여러 예시적인 양태들을 도시하지만, 여러 변경들 및 수정들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도시된 예들에 대해 행해질 수도 있다. 본 개시는 구체적으로 예시된 예들만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달리 진술되지 않는 한, 여기에 기술된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방법 청구항들의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임의의 특정의 순서로 수행될 필요가 없다. 더욱이, 소정의 양태들이 단수로 기술되거나 청구될 수도 있지만, 단수에 대한 제한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면 복수가 고려된다.

Claims (20)

  1. 통신 방법으로서,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의 활성 주기들 및 비활성 주기들을 정의하는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된 (TDM) 통신 패턴에 따라, 각각 상기 통신 매체를 통한 활성화된 동작 또는 활성화 해제된 동작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를 구성하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부터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각각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TDM 통신 패턴에 따라 상기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해제하고, 및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지 않는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TDM 통신 패턴에 따라 상기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는 것을 삼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는 마진 주기 만큼, 각각, 상기 TDM 통신 패턴의 대응하는 활성 주기 또는 비활성 주기에 앞서 전송되는,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 주기는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전송,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의 수신, 및 상기 전송 및 상기 수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시도 주기에 걸치도록 충분히 긴, 통신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 주기는 각각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와 상기 대응하는 활성 주기 또는 비활성 주기 사이의 예상된 오프셋을 상기 액세스 단말기에 대해 식별하는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인,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i)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가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부정 확인응답을 표시한다는 것 또는 (ii)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가 주어진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는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은 (i) 주기적 천이 경계에 앞서 수신되고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TDM 통신 패턴의 활성 주기와 비활성 주기 사이의 상기 주기적 천이 경계에서 또는 (ii) 상기 주기적 천이 경계 이후에 수신되고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주기적 천이 경계 이후에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되는,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기의 램프-업 또는 램프-다운 절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참조 신호들로 상기 TDM 통신 패턴의 활성 주기 또는 비활성 주기의 제 1 미리 결정된 부분 동안 상기 통신 매체상의 송신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기가 주어진 활성화 및 활성화 해제 동작 모드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립하는 능력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는 매체 액세스 제어 (MAC) 제어 엘리먼트 (CE)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매체는 롱 텀 에볼루션 (LTE) 기술과 Wi-Fi 기술 디바이스들 사이에 공유된 비허가 무선 주파수 대역 상의 하나 이상의 시간, 주파수, 또는 공간 자원들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11. 통신 장치로서,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의 활성 주기들 및 비활성 주기들을 정의하는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된 (TDM) 통신 패턴에 따라, 각각 상기 통신 매체를 통한 활성화된 동작 또는 활성화 해제된 동작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를 구성하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를 전송하고,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스 단말기로부터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각각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TDM 통신 패턴에 따라 상기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해제하고, 및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지 않는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TDM 통신 패턴에 따라 상기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는 것을 삼가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2. 통신 방법으로서,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의 활성 주기들 및 비활성 주기들을 정의하는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된 (TDM) 통신 패턴에 따라, 각각 상기 통신 매체를 통한 활성화된 동작 또는 활성화 해제된 동작을 위해 액세스 단말기를 구성하는 활성화 커맨드 또는 활성화 해제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에 응답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확인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각각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TDM 통신 패턴에 따라 상기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고, 및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지 않는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TDM 통신 패턴에 따라 상기 통신 매체를 통한 통신을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해제하는 것을 삼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는 마진 주기 만큼, 각각, 상기 TDM 통신 패턴의 대응하는 활성 주기 또는 비활성 주기에 앞서 수신되는, 통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 주기는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전송,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의 수신, 및 상기 전송 및 상기 수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시도 주기에 걸치도록 충분히 긴, 통신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 주기는 각각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와 상기 대응하는 활성 주기 또는 비활성 주기 사이의 예상된 오프셋과 연관된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인, 통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진 주기의 상기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와 상기 대응하는 활성 주기 또는 비활성 주기 사이의 상기 예상된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은 (i) 주기적 천이 경계에 앞서 전송되고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TDM 통신 패턴의 활성 주기와 비활성 주기 사이의 상기 주기적 천이 경계에서 또는 (ii) 상기 주기적 천이 경계 이후에 전송되고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의 긍정 확인응답을 나타내는 상기 확인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주기적 천이 경계 이후에 활성화 또는 활성화 해제되는, 통신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단말기가 주어진 활성화 및 활성화 해제 동작 모드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립하는 능력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커맨드 또는 상기 활성화 해제 커맨드는 매체 액세스 제어 (MAC) 제어 엘리먼트 (CE)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TDM 통신 패턴의 각각의 활성 주기는 적어도 셀-특정 참조 신호 (CRS) 가 상기 통신 매체상의 송신을 위해 인에이블되는 주기에 대응하고, 상기 TDM 통신 패턴의 각각의 비활성 주기는 적어도 상기 CRS 가 상기 통신 매체상의 송신을 위해 디스에이블되는 주기에 대응하는, 통신 방법.
KR1020177026726A 2015-03-23 2016-03-22 공유된 통신 매체상에서의 공존 시스템 동기화 KR201701304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36703P 2015-03-23 2015-03-23
US62/136,703 2015-03-23
US15/074,612 2016-03-18
US15/074,612 US9954668B2 (en) 2015-03-23 2016-03-18 Co-existence system synchronization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PCT/US2016/023505 WO2016154163A1 (en) 2015-03-23 2016-03-22 Co-existence system synchronization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424A true KR20170130424A (ko) 2017-11-28

Family

ID=5697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726A KR20170130424A (ko) 2015-03-23 2016-03-22 공유된 통신 매체상에서의 공존 시스템 동기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54668B2 (ko)
EP (1) EP3275235A1 (ko)
JP (1) JP6769987B2 (ko)
KR (1) KR20170130424A (ko)
CN (1) CN107409311B (ko)
WO (1) WO20161541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481A (ko) 2019-11-15 2021-05-25 광주과학기술원 Wlan 통신 시스템에서 레거시 sta와의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2238B (zh) * 2014-06-04 2020-11-24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和方法
CN108496405B (zh) * 2015-11-30 2022-09-0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配置集群的方法和装置
JP6808841B2 (ja) 2017-01-08 2021-01-0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クロス−リンク干渉を制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0756860B2 (en) 2018-11-05 2020-08-25 XCOM Labs, Inc.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US10659112B1 (en) 2018-11-05 2020-05-19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assis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US10812216B2 (en) 2018-11-05 2020-10-20 XCOM Labs, Inc.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scheduling
US10432272B1 (en) 2018-11-05 2019-10-01 XCOM Labs, Inc. Variabl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user equipment
EP3888256A4 (en) 2018-11-27 2022-08-31 Xcom Labs, Inc. MULTIPLE INPUT AND INCOHERENT COOPERATIVE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S
US10756795B2 (en) 2018-12-18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with cellular link and peer-to-peer link
US11063645B2 (en) 2018-12-18 2021-07-13 XCOM Labs, Inc. Methods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group of devices
US11330649B2 (en) 2019-01-25 2022-05-10 XCOM Labs, Inc. Methods and systems of multi-link peer-to-peer communications
US10756767B1 (en) 2019-02-05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cellular signal with another user equipment
US10756782B1 (en) 2019-04-26 2020-08-25 XCOM Labs, Inc. Uplink active set management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US11032841B2 (en) 2019-04-26 2021-06-08 XCOM Labs, Inc. Downlink active set management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US10735057B1 (en) 2019-04-29 2020-08-04 XCOM Labs, Inc. Up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US10686502B1 (en) 2019-04-29 2020-06-16 XCOM Labs, Inc. Down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EP3967084A4 (en) * 2019-07-09 2023-04-26 Nokia Technologies Oy ACTIVATION OF A SECONDARY CELL
US11411778B2 (en) 2019-07-12 2022-08-09 XCOM Labs, Inc. Time-division duplex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alibration
CN113260050B (zh) * 2020-02-11 2023-04-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Iab网络的复用调度方法和iab节点
US11411779B2 (en) 2020-03-31 2022-08-09 XCOM Labs, Inc. Reference signal channel estimation
KR20230015932A (ko) 2020-05-26 2023-01-31 엑스콤 랩스 인코퍼레이티드 간섭-인식 빔포밍
CA3195885A1 (en) 2020-10-19 2022-04-28 XCOM Labs, Inc. Reference sig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22093988A1 (en) 2020-10-30 2022-05-05 XCOM Labs, Inc. Clustering and/or rate selection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systems
CN116033527A (zh) * 2021-10-26 2023-04-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Drx状态的控制方法、基站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848B1 (ko) 2008-07-1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캐리어를 이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전력절감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20028367A (ko) * 2009-06-15 2012-03-22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롱텀 에볼루션 어드밴스드 캐리어 집적을 위한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및 시스템
KR101646789B1 (ko) 2010-01-19 201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활성화 방법 및 장치
EP2945452A1 (en) * 2010-08-13 2015-11-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In-device interference mitigation
MX350971B (es) 2010-09-28 2017-09-26 Fujitsu Ltd Método y estación de base, equipo de usuario y sistema para activar el modo de trabajo de coexistencia.
US9578649B2 (en) * 2011-01-20 2017-02-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upport for multi-radio coexistence
US9236931B2 (en) * 2011-04-15 2016-01-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Relay device,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relay method
EP2733874A4 (en) 2011-07-11 2015-03-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35183A (ko) * 2012-01-26 2020-04-0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Lte 공존에 대한 동적 파라미터 조절
EP2823683A1 (en) 2012-02-03 2015-01-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existence among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wtrus) operating in the same spectrum
EP2709415A1 (en) 2012-09-18 2014-03-19 Panasonic Corporation Maximization of scheduling opportunities in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scenarios
EP2782409A1 (en) 2013-03-20 2014-09-2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Deterministic UE behaviour for CSI/SRS Reporting during DRX
JP6162988B2 (ja) 2013-03-21 2017-07-12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及び方法
US20150063150A1 (en) * 2013-09-04 2015-03-05 Qualcomm Incorporated Measurement reporting in unlicensed spectrum
US20150063151A1 (en) 2013-09-04 2015-03-05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supplemental downlink in unlicensed spectrum
US9756679B2 (en) 2014-04-11 2017-09-05 Qualcomm Incorporated Discontinuous reception (DRX)-aware carrier sense adaptive transmission (CSAT) in shared spectr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481A (ko) 2019-11-15 2021-05-25 광주과학기술원 Wlan 통신 시스템에서 레거시 sta와의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09849A (ja) 2018-04-05
CN107409311A (zh) 2017-11-28
US20160285614A1 (en) 2016-09-29
JP6769987B2 (ja) 2020-10-14
EP3275235A1 (en) 2018-01-31
WO2016154163A1 (en) 2016-09-29
US9954668B2 (en) 2018-04-24
CN107409311B (zh) 2021-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09311B (zh) 共享通信介质上的共存系统同步
KR102399924B1 (ko) 공유 스펙트럼에서 불연속 송신 (dtx) 을 위한 셀 스위칭
CN110089187B (zh) 共享通信介质上的自主上行链路传输
CN107113626B (zh) 在共享通信介质上的混合模式介质接入控制(mac)
AU2016308372B2 (en) Re-contention-based co-existence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EP3338504B1 (en) Re-contention-based co-existence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KR102555786B1 (ko) 공유된 통신 매체 상에서의 재경합-기반 공존
EP3335514A1 (en) Contention-based co-existence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WO2017027807A2 (en) Contention-based co-existence o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KR20160145005A (ko) 공유 스펙트럼에서의 불연속 수신 (drx)-인지 캐리어 감지 적응 송신 (csat)
US9806836B2 (en) Co-existence-aware communication in shared spectr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