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9395A - A training evaluation device for simulator of overhead crane - Google Patents

A training evaluation device for simulator of overhead cra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9395A
KR20170129395A KR1020160060036A KR20160060036A KR20170129395A KR 20170129395 A KR20170129395 A KR 20170129395A KR 1020160060036 A KR1020160060036 A KR 1020160060036A KR 20160060036 A KR20160060036 A KR 20160060036A KR 20170129395 A KR20170129395 A KR 20170129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evaluation
simulator
obstacle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74826B1 (en
Inventor
김광태
성진호
신상호
Original Assignee
(주)토탈소프트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탈소프트뱅크 filed Critical (주)토탈소프트뱅크
Priority to KR1020160060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826B1/en
Publication of KR20170129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3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8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57Performance evaluation by simul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ing evaluation device of a ceiling crane simulator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for evaluating training of a trainer by using information of enabling the trainer to move a heavy weight in a simulator in a training system using the simulator which enables the trainer to moves the heavy weight displayed on a screen with a lever. The training evaluation device of the ceiling crane simulator comprises: a training evaluation data obtaining unit; an obtained data calculating unit; and an outputting unit.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obtaining unit obtains a plurality of pieces of predetermined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evaluation interval, and heavy weight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simulator when ceiling crane training is performed in the simulator; and accumulates training result data of the total evaluation intervals and the heavy weight position information. The obtained data calculating unit derive an evaluation result by scoring the training result data of the total evaluation intervals collected by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obtaining unit based on evaluation items, evaluation points, and evaluation criteria which are predetermined for each of the evaluation intervals; and stores the derived evaluation result with the accumulated heavy weight position data in a performance management database. The outputting unit provides the derived evaluation result to the trainer and an evaluator.

Description

천장크레인 시뮬레이터의 훈련 평가 장치{A training evaluation device for simulator of overhead cran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ing evaluation device for a ceiling crane,

본 발명은 천장크레인 시뮬레이터의 훈련 평가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가상현실 기반의 천장크레인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천장크레인의 운전기능사 자격검증 실기시험코스를 훈련한 결과에 대하여 각 평가요소별 평가 방법을 정의하고, 상기 평가 방법을 기반으로 실시간 채점 후 사용자에게 훈련 결과를 피드백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ing evaluation apparatus for a ceiling crane simu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valuation method for each evaluation element for a result of training a practical skill examination test course of a ceiling crane by using a virtual reality-based ceiling crane simulator And a device for feedbacking a training result to a user after real-time scoring based on the evaluation method.

천장크레인은 중공업, 제조, 물류, 건설, 항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는 기계 장치이지만, 현실은 자격증을 보유하지 않은 채 운영을 하고 있는 곳이 대부분이고, 작업장 내의 안전운전 교육도 시간과 비용 등의 문제로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Ceiling crane is a mechanical device that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eavy industry, manufacturing, logistics, construction, harbor, etc. However, in reality, most of the places do not have licenses. It is a reality that it can not perform properly due to a problem.

이러한 제약으로 인해, 작업장 내 안전사고의 빈도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사고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보건공단에서는 천장크레인 특별안전교육을 전국적으로 진행한 바 있으며, 산업인력공단에서는 천장크레인의 취급 사업장을 대상으로 자격증 보유사항 점검 및 조정, 안전 작업 등의 현장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Due to these limitations, the frequency of safety accidents in the workplace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many accidents have been reported. In order to prevent such accidents, the Safety and Health Corporation has carried out special safety training on ceiling crane throughout the country. The Industrial Workers' .

이러닝(e-Learning)이 지식의 전수와 수험생의 교육이 단방향으로 전달되는 교육방식이라면, 가상훈련 시스템(이트레이닝, e-Training)은 지식과 교육을 전달 뿐만 아니라 실제 업무현장의 경험을 연계하여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f the e-learning is a training method in which the transfer of knowledge and the training of the examinees are unidirectional, the virtual training system (training, e-Train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education can be carried out.

특히, 이러한 가상훈련 시스템은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산업 훈련을 보완,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되고, 실험/실습 및 장비 교육에서 체험형 실습 위주의 교육 훈련을 실시하여 학습자에게 사실적/능동적 학습을 도모하여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있으며, 미래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In particular, this virtual training system is a new alternative to complement and strengthen industrial training by utilizing advanced technology, and realistic / active learning is provided to learners by carrying out experiential type training and training in experiment / practice and equipment training Can improve the learning effect, and is emerging as a new growth engine of the future.

또한, 산업 현장의 인력 훈련 수요에 부합하면서도 고가 장비에 대한 투자 최소화 및 훈련 위험 회피에 적합한 가상훈련 시스템 개발 및 보급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가상 훈련 시스템은 현실의 상황과 동일하거나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가상의 시나리오를 사용자가 체험할 수 있게 하여야 하며, 실제 장치와 유사한 조작 시스템, 훈련한 결과에 대한 자동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In additi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a virtual training system suitable for minimizing investment in high-priced equipment and training risk avoidance while meeting the demand for human resource training in the industrial field. Such a virtual training system should allow users to experience virtual scenarios that are not the same or physically impossible as the actual situation, and an automatic evaluation of the operation system and training results similar to the actual device should be made.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자격검증 실기시험을 준비하는 훈련생은 100~150만원이라는 비싼 수강료를 지불하고, 실제 천장크레인으로 훈련을 받고 있다. 실장비 훈련은 강사 이외에도 훈련 운영 및 보조하는 인력이 필요하고, 장비 운영비도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수강료가 비쌀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제한된 장비 수로 인하여 반복 훈련이 용이하지 않고, 시간과 공간에 많은 제약이 따르기 마련이다. A trainee who prepares for a ceiling crane driver 's qualification verification practical training test is paid an expensive price of 100 ~ 1.5 million won and is being trained by a real ceiling crane. In addition to the instructor training, the actual equipment training is costly because the training manpower and assistant manpower are needed and the equipment operation cost is also high. Also,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equipment, repeated training is not easy and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ime and space.

또한, 천장크레인 운전 훈련 결과를 평가함에 있어서, 강사의 주관적인 평가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자격검증 기준의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특히, 천장크레인 운전을 처음 접하는 훈련자 또는 초보자는 조작을 잘 하지 못하기 때문에, 훈련을 관리/감독하는 강사의 피로도는 높아질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피로도는 같은 훈련 결과를 다르게 평가할 수 있다. 초보자들의 교육에 객관적인 훈련결과가 반영되는 가상현실 기반의 천장크레인 시뮬레이터를 활용한다면, 초보자들은 자신이 범한 실수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다음 훈련시 자신에게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훈련을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In addition, in evaluating the results of ceiling crane operation training, it is difficult to achieve an objective evaluation of the criteria for qualification of ceiling crane driving technician qualification because it is made only by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instructor. In particular, trainees or novices who are new to ceiling crane operation are not able to operate well, so the trainer who supervises / supervises the training will have to increase the fatigue, and this fatigue can evaluate the same training results differently. Using a virtual reality-based ceiling crane simulator that reflects objective training results for beginners, beginners can clearly identify what mistakes they have committed, and more effectively train the ones that are lacking in the next training You will be able to do 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가상현실 기반의 천장크레인 시뮬레이터로 훈련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의 천장크레인 훈련 평가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virtual reality-based ceiling crane training evaluation device which can verify the results of training with a virtual reality-based ceiling crane simulator.

본 발명의 천장크레인 시뮬레이터의 훈련 평가 장치는, 훈련자가 레버를 이용하여 화면 상에 표시되는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 시스템에서, 상기 시뮬레이터 내에서 훈련자가 중량물을 이동시킨 정보를 이용하여 훈련자의 훈련을 평가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시뮬레이터 내의 천장크레인 훈련시에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평가 구간별 훈련 결과 정보와, 중량물 위치 정보를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획득하고, 전체의 평가 구간의 훈련 결과 데이터와 중량물 위치 정보를 누적 집계하는 훈련 평가 데이터 획득부; 상기 훈련 평가 데이터 획득부에 의하여 집계되는 전체의 평가 구간의 훈련 결과 데이터를 평가 구간별로 미리 정의된 평가항목 및 배점, 평가 기준으로 채점하여 평과 결과를 도출하고, 상기의 도출된 평과 결과를 상기의 누적 집계된 중량물 위치 데이터와 함께 성과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획득 데이터 연산부; 및 상기의 도출된 평과 결과를 훈련자 및 평가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A training evaluation apparatus of a ceiling crane sim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ining system using a simulator in which a trainee can move a heavy object displayed on a screen using a lever, An apparatus for evaluating a training of a trainer, comprising: a plurality of training result information and weight 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evaluation interval set at the time of training of a ceiling crane in the simulator, from the simulator, A training evaluation data acquisition unit accumulating and accumulating position information; The training result data of the entire evaluation period compiled by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obtaining unit is scored as a predefined evaluation item, a score, and an evaluation standard for each evaluation interval to derive an evaluation result, An acquisition data operation unit for storing the accumulated weighted object position data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database; And an output unit for providing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and the evaluation to the trainee and the evaluator.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훈련 평가 장치를 가상현실 기반 천장크레인 훈련 시뮬레이터에 적용하면, 훈련자의 훈련 과정 중, 어떠한 구간에서의 훈련이 부족한지 여부와, 장애물 통과시 어떠한 조작에 따라 점수 차감 또는 실격이 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training evalu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proposed is applied to a virtual reality-based ceiling crane training simulato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raining is lacking in the training process of the trainee, and whether a score difference or disqualific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rm whether or not the image has been displayed.

그리고, 본 발명의 훈련 평가 장치를 통해서 훈련자가 어떤 부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지 알 수 있다. 강사 입장에서는 일일이 훈련자의 훈련 과정을 체크하지 않고, 훈련이 완료된 후에, 간단한 조작으로 훈련자의 훈련 과정 및 결과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객관적인 훈련 결과를 통해 실제 천장크레인 운전 훈련에 대한 적합/부적합 판단 및 훈련 성과관리에 도움이 된다.Further, through the training evalu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know which part of the trainee needs to be supplemented. In the case of the lecturer,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training process and results of the trainee by simple operation after checking the training process of the trainee without checking the training course of the trainee individually, and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actual ceiling crane driving training is suitable / It helps to manage training performance.

이를 통해, 산업 현장 훈련원과 직업 교육 학교에서 실습 초보자에게 천장크레인 훈련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사 입장에서는 훈련평가에 대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안전사고 빈도가 높은 초기 훈련 시 안전한 훈련환경에서 훈련하여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훈련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o thi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ceiling crane training for beginners in industrial field training centers and vocational education schools, as well as to save the time and cost of training evaluation in the position of the instructor. Al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objective and quantitative training results by training in the safe training environment in the initial training where the safety accident frequency is high.

도 1은 본 발명의 훈련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훈련하는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실기시험 코스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실기시험 코스의 주행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실기시험 코스의 장애물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실기시험 코스의 장애물 및 중량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분류한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실기시험 평가구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천장크레인 시뮬레이터의 훈련 평가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크레인 훈련 평가항목과 그 평가기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적용한 천장크레인 훈련 실격 사유 및 적용 구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라 훈련 실격 사유 중 넘기 장애물 우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라 훈련 실격 사유 중 벽 장애물 우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라 훈련 실격 사유 중 드럼 높이 초과 주행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라 훈련 실격 사유 중 넘기 장애물 초과 주행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라 훈련 실격 사유 중 코스 범위 이탈 구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라 훈련 실격 사유 중 폴 높이를 초과하여 3m 이상 초과 주행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실격 사유 중 중량물이 바닥에 닿은 경우의 화면이다.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실격 사유 중 규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의 화면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실격 사유 중 장애물을 쓰러트린 경우의 화면이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실격 사유 중 드럼 장애물을 쓰러트린 경우의 화면이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실격 사유 중 드럼 장애물이 밀린 화면이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라 드럼 장애물을 통과하는 방향을 표현한 화면이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라 훈련 평가를 위하여 설정한 정상 통과 충돌객체 전체의 배치도이다.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넘기 장애물 정상통과 충돌객체의 배치도이다.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벽 장애물 정상통과 충돌객체 배치도이다.
도 2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드럼 장애물 정상통과 충돌객체 배치도이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폴 장애물 정상통과 충돌객체 배치도이다.
도 26은 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주행코스의 선 물림 체크 충돌객체 배치도이다.
도 27은 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주행코스의 코스 이탈 체크 충돌객체 배치도이다.
도 28은 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주행코스의 범위 이탈 체크 충돌객체 배치도이다.
도 29와 도 30은 본 실시예에 따라 훈련 후 훈련자 및 평가자용 훈련 평가결과와 훈련기록지 화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actical test course of a ceiling crane driver's driving skill to be trained by using the training evalu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driving sequence of a practical test course for a ceiling crane driving op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obstacles in the practical test course of the ceiling crane driving op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4 is a view showing an obstacle and a heavy object of a practical test course of a ceiling cran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5 is a view showing a section of a practical skill test of a ceiling crane driving skill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ining evaluation apparatus of a ceiling crane sim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evaluation items of the ceiling crane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evaluation criteria thereof.
FIG. 8 is a view showing a reason for disqualification of ceiling crane training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an application period.
FIG. 9 is a diagram showing bypass obstacle avoidance among training disqualification reas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FIG. 10 is a view showing a wall obstacle detour during disciplinary dis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drum overheating during the training dis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2 is a view showing an overtravel obstacle over travel screen in the disqualification disqualification reas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3 is a view showing a course out-of-range area in the training disqualification reas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4 is a view showing a screen in which the golfer is over three meters or more in excess of the pole height during the disqualification reas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15 is a screen when a heavy object touches the floor out of training disqualification reas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6 is a screen when the specified time out of training disqualification reas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xceeded.
FIG. 17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n obstacle is knocked down during discipline dis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8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drum obstacle is knocked down during the training disqualification reas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19 is a screen on which the drum obstacle is pushed during the disqualification dis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0 is a view showing a direction in which the drum obstacle is pass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1 is a layout diagram of the whole normal collision collision object set for the training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2 is a layout diagram of the jumping obstacle normal passing collision objec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3 is a wall obstacle normal passing collision object layou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4 is a layout view of a drum obstacle normal passing collision objec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5 is a pole obstacle normal passing collision object layou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6 is a line collision check collision object layout diagram of a running course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7 is a view showing the collision check collision object of a course that is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8 is a view showing the out-of-range check conflict object of the running course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S. 29 and 30 show training evaluation results and training record sheets for trainees and evalua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determined from the matters disclo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ossess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addition, Variations.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설명에 사용되는 접미어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The suffix "part" used in the description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given or mixed with consideration only for ease of specification, and does not have a meaning or role that is different from itself.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천장크레인 시뮬레이터는 중량물을 동일한 수평면상에서 전후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와, 중량물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의 훈련 평가 장치는 상기 시뮬레이터에 의하여 조작되는 중량물의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훈련자의 훈련 평가를 하기 위한 장치이다. The ceiling crane simulator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operate a lever for moving a heavy object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in front, back, left and right, and a lever for moving a heavy object up and down. It is a device for training evaluation of a trainee by using movement information of a heavy object manipulated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훈련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훈련하는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실기시험 코스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ractical test course of a ceiling crane driver's driving skill to be trained by using the training evalu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자격검증 실기시험 코스 규격을 기준으로 3D 모델링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모델링된 시험 코스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여 보기로 한다. The result of 3D modeling based on the qualification verification practical test course specification is shown in the ceiling crane driving professional driving company,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a model test cours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실기시험 코스의 주행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driving sequence of a practical test course for a ceiling crane driving op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제의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실기시험 코스의 주행 순서로서, 시뮬레이터 훈련시에 도 2에 도시된 숫자 및 화살표 방향대로 훈련하여야만 희망하는 훈련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만약, 도 2에 도시된 숫자 및 화살표 방향과 일치하지 않게 훈련을 수행할 경우에는 예외처리되며, 점수 미달로 실격 처리 된다. As a running sequence of an actual ceiling crane driving technician practical skill test course, a desired training result can be achieved only by training in the numeric and arrow directions shown in Fig. 2 at the time of the simulator training. If training is performed in a manner inconsistent with the direction of the numbers and arrows shown in FIG. 2, an exception process is performed, and disqualification is performed due to an under-score.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실기시험 코스의 장애물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obstacles in the practical test course of the ceiling crane driving op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실제의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실기시험 코스의 장애물 종류를 배치 규격에 따라 배치함으로써, 시뮬레이터 훈련의 평가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Actual ceiling crane driver The ability to arrange the obstacle types of the practical training course in accordance with the layout standard makes it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evaluation efficiency of the simulator training.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실기시험 코스의 장애물 및 중량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4 is a view showing an obstacle and a heavy object of a practical test course of a ceiling cran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실제의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실기시험 코스 장애물 규격을 기반으로 하여 3D 모델링한 결과이며, 실제 사진을 참고하여 텍스쳐 맵핑(Texture Mapping)한 결과이다. Actual Ceiling Crane Driving Functional Instructor Practical Test Course It is a result of 3D modeling based on the obstacle standard and texture mapping based on actual photograph.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분류한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실기시험 평가구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showing a section of a practical skill test of a ceiling crane driving skill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실제의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실기시험 평가구간을 기반으로 6개 구역으로 분류하고, 각 구간별 평가항목 및 배점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훈련 시작지점인 1구간과 훈련 종료지점인 6구간은 동일한 구역으로 분류하였으며, 넘기 장애물 통과 항목의 배점은 동일하지만, 1구간 시작시 중량물 권상 항목과 6구간 종료시 중량물 권하 및 착지 항목에는 배점의 차이가 있다. Based on the real ceiling crane driver 's practical skill test evaluation section, it was classified into 6 zones, and evaluation items and points were applied to each section. In addition, the points of the training start point 1 and the training end point 6 are classified into the same zone, and the points of the passing obstacle passing items are the same. However, in the case of starting the first section, .

도 6은 본 발명의 천장크레인 시뮬레이터의 훈련 평가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ining evaluation apparatus of a ceiling crane sim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훈련 평가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가상현실 기반의 시뮬레이터 훈련(110)이 시작되면, 시뮬레이터 훈련 장치는 실기시험 평가구간을 지날 때마다 각 구간별 평가항목 및 배점에 따라 훈련자의 평가 데이터를 훈련 평가 데이터 획득부(120)로 전달한다. Referring to FIG. 6, an operation method of the training evalu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rst, when the virtual reality-based simulator training 110 starts, the simulator training apparatus, And transmits the evaluation data of the trainee to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acquisit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score.

이때, 전달되는 평가 데이터는 평가구간 번호, 평가항목 번호, 점수 등급 및 평가기준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정보들의 순서는 기재한 바와 같이, 평가구간 번호, 평가항목 번호, 점수 등급 및 평가기준 번호의 순으로 포함된다. 예를 들어, 2구간의 전진주행 항목에서 장애물과 충돌하여 2등급의 배점을 받은 경우라면, 그 훈련결과에 대한 평가 데이터는 (2,3,2,3)의 형태를 갖는다. In this case, the evaluation data transmitte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evaluation section number, the evaluation item number, the score grade, and the evaluation reference number, and the order of the information includes the evaluation section number, the evaluation item number, Are included in the order of reference numbers. For example, if a forward run of two segments is hit by an obstacle and receives a grade of 2, the evaluation data for that training result is of the form (2,3,2,3).

그리고, 시뮬레이터 훈련 장치는 중량물의 위치 정보에 대한 좌표값(x,y,z)값을 훈련결과와는 별개로 프레임마다 상기 훈련 평가 데이터 획득부(120)로 전달한다. The simulator training apparatus transfers the coordinate values (x, y, z) of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heavy object to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acquisition unit 120 for each frame separately from the training results.

상기 훈련 평가 데이터 획득부(120)는 전달된 훈련결과 정보를 구간별로 저장하여 전 구간의 훈련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중량물 위치 정보들은 누적 집계하여 전 구간 훈련결과 데이터와 함께 획득 데이터 연산부(130)로 전달한다.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acquiring unit 120 accumulates the weighted position information and outputs the training result information to the acquisition data calculator 130 together with the all-interval training result data, .

상기 획득 데이터 연산부(130)는 상기 훈련 평가 데이터 획득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전 구간 훈련결과 데이터에 대해서 구간별로 정의된 평가항목과 배점기준에 따라 채점을 수행한다. 채점된 결과는 훈련 종료시 훈련기록지 출력부(150)로 전달하여, 상기 훈련기록지 출력부(150)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채점된 결과는 중량물 위치 정보와 함께 성과관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다. 상기 중량물 위치 정보는 훈련 이후 평가자용 훈련기록지에 구간 기록 출력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The acquisition data operation unit 130 performs scoring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tems and the scoring criteria defined for each section with respect to the training result data of all the sections transmitted from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acquisition unit 120. [ The scored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training sheet output unit 150 at the end of the training, and is output to the screen of the training sheet output unit 150. The scored result is stored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database 140 together with the weight information. The heavy object position information can be used as interval recording output data in the training recording sheet for the evaluator after training.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크레인 훈련 평가항목과 그 평가기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7 is a view showing evaluation items of the ceiling crane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evaluation criteria thereof.

본 발명의 훈련 평가 장치를 구성하는 획득 데이터 연산부(130)는 도 7에 예시된 훈련 평가항목, 배점 및 평가기준 정보를 기반으로 훈련결과를 채점한다. 도 7에 예시된 평가항목 11은 실제의 천장크레인에서만 가능한 항목이며, 자격검증 실기시험시 기본적으로 10점을 부여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훈련 평가 장치에서도 기본 10점을 부여한 것이다. 실격 사유 없이 채점 결과가 60점 이상이 되면, 훈련 성공, 60점 미만일 경우에는 훈련실패로 자격검증 합격 기준과 동일하도록 장치가 실시될 수 있다. The acquired data operation unit 130 constituting the training evalu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cores the training results based on the training evaluation item, the score, and the evaluation reference information illustrated in FIG. The evaluation item 11 exemplified in Fig. 7 is an item only available in an actual ceiling crane, and 10 points are basically given in the qualification verification practical test, so that the basic ten points are also given to the training evalu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no reason for disqualification, if the score is 60 or more, the training is successful. If the score is less than 60, the training is failed.

도 8은 본 실시예에 적용한 천장크레인 훈련 실격 사유 및 적용 구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showing a reason for disqualification of ceiling crane training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an application period.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자격검증실기 시험시에 도 7에 예시된 평가항목, 배점 및 평가기준으로 점수를 채점하지만, 실격 사유가 발생하게 되면 채점결과에 관계없이 실격 처리된다. The ceiling crane driving qualification verification qualification test At the practical test, the score is scored using the evaluation items, rating, and evaluation criteria shown in FIG. 7, but disqualification is disqualified regardless of the scoring result.

도 8의 예시된 정보는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자격검증실기 시험의 실격 사유 및 적용 구간이며, 이러한 정보는 본 발명의 훈련 평가 장치에도 적용된다. The illustrated information in FIG. 8 is the Disqualification Reason and Applicable Period of the Ceiling Crane Driving Function Qualification Verification Practical Test, and this information also applies to the training evalu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평가기준과 도 8의 실격사유 중 동일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이유는 훈련 중 실격사유를 출력하기 때문에, 도 7의 평가기준과 도 8의 실격사유에 동일한 내용이 일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1구간에서 넘기 장애물을 우회하고 다른 구간에서는 감점사유가 없었다면, 채점결과는 90점으로 훈련성공에 해당하지만, 1구간에서 실격사유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훈련결과는 점수와 함께 실패로 판단되며, 실격사유를 화면에 표시한다. The reason why the same content among the evaluation criteria of FIG. 7 and the disqualification reason of FIG. 8 is included is that some of the same contents are included in the evaluation criteria of FIG. 7 and the disqualification reason of FIG. 8 because the reason for disqualification is output during the training . For example, if there was no reason for the deduction in the first section and there was no reason for the deduction in the other section, the result of the scoring corresponds to the training success of 90 points. However, because the disqualification occurred in the first section, , And the disqualification reas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도 9 내지 도 30에 도시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가상현실에 기반한 훈련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 과정과, 훈련에 대한 평가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여 본다. 9 to 30, a training process using a training simulator based on a virtual reality and an evaluation method for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라 훈련 실격 사유 중 넘기 장애물 우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9 is a diagram showing bypass obstacle avoidance among training disqualification reas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도 9를 참조하면, 도시된 화살표는 넘기 장애물 좌측을 우회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넘기 장애물에 대한 우회는 화살표 단부의 하측 방향인 넘기 장애물 우측을 우회하는 것도 포함한다. 넘기 장애물을 우회하여 지나간 다음, 다시 돌아와 넘기 장애물을 정상적으로 통과하여도 우회한 것으로 평가한다. Referring to Fig. 9, the illustrated arrows indicate the direction of bypassing the left side of the pendulous obstacle, and the bypass to the pendulous obstacle includes bypassing the right side of the pendulous obstacle, which is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arrow end. It is evaluated that it has bypassed the obstacle and passed the obstacle again.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라 훈련 실격 사유 중 벽 장애물 우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0 is a view showing a wall obstacle detour during disciplinary dis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도 10을 참조하면, 도시된 화살표는 벽 장애물 우측을 우회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벽 장애물 우회는 화살표 단부의 하측 방향인 벽 장애물 좌측을 우회하는 것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넘기 장애물에 대한 훈련의 경우와 동일하게, 벽 장애물을 우회하여 지나간 다음, 다시 돌아와 정상적으로 통과하여도 우회한 것으로 평가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illustrated arrows indicate the direction of bypassing the right side of the wall obstacle, and the wall obstacle bypass includes bypassing the left side of the wall obstacle, which is the lower direction of the arrow end. As in the case of the training for the jumping obstacle shown in Fig. 9, it is evaluated that the obstacle is bypassed after passing through the wall obstacle and then returned when the obstacle is normally passed.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라 훈련 실격 사유 중 드럼 높이 초과 주행 훈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1 is a view showing drums of over drums height during training dis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드럼통은 높이 1m로 3D 모델링되었으며,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자격검증실기 시험 장애물 규격을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반환점 통과시 드럼통의 높이보다 높이를 초과하여 주행하면 실격사유가 된다. 드럼통의 높이 1m를 초과 주행한 후에, 다시 정상 통과하여도 드럼 높이를 초과 주행한 것으로 평가한다. The drums were 3D modeled at a height of 1m and were used based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ceiling crane driving technician qualification verification practical test obstacle standard. Driving beyond the height of the drum when passing through the turning point will cause disqualification. After exceeding the height of the drum by more than 1 m, it is evaluated that the drum height has exceeded the drum height even though it has passed through the drum.

드럼 높이의 초과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된다. The excess of the drum height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권상 레버 조작시에 상기 수학식 1의 수식으로 중량물의 높이는 실시간 계산되며, 훈련자가 권상 레버조작을 멈추면 해당 시점의 중량물 높이를 현재 중량물 높이 정보로 저장한다. In operation of the hoisting lever, the height of the heavy object is calculated in real time by the equation of Equation (1), and when the trainer stops operating the hoisting lever, the height of the object at that time is stored as the current height information.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라 훈련 실격 사유 중 넘기 장애물 초과 주행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2 is a view showing an overtravel obstacle over travel screen in the disqualification disqualification reas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넘기 장애물은 높이 1.8m로 모델링 하였으며, 중간에 걸쳐진 폴 높이는 1m이다. 넘기 장애물도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자격검증실기 시험 장애물 규격을 기준으로 모델링하였다. Referring to FIG. 12, the overhang obstacle is modeled at a height of 1.8 m, and the pole height at the middle is 1 m. The obstacle was also modeled based on the specification of the ceiling crane driver 's driving qualification verification practical test obstacle standard.

자격검증실기 시험시 넘기 장애물 높이 1.8m를 초과 주행하게 되면, 실격 사유에 해당하고, 넘기 장애물 높이 1.8m를 초과 주행한 다음 다시 돌아와 정상 통과하더라도 넘기 장애물 높이 초과 주행한 것으로 평가된다. 넘기 장애물 높이 초과는 상기 수학식 1의 수식으로 계산된다. If the passenger passes the obstacle height of 1.8m, it corresponds to the reason for disqualification, and after exceeding the obstacle height of 1.8m, it is evaluated that the passenger ran over the obstacle height even if it passed the normal pass. The exceeding obstacle height overrun is calculated by the above equation (1).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라 훈련 실격 사유 중 코스 범위 이탈 구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3 is a view showing a course out-of-range area in the training disqualification reas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자격검증실기 시험시 코스의 중심선으로부터 중량물이 외측 2.5m를 벗어나면 실격사유가 된다. 도 13에 도시된 검은색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코스 중심선으로부터 외측 2.5m 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중량물의 일부분이라도 넘어가게 되면 실격사유가 된다. Ceiling Crane Driving Functional Qualification Verification If the weight of the heavy object deviates from the center line of the course by 2.5m outside the course, it becomes disqualification reason. The black solid line shown in FIG. 13 represents a point 2.5 m outside the course center line, and if a part of the heavy object is passed over, it is disqualified.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라 훈련 실격 사유 중 폴 높이를 초과하여 3m 이상 초과 주행한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4 is a view showing a screen in which the golfer is over three meters or more in excess of the pole height during the disqualification reas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14를 참조하면, 폴 장애물은 높이 1m로 모델링 하였으며,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자격검증실기 시험 장애물 규격을 기준으로 하였다. 자격검증실기 시험시 폴 높이를 초과하여 3m 이상 주행하면 실격사유가 된다. Referring to FIG. 14, the pole obstacle is modeled at a height of 1 m, and the ceiling crane driving operator qualification verification practical test test obstacle standard is used as a standard. Qualification Verification In practice test, if you run more than 3m in excess of pole height, you will be disqualified.

폴 높이 초과 3m 이상 주행은 상기 수학식 1의 경우와 같이 중량물의 높이 1m를 초과하는 시점을 계산하여, 초과하는 시점부터 아래의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의하여 계산된다. The traveling time of the pole height exceeding 3 m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and Equation 3 from the point of time when the height exceeds 1 m in height as in the case of Equation 1 above.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수학식 2에 의한 주행거리의 계산 결과가 0이면, 횡행방향으로만 움직인 것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획득 데이터 연산부(130)는 횡행거리 값으로 움직인 거리를 실시간 계산하며, 반대로 수학식 3에 의한 횡행거리의 계산 결과가 0이면, 주행방향으로만 움직인 것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획득 데이터 연산부(130)는 주행거리 값으로 움직인 거리를 실시간 계산한다. If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travel distance according to Equation (2) is 0, the acquired data calculation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distance traveled by the traversing distance value in real time, The obtained data calculation un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distance moved to the mileage value in real time.

주행거리와 횡행거리가 모두 0이 아닌 경우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인 것이 되기 때문에, 주행거리와 횡행거리의 계산 결과를 이용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움직인 거리를 실시간 계산한다. If both the driving distance and the traverse distance are not zero, the vehicle moves in the diagonal direction. Therefore, the distance traveled in the diagonal direction is calculated in real time using the calculation results of the traveling distance and the traverse distance.

그리고, 중량물의 높이는 아래의 수학식 4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heavy object can be calculated by Equation (4) below.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실시간으로 중량물이 움직인 거리를 계산하는 도중에 권하레버를 조작하면, 상기의 수학식 4에 의하여 계산되는 중량물 높이를 실시간으로 계산하고, 높이 1m 미만으로 내려가면 중량물이 움직인 거리 계산은 초기화된다. 그리고, 권하 레버 조작을 멈춘 시점의 중량물 높이를 현재 중량물 높이 정보로 저장한다. When the lever is operated during the calculation of the distance over which the weight moves in real time, the height of the weight calculated by Equation (4) is calculated in real time. Then, the height of the weight at the time when the lever operation is stopped is stored as the current weight information.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실격 사유 중 중량물이 바닥에 닿은 경우의 화면이다. Fig. 15 is a screen when a heavy object touches the floor out of training disqualification reas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자격검증실기 시험시 중량물이 바닥에 닿으면 실격 사유가 되는데, 다만, 시작 지점에서 20cm 미만으로 권상하였다가 다시 바닥에 내려놓는 경우와 종료시 중량물을 바닥에 놓을 경우는 실격 사유에서 제외된다. Ceiling Crane Driving Function Qualification Verification In the practical test, when the weight touches the floor, it becomes the reason for disqualification. However, if the car is hoisted less than 20cm from the starting point and put it on the floor again, do.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실격 사유 중 규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의 화면이다. FIG. 16 is a screen when the specified time out of training disqualification reas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xceeded.

예를 들어,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자격검증실기 시험은 7분 이내에 코스 주행을 완료하고, 복귀하여야 한다. 시뮬레이터 훈련 시에는 규정시간 7분을 넘어도 훈련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훈련 평가는 실격으로 처리된다. For example, a ceiling crane driver's qualification verification practical test should be completed within 7 minutes and return to the course. In the simulator training, the training can be continued even if the prescribed time exceeds 7 minutes, but the evaluation of the training is disqualified.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실격 사유 중 장애물을 쓰러트린 경우의 화면이다. FIG. 17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an obstacle is knocked down during discipline dis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자격검증실기 시험시에 폴 우회를 포함하여 5개를 쓰러트리면 구간에 관계없이 실격 사유가 된다. 다만, 폴 1개가 쓰러지면서 다른 폴을 쳐서 쓰러지는 경우에는 1개로 처리된다. Ceiling Crane Driving Function Qualification Verification Failure to score 5 points, including a roundabout, during a practical test will result in disqualification regardless of the section. However, if one pole falls and another pole falls, it is treated as one.

자격검증실기 시험시 반환점을 돌기 전까지 쓰러트린 폴은 시험운영자가 다시 세우기 때문에, 시뮬레이터에서도 반환점 정상 통과시 쓰러진 폴을 자동으로 세워지도록 프로그램되며, 한번 쓰러트린 폴이라도 다시 쓰러트리면 평가에 반영된다. In the simulator, the fallen pole is automatically programmed so that the fallen pole is automatically set up. Once the fallen pole is reloaded, it is reflected in the evaluation.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실격 사유 중 드럼 장애물을 쓰러트린 경우의 화면이다. FIG. 18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drum obstacle is knocked down during the training disqualification reas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자격검증실기 시험시 반환점을 통과하는 도중에 드럼통을 중량물로 쳐서 쓰러트리게 되면 실격 사유가 된다. 쓰러진 드럼통과 중량물이 충돌하는 것은 평가에서 제외된다. Ceiling Crane Driving Functional Qualification Verification During the practical test, if you hit the drum with heavy weight while passing through the turning point, you will be disqualified. The collision between the falling drum and the heavy object is excluded from the evaluation.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훈련 실격 사유 중 드럼 장애물이 밀린 화면이다. FIG. 19 is a screen on which the drum obstacle is pushed during the disqualification disqualif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자격검증실기 시험중 반환점 통과시에 드럼통을 중량물로 쳐서 70cm 이상 밀리게 되면, 실격 사유가 된다. 밀린 거리는 최초 위치의 드럼통 중심점에서 이동후 드럼통 중심점까지의 직선 거리로 계산된다. Ceiling Crane Driving Function Qualification Verification During the practical test, if the drums are overweighted by 70cm or more when passing through the turning point, they will be disqualified. The pushing distance is calculated as the straight lin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drum at the initial position to the center of the drum after movement.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라 드럼 장애물을 통과하는 방향을 표현한 화면이다. 20 is a view showing a direction in which the drum obstacle is pass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천장크레인 운전 기능사 자격검증실기 시험시에 반환점인 드럼통을 돌아오지 않으면 실격 사유가 된다. 도 20에 도시된 화살표는 정상적으로 드럼을 통과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고, 통과 높이는 1m 이내가 되어야 한다. Failure to return the drum, which is the turning point, at the time of the practical test of the ceiling crane driving qualification verification officer becomes disqualification reason. The arrows shown in Fig. 20 normally indicate the direction of passage through the drum, and the passage height should be within 1 m.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라 훈련 평가를 위하여 설정한 정상 통과 충돌객체 전체의 배치도이다. FIG. 21 is a layout diagram of the whole normal collision collision object set for the training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충돌객체는 훈련 화면에는 보이지 않는 특성을 갖으며, 넘기 장애물, 벽 장애물, 폴 장애물, 드럼 장애물의 우회, 충돌, 정상 통과를 검출하기 위해 직육면체 형상으로 각각 장애물에 설정된다. The collision object has characteristics that are invisible on the training screen and is set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o detect the detour, collision, and normal passage of the obstacle, wall obstacle, pole obstacle, and drum obstacle respectively.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넘기 장애물 정상통과 충돌객체의 배치도이다. 22 is a layout diagram of the jumping obstacle normal passing collision objec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넘기 장애물 충돌객체는 2가지 기능으로 분류될 수 있다. 첫번째는, 도 22에 도시된 숫자 ①~③으로서, 넘기 장애물을 정상적으로 통과하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충돌객체이다. 따라서, 중량물이 충돌객체 ①~③과 모두 충돌하면서 통과하면 정상통과로 판단한다. The collision obstacle collision object can be classified into two functions. The first is a collision object for checking whether the obstacle passes normally, as the numbers? To? Shown in FIG. Therefore, if a heavy object collides with the collision objects (1) through (3), it is judged as a normal passage.

두번째는, 도 22에 도시된 숫자 ④ 및 ⑤로서, 넘기 장애물을 우회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충돌객체이다. 중량물이 충돌객체 ④ 또는 ⑤와 충돌 후 지나가면 우회하였다고 판단하고, 충돌객체 ④ 또는 ⑤의 범위를 벗어나 우회하게 되면 코스 범위 2.5m 이탈로 판단하여 실격처리한다. The second one is the collision object for checking whether or not the obstacle is bypassed as the numerals 4 and 5 shown in Fig. If a heavy object passes by collision object ④ or ⑤, it is judged to be detouring, and when it passes beyond the range of collision object ④ or ⑤, it is judged to be out of course range of 2.5m and disqualified.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벽 장애물 정상통과 충돌객체 배치도이다.23 is a wall obstacle normal passing collision object layou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벽 장애물 충돌객체는 2가지 기능으로 분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wall obstacle collision object can be classified into two functions.

첫번째는, 도 23에 도시된 숫자 ① ~ ③으로서, 벽 장애물을 정상적으로 통과하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충돌 객체이다. 예를 들면, 충돌객체 ① ~ ③과 중량물이 모두 충돌하면서 통과하면 정상통과로 판단한다. The first is a collision object for checking whether or not a wall obstacle normally passes as the numbers ① to ③ shown in FIG. For example, if collision objects ① and ③ and heavy objects collide with each other, it is judged as normal passage.

두번째는, 도 23에 도시된 숫자 ④ 및 ⑤로서, 벽 장애물을 우회하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충돌 객체이다. 중량물이 충돌객체 ④ 또는 ⑤와 충돌 후 지나가면 우회하였다고 판단하고, 충돌객체 ④ 또는 ⑤의 범위를 벗어나 우회하면 코스 범위 2.5m 이탈로 판단하여 실격처리한다. The second is the collision object for checking whether it bypasses the wall obstacle as the numbers 4 and 5 shown in FIG. If a heavy object passes by collision object ④ or ⑤, it is judged that it is detouring, and if it passes beyond the range of collision object ④ or ⑤, it is judged that the course range is out of 2.5m and disqualified.

도 2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드럼 장애물 정상통과 충돌객체 배치도이다.24 is a layout view of a drum obstacle normal passing collision objec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 장애물 충돌객체는 2가지 기능으로 분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um obstacle collision object can be classified into two functions.

첫번째는, 도 24에 도시된 숫자 ① ~ ④로서, 드럼 장애물을 정상적으로 통과하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충돌 객체이다. 충돌객체 ① ~ ④와 중량물이 순차적으로 충돌하면서 통과하면 정상통과로 판단한다. 따라서, 중량물이 충돌객체 ① ~ ④의 범위를 벗어나 우회하면 코스 범위 2.5m 이탈로 판단하여 실격처리된다. The first is the numbers ① to ④ shown in FIG. 24, and it is a collision object for checking whether or not the drum obstacle normally passes. When the collision objects ① to ④ and heavy objects collide sequentially, they are judged as normal passage. Therefore, if the heavy object is out of range of the collision objects ① to ④, it is judged that the course range is 2.5m away and disqualified.

두번째는, 도 24에 도시된 숫자 ⑤로서, 드럼 장애물 충돌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충돌 객체이다. 중량물과 충돌객체 ⑤가 충돌하면 드럼 충돌로 훈련평가에 반영된다.The second one is the number ⑤ shown in FIG. 24, which is a collision object for checking whether a drum obstacle collides. When a heavy object collides with a colliding object ⑤, it is reflected in the training evaluation due to the drum collision.

도 2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폴 장애물 정상통과 충돌객체 배치도이다.25 is a pole obstacle normal passing collision object layout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폴 장애물은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자격검증실기 시험 코스에 가장 많이 배치된 장애물이다. 폴 장애물의 충돌객체를 다른 장애물의 충돌객체처럼 1개의 장애물에 5개의 충돌객체를 설정하면, 충돌 객체수가 너무 많아져 시뮬레이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23개의 폴 장애물 중 2구간과 5구간에 겹치는 1개를 제외하고는 코스 범위 이탈 구역 내에 충돌객체 1개만 설정하여 통과와 우회 여부를 판단한다. Pole obstacles are the most frequently deployed obstacles to the Ceiling Crane Driving Course Qualification Verification Practical Test Course. If a collision object of a pole obstacle is set to five collision objects on one obstacle like a collision object of another obstacle, the number of collision objects may become too large, which may degrade the simulation performanc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one collision object is set in the course range departure area except for one of the 23 pole obstacles overlapping the 2 section and the 5 section,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llision object is passed or bypassed.

2구간과 5구간에 겹치는 폴 장애물은 2개의 충돌객체를 설정하여 각 구간 훈련평가를 수행한다. 통과와 우회를 체크하는 방법은 현재 지나고 있는 폴 장애물의 충돌객체와 다음에 위치한 폴 장애물 충돌객체의 충돌을 비교하는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현재 지나고 있는 폴 장애물의 충돌객체와 중량물이 충돌한 후 다음의 충돌객체와 충돌하면 감점이 있을 수는 있으나 폴 장애물을 통과한 것이다.For the pole obstacle overlapping the 2 and 5 sections, two collision objects are set and each interval training evaluation is performed. The method of checking passage and detour can be performed by a method of comparing the collision object of the current passing pole obstacle with the colliding object of the next colliding pole obstacle object, After the collision with the next collision object, there may be a penalty, but it has passed the pole obstacle.

도 25에 도시되어 있는 충돌객체 배치를 확인하면, 폴 장애물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현재 충돌객체와 다음의 충돌객체는 무조건 충돌할 수밖에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2구간과 5구간에 겹친 폴 장애물의 충돌객체는 해당 구간 평가에만 활성화되기 때문에 타구간 충돌체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Confirmation of the collision object placement shown in FIG. 25 confirms that the current collision object and the next collision object must collide unconditionally in order to pass the poll obstacle. Since the collision object of the overlapping pole obstacle in the 2 and 5 sections is activated only for the corresponding section evaluation, it does not affect the other collision check.

이러한 폴 장애물 우회는 2가지 상황으로 분류될 수 있다. 현재 지나고 있는 폴 장애물의 충돌객체와 중량물 충돌 후 다음 충돌객체와 중량물이 충돌하지 않고, 다른 충돌객체와 충돌하였을 경우가 첫 번째 상황이다. 두 번째 상황은 첫 번째 상황과 반대로, 현재 지나고 있는 폴 장애물의 충돌객체와 중량물이 충돌하지 않고 다음 충돌객체와 충돌하였을 경우이다. 도 25의 충돌객체 배치를 확인하면 폴 장애물 우회에 대한 2가지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Such a pole obstacle bypass can be classified into two situations. The first situation is when the collision object of the passing pole obstacle collides with the next collision object without colliding with the next collision object after the collision with the heavy object. In the second situation, contrary to the first situation, the collision object of the current passing pole obstacle collides with the next collision object without colliding with the heavy object. Confirmation of collision object placement in FIG. 25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two situations of the pole obstacle bypass.

도 26은 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주행코스의 선 물림 체크 충돌객체 배치도이다.26 is a line collision check collision object layout diagram of a running course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간별 평가기준 중 중량물이 주행코스의 선에 접하였을 때 감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량물이 주행코스의 선에 접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하여 도 26과 같이 충돌객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체크방법은 중량물의 중점이 충돌객체를 벗어나게 되면 선에 물린 것으로 평가한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weight of the weight-based evaluation criterion is reduced when it touches the line of the running course. A collision object can be set as shown in FIG. 26 to check whether or not a heavy object touches the line of the running course. The checking method is evaluated as a bit bite if the weight of the heavy object is out of the collision object.

도 27은 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주행코스의 코스 이탈 체크 충돌객체 배치도이다.FIG. 27 is a view showing the collision check collision object of a course that is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간별 평가기준 중 중량물이 주행코스의 선을 넘어갔을 때 감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량물이 주행코스의 선을 넘어간 상황을 코스 이탈이라 하며, 코스 이탈을 체크하기 위해 도 27과 같이 충돌객체를 설정할 수 있다. 체크방법은 중량물이 완전히 충돌객체를 벗어나게 되면 코스 이탈로 평가한다. 도 25의 폴 장애물 우회와 비슷한 상황이라 할 수 있으나, 폴과 폴 장애물 사이의 공간은 코스이탈, 폴 장애물은 우회로 평가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7, it can be confirmed that a weight is scored when the weight exceeds the line of the running course among the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section. A situation in which a heavy object has crossed a line of the running course is called a course deviation, and a collision object can be set as shown in FIG. 27 to check the course deviation. The check method is evaluated as a deviation from the course when a heavy object completely leaves the collision object. It can be said that the situation is similar to the pole obstacle bypass in Fig. 25, but the space between the pole and the pole obstacle is evaluated as a deviation from the course and the pole obstacle is evaluated as a detour.

도 28은 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되는 주행코스의 범위 이탈 체크 충돌객체 배치도이다.FIG. 28 is a view showing the out-of-range check conflict object of the running course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자격검증실기 시험 코스의 중심선으로부터 외측 2.5m 지점에 도 28과 같이 충돌객체를 설정하였다. 각 구간별로 표기된 직육면체를 중량물의 일부분이라도 넘어가면 실격으로 평가한다.A collision object was set at 2.5 m outside the center line of the qualification verification test course shown in FIG. 13 as shown in FIG. If a rectangular section marked for each section crosses even a part of the weight, it is evaluated as disqualified.

도 29와 도 30은 본 실시예에 따라 훈련 후 훈련자 및 평가자용 훈련 평가결과와 훈련기록지 화면이다.FIGS. 29 and 30 show training evaluation results and training record sheets for trainees and evalua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위의 도식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훈련자 및 평가자용 훈련기록지 화면으로, 도 7 ~ 도 28을 통해 채점된 점수를 훈련자나 평가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레포트 형태로 출력한다. 도 29는 훈련 종료 후 훈련자에게 출력되는 훈련 평가결과 화면으로서, 각 구간의 배점기준으로 채점하여 점수로 출력하며, 훈련결과가 성공인지 실패인지 확인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점수가 60점 이상인 경우에 합격이 되지만, 실격 사유가 발생하면 훈련결과는 실패로 출력된다.Using the above scheme, finally, the score of the training record sheet for the trainee and the evaluator is outputted in the form of a report so that the trainee or the evaluator can easily check the score shown in FIG. 7 to FIG. FIG. 29 is a screen of a training evaluation result outputted to a trainee after completion of training, and is scored as a score based on a score of each segment, and is output as a score,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training result is success or failur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when the score is 60 or more, it is accepted, but if disqualification occurs, the training result is outputted as failure.

또한, 훈련자 이름과 훈련코스명, 주행시간, 주행거리, 폴 장애물 전도수, 코스이탈 회수, 넘기 장애물 전도수, 범위이탈 회수, 벽 장애물 전도수, 드럼충돌 회수 정보를 출력하며, 화면 하단에는 실격 사유를 나열하고 해당사항이 있는 부분에 체크 표시한다. Also, the name of the trainee, the name of the trainee course, the driving time, the driving distance, the number of the pole obstacle conduction, the number of course departure times, the obstacle avoidance number, the range deviation number, the wall obstacle conduction number, List the reasons and check the box where applicable.

그리고, 도 30에는 평가자용 훈련기록지가 도시되어 있으며, 훈련자용 기록지에 추가적으로 구간기록이 출력된다. 구간기록은 코스를 주행한 중량물의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주행궤적을 출력하며, 평가항목 별 점수와 소요시간을 출력한다. 훈련자나 평가자는 훈련기록지를 보고 자주 쓰러트리는 장애물이 무엇인지, 자주 하는 실수는 무엇인지, 자주 범하는 실격사유는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30 shows the training record sheet for the evaluator, and the interval record is additionally output to the tracing person recording sheet. The section records the driving trajectory based on the position data of the heavy object that has traveled the course, and outputs the score and the required time for each evaluation item. The trainer or evaluator can see what the obstacles are, what are the frequent mistakes, and what are the frequent disqualifications for the trainer.

Claims (7)

훈련자가 레버를 이용하여 화면 상에 표시되는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훈련 시스템에서, 상기 시뮬레이터 내에서 훈련자가 중량물을 이동시킨 정보를 이용하여 훈련자의 훈련을 평가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시뮬레이터 내의 천장크레인 훈련시에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평가 구간별 훈련 결과 정보와, 중량물 위치 정보를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획득하고, 전체의 평가 구간의 훈련 결과 데이터와 중량물 위치 정보를 누적 집계하는 훈련 평가 데이터 획득부;
상기 훈련 평가 데이터 획득부에 의하여 집계되는 전체의 평가 구간의 훈련 결과 데이터를 평가 구간별로 미리 정의된 평가항목 및 배점, 평가 기준으로 채점하여 평과 결과를 도출하고, 상기의 도출된 평과 결과를 상기의 누적 집계된 중량물 위치 데이터와 함께 성과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획득 데이터 연산부; 및
상기의 도출된 평과 결과를 훈련자 및 평가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천장크레인 시뮬레이터의 훈련 평가 장치.
A training system using a simulator capable of moving a weight displayed on a screen using a lever by a trainer, the apparatus being capable of evaluating a trainee's training using information that a trainee has moved a weight in the simulator,
Acquiring training result information for each of the evaluation sections and heavy object position information set in advance at the time of ceiling crane training in the simulator from the simulator and acquiring training evaluation data for accumulating the training result data and the heavy objec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ntire evaluation section part;
The training result data of the entire evaluation period compiled by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obtaining unit is scored as a predefined evaluation item, a score, and an evaluation standard for each evaluation interval to derive an evaluation result, An acquisition data operation unit for storing the accumulated weighted object position data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database; And
And an output unit for providing the result of the estimation and the evaluation to the trainee and the evalu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 평가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시뮬레이터로부터 상기 훈련자가 상기 평가 구간 각각에 대한 훈련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훈련 결과 데이터는 해당 평가 구간의 번호, 평가항목 번호, 점수 등급 및 평가기준 번호에 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천장크레인 시뮬레이터의 훈련 평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ining evaluation data obtaining section receives from the simulator the training result data for each of the evaluation sections,
Wherein the training result data includes information on a number of the evaluation section, an evaluation item number, a score grade, and an evaluation reference number sequential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데이터 연산부는 상기의 각 평가 구간별 평가항목 및 배점과, 평가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훈련자의 훈련 결과를 점수로 계산하고, 훈련 종료시 상기 점수를 제공하는 천장크레인 시뮬레이터의 훈련 평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cquisition data operation unit calculates the score of the training result of the trainee based on the evaluation item and the score for each evaluation interval and the evaluation criteria and provides the score at the end of the train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저장된 평가항목은 훈련 실패로 판단되는 실격 사유를 포함하고,
상기 실격 사유는 넘기 장애물 우회 항목, 벽 장애물 우회 항목, 드럼 높이 초과 주행 항목, 코스 범위 이탈 항목, 폴 높이 초과 주행 항목, 중량물 지면 접촉 여부 항목 및 규정 시간 초과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시뮬레이터에는 상기 넘기 장애물, 벽 장애물, 드럼, 코스 및 폴에 대한 3D 렌더링된 이미지가 상기 중량물과 함께 표시되고,
상기 획득 데이터 연산부는 상기 훈련자의 점수가 기설정된 기준점수를 넘는 경우에도, 상기 실격 사유가 발생되는 상기 훈련자의 훈련은 실패로 판단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의 훈련 실패 정보를 표시하는 천장크레인 시뮬레이터의 훈련 평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e-stored evaluation item includes disqualification grounds for judging that the training is unsuccessful,
The disqualific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tems: an obstacle avoidance item, a wall obstacle avoidance item, a drum height overrunning item, a course range deviation item, a pole height overrunning item, a weighted ground contact item,
The simulator displays a 3D rendered image of the pivoting obstacle, the wall obstacle, the drum, the course and the pole together with the weight,
Wherein the acquisition data operation unit displays the training failure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when the score of the trainee exceeds a preset reference score, Training evaluation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격 사유 중 드럼 높이 초과 주행 항목은 기설정된 1m의 드럼 높이를 초과하여 주행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상기 코스 범위 이탈 항목은 기설정된 2.5m의 코스 범위 이탈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상기 폴 높이 초과 주행 항목은 기설정된 1m를 초과하여 3m이상 주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상기 규정 시간 초과 항목은 기설정된 7분을 초과하는 겨우를 나타내는 천장크레인 시뮬레이터의 훈련 평가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bove-mentioned course out-of-range item indicates a case of departing from the predetermined range of 2.5 m, and the above-mentioned pole height over-travel item Indicates a case in which the vehicle runs more than 3 meters in excess of the preset 1 m, and the predetermined timeout item indicates a predetermined time exceeding 7 minut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격 사유에는 상기 드럼 장애물이 기설정된 70cm 이상 밀리는 경우와, 상기 드럼 장애물이 넘어진 경우와, 상기 드럼 장애물을 돌아오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천장크레인 시뮬레이터의 훈련 평가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qualification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drum obstacle is push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f 70 cm or more, a case in which the drum obstacle has fallen, and a case in which the drum obstacle does not retur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데이터 연산부는 상기 중량물의 장애물 우회 및 통과와, 상기 중량물이 기준선에 닿는 경우 및 코스 이탈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시뮬레이터를 통하여 표시되지 않으면서 상기의 각 평가 구간마다 구성되는 충돌객체를 이용하는 천장크레인 시뮬레이터의 훈련 평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btained data operation unit uses the collision object configured for each evaluation period without being displayed through the simulator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heavy object is bypassing and passing through the obstacle, Training evaluation device of ceiling crane simulator.
KR1020160060036A 2016-05-17 2016-05-17 A training evaluation device for simulator of overhead crane KR1018748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036A KR101874826B1 (en) 2016-05-17 2016-05-17 A training evaluation device for simulator of overhead cra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036A KR101874826B1 (en) 2016-05-17 2016-05-17 A training evaluation device for simulator of overhead cr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395A true KR20170129395A (en) 2017-11-27
KR101874826B1 KR101874826B1 (en) 2018-08-02

Family

ID=60810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036A KR101874826B1 (en) 2016-05-17 2016-05-17 A training evaluation device for simulator of overhead cra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82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9119A (en) * 2019-08-13 2019-11-15 李力 A kind of gate-type bridge crane electric control circuit adjustment half training system in kind
KR20200078079A (en) * 2018-12-21 2020-07-01 (주)아이엠티 Virtual training evaluation and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ing experiential knowledge of expert
KR20200087369A (en) * 2019-01-10 2020-07-21 원우연 Education and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Method Using VR
WO2024025037A1 (en) * 2022-07-28 2024-02-01 주식회사 거비메타 System having heavy equipment two-way non-face-to-face training platform, and training data transmission and driving evaluation method u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1424B2 (en) * 2009-02-04 2013-12-04 三菱電機株式会社 Driving training simulator device and trainer driving data evaluation method
KR101462407B1 (en) * 2013-03-27 2014-11-17 (주)토탈소프트뱅크 Train apparatus for crane operation
KR101483950B1 (en) * 2013-05-20 2015-01-20 (주)토탈소프트뱅크 Evaluation module for welding trainning simul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1424B2 (en) * 2009-02-04 2013-12-04 三菱電機株式会社 Driving training simulator device and trainer driving data evaluation method
KR101462407B1 (en) * 2013-03-27 2014-11-17 (주)토탈소프트뱅크 Train apparatus for crane operation
KR101483950B1 (en) * 2013-05-20 2015-01-20 (주)토탈소프트뱅크 Evaluation module for welding trainning simul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8079A (en) * 2018-12-21 2020-07-01 (주)아이엠티 Virtual training evaluation and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ing experiential knowledge of expert
KR20200087369A (en) * 2019-01-10 2020-07-21 원우연 Education and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Method Using VR
CN110459119A (en) * 2019-08-13 2019-11-15 李力 A kind of gate-type bridge crane electric control circuit adjustment half training system in kind
WO2024025037A1 (en) * 2022-07-28 2024-02-01 주식회사 거비메타 System having heavy equipment two-way non-face-to-face training platform, and training data transmission and driving evaluation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826B1 (en)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826B1 (en) A training evaluation device for simulator of overhead crane
Li et al. Visualizing safety assessment by integrating the use of game technology
CN106644503B (en) A kind of intelligent vehicle planning aptitude tests platform
KR102089374B1 (e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Construction Machine Training System and Method
Scholtz et al. Evaluation of a human-robot interface: Development of a situational awareness methodology
Chen et al. SAVES: A safety training augmented virtuality environment for construction hazard recognition and severity identification
Lacko Health safety training for industry in virtual reality
CN107331247B (en) Coach assessment method and device in driving training
Zhao et al. Using virtual environments to support electrical safety awareness in construction
CN112655006A (en) Driving teaching system and using method thereof, driving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im et al. Using immersive augmented reality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Nikitin et al. VR Training for Railway Wagons Maintenance: architecture and implementation
US7033180B2 (en) Education set and work model, training method, work efficiency improving method, and tool employing the same
Bartholomew et al. Development of a 4th-8th grade curriculum for flying and programming mini drones
CN110795859B (en) Fire safety control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Yasar et al. A computational analysis of driving variations on distributed multiuser driving simulators
Wang et al. Research on operating simulation system for tower crane based on virtual reality
Nasrullah et al. The Development of Motorbike Riding Application Simulation Using User-Centered Design Method
Díez-González et al. Check for updates Evaluation of the Skills' Transfer Through Digital Teaching Methodologies
De Villiers et al. Readiness of forklift operators to train with serious games
Renno et al. Development of a Parametric Scene Editor of Serious Games for Safety in Workplaces
JP2003271049A5 (en)
de Winter et al. Advancing simulation-based driver training: lessons learned and future perspectives
Nikitin et al. Development of VR Training for Railway Wagons Maintenance.
Kappé et al. Driver performance assessment in driving simul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