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9355A - 스프레이 노즐 - Google Patents

스프레이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9355A
KR20170129355A KR1020160059928A KR20160059928A KR20170129355A KR 20170129355 A KR20170129355 A KR 20170129355A KR 1020160059928 A KR1020160059928 A KR 1020160059928A KR 20160059928 A KR20160059928 A KR 20160059928A KR 20170129355 A KR20170129355 A KR 20170129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spray
outer end
nozzle
outle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콜라자연도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콜라자연도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콜라자연도료
Priority to KR1020160059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9355A/ko
Publication of KR20170129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6Gas or vapour producing the flow, e.g. from a compressible bulb or air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3002
    • B05B11/3009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캔 또는 기타의 액체 저장고(15)로부터 분배할 액체 물질을 분배하기 적합하게 구성되는 노즐들을 개시한다. 그러한 노즐들은 분배기(13)로부터 일정한 거리 동안 그 별개의 특성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액체의 2개의 흐름들을 급송하도록 구성된다. 그 노즐들은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된 평행한 수평 통로들(29A, 29B)을 구비할 수 있고, 그 통로들은 모두 그 바깥쪽 끝단에서 서로 멀어지게 향하는 각도들로 끝이 절단된다.

Description

스프레이 노즐{NOZZLE FOR SPRAY}
본 발명은 에어로졸 캔 및 포켓용 트리거 펌프 분무기와 같은 스프레이 분배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그러한 분배기들로 하여금 분배기로부터 원하는 거리 동안 서로 분리된 채로 유지되는 2개 이상의 동시적 스프레이 흐름을 제공할 수 있게끔 하는 노즐 출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종, 각종의 액상물질들은 액체 스프레이의 형태로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로졸 액체 스프레이 시스템에서는,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들이 추진제와 혼합되고, 용매와도 혼합된다. 대표적인 추진제들은 이산화탄소, 탄화수소 가스, 또는 탄화수소 가스들의 혼합물들(프로판/부탄 혼합물과 같은)이다. 대표적인 용매들은 물, 탄화수소 오일들, 및/또는 그들의 혼합물들이다.
활성 성분/추진제/용매 혼합물은 압력 하에서 에어로졸 캔 내에 저장된다. 그러면, 캔의 상단에 장착된 방출 밸브를 제어하는 캔 꼭대기의 활성제 버튼을 아래로 또는 옆으로 누름으로써 혼합물이 캔 밖으로 분무되게 된다. 분무된 화학 약품은 에멀션 상태로, 단상으로, 다상으로, 및/또는 부분적인 가스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분무되는 것들 중의 어떤 것이 액체인 경우에, "액체 물질"이란 용어를 적용하기로 한다.
활성 성분들은 그에 한정됨이 없이 억제제들(방충제, 살충제, 또는 성장 조절제와 같은), 방향제들, 살균제들, 청정제들(계면 활성제 함유 물질들과 같은), 왁스나 다른 표면 처리제들, 탈취제들, 및/또는 기타의 성분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활성 성분들은 주거용, 업무용, 농업용, 산업용, 또는 기타의 용도들의 것일 수 있다.
에어로졸 제어 밸브대에 걸리는 압력은 밸브대에 직접 부착되고 캔 내용물들을 버튼 측의 출구로 이끄는 내부 통로를 구비한 버튼에 가해지는 손가락 압력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밸브의 작동에 응하여, 캔 내용물들이 내부 통로를 경유하여 출구를 통과할 수 있게 허용되어 주위 환경으로 배출되는 스프레이가 생성되게 된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캔들은 리빙 힌지(living hinge)에 의해 오버 캡의 스커트에 연결된 상부 가압 패드를 제공하는 액추에이터와 그 오버 캡의 조합체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그에 관해서는, 예컨대 미국 특허 제6,006,957호를 참조하면 된다.
때로는, 에어로졸 스프레이를 원하는 기지의 소형 타깃을 향해 직접 겨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용자는 손이나 발이 잘 닿지 않는 위치에 있는 방의 코너 부근에서 바퀴벌레를 볼 수도 있다. 그러나, 방역 효과나 청정을 위해 특정의 구역을 분무하는 경우와 같은 다른 많은 상황들에서는, 다소 더 넓게 스프레이를 특정의 구역을 향해 인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의 무지향적인 스프레이가 바람직할지도 모르는 몇몇 다른 상황들(예컨대, 방에 안개를 끼게 하는 상황)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상황에는 특정의 용도에 있어 스프레이 패턴에 대한 최적의 크기가 있게 된다.
분배 노즐이 단일의 화학 약품 저장고로부터 화학 약품들을 공급받는 경우(에어로졸 캔들에 있어 대부분의 전형적인 경우)에는, 조성물이 다중의 특질들을 내포하고 있다는 시각적 인상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상황들이 있다. 예컨대, 방충 스프레이는 방충 물질과 태양 차광 물질의 양자를 함유할 수 있고, 그 물질들이 분무될 때에 그들이 단지 방충제만이 아닌 그 이상을 인가한다는 것을 소비자에게 상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활성 성분들이 이미 단일의 저장고 중에 한데 혼합되어 있으면, 그 단일의 저장고로부터의 공급 라인이 2개의 출구 통로들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그러면 2개의 출구 통로들은 2개의 별개의 스프레이 흐름들을 급송하게 된다. 그것은 제품이 단지 단일의 활성 성분이 아닌 그 이상을 함유하고 있음을 소비자에게 상기시키게 될 것이다. 또한, 그것은 다소 더 넓은 스프레이 패턴을 제공하게 될 것이고, 그에 따라 좀더 좁은 스프레이 시스템이 가질 수 있는 것보다 더 우수한 면적 커버 범위를 갖는 패턴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2 출구 분무기들은 특정의 용도들에 있어 스프레이 패턴을 지나치게 넓게 생성하든지, 극도로 큰 부피를 갖든지, 제조하기 어렵든지 한다. 다른 것들은 별개의 흐름들로부터 나온 것으로 시각적으로 인지하기에는 너무 빨리 와해되는 스프레이 패턴을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이 없는 다른 개발품들에 있어서, 당해 기술 분야는 다수의 2 성분/2 부품 화학 약품 분배기들을 제공해 왔다. 그러한 시스템들은 하나의 화학 약품 조성물을 하나의 저장고에 저장하고, 다른 화학 약품 조성물을 다른 저장고에 저장한다. 그 화학 약품 조성물들은 그들이 장기간의 저장 동안 서로 친화성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별개로 저장된다(예컨대, 하나의 조성물 중의 염료와 다른 조성물 중의 과민성 표백제; 하나의 조성물 중의 탄산염과 다른 조성물 중의 산). 그에 관해서는, 미국 특허 제6,550,694호(트리거 펌프 분무기)를 참조하면 된다.
그러한 2 성분 펌프 시스템들 중의 다수는 그 저장고들로 하여금 스프레이 분배기 내의 공통의 출구에 조성물들을 공급하여 분배기 내에서 2개의 조성물들의 혼합을 일으킬 수 있게끔 한다. 그것은 별개로 저장된 화학 약품들이 조기에 반응하여 출구를 막히게 하는 문제점 또는 스프레이 패턴의 두절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여하튼 소비자가 제품의 2원 활성 성분 특성을 그리 쉽게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불리하다.
그 결과로, 스프레이 흐름들을 분배기의 밖에까지 일정 거리 동안 분리된 채로 유지되게 인도하는, 2개의 별개의 저장고들로부터 조성물을 분배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다. 그에 관해서는, 에어로졸 시스템에 관한 미국 특허 제5,005,536호 및 펌프 분무기 시스템에 관한 미국 특허 제4,902,281호를 참조하면 된다. 그러나, 그러한 시스템들은 상당히 큰 부피를 갖고(특히, 출구 단부에서), 제조하기 비싸다.
분배기가 더욱 콤팩트한(예컨대, 노즐이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인접된 2개의 출구들을 구비하는) 경우라도, 결과적으로 생기는 스프레이 흐름들은 분배기로부터 매우 짧은 거리만으로도 와해되어 한데 합쳐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개선된 노즐 조립체들, 특히 분배기로부터 최적으로 2개의 별개의 흐름들을 급송할 수 있는 노즐 조립체들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들은 분배기로부터 최적으로 2개의 별개의 흐름들을 급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은 부분적인 액체 물질을 분배하기 적합하게 구성되는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로, 분배할 액체 물질이 담긴 하나 이상의 저장고와 통하게 위치하기 적합하게 형성된 입구, 출구 단부, 및 그들 사이의 하나 이상의 도관을 구비하는 노즐체를 포함하고; 출구 단부는 출구와 통할 수 있는 2개의 출구 통로들을 구비하고, 출구 통로들의 각각은 그 자체의 종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고 그 자체의 바깥쪽 끝단을 구비하며; 출구 통로들 중의 하나의 바깥쪽 끝단은 그 바깥쪽 끝단 부근의 출구 통로의 종 방향 축에 대해 수직이지 않은 각도로 끝이 절단되고, 출구 통로들 중의 다른 하나의 바깥쪽 끝단은 그 바깥쪽 끝단 부근의 그 종 방향 축에 대해 출구 통로들 중의 제1출구 통로에 대한 절단 각도와는 상이한 각도로 끝이 절단되며; 2개의 출구 통로들 중의 제1 출구 통로에서의 그 바깥쪽 끝 단 부근의 종 방향 축은 2개의 출구 통로들 중의 제2 출구 통로에서의 그 바깥쪽 끝 단 부근의 종 방향 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무 가능한 액체 물질의 급송 방법은 용기로부터 분배할 분무 가능한 액체 물질을 주위 환경으로 급송하는 방법으로서, (a) 분배할 분무 가능한 물질을 담고, 출구를 구비하는 용기를 마련하는 단계; (b) 이어서, 분무 가능한 물질을 출구를 통해, 그리고 제1항의 노즐체 내로 통과시키는 단계; 및 (c) 액체 물질의 2개의 흐름들을 출구 통로들로부터 밖으로 내보내 주위 환경으로 급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은 부분적인 액체 물질을 분배하기 적합하게 구성되는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로, 분배할 액체 물질이 담긴 하나 이상의 저장고와 통하게 위치하기 적합하게 형성된 입구, 출구 단부, 및 그들 사이의 하나 이상의 도관을 구비하는 노즐체를 포함하고; 출구 단부는 출구와 통할 수 있는 2개의 출구 통로들을 구비하고, 출구 통로들의 각각은 그 자체의 종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고 그 자체의 바깥쪽 끝단을 구비하며; 출구 통로들 중의 하나의 바깥쪽 끝단은 그 바깥쪽 끝단 부근의 출구 통로의 종 방향 축에 대해 수직이지 않은 각도로 끝이 절단되고, 출구 통로들 중의 다른 하나의 바깥쪽 끝단은 그 바깥쪽 끝단 부근의 그 종 방향 축에 대해 출구 통로들 중의 제1출구 통로에 대한 절단 각도와는 상이한 각도로 끝이 절단되며; 2개의 출구 통로들 중의 제1 출구 통로에서의 그 바깥쪽 끝 단 부근의 종 방향 축은 2개의 출구 통로들 중의 제2 출구 통로에서의 그 바깥쪽 끝 단 부근의 종 방향 축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분배기로부터 최적으로 2개의 별개의 흐름들을 급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노즐체를 구현한 액추에이터 오버 캡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에어로졸 캔이 딸리기는 하였지만, 도 1의 스프레이 분배기를 부분적으로 파단하여 나타낸 부분 수직 단면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강조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노즐체가 트리거 펌프 출구에 통합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액체 물질을 분배하기 적합하게 구성된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을 제공한다. 분배할 액체 물질을 담은 하나 이상의 저장고와 통하여 위치하기 적합하게 형성된 입구, 출구 단부, 및 그들 사이의 하나 이상의 도관을 구비하는 노즐체가 마련된다. 출구 단부는 입구와 통할 수 있는 2개의 출구 통로들을 구비하고, 2개의 출구 통로들은 각각 그 자체의 종 방향축을 따라 연장되고 그 자체의 바깥쪽 끝단을 구비한다.
출구 통로들 중의 하나의 적어도 바깥쪽 끝단은 그 바깥쪽 끝단 부근의 출구 통로의 종 방향 축에 대해 수직이지 않은 각도로 끝이 절단되고, 출구 통로들 중의 다른 하나의 바깥쪽 끝단은 그 바깥쪽 끝단 부근의 그 종 방향 축에 대해 첫 번째 출구통로에 대한 절단 각도와는 상이한 각도로 끝이 절단된다. 그러한 목적으로, 특정의 도수의 하향 경사 각도를 똑같은 그 동일 도수의 상향 경사 각도와는 상이한 것으로 간주한다.
여하튼, 2개의 출구 통로들 중의 첫 번째 것에서의 그 바깥쪽 끝단 부근의 종 방향 축은 2개의 출구 통로들 중의 두 번째 것에서의 그 바깥쪽 끝단 부근의 종 방향 축과 거의 평행하다. 그것은 매우 콤팩트한 구성을 제공한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출구 통로들 중의 첫 번째 출구 통로의 바깥쪽 끝단이 그 바깥쪽 끝단 부근의 출구 통로의 종방향 축에 대해 수직이지 않은 각도로 끝이 절단되고, 다른 출구 통로의 바깥쪽 끝단도 역시 그 바깥쪽 끝단 부근의 종 방향 축에 대해 수직이지 않은 각도로 끝이 절단된다. 특히, 그것은 출구 통로들 중의 하나가 수직 방향으로 2개의 출구 통로들 중의 두 번째 것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그러한 형태에서는, 하나의 출구 통로가 노즐을 통해 스프레이를 배출할 때에 스프레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 인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다른 출구 통로가 노즐을 통해 스프레이를 배출할 때에 스프레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향 인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스프레이 분배기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배기 또는 트리거 펌프 스프레이 분배기일 수 있다(또는 이후에 언급될 바와 같은 다른 형태들을 취할 수도 있음). 트리거 펌프 분배기의 경우, 하나의 대안적 실시예는 노즐체가 도관들 중의 2개와 통하는 입구 단부를 구비하고, 2개의 도관들 중의 하나가 2개의 출구 통로들 중의 하나에 연결되며, 2개의 도관들 중의 두 번째 것이 2개의 출구 통로들 중의 두 번째 것에 연결되는 것이다.
노즐체가 몰딩된 단일 부품의 플라스틱 오버 캡이고, 평탄한 수평 표면 상에 얹혀진 에어로졸 캔 상에 오버 캡이 통상의 방식대로 장착될 때에 2개의 종 방향 축들이 모두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한 타입의 오버 캡들은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캔에 연결하기 적합하게 형성된 스커트를 구비하고, 본 경우에는 노즐체가 스커트의 반경 방향 측벽 밖으로 스프레이를 발사하기 적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즐들은 해충 억제제들, 방향제들, 살균제들, 청정제들, 왁스나 다른 표면 처리제들, 및/또는 탈취제들을 함유한 것들과 같은 각종의 액체 물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액체 물질이 모두 단일의 저장고 중에 저장된 경우, 노즐체는 단일의 저장고로부터 분배할 조성물을 수용하고 난 후에, 조성물을 별개의 흐름들로서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2개의 스프레이 흐름들(또는 그 이상의 스프레이 흐름들)로 분리하기 적합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다수의 저장고들이 존재하는 경우, 노즐체는 제1 저장고로부터 액체 물질의 제1 조성물을 수용하고, 제1저장고와는 별개의 제2 저장고로부터 제1 조성물과는 상이한 액체 물질의 제2 조성물을 수용하며, 이어서 제1 조성물을 제1 출구 통로를 통해, 그리고 제2 조성물을 제2 출구 통로를 통해 서로 별개로 각각 급송하기 적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출구 통로의 횡단면이 반드시 원형일 필요가 없는 경우, 그것은 더욱 예측성이 높은 스프레이 특성들을 제공하는데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한 경우에는, 제1 및 제2 출구 통로들이 관 모양으로 될 수 있다. 여하튼, 출구 통로들은 액체 물질이 출구 통로들의 바깥쪽 끝단에 접근함에 따라 출구 통로들의 바깥쪽 끝단 부근의 구역에서 감소하지 않는 횡단면을 구비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용기로부터 분배할 분무 가능한 액체 물질을 주위 환경으로 급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분배할 분무 가능한 물질을 담고, 출구를 구비하는 용기를 마련한다. 이어서, 분무 가능한 물질을 출구를 통해, 그리고 전술된 타입의 노즐체 내로 통과시켜 액체 물질의 2개의 흐름들을 출구 통로들로부터 내보내 주위 환경으로 급송한다. 2개의 흐름들은 그들이 노즐체로부터 방출된 후 1미터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합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개의 흐름들은 그 흐름들의 인접 부분들이 해당 거리 내에서 서로 접촉되기 시작할지라도 그 흐름들이 노즐체로부터 방출된 후 5 ㎝ 이상(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동안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시키는 2원 흐름 스프레이를 제공함이 명확하게 파악될 것이다. 하지만, 스프레이 흐름들은 그 후에 곧 와해되어 한데 합쳐지기 시작할 것이다. 즉, 스프레이가 전체적으로 특정의 구역을 향해 인도될 수 있는 동안, 소비자는 다중 스프레이 흐름들이 방출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즐체들(및 그것을 통합한 액추에이터 오버 캡들)은 자동화 장비들을 사용하여 저렴하게 몰딩될 수 있다. 노즐체가 오버 캡 액추에이터의 일부인 경우, 오버 캡은 캔 상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노즐체는 오버 캡에 연결될 필요가 없게 된다. 노즐체는 푸시 버튼의 형태의 밸브대 상에 직접 놓이게 된다.
이후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각종의 실시예들의 전술된 장점들 및 다른 장점들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 일부를 이루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는바, 그 첨부 도면들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단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들이다. 함께 에어로졸 스프레이 시스템(13)을 이루는 에어로졸 오버캡(10)과 용기(11)가 도시되어 있다. 용기(11)는 종래의 에어로졸 금속(예컨대, 알루미늄; 강) 캔일 수 있다. 용기(11)는 압력 하에서 분배할 혼합된 액체 물질과 가스 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챔버(15)를 한정한다.
용기(11)는 그 상부 가장자리에서 통상의 돔(16)에 의해 폐쇄되는 원통형 외벽(14)을 포함한다. 캔 외벽(14)의 상부 가장 자리는 캔 차임(can chime)(18)에 의해 돔에 결합된다. 돔(16)의 중심에는 상향으로 개방된 밸브 컵(20)이 배치되고, 크림핑(crimping)에 의해 또는 다른 방법으로 돔에 결합되어 밸브 컵 림(22)을 형성한다.
에어로졸 시스템(13)은 크림핑에 의해 밸브 컵(20)에 결합된 종래의 에어로졸 밸브(24)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밸브(24)는 밸브 컵(20)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위쪽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밸브대(25)를 구비한다.
다양한 종래의 에어로졸 밸브들이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미국 특허 제5,068,099호 및 환경에 관한 미국 특허 제6,006,957호). 그러한 밸브들은 그 밸브대들을 아래쪽으로 및/또는 옆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동되게 된다. 그러한 작동 즉시로, 용기 중에 담긴 분배할 가압 물질들이 밸브대를 통해 급송된다.
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 오버 캡(10)이 밸브대(25)에 대해 협력 작용하는 관계로 장착된다. 전체의 오버 캡(10)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탄성 플라스틱으로 몰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추에이터 오버 캡(10)의 일부인 도 3을 이후로 노즐체(26)라 지칭하기로 한다. 그러한 노즐체(26)는 리빙 힌지(27)에 의해 오버 캡(10)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된다. 노즐체의 입구(21)는 캔으로부터 연장되는 밸브대(25)를 밀폐하여 수납하고 옆으로 출구 통로들(29A, 29B)로 분기하는 도관(28)에 연결되기 적합하게 형성된다. 도관(28)의 그러한 분기는 출구 통로들이 단일의 저장고(15)에 연결될 수 있는 단일의 도간(28)으로부터 물질들을 공급받는다 하더라도 일어나게 된다.
대안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더욱 구체적으로 후술할 바와 같이, 입구가 별개의 저장고들에 별개로 연결되어 별개의 출구 통로들에도 별개로 연결되는 2개의 별개의 통로들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그것은 별개로 저장된 상이한 화학 약품들로 하여금 완전히 분배기 밖으로 나올 때까지 분리된 채로 유지될 수 있게끔 한다.
도 3으로 다시 돌아가면, 출구 통로들(29A, 29B)은 노즐체 출구 단부들(30A, 30B)로 연장된다. 에어로졸 밸브(24)가 미국 특허 제6,006,957호의 액추에이터가 내리눌려질 수 있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액추에이터를 내리누름으로써 작동되는 경우, 분배할 물질은 밸브대(25)를 통해, 이어서 입구(21)로, 이어서 도관(28)으로, 이어서 출구 통로들(29A, 29B)을 경유하여 밖으로 이동하도록 방출된다.
출구 통로들(29A, 29B)은 거의 수평으로 연장된다(캔이 직립하고, 오버 캡이 캡 상에 장착되었을 때의 위치에 의해 정해짐). 여하튼, 출구 통로들(29A, 29B)의 종 방향 축들(41, 42)은 수직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어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바깥쪽 끝단들(30A, 30B)은 출구 통로(29A)와 출구 통로(29B)가 발산하는 방향으로 스프레이를 인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끝이 절단됨을 특히 유의해야 한다. 수직선으로부터 35도 내지 55도인 각도들이 바람직하다. 또한, 출구 통로들(29A, 29B)은 액체 물질이 바깥쪽 끝단들(30A, 30B)에 접근함에 따라 횡단면 면적에 있어 감소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활발한 스프레이를 촉진한다.
출구 통로(29A)를 경유하여 방출되는 스프레이 흐름은 상향 벡터가 거의 없이 신속하게 아래쪽으로 꺾여지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출구 통로(29B)로부터 방출되는 흐름은 먼저 바깥쪽으로 흐르고 나서, 있다손 치더라도 일정 거리 동안 아래쪽으로 가는 적은 초기 스프레이가 거의 없는 채로 위쪽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그 흐름들이 초기에 소비자에게는 분리된 것으로 보이게 된다.
그러한 흐름들은 그 흐름들 중의 인접 부분들이 해당 거리 내에서 서로 접촉되기 시작했다 하더라도 캔으로부터 약 5 ㎝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 ㎝ 이상 멀어지는 동안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에, 흐름들은 수렴하기 시작한다. 그것은 스프레이에 의한 구역 겨냥을 여전히 허용하면서 2개의 별개의 속성들이 존재한다는(저장된 1개의 조성물 또는 2개의 조성물들로부터 나온 것인지의 여부와는 상관이 없이) 지표를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출구 통로들(29A, 29B)이 그 바깥쪽 끝단 부근에서 직선 구조를 갖기 때문에, 그들을 몰딩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또한, 출구 통로들(29A, 29B)이 평행하기 때문에, 그들은 주어진 임의의 오버 캡에 있는 더 많은 공간을 원하는 다른 특질들에 제공하도록 콤팩트하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노즐체(26)는 다중의 원하는 기능들을 제공한다. 노즐체(26)는 용기로부터 물질의 방출을 일으키는 방도를 제공하고, 노즐을 밸브대에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을 제공하며, 흐름 급송을 제어하는 노즐 구조를 제공한다.
용기(11)는 분무될 수 있는 임의의 종래의 조성물로 장전되는데, 그 조성물은 비록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해충 억제 물질들, 청정 물질들, 살균 물질들, 또는 공기 중의 냄새 또는 성질을 개질하는 물질들을 포함한다. 물론, 분무될 수 있는 다수의 다른 타입의 액체 물질들이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노즐체가 미국 특허 제6,550,694호의 것과 유사한 트리거 펌프 분무기에서 찾을 수 있는 것과 같은 2원 저장고 시스템에 어떻게 통합될 수 있는지를 개략적인 모습으로 나타낸 것이다. 공급 라인들(80, 81)은 펌프 트리거에 의해 기동된 펌핑 유체들을 이송하여 대안적 노즐체(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82"로 지시됨) 내로 공급한다. 그러한 노즐체(82)는 공급 라인들(80, 81)로부터 액체를 수용하는 2개의 별개의 수용 채널들(84, 85)이 달린 입구 구역(83)을 구비한다.
그러한 수용 채널들은 도관 섹션들(86, 87)과 통해 있고, 그 도관 섹션들(86, 87)은 다시 도 3의 것과 매우 유사한 노즐체 출구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한 분무기는 유체를 기동시킨다는 것을 별개로 하고, 추진된 별개의 흐름들이 단일의 공급원이 아니라 오히려 별개로 저장된 물질들로부터 나온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서와 매우 유사하게 작동한다.
전술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또 다른 개조들이 이뤄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각종의 다른 펌핑 및 급송 시스템들이 또한 가능하다(예컨대, 전기 펌프들, 중력 급송 시스템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는 절단 각도들이 직선 절단에 의해 형성되지만, 곡선형 단부 또는 기타의 단부들로써 절단각도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는 본 발명의 구조에 대한 또 다른 변형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발명은 전술된 및/또는 첨부 도면들에 개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의 전체의 범위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청구의 범위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10 : 에어로졸 오버캡
11 : 용기
13 : 에어로졸 스프레이 시스템
14 : 외벽
15 : 내부 챔버
16 : 돔
20 : 밸브 컵
21 : 입구
22 : 밸브 컵 림
24 : 에어로졸 밸브
25 : 밸브대
26 : 노즐체
27 : 리빙 힌지
28 : 도관
29A, 29B : 출구 통로
30A, 30B : 바깥쪽 끝단
41, 42 : 종 방향 축
80, 81 : 공급 라인
83 : 입구 구역
84, 87 : 수용 채널
86, 87 : 도관 섹션

Claims (18)

  1. 부분적인 액체 물질을 분배하기 적합하게 구성되는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로,
    분배할 액체 물질이 담긴 하나 이상의 저장고와 통하게 위치하기 적합하게 형성된 입구, 출구 단부, 및 그들 사이의 하나 이상의 도관을 구비하는 노즐체를 포함하고;
    출구 단부는 출구와 통할 수 있는 2개의 출구 통로들을 구비하고, 출구 통로들의 각각은 그 자체의 종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고 그 자체의 바깥쪽 끝단을 구비하며;
    출구 통로들 중의 하나의 바깥쪽 끝단은 그 바깥쪽 끝단 부근의 출구 통로의 종 방향 축에 대해 수직이지 않은 각도로 끝이 절단되고, 출구 통로들 중의 다른 하나의 바깥쪽 끝단은 그 바깥쪽 끝단 부근의 그 종 방향 축에 대해 출구 통로들 중의 제1출구 통로에 대한 절단 각도와는 상이한 각도로 끝이 절단되며;
    2개의 출구 통로들 중의 제1 출구 통로에서의 그 바깥쪽 끝 단 부근의 종 방향 축은 2개의 출구 통로들 중의 제2 출구 통로에서의 그 바깥쪽 끝 단 부근의 종 방향 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출구 통로들 중의 제1 출구 통로의 바깥쪽 끝단은 그 바깥쪽 끝단 부근의 출구 통로의 종 방향 축에 대해 수직이지 않은 각도로 끝이 절단되고, 다른 출구 통로의 바깥쪽 끝단도 역시 그 바깥쪽 끝단 부근의 종 방향 축에 대해 수직이지 않은 각도로 끝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
  3.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출구 통로들 중의 제1 출구 통로는 수직 방향으로 2개의 출구 통로들 중의 제2 출구 통로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
  4. 제3항에 있어서,
    2개의 출구 통로들 중의 제2 출구 통로는 노즐을 통해 스프레이를 배출할 때에 스프레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 인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2개의 출구 통로들 중의 제1 출구 통로는 노즐을 통해 스프레이를 배출할 때에 스프레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향 인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
  5. 제1항에 있어서,
    스프레이 분배기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
  6. 제1항에 있어서,
    스프레이 분배기는 펌프 스프레이 분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
  7. 제1항에 있어서,
    노즐체는 도관들 중의 2개와 통하는 그 입구 단부를 구비하고, 2개의 도관들 중의 하나는 2개의 출구 통로들 중의 제1 출구 통로에 연결되며, 2개의 도관들 중의 제2 도관은 2개의 출구 통로들 중의 제2 출구 통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
  8. 제1항에 있어서,
    노즐체는 몰딩된 단일 부품의 플라스틱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
  9. 제1항에 있어서,
    노즐체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배기용 액추에이터 오버 캡의 일부이고, 오버 캡은 에어로졸 캔에 연결하기 적합하게 형성된 스커트를 구비하며, 노즐체는 스커트의 반경 방향 측벽 밖으로 스프레이를 발사하기 적합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
  10. 제1항에 있어서,
    액체 물질은 해충 억제제들, 방향제들, 살균제들, 청정제들, 왁스나 다른 표면 처리제들, 및/또는 탈취제들로 이루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
  11. 제1항에 있어서,
    노즐체는 단일의 저장고로부터 분배할 조성물을 수용하고 난 후에, 조성물을 별개의 흐름들로서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2개의 스프레이 흐름들로 분리하기 적합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
  12. 제1항에 있어서,
    노즐체는 제1 저장고로부터 액체 물질의 제1 조성물을 수용하고, 제1 저장고와는 별개의 제2 저장고로부터 제1 조성물과는 상이한 액체 물질의 제2 조성물을 수용하며, 이어서 제1 조성물을 제1 출구 통로를 통해, 그리고 제2조성물을 제2 출구 통로를 통해 서로 별개로 각각 급송하기 적합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
  13.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출구 통로들은 관 모양으로 되고, 액체 물질이 출구 통로의 바깥쪽 끝단에 접근함에 따라 출구 통로의 바깥쪽 끝단 부근에서 그 크기에 있어 감소하지 않는, 관형 통로를 통한 흐름 경로를 가로지르는 수직 횡단면들을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 분배기용 노즐.
  14. 용기로부터 분배할 분무 가능한 액체 물질을 주위 환경으로 급송하는 방법으로서,
    (a) 분배할 분무 가능한 물질을 담고, 출구를 구비하는 용기를 마련하는 단계;
    (b) 이어서, 분무 가능한 물질을 출구를 통해, 그리고 제1항의 노즐체 내로 통과시키는 단계; 및
    (c) 액체 물질의 2개의 흐름들을 출구 통로들로부터 밖으로 내보내 주위 환경으로 급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가능한 액체 물질의 급송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2개의 흐름들이 노즐체로부터 방출된 후 1미터 내에서 그 흐름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합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가능한 액체 물질의 급송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2개의 흐름들의 인접 부분들이 해당 거리 내에서 서로 접촉되기 시작할지라도 그 흐름들이 노즐체로부터 방출된 후 5 ㎝ 이상 동안 그 흐름들을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채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가능한 액체 물질의 급송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2개의 흐름들의 인접 부분들이 해당 거리 내에서 서로 접촉되기 시작할지라도 그 흐름들이 노즐체로부터 방출된 후 15 ㎝ 이상 동안 그 흐름들을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채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가능한 액체 물질의 급송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2개의 흐름들의 인접 부분들이 해당 거리 내에서 서로 접촉되기 시작할지라도 그 흐름들이 노즐체로부터 방출된 후 25 ㎝ 이상 동안 그 흐름들을 시각적으로 구별 가능한 채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 가능한 액체 물질의 급송 방법.
KR1020160059928A 2016-05-17 2016-05-17 스프레이 노즐 KR20170129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928A KR20170129355A (ko) 2016-05-17 2016-05-17 스프레이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928A KR20170129355A (ko) 2016-05-17 2016-05-17 스프레이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355A true KR20170129355A (ko) 2017-11-27

Family

ID=60810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928A KR20170129355A (ko) 2016-05-17 2016-05-17 스프레이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93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237B1 (ko) 스프레이 노즐
US8820665B2 (en) Fluid dispensing nozzle
US7789278B2 (en) Dual chamber aerosol container
US6056213A (en) Modular system for atomizing a liquid
JP4896357B2 (ja) エーロゾル噴霧分与装置
US6820823B2 (en) Aerosol dispensing nozzle
US8840045B2 (en) Fluid dispensing device having multiple spray patterns
CZ190894A3 (en) Atomizer with a plurality of holes for atomizing liquid in various patterns
EP2740541A2 (en) Fluid dispensing device for discharging fluid simultaneously in multiple directions
US20160236853A1 (en) Insert with nozzle formed by micro stepped and conical surfaces
CN107206402B (zh) 一种具有挤压瓶的提供改进的喷雾图案的装置及方法
KR20170129355A (ko) 스프레이 노즐
JP2007145350A (ja) キャップ具及びエアゾール噴霧器
JPH0448503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