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9164A -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proliferation of adipose stem cells and for promoting browning of adipose tissue - Google Patents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proliferation of adipose stem cells and for promoting browning of adipose tissu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9164A
KR20170129164A KR1020177027126A KR20177027126A KR20170129164A KR 20170129164 A KR20170129164 A KR 20170129164A KR 1020177027126 A KR1020177027126 A KR 1020177027126A KR 20177027126 A KR20177027126 A KR 20177027126A KR 20170129164 A KR20170129164 A KR 20170129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angiferin
obesity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dip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윤희
권혁만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7012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1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방줄기세포 또는 지방전구세포의 증식 또는 분화 억제용 조성물; 지방 조직의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으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지방 조직의 백색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용 조성물; 저체온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체온조절 또는 신체 에너지 대사 조절용 조성물; 지질대사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항 비만,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ipocyte stem cell or a lipogenic precursor cell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proliferation or differentiation of the cell; A 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 into brown adipocytes or beige adipocytes;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 into white adipocyt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hypothermia;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body temperature or regulating body energy metabolism;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 lipid metabolism-related disease; And anti-obesity, or compositions for reducing body fat.

Description

지방줄기세포의 증식 억제 및 지방 조직의 갈색화 촉진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nhibiting proliferation of adipose stem cells and for promoting browning of adipose tissue

본 발명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방줄기세포 또는 지방전구세포의 증식 또는 분화 억제용 조성물; 지방 조직의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으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지방 조직의 백색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용 조성물; 저체온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체온조절 또는 신체 에너지 대사 조절용 조성물; 지질대사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항 비만, 식욕 억제, 또는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ipocyte stem cell or a lipogenic precursor cell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proliferation or differentiation of the cell; A composition for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 into brown adipocytes or beige adipocytes;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 into white adipocyte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hypothermia;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body temperature or regulating body energy metabolism;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 lipid metabolism-related disease; And compositions for anti-obesity, appetite suppression, or body fat reduction.

비만이란 기본적으로 섭취 에너지에 비해 소비 에너지가 적을 때 잉여 에너지가 체내 지방 형태로 과도하게 축적되어 발생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식생활의 서구화에 의해 섭취 에너지는 크게 증가하는 반면 문명의 편리 제공을 통해 활동량을 감소시켜 섭취 에너지와 소비 에너지 간의 불균형이 쉽게 발생한다. 또한 스트레스 증가에 의한 불규칙한 식습관과 정신적 그리고 내분비적 혼란은 에너지 불균형을 더욱 심화시킨다. 이러한 에너지 간의 불균형은 개인의 유전적 요인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비만을 발생시킨다. 과거에는 비만은 고소득 국가에서 주로 발생되었으나, 최근 경제 세계화를 통해 식생활의 서구화가 확산되고 고칼로리 인스턴트식품이 전 세계적으로 저렴하게 제공됨에 따라 중소득 및 저소득 국가에서도 비만 환자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저칼로리 식습관을 갖고 있던 중소득 및 저소득 국가에서는 에너지 축적을 선호하는 유전적 요인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비만 환자의 증가 속도가 더욱 가파르게 나타나고 있다. Obesity is basically caused by excessive accumulation of surplus energy in the form of fat in the body when the energy consumed is smaller than the energy consumed. In the modern society, the intake of energy by the westernization of the diet is greatly increased, but the disparity between the ingestion energy and the consumed energy easily occurs by decreasing the activity amount through convenient provision of civilization. Irregular eating habits due to increased stress and mental and endocrine disruptions further deepen energy imbalances. This imbalance between the energies is combined with the genetic factors of the individual to generate obesity. In the past, obesity occurred mainly in high-income countries. However, as westernization of dietary life has been spreading through economic globalization and high-calorie instant foods have been offered at a low cost worldwide, obesity patients are rapidly increasing in the middle income and low income countries. Especially in middle-income and low-income countries, which have low-calorie eating habits, the rate of increase in obese patients is becoming more severe because of the combined effect of genetic factors favoring energy accumulation.

2014년 컨설팅업체 맥킨지는 비만이 초래하는 비용이 전 세계적으로 2조 달러(약 223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전 세계 1년 국내총생산(GDP)의 2.8%에 이르는 규모이다. 비만으로 인한 비용은 전쟁과 테러에 대처하기 위한 비용이나 흡연에 따른 비용(각 2조1000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며, 알코올(1조4000억달러), 문맹(1조3000억달러), 기후변화(1조달러) 등에 대응하기 위한 비용보다 훨씬 많다. AP 통신과 미국 언론들은 맥킨지 보고서를 인용하여 비만은 단지 건강과 관련된 문제만이 아니고, 경제적 측면에서도 주요한 도전이 되고 있다면서 이제 우리는 비만을 막기 위한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보도했다. 우리나라에서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초고도 비만율은 지난 2002년 0.2%에서 2013년 0.5%로 상승해 11년간 2.9배의 증가를 보였다. 초고도비만율 증가 현상은 20~30대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2002년 대비 2013년에 6.3배 증가했고, 남성은 4.8배 증가했다. 이러한 비만은 과체중에 의한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당뇨, 고혈압, 동맥 경화, 심장병, 관절 질환 등의 만성적 성인병의 중요한 원인을 제공한다.  In 2014, consulting firm McKinsey reported that the cost of obesity is around $ 2 trillion worldwide (about $ 2230 trillion). It accounts for 2.8% of the world's gross domestic product (GDP). The cost of obesity is about the same as the cost of coping with war and terrorism, or the cost of smoking (2.1 trillion won each), alcohol ($ 1.4 trillion), illiteracy ($ 1.3 trillion) Which is much higher than the cost of responding. The Associated Press and US media quoted McKinsey as saying that obesity is not just a health issue, but a major economic challenge, and that we should take action to prevent obesity. In Korea, according to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he rate of high-altitude obesity rose from 0.2 percent in 2002 to 0.5 percent in 2013, showing an increase of 2.9 times over 11 years. The highest rate of increase in obesity rates was observed in the 20s and 30s, and women increased 6.3 times in 2013 compared to 2002, and men increased 4.8 times. Such obesity not only serves as a risk factor for overweight, but also provides an important cause of chronic adult diseases such as diabetes, hypertension, arteriosclerosis, heart disease, and joint diseases.

비만은 저칼로리 식생활을 제공하는 식이요법과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운동요법을 병행하여 기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으나, 식욕은 내분비적, 심리적 여러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조절되므로 환자가 능동적으로 제어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높은 강도의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도 어렵다. 또한 식욕 제어의 심리적 압박감에 의해 오히려 요요현상이 유도되어 체중의 급격한 재증가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과잉영양을 원인으로 하는 비만 환자인 경우에는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높은 강도로 강요하기 보다는 낮은 강도의 식이요법과 운동요법과 함께 잉여 칼로리의 체내 지방 저장을 억제하는 약물 치료를 병행한다면 더 큰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요현상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Obesity can be treated basically in combination with a diet that provides a low-calorie diet and exercise that increases exercise. However, since appetite is controlled by a combination of endocrine and psychological factors, it is very difficult for patients to actively control and It is also difficult to steadily exercise exercise of strength.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pressure of appetite control may induce the yo-yo phenomenon, resulting in a sudden increase in body weight. Therefore, in the case of obesity caused by excessive nutrition, rather than forcing the diet and exercise to high intensity, the combination of low intensity dietary therapy and exercise therapy combined with drug treatment to suppress the fat storage of excess calories Not only can the treatment effect be expected, but also the yo-yo phenomenon can be prevented.

그동안 개발된 식욕제어를 위한 약물은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분비를 차단하는 펜터민(Phentermine)과 펜디메트라진(Phendimetrazine), 세로토닌(Serotonin) 재흡수를 차단하는 플루오세틴(Fluoxetin), 그리고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를 차단하는 시부트라민(Sibutramine)과 같이 대부분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향정신성 의약품으로 두통과 메스꺼움, 정신장애 등의 부작용이 심각하여 우울증 유발 및 자살 등이 보고되어 최근 FDA에서 허가가 취소되고 있다. 위장에서의 지방흡수를 차단하는 오를리스타트(Orlistat)는 체중 감소효과가 크지 않고, 장기 복용 시 내성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었으므로 새로운 비만 억제제 개발이 시급하다.Drugs for the control of appetite developed in the meantime include Phentermine and Phendimetrazine which block norepinephrine secretion, Fluoxetin which blocks serotonin reuptake, and Serotonin and Norr Sibutramine, which blocks epinephrine reuptake, is a psychotropic drug that works mostly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It has been recently withdrawn by the FDA because of the serious side effects such as headache, nausea and mental disorder, and depression and suicide. Orlistat, which blocks the absorption of fat in the stomach, has been reported to be less tolerant of weight loss and tolerance to long-term use, so it is urgent to develop new obesity inhibitors.

체내 지방은 대부분 지방세포에 저장된다. 비만이 진행됨에 따라 지방세포는 수적으로 증가함과 함께 과도하게 생성된 지방세포가 다량의 중성 지방을 저장함에 따라 크기가 증가하는 형태적 변화를 동반한다. 지방세포는 지방조직 내에 존재하는 지방줄기세포가 지방전구세포를 거쳐 지방세포로 분화되어 형성되며, 지방줄기세포의 분열과 분화는 지방세포의 수와 분화 계통을 결정한다. Most of the body fat is stored in fat cells. As the obesity progresses, the number of adipocytes increases numerically and accompanies a morphological change that increases in size as excessively produced adipocytes store a large amount of triglycerides. Fat cells are formed by differentiation of adipose stem cells existing in adipose tissue into adipose cells through lipid precursor cells and division and differentiation of adipose stem cells determine the number of adipocytes and the differentiation system.

청소년기의 비만은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과에 따르면 6개월 영아 비만의 약 14%, 7세 소아 비만의 약 41%, 10~13세 비만의 약 70%가 성인 비만으로 진행하므로 매우 위험하다. 실제로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국내 소아, 청소년 비만 유병률은 1997년 5.8%에서 2012년 9.6%로 증가했고 교육부가 조사한 초, 중, 고교 비만 학생 비율도 2006년 11.6%에서 2014년 15%로 늘었다. According to th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of the Yonsei University Medical School, the adolescent obesity is very dangerous because it progresses to obesity in adult, about 14% of 6 month infant obesity, about 41% of 7 year old child obesity and about 70% of 10 ~ In fact,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creased from 5.8% in 1997 to 9.6% in 2012 as a result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3, and the proportion of obes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urvey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lso increased from 11.6% in 2006 to 15% .

증가하는 소아, 청소년 비만율이 성인 비만 이환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지방줄기세포의 증식이 소아 및 청소년기에 형성되며 성인이 되면 증가된 지방줄기세포가 분화하여 지방세포 숫자가 많게 되고 지방을 저장하므로 지방 축적이 원인이 되는 대부분 성인병과 유전병에 영향을 준다. The increase in the rate of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greatly affects adult obesity morbidity because the proliferation of adipose stem cells is formed in pediatrics and adolescence and when adulthood is increased in adipose stem cell differentiation, So it affects mostly adult diseases and genetic diseases that cause fat accumulation.

지방조직에는 잉여 에너지를 중성지방(triglycerides) 형태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백색지방조직(white adipose tissue, WAT)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저체온증(hypothermia) 상황에서 열을 발생시켜 체온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갈색 지방조직(brown adipose tissue, BAT)이 존재한다. In adipose tissue, not only white adipose tissue (WAT), which functions to store surplus energy in the form of triglycerides, but also the ability to maintain body temperature by generating heat in hypothermia There is brown adipose tissue (BAT) to perform.

형태적으로, 백색지방세포는 하나의 큰 지방 방울을 가지고 있는 반면 갈색 지방세포는 여러 개의 작은 지방 방울을 가지고 있다. 갈색 지방세포에는 백색지방세포에 비하여 비교적 많은 수의 미토콘드리아가 존재하며,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사이토크롬 색소에 의해 갈색을 갖게 된다. 갈색 지방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막에는 UCP1(uncoupling protein 1) 단백질이 존재하며, UCP1은 미토콘드리아의 산화적 인산화 과정에서 형성되는 H+전기화학적 농도구배와 ATP 중합효소에 의한 ATP 합성 과정을 짝풀림(uncoupling)하여 화학적 에너지를 열(heat) 형태로 방출한다.Morphologically, white adipose cells have one large fat droplet while brown adipose cells have several small fat droplets. Brown adipocytes hav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mitochondria compared to white adipocytes, and are brown due to the cytochrome pigment present in the mitochondria. UCP1 (uncoupling protein 1) protein is present in the mitochondrial inner membrane of brown fat cells, and UCP1 is uncoupled from the H + electrochemical concentration gradient formed during the oxidative phosphorylation of mitochondria and the ATP synthesis by ATP polymerase It releases chemical energy in the form of heat.

설치류와 같은 작은 크기의 포유류에는 갈색 지방조직이 풍부하게 존재하나, 인간과 같은 비교적 큰 크기의 포유류에서는 유아기 이후 대부분의 갈색 지방조직이 소실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성인에 쇄골상(supraclavicular area)과 목 부분을 중심으로 갈색 지방세포와 유사한 성질을 보이는 지방세포가 상당량 존재하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백색지방조직 내에는 저온 자극을 주었을 때 UCP1 단백질 발현이 크게 증가하고 다방성(multilocular) 형태적 특징이 나타나는 지방세포가 섞여 존재함이 밝혀졌다. 이 지방세포는 myf-5 계통에서 유래되는 갈색 지방조직과는 달리 myf-5 계통에서 유래되지 않는 별개의 세포군으로, 전형적인 갈색 지방세포와 구별하기 위해 베이지색 지방세포(beige adipose tissue)라 명명되었다. Small-sized mammals such as rodents are abundant in brown adipose tissue, but relatively large sized mammals such as humans have been known to lose most of the brown adipose tissue after infancy. However, recently, it has been found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adipocytes showing similar characteristics to brown adipocytes are found in the supraclavicular area and neck region of adult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UCP1 protein expression was greatly increased in the white adipose tissue when the low temperature stimulus was given, and the adipose cells showing multilocular morphological features were present in a mixed state. These adipocytes are distinct cell types not derived from the myf-5 lineage, unlike the brown adipose tissue derived from the myf-5 lineage, and named beige adipose tissue to distinguish them from typical brown adipose cells .

베이지색 지방세포는 저온 자극이 없는 상황에서는 백색지방세포와 같이 UCP1을 거의 발현하지 않으나, 저온 자극이나 cyclic AMP 자극이 주어지면 UCP1 발현과 세포 호흡률을 갈색 지방세포 수준으로 증가시킨다. 베이지색 지방세포는 백색지방세포와 전형적인 갈색 지방세포와는 상이한 유전자 발현 패턴을 보이며 근육으로부터 유래되는 폴리펩티드 호르몬인 아이리신(irisin)에 반응하여 UCP1 발현과 세포 호흡률을 증가시킨다. 성인에 존재하는 기존에 알려진 갈색 지방세포는 대부분 베이지색 지방세포로 밝혀졌다 (Spiegelman BM (2013 June) Regulation of Adipogenesis: Towaed New Therapeutics for Metabolic Disease. Diabetes 62, 1774-1782; Wu et al. (2012 Jul 20) Beige adipocytes are a distinct type of thermogenic fat cell in mouse and human. Cell 150, 366-376).Beige adipocytes do not express UCP1 like white adipocytes in the absence of cold stimulation. However, when cold stimulation or cyclic AMP stimulation is given, UCP1 expression and cell respiration rate are increased to brown adipocyte level. Beige adipocytes exhibit a different gene expression pattern than white adipocytes and typical brown adipocytes and increase UCP1 expression and cellular respiration in response to irisin, a polypeptide hormone derived from muscle. Most known brown adipose cells present in adults are mostly beige adipocytes (Spiegelman BM (2013 June) Regulation of Adipogenesis: Towaed New Therapeutics for Metabolic Disease. Diabetes 62, 1774-1782; Wu et al. Jul. 20) Beige adipocytes are a distinct type of thermogenic fat cell in mouse and human. Cell 150, 366-376).

갈색 지방세포의 발생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PRDM16를 지방세포에서만 선택적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adipose fatty acid binding protein (aP2) 프로모터 지배하에 발현시킨 형질전환쥐에서는 피하 백색지방 조직에 갈색 지방세포와 베이지색 지방세포가 많이 생성되게 되며, 이 형질전환쥐는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에 높은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Spiegelman BM (2013 June) Regulation of Adipogenesis: Towaed New Therapeutics for Metabolic Disease. Diabetes 62, 1774-1782).The expression of PRDM16, a transcription factor that regulates the development of brown adipocytes, was selectively expressed in adipose tissue. In the transgenic mice expressing adipose fatty acid binding protein (aP2) promoter, (17).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igh-density lipoprotein (HDL) -mediated adipogenesis in obesity-induced diabetic rats. 1782).

생쥐배아 섬유아세포(mouse embryo fibroblast, MEF)에 지방세포 분화(adipogenesis)를 유도하면 백색지방세포가 생성되는데, 같은 MEF에 망막아세포종 단백질(Retinoblastoma protein, pRb)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활성을 저하시킨 다음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면 갈색 지방세포가 생성된다. 또한 Rb 단백질의 일종인 p107 단백질 발현을 제거한 형질전환쥐에서는 백색지방조직이 감소하는 반면 갈색 지방조직이 증가한다. p107-/- 형질전환쥐에서는 pRb가 주로 저인산화(hypophosphorylated) 형태로 존재한다. 이 결과들은 백색지방세포와 베이지색 지방세포가 지방 조직 내에서 공통의 지방줄기세포 집단으로부터 분화하며, 고인산화된 pRb는 백색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는 반면, 저인산화된 pRb는 갈색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할 가능성을 제기한다. 그리고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초기에 Wnt 신호전달이 활성화되면 갈색 지방세포로의 분화는 억제되는 반면 백색지방세포로의 분화는 촉진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지방 조직 내의 공통의 지방줄기세포 집단으로부터 백색지방세포로의 분화는 억제하는 한편 베이지색 지방세포로의 분화는 촉진하는 약물 간여가 가능할 가능성이 크다.When adipogenesis is induced in mouse embryo fibroblast (MEF), white adipocytes are formed. In the same MEF, the expression of retinoblastoma protein (pRb) is inhibited or decreased Induc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produces brown adipocytes. In addition, in the transgenic mice in which the expression of p107 protein, which is a type of Rb protein, was eliminated, the amount of white adipose tissue decreased while the amount of brown adipose tissue increased. In p107 - / - transgenic mice, pRb is present in hypophosphorylated form.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te adipocytes and beige adipocytes differentiate from common adipose stem cell populations in adipose tissue, whereas hyperoxidized pRb induces differentiation into white adipocytes, whereas hypophosphorylated pRb induces differentiation into brown adipocytes Thereby raising the possibility of inducing differentiation. It was reported that activation of Wnt signaling at the early stage of differentiation of lipoprotein cells inhibits differentiation into brown adipocytes, but promotes differentiation into white adipocytes. Therefore, it is highly possible that interstitial differentiation into white adipocytes is inhibited from a common adipose stem cell population in adipose tissue, while intervention of drugs promoting differentiation into beige adipocytes is possible.

한편, Hipk2 (Homeodomain-interacting protein kinase 2)는 전사인자 활성을 조절하는 키나제로서 배아 발생, 신경세포 생존과 사멸, 세포 증식과 종양발생 등에 관여하나, 최근 백색 지방의 발생을 조절하는 기능이 보고되었다. HIPK2 유전자를 제거한 HIPK2-/- 형질전환 쥐에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하면 정상 쥐보다 비만 정도가 감소하고 갈색 지방 표지자 발현이 증가한다(Sjolund J et al., (2014 May 20) Identification of Hipk2 as an essential regulator of whitefat development. 111(20):7373-8). 따라서 HIPK2 형질전환 쥐를 이용하여 지방 축적 억제제의 지방조직 발생과 갈색 지방 분화 및 지방의 갈색화에의 효과를 연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Hipk2 (homeodomain-interacting protein kinase 2) is a kinase that regulates transcription factor activity, but it has recently been reported to regulate the development of white fat, although it is involved in embryogenesis, neuron survival and apoptosis, cell proliferation and tumorigenesis . Induction of obesity by HIPK2 - / - transgenic mice with HIPK2 gene deletion resulted in a decrease in the degree of obesity and an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brown fat marker than in normal mice (Sjolund J et al. (2014 May 20) Identification of Hipk2 as an essential regulator of whitefat development. 111 (20): 7373-8). HIPK2 transgenic mice can be used to study the effect of fat accumulation inhibitor on adipocyte development, brown fat differentiation and fat coloration.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지방줄기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지방 갈색화를 촉진하는 물질을 찾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만지페린이 지방줄기세포의 증식을 크게 억제하고, 지방줄기세포의 백색지방세포로의 분화는 억제하고 베이지색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여 지방 축적이 원인이 되는 비만에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intensive efforts to find a substance that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adipose stem cells and promote fatty brownening, and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mangifera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adipose stem cells and inhibits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stem cells into white adipocyte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by confirming the therapeutic effect on obesity which is a cause of fat accumulation by promoting differentiation into beige adipocytes.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방줄기세포 또는 지방전구세포의 증식 또는 분화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osteogenic stem cells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or And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proliferation or differentiation of lipid precursor cell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방 조직의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으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treating obesity,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mammal in need thereof an effective amount of a compound of formula (I),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or beige adipocyt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방 조직의 백색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dipocytes in a warm white color of adipose tissue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nd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체온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or treat hypothermia compris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nd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dminist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체온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or ameliorate hypothermia compris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a food composi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체온조절 또는 신체 에너지 대사 조절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body temperature or body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nd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ontrolling energy metabolis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체온조절 또는 신체 에너지 대사 조절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body temperature or body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to provide a food composition for controlling energy metabolis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지질대사 관련 질환은 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만은 소아 비만, 청소년기 비만, 또는 성인 비만을 포함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treating lipid metabolism-related diseases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Such lipid metabolism related diseases may include obesity. The obesity may include childhood obesity, adolescent obesity, or adult obes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 비만, 식욕 억제, 또는 체지방 감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obesity, an appetite suppressing method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nhibiting, or reducing body fat.

본 발명에 따른 만지페린, 네오만지페린, 또는 노라티리올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지방줄기세포 또는 지방전구세포의 증식 억제 및 갈색 지방으로의 분화 촉진 효과가 있어, 실험용 또는 체내 이식용 갈색 지방세포의 대량 배양을 위한 세포 배양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지방 관련 질환자에 투여하여 지방줄기세포의 증식 억제 및 갈색 지방으로의 분화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The composition comprising mangepiperine, neomangiectin or norathii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and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of adipose or progenitor cells, It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composition for cell culture for mass culture, and it is effective to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fat stem cells and differentiate into brown fat by administration to fat-related disease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만지페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종 저체온증, 지방 증식 및 지방대사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mandelpe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prevention, improvement, and treatment of various hypothermia, lipoprotein and lipid metabolism-related diseases.

도 1 및 도 2는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증식에 대한 만지페린의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1는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만지페린을 6일 동안 처리한 다음, 세포 증식을 MTT 분석법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3T3-L1 세포와 HeLa 세포에 만지페린을 6일 동안 처리한 다음, 세포 증식을 MTT 분석법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만지페린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은 control로 표시하였다.
도 3 및 도 4는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에 대한 만지페린의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3는 분화유도배지에서 14일간 배양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한 다음, Oil Red O로 염색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염색된 Oil Red O를 이소프로파놀(isopropanol)로 용해하여 490nm 흡광도를 측정한 것이다. 도 3에서 Mangiferin(-)는 만지페린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이며, Mangiferin(+)는 만지페린을 10 μM 농도로 처리한 것이다. X-축은 22mm 배양기에 심어준 세포수를 표시하였다. 도 4에서 X-축은 22mm 배양기에 심어준 세포수를 표시하였다. 만지페린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은 control로 표시하였다.
도 5 및 도 6는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Wnt 신호 전달에 대한 만지페린의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5는 별개로 획득한 두 가지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와 3T3-L1 세포, HeLa 세포에 만지페린을 50 μM 또는 100 μM 농도로 3일 또는 6일 동안 처리한 다음, GSK-3β, p(Ser9)-GSK-3β, β-catenin, non-phospho-β-catenin 단백질량을 면역 블로팅 방법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6는 도 5의 p(Ser9)-GSK-3β과 non-phospho-β-catenin 단백질 밴드를 농도계로 측정하여 만지페린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는 청소년기에 고지방식이를 시작하고 만지페린을 투여했을 때 동물의 몸무게 변화를 나타낸다.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8주된 동물에게 고지방식이를 시작한 후 10주부터 28주까지 18주간 만지페린을 경구투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만지페린 투여군은 몸무게 증가가 둔화되었고 그 차이가 변하지 않고 28주까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이는 청소년기에 증식한 지방줄기세포 숫자가 성년까지 계속 유지되어 몸무게가 계속 일정하게 차이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7). 섭식량은 고지방 사료의 경우 저지방 사료에 비교하여 섭취량이 적으나 비교적 일정하였음 (도 8).
도 9 및 도 10는 갈색 지방분화를 조절하는 HIPK2 유전자제거한 형질전환 쥐에 고지방식이 투여하고 이형접합자 쥐를 이용하여 만지페린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8주 청소년기 이형접합자 쥐에서 정상쥐에서보다 몸무게가 적게 증가하였다 (도 9). 그러나 섭식량은 거의 유사하였다(도 10).
도 11 및 도 12는 성체 쥐에서 만지페린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18주에서 34주까지 고지방식이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그 결과 HIPK2 이형접합자 쥐는 정상 쥐보다 22주부터 몸무게가 적게 증가하였고 35주부터 만지페린을 투여한 결과 고지방식이 이형접합쥐에서만 몸무게 감소가 보였다. 이는 성체에서 만지페린에 의해 지방 갈색화가 촉진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저지방 식이 동물에서도 약간의 몸무게 감소가 있었다.
1 and 2 show the effect of mangifera on the proliferation of adipos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n Fig. 1, mangiferin was treated with adipos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for 6 days, and cell proliferation was measured by MTT assay FIG. 2 shows the results of treatment of 3T3-L1 cells and HeLa cells with mangiferin for 6 days, and then cell proliferation was measured by MTT assay. Controls not treated with mangifera were labeled as control.
FIG. 3 and FIG. 4 show the effect of mangifera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adipos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FIG. 3 shows that adipocyte differentiation is induced by culturing in differentiation induction medium for 14 days and then stained with Oil Red O And FIG. 4 shows the measurement of absorbance at 490 nm by dissolving stained Oil Red O with isopropanol. In FIG. 3, Mangiferin (-) is a control group not treated with mangiferin, and Mangiferin (+) is treated with 10 μM of mangiferin. The X-axis represents the number of cells implanted in a 22 mm incubator. In FIG. 4, the X-axis represents the number of cells implanted in a 22 mm incubator. Controls not treated with mangifera were labeled as control.
FIGS. 5 and 6 show the effect of mangipelin on Wnt signaling in adipos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FIG. 5 shows the effect of two separate adipos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nd 3T3-L1 cells and HeLa cells Mannipherin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50 μM or 100 μM for 3 days or 6 days and the amount of GSK-3β, p (Ser9) -GSK-3β, β-catenin and non-phospho-β-catenin protein was immunoblotted 6 shows the percentage of the control group in which mangiferin was not treated by measuring the p (Ser9) -GSK-3? And non-phospho-beta-catenin protein bands in Fig. 5 as a densitometer .
Figures 7 and 8 show the change in weight of an animal when the high-fat diet started in adolescence and when mangeferrin was administered. The 8-week-old adolescent animals were orally administrated for 18 weeks from the 10th week to the 28th week after the high-fat diet was started. As a result, the body weight gain was slow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not changed. It remained constant. This suggests that the number of adipose stem cells proliferated in adolescence continues to be maintained until adulthood, and the weight is constantly different (Fig. 7). Feed intake was relatively constant in high fat diets compared to low fat diets (Fig. 8).
FIG. 9 and FIG. 10 show the effect of the high-fat diet on the HIPK2 gene-deficient transgenic mice that control brown lipid differentiation and the effect of the mangipiperin using the heterozygous mouse. In the 8 week-old adolescent dysplastic rat, (Fig. 9). However, the feeding amount was almost similar (Fig. 10).
FIGS. 11 and 12 show results of high-fat diet from 18 weeks to 34 week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angiferin effect in adult rats. As a result, HIPK2 heterozygote rats weighed less at 22 weeks than normal rats and 35 weeks And mangifera, showed that only high-fat diet showed weight loss in heterozygous rats. This shows the possibility of promotion of local browning by the mangiferin in the adult. There was also some weight loss in low-fat diets.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지방 조직 내의 지방줄기세포 집단으로부터 백색지방세포로의 분화는 억제하는 한편 베이지색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면 과잉영양으로부터 비롯된 잉여 에너지를 열 형태로 배출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본 발명자들은 만지페린이 지방줄기세포의 백색지방세포로의 분화는 억제하고 베이지색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혀내고, 이를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Based on the idea that suppression of differentiation from adipose stem cell population in adipose tissue to white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promotion of differentiation into beige adipocytes can release surplus energy resulting from excess nutrition into heat form,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upon confirming that it is effective to inhibit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stem cells into white adipocytes and to promote differentiation into beige adipocytes and to use them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방줄기세포 또는 지방전구세포의 증식 또는 분화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ne aspect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r differentiation of adipose stem cells or adipose precursor cells comprising at least one adipocyte.

상기 만지페린, 네오만지페린, 노라티리올은 각각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mangiferin, neomannipiperine and norathiaryol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general formula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상기 만지페린, 네오만지페린, 노라티리올은 일반적인 화학합성방법에 의해 합성되거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또는 자연계에서 재배 또는 채취한 천연물로부터 수득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97231호에 개시된 방법에 의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mangiferin, neomangiectin and norathiirol may be synthesized by a common chemical synthesis method, purchased commercially, or obtained from natural products cultivated or collected in the natural worl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may be one obtained by the method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97231.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란 투여되는 만지페린의 생물학적 활성과 물성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제형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로로아세트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살리신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 메탄설폰산, 에탄술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카르복실산 염에는, 리튬,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에 의해 형성된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라이신, 아르지닌, 구아니딘 등의 아미노산 염, 디시클로헥실아민, N-메틸-D-글루카민, 트리스(히드록시메틸)메틸아민, 디에탄올아민, 콜린 및 트리에틸아민 등과 같은 유기염 등이 포함된다.The term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 as used herein means a formulation that does not impair the biological activity and properties of the administered manipherin.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include those acids which form a non-toxic acid addition salt contain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nion such as inorganic acids such as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nitric acid, phosphoric acid, hydrobromic acid, hydroiodic acid and the like, Organic carboxylic acids such as formic acid, citric acid, acetic acid, trichloroacetic acid, trifluoroacetic acid, gluconic acid, benzoic acid, lactic acid, fumaric acid, maleic acid and salicinic acid, methanesulfonic acid, ethanesulfonic acid, benzenesulfonic acid, p- Sulfonic acid such as sulfonic acid, sulfonic acid, sulfonic acid, and the like. For examp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boxylic acid salts include metal salts or alkaline earth metal salts formed with lithium, sodium, potassium, calcium, magnesium and the like, amino acid salts such as lysine, arginine and guanidine, dicyclohexylamine, N Organic salts such as methyl-D-glucamine, tris (hydroxymethyl) methylamine, diethanolamine, choline and triethylamine,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지방줄기세포(adipose derived stem cell, ASC)"는 지방조직에 다량 분포하고 있는 성체줄기세포로, 지방조직에서 유래하는 지방줄기세포를 분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dipose derived stem cell (ASC)" is an adult stem cell having a large amount distributed in adipose tissue, and may be obtained by isolating adipose stem cells derived from adipose tissu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본 발명에서, "지방전구세포"는" adipose precursor cell, pre-adipocytes 및 adipose progenitor cell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lipid precursor cells"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adipose precursor cells, pre-adipocytes and adipose progenitor cells.

본 발명에서, "분화"는 초기 단계인 지방줄기세포 또는 지방전구세포가 각 조직으로서의 특성을 갖게 되는 과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의하여 지방줄기세포 또는 지방전구세포는 갈색 지방 또는 베이지색 지방으로 분화하며, 흰색 지방으로의 분화를 억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iation" is a process in which lipid stem cells or lipid precursor cells, which are in an early stage, have characteristics as respective tissues. By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pid stem cells or lipid precursor cells are classified into brown fat or beige fat And can inhibit the differentiation into white fat.

본 발명에서, "증식"은 분화와 상이한 과정으로, 지방줄기세포가 소아 및 청소년기에 세포 증식을 통해 그 숫자가 증가되면 성년이 된 후 이 지방줄기세포들이 지방세포로 분화하고 그 크기가 커져서 70% 이상이 비만과 성인병을 갖게 된다. 따라서, 소아 및 청소년기에 지방줄기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면 비만을 포함하는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proliferation" is a process different from that of differentiation. When the number of adipose stem cells is increased through cell proliferat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the adipose stem cells differentiate into adipocytes after adulthood, More than one percent will have obesity and adult disease. Therefore,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f adipose stem cell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can prevent adult diseases including obes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만지페린에 의한 인간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hAD-MSC) 세포증식 감소 효과는 일반적인 세포 독성에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며,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증식에 선택적으로 나타나는 활성임을 확인하였다(도 2).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duction effect of human lipi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AD-MSC) by mangifera is not caused by general cytotoxicity, but by the selective expression of adipocyt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Fig. 2).

만지페린은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접촉 억제와 유사하게 지방세포 분화 또한 촉진함을 확인하였다(도 3 및 도 4).Mangiferin inhibited proliferation of adipos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nd promo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similar to contact inhibition (FIGS. 3 and 4).

일 예로 상기 만지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각각 약학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mangiferin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1 to 100%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 (neomangiferin) 및 노라티리올 (norathyriol),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방 조직의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으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an adipose tissue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and norathriol,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 composition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into brown adipocytes or beige adipocytes.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방 조직의 백색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treating an adipose tissue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differentiation into a white adipocyte.

상기 만지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상기한 것과 같다.The above-mentioned mangiferi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서, "갈색 지방세포 (brown adipose tissue, BAT)"는 저체온증(hypothermia) 상황에서 열을 발생시켜 체온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에너지를 열로 소비하므로 갈색 지방이 많을수록 체중을 더 많이 줄일 수 있다. 갈색 지방세포는 흰색 지방세포에 비하여 비교적 많은 수의 미토콘드리아가 존재하며,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사이토크롬 색소에 의해 갈색을 갖게 된다. 갈색지방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막에는 UCP1(uncoupling protein 1) 단백질이 존재하며, UCP1은 미토콘드리아의 산화적 인산화 과정에서 형성되는 H+전기화학적 농도구배와 ATP 중합효소에 의한 ATP 합성 과정을 짝풀림(uncoupling)하여 화학적 에너지를 열(heat) 형태로 방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rown adipose tissue (BAT)" functions to maintain body temperature by generating heat in a hypothermia state and consumes energy as heat, so that the more brown fat, . Brown adipocytes hav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mitochondria compared to white adipocytes and are brown due to the cytochrome pigment present in the mitochondria. UCP1 (uncoupling protein 1) protein is present in the mitochondrial inner membrane of brown fat cells, and UCP1 is uncoupled from the H + electrochemical concentration gradient formed during the oxidative phosphorylation of mitochondria and the ATP synthesis by ATP polymerase It releases chemical energy in the form of heat.

상기 "흰색 지방세포 (white adipose tissue, WAT; 백색 지방세포)"는 잉여 에너지를 중성지방(triglycerides) 형태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지방을 의미한다. 따라서 흰색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할수록 비만 치료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term " white adipose tissue (WAT) "refers to a fat that functions to store surplus energy in the form of triglycerides. Therefore, it is known that the inhibition of differentiation into white adipocytes is more effective for treating obesity.

본 발명에서, "베이지 지방세포 (beige adipose tissue)"는 myf-5 계통에서 유래되는 갈색지방조직과는 달리 myf-5 계통에서 유래되지 않는 별개의 세포군으로, 온 자극이 없는 상황에서는 백색지방세포와 같이 UCP1을 거의 발현하지 않으나, 저온 자극이나 cyclic AMP 자극이 주어지면 UCP1 발현과 세포 호흡률을 갈색지방세포 수준으로 증가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beige adipose tissue" is a distinct cell group not derived from the myf-5 line, unlike the brown adipose tissue derived from the myf-5 line, , But UCP1 expression and cell respiration rate are increased to the level of brown adipocytes when low temperature stimulation or cyclic AMP stimulation is given.

청소년기 HIPK2 이형접합자 쥐에게 정상 쥐에 비교하여 고지방 식이를 섭취시킨 결과 정상쥐에서보다 이형접합자에서 몸무게가 적게 증가하였으며(도 9 및 도 10), 성체 쥐에서도 HIPK2 이형접합 쥐에서 만지페린에 의해 지방 갈색화가 촉진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11 및 도 12). In the adolescent HIPK2 heterozygote rats, the high fat diet compared to the normal rats resulted in a lower body weight in the heterozygotes than in the normal rats (Fig. 9 and Fig. 10) It was confirmed that browning was accelerated (Figs. 11 and 12).

일 예로 상기 만지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각각 약학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mangiferin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1 to 100%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체온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eventing or reducing hypothermia compris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rapeutic use is provided.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체온조절 또는 신체 에너지 대사 조절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egulating body temperature,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mammal,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regulating body energy metabolism is provided.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pid metabolism-related lipid metabolite compris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seases is provided.

상기 지질대사 관련 질환은 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만은 소아 비만, 청소년기 비만, 또는 성인 비만을 포함할 수 있다.Such lipid metabolism related diseases may include obesity. The obesity may include childhood obesity, adolescent obesity, or adult obesity.

또한, 상기 지질대사 관련 질환은 고셔병, 리만픽씨병, 파브리병, 쉰들러병, 라베병, 설파타아제결핍증, 파버병, 및 울만병을 포함하는 유전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lipid metabolism-related disease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inherited diseases including Gaucher's disease, Lehman's disease, Fabry disease, Schindler's disease, Raven's disease, sulfatase deficiency disease, Faber's disease, It is not.

또한, 상기 지질대사 관련 질환은 지방세포의 세포 수 과다, 세포 과다 증식 또는 세포 사멸 억제 등을 원인으로 하는 질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ipid metabolism-related disease may be a disease caused by hyperpolarization, hyperproliferative hyperproliferation or apoptosis of adipocytes.

상기 만지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상기한 것과 같다.The above-mentioned mangiferi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s as described above.

만지페린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불활성화된 p(Ser9)-GSK-3β이 감소함에 따라 GSK-3β 활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β-카테닌 인산화가 증가함에 의해 활성화된 비-포스포-β-카테닌(non-phospho-β-catenin) 단백질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만지페린은 GSK-3β를 저해함으로써 Wnt/β-카테닌 신호 경로의 활성을 높이며, 이는 만지페린이 비만 등 지질대사 관련 질환의 치료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In the cells treated with mangifera, GSK-3β activity was increased as the inactivated p (Ser9) -GSK-3β was decreased, and thus the non-phospho-β-catenin (non-phospho-beta-catenin) protein was decreased. Thus, mangiferin enhances the activity of the Wnt /? -Catenin signaling pathway by inhibiting GSK-3 ?, suggesting that mannipurein has a therapeutic effect on obesity-related lipid metabolism-related disease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만지페린을 개체에 투여하여 질병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prevention" may refer to any action that inhibits or delays the onset of a disease by administering the mangefer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individua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질병 발병 의심 개체에 투여하여 질병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treatment" may refer to any act which, b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uspected disease susceptible individual, may improve or improve symptoms of the disease.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일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고, 공인된 저체온증, 체온조절, 신체 에너지 대사 조절, 또는 지질대사 관련 질환 치료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ingle preparation and can be used as a combined preparation containing a drug known to have an effect of treating hypothermia, temperature control, body energy metabolism regulation, or lipid metabolism related disease, May be prepared in unit dose form or formulated into multi-dose containers by formulating them with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or excipi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may mean a carrier or diluent that does not disturb the biological activity and properties of the compound being injected, without irritating the organism. The type of the carrier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carrier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may be used. Non-limiting examples of the carrier include saline, sterilized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albumin injection solution, dextrose solution, maltodextrin solution, glycerol, ethanol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 carrier may comprise a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

또한, 필요한 경우 항산화제, 완충액 및/또는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희석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other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an antioxidant, a buffer and / or a bacteriostatic agent can be added and used. A diluent, a dispersant, a surfactant, a binder, a lubricant, Pills, capsules, granules or tablets,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만지페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0 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mangifera. The term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as used herein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 /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is generally in the range of 0.001 to 1000 mg / kg, preferably 0.05 To 200 mg / kg, more preferably 0.1 to 100 mg / kg,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to several times per day. For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ecific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for a particular patient will depend upon the nature and extent of the reaction to be achieved, the particular composition, including whether or not other agents are used, the age, weight, Sex and diet of the patient, the time of administrati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rate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the duration of the treatment, the drugs used or concurrently used with the specific composition, and simila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arts.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herapeutic agent, and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can be administered singly or multiply.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all of the above factors and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achieve the maximum effect in a minimal amount without causing side effects, and can be readi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The term "administering" as used herein refers to the introduction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atient by any suitable method, an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ral or parenteral May be administered via various routes.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The mode of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As a non-limiting example of such a mode of administration, the compositions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to various formulations according to the intended administration mode.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divided into several doses.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만지페린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체온증 또는 지질대사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eventing or treating hypothermia or a lipid metabolism-related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above-mentioned mangiferae to a subject.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저체온증 또는 지질대사 관련 질환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As used herein, the term "individual" may refer to any animal, including humans, who have or are at risk of developing hypothermia or lipid metabolism related diseases. The animal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mammal such as a cow, a horse, a sheep, a pig, a goat, a camel, a nutrient, a dog, a cat,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저체온증 또는 지질대사 관련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상기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ventive or therapeutic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pecifically include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to a subject suffering from or at risk of developing hypothermia or a lipid metabolism related disease.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The term "administering" as used herein refers to the introduction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atient by any suitable method, an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ral or parenteral May be administered via various routes.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및 노라티리올(norathyriol),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체온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eventing or reducing hypothermia compris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and norathriol,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here is provided a food composition for improvement.

저체온증(hypothermia)이란 중심체온(심부체온)이 35℃ 이하로 떨어진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저체온증은 인체의 열생산이 감소되거나 열소실이 증가될 때, 또는 두 가지가 복합적으로 발생할 때 초래되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갈색지방화를 촉진하여 저체온증 상황에서 열을 발생시켜 체온을 유지시킬 수 있다. Hypothermia can mean a state in which the central body temperature (deep body temperature) falls below 35 ° C. Since hypothermia is caused when the body's heat production is reduced, when heat loss is increased, or when the two occur in combinatio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brown localization to generate heat in the hypothermia state to maintain body temperature .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및 노라티리올(norathyriol),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체온조절 또는 신체 에너지 대사 조절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egulating body temperature comprising the administration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and norathiirol,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 food composition for regulating body energy metabolism is provided.

상기 체온조절이란 개체가 체온을 활동에 맞도록 최적 범위로 유지하는 조절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갈색지방화를 촉진하여 열을 발생시켜 체온을 유지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체온조절 작용을 할 수 있다.The body temperature control may mean a regulating action in which an individual maintains the body temperature in the optimal range to match the activity.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brown localization to generate heat to maintain body temperature, thereby effectively controlling body temperature.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및 노라티리올(norathyriol),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 비만, 식욕 억제, 또는 체지방 감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comprising an anti-obesity agent comprising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and norathiirol,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 food additive, an appetite suppressing agent, or a body fat reducing agent.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food composition may include a health functional food.

상기 만지페린, 네오만지페린, 노라티리올은 천연 물질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안정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상식할 수 있으면서도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 식욕 억제, 또는 체지방 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식품의 형태로 제조되어 섭취할 수 있다.Since the above-mentioned mangifera, neomangiectin and norathiirol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a natural substance and proved to be stable, they a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food which is common but can prevent or improve obesity, inhibit appetite, or reduce body fat It can be ingested.

건강기능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하는데, 상기 식품은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 식욕 억제, 또는 체지방 감소에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Functional food is the same term as 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It refers to foods that have been processed so that the biomechanical functions are efficiently displayed in addition to the nutritional supply. , The food may be prepared in various forms such as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rings and the like in order to obtain the effect of preventing or improving obesity, inhibiting appetite, or reducing body fat.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본 발명의 만지페린, 네오만지페린, 또는/및 노라티리올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별다른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각종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 식욕 억제, 또는 체지방 감소 효과에 방해가 되지 않는 다른 성분을 추가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약 추출물,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kind of the food to which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mangifera, neomangiopherin, and / or norathiiro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For example, various beverages, gums, tea, vitamins, . The food composition may be supplemented with other ingredients that do not interfere with the prevention or amelioration of obesity, an appetite suppression effect, or a body fat reduction effect, and the kind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various herbal medicine extracts, food-acceptable food-aid additives or natural carbohydrates, such as ordinary foods, may be added as an additional ingredient.

상기 식품보조첨가제는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그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ood-aid additive is added to produce a health functional food of each formulation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various kinds of nutrients, vitamins, minerals (electrolytes), flavors such as synthetic flavors and natural flavors, colorants and fillers,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ers, , A stabilizer, a preservative, a glycerin, an alcohol, a carbonating agent used in a carbonated drink, and the like, but the kind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xamples.

이때, 상기 식품에 포함되는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ent of the extract contained in the fo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0.01 to 100%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8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100㎖를 기준으로 1 내지 30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등의 미네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개량제 등의 식품 첨가물(food additives)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된다.When the food is a beverage, it may be contained in a proportion of 1 to 30 g, preferably 3 to 20 g based on 100 ml. In addition, the composition may contain additional ingredients which are commonly used in food compositions and which can improve odor, taste, vision and the like. For example, vitamins A, C, D, E, B1, B2, B6, B12, niacin, biotin, folate, panthotenic acid and the like. In addition, it may include minerals such as zinc (Zn), iron (Fe), calcium (Ca), chromium (Cr), magnesium (Mg), manganese (Mn) and copper (Cu) It may also include amino acids such as lysine, tryptophan, cysteine, valine, and the like.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tiseptics (such as potassium sorbate, sodium benzoate, salicylic acid, and sodium dehydroacetate), disinfectants (such as bleaching powder and highly bleached white powder, sodium hypochlorite), antioxidants (butylhydroxyanilide (BHA), butylhydroxytoluene BHT), etc.), coloring agents (such as tar pigments), coloring agents (such as sodium nitrite and sodium acetic acid), bleaching agents (sodium sulfite), seasoning (such as MSG sodium glutamate), sweeteners (such as hypoglycemia, , Food additives such as flavorings (vanillin, lactones, etc.), swelling agents (alum, potassium hydrogen D-tartrate), emulsifiers, emulsifiers, thickeners, encapsulating agents, gum bases, foam inhibitors, ) Can be added. The additiv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and used in an appropriate amount.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The health functional fo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can be prepared by adding raw materials and ingredients which are conventionally added in the art. Also, unlike general medici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side effect that can occur when a medicine is used for a long time by using food as a raw material, and it is excellent in portability.

상기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may be used in the same sense as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HIPK2+/- 이형형질전환 쥐는 고지방 식이에의한 비만에는 정상쥐와 큰 차이가 없으나 우리가 만지페린을 경구투여한 경우 비만 정도가 감소하였다. 이는 만지페린이 고지방 식이에 의한 성체의 지방조직 형성에서 갈색 지방 분화를 촉진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고지방 식이 성체 쥐에 만지페린을 투여한 경우보다 청소년기인 생후 8주된 고지방 식이 쥐에 투여한 경우 비만 증가 정도가 크게 차이를 보였다. 이는 고지방 식이에 의한 지방 형성에서 만지페린이 지방줄기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청소년기 비만을 크게 억제함을 보여준다.HIPK2 +/- heterozygous transgenic mi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ormal rats in obesity induced by high fat diet, but the degree of obesity was decreased when we administered mangifera. This suggests that mangeferrin may promote brown fat differentiation in the adipose tissue formation of adult by high fat diet. In addition, the increase in obes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high-fat diabetic rats fed 8-week-old high-fat diet rats, This suggests that mangiferin inhibits proliferation of adipose stem cells in adipose tissue by high - fat diets, thus greatly suppressing adolescent obesity.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및 노라티리올(norathyriol),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 비만, 식욕 억제, 또는 체지방 감소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comprising an anti-obesity agent comprising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and norathiirol,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 food composition for reducing appetite, or for reducing body fat.

상기 사료용 조성물은 사료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The feed composition may include a feed additive. The feed addi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an auxiliary feed in the feed control method.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feed" as used herein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any natural or artificial diet, single meal, or the like ingredients for feeding, ingesting, digesting or suitable for the animal.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kind of the fe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eeds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can be used. Non-limiting examples of such feeds include vegetable feeds such as cereals, muscle roots, food processing busines logistics, algae, fibers, pharmaceutical buses, oils, fats, pastes or grain by-products; Animal feeds such as proteins, inorganic substances, fats, oils, fats, oils, monocellular proteins, animal plankton or foods.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항 비만, 식욕 억제, 또는 체지방 감소를 위한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quasi-compositions for anti-obesity, appetite suppression, or body fat reduction.

본 발명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을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하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형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term "quasi-drug"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fiber, a rubber product or the like used for treating,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a disease of a human or an animal, Or products similar to those that are not machinery, preparations used for sterilization, insecticides and similar uses for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treating,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diseases of human beings or animals Means an article, except machinery, machinery or equipment, of the commodity used, and not used for the purpose of giving pharmacological effects to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s or animals; The quasi-drug may also include external preparations for skin and personal hygiene products. But is not limited to, a disinfectant cleaner, a shower foam, a guarine, a wet tissue, a detergent soap, a hand wash, or an ointmen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 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quasi-drug additive, the composition may be added as it is or may be used together with other quasi-drugs or quasi-drugs, and may be suitab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h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to be mixed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하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 재료의 준비Example 1. Preparation of materials

둘베코 수정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a)-F12배지, Ca+2/Mg+2-프리 HBSS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트립신-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이차 항체들 그리고 L-글루타민은 인비트로젠(칼스바트, CA, USA)에서 구매했다. 일차항체들은 Abcam(케임브리지, UK), Chemicon (빌러리카, MA, USA) 그리고 Serotec (키들링턴, UK)에서 구매했다. 이차항체들은 잭슨(웨스트 그로브, PA, USA)에서 구매했다. poly-L-ornithine, 인슐린, 파이브로넥틴, 4-(2-하이드록시에틸기)-I-피페라진에탄설포닉산 (piperazineethanesulf -onic acid), 페놀 레드, 면역 침전 분석법 완충제, 인산완충식염수 (PBS), 포스파타아제 억제자 혼합제, 단백질 분해 효소 억제자 혼합체, 다이메틸설폭시화물, 파라포름알데히드(PFA) 그리고 트윈 80은 시그마(세인트루이스, MO, USA)에서 구매했다.Dulbecco's modified eagle media-F12 medium, Ca + 2 / Mg + 2-free HBSS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trypsin-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secondary antibodies and L- glutamine, (Carlsbad, CA, USA). Primary antibodies were purchased from Abcam (Cambridge, UK), Chemicon (Billerica, MA, USA) and Serotec (Kiddlinton, UK). Secondary antibodies were purchased from Jackson (West Grove, PA, USA). Piperazineethanesulfonic acid, phenol red, immunoprecipitation assay buffer,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poly-L-ornithine, insulin, fibronectin, 4- (2-hydroxyethyl) , A phosphatase inhibitor mixture, a protease inhibitor mixture, dimethyl sulfoxide, paraformaldehyde (PFA) and Tween 80 were purchased from Sigma (St. Louis, MO, USA).

만지페린(순도 95% 이상)은 Kangsik JUNG 등이 논문 Biol. Pharm. Bull. 32(2) 242-46, 2009)에서 기재한 것과 같이 지모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순수분리하여 얻었다. 모든 다른 재료는 표준 상업적 출처로부터 얻었다.Mangiferin (purity 95% or more) is reported by Kangsik JUNG et al. Pharm. Bull. 32 (2) 242-46, 2009). ≪ tb > < TABLE > All other materials were obtained from standard commercial sources.

실시예 2. 인간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hAD-MSC)의 분리 및 배양Example 2 Isolation and Culture of Human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AD-MSC)

인간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는 건강한 성인으로부터 채취된 지방조직을 콜라젠분해효소 I(collagenase I)을 30분 동안 37에서 처리하고, 셀 스트레이너로 거른 후, 1,5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10% 열 불활성화된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로 5% CO2, 37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생존한 세포에 2.5% 트립신-EDTA(ethylenediaminetetra acetic acid)을 처리하여 세포를 떼어내어 2 mM Glutamax가 첨가된 Mesen PRO 배지로 5% CO2, 37 조건에서 배양하였다(일차 배양).The human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were treated with collagenase I for 30 minutes at 37 ° C, filtered through a cell strainer, and centrifuged at 1,500 rpm for 10 minutes to obtain 10% heat And cultured in DMEM medium supplemented with inactivated FBS at 5% CO 2 and 37. The surviving cells were treated with 2.5% trypsin-EDTA to remove the cells and cultured in Mesen PRO medium supplemented with 2 mM glutamax (5% CO 2 , 37) (primary culture).

실시예 3.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증식에 대한 만지페린의 효과 분석Example 3: Effect of mangifera on the proliferation of adipos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실시예 2에서 일차 배양한 인간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35mm 배양기에 2x104세포로 심었다. DMEM을 기본 배지로 하여 10% FBS, 2 mM glutamax, 5 μg/μl gentamicin, 10 ng/ml EGF를 첨가한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만지페린의 인간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증식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만지페린을 0.01, 0.1, 1, 10, 50, 100 μM 농도로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6일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1ml의 새로운 배양액으로 교체한 다음 100 μl MTT 용액을 첨가하였다. 5% CO2, 37 조건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배양액을 모두 제거하였다. 생성된 포르마잔(formazan) 결정을 2ml DMSO(Dimethyl sulfoxide)을 넣어 녹여준 후, 550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In Example 2, the primary cultured human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were planted in 2x10 4 cells in a 35 mm incubator. DMEM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BS, 2 mM glutamax, 5 μg / μl gentamicin, and 10 ng / ml EGF was used. To confirm the effect of mangifera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adipos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mangifera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at concentrations of 0.01, 0.1, 1, 10, 50, and 100 μM. After 6 days of incubation, the culture was replaced with 1 ml of fresh culture medium and 100 μl MTT solution was added. After incubation for 4 hours at 37 ° C in 5% CO2, the culture medium was removed. The resulting formazan crystals were dissolved in 2 ml of DMSO (dimethyl sulfoxide), and the absorbance at 550 nm was measured.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 만지페린을 농도 별로 처리한 경우, 세포증식은 만지페린에 대하여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도 1). 세포증식 감소 효과는 만지페린 1 μM 농도에서부터 관찰되었으며 대조군에 비교하여 6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50 μM 그리고 100 μM 농도에서는 세포증식 감소 효과가 거의 포화되었으며 대조군에 비교하여 50%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When adipocyte mesenchymal stem cells were treated with mangifera, the cell proliferation was reduc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FIG. 1). The cell proliferative effect was observed at a concentration of 1 μM of mangiferin and decreased to 63% of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50 μM and 100 μM concentrations, the cell proliferative effect was almost saturated and decreased to 50% of that of the control group.

만지페린의 세포증식 억제효과의 세포 선택성을 조사하기 위해 3T3-L1 지방세포와 자궁암세포인 HeLa 세포의 세포증식에 대한 만지페린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도 2). 만지페린을 사용한 농도 중 가장 높은 농도인 100 μM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서도 3T3-L1과 HeLa 세포의 세포증식은 대조군에 비교하여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o investigate the cell selectivity of the inhibitory effect of mangifera on cell proliferation, the effect of mangifera on cell proliferation of 3T3-L1 adipocytes and HeLa cells as uterine cancer cells was investigated (Fig. 2). The cell proliferation of 3T3-L1 and HeLa cells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even when treated with 100 μM of mangifera as the highest concentration.

따라서 만지페린에 의한 hAD-MSC 세포증식 감소 효과는 일반적인 세포 독성에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며,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증식에 선택적으로 나타나는 활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hansenferin-induced reduction of hAD-MSC cell proliferation is not caused by general cytotoxicity, but is an activity selectively appearing in adipos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proliferation.

실시예 4.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adipogenesis)에 대한 만지페린의 효과 분석Example 4. Effect of Manipiperin on adipogenesis of adipos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기본 배지에서 세포를 1일 동안 배양한 후, 기본 배지에 1μM dexamethasone, 0.5mM isobutylmethylxanthine, 0.2mM indomethacin, 10μM human insulin을 첨가한 분화유도배지로 교체해 준 다음, 총 14일간 5% CO2, 37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분화유도배지는 3일마다 교체하였다. Cells were cultured for 1 day in the basal medium and then replaced with differentiation induction medium supplemented with 1 μM dexamethasone, 0.5 mM isobutylmethylxanthine, 0.2 mM indomethacin, and 10 μM human insulin in the basic medium. Lt; / RTI > Differentiation induction medium was replaced every 3 days.

이후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에 대한 만지페린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50μM 또는 100 μM 만지페린을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세포는 22mm 배양기에 0.4x105개, 0.8x105개, 1.6x105개의 밀도로 심어 사용하였다. 배양 14일 후, Oil Red O으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염색된 지방 방울을 이소프로파놀(isopropanol)로 녹인 후,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Then, 50 μM or 100 μM mannipherin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to analyze the effect of mangifera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of adipos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Cells were seeded at a density of 0.4x10 5 , 0.8x10 5 , and 1.6x10 5 in a 22 mm incubator. After 14 days of culture, the cells were stained with Oil Red O and observed. The stained fat droplets were dissolved in isopropanol and absorbance was measured at 490 nm.

세 가지 밀도로 배양된 모든 경우에서 만지페린을 처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Oil Red O 염색이 15% 내지 40% 증가하여, 지방세포 분화가 효과적으로 촉진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3 및 도 4). 중간엽 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기 위해서는 접촉 억제(contact inhibition)에 의해 세포주기의 진행이 멈춘 후 분화자극이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만지페린은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접촉 억제와 유사하게 지방세포 분화 또한 촉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ll cases cultured at three densities,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mangiferin showed 15% to 40% increase in Oil Red O stain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by confirming that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effectively promoted (FIGS. 3 and 4). In order for mesenchymal stem cells to differentiate into adipocytes, differentiation stimuli must be provided after cell cycle progression is stopped by contact inhibition. As shown in Example 3 above, it was confirmed that mangiferae inhibited proliferation of adipos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nd promo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similar to contact inhibition.

실시예 5.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Wnt 신호 전달에 대한 만지페린의 효과 분석Example 5. Effect of Manipiperin on Wnt signaling in adipos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실시예 2에서 일차 배양한 인간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60mm 배양기에 6x104 세포로 심었다. 만지페린은 0, 50, 100 μM 농도로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3일 또는 6일 동안 배양한 후, RIPA 완충 용액으로 용해하여 세포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브래드퍼드 단백질 분석법으로 단백질을 정량 분석하여 동량의 단백질을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정기영동으로 전개하여 분리하였다.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오스 막으로 옮긴 후, 면역 블로팅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차항체는 pan-GSK-3β, p(Ser9)-GSK-3β, pan-β-catenin, non-phospho-β-catenin 항체를 사용하였다. pan-GSK-3β 항체는 모든 GSK-3β 단백질을 인식하며, p(Ser9)-GSK-3β 항체는 불활성화된 GSK-3β 단백질만을 인식한다. pan-β-catenin 항체는 모든 β-catenin 단백질을 인식하며, non-phospho-β-catenin 항체는 활성화된 β-catenin 단백질만을 인식한다.Embodiment planted primary culture of human adipos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n Example 2 to 6x10 4 cells in 60mm culture medium. Mangiferin was added to the culture at concentrations of 0, 50 and 100 μM. After culturing for 3 or 6 days, the cell extract was obtained by dissolving in RIPA buffer solution. Protein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by Bradford protein analysis, and the same amount of proteins were separated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roteins were transferred to nitrocellulose membrane and immunoblott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Pan-GSK-3β, p (Ser9) -GSK-3β, pan-β-catenin and non-phospho-β-catenin antibodies were used as primary antibodies. The pan-GSK-3β antibody recognizes all GSK-3β proteins and the p (Ser9) -GSK-3β antibody recognizes only the inactivated GSK-3β protein. The pan-β-catenin antibody recognizes all β-catenin proteins and the non-phospho-β-catenin antibody recognizes only the activated β-catenin protein.

GSK-3β 단백질은 β-catenin을 인산화하여 궁극적으로 세포로부터 β-catenin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만지페린을 50 μM과 100 μM 농도로 처리한 세포에서는 대조군에 비교하여 p(Ser9)-GSK-3β 단백질량이 감소하였다 (도 5 및 도 6). 처리해준 만지페린의 농도가 높을수록 더 큰 폭의 감소를 보였으며, 3일 동안 처리한 세포보다 6일 동안 처리한 세포에서 p(Ser9)-GSK-3β 단백질량이 더 많이 감소하였다. 또한 만지페린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non-phospho-β-catenin 단백질량이 감소하였다. 처리해준 만지페린의 농도가 높을수록 더 큰 폭의 감소를 보였으며, 3일 동안 처리한 세포보다 6일 동안 처리한 세포에서 non-phospho-β-catenin 단백질량이 더 많이 감소하여, 변화양상이 GSK-3β 단백질에서의 변화와 상응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GSK-3β protein phosphorylates β-catenin and ultimately removes β-catenin from cells. Cells treated with mangifera at a concentration of 50 [mu] M and 100 [mu] M decreased the amount of p (Ser9) -GSK-3 [beta] protei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ig. 5 and Fig. 6).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mangiferae treated, the greater the decrease in p (Ser9) -GSK-3β protein in the cells treated for 6 days than in the cells treated for 3 days. In addition, the amount of non-phospho-β-catenin protein decreased in the mangifera treated cell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concentration of non-phospho-β-catenin was decreased in the cells treated for 6 days compared to the cells treated for 3 days, -3 < / RTI > protein.

즉, 만지페린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불활성화된 p(Ser9)-GSK-3β이 감소함에 따라 GSK-3β 활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β-catenin 인산화가 증가함에 의해 활성화된 non-phospho-β-catenin 단백질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That is, in the cells treated with mangifera, the GSK-3β activity was increased as the inactivated p (Ser9) -GSK-3β was decreased, and thus the non-phospho-β- catenin protein was decreased.

별개로 획득된 인간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만지페린에 의한 세포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3T3-L1 세포와 HeLa 세포에서는 p(Ser9)-GSK-3과 non-phospho-β-catenin 단백질량이 만지페린을 처리한 실험군과 대조군과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separately obtained human adipose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n the 3T3-L1 cells and HeLa cells without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by mangifera, the amount of p (Ser9) -GSK-3 and non-phospho-β-catenin protei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mangepiperine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결과적으로, 만지페린은 GSK-3β를 저해함으로써 Wnt/β-카테닌 신호 경로의 활성을 높이며, 이는 만지페린이 비만 등 지질대사 관련 질환의 치료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As a result, mangiferin enhances the activity of the Wnt /? -Catenin signaling pathway by inhibiting GSK-3 ?, suggesting that mannipurein has a therapeutic effect on obesity-related lipid metabolism-related diseases.

실시예 6. 고지방식이 쥐 모델 제작 및 만지페린 투여Example 6. Preparation of a mouse model of a high fat diet and administration of manzipherin

(1) 동물의 준비(1) Preparation of animals

수컷 실험용쥐(30g)와 고지방식이 사료는 오리엔트 동물 사육센터(찰스리버래보래토리즈의 분점, 경기도, 한국)에서 구입했다. 쥐는 적어도 일주일의 적응기간 동안 한 케이지당 4마리 또는 5마리를 보관하였으며 물과 음식(ad libitum)이 공급되고 일정한 온도(20-23±1), 습도(60±10%) 및 주/야(12h/12h) 주기 방식(빛 07:00-19:00시)조건을 유지되도록 했다. 비만 쥐는 사회적 스트레스를 피하기 위해 한 케이지 당 2마리 또는 3마리로 나눠서 보관하였다. 모든 실험들은 NIH와 경희대학교 동물 관리와 사용 가이드라인을 따랐다. Male rats (30 g) and high-fat diet were purchased from the Orient Animal Breeding Center (Branch of Charles River Laboratories, Gyeonggi-do, Korea). Rats were housed four or five per cage during at least one week of acclimation and were fed with water and food (ad libitum) and maintained at constant temperature (20-23 ± 1), humidity (60 ± 10% 12h / 12h) cycle method (light 07: 00-19: 00 o'clock) condition was maintained. Obese rats were divided into two or three cages per cage to avoid social stress. All experiments followed NIH and Kyung Hee University animal care and use guidelines.

(3) 만지페린의 경구투여(3) oral administration of mangepiperine

대조군 그룹에는 담체(10% DMSO)을, 만지페린 그룹에는 20mg/kg 으로 DMSO에 녹인 만지페린을 경구투여하였다. 담체 또는 만지페린 그룹은 하루에 1 ml을 한번씩 구강 주입 바늘(구강 존데 바늘, 5cm)을 사용해 삽관하여 위로 직접 주입되도록 구강 투여하였고 구토 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The control group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the carrier (10% DMSO) and the mangifera group dissolved in DMSO at 20 mg / kg in the manipherin group. Carriers or mangepirin groups were orally administered to the upper part of the mouth by using an oral injection needle (oral zodiac needle, 5 cm) once daily for 1 ml, and no vomiting reaction was observed.

(3) 청소년기 동물에 고지방식이 투여(3) Adolescent animals are given high-fat diet

청소년기에 고지방식이를 시작하고 만지페린을 투여했을 때 지방줄기세포의 증식 감소로 인한 동물의 몸무게 변화와 갈색 지방 분화를 조사하기 위해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8주된 동물에게 고지방식이를 시작하고 매주 2번 몸무게와 사료 섭취량을 측정하였다. 10주부터 28주까지 18주간 만지페린을 경구투여하였다. 만지페린 투여(HFD-MGF, N=5)후 바로 saline-DMSO vehicle과 비교하여 몸무게가 차이나기 시작한 후 28주까지 몸무게 차이는 더 커지지 않고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이는 청소년기에 증식한 지방줄기세포 숫자가 성년까지 계속 유지되어 몸무게가 계속 일정하게 차이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7). 섭식량은 고지방 사료의 경우 저지방 사료에 비교하여 섭취량이 적으나 비교적 일정하였다(도 8).To investigate animal weight changes and brown fat differentiation due to decreased proliferation of adipose stem cells when mugipherin was administered at the beginning of adolescence, high-fat diet was started for 8-week-old adolescents, Weighed and feed intake. From 10 to 28 weeks, manganese perine was orally administered for 18 weeks. Compared to the saline-DMSO vehicle immediately after the administration of mangifera (HFD-MGF, N = 5), the difference in body weight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until 28 weeks after the start of weight difference. This suggests that the number of adipose stem cells proliferated in adolescence continues to be maintained until adulthood, and the weight is constantly different (Fig. 7). Feed intake was relatively constant in the case of high fat diets compared to low fat diets (Fig. 8).

실시예 7. 갈색 지방 발생을 조절하는 HIPK2 형질전환 쥐 연구Example 7. Study of HIPK2 Transgenic Rats Regulating Brown Fertilization

(1) 동물의 준비(1) Preparation of animals

암컷 실험용쥐(18g)와 고지방식이 사료는 오리엔트 동물 사육센터 (찰스리버래보래토리즈의 분점, 경기도, 한국)에서 구입했다. 쥐는 적어도 일주일의 적응기간 동안 한 케이지당 4마리 또는 5마리를 보관하였으며 물과 음식(ad libitum)이 공급되고 일정한 온도(20-23±1), 습도(60±10%) 및 주/야(12h/12h) 주기 방식(빛 07:00-19:00시)조건을 유지되도록 했다. 비만 쥐는 사회적 스트레스를 피하기 위해 한 케이지 당 2마리 또는 3마리로 나눠서 보관하였다. 모든 실험들은 NIH와 경희대학교 동물 관리와 사용 가이드라인을 따랐다. Female experimental rats (18 g) and high-fat diet were purchased from the Orient Animal Breeding Center (Branch of Charles River Laboratories, Gyeonggi-do, Korea). Rats were housed four or five per cage during at least one week of acclimation and were fed with water and food (ad libitum) and maintained at constant temperature (20-23 ± 1), humidity (60 ± 10% 12h / 12h) cycle method (light 07: 00-19: 00 o'clock) condition was maintained. Obese rats were divided into two or three cages per cage to avoid social stress. All experiments followed NIH and Kyung Hee University animal care and use guidelines.

(2) HIPK2 유전자제거 형질전환 쥐에 고지방식이 투여(2) HIPK2 Gene Elimination Transgenic mice were treated with high fat diet

HIPK2 유전자제거 형질전환 쥐는 동형접합자쥐의 경우 흰색 지방이 감소하고 지방의 갈색화가 일어나고 이형접합자 경우 암컷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형접합자 쥐를 이용하여 만지페린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먼저 이 실험에서는 8주 어린 청소년기 이형접합자 쥐에게 정상 쥐에 비교하여 고지방 식이를 섭취시킨 결과 정상쥐에서보다 이형접합자에서 몸무게가 적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저지방 식이의 경우 이형접합자 쥐와 정상 쥐 몸무게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도 9). 그러나 섭식량은 거의 유사하였다 (도 10).HIPK2 gene deletion transgenic mice were reported to have a decrease in white fat and brown coloration in homozygous rats and slight differences in females in heterozygot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ngifera on heterozygous rats, we firstly showed that adolescent dysplastic zygote rats weighing less than those in normal rats were more likely to be fed high fat diets compared to normal rats. However, in the low fat diet,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weight of the heterozygous and normal mice (Fig. 9). However, the feeding amount was almost similar (Fig. 10).

(3) 성체 HIPK2 이형접합자 쥐에 고지방식이 투여 (3) Administration of high-fat diet to adult HIPK2 heterozygous rats

성체 쥐에서 만지페린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18주에서 34주까지 고지방식이를 섭취하게 하고 몸무게를 조사한 결과 HIPK2 이형접합자 쥐 경우 정상 쥐보다 22주부터 몸무게가 적게 증가하였고 저지방식이의 경우에도 정상쥐보다 몸무게가 늘지 않고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35주부터 만지페린을 투여한 결과 고지방식이 이형접합쥐에서만 몸무게 감소가 보였다. 이는 HIPK2 이형접합 쥐에서 만지페린에 의해 지방 갈색화가 촉진된 것으로 보인다. 저지방 식이 동물에서는 정상쥐에서도 약간의 몸무게 감소하였다 (도 11 및 도 12).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angiferin on adult rats, high - fat diets were fed from 18 to 34 weeks of age. The body weights of HIPK2 heterozygote rats were lower than those of normal rats at 22 weeks of age. The weight did not increase but remained almost constant. At 35 weeks of treatment with mangifera, weight loss was observed only in heterozygous rats.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accelerated lipid brownening by mangiferaine in HIPK2 heterozygous rats. In low-fat diets, some weight loss was also observed in normal rats (Figs. 11 and 12).

이러한 실험 결과로 볼 때 만지페린에 의한 지방감소 효과는 청소년기 쥐에서 지방 증식 감소에 의해 지방감소가 크게 나타나고 성체에서는 지방 갈색화에 의해 다소 감소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ipid - lowering effect of mangiferin is significantly reduced by adipocyte reduction in adolescents and decreased by fatty brownening in adults.

본 발명에 따른 만지페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종 저체온증, 지방 증식 및 지방대사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The composition comprising mangepiper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prevention, improvement and treatment of various hypothermia, lipoprotein and lipid metabolism-related diseases.

Claims (11)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방줄기세포 또는 지방전구세포의 증식 또는 분화 억제용 조성물.Proliferation or proliferation of adipose stem cells or adipose precursor cells compris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or Composition for inhibiting differentiation.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방 조직의 갈색 지방세포 또는 베이지 지방세포으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Brown fat cells or beige fat cells of adipose tissue compris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Wherein the composition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into a plant is a plant.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방 조직의 백색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용 조성물.For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se tissue into white adipocytes compris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Composition.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체온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ypothermia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체온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hypothermia compris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체온조절 또는 신체 에너지 대사 조절용 약학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controlling body temperature or controlling body energy metabolism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체온조절 또는 신체 에너지 대사 조절용 식품 조성물.A food composition for regulating body temperature or regulating body energy metabolism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lipid metabolism-related diseases compris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Composi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대사 관련 질환은 비만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9.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lipid metabolism-related disease comprises obesit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만은 소아 비만, 청소년기 비만, 또는 성인 비만인 것인, 약학 조성물.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said obesity is childhood obesity, adolescent obesity, or adult obesity.
만지페린(mangiferin), 네오만지페린(neomangiferin), 노라티리올(norathyriol), 및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 비만, 식욕 억제, 또는 체지방 감소용 식품 조성물.An anti-obesity, an appetite suppressant, or a body fat reducing agent, which comprises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ngiferin, neomangiferin, norathriol,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ood composition.
KR1020177027126A 2015-04-21 2015-04-21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proliferation of adipose stem cells and for promoting browning of adipose tissue KR2017012916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3988 WO2016171291A1 (en) 2015-04-21 2015-04-21 Composition for suppressing proliferation of adipose stem cells and promoting browning of adipose tiss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164A true KR20170129164A (en) 2017-11-24

Family

ID=57143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126A KR20170129164A (en) 2015-04-21 2015-04-21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proliferation of adipose stem cells and for promoting browning of adipose tissu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29164A (en)
WO (1) WO2016171291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2330A (en) * 2022-02-22 2022-05-27 张俊杰 Cryopreservation method of dental pulp mesenchymal stem cel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02047B (en) * 2018-07-06 2020-08-21 大江生醫股份有限公司 Use of mango extracts and bioactive ingredients obtained therefrom for reducing fat accumulation and oxidative damage in liv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0696A (en) * 2012-09-27 2013-02-13 戴好富 Application of mangiferin compound or mango extraction as pancreatic lipase inhibitor and to preparation of medicament or fo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308B1 (en) * 2012-08-17 2014-12-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Composition containing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extracts, fractions thereof or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oliti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0696A (en) * 2012-09-27 2013-02-13 戴好富 Application of mangiferin compound or mango extraction as pancreatic lipase inhibitor and to preparation of medicament or fo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

Non-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abetes, 63, 3626?3636, 2014. *
Diabetes, 63, 3626-3636, 2014. *
Diabetologica, 57(10), 2145-2154, 2014. *
Diabetologica, 57, 2145-2154, 2014. *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25(11), 218-228, 2015. 2. 7. *
Journal of Food Biochemistry, 39, 28-38, 2014. 12. 2. *
Mol. Nutr. Food Res., 55, 1809-1818, 2011. *
PLOS ONE, 9(3), e90137, 2014. *
PLOS ONE, 9(3), e90137/1-11, 201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2330A (en) * 2022-02-22 2022-05-27 张俊杰 Cryopreservation method of dental pulp mesenchymal stem c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1291A1 (en)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0284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treat or prevent metabolic fatigue using at the compound oleuropein or a metabolite thereof
TWI407963B (en) Contains the composition of riboflavin and sesamin
JP6218870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liver disease or insulin resistance comprising ginsenoside F2
CN101562993A (en) Dietary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carnosol and/or rosmanol and their uses
KR20170129164A (en) A composition for inhibiting proliferation of adipose stem cells and for promoting browning of adipose tissue
US20070042056A1 (en) Anti-stress agent
JP6735224B2 (en) Activator of glucose metabolism in astrocytes
JP2016065041A (en) Hepatic disease prevention or treatment application of ginsenoside f2
US20210386822A1 (en) Anticanc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if1 as active ingredient
KR20170051756A (en) Sleep improvement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ation product of rice germ extract
KR102072471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a neurodegenerative disease comprising extract or fraction of Aster koraiensis Nakai
CN101541193A (en) Dietary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 sage extract containing a mixture of tricyclic diterpenes and their derivatives and their uses
KR102279034B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logical diseases comprising zinc and NAC
KR20130122589A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punica granatum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tress diseases
TW202239401A (en) Uses of 3-n-butylphthalide in promoting fat browning and preventing or treating fatty liver and liver diseases related thereto
KR102205054B1 (en) Compositions for promoting neurogenesis including zinc and NAC
KR101971800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 cancer comprising achyranthes aspera and melandryum firmum rohrb
US20230390263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nicotinamide and vitamin b6 and methods of using such compositions for treating cachexia or precachexia
US20230390264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nicotinamide and vitamin b6 and methods of using such compositions for promoting muscle growth
US11464824B2 (en) Peptide capable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US20230398104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nicotinamide and vitamin b6 and methods of using such compositions for rehabilitation
US20230255238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at least one of oleuropein or a metabolite thereof to treat or prevent muscle fatigue from exercise and/or for resistance to muscle fatigue from exercise
KR101990054B1 (en) Anti-cancer Composition Comprising Lawsone
WO202321378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at least one of oleuropein or a metabolite thereof to treat or prevent muscle fatigue from exercise and/or for resistance to muscle fatigue from exercise
WO2017130638A1 (en) Agent for activating astrocyte glucose metabol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