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9113A - 무기 섬유 성형체, 배기 가스 세정 장치용 매트 및 배기 가스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무기 섬유 성형체, 배기 가스 세정 장치용 매트 및 배기 가스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9113A
KR20170129113A KR1020177023619A KR20177023619A KR20170129113A KR 20170129113 A KR20170129113 A KR 20170129113A KR 1020177023619 A KR1020177023619 A KR 1020177023619A KR 20177023619 A KR20177023619 A KR 20177023619A KR 20170129113 A KR20170129113 A KR 20170129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inorganic fiber
fiber formed
dense
t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3883B1 (ko
Inventor
도시히로 와카마츠
도모유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29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39Arrangements for mounting catalyst support in housing, e.g.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3/2853Arrangements for mounting catalyst support in housing, e.g.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using mats or gaskets between catalyst body and hous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02Preparation of spinning solu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4/00Spinnerette packs; Cleaning thereof
    • D01D4/02Spinnerettes
    • D01D4/025Melt-blowing or solution-blowing d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4Dry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7/00Collecting the newly-spun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by decomposition of organic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02Inorganic fibres based on oxides or oxide ceramics, e.g. silicates
    • D10B2101/08Ceram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층간 박리 강도가 높고, 게다가 면압도 높은 무기 섬유 성형체와, 이 무기 섬유 성형체를 사용한 배기 가스 세정 장치용 매트 및 배기 가스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무기 섬유의 매트상 집합체로 구성되고, 해당 매트상 집합체의 두께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니들흔 A, B를 갖는 무기 섬유 성형체(1). 복수의 니들흔 A가 밀집된 밀집부(2)가 산개되어 형성되어 있다. 해당 밀집부(2)를 통과하는 매트면 방향의 임의의 제1 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모두에 있어서, 밀집부(2)끼리의 사이에 비밀집부(4)가 존재한다. 니들흔 B는 니들흔 A보다도 소직경이다.

Description

무기 섬유 성형체, 배기 가스 세정 장치용 매트 및 배기 가스 세정 장치
본 발명은 니들링된 무기 섬유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무기 섬유 성형체로 구성된 배기 가스 세정용 매트, 즉 배기 가스 세정 장치의 촉매 담지체의 파지재 및 이 배기 가스 세정 장치용 매트를 구비한 배기 가스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라믹 파이버로 대표되는 무기 섬유의 성형체는, 공업용 단열재, 내화재, 패킹재 등의 고온의 상태에 폭로되는 용도에 사용되어 왔지만, 근년에는 자동차용 배기 가스 세정 장치용의 쿠션재(촉매 파지재), 즉 촉매 담지체를 금속 케이싱에 수용할 때에 촉매 담지체에 권회되고, 촉매 담지체와 금속 케이싱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배기 가스 세정용 매트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기 섬유 성형체에는, 예를 들어 단열재로서 가공할 때, 또는 자동차용의 촉매 파지재(매트)로 가공할 때, 그의 두께나 면 밀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니들을 뽑고 찌르는 니들링 처리(니들 펀치 처리)가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니들링 처리된 매트에는 니들을 뽑고 찌른 흔적(니들흔)이 생긴다.
무기 섬유 성형체의 표면의 단위 면적당 니들흔의 수(니들흔 밀도)에 대하여, 특허문헌 1, 2에는 100 내지 5000개/100㎠(1 내지 5개/㎠)로 기재되고, 특허문헌 3에는 2 내지 20개/㎠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니들흔 밀도는 50 내지 250개/㎠가 바람직하다고 기재되어 있다.
무기 섬유 성형체 표면에는, 니들흔은 표면 전체에 걸쳐 대략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특허문헌 4의 도 1에는 니들흔이 이어지는 니들흔 열을 평행하게 배열한 무기 섬유 성형체가 도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7-127112 일본 특허 공개 2007-268514 일본 특허 공개 2008-201125 일본 특허 공개 2011-99182
상술한 바와 같이, 무기 섬유 성형체에 니들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무기 섬유 성형체의 두께나 면 밀도가 제어된다. 또한, 니들링 처리에 의해, 무기 섬유 성형체의 반발성이나 층간 박리 강도도 제어된다.
촉매 컨버터 내의 파지재 등에 사용되는 무기 섬유 성형체는, 층간 박리 강도가 높고, 게다가 반발성(면압)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니들링 처리된 무기 섬유 성형체에 있어서는, 니들흔 밀도가 클수록, 층간 박리 강도는 커지지만 면압이 저하되고, 반대로 니들흔 밀도가 작을수록 면압은 커지지만 층간 박리 강도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층간 박리 강도가 높고, 게다가 면압도 높은 무기 섬유 성형체와, 이 무기 섬유 성형체를 사용한 배기 가스 세정 장치용 매트 및 배기 가스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는, 무기 섬유의 매트상 집합체로 구성되고, 해당 매트상 집합체의 두께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니들흔을 갖는 무기 섬유 성형체에 있어서, 니들흔으로서, 니들흔 A와, 해당 니들흔 A보다도 소직경의 니들흔 B가 만들어져 있고, 복수의 니들흔 A가 밀집된 밀집부가 산개되어 만들어져 있고, 해당 밀집부를 통과하는 매트면 방향의 임의의 제1 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모두에 있어서, 상기 밀집부끼리의 사이에, 니들흔 A의 니들흔 밀도가 상기 밀집부보다도 낮은 비(非)밀집부가 존재하고 있으며, 적어도 비밀집부에 니들흔 B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니들흔 A의 평균 직경이 450 내지 700㎛이며, 니들흔 B의 평균 직경은 니들흔 A의 평균 직경의 35 내지 6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밀집부에 있어서 니들흔 A가 1열로 배열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밀집부에 있어서의 니들흔 A의 배열 방향이 대략 동일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상기 밀집부의 길이의 평균값이 2.0 내지 12.0㎜이며, 하나의 밀집부에 있어서의 니들흔 A의 수의 평균값이 3.0 내지 8.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밀집부를 사이에 두고 배열 방향으로 인접하는 밀집부끼리의 거리의 평균값이 5.0 내지 25.0㎜이며, 상기 비밀집부를 사이에 두고 배열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인접하는 밀집부끼리의 거리의 평균값이 4.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니들흔 B는, 니들흔 A의 배열 방향과 교차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의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는, 니들흔 A의 밀집부는 2방향으로 확대되어 있으며, 하나의 밀집부의 면적의 평균값이 2.0 내지 36.0㎟이며, 밀집부에 있어서의 니들흔 밀도의 평균값이 20 내지 300개/㎠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니들흔 A의 밀집부 및 비밀집부의 양자 모두에 니들흔 B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는, 무기 섬유 성형체 전체의 평균의 니들흔 A의 니들흔 밀도가 1.0 내지 50.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섬유 성형체 전체의 평균의 니들흔 B의 니들흔 밀도는 1.0 내지 80.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 전체의 평균의 니들흔 A의 수당 니들흔 B의 수의 비는 0.1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세정 장치용 매트는, 이러한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세정 장치는, 촉매 담지체와, 해당 촉매 담지체의 외측을 덮는 케이싱과, 해당 촉매 담지체와 해당 케이싱 사이에 개재 장착된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세정 장치용 매트를 갖는다.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에 있어서는, 니들흔 A가 무기 섬유 성형체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니들흔 A가 국소적으로 밀집된 밀집부가 산개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밀집부를 통과하는 임의의 방향에 있어서, 밀집부끼리의 사이는 니들흔 A의 비밀집부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는, 소직경의 니들흔 B를 더 갖는다. 이 소직경의 니들흔 B는 면압을 거의 저하시키지 않고 층간 박리 강도를 높인다.
이러한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는, 니들흔 A의 밀집부 및 니들흔 B에 의해 높은 층간 박리 강도를 구비하게 되고, 비밀집부에 의해 높은 면압을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층간 박리 강도 및 면압이 모두 높은 무기 섬유 성형체가 제공된다.
도 1a는 실시 형태에 관한 무기 섬유 성형체의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Ib-Ib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무기 섬유 성형체의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4f는 실시 형태에 관한 무기 섬유 성형체의 니들흔의 다른 배치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밀집부의 면적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무기 섬유 성형체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한 무기 섬유 성형체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한 무기 섬유 성형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관한 무기 섬유 성형체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비교예에 관한 무기 섬유 성형체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비교예에 관한 무기 섬유 성형체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니들흔의 직경의 측정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에 관한 무기 섬유 성형체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에 관한 무기 섬유 성형체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에 관한 무기 섬유 성형체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에 관한 무기 섬유 성형체의 평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는, 무기 섬유의 매트상 집합체로 구성되며, 또한 니들링 처리가 실시된 무기 섬유 성형체이다.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는, 니들링 처리에 의해 형성된 니들흔 A, B를 갖는다. 즉, 니들을 매트상 집합체에 뽑고 찌르는 니들링 처리를 실시하면, 니들을 뽑고 찌른 개소에 있어서는, 적어도 일부의 섬유가 니들에 의해 대략 매트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에 의해 니들흔이 형성된다. 굵은 니들에 의해 니들흔 A가 형성되고, 가는 니들에 의해 니들흔 B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에 있어서는, 니들흔 A는 매트면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 아니라, 니들흔 A가 국소적으로 밀집된 밀집부가 산개된 상태로 만들어져 있다. 즉, 밀집부를 통과하는 매트면 방향의 임의의 제1 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모두에 있어서, 밀집부끼리의 사이에 비밀집부가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는 니들흔 B를 더 갖는다. 니들흔 B는 특정 방향으로 배열되어도 되고, 무기 섬유 성형체에 골고루 만들어져 있어도 된다.
도 1a, 1b는, 이러한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a에 있어서의 니들흔 A의 밀집부의 배치 상황을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며, 니들흔 B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이 무기 섬유 성형체(1)는, 무기 섬유의 매트상 집합체로 이루어지고, 매트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니들흔 A가 다수 만들어져 있음과 함께, 니들흔 A보다도 소직경의 니들흔 B가 다수 만들어져 있다. 복수의 니들흔 A가 부분적으로 밀집되어 니들흔 A의 밀집부(2)를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어느 밀집부(2)든 매트면을 따르는 일 방향(도 1a의 Y 방향)으로 1열로 배열된 니들흔 A로 구성되어 있다.
밀집부(2)는 이 Y 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X 방향의 모두에서 산개되어 있다. 그리고, 밀집부(2)를 통과하는 매트면 방향을 따르는 임의의 제1 방향(X 방향이어도 되고, Y 방향이어도 되고, 이들과 사교하는 경사 방향이어도 된다) 및 이것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밀집부(2)끼리의 사이에 니들흔 A가 밀집되어 있지 않은 비밀집부(4)(도 2)가 존재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밀집부(2)는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고, 비밀집부(4)의 형상은 대략 정사각형이다. 단, 비밀집부(4)의 형상은 대략 정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대략 직사각형, 대략 평행사변형 등이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니들흔 B의 열이 만들어져 있다. 니들흔 B의 열은, 밀집부(2)끼리의 사이를 통과하고 있다.
이 밀집부(2)가 무기 섬유 성형체(1)의 층간 박리 강도의 증대에 기여하고, 비밀집부(4)가 무기 섬유 성형체(1)의 반발력(면압) 증대에 기여하므로, 이 무기 섬유 성형체(1)는 니들흔 A를 균일하게 분포시킨 무기 섬유 성형체(예를 들어 도 10의 무기 섬유 성형체(10))나 니들흔 A의 긴 열을 평행하게 배열한 무기 섬유 성형체(예를 들어 도 11의 무기 섬유 성형체(11))에 비하여 층간 박리 강도가 높고, 게다가 반발력이 높다. 니들흔 B는, 면압을 거의 저하시키지 않고 층간 박리 강도를 증대시킨다.
후술하는 참고예 및 비교예와 같이, 니들흔 A의 밀집부를 형성한 무기 섬유 성형체 쪽이, 니들흔 A를 균일하게 분포시킨 무기 섬유 성형체보다도 층간 박리 강도가 높아짐이 확인되었다. 이 이유에 대해서는, 니들흔 A를 밀집시키면, 근접한 니들흔 A끼리가 공통된 섬유를 구속하는 바로부터, 니들흔 A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무기 섬유 성형체에 비하여, 니들흔 A의 니들흔 밀도가 동일하여도 층간 박리 강도가 증대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니들흔 A 모두 또는 대부분을 밀집부에 배치하고, 밀집부끼리의 사이에 니들흔 A의 비밀집부를 배치하고 있으며, 이 비밀집부는, 니들흔 A에 의해 구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면압(반발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는, 니들흔 A의 니들흔 밀도가 동일하지만 매트면 전체에 니들흔 A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종래의 무기 섬유 성형체에 비하여, 면압이 높은 것이 된다. 반대로,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는, 무기 섬유 성형체 전체의 평균의 니들흔 A의 니들흔 밀도를 종래의 무기 섬유 성형체보다도 크게 하고 층간 박리 강도를 종래품보다도 높게 해도, 면압을 종래의 무기 섬유 성형체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니들흔 B를 만듦으로써, 면압을 거의 저하시키지 않고, 층간 박리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층간 박리 강도 및 면압의 양쪽을 높일 수 있다. 물론, 층간 박리 강도에 대해서는 종래품과 동등하지만 면압을 종래품보다도 높은 것으로 하거나, 면압에 대해서는 종래품과 동등하지만 층간 박리 강도를 종래품보다도 높은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1과 같이, 니들흔 A의 긴 열을 평행하게 배열한 경우, 니들흔 A의 열 및 그의 가장 가까운 영역을 포함하는 띠 형상 영역의 반발성이 낮고, 이 저반발성 영역이 매트면 전체에 평행하게 길게 연장됨으로써, 무기 섬유 성형체의 반발성이 억제되어,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만큼은 면압이 향상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에서는, 니들흔 A의 열로 이루어지는 밀집부(2)의 해당 열방향에 있어서도, 밀집부(2)끼리의 사이에 비밀집부(4)가 존재하기 때문에, 면압이 커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 1a, 1b, 2의 무기 섬유 성형체(1)에 있어서는, 하나의 밀집부(2)의 길이 L의 평균값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이다. 하나의 밀집부(2)는 평균하여 2.0 내지 10.0개, 특히 3.0 내지 8.0개의 니들흔 A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무기 섬유 성형체에 있어서는, 니들흔 A끼리의 거리 d의 평균값은 0.5 내지 4.0㎜, 특히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집부(2)의 니들흔 A 배열 방향(도 1a의 Y 방향)에 있어서, 비밀집부(4)를 Y 방향에 걸쳐 인접하는 밀집부(2, 2) 사이의 거리 a의 평균값은 통상 5.0 내지 25.0㎜, 5.0 내지 16.0㎜가 바람직하고, 특히 6.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집부(2)의 길이 L은 해당 거리 a보다도 커도 되고 작아도 되지만, 2a/3 내지 2a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a/4 내지 3a/2이다.
비밀집부(4)를 X 방향에 걸쳐 인접하는 밀집부(2, 2) 사이의 거리 b의 평균값은 4.0 내지 15.0㎜, 특히 5.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Y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밀집부(2)끼리의 피치 α는, 밀집부(2)의 길이 L 및 해당 거리 a에 따라 상기 밀집부(2)와 상기 비밀집부(4)를 갖도록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실시 형태의 무기 섬유 성형체(1)의 밀집부(2)에서는, 니들흔 A는 1열로 배열되어 있지만, 도 3의 실시 형태에 관한 무기 섬유 성형체(1')의 밀집부(2')와 같이, 니들흔 A가 2열로 배열되어도 된다. 또한, 도 4a, 4b의 밀집부(2a, 2b)와 같이, 니들흔 A가 3열 이상으로 배열되어도 된다. 밀집부를 구성하는 각 열의 니들흔 A의 수는 동일해도 되고, 도 4c의 밀집부(2c)와 같이 상이해도 된다.
도 4d의 밀집부(2d)와 같이 니들흔 A가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원환열상으로 배열되어도 된다. 도 4d에서는, 니들흔 A는 한 겹의 원환상으로 배열되어 있지만, 도 4e의 밀집부(2e)와 같이 두 겹의 원환상으로 니들흔 A가 배열되어도 된다.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세 겹 이상의 다중 원환상으로 니들흔 A가 배열되어도 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니들흔 A는 타원 환상, 다각형 환상으로 배열되어도 되고, 스타 형상과 같이 오목다각형 환상으로 배열되어도 된다.
도 4f의 밀집부(2f)와 같이, 니들흔 A가 사각 환상으로 배열되어도 된다. 환상으로 배열된 니들흔 A의 환상 열로 둘러싸인 내측 영역에 니들흔이 더 존재해도 된다.
무기 섬유 성형체(1, 1') 등의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에 있어서는, 니들흔 A의 니들흔 밀도, 즉 매트면의 단위 면적(1㎠)당 니들흔 A의 수는 매트면 전체의 평균값으로서 1.0 내지 50.0개/㎠,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40.0개/㎠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5.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밀집부(4)에 있어서의 니들흔 A의 니들흔 밀도의 평균값은 3.0개/㎠ 이하, 특히 0.4개/㎠ 이하가 바람직하고, 0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4f의 밀집부(2', 2a 내지 2f) 등과 같이, 일직선 방향뿐만 아니라, 직교 2방향의 모두에 니들흔 A가 분포되어 있는 밀집부에 있어서는, 하나의 밀집부의 최외주의 니들흔을 연결하여 얻어지는 영역의 면적(예를 들어, 밀집부(2a)의 경우이면 도 5의 해치를 부여한 영역의 면적 S)의 평균값은 4.0 내지 144.0㎟, 특히 9.0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나의 밀집부는 평균하여 4.0 내지 32.0개, 특히 6.0 내지 20.0개의 니들흔 A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형태의 무기 섬유 성형체(1)에서는, 니들흔 B는 니들흔 밀집부(2)끼리의 사이를 X 방향으로 연장하는 열로서 만들어져 있지만, 도 7의 무기 섬유 성형체(1a)와 같이, 밀집부(2)를 횡단하여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로서 만들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도 8의 무기 섬유 성형체(1b)와 같이, 밀집부(2)끼리의 사이를 X 방향으로 연장하는 열과, 밀집부(2)를 횡단하여 X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의 양쪽을 만들어도 된다. 도 9의 무기 섬유 성형체(1c)와 같이, 밀집부(2)끼리의 사이를 X 방향으로 연장하는 니들흔 B의 열을 복수 열 만들어도 된다.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밀집부(2)를 횡단하는 니들흔 B의 열을 마찬가지로 복수 열로 해도 된다.
도 13, 14의 무기 섬유 성형체(1d, 1e)와 같이, 니들흔 B는, 밀집부(2)를 횡단하며 X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되는 열로서 만들어져 있어도 된다. 밀집부의 니들흔 A 배열 방향(Y 방향)에 대하여 니들흔 B의 열이 이루는 각도(θ1, 시계 방향)는 90°내지 175°,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65°,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50°이다. 도 13에서는 니들흔 B는 왼편이 올라간 형상으로만 만들어져 있지만, 오른편이 올라간 형상으로만 만들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4와 같이 왼편이 올라간 형상 및 오른편이 올라간 형상 양쪽으로 크로스 형상으로 만들어져 있어도 된다.
니들흔 B의 열은, 도 13, 14와 같이, 복수개의 밀집부를 횡단하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와 같이, 니들흔 B의 열이 교차 2방향으로 만들어져 있는 경우, 니들흔 B의 열끼리의 교점의 적어도 일부는 밀집부(2)에 겹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의 경우, 니들흔 B의 열끼리의 교차 각도((180-θ1)×2)는 10 내지 80°, 특히 30 내지 60°가 바람직하다.
도 1, 7, 8, 9, 13 및 14의 실시 형태는, 비밀집부(4)를 가능한 한 확보하면서, 니들흔 B에 의한 무기 섬유끼리의 결합이 강화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의 적합한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무기 섬유 성형체(1f)의 밀집부(2)의 배치 패턴은 도 1a, 1b, 2의 무기 섬유 성형체(1)와 동일하다. 하나의 밀집부(2)에 있어서, 니들흔 A는 Y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하나의 밀집부(2)를 구성하는 니들흔 A의 수나, 니들흔 A의 직경 밀집부(2, 2) 사이의 X 방향 거리 b 등의 적합 범위는 도 1a, 1b, 2와 동일하다. 니들흔 B는 X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무기 섬유 성형체(1f)에 있어서는, 밀집부(2)의 Y 방향의 배열 피치 α보다도 니들흔 B의 열의 Y 방향의 피치 f가 작다(α>f). f는 α의 0.5배 이상이면 된다. 도 15에서는 f는 α의 약 0.7배로 되어 있다. 도 1의 무기 섬유 성형체(1)에서는 α=f이며, f/α=1이다. 본 발명에서는, f/α는 0.5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무기 섬유 성형체(1f)에 있어서는, 상기 밀집부(2)의 길이 L과 상기 거리 a의 합계(L+a)보다도 니들흔 B의 열의 Y 방향의 피치 f가 작다(L+a>f). f는 L+a의 0.1배 이상이면 된다. 도 15에서는, f는 L+a의 약 0.35배로 되어 있다. 도 1의 무기 섬유 성형체(1)에서는 L+a=2f이며, f/(L+a)=0.5이다. 본 발명에서는, f/(L+a)은 0.2 내지 0.7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섬유 성형체(1f)에서는, 모든 밀집부(2)에 대하여 니들흔 B의 열이 1개 또는 2개 교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무기 섬유 성형체(1f)와 같이, 하나의 밀집부(2)에 대하여, 니들흔 B의 열이 1개 또는 2개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의 무기 섬유 성형체(1f)의 밀집부(2)에서는, 니들흔 A가 1열만 배열되어 있지만, 도 16의 무기 섬유 성형체(1g)와 같이, 밀집부(2)가 2열로 배열된 니들흔 A를 가져도 된다. 무기 섬유 성형체(1g)의 그 밖의 구성은 무기 섬유 성형체(1f)와 동일하다.
도 15, 16의 무기 섬유 성형체(1f, 1g)에서는, 니들흔 B의 배열 방향은 X 방향이다. 즉, Y 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이다. 단, 니들흔 B의 배열 방향은 도 13과 같이 Y 방향에 대하여 사교 방향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4와 같이 왼편이 올라간 형상 및 오른편이 올라간 형상의 양쪽으로 크로스 형상으로 만들어져 있어도 된다. Y 방향과의 교차 각도 θ1의 적합 범위는 도 13, 14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 1, 7, 8, 9, 13 및 14에서는, 니들흔 B는 특정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열로서 기재되어 있지만, 비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열이어도 상관없다.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니들흔 B는 무기 섬유 성형체의 전체에, 즉 니들흔 A의 밀집부 및 비밀집부 모두에서 골고루 대략 균일하게 만들어져 있어도 된다. 니들흔 B는 랜덤하게 만들어져 있어도 된다.
니들흔 B의 니들흔 밀도, 즉 매트면 1㎠당 니들흔 B의 수는, 비밀집부(4)에 의한 반발력의 효과를 갖는 범위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매트면 전체의 평균값으로서 1.0 내지 80.0개/㎠, 특히 3.0 내지 60.0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40.0개/㎠이다.
니들흔 B가 특정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해당 열 내에 존재하는 니들흔 B끼리의 거리 e의 평균값은, 통상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5.0㎜, 특히 1.2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니들흔 B의 열끼리 평행한 경우에 있어서의 열끼리의 간격(피치) f의 평균값은,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밀집부(2)의 길이 L의 평균값이 2.0 내지 12.0㎜인 경우에는, 해당 열끼리의 간격(피치) f의 평균값은, 통상 0.5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0㎜, 특히 1.0 내지 7.5㎜인 것이 바람직하다.
매트면의 단위 면적(1㎠)당 니들흔 A의 수당 니들흔 B의 수의 비는, 매트면 전체의 평균값으로서,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통상 0.1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0,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0이다.
본 발명에서는, 니들흔 A, B는, 도 1b와 같이 무기 섬유 성형체(1)를 관통하고 있어도 되고, 도 6의 무기 섬유 성형체(1")의 니들흔 A1, A2와 같이, 한쪽의 매트면으로부터 관입하여, 다른 쪽의 매트면에 도달하지 않게 연장되어도 된다. 니들흔 A1은 도 6의 상면측의 매트면으로부터 하면측의 매트면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니들흔 A2는 도 6의 하면측의 매트면으로부터 관입하여, 상면측의 매트면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니들흔 A1, A2의 깊이는 매트 두께의 50% 이상, 특히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비관통상의 니들흔 A1, A2가 존재하는 경우의 단위 면적당 니들흔의 수는, 무기 섬유 성형체를 단위 면적당 잘라낸 무기 섬유 성형체의 한쪽의 면의 니들흔 A1의 수와, 다른 쪽의 면의 니들흔 A2의 수의 합으로서 카운트한다.
실제로는, 무기 섬유 성형체의 한쪽의 면에 가시광을 쏘이면, 비관통 니들흔 및 관통 니들흔 중 어디에 의해서도 다른 쪽의 면에 흑점이 투영되어 나타난다. 그래서, 이 흑점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단위 면적당 모든 관통상의 니들흔 및 비관통상의 니들흔의 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니들흔의 직경은, 도 12와 같이, 이 흑점의 직경 방향으로 측정한 명도 분포(피크)의 반값폭이다. 니들흔 A의 직경은 450 내지 700㎛, 특히 490 내지 6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니들흔 B의 직경은 니들흔 A의 직경의 35 내지 65%, 특히 50 내지 60%이며, 또한 150 내지 400㎛, 특히 200 내지 3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니들흔의 직경은, 그것을 형성하기 위한 니들 직경의 약 50 내지 80% 정도가 된다.
도 1b 및 도 6에서는, 니들흔 A, A1, A2, B는 매트면과 수직으로 되어 있지만, 니들흔은 매트면 수직 방향에 대하여 ±75°의 범위 내에서 사교해도 된다.
<무기 섬유>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를 구성하는 무기 섬유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실리카, 알루미나/실리카, 이들을 포함하는 지르코니아, 스피넬, 티타니아 등의 단독, 또는 복합 섬유를 들 수 있지만,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알루미나/실리카계 섬유, 특히 결정질 알루미나/실리카계 섬유이다. 알루미나/실리카계 섬유의 알루미나/실리카의 조성비(중량비)는 60 내지 95/40 내지 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74/30 내지 26의 범위이다.
무기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은 3 내지 10㎛, 특히 5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이 지나치게 크면 섬유 집합체의 반발력이 상실되고, 지나치게 가늘면 공기 중에 부유하는 발진량이 많아진다.
<층간 박리 강도>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는, 예를 들어 단열재로서 가공할 때, 성형 시의 작업성 악화, 밀도 분포차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또한 매트로서 촉매 담지체에 권회되어, 금속 케이싱에 조립되었을 때에 매트의 층간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50㎜×150㎜의 시험편에 대하여 후술하는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 값으로서, 층간 박리 강도가 통상 1.0N 이상, 바람직하게는 2.0N 이상, 4.0N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무기 섬유 성형체의 박리 강도는 높을수록 유리하지만, 통상 30.0N 이하,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20.0N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면 밀도>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의 면 밀도(단위 면적당 질량)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통상 400 내지 3000g/㎡ 정도가 된다.
<무기 섬유 성형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의 제조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졸-겔법에 의해 무기 섬유 전구체의 매트상 집합체를 얻는 공정과, 얻어진 무기 섬유 전구체의 매트상 집합체에 니들링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 방법에 있어서, 니들링 처리 후에는, 니들링 처리된 무기 섬유 전구체의 매트상 집합체를 소성하여 무기 섬유의 매트상 집합체로 하는 소성 공정이 행하여진다.
이하,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의 제조 방법을, 알루미나/실리카계 섬유 성형체의 제조 방법을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는, 알루미나/실리카계 섬유 성형체에 전혀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리카, 지르코니아, 스피넬, 티타니아 혹은 이들의 복합 섬유를 포함하는 성형체여도 된다.
{방사 공정}
졸-겔법에 의해 알루미나/실리카계 섬유의 매트상 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염기성 염화알루미늄, 규소 화합물, 증점제로서의 유기 중합체 및 물을 함유하는 방사액을 블로잉법으로 방사하여 알루미나/실리카 섬유 전구체의 집합체를 얻는다.
[방사액의 제조]
염기성 염화알루미늄; Al(OH)3 - xClx는, 예를 들어 염산 또는 염화알루미늄 수용액에 금속 알루미늄을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화학식에 있어서의 x의 값은, 통상 0.45 내지 0.54,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53이다. 규소 화합물로서는, 실리카졸이 적합하게 사용되지만, 그 밖에는 테트라에틸실리케이트나 수용성 실록산 유도체 등의 수용성 규소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유기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들의 중합도는, 통상 1000 내지 3000이다.
방사액은, 염기성 염화알루미늄 유래의 알루미늄과 규소 화합물 유래의 규소 비가, Al2O3과 SiO2의 중량비로 환산하여, 통상 99:1 내지 65:35, 바람직하게는 99:1 내지 70:30이고, 알루미늄의 농도가 170 내지 210g/L이고, 유기 중합체의 농도가 20 내지 50g/L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액 중의 규소 화합물의 양이 상기한 범위보다 적은 경우는, 단섬유를 구성하는 알루미나가 α-알루미나화되기 쉽고, 게다가 알루미나 입자의 조대화(粗大化)에 의한 단섬유의 취화가 일어나기 쉽다. 한편, 방사액 중의 규소 화합물의 양이 상기한 범위보다도 많은 경우는 멀라이트(3Al2O3·2SiO2)와 함께 생성되는 실리카(SiO2)의 양이 증가하여 내열성이 저하되기 쉽다.
방사액 중의 알루미늄의 농도가 170g/L 미만인 경우 또는 유기 중합체의 농도가 20g/L 미만인 경우는 모두, 방사액의 적당한 점도가 얻어지지 않아 얻어지는 알루미나/실리카계 섬유의 섬유 직경이 작아진다. 즉, 방사액 중의 유리수(遊離水)가 너무 많은 결과, 블로잉법에 의한 방사 시의 건조 속도가 느리고, 연신이 과도하게 진행되어, 방사된 전구체 섬유의 섬유 직경이 변화되어, 소정의 평균 섬유 직경이며 또한 섬유 직경 분포가 샤프한 단섬유가 얻어지지 않는다. 게다가, 알루미늄의 농도가 170g/L 미만인 경우는 생산성이 저하된다. 한편, 알루미늄의 농도가 210g/L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유기 중합체의 농도가 50g/L을 초과하는 경우는 모두, 점도가 너무 높아 방사액은 되지 않는다. 방사액 중의 알루미늄의 바람직한 농도는 180 내지 200g/L이며, 유기 중합체의 바람직한 농도는 30 내지 40g/L이다.
상기한 방사액은, 염기성 염화알루미늄 수용액에 상기 Al2O3:SiO2비가 되는 양의 규소 화합물과 유기 중합체를 첨가하고, 알루미늄 및 유기 중합체의 농도가 상기한 범위가 되도록 농축함으로써 제조된다.
[방사]
방사(방사액의 섬유화)는, 통상 고속의 방사 기류 중에 방사액을 공급하는 블로잉법에 의해 행하여지고, 이에 의해 알루미나 단섬유 전구체가 얻어진다. 상기한 방사 시에 사용하는 방사 노즐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260246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에어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와 방사액 공급 노즐로부터 압출되는 방사액류는 병행류가 되고, 게다가, 공기의 병행류는 충분히 정류되어 방사액과 접촉하는 구조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사 시에는, 우선 수분의 증발이나 방사액의 분해가 억제된 조건 하에서, 방사액으로부터 충분히 연신된 섬유가 형성되고, 계속해서 이 섬유가 신속하게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를 위해서는, 방사액으로부터 섬유가 형성되어 섬유 포집기에 도달할 때까지의 과정에 있어서, 분위기를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는 상태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촉진하는 상태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나/실리카계 섬유 전구체의 집합체는, 방사 기류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되도록 금속망제의 무단 벨트를 설치하고, 무단 벨트를 회전시키면서, 이것에 알루미나/실리카계 섬유 전구체를 포함하는 방사 기류를 충돌시키는 구조의 집적 장치에 의해 연속 시트(박층 시트)로서 회수할 수 있다.
상기한 집적 장치로부터 회수된 박층 시트는, 연속적으로 인출하여 절첩 장치로 보내고, 소정의 폭으로 절첩하여 적층하면서, 절첩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적층 시트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박층 시트의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적층 시트의 단위 면적당 질량이 시트 전체에 걸쳐 균일해진다. 상기한 절첩 장치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0-80547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니들링 처리 공정}
방사에 의해 얻어진 알루미나/실리카계 섬유 전구체의 매트상 집합체는, 계속하여 니들링 처리를 실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니들링 처리를, 니들 A와, 니들 A보다 직경이 작은 니들 B를 사용하여 행한다. 니들 A에 의해 니들흔 A의 밀집부와 비밀집부가 형성되고, 니들 B에 의해 니들흔 B가 형성되도록 행한다. 또한, 니들 A 및 니들 B에 의한 니들링 처리의 방향은, 모두 한쪽의 면으로부터만의 처리여도 되고, 양면으로부터의 처리여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니들 A 및 니들 B에 의한 니들링 처리의 방향이 모두 양면으로부터의 처리이다. 니들 A 및 니들 B로서는, 니들링 처리에 의해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에 각각 니들흔 A 및 니들흔 B가 부여되면 특별한 제한은 없고, 종래 알려진 니들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니들 A 및 B의 직경은, 니들흔 A 및 니들흔 B의 직경에 대하여 각각 통상 1.25 내지 2.0배이다.
{소성 공정}
니들링 처리 후의 소성은, 통상 9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300 ℃의 온도에서 행한다. 소성 온도가 900℃ 미만인 경우는 결정화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강도가 작은 취약한 알루미나/실리카계 섬유밖에 얻지 못하고, 소성 온도가 1300℃를 초과하는 경우는 섬유의 결정의 입성장이 진행되어 강도가 작은 취약한 알루미나/실리카계 섬유밖에 얻지 못한다.
본 발명의 무기 섬유 성형체의 용도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각종 단열재, 패킹 등이 있지만, 특히 배기 가스 세정 장치용 매트로서 유용하다.
배기 가스 세정 장치용 매트 등의 매트에 있어서, 유기 결합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혹은 유기 결합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그의 함유량이 10중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매트 중의 유기 결합제의 함유량이 10중량% 이상이면 엔진 연소 시의 배기 가스의 고열에 의한 유기 결합제의 분해로, NOx, CO, HC 등의 분해 가스 발생의 문제가 커져,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매트에 유기 결합제를 사용하는 경우, 그 유기 결합제로서는, 각종 고무,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열 가소성 수지, 열 경화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유기 결합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수용액, 수분산형의 에멀젼, 라텍스, 또는 유기 용매 용액이 시판되고 있으며, 이들 유기 결합제액은, 그대로 또는 물 등으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매트 중에 유기 결합제를 함유시키는 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매트 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 결합제는 반드시 1종일 필요는 없고, 2종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하등 지장이 없다.
상기 유기 결합제 중에서는, 아크릴 고무, 니트릴 고무 등의 합성 고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 또는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아크릴 고무, 니트릴 고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 고무에 포함되지 않는 아크릴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결합제는, 유기 결합제액의 제조 또는 입수가 용이하며, 또한 매트 중으로의 함침 조작도 간단하고, 비교적 저함유량으로 해도 충분한 두께 구속력을 발휘하며, 얻어지는 성형체가 유연하고 강도가 우수하며, 사용 온도 조건 하에서 용이하게 분해 또는 소실되는 점에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트가 유기 결합제를 포함하는 경우, 그의 함유량은 특히 10중량% 미만, 특히 2.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세정 장치는, 촉매 담지체와, 해당 촉매 담지체의 외측을 덮는 케이싱과, 해당 촉매 담지체와 해당 케이싱 사이에 개재 장착된 매트를 구비하는 배기 가스 세정 장치이며, 이 매트로서, 본 발명의 매트를 사용한 것이며, 매트의 박리 강도가 높기 때문에, 배기 가스 세정 장치 조립 시의 매트의 취급성, 작업성이 우수하고, 조립 후의 촉매 담지체의 파지 성능도 양호함으로써 배기 가스 세정 효율도 우수하다.
또한, 이 배기 가스 세정 장치의 구성 자체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본 발명은 촉매 담지체와 케이싱과 촉매 담지체의 파지체로서의 매트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배기 가스 세정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얻어진 무기 섬유 성형체의 각종 물성이나 특성의 측정 내지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층간 박리 강도>
무기 섬유 성형체의 원단으로부터 50㎜×150㎜의 시험편을 탈형하고, 이 시험편의 한쪽의 단부면의 두께 중앙에 30㎜ 깊이의 절입을 만들고, 절입에 의해 형성된 그 양단을 그립 지그에 지지한 후, 인장 시험기에 세트하고, 500㎜/min의 속도로 매트면과 수직인 상반 방향으로 인장하여 시험편을 2개로 찢었을 때의 하중 피크의 평균값(N)을 계측한다.
<니들흔의 카운트 방법>
50×50㎜의 정사각형으로 절단하여 샘플로 하고, 샘플의 한쪽의 면으로부터 가시광을 쏘아, 다른 쪽의 면에 투영되는 니들흔의 음영에 매직 팬으로 점묘한다. 이 점의 수를 카운트하여 니들흔 밀도, 1개의 밀집부당 니들흔의 수를 센다. 또한, 도 5와 같이 하여 밀집부의 면적을 구한다.
<니들흔의 직경의 측정 방법>
50×50㎜의 정사각형으로 절단하여 샘플로 하고, 샘플의 한쪽의 면으로부터 가시광을 쏘아, 다른 쪽의 면을 CCD 카메라로 촬상하여, 니들흔의 음영의 부분에 대하여 도 12와 같이 명도 분포도를 작성하고, 반값폭을 구하여 니들흔의 직경으로 했다. 니들흔 A로서의 직경 범위를 450 내지 700㎛로 하고, 니들흔 B로서의 직경 범위를 150 내지 400㎛로 하여, 니들흔 A와 니들흔 B의 평균 직경을 구했다.
이 실시예에서는, 니들흔 A의 평균 직경은 560㎛이며, 니들흔 B의 평균 직경은 300㎛이었다.
<면압>
원단으로부터 50㎜×50㎜의 샘플을 잘라내고, 인장 압축 시험기로 1㎜/min으로 압축하여, 샘플 밀도가 0.3g/㎤가 되었을 즈음에 15초 유지한다. 15초 경과 시의 하중(N)을 측정하고, 2500㎟(2500×10-6㎡)로 나누어 면압(㎪)을 산출한다.
[실시예 1]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알루미늄 함유량 70g/L, Al/Cl=1.8(원자비)) 수용액에, 실리카졸을,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알루미나 섬유의 조성이 Al2O3:SiO2=72:28(중량비)가 되도록 첨가하고, 폴리비닐알코올을 더 첨가한 후, 농축하여, 점도 40푸아즈, 알루미나·실리카 함량 약 30중량%의 방사액을 제조하고, 해당 방사액을 사용하여 블로잉법으로 방사했다. 이것을 집면(集綿)하여 알루미나/실리카계 섬유 전구체의 매트상 집합체를 얻었다. 니들 A 및 니들 A보다도 약 1/2의 직경을 갖는 니들 B를 사용하여, 이 매트상 집합체에 도 1a와 같은 패턴으로 니들 펀치를 실시한 후, 1200℃에서 소성하여, 폭 600㎜, 두께 7.3㎜의 긴 매트상 결정질 알루미나/실리카계 섬유 성형체(소성면)(이하, 「원단」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얻었다. 또한, 니들 A에 의한 니들흔이 니들흔 A이며, 니들 B에 의한 니들흔이 니들흔 B이다.
또한, 이 결정질 알루미나/실리카계 섬유의 조성비는, 알루미나/실리카=72/28(중량비)이며, 매트상 집합체에 대하여 현미경 관찰함으로써 측정한 결정질 알루미나/실리카계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100개의 평균값)은 5.5㎛이었다.
얻어진 원단에 대하여, 층간 박리 강도, 면압, 매트면 전체에 있어서의 니들흔 A, B의 평균 니들흔 밀도, 밀집부(2)의 길이 L, 밀집부(2) 사이의 거리 a, b, α(도 2), 1개의 밀집부(2)당 니들흔 A의 수, 니들흔 B 사이의 간격 e, 및 니들흔 B의 열끼리의 피치 f를 측정하여,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밀집부(2)의 길이 L, 밀집부(2) 사이의 거리 a, b, α, 1개의 밀집부(2)당 니들흔 A의 수, 니들흔 B 사이의 간격 e, 및 니들흔 B의 열끼리의 피치 f에 대해서는, 샘플(50㎜×50㎜)에 있어서의 각 평균값을 나타낸다.
[실시예 2]
니들흔 B끼리의 거리 e를 1.9㎜로 하고, 니들흔 B의 피치 f를 4.8㎜로 함으로써, 니들흔 B의 니들 밀도를 실시예 1의 1.5배로 하고, 니들흔 패턴을 도 15와 비슷한 것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무기 섬유 성형체의 원단을 제조했다. 특성 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니들흔 B를 도 13과 같이 기울이고(θ1=135°), 니들흔 B끼리의 거리 e를 2.0㎜로 하고, 니들흔 B의 피치 f를 3.9㎜로 함으로써, 니들흔 B의 니들 밀도를 실시예 1의 2.0배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무기 섬유 성형체의 원단을 제조했다. 특성 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니들흔 B끼리의 거리 e를 1.7㎜로 하고, 니들흔 B의 피치 f를 2.9㎜로 함으로써, 니들흔 B의 니들 밀도를 실시예 1의 3.2배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무기 섬유 성형체의 원단을 제조했다. 특성 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니들흔 B를 도 13과 같이 기울이고(θ1=135°), 니들흔 B끼리의 거리 e를 2.0㎜로 하고, 니들흔 B의 피치 f를 2.0㎜로 함으로써, 니들흔 B의 니들 밀도를 실시예 1의 4.1배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무기 섬유 성형체의 원단을 제조했다. 특성 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니들흔 B끼리의 거리 e를 1.7㎜로 하고, 니들흔 B의 피치 f를 1.4㎜로 함으로써, 니들흔 B의 니들 밀도를 실시예 1의 6.5배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무기 섬유 성형체의 원단을 제조했다. 특성 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니들흔 A의 니들흔 밀도는 실시예 1과 동일하지만, 도 10과 같이 니들흔 A를 매트면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10의 무기 섬유 성형체(10)를 제조했다. 특성 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참고예 1]
니들흔 A의 니들흔 밀도가 실시예 1의 약 50%가 되도록 하며, 또한 니들흔 B를 만들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무기 섬유 성형체의 원단을 제조했다. 특성 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니들흔 A의 니들흔 밀도는 참고예 1과 동일하지만, 도 10과 같이 니들흔을 매트면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그 이외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10의 무기 섬유 성형체(10)를 제조했다. 특성 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의 무기 섬유 성형체는, 니들흔 B를 갖지 않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층간 박리 강도가 높고, 게다가 면압이 향상 또는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참고예 1은 니들흔 A의 밀도가 동등한 비교예 2에 비하여 층간 박리 강도 및 면압이 높다. 따라서, 니들흔 A는 골고루 균등하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밀집부와 비밀집부가 형성되도록 만들어지는 것이 좋음이 확인된다.
본 발명을 특정한 형태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의도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본 출원은, 2015년 3월 23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5-059682 및 2015년 9월 1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2015-178423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원용된다.
1, 1', 1", 1a 내지 1g, 10, 20: 무기 섬유 성형체
2, 2', 2a 내지 2f: 밀집부
4: 비밀집부

Claims (19)

  1. 무기 섬유의 매트상 집합체로 구성되고,
    해당 매트상 집합체의 두께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니들흔을 갖는 무기 섬유 성형체에 있어서,
    니들흔으로서, 니들흔 A와, 해당 니들흔 A보다도 소직경의 니들흔 B가 만들어져 있고,
    복수의 니들흔 A가 밀집된 밀집부가 산개되어 만들어져 있고,
    해당 밀집부를 통과하는 매트면 방향의 임의의 제1 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모두에 있어서, 상기 밀집부끼리의 사이에, 니들흔 A의 니들흔 밀도가 상기 밀집부보다도 낮은 비(非)밀집부가 존재하고 있으며,
    적어도 비밀집부에 니들흔 B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섬유 성형체.
  2. 제1항에 있어서, 니들흔 A의 평균 직경이 450 내지 700㎛이며, 니들흔 B의 평균 직경은 니들흔 A의 평균 직경의 35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섬유 성형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집부에 있어서는, 니들흔 A가 1열 또는 2열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섬유 성형체.
  4. 제3항에 있어서, 각 밀집부에 있어서의 니들흔 A의 배열 방향이 대략 동일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섬유 성형체.
  5. 제4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밀집부의 길이의 평균값이 2.0 내지 12.0㎜이며, 하나의 밀집부에 있어서의 니들흔 A의 수의 평균값이 3.0 내지 8.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섬유 성형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집부를 사이에 두고 배열 방향으로 인접하는 밀집부끼리의 거리(거리 a)의 평균값이 5.0 내지 25.0㎜이며, 상기 비밀집부를 사이에 두고 배열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인접하는 밀집부끼리의 거리(거리 b)의 평균값이 4.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섬유 성형체.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집부의 니들흔 A의 배열 방향(Y 방향)에 있어서의 니들흔 B의 Y 방향의 배열 피치 f는, Y 방향에 있어서의 밀집부의 배열 피치 α의 0.5 내지 1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섬유 성형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밀집부에 대하여 니들흔 B의 열이 1개 또는 2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섬유 성형체.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흔 B는, 상기 니들흔 A의 배열 방향과 교차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섬유 성형체.
  10. 제9항에 있어서, 니들흔 B의 열의 방향과 니들흔 A의 배열 방향(Y 방향)의 교차 각도 θ1이 90 내지 1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섬유 성형체.
  11. 제9항에 있어서, 니들흔 B의 열의 방향과 니들흔 A의 배열 방향의 교차 각도 θ1이 90°보다도 크고 175°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섬유 성형체.
  12. 제11항에 있어서, 니들흔 B의 열이 교차 2방향으로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섬유 성형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집부는 2방향으로 확대되어 있으며, 하나의 밀집부의 면적의 평균값이 2.0 내지 36.0㎟이며, 밀집부에 있어서의 니들흔 A의 니들흔 밀도의 평균값이 20 내지 30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섬유 성형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집부 및 비밀집부의 양자 모두에 니들흔 B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섬유 성형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 섬유 성형체 전체의 평균의 니들흔 A의 니들흔 밀도가 1.0 내지 50.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섬유 성형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 섬유 성형체 전체의 평균의 니들흔 B의 니들흔 밀도가 1.0 내지 80.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섬유 성형체.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기 섬유 성형체 전체의 평균의 니들흔 A의 수당 니들흔 B의 수의 비는 0.1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섬유 성형체.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기 섬유 성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세정 장치용 매트.
  19. 촉매 담지체와, 해당 촉매 담지체의 외측을 덮는 케이싱과, 해당 촉매 담지체와 해당 케이싱 사이에 개재 장착된 매트를 구비하는 배기 가스 세정 장치에 있어서, 해당 매트가 제18항에 기재된 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세정 장치.
KR1020177023619A 2015-03-23 2016-03-18 무기 섬유 성형체, 배기 가스 세정 장치용 매트 및 배기 가스 세정 장치 KR101973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59682 2015-03-23
JPJP-P-2015-059682 2015-03-23
JPJP-P-2015-178423 2015-09-10
JP2015178423 2015-09-10
PCT/JP2016/058771 WO2016152795A1 (ja) 2015-03-23 2016-03-18 無機繊維成形体、排ガス洗浄装置用マット及び排ガス洗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113A true KR20170129113A (ko) 2017-11-24
KR101973883B1 KR101973883B1 (ko) 2019-04-29

Family

ID=56978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619A KR101973883B1 (ko) 2015-03-23 2016-03-18 무기 섬유 성형체, 배기 가스 세정 장치용 매트 및 배기 가스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24215B2 (ko)
EP (1) EP3276063B1 (ko)
JP (1) JP6569730B2 (ko)
KR (1) KR101973883B1 (ko)
CN (1) CN107429455B (ko)
WO (1) WO20161527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96148B2 (ja) * 2018-03-29 2023-06-22 マフテック株式会社 バインダー含有無機繊維成形体
PL3892765T3 (pl) * 2019-08-06 2023-01-30 Maftec Co., Ltd. Obiekt formowany z włókien nieorganicznych, mata dla urządzenia do oczyszczania gazów spalinowych i urządzenie do oczyszczania gazów spalinowych
CN115003876A (zh) 2020-01-31 2022-09-02 马福特克有限公司 纤维直径测定装置、无机纤维片材的制造装置、纤维直径测定方法及无机纤维片材的制造方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7112A (ja) 2005-10-07 2007-05-24 Ibiden Co Ltd 保持シール材および排気ガス処理装置
JP2007162583A (ja) * 2005-12-14 2007-06-28 Toyota Motor Corp 触媒コンバータ用シール部材及び触媒コンバータ
JP2007268514A (ja) 2006-03-10 2007-10-18 Ibiden Co Ltd シート材および排気ガス浄化装置
JP2007292040A (ja) * 2006-03-31 2007-11-08 Ibiden Co Ltd シート材、排気ガス処理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01125A (ja) 2007-01-26 2008-09-04 Ibiden Co Ltd シート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排気ガス処理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消音装置
US20090038129A1 (en) * 2007-08-09 2009-02-12 Oskar Dilo Maschinenfabrik Kg Device and Method for Needling a Nonwoven Web
JP2009264186A (ja) * 2008-04-23 2009-11-12 Ibiden Co Ltd 保持シール材、保持シール材の製造方法及び排ガス浄化装置
JP2010096171A (ja) * 2008-04-30 2010-04-30 Ibiden Co Ltd マット材、マット材の製造方法、消音器、及び、消音器の製造方法
US20110020599A1 (en) * 2008-03-31 2011-01-27 Guy Le Roy Perforated-core composite panel, device and method formanufacturing such a panel
JP2011099182A (ja) 2009-11-06 2011-05-19 Mitsubishi Plastics Inc 無機繊維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151185A1 (en) * 2009-12-18 2011-06-23 Cree James W Extrusion coated perforated nonwoven web and method for making
JP2012077399A (ja) * 2010-09-30 2012-04-19 Ibiden Co Ltd マット、保持シール材、マットの製造方法、及び、排ガス浄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3373A1 (en) * 2000-12-29 2002-07-11 Lg Chem, Ltd. Fire-resistant composite panel and fire-resistant decorative composite panel using the same
US7493679B2 (en) * 2006-04-28 2009-02-24 Bgf Industries, Inc. Method for forming a relatively thick, lightweight, nonwoven insulating mat
DE102006053666A1 (de) * 2006-11-13 2008-05-15 Ortlieb, Hartmut Gewebe, Funktionsmaterial oder Matte
JP2009085091A (ja) * 2007-09-28 2009-04-23 Ibiden Co Ltd マット材、排気ガス処理装置および消音装置
KR20090117969A (ko) * 2008-04-30 2009-11-17 이비덴 가부시키가이샤 매트재, 매트재의 제조 방법, 소음기, 및 소음기의 제조 방법
JP2011226444A (ja) * 2010-04-22 2011-11-10 Ibiden Co Ltd 排ガス浄化システム、排ガス浄化システムの製造方法、及び、排ガス浄化システムを用いた排ガス浄化方法
JP5767503B2 (ja) * 2010-05-17 2015-08-19 イビデン株式会社 保持シール材、該保持シール材を用いた被巻着体への巻き付け方法及び排ガス浄化装置
JP2012140886A (ja) * 2010-12-28 2012-07-26 Ibiden Co Ltd マット、マットの製造方法、及び、排ガス浄化装置
EP2754647B1 (en) * 2011-09-07 2016-11-02 Mitsubishi Plastics, Inc. Molded inorganic-fiber object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7112A (ja) 2005-10-07 2007-05-24 Ibiden Co Ltd 保持シール材および排気ガス処理装置
JP2007162583A (ja) * 2005-12-14 2007-06-28 Toyota Motor Corp 触媒コンバータ用シール部材及び触媒コンバータ
JP2007268514A (ja) 2006-03-10 2007-10-18 Ibiden Co Ltd シート材および排気ガス浄化装置
JP2007292040A (ja) * 2006-03-31 2007-11-08 Ibiden Co Ltd シート材、排気ガス処理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01125A (ja) 2007-01-26 2008-09-04 Ibiden Co Ltd シート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排気ガス処理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消音装置
US20090038129A1 (en) * 2007-08-09 2009-02-12 Oskar Dilo Maschinenfabrik Kg Device and Method for Needling a Nonwoven Web
US20110020599A1 (en) * 2008-03-31 2011-01-27 Guy Le Roy Perforated-core composite panel, device and method formanufacturing such a panel
JP2009264186A (ja) * 2008-04-23 2009-11-12 Ibiden Co Ltd 保持シール材、保持シール材の製造方法及び排ガス浄化装置
JP2010096171A (ja) * 2008-04-30 2010-04-30 Ibiden Co Ltd マット材、マット材の製造方法、消音器、及び、消音器の製造方法
JP2011099182A (ja) 2009-11-06 2011-05-19 Mitsubishi Plastics Inc 無機繊維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151185A1 (en) * 2009-12-18 2011-06-23 Cree James W Extrusion coated perforated nonwoven web and method for making
JP2012077399A (ja) * 2010-09-30 2012-04-19 Ibiden Co Ltd マット、保持シール材、マットの製造方法、及び、排ガス浄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00421A1 (en) 2018-04-12
JP6569730B2 (ja) 2019-09-04
EP3276063A1 (en) 2018-01-31
CN107429455A (zh) 2017-12-01
CN107429455B (zh) 2019-09-20
WO2016152795A1 (ja) 2016-09-29
EP3276063B1 (en) 2018-09-05
US10024215B2 (en) 2018-07-17
EP3276063A4 (en) 2018-01-31
KR101973883B1 (ko) 2019-04-29
JPWO2016152795A1 (ja)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883B1 (ko) 무기 섬유 성형체, 배기 가스 세정 장치용 매트 및 배기 가스 세정 장치
US10525665B2 (en) Method of preparing a meltblown fiber web
JP5499644B2 (ja) 無機繊維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30118138A1 (en) Holding sealing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holding sealing material, and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US20220170404A1 (en) Inorganic Fiber-Formed Article, Mat for Exhaust Gas Cleaning Apparatus, and Exhaust Gas Cleaning Apparatus
JP2017031870A (ja) 保持シール材、巻付体、排ガス浄化装置、保持シール材の製造方法、巻付体の製造方法及び排ガス浄化装置の製造方法
JP2020033900A (ja) マット材の製造方法
JP2020033899A (ja) マット材及び巻付体
JP7296148B2 (ja) バインダー含有無機繊維成形体
EP4085165A1 (en) Polycrystalline aluminosilicate ceramic filament nonwoven ma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2019173242A (ja) バインダー含有無機繊維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