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897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8897A KR20170128897A KR1020160059549A KR20160059549A KR20170128897A KR 20170128897 A KR20170128897 A KR 20170128897A KR 1020160059549 A KR1020160059549 A KR 1020160059549A KR 20160059549 A KR20160059549 A KR 20160059549A KR 20170128897 A KR20170128897 A KR 201701288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ush
- brush support
- protrusion
- main body
- insertion cylin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화장품 용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화장품 용기는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액상의 재료가 저장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본체부에 저장된 액상의 재료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 유입홀이 형성된 봉삽입통; 상기 봉삽입통의 내부로 삽입되며, 선단에 솔이 장착되는 솔지지편을 포함하는 솔 지지수단; 상기 봉삽입통의 후단에 결합되는 누름부재; 상기 봉삽입통에 수용되고, 상기 솔지지편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솔지지편에 상기 본체부 선단부의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누름부재와 상기 솔지지수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1회째 전진하면 상기 솔이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 바깥 쪽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한 누름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2회째 전진하면 상기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솔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후퇴하여 상기 봉삽입통의 선단부 내부로 수용되도록 작동하는 녹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품 용기의 밀폐 구조를 확보하여 화장품 액이 용기 내부에서 굳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품 용기의 밀폐 구조를 확보하여 화장품 액이 용기 내부에서 굳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매니큐어 용기는 나사부가 형성된 병목을 갖는 병에 매니큐어 액을 저장하고, 상기 병목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마개 겸 손잡이의 중앙에는 지지봉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의 하단에는 솔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매니큐어 용기는 상기 손잡이를 돌려서 매니큐어 액이 저장된 병을 연 후 매니큐어 액에 함침된 솔을 손톱에 대고 칠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매니큐어 용기는 손질하고자 하는 손톱이나 발톱에 매니큐어를 칠할 때, 매니큐어 액에 솔을 자주 함침시켜줘야 하므로, 솔을 병에 담갔다 꺼내기를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매니큐어의 사용시 병을 옆에다 놓고 사용하다가 부주의로 인해 병이 쓰러질 수 있고, 매니큐어의 사용을 마친 후에는 매니큐어가 아직 안마른 상태에서 솔을 병에 넣어 마개를 돌리다가 매니큐어에 흠집이 생겨 다시 발라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많았다.
또한, 매니큐어 용액에는 신나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의 특성상 휘발성이 강하여 뚜껑을 확실하게 밀폐시키지 않는 이상 쉽게 휘발되는 문제점이 항상 내제되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결합방법에 의하여서는 마개가 확실한 밀폐력을 유지하지 못하여 용기내의 용액이 휘발되어 용액이 굳어진다든가 또는 변질되어 제품으로의 기능이 상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개선된 화장품 용기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 또는 액상을 안정적으로 보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액상의 재료가 저장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본체부에 저장된 액상의 재료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 유입홀이 형성된 봉삽입통; 상기 봉삽입통의 내부로 삽입되며, 선단에 솔이 장착되는 솔지지편을 포함하는 솔 지지수단; 상기 봉삽입통의 후단에 결합되는 누름부재; 상기 봉삽입통에 수용되고, 상기 솔지지편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솔지지편에 상기 본체부 선단부의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누름부재와 상기 솔지지수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1회째 전진하면 상기 솔이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 바깥 쪽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한 누름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2회째 전진하면 상기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솔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후퇴하여 상기 봉삽입통의 선단부 내부로 수용되도록 작동하는 녹크수단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봉삽입통 선단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솔지지편의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홀 및 상기 가이드홀의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수용홀을 포함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의 내경은 상기 솔지지편의 외경에 상응하거거나, 상기 솔지지편이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솔지지편의 관통 시 상기 가이드홀의 내면은 솔지지편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은 탄성력을 가지는 얇은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솔지지편은 상기 솔지지편의 일 영역으로부터 돌출된 확경부 및 상기 확경부의 하측 영역에는 상기 솔지지편의 외경이 축소된 협경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홀 내에 존재하는 액상재료는 상기 확경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협경부의 외주면을 따라 봉삽입통 선단부의 내부의 상기 솔이 수용되는 공간부로 유입되되, 상기 확경부의 외경은 상기 수용홀의 내경에 상응하고, 상기 협경부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홀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솔지지편의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부분 중 상기 협경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홀의 내경에 상응할 수 있다.
상기 솔지지편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확경부가 상기 수용홀로 진입이 시작되면, 상기 협경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이드홀을 벗어나기 시작하며, 상기 확경부가 상기 가이드홀에 의해 전진이 저지된 후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협경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후퇴하며, 상기 가이드홀에는 상기 협경부 하단의 상기 솔지지편의 외면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녹크 수단은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면 일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형성되는 안내돌기와; 상기 안내돌기 사이를 한칸씩 걸러서 서로 연결하도록 외통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안내돌기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복귀방지돌기와 상기 외통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부재와 접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이동돌기가 형성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녹크돌기가 형성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외통을 수용하며, 상기 솔지지수단의 후단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돌기는 상기 외통에 삽입될 시 상기 복귀방지돌기에 걸리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녹크돌기은 상기 외통에 삽입될 시 상기 복귀방지돌기에 걸리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1회째 전진 시 상기 녹크돌기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후진 시 상기 복귀방지돌기에 의해 후진이 저지되어 상기 솔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솔지지수단은, 상기 녹크수단의 하우징을 수용하는 하우징 수용부; 상기 솔지지편의 후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 수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솔지지편의 왕복이동에 따라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는 신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 하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봉삽입통의 선단부가 수용되며, 상기 봉삽입통의 선단부 외측은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 내측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품 용기의 밀폐 구조를 확보하여 화장품 액이 용기 내부에서 굳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품 용기를 안정적으로 보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부재를 눌러 봉삽입통의 선단부에 존재하는 매니큐어 액에 함침되어 있던 솔을 봉삽입통 밖으로 꺼내 원하는 위치에 매니큐어 작업을 할 수 있고, 녹킹수단에 의해 노출된 솔이 고정되므로 매니큐어 작업을 편안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녹킹수단에 의해 최대로 전진하여 노출된 솔이 소정의 거리만큼 후퇴되어 고정되는 동작원리를 이용하여 봉삽입통 선단부로 매니큐어 액이 추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양의 매니큐어 액을 솔에 함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 삽입통의 선단부의 내부에 매니큐어 액이 유입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 삽입통의 선단부의 내부에 매니큐어 액이 유입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용기는 매니큐어, 립글로즈, 수정액 등 같이 비교적 점도가 높은 액상으로 된 재료를 사용하는 모든 용기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용기(100)에 주입되는 액상의 재료는 매니큐어 액인 것으로, 용기는 매니큐어 용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기는 매니큐어, 립글로즈, 수정액 등 같이 비교적 점도가 높은 액상으로 된 재료를 사용하는 모든 용기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용기(100)에 주입되는 액상의 재료는 매니큐어 액인 것으로, 용기는 매니큐어 용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용기(200)는 크게 매니큐어 액 등 액상의 재료가 저장된 몸체부(260), 상기 몸체부(260) 일측에 구비된 캡(290), 상기 몸체부(260) 타측에 구비된 누름부재(240) 및 상기 누름부재(240)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솔의 통로를 제공하는 봉삽입통(210)을 포함한다. 도 1은 누름부재(240)가 돌출된 경우의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누름부재(240)가 몸체부(260)에 수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몸체부(260)는 내부의 매니큐어가 보일 수 있는 투명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리 또는 합성수지 소재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캡(290)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관시 캡(290)이 하측을 향하도록 세워놓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4는 솔이 용기 내부에 수용된 경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솔이 용기 외부로 최대한 돌출된 경우의 단면도이며, 도 6은 솔이 용기 외부로 최대한 돌출된 후 일부 후퇴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200)는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내부에 액상의 재료를 보관하는 본체부(250), 상기 본체부(250)의 후방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봉삽입통(210), 상기 봉삽입통(210) 내부로 삽입되며 선단에 솔(229)이 장착되는 솔지지편(227)을 포함하는 솔지지지수단(220), 상기 봉삽입통(210)의 후단에 결합되는 누름부재(240), 상기 봉삽입통(210)에 수용되고, 상기 솔지지수단(220)을 탄성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탄성부재(280), 상기 누름부재(240)와 상기 솔지지수단(220) 사이에 설치되는 녹크수단(250) 및 본체부의 일측을 커버하는 캡(290)을 포함한다.
상기 봉삽입통(210)은 상기 본체부 (260)의 후방에서 내부로 삽입되며, 본체부(260)에 담기는 액상의 재료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 유입홀(2161)이 형성되고, 후단(214)에는 용기마개(218)가 형성된다.
먼저 상기 봉삽입통(210)은 본체부(260)의 후방에서 내부로 삽입되며, 용기마개(218)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체결부(2181)와 상기 본체부(260)의 후단(266) 내부에 형성된 제2 체결부 (2661)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솔지지수단(220)은 상기 봉삽입통(210) 내부로 삽입되며, 녹크수단(250)의 하우징(257)을 수용하는 하우징 수용부(221), 솔지지편(227)의 후단부(2275)가 삽입되도록 하우징 수용부(22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솔지지편(227)의 왕복이동에 따라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는 신축부(223), 상기 신축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내부로 솔지지편(227)의 중단이 관통되는 연결부(225)를 포함한다. 솔지지편(227)의 선단에는 솔(229)이 구비된다.
솔지지수단(220)의 하우징 수용부(221)는 녹크수단(250)의 하우징(257)을 수용한 상태에서 용기마개(218)에 형성된 관통홀(2185)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된다.
전체적으로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용기(200)는 봉삽입통(210)을 기준으로 다른 구성요소들이 결합한 구조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솔지지수단(220)의 하우징 수용부(221)가 녹크수단(250)의 하우징(257)을 수용한 채 봉삽입통(210) 후단부(214)에 형성된 용기마개(218)의 관통홀(2185)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고정되고, 용기마개(218)에 다시 본체부(260)의 후단부(266)가 고정됨으로써, 화장품 용기(200)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누름부재(240)에 가해지는 외력 또는 탄성부재(280)의 탄성력에 따라 솔지지편(227)이 이동하는 경우 솔지지수단(220)의 신축부(223)는 하우징 수용부(221)가 용기마개(218)에 고정된 상태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신축부(223)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신축부(223)는 주름형태의 모양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나, 신축 동작을 위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솔지지편(227)의 후단부(2275)는 하우징 수용부(221) 및 신축부(223)에 수용된 채로 봉 삽입통(210)을 출입하므로, 매니큐어 액에 직접 노출되지 않게 된다. 만약 도 4 내지 도 6에서 하우징 수용부(221) 및 신축부(223)의 구성 없이 솔지지편(227)의 후단부(2275)가 봉삽입통(210)을 출입한다면, 솔(229)이 몸체부(260) 외부로 돌출될 시 솔지지편(227)의 후단부(2275)에 매니큐어 액이 묻게 된다. 상기 솔(229)이 몸체부(260) 내부로 다시 수용되는 경우, 솔지지편(227)의 후단부(2275)는 녹크수단(250)의 하우징(257) 내부로 이동된다. 이때, 솔지지편(227)의 후단부(2275)에 묻은 매니큐어 액은 공기에 노출되어 경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솔지지편(227)의 후단부(2275)는 하우징(257) 선단부에 형성된 홀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신축부(223)는 솔지지편(227)의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에 따라 신축하면서 솔지지편(227)의 후단부(2275)가 매니큐어 액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솔지지편(227)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솔지지편(227)을 제2 방향(D1)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280)를 포함한다. 탄성부재(280)의 일단의 지지를 위하여 연결부(225)에 링형 부재(228)가 삽입 고정될 수 있고, 탄성부재(280)의 타단의 지지를 위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안내부재(219) 외면의 돌출부(2191)가 활용될 수 있다.
녹크수단(250)은 누름부재(240)와 솔지지수단(220) 사이에 설치되고, 누름부재(240)가 제1 방향(D1)으로 1회째 전진하면, 솔지지편(227)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솔지지편을 제1 방향(D1)으로 전진시키며, 솔(229)이 본체부(260)의 선단부 바깥쪽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누름부재(240)가 제1 방향(D1)으로 2회째 전진하면, 탄성부재(280)의 탄성력에 의하여 솔(229)이 제2 방향(D2)으로 후퇴하여 봉삽입통(210)의 선단부(212) 내부로 수용되도록 한다.
누름부재(240)의 1회째 전진 시, 매니큐어 액이 함침된 솔(매니큐어액이 솔에 함침되는 원리는 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이 바깥쪽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자는 매니큐어 작업을 편안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재의 2회째 전진을 통해 솔(229)은 봉삽입통(210)의 선단부(212) 내부의 공간부로 수용되므로 솔(229)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봉삽입통(210)의 선단부(212) 내의 공간부에는 매니큐어 액이 존재하므로 솔(229)은 매니큐어 액에 함침되게 되며, 사용자는 누름부재(240)를 다시 전진시켜 솔에 묻은 매니큐어 액을 원하는 위치에 바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봉 삽입통(210)에 형성된 액 유입홀(2161)은 몸체부(260)의 본체(264) 내부에 존재하는 매니큐어 액을 봉삽입통(210)의 중간 영역(216)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중간 영역(216) 내부에 존재하는 매니큐어 액을 본체(264) 내부로 유출시키는 통로를 형성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봉삽입통(210)에는 솔지지수단(220) 및 탄성부재(180)가 수용되고, 누름부재(240) 및 솔지지편(227)의 이동에 의해 신축부(223)는 봉삽입통(210) 내에서 제1 방향(D1)으로 늘어나거나, 탄성부재(280)에 의해 봉삽입통(210) 내에서 제2 방향(D2)으로 줄어든다.
이때, 신축부(223)의 신축 동작에 따라 봉삽입통(210) 내에는 압력이 높아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봉삽입통(210)에 형성되는 다수의 액 유입홀(2161)을 통하여 매니큐어 액이 봉삽입통(210) 안팎으로 소통됨으로써, 용기(200) 내에서 전체적인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누름부재(240)를 눌러 신축부(223)를 신축시킬 때마다 용기(200)내 매니큐어 액이 고르게 섞임으로써, 매니큐어 액의 경화 현상 또한 예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발명의 화장품 용기의 녹크수단의 동작원리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녹크수단(250)은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통(251)과; 상기 외통(251)의 내면 일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형성되는 안내돌기(2513)와; 상기 안내돌기(2513) 사이를 한칸씩 걸러서 서로 연결하도록 외통(251)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안내돌기(2513)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복귀방지돌기(2515)와, 상기 외통(251)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부재(240)와 접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이동돌기(2533) 및 이동돌기(2533) 하부에 톱니(2535)가 형성되는 이동부재(253)와 상기 이동부재(253)의 하부에 설치되며,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녹크돌기(2553)가 형성되는 작동부재(255)와; 상기 외통(251)을 수용하며, 상기 솔지지수단(220) 후단의 하우징 수용부(221)에 수용되는 하우징(25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240)의 1회째 전진 시 상기 녹크돌기(2553)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며, 탄성부재(280)에 의해 제2 방향(D2)으로 소정 거리 후진 후 상기 복귀방지돌기(2515)의 끝면(2517)에 의해 후진이 저지되어 상기 솔(229)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작동부재(255)의 녹크돌기(2553)는 조립하였을 때에 외통(251)에 형성된 복귀방지돌기(2515)에 걸리는 높이로 형성된다. 녹크돌기(2553)는 끝면(2554)을 경사면으로 형성한다. 녹크돌기(2553)는 상기한 안내돌기(2513) 사이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한다.
이동부재(253)의 이동돌기(2533)는 조립하였을 때에 외통(251)에 형성된 복귀방지돌기(2515)에 걸리지 않는 높이로 형성된다. 이동부재(253)의 이동돌기(2533)는 상기한 안내돌기(2513) 사이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한다.
이동부재(253)의 제1 방향(D1)의 끝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안내돌기(2513)와 동일한 개수로 삼각형상의 톱니(2535)를 형성한다. 톱니(2535)는 삼각형상의 꼭지점이 안내돌기(2513)와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한 이동부재(253)의 이동돌기(2533) 중심선이 톱니(2535)의 중심선과 소정의 편심을 갖도록 구성하고, 이동돌기(2533)가 안내돌기(2513) 사이에 위치하여 안내돌기(2513)를 따라 이동할 때에 안내돌기(2513)의 끝면 및 복귀방지돌기(2515) 끝면(2517)의 경사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톱니(2535)의 경사면이 연결되도록 톱니(44)의 중심선이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이동부재(253)는 작동부재(255)의 몸통부(255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며, 외통(251)에 이동부재(253)와 작동부재(255)가 삽입된 후 외통(251)은 하우징(257)에 수용된다. 누름부재(240)는 외통(251)의 후단에 결합되며, 누름부재(240) 내부의 고정편(242)의 끝단(243)은 이동부재(253)의 중공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작동부재(255)의 일면은 솔지지편(227)의 후단(2275)의 끝단과 맞닿아 있어, 누름부재(240)에 가해지는 외력을 솔지지편(227)에 전달한다.
이하 녹크수단(25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누름부재(24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1회째 전진 시 누름부재(240)와 결합된 이동부재(253)를 제1 방향(D1)으로 전진시키게 되고, 작동부재(255)는 탄성부재(280)의 외력을 이기고 하우징(257)의 하부면(2571)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작동부재(255)는 탄성부재(28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 방향(D2)으로 힘이 가해진 상태이므로, 서로 대응되는 형상인 작동부재(255)의 녹크돌기(2553) 끝면(2554)과 이동부재(253)의 톱니(2535)는 맞닿은 상태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재(253)가 이동할 때에 이동부재(253)의 톱니(2535)의 경사면과 맞닿은 녹크돌기(2553)의 끝면(2554)이 안내돌기(2513)의 끝부분보다 더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작동부재(255)에 제 2 방향(D2)으로 탄성부재(280)의 외력이 작용하므로 작동부재(255)는 제2 방향(D2)으로 후퇴하면서, 녹크돌기(2553)는 경사면인 안내돌기(2513)의 끝면 및 복귀방지돌기(13)의 끝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웃하는 안내돌기(2513)을 타넘어 가고, 자연스럽게 작동부재(255)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복귀방지돌기(2515)가 형성되지 않은 안내돌기(2511) 사이를 따라 전진한 녹크돌기(2553)는 복귀방지돌기(2515)가 형성된 안내돌기(2511) 사이로 진입하고 녹크돌기(2553)가 복귀방지돌기(2515)이 끝면(2517)에 걸려 복귀가 저지된다. 작동부재(255)의 복귀가 저지됨에 따라, 본체부(260)의 선단부(262) 바깥쪽으로 이동된 솔(229)도 노출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매니큐어를 사용하기 위해 누름부재(240)를 계속 누를 필요가 없다. 반대로, 솔(229)에 다시 매니큐어 액을 묻히기 위해 사용자는 누름부재(240)를 다시 전진시킬 수 있고, 작동부재(2553)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함에 따라, 탄성부재(280)에 의해 작동부재(255)는 복귀방지돌기(2515)가 형성되는 않은 안내돌기(2511) 사이를 통해 후진함으로써, 다시 솔(129)은 봉삽입통(210)의 선단부(212) 내부의 공간부로 들어가 매니큐어 액에 함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솔에 매니큐어 액이 함침되는 동작원리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봉삽입통의 선단부에 액상재료가 유입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솔지지수단(220)의 솔지지편(227)는 안내부재(219)에 삽입된 상태로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때, 안내부재(219)는 봉삽입통(210)의 선단부(212)와 중간 영역(216) 사이에 고정된 상태로 솔지지편(277)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솔지지편(227)의 이동은 녹킹수단(250), 탄성부재(280) 및 누름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가능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안내부재(219)에 의해 솔지지편(227)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안내부재(219)에는 가이드홀(2193)이 형성된다. 또한, 안내부재(219)에는 가이드홀(2193)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며 가이드홀(2193)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짐으로써 매니큐어 액(10)을 수용하는 수용홀(219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내부재(219)에는 가이드홀(2193)의 제1 방향(D1)으로 연장형성되며, 가이드홀(2193)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유입홀(2197)이 형성될 수 있다.
솔지지편(227)은 솔지지편(227)의 일 영역으로부터 돌출된 확경부(2271) 및 확경부(2271)의 하측 영역에는 외경이 축소된 협경부(2273)를 포함한다. 확경부(2271)의 외경은 수용홀(2195)의 내경에 상응하고, 협경부(2273)의 외경은 가이드홀(219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가이드홀(2193)의 내경은 솔지지편(227)의 외경에 상응하거나, 상기 솔지지편(227)이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솔지지편(227)의 관통 시 가이드홀(2193)의 내면은 솔지지편(227)의 외면에 밀착된다. 솔지지편(227)이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시, 가이드홀(2193)은 탄성력을 가지는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솔지지편(227)이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유연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홀(2193)과 솔지지편(227) 외면과의 밀착력을 더욱 높아짐으로써, 밀폐성을 향상시킬 있다.
도 7b에서와 같이 솔지지편(227)이 제1 방향(D1)으로 이동함에 따라 확경부(2271) 및 협경부(2273)는 안내부재로 진입하고, 확경부(2271)가 수용홀(2193)로 진입이 시작된 직후부터 협경부(2273)는 가이드홀(2191)을 벗어나기 시작한다.
이때, 수용홀(2193) 내에 존재하는 액상재료는 확경부(2271)에 의해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여 협경부(2273)의 외주면을 따라 유입홀(2197)을 통과하여 봉삽입통(210) 선단부(212) 내면의 공간부(2121)로 유입된다.
솔지지편(227)의 외경이 가이드홀(2191)의 내경의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므로, 솔지지편(227)의 외경이 가이드홀(2191)을 관통할 때에는 수용홀(2195)에 존재하는 매니큐어 액이 안내부재(219)를 통해 공간부(2121)로 흐르는 것이 차단된다. 오직, 협경부(2273)가 가이드홀(2191)을 제1 방향(D1)으로 통과하는 시점에만 수용홀(2195)내의 매니큐어 액이 공간부(2121)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수용홀(2195)의 크기를 조절하여 공간부(2121)로 유입되는 매니큐어 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c 에서와 같이 상기 확경부(2271)가 상기 가이드홀(2191)에 의해 전진이 저지된 후, 앞서 녹킹수단(250)의 동작원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280)의 탄성력에 의하여 솔지지편(227)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후퇴하게 된다. 이때, 작동부재(255)의 녹크돌기(2553)는 소정의 거리 후퇴 후 안내돌기(2513)의 복귀방지돌기(2515)에 의해 복귀가 저지되므로 솔지지편(227) 또한 소정의 거리만큼만 후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솔지지편(227)의 후퇴에 의해, 도 7d 에서와 같이, 협경부(2273)는 제2 방향(D2)으로 가이드홀(2191)을 벗어나게 되며, 상기 가이드홀(2191)에는 상기 협경부(2273) 하단의 솔지지편(227)의 외면이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매니큐어 작업중에도 봉삽입통(210) 선단부(212) 내부의 공간부(2121)에 존재하는 매니큐어 액이 역류하거나, 본체부(200) 내부의 매니큐어 액이 공간부(2121)로 유입되어 매니큐어 액이 추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부(2121)에는 누름부재(240)가 외력에 의해 최대로 전진되는 경우에만 매니큐어액이 유입되며, 그 외의 상황에서는 공간부(2121)에 매니큐어 액이 유입되지 않으므로, 항상 일정한 매니큐어 액이 솔(229)에 함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부재(255)의 녹크돌기(2553)의 최대 전진 후 안내돌기(2513)의 복귀방지돌기(2515)에 의해 복귀가 저지될 때까지 후퇴되는 거리는 외통의 내부면에 복귀방지돌기(2515)가 형성되는 위치의 조절을 통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후퇴되는 거리는 가이드홀(2191)을 제1 방향(D1)으로 통과하여 최대 전진한 협경부(2273)가 다시 후퇴하여 가이드홀(2191)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거리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녹킹수단(250)에 의해 최대로 전진하여 노출된 솔(229)이 소정의 거리만큼 후퇴되어 고정되는 동작원리를 이용하여 매니큐어 작업 시 봉삽입통(210) 선단부(212) 내부의 공간부(2121)로 매니큐어 액이 추가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양의 매니큐어 액을 솔(229)에 함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에는 매니큐어를 바를 때 통상적으로 사용자 옆에 병을 두게 되므로 부주의에 의해 병이 쓰러질 위험이 상존하고, 사용을 마친 후 솔을 병에 넣어 마개를 돌리는 과정에서 아직 마르지 않은 매니큐어에 흠집이 발생할 수 있어 다시 매니큐어를 발라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매니큐어 용액에는 신나 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의 특성상 휘발성이 강하여 마개를 완전히 밀폐시키지 않는 이상 쉽게 휘발되게 되고, 용기 내의 매니큐어 액이 굳어지거나 변질되어 제품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부재를 눌러 봉삽입통의 선단부에 존재하는 매니큐어 액에 함침되어 있던 솔을 봉삽입통 밖으로 꺼내 원하는 위치에 매니큐어 작업을 할 수 있고, 녹킹수단에 의해 노출된 솔이 고정되므로 매니큐어 작업을 편안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녹킹수단에 의해 최대로 전진하여 노출된 솔이 소정의 거리만큼 후퇴되어 고정되는 동작원리를 이용하여 봉삽입통 선단부로 매니큐어 액이 추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양의 매니큐어 액을 솔에 함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00:화장품 용기
210: 봉삽입통
220:솔지지수단 240: 누름부재
250: 녹크수단 260: 본체부
280:탄성부재 290: 캡
223:신축부 227: 솔지지편
솔: 229 219:안내부재
2193:가이드홀 2195:수용홀
220:솔지지수단 240: 누름부재
250: 녹크수단 260: 본체부
280:탄성부재 290: 캡
223:신축부 227: 솔지지편
솔: 229 219:안내부재
2193:가이드홀 2195:수용홀
Claims (9)
-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액상의 재료가 저장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본체부에 저장된 액상의 재료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 유입홀이 형성된 봉삽입통;
상기 봉삽입통의 내부로 삽입되며, 선단에 솔이 장착되는 솔지지편을 포함하는 솔지지수단;
상기 봉삽입통의 후단에 결합되는 누름부재;
상기 봉삽입통에 수용되고, 상기 솔지지편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솔지지편에 상기 본체부 선단부의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누름부재와 상기 솔지지수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누름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1회째 전진하면 상기 솔이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 바깥 쪽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상기한 누름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2회째 전진하면 상기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솔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후퇴하여 상기 봉삽입통의 선단부 내부로 수용되도록 작동하는 녹크수단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삽입통 선단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솔지지편의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홀 및 상기 가이드홀의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수용홀을 포함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의 내경은 상기 솔지지편의 외경에 상응하거거나, 상기 솔지지편이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솔지지편의 관통 시 상기 가이드홀의 내면은 솔지지편의 외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탄성력을 가지는 얇은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솔지지편은 상기 솔지지편의 일 영역으로부터 돌출된 확경부 및 상기 확경부의 하측 영역에는 상기 솔지지편의 외경이 축소된 협경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홀 내에 존재하는 액상재료는 상기 확경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협경부의 외주면을 따라 봉삽입통 선단부의 내부의 상기 솔이 수용되는 공간부로 유입되되,
상기 확경부의 외경은 상기 수용홀의 내경에 상응하고, 상기 협경부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홀의 내경보다 작으며, 상기 솔지지편의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부분 중 상기 협경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홀의 내경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솔지지편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확경부가 상기 수용홀로 진입이 시작되면, 상기 협경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가이드홀을 벗어나기 시작하며, 상기 확경부가 상기 가이드홀에 의해 전진이 저지된 후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협경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후퇴하며, 상기 가이드홀에는 상기 협경부 하단의 상기 솔지지편의 외면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크 수단은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면 일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형성되는 안내돌기와; 상기 안내돌기 사이를 한칸씩 걸러서 서로 연결하도록 외통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안내돌기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복귀방지돌기와
상기 외통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부재와 접하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이동돌기가 형성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에 설치되며,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으로 분할하여 녹크돌기가 형성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외통을 수용하며, 상기 솔지지수단의 후단에 결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돌기는 상기 외통에 삽입될 시 상기 복귀방지돌기에 걸리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녹크돌기은 상기 외통에 삽입될 시 상기 복귀방지돌기에 걸리는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1회째 전진 시 상기 녹크돌기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후진 시 상기 복귀방지돌기에 의해 후진이 저지되어 상기 솔이 노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지지수단은,
상기 녹크수단의 하우징을 수용하는 하우징 수용부; 상기 솔지지편의 후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 수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솔지지편의 왕복이동에 따라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는 신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하부의 선단부에는 상기 봉삽입통의 선단부가 수용되며,
상기 봉삽입통의 선단부 외측은 상기 본체부의 선단부 내측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9549A KR101812412B1 (ko) | 2016-05-16 | 2016-05-16 | 화장품 용기 |
PCT/KR2016/007774 WO2017200143A1 (ko) | 2016-05-16 | 2016-07-18 | 화장품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9549A KR101812412B1 (ko) | 2016-05-16 | 2016-05-16 | 화장품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8897A true KR20170128897A (ko) | 2017-11-24 |
KR101812412B1 KR101812412B1 (ko) | 2017-12-27 |
Family
ID=60810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9549A KR101812412B1 (ko) | 2016-05-16 | 2016-05-16 | 화장품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2412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02276B1 (ko) | 1999-06-24 | 2001-09-22 | 박준일 | 녹크식 화장용구 |
KR100696364B1 (ko) * | 2006-03-06 | 2007-03-19 | 최만수 | 액상체 화장기구 |
-
2016
- 2016-05-16 KR KR1020160059549A patent/KR101812412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2412B1 (ko) | 2017-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22309B1 (ko) | 화장용브러시 | |
US8215857B2 (en) | Retractable substance dispenser | |
US6056470A (en) | Side-push type of container | |
US4838722A (en) | Device for dispensing flowable substances | |
US10321745B2 (en) | Innovative packaging for fluid product | |
US9642438B2 (en) | Cosmetic container | |
US10674802B2 (en) | Pen type cosmetics case | |
US20040184865A1 (en) | Retractable dispenser for fluid materials | |
US5042955A (en) | Dispenser with cleaning cap | |
CN107028328B (zh) | 液状化妆品容器 | |
KR101829272B1 (ko) | 화장품 용기 | |
KR101812412B1 (ko) | 화장품 용기 | |
KR100696364B1 (ko) | 액상체 화장기구 | |
KR101595518B1 (ko) | 화장품 용기 | |
US20150098746A1 (en) | Retractable cosmetic pencil | |
US10786063B2 (en) | Flow-through applicator device | |
KR900006221Y1 (ko) | 액상체 도포기구 | |
KR101671419B1 (ko) | 화장품 용기 | |
KR101893787B1 (ko) | 펜타입 화장품 용기 | |
KR200463134Y1 (ko) | 출몰식 마스카라 도포 용기 | |
KR20160134296A (ko) | 화장품 용기 | |
JP2017113163A (ja) | 塗布具 | |
US2847691A (en) | Fountain applicator | |
KR20130047716A (ko) | 다기능 패키지 | |
US8371766B2 (en) | Penpoint-like liquid distribu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