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867A - 무선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8867A KR20170128867A KR1020160059454A KR20160059454A KR20170128867A KR 20170128867 A KR20170128867 A KR 20170128867A KR 1020160059454 A KR1020160059454 A KR 1020160059454A KR 20160059454 A KR20160059454 A KR 20160059454A KR 20170128867 A KR20170128867 A KR 201701288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blocks
- wireless charging
- present
- magnetic fiel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2J7/025—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 충전 장치는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자기장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이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이 교차되는 지점에서의 상기 제1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서로 교차되며, 상기 복수의 자기장 블록들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 코일이 송신 코일에 대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 위치해도 충전이 가능하고, 다수의 블록형 자기장을 형성하여 충전 장치의 어느 위치에서도 충전이 가능한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또는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는 그 특성상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동되며,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이를 서로 접촉시킴으로 인하여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접촉식 충전방식은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쉽고 이러한 이유로 배터리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접촉 단자가 습기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충전이 올바르게 수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무선 충전 또는 무접점 충전 기술이 개발되어 최근 많은 전자 기기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무선 전력 송수신을 이용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별도의 충전 커넥터에 의한 연결없이, 휴대폰을 단지 충전 패드에 올려놓기만 하면 자동으로 배터리가 충전이 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무선 충전 기술은 무선 전동 칫솔이나 무선 전기 면도기 등에 적용되어 일반인들에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 기술은 전자제품을 무선으로 충전함으로써 방수 기능을 높일 수 있고, 유선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자 기기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다가오는 전기차 시대에도 관련 기술이 크게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에는 크게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방식과, 공진(ResoNaNce)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 전송 방법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 간의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코일에 자석을 움직이면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송신단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수신단에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류가 유도되어 에너지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현상을 자기 유도 현상이라고 일컬으며 이를 이용한 전력 전송 방법은 에너지 전송 효율이 뛰어나다.
공진 방식은 2005년 MIT의 "Soljacic" 교수에 의해 "Coupled Mode Theory"으로서 발표되었으며, 공진 방식 전력 전송 원리를 사용하여 충전장치와 몇 미터(m)나 떨어져 있어도 전기가 무선으로 전달되는 시스템이다. MIT팀의 무선 충전시스템은 공명(resoNaNce)이라는 소리 굽쇠를 울리면 옆에 있는 와인잔도 그와 같은 진동수로 울리는 물리학 개념을 이용한 것이다. 연구팀은 소리를 공명시키는 대신, 전기 에너지를 담은 전자기파를 공명시켰다. 공명된 전기 에너지는 공진 주파수를 가진 기기가 존재할 경우에만 직접 전달되고 사용되지 않는 부분은 공기 중으로 퍼지는 대신 전자장으로 재흡수되기 때문에 다른 전자파와는 달리 주변의 기계나 신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은 일반적으로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이 수평대 수평으로 올려질 때 충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마트 워치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단말기의 경우 충전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충전 장치의 모든 위치에서 충전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도 있고, 충전이 가능하더라도 위치에 따라 충전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즉, 충전 장치가 단말기보다 큰 경우, 충전기의 모든 위치에서 최적의 충전이 이루어 질 수 없게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단말기가 놓이를 위치를 감지하여 코일을 이동시키거나, 단말기가 놓여지는 위치의 코일에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 충전 장치는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34773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2972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 코일이 송신 코일에 대해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 위치해도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 장치의 어느 위치에서도 충전이 가능한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는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자기장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이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코일이 교차되는 지점에서의 상기 제1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서로 교차되며, 상기 복수의 자기장 블록들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기장 블록들은 3면의 코일로 둘러싸이는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 상기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3면의 코일로 둘러싸이고 1면이 개방되는 제1 내지 제4 오픈 블록들 및 4면의 코일로 둘러싸이는 제5 밀폐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밀폐 블록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오픈 블록들은 동일한 평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오픈 블록들은 상기 수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5 밀폐 블록은 상기 수평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코일과 중첩하는 제2 내지 제n 코일(n은 2 이상의 자연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자기 공진식 충전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는 복수의 자기장 블록을 포함한다. 따라서, 복수의 자기장 블록의 포함하고 있어, 코일의 어느 위치에서나 높은 효율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장 블록들에는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자기장들이 형성되어 송신 코일에 수신 코일을 수평 대 수평으로 위치하는 경우뿐 아니라, 수평 대 수직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도 높은 효율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단말기를 충전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과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과 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과 하우징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코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6 내지 도 9에서 나타내고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이 적용된 무선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단말을 충전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과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과 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과 하우징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코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6 내지 도 9에서 나타내고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이 적용된 무선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단말을 충전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에 단말기를 충전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코일(100) 및 코일이 배치되는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100)은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자기장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일(100)은 3 면의 코일로 둘러싸이는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CB1, CB2, CB3 및 CB4), 상기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CB1, CB2, CB3 및 CB4)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3면의 코일로 둘러싸이고 1면이 개방되는 제1 내지 제4 오픈 블록들(OB1, OB2, OB3 및 OB4) 및 4 면의 코일로 둘러싸이는 제5 밀폐 블록(CB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100)의 상기 제1 밀폐 블록(CB1)은 상기 제2 밀폐 블록(CB2)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밀폐 블록(CB1)은 상기 제4 밀폐 블록(CB4)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자기장 블록들은 서로 180도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100)의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CB1, CB2, CB3 및 CB4)의 바깥쪽 코일은 각각 1/4원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코일(100)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코일(100)은 교차에 의해 자기장 블록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일(100)은 자기 공진식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CB1, CB2, CB3 및 CB4), 상기 제1 내지 제4 오픈 블록들(OB1, OB2, OB3 및 OB4) 및 상기 제5 밀폐 블록(CB5)들은 모두 동일한 평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10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일(100)은 교차에 의해 자기장 블록들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코일(100)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100)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상기 코일(10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CD)은 서로 교차된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코일들에 형성되는 자기장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하는 코일들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방향(FD)이 서로 다르므로, 하나의 자기장 블록에서는 여러 개의 자기장의 방향(FD)이 서로 교차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자기장 블록 내에서 극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CB1, CB2, CB3 및 CB4) 및 상기 1 내지 제4 오픈 블록들(OB1, OB2, OB3 및 OB4)에서는 각각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세 개의 자기장이 인접하여 형성된다. 또한, 제5 밀폐 블록(CB5)에서는 각각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자기장이 인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100)은 모두 9개의 자기장 블록을 형성하고 있으며, 각각의 블록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자기장이 인접하여 형성되므로, 각 자기장 블록에 수신 코일이 위치하는 경우 충전이 가능하다.
즉, 코일의 특정 부분에서만 충전이 가능한 종래의 코일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100)은 복수의 자기장 블록의 포함하고 있어, 코일의 어느 위치에서나 높은 효율의 충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와 같이 크기가 비교적 작은 단말기를 충전할 때,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 코일의 크기가 스마트 워치의 수신 코일의 크기보다 현저히 크게 되면 무선 충전기의 특정 위치에 스마트 워치를 위치해야만 정상적인 충전이 가능하나, 본 발명과 같이 코일이 복수의 자기장 블록을 형성하는 경우, 복수의 자기장 블록에 균일한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으므로 충전기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높은 효율의 충전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각 자기장 블록에서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자기장이 형성되므로, 수신 코일이 무선 충전 장치와 수평 대 수평으로 위치하지 않고, 수평 대 수직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도 높은 효율의 충전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300)에는 상기 코일(100)이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300)은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30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하우징(300)위에 단말기(10)가 놓여진 채 충전되는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단말기(10)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소형 단말기일 수 있으며, 무선 충전 장치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의 수신 코일은 송신 코일에 대해 수평 대 수직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무선 충전 장치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충전 장치의 어느 위치에서도 높은 효율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이 수평 대 수평으로 위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수평 대 수직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도 높은 효율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도 1에 도시된 상태로도 높은 효율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1110)은 3 면의 코일로 둘러싸이는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CB1, CB2, CB3 및 CB4), 상기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CB1, CB2, CB3 및 CB4)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3면의 코일로 둘러싸이고 1면이 개방되는 제1 내지 제4 오픈 블록들(OB1, OB2, OB3 및 OB4) 및 4 면의 코일로 둘러싸이는 제5 밀폐 블록(CB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100)의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CB1, CB2, CB3 및 CB4)은 각각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코일(1100)은 전체적으로 팔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코일(1100)은 교차에 의해 자기장 블록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일(1100)은 자기 공진식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CB1, CB2, CB3 및 CB4), 상기 제1 내지 제4 오픈 블록들(OB1, OB2, OB3 및 OB4) 및 상기 제5 밀폐 블록(CB5)들은 모두 동일한 평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100)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제1 코일(100) 및 제2 코일(2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코일(100)은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자기장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일(100)은 3 면의 코일로 둘러싸이는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CB1, CB2, CB3 및 CB4), 상기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CB1, CB2, CB3 및 CB4)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3면의 코일로 둘러싸이고 1면이 개방되는 제1 내지 제4 오픈 블록들(OB1, OB2, OB3 및 OB4) 및 4 면의 코일로 둘러싸이는 제5 밀폐 블록(CB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100)의 상기 제1 밀폐 블록(CB1)은 상기 제2 밀폐 블록(CB2)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밀폐 블록(CB1)은 상기 제4 밀폐 블록(CB4)과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자기장 블록들은 서로 180도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100)의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CB1, CB2, CB3 및 CB4)의 바깥쪽 코일은 각각 1/4원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코일(100)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코일(100)은 교차에 의해 자기장 블록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일(100)은 자기 공진식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코일(200)은 상기 제1 코일(10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코일(200)은 상기 제1 코일(100)과 중첩한다. 상기 제2 코일(200)은 상기 제1 코일(100)과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코일(200)은 상기 제1 코일(100)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장치는 제1 코일(100) 및 제2 코일(200)을 포함한다. 즉, 제2 코일(200)을 더 포함하므로, 무선 충전 장치의 인덕턴스 (L)값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충전 장치의 인덕턴스 (L)값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코일과 중첩하는 제2 내지 제n 코일(n은 2 이상의 자연수)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과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과 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과 하우징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코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코일(2100) 및 코일이 배치되는 하우징(23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300)은 수평부(2310) 및 상기 수평부(231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232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부(2320)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직부(2320)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코일(2100)은 상기 하우징(2300)에 배치된다. 상기 코일(2100)은 2의 코일(100)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2100)은 도 2의 코일(100)과 동일하게 3 면의 코일로 둘러싸이는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CB1, CB2, CB3 및 CB4), 상기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CB1, CB2, CB3 및 CB4)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3면의 코일로 둘러싸이고 1면이 개방되는 제1 내지 제4 오픈 블록들(OB1, OB2, OB3 및 OB4) 및 4 면의 코일로 둘러싸이는 제5 밀폐 블록(CB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2100)의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CB1, CB2, CB3 및 CB4) 및 제1 내지 제4 오픈 블록들(OB1, OB2, OB3 및 OB4)은 상기 수직부(2320)에 배치되며, 상기 제5 밀폐 블록(CB5)은 상기 수평부(2310)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코일(2100)이 배치되는 하우징(2300)을 커버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장치는 입체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수신 코일이 상이 수평부(2100)위에 놓여 충전되거나, 수신 코일이 상기 수직부(2300)에 인접하게 놓여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장치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단말기를 충전하는 경우, 워치의 줄이 분리되지 않는 경우 워치 본체를 상기 수평부(2100)위에 올려놓고, 워치의 줄은 상기 수직부(2300)에 놓인채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충전 장치는 복수의 자기장 블록을 포함한다. 따라서, 복수의 자기장 블록의 포함하고 있어, 코일의 어느 위치에서나 높은 효율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장 블록들에는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자기장들이 형성되어 송신 코일에 수신 코일을 수평 대 수평으로 위치하는 경우뿐 아니라, 수평 대 수직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도 높은 효율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6 내지 도 9에서 나타내고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이 적용된 무선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단말을 충전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에는 도 6 내지 도 9에서 나타내고 있는 입체형 코일을 적용되어 그 중앙부분이 볼록하게 반구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무선 충전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충전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a에는 볼록하게 돌출된 반구의 윗부분을 이용하여 충전하고 있는 모습이며, 도 10b는 볼록하게 돌출된 반구의 측면 부분을 이용하여 충전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와같이 본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장치는 측면 및 상부 모두를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단말기
100: 제1 코일
200: 제2 코일 300: 하우징
CB1, CB2, CB3, CB4, CB5: 제1 내지 제5 밀폐 블록
OB1, OB2, OB3, OB4: 제1 내지 제4 오픈 블록
200: 제2 코일 300: 하우징
CB1, CB2, CB3, CB4, CB5: 제1 내지 제5 밀폐 블록
OB1, OB2, OB3, OB4: 제1 내지 제4 오픈 블록
Claims (6)
-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자기장 블록들을 포함하는 제1 코일; 및
상기 제1 코일이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이 교차되는 지점에서의 상기 제1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서로 교차되며, 상기 복수의 자기장 블록들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기장 블록들은
3면의 코일로 둘러싸이는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
상기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3면의 코일로 둘러싸이고 1면이 개방되는 제1 내지 제4 오픈 블록들; 및
4면의 코일로 둘러싸이는 제5 밀폐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밀폐 블록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오픈 블록들은 동일한 평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밀폐 블록들 및 상기 제1 내지 제4 오픈 블록들은 상기 수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5 밀폐 블록은 상기 수평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코일과 중첩하는 제2 내지 제n 코일(n은 2 이상의 자연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자기 공진식 충전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9454A KR20170128867A (ko) | 2016-05-16 | 2016-05-16 | 무선 충전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9454A KR20170128867A (ko) | 2016-05-16 | 2016-05-16 | 무선 충전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8867A true KR20170128867A (ko) | 2017-11-24 |
Family
ID=6081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9454A KR20170128867A (ko) | 2016-05-16 | 2016-05-16 | 무선 충전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28867A (ko) |
-
2016
- 2016-05-16 KR KR1020160059454A patent/KR20170128867A/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98121B2 (en) | Capacitively balanced inductive charging coil | |
JP5553368B2 (ja) | 電子装置の無線充電コイル構造 | |
CN101771283B (zh) | 充电系统 | |
KR102423618B1 (ko) | 무선 전력 송신기 | |
CN108391457A (zh) | 利用三维相位线圈阵列的无线充电平台 | |
CN203366973U (zh) | 非接触充电模块以及使用该非接触充电模块的接收侧非接触充电设备及发送侧非接触充电设备 | |
US20170256990A1 (en) | Receiver Coil Arrangements for Indu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for Portable Devices | |
Kim et al. | Plane-type receiving coil with minimum number of coils for omnidirectional wireless power transfer | |
US9384887B2 (en) | Devices and methods for pairing inductively-coupled devices | |
KR102483060B1 (ko) | 무선 전력 송신기 | |
WO2017100747A1 (en) | System for indu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for portable devices | |
CA3046620A1 (en) | Segmented and longitudinal receiver coil arrangement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 |
Zhong et al. | Analysis on a single-layer winding array structure for contactless battery charging systems with free-positioning and localized charging features | |
KR100524254B1 (ko) |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접점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그코어 블록의 설계 방법 | |
CN107276249A (zh) | 一种磁耦合谐振式无线电能传输碗状原边线圈 | |
CN104377838A (zh) | 磁场分布控制装置 | |
Mao et al. | Double-layer coil designs and combined current flow regulation schemes for octangle wireless charging containers | |
Abou Houran et al. | Design and analysis of coaxial cylindrical WPT coils for two-degree-of-freedom applications | |
KR20170128867A (ko) | 무선 충전 장치 | |
US11264836B2 (en) | Wireless kinetic charger | |
KR20170128884A (ko) | 무선 충전 장치 | |
CN214543818U (zh) | 一种新型无线充电器 | |
KR20120019216A (ko) | 무선 전력전달 장치 | |
KR20170128870A (ko) | 무선 충전 장치 | |
JP2002231545A (ja) | 非接触電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