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002A - Connection socket of steel column and beam, and framework connection structure of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nection socket of steel column and beam, and framework connection structure of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002A
KR20170128002A KR1020160059065A KR20160059065A KR20170128002A KR 20170128002 A KR20170128002 A KR 20170128002A KR 1020160059065 A KR1020160059065 A KR 1020160059065A KR 20160059065 A KR20160059065 A KR 20160059065A KR 20170128002 A KR20170128002 A KR 20170128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lumn
pipe portion
reinforc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0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주)피에스테크
주식회사 스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에스테크, 주식회사 스틸코 filed Critical (주)피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60059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8002A/en
Publication of KR20170128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0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21Socket type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connection socket of a steel column and a beam, and a framework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constructability to easily connect a steel column and a column, and a column and a beam through a bolt coupling and insertion coupling structure instead of w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socket of a steel column and a beam may comprise: a first steel pipe unit to which at least one beam is coupled to an external side surface; a second steel pipe unit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steel pipe unit, and protruding compared to an upper end a lower end of the first steel pipe unit, wherein end portions of an upper steel pipe column and a lower steel pipe column are individually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n upper end protruding portion and a lower end protruding portion; and a filling material filled in the inside of the second steel pipe unit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units.

Description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및 이를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CONNECTION SOCKET OF STEEL COLUMN AND BEAM, AND FRAMEWORK CONNECTION STRUCTURE OF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본 발명은 강관 기둥과 기둥, 그리고 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연결소켓과, 이를 이용하여 강관 골조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골조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ipe column, a column, a connection socket for connecting the column and the beam, and a frame connection structure for facilitating construction of steel pipe frame using the connection socket.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의 골조는 사각 또는 원형과 같은 강관 기둥에 보를 연결하거나,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Generally, the frame of an architectural structure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a beam to a steel pipe column such as a square or a circle, or connecting a column to a column.

종래에는 강관 기둥에 보를 연결할 경우, 보의 단부에 부착된 엔드플레이트를 기둥의 외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기둥과 보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강관 기둥과 기둥을 연결할 경우, 상부 강관기둥과 하부 강관기둥 사이에 강관 접합부를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 강관기둥의 하단과 하부 강관기둥의 상단을 강관 접합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용접하여 접합함으로써 기둥과 기둥의 연결이 이루어진다.Conventionally, when a beam is connected to a column of a steel pipe, the end plate attached to the end of the beam is joi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by welding, thereby connecting the column and the beam. In addition, when the steel pipe column is connected to the column,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column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column are welded and weld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teel pipe joint, respectively, with the steel pipe joint between the upper steel pipe column and the lower steel pipe column, And the column are connected.

그러나, 종래의 골조 연결구조는 기둥과 기둥, 그리고 기둥과 보를 용접에 의해 접합하게 되므로 용접과정에서 오차 발생으로 인하여 제작이 어렵고, 기둥과 기둥 그리고 기둥과 보를 함께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시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강관에 압축 및 인장 발생 시 기둥과 기둥 그리고 기둥과 보의 용접부위에서 강도가 약하여 골조 연결구조가 변형되거나 파괴되어 안전사고발생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rame connection structure is difficult to manufacture due to the occurrence of errors in the welding process because the columns and the columns and the columns and the beams are welded to each other by welding, and it is not easy to connect the columns and the columns and the beams together. There are disadvantages. In addition, when the steel pipe is compressed and tensioned, the strength of the column and column and the welded portion of the column and the beam are weak, so that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rame is deformed or broken.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8309호(2011.12.27)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1-0138309 (December 27, 2011)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31735호(1996.09.17)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996-0031735 (September 17, 199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강관 기둥과 기둥, 그리고 기둥과 보를 용접이 아닌 볼트체결 및 끼움결합 구조를 통해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과, 이를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capable of improving the workability so that the steel pipe column, the column, and the column and the beam can be easily connected through the bolt fastening and fitting structure instead of welding, The purpose of the connection structure is to provid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가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 1 강관부; 상기 제 1 강관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강관부의 상단 및 하단보다 돌출되며, 상부 강관기둥과 하부 강관기둥의 단부가 상단 돌출부와 하단 돌출부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 2 강관부; 및 상기 제 2 강관부의 내부에 충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강관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including: a first steel pipe section having at least one or more beams coupled to an outer surface; A second steel pipe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and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and having the end portions of the upper steel pipe column and the lower steel pipe column inserted into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And a filling material filled in the second steel pipe part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parts.

또한, 상기 제 1 강관부는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의 폐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강관부는 상기 제 1 강관부의 내측면에 접하고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의 폐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강관부 및 상기 제 2 강관부는 서로 대응되도록 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teel pipe portion has a hollow closed end face passing through the inside thereof, and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has a hollow closed end face contacting the inner side face of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and penetrating the inside thereof,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may be formed in a square or circular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충진재는 내부에 중공홀을 형성하거나 중공홀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충진재의 일부를 빈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filling material may have a hollow hole formed therein or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low hole to form a part of the filler material as an empty space.

또한, 상기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은, 상기 제 2 강관부의 내부에서 상기 충진재에 매립되게 설치되며, 인장 및 압축 발생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강관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el pipe column and the beam connecting socket are installed in the filler material in the second steel pipe section to reinforce the str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sections so as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generation of tension and compression And a stiffener.

또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 2 강관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강관부의 상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보와 체결되고, 상기 보의 하중에 의해 강관 상부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한 강관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 1 보강재; 및 상기 제 2 강관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강관부의 하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보와 체결되고, 상기 보의 하중에 의해 강관 하부에서 발생하는 압축력에 의한 강관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 2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is engaged with the beam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inside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and prevents the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due to the tensile force gener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l pipe by the load of the beam A first stiffener; And a second reinforcement member fastened to the beam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inside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and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due to a compressive force gener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pipe due to the load of the beam .

또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 2 강관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보강몸체; 및 상기 보강몸체의 측면에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강관부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강관부와 상기 보의 체결을 위한 볼트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may include: a reinforcing body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And a plurality of female screw portions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reinforcing body and bolts for fastening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portions to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portions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can do.

또한, 상기 제 2 강관부가 사각형을 이루는 경우, 상기 보강몸체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나사부는 상기 보강몸체의 사각 모서리 각각에 한 쌍이 서로 직교되게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 암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has a quadrangle shape, the reinforcing body is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ipe having an opening at the center,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is formed by protruding one pair at each of the square corners of the reinforcing body, Holes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제 2 강관부가 원형을 이루는 경우, 상기 보강몸체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나사부는 상기 보강몸체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 암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steel pipe has a circular shape, the reinforcing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ipe having an opening at the center, and the female screw part is formed in a plurality of radial protrusion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ody and a female screw hole .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가 외측면에 결합되는 강관부; 상기 강관부의 내부에 복수 개 삽입되어 상기 강관부의 내측을 보강하고, 상기 강관부의 상단 및 하단보다 돌출되며, 상부 강관기둥과 하부 강관기둥의 단부가 상단 돌출부와 하단 돌출부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내부보강판; 및 상기 내부보강판의 내부에 충진되어 상기 강관부 및 상기 내부보강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including: a steel pipe portion having at least one beam coupled to an outer surface; A plurality of inner reinforcing plates inserted in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section to reinforce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section and protrude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teel pipe section and the end portions of the upper steel pipe column and the lower steel pipe column are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 projecting sections, ; And a filling material filled in the inner reinforcing plat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또한, 상기 강관부는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의 폐단면을 가지며, 상기 내부보강판은 상기 강관부의 내측면을 따라 분할 배열되는 다수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강관부 및 상기 내부보강판은 서로 대응되도록 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eel pipe portion has a hollow closed end face passing through the inside thereof,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is made of a plurality of plate materials arranged in an array along the inner side face of the steel pipe portion, and the steel pipe portion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are made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in a square or circular shape.

또한, 상기 충진재는 내부에 중공홀을 형성하거나 중공홀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충진재의 일부를 빈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filling material may have a hollow hole formed therein or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low hole to form a part of the filler material as an empty space.

또한, 상기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은, 상기 내부보강판의 내부에서 상기 충진재에 매립되게 설치되며, 인장 및 압축 발생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강관부 및 상기 내부보강판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el pipe column and the beam connecting socket are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filling material inside the inner reinforcing plate and reinforce the strengths of the steel pipe portion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so as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tensile and compression incidence And a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reinforcing member.

또한, 상기 보강재는, 상기 내부보강판의 내부에서 상기 강관부의 상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보와 체결되고, 상기 보의 하중에 의해 강관 상부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한 강관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 1 보강재; 및 상기 내부보강판의 내부에서 상기 강관부의 하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보와 체결되고, 상기 보의 하중에 의해 강관 하부에서 발생하는 압축력에 의한 강관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 2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reinforcing member that is engaged with the beam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eel pipe portion inside the inner reinforcing plate and prevents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due to a tensile force generated by the load of the steel pipe, reinforcement; And a second reinforcement member fastened to the beam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steel pipe portion inside the inner reinforcement plate and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due to a compressive force gener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pipe due to the load of the beam .

또한, 상기 보강재는, 상기 내부보강판이 이루는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보강몸체; 및 상기 보강몸체의 측면에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보강판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강관부 및 상기 내부보강판과 상기 보의 체결을 위한 볼트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may include: a reinforcing body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internal reinforcing plate; And a plurality of female screw portions protruding from a side surface of the reinforcing body and bolts for fastening the steel pipe portion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to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 can do.

또한, 상기 내부보강판이 사각형을 이루는 경우, 상기 보강몸체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나사부는 상기 보강몸체의 사각 모서리 각각에 한 쌍이 서로 직교되게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 암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inner reinforcing plate has a rectangular shape, the reinforcing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ipe having an opening at the center, and the female threaded portion is formed at each of the square corners of the reinforcing body so as to protrude orthogonally to each other, Can be formed.

또한, 상기 내부보강판이 원형을 이루는 경우, 상기 보강몸체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나사부는 상기 보강몸체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 암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inner reinforcing plate has a circular shape, the reinforcing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ipe having an opening at the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the female threaded portions are radially protrud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ody and a female screw hole is formed at the end .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는, 상기와 같은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상기 제 2 강관부의 상단 돌출부와 하단 돌출부에 각각 끼워지는 상부 및 하부 강관기둥; 상기 제 1 강관부의 외측면에 엔드플레이트가 접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 상기 제 2 강관부가 상기 제 1 강관부의 내부로 삽입되기 전 상기 제 2 강관부에 회전이 방지되게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너트; 및 상기 강관기둥의 외부에서 상기 강관기둥 및 상기 제 2 강관부의 측면을 관통한 후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강관기둥을 상기 제 2 강관부에 고정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부에서 상기 엔드플레이트, 상기 제 1 강관부 및 상기 제 2 강관부의 측면을 관통한 후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보를 상기 제 1 강관부에 고정하는 다수의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Upper and lower steel pipe columns respectively fitted into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of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At least one beam disposed so that the end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A plurality of fixing nuts fixed to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so as to prevent rotation before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teel pipe column to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side surfaces of the steel pipe column and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from the outside of the steel pipe column, And a plurality of bolts passing through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and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and then being fixed to the fixing nut to fix the beam to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는, 상기와 같은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상기 내부보강판의 상단 돌출부와 하단 돌출부에 각각 끼워지는 상부 및 하부 강관기둥; 상기 강관부의 외측면에 엔드플레이트가 접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 상기 내부보강판이 상기 강관부의 내부로 삽입되기 전 상기 내부보강판에 회전이 방지되게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너트; 및 상기 강관기둥의 외부에서 상기 강관기둥 및 상기 내부보강판의 측면을 관통한 후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강관기둥을 상기 내부보강판에 고정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부에서 상기 엔드플레이트, 상기 강관부 및 상기 내부보강판의 측면을 관통한 후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보를 상기 강관부에 고정하는 다수의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Upper and lower steel pipe columns respectively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 At least one beam disposed so that the end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section; A plurality of fixing nuts fixed to the inner reinforcing plate to prevent rotation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 before the inner reinforcing plate is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portion; And fixing the steel pipe column to the inner reinforcing plate by passing through the side of the steel pipe column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from the outside of the steel pipe column and then fastening the fixing nut to the end plate, And a plurality of bolts passing through the steel pipe section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 and then fastened to the fixing nut to fix the beam to the steel pipe section.

본 발명의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및 이를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상부 강관기둥과 하부 강관기둥을 연결소켓의 상단 돌출부와 하단 돌출부에 각각 끼워서 볼트 체결하고, 보를 연결소켓에 볼트 체결함으로써, 기둥과 기둥, 그리고 기둥과 보를 기존의 용접을 통한 접합구조에 비해 간단하면서도 더욱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용접에 의한 접합구조가 아닌 끼움 및 볼트에 의한 체결구조를 통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강관 연결부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 columns are bolted to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of the connection socket, respectively, and the bolts are fastened to the connection socket, It is simple and stronger than the structur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workability through the fitting structure by the fitting and the bolt, not by the conventional welding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teel pipe connec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연결소켓의 내부에 콘크리트와 같은 충진재를 채워서 인장 및 압축 발생 시 연결소켓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충진재의 내부에 중공홀을 형성함으로써 부재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socket when the connection socket is filled with the filling material such as concrete by tension and compression, and can reduce the weight of the member by forming the hollow hole in the filling materia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연결소켓의 내부에 보강재를 구비함으로써, 강관에서 인장 및 압축 발생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성능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inforcing the structural performance so as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tension and compression in the steel pipe by providing the reinforcing member in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socke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의 내부에 충진재가 구비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의 내부에 중공홀이 형성된 충진재가 구비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의 내부에 충진재 및 보강재가 구비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의 내부에 중공홀이 형성된 충진재 및 보강재가 구비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는 도 10에 나타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에 구비된 보강재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에서 보강재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결합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에 구비된 보강재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에서 보강재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의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의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ing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filler is provided inside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on socket shown in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filler having a hollow hole is formed in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on socket shown in Fig.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filler and a reinforcement are provided in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on socket shown in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filler and a reinforcing member are provided with a hollow hole in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ing a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shown in FIG. 10;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column and a reinforcing member provided in the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showing a fastening structure of a reinforcing member in a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ing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ing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column and a reinforcing member provided in the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lan view showing a fastening structure of a reinforcing member in a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ing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ing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ing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및 이를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which: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unnecessarily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1 and 2 are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ing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on so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골조 연결구조(1)는 이중 각형강관 형태로 이루어진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100)을 이용하여 강관 기둥과 기둥, 그리고 기둥과 보를 볼트 체결할 수 있다.1 and 2, a frame connection structure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on socket 100 formed in the form of a double rectangular steel pipe, The bolts can be fastened to the column and the beam.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골조 연결구조(1)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100), 상부 및 하부 강관기둥(10)(20), 보(30), 고정너트(40) 및 볼트(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connection structur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100, upper and lower steel pipe columns 10 and 20, a beam 30, a fixing nut 40, (50).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100)은 각형강관의 제 1 강관부(110)에 제 2 강관부(120)가 삽입된 이중 각형강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100)은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The steel pipe column and the beam connecting socket 100 are formed in the form of a double rectangular steel pipe in which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1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110 of the square steel pipe.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3.

상부 강관기둥(10)과 하부 강관기둥(20)은 각형, 예컨대 사각형 강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강관기둥(10)의 하단과 하부 강관기둥(20)의 상단이 제 2 강관부(120)의 상단 돌출부(120a)와 하단 돌출부(120b)에 각각 외측에서 끼워져 결합된다. 상부 강관기둥(10)의 하단과 하부 강관기둥(20)의 상단에는 볼트 관통홀(11, 21)이 다수 개 형성된다.The low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uch as a rectangular steel pipe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And are fitted to the upper end protrusion 120a and the lower end protrusion 120b from outside, respectively.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11, 21) are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보(30)는 단부에 각형 강관의 외측면과 대응되도록 평면형 엔드플레이트(31)가 용접에 의해 접합되고, 엔드플레이트(31)가 제 1 강관부(11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볼트(50)로 체결된다. 보(30)의 엔드플레이트(31)에는 볼트 관통홀(32)이 다수 개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보(30)의 엔드플레이트(31)는 제 1 강관부(110)보다 상하로 더 길게 형성되어 엔드플레이트(31)의 상,하단부가 상부 강관기둥(10)과 하부 강관기둥(20)의 외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볼트(50)로 체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H형강 단면 형태의 보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단면을 갖는 보를 적용할 수 있다.The beam 30 is welded to the flat end plate 31 so as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at the end thereof and the end plate 31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110 A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32 are formed in the end plate 31 of the beam 3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end plate 31 of the beam 30 is longer than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11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end plate 31 are connected to the upp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lower And may be fastened with bolts 50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column 2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am having the H-shaped cross section i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beams having different cross sections can be applied.

고정너트(40)는 제 2 강관부(120)가 제 1 강관부(110)의 내부로 삽입되기 전 제 2 강관부(120)에 회전이 방지되게 고정되도록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너트(40)는 제 2 강관부(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강관부(120)와 함께 제 1 강관부(110) 내에 삽입된다. 고정너트(40)는 제 2 강관부(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너트 고정홀(미도시)에 억지 끼움되는 끼움부(미도시)와, 끼움부로부터 연장되어 끼움부가 너트 고정홀에 끼워질 때 제 2 강관부(120)의 내측면에 걸리는 걸림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xing nuts 40 may be provid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120 before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1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110. That is, the fixing nut 4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eel pipe part 110 together with 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while being fixed to 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The fixing nut 40 has a fitting part (not shown) which is inserted into a nut fixing hole (not show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and a fitting part (Not shown) that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120 when the second pipe portion 120 is opened.

볼트(50)는 상부 및 하부 강관기둥(10)(20)의 외부에서 강관기둥(10))(20) 및 제 2 강관부(120)의 측면을 관통한 후 고정너트(40)에 체결되어 상부 및 하부 강관기둥(10)(20)을 제 2 강관부(120)에 고정하고, 보(30)의 엔드플레이트(31)의 외부에서 엔드플레이트(31), 제 1 강관부(110) 및 제 2 강관부(120)의 측면을 관통한 후 고정너트(40)에 체결되어 보(30)를 제 1 강관부(110)의 측면에 고정하도록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bolts 50 pass through the side surfaces of the steel pipe columns 10 and 20 and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120 from the outside of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 columns 10 and 20 and then are fastened to the fixing nut 40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 columns 10 and 20 are fixed to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120 and the end plate 31,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110, A plurality of holes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and then be fastened to the fixing nut 40 to fix the steel pipe 30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steel pipe part 110.

이러한 고정너트(40)와 볼트(50)는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10-2015-0031786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fixing nut 40 and the bolt 50 are disclosed in the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031786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100)은 제 1 강관부(110) 및 제 2 강관부(120)를 포함하는 이중 각형강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3,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uble rectangular steel pipe structure including a first steel pipe portion 110 and a second steel pipe portion 120 Lt; / RTI >

제 1 강관부(110)는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의 폐단면을 가지는 각형, 예컨대 사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강관부(110)를 사각형 강관으로 구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 강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steel pipe portion 11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a rectangular steel pipe having a hollow closed end face passing through the inside thereof.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110 is formed of a rectangular steel pi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polygonal steel pipe such as a triangular, pentagonal, or hexagonal pipe may be used.

제 1 강관부(110)는 외측면에 보(30)를 볼트(50)로 체결할 수 있도록 제 1 강관부(110)의 측면을 관통하는 볼트 관통홀(111)이 다수 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볼트 관통홀(111)들은 제 1 강관부(110)의 측면에 2줄로 서로 나란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The first steel pipe part 110 has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111 penetrating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steel pipe part 110 so that the bolt 50 can fasten the bolt 50 to the outer side surface. Preferably, the bolt through holes 111 are formed in two rows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110 at regular intervals.

제 2 강관부(120)는 제 1 강관부(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 1 강관부(110)의 내측면에 접하고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의 폐단면을 가지는 각형, 예컨대 제 1 강관부(110)와 대응되는 형상인 사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eel pipe part 110 and has a square shape having a hollow closed end face that contacts the inner side face of the first steel pipe part 110 and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first steel pipe part 110, 110 and a rectangular steel pip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tangular steel pipe.

제 2 강관부(120)는 제 1 강관부(110)의 상단 및 하단보다 돌출되어 상부 강관기둥(10)과 하부 강관기둥(20)의 단부가 상단 돌출부(120a)와 하단 돌출부(120b)에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is protruded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steel pipe part 110 so that the ends of the upp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 protrusion 120a and the lower end protrusion 120b Respectively.

제 2 강관부(120)는 측면을 관통하는 볼트 관통홀(121)이 다수 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2 강관부(120)의 상단 돌출부(120a)에는 상부 강관기둥(10)과 체결을 위한 볼트(50)가 관통하는 볼트 관통홀(121)이 다수 개 형성되고, 제 2 강관부(120)의 하단 돌출부(120b)에는 하부 강관기둥(20)과 볼트 체결을 위해 볼트(50)가 관통하는 볼트 관통홀(121)이 다수 개 형성된다. 또한, 제 2 강관부(120)는 제 1 강관부(110)와 대응하는 측면에 보(30)의 엔드플레이트(31), 제 1 및 제 2 강관부(110)(120)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50)가 관통하는 볼트 관통홀(121)이 다수 개 형성된다. 제 2 강관부(120)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121)은 제 1 강관부(110)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has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121 penetrating the side face. For example, a plurality of bolt through-holes 121 through which the bolts 50 for fastening with the upper steel column 10 are passed are formed in the upper projection 120a of the second steel pipe section 120,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121 through which the bolts 50 pass for bolt tightening are formed at the lower end projecting portion 120b of the lower portion 120. [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1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for fastening the end plate 31 and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portions 110 and 120 of the beam 30 to the side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110. [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121 through which the bolts 50 pass are formed. The bolt through holes 121 formed in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120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bolt through holes 111 formed in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110.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의 내부에 충진재가 구비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filling material is provided in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 Fig.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100)은 각형의 제 1 강관부(110)에 제 2 강관부(120)가 삽입된 이중 각형강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2 강관부(120)의 내부에 충진재(130)가 충진될 수 있다. 충진재(130)는 인장 및 압축 발생 시 제 1 및 제 2 강관부(110)(120)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 2 강관부(120)에 채워진 충진재(130)가 제 2 강관부(120)의 볼트 관통홀(121)을 통해 제 1 강관부(110)와 제 2 강관부(120) 사이의 공간에도 채워짐으로써, 충진재(130)에 의해 제 1 강관부(110)와 제 2 강관부(120)가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재(130)는 콘크리트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4 and 5,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such that a second steel pipe part 120 is inserted into a rectangular first steel pipe part 110 And the filler 130 may be filled in 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0042] As shown in FIG. The filler 130 serves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sections 110 and 120 when tension and compression are generated. The filler 130 filled in 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is also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teel pipe part 110 and 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through the bolt through hole 121 of 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The first steel pipe part 110 and 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can be joined to each other by the filler 130. [ The filler 13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concrete.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의 내부에 중공홀이 형성된 충진재가 구비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나타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 filler having a hollow hole is formed in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ed.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100)은 각형의 제 1 강관부(110)에 제 2 강관부(120)가 삽입된 이중 각형강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2 강관부(120)의 내부에 충진재(130)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충진재(130)는 내부에 중공홀(131)을 형성하거나 중공홀(131)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관통홀(미도시)을 형성하여 충진재(130)의 일부를 빈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충진재(130)의 내부에 중공홀(131)을 형성함으로써, 부재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며,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충진재(130)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홀(131)을 형성함으로써, 상부 강관기둥(10) 및 하부 강관기둥(20)과 연통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중공홀(131)을 통해 상부 강관기둥(10)과 하부 강관기둥(20)에 충진재(130)를 쉽게 충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진재(130)에 타원형상의 중공홀(131)을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중공홀을 형성할 수 있다.6 and 7, the steel pipe column and the beam connecting socke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such that 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is inserted into the square first steel pipe part 110 And the filler 130 may be filled in 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0042] As shown in FIG. The filling material 130 may have a hollow hole 131 formed therein or a through hole (not shown) passing through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low hole 131 to form a part of the filling material 130 as an empty space . By forming the hollow hole 131 in the filler 130, the weight of the member can be reduced, which is economical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By forming the hollow hole 131 passing through the filler 130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hrough the hollow hole 131 penetrating verticall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steel column 10 and the lower steel column 20, The filler 130 can be easily filled in the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 In this embodiment, an elliptical hollow hole 131 is formed in the filler 130.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hollow holes having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nd a square shape can be formed.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의 내부에 충진재 및 보강재가 구비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나타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filler and a reinforcing material are provided in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structure.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100)은 각형의 제 1 강관부(110)에 제 2 강관부(120)가 삽입된 이중 각형강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2 강관부(120)의 내부에 충진재(130)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제 2 강관부(120)의 내부에서 보강재(140)가 충진재(130)에 매립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재(140)는 강관에서 인장 및 압축 발생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강관부(110)(12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8 and 9, the steel pipe column and the beam connecting socke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such that 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is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first steel pipe part 110 And the filler 130 may be filled in 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004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reinforcing material 140 may be embedded in the filler 130 in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120. The reinforcing member 140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sections 110 and 120 so as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due to tension and compression.

보강재(140)는 제 1 보강재(140a) 및 제 2 보강재(14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iffener 140 may include a first stiffener 140a and a second stiffener 140b.

제 1 보강재(140a)는 제 2 강관부(120)의 내부에서 제 1 강관부(110)의 상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보(30)와 볼트(50)로 체결되고, 보(30)의 하중에 의해 강관 상부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한 강관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stiffener 140a is fastened with the beam 30 and the bolt 5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110 inside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120 and the load of the beam 30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due to the tensile force gener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steel pipe.

제 2 보강재(140b)는 제 2 강관부(120)의 내부에서 제 1 강관부(110)의 하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보(30)와 볼트(50)로 체결되고, 보(30)의 하중에 의해 강관 하부에서 발생하는 압축력에 의한 강관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stiffener 140b is fastened with the beam 30 and the bolt 5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110 inside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120 and the load of the beam 30 Which prevents the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due to the compressive force gener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eel pipe.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의 내부에 중공홀이 형성된 충진재 및 보강재가 구비된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는 도 10에 나타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filler and a reinforcing material having hollow holes are formed in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ing a socket.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100)은 각형의 제 1 강관부(110)에 제 2 강관부(120)가 삽입된 이중 각형강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 2 강관부(120)의 내부에 충진재(130)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충진재(130)는 내부에 중공홀(131)을 형성하거나 중공홀(131)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관통홀(미도시)을 형성하여 충진재(130)의 일부를 빈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강관부(120)의 내부에서 보강재(140)가 충진재(130)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강관에서 인장 및 압축 발생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강관부(110)(12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10 and 11,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such that a second steel pipe part 120 is inserted into a rectangular first steel pipe part 110 And the filler 130 may be filled in 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0042] As shown in FIG. The filling material 130 may have a hollow hole 131 formed therein or a through hole (not shown) passing through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low hole 131 to form a part of the filling material 130 as an empty space .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sections 110 and 120 are installed in the second steel pipe section 120 so as to be embedded in the filler material 130 so as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due to tension and compression. And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heat sink 120.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에 구비된 보강재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에서 보강재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member provided in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fastening structure of a reinforcing member.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140)는 보강몸체(141) 및 암나사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12 and 13, the stiffener 1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inforcing body 141 and a female threaded portion 143.

보강몸체(141)는 사각 강관 형상을 갖는 제 2 강관부(12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강몸체(141)는 중앙에 사각형 개구부(142)가 형성되는데, 이는 보강몸체(141)가 제 2 강관부(120)의 내부에서 충진재(130)에 매립될 때 보강몸체(141)의 개구부(142)를 통해 충진재(130)가 충분히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The reinforcing body 141 is formed in a rectangular pipe shap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teel pipe part 120 having a square steel pipe shape. The reinforcing body 141 has a rectangular opening 14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body 141 when the reinforcing body 141 is embedded in the filler 130 inside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120. [ So that the filling material 130 can be sufficiently filled through the opening 142.

암나사부(143)는 보강몸체(141)의 측면에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고, 제 2 강관부(120)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강관부(110)(120)와 보(30)의 체결을 위한 볼트(50)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나사부(143)는 보강몸체(141)의 사각 모서리 각각에 한 쌍이 서로 직교되게 형성되어 보강몸체(141)의 측면에 8개가 돌출 형성되고, 암나사부(143)의 단부에는 볼트(50) 체결을 위한 암나사홀(144)이 형성된다. A plurality of female threaded portions 143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reinforcing body 141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portions 110 and 120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120, The bolts 50 for fastening the bolts 30 can be screwed. For example, eight female threaded portions 143 are formed on each side of the reinforcing body 141 so as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at each of the rectangular corners of the reinforcing body 141. At the end of the female threaded portion 141, A female screw hole 144 for fastening the female screw 50 is formed.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재(140)를 평면 상에서 볼 때 샵(#) 또는 우물정()과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viewing the stiffener 140 in a plane, but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forming a similar shape as the hash (#) or pound (井), it can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100)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1)는 상부 강관기둥(10)과 하부 강관기둥(20)을 연결소켓(100)의 제 2 강관부(120)의 상단 돌출부(120a)와 하단 돌출부(120b)에 각각 끼워서 볼트(50) 체결하고, 보(30)를 연결소켓(100)의 제 1 강관부(110)에 볼트 체결함으로써, 기둥과 기둥, 그리고 기둥과 보를 기존의 용접을 통한 접합구조에 비해 간단하면서도 더욱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The frame connection structure 1 using the steel pipe column and the beam connection socke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connecting the upp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to the connection socket 100 The bolts 50 are fastened to the upper end protrusion 120a and the lower end protrusion 120b of the dual steel pipe section 120 and the bolts 50 are fastened to the first steel pipe section 110 of the connection socket 100 , The columns and pillars, and the columns and beams can be connected more simply and more firmly than the conventional welding structure.

또한, 연결소켓(100)의 내부에 콘크리트와 같은 충진재(130)를 채워서 인장 및 압축 발생 시 연결소켓(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충진재(130)의 내부에 중공홀(131)을 형성함으로써 부재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소켓(100)의 내부에 보강재(140)가 구비되어 인장 및 압축 발생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성능을 확보하게 된다.The connection socket 100 may be filled with a filler 130 such as concret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nnection socket 100 when tension and compression are generated and a hollow hole 131 may be formed in the filler 13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member, which is economical and can improve the workability. In addition, a reinforcing member 140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socket 100 to ensure structural performance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tension and compression.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14 and 15 are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ing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on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골조 연결구조(2)는 이중 원형강관 형태로 이루어진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200)을 이용하여 강관 기둥과 기둥, 그리고 기둥과 보를 볼트 체결할 수 있다.14 and 15, the frame connection structur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on socket 200 having a dual round steel pipe shape, The bolts can be fastened to the column and the beam.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골조 연결구조(2)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200), 상부 및 하부 강관기둥(10)(20), 보(30), 고정너트(40) 및 볼트(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connection structure 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connection structure 2 includes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on socket 200, upper and lower steel pipe columns 10 and 20, a beam 30, a fixing nut 40, (50).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200)은 원형강관의 제 1 강관부(210)에 제 2 강관부(220)가 삽입된 이중 원형강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200)은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The steel pipe column and the beam connecting socket 20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double circular steel pipe in which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2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210 of the round steel pipe.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6 to FIG.

상부 강관기둥(10)과 하부 강관기둥(20)은 원형강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강관기둥(10)의 하단과 하부 강관기둥(20)의 상단이 제 2 강관부(220)의 상단 돌출부(220a)와 하단 돌출부(220b)에 각각 외측에서 끼워져 결합된다. 상부 강관기둥(10)의 하단과 하부 강관기둥(20)의 상단에는 볼트 관통홀(11)(21)이 다수 개 형성된다.The upp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round steel pipe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 protrusion of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220 220a and the lower protrusion 220b, respectively.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11 and 21 are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

보(30)는 단부에 원형강관의 외측면과 대응되도록 곡면형 엔드플레이트(31)가 용접으로 결합되고, 엔드플레이트(31)가 원형강관의 제 1 강관부(21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볼트(50)로 체결된다. 보(30)의 엔드플레이트(31)에는 볼트 관통홀(32)이 다수 개 형성된다. The beam 30 is welded so that the curved end plate 31 is wel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ircular steel pipe at the end thereof and the end plate 3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210 of the circular steel pipe And is fastened with the bolt 50.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32 are formed in the end plate 31 of the beam 30.

고정너트(40)는 제 2 강관부(220)가 제 1 강관부(210)의 내부로 삽입되기 전 제 2 강관부(220)에 회전이 방지되게 고정되도록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너트(40)는 제 2 강관부(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강관부(220)와 함께 제 1 강관부(210) 내에 삽입된다. A plurality of fixing nuts 40 may be provid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220 before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2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210. That is, the fixing nut 4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210 together with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220 while being fixed to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220.

볼트(50)는 상부 및 하부 강관기둥(10)(20)의 외부에서 강관기둥(10)(20) 및 제 2 강관부(220)의 측면을 관통한 후 고정너트(40)에 체결되어 상부 및 하부 강관기둥(10)(20)을 제 2 강관부(220)에 고정하고, 보(30)의 엔드플레이트(31)의 외부에서 엔드플레이트(31), 제 1 강관부(210) 및 제 2 강관부(220)의 측면을 관통한 후 고정너트(40)에 체결되어 보(30)를 제 1 강관부(210)에 고정하도록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bolt 50 penetrates through the side surfaces of the steel pipe columns 10 and 20 and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220 from the outside of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 columns 10 and 20 and then is fastened to the fixing nut 40, And the lower steel pipe columns 10 and 20 are fixed to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220 and the end plate 31,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210, A plurality of holes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side surface of the dual pipe part 220 and then fastened to the fixing nut 40 to fix the pipe 30 to the first pipe part 210.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의 사시도이다.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200)은 제 1 강관부(210) 및 제 2 강관부(220)를 포함하는 이중 원형강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제 1 강관부(210)와 제 2 강관부(220)를 이중 원형강관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제 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16,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ouble circular steel pipe structure including a first steel pipe portion 210 and a second steel pipe portion 220 Lt; / RTI >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3 except that the first steel pipe section 210 and the second steel pipe section 220 are formed in a double round steel pipe structu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제 1 강관부(210)는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의 폐단면을 가지는 원형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강관부(210)는 외측면에 보(30)를 볼트(50)로 체결할 수 있도록 제 1 강관부(210)의 측면을 관통하는 볼트 관통홀(211)이 다수 개 형성된다.The first steel pipe part 210 may be a round steel pipe having a hollow closed end surface passing through the inside thereof. The first steel pipe part 210 has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211 penetrating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steel pipe part 210 so that the bolt 50 can fasten the bolt 30 to the outer side surface.

제 2 강관부(220)는 제 1 강관부(2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 1 강관부(220)의 내측면에 접하고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의 폐단면을 가지는 원형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강관부(220)는 제 1 강관부(210)의 상단 및 하단보다 돌출되어 상부 강관기둥(10)과 하부 강관기둥(20)의 단부가 상단 돌출부(220a)와 하단 돌출부(220b)에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steel pipe part 220 may be a circular steel pipe inserted into the first steel pipe part 210 and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teel pipe part 220 and having a hollow closed end face passing through the inside thereof. The second steel pipe part 220 is protruded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steel pipe part 210 so that the ends of the upp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 protrusion 220a and the lower end protrusion 220b Respectively.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강관부(220)의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인장 및 압축 발생 시 제 1 및 제 2 강관부(210)(2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진재의 내부에 중공홀을 형성하거나 중공홀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충진재의 일부를 빈공간으로 형성함으로써, 부재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며,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강관부(220)의 내부에서 보강재가 충진재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강관에서 인장 및 압축 발생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강관부(210)(22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portions 220 and 22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when the filler is filled in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220 to generate tension and compression. In addition, by forming a hollow hole in the filler material or forming a through hole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low hole, a part of the filler material is formed as an empty space, the weight of the member can be reduced, and it is economical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The reinforcing material may be embedded in the filler material in the second steel pipe part 220 so that the str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parts 210 and 220 may be adjusted to prevent the steel pipe from being deformed Can be reinforced.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에 구비된 보강재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에서 보강재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iffener provided in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fastening structure of a reinforcing member.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240)는 보강몸체(241) 및 암나사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17 and 18, the reinforcing member 2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inforcing body 241 and a female threaded portion 243.

보강몸체(241)는 원형강관 형상을 갖는 제 2 강관부(22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보강몸체(241)는 중앙에 원형 개구부(242)가 형성되는데, 이는 보강몸체(241)가 제 2 강관부(220)의 내부에서 충진재에 매립될 때 보강몸체(241)의 개구부(242)를 통해 충진재가 충분히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The reinforcing body 24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ip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teel pipe part 220 having a circular steel pipe shape. The reinforcing body 241 is formed with a circular opening 242 at the center of the opening 242 of the reinforcing body 241 when the reinforcing body 241 is embedded in the filler material inside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220 ) So that the filling material can be sufficiently filled.

암나사부(243)는 보강몸체(241)의 측면에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고, 제 2 강관부(220)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강관부(210)(220)와 보(30)의 체결을 위한 볼트(50)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나사부(243)는 원형 보강몸체(241)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8개가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 볼트(50) 체결을 위한 암나사홀(244)이 형성된다. 암나사부(243)의 단부는 제 2 강관부(220)의 원형 내주면에 접하도록 곡면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female screw portions 243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reinforcing body 241 and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portions 210 and 220 ar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220, The bolts 50 for fastening the bolts 30 can be screwed. For example, eight female threaded portions 243 radially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reinforcing body 241, and a female screw hole 244 for fastening the bolt 50 is formed at an end thereof. The end of the female thread 243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curved cross-section so as to contact the circula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220.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ing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골조 연결구조(3)는 각형 내부보강판 형태로 이루어진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300)을 이용하여 강관 기둥과 기둥, 그리고 기둥과 보를 볼트 체결할 수 있다.19, the frame connection structure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on socket 300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internal reinforcing plate, And the bolt can be fastened to the beam.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골조 연결구조(3)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300), 상부 및 하부 강관기둥(10)(20), 보(30), 고정너트(40) 및 볼트(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connection structure 3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on socket 300, upper and lower steel pipe columns 10 and 20, a beam 30, a fixing nut 40, (50).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300)은 각형 강관부(310)에 내부보강판(320)이 삽입된 각형 내부보강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300)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The steel pipe column and the beam connecting socket 30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internal reinforcing plate in which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is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steel pipe portion 310.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부 강관기둥(10)과 하부 강관기둥(20)은 각형, 예컨대 사각형 강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강관기둥(10)의 하단과 하부 강관기둥(20)의 상단이 내부보강판(320)의 상단 돌출부(320a)와 하단 돌출부(320b)에 각각 외측에서 끼워져 결합된다. 상부 강관기둥(10)의 하단과 하부 강관기둥(20)의 상단에는 볼트 관통홀(11)(21)이 다수 개 형성된다.The low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uch as a rectangular steel pipe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portion 320a and the lower protruding portion 320b from outside.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11 and 21 are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

보(30)는 단부에 각형 강관의 외측면과 대응되도록 평면형 엔드플레이트(31)가 용접으로 결합되고, 엔드플레이트(31)가 각형 강관부(31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볼트(50)로 체결된다. 보(30)의 엔드플레이트(31)에는 볼트 관통홀(32)이 다수 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H형강 단면 형태의 보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단면을 갖는 보를 적용할 수 있다.A flat end plate 31 is wel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at the end portion thereof and the end plate 31 is disposed so as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portion 310, ).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32 are formed in the end plate 31 of the beam 3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am having the H-shaped cross section i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beams having different cross sections can be applied.

고정너트(40, 도 4 참조)는 내부보강판(320)이 각형 강관부(310)의 내부로 삽입되기 전 내부보강판(320)에 회전이 방지되게 고정되도록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너트(40)는 내부보강판(320)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보강판(320)과 함께 각형 강관부(310) 내에 삽입된다. 고정너트(40)는 내부보강판(3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너트 고정홀(미도시)에 억지 끼움되는 끼움부(미도시)와, 끼움부로부터 연장되어 끼움부가 너트 고정홀에 끼워질 때 내부보강판(320)의 내측면에 걸리는 걸림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xing nuts 40 (see FIG. 4) may be provid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before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is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steel pipe portion 310. That is, the fixing nut 40 is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steel pipe portion 310 together with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while being fixed to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The fixing nut 40 has a fitting portion (not shown) which is inserted into a nut fixing hole (not show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and a fitting portion And an engaging portion (not shown) which is hook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볼트(50)는 상부 및 하부 강관기둥(10)(20)의 외부에서 강관기둥(10)(20) 및 내부보강판(320)의 측면을 관통한 후 고정너트(40)에 체결되어 상부 및 하부 강관기둥(10)(20)을 내부보강판(320)에 고정하고, 보(30)의 엔드플레이트(31)의 외부에서 엔드플레이트(31), 사각 강관부(310) 및 내부보강판(320)의 측면을 관통한 후 고정너트(40)에 체결되어 보(30)를 사각 강관부(310)의 외측면에 고정하도록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bolts 50 pass through the side surfaces of the steel pipe columns 10 and 20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from the outside of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 columns 10 and 20 and then are fastened to the fixing nut 40, The lower steel pipe columns 10 and 20 are fixed to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and the end plate 31, the square steel pipe portion 310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and then fixed to the fixing nut 40 so as to fix the beam 3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portion 310.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의 사시도이다.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300)은 각형 강관부(310) 및 내부보강판(320)를 포함하는 각형 내부보강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20,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rectangular inner reinforcing plate structure including a rectangular steel pipe portion 310 and an inner reinforcing plate 320 .

강관부(310)는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의 폐단면을 가지는 각형, 예컨대 사각형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강관부(310)를 사각형 강관으로 구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 강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steel pipe portion 31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a rectangular steel pipe having a hollow closed end face passing through the inside thereof. In this embodiment, the steel pipe portion 310 is formed of a rectangular steel pi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polygonal steel pipe such as a triangular, pentagonal, or hexagonal pipe may be used.

각형 강관부(310)는 외측면에 보(30)를 볼트(50)로 체결할 수 있도록 강관부(310)의 측면을 관통하는 볼트 관통홀(311)이 다수 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볼트 관통홀(311)들은 강관부(310)의 측면에 2줄로 서로 나란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311 penetrating the side surface of the steel pipe portion 310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quare steel pipe portion 310 so as to fasten the bolt 50 with the bolt 50. Preferably, the bolt through-holes 311 are formed in two rows on the side of the steel pipe 310 at regular intervals.

내부보강판(320)은 각형 강관부(310)의 내부에 복수 개가 삽입되어 강관부(310)의 내측을 보강한다. 내부보강판(320)은 판재 형태로 이루어져 각형 강관부(310)의 내측면을 따라 다수 개로 분할 배열되며, 다수의 내부보강판(320)이 각형 강관부(310)와 대응되도록 각형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강관부(310)가 사각 강관일 경우 내부보강판(320)은 4개의 직사각형 판재로 구성되어 사각 강관의 4개의 내측면에 각각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내부보강판(320)은 각형 강관부(310)의 상단 및 하단보다 돌출되어 상부 강관기둥(10)과 하부 강관기둥(20)의 단부가 각형 내부보강판(320)의 상단 돌출부(320a)와 하단 돌출부(320b)에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inner reinforcing plates 320 are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steel pipe portions 310 to reinforce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portions 310.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portion 310 and is arranged in a square shape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s 320 correspond to the rectangular steel pipe portion 310 . For example, when the steel pipe portion 310 is a square steel pipe,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is formed of four rectangular plates and is disposed so as to be inserted into four inner side surfaces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rectangular steel pipe portion 310 so that the ends of the upp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 protrusion 320a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And the lower protrusion 320b, respectively.

내부보강판(320)은 측면을 관통하는 볼트 관통홀(321)이 다수 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내부보강판(320)의 상단 돌출부(320a)에는 상부 강관기둥(10)과 체결을 위해 볼트(50)가 관통하는 볼트 관통홀(321)이 다수 개 형성되고, 내부보강판(320)의 하단 돌출부(320b)에는 하부 강관기둥(20)과 체결을 위해 볼트(50)가 관통하는 볼트 관통홀(321)이 다수 개 형성된다. 또한, 내부보강판(320)은 강관부(310)와 대응하는 측면에 보(30)의 엔드플레이트(31), 각형 강관부(310) 및 내부보강판(320)을 체결하기 위해 볼트(50)가 관통하는 볼트 관통홀(321)이 다수 개 형성된다. 내부보강판(320)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321)은 각형 강관부(310)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3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has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321 penetrating the side surface thereof. For example,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321 through which the bolts 50 are inserted for fastening with the upper steel column 10 are formed in the upper protrusion 320a of the inner reinforcement plate 320,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321 through which the bolts 50 are inserted for fastening with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are formed in the lower protrusion 320b of the lower steel pipe column 320. [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may have a bolt 50 for fastening the end plate 31, the rectangular steel pipe portion 310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of the beam 30 to the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teel pipe portion 310. [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321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321 are formed. The bolt through holes 321 formed in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bolt through holes 311 formed in the rectangular steel pipe portion 310.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부보강판(320)의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인장 및 압축 발생 시 각형 강관부(310) 및 내부보강판(3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진재의 내부에 중공홀을 형성하거나 중공홀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충진재의 일부를 빈공간으로 형성함으로써, 부재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며,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보강판(320)의 내부에서 보강재가 충진재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강관에서 인장 및 압축 발생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형 강관부(310) 및 내부보강판(32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may be filled with a fill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prismatic steel pipe portion 310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when tension and compression are generated. In addition, by forming a hollow hole in the filler material or forming a through hole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low hole, a part of the filler material is formed as an empty space, the weight of the member can be reduced, and it is economical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reinforcing material is embedded in the filling material inside the inner reinforcing plate 320 to reinforce the strengths of the square-shaped steel pipe portion 310 and the inner reinforcing steel plate 320 so as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tension and compression in the steel pipe can do.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connection structure using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골조 연결구조(4)는 원형 내부보강판 형태로 이루어진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400)을 이용하여 강관 기둥과 기둥, 그리고 기둥과 보를 볼트 체결할 수 있다.21, the frame connecting structure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400 having a circular inner reinforcing plate shape, And the bolt can be fastened to the beam.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골조 연결구조(4)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400), 상부 및 하부 강관기둥(10)(20), 보(30), 고정너트(40) 및 볼트(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connection structure 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connection structure 4 includes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on socket 400, upper and lower steel pipe columns 10 and 20, a beam 30, a fixing nut 40, (50).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400)은 원형 강관부(410)에 내부보강판(420)이 삽입된 원형 내부보강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400)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할 때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The steel pipe column and the beam connecting socket 40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inner reinforcing plate in which the inner reinforcing plate 420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steel pipe portion 410.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부 강관기둥(10)과 하부 강관기둥(20)은 원형 강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 강관기둥(10)의 하단과 하부 강관기둥(20)의 상단이 내부보강판(420)의 상단 돌출부(420a)와 하단 돌출부(420b)에 각각 외측에서 끼워져 결합된다. 상부 강관기둥(10)의 하단과 하부 강관기둥(20)의 상단에는 볼트 관통홀(11)(21)이 다수 개 형성된다.The upp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are in the form of a round steel pipe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 protrusion 420a And the lower protrusion 420b, respectively.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11 and 21 are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

보(30)는 단부에 원형 강관의 외측면과 대응되도록 곡면형 엔드플레이트(31)가 용접에 의해 접합되고, 엔드플레이트(31)가 원형 강관부(41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볼트(50)로 체결된다. 보(30)의 엔드플레이트(31)에는 볼트 관통홀(32)이 다수 개 형성된다. The end face of the beam 30 is weld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ircular steel pipe and the end plate 31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ircular steel pipe portion 410, (50).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32 are formed in the end plate 31 of the beam 30.

고정너트(40)는 내부보강판(420)이 원형 강관부(410)의 내부로 삽입되기 전 내부보강판(420)에 회전이 방지되게 고정되도록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너트(40)는 내부보강판(420)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보강판(420)과 함께 원형 강관부(410) 내에 삽입된다. A plurality of fixing nuts 40 may be provid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 420 before the inner reinforcing plate 420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steel pipe portion 410. That is, the fixing nut 40 is inserted into the round steel pipe portion 410 together with the inner reinforcing plate 420 while being fixed to the inner reinforcing plate 420.

볼트(50)는 상부 및 하부 강관기둥(10)(20)의 외부에서 강관기둥(10)(20) 및 내부보강판(420)의 측면을 관통한 후 고정너트(40)에 체결되어 상부 및 하부 강관기둥(10)(20)을 내부보강판(420)에 고정하고, 보(30)의 엔드플레이트(31)의 외부에서 엔드플레이트(31), 원형 강관부(410) 및 내부보강판(420)의 측면을 관통한 후 고정너트(40)에 체결되어 보(30)를 원형 강관부(410)에 고정하도록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bolts 50 pass through the side surfaces of the steel pipe columns 10 and 20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420 from the outside of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 columns 10 and 20 and then are fastened to the fixing nut 40, The lower steel pipe columns 10 and 20 are fixed to the inner reinforcing plate 420 and the end plate 31, the round steel pipe portion 410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420 and then fastened to the fixing nut 40 to fix the beam 30 to the round steel pipe portion 410. [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의 사시도이다.2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el pipe column and a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400)은 원형 강관부(410) 및 내부보강판(420)을 포함하는 원형 내부보강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원형 내부보강판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9 내지 도 20을 참고하여 설명한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제 3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22,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circular inner reinforcing plate structure including a circular steel pipe portion 410 and an inner reinforcing plate 420 . Since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9 to 20, except that the fourth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a circular internal reinforcing plate structure, It is omitted.

강관부(410)는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의 폐단면을 가지는 원형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형 강관부(410)는 외측면에 보(30)를 볼트(50)로 체결할 수 있도록 강관부(410)의 측면을 관통하는 볼트 관통홀(411)이 다수 개 형성된다.The steel pipe section 410 may be a circular steel pipe having a hollow closed end surface passing through the inside thereof.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411 penetrating the side surface of the steel pipe portion 410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und steel pipe portion 410 so as to fasten the bolt 50 with the bolt 50.

내부보강판(420)은 원형 강관부(410)의 내부에 복수 개가 삽입되어 원형 강관부(410)의 내측을 보강한다. 내부보강판(420)은 판재 형태로 이루어져 원형 강관부(410)의 내측면을 따라 다수 개로 분할 배열되며, 다수의 내부보강판(420)이 원형 강관부(410)와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강관부(410)가 원형 강관일 경우 내부보강판(420)은 4개의 곡면 직사각형 판재로 구성되어 원형 강관의 내주면 원주방향으로 4개가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내부보강판(420)은 원형 강관부(410)의 상단 및 하단보다 돌출되어 상부 강관기둥(10)과 하부 강관기둥(20)의 단부가 원형 내부보강판(420)의 상단 돌출부(420a)와 하단 돌출부(420b)에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inner reinforcing plates 420 are inserted into the round steel pipe portion 410 to reinforce the inside of the round steel pipe portion 410. The inner reinforcing plates 420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ircular steel pipe portions 410. The inner reinforcing plates 420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ircular steel pipe portion 410 . For example, when the steel pipe portion 410 is a circular steel pipe, the inner reinforcing plate 420 is composed of four curved rectangular plates and is disposed so as to insert four piec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steel pipe. The inner reinforcing plate 420 protrudes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ircular steel pipe portion 410 so that the ends of the upper steel pipe column 10 and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are connected to the upper end protrusion 420a of the circular inner reinforcing plate 420 And the lower protrusion 420b, respectively.

내부보강판(420)은 측면을 관통하는 볼트 관통홀(421)이 다수 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내부보강판(420)의 상단 돌출부(420a)에는 상부 강관기둥(10)과 체결을 위한 볼트(50)가 관통하는 볼트 관통홀(421)이 다수 개 형성되고, 내부보강판(420)의 하단 돌출부(420b)에는 하부 강관기둥(20)과 체결을 위해 볼트(50)가 관통하는 볼트 관통홀(421)이 다수 개 형성된다. 또한, 내부보강판(420)은 강관부(410)와 대응하는 측면에 보(30)의 엔드플레이트(31), 원형 강관부(410) 및 내부보강판(420)을 체결하기 위한 볼트(50)가 관통하는 볼트 관통홀(421)이 다수 개 형성된다. 내부보강판(420)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421)은 원형 강관부(410)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41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inner reinforcing plate 420 has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421 penetrating the side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421 through which the bolts 50 for fastening with the upper steel column 10 are formed are formed in the upper end protrusion 420a of the inner reinforcement plate 420, 420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421 through which the bolts 50 are inserted for fastening with the lower steel pipe column 20. [ The inner reinforcing plate 420 has bolts 50 for fastening the end plate 31, the circular steel pipe portion 410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420 of the beam 30 to the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teel pipe portion 410 A plurality of bolt through holes 421 are formed. The bolt through hole 421 formed in the inner reinforcing plate 42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lt through hole 411 formed in the round steel pipe portion 410.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원형 내부보강판(410)의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인장 및 압축 발생 시 원형 강관부(410) 및 내부보강판(4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진재의 내부에 중공홀을 형성하거나 중공홀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충진재의 일부를 빈공간으로 형성함으로써, 부재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며,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형 내부보강판(420)의 내부에서 보강재가 충진재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강관에서 인장 및 압축 발생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형 강관부(410) 및 내부보강판(42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nside of the circular internal reinforcing plate 410 may be filled with a fill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ircular steel pipe portion 410 and the internal reinforcing plate 420 when tension and compression are generated. In addition, by forming a hollow hole in the filler material or forming a through hole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low hole, a part of the filler material is formed as an empty space, the weight of the member can be reduced, and it is economical and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The strength of the circular steel pipe portion 410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420 may be adjusted so as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due to the tensile and compressive forces by installing a reinforcing material in the filler material inside the circular inner reinforcing plate 420 Can be reinforc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 all respect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20 : 기둥
30 : 보
40 : 고정너트
50 : 볼트
100, 200, 300 :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110, 210 : 제 1강관부
120, 220 : 제 2 강관부
130 : 충진재
131 : 중공홀
140, 240 : 보강재
141, 241 : 보강몸체
143, 243 : 암나사부
310, 410 : 강관부
320, 420 : 내부보강판
10, 20: Columns
30: Bo
40: Fixing nut
50: Bolt
100, 200, 300: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on socket
110, 210: first steel pipe section
120, 220: second steel pipe section
130: filler
131: hollow hole
140, 240: stiffener
141, 241: Reinforcing body
143, 243: Female thread portion
310, 410: Steel pipe section
320, 420: internal reinforcing plate

Claims (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가 외측면에 결합되는 제 1 강관부; 및
상기 제 1 강관부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강관부의 상단 및 하단보다 돌출되며, 상부 강관기둥과 하부 강관기둥의 단부가 상단 돌출부와 하단 돌출부에 각각 끼움 결합 및 볼트 체결되는 제 2 강관부;를 포함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A first steel pipe portion at least one of which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surface; And
A second steel pipe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and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and the end portions of the upper steel pipe column and the lower steel pipe column are respectively fitted and bolted to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Steel pipe posts and beam connecting socke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강관부는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의 폐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2 강관부는 상기 제 1 강관부의 내측면에 접하고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의 폐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강관부 및 상기 제 2 강관부는 서로 대응되도록 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has a hollow closed end face passing through the inside thereof and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has a hollow closed end face contacting the inner side face of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and penetrating the inside thereof,
Wherein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and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are formed in a square or circular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은,
상기 제 2 강관부의 내부에 충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강관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충진재;를 더 포함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And a filling material filled in the second steel pipe part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part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내부에 중공홀을 형성하거나 중공홀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충진재의 일부를 빈공간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ller has a hollow hole formed therein or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low hole to form a part of the filler as an empty spa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은,
상기 제 2 강관부의 내부에서 상기 충진재에 매립되게 설치되며, 인장 및 압축 발생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강관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And a reinforcing member installed in the second steel pipe part so as to be embedded in the filler and reinforcing str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parts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generation of tension and compression, socke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 2 강관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강관부의 상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보와 체결되고, 상기 보의 하중에 의해 강관 상부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한 강관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 1 보강재; 및
상기 제 2 강관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강관부의 하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보와 체결되고, 상기 보의 하중에 의해 강관 하부에서 발생하는 압축력에 의한 강관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 2 보강재;를 포함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iffener
A first reinforcement member fastened to the beam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within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and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due to a tensile force gener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eel pipe by a load of the beam; And
And a second reinforcement member fastened to the beam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inside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and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due to a compressive force gener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pipe due to the load of the beam Steel pipe posts and beam connecting socket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 2 강관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보강몸체; 및
상기 보강몸체의 측면에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강관부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강관부와 상기 보의 체결을 위한 볼트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iffener
A reinforcing body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inforcing body and the bolts for fastening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sections to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 sections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eel pipe section are screwed together Steel pipe posts and beam connecting socket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강관부가 사각형을 이루는 경우, 상기 보강몸체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나사부는 상기 보강몸체의 사각 모서리 각각에 한 쌍이 서로 직교되게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 암나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inforcing body is formed in a rectangular pipe shape having an opening at the center thereof. When the second steel pipe is formed into a quadrangle, the reinforcing body is formed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having a pair of openings formed at each of square corners of the reinforcing body, Wherein the steel pipe column and the beam connecting socket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강관부가 원형을 이루는 경우, 상기 보강몸체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나사부는 상기 보강몸체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 암나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the second steel pipe has a circular shape, the reinforcing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ipe having an opening at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ing projections and a female screw hole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ody Features steel pipe posts and beam connecting sockets.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가 외측면에 결합되는 강관부; 및
상기 강관부의 내부에 복수 개 삽입되어 상기 강관부의 내측을 보강하고, 상기 강관부의 상단 및 하단보다 돌출되며, 상부 강관기둥과 하부 강관기둥의 단부가 상단 돌출부와 하단 돌출부에 각각 끼움 결합 및 볼트 체결되는 내부보강판;을 포함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A steel pipe portion at least one of which is coupled to the outer side surface; And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 columns ar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portion to reinforce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portion and protrude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teel pipe portion, and the end portions of the upper steel pipe column and the lower steel pipe column are fitted and bol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 projecting portions, respectively Steel pipe columns and beam connection sockets including internal reinforcement plate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부는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의 폐단면을 가지며, 상기 내부보강판은 상기 강관부의 내측면을 따라 분할 배열되는 다수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강관부 및 상기 내부보강판은 서로 대응되도록 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el pipe section has a hollow closed end face passing through the inside thereof, the internal reinforcement plate is made of a plurality of plate materials arrang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teel pipe section,
Wherein the steel pipe section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are formed in a square or circular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은,
상기 내부보강판의 내부에 충진되어 상기 강관부 및 상기 내부보강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충진재;를 더 포함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And a filler filled in the inner reinforcing plat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내부에 중공홀을 형성하거나 중공홀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충진재의 일부를 빈공간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ller has a hollow hole formed therein or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llow hole to form a part of the filler as an empty spa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은,
상기 내부보강판의 내부에서 상기 충진재에 매립되게 설치되며, 인장 및 압축 발생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강관부 및 상기 내부보강판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And a reinforcing member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internal reinforcing plate so as to be embedded in the filler and reinforcing strength of the steel pipe portion and the internal reinforcing plate so as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generation of tension and compression, Connection socke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내부보강판의 내부에서 상기 강관부의 상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보와 체결되고, 상기 보의 하중에 의해 강관 상부에서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한 강관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 1 보강재; 및
상기 내부보강판의 내부에서 상기 강관부의 하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보와 체결되고, 상기 보의 하중에 의해 강관 하부에서 발생하는 압축력에 의한 강관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 2 보강재;를 포함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iffener
A first reinforcement member fastened to the beam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steel pipe portion inside the inner reinforcement plate and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due to a tensile force gener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eel pipe by a load of the beam; And
And a second reinforcing member fastened to the beam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steel pipe portion inside the inner reinforcing plate and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steel pipe due to a compressive force gener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eel pipe due to the load of the beam. Posts and beam connecting socket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내부보강판이 이루는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보강몸체; 및
상기 보강몸체의 측면에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보강판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강관부 및 상기 내부보강판과 상기 보의 체결을 위한 볼트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iffener
A reinforcing body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internal reinforcing plate;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inforcing body and the bolts for fastening the steel pipe portion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to the beam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 are screwed together Steel pipe posts and beam connecting sockets.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보강판이 사각형을 이루는 경우, 상기 보강몸체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나사부는 상기 보강몸체의 사각 모서리 각각에 한 쌍이 서로 직교되게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 암나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n the inner reinforcing plate has a rectangular shape, the reinforcing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ipe having an opening at the center, and the female screw portion is formed in each of the rectangular corners of the reinforcing body so as to protrude orthogonally to each other, Wherein the steel pipe column and the beam connecting socket are made of steel.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보강판이 원형을 이루는 경우, 상기 보강몸체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나사부는 상기 보강몸체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 암나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n the inner reinforcing plate has a circular shape, the reinforcing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ipe having an opening at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the female threaded portions protrude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ody and a female screw hole is formed at an end Steel pipe columns and beam connection sockets.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상기 제 2 강관부의 상단 돌출부와 하단 돌출부에 각각 끼워지는 상부 및 하부 강관기둥;
상기 제 1 강관부의 외측면에 엔드플레이트가 접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
상기 제 2 강관부가 상기 제 1 강관부의 내부로 삽입되기 전 상기 제 2 강관부에 회전이 방지되게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너트; 및
상기 강관기둥의 외부에서 상기 강관기둥 및 상기 제 2 강관부의 측면을 관통한 후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강관기둥을 상기 제 2 강관부에 고정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부에서 상기 엔드플레이트, 상기 제 1 강관부 및 상기 제 2 강관부의 측면을 관통한 후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보를 상기 제 1 강관부에 고정하는 다수의 볼트;를 포함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
A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Upper and lower steel pipe columns respectively fitted into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of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At least one beam disposed so that the end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A plurality of fixing nuts fixed to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so as to prevent rotation before the second steel pip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eel pipe portion; And
A first end of the end plate and a second end of the end plate, the end of the end portion of the end plate, the end of the end portion of the end plate, And a plurality of bolts inserted through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steel pipe section and the second steel pipe section and then fixed to the fixing nut to fix the beam to the first steel pipe section.
제 10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의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상기 내부보강판의 상단 돌출부와 하단 돌출부에 각각 끼워지는 상부 및 하부 강관기둥;
상기 강관부의 외측면에 엔드플레이트가 접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
상기 내부보강판이 상기 강관부의 내부로 삽입되기 전 상기 내부보강판에 회전이 방지되게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너트; 및
상기 강관기둥의 외부에서 상기 강관기둥 및 상기 내부보강판의 측면을 관통한 후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강관기둥을 상기 내부보강판에 고정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의 외부에서 상기 엔드플레이트, 상기 강관부 및 상기 내부보강판의 측면을 관통한 후 상기 고정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보를 상기 강관부에 고정하는 다수의 볼트;를 포함하는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을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
18. A steel pipe column and beam connecting sock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8;
Upper and lower steel pipe columns respectively fitted to the upper and lower protrusions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
At least one beam disposed so that the end plat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l pipe section;
A plurality of fixing nuts fixed to the inner reinforcing plate to prevent rotation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 before the inner reinforcing plate is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portion; And
A step of fixing the steel pipe column to the inner reinforcing plate by passing through the side of the steel pipe column and the inner reinforcing plate from the outside of the steel pipe column and then fastening the fixing nut to the end of the end plate, And a plurality of bolts penetrating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inner reinforcing plate and fixed to the fixing nut to fix the beam to the steel pipe portion.
KR1020160059065A 2016-05-13 2016-05-13 Connection socket of steel column and beam, and framework connection structure of using the same KR201701280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065A KR20170128002A (en) 2016-05-13 2016-05-13 Connection socket of steel column and beam, and framework connection structure of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065A KR20170128002A (en) 2016-05-13 2016-05-13 Connection socket of steel column and beam, and framework connection structure of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002A true KR20170128002A (en) 2017-11-22

Family

ID=6080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065A KR20170128002A (en) 2016-05-13 2016-05-13 Connection socket of steel column and beam, and framework connection structure of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8002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1401A (en) * 2018-11-02 2019-01-29 广东凯兴达建筑科技有限公司 A kind of logical connection structure in steel side for being easy to position and quickly connect
KR20190084633A (en) * 2018-01-09 2019-07-17 유병훈 Top-down construction method for concrete building structure using steel pile underground wall and shear support plate
CN110158808A (en) * 2019-06-27 2019-08-23 河北工业大学 A kind of assembled steel tube bank vertical node type of attachment of concrete
KR20220017156A (en) * 2020-08-04 2022-02-11 이지훈 Steel post structure for automated rack and contruction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633A (en) * 2018-01-09 2019-07-17 유병훈 Top-down construction method for concrete building structure using steel pile underground wall and shear support plate
CN109281401A (en) * 2018-11-02 2019-01-29 广东凯兴达建筑科技有限公司 A kind of logical connection structure in steel side for being easy to position and quickly connect
CN110158808A (en) * 2019-06-27 2019-08-23 河北工业大学 A kind of assembled steel tube bank vertical node type of attachment of concrete
CN110158808B (en) * 2019-06-27 2024-01-16 河北工业大学 Vertical node connection form of assembled steel tube bundle concrete
KR20220017156A (en) * 2020-08-04 2022-02-11 이지훈 Steel post structure for automated rack and contruc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8002A (en) Connection socket of steel column and beam, and framework connection structure of using the same
JP7426406B2 (en) ductile prefabricated shear wall
US10829926B2 (en) Metal joint and panel joining method
KR20120015847A (en) Exposed type collumn base
JP6282709B1 (en) Restraint hardware and structural housing restraint method
JP6554692B2 (en) Panel joining method
JP6026794B2 (en) Column base structure of steel column
KR200437257Y1 (en) A concrete form supporter
KR20170014542A (en) Buckling Restraint Brace with assembly type precast concrete restraint material
US11214971B1 (en) Base for guardrail system
JP6339150B2 (en) Method for reinforcing wooden building components
KR101953016B1 (en) Buckling-Restrained Member and reinforcing method of non-welded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of steel building using thereof
JP2017145662A (en) Connection structure and wall material
JP5802455B2 (en) Wooden frame construction method and wooden frame construction method
KR101861920B1 (en) Pile connector
JP6807157B2 (en) Joint member and joint structure
JP6554691B2 (en) Panel joining method
TWI539061B (en) Column structure and base member
JP6713908B2 (en) Seismic reinforcement frame
KR100964875B1 (en) Frame for structure and joint using the same
KR101559856B1 (en) Fixture for connecting concrete piles
JP2021161631A (en) Joint structure for woody shaft member
KR20130092760A (en) Reinforcement panel and form assembly thereof
JP2022030704A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ferroconcr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