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932A - 이중커버로 제작된 의료검사용 구급함 - Google Patents

이중커버로 제작된 의료검사용 구급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932A
KR20170127932A KR1020160058839A KR20160058839A KR20170127932A KR 20170127932 A KR20170127932 A KR 20170127932A KR 1020160058839 A KR1020160058839 A KR 1020160058839A KR 20160058839 A KR20160058839 A KR 20160058839A KR 20170127932 A KR20170127932 A KR 20170127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test box
box
medical test
v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민정
Original Assignee
채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민정 filed Critical 채민정
Priority to KR1020160058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7932A/ko
Publication of KR20170127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7/00First-aid k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185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the outer closure being a foil 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이나,의료 검사기관이나 치료소에서 사용하기 위해 시험관이나 약병이나 기타 의료기기를 담기 위한 구급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1회용으로 사용하기위한 밀봉타입의 구급함에 관한 것이다.구급함은 직육면체형 박스타입으로 만들어져 잇고, 구급함 박스의 상부 입구를 통해 시험관이나 약병이나 보조라벨이나 기타 의료기기를 넣는다. 구급함의 밀봉요소에는 환자나 내용물이나 샘플에대한 필요한 다른 정보의 식별데이터가 인쇄되어 있다.밀봉요소는 접착시트로서, 박스의 상부입구의 가장자리와의 접촉면에는 이중 접착층이 붙어있도록 구성되어 있다.이를 사용함으로서,각각의 개인의 샘플에 의한 분석의 결과가 정확할수 잇도록 하였고, 이를 사용함으로서 ,악의적인 분실이나 혼입등을 방지할수 잇도록 한 개인용 구급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커버로 제작된 의료검사용 구급함{Medical test box with double cover sheet }
본 발명은 병원이나, 개인용도나 치료소에서 사용하기 위해 시험관이나 약병이나 ,기타 의료기기를 담기위한 구급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환자 개개인을 위한 밀봉된 구급함에 관한 것이다
보통 신체검사나 환자들의 검사시에 시험관이나 약병등에,개개인의 분석을 위해 환자에게서 채취한 혈액이나 샘플을 수집하기 위한 용기를 이용하기 위한 구급함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검사할 샘플을 환자에게서 채취하여 시험관이나 약병 안에 둔다. 이어서, 이들시험관이나 약병에 환자의 이름이나 식별코드나 필요한 검사명이나 기타 필요한 정보를 표시해둔다. 한편, 실수로 검사하거나 검사를 지연하지 않도록 검사 전에 약병에 손으로 표시를 하는 것도 드물지 않다..이와같은 시험관이나 약병은 샘플채취 전에 라벨을 붙여, 의사나 간호사가 사용할 정확한 시험관 갯수를 알도록 하여야 하며, 시험관이나 약병 각각에 채취한 샘플을 정확히 표시하도록 하여야 하고, 기타 의료장비를 확인하는데 필요한 라벨도 붙인다.샘플을 채취한 뒤 제대로 인쇄된 식별용 라벨을 손으로 약병에 붙이면 약병과 환자를 혼동할 위험이 없어 중대한 실수를 범할 우려가 없으며, 환자의 건강이나 제대로 된 치료나 검사의 지연에 대처할 수 있고, 검사를 반복할 필요도 없다.
신체검사나 특별한 환자의 검사시 분석을 위한 혈액이나 소변등의 샘플을 채취한후에는,채취한 샘플을 담은 용기를 의학적인 분석을 위해 실험실로 보내진다.이때 샘플을 채취한 뒤 제대로 인쇄된 식별용 라벨을 손으로 약병에 붙이면 약병과 환자를 혼동할 위험이 없어 중대한 실수를 범할 우려가 없으며, 환자의 건강이나 제대로 된 치료나 검사의 지연에 대처할 수 있고, 검사를 반복할 필요도 없다.한편,실수로 검사하거나 검사를 지연하지 않도록 검사 전에 약병에 손으로 표시를 하는 것도 드물지 않다.하지만 의도적이든 , 의도적이 아니든 많은 환자의 샘플을 채취 및 정리시 바뀌는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원래의 뜻과 다른 결과치를 분석하게되는경우가 발생하며,만일 의도적으로 채취된 샘플을 바꿔치기를 하는경우에는 치명적인 분석 결과를 돌출할 경우도 예상이된다.결국 검사기관이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경우가 발생시는 환자 당자자에 대한 치료 계획은 커다란 문제를 발생할 여지도 있을뿐더러 검사기관의 위신이나 신뢰도에 치명적인 상황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하려는 구급함의 모양은 어떠한것도 좋으나 가능한 직육면체형 박스형 타입을 구비하고,직육면체 박스의 상부 입구를 통해 시험관이나 약병 ,보조 라벨이나 기타 의료기기를 넣는다.구급함의 밀봉요소에는 이중으로 밀봉시트를 사용함으로서,1차 밀봉시트는 최초 구급함박스의 제작시 환자의 검사를 위해 필요한 내용물이나 샘플 용기등을 박스에 넣은후 밀봉된 상태로 제작을한후,2차밀봉시트는 감아져잇는 상태로 1차 밀봉시트위에 접착되어,채취된 내용물을 다시 넣어서 보관후 마지막 마무리를하는 역할을 하게되며 2차 밀봉시트위에는 여러 가지 관련 정보의 식별데이터를 인쇄하여 붙여놓도록한다.1차 밀봉을 하기위한 접착시트로서, 직육면체 박스의 상부 입구의 가장자리와의 접촉면에는 접착층이 붙어있다.1차 밀봉시트는 모서리 한쪽 부위에 톱니형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어,1차 밀봉시트를 개봉하여 최초의 내용물을 꺼내어, 의료분석을 위해 환자나 그 분석 샘플,내용물등에 관해 채취후,2차 밀봉시트로 외부와 철저하게 차단을하여 분석실로 보내질수 있도록 한다.2차 밀봉 시트위에는 식별데이터를 프린트하여 붙여놓고, 또 밀봉된 직육면체 구급함을 2차 개봉하기 위한 절취선을 만들어 쉽게 분리할수 있도록 톱니형 절단면을 만들어 직육면체 구급함에 붙여 놓도록한다.구체적으로,1차 밀봉시트에 만들어져 있는 톱니모양 절취선을 따라 밀봉커버의 일부분을 찢어올리면 직육면체 구급함의 내부에 넣어놓은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1차 밀봉시트를 개봉한 뒤,채취한 각 개인의 혈액이나 기타 분석용 채취물을 넣은후 ,직육면체 구급대와 분리되는 1차밀봉시트와 이중으로 부착된 2차 밀봉시트를 직육면체 구급대에 재밀봉할 수 있다.2차 밀봉시트인 추가 커버에도 절취개봉을 위한 측면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다.추가 커버를 재개봉하려하면 톱니형 절단면이 파손이 되도록 만들어져있다.이런 이유로 누군가가 악의적으로 채취된 내용물을 훔치거나 바꿔치기를 하는등의 예상치못하고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미연에 방지할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직육면체 타입의 구급대는 환자의 건강을 위해서 검사를 받은 환자들이, 각각에 대해 적절한 의료기관이나 검사기관을 제대로 선택해 올바로 표시하여 장기간 관리 및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본 발명은 병원이나,의료 분석 치료소에서 사용하기 위해 시험관이나 약병, 기타 개인용 의료기기를 담기 위한 1회용 밀봉 구급함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의 주목적은 환자 각각에 대한 시험관이나 약병이나 의료기기나 보조라벨이 들어있어 다른 환자의 것들과 구분할 수 있는 구급함을 제공하는데 있다.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험관이나 약병을 증거를 남기지 않고 악의적으로 바꾸거나 훔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또 다른 목적은 다른 환자의 시험관이나 약병과 혼동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시험관이나 약병이나 시험물질의 손실을 방지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구급함의 사시도
상기에 언급한 본발명에 의한 개인용 구급함의 경우,신체검사를 받는 목적이나,아니면 특별한 상황에서 검사시 환자의 정확한 건강상태를 확인하거나 분석을 받기위하여 검사를 받은 환자 각각에 대해 적절한 의료 검사 보조기기를 제대로 선택해 올바로 표시하여 장기간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또한 본발명은 병원이나, 개인용도나 치료소에서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시험관이나 약병이나 기타 의료기기나 의료보조기기를 담기 위한 1회용 밀봉형 구급함(100)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의 주목적은 환자 각각에 대한 시험관이나 약병이나 의료기기나 보조라벨이 들어있어 다른 환자의 것들과 구분할 수 있는 구급함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른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이나 기타 분석물등의 시험관이나 약병등이다른이의 것과 혼동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험관이나 약병에 증거를 남기지 않고 악의적으로 바꾸거나 훔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시험관이나 약병이나 시험물질의 손실을 방지하는데 있다.본 발명의 이런 목적들은 병원이나, 개인용도나 치료소에서 사용하기 위해 시험관이나 약병이나 기타 의료기기를 담기 위한 구급함에 의해 달성되는데,구급대의 열린면을 반듯이 이중 밀봉시트로 접착한다.2차 밀봉 시트위에는 검사받은 환자의 상세한 기록이나 최소 필요 내용이 기록된 것을 붙여놓도록해야만 한다.직육면체형태의 구급함은 1회용 플라스틱으로 만들도록하고,열린 입구를 통해 관련된 필수 물건들을 안에 넣도록한다.또한 이때 넣는 물건들은 표준화하여 환자마다 다른 것을 넣어 혼동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급함은 직육면체 형태를 갖고, 윗쪽에 개방을 함으로서 관련된 최적의 물건을 넣는 입구가 있다.구급함박스 안에 시험관이나 약병에 적절한 표시를 하고 보조라벨이나 기타 의료기기를 넣는다. 이어서,구급함 입구를 1차 밀봉 접착시트(120)로 밀봉하는데, 1차 접착시트(120)로는 플라스틱 코팅 종이를 사용하도록한다.2차 밀봉커버(110)는 또한 1차 접착시트(120)와 마찬가지 접착시트로서, 구급함 박스(100)와의 접촉면에 1차 접착시트(120)위에 둥글게 감긴상태로 접착층에 붙어있다.2차 밀봉커버(110)를 1차 밀봉시트위의 절단면 바깥부위 구급함 입구에 평평한 가장자리에 붙인다. 이렇게 하면,최초 1차 밀봉시트(120)를 절단하여 필요한 약병,시험관,의료기기등을 꺼내어 사용후,채취한 각 개인의 검사 샘플을 집어넣고 2차 밀봉시트(110)로 밀폐함으로서 본의 아니게 샘플이 혼입되거나 또는 악의적으로 이를 바꿔치기하거나 도난을 당하는등의 사고로 인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즉 표기해야할 기본 필수 항목으로는 환자의 이름이나 식별코드나, 채취할 샘플의 양이나 채취날짜, 검사기관, 기타 의사나 간호사에게 필요한 정보를 2차 밀봉요소에 인쇄하여 부착하도록 한다.이와 같이 준비된 구급함을 환자나 의료진에게 전달하면, 병원이나 샘플채취 장소나 실험실에서 혼동 없이 사용될수 있는 것이다.이렇게 되면 기존에 사용하던 방식과 달리 시험관이나 약병을 분실할 위험이 없어지므로서, 환자가 잘못된 진단으로 잘못된 처방을 받을 위험이 없어진다.최초 직육면체 구급함에 시험관이나 약병, 의료기기를 구급함 안에 놓는 과정은 보통 손으로도 행하여지지만 ,컨베이어를 통한 자동화 기기로 이루어지는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컨베이어를 따라 움직이는 구급함에 시험관이나 약병이나 보조라벨이나 샘플채취에 필요한 의료기기등을 구급함 안에 넣는다. 이어서,구급함을 다음 단계에서 필요한 모든 정보가 인쇄된 밀봉요소를 2차 밀봉요소에 프린트하여 밀봉하도록 하므로서,구급함에 들어있는 내용물의 도난이나,혼입등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다. 상기 1차 밀봉요소(120)에는 절취선(121)이 톱니무늬로 형성되어 있어서,누구든지 쉽게 1차 밀봉요소(120)를 찢어내어 열고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그리고 2차 밀봉시트(110)에 환자나 내용물의 식별데이터를 인쇄하여 붙착(111)시켜 놈으로서분석을 위한 채취샘플을 정확히 식별하여 밀봉시킬수 있다.본 발명에 의한 구급함은 샘플을 채취하고 실험실로 옮겨질 때까지의 가능한 모든 안전 요소로도 진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관련된 물건을 넣은후 , 사용되는 2차 밀봉 커버(110)는 한번 부착이되면,커버를 오픈시 2차커버(110)의 톱니모양의 절단선(112)은 2차밀봉시트(110)을 오픈시 재사용이 어렵도록 제작되어 있다.이때 이 2차 커버(110)는 구급함의 1차 밀봉시트(120) 위에 이중으로 접착되어 있고,최초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1차 밀봉시트(120)를 톱니용 선(121)을 따라 찢어서 오픈을하고 , 모든 채취된 내용물을 구급함 박스안에 집어 넣은후 2차 밀봉시트로 밀봉을 마무리함으로서,환자 개개인의 구별 및 가가의 분석 샘플을 구별하여 사용함으로서 사용 목적에 타당한 구급함으로 제작할수 잇는 것이다.구급함 내부의 레이-아웃에 관하여는 각 기관에서 필요로하는 내용물을 규격화함에 따라 설계,제작할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100: 직육면체 구급대,
120:1차 밀봉시트 121 :톱니형 절단면
110 :2차 밀봉시트 111: 태그 112:톱니형 절단면

Claims (1)

  1. 병원이나,의료검사기관에서 사용하는 약병,시험관등이나 기타 의료기기를 담기 위한 구급함에 있어서 약병이나 시험관,의료기기등을 넣고, 입구를 밀봉시 이중밀봉타입으로 밀봉요소에 절취선을 형성해 1차 밀봉요소를 찢어내 구급함박스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도록하였으며,사용후 채취한 혈액이나 가금류등을 2차밀봉 상태로 만들어 밀봉요소에 평범한 문장이나 코드 형태로 식별데이터를 부착할수 있도록 함으로서,식별데이터에 환자나 내용물등에 대한 관련 필요한 정보가 표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급함.
KR1020160058839A 2016-05-13 2016-05-13 이중커버로 제작된 의료검사용 구급함 KR20170127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839A KR20170127932A (ko) 2016-05-13 2016-05-13 이중커버로 제작된 의료검사용 구급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839A KR20170127932A (ko) 2016-05-13 2016-05-13 이중커버로 제작된 의료검사용 구급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932A true KR20170127932A (ko) 2017-11-22

Family

ID=6080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839A KR20170127932A (ko) 2016-05-13 2016-05-13 이중커버로 제작된 의료검사용 구급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79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rasinger et al. Urinalysis and body fluids
AU2009249019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minimize diagnostic and other errors due to transposition of biological specimens among subjects
US4122947A (en) Pre-packaged patient identification kit
US5102234A (en) Multi-pocket bag for medical specimen
US3660916A (en) Identification system
US5520041A (en) Humidity-indicating medical sample system and method
CN111107939B (zh) 引导有害污染物样品的收集的系统和模板及使用其的方法
TWI693387B (zh) 可拋棄式測試套組
US5000484A (en) Identifica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surgical specimens
EP1962712B1 (en) Disposable safety "patient kit" for medical devices
US20090042313A1 (en) Recording assay device
Farmer et al. Don’t forget about human factors: Lessons learned from COVID-19 point-of-care testing
JP4727100B2 (ja) ラベル及び検体試料採取容器
KR20170127932A (ko) 이중커버로 제작된 의료검사용 구급함
EP0832689A2 (en) Specimen collection kit
Shirey et al. Standardizing the handling of surgical specimens
US20050112547A1 (en) Vaginal infection test system and method
Di Lorenzo et al. Blood collection: A short course
RU2409330C2 (ru) Одноразовый защитный "набор пациента" для медицинских приспособлений
KR20080092351A (ko) 의료기기용 1회용 구급함
Abutaleb et al. Safety First: Best Practices For Lab Technicians And Nurses In Handling Specimens And Samples
Midthun et al. The clinical laboratory improvement amendment: how it applies to the use of urine dipsticks in the long-term care facility
ITPD20080333A1 (it) Kit di sicurezza sigillabile con contenitore per provette, fialette o altri dispositivi medico-sanitari
Butterfield From donor to patient: Another safety factor
Wenk Risk investigations involving genetic ident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