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682A - 소방 훈련용 건조물 - Google Patents

소방 훈련용 건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682A
KR20170127682A KR1020160058052A KR20160058052A KR20170127682A KR 20170127682 A KR20170127682 A KR 20170127682A KR 1020160058052 A KR1020160058052 A KR 1020160058052A KR 20160058052 A KR20160058052 A KR 20160058052A KR 20170127682 A KR20170127682 A KR 20170127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opening
space
gas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욱
송우승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filed Critical 사단법인 도시생명네트워크
Priority to KR1020160058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7682A/ko
Publication of KR20170127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4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방 훈련용 건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염 및 연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공간; 상기 복수의 공간 중 인접한 공간 간을 개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 및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상기 화염 및 연기의 존재 여부에 따른 대기 내 가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를 포함하는, 소방 훈련용 건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소방 훈련용 건조물{STRUCTURE FOR FRIE DRI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방 훈련용 건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사무실, 창고, 공장 등과 같이 사람이 거주하는 건축물의 공간 내부에는 화재에 원인이 되는 가연성 가스, 전기, 인화물질 등이 존재하고 있어, 항상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소방관들이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은 매우 위험하며, 화재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속한 화재 진압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고도로 훈련된 소방관들에 의한 화재 진압 작전이 요구된다. 따라서, 소방관들은 화재 상황과 유사한 상황에서 모의 소방훈련을 실시하고, 훈련 경험에 기초하여 실제 화재 발생시 신속하고 적절하게 화재 진압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의 화재 체험 훈련 장치는 단순히 화재발생시에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을 체함하고, 이러한 정보들을 익혀 효과적으로 대피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재 발생시 유독 가스들이 퍼지는 경로 및 화재 발생 지점과의 거리차이 등에 따른 위험도를 자세히 알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5474호 (2011. 02. 1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제 화재 상황에 대비해서 유독 가스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화재 진압 및 대피 요령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소방 훈련용 건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화재 시발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유독 가스 분포도 및 유독 가스 종류를 파악하고 위한 소방 훈련용 건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표시부를 통해 실제 화재 상황에서 체계적인 구조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소방 훈련용 건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염 및 연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공간; 상기 복수의 공간 중 인접한 공간 간을 개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 및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상기 화염 및 연기의 존재 여부에 따른 대기 내 가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를 포함하는, 소방 훈련용 건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 각각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공간의 대기 내 가스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공간의 대기 내 가스의 농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공간의 대기 내 가스의 종류 및 함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외부에서 상기 공간의 대기 내 가스에 관한 정보가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제 화재 상황에 대비해서 유독 가스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고 화재 진압 및 대피 요령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시발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유독 가스 분포도 및 유독 가스 종류를 파악하고 위한 소방 훈련용 건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또한, 표시부를 통해 실제 화재 상황에서 체계적인 구조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소방 훈련용 건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훈련용 건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훈련용 건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방 훈련용 건조물(10)에는 화염 및 연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공간(10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방 훈련용 건조물(10) 내부에는 복수의 공간(100)간을 개방하는 개방부(110)와 각각의 개방부(110)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120)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공간(100)에는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가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소방 훈련자들은 훈련을 위해 임의로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 이때 화재가 처음 발생하는 지점인 화재 시발점(150)을 정하고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다. 화재 시발점(150)으로부터 화재가 어떻게 커지고, 어떻게 번지는지, 유독 가스 종류 및 분포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소방 훈련용 건조물(10)은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사무실, 창고, 공장, 아파트, 빌라 및 주택 등 사람이 주거 및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모형으로 만든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소방 훈련용 건조물(10)에는 사람이 주거하는 공간 및 이용할 수 있는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복수의 공간(10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공간(100)은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층에도 복수개의 공간(100)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110)는 복수의 공간(100) 중 인접한 공간 간을 개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공간(100)들은 밀폐되어 있고, 개방부(110)에 의해 화재가 이동할 수 있다. 개방부(110)는 공간(100)의 다른 층 간을 개방하는 제1 개방부(110a) 및 같은 층 간의 공간(100)을 개방하는 제2 개방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부재(120)는 하나의 개방부(110) 각각을 개폐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개폐 부재(120)는 제1 개방부(110a)를 개폐하는 제1 개폐부재(120a) 및 제2 개방부(110b)를 개폐하는 제2 개방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110) 및 개폐 부재(120)를 통해, 화재의 이동을 통제 및 파악할 수 있고, 환경에 따라 화재의 이동 경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상황에 따른 화재 실험을 위해, 화재가 이동하길 원하는 개방부(110)만 개방하고, 화재 진입 통제를 원하는 개방부(110)는 개폐 부재(120)를 통해 화재 진입을 통제할 수 있다. 이렇게, 개방부(110)와 개폐 부재(120)를 이용해서 화재 시발점(150)으로부터 화재가 이동하는 경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여러 상황을 시뮬레이션 하여 실제 화재 상황에서 보다 빠르게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복수의 공간(100) 각각에 화염 및 연기의 존재 여부에 따른 대기 내 가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복수의 공간(100) 각각에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다. 소방 훈련용 건조물(10)은 외부에서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 훈련용 건조물(10)의 외형이 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신호들을 외부에서도 쉽게 읽을 수 있다. 표시부(130)는 외부에서 공간(100)의 대기 내 가스에 관한 정보가 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각 공간(100)마다 배치되어, 각각의 공간(100)의 상태를 표시할 수있다.
예를 들어, 화재 시발점(150), 화재 환경 및 화재의 이동 경로 등에 따라 각각의 공간(100)에서 발생되는 유독 가스 종류 및 유독 가스 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130)를 각각의 공간(100)마다 배치하여 각각의 공간(100)에 따른 화재 및 유독 가스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130)는 글자 표시부(131) 및 색 표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글자 표시부(131)는 공간(100)의 대기 내 가스의 종류 및 함량 등 유독 가스에 대한 정보를 기호 및 수치 등의 글자로 표시할 수 있다. 글자 표시부(131)는 간략하게 가스의 종류와 함량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외부에서 파악하기 쉽게 글자는 크고 간단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색 표시부(132)는 공간(100)의 대기 내 가스의 종류 또는 가스 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할 수 있다. 색 표시부(132)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란색(132a), 노란색(132b), 주황색(132c) 및 빨간색(132d)등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공간(100)의 대기 내 유독 가스의 농도에 따라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에 따라 색이 단계별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공간(100)의 대기 내 유독 가스의 농도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경우 파란색(132a)을 표시할 수 있고, 사람에게 조금의 영향을 끼칠 경우 노란색(132b), 많은 영향을 끼칠 경우 주황색(132c), 사람에게 위독할 정도의 경우 빨간색(132d)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각 공간(100)의 대기 내 유독 가스 종류에 따라 색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가스는 일산화탄소, 시안화수소, 염화수소, 이산화탄소 등 독성이 강한 것들이 있는데, 각각의 유독 가스 별로 임의의 색을 지정하여 색 표시부(132)에 표시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는 파란색(132a), 시안화수소는 노란색(132b), 염화수소는 주황색(132c), 일산화탄소는 빨간색(132d) 등 각각 유독 가스마다 임의의 색을 지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 가장 악영향을 끼치는 유독 가스를 빨간색 등의 강한 색으로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공간(100)에서 발생되는 유독 가스 종류가 쉽게 파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색 표시부(132)를 이용할 경우, 유독 가스의 종류 또는 농도에 따라 각 공간(100) 내의 위험도를 파악하여, 구조시 우선순위를 매길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구조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소방 훈련용 건조물
100 : 공간
110 : 개방부
110a : 제1 개방부
110b : 제2 개방부
120 : 개폐부재
120a : 제1 개폐부재
120b : 제2 개폐부재
130 : 표시부
131 : 글자표시부
132 : 색표시부
150 : 화재 시발점

Claims (6)

  1. 화염 및 연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할 수 있는 복수의 공간;
    상기 복수의 공간 중 인접한 공간 간을 개방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 및
    상기 복수의 공간 각각에 상기 화염 및 연기의 존재 여부에 따른 대기 내 가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를 포함하는, 소방 훈련용 건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방부 각각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소방 훈련용 건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공간의 대기 내 가스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하는, 소방 훈련용 건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공간의 대기 내 가스의 농도에 따라서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하는, 소방 훈련용 건조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공간의 대기 내 가스의 종류 및 함량을 표시하는, 소방 훈련용 건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외부에서 상기 공간의 대기 내 가스에 관한 정보가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소방 훈련용 건조물.
KR1020160058052A 2016-05-12 2016-05-12 소방 훈련용 건조물 KR20170127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052A KR20170127682A (ko) 2016-05-12 2016-05-12 소방 훈련용 건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052A KR20170127682A (ko) 2016-05-12 2016-05-12 소방 훈련용 건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682A true KR20170127682A (ko) 2017-11-22

Family

ID=6080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052A KR20170127682A (ko) 2016-05-12 2016-05-12 소방 훈련용 건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76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352A2 (ko)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황 이차전지의 양극 제조용 바인더 및 이를 사용한 양극의 제조방법
KR20210071413A (ko) 2019-12-06 2021-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기거동에 따른 피난훈련용 실화재 훈련장의 유해가스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2299A (ko) 2019-12-09 2021-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기거동에 따른 피난훈련용 실화재 훈련장 시설물 및 그 연기확산 실험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352A2 (ko)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황 이차전지의 양극 제조용 바인더 및 이를 사용한 양극의 제조방법
KR20210071413A (ko) 2019-12-06 2021-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기거동에 따른 피난훈련용 실화재 훈련장의 유해가스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2299A (ko) 2019-12-09 2021-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기거동에 따른 피난훈련용 실화재 훈련장 시설물 및 그 연기확산 실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7682A (ko) 소방 훈련용 건조물
Fitzgerald Building fire performance analysis
Rathnayake et al. Factors contributing to building fire incidents: A review
Svensson Experimental study of fire ventilation during fire fighting operations
CN110599846A (zh) 一种大型造船厂的安全培训体验馆
US10522051B2 (en) Fire safety simulator
CN211349680U (zh) 一种消防安全体验装置
CN109200524A (zh) 一种多场景火灾模拟逃生演练系统
CN209333090U (zh) 一种多场景火灾模拟逃生演练系统
CN207804852U (zh) 一种密室逃脱式消防训练装置
Kącki et al. Fire strategies in buildings: LabFactor fire strategy
CN211349671U (zh) 一种烟雾走向教学装置
Garcia et al. Positive pressure attack for ventilation & firefighting
Yamamoto et al. Simulation of fire evacuation by real-coded cellular automata (RCA)
CN115620568A (zh) 一种基于物联网平台的3d虚拟消防灭火演示系统
Minavvarovna FIRE PREVENTION MEASURES IN UZBEKISTAN
KeRBeR Bringing Science to the Street. UL and Firefighter Safety Research
Knapp Modern House Fires Warrant Tactical Agility
Babatunde et al. Fire Emergency Safety Preparedness in the College of Leadership Development Studies Building in Covenant University, Ota, Nigeria
Hume Firefighting in under-ventilated compartments: Literature review
Mashayekh Study of Smoke Control in High-rise Buildings and Safe Evacuation of the Occupants
Li et al. Discussion on Firefighter Action Measures for Firefighters in Urban Complex Based on PyroSim
Ebus Smoke propagation in residential buildings. The main report on the
CN111312002A (zh) 一种烟雾走向教学装置
Rockwell Fire Protection Systems for Infrastructure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