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840A - Laminate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aminate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6840A KR20170126840A KR1020170149668A KR20170149668A KR20170126840A KR 20170126840 A KR20170126840 A KR 20170126840A KR 1020170149668 A KR1020170149668 A KR 1020170149668A KR 20170149668 A KR20170149668 A KR 20170149668A KR 20170126840 A KR20170126840 A KR 201701268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sd protection
- electrodes
- discharge
- electrode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04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4
- 230000000703 anti-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5902 Bi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493 Nd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79 Neody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7 bismut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7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72 electroless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13 electro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6 lantha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oxide Inorganic materials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40—Structural combinations of fixed capacitors with other electric elements, the structure mainly consisting of a capacitor, e.g. RC combin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voltage responsive, i.e. varis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07—Non-linear filte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09—Casings with provisions to reduce EMI leakage through the joining par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7—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from electrostatic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적층형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 폰 등의 충전 가능한 전자기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감전 전압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적층형 소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용은 과거 음성통화 중심에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거쳐 스마트폰 기반의 생활편의 서비스로 진화되어 왔다. 또한, 스마트폰 등의 다기능화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 대역이 사용되고 있다. 즉, 하나의 스마트폰 내에서 무선 LAN(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GPS 등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복수의 기능을 채용하게 되었다. 또한, 전자 기기의 고집적화에 따라 한정된 공간에서의 내부 회로 밀도가 높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내부 회로 사이에 노이즈 간섭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휴대용 전자 기기의 다양한 주파수의 노이즈를 억제하고, 내부 회로 사이의 노이즈를 억제하기 위해 복수의 회로 보호 소자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콘덴서, 칩 비드, 공통 모드 필터(common mode filter) 등이 이용되고 있다.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evolved from the center of the voice communication in the past to the service of the life-like service based on the smartphone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service. In addition, various frequency bands have been used in accordance with the multifunctionality of smart phones and the like. That is, a plurality of functions using different frequency bands such as wireless LAN (wireless LAN), bluetooth, and GPS are adopted in one smartphone. In addition, due to the high integration of electronic devices, the internal circuit density in a limited space is increased, thereby causing noise interference between internal circuits inevitably. A plurality of circuit protection devices are used to suppress noise at various frequencie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o suppress noise between internal circuits. For example, a capacitor, a chip bead, a common mode filter, or the like that removes noise in different frequency bands are used.
한편, 최근들어 스마트폰의 고급스런 이미지와 내구성이 강조되면서 금속 소재를 이용한 단말기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즉, 테두리를 금속으로 제작하거나, 전면의 화면 표시부를 제외한 나머지 케이스를 금속으로 제작한 스마트폰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Meanwhile, in recent years, as the image and durability of smart phones have been emphasized, the spread of terminals using metal materials is increasing. That is, the spread of smart phone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or a case made of metal except the screen display portion on the front is increasing.
그런데, 금속 케이스를 이용한 스마트폰에 비정품 충전기를 이용한 충전 중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과전류 보호 회로가 내장되지 않거나 저품질의 소자를 사용한 비정품 충전기 또는 불량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함으로써 쇼크 전류(Shock Current)가 발생되고, 이러한 쇼크 전류는 스마트폰의 그라운드 단자로 도전되고, 다시 금속 케이스로 도전되어 금속 케이스에 접촉된 사용자가 감전될 수 있다.However, if a smartphone using a metal case is charged while using a non-genuine charger, an electric shock may occur. That is, a shock current is generated by charging using a non-genuine charger or a defective charger that does not incorporate a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or a low-quality device, and this shock current is conducted to the ground terminal of the smart phone, So that a user who is in contact with the metal case can be electrically charged.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 내에 마련되어 충전기로부터 입력되는 쇼크 전류에 의한 사용자의 감전을 방지할 수 있는 적층형 소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cked element that is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nd can prevent a user from being charged by a shock current input from a charger.
본 발명은 ESD(ElectroStatic Discharge)에 의해 절연 파괴되지 않는 적층형 소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cked device that is not dielectric-breakable by ESD (ElectroStatic Discharge).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적층형 소자는 복수의 절연 시트가 적층된 적층체; 상기 적층체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캐패시터부; 상기 절연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ESD 전압을 방호하는 ESD 보호부; 및 상기 적층체 외부의 적어도 두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캐패시터부 및 ESD 보호부와 연결되는 외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ESD 보호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방전 전극과, 상기 방전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ESD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전극의 하나가 전자기기의 금속 케이스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가 접지 단자에 연결되어 감전 전압을 차단하고 ESD 전압을 바이패스시킨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cked element includes: a stacked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sulating sheets stacked; A capacit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internal electrodes formed in the laminate; An ESD protection part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insulating sheet to protect the ESD voltage; And an external electrode provided on at least two sides of the stacked body and connected to the capacitor unit and the ESD protection unit, wherein the ESD protection unit includes at least two discharge electrodes, at least one ESD protection One of the external electrodes is connected to the metal cas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to cut off the electrostatic voltage and bypass the ESD voltage.
상기 ESD 보호층은 다공성의 절연 물질, 도전 물질 및 에어 갭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갭은 인접한 상기 절연 물질의 적어도 두 기공이 연결되어 형성된다.The ESD protection lay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porous insulating material, a conductive material, and an air gap, and the air gap is formed by connecting at least two pores of the adjacent insulating material.
상기 감전 전압은 방전 개시 전압 이하이고, 상기 ESD 전압은 상기 방전 개시 전압 이상이다.The electrostatic voltage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discharge start voltage, and the ESD voltag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discharge start voltage.
상기 방전 전극과 상기 ESD 보호층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형성되거나,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된다.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ESD protection layer are formed on different planes or on the same plane.
상기 방전 전극과 인접한 상기 내부 전극은 동일 외부 전극과 연결되거나, 서로 다른 외부 전극과 연결된다.The inner electrodes adjacent to the discharge electrodes are connected to the same outer electrode or connected to different outer electrodes.
상기 방전 전극과 인접한 상기 내부 전극 사이의 거리를 A, 상기 방전 전극 사이의 거리를 B, 상기 내부 전극 사이의 거리를 C라 할 때 A≤C 또는 A≤B이다.Wherein A is a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adjacent inner electrode, A is a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and C is a distance between the inner electrodes.
상기 최하층 및 최상층의 절연 시트의 두께를 각각 D1, D2라 할 때 B≤D1, B≤D2이고, D1과 D2는 같거나 다르다.D1 " and " D2 " are equal to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thicknesses of the lowermost and uppermost insulating sheets are D1 and D2, respectively.
상기 외부 전극은 상기 적층체의 상부 및 하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 전극과 일부 중첩된다.The external electrode extends to at least one of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laminate and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internal electrode.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전자기기는 금속 케이스와 내부 회로 사이에 마련되어 감전 전압을 차단하고 ESD 전압을 바이패스시키는 적층형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적층형 소자는, 복수의 절연 시트가 적층된 적층체; 상기 적층체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캐패시터부; 상기 절연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방전 전극과, 적어도 하나의 ESD 보호층을 포함하는 ESD 보호부; 및 상기 적층체 외부의 적어도 두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캐패시터부 및 ESD 보호부와 연결되는 외부 전극을 포함한다.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cked element provided between a metal case and an internal circuit to block an ESD voltage and bypass an ESD voltage, the stacked element comprising: a stacked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stacked insulating sheets; A capacit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internal electrodes formed in the laminate; An ESD protection part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insulating sheet and including at least two discharge electrodes and at least one ESD protection layer; And an external electrode provided on at least two sides of the laminated body and connected to the capacitor unit and the ESD protection unit.
상기 방전 전극과 인접한 상기 내부 전극은 동일 외부 전극과 연결되거나, 서로 다른 외부 전극과 연결된다.The inner electrodes adjacent to the discharge electrodes are connected to the same outer electrode or connected to different outer electrodes.
상기 외부 전극은 상기 적층체의 상부 및 하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 전극과 일부 중첩된다.The external electrode extends to at least one of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laminate and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internal electrode.
상기 방전 전극과 인접한 상기 내부 전극 사이의 거리를 A, 상기 방전 전극 사이의 거리를 B, 상기 내부 전극 사이의 거리를 C라 할 때 A≤C 또는 A≤B이다.Wherein A is a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adjacent inner electrode, A is a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and C is a distance between the inner electrodes.
상기 최하층 및 최상층의 절연 시트의 두께를 각각 D1, D2라 할 때 B≤D1, B≤D2이고, D1과 D2는 같거나 다르다.D1 " and " D2 " are equal to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thicknesses of the lowermost and uppermost insulating sheets are D1 and D2,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적층형 소자로서의 감전 방지 소자는 ESD 보호부를 구비하고, ESD 보호부가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져 미세 기공을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절연층을 포함함으로써 유입되는 ESD를 바이패스시켜 소자의 절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감전 방지 소자가 전자기기의 금속 케이스와 내부 회로 사이에 마련되어 감전 전압을 차단하고 ESD 전압을 접지 단자로 바이패스시키며, ESD에 의해 절연이 파괴되지 않고, 그에 따라 불량 충전기에서 발생된 감전 전압이 전자기기의 금속 케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SD protection device as a stacked type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SD protection part, and the ESD protection part has a porous structure, and includes an insulating layer that allows a current to flow through the micropores, thereby bypassing the ESD, State can be maintained. Therefore, the ESD protection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metal case and the internal circuit of the electronic device to interrupt the ESD voltage, bypass the ESD voltage to the ground terminal, prevent the ESD from destroying the ES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ser through the metal case of the electronic apparatus.
또한, 외부 전극이 내부 전극의 적어도 일부와 소정 영역에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극과 내부 전극 사이에 소정의 기생 캐패시턴스가 생성될 수 있고, 외부 전극과 내부 전극의 중첩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감전 방지 소자의 캐패시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Also, the external electrode may be formed to overlap at least a part of the internal electrode with a predetermined region. Therefore, a predetermined parasitic capacitance can be generated between the external electrode and the internal electrode, and the capacitance of the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elemen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overlapping area of the external electrode and the internal electrode.
그리고, ESD 보호부의 방전 전극과 인접한 캐패시터부의 내부 전극이 동일 외부 전극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 시트가 절연 파괴되더라도 ESD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 internal electrode of the capacitor portion adjacent to the discharge electrode of the ESD protection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same external electro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SD voltage from being applied even if the insulation sheet breaks dow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로서의 감전 방지 소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라인을 절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의 등가 회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의 ESD 보호층의 단면도 및 단면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의 단면도.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 및 그 변형 예들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의 개략도.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들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의 단면도.
도 19 내지 도 22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들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의 단면도.
도 23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ESD 보호층의 다양한 실험 예들에 따른 방전 개시 전압을 도시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ti-electrostatic device as a laminate typ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FIG.
3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an electric shock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cross-sectional and cross-sectional photographs of an ESD protection layer of an anti-shock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an electric shock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of an electric shock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4 are schematic views of an electric shock preventive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odifications.
15 to 18 are sectional views of an electric shock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to 22 are sectional views of an electric shock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26 illustrate discharge firing voltages according to various experimental examples of an ESD protectio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other various forms of implementation, and that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completel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적층형 소자로서의 감전 방지 소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 방향(X 방향)으로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등가 회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nti-static device as a laminat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in one direction (X direction) of Fig. 1, and Fig. 3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는 복수의 절연 시트(100; 101 내지 111)가 적층된 적층체(1000)와, 적층체(1000) 내에 마련되며 복수의 내부 전극(200; 201 내지 208)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부(2000, 4000)와,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전극(310; 311, 312)과 ESD 보호층(320)을 구비하는 ESD 보호부(30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체(1000) 내에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가 마련되고, 그 사이에 ESD 보호부(300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적층체(1000) 내부에 제 1 캐패시터부(2000), ESD 보호부(3000) 및 제 2 캐패시터부(4000)가 적층되어 감전 방지 소자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적층체(1000)의 서로 대향하는 두 측면에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와 ESD 보호부(3000)와 연결되는 외부 전극(5100, 5200; 5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감전 방지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부와 적어도 하나의 ESD 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ESD 보호부(3000)의 하측 또는 상측의 어느 하나에 캐패시터부가 마련될 수 있고, 서로 이격된 둘 이상의 ESD 보호부(3000)의 상측 및 하측에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감전 방지 소자는 전자기기의 내부 회로, 예를 들어 PCB와 금속 케이스 사이에 마련되어 감전 전압을 차단하며, ESD 전압을 바이패스시키고, ESD에 의해 절연이 파괴되지 않아 감전 전압을 지속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1 to 3, an anti-shock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적층체(1000)는 복수의 절연 시트(101 내지 111; 100)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적층체(1000)는 일 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타 방향(예를 들어 Y 방향)으로 각각 소정이 길이를 갖고, 수직 방향(예를 들어 Z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외부 전극(5000)의 형성 방향을 X 방향으로 할 때, 이와 수평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수직 방향을 Z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X 방향의 길이는 Y 방향의 길이 및 Z 방향의 길이보다 길고, Y 방향의 길이는 Z 방향의 길이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Y 방향과 Z 방향의 길이가 다를 경우 Y 방향의 길이는 Z 방향의 길이보다 짧거나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X, Y 및 Z 방향의 길이의 비는 2∼5:1:0.5∼1일 수 있다. 즉, Y 방향의 길이를 기준으로 X 방향의 길이가 Y 방향의 길이보다 2배 내지 5배 정도 길 수 있고, Z 방향의 길이는 Y 방향의 길이보다 0.5배 내지 1배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X, Y 및 Z 방향의 길이는 하나의 예로서 방전 감지 소자가 연결되는 전자기기의 내부 구조, 방전 감지 소자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적층체(100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부(2000, 4000)와 적어도 하나의 ESD 보호부(300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캐패시터부(2000), ESD 보호부(3000) 및 제 2 캐패시터부(4000)가 시트(100)의 적층 방향, 즉 Z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절연 시트(100)은 소정의 유전율, 예를 들어 10∼20000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절연 시트(100)는 MLCC 등의 유전체 재료 분말, BaTiO3, BaCO3, TiO2, Nd2O3, Bi2O3, Zn0, Al2O3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절연 시트(100)는 모두 동일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것들에 비해 두껍거나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즉, ESD 보호부(3000)의 절연 시트는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의 절연 시트와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ESD 보호부(3000)와 제 1 및 제 2 캐패시터(2000, 4000) 사이에 형성된 절연 시트가 다른 시트들과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SD 보호부(3000)와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 사이의 절연 시트, 즉 제 5 및 제 7 절연 시트(105, 107)의 두께는 ESD 보호부(3000)의 절연 시트, 즉 제 6 절연 시트(106)보다 얇거나 같은 두께로 형성되거나,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의 내부 전극 사이의 절연 시트(102 내지 104, 108 내지 110)보다 얇거나 같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ESD 보호부(3000)와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 사이의 간격은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의 내부 전극 사이의 간격보다 얇거나 같게 형성되거나, ESD 보호부(3000)의 두께보다 얇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 1 및 제 2 캐패시터(2000, 4000)의 절연 시트(102 내지 104, 108 내지 110)은 동일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얇거나 두꺼울 수도 있다. 한편, 절연 시트들(100)은 ESD 인가 시 파괴되지 않는 두께, 예를 들어 5㎛∼3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층체(1000)는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마련된 하부 커버층(미도시) 및 상부 커버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 1 절연 시트(101)가 하부 커버층으로 기능하고 제 11 절연 시트(111)가 상부 커버층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하부 및 상부 커버층은 자성체 시트가 복수 적층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동일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체 시트로 이루어진 하부 및 상부 커버층의 최외곽, 즉 하부 및 상부 표면에 비자성 시트, 예를 들어 유리질의 시트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및 상부 커버층은 내부의 절연 시트들, 즉 제 2 내지 제 10 절연 시트(102 내지 110)보다 두꺼울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11 절연 시트(101, 111)이 하부 및 상부 커버층으로 기능하는 경우 제 2 내지 제 10 절연 시트(102 내지 110)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The
제 1 캐패시터부(2000)는 ESD 보호부(3000)의 하측에 마련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내부 전극과, 이들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둘 이상의 절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캐패시터부(2000)는 제 1 내지 4 절연 시트(101 내지 104)와, 제 1 내지 4 절연 시트(101 내지 104) 상에 각각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01 내지 2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01 내지 204)는 예를 들어 1㎛∼10㎛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01 내지 204)은 X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외부 전극(5100, 5200; 5000)과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 1 및 제 3 내부 전극(201, 203)은 제 1 및 제 3 절연 시트(101, 103) 상에 각각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제 1 외부 전극(5100)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 2 외부 전극(5200)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 2 및 제 4 내부 전극(202, 204)는 제 2 및 제 4 절연 시트(102, 104) 상에 각각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제 2 외부 전극(5200)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 1 외부 전극(5100)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01 내지 204)는 외부 전극(5000)의 어느 하나와 교대로 연결되며 제 2 내지 제 4 절연 시트(202 내지 204)를 사이에 두고 소정 영역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01, 204)은 제 1 내지 제 4 절연 시트(101 내지 104) 각각의 면적 대비 10% 내지 85%의 면적으로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01 내지 204)은 이들 전극 각각의 면적 대비 10% 내지 85%의 면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01 내지 204)은 예를 들어 정사각형, 직사각형, 소정의 패턴 형상, 소정 폭 및 간격을 갖는 스파이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캐패시터부(2000)는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01 내지 204) 사이에 캐패시턴스가 각각 형성되며, 캐패시턴스는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01 내지 204)의 중첩 면적, 절연 시트들(101 내지 104)의 두께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 1 캐패시터부(2000)는 제 1 내지 제 4 내부 전극(201 내지 204)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 전극이 더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전극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 시트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캐패시터부(2000)는 두개의 내부 전극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 예는 제 1 캐패시터(2000)의 내부 전극이 네개 형성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내부 전극은 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ESD 보호부(3000)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방전 전극(310; 311, 312)과, 적어도 두개의 방전 전극(310)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ESD 보호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SD 보호부(3000)는 제 5 및 제 6 절연 시트(105, 106)와, 제 5 및 제 6 절연 시트(105, 106) 상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과, 제 6 절연 시트(106)를 관통하여 형성된 ESD 보호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ESD 보호층(320)은 적어도 일부가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은 캐패시터부(2000, 4000)의 내부 전극들(200)과 동일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은 1㎛∼10㎛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은 캐패시터부(2000, 4000)의 내부 전극(200)보다 얇거나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방전 전극(311)은 제 1 외부 전극(5100)과 연결되어 제 5 절연 시트(105) 상에 형성되며 말단부가 ESD 보호층(32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 2 방전 전극(312)은 제 2 외부 전극(5200)과 연결되어 제 6 절연 시트(106) 상에 형성되며 말단부가 ESD 보호층(32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의 ESD 보호층(320)과 접촉되는 영역은 ESD 보호층(320)과 동일 크기 또는 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은 ESD 보호층(320)을 벗어나지 않고 완전히 중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의 가장자리는 ESD 보호층(320)의 가장자리와 수직 성분을 이룰 수 있다. 물론,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은 ESD 보호층(320)의 일부에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는 ESD 보호층(320)의 수평 면적의 10% 내지 100%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은 ESD 보호층(320)을 벗어나게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은 ESD 보호층(320)과 접촉되는 일 영역이 접촉되지 않은 영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ESD 보호층(320)은 제 6 절연 시트(106)의 소정 영역, 예를 들어 중심부에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ESD 보호층(320)은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ESD 보호층(320)은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과 수평 면적의 10% 내지 100%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ESD 보호층(320)은 제 6 절연 시트(106)의 소정 영역, 예를 들어 중심부에 소정 크기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후막 인쇄 공정을 이용하여 관통홀을 매립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ESD 보호층(330)은 예를 들어 100㎛∼500㎛의 직경과 10㎛∼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ESD 보호층(320)의 두께가 얇을수록 방전 개시 전압이 낮아진다. ESD 보호층(320)은 도전성 물질과 절연성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세라믹과 절연성 세라믹의 혼합 물질을 제 6 절연 시트(106) 상에 인쇄하여 ESD 보호층(32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ESD 보호층(320)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 시트(10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두개의 절연 시트(100)에 ESD 보호층(320)이 각각 형성되고, 그 절연 시트(100) 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방전 전극이 형성되어 ESD 보호층(320)과 연결될 수 있다. ESD 보호층(320)의 구조, 재료 등의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The
제 2 캐패시터부(4000)는 ESD 보호부(3000)의 상측에 마련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내부 전극과, 이들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둘 이상의 절연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캐패시터부(2000)는 제 7 내지 제 10 절연 시트(107 내지 110)와, 제 7 내지 제 10 절연 시트(107 내지 110) 상에 각각 형성된 제 5 내지 제 8 내부 전극(205 내지 20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5 내지 제 8 내부 전극(205 내지 208)은 X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외부 전극(5100, 5200; 5000)과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 5 및 제 7 내부 전극(205, 207)은 제 7 및 제 9 절연 시트(107, 109) 상에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제 1 외부 전극(5100)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 2 외부 전극(5200)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 6 및 제 8 내부 전극(206, 208)는 제 8 및 제 10 절연 시트(108, 110) 상에 각각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제 2 외부 전극(5200)과 연결되고 타측이 제 1 외부 전극(5100)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 5 내지 제 8 내부 전극(205 내지 108)이 외부 전극(5000)의 어느 하나와 교대로 연결되며 제 8 내지 제 10 절연 시트(208 내지 110)를 사이에 두고 소정 영역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 5 내지 제 8 내부 전극(205 내지 208)은 제 7 내지 제 10 절연 시트(107 내지 110) 각각의 면적 대비 10% 내지 85%의 면적으로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 5 내지 제 8 내부 전극(205 내지 208)은 이들 전극 각각의 면적 대비 10% 내지 85%의 면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5 내지 제 8 내부 전극(205 내지 208)은 예를 들어 1㎛∼10㎛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 5 내지 제 8 내부 전극(205 내지 208)은 예를 들어 정사각형, 직사각형, 소정의 패턴 형상, 소정 폭 및 간격을 갖는 스파이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캐패시터부(4000)는 제 5 내지 제 8 내부 전극(205 내지 208) 사이에 캐패시턴스가 각각 형성되며, 캐패시턴스는 제 5 내지 제 8 내부 전극(205 내지 208)의 중첩 면적, 절연 시트들(108 내지 110)의 두께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 2 캐패시터부(4000)는 제 3 및 제 4 내부 전극(203, 204) 이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 전극이 더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전극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 시트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캐패시터부(4000)는 두개의 내부 전극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 예는 제 2 캐패시터(4000)의 내부 전극이 네개 형성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내부 전극은 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제 1 캐패시터부(2000)의 내부 전극들(201 내지 204)과 제 2 캐패시터부(4000)의 내부 전극들(205 내지 208)은 동일 형상 및 동일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첩 면적 또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1 캐패시터부(2000)의 절연 시트들(101 내지 104)와 제 2 캐패시터부(4000)의 절연 시트들(107 내지 110)은 동일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1 절연 시트(101)가 하부 커버층으로 기능할 경우 제 1 절연 시트(101)는 나머지 절연 시트들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는 캐패시턴스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는 캐패시턴스가 다를 수 있으며, 이 경우 내부 전극의 면적, 내부 전극의 중첩 면적, 절연 시트의 두께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캐패시터부(2000, 4000)의 내부 전극(201 내지 208)는 ESD 보호부(3000)의 방전 전극(310)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면적 또한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외부 전극(5100, 5200; 5000)는 적층체(1000)의 서로 대향되는 두 측면에 마련되어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와 ESD 보호부(3000)의 내부 전극과 연결된다. 이러한 외부 전극(5000)은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전극(5000)은 Ag 등의 금속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금속층 상에 적어도 하나의 도금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극(5000)은 구리층, Ni 도금층 및 Sn 또는 Sn/Ag 도금층이 적층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전극(5000)은 예를 들어 0.5%∼20%의 Bi2O3 또는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성분계의 글래스 프릿(Glass frit)을 금속 분말과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글래스 프릿과 금속 분말의 혼합물은 페이스트 형태로 제조되어 적층체(1000)의 두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렇게 외부 전극(5000)에 글래스 프릿이 포함됨으로써 외부 전극(5000)과 적층체(10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부 전극(200)과 외부 전극(5000)의 콘택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글래스가 포함된 도전성 페이스트가 도포된 후 그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도금층이 형성되어 외부 전극(500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글래스가 포함된 금속층과, 그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도금층이 형성되어 외부 전극(500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극(5000)은 글래스 프릿과 Ag 및 Cu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층을 형성한 후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을 통하여 Ni 도금층 및 Sn 도금층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Sn 도금층은 Ni 도금층과 같거나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전극(5000)은 2㎛∼1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Ni 도금층이 1㎛∼10㎛의 두께로 형성되고, Sn 또는 Sn/Ag 도금층은 2㎛∼1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는 적층체(1000) 내에 하나의 ESD 보호층(320)을 구비하는 ESD 보호부(3000)가 마련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ESD 보호층(320)이 둘 이상 복수 마련될 수도 있어 ESD 보호부(3000)가 복수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 ESD 보호층(320)이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고 ESD 보호층(320) 사이에 방전 전극이 더 형성되어 하나의 감전 방지 소자가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와 둘 이상의 ESD 보호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캐패시터부(2000, 4000)의 내부 전극들(200)과 ESD 보호부(3000)의 방전 전극(310) 및 ESD 보호층(320)이 Y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적층체(1000) 내에 복수의 감전 방지 소자가 병렬로 마련될 수도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감전 방지 소자의 ESD 보호층(320)의 단면 개략도 및 단면 사진이다.4 and 5 are a cross-sectional schematic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SD 보호층(320)은 도전성 물질과 절연성 물질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SD 보호층(320)은 도전성 세라믹과 절연성 세라믹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ESD 보호층(320)은 도전성 세라믹과 절연성 세라믹을 예를 들어 10:90 내지 90:10의 혼합 비율로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절연성 세라믹의 혼합 비율이 증가할수록 방전 개시 전압이 높아지고, 도전성 세라믹의 혼합 비율이 증가할수록 방전 개시 전압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방전 개시 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도전성 세라믹과 절연성 세라믹의 혼합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ESD 보호층(320)에는 복수의 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기공이 형성됨으로써 ESD 전압을 더욱 용이하게 바이패스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 and 5 (a), the
또한, ESD 보호층(300)은 도전층과 절연층을 적층하여 소정의 적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즉, ESD 보호층(300)은 도전층과 절연층을 적어도 1회 적층하여 도전층과 절연층이 구분되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SD 보호층(320)은 도전층과 절연층이 적층되어 2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도전층, 절연층 및 도전층이 적층되어 3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전층(321)과 절연층(322)이 복수회 반복 적층되어 3층 이상의 적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전층(321a), 절연층(322) 및 제 2 도전층(321b)이 적층된 3층 구조의 ESD 보호층(30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b)는 절연 시트 사이의 내부 전극 사이에 3층 구조의 ESD 보호층이 형성된 사진이다. 한편, 도전층과 절연층을 복수회 적층하는 경우 최상층 및 최하층은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도전층(321)과 절연층(322)의 적어도 일부에는 복수의 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층(321) 사이에 형성된 절연층(322)은 다공성 구조로 형성되므로 절연층(322) 내에 복수의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SD protection layer 300 may be formed by laminating a conductive layer and an insulating layer in a predetermined laminated structure. That is, the ESD protection layer 300 may be formed by laminating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at least once to divide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For example, the
또한, ESD 보호층(320)은 소정 영역에 에어 갭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물질과 절연성 물질이 혼합된 층의 사이에 에어 갭이 형성될 수 있고, 도전층과 절연층 사이에 에어 갭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전성 물질과 절연성 물질의 제 1 혼합층, 에어 갭 및 제 2 혼합층이 적층 형성될 수 있고, 도전층, 에어 갭 및 절연층이 적층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ESD 보호층(320)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전층(321a), 제 1 절연층(322a), 에어 갭(323), 제 2 절연층(322b) 및 제 2 도전층(321b)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전층(321) 사이에 절연층(322)이 형성되고, 절연층(322) 사이에 에어 갭(3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c)에는 이러한 적층 구조를 갖는 ESD 보호층(320)의 단면 사진이다. 물론, 도전층, 절연층, 에어 갭이 반복 적층되어 ESD 보호층(320)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전층(321), 절연층(322) 및 에어 갭(323)이 적층되는 경우 이들 모두의 두께가 모두 동일할 수 있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두께가 다른 것들에 비해 얇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 갭(323)이 도전층(321) 및 절연층(322)보다 얇을 수 있다. 또한, 도전층(321)은 절연층(322)과 동일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절연층(322)보다 두껍거나 얇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에어 갭(323)은 고분자 물질을 충진한 후 소성 공정을 실시하여 고분자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세라믹이 포함된 제 1 고분자 물질, 절연성 세라믹이 포함된 제 2 고분자 물질, 그리고 도전성 세라믹 또는 절연성 세라믹 등이 포함되지 않은 제 3 고분자 물질을 비아홀 내에 충진한 후 소성 공정을 실시하여 고분자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도전층, 절연층 및 에어 갭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에어 갭(323)은 층이 구분되지 않고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전층(321a, 321b) 사이에 절연층(322)이 형성되고 절연층(322) 내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기공이 연결되어 에어 갭(32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에어 갭(323)은 절연층(322) 내에 복수의 기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에어 갭(323)이 복수의 기공에 의해 도전층(321)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한편, ESD 보호층(320)에 이용되는 도전층(321)은 소정의 저항을 갖고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층(321)은 수Ω 내지 수백㏁을 갖는 저항체일 수 있다. 이러한 도전층(321)은 ESD 등이 과전압이 유입될 경우 에너지 레벨을 낮춰 과전압에 의한 감전 방지 소자의 구조적인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즉, 도전층(321)은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히트 싱크(heat sink)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도전층(321)은 도전성 세라믹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도전성 세라믹은 La, Ni, Co, Cu, Zn, Ru, Ag, Pd, Pt, W, Fe, Bi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전층(321)은 1㎛∼50㎛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도전층(321)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경우 전체 두께의 합이 1㎛∼50㎛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ductive layer 321 used for the
또한, ESD 보호층(320)에 이용되는 절연층(322)은 방전 유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공성 구조를 가진 전기 장벽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층(322)은 절연성 세라믹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절연성 세라믹은 50∼50000 정도의 유전율을 갖는 강유전체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성 세라믹은 MLCC 등의 유전체 재료 분말, BaTiO3, BaCO3, TiO2, Nd, Bi, Zn, Al2O3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층(322)은 1㎚∼5㎛ 정도 크기의 기공이 복수 형성되어 30%∼80%의 기공률로 형성된 다공성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기공 사이의 최단 거리는 1㎚∼5㎛ 정도일 수 있다. 즉, 절연층(322)은 전류가 흐르지 못하는 전기 절연성 물질로 형성되지만, 기공이 형성되므로 기공을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때, 기공의 크기가 커지거나 기공률이 커질수록 방전 개시 전압이 낮아질 수 있고, 이와 반대로 기공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기공률이 낮아지면 방전 개시 전압이 높아질 수 있다. 그러나, 기공의 크기가 5㎛를 초과하거나 기공률이 80%를 초과하면 ESD 보호층(320)의 형상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ESD 보호층(320)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방전 개시 전압을 조절하도록 절연층(322)의 기공 크기 및 기공률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ESD 보호층(320)이 절연 물질과 도전 물질의 혼합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절연 물질은 미세 기공 및 기공률을 갖는 절연성 세라믹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322)은 미세 기공에 의해 절연 시트(100)의 저항보다 낮은 저항을 갖고, 미세 기공을 통해 부분 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절연층(322)은 미세 기공이 형성되어 미세 기공을 통해 부분 방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연층(322)은 1㎛∼50㎛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절연층(322)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경우 전체 두께의 합이 1㎛∼50㎛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ulating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금속 케이스(10)와 내부 회로(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외부 전극(5000)의 어느 하나가 전자기기의 금속 케이스(1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가 접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접지 단자는 내부 회로(20)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외부 전극(5100)이 전자기기의 금속 케이스(10)에 연결되고, 제 2 외부 전극(5200)은 접지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회로(20)의 접지 단자로부터 금속 케이스로 전달되는 감전 전압을 차단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내부 회로로 인가되는 ESD 전압을 접지 단자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감전 방지 소자는 정격 전압 및 감전 전압에서는 외부 전극(5000) 사이에서 전류가 흐르지 못하고, ESD 전압에서는 ESD 보호부(3000)를 통해 전류가 흘러 ESD 전압이 접지 단자로 바이패스된다. 한편, 감전 방지 소자는 방전 개시 전압이 정격 전압보다 높고 ESD 전압보다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전 방지 소자는 정격 전압이 100V 내지 240V일 수 있고, 감전 전압은 회로의 동작 전압과 같거나 높을 수 있으며, 외부의 정전기 등에 의해 발생되는 ESD 전압은 감전 전압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통신 신호, 즉 교류 주파수는 캐패시터부(2000, 4000)에 의해 내부 회로(20)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안테나가 마련되지 않고 금속 케이스(10)를 안테나로 이용하는 경우에도 외부로부터 통신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는 감전 전압을 차단하고, ESD 전압을 접지 단자로 바이패스시키며, 통신 신호를 내부 회로로 인가할 수 있다.The electric shock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는 내압 특성이 높은 절연 시트를 복수 적층하여 캐패시터부를 형성함으로써 불량 충전기에 의한 내부 회로에서 금속 케이스로의 예를 들어 310V의 감전 전압이 유입될 때 누설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절연 저항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ESD 보호부 역시 금속 케이스에서 내부 회로로의 ESD 전압 유입 시 ESD 전압을 바이패스시켜 소자의 파손없이 높은 절연 저항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ESD 보호부(3000)는 에너지 레벨을 낮춰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도전층(310)과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져 미세 기공을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절연층(320)으로 이루어진 ESD 보호층(300)을 포함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ESD 전압을 바이패스시켜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ESD 전압에 의해서도 절연 파괴되지 않고, 그에 따라 금속 케이스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내에 마련되어 불량 충전기에서 발생된 감전 전압이 전자기기의 금속 케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MLCC(Multi Layer Capacitance Circuit)는 감전 전압은 보호하지만 ESD에는 취약한 소자로 이는 반복적인 ESD 인가 시 전하 차징(Charging)에 의한 누설 포인트(Leak point)로 스파크(Spark)가 발생하여 소자 파손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캐패시터부 사이에 도전층과 절연층을 포함하는 ESD 보호층이 형성됨으로써 ESD 전압을 ESD 보호층을 통해 패스시킴으로써 캐패시터부가 파괴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electric shock preventing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sulating sheets having a high withstand voltage characteristic to form a capacitor portion, so that when an electric shock voltage of, for example, 310 V from the internal circuit by the defective charger flows into the metal case The ESD protection section can maintain the high insulation resistance state without damaging the device by bypassing the ESD voltage when the ESD voltage is applied from the metal case to the internal circuit. That is, the
한편, 감전 방지 소자는 일 방향, 즉 X 방향으로의 길이(L)가 0.3㎜∼1.1㎜이고, 이와 직교하는 타 방향, 즉 Y 방향으로의 너비(W)가 0.15㎜∼0.55㎜이며, 두께, 즉 Z 방향으로의 두께가 0.15㎜∼0.5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전 방지 소자는 길이, 너비 및 두께가 각각 0.9㎜∼1.1㎜, 0.45㎜∼0.55㎜ 및 0.45㎜∼0.55㎜일 수 있고, 0.55㎜∼0.65㎜, 0.25㎜∼0.35㎜ 및 0.25㎜∼0.35㎜일 수 있으며, 0.35㎜∼0.45㎜, 0.15㎜∼0.25㎜ 및 0.15㎜∼0.25㎜일 수 있다. 즉, 감전 방지 소자는 길이:너비:두께의 비율이 2∼3:1∼2:1∼2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길이×너비×두께가 1.0㎜×0.5㎜×0.5㎜, 0.6㎜×0.3㎜×0.3㎜ 및 0.4㎜×0.2㎜×0.2㎜일 수 있다. 즉, 감전 방지 소자는 길이:너비:두께의 비율이 2:1:1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소자의 디멘젼(dimension)은 전형적인 SMT용 소자 규격을 따른다. 이때, ESD 보호층(320)은 소자의 사이즈에 따라 예를 들어 50㎛∼500㎛의 폭과 5㎛∼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너비×두께가 1.0㎜×0.5㎜×0.5㎜, 0.6㎜×0.3㎜×0.3㎜ 및 0.4㎜×0.2㎜×0.2㎜인 소자에서 ESD 보호층(320)은 50㎛∼450㎛의 폭과 5㎛∼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shock preventing element has a width L in the one direction, i.e., the X direction, of 0.3 mm to 1.1 mm, a width W in the other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i.e., in the Y direction of 0.15 mm to 0.55 mm, That is, the thickness in the Z direction may be 0.15 mm to 0.55 mm. For example, the length, width, and thickness of the anti-shock device may be 0.9 mm to 1.1 mm, 0.45 mm to 0.55 mm, 0.45 mm to 0.55 mm, 0.55 mm to 0.65 mm, 0.25 mm to 0.35 mm, And may be from 0.35 mm to 0.45 mm, from 0.15 mm to 0.25 mm, and from 0.15 mm to 0.25 mm. That is, the ratio of the length to the width to the thickness may be 2: 3: 1 to 2: 1 to 2. Preferably, the length x width x thickness is 1.0 mm x 0.5 mm x 0.5 mm, 0.6 mm x 0.3 mm x 0.3 mm, and 0.4 mm x 0.2 mm x 0.2 mm. That is, the anti-shock device may have a ratio of length: width: thickness of 2: 1: 1. The dimensions of these devices conform to typical SMT device specifications. At this time, the
또한, 본 발명의 감전 방지 소자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며,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Further, the anti-electrostat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ic shock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는 복수의 절연 시트(100; 101 내지 111)가 적층된 적층체(1000)와, 적층체(1000) 내에 마련되며 복수의 내부 전극(200; 201 내지 208)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부(2000, 4000)와,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전극(310)과 ESD 보호층(320)을 구비하는 ESD 보호부(3000)와, 적층체(1000)의 서로 대향하는 두 측면에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와 ESD 보호부(3000)와 연결되는 외부 전극(5100, 5200; 5000)을 포함할 수 있다.6, the anti-shock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여기서, ESD 보호부(3000)와 캐패시터부(2000, 4000) 사이의 거리(A1, A2)는 캐패시터부(2000, 4000) 내의 두 내부 전극 사이의 거리(C1, C2)보다 짧거나 같을 수 있다. 즉, ESD 보호부(3000)와 캐패시터부(2000, 4000) 사이에 위치한 제 5 및 제 7 절연 시트(105, 107)의 각각의 두께는 캐패시터부(2000, 4000) 내의 내부 전극(200) 사이에 위치한 절연 시트들(102 내지 104, 107 내지 110)의 두께보다 얇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ESD 보호부(3000)와 캐패시터부(2000, 4000) 사이의 거리(A1, A2)는 ESD 보호부(3000)의 두 방전 전극(310) 사이의 거리(B)보다 짧거나 같을 수 있다. 즉, ESD 보호부(3000)와 캐패시터부(2000, 4000) 사이에 위치한 제 5 및 제 7 절연 시트(105, 107)의 각각의 두께는 ESD 보호층(320)이 형성된 제 6 절연 시트(106)의 두께보다 얇거나 같을 수 있다. 결국, ESD 보호부(3000)와 캐패시터부(2000, 4000) 사이에 위치한 제 5 및 제 7 절연 시트(105, 107)의 각각의 두께는 캐패시터부(2000, 4000) 내의 내부 전극(200) 사이에 위치한 절연 시트들(102 내지 104, 107 내지 110)의 두께보다 얇거나 같은 두께로 형성되거나, ESD 보호부(3000)의 두 방전 전극(310) 사이의 거리(B)보다 얇거나 같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ESD 보호부(3000)와 캐패시터부(2000, 4000) 사이의 거리(A1, A2), 캐패시터부(2000, 4000) 내의 두 내부 전극 사이의 거리(C1, C2) 및 ESD 보호부(3000)의 두 방전 전극(300) 사이의 거리(B)는 A1=A2≤C1=C2 또는 A1=A2≤B일 수 있다. 물론, A1과 A2, 그리고 C1과 C2는 같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최하층 및 최상층의 절연 시트, 즉 제 1 및 제 11 절연 시트(101, 111)의 두께(D1, D2)는 각각 10㎛ 이상 적층체(1000) 두께의 50% 이하일 수 있다. 이때, B≤D1=D2일 수 있으며, D1과 D2가 다를 수도 있다.Here, the distances A1 and A2 between the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는 방전 전극(311, 312)와 인접한 두 내부 전극, 즉 제 4 및 제 5 내부 전극(204, 205)이 방전 전극(311, 312)과 동일 외부 전극(500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 제 3, 제 5 및 제 7 내부 전극(201, 203, 205, 207)은 제 2 외부 전극(5200)과 연결되고, 제 2, 제 4, 제 6 및 제 8 내부 전극(202, 204, 206, 208)은 제 1 외부 전극(5100)과 연결된다. 또한, 제 1 방전 전극(311)은 제 1 외부 전극(5100)과 연결되고, 제 2 방전 전극(312)은 제 2 외부 전극(5200)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방전 전극(311)과 이와 인접한 제 4 내부 전극(204)은 제 1 외부 전극(5100)과 연결되고, 제 2 방전 전극(312)과 이와 인접한 제 5 내부 전극(205)은 제 2 외부 전극(5200)과 연결된다.The electric shock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internal electrodes adjacent to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방전 전극(310)과 이와 인접한 내부 전극(200)이 동일 외부 전극(5000)과 연결됨으로써 절연 시트(100)가 열화, 즉 절연 파괴되는 경우에도 ESD 전압이 전자기기 내부로 인가되지 않는다. 즉, 방전 전극(310)과 인접한 내부 전극(200)이 서로 다른 외부 전극(5000)과 연결된 경우 절연 시트(100)가 절연 파괴되면 일 외부 전극(5000)을 통해 인가되는 ESD 전압이 방전 전극(310)과 인접한 내부 전극(200)을 통해 타 외부 전극(5000)으로 흐르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전 전극(311)이 제 1 외부 전극(5100)과 연결되고 이와 인접한 제 4 내부 전극(204)이 제 2 외부 전극(5200)과 연결된 경우 절연 시트(100)가 절연 파괴되면 제 1 방전 전극(311)과 제 4 내부 전극(204) 사이에 도전 경로가 형성되어 제 1 외부 전극(5100)을 통해 인가되는 ESD 전압이 제 1 방전 전극(311), 절연 파괴된 제 5 절연 시트(105) 및 제 2 내부 전극(202)으로 흐르게 되고, 그에 따라 제 2 외부 전극(5200)을 통해 내부 회로로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절연 시트(10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지만, 이 경우 감전 방지 소자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전극(310)과 이와 인접한 내부 전극(200)이 동일 외부 전극(5000)과 연결됨으로써 절연 시트(100)가 절연 파괴되는 경우에도 ESD 전압이 전자기기 내부로 인가되지 않는다. 또한, 절연 시트(10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지 않고도 ESD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ic shock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는 복수의 절연 시트(100; 101 내지 111)가 적층된 적층체(1000)와, 적층체(1000) 내에 마련되며 복수의 내부 전극(200; 201 내지 208)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부(2000, 4000)와,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전극(310)과 ESD 보호층(320)을 구비하는 ESD 보호부(3000)와, 적층체(1000)의 서로 대향하는 두 측면에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와 ESD 보호부(3000)와 연결되는 외부 전극(5100, 5200; 50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전극(5000)은 내부 전극들(200)과 소정 영역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 및 제 2 실시 예와 외부 전극(5000)이 내부 전극(200)과 일부 중첩되어 형성되는 것이 상이하다.7, the anti-shock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외부 전극(5000)은 적층체(1000)의 측면 뿐만 아니라 상면 및 하면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극(5000)은 서로 다른 외부 전극(5000)과 연결되는 내부 전극(200)과 소정 영역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외부 전극(5100)의 적층체(1000) 하부 및 상부로 연장 형성된 부분은 내부 전극들(200)의 소정 영역과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외부 전극(5200)의 적층체(1000) 하부 및 상부로 연장 형성된 부분도 내부 전극들(200)의 소정 영역과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극(5000)의 적층체(1000)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된 부분이 제 1 및 제 8 내부 전극(201, 208)과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 전극(5000)의 적어도 하나가 적층체(1000) 상면 및 하면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된 부분의 적어도 하나가 내부 전극(200)과 일부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전극(5000)과 중첩되는 내부 전극(200)의 면적은 내부 전극(200) 전체 면적의 1% 내지 10%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전극(5000)은 복수회의 공정에 의해 적층체(1000)의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external electrode 5000 may be extend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s well as the side surface of the
한편, 외부 전극(5000)과 중첩되도록 하기 위해 캐패시터부(2000, 4000)의 내부 전극(200)은 제 1 실시 예에 비해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전극(200)의 끝과 이와 인접하는 외부 전극(5000)이 X축 방향 길이의 5% 내지 1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 전극(200)은 절연 시트(100)의 X축 방향 길이의 90% 내지 95%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overlap the external electrode 5000, the
이렇게 외부 전극(5000)과 내부 전극(200)을 중첩함으로써 외부 전극(5000)과 내부 전극(200) 사이에 소정의 기생 캐패시턴스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8 내부 전극(201, 208)과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5100, 5200)의 연장부 사이에 캐패시턴스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극(5000)과 내부 전극(200)의 중첩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감전 방지 소자의 캐패시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감전 방지 소자의 제조 공정이 완료된 후에도 외부 전극(5000)의 중첩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감전 방지 소자의 캐패시턴스를 적층체(1000) 외부에서 조절할 수 있다.A predetermined parasitic capacitance can be generated between the external electrode 5000 and the
한편,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 예는 ESD 보호층(320)이 절연 시트(104)에 형성된 관통홀에 ESD 보호 물질이 매립 또는 도포되어 형성되었다. 그러나, ESD 보호층(320)은 절연 시트의 소정 영역에 형성되고, ESD 보호층(320)에 각각 접촉되도록 방전 전극(3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의 제 4 실시 예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시트(106) 상에 두 방전 전극(311, 312)이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두 방전 전극(311, 312) 사이에 ESD 보호층(320)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SD 보호부(3000)는 동일 평면 상에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방전 전극(311, 312)과, 적어도 두개의 방전 전극(311, 312)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ESD 보호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시트의 소정 영역, 예를 들어 중앙부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외부 전극(5000)이 형성된 방향, 즉 X 방향으로 두개의 방전 전극(311, 312)이 마련될 수 있고, 또한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방전 전극(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외부 전극(5000)이 형성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전극이 형성되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방전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SD 보호부(30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 절연 시트(106)와, 제 6 절연 시트(106) 상에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과, 제 6 절연 시트(106) 상에 형성된 ESD 보호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ESD 보호층(320)은 적어도 일부가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방전 전극(311)은 외부 전극(5100)과 연결되어 제 6 절연 시트(106) 상에 형성되며 말단부가 ESD 보호층(32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 2 방전 전극(312)은 외부 전극(5200)과 연결되어 제 6 절연 시트(106) 상에 제 1 방전 전극(311)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말단부가 ESD 보호층(32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ESD 보호층(320)은 제 6 절연 시트(106)의 소정 영역, 예를 들어 중심부에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ESD 보호층(320)은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과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ESD 보호층(320)이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 사이의 노출된 제 6 절연 시트(106) 상에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의 측면과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ESD 보호층(320)이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될 수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과 중첩되도록 ESD 보호층(3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는 방전 전극(310)과 ESD 보호층(320)이 동일 평면에 형성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SD 보호층(320)의 일부가 제 1 방전 전극(311)와 중첩되고 나머지 일부가 절연 시트(200) 상에 접촉 형성될 수 있다. 즉, ESD 보호층(320)은 제 1 방전 전극(311)의 상부 및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방전 전극(312)은 ESD 보호층(320)의 상면 및 측면에 접촉되어 절연 시트(2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SD 보호층(320)은 제 1 방전 전극(311)의 상부에 접촉 형성되며, 제 2 방전 전극(312)은 ESD 보호층(320)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절연 시트(31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방전 전극(312)과 ESD 보호층(320) 및 제 1 방전 전극(311)의 측면에는 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간(A)은 적어도 제 1 방전 전극(311)과 제 2 방전 전극(312)이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A)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방전 전극(311)을 형성하기 전에 ESD 보호층(320)의 측면에 고분자 물질 등을 이용한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이후 소성 공정에서 형성 시 고분자 물질이 휘발됨으로써 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공간(A)에는 절연물이 형성될 수도 있고, ESD 보호층(320)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9 (b), the
그리고,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를 갖는 절연 시트(200)를 이용하여 ESD 보호부(3000)를 구현한 수 있다. 즉, 일부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갖는 절연 시트(200)의 낮은 영역에 제 1 방전 전극(311)을 형성하고, 단차가 제거되도록 제 1 방전 전극(311) 상에 ESD 보호층(320)이 형성되며, 높은 영역에 ESD 보호층(320)과 중첩되도록 제 2 방전 전극(312)을 형성할 수 있다.9 (c),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의 ESD 보호부(3000)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평면 개략도이다.10 is a schematic plan view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an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이격된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 사이에 ESD 보호층(320)이 형성되고, ESD 보호층(320)은 도전성 물질과 절연성 물질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10A, an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도전층(321a), 절연층(322) 및 제 2 도전층(321b)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3중 구조의 ESD 보호층(3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과 각각 접촉되도록 제 1 및 제 2 도전층(321a, 321b)이 각각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도전층(321a, 321b) 사이와 이들과 연결되도록 절연층(3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ESD 보호층(320)은 평면 방향으로 도전층(321)과 절연층(322)을 적어도 1회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SD 보호층(320)은 도전층(321)과 절연층(322)을 이용하여 2중 구조로 형성할 수 있고, 도전층(321), 절연층(322) 및 도전층(321)을 교대로 형성하여 3중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전층(321)과 절연층(322)이 교대로 복수회 반복 마련되어 3중 구조 이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적어도 절연층(322) 내에는 복수의 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전층(321) 내에도 복수의 기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10B, a first
그리고, ESD 보호층(320)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 사이에 제 1 도전층(321a), 제 1 절연층(322a), 에어 갭(323), 제 2 절연층(322b) 및 제 2 도전층(321b)이 마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01, 302)과 각각 접촉되도록 제 1 및 제 2 도전층(321a, 321b)이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도전층(321a, 321b) 사이에 제 1 및 제 2 절연층(322a, 322b)이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절연층(322a, 322b) 사이에 에어 갭(323)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전층, 절연층, 에어 갭이 복수회 반복 마련되어 ESD 보호층(320)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전층(321), 절연층(322) 및 에어 갭(323)이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는 경우 이들 모두의 폭이 모두 동일할 수 있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폭이 다른 것들에 비해 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 갭(323)이 도전층(321) 및 절연층(322)보다 폭이 좁을 수 있다. 또한, 도전층(321)은 절연층(322)과 동일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절연층(322)보다 폭이 넓거나 좁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에어 갭(323)은 인쇄 공정으로 절연층(322)을 형성할 때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절연층(322)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전층(321), 절연층(322) 및 에어갭(323) 각각은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 사이의 폭의 30% 내지 50%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전층(321), 절연층(322) 및 에어갭(323)이 수평 방향으로 각각 적어도 하나 형성될 경우 도전층(321), 절연층(322) 및 에어갭(323) 각각은 그 폭의 합이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 사이의 폭의 30% 내지 50%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에어 갭(323)은 절연층(322) 사이에 구분되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에어 갭(323)은 절연층(322)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절연층(322) 내의 복수의 기공이 연결되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10 (c), the
물론, ESD 보호층(320)은 에어갭(323)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에어갭(323)이 형성되고, 에어갭(323)이 ESD 보호층(320)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렇게 에어갭(323)만으로 ESD 보호층(320)을 형성하는 경우 도전층(321), 절연층(322) 또는 이들의 혼합 물질로 ESD 보호층(320)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ESD 보호층(320)의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the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는 ESD 보호부(3000)의 방전 전극이 셋 이상으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적어도 둘 이상의 ESD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ESD 보호부(3000)의 제 4 실시 예의 변형 예들을 도 11의 평면 개략도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lso, in the ESD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discharge electrodes of the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평면 상에 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적어도 세개의 방전 전극(311, 312, 313)이 형성되고, 인접한 방전 전극 사이에 ESD 보호부(300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제 2 및 제 3 방전 전극(311, 312, 313)이 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 1 및 제 3 방전 전극(311, 313) 사이에 제 1 ESD 보호층(320a)이 형성되며, 제 3 및 제 2 방전 전극(313, 312) 사이에 제 2 ESD 보호층(320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ESD 보호층(320a, 320b)은 각각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ESD 보호층(320a, 320b)은 각각 절연성 물질과 도전성 물질의 혼합 물질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전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절연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ESD 보호층(320a, 320b)은 어느 하나가 도전층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절연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1A, at least three
또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평면 상에 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네개의 방전 전극(311, 312, 313, 314)이 형성되고, 인접한 방전 전극 사이에 ESD 보호층(32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네개의 방전 전극(311, 312, 313, 314)이 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 1 및 제 3 방전 전극(311, 313) 사이에 제 1 ESD 보호층(320a)이 형성되며, 제 3 및 제 4 방전 전극(313, 314) 사이에 제 2 ESD 보호층(320b)이 형성되고, 제 4 및 제 2 방전 전극(314, 312) 사이에 제 3 ESD 보호층(320c)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ESD 보호층(320a, 320b, 320c)은 각각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3 ESD 보호층(320a, 320b, 320c)이 각각 절연성 물질과 도전성 물질의 혼합 물질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전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절연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ESD 보호층(320a, 320b, 320c)는 적어도 하나가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3 ESD 보호층(320a, 320c)이 도전층으로 형성되고, 제 2 ESD 보호층(320b)이 절연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3 ESD 보호층(320a, 320c)이 절연층으로 형성되고, 제 2 ESD 보호층(320b)이 도전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B, four
물론, 복수의 ESD 보호층(320)의 적어도 하나가 에어갭(32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개의 방전 전극(311, 312, 313, 314)이 일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 1 및 제 3 방전 전극(311, 313) 사이에 제 1 ESD 보호층(320a)가 형성되며, 제 3 및 제 4 방전 전극(313, 314) 사이에 제 2 ESD 보호층(320b)으로서 에어 갭(323)이 형성되고, 제 4 및 제 2 방전 전극(314, 312) 사이에 제 3 ESD 보호층(320c)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3 ESD 보호층(320a, 320c)은 각각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3 ESD 보호층(320a, 320c)이 각각 절연성 물질과 도전성 물질의 혼합 물질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전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절연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및 제 3 ESD 보호층(320a, 320c)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3 ESD 보호층(320a, 320c)의 어느 하나가 도전층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절연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SD protection layers 320 may be formed as an
또한, 본 발명의 감전 방지 소자는 ESD 보호부(3000)의 방전 전극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전극(311, 312)의 서로 대면하는 말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거나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전극(311, 312)의 서로 대면하는 말단부가 라운드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서로 대면하는 방전 전극(311, 312)의 적어도 일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서로 이격된 두 방전 전극(311, 312)의 말단부를 뾰족하거나 라운드하게 형성함으로써 두 방전 전극(311, 312)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어 두 방전 전극(311, 312) 사이에 방전이 잘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SD pro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form the discharge electrode of the
또한, 두 방전 전극(311, 312)이 동일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전 전극(311)이 일측으로부터 타 측으로 소정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고, 타 방전 전극(312)이 이와는 반대 형상으로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전 전극(311, 312)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적어도 하나의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전 전극(311)은 말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타 방전 전극(312)은 말단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오목부 내에 볼록부가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두 내부 전극이 동일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두 내부 전극 사이의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ESD 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two
또한, ESD 보호층(320)과 방전 전극(310)이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일 방전 전극(310)과 인접한 캐패시터부(2000, 4000)의 내부 전극이 동일 외부 전극(50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전 전극(311)과 이와 인접한 제 4 내부 전극(204)는 제 1 외부 전극(5100)에 연결되고, 제 2 방전 전극(312)과 이와 인접한 제 5 내부 전극(205)는 제 2 외부 전극(5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4 내부 전극(204)은 제 1 방전 전극(311)과 동일 길이로 형성되고, 제 5 내부 전극(205)는 제 2 방전 전극(312)과 동일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4 내부 전극(204)이 제 2 방전 전극(312)과 일부 중첩되어 형성되거나, 제 5 내부 전극(205)이 제 1 방전 전극(311)과 일부 중첩되어 형성될 경우 절연 시트(100)가 절연 파괴되면 ESD 전압이 흐를 수 있기 때문에 방전 전극(310)과 인접하고 동일 외부 전극(5000)과 연결되는 내부 전극(200)은 방전 전극(310)보다 짧거나 같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전 전극(310)과 ESD 보호층(320)이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방전 전극(310)과 인접한 내부 전극(204, 205) 사이의 거리(A1, A2)는 캐패시터부(2000, 4000)의 두 내부 전극(200) 사이의 거리(C1, C2)보다 짧거나 같을 수 있다. 즉, A1=A2≤C1=C2일 수 있다. 이때, A1과 A2는 다를 수 있으며, C1과 C2 또한 다를 수 있다.Also, even when the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전극(310)과 ESD 보호층(320)이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외부 전극(5000)이 내부 전극(200)과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감전 방지 소자의 캐패시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14, even when the
한편, 칩 사이즈가 작아지면서 설계 가능한 공간이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좁은 공간에서도 높은 ESD 내압 특성을 갖는 감전 방지 소자의 내부 구조가 필요하다. 그런데, 감전 방지 소자의 사이즈가 작아지게 되면 공간 부족으로 인하여 절연 시트의 두께가 얇아질 수 밖에 없고, 이는 절연 시트 자체의 내압 특성이 저하되어 낮은 레벨의 ESD를 인가하여도 쉽게 절연 시트의 절연 저항이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 형상의 플로팅 타입(floating type) 구조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적층 타입보다 동일 공간 내에서 ESD 내압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캐패시터부의 내부 전극의 형상을 변형하여 내부 전극 사이의 일 영역에서 절연 시트의 두께가 2배 이상 증가되기 때문에 ESD 내압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는 감전 방지 소자가 갖는 ESD 보호부의 설계와 맞물려 보다 높은 ESD 내성 개선 효과를 보인다. 결국, ESD 보호부의 반복적인 ESD 전압에 의한 기능 저하로 인하여 ESD가 ESD 보호부의 ESD 보호층으로 패스되지 않을 경우 캐패시터부가 데미지를 입어 절연 파괴가 발생될 수 있고, ESD 보호부의 기능 저하가 없더라고 ESD 전압 유입 시 감전 방지 소자의 ESD 보호부의 반응 시간까지의 1ns 내지 30ns 공백 시간에 캐패시터부에 ESD 전압 부하가 잠시 동안 발생되어 절연 파괴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캐패시터부를 플로팅 타입으로 형성함으로써 캐패시터층의 ESD 내압 특성을 높혀 절연 저항이 파괴되어 쇼트가 발생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chip size becomes smaller, the space that can be designed becomes smaller. Therefore,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ESD element having a high ESD withstand voltage characteristic in a narrow space is required. However, if the size of the electric shock preventing element is reduce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sheet must be reduced due to insufficient space. This is because the dielectric strength of the insulating sheet itself is lowered and the insulation resistance A phenomenon of breakdown occur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possible to improve ESD withstand voltage characteristics in the same space by using a plurality of floating type structures. That is, since the shape of the internal electrode of the capacitor portion is deformed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sheet in one region between the internal electrodes, the ESD withstand voltage characteristic can be maintained. This is combined with the design of the ESD protection part of the anti-shock device to show a higher ESD resistance improvement effect. As a result, if the ESD is not passed to the ESD protection layer of the ESD protection part due to the repetitive ESD voltage of the ESD protection part, the ESD protection part may not be deteriorated due to the damage of the capacitor part. An ESD voltage load may be generated for a short time in the capacitor portion during 1 ns to 30 ns blank time until the reaction time of the ESD protection portion of the ESD protection element during the voltage input, resulting in dielectric breakdown. However, by forming the capacitor portion to be a floating typ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SD withstand voltage characteristic of the capacitor layer and to improve the phenomenon that the insulation resistance is destroyed and a short circuit is generated.
이러한 캐패시터부를 플로팅 타입으로 형성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 15 내지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such a capacitor portion is formed as a floating typ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8. FIG.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는 복수의 절연 시트(101 내지 113; 100)가 적층된 적층체(1000)로 이루어지며, 적층체(1000) 내에 제 1 캐패시터부(2000), ESD 보호부(3000) 및 제 2 캐패시터부(400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적층체(1000)의 서로 대향하는 두 측면에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와 ESD 보호부(3000)와 연결되는 외부 전극(5100, 5200; 5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캐패시터부(2000)는 복수의 내부 전극(201 내지 205)을 구비하며, 제 2 캐패시터부(4000) 또한 복수의 내부 전극(208 내지 2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는 동일한 수, 예를 들어 5개의 내부 전극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 사이에 방전 전극(311 및 312)과 이들 사이에 마련된 ESD 보호층(320)을 포함하는 ESD 보호부(3000)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전극이 적어도 일 영역이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15 to 18, an anti-shock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캐패시터부(2000)의 내부 전극(201)이 예를 들어 중앙부가 소정 폭으로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ESD 보호부(3000)를 사이에 두고 이와 대칭적 위치에 마련된 제 2 캐패시터부(4000)의 내부 전극(210) 또한 내부 전극(201)과 동일한 위치에 소정 영역이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전극(201, 210)이 소정 영역이 제거되어 형성되므로 그와 인접한 내부 전극(202, 209)과의 중첩 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이때, 소정 영역이 제거되어 두 영역으로 나뉜 내부 전극(201, 210)은 두 영역이 각각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5100, 52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내부 전극(201, 210)의 소정 영역이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내부 전극(201, 210)와 인접한 내부 전극(202, 209) 사이에 절연 시트(102, 112)이 두껍게 형성된다. 즉, 내부 전극(202)과 내부 전극(201)의 제거된 부분 사이에 두개의 절연 시트(101, 102)가 마련되므로 절연 시트(100)의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캐패시터부(2000, 4000)의 내부 전극(200) 사이의 일 영역에서 절연 시트(100)의 두께가 적어도 2배 증가되기 때문에 ESD 내압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15, the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캐패시터부(2000)의 내부 전극들(201, 203, 205)의 예를 들어 중앙부의 소정 영역이 제거되고, 이와 ESD 보호부(3000)를 사이에 두고 대칭적으로 위치되는 제 2 캐패시터부(4000)의 내부 전극들(206, 208, 210)의 예를 들어 중앙부의 소정 영역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내부 전극들(202, 204, 207, 209)은 외부 전극(5000)에 접촉되지 않고 내부 전극들(201, 203, 205, 206, 208, 210) 사이에서 이들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 전극들(202, 204, 207, 209)은 절연 시트(10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절연 시트(100)의 중앙부에는 형성되지 않은 내부 전극들(201, 203, 205, 206, 208, 210)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16,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한편, 제 1 및 제 2 캐패시터부(2000, 4000)의 내부 전극은 중앙 영역 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영역이 제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캐패시터부(2000)의 내부 전극들(201, 203, 205)의 중앙 영역이 제거되고, 이들 사이에 위치한 내부 전극들(202, 204)은 중앙 영역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양측에 제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캐패시터부(4000)는 ESD 보호부(3000)를 사이에 두고 제 1 캐패시터부(2000)의 내부 전극들(201, 203, 205)과 대칭되는 위치의 내부 전극들(206, 208, 210)의 중앙 영역이 제거되고, 이들 사이에 위치한 내부 전극들(207, 209)은 제 1 캐패시터부(2000)의 내부 전극들(202, 204)과 동일 위치에 제거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ternal electrodes of the first and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캐패시터부(2000)의 내부 전극들(201, 203, 205)의 중앙 영역에 둘 이상의 제거 영역이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위치한 내부 전극들(202, 204)은 중앙 영역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양측에 제거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캐패시터부(4000)는 ESD 보호부(3000)를 사이에 두고 제 1 캐패시터부(2000)의 내부 전극들(201, 203, 205)과 대칭되는 위치의 내부 전극들(206, 208, 210)의 중앙 영역에 둘 이상의 제거 영역이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위치한 내부 전극들(207, 209)은 제 1 캐패시터부(2000)의 내부 전극들(202, 204)과 동일 위치에 제거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18, two or more removal regions are formed in a central region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는 ESD 보호부(3000)의 ESD 보호층(32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2,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방향으로 ESD 보호층(300)을 하나 형성할 수도 있고,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방향으로 ESD 보호층(320)을 둘 이상 복수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Y 방향으로도 ESD 보호층(320)이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평면 상에 두개의 ESD 보호층(320a, 320b)을 형성할 수도 있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평면 상에 세개의 ESD 보호층(320a, 320b, 320c)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적어도 두개 이상의 ESD 보호층(320a, 320b, 320c)은 내부 전극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개의 ESD 보호층(320a, 320b, 320c, 320d)가 두개씩 상하로 나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섯개의 ESD 보호층(320a, 320b, 320c, 320d, 320e, 320f)가 세개씩 상하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상하 이격되어 형성된 ESD 보호층들(320)은 상측 ESD 보호층들이 서로 연결되고 하측 ESD 보호층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ESD 보호층(320)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각 ESD 보호층(320)은 동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t least on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는 하나의 적층체 내에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부(2000, 40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ESD 보호부(300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캐패시터와 둘 이상의 ESD 보호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캐패시터는 전자기기의 내부 회로와 금속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고, 캐패시터와 접지 단자 사이에 ESD 보호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층체의 서로 대향되는 두 측면에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5100, 5200)이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5100, 5200)이 형성되지 않는 서로 대향되는 두 측면에 제 3 및 제 4 외부 전극(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5100, 5200)은 전자기기의 금속 케이스와 내부 회로 사이에 각각 마련되고, 제 3 및 제 4 외부 전극은 접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5100, 5200)이 전자기기의 금속 케이스와 내부 회로 사이의 두 영역에 각각 연결되고 제 3 및 제 4 외부 전극은 접지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는 적층체(1000) 내에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캐패시터부(2000, 4000)와 복수의 ESD 보호부(300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부(2000, 4000)와 ESD 보호부(3000)가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 배열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적어도 둘 이상의 외부 전극(5000)와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캐패시터와 복수의 ESD 보호부로 이루어진 복수의 감전 방지 소자가 병렬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적층체(1000) 내에 두개 이상이 감전 방지 소자가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복수의 제 1 외부 전극(5100)은 전자기기의 메탈 케이스의 복수의 영역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 2 외부 전극(5200)은 전자기기의 접지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캐패시터부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 전극이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캐패시터부를 이루는 복수의 내부 전극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전극이 다른 내부 전극보다 짧거나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내부 전극의 길이 뿐만 아니라 내부 전극의 중첩 면적, 내부 전극의 적층 수의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캐패시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캐패시터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캐패시턴스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적층체 내에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캐패시턴스를 갖는 복수의 캐패시터를 구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상기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감전 방지 소자의 다양한 실험 예에 따른 결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results of various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anti-electrostat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표 1]은 ESD 보호층의 구조에 따른 특성을 나타낸 표이고, 도 23은 이에 따른 방전 개시 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ESD 보호층의 두께, 도전층(A)과 절연층(B)의 두께, 절연층의 기공 크기 및 기공률, ESD 보호층의 구조에 따른 방전 개시 전압을 표시하였다. [Table 1] is a table showing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ESD protection layer, and Fig. 23 is a diagram showing discharge firing voltage accordingly.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ESD protection layer,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ayer (A) and the insulating layer (B), the pore size and porosity of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discharge star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ESD protection layer are shown.
두께(㎛)ESD protection layer
Thickness (㎛)
두께(㎛)Conductive layer
Thickness (㎛)
두께(㎛)Insulating layer
Thickness (㎛)
기공 크기Insulating layer
Pore size
기공률Insulating layer
Porosity
두께
(㎛)Air gap
thickness
(탆)
(kV)Discharge start voltage
(kV)
발생률short
Incidence rate
(11~13)12.4
(11-13)
(17~19)18.3
(17-19)
(6~9)7.2
(6 to 9)
(4~6)5.6
(4-6)
(3~5.5)5.1
(3 to 5.5)
실험 예 1은 도전층(도전성 세라믹)만으로 25㎛ 두께의 ESD 보호층을 형성하였고, 실험 예 2는 절연층(절연성 세라믹)만으로 10㎛ 두께의 ESD 보호층을 형성하였으며, 실험 예 3은 절연층만으로 25㎛ 두께의 ESD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실험 예 4는 도전층과 절연층을 적층하여 25㎛ 두께의 ESD 보호층을 형성하였고, 실험 예 5는 도전층, 절연층 및 도전층을 적층하여 25㎛ 두께의 ESD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여기서, 실험 예 5는 도전층과 절연층을 각각 8㎛ 및 5㎛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실험 예 6은 도전층, 절연층, 에어 겝, 절연층 및 도전층을 적층하여 25㎛ 두께의 ESD 보호층을 형성하였고, 이때 도전층, 절연층 및 에어 갭을 각각 8㎛, 2㎛ 및 3㎛로 하였다. 한편, 실험 예 2 내지 6은 절연층의 기공 크기를 1㎚∼5㎛로 하였고, 기공률을 40%로 하였다. 즉, 절연층 내에 1㎚∼5㎛의 크기를 갖는 다양한 크기의 기공을 형성하였다.In Experimental Example 1, an ESD protect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5 mu m was formed using only a conductive layer (conductive ceramics). In Experimental Example 2, an ESD protect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mu m was formed using only an insulating layer (insulating ceramic) An ESD protect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5 mu m was formed. In Experimental Example 4, a conductive layer and an insulating layer were laminated to form an ESD protect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5 μm. In Experimental Example 5, an ESD protect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5 μm was formed by laminating a conductive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 conductive layer . In Experimental Example 5,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were formed to a thickness of 8 탆 and 5 탆, respectively. In Experimental Example 6, a conductive layer, an insulating layer, an air-gap, an insulating layer, and a conductive layer were laminated to form an ESD protect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5 mu m. In this case, And 3 mu m. On the other hand, in Experimental Examples 2 to 6, the pore size of the insulating layer was 1 nm to 5 m and the porosity was 40%. That is, pores of various sizes having a size of 1 nm to 5 탆 were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층만으로 ESD 보호층을 형성한 실험 예 1에 대해 다수의 실험을 실시하였고 이때의 방전 개시 전압이 2∼4kV 정도이고 100% 쇼트가 발생되었다. 즉, 실험 예 1에 따른 다수의 시료의 방전 개시 전압이 2∼4kV로 분포되고, 이러한 시료들 모두가 절연 파괴되어 누설 전류가 발생되었다. 또한, 절연층만으로 10㎛ 두께의 ESD 보호층을 형성한 실험 예 2는 방전 개시 전압이 11∼13kV 정도이고 0.8% 정도의 쇼트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도전층과 절연층, 또한 에어 갭을 적층하여 ESD 보호층을 형성한 실험 예 3 내지 6은 방전 개시 전압이 3kV부터 19kV로 조절할 수 있고, 쇼트가 발생되지 않았다. 즉, 실험 예 4 내지 6은 실험 예 2에 비해 방전 개시 전압이 낮지만 구조적인 차이에 의해 절연 파괴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험 예에 따른 방전 개시 전압을 도 23에 도시하였다.As shown in [Table 1], a number of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Experimental Example 1 in which an ESD protection layer was formed only of a conductive layer. At this time, discharge start voltage was about 2 to 4 kV and 100% short-circuit occurred. That is, the discharge start voltage of a large number of sample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was distributed in a range of 2 to 4 kV, and all of these samples were insulated and destroyed to generate a leakage current. In Experimental Example 2 in which an ESD protectio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mu m was formed only by an insulating layer, a discharge start voltage was about 11 to 13 kV and a short of about 0.8% was generated. However, in Experimental Examples 3 to 6 in which the ESD protection layer was formed by laminating the conductive layer,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air gap, the discharge starting voltage could be adjusted from 3 kV to 19 kV, and no short circuit was generated. In other words, in Experimental Examples 4 to 6, although the discharge starting voltage is lower than that of Experimental Example 2, insulation breakdown is not caused by the structural difference. The discharge firing voltage according to this experimental example is shown in Fig.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절연층을 형성함으로써 절연 파괴에 의한 쇼트 발생 확률을 개선할 수 있고, 도전층을 형성함으로써 절연층의 두께를 낮출 수 있어 방전 개시 전압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절연층의 두께를 줄이면서 에어 갭을 추가하면 방전 개시 전압을 낮추면서 쇼트 발생 확률을 개선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able 1, by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due to dielectric breakdown, and by forming the conductive layer,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can be reduced and the discharge starting voltage can be improved . Further, if the air gap is added while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the probability of short circuit can be improved while lowering the discharge start voltage.
[표 2]는 절연층의 두께와 기공률 변화에 따른 특성을 나타낸 표이고, 도 24는 이에 따른 방전 개시 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공률은 40%와 1% 이하로 설정하였고, 기공 크기는 기공률이 40%인 경우 1㎚∼5㎛이고 기공률이 1% 이하인 경우 0으로 하였다. 즉, 절연층에 기공이 형성된 경우와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특성을 비교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Table 2] is a table showing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porosity, and Fig. 24 is a diagram showing discharge firing voltage according to the table. The porosity was set to 40% and 1% or less, and the pore size was set to 1 nm to 5 μm when the porosity was 40% and to 0 when the porosity was 1% or less. T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se where the pores are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case where the pores are not formed are compared and shown in Table 2.
두께(㎛)ESD protection layer
Thickness (㎛)
두께(㎛)Conductive ceramic
Thickness (㎛)
두께(㎛)Insulating ceramic
Thickness (㎛)
세라믹
기공 사이즈Insulation
ceramic
Pore size
기공률Insulating ceramic
Porosity
두께
(㎛)
Air gap
thickness
(탆)
(kV)Discharge start voltage
(kV)
발생률short
Incidence rate
(11~13)12.4
(11-13)
(18~22)20.3
(18-22)
(17~19)18.3
(17-19)
(24~28)25.9
(24-28)
(19~22)21.1
(19-22)
실험 예 7 및 8은 절연층의 두께를 10㎛로 하였고, 기공률을 각각 40% 및 1% 이하로 하였다. 또한, 실험 예 9 및 10은 절연층의 두께를 25㎛로 하였고, 기공률을 각각 40% 및 1% 이하로 하였다. 그리고, 실험 예 11은 절연성층의 두께를 25㎛로 하였고, 기공률을 40%로 하였다. 실험 예 7 및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ESD 보호층의 두께가 10㎛이고 그에 따라 절연층의 두께가 10㎛의 경우 절연층의 기공률 감소에 따라 방전 개시 전압이 상승하고 쇼트 발생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실험 예 9 및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ESD 보호층의 두께가 25㎛이고 그에 따라 절연층의 두께가 25㎛의 경우 절연층의 기공률 감소에 따라 방전 개시 전압이 상승한다. 그러나, 절연층의 두께가 증가함으로써 쇼트는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실험 예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절연층의 두께가 25㎛이고 기공률이 80%로 증가하게 되면 방전 개시 전압이 평균 21.1kV 정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표 2]에 따른 방전 개시 전압을 도 23에 도시하였다. In Experimental Examples 7 and 8,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was 10 탆 and the porosity was 40% or less and 1% or less, respectively. In Examples 9 and 10,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was 25 μm and the porosity was 40% or less and 1% or less, respectively. In Experimental Example 11,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was 25 탆 and the porosity was 40%. As can be seen from Experimental Examples 7 and 8, when the thickness of the ESD protection layer is 10 占 퐉 an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is 10 占 퐉, the discharge start voltage increases and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shot increases as the porosity of the insulating layer decreases . Also, as can be seen from Experimental Examples 9 and 10, when the thickness of the ESD protection layer is 25 占 퐉 an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is 25 占 퐉, the discharge starting voltage rises as the porosity of the insulating layer decreases. However, as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is increased, a short circuit is not generated. 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from Experimental Example 11, whe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is 25 μm and the porosity increases to 80%, the discharge firing voltage shows an average of about 21.1 kV. The discharge starting voltage according to Table 2 is shown in Fig.
[표 3]은 절연층의 기공 크기에 따른 특성을 나타낸 표이고, 도 25는 이에 따른 방전 개시 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ESD 보호층의 두께를 25㎛로 하고 그에 따른 절연층의 두께를 25㎛로 하여 절연층의 기공 크기 변화에 따른 방전 개시 전압을 표시하였다.[Table 3] is a table show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ore size of the insulating layer, and Fig. 25 is a diagram showing discharge firing voltage according to the table. That is, the ESD protection layer had a thickness of 25 占 퐉 an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was 25 占 퐉, and the discharge firing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change in the pore size of the insulating layer was shown.
두께(㎛)ESD protection layer
Thickness (㎛)
두께(㎛)Conductive ceramic
Thickness (㎛)
두께(㎛)Insulating ceramic
Thickness (㎛)
세라믹
기공 사이즈Insulation
ceramic
Pore size
기공률Insulating ceramic
Porosity
두께
(㎛)
Air gap
thickness
(탆)
(kV)Discharge start voltage
(kV)
발생률short
Incidence rate
(17~19)18.3
(17-19)
(18~20.5)19.7
(18-20.5)
(24~28)25.9
(24-28)
실험 예 12는 절연층의 기공 크기를 1㎚∼5㎛로 하였고, 그에 따른 기공률을 40%로 하였다. 또한, 실험 예 13은 절연층의 기공 크기를 5㎚∼10㎛로 하였고, 그에 따른 기공률을 40%∼60%로 하였다. 그리고, 실험 예 14는 절연층의 기공 크기를 0으로 하였고, 그에 따른 기공률을 1%로 이하로 하였다. [표 3]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 예 12의 경우 방전 개시 전압이 17∼19kV 정도이고 평균 18.3kV 정도이며, 실험 예 13의 경우 방전 개시 전압이 18∼20.5kV 정도이고 평균 19.7kV 정도이다. 즉, 기공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방전 개시 전압이 증가한다. 또한, 실험 예 14의 경우 방전 개시 전압이 24∼28kV 정도이고 평균 25.9kV 정도이다. 즉, 실험 예 1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공이 없는 절연층을 이용하여 ESD 보호층을 형성할 경우 높은 방전 개시 전압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쇼트가 발생되지는 않는다.In Experimental Example 12, the pore size of the insulating layer was 1 nm to 5 탆, and the porosity thereof was set to 40%. In Experimental Example 13, the pore size of the insulating layer was 5 nm to 10 m, and the porosity thereof was 40% to 60%. In Experimental Example 14, the pore size of the insulating layer was set to 0 and the porosity thereof was set to 1% or less. As shown in Table 3 and FIG. 25, in the case of Experimental Example 12, the discharge starting voltage was about 17 to 19 kV and the average was about 18.3 kV. In Experimental Example 13, the discharge starting voltage was about 18 to 20.5 kV and the average was 19.7 kV Respectively. That is, as the pore size increases, the discharge start voltage increases. In the case of Experimental Example 14, the discharge starting voltage is about 24 to 28 kV and the average is about 25.9 kV. That is, as shown in Experimental Example 14, when the ESD protection layer is formed using an insulating layer having no pores, a high discharge starting voltage can be obtained. In this case, however, no short circuit occurs.
[표 4]는 ESD 보호층의 두께에 따른 특성을 나타낸 표이고, 도 26은 이때의 방전 개시 전압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ESD 보호층의 두께를 10㎛, 25㎛ 및 50㎛로 조절하고 그에 따른 절연층의 두께를 10㎛, 25㎛ 및 50㎛로 조절하여 ESD 보호층의 두께에 따른 방전 개시 전압을 표시하였다. 또한, 이때의 절연층의 기공 크기는 1㎚∼5㎛로 하였고 기공률이 40%로 하였다.[Table 4] is a table showing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ESD protection layer, and Fig. 26 is a diagram showing the discharge start voltage at this time.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ESD protection layer was adjusted to 10 탆, 25 탆 and 50 탆, an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was adjusted to 10 탆, 25 탆 and 50 탆, respectively, to display the discharge star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ESD protection layer . At this time, the pore size of the insulating layer was 1 nm to 5 탆 and the porosity was 40%.
두께(㎛)ESD protection layer
Thickness (㎛)
두께(㎛)Conductive ceramic
Thickness (㎛)
두께(㎛)Insulating ceramic
Thickness (㎛)
세라믹
기공 사이즈Insulation
ceramic
Pore size
기공률Insulating ceramic
Porosity
두께
(㎛)
Air gap
thickness
(탆)
(kV)Discharge start voltage
(kV)
발생률short
(11~13)12.4
(11-13)
(17~19)18.3
(17-19)
(25~27)26.2
(25-27)
실험 예 15는 ESD 보호층의 두께 및 그에 따른 절연층의 두께를 10㎛로 하였고, 실험 예 16은 ESD 보호층 및 그에 따른 절연층의 두께를 25㎛로 하였으며, 실험 예 17은 ESD 보호층의 두께 및 그에 따른 절연층의 두께를 50㎛로 하였다. [표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 예 15의 경우 방전 개시 전압이 11∼13kV 정도(평균 12.4kV)이고, 실험 예 16의 경우 방전 개시 전압이 17∼19kV 정도(평균 18.3kV)이며, 실험 예 17의 경우 방전 개시 전압이 25∼27kV 정도(평균 26.2kV)이다. 실험 예 15 내지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ESD 보호층의 두께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절연층의 두께가 증가하면 방전 개시 전압이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ESD 보호층이 10㎛인 실험 예 15의 경우 0.9% 정도로 쇼트가 발생할 수 있다.In Experimental Example 15, the thickness of the ESD protection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were set to 10 mu m. In Experimental Example 16, the thickness of the ESD protection layer and the insulating layer was set to 25 mu m, The thickness and thus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were 50 탆. As shown in Table 4 and FIG. 8, in the case of Experimental Example 15, the discharge starting voltage was about 11 to 13 kV (average 12.4 kV), the discharge starting voltage was about 17 to 19 kV (average 18.3 kV) . In the case of Experimental Example 17, the discharge starting voltage was about 25 to 27 kV (average 26.2 kV). As shown in EXPERIMENTAL EXAMPLES 15 to 17, when the thickness of the ESD protection layer is increased and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is increased, the discharge starting voltage is increased. In the case of Experimental Example 15 in which the ESD protection layer is 10 [micro] m, shot can occur at about 0.9%.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n other word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by the appended claims .
1000 : 적층체
2000 : 제 1 캐패시터부
3000 : ESD 보호부
4000 : 제 2 캐패시터부
5000 : 외부 전극
100 : 절연 시트
200 : 내부 전극
310 : 방전 전극
320 : ESD 보호층1000: laminate 2000: first capacitor part
3000: ESD protection part 4000: second capacitor part
5000: external electrode 100: insulating sheet
200: internal electrode 310: discharge electrode
320: ESD protection layer
Claims (13)
상기 적층체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캐패시터부;
상기 절연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ESD 전압을 방호하는 ESD 보호부; 및
상기 적층체 외부의 적어도 두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캐패시터부 및 ESD 보호부와 연결되는 외부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ESD 보호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방전 전극과, 상기 방전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ESD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전극의 하나가 전자기기의 금속 케이스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가 접지 단자에 연결되어 감전 전압을 차단하고 ESD 전압을 바이패스시키는 적층형 소자.
A laminated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insulating sheets are laminated;
A capacit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internal electrodes formed in the laminate;
An ESD protection part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insulating sheet to protect the ESD voltage; And
And an external electrode provided on at least two sides of the laminated body and connected to the capacitor unit and the ESD protection unit,
Wherein the ESD protection unit includes at least two discharge electrodes and at least one ESD protection layer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Wherein one of the external electrodes is connected to the metal cas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to cut off the electrostatic voltage and bypass the ESD voltage.
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ESD protection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porous insulating material, a conductive material, and an air gap, wherein the air gap is formed by connecting at least two pores of the adjacent insulating material.
The laminated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static voltage is equal to or less than a discharge start voltage, and the ESD volt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scharge start voltage.
The stacked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ESD protection layer are formed on different planes or formed on the same plane.
The multilayered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electrode adjacent to the discharg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same outer electrode or connected to different outer electrodes.
The multilayered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is a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inner electrode, A is a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B is a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and C is a distance between the inner electrodes.
The multilayered ele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B ≤ D1 and B ≤ D2 where D1 and D2 denote the thicknesses of the insulation sheet of the lowermost layer and the uppermost layer, respectively.
The layered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electrode extends to at least one of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laminate and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internal electrode.
상기 적층형 소자는,
복수의 절연 시트가 적층된 적층체;
상기 적층체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캐패시터부;
상기 절연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방전 전극과, 적어도 하나의 ESD 보호층을 포함하는 ESD 보호부; 및
상기 적층체 외부의 적어도 두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캐패시터부 및 ESD 보호부와 연결되는 외부 전극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And a stacked element provided between the metal case and the internal circuit for blocking the ESD voltage and for bypassing the ESD voltage,
The stacked-
A laminated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insulating sheets are laminated;
A capacit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internal electrodes formed in the laminate;
An ESD protection part formed on at least a part of the insulating sheet and including at least two discharge electrodes and at least one ESD protection layer; And
And an external electrode provided on at least two sides of the stacked body and connected to the capacitor unit and the ESD protection unit.
Th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inner electrode adjacent to the discharg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same outer electrode or connected to different outer electrodes.
[12] Th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external electrode extends to at least one of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laminate and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internal electrode.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 is a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and the inner electrode, A is a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B is a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and C is a distance between the inner electrod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9668A KR20170126840A (en) | 2017-11-10 | 2017-11-10 | Laminate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9668A KR20170126840A (en) | 2017-11-10 | 2017-11-10 | Laminate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1180A Division KR20160131879A (en) | 2015-05-07 | 2016-04-04 | Device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6840A true KR20170126840A (en) | 2017-11-20 |
Family
ID=6080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9668A KR20170126840A (en) | 2017-11-10 | 2017-11-10 | Laminate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26840A (en) |
-
2017
- 2017-11-10 KR KR1020170149668A patent/KR20170126840A/en active Application Fi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8798B1 (en) | Laminate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170135146A (en) | Contactor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 |
KR101808796B1 (en) | Laminated device | |
WO2016178524A1 (en) | Electric shock-prevention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same | |
KR20170126840A (en) | Laminate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WO2016178528A1 (en) | Electric shock-prevention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same | |
KR101842211B1 (en) | Contactor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180066003A (en) | Contactor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