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777A - Device for Wireless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evice for Wireless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777A
KR20170126777A KR1020160141583A KR20160141583A KR20170126777A KR 20170126777 A KR20170126777 A KR 20170126777A KR 1020160141583 A KR1020160141583 A KR 1020160141583A KR 20160141583 A KR20160141583 A KR 20160141583A KR 20170126777 A KR20170126777 A KR 20170126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ts
data
devices
hub device
al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5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5692B1 (en
Inventor
티 투이 냐 딘
임상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439,56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470178B2/en
Publication of KR20170126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7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6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72/04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ub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in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mmunication method of a device. A data communication method of a hub apparatus constitu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es steps of: receiving a request for allocating a guaranteed time slot (GTS) including information of data size to be transmitted from each of a plurality of devices to the hub apparatus; determining a superframe order (SO) for the plurality of devices based on size information of data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allocating a GTS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O to a GT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battery power from being wasted in a hub apparatus and a device which is a terminal apparatus.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 및 이의 통신 방법 {Device for Wireless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nfiguring a wireless network and a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시스템, 장치 및 이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 보장된 타임 슬롯을 디바이스에 할당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 apparatus, and a communication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guaranteed time slots to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최근 무선 네트워크가 IoT(Internet on Things) 구축, 홈 오토메이션, 산업 자동화 등과 같은 분야에서 핵심 지원 기술 중 하나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Recently, wireless network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as one of the key supporting technologies in fields such as Internet on Things (IoT) construction, home automation, and industrial automation.

예를 들어, IoT가 구축된 기술은 스마트 홈에서 일상 가전 기기들이 무선 개인 영역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에 연결되어 상호간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유기적으로 통신한다. For example, the technology in which IoT is constructed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of the home appliances in the smart home to exchange data and organical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그러나, 스마트 홈을 구성하는 IoT 장치들 중 코디네이터 역할을 하는 허브 장치는 논비콘(non-beacon) IEEE 802.15.4를 이용한다. 따라서, non-beacon IEEE 802.15.4를 이용하는 허브 장치는 높은 신뢰성, 높은 대역폭 활용도, 높은 스루풋(throughput)및 낮은 전력 소비를 지원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논비콘 모드를 사용하는 허브 장치는 낮은 성능으로 인해,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제한적이며 허브 장치에 연결되는 단말 장치들의 숫자도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 hub device serving as a coordinator among the IoT devices constituting the smart home uses non-beacon IEEE 802.15.4. Therefore, a hub device using non-beacon IEEE 802.15.4 has a problem that it does not support high reliability, high bandwidth utilization, high throughput and low power consumption. Further, the hub device using the non-beacon mode has a limited performance because of its low performance, limited network coverage, and limited number of terminal devices connected to the hub device.

한편, 허브 장치에 연결되는 단말 장치들은 수퍼프레임의 GTS(Guaranteed Time Slot)을 이용하여 QoS(Quality of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허브 장치는 단말장치로부터 GTS 요청 메시지(GTS request command)를 접수하고, GTS를 단말장치에 할당하고, 단말장치로부터 GTS할당 해지 메시지를 접수한다. 따라서, 단말장치가 할당된 타임 슬롯 구간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더라도, 수퍼프레임의 GTS 구간에서 허브 장치가 단말 장치로부터 GTS 할당 해지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까지 단말장치에 할당된 GTS의 타임슬롯 대역폭(bandwidth) 및 소비전력은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terminal devices connected to the hub device can provide QoS (Quality of Service) using a GTS (Guaranteed Time Slot) of a superframe. The hub device receives a GTS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device, allocates the GTS to the terminal device, and receives a GTS allocation cancel message from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ly, even if the terminal device does not transmit or receive data in the allocated time slot, the time slot bandwidth of the GTS allocated to the terminal device before the hub device receives the GTS allocation cancel message from the terminal device in the GTS interval of the superframe,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wasted.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허브 장치 및 디바이스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GTS할당을 위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TS allocation capable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hub device and a device constituting a wireless network. have.

또한,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IEEE 802.15.4 무선 네트워크 표준 규격에 따른 호환성을 유지하도록 IEEE 802.15.4 통신 표준을 수정하여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GTS할당을 위한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the IEEE 802.15.4 communication standard to maintain compatibility with the IEEE 802.15.4 wireless network standard, A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re provi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허브 장치의 데이터 통신 방법은,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디바이스가 허브 장치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GTS(Guaranteed Time Slot)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수퍼프레임 오더(SO, Superframe Order)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수퍼프레임 오더에 대응되는 GTS를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의 GTS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ata communication method of a hub apparatus for configu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from each of a plurality of devices, Determining a superframe order (SO) for the plurality of devices based on size information of data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receiving a GTS (Guaranteed Time Slot) And allocating a GTS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uperframe order to a GT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허브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디바이스가 상기 허브 장치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GTS(Guaranteed Time Slot) 할당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수퍼프레임 오더(SO, Superframe Order)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수퍼프레임 오더에 대응되는 GTS를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의 GTS로 할당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ub apparatus for configur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a plurality of devices; (GTS) allocation request including size information of a data to be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devices, and transmits a super frame order (SO) to the plurality of devices based on size information of data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 Superframe Order), and assigns GTSs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uperframe order to GTS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바이스는, 허브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허브 장치에 전송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데이터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GTS(Guaranteed Time Slot) 할당 요청을 상기 허브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허브 장치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GTS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GTS 할당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바이스의 송수신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송수신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허브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for configuring a wireless network system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a hub device,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data size information of a device to be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Receiving a GTS (GTS) allocation request to the hub device, receiving GTS allocation information for the device from the hub device, determin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of the device based on the GTS allocation information,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hub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디바이스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GTS(Guaranteed Time Slot) 할당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수퍼프레임 오더(SO, Superframe Order)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수퍼프레임 오더에 대응되는 GTS를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의 GTS로 할당하는 허브 장치, 및 상기 허브 장치에 전송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데이터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GTS(Guaranteed Time Slot) 할당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허브 장치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GTS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GTS 할당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바이스의 송수신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송수신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허브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network system receives a GTS (Guaranteed Time Slot) allocation request including size information of data to be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devices, , Determining a superframe order (SO) for the plurality of devices based on size information of data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determining a superframe order (SO)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uperframe order, (GTS) allocation request including a hub size allocated to a GTS of a device and data size information of a device to be transferred to the hub device, and receives GTS allocation information for the device from the hub device And determines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of the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GTS allocation information And,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hub device and the data based on the determined transmission mod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 및 이의 데이터 통신 방법은, 디바이스가 할당된 GTS 구간에서 데이터 송수신 모드에 따라 다른 전원 상태를 가짐으로써 디바이스의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The device and the dat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evice effectively by having different power states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n the GTS interval in which the device is allocated .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 및 이의 데이터 통신 방법은, 허브 장치에 연결되는 디바이스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고, 낭비되는 대역폭을 줄이며,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확장시킴으로써 네트워크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configuring a wireless network and the dat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increase the number of devices connected to a hub device, reduce wasted bandwidth, and expand network coverage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can be improved.

도 1a 및 1b는 IoT(Internet on Thing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일반적인 예시도,
도 2는 IEEE 802도 1a 및 1b는 IoT(Internet on Thing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일반적인 예시도,
도 2는 IEEE 802.15.4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퍼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IEEE 802.15.4 시스템에서 허브 장치와 단말 장치 사이의 GTS 할당에 따른 데이터 통신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GTS 대역폭 낭비를 감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IEEE 802.15.4의 GTS 할당 요청 코맨드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허브 장치의 GTS 할당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인 디바이스의 GTS 할당 요청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허브 장치 및 단말 장치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허브 장치 및 단말 장치에서의 소비 전력이 감소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그리고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허브 장치 및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간단한 블록도이다.
1a and 1b are a general illustration of a wireless network topology for providing Internet on Things (IoT) services,
FIG. 2 is an IEEE 802. FIGS. 1A and 1B are a general illustration of a wireless network topology for providing Internet on Things (IoT)
2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super frame used in the IEEE 802.15.4 system,
3 is a flowchart showing a data communication procedure according to GTS allocation between a hub apparatus and a terminal apparatus in an IEEE 802.15.4 system;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ducing GTS bandwidth was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GTS allocation request command frame of IEEE 802.15.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GTS allocation method of a hub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 dat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 GTS allocation request of a device that is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flowchart showing a data communication method of a hub apparatus and a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9 is a graph for explaining a reduction in power consumption in the hub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10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 hub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Further, when a technical term used herei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that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re replaced.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ing" or "comprising" or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may be further comprised of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Further, the suffix "part" for a component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es not have a meaning or role that is different from itsel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Furthermore,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개시에서 "허브 장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로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하는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코디네이터"를 나타낼 수 있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코디네이터 및 다른 디바이스와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하는 "단말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The term " hub device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denote a" coordinator "for controlling devices that are i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Quot; device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a 및 1b는 IoT(Internet on Thing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일반적인 예시도이다.1A and 1B are general illustrations of a wireless network topology for providing Internet on Things (IoT) services.

도 1a는 스타형(star topology)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도시하고, 도 1b는 트리형(tree topology)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도시한다. Figure 1a illustrates a star topology network topology, and Figure 1b illustrates a tree topology network topology.

WPAN/WL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Wireless LAN)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서 디바이스(100-1 내지 100-6) 및 허브 장치(200)는 수퍼프레임(Super frame)이라는 시간 개념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In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PAN / WL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 Wireless LAN), the devices 100-1 to 100-6 and the hub device 200 use a time concept called a super frame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

도 1a를 참조하면, 스마트홈(10)에서 스타형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허브 장치(200)가 복수의 디바이스(100-1, 100-2, 100-3, 100-4, 100-5, 100-6)와 통신을 한다. 허브 장치(200)는 FFD(Full Function Device) 중 하나로서 코디네이터 장치가 되어 비콘 신호를 전송하고, RFD(Reduced Function Device)인 다른 디바이스들(100-1, 100-2, 100-3, 100-4, 100-5, 100-6)을 관리하고 제어한다.1A, the star network topology in the smart home 10 is a topology in which the hub device 200 includes a plurality of devices 100-1, 100-2, 100-3, 100-4, 100-5, and 100-6 ). The hub device 200 is one of FFDs (Full Function Devices) and transmits a beacon signal as a coordinator device. The other devices 100-1, 100-2, 100-3, and 100- 4, 100-5, and 100-6).

도 1b를 참조하면, 트리형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FFD인 허브 장치(200)가 RFD인 복수의 디바이스(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100-8, 100-9)와 통신할 수 있다. 각 디바이스(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100-8, 100-9)는 네트워크 내의 어떤 다른 디바이스와도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트리형(피어 투 피어, peer to peer) 토폴로지는 복잡한 형태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트리형 토폴로지는 높은 데이터 신뢰성과 접속 인식률을 가진다.Referring to FIG. 1B, a tree type network topology includes a plurality of devices 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and 100 -7, 100-8, 100-9). Each of the devices 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100-8, and 100-9 can communicate with any other device in the network have. Thus, a tree-type (peer-to-peer) topology can constitute a complex type of network. Thus, the tree topology has high data reliability and connection recognition rate.

예를 들어, 허브 장치(200)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처리하는 코디네이터 장치일 수 있다. 허브 장치(200)는 스마트 홈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센서(smart sensors), 전등(lights), 잠금 장치(locks), 카메라(camera)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은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For example, the hub device 200 may be a coordinator device that processes resources of a device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The hub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smart sensors, lights, locks, cameras, etc. through a wireless network in a smart home.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disclosur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디바이스(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100-8, 100-9)는 허브 장치(20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단말장치 또는 센서들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문의 개폐를 모니터하는 센서들이 부착된 문(doors), 창문(windows), 캐비닛(cabinets), 또는 차고(garage) 등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집에서 어떤 물체 또는 사용자의 이동을 모니터하는 센서가 부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전자 장치 등을 제어하는 아웃렛(outlet)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허브 장치(200)와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무선 통신하는 수많은 장치들일 수 있다.The devices 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100-8, and 100-9 are connected to the hub device 200 via a wireless network Or a device including sensors. For example, a device may be doors, windows, cabinets, or garage with sensors attached thereto to monitor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device may also be a sensor attached to monitor movement of an object or user at home. Further, the device may be an outlet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or the like. The device may be numerous devices that are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ub device 200 over a wireless network.

현재 스마트홈을 구성하는 장치들은 스타형 토폴로지 형태의 네트워크이다. 그러나, IoT 의 이용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트리형 토폴로지 형태의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홈이 구축될 수 있다. 스타형 토폴로지는 트리형 토폴로지보다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제한적일 수 있다. 또한, 트리형 토폴로지 형태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들은 스타형 토폴로지 형태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들보다 큰 데이터 사이즈를 송수신할 수 있다. Currently, the devices that make up the smart home are star topology type networks. However, as the use range of IoT is expanded, a smart home can be constructed through a network in the form of a tree topology. A star topology may have limited network coverage than a tree topology. In addition, devices constituting a network in the form of a tree topology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sizes larger than devices constituting a star topology type network.

IEEE 802.15.4의 수퍼프레임 구조는 코디네이터 장치인 허브 장치(200)에 의해서 결정된다. 현재의 IEEE 802.15.4의 수퍼프레임의 GTS 할당은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바이스의 리소스를 반영할 수 있고, 트리형 토폴로지에도 적용될 수 있는 IEEE 802.15.4의 표준의 수정이 필요하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IEEE 802.15.4 의 변형(modify)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10에서 상술한다.The superframe structure of IEEE 802.15.4 is determined by the hub device 200 which is a coordinator device. The GTS allocation of the current IEEE 802.15.4 superframe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resources of the device. Th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a need for a modification of the IEEE 802.15.4 standard that can reflect the resources of the device and can also be applied to a tree topology. A modification of IEEE 802.15.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s. 4-10.

도 2는 IEEE 802.15.4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퍼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super frame used in the IEEE 802.15.4 system.

도 2를 참조하면, 수퍼프레임 구조는 허브 장치에 의해 결정되고, 비콘 신호를 통해 디바이스에 수퍼프레임 정보를 통보한다.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디바이스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와 동기화를 이룬다. Referring to FIG. 2, the superframe structure is determined by the hub device, and informs the device of the superframe information via the beacon signal. The device receiving the beacon signal i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hort-range wireless network.

비콘 신호와 다음 비콘 신호 사이는 활성 구간과 비활성(inactive) 구간으로 구분된다. 비콘 신호는 수퍼프레임의 구조를 결정하는 SO(Superframe Order) 값 및 BO(Beacon Order) 값을 포함한다. SO 및 BO는 허브 장치(200)가 결정한다. 예를 들어, 보낼 데이터가 많은 경우에는 SO 값 및 BO 값을 큰 값으로 부여하고, 실시간성 트래픽이면 BO 값을 작은 값으로 할 수 있다.The interval between the beacon signal and the next beacon signal is divided into an active interval and an inactive interval. The beacon signal includes a Superframe Order (SO) value and a Beacon Order (BO) value that determine the structure of the super frame. SO and BO are determined by the hub device 200. [ For example, when there is a larg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the SO value and the BO value may be assigned a large value, and if the data is real-time traffic, the BO value may be a small value.

디바이스는 비콘을 수신한 후 BO 값으로 비콘 사이의 간격(BI, Beacon Interval)을 결정하고, SO값으로 액티브 구간(SD, Superframe Duration)을 결정한다. After receiving the beacon, the device determines the beacon interval (BI, Beacon Interval) with the BO value, and determines the active period (SD, Superframe Duration) with the SO value.

SD(Superframe Druation) (210)는 동일한 간격의 16개의 슬롯으로 이루어진 활성 구간의 길이이다. 활성 구간(210)은 다른 디바이스와 경쟁을 하며 G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알고리즘 방식으로 통신하는 CAP(Contention Access Period)와 실시간 통신이나 특정 대역폭을 요구하는 통신을 위해 허브 장치로부터 수퍼프레임의 일정 구간을 할당 받는 GTS(Guaranteed Time Slot)로 이루어진 CFP(Contention Free Period)(220)로 이루어진다.The SD (Superframe Druation) 210 is the length of the active period composed of 16 slots of the same interval. The active section 210 compares with a content access period (CAP) that compares with another device and communicates with a GSMA / 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Avoidance) algorithm method. And a contention free period (CFP) 220 composed of a GTS (Guaranteed Time Slot) to which a predetermined period of a super frame is allocated.

GTS 할당은 디바이스가 허브 장치에 GTS 할당을 요청하여 이루어지며, 디바이스가 GTS 이용을 중지하기 위해서는 GTS 할당 해제(deallocation)를 요청한다. 허브 장치(200)는 GTS를 구성하는 각 GTS가 어느 디바이스에게 할당되는 지 결정한다. GTS는 최대 7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디바이스에 복수의 GTS가 할당될 수 있다. 즉, 디바이스가 한번 GTS를 할당 받으면 해체 요청을 할 때까지 다른 디바이스들이 해당 GTS를 사용할 수 없다. 또한, GTS 할당 해제는 허브 장치가 기 설정된 특정 규칙에 의해 해제할 수도 있다.The GTS allocation is made when the device requests GTS allocation to the hub device and requests GTS deallocation in order for the device to stop using the GTS. The hub device 200 determines to which device each GTS constituting the GTS is allocated. The GTS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ximum of seven. Further, a plurality of GTSs can be assigned to one device. That is, once a device is assigned a GTS, other devices can not use that GTS until it issues a disassociation request. In addition, the GTS deassignment may be released by a specific rule predetermined by the hub device.

SD(Superframe Duration)(210)은 디바이스(100)와 허브 장치(200)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활성구간으로서 수퍼프레임 오더(SO, Superframe Order)가 증가할수록 SD의 길이는 확장된다. SD=aBaseSuperframeDuration*2SO 이고 0=< SO =< BO(Beacon order) =<14 이다. 이때, SD=14 값을 가지면 수퍼프레임에 비활성 구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SD(210)에서 GTS의 할당이 결정되고 남은 구간은 CAP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SD(210)에서 GTS의 할당과 GTS의 사용은 수퍼프레임을 결정짓고 비콘 인터벌(BI, Beacon Interval)에도 영향을 미친다. 비콘 인터벌(BI, Beacon Interval) 동안 디바이스들은 비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활성 구간에서 액티브 상태이고 비활성 구간에서 슬립 모드를 유지한다.The SD (Superframe Duration) 210 is an active period in which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device 100 and the hub device 200, and the SD length is extended as the superframe order (SO) increases. SD = aBaseSuperframeDuration * 2 SO and 0 = <SO = <BO (Beacon order) = <14. At this time, if SD = 14, there is no inactive period in the superframe. The allocation of the GTS is determined in the SD 210 and the remaining interval is used as the CAP. Therefore, the allocation of the GTS and the use of the GTS in the SD 210 determines the superframe and affects the beacon interval (BI). During the beacon interval (BI), devices are active in the active period and stay in the sleep mode in the inactive period to receive the beacon signal.

즉, IEEE 802.15.4 표준에 따른 수퍼프레임 구조에서, SO가 증가할수록 SD 값이 증가한다. SD 값이 증가하는 것은 슬롯당 제공할 수 있는 대역폭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SO가 증가할수록 디바이스가 요구하는 대역폭 이상으로 자원이 할당되어 대역폭이 낭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리소스)의 사이즈는 작으나 디바이스가 GTS를 요청한 SO가 높은 값을 가진 경우, 높은 SO 값에 의해 SD 값이 디바이스가 필요로 하는 대역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CAP 구간 및 자신이 할당된 GTS 구간에서는 반드시 활성 모드로 동작해야 한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비효율적으로 전력이 소모될 수 있다.That is, in the super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IEEE 802.15.4 standard, the SD value increases as the SO increases. Increasing the SD value means that the bandwidth that can be provided per slot is increased. Therefore, as the SO increases, the resources may be allocated more than the bandwidth required by the device, and the bandwidth may be wasted. For example, if the size of the data (resource) that the device wants to transmit is small, but the SO for which the device requested the GTS has a high value, the SD value may be larger than the bandwidth required by the device due to the high SO value. In addition, the device must operate in the active mode in the CAP interval and the GTS interval allocated thereto. Thus, the device may be inefficient in power consumption.

도 3은 IEEE 802.15.4 시스템에서 허브 장치와 단말 장치 사이의 GTS 할당에 따른 데이터 통신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communication procedure according to GTS allocation between a hub apparatus and a terminal apparatus in an IEEE 802.15.4 system.

S310 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허브 장치(200)로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GTS 할당 요청(GTS request command)이 포함된 메시지를 허브 장치(200)에 전송하여 GTS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 GTS 할당(allocation) 요청(GTS request command)은 GTS 특성(GTS Characteristics) 필드에 포함된 메시지를 통해 허브 장치(200)에 전송된다.In step S310, when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200, the terminal device 100 may transmit a message including a GTS request command to the hub device 200 to request GTS allocation. The GTS request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200 through a message included in the GTS Characteristics field.

S320 단계에서, 허브 장치(200)는 단말 장치에 대한 GTS 할당을 결정한 경우, ACK(Acknowledgement)를 단말 장치(100)에 전송한다.In step S320, the hub device 200 transmits an ACK (acknowledgment) to the terminal device 100 when determining the GTS allocation for the terminal device.

S330 단계에서, 허브 장치(200)는 비콘 메시지에 디바이스에 할당한 GTS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 장치(100)에 전송한다. In step S330, the hub device 200 transmits the beacon message including the GTS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device to the terminal device 100. [

S340 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허브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비콘 메시지를 바탕으로 할당된 GTS를 이용하여 허브 장치(100)를 포함한 다른 디바이스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In step S340, the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other devices including the hub device 100 using the GTS allocated based on the beacon message received from the hub device 100. [

S350 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단말 장치(100)에 할당된 GTS를 더 이상 이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허브 장치(200)에 GTS 회수(deallocation) 요청(GTS request command)을 전송한다. In step S350, when the terminal apparatus 100 desires not to use the GTS allocated to the terminal apparatus 100, the terminal apparatus 100 transmits a GTS request command to the hub apparatus 200. [

즉, GTS 할당 요청인 "GTS request command"는 S310단계에서의 GTS 할당 요청과 S350 단계에서의 GTS 해제 요청을 포함한다. That is, the "GTS request command" which is the GTS allocation request includes the GTS allocation request in step S310 and the GTS release request in step S350.

S360 단계에서, 허브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할당한 GTS를 회수하고 단말장치(100)에 ACK를 전송한다.In step S360, the hub device 200 retrieves the GTS allocat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ransmits an ACK to the terminal device 100. [

따라서, 단말 장치(100)가 할당 받은 GTS를 현재 사용하고 있지 않더라도, IEEE 802.15.4 표준에 따른 GTS할당 방법은 단말장치(100)가 허브 장치(200)에 GTS 회수 요청을 할 때까지 할당된 GTS를 다른 단말장치들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even if the terminal 100 does not currently use the GTS allocated thereto, the GTS allo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IEEE 802.15.4 standard is a method in which the terminal 100 allocates the GTS to the hub 20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TS can not be used by other terminal devices.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GTS 대역폭 낭비를 감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reducing GTS bandwidth was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에는 도 2에서 설명한 수퍼프레임의 활성 구간(Active period)인 CAP과 CFP가 도시된다. 도 4에는 CFP 구간에 두 개의 GTS slot(420)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IEEE 802.15.4 통신 표준에서 CFP구간은 최대 7개의 GTS slot(420)을 포함할 수 있다.FIG. 4 shows CAPs and CFPs, which are active periods of the superfram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FIG. 4, two GTS slots 420 are illustrated in the CFP section,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for explaining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IEEE 802.15.4 communication standard, the CFP section includes a maximum of seven GTS slots 420 .

GTS slot(420, 420-1)은 데이터 전송 가능 구간(450, 450-1, available transmission period)와 인터프레임 스페이스(IFS, interframe space)를 포함한다. 데이터 전송 가능 구간(450, 450-1)에서 실제 데이터가 전송된 구간(460, 460-1, packet tramsmission period)를 마이너스한 타임 슬롯(430, 430-1)은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지 않은 낭비된 대역폭(430, 430-1, wasted BW)을 의미한다. The GTS slots 420 and 420-1 include an available transmission period 450 and an interframe space (IFS) 450-1. The time slots 430 and 430-1, which are negative in the data transmission enable periods 450 and 450-1 and in which the actual data is transmitted (460 and 460-1, packet tramsmission period), are wasted Bandwidth 430, 430-1, wasted BW.

도 4의 상위 그래프는, IEEE 802.15.4 통신 표준에 따라, 수퍼프레임 오더(SO)가 6일 때, 두 개의 단말 장치가 각각의 GTS에 할당된 것을 도시한 액티브 구간이다. 예를 들어, 각 단말 장치는 90 bytes의 패킷을 허브 장치에 전송하고자 할 수 있다. SO는 6일 때, 각 GTS 길이(420)는 3.84 ms이고, IFS는 0.64 ms이고, 각 단말에서 각 패킷이 허브 장치에 전송되는 데 필요한 시간(460)은 IFS(0.64ms)를 포함하여 1.6ms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GTS 할당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의하면,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에 할당된 3.84 ms 의 GTS 길이(420)의 58%인 2.24 ms(430) =3.84 ms (420) - 1.6 ms(460)의 대역폭을 낭비할 수 있다. The upper graph of FIG. 4 is an active period showing that two terminal devices are allocated to respective GTSs when the superframe order (SO) is 6 according to the IEEE 802.15.4 communication standard. For example, each terminal apparatus may transmit a 90-byte packet to the hub apparatus. When SO is 6, each GTS length 420 is 3.84 ms, IFS is 0.64 ms, and the time 460 required for each packet to be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at each terminal is 1.6 (including IFS ms.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ata transmission method by GTS allocation, the terminal apparatus has 2.24 ms (430) = 3.84 ms (420) - 1.6 ms (460) which is 58% of the GTS length 420 of 3.84 ms allocated to the terminal apparatus ) Can be wasted.

반면, 도 4의 하위 그래프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 장치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크기를 바탕으로 최적의 SO를 판단하여 GTS가 할당된 것을 도시한 액티브 구간이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graph of FIG. 4 is an active period showing that the GTS is allocated by determining an optimal SO based on the data size to b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 장치가 90bytes의 데이터를 허브 장치에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허브 장치는 90 bytes를 전송하는 데 필요한 최적의 GTS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허브 장치는 90 bytes를 전송하는 데 필요한 GTS에 대응되는 SO 값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O=1일 때 90 bytes의 데이터를 GTS 구간에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허브 장치는 SO가 1일 때의 GTS 구간 길이를 각 디바이스의 GTS로 할당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퍼프레임에서 액티브 구간의 길이는 CFP의 GTS 구간 길이가 정해진 이후 나머지 길이가 CAP 구간이 된다. 따라서, 90 bytes에 대응되는 GTS 구간 길이가 SO 값이 1일 때의 길이로 짧아졌으므로, CAP 구간의 길이는 도 4의 상위 그래프보다 길어질 수 있다. 또한, SO=1일 때, GTS 길이(420-1)은 1.92ms일 수 있다. 90 bytes의 데이터를 허브 장치에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6 ms이므로, GTS 구간에서 낭비되는 대역폭은 1.92ms(420-1)-1.6ms(460-1)=0.32 ms(430-1)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GTS 할당 시, 단말 장치에서의 대역폭 낭비는 GTS길이(420-1)의 17%일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 사이즈 및 시간들은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terminal device intends to transmit 90 bytes of data to a hub device, the hub device can determine the optimal GTS length required to transmit 90 bytes. The hub device can determine the SO value corresponding to the GTS required to transmit 90 bytes. For example, when SO = 1, 90 bytes of data can be transmitted in the GTS section. Therefore, the hub device can allocate the GTS section length when SO is 1 to the GTS of each device.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the length of the active period in the superframe is the CAP interval after the GFP interval length of the CFP is determined. Accordingly, since the length of the GTS section corresponding to 90 bytes is shortened to the length of the SO value of 1, the length of the CAP section may be longer than that of the upper graph of FIG. Further, when SO = 1, the GTS length 420-1 may be 1.92 ms. Since the time taken to transfer 90 bytes of data to the hub device is 1.6 ms, the bandwidth wasted in the GTS interval may be 1.92 ms (420-1) -1.6 ms (460-1) = 0.32 ms (430-1) . Thus, in the GTS alloc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andwidth waste at the terminal may be 17% of the GTS length 420-1. The above-described data sizes and times are only examples for explaining the present disclosur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IEEE 802.15.4의 GTS 요청 커맨드 프레임(GTS request command frame)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TS request command frame of IEEE 802.15.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를 참조하면, IEEE 802.15.4 통신 표준에서 GTS 요청 커맨드(GTS request command)는 GTS 특성 필드(GTS characteristics field)(510)을 포함한다. GTS 특성 필드(510)는 디바이스(100)에서 허브 장치(200)로 요청하는 GTS의 성격 및 특징을 포함한다. GTS 특성 필드(510)는 GTS 길이(GTS length), GTS 방향(GTS Direction), 특성 형태(Characteristics Type), Reserved 필드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GTS request command in the IEEE 802.15.4 communication standard includes a GTS characteristics field 510. The GTS property field 510 includes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GTS requested from the device 100 to the hub device 200. The GTS property field 510 includes a GTS length, a GTS direction, a characteristic type, and a Reserved field.

GTS 길이 필드는 해당 GTS가 몇 개의 수퍼프레임 슬롯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지 나타낸다. GTS 방향 필드는 해당 GTS가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 용도로 사용되는 지 또는 전송 용도로 사용되는 지 나타낸다. 특성 형태 필드는 해당 GTS 요청 커맨드가 GTS 할당을 위해 사용되는 지 또는 GTS 회수를 위해 사용되는 지 나타낸다.The GTS length field indicates how many superframe slots the GTS should comprise. The GTS direction field indicates whether the corresponding GTS is used by the device for receiving purposes or for transmission purposes. The property type field indicates whether the corresponding GTS request command is used for GTS allocation or GTS recovery.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바이스(100)가 허브 장치(200)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패킷)의 사이즈 정보는 4비트의 GTS 길이 필드(520) 및 2비트의 Reserved 필드(530)에 포함되어 GTS 요청 메시지로서 허브 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ata (packet) that the device 100 wants to transmit to the hub device 200 includes a 4-bit GTS length field 520 and a 2-bit Reserved field 530 May be included and sent to the hub device 200 as a GTS request message.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사이즈가 20 bytes 이상이고 133 bytes 미만인 경우, 데이터 크기 정보는 4 비트 값을 가지는 GTS 길이(520)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4 비트 값을 가지는 데이터 크기 필드(520)는 스타형 토폴로지 네트워크일 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사이즈가 133 bytes 이상이고 516 bytes 이하인 경우, 데이터 크기 정보는 2 비트 값을 가지는 Reserved(530)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GTS 특성 필드(510)의 Reserved(530)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데이터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 필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2 비트 값을 가지는 데이터 크기 필드(530)는 트리형 토폴로지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크기 필드(510, 530)에 포함되는 데이터 사이즈는 표 1과 같이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data size to be transmitted by the device 100 is 20 bytes or more and less than 133 bytes, the data siz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GTS length 520 field having a 4-bit value. At this time, the data size field 520 having a 4-bit value may be applied when the star topology network is used. In addition, when the data size to be transmitted by the device 100 is 133 bytes or more and 516 bytes or less, the data siz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Reserved (530) field having a 2-bit value. 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served 530 of the GTS property field 510 may indicate a sub-field including data size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At this time, the data size field 530 having a 2-bit value can be applied to a tree topology network. The data sizes included in the data size fields 510 and 5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Table 1, but this is only one example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disclosure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Method for Modification of GTS Request Command Method for Modification of GTS Request Command Total Data size(bytes)Total Data size (bytes) Bits:0-3Bits: 0-3 Bits: 6-7Bits: 6-7 Total Data size(bytes)Total Data size (bytes) Bits:0-3Bits: 0-3 Bits: 6-7Bits: 6-7 20-2620-26 00000000 0000 261-268261-268 00000000 1010 27-3327-33 00010001 0000 269-276269-276 00010001 1010 34-4034-40 00100010 0000 277-284277-284 00100010 1010 41-4741-47 00110011 0000 285-292285-292 00110011 1010 48-5448-54 01000100 0000 293-300293-300 01000100 1010 55-6155-61 01010101 0000 301-308301-308 01010101 1010 62-6862-68 01100110 0000 309-316309-316 01100110 1010 69-7569-75 01110111 0000 317-324317-324 01110111 1010 76-8276-82 10001000 0000 325-332325-332 10001000 1010 83-8983-89 10011001 0000 333-340333-340 10011001 1010 90-9690-96 10101010 0000 341-348341-348 10101010 1010 97-10397-103 10111011 0000 349-356349-356 10111011 1010 104-111104-111 11001100 0000 357-364357-364 11001100 1010 112-119112-119 11011101 0000 365-372365-372 11011101 1010 119-126119-126 11101110 0000 373-380373-380 11101110 1010 127-133127-133 11111111 0000 381-388381-388 11111111 1010 133-140133-140 00000000 0101 389-396389-396 00000000 1111 141148141148 00010001 0101 397-404397-404 00010001 1111 149-156149-156 00100010 0101 405-412405-412 00100010 1111 157-164157-164 00110011 0101 413-420413-420 00110011 1111 165-172165-172 01000100 0101 421-428421-428 01000100 1111 173-180173-180 01010101 0101 429-436429-436 01010101 1111 181-188181-188 01100110 0101 437-444437-444 01100110 1111 189-196189-196 01110111 0101 445-452445-452 01110111 1111 197-204197-204 10001000 0101 453-460453-460 10001000 1111 205-212205-212 10011001 0101 461-468461-468 10011001 1111 213-220213-220 10101010 0101 469-476469-476 10101010 1111 221-228221-228 10111011 0101 477-484477-484 10111011 1111 229-236229-236 11001100 0101 485-492485-492 11001100 1111 237-244237-244 11011101 0101 493-500493-500 11011101 1111 245-252245-252 11101110 0101 501-508501-508 11101110 1111 253-260253-260 11111111 0101 509-516509-516 11111111 1111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허브 장치의 GTS 할당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GTS allocation method of a hub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610 단계에서, 허브 장치(200)는 디바이스(100)로부터 디바이스의 GTS 요청을 도 2에서 도시한 CAP 구간 동안 수신할 수 있다. GTS 요청은 GTS 할당 요청 및 GTS 할당 해지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허브 장치(200)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여 GTS 요청 메시지를 허브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610, the hub device 200 may receive the device's GTS request from the device 100 during the CAP interval shown in FIG. The GTS request may include a GTS allocation request and a GTS allocation termination request. The device 100 may transmit a GTS request message to the hub 200 including the data siz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hub 200. [

이때, 허브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100)로부터 GTS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허브 장치(200)가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GTS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허브 장치(200)는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 받은 GTS 요청 메시지 중 GTS 할당 해지 요청이 포함된 경우, GTS 할당 해지를 먼저 수행할 수 있다. 허브 장치(200)는 GTS 할당 해지를 수행한 이후 나머지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ub device 200 can receive a GTS request from at least one device 100. [ Hub device 200 may receive a GTS request from a plurality of devices. At this time, if the GTS request cancel message is included in the GTS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devices, the hub device 200 may first perform GTS allocation termination. The hub device 200 can proceed to the remaining steps after performing the GTS allocation cancellation.

S620 단계에서, 허브 장치(200)는 GTS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데이터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GTS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크기 정보는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크기가 기 설정된 제1 값 미만인 경우 4 비트의 데이터 크기 필드에 포함되고, 데이터 크기가 기 설정된 제1 값 이상인 경우 2비트의 데이터 크기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In step S620, the hub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data size of the device included in the GTS request messag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the data siz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TS request message is included in the 4-bit data size field when the data size is less than the preset first value, May be included in the data size field of FIG.

S630 단계에서, 허브 장치(200)는 GTS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크기 정보에 따라 수퍼프레임 오더를 판단할 수 있다. 허브 장치(200)는 데이터 크기를 전송할 수 있는 최적의 GTS의 슬롯 길이를 가지는 수퍼프레임 오더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630, the hub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superframe order according to the data siz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TS request message. The hub device 200 can determine the superframe order having the slot length of the optimal GTS that can transmit the data size.

이때, 허브 장치(200)는 수퍼프레임의 GTS가 기 설정된 개수 이하로 할당된 경우에 디바이스(100)의 GTS 요청에 따른 데이터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5.4 통신 표준에서 허브 장치(200)는 최대 7개의 GTS를 디바이스(100)에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허브 장치(200)는 7개의 GTS 중 할당되지 않은 GTS가 7개 이하인 경우에 S630 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7개의 GTS가 모두 할당되고 허브 장치(200)가 디바이스(100)로부터 GTS 요청을 수신한 경우, 허브 장치(200)는 디바이스(100)의 GTS 요청을 수락하지 않는 ACK를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ub device 200 can determine the data size according to the GTS request of the device 100 when the GTS of the super frame is allocat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r less. For example, in the IEEE 802.15.4 communication standard, the hub device 200 can allocate up to seven GTSs to the device 100. Therefore, the hub device 200 may perform step S630 if seven unassigned GTSs among the seven GTSs are seven or less. That is, if seven GTSs are all allocated and the hub device 200 receives a GTS request from the device 100, the hub device 200 sends an ACK not accepting the GTS request of the device 100 to the device 100, Lt; / RTI &gt;

허브 장치(200)는 GTS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크기를 가진 데이터가 허브 장치(200)에 도착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허브 장치(200)는 데이터 크기 정보, GTS 할당 지연 시간, GTS 요청 도착 시간, 데이터의 패킷 생성 비율을 이용하여 데이터 도착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의 패킷 생성 비율은 디바이스(100)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크기를 가진 데이터가 패킷화되는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GTS 할당 지연 시간은 도 4에 도시된 인터프레임 스페이싱(IFS) 등과 같은 지연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예는 일 실시 예일 뿐, 허브 장치(200)는 다양한 데이터 및 방법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크기의 데이터가 허브 장치(200)에 도착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The hub device 200 can determine the time required for the data having the data size included in the GTS request message to arrive at the hub device 200. [ The hub device 200 can determine the data arrival time using the data size information, the GTS allocation delay time, the GTS request arrival time, and the packet generation rate of the data. The packet generation rate of the data may indicate the rate at which the data having the data size that the device 100 desires to transmit is packetized. The GTS allocation delay time may include a delay time such as the interframe spacing (IFS) shown in Fig. The above example is only an example and the hub device 200 can use various data and methods to determine the time required for the data of the data size that the device 100 wants to transfer to the hub device 200 to be transmitted .

허브 장치(200)는 디바이스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크기를 전송할 때 허브 장치의 전력 소비 효율, 할당 지연 효율, 대역폭 이용 효율 및 처리량(throughput) 효율을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 크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최적의 수퍼프레임 오더를 판단할 수 있다.The hub device 200 transmits the data size to be transmitted by the device to the optimal superframe required for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data size by using the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the allocation delay efficiency, the bandwidth utilization efficiency, and the throughput efficiency of the hub device. Order can be judged.

전력 소비 효율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비전력을 IEEE 802.15.4 표준에 의해 소비되는 소비 전력으로 나눈 값일 수 있다. 할당 지연 효율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GTS할당 지연 시간을 IEEE 802.15.4 표준에 따른 GTS 할당 지연 시간으로 나눈 값일 수 있다. 대역폭 이용 효율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역폭 이용량을 전체 대역폭 량으로 나눈 값일 수 있다. 처리량 효율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처리량을 최대 처리량으로 나눈 값일 수 있다. The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may be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the power consumption consumed by the IEEE 802.15.4 standard. The allocation delay efficiency may be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GTS allocation delay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the GTS allocation delay time according to the IEEE 802.15.4 standard. The bandwidth utilization may be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bandwidth u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the total bandwidth amount. The throughput efficiency may be the throughpu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ivided by the maximum throughput.

예를 들어, 허브 장치(200)에 두 개의 디바이스가 연결되고, 두 개의 디바이스에 GTS를 할당하는 경우에는 2ms의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허브 장치(200)에 7개의 디바이스가 연결되고, 7개의 디바이스에 GTS를 각각 할당하는 경우에는 20ms의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허브 장치(200)는 허브 장치(200)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개수 및 각 디바이스의 데이터 사이즈에 따른 대역폭 이용 효율 및 처리량 등을 바탕으로 각 디바이스가 요청한 GTS에 적합한 최적의 SO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들은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two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hub device 200 and GTSs are allocated to two devices, a delay time of 2 ms may occur. However, when seven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hub device 200 and GTSs are allocated to seven devices, a delay time of 20 ms may occur. Accordingly, the hub device 200 can determine the optimal SO suitable for the GTS requested by each device based on the bandwidth utilization efficiency and the through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devices connected to the hub device 200 and the data size of each device . However,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are not limited thereto.

S640 단계에서, 허브 장치(200)는 판단된 수퍼프레임 오더를 바탕으로 디바이스(100)에 GTS를 할당할 수 있다. In step S640, the hub device 200 can allocate a GTS to the device 100 based on the determined superframe order.

허브 장치(200)는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도착 시간이 GTS 슬롯 중 할당되지 않은 슬롯의 총 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디바이스(100)에 GTS를 할당할 수 있다.The hub device 200 may allocate the GTS to the device 100 if the data arrival time of the device 10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otal time of the unallocated slots of the GTS slots.

S650 단계에서, 허브 장치(200)는 GTS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디바이스(100)에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650, the hub device 200 may transmit a beacon signal including the GTS assignment information to the device 100. [

예를 들어, 현재의 수퍼프레임 오더는 SO=6이고, 제1 디바이스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사이즈는 90 bytes이고, 제2 디바이스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사이즈는 120 bytes일 수 있다. 이때, 제1 디바이스의 데이터 사이즈 정보 및 제2 디바이스의 데이터 사이즈 정보는 GTS 특성 필드의 서브 필드인 4비트의 데이터 크기 필드에 포함되어 GTS 요청 메시지로서 허브 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urrent superframe order is SO = 6, the data size to be transmitted by the first device is 90 bytes, and the data size to be transmitted by the second device is 120 bytes. At this time, the data size information of the first device and the data size information of the second device may be included in the 4-bit data size field, which is a subfield of the GTS property field,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200 as a GTS request message.

허브 장치(200)는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 각각의 데이터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각각의 데이터들이 허브 장치(200)에 도착하는 시간을 판단할 수 있고, 각 데이터들의 크기에 따른 최적의 수퍼프레임 오더를 판단할 수 있다. 허브 장치(200)는 제1 디바이스의 90 bytes에 대응되는 최적의 수퍼프레임 오더에 해당되는 GTS 슬롯 길이를 제1 디바이스에 할당하고, 제2 디바이스의 120 bytes에 대응되는 최적의 수퍼프레임 오더에 해당되는 GTS 슬롯 길이를 제2 디바이스에 할당할 수 있다. 허브 장치(200)는 각 디바이스에 할당된 GTS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각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각 디바이스는 허브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비콘 신호를 바탕으로 할당된 GTS 구간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Based on the data size information of each of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device, the hub device 200 can determine the time at which each data arrives at the hub device 200, and the optimal superframe Order can be judged. The hub device 200 allocates the GTS slot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ptimal superframe order corresponding to 90 bytes of the first device to the first device and corresponds to the optimal superframe order corresponding to 120 bytes of the second device Lt; RTI ID = 0.0 &gt; GTS &lt; / RTI &gt; The hub device 200 may transmit a beacon signal including GTS information allocated to each device to each device. Each device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the GTS section allocated based on the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hub device 200. [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인 디바이스의 GTS 할당 요청에 따른 데이터 통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 GTS allocation request of a device that is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710 단계에서, 디바이스(100)는 허브 장치(200)로부터 수퍼프레임의 시작을 통지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step S710, the device 100 may receive a beacon signal from the hub device 200 notifying the start of the superframe.

S720 단계에서, 디바이스(100)는 허브 장치(200)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GTS 요청 메시지를 허브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720, the device 100 may transmit a GTS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data siz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200 to the hub device 200. [

GTS 요청은 GTS 할당 요청 및 GTS 해지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GTS 요청이 GTS 해지 요청인 경우, 디바이스(100)는 데이터 크기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데이터 크기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GTS 특성 필드 중 4비트의 크기 정보 필드(520) 및 2비트의 크기 정보 필드(53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크기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데이터 크기 정보는 4비트의 크기 정보 필드(520)에 포함되어 GTS 요청을 허브 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 크기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데이터 크기 정보는 2비트의 크기 정보 필드(530)에 포함되어 GTS 요청을 허브 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다.The GTS request may include a GTS allocation request and a GTS termination request. If the GTS request is a GTS revocation request, the device 100 may not transmit data size information. The data siz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4-bit size information field 520 and the 2-bit size information field 530 of the GTS characteristic field shown in FIG. At this time, if the data siz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data siz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ize information field 520 of 4 bits, so that the GTS request can be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200. If the data siz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the data siz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ize information field 530 of 2 bits so that the GTS request can be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200.

S730 단계에서, 디바이스(100)는 허브 장치(200)로부터 GTS 할당 응답(ACK)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In step S730, the device 100 may receive a GTS assignment response (ACK) message from the hub device 200. [

S740 단계에서, 디바이스(100)는 허브 장치(200)로부터 GTS 할당 정보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740, the device 100 may receive the beacon signal including the GTS al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hub device 200. [

S750 단계에서, 디바이스(100)는 할당된 GTS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에서 GTS Direction 필드는 디바이스(100)에 할당된 GTS가 수신 용도로 사용되는 지 전송 용도로 사용되는 지 나타낸다. In step S750, the device 100 may determine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in the allocated GTS. In FIG. 5, the GTS Direction field indicates whether the GTS assigned to the device 100 is used for a reception purpose or a transmission purpose.

할당된 GTS 구간에서 허브 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송수신 모드를 제1 모드인 수신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할당된 타임 슬롯 동안 허브 장치(200)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송수신 모드를 제2 모드인 전송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When data is received from the hub device 200 in the allocated GTS interval, the device 100 may determin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to be the reception mode in the first mode. On the other hand, when data is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200 during the allocated time slot, the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s the transmission mode of the second mode.

S760 단계에서, 디바이스(100)는 판단된 데이터 송수신 모드에 따라 통신부의 RX/TX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In step S760, the device 100 can control the on / off of the RX / TX of th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제1 모드인 수신 모드에서, 디바이스(100)는 할당된 타임 슬롯 동안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RF(Radio Frequency) receive(RX)는 온(ON)하고, RF transmit(TX)는 오프(OFF)하도록 RF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모드인 전송 모드에서, 디바이스(100)는 할당된 타임 슬롯 동안 디바이스(100)의 통신부의 TX는 온(ON)하고, 통신부의 RX는 오프(OFF)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e first mode, the receive mode, the device 100 turns on the RF (Radio Frequency) receive (RX) included in the device 100 during the assigned time slot and turns off the RF transmit TX The RF communication unit can be controlled. In the first mode of transmission, the device 100 can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such that the TX of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device 100 is turned on and the RX of the communication unit is turned off during the assigned time slot.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할당된 GTS 구간 동안 통신부의 RX/TX를 계속해서 동시에 ON시키지 않으므로 디바이스(100)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us,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vice 100 can reduce the power consumed by the device 100 since the RX / TX of the communication unit is not continuously turned on simultaneously during the allocated GTS interval.

이 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온(on)" 및 "오프(off)"는 디바이스(100)에 내장된 RF 트랜스시버 또는 디바이스(100)에 부착된 센서의 RF 트랜스시버를 온/오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의 설명을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일 뿐, 디바이스(100)가 허브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때 디바이스(100)의 통신 전원을 제어하는 다른 칩에서 온/오프를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nd "off" can be used to turn on / off the RF transceiver of the sensor attached to the device 100, It can mean to do. 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for facilitating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the device 100 on / off from another chip that controls the communication power of the device 100 when the device 10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hub device 200 .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허브 장치 및 단말 장치의 데이터 통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showing a data communication method of a hub apparatus and a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810 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단말장치(100)가 허브 장치(200)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크기 정보를 GTS 특성 필드를 통해 허브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810, the terminal device 100 may transmit the data siz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200 by the terminal device 100 to the hub device 200 through the GTS property field.

S820 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데이터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GTS 요청 메시지를 허브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GTS 요청 메시지는 GTS 할당 요청 및 GTS 해지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820, the terminal device 100 may transmit a GTS request message including data size information to the hub device 200. [ The GTS request message may include a GTS allocation request and a GTS termination request.

GTS 요청은 수퍼프레임의 액티브 구간 중 CAP 구간 동안 허브 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다. GTS 요청에 포함된 정보(I)는 집합(set)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집합에 포함된 데이터들을 본 개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GTS request may be sent to the hub device 200 during the CAP interval of the active period of the superframe. The information (I) included in the GTS request can be represented by a set, but the data included in the set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present disclos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Di, Ai, Ti, Ri)}, 여기서 i는 1=< i <= N, N은 CAP 구간 동안 GTS 요청 총 숫자, Di는 GTS 할당 요청에 포함된 데이터 사이즈(bytes)이며 GTS 해지 요청에서는 데이터 사이즈가 고려되지 않음, Ai는 최대 허용 지연 시간(ms), Ti는 GTS 요청 도착 시간(ms), Ri는 단말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패킷으로 생성되는 생성 레이트 (packet generation rate)일 수 있다.I is the total number of GTS requests during the CAP interval, D i is the data size included in the GTS allocation request, i = {(D i , A i , T i , R i ) (bytes), and GTS termination request, not considering the data size, a i is a maximum allowed delay time (ms), T i are generated data is generated by the packet from the terminal apparatus GTS request arrival time (ms), R i Packet generation rate.

S830 단계에서, 허브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GTS 요청 메시지에 GTS 해제 요청이 있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장치(200)는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GTS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허브 장치(200)는 복수의 단말장치로부터 요청 순서대로 GTS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GTS 요청 중 적어도 하나의 GTS 해제 요청이 포함된 경우, 허브 장치(200)는 GTS 해제를 먼저 수행한 이후 나머지 GTS 할당 요청을 위한 처리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허브 장치(200)는 종래의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에 의해 GTS 할당/해지 요청을 처리하던 방법보다 디바이스(100)에서의 소비 전력 및 대역폭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step S830, the hub device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GTS release request in the GTS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 For example, the hub device 200 may receive a GTS request from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The hub device 200 can receive a GTS request in order of requests from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t least one GTS release request among a plurality of GTS request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is included, the hub device 200 performs GTS release first, Can be performed. Accordingly, the hub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bandwidth waste in the device 100 compared to a method of processing a GTS allocation / release request by a conventional FIFO (first in first out) method .

S840 단계에서, 허브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에 GTS 요청을 수신했다는 확인 메시지(ACK)을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840, the hub device 200 may transmit an acknowledgment message (ACK) to the terminal device 100 indicating that it has received the GTS request.

S850 단계에서, 허브 장치(200)는 GTS 할당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 크기 정보에 따라 수퍼프레임 오더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850, the hub device 200 may determine the superframe order according to the data siz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GTS allocation request message.

수퍼프레임 오더는 1부터 14까지의 값을 가지는 집합(set) SO={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중 하나일 수 있다. The superframe order is one of the set values SO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

허브 장치(200)는 퍼포먼스 메트릭(performance metric)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데이터 크기에 대응되는 최적의 수퍼프레임 오더를 판단할 수 있다. 퍼포먼스 메트릭 M= a1* Power efficiency + a2*Delay efficiency + a3* Bandwidth utilization + a4*Throughput efficiency일 수 있다. 여기서, a1, a2, a3, a4는 계수인자(co-efficient factors)로서 a1+ a2+ a3+a4 =1 일 수 있다. 상술한 퍼포먼스 메트릭은 다른 퍼포먼스 메트릭 및 계수로 확장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hub device 200 can determine the optimal superframe order corresponding to the data size of the device 100 using a performance metric. The performance metric M = a 1 * Power efficiency + a 2 * Delay efficiency + a 3 * Bandwidth utilization + a 4 * Throughput efficiency. Here, a 1 , a 2 , a 3 and a 4 may be a 1 + a 2 + a 3 + a 4 = 1 as co-efficient factors. The performance metric described above may be extended to other performance metrics and coefficient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른 퍼포먼스 메트릭은 예를 들어, 도 6의 630 단계에서 설명한 디바이스(100)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크기를 전송할 때 허브 장치(200)의 전력 소비 효율, 할당 지연 효율, 대역폭 이용 효율 및 처리량(throughput) 효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허브 장치(200)의 퍼포먼스 메트릭을 계산하기 위해 다양한 성능 산출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사이즈의 패킷 생성률을 판단하기 위해 IEEE 802.15.4 패킷을 캡쳐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The other performance metrics are, for example, the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the allocation delay efficiency, the bandwidth utilization efficiency, and the throughput of the hub device 200 when the device 100 described in the step 630 of FIG. 6 transmits the data size to be transmitted. Efficiency,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various performance calculation methods and the like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performance metric of the hub device 200. [ In addition, various methods of capturing IEEE 802.15.4 packet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packet generation rate of the data size.

허브 장치(200)는 복수의 단말 장치 중 각 단말장치로부터 GTS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할당되지 않은 GTS에 First In First out 순서에 의해 단말 장치에 GTS를 할당할 수 있다.When the hub device 200 receives a GTS request from each terminal device among a plurality of terminal devices, the hub device 200 may assign a GTS to the terminal device in a first in first out order to the unassigned GTS.

이때, 각 디바이스의 현재 SO(Superframe Order)에서의 슬롯 길이(slot length)는 SD(Superframe Duration) = aBaseSuperframeDuration*2SO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SO는 1부터 14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lot length in the current SO (Superframe Order) of each devic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SD (Superframe Duration) = aBaseSuperframeDuration * 2 SO formula. SO can have a value from 1 to 14.

허브 장치(200)는 각각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GTS 요청 정보를 바탕으로 각각의 디바이스가 허브 장치(200)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크기를 가진 데이터가 허브 장치(200)에 전송되는 데 필요한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가 전송되는 데 필요한 시간 t= 데이터 크기*2.28 + 0.64 (ms)일 수 있다. 허브 장치(200)는 필요한 시간(t)이 GTS의 최대 슬롯 개수(예: 7개) 중 이미 할당된 슬롯 개수를 마이너스한 아직 할당되지 않은 슬롯 개수에 slot length를 곱한 시간보다 큰 경우 GTS 요청을 수락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브 장치(200)는 t>(7-#of allocated slot)*slot length (ms) 이면 GTS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Based on the GTS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device, the hub device 200 determines the time required for each device to transmit data having a data size to be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200 to the hub device 200 can do. For example, the time required for data to be transmitted t = data size * 2.28 + 0.64 (ms). The hub device 200 transmits a GTS request when the required time t is longer than the number of slots not yet allocated, multiplied by the slot length, minus the number of slots already allocated among the maximum number of slots (e.g., 7) of the GTS You may not accept it. For example, the hub device 200 may reject a GTS request if t > (7 # of allocated slots) * slot length (ms).

반면, t =< (7-#of allocated slot)*slot length (ms) 이면, 허브 장치(200)는 아직 할당되지 않은 GTS 슬롯부터 순서대로 각각의 디바이스에 GTS를 할당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 = <(7- # of allocated slots) * slot length (ms), the hub device 200 can allocate a GTS to each device in order from the GTS slot not yet allocated.

상술한 방법을 통해서 허브 장치(200)는 각 단말 장치의 데이터 사이즈에서 최적의 효율을 가지는 SO 값을 판단하고, SO 값에 대응되는 GTS 슬롯 길이를 단말장치에 GTS로 할당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hub device 200 can determine the SO value having the optimum efficiency in the data size of each terminal device, and allocate the GTS slot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O value to the terminal device as the GTS.

S860 단계에서, 허브 장치(200)는 판단된 수퍼프레임 오더에 대응되는 GTS를 할당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단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860, the hub device 200 may transmit to the terminal device 100 a beacon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GTS allocated to the determined superframe order.

S870 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비콘 신호 수신한 후 할당된 GTS에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고, 데이터의 수신 및 전송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할당된 GTS 구간에서 허브장치(2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단말 장치(100)는 데이터 수신 모드인 제1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할당된 GTS 구간에서 허브 장치(2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단말 장치(100)는 데이터 전송 모드인 제2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870, the terminal device 100 can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the allocated GTS after receiving the beacon signal, and can determine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based on the data reception and transmission information. When data is received from the hub device 200 in the allocated GTS interval, the terminal device 100 can determine that the first mode is the data reception mode. Also, when data is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200 in the allocated GTS interval, the terminal device 100 can determine the second mode, which is the data transmission mode.

S880 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GTS 구간에서 데이터를 송신(전송)할 때 단말 장치(100)의 통신부의 RX(Receive)를 오프(off)하고, TX(transmit)을 온(ON)할 수 있다.In step S880, the terminal device 100 turns off RX (Receive) of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urns on TX (transmit) when transmitting (transmitting) data in the GTS section .

S890 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GTS 구간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때, 단말장치(100)의 통신부의 RX를 온(on)하고, TX를 오프(off)할 수 있다.In step S890, when receiving data in the GTS section, the terminal device 100 can turn on the RX of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urn off TX.

S895 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할당된 GTS를 더 이상 이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GTS 할당 해제 요청을 허브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895, if the terminal device 100 desires not to use the allocated GTS any more, the terminal device 100 may transmit a GTS deallocation request to the hub device 200. [

S897 단계에서, 허브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에 GTS 해제 확인(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897, the hub device 200 may transmit a GTS release acknowledgment (ACK) message to the terminal device 100. [

상술한 방법을 통해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들은 GTS 슬롯에서 네트워크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들은 대역폭 이용 효율이 증가되므로 네트워크에 더 많은 수의 단말 장치들을 연결할 수 있고 스루풋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들은 스타 토폴로지 네트워크 및 트리 토폴로지 네트워크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apparatuses constituting the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improve the network reliability and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GTS slot. In addition, the devi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increase the bandwidth utilization efficiency, thereby connecting a greater number of terminal devices to the network and increasing the throughput. In addition, the method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both star topology networks and tree topology networks.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허브 장치 및 단말 장치에서의 소비 전력이 감소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9 is a graph for explaining a reduction in power consumption in a hub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9는 7개의 (센서) 디바이스가 허브 장치(200)에 연결되고, 각 디바이스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크기는 95 bytes일 때의 비콘 프레임 오더에 따른 소비 전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사이즈가 95 bytes일 때 최적의 수퍼프레임 오더는 2(SO=2)로 판단되어 각 디바이스(1, 2, 3, 4, 5, 6, 7)의 GTS 슬롯을 SO=2일 때의 슬롯을 할당한 경우의 각 디바이스에서의 소비 전력을 도시된다.9 is a graph showing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a beacon frame order when seven (sensor)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hub device 200 and the data size to be transmitted by each device is 95 byt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data size is 95 bytes, the optimum superframe order is determined to be 2 (SO = 2) and the GTS of each device 1, 2, 3, 4, 5, 6, And the power consumption in each device when a slot is allocated when the slot is SO = 2.

도 9를 참조하면, 논비콘 모드를 이용하는 스마트 홈 장치(940)는 비콘 프레임 오더(BO, Beacon Frame Order)가 증가하는 것과 관계없이 모든 디바이스(1,2,3,4,5,6,7)에서 동일하게 높은 전력을(약 60 mW) 소비한다. IEEE 802.15.4 통신 표준에 따른 비콘 모드를 이용하는 스마트 홈 장치(930)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소비전력 상한 선(upper bound)(920) 및 소비전력 하한선(lower bound)(910)보다 더 높은 소비 전력을 소모한다. Referring to FIG. 9, the smart home device 940 using the non-beacon mode can transmit all the devices (1,2,3,4,5,6,7) regardless of increasing beacon frame order ) Consumes the same high power (about 60 mW). A smart home device 930 using a beacon mode in accordance with the IEEE 802.15.4 communication standard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ower consumption upper bound 920 and a power consumption lower bound 910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onsumes higher power consumption.

즉,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비콘 프레임 오더가 증가되더라도 95bytes 크기에 최적인 수퍼프레임 오더 2의 값에 대응되는 GTS 슬롯 길이를 할당함으로써 수퍼프레임의 액티브 구간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할당된 GTS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모드에 따라 통신부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종래의 비콘모드 장치(930)들보다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even if the beacon frame order is increased, the active period of the superframe can be increased by allocating the GTS slot length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the superframe order 2 optimal for the 95 bytes size. In addition, the terminal device 100 can reduce the power consumed by the beacon mode devices 930 than conventional beacon mode devices 930 by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section on / off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n the allocated GTS.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허브 장치 및 단말 장치를 구성하는 간단한 블록도이다. 도 10에서 도시된 블록도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다른 블록도가 추가될 수도 있다.10 is a simplified block diagram of a hub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lock diagram shown in FIG. 10 is only an example and other block diagrams may be added.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장치(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기능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여 허브 장치(200)와 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하는 다양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10, the terminal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unit 110, a processor 120, and a functional unit 130. [ The terminal device 100 may be various devices that communicate with the hub device 200 on a wireless network, including various sensors.

통신부(110)는, 허브 장치(200)로부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하고, 허브 장치(200)에 GTS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할당된 GTS 타임 슬롯에서 허브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통신 칩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IEEE 802.15.4 무선 통신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무선 통신칩으로 본 발명을 응용 변경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es the beacon message from the hub device 200 and transmits the GTS request message to the hub device 200 and transmits the GTS request message to the hub device 200 in the GTS time slot allocated by the processor 120. [ And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Bluetooth, and NFC.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EEE 802.15.4 wireless communication is used, but this is merely an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chips and implemented.

기능부(130)는, 단말장치(100)의 유형에 따라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IoT) 환경의 스마트 홈 무선 네트워크에서 단말 장치(100)가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터 리키지(water leakage)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100)는 물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 장치(100)가 램프를 제어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특정 환경에서 램프를 자동으로 켜고 끄거나 램프의 빛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단말 장치(100)가 다른 장치로 구현되면, 기능부(130)는 구현된 장치의 유형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현된 무선 네트워크 환경은 가정이 아닌, 병원, 공장, 사무실 등 다양한 유형의 IoT 기술 기반의 네트워크 환경일 수 있다.The functional unit 130 may perform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terminal device 100. [ For example, various functions that the terminal device 100 can perform in a smart home wireless network in the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Fo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100 including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water leakage may include a function of detecting water and informing a user of the water. As another example, if the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sensor that controls the lamp, it may include the ability to automatically turn the lamp on and off or adjust the amount of light in the lamp in certain circumstances. However, if the terminal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nother device, the function unit 130 may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mplemented device. In addition, the implemented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may be a network environment based on various types of IoT technologies such as hospitals, factories, offices, and the like.

프로세서(120)는 허브 장치(200)에 전송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데이터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GTS(Guaranteed Time Slot) 할당 요청을 허브 장치(200)에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하고, 허브 장치(200)로부터 디바이스(100)에 대한 GTS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GTS 할당 정보를 바탕으로 디바이스(100)의 송수신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송수신 모드에 기초하여 허브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transmits a GTS (Guaranteed Time Slot) allocation request including the data size information of the device to be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200 to the hub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ceiving mode of the device 100 based on the received GTS al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 receives data to / from the hub device 200 based on the determined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be controlled.

이때, GTS 할당 요청은, 데이터 크기가 제1 값 미만인 경우 4 비트(bits) 길이의 제1 데이터 크기 필드에 포함되고, 데이터 크기가 제1 값 이상인 경우 2비트(bits) 길이의 제2 데이터 크기 필드에 포함되며, 데이터 크기 필드는 허브 장치(200)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If the data size is less than the first value, the GTS allocation request is included in the first data size field having a length of 4 bits. If the data size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first value, Field, and the data size field may indicate size information of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200. [

프로세서(130)는, GTS가 할당되고 할당된 GTS 구간에서 허브 장치(2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송수신 모드는 제1 모드로 판단하고, GTS 중 할당된 타임 슬롯 동안 통신부(110)의 RX(Receive)는 온(on)하고, 통신부(110)의 TX(Transmit)는 오프(Off)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s the first mode when data is received from the hub device 200 in the GTS interval allocated and allocated to the GTS, The receiver 11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10 to turn on the Receive and turn off the TX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프로세서(130)는, GTS가 할당되고 할당된 GTS 구간에서 허브 장치(200)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송수신 모드는 제2 모드로 판단하고, GTS 중 할당된 타임 슬롯 동안 통신부(110)의 RX는 오프(off)하고, 통신부(110)의 TX는 온(on)하도록 상기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s the second mode when data is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200 in the GTS interval allocated and allocated to the GTS,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turned off and the TX unit of 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turned on.

허브 장치(200)는 통신부(210) 및 프로세서(2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ub device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0 and a processor 220.

통신부(21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GTS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단말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무선통신 칩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IEEE 802.15.4 무선 통신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무선 통신칩으로 본 발명을 응용 변경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can receive the GTS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and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device 100. [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Bluetooth, and NFC.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EEE 802.15.4 wireless communication is used, but this is merely an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chips and implemented.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디바이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디바이스(100)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GTS(Guaranteed Time Slot) 할당 요청을 수신하고,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수퍼프레임 오더(SO, Superframe Order)를 판단하고, 판단된 수퍼프레임 오더에 대응되는 GTS를 복수의 디바이스의 GTS로 할당할 수 있다.The processor 220 receives a GTS (Guaranteed Time Slot) allocation request including size information of data to be transmitted by the device 100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or at least one devi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superframe order (SO) for a plurality of devices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of one data, and allocate GTSs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uperframe order to GTSs of a plurality of devices.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GTS 할당 요청 중 적어도 하나에 GTS 할당 해제(deallocation) 요청이 포함된 경우, GTS 할당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GTS 할당 해제를 수행한 후, 나머지 GTS 할당 요청에 대한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When at least one of the GTS allocation request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devices includes a GTS deallocation request, the processor 220 performs GTS deallocation in response to the GTS deallocation request, Lt; RTI ID = 0.0 &gt; time slot &lt; / RTI &gt;

프로세서(220)는, GTS 중 할당된 타임 슬롯이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인 경우,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디바이스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허브 장치(200)로 도착하는데 걸리는 각각의 데이터 도착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time slot allocated among the GTSs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the processor 220 determines each data arrival time required for data to be transmitted by the plurality of devices to arrive at the hub 200 based on the data size information It can be judged.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도착 시간이 GTS 중 할당되지 않은 타임 슬롯의 총 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복수의 디바이스 중 데이터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GTS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220 may perform GTS allocation for a device that includes data size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devices if the data arrival tim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otal time of unallocated time slots of the GTS.

프로세서(220)는, 데이터의 크기 정보, GTS 할당 지연 시간, 상기 GTS 요청 도착 시간, 및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의 패킷 생성 비율을 이용하여 데이터 도착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The processor 220 may determine a data arrival time using data size information, a GTS allocation delay time, the GTS request arrival time, and a packet generation rate of data from the device.

프로세서(220)는, 허브 장치(200)의 전력 소비 효율, 할당 지연 효율, 대역폭 이용 효율, 및 처리량 효율을 이용하여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수퍼프레임 오더를 판단할 수 있다.The processor 220 can determine the superframe order for a plurality of devices using the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the allocation delay efficiency, the bandwidth utilization efficiency, and the throughput efficiency of the hub device 200. [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 할당된 GTS 할당 정보 및 수퍼프레임 오더에 대한 수퍼프레임을 포함하는 비콘을 통신부(210)를 통해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The processor 220 may transmit to the plurality of devices via the communication unit 210 a beacon including a superframe for super frame order and GTS al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또한, 단말 장치(100) 및 허브 장치(200)는 각각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는, 단말 장치(100) 및 허브 장치(200) 각각을 제어하는 다양한 기능이 구현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hub device 200 may each include a memory (not shown), and the memory may include a program having various functions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hub device 200 And data.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 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는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가 분산 방식으로 저장되고 실행되도록,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 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는 반송파 (carrier wave)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록될 수 있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디지털 컴퓨터에 수신되고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들에서, 상술한 장치들(apparatuses and devices)의 하나 이상의 유닛들(units)은, 회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 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disclosure may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ead-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uch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one embodiment may be recorded as a computer program transmitted over a computer-readable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 carrier wave, and received and implemented by a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digital computer executing the program. Also, in the embodiments, one or more units of the apparatuses and device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circuits, processors, microprocessors, and the like, which may execute computer programs stored on a computer- .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디바이스, 단말 장치
200: 허브 장치, 코디네이터
510: GTS Characteristics
520: 4 비트 데이터 크기 필드
530: 2 비트 데이터 크기 필드
100: device, terminal device
200: hub device, coordinator
510: GTS Characteristics
520: 4-bit data size field
530: 2-bit data size field

Claims (20)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허브 장치의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디바이스가 허브 장치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GTS(Guaranteed Time Slot)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수퍼프레임 오더(SO, Superframe Order)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수퍼프레임 오더에 대응되는 GTS를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의 GTS로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data communication method of a hub apparatus constitu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ceiving a Guaranteed Time Slot (GTS) allocation request including size information of data to be transmitted from each of a plurality of devices to a hub device;
Determining a superframe order (SO) for the plurality of devices based on size information of data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And allocating a GTS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uperframe order to a GT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GTS 할당 요청 중 적어도 하나에 GTS 할당 해제(deallocation) 요청이 포함된 경우, 상기 GTS 할당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GTS 할당 해제를 수행한 후, 나머지 GTS 할당 요청에 대한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ssigning comprises:
When a GTS deallocation request is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GTS allocation request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devices, performing GTS deal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GTS deallocation request, The method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GTS 중 할당된 타임 슬롯이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상기 허브 장치로 도착하는데 걸리는 각각의 데이터 도착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comprises:
Determining each data arrival time required for the data to be transmitted by the plurality of devices to arrive at the hub device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ata when the time slots allocated among the GTSs are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number Methods of inclus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도착 시간이 상기 GTS 중 할당되지 않은 타임 슬롯의 총 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상기 데이터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GTS 할당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ssigning comprises:
And performing GTS allocation for a device including the data size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devices if the data arrival tim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otal time of unallocated time slots of the G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착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의 크기 정보, GTS 할당 지연 시간, 상기 GTS 요청 도착 시간, 및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패킷 생성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도착 시간을 판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arrival time comprises:
And determining the data arrival time using the data size information, the GTS allocation delay time, the GTS request arrival time, and the packet generation rate of the data from th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허브 장치의 전력 소비 효율, 할당 지연 효율, 대역폭 이용 효율, 및 처리량 효율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수퍼프레임 오더를 판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comprises:
Wherein the superframe order for the plurality of devices is determined using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allocation delay efficiency, bandwidth utilization efficiency, and throughput efficiency of the hub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TS 할당 요청은, 상기 데이터 크기가 제1 값 미만인 경우 4 비트(bits) 길이의 제1 데이터 크기 필드에 포함되고, 상기 데이터 크기가 제1 값 이상인 경우 2비트(bits) 길이의 제2 데이터 크기 필드에 포함되고, 상기 데이터 크기 필드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허브 장치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나타내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TS allocation request is included in a first data size field having a length of 4 bits when the data size is less than a first value and is included in a second data size field having a length of 2 bits when the data size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first value, Size field, and the data size field indicates size information of data that the device desires to transmit to the hub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 할당된 GTS 할당 정보 및 수퍼프레임 오더에 대한 수퍼프레임을 포함하는 비콘을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ransmitting to the plurality of devices a beacon including a superframe for super frame order and GTS allocation information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허브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디바이스가 상기 허브 장치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GTS(Guaranteed Time Slot) 할당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수퍼프레임 오더(SO, Superframe Order)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수퍼프레임 오더에 대응되는 GTS를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의 GTS로 할당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허브 장치.
A hub apparatus constitu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a plurality of devices;
Receiving,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 GTS (Guaranteed Time Slot) allocation request including size information of a data that the device intends to transmit to the hub device; and, based on size information of data receiv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And a processor for determining a superframe order (SO) for a plurality of devices and allocating a GTS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uperframe order to a GTS of the plurality of devic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GTS 할당 요청 중 적어도 하나에 GTS 할당 해제(deallocation) 요청이 포함된 경우, 상기 GTS 할당 해제 요청에 대응하여 GTS 할당 해제를 수행한 후, 나머지 GTS 할당 요청에 대한 타임 슬롯을 할당하는 허브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comprising:
When a GTS deallocation request is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GTS allocation request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devices, performing GTS deal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GTS deallocation request,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GTS 할당 요청은, 상기 데이터 크기가 제1 값 미만인 경우 4 비트(bits) 길이의 제1 데이터 크기 필드에 포함되고, 상기 데이터 크기가 제1 값 이상인 경우 2비트(bits) 길이의 제2 데이터 크기 필드에 포함되고, 상기 데이터 크기 필드는 상기 디바이스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나타내는 허브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TS allocation request is included in a first data size field having a length of 4 bits when the data size is less than a first value and is included in a second data size field having a length of 2 bits when the data size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first value, Size field, and the data size field indicates size information of data to be transmitted by the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GTS 중 할당된 타임 슬롯이 기 설정된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상기 허브 장치로 도착하는데 걸리는 각각의 데이터 도착 시간을 판단하는 허브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determines a data arrival time required for the data to be transmitted by the plurality of devices to arrive at the hub device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ata when the time slots allocated among the GTSs are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numb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도착 시간이 상기 GTS 중 할당되지 않은 타임 슬롯의 총 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중 상기 데이터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GTS 할당을 수행하는 허브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performs GTS allocation for a device including the data size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devices when the data arrival time is less than or equal to a total time of unallocated time slots among the GTS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의 크기 정보, GTS 할당 지연 시간, 상기 GTS 요청 도착 시간, 및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패킷 생성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도착 시간을 판단하는 허브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determines the data arrival time using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ata, the GTS allocation delay time, the GTS request arrival time, and the packet generation rate of the data from the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허브 장치의 전력 소비 효율, 할당 지연 효율, 대역폭 이용 효율, 및 처리량 효율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수퍼프레임 오더를 판단하는 허브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determines a superframe order for the plurality of devices by using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allocation delay efficiency, bandwidth utilization efficiency, and throughput efficiency of the hub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 할당된 GTS 할당 정보 및 수퍼프레임 오더에 대한 수퍼프레임을 포함하는 비콘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각각에 전송하는 허브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transmits a beacon including a superframe for a superframe order to the plurality of devices via a communication unit, the GTS allocation information being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허브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허브 장치에 전송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데이터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GTS(Guaranteed Time Slot) 할당 요청을 상기 허브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허브 장치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GTS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GTS 할당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디바이스의 송수신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송수신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허브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A device for configuring a wireless network system,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hub device;
(GTS) allocation request including data size information of a device to be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to the hub device, receives GTS allocation information for the device from the hub device,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the hub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GTS 할당 요청은, 상기 데이터 크기가 제1 값 미만인 경우 4 비트(bits) 길이의 제1 데이터 크기 필드에 포함되고, 상기 데이터 크기가 제1 값 이상인 경우 2비트(bits) 길이의 제2 데이터 크기 필드에 포함되고, 상기 데이터 크기 필드는 상기 허브 장치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GTS allocation request is included in a first data size field having a length of 4 bits when the data size is less than a first value and is included in a second data size field having a length of 2 bits when the data size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first value, Size field, and the data size field indicates size information of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hub devic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GTS가 할당되고 상기 허브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송수신 모드는 제1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GTS 중 할당된 타임 슬롯 동안 상기 통신부의 RX(Receive)는 온(on)하고, 상기 통신부의 TX(Transmit)는 오프(Off)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processor comprising:
Reception mode is determined to be the first mode and RX (Receive) of the communication unit is turned on during the allocated time slot of the GTS when the GTS is allocated and data is received from the hub device,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urn off TX (Transmit) of the communication uni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GTS가 할당되고 상기 허브 장치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송수신 모드는 제2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GTS 중 할당된 타임 슬롯 동안 상기 통신부의 RX는 오프(off)하고, 상기 통신부의 TX는 온(on)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processor compris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is determined to be the second mode, the RX of the communication unit is turned off during the allocated time slot of the GTS, and the TX of the communication unit is turned off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urn on the communication unit.
KR1020160141583A 2016-05-10 2016-10-28 Device for Wireless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22656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39,566 US10470178B2 (en) 2016-05-10 2017-02-22 Devices for a wireless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34089P 2016-05-10 2016-05-10
US62/334,089 2016-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777A true KR20170126777A (en) 2017-11-20
KR102265692B1 KR102265692B1 (en) 2021-06-17

Family

ID=60809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583A KR102265692B1 (en) 2016-05-10 2016-10-28 Device for Wireless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69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5865A (en) * 2008-11-18 2010-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qos support and multiple link connections in low-rate wireless network
KR20120019951A (en) * 2010-08-27 2012-03-07 주식회사 케이티 Gts allocation and management in low rat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KR20120139945A (en) * 2011-06-20 2012-12-28 네스트필드(주)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time slots to nodes without contention in wireless network
WO2013012136A1 (en) * 2011-07-19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having continuity in a wireless personal area 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5865A (en) * 2008-11-18 2010-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qos support and multiple link connections in low-rate wireless network
KR20120019951A (en) * 2010-08-27 2012-03-07 주식회사 케이티 Gts allocation and management in low rat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KR20120139945A (en) * 2011-06-20 2012-12-28 네스트필드(주)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time slots to nodes without contention in wireless network
WO2013012136A1 (en) * 2011-07-19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having continuity in a wireless personal area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692B1 (en)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2702B2 (en) Radio st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107649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torized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RU2442284C2 (en) Method and device for circuit cach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5710617B2 (en) VBR interference mitigation in millimeter wave networks
US201500299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radio channel
AU2017254385B2 (en) Techniques for allocating short addresses to network devices
US98440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scheduling of transmission resources
US20050265372A1 (en) Method for communication in coordinator-based wireless network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coordinator-based wireless networks connected through backbone network
US20060072491A1 (en) Robust communication system
Al-Nidawi et al. Impact of mobility on the IoT MAC infrastructure: IEEE 802.15. 4e TSCH and LLDN platform
KR20220068069A (en) Gateway for allocating uplink frequency bands, and backscattering iot device and method
KR201400453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US10470178B2 (en) Devices for a wireless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s thereof
KR102265692B1 (en) Device for Wireless Network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24679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resource scheduling in wireless network
Asuti et al. Modeling and analysis of priority and range‐based‐deterministic and synchronous multichannel extension‐guaranteed time slot allocation in IEEE 802.15. 4e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CA3196319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Tiwary et al. A study on ultra low power MAC protocols over Wireless Body Area Network
KR100781533B1 (en) Apparatus for requesting channel time alloc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during allocated channel time in coordinator-based wireless environment
JP2009049893A (en) 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and radio packet communication system
KR1012686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allel beaconing operation in wireless distributed beaconing network
WO2008128816A1 (en) Beaconing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Mahmud Performance enhancements for single hop and multi-hop meshed high data rat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JP2005295563A (en) Apparatus for requesting channel time alloc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during allocated channel time in coordinator-based wireless network
KR200501007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channel time allocation in coordinator-based wireless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