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721A - 스마트-워치의 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 Google Patents

스마트-워치의 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721A
KR20170126721A KR1020160057132A KR20160057132A KR20170126721A KR 20170126721 A KR20170126721 A KR 20170126721A KR 1020160057132 A KR1020160057132 A KR 1020160057132A KR 20160057132 A KR20160057132 A KR 20160057132A KR 20170126721 A KR20170126721 A KR 20170126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ontrol
smart watch
bulb
w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람
김동근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7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6721A/ko
Priority to PCT/KR2017/002868 priority patent/WO2017195976A2/ko
Priority to US16/067,266 priority patent/US10334708B2/en
Publication of KR20170126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7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8Adjustable guide marks or pointers for indicating determined points of tim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8Adjustable guide marks or pointers for indicating determined points of time
    • G04B19/283Adjustable guide marks or pointers for indicating determined points of time on rotatable rings, i.e. bezel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8Touch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time-pie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2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for tracking the rotation of a spherical or circular member, e.g. optical rotary encoders used in mice or trackballs using a tracking ball or in mouse scroll wheels
    • H05B33/084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G08C2201/51Remote controlling of devices based on replies, status thereo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02B20/4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스마트 조명 방법 및 장치에 대해 기술한다.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은 채도, 밝기, 색-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명 속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이에 작동하는 LED 램프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구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스마트 워치를 이용해 LED 램프의 현재 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워치의 인터페이스 패널을 통해 제어 대상 속성을 선택하는 단계; 스마트 워치의 둘레에 마련되는 테두리형(원형 베젤) 회전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상기 조명 속성의 조정을 위한 제어 속성 값을 얻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 속성 값을 상기 스마트 워치로부터 스마트 전구로 전송하고 이를 이용해 상기 스마트 전구의 조명 속성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워치의 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Smart Emotional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a wheel interface of the smart watch}
본 발명은 감성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스마트 워치의 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가 등장하여 기존의 스마트폰과 더불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 등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출시되었다. 그에 따라 사용자들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리모컨을 이용하고,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더라도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조명을 제어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기존 스마트폰에서는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하여 색상 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을 직접 터치하는 방식을 이용했다. 그리고 한 번에 색조 채도 등 여러 가지를 제어할 수 없고 색조, 밝기, 채도 개별적으로 조작을 해야 했다.
KR 10-2015-0134594 A KR 10-2015-0045257 A
신성휴, 김환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LED조명 무선제어",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 조은자, 인치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감성조명 제어 시스템" 2014,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본 발명은 원형 베젤을 가지는 스마트 워치를 이용한 조명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로터리 형태의 인코더인 원형 베젤을 휠 인터페이스로 적용함으로써 보다 세밀하고 간편하게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 은
채도, 밝기, 색-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명 속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이에 작동하는 LED 램프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구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스마트 워치를 이용해 LED 램프의 현재 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워치의 인터페이스 패널을 통해 제어 대상 속성을 선택하는 단계;
스마트 워치의 둘레에 마련되는 테두리형(원형 베젤) 회전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상기 조명 속성의 조정을 위한 제어 속성 값을 얻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 속성 값을 상기 스마트 워치로부터 스마트 전구로 전송하고 이를 이용해 상기 스마트 전국의 조명 속성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전구의 사이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브릿지를 마련하여, 상기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 전구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원형 베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어 대상 속성을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브릿지는 상기 스마트 워치가 상기 스마트전구에 연결되기 위한 인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브릿지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워치의 원형 베젤을 이용하여 휠 인터페이스로 감성 조명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조명제어 시스템들은 직접 스위치로 제어하거나 스마트 폰으로 제어하였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세세한 조명의 제어나 복잡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였기에 조작의 편의성부분에서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지 않았다. 스마트 워치의 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세밀하게 조명을 제어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명제어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감성 정보와 시간, 위치 정보를 프로파일링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스마트 조명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2는 스마트 워치에 의한 스마트 전구의 제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스마트 워치의 외형 및 각 부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5는 도4의 각 단계에 관련하여 실제 스마트 워치의 작동을 부연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에 따른 조명등의 색조(hue) 변화를 보인다.
도7은 본 발명의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에 따른 조명등의 색온도의 변화를 보인다.
도8은 본 발명의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에 따른 조명등의 밝기(brightness)의 채도의 변화를 보이낟.
도9는 본 발명의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에 따른 조명등의 색온도의 변화를 보인다.
도10a 내지 도10d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베젤을 가지는 스마트 워치처의 작동을 보여 주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에서는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 전구를 이용한다, 스마트 워치는 휠 인터페이스(로터리형 인코더)의 구현이 가능한 원형 또는 환형 베젤을 가지는 제품, 예를 들어 삼성 기어(Samsung Gear) S2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 시스템은 3G 없이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모델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다. 블루투스 버전은 4.1, 무선 랜은 802.11 b/g/n 2.4GHz를 이용하여 연결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 한 실시 예로서 적용한 스마트 워치는 원형 베젤을 가지는 기어 S2의 운영체제는 타이젠(Tizen)이다. 웹 어플리케이션 플랫폼(Web Application Platform)을 기반으로 개발하고 개발 툴을 타이젠(Tizen)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를 이용한다. SDK 버전은 2.4.0 Rev4를 사용하여 개발한다.
스마트 전구는 LED 램프(전구)와 LED 램프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통신부를 내장하는 것으로, LED 램프의 기본 스펙은 E26베이스, A19사이즈, 15,000시간 수명이다. 그 밝기는 6500K에서 600lm, 4000K에서 600lm, 3000K에서 510lm, 2000K에서 360lm이다. 2000K ~ 6500K 색 온도와 1600만 가지 색상을 표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 전구를 연결시켜주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 예를 들여 브리지가 사용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은 2400 ~ 2483.5MHz를 범위이며, 하나의 브리지로 다수의 램프를 제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스마트 조명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 시스템 구성도이며, 도2는 스마트 워치에 의한 스마트 전구(30)의 제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조명 제어 시스템은 도시된 비와 같이, 웨어러블 스마트 워치(10)와 하나 또는 다수의 스마트 전구(30) 그리고 이들 사이의 브리지(2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스마트 전구(30)에 대한 액세스 보안 유지를 위한 별도의 인증 서버(40)에 상기 브리지(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증 서버(40)는 브리지(20)와의 통신을 통해 스마트 전구(30)의 조명 속성 제어를 위한 보안 ID와 IP등이 포함되는 인증 정보를 얻어내게 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20)에는 스마트연결을 허용하는 연결버튼(link button, 21)이 마련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워치(10)의 패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IP와 ID를 요구하면 상기 인증서버(40)에서 획득된 ID와 IP를 상기 스마트 워치(10)로 제공된다. 그러면, 상기 스마트 워치(10)는 조정을 원하는 전원, 채도, 밝기, 색 온도 등의 조명의 속성 등을 선택하여 브릿지(20)를 통해 하달하면 브리지(20)는 이를 스마트 전구로 전송한다. 명령을 하달 받은 스마트 전구(30)는 그 명령을 수행하고 그 결과(완료/오류)를 브리지(20)를 통해 스마트 워치(10)로 전송한다. 상기 스마트 워치(10)는 상기 보안 ID와 IP를 이용해 스마트 전구(30)에 접근하며, 이를 통해 스마트 전구(30)의 조명 상태(속성)를 원하는 속성으로 제어할 수 있다.
3.3 웨어러블 기기의 시스템
사각형 스크린을 가지고 있는 스마트 워치도 있지만, 본 발명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이 가능한 원형 베젤(11)을 가진 스마트 워치(10)를 기준으로 설계하였다. 스마트 워치(10)의 터치 패널(12)의 배경으로는 색조가 조절되는 값에 따라 색상 스펙트럼을 원형으로 배치할 수 있다. 터치 패널(12)의 안쪽에 스마트 램프의 밝기(Brightness), 채도(Saturation), 색 온도(Color temperature) 등의 선택 메뉴가 위치할 수 있다.
스마트전구와 연결 후에 조명 제어를 위해 원형 베젤(11)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예를 들어, 스마트 전구(30)의 색조가 변화될 수 있으며, 이때에 그 스텝 수를 예를 들어 24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색조 범위는 0~65535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워치(10)의 터치 패널(화면) 내에는 색 온도, 밝기, 채도 등의 메뉴 항목(item)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들 중 한 가지를 선택하면 원형 베젤(11)을 왼쪽으로 회전시켰을 때 변경되는 속성이 변경되게 할 수 있다. 선택 전에는 기본적으로 특정한 항목, 예를 들어 채도(Saturation)가 변경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스마트 전구(10)와 연결 후에 다른 속성의 선택이 없었다면 바로 원형 베젤(11)을 왼쪽으로 회전시켰을 때 스마트 전구(10)의 채도가 변화된다. 채도, 밝기, 색온도 세 가지 속성 모두 원형 베젤(11)을 회전시킬 때 각각의 속성 값에 대해 소정값 예를 들어 1씩 증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채도 값은 0~254, 색 온도 값은 2000~6500K, 밝기 값은 1~254 범위 안에서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5에는 도4의 각 단계에 관련하여 실제 스마트 워치(10)의 작동을 부연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전구의 연결 방법 및 그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5를 통해서 스마트 워치(10)에 의한 조작(Operation)을 먼저 살펴본다.
스마트 폰(10)을 이용해서 IP와 브릿지 보안 ID 를 요구하여 이를 획득하고(가), 이에 이어 조면 속성 갑 조절 및 제어(20)한다(나). 이러한 스마트 전구의 제어에 이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감성을 선택되면(다), 별도로 추출한 사용자의 ID, 별명, 시간 정보를 추출하여(라)하고 최종적으로 정보 프로파일링을 통해서 데이터 베이스화한다(마). 이러한 과정에서 브릿지에 대한 연결 허용을 위한 연결버튼이 마련될 수 있고, 이 버튼이 눌렸을 때에 스마트 워치가 이를 검색하여 연결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일례로는 브루투스 연결방식을 예를 들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10)는 브리지(30)를 통해 인증 서버(40)에 접근하여 스마트 전구(30) 연결된 IP를 추출한다(S41). 이때에 도1의 설명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듯이, 스마트 워치(10)와 스마트 전구(30)가 직접적으로 통신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스마트 워치(10)와 스마트 전구(30) 사이의 브리지(20)를 통신 중계기로서 이용한다. 스마트 워치(10)와 브리지(20)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을 한다.
먼저, 스마트 램프(30)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브리지(20)의 ID를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인증 서버(20)가 연결 된 IP주소를 이용하여 스마트 램프(30)와 통신 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ID를 추출한다(S42).
이와 같이 IP와 ID를 확보한 후, 스마트 워치(10)에서 선택된 제어 속성 및 속정 조정 값을 브리지(20)에 전송(명령, S44)함으로써 밝기, 채도, 색 온도 등 조명의 속성 등을 제어(S45)할 수 있고, 또한 스마트 전구(30)의 현재 상태를 읽어낼 수 도 있다. 한편, 별도로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의 감성 정보 프로파일링(S48)을 위한 과정이 별도로 수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스마트 워치(10)의 터치 패널을 통해 개인의 감성 이나 상태를 선택(S46)하도록 하면, 별도로 추출한 사용자의 ID, 별명, 시간 정보를 추출(S47)하여 개인 감성정보 프로파일(S48)을 저장한다. 상기 감정 정보 프로파일에(S38)에는 위의 S43 단계에서 선택된 조명의 속성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ID, 별명, 시간 정보 등이 같이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하, 스마트 전구의 제어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전구(30)를 제어하기 위해서 추출된 IP와 ID를 이용해서 상기 브리지(20)를 통해서 인증서버(4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에, HTTP프로토콜의 PUT 메쏘드(method)를 이용하여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식으로 전구의 전원, 색조, 밝기 등 에 관해 명령을 전달한다. 그리고 GET 메쏘드를 이용하여 전구의 현재 상태에 관해 알 수 있다.
아래 <코드1> 스마트 전구(30)의 상태 체크를 위한 GET 메쏘드(method or function)의 소스 코드 예제이다.
<코드1>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 전구가 연결되었을 때에, 예를 들어 원형 베젤(11)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면 조명의 색조가 변화되고 왼쪽으로 회전시키면 채도가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워치(10)의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리스트에서 속성을 변경하면 밝기, 색 온도 또한 휠 인터페이스로 제어할 수 있다.
아래의 <코드2>는 스마트 워치(10)에서 원형 베젤 회전에 따른 속성 값 변화를 검출하는 소스 코드로서, 시계 방향 회전 시에 색조변경, 반시계 방향일 때 선택된 값에 따라 각 속성 값 변화를 예시하며, 여기에서 위의 소스 코드에서 함수 CT_CHANGE()는 열온도 변경 함수이며, BRI_CHANGE()는 휘도 변경 함수이며, 그리고 SAT_CHANGE()는 채도 변경 함수이다.
Figure pat00002
위와 같이 스마트 전구의 속성의 변경에 사용되는 스마트 워치의 터치 패널에는 조명의 속성을 변화 시킬 때 변화되기 전에 사용자가 각각의 속성에 대해 조명이 대략 어느 정도의 값인지 예측할 수 있도록 원형 터치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에 상태 바(Status bar)를 2개를 만들어 배치할 수 있다. 안쪽의 상태 바는 채도, 밝기, 색온도를 변경 시킬 때 휠을 회전 시킬 때마다 값이 변화되고, 그리고 외측에 있는 상태 바(status bar)는 해당되는 색조의 색이 보여 진다.
<코드3>
Figure pat00003
위의 코드3은 색온도 변경 함수를 소스 코드를 예시한다.
한편, 상기 개인 감성 정보 프로파일에는 사용자의 ID, 시간 정보, 위치정보, 조명의 속성, 감성 정보가 들어간다. 사용자의 ID는 처음 기기의 고유 ID로 생성이 되고 사용자가 별명을 설정하여 추가할 수 있다. 조명의 속성은 사용자가 조명을 제어 할 때 색조, 채도, 색 온도, 밝기 값을 세션 스토리지(Session Storage)에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감성 정보 프로파일을 저장하기 원할 때 감성을 선택하면 가장 최근의 조명 속성 값을 다시 세션(Session Storage)에서 얻는다. 날짜(Date) 객체를 이용하여 날짜, 시간 정보를 추출하고 SAP(Samsung Accessory Protocol)을 이용하여 스마트 워치와 블루투스로 연결된 스마트 폰에서 GPS를 이용하여 위도, 경도를 추출하고 얻은 위도와 경도를 이용하여 주소를 얻는다. 그리고 SAP를 이용하여 위도, 경도, 주소를 다시 스마트 워치로 전송하여 스마트 워치에 서 색인된 데이터베이스(Indexed Database)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관리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색인된 데이터베이스(Indexed Database)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저장하기 원하는 정보들을 JSON 형식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키패스(KeyPath)와 오브젝트스토어(objectStore)를 생성하고 JSON형식으로 가공된 데이터(data)를 추가한다. 그리고 개인정보 프로파일의 정보가 필요할 땐 지정한 키패스(KeyPath)의 값을 이용하여 해당되는 인덱스(Index)의 다른 키(Key)들의 값을 얻을 수 있다.
기존에 스마트폰을 이용한 조명제어의 경우 색조를 선택한 후 다른 속성도 다시 제어하기를 원한다면 채도, 밝기 등 다른 속성들은 다른 속성 제어 창에서 다시 선택해야 한다. 이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원하는 조명을 한 번에 만들기 쉽지 않고 원하지 않는 조명이 나타날 경우 조명을 선택하기 위해 색조, 채도 등 여러 속성을 다시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운 인터페이스 과정이 만들어진다. 그러나 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스마트 워치로 조명을 제어할 경우 색조를 결정하면서 채도도 동시에 제어할 수 있고 원하지 않는 조명일 경우 휠 인터페이스의 방향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원하는 조명을 쉽고 한 번에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색조제어에서 조명에게 값 전달 전에 현재 선택된 조명의 색이 어떤 색인지 상태 바의 색을 통해서 알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명을 제어하고 원하는 색이 아니라서 다시 조절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색조가 아닌 채도, 밝기, 색 온도를 조절할 때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조명이 나타나게 될지 예상 할 수 있도록 상태 바에 퍼센트가 보여 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단점은 보통 일반적인 휠 인터페이스에서는 오른쪽 왼쪽 회전이 다른 속성 값의 제어가 아니고 같은 속성 값에서의 증감을 제어한다.
발명에서 제안하는 휠 인터페이스의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인터페이스의 오른쪽 회전과 왼쪽 회전이 각 다른 속성 값을 제어하기 때문에 속성 값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휠 인터페이스를 반대쪽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속성 값을 100%까지 증가시킨 후 0%로 돌아가 원하는 값까지 다시 증가 시켜야 한다. 이런 제어 방법이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사용법이 혼란을 줄 수도 있다. 조명의 속성들을 더욱 세밀하게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휠을 회전할 때 한번 회전에 각각의 속성 값을 1씩 증가하도록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속성 값의 전체 값이 100보다 크기 때문에 속성 값이 증가하여도 상태 바에 표시되는 퍼센트 값이 증가 하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따라서 사용자가 휠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때 속성 값은 변화하고 있는데 상태 바의 퍼센트 값이 움직이지 않아서 혼란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값 조절 과정에서 사용자가 속성 값들을 제어 할 때 사용자가 볼 수 있는 값이 속성의 값이 아니고 상태 바만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구체적인 값을 알 수 없고 시각적으로 값을 추측해야 하는 점이 불편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휠 인터페이스를 작동할 때마다 상태 바의 색 또는 퍼센트 값을 조절하고 다시 보여주는 백 그라운드 작업이 있기 때문에 한 번에 휠 인터페이스를 여러 단계 작동시키면 스마트 워치가 작업을 하지 못하고 작동 중지가 될 수도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에 따른 조명등의 색조(hue) 변화를 보이고, 도7은 색온도의 변화를, 도8은 밝기(brightness)의 채도, 그리고 도9는 색온도의 변화를 보인다.
그리고, 도10a 내지 도10d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 베젤을 가지는 스마트 우처의 작동을 보여 주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제이다.
도10a는 스마트 제어를 위한 초기 화면으로서, 스마트 전구와과의 연결을 위한 그림 버튼 브릿지의 버튼을 누르고 그림을 클릭하면 다음단계로 넘어감을 예시한다. 도10b는 연결 수락을 위한 브릿지의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화면의 버튼을 클릭했을 경우, 인터페이스 화면에 알림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10c는 스마트 전구와의 연결이 성공했을 때의 화면으로서 스마트 전구의 온-오프 버튼을 예시한다. 도10d는 속성 제어를 위한 메뉴 화면으로서 손가락의 조작에 의해 제어 대상 아이템, 화면 중안의 아이템으로서 도10d에서는 채도(Satration)이 제어 대상이다. 이러한 화면에서 손가락으로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방향으로 밀어(쓸어) 올리거나 내리면 선택 아이템이 바뀌도록 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5.2 결론
본 발명에에서는 원형 베젤을 이용한 휠 인터페이스로 조명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스마트 워치의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한계를 보완하고 사용자의 사용 성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원형 베젤을 회전하는 단순한 동작하나로 조명의 색조, 채도, 밝기,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그리고 사용자의 감성정보를 프로파일링 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성, 위치, 시간, 조명의 속성 값을 저장하여 사용자의 감성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스마트 워치는 항상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하고 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에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서 따로 소지하거나 준비해야 할 것이 없고, 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명을 제어하는데 많은 동작이 필요하지 않고 간단한 회전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조명을 디테일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시스템이다. 그리고 조명제어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사용자의 시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감성을 조합하여 사용자의 감성 정보를 프로파일링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마무리 되었지만 차후에 프로파일링 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조명 속성 값을 추천 해주거나 사용자의 감성 상태가 변경되도록 유도 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채도, 밝기, 색-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명 속성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이에 작동하는 LED 램프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구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스마트 워치를 이용해 LED 램프의 현재 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워치의 인터페이스 패널을 통해 제어 대상 속성을 선택하는 단계;
    스마트 워치의 둘레에 마련되는 테두리형(원형 베젤) 회전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상기 조명 속성의 조정을 위한 제어 속성 값을 얻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 속성 값을 상기 스마트 워치로부터 스마트 전구로 전송하고 이를 이용해 상기 스마트 전구의 조명 속성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전구의 사이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브릿지를 마련하여, 상기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 전구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베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어 대상 속성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스마트 워치가 상기 스마트전구에 연결되기 위한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명 제어 방법.
  6. 제1항 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것으로,
    LED 램프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구;
    상기 스마트 전구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스마트 전구의 속성을 제어하는 것으로 테두리형(원형 베젤) 회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스마트 워치를 구비하는 스마트 조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 전극의 통신을 중계하는 브릿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명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베젤의 방향에 따라 제어 대상 속성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명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스마트 워치가 상기 스마트전구에 연결되기 위한 인증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조명 시스템.
KR1020160057132A 2016-05-10 2016-05-10 스마트-워치의 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KR20170126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132A KR20170126721A (ko) 2016-05-10 2016-05-10 스마트-워치의 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PCT/KR2017/002868 WO2017195976A2 (ko) 2016-05-10 2017-03-17 스마트-워치의 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US16/067,266 US10334708B2 (en) 2016-05-10 2017-03-17 Smart mood lighting control using wheel interface of smartwa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132A KR20170126721A (ko) 2016-05-10 2016-05-10 스마트-워치의 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488A Division KR102093883B1 (ko) 2018-01-08 2018-01-08 스마트-워치의 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721A true KR20170126721A (ko) 2017-11-20

Family

ID=6026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132A KR20170126721A (ko) 2016-05-10 2016-05-10 스마트-워치의 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34708B2 (ko)
KR (1) KR20170126721A (ko)
WO (1) WO201719597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0131B2 (en) * 2017-10-25 2023-04-04 Nico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llumination power, management, and control
US10937300B2 (en) * 2018-10-29 2021-03-02 OhnKat Inc. Radio frequency transmission device that triggers electromechanical actions wirelessly using smart device electrical behavior
DE102019123857A1 (de) * 2019-09-05 2021-03-11 Audi Ag Armbanduhrvorrichtung
US11327673B1 (en) 2020-10-23 2022-05-10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Techniques for persisting data across instances of a cloud shell
US11374792B2 (en) * 2020-08-14 2022-06-2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Techniques for utilizing multiple network interfaces for a cloud shell
US11368306B2 (en) 2020-08-14 2022-06-2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Techniques for using signed nonces to secure cloud shells
US20230393635A1 (en) * 2022-06-06 2023-12-07 Apple Inc. Modular light assembly for a wearable device
CN115209594B (zh) * 2022-09-09 2022-12-16 珠海市杰理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手表的控制方法、装置、智能手表、介质和程序产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2908A (ko) 2013-04-11 201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조명 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KR102169952B1 (ko) 2013-10-18 202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0737B1 (ko) 2014-05-22 2015-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시스템의 제어방법
US9398670B2 (en) * 2014-07-03 2016-07-19 Michael Kidakarn Remotely controlled holiday lighting and sound system
JP6432767B2 (ja) 2014-09-22 2018-12-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KR20160043837A (ko) 2014-10-14 2016-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3573B1 (ko) 2014-10-24 2016-03-16 박형배 사용자 맞춤형 색상 결정 장치 및 방법, 조명기기 및 조명 시스템
US10284763B2 (en) * 2015-01-20 2019-05-07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nd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5976A2 (ko) 2017-11-16
WO2017195976A3 (ko) 2018-09-07
US20190014649A1 (en) 2019-01-10
US10334708B2 (en) 201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6721A (ko) 스마트-워치의 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US994935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and program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EP2879470B1 (en) Control method of mobile device
US9872368B2 (en) Control method for mobile device
US100898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wireless remote control terminal by third-party terminal
EP2954755B1 (en) A lighting system having a controller that contributes to a selected light scen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system
US20150048924A1 (en) Initiating Remote Contro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JP5739002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EP2974299A2 (en) Configuring a system comprising a primary image display device and one or more remotely lamp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ent of the image displayed
US20180367331A1 (en) Intelligent Terminal Remote Controller-Based Internet-of-Things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JP2014176080A (ja) 照明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440803B2 (en) Light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841014B1 (ko) 동글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홈 조명 시스템
US109593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of multiple lighting units in a building
KR102093883B1 (ko) 스마트-워치의 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감성 조명 제어
EP3972389B1 (en) A lighting system
CN111033469B (zh) 供与日程安排相关联地使用的系统、方法、装置和介质
JP2017060096A (ja) 操作器及び通信システム
JP3177506U (ja) 電力スイッチ制御装置
KR102098369B1 (ko) 장치간 동기화 기반 원격 협업 장치
US1178252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102311315B1 (ko) 지능형 홈 에코 시스템의 제어기기 등록용 스마트 단말장치와 그 등록 방법
KR20140023487A (ko) 조명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조명장치를 등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71655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83846B1 (ko) 조명 제어 데이터 생성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