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401A -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l removing - Google Patents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l remov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401A
KR20170126401A KR1020170054921A KR20170054921A KR20170126401A KR 20170126401 A KR20170126401 A KR 20170126401A KR 1020170054921 A KR1020170054921 A KR 1020170054921A KR 20170054921 A KR20170054921 A KR 20170054921A KR 20170126401 A KR20170126401 A KR 20170126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water
limestone
raw material
un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9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원재
임현만
윤영한
정진홍
장향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70126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4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Lime, magnesia or dolomite
    • C04B2/005Lime, magnesia or dolomite obtained from an industrial by-produc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02F2209/055Hard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7Alk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18PO4-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36Biological material, e.g. enzymes or ATP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method for using limestone raw materials to treat the contaminants in untreated water, efficiently treat direct contaminants forming the europium film, and using the waste limestone disposed as a byproduct of an industrial cement operation to recycle the resources while preventing environmental contamination. The water treatment method uses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s based on raw limestone for optimal water treatment taking water treatment conditions into accou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reatment method includes: an untreated water treatment condition setting step of recognizing and setting the treatment condition of the untreated water to be treated; a limestone-based water treatment material preparing step of arranging the water treatment materials using limestone as a raw material; a water treatment material inputting and water treatment step of inputting the arranged water treatment material into the untreated water to execute a water treatment; a monitoring step of monitoring a 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a target water quality achievement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ntreated water in the water treatment process reaches target water quality; and a completion step of completing the water treatment process when the untreated water in the water treatment process reaches the target water quality in the target water quality achievement determining step.

Description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L REMOVING}[0001]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L REMOVING [0002]

본 발명은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처리수 중의 오염물질을 처리함에 있어 석회석원료를 이용하여 부영영화의 직접적인 오염원 등의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특히 시멘트산업의 부산물로서 대량 폐기되고 있는 석회폐석을 활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 및 환경 오염 방지를 도모할 수 있으며, 수처리 조건을 고려하여 최적으로 수처리할 수 있는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method for removing alga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treating pollutants in untreated water by using limestone raw materia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method for eliminating algae that can be recycled and prevented from environmental pollution by utilizing lime waste that is being mass-disused as a by-product of industry, and which can be optimally treated in consideration of water treatment conditions.

부영양화란 호수, 저수지, 연못, 하천 및 연안 등 수체의 1차 생산성이 증가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질소(N)와 인(P)과 같은 영양염류의 증가에 따라 발생한다. 이러한 부영양화는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으나 인간의 활동에 의해 촉진되는 경향을 띤다.Eutrophica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primary productivity of water bodies such as lakes, reservoirs, ponds, rivers and coasts is increasing. It is caused by the increase of nutrients such as nitrogen (N) and phosphorus (P). These eutrophication may occur naturally but tend to be promoted by human activities.

수체 표면의 색깔 변화는 주로 부영양화에 의해 조류가 과잉 번성하여 물꽃현상을 일으킨 결과로 나타난다. 물꽃현상이란 조류가 부영양화로 인해 수표면을 뒤덮을 정도로 과대번식하는 현상을 뜻한다. 물꽃현상이 발생하면 물에서 냄새가 나고 맛이 나빠져 경제적 이용이 어려워진다. 또한, 밤에는 물고기와 같은 수중생물이 필요로 하는 용존산소를 고갈시켜 집단폐사를 초래하기도 한다.Changes in the color of the surface of the water body are mainly caused by eutrophication, which causes the algal to overflow and cause the watery phenomenon. Water flow phenomenon refers to the phenomenon of overgrowth of birds to the surface of water due to eutrophication. When a water flower phenomenon occurs, the smell is generated in the water and the taste is deteriorated, making economical use difficult. At night, it also depletes the dissolved oxygen needed by aquatic creatures such as fish, resulting in mass death.

부영양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질소나 인 등 영양염류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하폐수처리장 방류수 내의 질소와 인 등 영양염류의 농도를 법적으로 규제하는 한편 이를 제거하기 위한 고도처리공정을 도입하고 있다.It is important to control nutrien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to prevent eutrophication. In Korea,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such as nitrogen and phosphorus in effluent discharged from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is regulated, and an advanced treatment process is introduced to remove it.

호수, 저수지, 연못, 하천 및 연안 등 수체의 부영양화를 제어하기 위하여 특히, 인의 불용화가 중요한데, 자연계 내에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질소를 고정하여 수중으로 유입시키는 메커니즘이 있어서 수체 내에서 질소를 제어하는 것이 인을 제어하는 것보다 더 곤란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대부분의 수체에서 조류의 대량번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제한요소가 원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In order to control the eutrophication of water bodies such as lakes, reservoirs, ponds, rivers and coasts, the insolubility of phosphorus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natural world, there is a mechanism for fixing the nitrogen present in the air and introducing it into the water. It is not only more difficult than controlling phosphorus, but it is also reported to be caused by limiting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large-scale reproduction of algae in most of the water bodies in Korea.

인이 호수, 저수지, 연못, 하천 및 연안 등의 수체로 유입되는 경로는 크게 유입수에 섞여 유입되는 경우와 퇴적층으로부터의 용출에 의해 수생태계로 재유입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수체 내의 인 성분은 주로 정인산염(PO4-P) 형태의 용존 상태이거나, 조류 또는 무기질 입자에 흡수 또는 흡착된 상태인 부유물질로 존재한다. 이 중에서 부유물질은 수체의 바닥에 퇴적되고 퇴적층 내의 혐기성 상태가 지속되면 재용출되어 조류의 생장에 다시 이용되기도 한다.The pathway to the water body of a lake, reservoir, pond, river, and coastal area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two types: a case where the water is mixed with the influent water and a case where the water is reintroduced into the aquatic ecosystem by leaching from the sediment layer. Phosphorus content in the water body is mainly present in a dissolved state in the form of orthophosphate (PO 4 -P), or as a suspended matter absorbed or adsorbed by algae or inorganic particles. Of these, suspended matter is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body and re-eluted if the anaerobic condition in the sediment layer continues, and is used again for the growth of algae.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부영양화된 수체에서는 영양염류의 유입을 줄인다고 하더라도 조류의 대량발생을 단시간 내에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고안되고 연구되고 있는데, 황산알루미늄(Alum)과 같은 응집제 또는 황산구리 등의 약품을 살포하기도 한다.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large amount of algae in a short time even if the inflow of nutrients is reduced in the eutrophicated water bodies.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ised and studied to solve these problems. Coagulants such as aluminum sulfate (Alum) or agents such as copper sulfate are also sprayed.

한편, 부영양화된 호수나 저수지의 수질관리를 위해 석회(Ca(OH)2)를 살포하거나 석회석(CaCO3)을 이용하는 방안도 제기되고 있으나 널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응집제나 황산구리 등에 비해 짧은 시간 내에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 어렵고, 원하는 목표수질을 손쉽게 달성할 수 있는 수처리재로 충분히 개발되어 있지 못한 상태일 뿐만 아니라 적정한 주입농도를 결정하고 제어하는 과정 또한 확립되어 있지 못하여, 호수, 저수지, 연못, 하천 및 연안 등 수체의 부영양화를 제어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와 수처리재의 개발을 통한 수처리 시스템 및 수처리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a method of spraying lime (Ca (OH) 2 ) or using limestone (CaCO 3 ) for th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in eutrophicated lakes and reservoirs has been proposed, but it has not been widely used. It is difficult to achieve visual results within a short time as compared with the coagulant or copper sulfate, and it is not well developed as a water treatment material that can easily achieve the desired target water quality, and a process for determining and controlling the proper injection concentration is also establish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ater treatment system and a water treatment method through development of a water treatment material and research on the euthanasia of a lake, a reservoir, a pond, a river, and a coast.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3415호(2009.12.02.)(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123415 (December 22, 2009)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2960호(2008.12.02.)(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72960 (December 2, 2008)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9721호(2014.06.13.)(Document 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09721 (Apr. 13, 201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오염된 미처리수 중의 오염물질을 처리함에 있어 석회석원료를 이용하여 부영영화의 직접적인 오염원 등의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특히 시멘트산업의 부산물로서 대량 폐기되고 있는 석회폐석을 활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 및 환경 오염 방지를 도모할 수 있으며, 수처리 조건을 고려하여 최적으로 수처리할 수 있는 석회석원료 기반 다공성 수처리재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fficiently treat pollutants such as direct pollutants of the eutrophic films by using limestone raw materials in treating contaminants in polluted untreated water , A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a limestone raw material-based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capable of recycling resources and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by utilizing lime waste that is massively discarded as a by-product of the cement industry, and capable of optimally treating water in consideration of water treatment conditions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상기한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수처리할 미처리수의 처리 조건을 파악 설정하는 미처리수 처리 조건 설정 단계; 석회석을 원료로 하는 수처리재를 마련하는 석회석원료 기반 수처리재 마련 단계; 상기 마련된 수처리재를 미처리수에 투입하여 수처리하는 수처리재 투입 수처리 단계; 상기 수처리재에 의해 수처리되는 수처리공정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 상기 수처리공정에서 미처리수가 목표수질에 달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목표수질 달성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목표수질 달성 여부 판단 단계에서 미처리수의 수질이 목표수질에 달성되는 경우, 수처리를 종료하는 종료 단계;를 포함하는 석회석원료 기반 다공성 수처리재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untreated water, comprising: an untreated water processing condition setting step of setting and setting a processing condition of an untreated water to be watertreated; Preparing a limestone raw material-based water treatment material for providing a water treatment material using limestone as a raw material; A water treatment material input water treatment step of putting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into the untreated water and water treatment; A monitoring step of monitoring a water treatment process which is water-treated by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ntreated water is achieved in the target water quality in the water treatment step; And terminating the water treatment when the quality of the untreated water is achieved in the target water quality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water quality is achieved or not.

상기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미처리수 처리 조건 설정 단계는 미처리수의 성상(性狀) 및 처리수량을 조사하고, 처리대상 오염물질을 결정하며, 수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대상 오염물질을 결정하는 것은 미처리수에 용존성 또는 입자성 물질의 형태로 존재하는 인, 질소를 포함하는 영양물질, 유기성 오염물질 또는 클로로필 a를 포함하는 조류 기인 수질항목 중 목표수질에 대한 미달정도가 상대적으로 큰 오염물질을 대상으로 하여 결정하며, 상기 수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수처리재를 직접 살포하거나 부유 구조물에 담지하여 미처리수가 수류에 의해 접촉하도록 하거나, 상기 수처리재를 고정 구조물 내에 체류시키거나 내부에서 유하되면서 미처리수가 접촉되도록 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treated water treatment condition setting step includes the step of examining a property and a treated water amount of the untreated water, determining a pollutant to be treated, and determining a water treatment method, Is to determine whether the underwater quality of the water quality items, such as phosphorous, nitrogen-containing nutrients, organic pollutants or chlorophyll-a, present in the form of dissolved or particulate matter in the untreated water, And the water treatment method is determined by directly spraying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or by supporting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on the floating structure so that the untreated wat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ater stream or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is allowed to stay in the fixed structure, A method in which the untreated wat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ater while being distilled, .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미처리수 내의 총인 및 정인산염 농도, 클로로필 a의 농도 및 조류(남조류) 세포수, pH, 알칼리도 또는 경도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목표수질 달성 여부 판단 단계에서 목표수질은 총인의 농도가 0.0~1.0 mg/L의 범위, 정인산염의 농도가 0.0~1.0 mg/L의 범위, 클로로필 a의 농도가 0.0~100.0 μg/L의 범위, 조류(남조류) 세포수가 0~100만 세포/mL의 범위, pH가 8.0~12.5의 범위, 알칼리도는 30~150 mg/L(as CaCO3)의 범위, 경도는 200 mg/L(as CaCO3) 이하의 범위 내의 소정의 설정값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ing step may include monitoring the change in total phosphorus and phosphatide concentration, chlorophyll-a concentration and algae cell number, pH, alkalinity or hardness in the untreated water, The target water quality is in the range of 0.0 to 1.0 mg / L for total phosphorus, 0.0 to 1.0 mg / L for phosphate, 0.0 to 100.0 μg / L for chlorophyll a, The range of the cell number is in the range of 0 to 1 million cells / mL, the pH is in the range of 8.0 to 12.5, the alkalinity is in the range of 30 to 150 mg / L (as CaCO 3 ) and the hardness is not more than 200 mg / L (as CaCO 3 )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목표수질 달성 여부 판단 단계에서 미처리수의 수질이 목표수질에 달성되지 않은 경우, 수처리재 투입량을 조정하여 수처리재를 추가 투입하는 수처리재 투입량 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adjusting the amount of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and adjusting the amount of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to adjust the amount of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when the water quality of the untreated water is not achieved in the target water quality, .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재 투입량 조정 단계에서 투입되는 수처리재의 투입량은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모니터링하고 있는 항목의 수질이 상기 목표수질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양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pH, 알칼리도 또는 경도가 상기 목표수질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양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amount of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input in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input amount adjustment step is determined as an amount required for the water quality of the item monitored in the monitoring step to reach the target water quality. More preferably, the pH, the degree of alkalinity, or the hardness is determined to be an amount required to reach the target water quality.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목표수질은 총인의 농도가 0.0~1.0 mg/L의 범위, 정인산염의 농도가 0.0~1.0 mg/L의 범위, 클로로필 a의 농도가 0.0~100.0 μg/L의 범위, 조류(남조류) 세포수가 0~100만 세포/mL의 범위, pH가 8.0~12.5의 범위, 알칼리도는 30~150 mg/L(as CaCO3)의 범위, 경도는 200 mg/L(as CaCO3) 이하의 범위 내의 소정의 설정값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water quality is such that the concentration of total phosphorus is in the range of 0.0-1.0 mg / L, the concentration of the phosphatite is 0.0-1.0 mg / L,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is 0.0-100.0 g / L (Algae) cell number in the range of 0 to 1 million cells / mL, pH in the range of 8.0 to 12.5, alkalinity in the range of 30 to 150 mg / L (as CaCO 3 ), hardness of 200 mg / as CaCO 3 ) or less.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석회석원료 기반 수처리재 마련 단계는, 석회석 원재료를 마련하는 수처리용 원재료 마련 단계와, 상기 마련된 석회석 원재료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소성하여 일부가 생석회 성분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소성 단계, 및 상기 소성 단계에서 소성된 소성품을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eparing the limestone raw material-based water treatment material comprises: a water raw material preparing step of preparing a limestone raw material; a calcining step of calcining the limestone raw material by heating at a high temperature, And a cooling step for cooling the fired product in the firing step.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원재료 마련 단계에서 마련된 수처리 원재료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a forming step of forming the water treatment raw material prepared in the water treatment raw material preparing step into a predetermined shape.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용 원재료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석회석 원재료는 석회석을 주성분으로 하고 돌로마이트,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또는 산화철을 부성분으로 하는 1mm 이하의 입경을 갖는 석회석 미분 또는 1mm에서 수cm의 입경을 갖는 석회석 골재를 석회석 원재료로 하여 마련되고, 상기 성형 단계에서 성형되는 성형품은 분말상, 부정형의 입상형, 구형, 펠릿(pellet)형, 각기둥형 또는 다면체형 중 적어도 하나로 성형되며, 상기 소성품 냉각 단계는 소성품을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mestone raw material provided in the water treatment raw material preparing step is a limestone raw material mainly composed of limestone and containing dolomite, silicon dioxide, aluminum oxide or iron oxide as a subcomponent, wherein the limestone aggregate having a particle size of about 1 mm to about 5 mm is formed as a limestone raw material and the molded product molded in the molding step is molded into at least one of powder, irregular granular, spherical, pellet, prismatic, It is preferable to cool the fired product to room temperature in the fired product cooling step.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용 원재료 마련 단계는 상기 소성 단계에서 소성이 과도하게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회석 원재료에 과 소성 방지제가 혼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preparing the water treatment raw material includes mixing the limestone raw material with an antifatant to prevent excessive calcination in the calcination step.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과 소성 방지제는 염화나트륨이며, 석회석 원재료 대비 1% 이내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erplasticizer is sodium chlorid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erplasticizer is mixed within 1% of the limestone raw material.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소성 단계는 상기 소성품의 석회석 성분과 생석회 성분의 중량비가 각각 5% ~ 95%의 범위 내에 분포하도록 소성 조건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ing step includes adjusting the firing conditions so that the weight ratio of the limestone component to the quicklime component of the fired product falls within a range of 5% to 95%,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소성 조건의 조절은 소성 온도와 소성 시간의 조절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소성 온도는 700℃~1,250℃의 범위이며, 상기 소성 시간은 24시간 이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ing conditions ar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firing temperature and firing time, and the firing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700 ° C. to 1,250 ° C., and the firing time is preferably within 24 hours .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소성 단계는 소성 과정에서 수증기가 유입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ing step further includes the inflow of water vapor during the firing process.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소성품의 특성을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성품의 특성 조절은 상기 소성 단계에서 저온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승온시키고 소성이 종료된 다음 단계적으로 냉각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fired product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fired product by gradually raising the temperature from a low temperature in the firing step and cooling stepwise after completion of the firing Do.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소성품의 특성을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성품의 특성 조절은 돌로마이트,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또는 산화철을 포함하는 부성분의 중량비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fired product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weight ratio of the sub ingredient including dolomite, silicon dioxide, aluminum oxide or iron oxide .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부성분의 중량비는 소성품 전체 중량의 80% 이하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성분의 중량비의 조절은 원재료를 교체하거나 또는 부성분의 함유량이 다른 하나 이상의 재료를 상기 원재료에 혼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ratio of the subcompone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80% or less of the total weight of the fired product. The weight ratio of the subcomponents is preferably adjusted by replacing the raw materials or by mixing one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ontents of the subcomponents with the raw materials.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냉각 단계에서 냉각된 소성품에 포함된 생석회 성분을 소석회 성분으로 전환시키는 소석회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alcification step of converting the quicklime component contained in the fired product cooled in the cooling step into a slaked lime component.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소석회화 단계는 냉각된 소성품을 물과 접촉시켜 생석회 성분을 소석회 성분으로 전환하는 수화반응을 유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alcination step is performed by bringing the cooled fired product into contact with water to induce a hydration reaction for converting the quicklime component into a slaked lime component.

본 발명에 따른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은 미처리수 중의 오염물질을 처리함에 있어 석회석원료를 이용하여 부영영화의 직접적인 오염원 등의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특히 시멘트산업의 부산물로서 대량 폐기되고 있는 석회폐석을 활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 및 환경 오염 방지를 도모할 수 있으며, 수처리 조건을 고려하여 최적으로 수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water treatment method for removing alga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treat contaminants such as direct pollutants and the like by using limestone raw materials in the treatment of contaminants in untreated water, The recycling of resources and th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achieved by utilizing the lime waste that is being used, and the water treatment can be optimally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water treatment conditions.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석회석원료 기반 다공성 수처리재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Specifically, the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limestone raw material-based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가격이 저렴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우리나라에 풍부하게 부존하고 있는 석회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처리재를 통해 수처리하여 호수, 저수지, 연못, 하천 및 연안 등 수체의 부영양화를 방지하고 조류의 대량발생에 따른 물꽃현상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treatment material which is cheap and easy to handle and which is abundantly present in Korea, and which is mainly composed of limestone to prevent eutrophication of water bodies such as lakes, reservoirs, ponds, rivers and coasts,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water flow phenomenon caused by the mass production of the water flow.

둘째, 본 발명은 국내 시멘트산업의 부산물로서 대량 폐기되고 있는 석회폐석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자원 재활용 및 환경 오염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cycle lime waste, which is being mass-disused as a by-product of the domestic cement industry, and thus has the effect of recycling resources and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셋째, 본 발명은 미처리수 중에 용존성 또는 입자성 물질의 형태로 존재하는 인, 질소와 같은 영양물질 또는 유기성 오염물질을 포함한 각종 오염물질을 응집, 침전 또는 여과시켜 제거하거나 침전·퇴적물로부터 오염물질의 재용출을 방지하는 등 다양한 수처리 메커니즘에 적용할 수 있으며, 부영양화의 직접적인 원인물질인 총인(T-P) 및 정인산염(PO4-P)을 수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어 매우 뛰어난 수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ird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such as phosphorus, nitrogen, or organic contaminants existing in the form of dissolved or particulate matter in untreated water by aggregation, precipitation or filtration, (TP) and polyphosphate (PO 4 -P) which are the direct cause of eutrophication can be removed from the water bodies, thereby providing an excellent water treatment method. have.

넷째, 본 발명은 미처리수 내의 인을 포함하는 오염물질의 농도, 미처리수의 pH, 알칼리도 또는 경도를 포함하는 수질, 처리수량 또는 체류시간을 포함하는 물리적 조건과 같은 수처리 조건을 고려하여 수처리재의 적정한 주입량을 결정함으로써 다양한 오염도와 규모를 갖는 여러 수체에 대하여 범용성이 큰 효과가 있다. Fourth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water-treating agent which is suitable for a water treatment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a water treatment condition such as a concentration of a pollutant including phosphorous in untreated water, pH of untreated water, a water quality including alkalinity or hardness, By determining the injection amount, versatility is effective for various water bodies having various pollution degrees and scales.

다섯째, 본 발명은 미처리수에 직접 살포하거나, 부유 구조물에 담지하여 미처리수가 수류에 의하여 접촉하도록 하거나, 저류지 또는 여과지와 같이 고정의 구조물을 갖추고 이 구조물 내에 체류하거나 내부를 유하하면서 미처리수가 수처리재 또는 수처리재의 용출물질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정화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수처리 공정으로 확대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Fifth,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treated water is directly sprayed on untreated water or is carried on a floating structure so that the untreated wat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ater stream, or a fixed structure such as a reservoir or filter paper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application to various water treatment processes such as purifying the water in contact with the eluted material of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미분의 석회석이 진흙처럼 굳어 있는 모습을 촬영한 것으로 원재료가 다양한 성상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에 이용되는 다공성 수처리재를 수처리에 사용하기 유리하고 제조와 취급이 뛰어난 직경 10~20 mm 크기의 구형으로 성형한 일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에 이용되는 다공성 수처리재의 제조 방법에서 원재료 또는 성형품을 전기로에서 소정의 온도와 시간에 걸쳐 소성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방법에 이용되는 다공성 수처리재를 활용하여 오염된 미처리수에 대한 수처리 효율을 테스트하기 위한 실험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방법에 이용되는 석회석기반 다공성 수처리재의 각 시제품을 이용하여 수처리 시간에 따른 주요 수질항목의 변화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정리한 표의 일례이다.
도 8은 수질항목 중 수소이온농도(pH)의 수처리 시간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수질항목 중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의 수처리 시간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수질항목 중 총질소(T-N)의 수처리 시간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수질항목 중 총인(T-P)의 수처리 시간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수질항목 중 정인산염(PO4-P)의 수처리 시간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방법에 이용되는 다공성 수처리재의 각 시제품을 이용하여 수처리 시간에 따른 주요 수질항목의 처리효율을 정리한 표의 일례이다.
도 14는 수질항목 중 COD의 수처리 시간에 따른 처리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수질항목 중 T-N의 수처리 시간에 따른 처리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수질항목 중 T-P의 수처리 시간에 따른 처리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7은 수질항목 중 PO4-P의 수처리 시간에 따른 처리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1 is a flow chart showing a water treatment method for removing alga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showing a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remo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mineralized limestone as hard as mud, showing that the raw materials can have various properties.
FIG. 4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used in the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elimi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o a sphe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of 10 to 20 mm, which is advantageous for use in water treatment and excellent in manufacture and handling.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in which raw materials or molded products are fired in an electric furnace ove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im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used in the water treatment method for removing alga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hotograph of an experimental procedure for testing the water treatment efficiency of polluted untreated water utilizing the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used in the water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ample of a table summarizing the results of monitoring changes in major water quality items according to water treatment time using each prototype of a limestone-based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used in the water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pH value of the water quality item according to the water treatment time. FIG.
FIG. 9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chemical oxygen demand (COD) in water quality items according to water treatment time.
10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otal nitrogen (TN) in the water quality items according to water treatment time.
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of the total phosphorus (TP) among the water quality items according to the water treatment time.
FIG. 12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amount of orthophosphate (PO 4 -P) in water quality items according to water treatment time.
13 is an example of a table summarizing treatment efficiencies of major water quality items according to water treatment time using each prototype of the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used in the water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graph showing the treatment efficiency according to the water treatment time of the COD among the water quality items.
15 is a graph showing the treatment efficiency according to the water treatment time of TN among the water quality items.
16 is a graph showing the treatment efficiency according to the water treatment time of the TP among the water quality items.
17 is a graph showing the treatment efficiency of PO 4 -P among the water quality items according to the water treatment time.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Fur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Further, terms such as " part, "" unit," " module,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ay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석회석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Before describing the water treatment method for removing alga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istics of limestone,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석회석(탄산칼슘, CaCO3)은 다양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많은 양이 폭넓게 부존되어 있다. 지구 육지 표면적의 약 75%가 퇴적암이며, 이 중 약 20~30%가 석회암(lime, 백운석 포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물학적으로 석회석은 화학적 또는 유기적 퇴적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화학적 퇴적작용은 아래의 식과 같이 용해된 상태의 탄산수소칼슘으로부터 온도가 상승하면서 형성되며, 유기적 퇴적작용은 생물 잔해의 퇴적에 의해 형성된다.Limestone (calcium carbonate, CaCO 3 ) has a wide variety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s well as a large amount in the world. Approximately 75% of the Earth's surface area is sedimentary rock, of which approximately 20-30% consists of limestone (including dolomite). Mineralogically, limestone is formed by chemical or organic deposition. The chemical sedimentation is formed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from dissolved calcium hydrogencarbonate as shown in the following formula, and the organic sedimentation is formed by deposition of biological debris.

Ca(HCO3)2(aq) (온도 상승, 압력 저하) --> CaCO3(s) + H2O(l) + CO2(g)CaCO 3 (s) + H 2 O (l) + CO 2 (g) Ca (HCO 3 ) 2 (aq)

석회석은 탄산칼슘(CaCO3)을 주성분(중량 기준 50% 이상)으로 하는 퇴적암으로, 탄산염광물 중 가장 중요한 암석이다. 이론적 조성은 CaO 56%, CO2 44%로 이루어져 있으며, 불순물로 Al2O3, SiO2, Fe2O3 및 MgO 등을 포함하고 있다.Limestone is a sedimentary rock composed mainly of calcium carbonate (CaCO 3 ) (more than 50% by weight) and is the most important carbonate among carbonate minerals. The theoretical composition is composed of 56% of CaO and 44% of CO 2 , and contains impurities such as Al 2 O 3 , SiO 2 , Fe 2 O 3 and MgO.

이러한 석회석은 물리적 특성으로 균질성, 안정성, 가공성, 장식성, 백색성, 평활성, 내화단열성, 방음성, 경량성, 가소성 및 성형성 등이 있다. 화학적 성질로는 반응성, 친화합물성, 환원성, 탄산효과, 중화, 알칼리성, 가성소다화, 수화성, 기경성(氣硬性), 팽창성, 흡습조해성 및 살균성 등이 있다.Such limestone ha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homogeneity, stability, workability, decorative property, whiteness, smoothness, fire resistance, soundproofness, lightness, plasticity and moldability. The chemical properties include reactivity, affinity for the compound, reducing property, carbonic acid effect, neutralization, alkaline, caustic soda, hydration, air hardness, swelling, hygroscopicity and bactericidal properties.

본 발명은 이러한 석회석을 기반으로 하여 미처리수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수처리재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a water treatment material capable of removing contaminants in untreated water based on such limeston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Hereinafter, a water treatment method for removing alga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flow chart showing a water treatment method for removing alga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할 미처리수의 처리 조건을 파악 설정하는 미처리수 처리 조건 설정 단계(S110); 석회석을 원료로 하는 수처리재를 마련하는 석회석원료 기반 수처리재 마련 단계(S120); 상기 마련된 수처리재를 미처리수에 투입하여 수처리하는 수처리재 투입 수처리 단계(S130); 상기 수처리재에 의해 수처리되는 수처리공정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S140); 수처리공정에서 미처리수가 목표수질에 달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목표수질 달성 여부 판단 단계(S150); 및 상기 목표수질 달성 여부 판단 단계(S150)에서 미처리수의 수질이 목표수질에 달성되는 경우, 수처리를 종료하는 종료 단계(S1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water treatment method for removing alga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ntreated water treatment condition setting step (S110) for grasping and setting treatment conditions of untreated water to be treated; Preparing a limestone raw material-based water treatment material (S120) for providing a water treatment material using limestone as a raw material; An input water treatment step (S 130) of introducing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into the untreated water and water treatment; A monitoring step (S140) of monitoring a water treatment process which is water-treated by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Determining whether the untreated water is achieved in the target water quality in the water treatment process (S150); And terminating the water treatment (S160) when the water quality of the untreated water is achieved in the target water quality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water quality is achieved (S150).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표수질 달성 여부 판단 단계(S150)에서 미처리수의 수질이 목표수질에 달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수처리재 투입량을 조정하여 수처리재 투입량 조정 단계(S170)로 진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quality of the untreated water is not achieved in the target water quality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water quality is achieved (S150), the process proceeds to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input amount adjustment step (S170) by adjusting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input amount .

이하, 상기 각 단계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of the above step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미처리수 처리 조건 설정 단계(S110)는 미처리수의 성상(性狀) 및 처리수량을 조사하고(S111), 처리대상 오염물질을 결정하며(S112), 수처리 방식을 결정하는(S113) 것을 포함한다.The untreated water treatment condition setting step S110 includes examining the properties of the untreated water and the treated water volume (S111), determining the contaminant to be treated (S112), and determining the water treatment system (S113) .

상기 미처리수의 성상 조사는 처리할 미처리수의 성질과 상태를 파악하며, 처리수량의 조사는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미처리수의 수량을 파악하게 된다.The property investigation of the untreated water grasps the nature and condition of the untreated water to be treated, and the quantity of the untreated water is determined through various known methods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watertrend.

상기 처리대상 오염물질을 결정하는 것(S112)은 복합 측정기구를 통해 해당 수체의 오염물질을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거나, 시료를 채취하여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미처리수에 용존성 또는 입자성 물질의 형태로 존재하는 인, 질소를 포함하는 영양물질, 유기성 오염물질 또는 클로로필 a를 포함하는 조류 기인 수질항목 중 목표수질에 대한 미달 정도가 상대적으로 큰 오염물질을 대상으로 하여 결정하고, 이 결정된 결과에 따라 후술하는 수처리재의 성분 분포를 조정하게 된다.The determination of the contaminant to be treated (S112) is performed by a method of directly confirming the contaminants of the water body through a complex measuring instrument or by collecting a sample and confirming that the dissolved or particulate matter A pollutant having a relatively high degree of water quality below the target water quality among the water quality items such as phosphorus, nitrogen-containing nutrients, organic pollutants or chlorophyll-a present in the form of chlorophyll a, The component distribution of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to be described later is adjusted.

또한, 상기 수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것(S113)은 석회석원료 기반 수처리재 마련 단계(S120)에서 마련된 수처리재를 직접 살포하거나, 부유 구조물에 담지하여 미처리수가 수류에 의해 접촉하도록 하거나, 저류지 또는 여과지와 같은 고정 구조물을 갖추고 이 고정 구조물 내에 체류시키거나 내부를 유하하면서 미처리수가 접촉되도록 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treatment method (S113) may be performed by directly spraying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prepared in the limestone material-based water treatment material preparation step (S120) or by supporting the untreated water on the floating structure by water flow, A method in which the same fixed structure is provided and the untreated water is allowed to come into contact therewith while staying in the fixed structure or moving the inside of the fixed structure, may be adopted.

다음으로, 석회석을 원료로 하는 수처리재를 마련하는 석회석원료 기반 수처리재 마련 단계(S12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회석원료에 기반한 다공성 수처리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Next, a limestone material-based water treatment material preparation step (S120) for providing a water treatment material using limestone as a raw materi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based on a limestone raw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석회석원료 기반 수처리재 마련 단계(S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회석 원재료를 마련하는 수처리용 원재료 마련 단계(S121); 상기 마련된 석회석 원재료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소성과 동시에 탈탄산반응을 유도하여 석회석 원재료의 일정 부분을 생석회(CaO) 성분으로 전환하는 소성 단계(S122); 및 상기 소성 단계(S122)에서 소성된 소성품을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S12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step (S 120) of preparing a limestone raw material-based water treatment material comprises: a step S 121 of preparing a raw water material for preparing a limestone raw material; A calcination step (S122) of heating the prepared limestone raw material at a high temperature to induce a decarbonation reaction at the same time as firing to convert a certain portion of the limestone raw material into calcium oxide (CaO); And a cooling step (S123) of cooling the fired product in the firing step (S122).

또한, 상기 석회석원료 기반 수처리재 마련 단계(S120)는 상기 수처리 원재료 마련 단계(S121)에서 마련된 수처리 원재료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 단계(S124)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imestone material-based water treatment material preparation step (S120) may further include a molding step (S124) of molding the water treatment raw material material prepared in the water treatment raw material preparation step (S121) into a predetermined shap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석회석원료 기반 수처리재 마련 단계(S120)는 시멘트 제조시 발생하는 부산물로 폐기되고 있는 석회폐석을 이용하여 석회석 원재료를 마련하는 수처리용 원재료 마련 단계; 상기 수처리 원재료 마련 단계에서 마련된 수처리 원재료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 단계; 상기 마련된 석회석 원재료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소성하여 일부가 생석회 성분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소성 단계; 상기 소성 단계에서 소성된 소성품을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및 상기 냉각 단계에서 냉각된 소성품에 포함된 생석회 성분을 소석회 성분으로 전환시키는 소석회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처리용 원재료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석회석 원재료는 시멘트 제조시 발생하는 석회폐석 중 석회석을 주성분으로 하고 돌로마이트,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또는 산화철을 부성분으로 하는 100μm 이하의 입경을 갖는 석회석 미분을 원재료로 하여 마련되고, 상기 성형 단계에서 성형되는 성형품은 분말상, 부정형의 입상형, 구형, 펠릿(pellet)형, 각기둥형 또는 다면체형 중 적어도 하나로 성형되며, 상기 소성품 냉각 단계는 소성품을 상온까지 냉각시키고, 상기 소석회화 단계는 냉각된 소성품을 물과 접촉시켜 생석회 성분을 소석회 성분으로 전환하는 수화반응을 유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성 단계는 상기 소성품의 석회석 성분과 생석회 성분의 중량비가 각각 5% ~ 95%의 범위 내에 분포하도록 소성 조건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소성 조건의 조절은 소성 온도와 소성 시간의 조절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소성 온도는 700℃~1,250℃의 범위이며, 상기 소성 시간은 24시간 이내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성품의 특성을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성품의 특성 조절은 상기 소성 단계에서 저온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승온시키고 소성이 종료된 다음 단계적으로 냉각시킴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소성품의 특성 조절은 돌로마이트,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또는 산화철을 포함하는 부성분의 중량비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부성분의 중량비의 조절은 원재료를 교체하거나 또는 부성분의 함유량이 다른 하나 이상의 재료를 상기 원재료에 혼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step of preparing the limestone raw material-based water treatment material (S120) comprises: a step of preparing a raw material for water treatment using raw limestone raw material by using lime waste which is being discarded as a by-product generated in the production of cement; A molding step of molding the water treatment raw material prepared in the water treatment raw material preparing step into a predetermined shape; A calcining step of heating and calcining the prepared limestone raw material at a high temperature to convert a part of the calcined limestone raw material into a quicklime component; A cooling step of cooling the calcined fired product in the firing step and a calcination step of converting the quicklime component contained in the fired product cooled in the cooling step into a slaked lime component, The limestone raw material is prepared from a limestone fine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not more than 100 탆, which comprises limestone as a main component and dolomite, silicon dioxide, aluminum oxide or iron oxide as a subcomponent as a raw material in the lime waste generated in the production of cement, Wherein the molded product is molded into at least one of powder, irregular granular, spherical, pellet, prismatic, or polygonal shape, wherein the fired product cooling step cools the fired product to room temperature, Hydration reaction of bringing the property into contact with water to convert the quicklime component into the slaked lime component Wherein the firing step includes adjusting firing conditions such that the weight ratio of the limestone component to the quick lime component of the fired product is in the range of 5% to 95%, respectively, and the firing condition is controlled by the firing temperature And controlling the firing time, wherein the firing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700 ° C. to 1,250 ° C. and the firing time is within 24 hours, further comprising control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ed product, The characteristic adjustment is performed by gradually raising the temperature from a low temperature in the firing step and cooling stepwise after completion of the fir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ed product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weight ratio of the subcomponent including dolomite, silicon dioxide, aluminum oxide or iron oxide And the weight ratio of the subcomponent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raw material or by adding the subcomponent It is made by mixing one or more other materials to the raw material is preferred.

상기 수처리용 원재료 마련 단계(S121)에서 마련되는 석회석 원재료는 석회석을 주성분으로 하고 돌로마이트(dolomite),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또는 산화철을 부성분으로 하는 1mm 이하의 입경을 갖는 석회석 미분 또는 1mm에서 수cm의 입경을 갖는 석회석 골재를 석회석 원재료로 하여 마련된다. 도 3은 미분의 석회석이 진흙처럼 굳어 있는 모습을 촬영한 것으로 원재료가 다양한 성상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진이다.The limestone raw material provided in the water treatment raw material preparing step (S121) is a limestone raw material having limestone as a main component and dolomite, silicon dioxide, aluminum oxide or iron oxide as a subcomponent, or a limestone derivative having a diameter of 1 mm or less, Limestone aggregate having a particle diameter is prepared as a limestone raw material. FIG.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mineralized limestone as hard as mud, showing that the raw materials can have various properties.

여기에서, 상기 수처리용 원재료 마련 단계(S121)에서 마련된 석회석 미분 또는 석회석 골재는 별도의 성형 가공 없이 원재료를 그대로 사용하여 후속 단계인 소성 단계(S122)로 바로 진행할 수 있지만, 상기 수처리 원재료 마련 단계(S121)에서 마련된 수처리 원재료를 성형하는 성형 단계(S124)를 거쳐 수처리에 용이한 형태와 크기의 성형품이 되도록 성형할 수 있다.Here, the limestone fine or limestone aggregate prepared in the water treatment raw material preparing step S121 may directly go to the subsequent sintering step (S122) by using the raw material as it is without further forming processing. However, in the water treatment raw material preparing step S121) of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S124) to form a molded article having a shape and size easy for water treatment.

또한, 상기 수처리용 원재료 마련 단계(S121)는 후속되는 소성 단계에서 소성이 과도하게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 소성 방지제가 혼합되는 원재료를 마련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p S121 of preparing the raw water for water treatment may include preparing a raw material in which the superplasticizer is mixed to prevent excessive calcination in the following calcination step.

상기 과 소성 방지제는 염화나트륨인 것이 바람직하며, 원재료 대비 1% 이내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 소성 방지제의 효과는 상기 수처리 원재료에 대하여 중량 대비 1% 이내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으로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그 이상의 비율로 혼합하더라도 추가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1%를 초과하는 과량의 염화나트륨을 혼합할 경우 최종 소성품 내에 염화나트륨 성분의 잔존율을 높여 제품의 활용도에 제약을 가할 수 있다.The overaging inhibitor is preferably sodium chloride, and it is preferably mixed with less than 1% of the raw material. The effect of the superplasticizer is sufficiently ensured to be mixed at a ratio of 1% or less with respect to the weight of the water treatment raw material, so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an additional effect even if mixing is carried out at a higher ratio. In addition, when excess sodium chloride exceeding 1% is mixed, the residual ratio of sodium chloride component in the final fired product can be increased to limit the utilization of the product.

계속해서, 상기 성형 단계(S124)에서 성형되는 성형품의 형태로는 수처리 대상의 특성과, 수처리의 목적 그리고 수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고, 수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성형되는 것으로, 분말상, 부정형의 입상형, 구형, 펠릿(pellet)형, 각기둥형 또는 다면체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석회석원료 기반 다공성 수처리재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에 이용되는 다공성 수처리재를 수처리에 사용하기 유리하고 제조와 취급이 뛰어난 직경 10~20 mm 크기의 구형으로 성형한 일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Subsequently, in the form of the molded article formed in the molding step S124, various types and sizes of the molded article a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treatment object, the purpose of the water treatment,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water treatment, As molded, it can be molded into various forms including powder, irregular, granular, spherical, pellet, prismatic or polyhedral. FIG. 4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used in the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limestone material-based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o a sphe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of 10 to 20 mm, which is advantageous for use in water treatment and excellent in manufacture and handling .

이러한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성형품을 성형하는 데는 공지의 성형기를 통해 성형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Molding of a molded article with various shapes and sizes can be performed by a known molding machin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에 이용되는 다공성 수처리재의 제조 방법에서 원재료 또는 성형품을 전기로에서 소정의 온도와 시간에 걸쳐 소성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in which raw materials or molded products are fired in an electric furnace ove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ime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used in the water treatment method for removing alga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계속해서, 상기 소성 단계(S122)는 석회석 원재료 또는 석회석 성형품을 소정 온도 및 소정 시간 가열하여 석회석 원재료 또는 석회석 성형품의 일부를 생석회 성분으로 전환시키고(CaCO3 --> CaO + CO2), 이 결과물은 화학적인 활성이 큰 다공질의 소성품으로 형성된다.Subsequently, in the sintering step (S122), the limestone raw material or the limestone molded product is heat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for a predetermined time to convert a part of the limestone raw material or the limestone molded product into calcium oxide (CaCO 3 -> CaO + CO 2 ) Is formed of a porous fired product having a large chemical activity.

상기 소성 단계(S122)에서 소성된 소성품의 석회석 성분과 생석회 성분은 그 중량비가 각각 5% ~ 95%의 범위 내에 분포하도록 소성 조건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소성 조건의 조절은 소성 온도와 소성 시간의 조절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calcination conditions may be adjusted so that the weight ratio of the limestone component and the quicklime component of the fired fired product in the firing step (S122) falls within the range of 5% to 95%, respectively. The firing conditions ar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firing temperature and firing time.

상기 소성 온도는 700℃~1,250℃의 범위이며, 900℃~1,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성 시간은 24시간 이내이고, 특히 6시간 이내이며, 최소한 5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소성 온도가 700℃ 미만인 경우에는 생석회 성분의 함유 정도가 현저히 떨어져 인을 포함하는 미처리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소성 온도가 1,2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이 과소화되어 소성 효과를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다.The firing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700 ° C to 1,250 ° C, preferably 900 ° C to 1,100 ° C. The firing time is within 24 hours, particularly within 6 hours, and preferably at least 5 minutes. If the firing temperature is less than 700 ° C, the content of the quicklime component is significantly lowered, and thus the function of removing contaminants of untreated water including phosphorus can not be provided. If the firing temperature exceeds 1,250 ° C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urface is underexposed and the firing effect is deteriorated.

또한, 소성 시간이 5분 미만인 경우에는 소성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석회석 성분에 비해 반응성이 큰 생석회 성분으로의 전환율이 충분치 못하여 수처리재로서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24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미 소성이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과도한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고, 지나치게 소성이 진행됨으로써 생성회 성분의 결정이 조대화하여 소성품 내의 기공률이 떨어지고, 겉보기밀도가 커지고, 반응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소성 시간은 상기 원재료 마련 단계(S100)에서 확보된 원재료의 성상, 즉 원재료의 입경에 따라 달라지며, 원재료의 입경이 클수록 그에 비례하여 소성 시간 또한 커지는 특징을 갖는다.When the calcination time is less than 5 minutes, the calcination is not sufficiently carried out,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conversion rate to the quicklime component, which is more reactive than the limestone component, is not sufficient and the utilization as a water treatment agent is lowered. Is excessively wasted. As the firing proceeds too much, the crystals of the components are coarsened and the porosity in the fired product is lowered, the bulk density is increased, and the reactivity is lowered. The firing time var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w material secured in the raw material preparation step (S100), that is, the particle size of the raw material, and the firing time is also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larger particle diameter of the raw material.

*이와 같이 소성품에 있어서, 소성품 내의 석회 성분 중 소성온도와 소성시간을 포함한 소성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석회석(CaCO3)과 생석회(CaO)의 중량비는 인 농도를 포함하는 미처리수의 오염 정도에 따라 수 주일 이내의 단기간의 수처리가 필요할 때 생석회의 중량비를 20%의 이상의 범위 내에서 높이고, 수 주일 이상의 중·장기적인 수처리가 필요할 때에는 석회석의 중량비를 20% 이상의 범위 내에서 높이며, 단기 또는 장기에 걸친 수처리 효과를 동시에 얻기 위해서는 두 성분의 중량비가 각각 5%~95%의 범위 내에 분포하도록 소성 조건을 조절하는 것이다.* The weight ratio of limestone (CaCO 3 ) and calcium oxide (CaO),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firing conditions including the firing temperature and firing time, of the lime components in the fired product, When the water treatment is required within a few weeks, the weight ratio of the quicklime should be raised within a range of 20% or more, and if the water treatment for a few days or longer is required, the weight ratio of limestone should be increased to 20% In order to simultaneously achieve the water treatment effect, the firing conditions are adjusted so that the weight ratio of the two components is distributed within the range of 5% to 95%.

또한, 상기 소성 단계(S122)는 석회석 미분 또는 골재를 원재료로 하여, 원재료를 직접 사용하거나 또는 성형품을 제작한 다음 이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소성(燒成)과 동시에 탈탄산반응(脫炭酸反應)을 유도하는 소성 과정에서 수증기를 유입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소성 과정에서 수증기를 유입시킴으로써 반응성이 크고 백색도가 높은 다공성 생석회를 얻을 수 있다.In the sintering step (S122), the raw material is directly used or the molded product is manufactured by using the limestone fine powder or aggregate as a raw material, and then heated at a high temperature to burn and decarbonize the acid reaction And introducing water vapor during the firing process. Porous quicklime having high reactivity and high whiteness can be obtained by introducing water vapor in the firing process.

이러한 소성 단계(S122)를 통해 석회석 미분 또는 골재를 원재료로 하여, 원재료를 직접 사용하거나 또는 성형품을 제작한 다음 이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소성(燒成)과 동시에 탈탄산반응(脫炭酸反應)을 유도함으로써 원재료의 중량을 50% 이내의 범위에서 경량화하고, 원재료의 기공률을 60% 이내의 범위에서 높임으로써 소성품의 비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Through the sintering step (S122), the raw material is directly used or the molded product is manufactured using the limestone fine powder or aggregate as a raw material, and then heated at a high temperature to induce decarboxylation reaction (decarbonation acid reaction)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fired product can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raw material within a range of 50% or less and raising the porosity of the raw material within a range of 60% or less.

계속해서, 상기 석회석원료 기반 수처리재 마련 단계(S120)는 소성품의 특성을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예로, 소성품의 특성 조절은 상기 소성 단계(S122)에 있어서 저온에서부터 천천히 승온시키고 소성이 종료된 다음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소성품의 강도를 높이고, 색도를 띠게 하고, 균일한 품질을 갖는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소성품의 특성 조절은 원재료를 직접 사용하거나 또는 성형품을 제작한 다음 이를 소성하여 소성품을 제작할 때, 소정의 소성 온도로 미리 승온시킨 상태의 소성로에 상기 원재료 또는 성형품을 직접 투입하지 않고, 저온에서부터 천천히 승온시키고 소성이 종료된 다음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Subsequently, the limestone material-based water treatment material preparation step (S120) further includes adjus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ed product. For example, the characteristic of the fired product is controlled by slowly raising the temperature from a low temperature in the firing step S122, and slowly cooling the fired product after completing the firing, there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fired product, And the like. In other words, when control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ed product, the raw material or the molded product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firing furnace in which the temperature is preliminarily raised to a predetermined firing temperature when the raw material is directly used or the molded product is fired to produce the fired product , Slowly elevating the temperature from a low temperature, cooling the mixture slowly after completion of the calcination.

또한, 상기 소성품의 특성 조절은 다른 일 예로, 돌로마이트,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또는 산화철을 포함하는 부성분의 중량비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부성분의 중량비의 조절은 원재료를 교체하거나 또는 부성분의 함유량이 다른 하나 이상의 재료를 상기 원재료에 혼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부성분의 중량비는 소성품 전체 중량의 80% 이하의 범위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5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control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ed product may be achieved by adjusting the weight ratio of the subcomponent including dolomite, silicon dioxide, aluminum oxide or iron oxide to another example. Further, the weight ratio of the subcomponent is controlled by replacing the raw material or by mixing one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ontents of the subcomponents into the raw material. Here, the weight ratio of the subcomponents is preferably 80% or less, more preferably 50% or less of the total weight of the fired product.

계속해서, 상기 소성품 냉각 단계(S123)는 소성품을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한다.Subsequently, the fired product cooling step (S123) includes cooling the fired product to room temperature.

상기 석회석원료 기반 수처리재 마련 단계(S120)는 냉각된 소성품에 포함된 생석회 성분을 소석회(Ca(OH)2) 성분으로 전환시키는 소석회화 단계(S125)를 더 포함한다.The step (S120) of preparing the limestone raw material-based water treatment material further includes a calcification step (S125) of converting the calcium oxide component contained in the cooled calcinated product into a calcium hydroxide (Ca (OH) 2 ) component.

상기 소석회화 단계(S125)는 물과 접촉시켜 생석회(CaO) 성분을 소석회(Ca(OH)2) 성분으로 전환하는 수화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이루어진다.The calcination step (S125) is performed by bringing the hydration reaction to convert the calcium oxide (CaO) component into the calcium hydroxide (Ca (OH) 2 ) component in contact with water.

다음으로, 상기 석회석원료 기반 수처리재 마련 단계(S120)에서 마련된 수처리재를 투입하여 미처리수를 수처리하는 과정에서 수처리재의 수처리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water treatment process of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prepared in the limestone material-based water treatment material preparation step (S120) to treat the untreated water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미처리수에 수처리재를 투입하면, 상기 수처리재 또는 상기 수처리재의 용출물질은 미처리수와 접촉되어 미처리수에 용존성 또는 입자성 물질의 형태로 존재하는 인, 질소와 같은 영양물질 또는 유기성 오염물질을 포함한 각종 오염물질을 응집, 침전, 여과 또는 재용출을 방지하는 수처리 기작을 통하여 제거함으로써 미처리수의 수질을 개선하게 된다.When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is poured into the untreated water, the dissolving material of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or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ntreated water to form a nutrient or organic contaminant such as phosphorus or nitrogen present in the form of dissolved or particulate matter And the water quality of the untreated water is improved by removing the various contaminants including water, water, etc. through a water treatment mechanism that prevents flocculation, sedimentation, filtration or re-dissolution.

여기에서, 상기 수처리재로부터 용출된 칼슘이온은 미처리수 내의 인 성분을 불용화시켜 침전, 제거하는 기작을 실행하며, 또한 수체 저부의 침전·퇴적물로부터 인 성분이 재용출되어 조류 또는 생태계의 대사에 재활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작을 실행한다.Here, the calcium ions eluted from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perform a mechanism of insolubilizing the phosphorus component in the untreated water to precipitate and remove the phosphorus component, and the phosphorus component is re-eluted from the sediment and sediment at the bottom of the water body to metabolize algae or ecosystem Perform mechanisms to prevent recycling.

또한, 미처리수에 수처리재가 투입되면, 수처리재로부터 용출된 칼슘이온, 알루미늄이온 또는 철이온이 음전하를 띠는 부유성 또는 용존성 오염물질을 응집시켜 미처리수부터 침전 또는 부상시켜 제거하는 기작을 실행한다.In addition, when water treatment material is introduced into untreated water, flocculent or dissolved contaminants that negatively charge calcium ions, aluminum ions, or iron ions eluted from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are agglomerated and precipitated or floated from untreated water do.

다음으로, 상기 수처리재에 의해 수처리되는 수처리공정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S140)는 미처리수의 수질 상태 변화, 예를 들면 미처리수 내의 총인 또는 정인산염 농도의 저하, 클로로필 a 농도 및 조류(남조류) 세포수의 저하, pH, 알칼리도 또는 경도의 변화를 실시간 또는 정기적으로 제공받아 모니터링한다.Next, a monitoring step (S140) for monitoring the water treatment process water-treated by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may include a change in the water quality of the untreated water, for example, a decrease in the total phosphorus or phosphate concentration in the untreated water, a chlorophyll- Changes in cell number, pH, alkalinity or hardness are monitored in real time or on a regular basis.

상기 목표수질 달성 여부 판단 단계(S150)는 수처리공정에서 미처리수가 목표수질에 달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목표수질은 총인의 농도가 0.0~1.0 mg/L의 범위, 정인산염의 농도가 0.0~1.0 mg/L의 범위, 클로로필 a의 농도가 0.0~100.0 μg/L의 범위, 조류(남조류) 세포수가 0~100만 세포/mL의 범위, pH가 8.0~12.5의 범위, 알칼리도는 30~150 mg/L(as CaCO3)의 범위, 경도는 200 mg/L(as CaCO3) 이하의 범위 내의 소정의 설정값(설정 범위)으로 이루어진다.The target water quality determination step S15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untreated water is achieved in the water quality in the water treatment process. The target water quality is in the range of 0.0-1.0 mg / L of the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 (Cyanobacterial) cell number is in the range of 0 to 1 million cells / mL, the pH is in the range of 8.0 to 12.5, the alkalinity is in the range of 30 to 150 mg / L, the chlorophyll-a concentration is in the range of 0.0 to 100.0 μg / range mg / L (as CaCO 3) , the hardness is made to a predetermined set value (set range) in the range of not more than 200 mg / L (as CaCO 3 ).

계속해서, 상기 목표수질 달성 여부 판단 단계(S150)에서 미처리수가 목표수질에 달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처리재 투입량 조정 단계(S170)로 진행되는데, 이 수처리재 투입량 조정 단계(S170)에서 투입되는 수처리재의 투입량은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미처리수 내의 총인 또는 정인산염 농도의 저하, 클로로필 a 농도 및 조류(남조류) 세포수의 저하, pH, 알칼리도 또는 경도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목표수질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양으로 결정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arget water quality is not achieved in the target water quality achievement determination step S150,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admission amount adjustment step S170 is performed. In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admission amount adjustment step S170, The input amount of the input water treatment agent is required to reach the target water quality by monitoring the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total phosphorus or phosphates in untreated water, the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and algae (cyanobacteria) cells, the change in pH, alkalinity or hardness in the monitoring step .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석회석 원료에 기반한 다공성 수처리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수처리재를 통해 오염물질의 제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요 수질항목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제품 1과 시제품 2는 각각 900℃의 소성온도와 60분의 소성시간의 소성 조건에서 제작한 것으로, 시제품 1은 상기 소성 단계(S200)에 있어서 상기 소성 조건으로 승온이 완료된 상태의 소성로에 상기 소성품을 직접 투입하여 제작한 소성품이고, 시제품 2는 상기 소성 단계(S200)에 있어서 저온에서부터 천천히 승온시켜 제작한 소성품이다. 60분의 소성시간이 종료된 후에는 천천히 냉각시킨 등 이후의 과정은 동일하게 제작하였다. 도 8 내지 도 12, 도 14 내지 도 17에서 청색은 시제품 1을 나타내고, 적색은 시제품 2를 나타낸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cted experiments on major water quality items to confirm the removal effect of pollutants through the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based on the limestone raw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otype 1 and the prototype 2 were produced under the firing conditions of 900 ° C. and 60 minutes respectively, and the prototype 1 was produced in the firing step (S200) And the prototype 2 is a fired product manufactured by slowly heating from a low temperature in the firing step (S200). After the firing time of 60 minutes was over, cooling was carried out slowly and the subsequent steps were made in the same manner. 8 to 12 and 14 to 17, blue represents prototype 1, and red represents prototype 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방법에 이용되는 다공성 수처리재를 활용하여 오염된 미처리수에 대한 수처리 효율을 테스트하기 위한 실험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방법에 이용되는 석회석기반 다공성 수처리재의 각 시제품을 이용하여 수처리 시간에 따른 주요 수질항목의 변화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정리한 표의 일례이며, 도 8 내지 도 12는 각각 수소이온농도(pH),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정인산염(PO4-P)의 수질항목에 대한 수처리 시간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재의 각 시제품을 이용하여 수처리 시간에 따른 주요 수질항목의 처리효율을 정리한 표의 일례이고, 도 14 내지 도 17은 각각 COD, T-N, T-P 및 PO4-P의 수질항목에 대한 처리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6 is a photograph of an experimental process for testing the water treatment efficiency of polluted untreated water utilizing the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used in the water treat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hotograph FIGS. 8 to 12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monitoring pH, COD (chemical oxygen demand), and COD (chemical oxygen demand) of each of the prototypes of limestone-based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s. ,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us (TP), and phosphoric acid phosphate (PO 4 -P). 13 is a table summarizing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main water quality items according to the water treatment time using the respective prototypes of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4 to 17 are graphs showing the COD, TN, TP and PO 4 -P A graph showing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water quality item.

총인(T-P) 또는 정인산염(PO4-P)의 농도를 아주 낮게 하기 위해서는 pH를 10 이상으로 하여 아파타이트(Calcium hydroxyapatite; Ca5(OH)(PO4)3)의 형태로 침전시켜야 하는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재는 수처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H가 10 이상으로 증가(1시간 이후부터)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In order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total phosphorus (TP) or phosphates (PO 4 -P) very low, it is necessary to precipitate in the form of apatite (calcium hydroxyapatite; Ca 5 (OH) (PO 4 ) 3 ) As shown in FIG. 8, it was confirmed that the pH of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d to 10 or more (after 1 hour) with the elapse of the water treatment time.

또한, 도 9 내지 도 12, 도 14 내지 도 17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듯이, 수처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처리할 대상이 현저히 감소하며, 그 처리효율이 매우 뛰어난 것임을 확인하였다.As can be seen from the graphs of FIG. 9 to FIG. 12 and FIG. 14 to FIG. 17, it was confirmed that the object to be water treated was remarkably decreased with the elapse of the water treatment time, and the treatment efficiency was remarkably excellen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석회석원료 기반 다공성 수처리재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은, 미처리수 중의 오염물질을 처리함에 있어 석회석원료를 이용하여 부영영화의 직접적인 오염원 등의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특히 시멘트산업의 부산물로서 대량 폐기되고 있는 석회폐석을 활용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 및 환경 오염 방지를 도모할 수 있으며, 수처리 조건을 고려하여 최적으로 수처리할 수 있다.The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limestone raw material-based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efficiently treat pollutants such as direct pollutants of the eutrophic film by using the limestone raw material in treating the pollutants in the untreated water , And recycling of resources and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n be achieved by utilizing lime waste which is being massively discarded as a byproduct of the cement industry, and water treatment can be optimally performed considering water treatment conditions.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석회석원료 기반 다공성 수처리재를 이용한 수처리방법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Specifically, the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limestone raw material-based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본 발명은 가격이 저렴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우리나라에 풍부하게 부존하고 있는 석회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처리재를 통해 수처리하여 호수, 저수지, 연못, 하천 및 연안 등 수체의 부영양화를 방지하고 조류의 대량발생에 따른 물꽃현상을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treatment material which is cheap and easy to handle and which is abundantly present in Korea, and which is mainly composed of limestone to prevent eutrophication of water bodies such as lakes, reservoirs, ponds, rivers and coasts,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water flow phenomenon caused by the mass production of the water flow.

둘째, 본 발명은 국내 시멘트산업의 부산물로서 대량 폐기되고 있는 석회폐석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 자원 재활용 및 환경 오염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econd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cycle the lime waste which is being mass-disused as a by-product of the domestic cement industry,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cycle resources and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셋째, 본 발명은 미처리수 중에 용존성 또는 입자성 물질의 형태로 존재하는 인, 질소와 같은 영양물질 또는 유기성 오염물질을 포함한 각종 오염물질을 응집, 침전 또는 여과시켜 제거하거나 침전·퇴적물로부터 오염물질의 재용출을 방지하는 등 다양한 수처리 메커니즘에 적용할 수 있으며, 부영양화의 직접적인 원인물질인 총인(T-P) 및 정인산염(PO4-P)을 수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어 매우 뛰어난 수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ird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such as phosphorus, nitrogen, or organic contaminants existing in the form of dissolved or particulate matter in untreated water by aggregation, precipitation or filtration, (TP) and polyphosphate (PO 4 -P) which are the direct cause of eutrophication can be removed from the water bodies, thereby providing an excellent water treatment method. have.

넷째, 본 발명은 미처리수 내의 인을 포함하는 오염물질의 농도, 미처리수의 pH, 알칼리도 또는 경도를 포함하는 수질, 처리수량 또는 체류시간을 포함하는 물리적 조건과 같은 수처리 조건을 고려하여 수처리재의 적정한 주입량을 결정함으로써 다양한 오염도와 규모를 갖는 여러 수체에 대하여 범용성이 큰 이점이 있다. Fourth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water-treating agent which is suitable for a water treatment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a water treatment condition such as a concentration of a pollutant including phosphorous in untreated water, pH of untreated water, a water quality including alkalinity or hardness, By determining the amount of injection, there is a great advantage in versatility for various water bodies having various pollution degrees and scales.

다섯째, 본 발명은 미처리수에 직접 살포하거나, 부유 구조물에 담지하여 미처리수가 수류에 의하여 접촉하도록 하거나, 저류지 또는 여과지와 같이 고정의 구조물을 갖추고 이 구조물 내에 체류하거나 내부를 유하하면서 미처리수가 수처리재 또는 수처리재의 용출물질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정화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수처리 공정으로 확대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는 이점이 있다.Fifth,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treated water is directly sprayed on untreated water or is carried on a floating structure so that the untreated wat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ater stream, or a fixed structure such as a reservoir or filter paper is provid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widely applied to a variety of water treatment processes, such as being purified during contact with an eluted material of a water treatment material.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pparent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110: 미처리수 처리 조건 설정 단계
S111: 미처리수 성상 및 처리수량 파악 조사 단계
S112: 처리대상 오염물질 결정 단계
S113: 수처리방식 결정 단계
S120: 석회석원료 기반 수처리재 마련 단계
S121: 수처리용 원재료 마련 단계
S122: 소성 단계
S123: 냉각 단계
S124: 성형 단계
S125: 소석회화 단계
S130: 수처리재 투입 수처리 단계
S140: 수처리공정 모니터링 단계
S150: 목표수질 달성 여부 판단 단계
S160: 수처리 종료
S170: 수처리재 투입량 조정 단계
S110: Unprocessed water processing condition setting step
S111: Identification of untreated aqueous phase and treated amount
S112: Determination of contaminants to be treated
S113: Water treatment method determination step
S120: Preparation of limestone-based water treatment materials
S121: Steps for preparing raw materials for water treatment
S122: Firing step
S123: cooling step
S124: molding step
S125: calcification step
S130: water treatment material input water treatment step
S140: Water treatment process monitoring step
S150: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he target water quality is achieved
S160: Water treatment termination
S170: Step of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treatment material

Claims (16)

수처리할 미처리수의 처리 조건을 파악 설정하는 미처리수 처리 조건 설정 단계;
석회석을 원료로 하는 수처리재를 마련하는 석회석원료 기반 수처리재 마련 단계;
상기 마련된 수처리재를 미처리수에 투입하여 수처리하는 수처리재 투입 수처리 단계;
상기 수처리재에 의해 수처리되는 수처리공정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
상기 수처리공정에서 미처리수가 목표수질에 달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목표수질 달성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목표수질 달성 여부 판단 단계에서 미처리수의 수질이 목표수질에 달성되는 경우, 수처리를 종료하는 종료 단계;를 포함하는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
An untreated water processing condition setting step of setting and setting the processing condition of the untreated water to be treated;
Preparing a limestone raw material-based water treatment material for providing a water treatment material using limestone as a raw material;
A water treatment material input water treatment step of putting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into the untreated water and water treatment;
A monitoring step of monitoring a water treatment process which is water-treated by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ntreated water is achieved in the target water quality in the water treatment step; And
And terminating the water treatment when the quality of the untreated water is achieved in the target water quality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rget water quality is achieved or not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remo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처리수 처리 조건 설정 단계는
미처리수의 성상(性狀) 및 처리수량을 조사하고, 처리대상 오염물질을 결정하며, 수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대상 오염물질을 결정하는 것은 미처리수에 용존성 또는 입자성 물질의 형태로 존재하는 인, 질소를 포함하는 영양물질, 유기성 오염물질 또는 클로로필 a를 포함하는 조류 기인 수질항목 중 목표수질에 대한 미달정도가 상대적으로 큰 오염물질을 대상으로 하여 결정하며,
상기 수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수처리재를 직접 살포하거나 부유 구조물에 담지하여 미처리수가 수류에 의해 접촉하도록 하거나, 상기 수처리재를 고정 구조물 내에 체류시키거나 내부에서 유하되면서 미처리수가 접촉되도록 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결정되는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treated water treatment condition setting step
Determining the nature of the untreated water and the treated water, determining the contaminants to be treated, and determining the water treatment mode,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aminants to be treated may be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target water quality of the water quality items, such as phosphorus, nitrogen-containing nutrients, organic contaminants or chlorophyll-a that are present in the form of dissolved or particulate matter in the untreated water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latively large pollutants,
In order to determine the water treatment method,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is directly sprayed or supported on a floating structure so that the untreated wat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ater stream, or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is allowed to stay in the fixed structure, Determined in one way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remo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미처리수 내의 총인 및 정인산염 농도, 클로로필 a의 농도 및 조류 세포수, pH, 알칼리도 또는 경도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목표수질 달성 여부 판단 단계에서 목표수질은 총인의 농도가 0.0~1.0 mg/L의 범위, 정인산염의 농도가 0.0~1.0 mg/L의 범위, 클로로필 a의 농도가 0.0~100.0 μg/L의 범위, 조류 세포수가 0~100만 세포/mL의 범위, pH가 8.0~12.5의 범위, 알칼리도는 30~150 mg/L(as CaCO3)의 범위, 경도는 200 mg/L(as CaCO3) 이하의 범위 내의 소정의 설정값으로 이루어지는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nitoring step comprises monitoring the change in total phosphorus and phosphate concentration, chlorophyll a concentration and algal cell number, pH, alkalinity or hardness in the untreated water,
In the determination step of the target water quality, the target water quality is in the range of 0.0-1.0 mg / L of total phosphorus, 0.0-1.0 mg / L of the phosphate concentration, 0.0-100.0 μg / L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 (As CaCO 3 ), the range is from 0 to 1 million cells / mL, the pH is in the range from 8.0 to 12.5, the alkalinity is in the range from 30 to 150 mg / L (as CaCO 3 ) And a predetermined set value within the following range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remo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수질 달성 여부 판단 단계에서 미처리수의 수질이 목표수질에 달성되지 않은 경우, 수처리재 투입량을 조정하여 수처리재를 추가 투입하는 수처리재 투입량 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ater treatment material input amount adjusting step of adjusting the input amount of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and further adding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when the water quality of the untreated water is not achieved in the target water quality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arget water quality is achieved,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remov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재 투입량 조정 단계에서 투입되는 수처리재의 투입량은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모니터링하고 있는 항목의 수질이 상기 목표수질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양으로 결정되되, pH, 알칼리도 또는 경도가 상기 목표수질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양으로 결정되는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put amount of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input in the water treatment material input amount adjustment step is determined by the amount required for the water quality of the item monitored in the monitoring step to reach the target water quality, and the pH, alkalinity or hardness reaches the target water quality Determined by the amount of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remov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수질은 총인의 농도가 0.0~1.0 mg/L의 범위, 정인산염의 농도가 0.0~1.0 mg/L의 범위, 클로로필 a의 농도가 0.0~100.0 μg/L의 범위, 조류 세포수가 0~100만 세포/mL의 범위, pH가 8.0~12.5의 범위, 알칼리도는 30~150 mg/L(as CaCO3)의 범위, 경도는 200 mg/L(as CaCO3) 이하의 범위 내의 소정의 설정값으로 이루어지는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arget water quality is in the range of 0.0-1.0 mg / L of total phosphorus, 0.0-1.0 mg / L of the phosphate concentration, 0.0-100.0 μg / L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 1 million cells / mL range, the range of pH 8.0 ~ 12.5, the alkalinity is 30 ~ 150 mg / L (as CaCO 3) range, the hardness is 200 mg / L (as CaCO 3 ) predetermined settings in the range of not more than the Value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removal.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석회석원료 기반 수처리재 마련 단계는, 석회석 원재료를 마련하는 수처리용 원재료 마련 단계와, 상기 마련된 석회석 원재료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소성하여 일부가 생석회 성분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소성 단계, 및 상기 소성 단계에서 소성된 소성품을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로 마련되는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step of preparing the limestone raw material-based water treatment material includes a raw material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limestone raw material, a sintering step of heating and calcining the prepared limestone raw material at a high temperature to convert a part of the limestone raw material into a quicklime component, And a cooling step for cooling the fired product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remov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원재료 마련 단계에서 마련된 수처리 원재료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molding step of molding the water treatment raw material prepared in the water treatment raw material preparing step into a predetermined shape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remov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용 원재료 마련 단계에서 마련되는 석회석 원재료는 석회석을 주성분으로 하고 돌로마이트,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또는 산화철을 부성분으로 하는 1mm 이하의 입경을 갖는 석회석 미분 또는 1mm에서 수cm의 입경을 갖는 석회석 골재를 석회석 원재료로 하여 마련되고,
상기 성형 단계에서 성형되는 성형품은 분말상, 부정형의 입상형, 구형, 펠릿(pellet)형, 각기둥형 또는 다면체형 중 적어도 하나로 성형되며,
상기 소성품 냉각 단계는 소성품을 상온까지 냉각시키는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imestone raw material to be provided in the water treatment raw material preparing step is a limestone raw material mainly composed of limestone and containing dolomite, silicon dioxide, aluminum oxide or iron oxide as a subcomponent, or a limestone aggregate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 mm to several cm, Limestone raw material,
The molded product to be molded in the molding step may be molded into at least one of powder, amorphous, granular, spherical, pellet, prismatic or polyhedral,
The fired product cooling step includes cooling the fired product to room temperature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remov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용 원재료 마련 단계는 상기 소성 단계에서 소성이 과도하게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회석 원재료에 과 소성 방지제가 혼합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과 소성 방지제는 염화나트륨이며, 석회석 원재료 대비 1% 이내로 혼합되는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preparing the water treatment raw material includes mixing the limestone raw material with an anti-plasticizer to prevent the calcination from proceeding excessively in the calcining step,
The overaging inhibitor is sodium chloride, and is mixed within 1% of the limestone raw material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remov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 단계는
상기 소성품의 석회석 성분과 생석회 성분의 중량비가 각각 5% ~ 95%의 범위 내에 분포하도록 소성 조건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ing step
And controlling the firing conditions such that the weight ratio of the limestone component to the quicklime component of the fired product is in the range of 5% to 95%, respectively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remova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 조건의 조절은 소성 온도와 소성 시간의 조절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소성 온도는 700℃~1,250℃의 범위이며,
상기 소성 시간은 24시간 이내로 이루어지는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of the firing condition i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firing temperature and the firing time,
The firing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700 ° C to 1,250 ° C,
The firing time is within 24 hours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remov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 단계는
소성 과정에서 수증기가 유입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ing step
Further comprising the influx of water vapor during the firing process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remov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품의 특성을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성품의 특성 조절은 상기 소성 단계에서 저온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승온시키고 소성이 종료된 다음 단계적으로 냉각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djusting properties of the fired artic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ed product are controlled by gradually raising the temperature from a low temperature in the firing step and cooling the fired product after the firing is completed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remov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품의 특성을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소성품의 특성 조절은 돌로마이트,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또는 산화철을 포함하는 부성분의 중량비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부성분의 중량비의 조절은 원재료를 교체하거나 또는 부성분의 함유량이 다른 하나 이상의 재료를 상기 원재료에 혼합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부성분의 중량비는 소성품 전체 중량의 80% 이하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djusting properties of the fired article,
The characteristic of the fired product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weight ratio of the subcomponent including dolomite, silicon dioxide, aluminum oxide or iron oxide,
The weight ratio of the subcomponent is adjusted by replacing the raw material or by mixing one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ontents of the subcomponents into the raw material,
The weight ratio of the subcomponent is in a range of 80% or less of the total weight of the fired product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remov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단계에서 냉각된 소성품에 포함된 생석회 성분을 소석회 성분으로 전환시키는 소석회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석회화 단계는 냉각된 소성품을 물과 접촉시켜 생석회 성분을 소석회 성분으로 전환하는 수화반응을 유도하여 이루어지는
조류제거를 위한 수처리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calcification step of converting the quicklime component contained in the fired product cooled in the cooling step to a slaked lime component,
Wherein the calcination step comprises contacting the cooled fired product with water to induce a hydration reaction for converting the quicklime component into a slaked lime component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e removal.
KR1020170054921A 2016-05-09 2017-04-28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l removing KR2017012640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312 2016-05-09
KR20160056312 2016-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401A true KR20170126401A (en) 2017-11-17

Family

ID=6080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921A KR20170126401A (en) 2016-05-09 2017-04-28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l remov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640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8911A (en) * 2018-01-09 2018-06-01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Large-size lake subregion water quality objective formulating method based on aquatic ecosystem heal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8911A (en) * 2018-01-09 2018-06-01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Large-size lake subregion water quality objective formulating method based on aquatic ecosystem heal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40878B (en) Advanced treatment method for fluorine-containing wastewater
KR101169563B1 (en) An inorganic coagulant comprising waste plaster, starfish powder, shell powder and clay mineral
ZA200103123B (en) Lanthanide halide water 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CN101774669B (en) Composite dephosphorizing agent for treating acidic wastewater containing phosphorus and preparation and application methods thereof
WO2021054116A1 (en) Phosphorus adsorbent
KR20010052328A (en) Method for treating waters, soils, sediments and/or sludges
KR100839589B1 (en) Producting method of liquefied water treatment material for removal of suspend solid, nitrate, phosphate and stench
KR20020067084A (en) Water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material of high adsorption
KR10133486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rous pellet type water treatment agent
CN104692514A (en) Granular mineralizer for conditioning desalted water as well a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granular mineralizer
KR101294512B1 (en) The Method For The Treatment Of The Waste Water Containing Manganese Using The Media Comprising Waste Oyster shells
KR20170126401A (en) Water treatment method for algal removing
KR100845521B1 (en) Media of constructed wetland for the treatment of municipal wastewater and preparation methods thereof
KR101656665B1 (en) Phosphorus removal and withdrawal system using multifuntional granular seed crystal and phosphorus removal or withdrawal method using the same
KR101656667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based on limestone base material and porous water treatment material using the method
KR20170124097A (en) Water treatment method for preventing eutorphication
Zong et al. Research status of soda residue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pollution control
KR101851674B1 (en) Green algae Removing Agent Using Dolomi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19777B1 (en) Solid material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fabricating method the same
CN111704396B (en) Method for preparing environment-friendly brick from sewage sludge
CN111644144B (en) Water dephosphorization magnetic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N108502996A (en) A kind of ecological flocculant of quick processing cyanobacteria water bod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rocessing method
KR101413412B1 (en) Calcium Aluminosilicate Composition for Removing Nitrogen and Phosporus in Water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0886737B1 (en) Functional media and manufacture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briquet ashes
KR100418997B1 (en) An absorbant of eliminating posphor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