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556A -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556A
KR20170125556A KR1020160055443A KR20160055443A KR20170125556A KR 20170125556 A KR20170125556 A KR 20170125556A KR 1020160055443 A KR1020160055443 A KR 1020160055443A KR 20160055443 A KR20160055443 A KR 20160055443A KR 20170125556 A KR20170125556 A KR 20170125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image
wearable device
user
pho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294B1 (ko
Inventor
이준학
원형철
이재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5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294B1/ko
Priority to PCT/KR2017/004366 priority patent/WO2017191920A1/en
Priority to EP17792823.1A priority patent/EP3452942A4/en
Priority to US15/581,657 priority patent/US10339354B2/en
Publication of KR2017012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06K9/0004
    • G06K9/0088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70Multimodal biometrics, e.g. combining information from different biometric modalities
    • G06K2009/0093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플렉서블한 면광원(flexible surface light source),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의 상면에 위치하는 포토 패널(photo panel), 그리고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 및 상기 포토 패널과 커플링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을 제어하여 제1생체 이미지를 디텍트하고, 메모리에 기저장된 제2생체 이미지와 상기 디텍트된 제1생체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플렉서블한 면광원 및 포토 패널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생체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다.
정맥 인증 기술은 사람마다 다른 정맥 혈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조사하고 이미지 센서로 촬영한 뒤, 검게 표시되는 혈관 패턴을 추출하여 개인을 구분하는 기술이다.
정맥 인증 기술은 분실의 위험이 없고 해킹 위험에 있어서도 대응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분야이다.
정맥 인증 기술은 높은 내위조성, 낮은 타인수용율(FAR: False Acceptance Rate), 낮은 본인거부율(FRR: False Rejection Rate) 및 낮은 등록실패율(FER: Failure to Enroll Rate)로 인해 고도 보안 분야(국방, 관공서, 은행)에 적용되고 있으며 지문 기술 대비 높은 정확도로 인해 일반 분야에서도 활발히 적용이 검토 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정맥 인증은 손바닥, 손가락 정맥의 비접촉 센싱을 통해 개인을 구분한다.
종래의 정맥 인증 기술은 이미지 센서와 광학계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촬영하는 방식이며 이미지화 소자 및 광원 배치의 제약으로 센서 모듈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정맥 인증은 비접촉 센싱에 의하므로 모바일 기기 등에 장착하기에 한계가 있다. 특히,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종래 기술을 적용한다면, 정맥인증을 위하여 사용자가 반드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신체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모바일 기기 등에 장착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센서에 사용자의 생체를 접촉한 상태로 정맥 이미지를 디텍트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생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접촉 방식으로 정맥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정맥 인증 프로세스 수행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소형화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플렉서블한 면광원(flexible surface light source) 및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의 상면에 위치하는 포토 패널(photo panel); 그리고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 및 상기 포토 패널과 커플링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을 제어하여 제1생체 이미지를 디텍트하고, 메모리에 기저장된 제2생체 이미지와 상기 디텍트된 제1생체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생체 이미지는 상기 포토 패널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 중 어느 하나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접한 상태로 디텍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은 순차적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광 출사부 또는 백색광 출사부;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외선광 또는 백색광 중 적어도 하나가 출사되도록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의 일측에 위치하는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적외선광 또는 상기 백색광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을 제어하여 정맥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적외선광이 출사되도록 컨트롤 하고,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을 제어하여 지문 이미지 또는 장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백색광이 출사되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포토 패널은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1 포토 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의 하면에 위치하는 제2 포토 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포토 패널,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 및 상기 제2 포토 패널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을 제어하여 상기 적외선광 및 상기 백생광이 함께 출사되도록 컨트롤 하고, 상기 포토 패널은 상기 제1 포토 패널 통하여 정맥 이미지를 획득하면서, 함께 상기 제2 포토 패널을 통하여 지문 이미지 또는 장문 이미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밴드이고,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 및 상기 포토 패널이 상기 밴드의 안쪽 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포토 패널이 3차원 정맥 이미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별로 요구되는 보안 레벨에 따라 정맥 이미지를 요구하거나, 또는 정맥 이미지 및 지문 이미지를 함께 요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반지에 해당하고, 상기 포토 패널은 예를 들어 TFT 패널에 해당한다.
사물 인터넷 시대가 도래하면서 생체 인증 기술의 개발도 동시에 활발해져 밴드, 와치 형태의 생체 정보 수집 장치가 늘어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홍채, 지문, 손가락 정맥, 손등 정맥 인식 기술은 비접촉 센싱에 의하므로 사용자가 반드시 디바이스를 신체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시켜야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접촉 방식으로 생체 이미지를 디텍트한다. 그에 따라 소형화가 가능하고, 빠르고 편리하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밴드 타입 또는 와치 타입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무자각, 비개입형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 예인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다른 일 예인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2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지문 관련 이미지를 획득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정맥 관련 이미지를 획득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지문 관련 이미지 및 정맥 관련 이미지를 함께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3차원 정맥 이미지를 획득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원리에 따라 획득된 3차원 정맥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다른 일 실시예 또는 또 다른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성 요소 및 컨트롤러의 구성 요소간 결합 관계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다른 일 실시예 또는 또 다른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하는 본체(101) 및 본체(1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102)를 포함한다.
본체(1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101a) 및 제2케이스(1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1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제1 케이스(1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1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1)에는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마이크로폰(122), 사용자 입력부(1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1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1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102)는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1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102)에는 파스너(fastener; 1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1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1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2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200)는 인체의 두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한 프레임부(케이스, 하우징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부가 서로 다른 재질의 제1 프레임(201)과 제2 프레임(202)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프레임부는 두부에 지지되며,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에는 제어 모듈(280), 음향 출력 모듈(252) 등과 같은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에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렌즈(20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부품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도면에서는, 제어 모듈(280)이 일측 두부 상의 프레임부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제어 모듈(28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HMD 형태란, 두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말한다. 사용자가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200)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51)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사용자의 우안을 향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51)가 우안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투사된 이미지와 전방의 일반 시야(사용자가 눈을 통하여 바라보는 범위)를 함께 볼 수 있도록, 프리즘은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251)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은, 일반 시야와 오버랩(overlap)되어 보여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다. 카메라(221)가 눈에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카메라(221)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장면을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카메라(221)가 제어 모듈(280)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221)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입체 영상을 획득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200)는 제어명령을 입력 받기 위하여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223a, 223b)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3a, 223b)는 터치, 푸시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하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부와 제어 모듈(280)에 각각 푸시 및 터치 입력 방식의 사용자 입력부(223a, 223b)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200)에는 사운드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는 마이크로폰(미도시)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2)이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일반적인 음향 출력 방식 또는 골전도 방식으로 음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이 골전도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0)를 착용시, 음향 출력 모듈(252)은 두부에 밀착되며, 두개골을 진동시켜 음향을 전달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플렉서블한 면광원 및 포토 패널이 사용자의 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플렉서블한 면광원(300)과 광 출사부(305)와 포토 패널(320)을 포함하고 있다.
플렉서블한 면광원(300)은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으로 복수의 광 출사부(305) 및 반사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반사부는 플렉서블한 면광원에 수직한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도록 플렉서블한 면광원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이와 다르게 플렉서블한 면광원(300)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방식으로 구비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포토 패널(320)은 예를 들어, Active type의 TFT(Thin Film Transistor) 포토 패널로 구비되어 각각의 TFT 포토 패널의 셀(335) 단위로 신호를 획득한다.
한편, 이와 다르게 포토 패널(320)이 Passive type의 포토 패널로 구비되어 Line-by-Line 방식으로 신호를 획득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3에서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플렉서블한 면광원(300)과 포토 패널(320)을 서로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플렉서블한 면광원(300)의 상면에 포토 패널(320)이 바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플렉서블한 면광원(300)과 사용자의 생체(330)가 최대한 밀착됨으로써 출사된 광(310)의 표면 반사가 최소화될 때 포토 패널(320)이 생체 이미지를 정확히 디텍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생체(330)가 생체 인증 장치에 접촉된 상태로 사용자의 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생체(330)와 포토 패널(320)이 직접적으로 연접된 상태로 이미지가 획득되지만, 소정의 간격(실험적으로는 0mm에서 0.5mm 내외)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생체 이미지는 획득될 수 있고, 소정의 간격 하에서 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실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포토 패널(320)과 사용자의 생체(330) 사이에 보호 패널(미도시)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생체 인증 장치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촬영하는 방식으로 인증이 이루어지므로, 인증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반드시 벗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접촉식, 또는 초근접식 촬영 방식과는 기술적으로 명백히 구별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광(310)이 출사되고 사용자의 생체(330)로부터 반사되어 포토 패널(320)에 도달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플렉서블한 면광원(300)에 수직한 방향으로 출사된 광(310)은 사용자의 생체(330)에 도달한다. 사용자의 정맥(325)에 존재하는 헤모글로빈은 일정한 파장 영역의 광을 흡수하는데, 흡수되지 않고 반사된 광(315)은 포토 패널(320)에 의해 디텍트된다. 즉, 사용자의 혈관 패턴 정보가 포토 패널(320)에서 수집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200)로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한 면광원(300) 및 포토 패널(320)은 소형화, 슬림화가 가능하므로 도 2의 글래스 타입 이동 단말기(200)의 제1 프레임(201) 또는 제2 프레임(202)에서 구비되어 동작할 수 있다. 즉, 인체의 두부에 장착된 상태로 제1 프레임(201) 또는 제2 프레임(202)과 접촉되는 사용자의 생체 이미지를 디텍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반지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한 면광원(300) 및 포토 패널(320)은 소형화, 슬림화가 가능하므로 반지의 안쪽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반지를 장착한 상태에서 손가락의 정맥 이미지 등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플렉서블한 면광원(300) 및 포토 패널(320)과 커플링되는 컨트롤러는, 반지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완전히 밀착되어 장착되었을 때 동기 구동 신호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장치는 도 3에서 도시된 광학 방식이 아닌 초음파 방식에 의하여 사용자의 생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밴드 타입 웨어러블 디바이스(420)는 도 1의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1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한 면광원(400)과 포토 패널(405)은 밴드(410)의 안쪽 면에 구비된다. 플렉서블한 면광원(400)과 함께 동작하기 위하여 포토 패널(405) 또한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플렉서블한 면광원(400) 및 포토 패널(405)과 커플링되는 컨트롤러(미도시)는 도 1의 본체(15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도 4의 본체(415)에서 구비될 수 있다.
밴드(410)의 안쪽 면에 플렉서블한 면광원(400)과 포토 패널(405)이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밴드 타입 웨어러블 디바이스(420)를 착용하면 사용자의 생체 이미지를 디텍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생체 인증 장치가 적용된 밴드 타입 웨어러블 디바이스(420)를 착용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생체는 항상 생체 인증 장치와 접촉된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비용 결제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동작이 필요 없이 무자각 인증이 가능하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에서는, multimodality가 구현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지문 관련 이미지 또는 정맥 관련 이미지를 획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지문 관련 이미지를 획득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multimodality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플렉서블한 면광원(505)이 백색광(520)을 출사하여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515)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플렉서블한 면광원(505), 포토 패널(510), 포토 패널의 셀(507)의 구조 및 배치는 전술한 도 3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이해될 수 있다.
광 출사부(500)에서는 백색광(520)이 출사되어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백색광(520)에는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색 중 적어도 하나의 색깔의 빛이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의 생체(530)에 의하여 반사된 백색광(525)은 포토 패널(510)에 의해 디텍트된다. 디텍트된 사용자의 생체 이미지는 정맥 이미지를 일부 포함할 수 있으나 주로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515) 또는 장문 이미지이다. 즉, 백색광(525)에 의하여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515)를 효율적으로 디텍트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정맥 관련 이미지를 획득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multimodality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플렉서블한 면광원이 적외선광(660)을 출사하여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655)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플렉서블한 면광원(645), 포토 패널(650), 포토 패널의 셀(653)의 구조 및 배치는 전술한 도 3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이해될 수 있다.
광 출사부(640)에서는 적외선광(660)이 출사되어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획득하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적외선광(660)은 파장이 0.7㎛ 내지 1000㎛인 광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생체(670)에 의하여 반사된 적외선광(665)은 포토 패널(650)에 의해 디텍트된다. 디텍트된 사용자의 생체 이미지는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655)일 수 있다. 디텍트된 사용자의 생체 이미지는 지문 이미지를 일부 포함할 수 있으나 주로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655)이다. 즉, 적외선광(660)에 의하여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655)를 효율적으로 디텍트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사용자의 생체(670)가 손가락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손가락 이외에 손목 등 다른 생체 부위의 정맥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렉서블한 면광원(710), 제1 포토 패널(700) 및 제2 포토 패널(705)이 밴드 타입 웨어러블 디바이스(720)에 적용되어 multimodality가 구현되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도 5에서 설명한 지문 이미지 획득 모드 및 도 6에서 설명한 정맥 이미지 획득 모드가 밴드 타입 웨어러블 디바이스(720) 상에서 함께 제공되어 multimodality가 구현될 수 있다.
플렉서블한 면광원(710)을 기준으로 밴드의 안쪽 면에는 제1 포토 패널(700)이, 밴드의 바깥쪽 면에는 제2 포토 패널(705)이 위치한다.
플렉서블한 면광원(710), 제1 포토 패널(700) 및 제2 포토 패널(705)과 커플링되는 컨트롤러(미도시)는 예를 들어, 도 1의 본체(15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도 7의 본체(715)에서 구비된다.
컨트롤러의 제어 하에서 플렉서블한 면광원(710)의 광 출사부(미도시)는 적외선광 또는 백색광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사하거나, 또는 함께 출사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밴드 타입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밴드 안쪽 면에 구비된 제1 포토 패널(700)은 정맥 이미지를 획득하고, 디바이스를 착용하지 않은 손의 손가락을 밴드 바깥쪽 면에 구비된 제2 포토 패널(705)에 올려 놓음으로써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생체 인증 장치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촬영하는 방식으로 인증이 이루어 지므로, 인증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반드시 벗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접촉식, 또는 초근접식 촬영 방식과는 기술적으로 명백히 구별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하면, 사용자가 밴드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밴드 바깥쪽에 구비되는 제2 포토 패널(705)에 디바이스를 착용하지 않은 손의 손가락으로 압력을 가했을 때, 컨트롤러가 동기 구동 신호를 발생시켜 지문 이미지와 정맥 이미지를 함께 디텍트 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바이스를 착용하지 않은 손의 손가락으로 제2 포토 패널(705)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지문 이미지 또는 정맥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디텍트하는 모드와 지문 이미지 및 정맥 이미지를 함께 디텍트하는 모드 사이의 전환을 직관적이고, 쉽게 할 수 있다.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지문 관련 이미지 및 정맥 관련 이미지를 함께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multimodality가 구현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와 정맥 이미지를 함께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8에서는 적외선광 출사부(830)와 백색광 출사부(825)가 별개의 층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플렉서블한 면광원 상에서 함께 구비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 포토 패널(845)을 통하여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860)를 획득하고, 함께 제2 포토 패널(835)을 통하여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855)를 획득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기능별로 요구되는 보안 레벨에 따라 지문 이미지(855) 또는 정맥 이미지(860)중 어느 하나를 요구하거나 또는 정맥 이미지(860) 및 지문 이미지(855)를 함께 요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용 결제, 전자 상거래 등 고도의 보안 레벨이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855) 및 정맥 이미지(860)를 함께 입력하도록 요구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보안 레벨이 요구되는 음악 듣기, 사진 보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문 이미지(855) 또는 정맥 이미지(860) 중 어느 하나만 요구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표 1] 참고). [표 1]에서 도시된 보안 레벨(LEVEL 0-2)은 예시적인 것이고, 사용자가 이와 다르게 보안 레벨을 설정하는 것 또한 당연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기능 정맥 이미지 지문 이미지
LEVEL 0 사진 보기 요구하지 않음 요구함
LEVEL 1 메일, 일정 확인 요구함 요구하지 않음
LEVEL 2 은행 업무 요구함 요구함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인증 장치가 적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앞서 설명한 비용 결제, 전자 상거래, 음악 듣기, 웹서핑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의 본체(101), 도4의 본체(415) 또는 도7의 본체(715)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3차원 정맥 이미지를 획득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의 손(900)에 착용된 밴드 타입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단면도(905)에 의하면, 밴드 타입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플렉서블한 면광원(920) 및 포토 패널(915)은 밴드의 안쪽 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포토 패널(915)은 예를 들어, 플렉서블한 TFT 포토 패널이다.
본체(925)에서 구비되는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플렉서블한 면광원(920)은 적외선 광을 출사하고, 포토 패널(915)은 사용자의 3차원 정맥 이미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원리에 따라 획득된 3차원 정맥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정맥 인증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일 부분에 대하여 반사형 또는 투과형 촬영 방식으로 2차원 정맥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하면, 밴드의 안쪽 면을 따라 포토 패널(915)이 연속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목의 3차원 정맥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 의한 정맥 인증 기술은 사용자의 생체에 상처가 있는 경우에는 정확한 이미지 획득이 어렵고, 매우 낮은 온도에서는 혈관 수축으로 인하여 선명한 이미지 획득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손목 둘레를 따라 이미지를 촬영하므로 2차원 정맥 이미지보다 많은 혈관 패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디바이스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생체에 상처가 있거나 매우 낮은 온도에서도 사용자 인증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다른 일 실시예 또는 또 다른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도이다.
사용자의 표피(1103)가 보호 패널(1105)을 통하여 포토 패널(미도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접한 상태에서, 컨트롤러(미도시)는 Transmitter(1107)의 센싱 타이밍을 제어하여 Receiver(1109)가 사용자의 정맥(1101)을 스캔하도록 한다. 상기 센싱 타이밍은 Receiver(1109)가 초당 몇 프레임의 생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ROIC(1121, Readout IC)에서 구비되는 Analogue-Digital Converter(ADC)는 스캔한 사용자의 정맥 이미지를 디지털화 하여 미가공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미가공 데이터는 이미지 처리부(1113)로 전송된다. 이미지 처리부(1113)는 화질 개선, 영상 처리 등의 데이터 후처리 과정을 거쳐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여 생체 인증 처리부(1115)로 전송한다. 생체 인증 처리부(1115)는 가공 데이터를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생체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인증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컨트롤러 및 전체 시스템내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겠다. 다만, 도 12에 도시된 각각의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 또는 삭제하여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며,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따라 권리범위가 확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다른 일 실시예 또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 생체 이미지의 최초 등록시 다양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서로 다른 보안 레벨을 설정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와 정맥 이미지를 함께 등록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지문 이미지 또는 정맥 이미지 중 어느 하나만 등록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지문 이미지에 있어서, 각 손가락별로 지문을 등록할 수 있고, 등록된 각 손가락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방식을 자유롭게,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성 요소 및 컨트롤러의 구성 요소간 결합 관계를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컨트롤러의 구성과 생체 이미지 획득을 위해 컨트롤러가 다른 구성들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컨트롤러(1216)는 중앙 연산 처리 장치(1214), 이미지 처리부(1210), 생체 인증 처리부(1212)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컨트롤러가 3개의 구성 요소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모듈로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인터페이스(1222)와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컨트롤러(1216)는 플렉서블한 면광원(1218) 및 포토 패널(1202)의 센싱 타이밍을 제어하고, ROIC(1208) 및 Gate IC(1206)의 동기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동기 구동 신호가 발생하면, 포토 패널(1202)은 사용자의 생체(1200)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이미지(1204)를 획득한다. 사용자의 생체 이미지(1204)는 ROIC(1208)로 전송된다.
컨트롤러(1216)의 일 구성인 이미지 처리부(1210) 및 생체 인증 처리부(1212)에 의한 데이터 처리 과정 및 등록, 인증 처리 과정은 전술한 도 11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다른 일 실시예 또는 또 다른 일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1 사용자의 제1 생체 이미지를 디텍트한다.(S13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디텍트된 제1 생체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13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제2 사용자의 제2 생체 이미지를 디텍트한다.(S13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1 생체 이미지와 상기 디텍트된 제2 생체 이미지를 비교한다.(S13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생체 이미지와 상기 제2 생체 이미지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다.(S1305)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도 7의 본체부(715)에서 별도의 진동 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소자 등에 의해 제1 생체 이미지와 제2 생체 이미지가 불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이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진동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즉각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실패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300 : 플렉서블한 면광원
320 : 포토 패널
420 : 밴드 타입 웨어러블 디바이스
515 : 지문 이미지
655 : 정맥 이미지
1216 : 컨트롤러

Claims (10)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플렉서블한 면광원(flexible surface light source);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의 상면에 위치하는 포토 패널(photo panel); 그리고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 및 상기 포토 패널과 커플링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을 제어하여 제1생체 이미지를 디텍트하고, 메모리에 기저장된 제2생체 이미지와 상기 디텍트된 제1생체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생체 이미지는,
    상기 포토 패널 및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 중 어느 하나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접한 상태로 디텍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은,
    순차적으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광 출사부 또는 백색광 출사부;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외선광 또는 백색광 중 적어도 하나가 출사되도록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의 일측에 위치하는 반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적외선광 또는 상기 백색광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을 제어하여 정맥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적외선광이 출사되도록 컨트롤 하고,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을 제어하여 지문 이미지 또는 장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백색광이 출사되도록 컨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 패널은,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1 포토 패널 및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의 하면에 위치하는 제2 포토 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포토 패널,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 및 상기 제2 포토 패널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을 제어하여 상기 적외선광 및 상기 백생광이 함께 출사되도록 컨트롤 하고,
    상기 포토 패널은,
    상기 제1 포토 패널 통하여 정맥 이미지를 획득하면서, 함께 상기 제2 포토 패널을 통하여 지문 이미지 또는 장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밴드이고,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 및 상기 포토 패널이 상기 밴드의 안쪽 면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포토 패널이 3차원 정맥 이미지를 디텍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별로 요구되는 보안 레벨에 따라
    정맥 이미지를 요구하거나, 또는 정맥 이미지 및 지문 이미지를 함께 요구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반지이고,
    상기 포토 패널은 TFT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플렉서블한 면광원 및 포토 패널을 통하여 제1 사용자의 제1 생체 이미지를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디텍트된 제1 생체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플렉서블한 면광원 및 상기 포토 패널을 통하여 제2 사용자의 제2 생체 이미지를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1 생체 이미지와 상기 디텍트된 제2 생체 이미지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제2 사용자가 동일인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60055443A 2016-05-04 2016-05-04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480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443A KR102480294B1 (ko) 2016-05-04 2016-05-04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PCT/KR2017/004366 WO2017191920A1 (en) 2016-05-04 2017-04-25 Wear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7792823.1A EP3452942A4 (en) 2016-05-04 2017-04-25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5/581,657 US10339354B2 (en) 2016-05-04 2017-04-28 Wear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443A KR102480294B1 (ko) 2016-05-04 2016-05-04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556A true KR20170125556A (ko) 2017-11-15
KR102480294B1 KR102480294B1 (ko) 2022-12-23

Family

ID=6020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443A KR102480294B1 (ko) 2016-05-04 2016-05-04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39354B2 (ko)
EP (1) EP3452942A4 (ko)
KR (1) KR102480294B1 (ko)
WO (1) WO20171919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0258A1 (ko) * 2021-05-13 2022-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내장형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0120B2 (en) 2008-01-03 2013-12-03 Apple Inc. Personal computing device control using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US9002322B2 (en) 2011-09-29 2015-04-07 Apple Inc.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US9898642B2 (en) 2013-09-09 2018-02-2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US10043185B2 (en) 2014-05-29 2018-08-0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KR102301599B1 (ko) * 2017-09-09 2021-09-10 애플 인크. 생체측정 인증의 구현
US11170085B2 (en) 2018-06-03 2021-11-09 Apple Inc. Implementation of biometric authentication
US10860096B2 (en) 2018-09-28 2020-12-08 Apple Inc. Device control using gaze information
US11100349B2 (en) 2018-09-28 2021-08-24 Apple Inc. Audio assisted enrollment
KR102671087B1 (ko) * 2018-12-31 2024-05-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방식 지문 인식 디스플레이 및 그 작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6131A1 (en) * 2013-01-07 2014-07-10 Salutron, Inc.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wrist vein pattern
US8811682B2 (en) * 2009-03-26 2014-08-19 Seiko Epson Corporation Fingerprint and finger vein image capturing and authentication apparatuses
US20140301610A1 (en) * 2002-05-09 2014-10-09 Sony Corporation Compact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ology of imaging and detecting living-tissue patterns
US20160117563A1 (en) * 2014-10-23 2016-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ser using vein patter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1903A (ja) * 2007-07-25 2009-02-12 Sony Corp 生体認証装置
US9410979B2 (en) * 2014-09-23 2016-08-09 Fitbit, Inc. Hybrid angular motion sensors
EP3023908B1 (en) 2014-11-21 2020-10-21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identifying biometric featur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01610A1 (en) * 2002-05-09 2014-10-09 Sony Corporation Compact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ology of imaging and detecting living-tissue patterns
US8811682B2 (en) * 2009-03-26 2014-08-19 Seiko Epson Corporation Fingerprint and finger vein image capturing and authentication apparatuses
US20140196131A1 (en) * 2013-01-07 2014-07-10 Salutron, Inc.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wrist vein pattern
US20160117563A1 (en) * 2014-10-23 2016-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ser using vein patter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0258A1 (ko) * 2021-05-13 2022-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내장형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23141A1 (en) 2017-11-09
EP3452942A4 (en) 2020-01-01
KR102480294B1 (ko) 2022-12-23
WO2017191920A1 (en) 2017-11-09
US10339354B2 (en) 2019-07-02
EP3452942A1 (en)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0294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1796660B1 (ko) 지문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US997448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8738267B (zh) 包括防水结构的电子设备
US10732574B2 (en) Watch 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10518B1 (ko) 생체 센서 및 생체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
CN107071136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992835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11452459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biosensor
CN106303406B (zh) 移动终端
WO2019237872A1 (zh) 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US10595407B2 (en) PCB laminated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WO2019178793A1 (zh) 屏下生物特征识别装置和电子设备
KR102330999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3798896B1 (en) Lens system, fingerprint recognition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US20170119262A1 (en) Mobile terminal
CN108459664B (zh) 包括生物传感器的电子设备
US20160292506A1 (en) Cameras having an optical channel that includes spatially separated sensors for sensing different parts of the optical spectrum
CN210038817U (zh) 光学指纹识别装置、生物特征识别的装置和电子设备
US11175734B1 (en) Wrist tracking devices
KR20200004724A (ko) 생체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된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상태에 기반하여, 생체 정보와 관련된 인증을 수행 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CN113534459A (zh) 用于头戴式设备的透镜安装结构
KR2016001746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3260951A (zh) 基于指距或手接近的淡入用户界面显示
US20240061252A1 (en) Head-Mounted Device With Optical Module Illumin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