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159A - 정수기의 필터조립체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필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159A
KR20170125159A KR1020160054665A KR20160054665A KR20170125159A KR 20170125159 A KR20170125159 A KR 20170125159A KR 1020160054665 A KR1020160054665 A KR 1020160054665A KR 20160054665 A KR20160054665 A KR 20160054665A KR 20170125159 A KR20170125159 A KR 20170125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nnector
support member
inle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8421B1 (ko
Inventor
손정철
박상문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4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421B1/ko
Publication of KR20170125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15Details of suppor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고, 누수 발생을 방지하며, 필터 내부 수압에 의한 필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의 필터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의 필터조립체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필터부재에 의해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복수의 필터;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서로 이웃하는 필터들 사이에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필터연결부;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필터지지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정수기의 필터조립체{FILTER ASSEMBLY OF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의 필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정수기의 필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거쳐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정수기는 일반가정용 및 업소용뿐만 아니라 최첨단 과학산업이나 초정밀전자부품의 세척용 또는 의료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정수기 내부에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는데, 상기 필터는 유효정수량이 있어 유효정수량을 초과하게 되면 필터의 정수 성능이 떨어지므로 필터 교체를 통해 정수기의 정수 성능을 유지시킨다.
상기 필터를 교체하기 위한 구조가 나타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13400호 "정수기의 필터 하우징용 캡"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필터 하우징 상단 외주면과 결합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 형상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필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필터를 회전시켜 몸체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내부는 공간이 좁아 손이 들어가지 않으므로 필터를 회전시키는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필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회전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한 필터의 회전에 의한 필터 교체 구조 대신 필터를 정수기 본체 측에 단순 삽입하는 구조로 변경하게 되면 필터 교체 작업의 불편함은 방지할 수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필터가 정수기 본체 측인 몸체에 매달려 있는 구조인 경우에는 필터를 정수기 본체 측에 단순 삽입하는 구조를 적용할 경우 필터 내부 수압 작용시 필터와 정수기 본체의 결합부위에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필터가 정수기 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이 나타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87077호 "정수기 필터 지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이탈방지수단의 일례로 상기 선행기술에는 연결밸브에 내설된 조임용 또는 지지용 부쉬가 나타나 있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필터의 유입구(유입관) 또는 유출구(유출관)가 삽입되는 상대물의 내벽에 칼날 형상으로 내설되어, 필터의 유입구 또는 유출구가 상대물에 삽입시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시키지만 삽입 후에는 빠짐을 방지하는 것인데, 필터를 분리한 후 다시 재조립하는 경우에는 유입구 또는 유출구 표면에 다른 스크래치가 다시 형성되므로 필터 재조립 후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고, 누수 발생을 방지하며, 필터 내부 수압에 의한 필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의 필터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의 필터조립체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필터부재에 의해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복수의 필터;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서로 이웃하는 필터들 사이에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필터연결부;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필터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연결부는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삽입되는 유입구연결부와 배출구연결부가 형성된 필터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헤드에는, 일측이 상기 유입구연결부와 배출구연결부의 내부와 각각 연통하고 타측이 이웃하는 필터 또는 튜브에 각각 연통하도록 격벽에 의해 내부의 유로공간이 분리된 유로몸체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입구와 유입구연결부의 사이와 상기 배출구와 배출구연결부의 사이에 오링이 각각 개재되고, 상기 오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필터헤드캡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몸체부의 적어도 일측단에는 이웃하는 필터에 연결된 필터헤드와 연결하기 위해 내부에 유로공간이 형성된 필터커넥터가 연결되고, 상기 필터커넥터는 상기 유로몸체부의 일측단에 오링을 매개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필터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필터에 결합된 필터헤드의 일측단에는 상기 튜브와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내부에 유로공간이 형성된 튜브커넥터가 삽입되고, 상기 튜브커넥터와 필터헤드 사이에는 오링이 개재되며, 상기 오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2필터헤드캡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필터의 수평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고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고정부는, 상기 필터의 외주면 일부를 둘러싸는 제1필터고정부재와, 상기 필터의 외주면 나머지를 둘러싸는 제2필터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필터고정부재와 제2필터고정부재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는,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재와, 상기 필터지지부재가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필터지지용베이스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재는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재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의 양측면 단부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지지용베이스의 후방에 형성된 후벽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걸림되어 상기 필터지지부재가 필터지지용베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는,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재와, 상기 필터지지부재의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필터지지용베이스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재에는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재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지지용베이스에는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 공간에 상기 필터지지부재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베이스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몸체에는 상기 상사점과 하사점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에는 상기 가이드구멍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재의 저면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재에는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재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지지용베이스에는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의 상하 이동 공간을 둘러싸는 베이스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의 가장자리에는 단턱이 형성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지지부재의 상승시 상기 걸림돌기에 상기 걸림홈의 단턱이 걸림되는 위치가 상기 상사점이 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재에는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재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지지용베이스에는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 공간에서 상기 필터지지부재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베이스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몸체에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는 스토퍼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지지부재가 상사점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토퍼가 스토퍼삽입구멍의 하단에 걸림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필터커넥터는, 정수기 내부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커넥터하우징부, 상기 유로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1커넥터연결부에 삽입되되 그 내부에 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커넥터하우징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커넥터몸체부와, 상기 커넥터몸체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커넥터몸체부와 동심구조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커넥터하우징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필터커넥터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와 필터헤드를 단순 삽입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교체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필터와 필터헤드의 각 연결되는 부분에 칼날 형상의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부품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아 누수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필터의 저면을 필터지지부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필터 내부 압력에 의해 필터가 이탈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지지부재는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교체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필터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터조립체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필터헤드와 제1필터헤드캡 및 오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필터헤드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필터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1필터고정부재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필터지지부재와 필터지지용베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필터지지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필터지지부에서 필터지지부재가 상사점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도 11은 도 10의 상태에서 필터지지부재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필터지지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3(a),(b)는 도 12의 필터지지부에서 필터지지부재가 상사점에 있는 상태와 필터지지부재가 하강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필터조립체가 정수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난 정수기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6은 도 14에 나타난 정수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7은 도 14에 나타난 필터조립체의 분해 단면도
도 18은 도 14의 정수기에서 필터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필터조립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필터조립체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구비된 복수의 필터(110,120,130,140), 상기 복수의 필터(110,120,130,140) 중 서로 이웃하는 필터들 사이에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필터연결부(200), 상기 필터(110,120,130,140)의 수평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고정부(300), 상기 필터(110,120,130,140)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필터지지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110,120,130,14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상기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형성된 필터하우징(113), 상기 필터하우징(113)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는 필터캡(114), 상기 필터하우징(113) 내부에 삽입되어 원수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재(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연결부(200)는, 상기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필터헤드(210), 상기 필터헤드(210)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251,25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필터헤드캡(220), 양측에 구비된 오링(254,255)을 매개로 서로 이웃하는 필터헤드(210)를 연결하기 위한 필터커넥터(230), 상기 필터커넥터(230)의 양단에 구비되는 오링(254,255), 상기 복수의 필터(110,120,130,140)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필터(110,140)에 결합된 필터헤드(210)에 연결된 튜브커넥터(260), 상기 튜브커넥터(260)와 필터헤드(210)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25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2필터헤드캡(2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헤드(210)는, 그 내부에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것으로서, 내부에 제1/제2유로공간(211a,211b)이 형성된 유로몸체부(211), 상기 제1유로공간(211a)과 제2유로공간(211b) 사이를 차단하는 격벽(212), 상기 유입구(111)가 삽입되는 유입구연결부(213), 상기 배출구(112)가 삽입되는 배출구연결부(214), 상기 필터커넥터(230) 또는 튜브커넥터(260)에 연결되는 제1커넥터연결부(215)와 제2커넥터연결부(216), 상기 유입구연결부(213)와 배출구연결부(214)의 외측을 둘러싸는 필터헤드몸체부(217), 상기 필터헤드몸체부(217)의 하단 가장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필터헤드플랜지(218), 상기 필터고정부(300)에 체결부재(330)로 고정하기 위한 체결보스(219)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로몸체부(211)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 공간은 상기 격벽(212)에 의해 상기 유입구(111)에 연통하는 제1유로공간(211a)과 상기 배출구(112)에 연통하는 제2유로공간(211b)으로 분할된다.
상기 유입구연결부(213)와 배출구연결부(214)는 필터헤드몸체부(217)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하향 돌출된 것으로서, 그 내부공간(213a,214a)에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각각 삽입된다.
상기 유입구연결부(213)와 배출구연결부(214)에는 오링(251,252)을 안착시키기 위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유입구단차부(213b)와 배출구단차부(214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연결부(213)와 배출구연결부(214)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필터헤드캡(220)과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돌기(213c)와 제2결합돌기(214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몸체부(211)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제1커넥터연결부(215)와 제2커넥터연결부(21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제2커넥터연결부(215,216)에는, 상기 필터커넥터(230) 또는 튜브커넥터(260)가 삽입되도록 제1/제2커넥터삽입공간(215a,216a)이 형성되어 있고, 제1/제2커넥터연결부(215,216)의 외주면에는 쐐기 형상의 제3/제4결합돌기(215c,216c)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제2연결단차부(215d,216d)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제2연결단차부(215d,216d)와 필터커넥터(230) 또는 튜브커넥터(260) 사이에 오링(253,254)이 개재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필터헤드몸체부(217)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구멍(217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헤드몸체부(217)의 저면에는 체결구멍(217a)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보스(219)가 돌출되어 있어, 체결부재(330)가 제1필터고정부재(310)의 체결구멍(313c; 도 6)과 필터헤드몸체부(217)의 체결구멍(217a)을 순차 관통한 후 체결보스(219)에 결합됨으로써 필터헤드(210)가 제1필터고정부재(310)에 결합된다.
상기 제1필터헤드캡(220)은, 상기 유입구(111)가 내부공간(221a)을 관통하는 유입구관통부(221), 상기 배출구(112)가 내부공간(222a)을 관통하는 배출구관통부(222), 상기 유입구관통부(221)의 외측에 동심구조로 형성된 제1캡몸체(223), 상기 배출구관통부(222)의 외측에 동심구조로 형성된 제2캡몸체(224), 상기 제1캡몸체(223)와 제2캡몸체(224)의 측부를 연결하는 캡몸체연결부(225), 상기 제1캡몸체(223)와 제2캡몸체(224)의 하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캡몸체하단연결부(22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유입구관통부(221)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유입구(111)와 유입구연결부(213)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유입구관통부(221)의 단부와 유입구단차부(213b) 사이에 구비된 오링(251)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관통부(222)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배출구(112)와 배출구연결부(214)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구관통부(222)의 단부와 배출구단차부(214b) 사이에 구비된 오링(252)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필터헤드캡(220)이 필터헤드(210)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캡몸체(223)와 제2캡몸체(224)는 상기 유입구연결부(213)와 배출구연결부(214)의 외측을 각각 둘러싸게 되므로, 유입구관통부(221)와 제1캡몸체(223) 사이에 유입구연결부(213)가 삽입되고, 배출구관통부(222)와 제2캡몸체(224) 사이에 배출구연결부(214)가 삽입되는 구조가 된다.
상기 제1캡몸체(223)에는 제1캡몸체결합구멍(223b,223e)이 형성된 한 쌍의 제1결합편(223a,223d)이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캡몸체(224)에도 제2캡몸체결합구멍(224b,224e)이 형성된 한 쌍의 제2결합편(224a,224d)이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결합편(223a,223d)과 제2결합편(224a,224d) 각각의 양측에는 절개된 슬롯 형상의 제1절개부(223c,223f)와 제2절개부(224c,224f)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캡몸체결합구멍(223b,223e)에는 필터헤드(210)의 제1결합돌기(213c)가 삽입되고, 제2캡몸체결합구멍(224b,224e)에는 필터헤드(210)의 제2결합돌기(214c)가 삽입되어, 제1필터헤드캡(220)이 필터헤드(210)에 결합되어 빠짐이 방지된다.
상기 제1절개부(223c,223f)와 제2절개부(224c,224f)로 인해 제1결합편(223a,223d)과 제2결합편(224a,224d)은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므로, 필터헤드(210)에 제1필터헤드캡(220)을 조립하는 경우 조립이 용이하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필터헤드(210)에 제1필터헤드캡(220)을 결합한 상태에서 필터(110,120,130,140)를 조립하게 되면, 유입구(111)는 유입구관통부(221)와 유입구연결부(213)에 삽입되고, 배출구(112)는 배출구관통부(222)와 배출구연결부(214)에 삽입되므로, 단순한 삽입 작업만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필터(110,120,130,140)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도구 없이도 간단하게 분리 가능하다. 또한 유입구(111)와 배출구(112)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칼날 형상의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될 필요가 없어 유입구(111)와 배출구(112)의 외주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지 않아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입구연결부(213)와 유입구(111) 사이, 상기 배출구연결부(214)와 배출구(112) 사이에는 오링(251,252)이 각각 개재됨으로써 상기 유입구연결부(213)의 내주면과 유입구(111)의 외주면 사이, 상기 배출구연결부(214)의 내주면과 배출구(112)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1필터헤드캡(220)에는 유입구관통부(221)와 배출구관통부(222)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부품으로 2개의 오링(251,25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부품 구성이 간단해지고 조립성이 향상된다.
상기 필터커넥터(230)는, 제1커넥터연결부(215)를 통해 유로몸체부(211)에 삽입되되 그 내부에 유로공간이 형성된 커넥터몸체부(231), 상기 커넥터몸체부(23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오링(254)에 대향하는 제1커넥터단차부(232), 상기 제1커넥터단차부(232)로부터 외주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커넥터연결부(215)에 대향하는 제2커넥터단차부(233), 상기 제2커넥터단차부(233)로부터 외주면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서로 이웃하는 필터헤드(210)의 제1연결단부(215b)와 제2연결단부(216b) 사이에 구비되는 제3커넥터단차부(2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몸체부(231)와 제1커넥터단차부(232) 및 제2커넥터단차부(233)는 제3커넥터단차부(234)를 중심으로 양측이 대칭으로 이루어져,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필터헤드(210)가 오링(254,255)을 매개로 커넥터몸체부(23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면 제1커넥터단차부(232)에 의해 오링(254,255)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커넥터단차부(233)가 제1커넥터연결부(215)에 맞닿도록 하면 커넥터몸체부(231)가 제1커넥터연결부(215) 내측의 제1커넥터삽입공간(215a)으로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되어, 제1연결단차부(215d)와 제1커넥터단차부(232) 사이에 오링(254)이 안착될 공간이 확보된다.
또한 제3커넥터단차부(234)가 서로 이웃하는 필터헤드(210)의 제1연결단부(215b)와 제2연결단부(216b) 사이에 구비되면 이물질이 제1커넥터연결부(215)와 제2커넥터연결부(216)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한 구성의 필터커넥터(230)를 필터헤드(210)에 조립하는 경우, 단순한 삽입 작업만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서로 이웃하는 필터헤드(210) 사이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도구 없이 간단하게 분리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연결부(215)와 커넥터몸체부(231) 사이에는 오링(254,255)이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1커넥터연결부(215)의 내주면과 커넥터몸체부(231)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튜브커넥터(260)는, 상기 필터(110,140)와 정수기 내부의 물탱크(미도시)나 출수부(미도시) 등에 연결시키기 위한 튜브(미도시) 사이에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으로, 일측단에는 제2커넥터연결부(216)를 통해 유로몸체부(211)에 삽입되되 그 내부에 유로공간이 형성된 튜브커넥터연결부(261)가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원수가 입수되는 입수부(미도시)에 연결시키기 위한 튜브가 연결된다.
상기 제2필터헤드캡(240)은, 상기 튜브커넥터연결부(261)가 내부를 관통하는 제2필터헤드캡몸체(241), 상기 제2필터헤드캡몸체(241)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필터헤드캡플랜지(242), 상기 제2필터헤드캡플랜지(242)의 외측 단부로부터 90도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된 제2필터헤드캡외부몸체(2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필터헤드캡몸체(241)의 단부와 제2연결단차부(216d) 사이에 오링(253)이 개재되어 튜브커넥터연결부(261)의 외주면과 제2커넥터연결부(216)의 내주면 사이에 기밀이 유지된다.
상기 제2필터헤드캡플랜지(242)에는 튜브커넥터연결부(261)의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플랜지삽입홈(24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삽입홈(242a)에는 제2커넥터연결부(216)의 제2연결단부(216b)가 삽입된다.
상기 제2필터헤드캡외부몸체(243)에는 한 쌍의 제2필터헤드캡결합구멍(243a)이 형성되어 있고, 제4결합돌기(216c)가 상기 제2필터헤드캡결합구멍(243a)에 삽입됨으로써 제2필터헤드캡(240)과 제2커넥터연결부(216)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의 제2필터헤드캡(240)과 튜브커넥터(260)를 필터헤드(210)에 조립하는 경우, 단순한 삽입 작업만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튜브와 필터헤드(210) 사이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도구 없이 간단하게 분리 가능하다.
상기 필터고정부(300)는, 상기 복수의 필터(110,120,130,140) 외주면 일부를 둘러싸는 제1필터고정부재(310), 상기 복수의 필터(110,120,130,140) 외주면 나머지를 둘러싸는 제2필터고정부재(320), 상기 필터헤드(210)를 제1필터고정부재(310)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필터고정부재(310)는, 복수의 필터(110,120,130,140) 외주면을 각각 둘러싸도록 평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필터고정몸체(311), 상기 제1필터고정몸체(311)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필터고정부재(320)와 맞닿는 면으로 이루어진 제1필터헤드결합면(312), 필터헤드(210)의 유로몸체부(211)를 덮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로몸체덮개부(314), 필터헤드(210)가 결합되도록 유로몸체덮개부(314)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제1필터헤드결합부(313)와 제2필터헤드결합부(3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필터헤드결합면(312)에는 제2필터고정부재(320)의 필터고정부재결합돌기(323)가 삽입되는 필터고정부재결합홈(31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고정부재결합홈(312a)은 상측에 형성된 결합홈상부(312b), 상기 결합홈상부(312b)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홈하부(312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결합홈상부(312b)는 후술하는 결합돌기삽입부(323a)가 삽입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하부(312c)는 앞쪽은 폭이 좁고 그 내부는 폭이 넓은 2단 폭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결합홈하부(312c)의 앞쪽은 후술하는 결합돌기연결부(323b)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로 상기 결합홈상부(312b)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 상기 결합돌기삽입부(323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상부(312b)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필터헤드결합부(313)는, 평판 형상의 필터헤드결합하부(313a)와, 상기 필터헤드결합하부(313a)의 상측에 연결 형성된 필터헤드결합상부(313b)를 포함하는 사각 파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무거운 하중에도 견딜 수 있다.
상기 필터헤드결합하부(313a)에는 체결부재(330)로 필터헤드(210)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멍(31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필터헤드결합부(315)는 필터헤드몸체부(217)의 상면을 덮도록 필터헤드몸체부(21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체결부재(330)로 필터헤드(210)를 결합하기 위해 제1필터헤드결합부(313)의 체결구멍(313c)과 동일한 체결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필터고정부재(320)는, 상기 제1필터고정몸체(311)와 대향되도록 상기 필터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복수의 제2필터고정몸체(321), 상기 제2필터고정몸체(321)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필터고정부재(310)의 제1필터헤드결합면(312)에 맞닿는 면으로 이루어진 제2필터헤드결합면(322), 상기 제2필터헤드결합면(322)에서 돌출되어 상기 필터고정부재결합홈(312a)에 삽입되는 필터고정부재결합돌기(32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필터고정부재결합돌기(323)는 제2필터헤드결합면(322)으로부터 돌출된 것으로서, 제1필터고정부재(310)의 결합홈상부(312b)에는 삽입되나 결합홈하부(312c)보다는 폭이 커서 결합홈하부(312c)에는 삽입되지 않는 폭으로 이루어진 결합돌기삽입부(323a)와, 상기 결합돌기삽입부(323a)보다 작은 폭으로서 결합홈하부(312c)에 삽입되는 폭으로 이루어진 결합돌기연결부(323b)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필터고정부재(320)를 제1필터고정부재(310)에 결합하는 경우, 필터고정부재결합돌기(323)의 결합돌기삽입부(323a)를 결합홈상부(312b)를 통해 그 내측의 삽입공간까지 삽입한 후 하방향으로 하강시키면 결합돌기삽입부(323a)는 결합홈하부(312c)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고, 결합돌기연결부(323b)는 폭이 좁은 결합홈하부(312c)의 앞쪽에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 이 상태에서는 결합돌기삽입부(323a)가 결합홈하부(312c)보다 폭이 크므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필터지지부(400)는, 필터(110,120,130,140)의 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재(410), 상기 필터지지부재(410)가 필터(110,120,130,140)의 저면을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필터지지용베이스(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지지부재(410)는, 필터(110,120,130,14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필터지지부재몸체(411),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411)의 전단에서 상향 돌출된 손잡이부(412),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411)의 양 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필터지지부재가이드(4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411)의 양 측면(411a)에는 상부와 하부에 필터지지부재(410)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한 쌍의 절개홈(411b,411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절개홈(411b,411c) 사이에 형성된 절개편(411d)의 단부에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411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11e)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은 필터지지부재(410)를 필터지지용베이스(420)에 수평방향으로 밀어 넣었을 때 후벽(424)의 단부(424a)에 걸리도록 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411e)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은 필터지지부재(410)를 필터지지용베이스(420)로부터 빼낼 때 후술하는 베이스가이드(427)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412)는 필터지지부재몸체(411)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손으로 잡기 용이하게 되어 있어, 상기 손잡이부(412)를 잡은 상태에서 필터지지부재(410)를 필터지지용베이스(420)에 결합하거나 분리하면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필터지지부재가이드(413)는 단면이 대략 4각형으로서 상단 모서리부가 라운드형상으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가이드홈(428)에 삽입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411)의 후단에는 단차진 형상의 후단플랜지(4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단플랜지(415)의 하부는 개방된 공간(4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필터지지용베이스(420)는, 평판 형상의 바닥부(421), 상기 바닥부(421)의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각각 세워진 측벽(422,423), 상기 측벽(422,423)의 후단 사이를 연결하는 후벽(424), 상기 후벽(424)의 양측에 절개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후벽절개부(425a,425b), 상기 후벽(424)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되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후벽리브(426), 상기 필터지지부재(410)의 측면(411a)을 가이드하기 위한 베이스가이드(427), 상기 필터지지부재(410)의 필터지지부재가이드(413)가 삽입되는 가이드홈(428)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측벽(422,423)에는 전방에서부터 후방까지 절개된 형상인 측벽절개부(422a,42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절개부(422a,423a)의 후단에는 상기 후벽절개부(425a,425b)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후벽(424)의 양측 단부(424a)에는 필터지지부재(410)의 돌출부(411e)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걸림됨으로써 필터지지부재(410)가 필터지지용베이스(4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경우 하나의 후벽(424) 일측에 형성된 후벽절개부(425a)와 상기 후벽(424)에 이웃하는 후벽(424-1) 일측에 형성된 후벽절개부(425b)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필터지지부재(410)의 돌출부(411e)가 상기 한 쌍의 후벽절개부(425a,425b)의 양측 단부(424a)에 각각 걸림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측벽(422,423)과 후벽(424)의 상단에는 바닥부(421)과 평행하게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의 플랜지(422b,423b,42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422b,423b,424b) 중 후벽(424)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424b)와 후벽리브(426)의 상단 사이는 이격되어 있는데, 이 이격된 공간에 필터지지부재(410)의 후단플랜지(415)가 삽입된다. 상기 필터지지부재(410)의 필터지지부재몸체(411) 상면 후단부는 절개홈(411b)과 개방된 공간(414)으로 인해 필터(110,120,130,140)의 저면이 필터지지부재몸체(411)의 상면에 지지된 경우에는 하중에 의해 필터지지부재몸체(411) 상면 후단부가 쳐질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후단플랜지(415)가 플랜지(424b)와 후벽리브(426)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삽입되면 후벽리브(426)에 의해 처짐이 방지된다.
상기 베이스가이드(427)는 필터지지부재몸체(411) 가 삽입되는 필터지지용베이스(420)의 입구측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필터지지부재(410)의 측면(411a)을 가이드하고, 상기 베이스가이드(427)와 그 하부의 바닥부(421)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428)에 상기 필터지지부재가이드(413)가 삽입되어 가이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필터지지부재(410)와 필터지지용베이스(420)가 각각 대응되도록 다수 개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필터지지용베이스(420)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필터조립체는, 필터(110,120,130,140)와 필터헤드(210)는 단순 삽입 작업만으로 결합되고, 필터헤드(210)에도 필터커넥터(230)와 튜브커넥터(260)가 단순 삽입 작업만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필터의 교체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필터(110,120,130,140)와 필터헤드(210)와 필터커넥터(230) 및 튜브커넥터(260)는 단순 삽입에 의해 결합되면서도 서로 분리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어 종래에 사용하던 칼날 형상의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 부품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아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110,120,130,140)의 저면을 필터지지부(400)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필터(110,120,130,140) 내부 압력에 의해 필터(110,120,130,140)가 필터헤드(210)로부터 이탈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필터지지부재(410)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교체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필터(110,120,130,140)를 교체하기 위해, 손잡이부(412)를 잡고 필터지지부재(410)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후벽(424)의 단부(424a)에서 돌출부(411e)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필터지지부재(410)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 다음 필터(110,120,130,140)를 잡고 하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필터헤드(210)로부터 빠져나와 필터(110,120,130,140)를 필터지지부(400)로부터 손쉽게 빼낼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의 필터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필터 조립체는 제1실시예의 필터부(100)와 필터연결부(200)와 필터고정부(300)의 구성은 동일하게 포함하고, 필터지지부(400-1)의 구성만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필터지지부(400-1)는, 필터(110,120,130,140)의 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재(410-1), 상기 필터지지부재(410-1)가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필터지지용베이스(420-1)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지지부재(410-1)는, 필터(110,120,130,14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방 부분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필터지지부재몸체(411-1),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411-1)의 전방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스토퍼몸체(412-1), 상기 스토퍼몸체(412-1)의 하단에서 필터지지부재몸체(411-1)의 외측방향인 전방으로 돌출된 스토퍼(413-1),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411-1)의 상면에 지지된 필터(110,120,130,140)의 후방을 지지하기 위한 필터지지편(414-1),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411-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415-1),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5-1)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416-1),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411-1)의 가장자리에 단턱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홈(417-1a,417-1b,417-1c),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411-1)의 저면에서 하향 돌출된 원통 형상의 상부스프링고정리브(418-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토퍼(413-1)는 필터지지부재몸체(411-1)의 상면에 필터(110,120,130,140)가 놓인 경우 필터(110,120,130,140)의 하중에 의해 필터지지부재몸체(411-1)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하는 스토퍼삽입구멍(421-1a)의 하단에 걸림되도록 스토퍼몸체(412-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필터지지편(414-1)은 필터지지부재몸체(411-1)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되 필터(110,120,130,14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필터(110,120,130,140)의 하단 후방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걸림홈(417-1a,417-1b,417-1c)은, 필터지지부재몸체(411-1)와 스토퍼몸체(412-1)의 경계지점에 형성된 전방걸림홈(417-1a), 필터지지부재몸체(411-1)와 가이드플레이트(415-1)의 경계지점에 형성된 측방걸림홈(417-1b,417-1c)으로 이루어져, 각각의 걸림홈(417-1a,417-1b,417-1c)에 형성된 단턱이 필터지지용베이스(420-1)의 걸림돌기(425-1a,425-1b,425-1c)와 걸림된다.
상기 필터지지용베이스(420-1)는,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411-1)의 상하 이동 공간을 둘러싸는 베이스몸체(421-1,422-1,423-1,424-1,427-1), 상기 걸림홈(417-1a,417-1b,417-1c)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베이스몸체(421-1,422-1,423-1,424-1)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425-1a,425-1b,425-1c), 상기 베이스몸체(421-1,422-1,423-1,424-1,427-1)의 바닥몸체(427-1)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하부스프링고정리브(426-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이스몸체(421-1,422-1,423-1,424-1,427-1)는,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41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 공간에 상기 필터지지부재(410-1)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평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전방몸체(421-1), 상기 베이스전방몸체(421-1)의 양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평판 형상으로 연장된 한 쌍의 베이스측방몸체(422-1,423-1), 상기 한 쌍의 베이스측방몸체(422-1,423-1)의 후단을 연결하는 베이스후방몸체(424-1), 베이스몸체(421-1,422-1,423-1,424-1,427-1)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몸체(427-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재(410-1)의 상하 이동시 베이스후방몸체(424-1)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후방몸체(424-1)의 상부는 절개되어 후방개구부(424-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전방몸체(421-1)에는 상기 스토퍼(413-1)가 삽입되는 스토퍼삽입구멍(421-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지지부재(410-1)가 상사점 위치에 있을 때 스토퍼(413-1)가 상기 스토퍼삽입구멍(421-1a)의 하단에 걸림되어 필터지지부재(410-1)가 하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사점이란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필터헤드(21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의 필터지지부재(410-1)의 위치를 의미하고, 하사점이란 가이드돌기(416-1)가 후술하는 가이드구멍(422-1a,423-1a)의 최하단까지 하강한 상태의 필터지지부재(410-1)의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베이스측방몸체(422-1,423-1)에는 상기 필터지지부재(410-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진 슬롯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돌기(416-1)가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구멍(422-1a,42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구멍(422-1a,423-1a)은 그 상단과 하단 위치가 필터지지부재(410-1)의 상사점과 하사점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상기 걸림돌기(425-1a,425-1b,425-1c)는, 상기 전방걸림홈(417-1a)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전방몸체(421-1)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전방걸림돌기(425-1a), 상기 측방걸림홈(417-1b,417-1c)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측방몸체(422-1,423-1)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측방걸림돌기(425-1b,425-1c)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지지부재(410-1)의 저면은 스프링(430-1)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430-1)의 상단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스프링고정리브(418-1)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430-1)의 하단에는 열십자 형상의 하부스프링고정리브(426-1)가 삽입되어, 상기 필터지지부재(410-1)의 상하 이동시 스프링(430-1)의 이탈이 방지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필터(110,120,130,140)가 필터지지부재(410-1)의 필터지지부재몸체(411-1) 상면에 안착되어 있고, 필터(110,120,130,140)의 후방은 필터지지편(414-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413-1)는 스토퍼삽입구멍(421-1a)의 하단에 걸림되어 필터지지부재(410-1)가 하방향으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고, 필터지지부재(410-1)는 스프링(430-1)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지지되되 걸림홈(417-1a,417-1b,417-1c)의 단턱이 걸림돌기(425-1a,425-1b,425-1c)에 걸림됨으로써 상방향 위치가 규제되어, 필터지지부재(410-1)의 위치가 상사점이 된다. 이 경우 한 쌍의 가이드돌기(416-1)는 가이드구멍(422-1a,423-1a)의 최상단 위치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필터(110,120,130,140)의 하단이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필터(110,120,130,140) 내부 압력에 의해 필터(110,120,130,140)가 필터헤드(210)로부터 이탈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토퍼몸체(412-1)를 손으로 밀면 스토퍼(413-1)가 베이스전방몸체(421-1)에 걸림된 상태가 해제되고, 필터지지부재(410-1)를 하강시키면 가이드돌기(416-1)가 가이드구멍(422-1a,423-1a)에 의해 가이드되어 경사진 방향(후방)으로 하강한다. 이 경우 필터지지부재(410-1)의 후방부는 후방개구부(424-1a)에 위치하게 되어 베이스후방몸체(424-1)와의 간섭이 방지된다.
또한 스프링(430-1)은 경사진 상태로 압축되지만 스프링(430-1)의 상단과 하단이 상부스프링고정리브(418-1)와 하부스프링고정리브(426-1)에 의해 고정되므로 스프링(430-1)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필터지지부재(410-1)를 계속 하강시켜 가이드돌기(416-1)가 가이드구멍(422-1a,423-1a)의 최하단 위치가 되면 필터지지부재(410-1)의 위치는 하사점이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필터(110,120,130,140)는 필터헤드(210)로부터 분리되므로, 필터(110,120,130,140)의 교체가 용이해진다.
<제3실시예>
도 12,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예의 필터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제3실시예의 필터 조립체는 제1실시예의 필터부(100)와 필터연결부(200)와 필터고정부(300)의 구성은 동일하게 포함하고, 필터지지부(400-2)의 구성만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필터지지부(400-2)는, 필터(110,120,130,140)의 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재(410-2), 상기 필터지지부재(410-2)가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필터지지용베이스(420-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지지부재(410-2)는, 필터(110,120,130,14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납작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필터지지부재몸체(411-2),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411-2)의 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412-2,4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돌기(412-2,413-2)는, 봉 형상의 가이드부(412-2a)와 상기 가이드부(412-2a)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되 가이드부(412-2a) 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412-2b)로 이루어진 제1가이드돌기(412-2), 상기 제1가이드돌기(412-2)와 대향되는 위치에 봉 형상으로 형성된 제2가이드돌기(4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지지용베이스(420-2)는,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411-2)가 그 내부 공간에서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몸체(421-2), 상기 가이드돌기(412-2,413-2)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필터지지부재(410-2)의 상하 경사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멍(422-2,42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구멍(422-2,423-2)은 제1가이드돌기(412-2)가 삽입되는 제1가이드구멍(422-2)과 제2가이드돌기(413-2)가 삽입되는 제2가이드구멍(42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이드구멍(422-2)과 제2가이드구멍(423-2)은, 필터지지부재(410-2)의 상사점에 대응하는 부분과 하사점에 대응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이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필터지지부재(410-2)의 회전방향을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제2가이드구멍(422-2,423-2)은, 수평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사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사점구멍부(422-2a,423-2a), 상기 상사점구멍부(422-2a,423-2a)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된 중간구멍부(422-2b,423-2b), 상기 중간구멍부(422-2b,423-2b)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하사점구멍부(422-2c,423-2c), 상기 하사점구멍부(422-2c,423-2c)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되 베이스몸체(421-2)의 상측 단부까지 절개되어 형성된 입출가이드구멍부(422-2d,423-2d)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이드구멍(422-2)의 중간구멍부(422-2b)와 제2가이드구멍(423-2)의 중간구멍부(423-2b)는 베이스몸체(421-2)의 외주면 둘레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가면서 동일한 경사 방향으로 이루어져 있어, 필터지지부재(410-2)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제1/제2가이드구멍(422-2,423-2)에 의해 가이드된다.
한편, 상기 제1/제2가이드돌기(412-2,413-2)가 하사점구멍부(422-2c,423-2c)에 위치한 상태에서 입출가이드구멍부(422-2d,423-2d)를 따라 상방향으로 올리면 필터지지부재(410-2)는 필터지지용베이스(420-2)로부터 분리되고, 이렇게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제2가이드돌기(412-2,413-2)를 입출가이드구멍부(422-2d,423-2d)의 상단부에 삽입한 후 하방향으로 내리면 필터지지부재(410-2)는 필터지지용베이스(420-2)에 결합된다.
도 13(a)를 참조하면, 필터(110,120,130,140)가 필터지지부재(410-2)의 필터지지부재몸체(411-2) 상면에 안착되어 있고, 제1/제2가이드돌기(412-2,413-2)가 상사점구멍부(422-2a,423-2a)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필터지지부재(410-2)의 위치는 상사점이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필터(110,120,130,140)의 하단이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필터(110,120,130,140) 내부 압력에 의해 필터(110,120,130,140)가 필터헤드(210)로부터 이탈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a) 상태에서 제1가이드돌기(412-2)의 손잡이부(412-2b)를 잡고 필터지지부재(410-2)를 회전시키면 제1/제2가이드돌기(412-2,413-2)가 상사점구멍부(422-2a,423-2a)에서 중간구멍부(422-2b,423-2b)를 통해 가이드되면서 하강하여 하사점구멍부(422-2c,423-2c)에 위치하면 도 13(b)와 같은 상태가 되어, 필터지지부재(410-2)의 위치는 하사점이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필터(110,120,130,140)를 필터헤드(210)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되므로, 필터(110,120,130,140)의 교체가 용이해진다.
<제4실시예>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예의 필터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필터조립체는, 복수의 필터(110,120,130), 상기 복수의 필터(110,120,130) 중 서로 이웃하는 필터들 사이에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필터연결부(2000), 상기 필터(110,120,130)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필터지지부(40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연결부(2000)는, 필터(110)의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필터헤드(2100), 상기 필터헤드(2100)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2510,25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필터헤드캡(2200), 오링(2540)을 매개로 서로 이웃하는 필터헤드(2100)를 연결하기 위한 필터커넥터(2300), 상기 복수의 필터(110,120,130)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필터(110,130)에 결합된 필터헤드(2100)와의 사이에 오링(2530)을 매개로 연결된 튜브커넥터(2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헤드(2100)는, 그 내부에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제1/제2유로공간(2110a,2110b)이 형성된 유로몸체부(2110), 상기 제1유로공간(2110a)과 제2유로공간(2110b) 사이를 차단하는 격벽(2120), 상기 유입구(111)가 삽입되는 유입구연결부(2130), 상기 배출구(112)가 삽입되는 배출구연결부(2140), 상기 필터커넥터(2300) 또는 튜브커넥터(2600)에 연결되는 제1커넥터연결부(2150)와 제2커넥터연결부(2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로몸체부(211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 공간은 상기 격벽(2120)에 의해 상기 유입구(111)에 연통하는 제1유로공간(2110a)과 상기 배출구(112)에 연통하는 제2유로공간(2110b)으로 분할된다.
상기 유입구연결부(2130)와 배출구연결부(2140)는 유로몸체부(2110)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하향 돌출된 것으로서, 그 내부공간(2130a,2140a)에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각각 삽입된다.
상기 유입구연결부(2130)와 배출구연결부(2140)에는 오링(2510,2520)을 안착시키기 위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유입구단차부(2130b)와 배출구단차부(214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몸체부(211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제1커넥터연결부(2150)와 제2커넥터연결부(216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제2커넥터연결부(2150,2160)에는, 상기 필터커넥터(2300) 또는 튜브커넥터(2600)가 삽입되도록 제1/제2커넥터삽입공간(2150a,2160a)이 형성되어 있고, 제1/제2커넥터연결부(2150,2160)의 외주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제2돌출플랜지(2150e,2160e)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제2연결단차부(2150d,2160d)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제2연결단차부(2150d,2160d)와 필터커넥터(2300) 또는 튜브커넥터(2600) 사이에 오링(2540,2530)이 개재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유로몸체부(2110)의 내측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제2걸림단차부(2150f,2160f)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필터커넥터(2300)의 커넥터몸체부(2310) 또는 튜브커넥터(2600)의 튜브커넥터연결부(2610)의 단부가 접촉됨으로써 필터커넥터(2300) 또는 튜브커넥터(2600)의 삽입 깊이가 제한된다.
상기 제1필터헤드캡(2200)은, 유입구(111)가 내부를 관통하되 상기 유입구(111)와 유입구연결부(213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제1캡(2210)과, 배출구(112)가 내부를 관통하되 상기 배출구(112)와 배출구연결부(214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는 제2캡(2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캡(2210)과 제2캡(2220)은, 환상(環狀)의 제1,제2캡몸체부(2211,2221), 상기 제1,제2캡몸체부(2211,2221)의 상단에서 필터헤드(2100)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져 단면이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제2캡삽입부(2212,2222)로 각각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제2캡(2210,2220)의 제1,제2캡삽입부(2212,2222)가 유입구연결부(2130)와 배출구연결부(2140)에 삽입되면 유입구단차부(2130b)와 제1캡삽입부(2212)의 상단부 사이, 배출구단차부(2140b)와 제2캡삽입부(2222) 사이에 오링(2510,2520)이 구비되어 오링(2510,2520)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 경우 제1,제2캡몸체부(2211,2221)는 유입구연결부(2130)와 배출구연결부(2140)의 하단부에 걸림되어 유입구연결부(2130)와 배출구연결부(2140)의 내부로 삽입이 방지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필터헤드(2100)에 제1필터헤드캡(2200)을 결합한 상태에서 필터(110,120,130)를 조립하게 되면, 단순한 삽입 작업만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필터(110,120,130)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도구 없이도 간단하게 분리 가능하다. 또한, 필터(110,120,130)의 조립 및 분리 시 유입구(111)와 배출구(112)의 외주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지 않아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링(2510,2520)이 개재됨으로써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넥터(2300)는, 정수기 내부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커넥터하우징부(2360), 제1커넥터연결부(2150)를 통해 유로몸체부(2110)에 삽입되되 그 내부에 유로공간(2310a)이 형성된 커넥터몸체부(2310), 상기 커넥터몸체부(231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오링(2540)과 제1커넥터연결부(2150)가 삽입되는 이격공간(2350a)이 형성되되 상기 커넥터몸체부(2310)와 동심구조로 이루어진 필터커넥터연결부(23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몸체부(2310)와 필터커넥터연결부(235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부(2360)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한 쌍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필터헤드(2100)가 오링(2540)을 매개로 양측 커넥터몸체부(2310)에 각각 결합되면, 오링(2540)은 제1연결단차부(2150d)와 커넥터하우징부(2360) 사이에 구비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필터커넥터연결부(2350)는 제1커넥터연결부(2150)에 가까운 측이 직경이 더 크도록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1커넥터연결부(2150)가 이격공간(2350a)에 삽입되면 제1돌출플랜지(2150e)가 단차진 형상에 걸림되어 삽입깊이가 제한된다.
상기한 구성의 필터커넥터(2300)를 필터헤드(2100)에 조립하는 경우, 단순한 삽입 작업만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서로 이웃하는 필터헤드(2100) 사이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도구 없이 간단하게 분리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커넥터연결부(2150)와 커넥터몸체부(2310) 사이에는 오링(2540)이 개재됨으로써 상기 제1커넥터연결부(2150)의 내주면과 커넥터몸체부(2310)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튜브커넥터(2600)는, 상기 필터(110,130)와 원수가 입수되는 입수부(미도시) 또는 정수기 내부의 물탱크(미도시)나 출수부(미도시)에 연결시키기 위한 튜브(미도시) 사이에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으로, 정수기 내부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튜브커넥터하우징부(2620), 상기 튜브커넥터하우징부(2620)의 일측에 형성된 튜브커넥터몸체부(2610)와 튜브커넥터연결부(26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튜브커넥터하우징부(2620)의 타측은 튜브연통부(2670)를 통해 상기 튜브가 연결된다.
상기 튜브커넥터몸체부(2610)는 제2커넥터연결부(2160)를 통해 유로몸체부(2110)에 삽입되되 그 내부에 유로공간(261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튜브커넥터연결부(2630)는 튜브커넥터몸체부(261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오링(2530)과 제2커넥터연결부(2160)가 삽입되는 이격공간(2630a)이 형성되도록 상기 튜브커넥터몸체부(2610)와 동심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튜브커넥터연결부(2630)는 제2커넥터연결부(2160)에 가까운 측이 직경이 더 크도록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2커넥터연결부(2160)가 이격공간(2630a)에 삽입되면 제2돌출플랜지(2160e)가 단차진 형상에 걸림되어 삽입깊이가 제한된다.
상기한 구성의 튜브커넥터(2600)를 필터헤드(2100)에 조립하는 경우, 단순한 삽입 작업만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조립성이 향상되고, 튜브와 필터헤드(2100) 사이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도구 없이 간단하게 분리 가능하다.
또한, 필터의 유입구/배출구와 필터헤드의 유입구/배출구연결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필터와 필터헤드를 회전시켜 결합하는 종래의 필터결합구조의 경우 기밀부에 파팅라인이 형성되어 누설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필터헤드(2100)의 유입구연결부(2130)와 배출구연결부(2140)와 유로몸체부(2110)와 제1커넥터연결부(2150)와 제2커넥터연결부(2160)는 조립되는 상대물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내부에 공간(2110a,2110b,2130a,2140a,2150a,2160a)이 형성되므로, 사출 성형에 의해 필터헤드(2100)를 일체로 성형하는 경우에도 기밀 유지가 필요한 부분에는 파팅라인(parting line)이 형성되지 않아 파팅라인에 의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커넥터(2300)의 커넥터몸체부(2310)와 필터커넥터연결부(2350), 튜브커넥터(2600)의 커넥터몸체부(2610)와 튜브커넥터연결부(2630)에도 기밀유지가 필요한 부분에 파팅라인이 형성되지 않아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헤드(2100)의 제1커넥터연결부(2150)와 필터커넥터(2300)의 커넥터몸체부(2310)는 단면이 링 형상이고, 필터헤드(2100)의 제2커넥터연결부(2160)와 튜브커넥터(2600)의 튜브커넥터연결부(2610)도 단면이 링 형상이다. 따라서 필터헤드(2100)는 필터커넥터(2300)와 튜브커넥터(26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커넥터연결부(215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회전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가능하므로, 필터(110,120,130)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해진다.
상기 필터지지부(4000)는, 필터(110,120,130)의 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판(4100), 상기 필터지지판(4100)의 후단에서 상향 돌출되어 필터(110,120,130)의 하단이 걸림되는 필터걸림부(4200), 상기 필터지지판(4100)의 가장자리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된 필터지지측부몸체(4300), 상기 필터지지측부몸체(4300)와 필터지지판(4100)의 전방부가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부(44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필터(110,120,13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도 16의 상태에서 필터(120)와 필터헤드(2100)를 전방(도 16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8의 상태가 되고, 이렇게 회전된 상태에서 필터(110,120,130)를 필터헤드(210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 경우 함몰부(4400)가 형성되어 있어 필터(110,120,130)의 저면을 손으로 잡기가 용이하다. 상기 필터(110,120,130)의 분리 후 새로운 필터(110,120,130)를 필터헤드(2100)에 결합하여 후방(도 16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필터(110,120,130)가 필터지지판(4100)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 경우 필터(110,120,130)의 후방 하단은 필터걸림부(4200)에 걸림으로써 후방으로의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또한, 필터(110,120,130)를 회전시키는 경우 그 회전중심은 제1커넥터연결부(2150)의 길이방향의 중심축(도 16에서 A)이 되므로, 제1커넥터연결부(2150)의 필터(110,120,130)의 저면과 필터지지판(4100)의 상면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필터(110,120,130)의 저면과 필터지지판(4100)의 상면 사이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0,120,130,140 : 필터 111 : 유입구
112 : 배출구 113 : 필터하우징
114 : 필터캡 115 : 필터부재
200 : 필터연결부 210 : 필터헤드
211 : 유로몸체부 211a : 제1유로공간
211b : 제2유로공간 212 : 격벽
213 : 유입구연결부 213a,214a : 내부공간
213b : 유입구단차부 213c : 제1결합돌기
214 : 배출구연결부 214b : 배출구단차부
214c : 제2결합돌기 215 : 제1커넥터연결부
215a : 제1커넥터삽입공간 215b : 제1연결단부
215c : 제3결합돌기 215d : 제1연결단차부
216 : 제2커넥터연결부 216a : 제2커넥터삽입공간
216b : 제2연결단부 216c : 제4결합돌기
216d : 제2연결단차부 217 : 필터헤드몸체부
217a : 체결구멍 218 : 필터헤드플랜지
219 : 체결보스 220 : 제1필터헤드캡
221 : 유입구관통부 221a,222a : 내부공간
222 : 배출구관통부 223 : 제1캡몸체
223a,223d : 제1결합편 223b,223e : 제1캡몸체결합구멍
223c,223f : 제1절개부 224 : 제2캡몸체
224a,224d : 제2결합편 224b,223e : 제2캡몸체결합구멍
224c,224f : 제2절개부 225 : 캡몸체연결부
226 : 캡몸체하단연결부 230 : 필터커넥터
231 : 커넥터몸체부 232 : 제1커넥터단차부
233 : 제2커넥터단차부 234 : 제3커넥터단차부
240 : 제2필터헤드캡 241 : 제2필터헤드캡몸체
242 : 제2필터헤드캡플랜지 242a : 플랜지삽입홈
243 : 제2필터헤드캡외부몸체 243a : 제2필터헤드캡결합구멍
251,252,253,254,255 : 오링 260 : 튜브커넥터
261 : 튜브커넥터연결부 300 : 필터고정부
310 : 제1필터고정부재 311 : 제1필터고정몸체
312 : 제1필터헤드결합면 312a : 필터고정부재결합홈
312b : 결합홈상부 312c : 결합홈하부
313 : 제1필터헤드결합부 313a : 필터헤드결합하부
313b : 필터헤드결합상부 313c : 체결구멍
314 : 유로몸체덮개부 315 : 제2필터헤드결합부
320 : 제2필터고정부재 321 : 제2필터고정몸체
322 : 제2필터헤드결합면 323 : 필터고정부재결합돌기
323a : 결합돌기삽입부 323b : 결합돌기연결부
330 : 체결부재 400,400-1,400-2 : 필터지지부
410,410-1,410-2 : 필터지지부재 411,411-1,411-2 : 필터지지부재몸체
411a : 측면 411b,411c : 절개홈
411d : 절개편 411e : 돌출부
412 : 손잡이부 413 : 필터지지부재가이드
414 : 개방 공간 415 : 후단플랜지
420,420-1 : 필터지지용베이스 421 : 바닥부
422,423 : 측벽 422a,423a : 측벽절개부
424 : 후벽 424a,424b : 단부
425a,425b : 후벽절개부 426 : 후벽리브
427 : 베이스가이드 428 : 가이드홈
412-1 : 스토퍼몸체 413-1 : 스토퍼
414-1 : 필터지지편 415-1 : 가이드플레이트
416-1 : 가이드돌기 417-1a,417-1b,417-1c : 걸림홈
418-1 : 상부스프링고정리브 412-2 : 제1가이드돌기
412-2a : 가이드부 412-2b : 손잡이부
413-2 : 제2가이드돌기
421-1,422-1,423-1,424-1,427-1,421-2 : 베이스몸체
422-2,423-2 : 가이드구멍
425-1a,425-1b,425-1c : 걸림돌기 426-1 : 하부스프링고정리브
430-1 : 스프링 2000 : 필터연결부
2100 : 필터헤드 2110 : 유로몸체부
2110a : 제1유로공간 2110b : 제2유로공간
2120 : 격벽 2130 : 유입구연결부
2130a,2140a : 내부공간 2130b : 유입구단차부
2140 : 배출구연결부 2140b : 배출구단차부
2150 : 제1커넥터연결부 2150a : 제1커넥터삽입공간
2150e : 제1돌출플랜지 2150f : 제1걸림단차부
2160 : 제2커넥터연결부 2160a : 제2커넥터삽입공간
2160e : 제2돌출플랜지 2160f : 제2걸림단차부
2200 : 제1필터헤드캡 2210 : 제1캡
2211 : 제1캡몸체부 2212 : 제1캡삽입부
2220 : 제2캡 2221 : 제2캡몸체부
2222 : 제2캡삽입부 2300 : 필터커넥터
2310 : 커넥터몸체부 2350 : 필터커넥터연결부
2350a : 이격공간 2360 : 커넥터하우징부
2510, 2520,2530,2540 : 오링 2600 : 튜브커넥터
2610 : 튜브커넥터몸체부 2610a : 유로공간
2620 : 튜브커넥터하우징부 2630 : 튜브커넥터연결부
2630a : 이격공간 2670 : 튜브커넥터연통부
4000 : 필터지지부 4100 : 필터지지판
4200 : 필터걸림부 4300 : 필터지지측부몸체
4400 : 함몰부

Claims (36)

  1.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필터부재에 의해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복수의 필터;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서로 이웃하는 필터들 사이에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 필터연결부;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필터지지부;
    로 이루어진 정수기의 필터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연결부는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삽입되는 유입구연결부와 배출구연결부가 형성된 필터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헤드에는, 일측이 상기 유입구연결부와 배출구연결부의 내부와 각각 연통하고 타측이 이웃하는 필터 또는 튜브에 각각 연통하도록 격벽에 의해 내부의 유로공간이 분리된 유로몸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유입구연결부의 사이와 상기 배출구와 배출구연결부의 사이에 오링이 각각 개재되고, 상기 오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필터헤드캡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연결부와 배출구연결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각각 돌출된 유입구단차부와 배출구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필터헤드캡은, 상기 유입구와 유입구연결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유입구가 내부를 관통하는 유입구관통부, 상기 배출구와 배출구연결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배출구가 내부를 관통하는 배출구관통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링은, 상기 유입구관통부의 단부와 유입구단차부의 사이, 상기 배출구관통부의 단부와 배출구단차부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헤드캡에는, 상기 유입구연결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유입구관통부의 외측에 동심구조로 형성된 제1캡몸체, 상기 배출구연결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배출구관통부의 외측에 동심구조로 형성된 제2캡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1캡몸체와 유입구관통부의 사이에 상기 유입구연결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2캡몸체와 배출구관통부의 사이에 상기 배출구연결부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몸체과 제2캡몸체에는 제1캡몸체결합구멍과 제2캡몸체결합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캡몸체결합구멍과 제2캡몸체결합구멍에는 상기 유입구연결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와 상기 배출구연결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가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몸체부의 적어도 일측단에는 이웃하는 필터에 연결된 필터헤드와 연결하기 위해 내부에 유로공간이 형성된 필터커넥터가 연결되고, 상기 필터커넥터는 상기 유로몸체부의 일측단에 오링을 매개로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넥터는, 상기 유로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1커넥터연결부에 삽입되되 그 내부에 유로공간이 형성된 커넥터몸체부와, 상기 커넥터몸체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오링에 대향하는 제1커넥터단차부와, 상기 제1커넥터단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헤드에 맞닿아 상기 제1커넥터단차부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2커넥터단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터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필터에 결합된 필터헤드의 일측단에는 상기 튜브와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내부에 유로공간이 형성된 튜브커넥터가 삽입되고, 상기 튜브커넥터와 필터헤드 사이에는 오링이 개재되며, 상기 오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2필터헤드캡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수평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고정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고정부는, 상기 필터의 외주면 일부를 둘러싸는 제1필터고정부재와, 상기 필터의 외주면 나머지를 둘러싸는 제2필터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필터고정부재와 제2필터고정부재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고정부재와 제2필터고정부재에는 상기 필터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복수의 제1필터고정몸체와 상기 제1필터고정몸체에 각각 대향하는 제2필터고정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제1필터고정몸체 사이에는 필터고정부재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필터고정몸체 사이에는 상기 필터고정부재결합홈에 삽입되는 필터고정부재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연결부는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유입구연결부와 배출구연결부가 형성된 필터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고정부재에는 상기 필터헤드가 결합되는 필터헤드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부는,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재와, 상기 필터지지부재가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필터지지용베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부재는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재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의 양측면 단부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지지용베이스의 후방에 형성된 후벽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걸림되어 상기 필터지지부재가 필터지지용베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용베이스의 서로 이웃하는 후벽의 경계부에는 절개된 형상의 후벽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웃하는 각각의 후벽에 대응하는 필터지지부재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후벽절개부의 양측단에 형성된 후벽 단부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의 측면에는 상기 돌출부의 상부와 하부에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에는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필터지지부재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지지용베이스의 입구측 양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베이스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가이드와 그 하부의 바닥부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상기 필터지지부재가이드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용베이스의 후방에 형성된 후벽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후벽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지지부재에는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후면이 개방된 필터지지부재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의 후단은 상기 후벽리브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부는,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재와, 상기 필터지지부재의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필터지지용베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부재에는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재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지지용베이스에는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 공간에 상기 필터지지부재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베이스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몸체에는 상기 상사점과 하사점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에는 상기 가이드구멍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부재의 저면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부재의 필터지지부재몸체 저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상부스프링고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지지용베이스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몸체 상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하부스프링고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부재에는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재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지지용베이스에는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의 상하 이동 공간을 둘러싸는 베이스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의 가장자리에는 단턱이 형성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몸체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지지부재의 상승시 상기 걸림돌기에 상기 걸림홈의 단턱이 걸림되는 위치가 상기 상사점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부재에는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재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지지용베이스에는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 공간에서 상기 필터지지부재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베이스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몸체에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는 스토퍼삽입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지지부재가 상사점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토퍼가 스토퍼삽입구멍의 하단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멍에서 하사점 위치의 가이드구멍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몸체를 상측 단부까지 절개한 입출가이드구멍부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멍은 상기 상사점에 대응하는 부분과 상기 하사점에 대응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이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몸체의 외주면 둘레를 일 방향으로 따라 가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한 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2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는 양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은 상기 필터지지부재를 필터지지용베이스에 밀어 넣었을 때 상기 후벽의 단부에 걸림되고, 상기 돌출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은 상기 필터지지부재를 필터지지용베이스로부터 빼낼 때 상기 필터지지용베이스의 입구측 양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베이스가이드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부재에는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부재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되 상기 필터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필터의 후방을 지지하는 필터지지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필터지지부재몸체의 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제1가이드돌기와 제2가이드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이드돌기는, 봉 형상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되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3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연결부와 배출구연결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각각 돌출된 유입구단차부와 배출구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필터헤드캡은, 상기 유입구와 유입구연결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유입구가 내부를 관통하는 제1캡, 상기 배출구와 배출구연결부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배출구가 내부를 관통하는 제2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링은, 상기 제1캡의 단부와 유입구단차부의 사이, 상기 제2캡의 단부와 배출구단차부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3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넥터는, 정수기 내부의 구조물에 고정되는 커넥터하우징부, 상기 유로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1커넥터연결부에 삽입되되 그 내부에 유로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커넥터하우징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커넥터몸체부와, 상기 커넥터몸체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커넥터몸체부와 동심구조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커넥터하우징부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필터커넥터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몸체부의 외주면에 오링이 구비되고, 상기 오링의 외주면과 상기 필터커넥터연결부의 내주면 사이에 상기 제1커넥터연결부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헤드의 제1커넥터연결부가 상기 필터커넥터의 커넥터몸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헤드는 상기 제1커넥터연결부와 커넥터몸체부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부는, 상기 필터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필터지지판과, 상기 필터지지판의 후단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필터헤드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필터의 하단이 걸림되는 필터걸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의 회전시 상기 필터의 저면과 상기 필터지지판의 상면 사이는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필터 조립체
KR1020160054665A 2016-05-03 2016-05-03 정수기의 필터조립체 KR102538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665A KR102538421B1 (ko) 2016-05-03 2016-05-03 정수기의 필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665A KR102538421B1 (ko) 2016-05-03 2016-05-03 정수기의 필터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159A true KR20170125159A (ko) 2017-11-14
KR102538421B1 KR102538421B1 (ko) 2023-06-01

Family

ID=6038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665A KR102538421B1 (ko) 2016-05-03 2016-05-03 정수기의 필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42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101A (ko) * 2003-02-13 2004-08-19 노응석 정수기의 필터 연결 장치
KR100505861B1 (ko) * 2003-07-10 2005-08-04 김근태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의 교체가 용이한 연결구조
KR200440743Y1 (ko) * 2007-02-14 2008-06-30 박승용 정수기의 필터 연결장치
KR20080102968A (ko) * 2008-05-16 2008-11-26 김재경 주방용 정수기
KR20110066541A (ko) * 2009-12-11 2011-06-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의 여과필터 모듈장치
KR101076160B1 (ko) * 2011-03-09 2011-10-21 김정범 정수기필터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101A (ko) * 2003-02-13 2004-08-19 노응석 정수기의 필터 연결 장치
KR100505861B1 (ko) * 2003-07-10 2005-08-04 김근태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의 교체가 용이한 연결구조
KR200440743Y1 (ko) * 2007-02-14 2008-06-30 박승용 정수기의 필터 연결장치
KR20080102968A (ko) * 2008-05-16 2008-11-26 김재경 주방용 정수기
KR20110066541A (ko) * 2009-12-11 2011-06-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수기의 여과필터 모듈장치
KR101076160B1 (ko) * 2011-03-09 2011-10-21 김정범 정수기필터의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421B1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05149B2 (en) Filter Vessel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10041233B2 (en) Faucet valve housing assembly
EP1818090B1 (en) Filter system with alignment device for seating a filter cartridge in a filter housing
US20180036659A1 (en) Water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ES2768616T3 (es) Sistemas, componentes y procedimientos de filtración de líquidos
AU2015253954B2 (en) Water filter assembly
CA2891440C (en) Filter cartridge
RU2747357C2 (ru) Фильтрующие элементы,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и в сборе и способы применения и сборки
CN1988944B (zh) 液体过滤装置
US10178921B1 (en) Mechanisms and systems for filter seating
EP2091626B1 (en) Liquid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s
US10010817B2 (en) Top load liquid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s
JP2009058055A (ja) 逆止弁の設定方法と逆止弁ユニット
US20130193057A1 (en) Top load liquid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s
KR20170125159A (ko) 정수기의 필터조립체
KR101622769B1 (ko) 스트레이너
US9370737B1 (en) Filter assembly for an appliance
CN108339306B (zh) 复合滤芯和具有其的水处理设备
CN108339309B (zh) 复合滤芯和具有其的水处理设备
US20080029452A1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KR20150002961U (ko) 정수 필터용 커넥터
CN108295541B (zh) 过滤组件、复合滤芯和具有其的水处理设备
JP2002192150A (ja) 浄水器の取付装置
US20190291032A1 (en) Removable connector for filter system
KR20200016485A (ko) 수전용 카트리지타입 정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