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881A -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4881A KR20170124881A KR1020160054858A KR20160054858A KR20170124881A KR 20170124881 A KR20170124881 A KR 20170124881A KR 1020160054858 A KR1020160054858 A KR 1020160054858A KR 20160054858 A KR20160054858 A KR 20160054858A KR 20170124881 A KR20170124881 A KR 201701248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emitting diode
- visible light
- signal
- emitting diod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16—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 는 상기 도 3 의 발광 다이오드를 식별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코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Weighing matrix 의 예시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교 코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다마드 행렬의 예시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파형의 송수신 과정의 예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와 수신기의 시스템 파라미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인식 범위의 개념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분리 실험 결과와 해당 경우의 SNR 을 나타낸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 순서 위치를 나타낸다.
200 : 실내 위치 인식 장치
210 : 수신부
220 : 식별부
230 : 측정부
240 : 연산부
Claims (18)
-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에 포함된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는, 각 발광 다이오드에 따라 서로 상이한 직교 코드가 적용된 가시광 신호를 각각 발생시키도록 구성됨 - 로부터의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에 상기 상이한 직교 코드들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와 측위 지점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측위 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3 개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측위 지점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삼변측량 (trilateration) 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측위 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가시광 신호의 세기에 대한 측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측위 지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응하는 직교 코드를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응하는 직교 코드를 적용한 결과값이 0 이 아니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응하는 직교 코드를 적용한 결과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가시광 신호의 세기에 대한 측정값을 나타내는,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가시광 신호의 세기에 대한 측정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의 출력 가시광 신호의 세기와 거리 상수의 곱을 나타내는,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는 동일한 주파수의 가시광 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의 감지된 파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가시광 신호의 세기에 대한 측정값인 illuminance 를 나타내고, 상기 illuminance 는 하기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측정되는,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방법.
단, 여기서 decoded signal 은 상기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에서 감지된 신호, ts는 샘플링 시간, fm 은 변조된 주파수, ns 는 1/fm 동안 샘플링된 회수, AVCC 는 상기 측위 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연산부의 입력 전압, ADC resolution 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경우의 분해도, C1 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가시광 신호의 세기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의 비율을 나타냄. -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에 포함된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는, 각 발광 다이오드에 따라 서로 상이한 직교 코드가 적용된 가시광 신호를 각각 발생시키도록 구성됨 - 로부터의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에 상기 상이한 직교 코드들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식별하는 식별부; 및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와 측위 지점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측위 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적어도 3 개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측위 지점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삼변측량 (trilateration) 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측위 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가시광 신호의 세기에 대한 측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측위 지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응하는 직교 코드를 적용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응하는 직교 코드를 적용한 결과값이 0 이 아니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식별하는,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가시광 신호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응하는 직교 코드를 적용한 결과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가시광 신호의 세기에 대한 측정값을 나타내는,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가시광 신호의 세기에 대한 측정값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의 출력 가시광 신호의 세기와 거리 상수의 곱을 나타내는,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는 동일한 주파수의 가시광 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의 감지된 파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가시광 신호의 세기에 대한 측정값인 illuminance 를 나타내고, 상기 illuminance 는 하기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측정되는,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장치.
단, 여기서 decoded signal 은 상기 가시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에서 감지된 신호, ts는 샘플링 시간, fm 은 변조된 주파수, ns 는 1/fm 동안 샘플링된 회수, AVCC 는 상기 연산부의 입력 전압, ADC resolution 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경우의 분해도, C1 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가시광 신호의 세기에 따라 출력되는 전압의 비율을 나타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4858A KR101835967B1 (ko) | 2016-05-03 | 2016-05-03 |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4858A KR101835967B1 (ko) | 2016-05-03 | 2016-05-03 |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4881A true KR20170124881A (ko) | 2017-11-13 |
KR101835967B1 KR101835967B1 (ko) | 2018-03-08 |
Family
ID=6038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4858A Expired - Fee Related KR101835967B1 (ko) | 2016-05-03 | 2016-05-03 |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596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394322A (zh) * | 2020-05-27 | 2021-02-23 | 南京邮电大学 | 一种基于两步法实现室内可见光通信系统精确定位的方法 |
-
2016
- 2016-05-03 KR KR1020160054858A patent/KR10183596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394322A (zh) * | 2020-05-27 | 2021-02-23 | 南京邮电大学 | 一种基于两步法实现室内可见光通信系统精确定位的方法 |
CN112394322B (zh) * | 2020-05-27 | 2023-06-20 | 南京邮电大学 | 一种基于两步法实现室内可见光通信系统精确定位的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35967B1 (ko) | 2018-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Yamazato et al. | Image sensor bas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its application to pose, position, and range estimations | |
US11372086B2 (en) | Radio frequency (RF) object detection using radar and machine learning | |
Chi et al. | Harmony: Exploiting coarse-grained received signal strength from IoT devices for human activity recognition | |
US9404999B2 (en) | Localization system and localization method | |
KR101359345B1 (ko) | 위치측정시스템 | |
US6853445B2 (en) | Two-dimensional angle of arrival detection device | |
KR101542947B1 (ko) | 이동체의 자세 인식 장치 및 위치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KR101835967B1 (ko) |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 |
KR20140019586A (ko) | 침입 감지 장치 및 방법 | |
EP3499323A2 (en) | Building infrastructure system with enhanced radar based presence detection using radio rssi evaluation | |
Yang et al. | NALoc: Nonlinear ambient-light-sensor-based localization system | |
Torres‐Zapata et al. | Implementation of a VLC‐based indoor localization system | |
KR101877608B1 (ko) | 실내 측위 시스템 및 방법 | |
Amsters et al. | Unmodulated visible light positioning using the iterated extended Kalman filter | |
US20120032851A1 (en) | Emitter location | |
JP7455786B2 (ja) | 照明制御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 |
Li et al. | Flicker free indoor visible light positioning system assisted by a filter and mobile phone camera | |
Whitney et al. | Reducing RF distance error by characterizing multipath | |
Zeaiter | Modeling and simulation of radio signals in confined environments using a software defined radio | |
JP7245836B2 (ja) | 位置検出システム、算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位置検出方法 | |
Lichtenegger et al. | Simulation of fingerprinting based Visible Light Positioning without the need of prior map generation | |
US20200367017A1 (en) | Virtual and real information integration spatial positioning system | |
KR20020080548A (ko) | 무선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 |
KR20190108373A (ko) | 실내 위치를 측정하는 무선 측위 교육 시스템 | |
RU51771U1 (ru) | Терминал для передачи трехмерных изображений в биометрических системах (вариант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