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416A - Pipe branch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ipe branch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4416A
KR20170124416A KR1020160054305A KR20160054305A KR20170124416A KR 20170124416 A KR20170124416 A KR 20170124416A KR 1020160054305 A KR1020160054305 A KR 1020160054305A KR 20160054305 A KR20160054305 A KR 20160054305A KR 20170124416 A KR20170124416 A KR 20170124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tube
multijunction
pa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3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07401B1 (en
Inventor
장만호
Original Assignee
장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만호 filed Critical 장만호
Priority to KR1020160054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401B1/en
Publication of KR20170124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4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4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fixed with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6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end surfaces of the pipes or flanges or arranged in recesses in the pipe ends or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device for a multijunction pipe. The connection device for a multijunction pipe can prevent water leakage after piping by perfectly sealing a main pipe and a multijunction pipe although the main pipe is made with a double wall synthetic resin pipe and a lateral surface of the multijunction hole forms a hollow part, simultaneously prevent soil and ground water from being contaminated due to water leakage and reduce a work time due to a simplified structure and construction convenience, and provide an effect of work efficiency increase.The connection device for a multijunction pipe comprises: a connection tube inserted into a multijunction hole of a main pipe and having a tapered part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and opened outward; a flexible packing member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tube; and a fastening tube screwed and coupled to the connection tube. An inner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apered part of the connection tube is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acking member. A cylindrical compressed member which presses and supports the packing member by screw-coupling of the fastening tube and the connection tub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packing member and the fastening tube. The connection device for a multijunction pipe further includes: a joint tube having a hollow part formed therein into which the multijunction tube is inserted; a packing member mount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joint tube and inserted into the multijunction pipe; and a connecting fixing tube screwed and coupled with the joint tube and compressing and supporting the packing member. A connection packing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ng tube and the multijunction tube, and the connection packing is formed in a cap shape.

Description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Pipe branching apparatus}[0001] Pipe branching apparatus [0002]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배관이 이중벽 합성수지관으로 이루어져 분기공의 측면이 중공부를 이루더라도 주배관과 분기관을 완벽하게 수밀시켜 배관 후 누수의 방지, 누수로 인한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구조의 단순화 및 시공의 간편함으로 인해 작업시간의 단축, 작업능률의 향상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배관분기용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Especially, when the main pipe is made of double wall synthetic pipe, the main pipe and the branch pipe are completely watertight even if the side of the branch pipe forms a hollow part, thereby preventing leakage after piping and preventing contamination of soil and ground water due to leakag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onnection device for piping branching which provides effects such as shortening of working time and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due to simplification of construction and simplicity of construction.

종래에는 주배관에서 분기관을 형성할 경우에, 분기관 연결방식은 주배관에 천공된 분기공에 분기관을 삽입한 후, 분기관의 외주면과 접하는 분기공의 테두리를 몰타르, 접착제 또는 시멘트 등으로 융착 또는 접합시켜 연결하거나, 분기공과 분기관 사이에 별도의 연결소켓을 게재시키고, 연결소켓을 주배관의 몸체에 볼트로 체결시켜 연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Conventionally, when a branch pipe is formed in a main pipe, a branch pipe is inserted into a branch pipe drilled in a main pipe, and then the rim of the branch pipe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is fused or bonded with a mortar, Or a separate connection socket is provided between the branch pipe and the branch pipe, and the connection socket is connected to the main pipe body by bolts.

그러나, 통상적으로 지하 또는 작업공간이 협소한 곳에서 이루어지는 분기관 연결작업에 비추어 볼 때, 상기와 같은 연결방식은 작업하기가 매우 불편하여 작업능률이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완벽한 작업을 하는 데도 어려움이 많고, 연결작업을 하고 난 다음에도 다시 보수공사를 해야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에 따라 상기 융착부, 접합부 또는 볼트 체결부위가 노후하게 되어 수밀도가 현저하게 저하되고, 이로 인해 누수 및 누수로 인한 토양, 지하수 등을 오염시키는 심각한 환경문제를 일으키게 된다.However, in view of the connection work of the branch pipe which is usually performed in a place where the underground or the work space is narrow, the above-mentioned connection method is very inconvenient to work and not only the work efficiency is remarkably decreased, Not only causes problems such as a need for repair work after the connection work, but also causes a problem of deterioration in the water density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fused portion, the joint portion or the bolt fastening portion due to use over a long period of time, Causing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that pollute soil, groundwater, etc. due to leakage.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특허등록 제521061호의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가 안출되었는바, 그 기술내용을 간략히 설명하면, 주배관(10)의 분기공(11)에 삽입되며 외향으로 확개된 테이퍼부(21)가 형성된 연결관(20), 상기 연결관(20)의 외주에 장착되는 패킹부재(30)와 압착부재(40) 및 이들을 연결관(20)에 고정시키는 체결관(50), 내부에 분기관(13)이 삽입되는 이음관(60), 이음관(60)의 외주에 장착되는 패킹부재(31)와 와셔(70) 및 이들을 고정시키는 이음고정관(8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tapered portion 21 inserted into the branch hole 11 of the main pipe 10 and widened outward is used as a connecting device for pipe branching of the patent registration No. 521061 as a technique for solving the problem. A packing member 30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pipe 20 and a compression member 40 and a fastening pipe 50 for fixing them to the connection pipe 20, A joint pipe 60 into which the pipe 13 is inserted and a packing member 31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joint pipe 60 and a washer 70 and a joint fixing pipe 80 for fixing them.

상기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는 주배관의 분기공에 삽입되며, 일측에 외향으로 확개된 테이퍼부가 구비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외주에 장착되는 연질의 패킹부재와, 상기 연결관과 나사결합되는 체결관을 포함한다.The connecting device for piping branching comprises a connecting pipe inserted into a branch hole of a main pipe and having a tapered portion widened outwardly on one side, a soft packing member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ng pipe, Tube.

그러나, 상기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만으로는 충분한 수밀이 보장하지 못하며, 이음관과 패킹부재 그리고 이음고정관이 별도로 요구되어야 하고, 체결관과 이음과 사이의 수밀을 보장할 수 있는 수단이 없으며, 연결관이 주배관의 내압에 빠지지 않도록 견딜 수 있는 수단이 없다.However, the connecting device for pipe branching can not ensure sufficient watertightness only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it is required that the joint pipe, the packing member and the joint fixing pipe be separately provided, and the means for ensuring the watertightness between the pipe and the joint And there is no means for the connector to withst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main pip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주배관과 분기관의 수밀성을 극대화하여 누수, 특히 오수(汚水)나 폐수(廢水)의 누수로 인한 토양오염 및 지하수 오염과 같은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를 제공하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별도의 도구나 장비 없이도 단시간내에 배관 분기작업을 효과적으로 수 행할 수 있는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며, 주배관과 연결관의 수밀성은 물론 분기관의 수밀성까지 일체로 확보할 수 있는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provides a connection device for piping branching that prevents pollution such as soil pollution and ground water pollution due to leakage of leakage water, especially sewage (sewage) and wastewater (water) by maximizing the watertightness of main pipe and branch pipe, It provides a connection device for piping branching that can effectively perform piping branching work in a short time without any tools or equipments. It also provides connection device for piping branching which can secure watertightness of main piping and connection piping as well as water tightness of branch piping.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주배관의 분기공에 삽입되며, 일측에 외향으로 확개된 테이퍼부가 구비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외주에 장착되는 연질의 패킹부재와; 상기 연결관과 나사결합되는 체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의 테이퍼부에 대응하는 내향경사면이 상기 패킹부재의 일측에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과 상기 체결관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상기 패킹부재를 압착 지지하는 원통형의 압착부재가 상기 패킹부재와 상기 체결관 사이에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 또는 상기 체결관의 타측에 나사결합되며, 내부 중공부에 분기관이 삽입되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의 외주에 장착되어 상기 분기관에 삽입되는 연질의 패킹부재와; 상기 이음관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패킹부재를 압착 지지하는 이음고정관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과 분기관 사이에는 연결용 패킹을 더 설치하되, 상기 연결용 패킹은 원형링 형태이면서 동시에 링 단면이 캡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pipe which is inserted into a branch hole of a main pipe and has a tapered portion widened outward at one side thereof; A flexible packing member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pipe; And a fastening pipe threadably coupled with the coupling pipe; An inward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a tapered portion of the coupling tube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acking member; A cylindrical compression member for compressively supporting the packing member by screwing the connection pipe and the tightening pip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packing member and the fastening pipe; A coupling pipe threaded into the coupling pipe or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ipe and having a branch pipe inserted into the inner hollow portion; A soft packing member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joint pipe and inserted into the branch pipe; And a joint fixing pipe screwed to the joint pipe to press-support the packing member; And a connecting packing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pipe and the branch pipe, wherein the connecting packing is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and the ring section is formed in a cap shape.

또한, 상기 연결관과 분기관이 잘 밀착되어 결합되어 있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압력감지 센서(400)를 연결용 패킹 일단에 설치하고, 상기 압력감지 센서의 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부(500)를 설치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설치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connection pipe and the branch pipe are in tight contact with each other, a pressure sensing sensor 40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cking, and a control unit 500 for confirming the information of the pressure sensing sensor is installed And an error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ct is not properly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상기 연결관과 분배관의 결합상태가 불완전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50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접촉 에러신호 출력부(102)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The automatic error signal output unit 10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01 for applying a power supply signal by its own power supply; A contact error signal output unit 102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500 and switching the power supply circuit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on pipe and the distribution pipe is detected to be incomplete; An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which is supplied with electricity when the power switch is turned on and outputs a boosted AC current; A relay operation switching unit 1108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and turned on by electrical supply; A relay switch 1107 installed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ing unit 1108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hat performs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1107; An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for supplying power to the error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and displaying an error signal when the relay wire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1107;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base e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emitter end and the collector end are connected to the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and the relay operation switching part 1108. The operation of the relay operation switching part 1108 pulls the iron piece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are forcibly turned off at this time, the closed circuit is broken, And the relay switch 1108 is turned on to turn o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so as to continuously output an error signal And a switching unit 1118 for maintenan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배관과 분기관의 수밀성을 극대화하여 누수, 특히 오수(汚水)나 폐수(廢水)의 누수로 인한 토양오염 및 지하수 오염과 같은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를 제공하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별도의 도구나 장비 없이도 단시간내에 배관 분기작업을 효과적으로 수 행할 수 있는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며, 주배관과 연결관의 수밀성은 물론 분기관의 수밀성까지 일체로 확보할 수 있는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ximizes the watertightness of the main pipe and the branch pipe to provide a connection device for piping branching which prevents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soil contamination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due to leakage of water, particularly, sewage or wastewater Provides a connection device for piping branching that can effectively perform piping branching work in a short time without any tools or equipments in a small space. It also provides watertightness of main piping and connection piping as well as watertightness of branch piping.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connecting device for piping branching which can be used for pip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로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for bran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of Fig. 1;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Fig. 2;
4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ircuit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a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described.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rior art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that are not show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compon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essential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properly modify the term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by no means limi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for bran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of Fig. 1; Fig.

도 3은 도 2의 단면도.3 is a sectional view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회로구성 블록도.4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회로도로서,5 is a circuit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는 크게 주배관(10)의 분기공(11)의 수밀성을 확보하는 제 1 수밀부분과, 분기관(100)의 수밀성을 확보하는 제 2 수밀부분 및, 연결관과 분기관 사이의 수밀성을 확보하는 제 3 수밀부분으로 구성된다.First, the main piping branching device comprises a first watertight portion securing the watertightness of the branch hole 11 of the main pipe 10, a second watertight portion securing the watertightness of the branch pipe 100, And a third watertight portion securing watertightness between the engines.

즉, 제 1 수밀부분을 살펴보면, 주배관(10)의 분기공(11)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본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배관(10)의 분기공(11)에 삽입되는 연결관(200)과, 상기 연결관(200)의 외주에 장착되는 패킹부재(210), 그리고 상기 연결관(200)과 나사결합되는 체결관(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secure the watertightness of the branch hole 11 of the main pipe 10, the main pipe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main pipe 10 is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11 of the main pipe 10, A packing member 210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pipe 200 and a connection pipe 230 screwed into the connection pipe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관(200)은 상기 주배관(10)의 외주상에 천공된 분기공(11)에 삽입되며, 삽입되는 부분의 단부에 외향으로 소정각도 확개된 테이퍼부(201)가 구비된다.Specifically, the connection pipe 200 is inserted into the branch hole 11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in pipe 10, and a tapered portion 201 is formed at an end of the inserted por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outwardly.

그리고, 상기 연결관(200)의 외주상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수나사부(203)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a predetermined male screw portion 203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200.

여기서, 상기 연결관(200)의 외경은 상기 분기공(11)의 내경에 비하여 축소형성되며, 상기 연결관(200)의 일단부에 구비된 테이퍼부(201)의 외경 역시 상기 분기공(11)의 내경에 비하여 축소형성된다.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ipe 20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ranch hole 11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tapered portion 201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ipe 200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branch hole 11 Which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이와 같이 상기 연결관(200)은 물론 상기 테이퍼부(201)의 최대 외경 역시 상기 분기공(11)의 내경에 비하여 축소형성되어야 상기 연결관(200)이 상기 분기공(11)에 무리 없이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maximum diameter of the tapered portion 201 as well as the connection pipe 200 should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ranch hole 11 so that the connection tube 200 can be inserted into the branch hole 11 without any difficulty It is because.

단, 상기 테이퍼부(201)의 최대 외경은 상기 분기공(11)의 내경과 미세한 차이로 축소형성되어야 한다.However,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tapered portion 201 should be reduced by a minute difference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branch hole 11.

그리고, 상기 연질의 패킹부재(210)는 소정의 탄성력 및 내구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환형의 고무링으로 이루어진다.The flexible packing member 2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durability,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n annular rubber ring.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패킹부재(2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200)의 외주에 장착된다.The packing member 210 thus configured is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pipe 200 as shown in FIG.

상기 연결관(200)의 외주에 장착된 상기 패킹부재(210)는 상기 연결관(200)과 나사결합되는 상기 체결관(230)에 의해서 압착 지지되어 상기 연결관(200)의 테이퍼부(201)로 단계적으로 밀려나게 된다.The packing member 210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200 is pressed and supported by the connection pipe 230 screwed with the connection pipe 200 so that the tapered portion 201 of the connection pipe 200 ).

즉, 상기 체결관(230)의 내주상에는 상기 연결관(200)의 외주상에 구비된 수나사부(203)와 대응하는 암나사부(231)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관(230)과 상기 연결관(200)의 나사결합, 즉 조임결합에 의해서 상기 체결관(230)의 하단부가 상기 패킹부재(210)를 상기 연결관(200)의 테이퍼부(201)로 압착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a female threaded portion 231 corresponding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203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tube 200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astening tube 230, 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pipe 230 presses the packing member 210 to the tapered portion 201 of the coupling pipe 200 by screwing or tightening the fastener 200.

이와 같이 상기 연결관(200)의 테이퍼부(201)로 압착된 상기 패킹부재(210)는 상기 주배관(10)의 분기공(11)의 내측면과 상기 연결관(200)의 테이퍼부(201) 사이에 완전 밀착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분기공(11)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지반의 변경과 같은 소정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물리적인 변형, 파손 및 훼손이 발생되지 않는다.The packing member 210 pressed by the tapered portion 201 of the connection pipe 2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branch hole 11 of the main pipe 10 and the tapered portion 201 of the connection pipe 200,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is not separated from the branch hole 11 and no physical deformation, breakage or damage is caused even if a predetermined impact such as a change of the ground is applied.

따라서, 상기 연결관(200)을 상기 분기공(11)에 손쉽게 결합시키는 동시에 상기 분기공(11)의 수밀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connection pipe 20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branch hole 11 and the watertightness of the branch hole 11 can be ensured.

아울러, 주배관(10)이 2중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에 발생하는 중공부(13) 역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패킹부재(210)에 의해서 완전하게 밀폐 차단되어 중공부(13)의 발생으로 인한 폐해를 방지할 수 있다.3, the hollow part 13 formed when the main pipe 10 is made of a double structure is also completely sealed off by the packing member 210 to prevent the hollow part 13 It is possible to prevent harm.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200)과 상기 체결관(230) 사이에 별도의 압착부재(250)를 게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1, it is preferable to dispose a separate pressing member 250 between the coupling pipe 200 and the coupling pipe 230.

여기서, 상기 압착부재(250)는 환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하단부는 상기 패킹부재(210)를 충분히 압착하여 상기 패킹부재(210)에 소정의 힘을 가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ression member 250 is annular and the lower end of the compression member 250 is configured to sufficiently compress the packing member 210 to have a width enough to apply a predetermined force to the packing member 210 desirable.

그리고, 분기관(100)의 수밀성을 확보하는 제 2 수밀부분의 구성을 살펴보면, 분기관(100)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본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200) 또는 상기 체결관(230)의 타측에 나사결합되고, 내부 중공부에 분기관(100)이 삽입되는 이음관(310)과, 상기 이음관(310)의 외주에 장착되는 패킹부재(390)와, 상기 이음관(310)에 나사결합되는 이음고정관(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in order to secure the watertightness of the branch pipe 100, the main pipe connecting device for branching the pipe 100 includes a connecting pipe 200 And a packing member 390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joint pipe 310. The packing member 390 is screwed to the other side of the tightening pipe 230 and has an inner hollow portion to which the branch pipe 100 is inserted. And a joint fixing pipe (330) screwed to the joint pipe (310).

구체적으로, 상기 이음관(310)의 내부 중공부에는 상기 분기관(100)이 삽입되고, 상기 이음관(310)의 내주상 또는 외주상 상에는 상기 연결관(200)의 수나사부(203) 또는 상기 체결관(230)의 암나사부(231)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The branch pipe 1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hollow portion of the coupling pipe 310 and the male screw portion 203 or the male screw portion 203 of the coupling pipe 2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o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ipe 310. And a threaded portion that is screwed with the female threaded portion 231 of the fastening pipe 230 is formed.

즉, 상기 이음관(310)의 나사부는 상기 연결관(200)에 나사결합되느냐 상기 체결관(230)에 나사결합되느냐에 따라 선택적으로 암나사부(313) 또는 수나사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threaded portion of the coupling pipe 310 may be selectively formed with the female threaded portion 313 or the male threaded portion 311 depending on whether the threaded portion of the coupling pipe 310 is screwed to the coupling pipe 200 or the coupling pipe 230 have.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이음관(310)이 상기 연결관(200)의 수나사부(203)에 나사결합되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음관(310)의 내주연 하단부에 상기 수나사부(203)에 대응하는 암나사부(313) 및 상기 이음관(310)의 외주연 상단부에 상기 이음고정관(330)의 암나사부(333)와 대응하는 수나사부(311)가 구비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coupling pipe 310 is screwed to the male threaded portion 203 of the coupling pipe 200, as shown in FIGS. 1 to 3, A female screw portion 313 corresponding to the male screw portion 203 and a male screw portion 311 corresponding to the female screw portion 333 of the joint fixing pipe 330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upper end portion of the joint pipe 310 .

아울러, 상기 체결관(230)의 길이는 상기 이음관(310)이 상기 연결관(2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축소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fastening pipe 230 is relatively reduced so that the fastening pipe 310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pe 200.

여기서, 상기 이음고정관(330)은 상기 이음관(310)의 외주연에 구비된 수나사부(311)와 나사결합 할 수 있도록 그 내주연에 암나사부(333)가 구비되며, 상기 나사결합에 의해서 상기 패킹부재(390)를 걸림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상단부에 도 1,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걸림턱(335)이 구비된다.The joint fixing pipe 330 is provided with a female screw portion 333 on the inner circumference thereof so as to be screwed on the male screw portion 311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joint pipe 310, The upper end of the packing member 390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rotrusion 335 as shown in FIGS.

그리고, 상기 이음관(310)의 일측에 외향경사면(315)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패킹부재(390)의 일측에 상기 외향경사면(315)에 대응하는 내향경사면(391)을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압착력을 향상시켜 상기 분기관(100)의 수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The packing member 390 may further include an outwardly inclined surface 315 at one side of the coupling pipe 310 and an inward inclined surface 391 corresponding to the outwardly inclined surface 315 at one side of the packing member 390, The watertightness of the branch pipe 100 can be maximized.

아울러, 상기 체결관(230) 또는 상기 이음고정관(330)의 외주에 상기 나사결합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작동레버(350)나 작동핸들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lever 350 or an operation handle so that the threaded connec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astening pipe 230 or the joint fixing pipe 330.

즉,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작동레버(350)를 상기 체결관(230)과 상기 이음고정관(330)의 외주상에 형성시킴으로써, 분기관(100) 연결작업시 별도의 도구나 장비 없이도 상기 작동레버(350)를 인위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손쉽게 상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operation levers 35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fastening pipe 230 and the joint fixing pipe 330, The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by artificially rotating the operation lever 350.

한편, 연결관(200)과 분기관(100) 사이의 수밀성을 확보하는 제 3 수밀부분의 구성을 살펴보면, 연결관의 상부끝단과 분기관의 하부끝단 사이에 연결용 패킹(370)이 더 삽입되어 이루어진다.The third watertight portion for securing the watertightness between the connection pipe 200 and the branch pipe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cking 370 inser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and the lower end of the branch pipe. .

즉, 상기 연결관(200)과 분기관(100) 사이에는 제 3 수밀부분을 구성하기 위해서 연결관 패킹(370)을 더 삽입하여 이루어지는바, 상기 연결용 패킹(370)은 연결관과 분기관 사이를 강하게 압착하여 연결관과 분기관이 기계적으로 접촉됨으로서 발생하는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 connection pipe packing 370 is further inserted between the connection pipe 200 and the branch pipe 100 to form a third watertight portion. The connection pipe 37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eakage occurring due to the mechanical contact between the connecting pipe and the branch pipe.

다시말해서, 상기 연결관(200)과 분기관(100)은 원형 구조가 맞물리도록 설계되어 있는바, 연결관(200)의 끝단부와 분기관(100)의 끝단부가 완전한 일자형 구조로 제작되지 못하면 연결관(200)과 분기관(100)의 접촉부분에 틈이 발생하여 누수의 염려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결관(200)과 분기관(100) 사이에 연결용 패킹(370)을 더 부가 설치하여 상기 연결용 패킹(370)이 연결관(200)의 끝단부와 분기관(100)이 끝단부 사이에서 밀폐기능을 담당함으로서 완전한 수밀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In other words, since the coupling pipe 200 and the branch pipe 100 are designed to have a circular structure, if the end portion of the coupling pipe 200 and the end portion of the branch pipe 100 are not made into a complete straight structure A gap may be formed in a contact portion between the connection pipe 200 and the branch pipe 100 to prevent leakag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on packing 370 So that the connection packing 370 functions as an airtight seal between the end of the connection pipe 200 and the end of the branch pipe 100 so that complete watertightness is achieved.

그리고, 상기 연결용 패킹(370)은 캡 형태로 구성하여 연결관(200)과 분기관(100) 사이를 접속함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packing 370 may be formed in a cap shape to connect between the connection pipe 200 and the branch pipe 100.

즉, 연결용 패킹(370)을 원형링 형태로 제작하되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 캡 형태로 제작하여 연결관(200)의 하부 끝단부와 분기관(100)의 하부 끝단부를 연질의 패킹이 연결하여 접촉시 발생하는 빈틈을 보정하여 수밀을 시킬 뿐만 아니라 연결관(200)의 내주연과 분기관(100)의 내주연을 공통 접속하기 때문에 연결관(200)과 분기관(100)의 사이를 한번더 매꿀 수 있어서 수밀 능력을 훨씬 높일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connection packing 37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ing, and a cap having a space is formed therein.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200 and the lower end of the branch pipe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oft packi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200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ranch pipe 100 are common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gap between the connection pipe 200 and the branch pipe 100 It can be washed once more so that the watertight ability can be improved much more.

다시말해서, 본 발명의 연결용 패킹(370)은 수직면을 이용하여 연결관(200)과 분기관(100)의 내주연을 공통 접속시킴으로서 1차 수밀을 가능케 하고, 이어 수평면을 이용하여 연결관(200)과 분기관(100)의 끝단부를 공통 접속시킴으로서 2차 수밀을 가능케 하여 연결관과 분기관 사이의 수밀 효율이 극대화된다. 그리고, 이때 연결용 패킹을 원형링 형태이면서 동시에 링 단면이 캡 형태로 구성함으로서 연결관과 분기관이 결합후 완충을 하면서 눌리도록하여 수밀 능력을 극대화시키도록 하였다.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packing 370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first water tightness by connecti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ipe 200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ranch pipe 100 by using the vertical plane, 200) and the end portion of the branch pipe (100) are common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enable the second water tightness, thereby maximizing the watertightness efficiency between the connection pipe and the branch pipe.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acking is formed into a circular ring shape and at the same time, the ring cross-section is formed into a cap shape, so that the connection pipe and the branch pipe are combined and cushioned while being buffered, thereby maximizing the watertightness capability.

한편, 본 발명은 연결관(200)과 분기관(100)이 잘 밀착되어 결합되어 있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압력감지 센서(400)를 연결용 패킹 일단에 설치하고, 상기 압력감지 센서의 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부(500)를 설치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구성한다.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connection pipe 200 and the branch pipe 100 are closely coupled to each other, a pressure sensing sensor 40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cking, and information on the pressure sensing sensor is checked And an error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contact is not properly performed.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에러상황이 해제되지 않으면 경보신호를 지속시키도록 구성한다.The error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is configured to continue the alarm signal if the error condition is not released.

본 발명의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구성을 상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error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회로 전원부(1101)와, 접촉 에러신호 출력부(1102)와, 발진 트랜스(1103)와,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릴레이 스위치(1107)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통신 단말기 전원 스위치(sw2)와,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contact power supply unit 1101, a contact error signal output unit 1102, an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a relay operation switching unit 1108, a relay switch 1107,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 communication terminal power switch sw2, and a power source holding switching section 1118. [

상기 전원부(1101)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킨다.The power supply unit 1101 applies a power supply signal by itself.

상기 접촉 에러신호 출력부(102)는 압력감지 센서로부터 연결관과 분기관의 결합상태가 불완전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50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킨다.The contact error signal output unit 102 receives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500 and switches the power supply circui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on pipe and the branch pipe is incomplete from the pressure sensor.

상기 발진 트랜스(1103)는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When the power switch is turned on, the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is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to output a boosted AC current.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는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된다.The switching unit 1108 for relay operation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and is turned on by electrical supply.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킨다.The relay switch 1107 is installed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operation switching unit 1108 and generates a magnetic force.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performs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by pulling the iron wire by the relay switch (1107).

상기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power switch for outputting the error signal sw2 induces an error signal to be displayed by supplying power to the error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le the iron strip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1107. [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한다.
The power supply switching unit 1118 is connected to the base end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emitter end and the collector end are connected to the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and the relay operation switching unit 1108, The wire is pulled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1108 to form a closed circuit while switching is turned on, and then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1107 is stopped. At this time, i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are forcibly turned off, the closed circuit is broken while the closed circuit is broken and the relay operating switch 1108 is turned on and the relay switch is turned o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are turned on to induce the error signal to be output continuously.

이하에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rror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will be described.

먼저, 접촉 에러신호 출력부(1102)가 온 되면 직류 전원이 연결되어 발진 트랜스에 전원이 인가되고, 발진 트랜스의 2차측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First, when the contact error signal output unit 1102 is turned on, a DC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the oscillation transformer, and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ary side of the oscillation transformer.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정류다이오드를 통해 반파의 직류 전원이 되고, 이 반파 직류전원은 콘덴서의 충방전 작용으로 인하여 보다 안정된 직류 전원이 된다.The power source induced on the secondary side becomes a DC power source of a half wave through a rectifying diode, and this half wave DC power source becomes a more stable DC power source due to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action of the condenser.

이 직류 전원은 릴레이 스위치(1107)의 코일을 거쳐 사이리스터의 애노드단에 인가되고, 한편 이 직류 전원은 저항을 통해 콘덴서에 충전작용을 하게 된다. 상승된 전압은 다이악을 통과하면서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를 트리거하여 에노드단과 케소드단이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1107)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This DC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anode terminal of the thyristor through the coil of the relay switch 1107, while the DC power source charges the capacitor through the resistor. The elevated voltage passes through the die and triggers the switching section 1108 for relay operation so that the node node and the cathode node are switch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is made, The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are turned on to apply power to the error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o display an error signal.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베이스단을 활성화시키면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에 폐회로를 유도하여 트랜스로 향하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activated, a base end of the power supply maintaining switch 1118 is activated, and a closed circuit is induced in the emitter end and the collector end of the power supply holding switch 1118 to supply power to the transformer Off.

즉, 저항(1109)과 콘덴서(1110) 사이의 전압이 다이오드(1120)를 통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의 에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 사이로 흘러 바이패스되며 이 바이패스에 의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향하는 트리거 신호를 멈추게 되어 에노드단과 케스단이 오프되면서 릴레이 스위치(1107)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서 스위칭을 위해 계속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멈추게 된다.That is, a voltage between the resistor 1109 and the capacitor 1110 flows through the diode 1120 to flow between the emitter terminal and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holding switching unit 1118, and the resistance between the resistor by the bypass and the capacitor When the voltage between the resistor and the capacitor is lowered, the trigger signal to the switching unit for relay operation 1108 is stopped, so that the node end and the tail end are turned off and the current flows to the relay switch 1107 So that the power supply is continuously stopped for switching.

한편, 만약 작업자가 에러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의 전류 흐름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압이 사라져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or turns of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and the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during the error signal output, there is no current flow in the closed circuit, and accordingly, the bias voltage flowing between the emitter end and the base end of the power- And the power supply switching unit 1118 is turned off.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가 오프되면서 다이오드(1120)를 통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바이패스 전압이 없어지고 이 전압은 콘덴서(1110)에 충전된다.The power supply switching unit 1118 is turned off to remove the bypass voltage between the resistor and the capacitor through the diode 1120 and the voltage is charged in the capacitor 1110.

이 충전된 전압이 다이악(1111)의 브레이크 오버 현상을 이르키게 되고 다이악에서 트리거 신호를 보조 스위치 작동용 스위칭부(1108)로 출력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에러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charged voltage causes a break-over phenomenon of the die 1111 and a trigger signal is output from the die to the switching section 1108 for auxiliary switch operation to move the iron piece, while maintaining the closed circuit, an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error signal display unit 1150 can be continuously operated.

즉, 본 발명은 에러요인을 치유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에러요인을 치유한 다음에 분기용 연결장치를 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error factor is not cured, the warning sound is continuously output, and the user can always operate the branch connection device after healing the error factor.

10: 주배관
11: 분기공
100: 분기관
200: 연결관
10: main pipe
11:
100: Branch engine
200: connector

Claims (3)

주배관의 분기공에 삽입되며, 일측에 외향으로 확개된 테이퍼부가 구비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외주에 장착되는 연질의 패킹부재와; 상기 연결관과 나사결합되는 체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의 테이퍼부에 대응하는 내향경사면이 상기 패킹부재의 일측에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과 상기 체결관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상기 패킹부재를 압착 지지하는 원통형의 압착부재가 상기 패킹부재와 상기 체결관 사이에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 또는 상기 체결관의 타측에 나사결합되며, 내부 중공부에 분기관이 삽입되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의 외주에 장착되어 상기 분기관에 삽입되는 연질의 패킹부재와; 상기 이음관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패킹부재를 압착 지지하는 이음고정관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과 분기관 사이에는 연결용 패킹을 더 설치하되, 상기 연결용 패킹은 원형링 형태이면서 동시에 링 단면이 캡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A connection pipe inserted into the branch hole of the main pipe and having a tapered portion widened outwardly at one side; A flexible packing member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pipe; And a fastening pipe threadably coupled with the coupling pipe;
An inward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a tapered portion of the coupling tube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acking member;
A cylindrical compression member for compressively supporting the packing member by screwing the connection pipe and the tightening pip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packing member and the fastening pipe;
A coupling pipe threaded into the coupling pipe or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pipe and having a branch pipe inserted into the inner hollow portion; A soft packing member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joint pipe and inserted into the branch pipe; And a joint fixing pipe screwed to the joint pipe to press-support the packing member;
Wherein a connecting packing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pipe and the branch pipe, wherein the connecting packing has a circular ring shape, and at the same time, the ring cross-section has a cap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과 분기관이 잘 밀착되어 결합되어 있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압력감지 센서(400)를 연결용 패킹 일단에 설치하고, 상기 압력감지 센서의 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부(500)를 설치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ressure sensor 40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cking to check whether the connection pipe and the branch pipe are in tight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control unit 500 for checking information of the pressure sensing sensor is installed, And an error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for outputting an alarm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ct is not properly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신호를 인가시키는 전원부(1101)와;
상기 연결관과 분배관의 결합상태가 불완전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50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접촉 에러신호 출력부(102)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rror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outputs,
A power supply unit 1101 for applying a power supply signal by its own power supply;
A contact error signal output unit 102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500 and switching the power supply circuit whe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on pipe and the distribution pipe is detected to be incomplete;
An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which is supplied with electricity when the power switch is turned on and outputs a boosted AC current;
A relay operation switching unit 1108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and turned on by electrical supply;
A relay switch 1107 installed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switching unit 1108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hat performs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1107;
An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for supplying power to the error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and displaying an error signal when the relay wire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1107;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base e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emitter end and the collector end are connected to the oscillation transformer 1103 and the relay operation switching part 1108. The operation of the relay operation switching part 1108 pulls the iron piece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are forcibly turned off at this time, the closed circuit is broken, And the relay switch 1108 is turned on to turn o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error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so as to continuously output an error signal And a switching unit (1118) for holding the piping.
KR1020160054305A 2016-05-02 2016-05-02 Pipe branching apparatus KR1018074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305A KR101807401B1 (en) 2016-05-02 2016-05-02 Pipe branc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305A KR101807401B1 (en) 2016-05-02 2016-05-02 Pipe branch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416A true KR20170124416A (en) 2017-11-10
KR101807401B1 KR101807401B1 (en) 2017-12-11

Family

ID=6038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305A KR101807401B1 (en) 2016-05-02 2016-05-02 Pipe branch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40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679B1 (en) * 2018-04-25 2019-10-08 오현식 Connector of sewer line drain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628B1 (en) 2020-07-09 2020-12-07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Method for manufacturing of hook-up nozzle, and the hook-up nozzle manufactured by method
KR102290697B1 (en) 2021-05-21 2021-08-20 (주)아그루코리아 Apparatus for assembling adapter to pipe
KR20230027432A (en) 2021-08-19 2023-02-28 손동일 Installation equipment for bypass pip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061B1 (en) * 2005-07-08 2005-10-12 (유)전진개발 The coupling apparatus for divergence of pi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679B1 (en) * 2018-04-25 2019-10-08 오현식 Connector of sewer line drain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7401B1 (en) 201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7401B1 (en) Pipe branching apparatus
US2503169A (en) Hose coupling
AU717361B2 (en) An illuminating balloon with an inflatable envelope and integrated control unit
KR101643358B1 (en) Intelligent system of distribution line
CN202141632U (en) Connecting device for pressuring of middle or low pressure plain-end steel tube
KR101795267B1 (en) Supporter collecting oil leak of transformer
KR101149501B1 (en) water protector device of power cable
KR101664983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leak of connection part of high voltage cable for power transmission on substation
KR101192408B1 (en) The structure for connecting diverging pipe of water pipe
KR100521061B1 (en) The coupling apparatus for divergence of pipe
CN210201101U (en) Grounding switch connector
CN107017591A (en) A kind of insulating sleeve and the gas-filling cabinet using the insulating sleeve
CN216843554U (en) Device for repairing cement pipe socket
CN212214441U (en) Fire hydrant interface convenient to installation
CN212298089U (en) Dustproof construction that plastics pipe fitting connects
CN207010149U (en) Insulating sleeve and the gas-filling cabinet with the insulating sleeve
CN219265586U (en) Portable shield constructs quick-witted slip casting pressure sensor verifying attachment
CN218935682U (en) High-efficient prosthetic devices of body leak source
KR102111214B1 (en) Apparatus for sensing water leakage
CN215136349U (en) Novel fire hydrant
CN109565202A (en) The tank lid of water-cooling system for motor
CN219393223U (en) Dustproof button switch
CN216519837U (en) Top-mounted faucet
CN212534300U (en) Water supply and drainage structure for building according to quality
JP2533704Y2 (en) Connection packing for water supply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