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300A - 벌브형 선형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벌브형 선형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4300A
KR20170124300A KR1020160054023A KR20160054023A KR20170124300A KR 20170124300 A KR20170124300 A KR 20170124300A KR 1020160054023 A KR1020160054023 A KR 1020160054023A KR 20160054023 A KR20160054023 A KR 20160054023A KR 20170124300 A KR20170124300 A KR 20170124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near light
emitting module
bulb
lin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현
이수행
김용택
Original Assignee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4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4300A/ko
Publication of KR20170124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2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specially adapted for generating an essentially omnidirectional light distribution, e.g. with a glass bul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조명을 직접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광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제조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게시된다. 특히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하부에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벌브부와, 상기 벌브부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 내부에 수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되는 선형발광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선형발광모듈은, 선형발광소자와 상기 선형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벌브형 선형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벌브형 선형조명장치{Lighting device of bulb type}
본 발명은 백열전구를 사용하는 조명을 직접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광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제조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대한 것이다.
백열등과 형광 에너지 절약 램프를 직접 대체할 수 있는 LED 램프의 일반적인 형성 방법은 하나 또는 복수의 파워형 LED를 메탈 인쇄 회로 기판(MPCB) 또는 세라믹 회로 기판상에 장착한 후 이를 하나의 금속 또는 세라믹 방열부품상에 장착하거나, 또는 열전달 부재를 통해 방열부품으로 열을 전달하고 LED 전방에 광 투과성 벌브(bulb shell)가 설치되고, 방열기 내에는 LED 구동기가 설치되는데, 이 LED 구동기는 전기 연결기와 연결되어 LED 램프를 구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벌브타입의 조명 구현과정에서는, 램프 벌브의 내측은 진공 상태거나 또는 불활성 기체가 채워진다. 이런 LED 칩에서 발생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재를 통해 진공 벌브(bulb shell)를 경유하여 외측의 방열부품과 연결되는 구조에서, 유리 벌브(bulb shell)와 외측의 연결부분은 반드시 진공 밀봉되어야 하는데, 이는 공정 측면에서 볼 때 상당히 어려운 과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나아가, 기존의 전구 구조의 설비를 이용하기 위해, 기존 조명의 구조를 채용하는바, 스템(stem)과 같은 구조물의 제조가 선행되어야 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벌브타입의 전구 구조물의 내측 수용공간에 선형타입의 LED 선형 발광소자와 발광소자를 선형 구조로 배치할 수 있는 단자부를 구비하는 선형발광모듈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해, 종래의 벌브타입의 전구 구조물에서 구현되는 필라멘트 방식의 발광장치에 비해 높은 광효율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신뢰도 높은 조명 장치의 설계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하부에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벌브부와, 상기 벌브부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소켓부,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되는 선형발광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선형발광모듈은, 선형발광소자와 상기 선형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벌브형 선형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형발광모듈은, 상부단자와 상기 상부단자와 이격되는 하부단자 및 상기 하부단자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소켓부의 전원단과 연결되는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한 쌍의 선형발광모듈이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구조의, 벌브형 선형조명장치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한 쌍의 선형발광모듈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선형발광모듈 및 제2선형발광모듈의 상부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부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선형발광모듈 및 제2선형발광모듈의 상부단자 및 하부단자가 곡률을 구현하는 형상으로 절곡되게 배치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선형발광모듈 및 제2선형발광모듈의 상부단자들이 구현하는 내측 영역의 단면의 면적인 제1면적과, 상기 제1선형발광모듈 및 제2선형발광모듈의 하부단자들이 구현하는 내측 영역의 단면의 면적인 제2면적이 서로 상이하게 구현하여 발광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2면적이 상기 제1면적보다 크게 구현되는 구조의 벌브형 선형조명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형발광모듈에 배치되는 다수의 선형발광소자의 배치간격이 균일하게 구현하여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발광모듈의 구조에서 상기 상부단자와 상기 하부단자를 상하로 연결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벌브형 선형조명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벌브부 내의 수용공간이 비진공 구조인, 벌브형 선형조명장치로 구현하여 제조공정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형발광소자는, 양단에 리드부가 구비되며, 폭 방향보다 길이방향이 더 긴 구조의 도전성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실장 되는 다수의 LED 소자; 및 상기 LED 소자 및 상기 기판의 일면을 매립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형광체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벌브타입의 전구 구조물의 내측 수용공간에 선형타입의 LED 선형 발광소자와 발광소자를 선형 구조로 배치할 수 있는 단자부를 구비하는 선형발광모듈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해,
종래의 벌브타입의 전구 구조물에서 구현되는 필라멘트 방식의 발광장치에 비해 높은 광효율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신뢰도 높은 조명 장치의 설계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벌브 타입의 전구 구조를 구현하는 공정에서 필수적인 진공처리공정이나 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공정이 제거되어, 간단한 본 발명의 단자구조물과 선형발광소자로 구현되는 발광구조물을 삽입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게 되는바, 공정단순화 부분 및 제품단가절감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장점이 구현된다.
또한, 기존의 벌브 타입의 전구를 구동하는 설비를 제거하지 않고도 바로 대체 장착이 가능하도록 소켓구조 방식을 채용하여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기존 벌브 형태의 필라멘트 전구 또는 LED 전구에서는 불가능했던 야외 설치, 미디어 연출, 그리고 기존 LED 클러스터에서는 표현하지 못했던 필라멘트 전구와 같은 심미적 효과와 불편한 A/S 문제를 해결하여 외부에서의 간단한 사용, 공간과 환경을 돋보이게 하는 디자인 조명, 손쉬운 A/S, 화려한 미디어 연출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수직 단면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서 본 발명의 선형발광모듈의 분해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발광모듈의 제조공정 시 중간 공정에서 구현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아울러,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발광모듈의 완성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발광모듈의 완성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선형발광소자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다양한 벌브타입과 소켓타입이 적용되는 적용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지주형 조명장치(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의 사시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수직 단면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서 본 발명의 선형발광모듈의 분해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G)이 마련되며, 하부에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벌브부(110), 상기 벌브부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소켓부(120), 상기 수용공간(G) 내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되는 선형발광모듈(S)을 포함하여 구성될 있다.
이 경우, 상기 선형발광모듈(S)은, 도시된 것과 같이, 선형발광소자(140)와 상기 선형발광소자(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지지 기능을 구현하는 단자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상기 단자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단자(152, 162)와 상기 상부단자와 이격되는 하부단자(153, 163) 및 상기 하부단자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소켓부의 전원단과 연결되는 전원단자(154, 164)를 포함하는 한 쌍의 선형발광모듈 브릿지부(B)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부(B)는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선형발광모듈 및 제2선형발광모듈의 상부단자(152, 162)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물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단자(152, 162)들의 상측에서 연장되어 절곡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부(B)의 단자의 절곡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공정에서 상부단자들과 일체형 구조로 성형가공(펀칭가공 등)을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절곡구조로 인해 상부단자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는 후술하는 선형 발광소자의 발광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출사를 구현하는 구조물로 선형타입(Line type)의 발광소자(이하, '선형발광소자'라 한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선형발광소자(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출사면이 면발광보다는 선발광에 가까운 구조의 광출사형태를 구현하는 것으로, 광출사면의 종폭(x)이 횡폭(y) 보다 길게 구현되는 발광소자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발광모듈을 구성하는 상부단자(152, 162) 및 하부단자(153, 163)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한 곡률을 이루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곡률 구조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상부단자(152, 162) 및 하부단자(153, 163)의 내측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가진 타입으로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가진 타입으로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단자와 하부단자의 형상이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던, 상부와 하부로 이격되는 단자의 사이를 선형발광소자가 구획하며 연결하는 구조로 배치되도록 하며, 특히 선형발광소자의 배치 각도가 소켓부의 수직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구조를 가지도록 선형발광소자를 배치하는 것은, 광출사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여 원하는 개소에 조명의 밝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단자의 길이가 하부단자의 길이보다 짧게 구현하고, 이를 통해 구현되는 링 형태의 곡률 구조가 구현하는 단면형상(원, 타원)의 면적을 고려할 때, 상부 단자가 구현하는 단면의 면적이, 하부 단자자 구현하는 단면의 면적보다 좁은 구조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자연스럽게 본 발명의 선형발광소자는 경사구조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선형발광소자의 각도 조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선형발광모듈 및 제2선형발광모듈의 상부단자(152, 162)들이 구현하는 내측 영역의 단면의 면적인 제1면적과, 상기 제1선형발광모듈 및 제2선형발광모듈의 하부단자(153, 163)들이 구현하는 내측 영역의 단면의 면적인 제2면적이 서로 상이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는 상기 제2면적이 상기 제1면적보다 크게 구현되는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단면의 형상은 원, 타원, 다각형 등 자유롭게 변형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선형발광모듈에 배치되는 다수의 선형발광소자(140)의 배치간격이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구조에서는 하나의 상기 제1선형발광모듈 및 제2선형발광모듈 각각에 2개씩의 선형 발광소자를 동일 간격으로 배치하여 효율적인 무게 분산을 구현한 구조로 형성하였다. 이외에도 제1선형발광모듈 및 제2선형발광모듈 각각에 선형 발광소자의 개수를 1개, 2개, 3개씩 등 증감하는 구조로 구현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발광모듈의 제조공정 시 중간 공정에서 구현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아울러,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발광모듈의 완성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발광모듈은 단자를 구현하는 도전성 기판을 도 4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한 번의 펀칭공정이나 성형공정으로 가공해 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구조는 상부단자(152, 162)와 하부단자(153, 163)가 지지부(156, 166)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 구현된다. 이후, 상부단자(152, 162)와 하부단자(153, 163) 사이에 선형발광소자(140)가 배치되어 결합되게 된다.
도시된 구조에서는 한 쌍의 선형발광소자가 상부단자(152)와 하부단자(15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개, 6개 등으로 확장하여 배치하는 것도 하다. 물론, 대향하여 배치되는 상부단자(162) 및 하부단자(163)에도 마찬가지로 선형발광소자의 수를 증감 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상부단자(152, 162)와 하부단자(153, 163) 사이에 선형발광소자(140)가 배치되어 결합하는 방식은 솔더링이나 스폿용접 등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결합 이후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부(156, 166) 부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완성된 구조에서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호 대향하여 한 쌍의 제1선형발광모듈(A) 및 제2 선형발광모듈(B)이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선형발광모듈 및 제2 선형발광모듈 각각의 상부단자(152, 16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부(B)가 마련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상부단자(152, 162)와 하부단자(153, 163)는 상호 이격되는 구조로 구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형 발광소자(140)에 의해 상호 결합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단자(152, 162)와 하부단자(153, 163)는 하나의 도전성 기재(이를테면, Ni 이나 Al 기판 등)를 한 번에 펀칭 가공하거나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단자(152, 162)와 하부단자(153, 16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링형 태로 상하에 배치되도록 구현하며, 전체적인 조명의 외관을 구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한 쌍의 선형발광소자가 각각 대향하여 장착되는 구조에서 각각의 상부 및 하부 단자에 두 쌍, 즉 4개씩 선형발광소자가 장착되는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발광소자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선형발광소자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양단에 리드부(141, 142)가 구비되며, 폭 방향(y)보다 길이 방향(x)이 더 긴 구조의 도전성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실장 되는 다수의 LED 소자(w) 및 상기 LED 소자 및 상기 기판의 일면을 매립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형광체부(p)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선형발광소자(140)를 도 1에서의 벌브부(110)의 내측 수용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지지하는 특수한 구조의 단자형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선형발광모듈의 구조를 기존의 벌브 타입의 전구 구조 내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설비를 이용하며, 직접 백열등과 같은 소켓 장착 개소에 대체할 수 있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서 디자인의 친숙도는 높이면서도 광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조명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는 벌브부(1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의 다양한 기존의 전구 타입의 캡 구조물의 종류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벌브부(110)의 말단부는 결합부가 마련되어, 소켓부(12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소켓부의 구성은 기존의 전구가 장착되는 개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을 바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소켓부의 구성 역시 도시된 구조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타입의 소켓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선형발광소자(140)의 구조의 구현 일례로는, 상기 기판은 동이나 동합금기판, 또는 이러한 기판 상에 Ag 도금층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는, 상기 기판상에 실장 되는 다수의 LED 칩은 리드부(142, 142)를 제외한 기판의 길이 30mm~33mm를 기준으로 20~40개의 LED 칩이 실장 될 수 있으며, 그 상부에는 형광체층을 도포하여 얇은 바(bar) 타입의 구조물로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형광체는 경화성 수지 및 형광체를 함유하는 형광 수지 조성물로, 파장 변환 기능을 갖고 있고, 예컨대, 청색 광을 황색 광으로 변환할 수 있는 황색 형광체, 청색 광을 적색 광으로 변환할 수 있는 적색 형광체 등을 들 수 있다. 황색 형광체로서는, 예컨대, Y3Al5O12: Ce(YAG(이트륨 알루미늄 가넷) : Ce), Tb3Al3O12: Ce(TAG(테르븀 알루미늄 가넷) : Ce) 등의 가넷형 결정 구조를 갖는 가넷형 형광체, 예컨대, Ca-α-SiAlON 등의 산질화물 형광체 등을 들 수 있다. 적색 형광체로서는, 예컨대, CaAlSiN3:Eu2CaSiN2:Eu등의 질화물 형광체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 및 도 2의 구조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벌브부와 소켓부를 결합하는 공정만이 진행되면 되므로, 별도의 진공처리 공정이 불필요하며, 종래의 전구 구조에 부합하는 스템 구조물을 구현할 필요도 없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은, 벌브 타입의 전구 구조를 구현하는 공정에서 필수적인 진공처리공정이나 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공정이 제거되어, 간단한 본 발명의 선형발광모듈을 벌브 내부에 돌출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게 되는바, 공정단순화 부분 및 제품 단가절감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장점이 구현된다.
나아가 기존의 벌브 타입의 전구를 구동하는 설비를 제거하지 않고도 바로 대체 장착이 가능하도록 소켓구조 방식을 채용하여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브부의 경우, 도 1등에 도시된 구조 뿐만 아니라, 도 8 a 내지 도 8d와 같은 다양한 벌브의 형상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도 1에서 도시된 엔벨로프의 형상은 백열전구에 적용되는 엔벌로프 형상을 채용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파라볼릭 얼루미나이즈드 리플렉터(parabolic aluminized reflector;PAR) 즉, 파(PAR) 타입의 램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소켓의 구조도 도 1에 예시한 백열전구에 적용되는 E26 베이스 뿐만니라, E14, E17, E39등의 다양한 다양한 소켓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도 8 a 내지 도 8d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소켓부를 적용하는 것도,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특히, 선형발광소자의 발광각도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게 되는바, 기존 벌브 형태의 필라멘트 전구 또는 LED 전구에서는 불가능했던 야외 설치, 미디어 연출, 그리고 기존 LED 클러스터에서는 표현하지 못했던 필라멘트 전구와 같은 심미적 효과와 불편한 A/S 문제를 해결하여 외부에서의 간단한 사용, 공간과 환경을 돋보이게 하는 디자인 조명, 손쉬운 A/S, 화려한 미디어 연출도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벌브부
120: 소켓부
140: 선형발광소자
A: 제1선형발광모듈
B: 제2선형발광모듈

Claims (9)

  1.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하부에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벌브부;
    상기 벌브부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소켓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돌출되는 선형발광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선형발광모듈은,
    선형발광소자와 상기 선형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벌브형 선형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형발광모듈은,
    상부단자와 상기 상부단자와 이격되는 하부단자 및 상기 하부단자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소켓부의 전원단과 연결되는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한 쌍의 선형발광모듈이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구조의, 벌브형 선형조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선형발광모듈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선형발광모듈 및 제2선형발광모듈의 상부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릿지부;
    를 더 포함하는, 벌브형 선형조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선형발광모듈 및 제2선형발광모듈의 상부단자 및 하부단자가 곡률을 구현하는 형상으로 절곡되게 배치되는,
    벌브형 선형조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선형발광모듈 및 제2선형발광모듈의 상부단자들이 구현하는 내측 영역의 단면의 면적인 제1면적과,
    상기 제1선형발광모듈 및 제2선형발광모듈의 하부단자들이 구현하는 내측 영역의 단면의 면적인 제2면적이 서로 상이한, 벌브형 선형조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면적이 상기 제1면적보다 크게 구현되는 구조의 벌브형 선형조명장치.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발광모듈에 배치되는 다수의 선형발광소자의 배치간격이 균일한 벌브형 선형조명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벌브부 내의 수용공간이 비진공 구조인, 벌브형 선형조명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선형발광소자는,
    양단에 리드부가 구비되며, 폭 방향보다 길이방향이 더 긴 구조의 도전성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실장 되는 다수의 LED 소자; 및
    상기 LED 소자 및 상기 기판의 일면을 매립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형광체부;
    를 포함하는, 벌브형 선형조명장치.
KR1020160054023A 2016-05-02 2016-05-02 벌브형 선형조명장치 KR20170124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023A KR20170124300A (ko) 2016-05-02 2016-05-02 벌브형 선형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023A KR20170124300A (ko) 2016-05-02 2016-05-02 벌브형 선형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300A true KR20170124300A (ko) 2017-11-10

Family

ID=6038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023A KR20170124300A (ko) 2016-05-02 2016-05-02 벌브형 선형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43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5525B2 (en) LED light bulb
CA3011602C (en) Led filament
US20190219232A1 (en) Light bulb shaped lamp
US10030819B2 (en) LED lamp and heat sink
US83173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omni-directional lamp having a light emitting diode light engine
US9562677B2 (en) LED lamp having at least two sectors
US8746915B2 (en) Light emitting die (LED) lamps, heat sinks and related methods
US20150241049A1 (en) Led lamp and heat sink
EP3449177B1 (en) Led light bulb
US8390185B2 (en) Bulb-type lamp
US9115875B2 (en) LED light lamps using stack effect for improving heat dissipation
EP2479474A1 (en) Light-bulb-shaped lamp
US20140313713A1 (en) Led assembly
US9488322B2 (en) LED lamp with LED board heat sink
CN103069211A (zh) 灯泡形灯及照明装置
CN102575819A (zh) 附灯头的灯以及照明器具
US20160356428A1 (en) Led lamp
EP2728250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 modular light-emitting diode circuit assembly
US20140131742A1 (en) LED Spirit Connector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US9951910B2 (en) LED lamp with base having a biased electrical interconnect
US20150131293A1 (en) Led lamp
KR20150014079A (ko) 조명 장치
US20240011627A1 (en)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illumination and manufacturing flexibility
KR20170124300A (ko) 벌브형 선형조명장치
CN204829330U (zh) 照明用光源及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