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069A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4069A
KR20170124069A KR1020160164591A KR20160164591A KR20170124069A KR 20170124069 A KR20170124069 A KR 20170124069A KR 1020160164591 A KR1020160164591 A KR 1020160164591A KR 20160164591 A KR20160164591 A KR 20160164591A KR 20170124069 A KR20170124069 A KR 20170124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processor
size
sensed ligh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5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0820B1 (en
Inventor
황세정
이브 베하
겐조 아서 데바이그
친 리
토니 글로리오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퓨즈프로젝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퓨즈프로젝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477,472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15372B2/en
Publication of KR20170124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069A/en
Priority to US16/116,507 priority patent/US1041799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8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H04N2005/4451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 functions depending on each display mode. The display apparatus comprises: a sensor sensing ambient light; a first area displaying content; a display providing a screen including a second area outside the first area; and a processor changing the size of the second area based on the sensed light.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provide a plurality of display modes.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기기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일반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가전 제품 중 하나인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근 수년 간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are being developed and distribu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ies. In particular, display devices such as TV, one of the household appliances most commonly used in general households, have been rapidly developing in recent years.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고, 정보를 습득하는 용도로 많이 이용되었다.Conventionally, it has been widely used for reproducing contents by using a display device and acquiring information.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커지고, 해상도가 향상되어 단순히 컨텐츠를 재생하는 용도 외에도 다양한 활용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심미적 기능을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However,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is enlarged and the resolution is improved, so that various applications are being sought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simply reproducing the contents.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a need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such as providing an aesthetic function using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provide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each display mode.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변 광을 센싱하는 센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area for displaying sensor content for sensing ambient light, and a second area outside the first area, And a processor for changing the size of the second area based on the display and the sensed light.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Also, the processor may divide the second area into a plurality of edge areas based on the sensed light, and change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dge areas.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 중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reduce the size of the at least one first edge region located i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among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and reduce the size of at least one second edge regio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The size can be enlarged.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also change the siz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edge region and the at least one second edge region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reduce the size of the first edge area and enlarge the size of the at least one second edge area while maintaining the same size of the first area.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 및 입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divide the second region into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ntensity and the incidence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의 경계를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and determine the boundary of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based o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change the size of the second area whe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의 평균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크기의 변경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determine a degree of change of the size of the second area based on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conten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주변 광을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includes providing a screen including a first area for displaying content and a second area outside the first area, sensing ambient light, And changing the size of the second area based on the sensed light.

또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Also, the modifying step may divide the second area into a plurality of edge areas based on the sensed light, and change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dge areas.

그리고,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 중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The modifying may include reducing at least one first edge region located in an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among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and at least one second edge located opposite to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The size of the area can be enlarged.

또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ifying step may change the siz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edge region and the at least one second edge region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그리고,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The modifying may reduce the size of the first edge area and enlarge the size of the at least one second edge area while maintaining the same size of the first area.

또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 및 입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Also, the modifying step may divide the second area into the plurality of edge area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and the incidence direction.

그리고,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의 경계를 결정할 수 있다.The modifying step may determin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dge areas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and determine the boundary of the plurality of edge areas based o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또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ifying step may change the size of the second area whe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그리고,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평균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크기의 변경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The changing step may determine the degree of change of the size of the second area based on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content.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감지 여부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providing different func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senses and / or the user input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림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의 세기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의 입사 방향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에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에지 영역의 크기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휘도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림자 효과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A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2A to 2C are views for explain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hadow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intensity of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incident direction of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a plurality of edge reg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ize change of a plurality of edge reg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rightness change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UI screen for inputting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hadow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서(110), 디스플레이(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FIG. 1A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A, a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sensor 110, a display 120, and a processor 130.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컨텐츠를 표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로,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elevision), 태블릿(Tablet)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디지털 액자,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키오스크 등일 수 있다.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that has one or more displays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execute applications or display content, for example, a digital television,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digital picture frame, a digital signag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digital signage, a kiosk, and the like.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탠바이 모드, 프레임 모드 및 시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을 공급받으나, 아무런 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최소한의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프레임 모드 또는 시청 모드인 경우의 동작은 이하에서 설명한다.The display device 100 may operate in a standby mode, a frame mode, and a viewing mode. When the display device 100 operates in the standby mode, the display device 100 receives power, but may not provide any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 display device 100 may display only a minimum amount of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may display only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mode. The operation 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device 100 is in the frame mode or the viewing mode will be described below.

센서(110)는 주변 광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면으로 입사되는 광을 센싱할 수 있다.The sensor 110 may sense ambient light. For example, the sensor 11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0 to sense light inciden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0.

센서(110)는 광의 세기, 입사 방향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면에 구비되고, 각 센서(110)에서 입사되는 광의 세기가 가장 큰 면을 기초로 광의 입사 방향이 결정될 수도 있다.The sensor 110 can sense the intensity of the light, the incident direc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ensors 110 may be provided on each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light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urface having the largest intensity of light incident from each sensor 110.

센서(110)는 개별광 센서, 1차원 광센서, 2차원 광센서 및 복합광 센서일 수 있다. 센서(110)는 반도체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사용하는 파장의 범위를 중심으로 반도체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The sensor 110 may be an individual optical sensor, a one-dimensional optical sensor, a two-dimensional optical sensor, and a composite optical sensor. The sensor 110 may be fabricated using a semiconductor material, and a semiconductor material may be selected around a range of wavelengths used.

또한, 센서(110)는 자연의 빛을 센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인위적으로 빛을 발산하고, 반사되는 빛을 받아들일 수도 있다. 또는, 센서(110)는 카메라와 같이 이미지를 촬영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광의 세기, 입사 방향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Also, the sensor 110 may sense natural l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ensor 110 may artificially emit light and accept reflected light. Alternatively, the sensor 110 may be configured to photograph an image like a camera. In this case,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intensity of the light, the incidence direction, and the lik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센서(110)는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으로 사용자가 진입하면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센서(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sensor 110 may sense the user. For example, the sensor 11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100 to detect the user when the user enters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100. However, the sensor 110 may be provided at another posi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또한, 복수의 센서(1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110)는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후면, 옆면 등 각 면에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센서(110)가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방 뿐만 아니라 다른 측면의 사용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Also, a plurality of sensors 110 may be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 Fo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s 110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front,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device 100, respectively. When a plurality of sensors 110 are provided, the display device 100 may detect not only a front user but also other users.

센서(110)는 다양한 감지 방법을 통해 사용자를 센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서(110)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110)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프로세서(130)는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고, 그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The sensor 110 may sense the user through various sensing methods. For example, the sensor 110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and may sense the user's motion to detect the user. In addition, the sensor 110 includes a camera, and the processor 130 may recognize the user's fac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to detect the user. There are many other ways to detect users, and there is no limit to the method.

디스플레이(120)는 프레임 모드인 경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 테두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의 영역은 제2 영역이고, 나머지 영역은 제1 영역으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설정된 거리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의 네 모서리마다 기설정된 거리가 다를 수도 있다.When the display 120 is in the frame mode, the display 120 may provide a screen including a first area for displaying the content and a second area outside the first area. For example, the area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rder of the display 120 may be the second area, and the remaining area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vary.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different for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display 120.

제1 영역은 컨텐츠 제공 영역, 중심 영역 및 메인 영역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영역은 그림자 제공 영역, 주변 영역, 서브 영역, 테두리 영역, Mat 영역, 여백 영역 및 프레임 영역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칭한다.The first area may be referred to as a content providing area, a center area, and a main area. The second area may be referred to as a shadow providing area, a surrounding area, a sub area, a border area, a Mat area, a margin area and a frame area. Hereinafter, it is referred to a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디스플레이(120)는 시청 모드인 경우, 전체 화면 영역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프레임 모드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다른 컨텐츠일 수 있다.When the display 120 is in the viewing mode, the content can be displayed in the entire screen area. Here,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full screen area may be different from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f the frame mode.

한편, 디스플레이(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display 120 may be implemented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display 120 may be implemented as a flexible display, a transparent display, or the like as the case may be.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The processor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as a whole.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가 커질수록 제2 영역의 크기를 크게 변경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size of the second area based on the sensed light.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significantly change the size of the second region as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increases.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을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광의 세기가 커질수록 구분되는 영역의 개수를 늘릴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divide the second area into a plurality of edge areas based on the sensed light and change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dge areas. The processor 130 may divide the second area into a plurality of areas based on the sensed light.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increase the number of regions to be discriminated as the intensity of light increases.

여기서, 복수의 에지 영역은 제2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단위로, 기설정된 구분 방법에 따라 구분된 영역일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에지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구분된 영역일 수도 있다.Here, the plurality of edge areas are units for identifying the second area, and may be areas classifi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orting method. Alternatively,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may be regions divided by the user.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복수의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에지 영역 중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based on the sensed light. The processor 130 reduces the size of at least one first edge region located i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among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and enlarges the size of the at least one second edge regio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can do.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인 경우, 디스플레이(120)의 상측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디스플레이(120)의 하측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reduces the size of the at least one first edge region located above the display 120 whe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is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size of at least one second edge region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edge region may be enlarged to provide a shadow effect.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 및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에지 영역 뿐만 아니라 나머지 에지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에지 영역 및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에지 영역 중 하나의 에지 영역의 크기만을 변경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size of the edge region as well as the edge region located opposite to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and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Alternatively, the processor 130 may change only the size of one of the edge regions located i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and the edge regions opposite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한편,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에지 영역 중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 및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광의 세기가 커질수록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the processor 130 detects at least one first edge region located i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among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constituting the second region and at least one first edge region located at the opposite side of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The size of each of the second edge areas may be changed to provide a shadow effect.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reduce the size of the first edge area and enlarge the size of the second edge area as the light intensity increases.

한편,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의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30 may reduce the size of the first edge area and enlarge the size of the at least one second edge area while maintaining the same size of the first area.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first area may appear to be changed.

한편,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 및 입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을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에지 영역의 개수를 결정하고,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에지 영역의 경계를 결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30 may divide the second area into a plurality of edge area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and the incidence direction.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and determine the boundary of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based o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한편,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30 can change the size of the second area whe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at is, the processor 130 may not change the size of the second area when the intensity of the light is less than a preset value.

한편, 프로세서(130)는 컨텐츠의 평균 휘도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의 크기의 변경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30 can determine the degree of change of the size of the second area based on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content.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공하는 복수의 모드 중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control the display device 100 to operate in one of a plurality of modes that the display device 100 provides.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센서(110)에 의해 사용자가 감지되면,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프레임 모드로 동작하고, 프레임 모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2 컨텐츠를 전체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시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operates in a frame mode for providing a screen including a first area for displaying the first content and a second area for the first area, when the user senses by the sensor 110 in the standby mode, When the preset user input is received in the frame mode, it can operate in a viewing mode in which the second content is displayed in the full screen area.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Here, the user input may be a user input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input may be inputted through a button provided on the display device 100. [ The user input may be input through a user interface unit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프로세서(130)는 시청 모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레임 모드로 동작하고, 프레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operates in a frame mode when a predetermined user input is received in the viewing mode, and can operate in a standby mode if the user is not detected in the frame mode.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는 동일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시청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중인 컨텐츠를 프레임 모드에서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중이던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제1 영역에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중이던 컨텐츠가 동영상이더라도, 동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중 하나의 프레임만을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동영상의 복수의 프레임 중 모드가 변경되는 시점의 프레임을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may be the same.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content being displayed in the viewing mode in the first area in frame mode. The processor 130 can reproduce the moving picture in the first area when the content being displayed is a moving picture. Alternatively,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only one frame of the plurality of frames of the moving picture in the first area, even if the content being displayed is a moving picture. At this time,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 frame at a time when the mode of the moving picture is changed, in the first area.

한편,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프레임 모드로 동작하고, 프레임 모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시청 모드로 동작하고, 시청 모드에서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 및 변경될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30 may operate in a frame m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user input in the standby mode, and may operate in a standby m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user input in the frame mode.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operate in a standby mode according to a preset user input in a standby mode, and may operate in a standby m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user input in a viewing mode. Here, the predetermined user inpu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urrent display mode and the display mode to be changed.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프레임 모드로 동작하고, 프레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시청 모드로 동작하고, 시청 모드에서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으면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The processor 130 may operate in a frame mode if the user is detected in the standby mode and may operate in the standby mode if the user is not detected in the frame mode.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operate in a viewing mode when the user is detected in the standby mode, or may operate in the standby mode if the user is not detected in the viewing mode.

프로세서(130)는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 감지된 사용자의 수, 감지된 사용자의 신장 및 감지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의 등록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변경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changed mod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urrent display mode, the number of sensed users, the height of the sensed user, and whether the sensed user is registered in the display device 100. [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사용자가 둘 이상 감지된 경우에만 프레임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사용자의 신장이 170cm 이상인 경우에만 시청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operate in a frame mode only if more than two users are detected in the standby mode.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operate in the viewing mode only when the user's height is 170 cm or more in the standby mode.

한편, 이상에서는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시청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프레임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센싱되는 중이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하지 않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되던 컨텐츠를 축소시켜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user is detected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operate in a frame mode even when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not us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viewing mode. That is, when the user is being sensed, or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display device 10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when the user does not watch the display device 100), the processor 130 may reduce And display it in the first area.

이때, 프로세서(130)는 현재 디스플레이되던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변경하여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즉, 화면 상의 전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및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상이한 컨텐츠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currently displayed content to another content and display it in the first area. That is,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entire area on the screen and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may be different contents.

예를 들어, 화면 상의 전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시청 중이던 컨텐츠이고,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기 설정된 컨텐츠일 수 있다. 기 설정된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사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일 수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entire area on the screen may be content selected and watched by the user, and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may be predetermined content. The predetermined content may be content set by the manufacturer of the display device 100, but may be changed by the user at any time.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컨텐츠의 색상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의 색상을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컨텐츠의 평균 색상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1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각 프레임의 평균 색상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의 색상을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color of the second area in real time based on the color of the first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color of the second area based on the average color of the first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In addition, when the first content is a moving image, 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color of the second area in real time based on the average color of each frame.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휘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30초 이상 감지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시청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휘도를 올릴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brightness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when the user is detected in the frame mode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views the display device 100 when the user is detected for 30 seconds or more in the frame mode, and may increase the brightness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한편,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에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림자는 물체가 빛을 가려서 그 물체의 뒷면에 형성되는 검은 그늘을 의미하며, 그림자 효과는 그림자가 생긴 것과 같은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영역은 평면이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그림자가 제2 영역에 생성될 수는 없다. 다만, 제2 영역에 제1 영역의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입체감을 줄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30 may overlay and display an image providing a shadow effect in the second area. Here, a shadow means a black shade formed on the back of the object when the object hides the light, and the shadow effect can mean the same effect as a shadow. Since the first area is planar, no shadows can be physically created in the second area. However, by displaying an image providing the shadow effect of the first area in the second area, a stereoscopic effect can be provided.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이 돌출된 것과 같은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베젤만이 돌출된 것과 같은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An image providing a shadow effect may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rea, the second area, and the bezel of the display device 100. [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generate an image that provides a shadow effect such that the first region is projected. Alternatively, the processor 130 may generate an image that provides a shadow effect such that only the bezel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projected.

한편,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 및 입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그림자 효과에서 제공되는 그림자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가 커질수록 그림자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이 변경되면 그림자 영역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t least one of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shadow region provided in the shadow effect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and the incidence direction. The processor 130 may increase the size of the shadow region as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increases. 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shadow region whe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is changed.

여기서, 그림자 영역은 그림자로서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는 제2 영역 전체에 걸쳐 디스플레이되나, 그림자 영역은 이미지의 일부일 수 있고, 이 경우 그림자 영역은 제2 영역의 일부에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Here, the shadow region may be an area displayed as a shadow. That is, the image providing the shadow effect is displayed throughout the second area, but the shadow area can be part of the image, in which case the shadow area can only be displayed in a part of the second area.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에지 영역 중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그림자 영역으로 결정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측인 경우, 디스플레이(120)의 하측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그림자 영역으로 결정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at least one edge region of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constituting the second region opposite to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as a shadow region to provide a shadow effect. For example, whe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is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at least one edge region located below the display 120 as a shadow region to provide a shadow effect have.

한편,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휘도를 변경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백라이트를 구비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낮보다 밤에 백라이트의 밝기가 작아지도록 백라이트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brightnes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to provide a shadow effect. For example, if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backlight, the processor 130 may control the backlight so that the brightness of the backlight is reduced at night than during the day.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의 휘도의 변경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의 휘도의 변경 정도를 제2 영역의 휘도의 변경 정도보다 크게 할 수 있다.Here, the processor 130 may vary the degrees of change in the luminanc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can make the degree of change in the brightness of the first region larger than the degree of change of the brightness of the second region.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는 그림자 효과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스토리지에 저장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for storing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display modes. In addition, the storage may store configur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hadow effect, and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 shadow effect based on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if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is below a predetermined threshold.

여기서, 설정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 시에 입력된 정보일 수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정보는 시간대별 설정 정보일 수 있다.Here, the setting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putt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apparatus 100, but may be changed by the user at any time. For example, the setting information may be time-based setting information.

도 1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센서(110), 디스플레이(120), 프로세서(130), 스토리지(140), 통신부(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70), 스피커(180), 버튼(181), 마이크(182)를 포함한다. 도 1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1B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As shown in FIG. 1B,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sensor 110, a display 120, a processor 130, a storage 140, a communication unit 150, a user interface unit 155, an audio processing unit 160, A processing unit 170, a speaker 180, a button 181, and a microphone 182. Details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B that overlap with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A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프로세서(130)는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The processor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using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14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processor 130 includes a RAM 131, a ROM 132, a main CPU 133, a graphics processing unit 134, first through n interfaces 135-1 through 135-n, .

RAM(131), ROM(132), 메인 CPU(13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RAM 131, the ROM 132, the main CPU 133, the graphics processing unit 134, the first to n interfaces 135-1 to 135-n, etc.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bus 136. [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The first to n-th interfaces 135-1 to 135-n are connected to the various components described above. One of the interfaces may be a network interfac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via a network.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140)에 액세스하여,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The main CPU 133 accesses the storage 140 and performs booting using the O / S stored in the storage 140. [ Then, various operations are performed using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140. [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3)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The ROM 132 stores a command set for booting the system and the like. The main CPU 133 copies the O / S stored in the storage 140 to the RAM 131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stored in the ROM 132, executes the O / S, . When the booting is completed, the main CPU 133 copi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140 to the RAM 131, executes the application program copied to the RAM 131, and performs various operations.

그래픽 처리부(13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12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The graphic processing unit 134 generates a screen including various objects such as an icon, an image, and a text using an operation unit (not shown) and a rendering unit (not shown). The operation unit (not shown) calculates an attribute value such as a coordinate value, a shape, a size, and a color to be displayed by each object according to the layout of the screen based on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The rendering unit (not shown) creates screens of various layouts including the objects based on the attribute values calculated by the operation unit (not shown). The screen generated in the rendering unit (not shown)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120.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130)의 동작은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130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by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140. [

스토리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디스플레이 모드 제공 모듈, 그림자 효과 제공 모듈 및 디스플레이 영역 구분 모듈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storage 140 stores various data such as an O / S (Operating System) software module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100, a display mode providing module, a shadow effect providing module, and a display area separating module.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130 may operate in one of a plurality of display modes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140. [

통신부(15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150)는 와이파이 칩(151), 블루투스 칩(152), 무선 통신 칩(153), NFC 칩(154)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is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The communication unit 150 includes a Wi-Fi chip 151, a Bluetooth chip 152,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153, an NFC chip 154, and the like. The processor 130 communicates with various external devices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150. [

와이파이 칩(151), 블루투스 칩(15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151)이나 블루투스 칩(15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53)은 IEEE,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5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The Wi-Fi chip 151 and the Bluetooth chip 152 perform communication using the WiFi method and the Bluetooth method, respectively. When the WiFi chip 151 or the Bluetooth chip 152 is used, various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an SSID and a session key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first,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inform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153 refers to a chip that performs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IEEE, Zigbee, 3G (3rd Generation),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TE (Long Term Evolution) The NFC chip 154 means a chip operating in th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ode using the 13.56 MHz band among various RF-ID frequency bands such as 135 kHz, 13.56 MHz, 433 MHz, 860 to 960 MHz and 2.45 GHz.

한편, 통신부(150)는 외부 장치와 단방향 통신 또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50)는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150)는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외부 장치로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150 can perform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apparatus. When performing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50 can receive a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When perform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receive a signal from an external device or may transmit a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interaction)을 수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는 카메라,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터치 기반의 전자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55)는 상술한 디스플레이(12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The user interface unit 155 receives various user interactions. Here, the user interface unit 155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play device 100.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digital TV, the user interface unit 155 may be implemented with a remote control receiver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from a remote control device, a camera for sensing user motion, and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user voice.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 touch-based electronic device, the user interface unit 155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having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pad. 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unit 155 can be used as the display 120 described above.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The audio processing unit 16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processing on audio data. In the audio processing unit 160, various processes such as decoding and amplification of audio data, noise filtering, and the like may be performed.

비디오 처리부(17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video processing unit 17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processing on video data. The video processing unit 170 may perform various image processing such as decoding, scaling, noise filtering, frame rate conversion, resolution conversion, and the like on the video data.

스피커(180)는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The speaker 180 is a component for outputting various kinds of audio data processed by the audio processing unit 160, as well as various kinds of notification sounds and voice messages.

버튼(18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The button 181 may be various types of buttons such as a mechanical button, a touch pad, a wheel, and the like formed in an arbitrary area such as a front surface portion, a side surface portion, and a back surface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display device 100.

마이크(183)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microphone 183 is a configuration for receiving a user voice or other sound and converting it into audio data.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기본 구성과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basic configuration and various embodiments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A and 2B are views for explaining a plurality of display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a는 아무런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의 입력을 유도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A, the processor 130 may operate in a standby mode. Although FIG. 2A shows that no information is provided,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 UI to guide the user's input.

프로세서(13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사용자가 감지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제1 영역(10)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20)에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림자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The processor 130 may operate in a frame mode, as shown in FIG. 2B, when a user is detected in the standby mode.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content in the first area 10 in frame mode.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n image that provides a shadow effect to the second area 2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hadow effect will be given later.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시청 모드에서 전체 화면 영역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operate in the viewing mode, as shown in FIG. 2C, when the user input is received in the frame mode.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content in the full screen area in the viewing mode.

도 2b 및 도 2c에서는 프레임 모드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던 컨텐츠가 시청 모드의 전체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모드의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던 컨텐츠와 시청 모드의 전체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뿐만 아니라 화면 설정 UI, 채널 설정 UI 등을 포함한다.2B and 2C,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f the frame mode is displayed in the full screen area of the viewing mo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of the frame mode may be different from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full screen area of the viewing mode. Here, the content includes not only an image and a moving picture but also a screen setting UI, a channel setting UI, and the like.

한편,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스탠바이 모드에서 시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버튼이 조작되면, 스탠바이 모드에서 시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된 전원 버튼이 다시 한번 조작되면 시청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determined user input is received, the processor 130 can operate in the standby mode in the viewing mode. For example, when the power button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ler is operated, the processor 130 can operate in the standby mode and the viewing mode. Also, the processor 130 may operate in the standby mode in the viewing mode once the power button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ler is operated again.

한편, 프로세서(130)는 시청 모드에서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싱되지 않는 경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제1 영역(10) 및 제2 영역(20)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region 10 and the second region 10 are in at least one of the cases where the user is not sensed for more than the predetermined time in the viewing mode, A screen including the area 20 can be provided.

구체적으로, 센서(110)는 사용자를 센싱할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화면 상의 전체 영역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싱되지 않는 경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를 감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nsor 110 may sense the user, and the processor 130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not sen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n a state where the content is displayed in the entire area on the screen, At least one of the cases where the time is not used for more than the predetermined time.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도 2b의 도면과 같이, 컨텐츠의 크기를 제1 영역(10)에 대응되도록 축소시키고, 제2 영역(20)에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2B, the processor 130 may reduce the size of the content to correspond to the first area 10 and display an image providing the second area 20 with a shadow effect.

이 경우, 센서는 카메라일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가 검출되지 않거나 사용자가 검출되더라도 눈을 감고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프레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or may be a camera, and the processor 130 may operate in a frame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detected from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or the eyes are closed even if the user is detected, can do.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심미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display device 100,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n image providing a shadow effect to improve the aesthetic effect.

특히,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결혼 사진, 풍경화 등으로 변경하여 액자를 걸어놓은 듯한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0 to a marriage photograph, a landscape, or the like so as to provide a frame-like effect.

또한,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제1 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변경할 수도 있다. 제1 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제조사에 의해 기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변경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0 may be preset by the manufacturer or may be changed by the user.

이상에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별도의 모드 변경 버튼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모드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모드 변경 버튼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모드 변경 버튼은 하나의 버튼으로 구비되어 두 모드를 토글(toggle)할 수도 있고, 두 모드를 각각 나타내는 두 개의 모드 버튼이 구비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user does not use the display device 10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may provide a separate mode change button to allow the user to change modes. The mode change button may be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100 and the display device 100. [ The mode change button may be provided as one button to toggle the two modes, or two mode buttons may be provided to indicate the two modes, respectively.

한편,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싱되지 않는 경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t least one of the cases where the user is not sen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n the frame mode and the display device 100 is not u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display device 100 is in the standby mode You can control to enter.

또는,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센싱된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값보다 작고,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센싱되지 않는 경우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이용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at the intensity of the light sensed in the frame mode is smaller than a preset value, the user is not sen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the display device 100 is not u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controlled to enter the standby mode.

이하에서는 특히 프레임 모드에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in the frame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림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hadow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10) 및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20)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10)에 기설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20)에 제1 영역(10)의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는 제1 영역(10)을 제외한 제2 영역(20)에 대응되는 형태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 screen including a first area 10 for displaying content in frame mode and a second area 20 outside the first area.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n image that displays predetermined content in the first area 10 and provides a shadow effect of the first area 10 to the second area 20. [ Here, the image providing the shadow effect may b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gion 20 except for the first region 10.

그림자 효과에서 제공되는 그림자 영역(310)은 이미지의 일부에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20)의 우측 및 하측에 그림자 영역(310)을 제공하여 어둡게 표시하고, 나머지 영역인 좌측 및 상측은 밝게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20)의 우측 및 하측의 일부 영역에만 그림자 영역(310)을 제공할 수도 있다.The shadow area 310 provided in the shadow effect may be provided only to a part of the image.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shadow regions 310 on the right and bottom sides of the second region 20 to display dark, while the remaining regions, left and top, may be bright. Alternatively,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 shadow region 310 only on a portion of the right and bottom portions of the second region 20, as shown in FIG.

프로세서(130)는 그림자 영역(310)을 균일하게 어둡게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그림자 영역(310)을 불균일하게 어둡게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그림자 영역(310)에 그라데이션(gradation) 기법을 적용하여 어둡게 표시할 수도 있다.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shadow region 310 uniformly dark.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shadow region 310 in a non-uniformly dark manner.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darken the shadow area 310 by applying a gradation technique.

또한, 프로세서(130)는 그림자 영역(310)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영역 각각의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르게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may divide the shadow region 310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nd may display at least one of the hue, saturation, and brightnes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gions differently.

프로세서(130)는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기저장된 알고리즘을 통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기설정된 알고리즘은 후술하는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을 포함한다.Processor 130 may generate an image through a pre-stored algorithm for generating an image that provides a shadow effect. The predetermined algorithm includes various methods of providing an image that provides a shadow effect described later.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토리지(140)는 다양한 경우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The storage 140 may store a plurality of images for various cases, and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one of a plurality of images.

예를 들어, 스토리지(140)는 256 종류의 그림자 효과의 색상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스토리지(140)는 그림자 효과의 크기를 픽셀 단위로 변경한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40)는 그림자 효과의 색상 및 크기 뿐만 아니라 그림자 효과의 채도, 명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평균 색상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를 제2 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orage 140 may store a plurality of images for a color of 256 different shadow effects. Alternatively, the storage 140 may store a plurality of images in which the magnitude of the shadow effect is changed in pixel units. The storage 140 may store a plurality of image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saturation, brightness, and position of the shadow effect is different as well as the color and size of the shadow effect.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one of the plurality of images in the second area 20 based on the average color of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0. [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제2 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를 제2 영역(20)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cessor 130 may randomly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images and display the selected image in the second area 20. Alternatively,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one of the plurality of images in the second area 20 based on the current time.

한편, 제2 영역(20) 및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의 색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20)은 검은 색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붉은 색의 그림자 영역(310)을 갖는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제2 영역(20)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림자 영역(310)은 붉은 색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제2 영역(20) 중 그림자 영역(310)이 아닌 영역은 검은 색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lors of the second region 20 and the image providing the shadow effec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the second area 20 in black and overlay an image providing the shadow effect with the red shadow area 310 on the second area 20 . In this case, the shadow area 310 is displayed in red, and the area other than the shadow area 310 of the second area 20 may be displayed in black.

한편, 도 3에서는 제1 영역(10)에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10)에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3, one content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 plurality of contents in the first area 1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의 세기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intensity of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그림자 효과에서 제공되는 그림자 영역(410)의 크기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광을 나타내는 화살표(30)가 도시되어 있으며, 화살표(30)의 두께는 광의 세기를 나타낸다.As shown in FIG. 4, 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size of the shadow region 410 provided in the shadow effect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and display the changed shadow region. In FIGS. 3 and 4, arrows 30 representing light are shown, and the thickness of arrow 30 represents the intensity of light.

도 4는 도 3보다 광의 세기가 강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의 화살표(30)는 도 3보다 두껍다. 프로세서(130)는 도 3의 경우보다 도 4의 경우에 그림자 영역(410)의 크기를 더 확대할 수 있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ase where the intensity of light is stronger than that of Fig. 3, and the arrow 30 in Fig. 4 is thicker than that in Fig. The processor 130 may further increase the size of the shadow region 410 in the case of FIG. 4 than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의 입사 방향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incident direction of 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기초하여 그림자 효과에서 제공되는 그림자 영역(510)의 위치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shadow region 510 provided in the shadow effect based o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and display the changed shadow region.

도 5는 우측 상단으로부터 광이 입사되고,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20)의 좌측 및 하측을 그림자 영역(510)으로 결정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FIG. 5, light is incident from the right upper end, and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the left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area 20 as the shadow area 510 to provide a shadow effect.

한편,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 및 입사 방향 모두를 고려하여 그림자 효과에서 제공되는 그림자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shadow region provided in the shadow effect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and the incident direc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a plurality of edge regions 20-1, 20-2, 20-3, and 20-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20)을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a에 도시된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얼마든지 다른 형태로 구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6A, the processor 130 may divide the second area 20 into a plurality of edge areas 20-1, 20-2, 20-3, and 20-4. Here,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20-1, 20-2, 20-3, and 20-4 shown in FIG. 6A are merely one embodiment, and may be divided into any other form.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 시 제조사에 의해 구분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edge areas 20-1, 20-2, 20-3, and 20-4 may be distinguished by the manufacturer in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100, or may be set by a user.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20)을 구성하는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 중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그림자 영역(610)으로 결정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edge region 20-1, 20-2, 20-3, and 20-4 that is located opposite to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among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20-1, 20-2, 20-3, and 20-4 that constitute the second region 20, May be determined as a shadow region 610 to provide a shadow effect.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우측 상단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경우, 하측 에지 영역(20-3) 및 좌측 에지 영역(20-4)을 그림자 영역(610)으로 결정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light is incident on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processor 130, the lower edge region 20-3 and the left edge region 20-4 may be determined as a shadow region 610 to provide a shadow effect have.

도 6a에서는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에지 영역을 그림자 영역(610)으로 결정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의 영역에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 모두에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나, 각 에지 영역의 일부만이 그림자 영역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In FIG. 6A, at least one edge regio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cident direction of light is determined as the shadow region 6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 shadow effect to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n edge located in the direction of incidence of light. In this case,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 shadow effect to both of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20-1, 20-2, 20-3, and 20-4, but only a part of each edge region may be determined as a shadow region have.

한편, 프로세서(13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10) 및 광의 입사 방향에 기초하여 그림자 영역(620)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10)이 돌출된 것으로 가정하고, 광의 입사 방향에 따라 제1 영역(10)에 의해 형성되는 그림자를 그림자 영역(620)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e shadow region 620 based on the first region 10 and the incident direction of light, as shown in FIG. 6B.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assume that the first region 10 is protruded, and may determine a shadow formed by the first region 10 as a shadow region 620 according to the incident direction of ligh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의 크기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ize change of a plurality of edge areas 20-1, 20-2, 20-3, and 20-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제2 영역(20)을 구성하는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 중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irection of incidence of the sensed light among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20-1, 20-2, 20-3, and 20-4 constituting the second region 2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at least one first edge region located and enlarge the size of at least one second edge regio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to provide a shadow effect.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좌측 상단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제2 영역(20)을 구성하는 복수의 에지 영역(20-1, 20-2, 20-3, 20-4) 중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상측 에지 영역(20-1) 및 좌측 에지 영역(20-4)의 크기를 축소하고,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우측 에지 영역(20-2) 및 하측 에지 영역(20-3)의 크기를 확대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light is incident from the upper left end of the processor 130,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whether the light is sensed among the plurality of edge areas 20-1, 20-2, 20-3, and 20-4 constituting the second area 20 The size of the upper edge region 20-1 and the left edge region 20-4 located i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light is reduced and the right edge region 20-2 and the lower edge region 20-2 located opposite to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20-3 may be enlarged to provide a shadow effect.

특히,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rocessor 130 may vary the siz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edge region and the at least one second edge region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to provide a shadow effect.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좌측 상단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면,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측 에지 영역(20-1) 및 좌측 에지 영역(20-4)의 축소될 크기, 우측 에지 영역(20-2) 및 하측 에지 영역(20-3)의 확대될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light is incident from the upper left end of the processor 130, the size of the upper edge region 20-1 and the left edge region 20-4 to be reduced, the size of the right edge region 20-2 and the lower edge region 20-3 can be determin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영역(10) 및 제2 영역(20)의 휘도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luminance of the first region 10 and the second region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제1 영역(10) 및 제2 영역(20)의 휘도를 변경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brightness of the first region 10 and the second region 20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to provide a shadow effect.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도 8의 첫 번째 도면과 같이, 제1 영역(10)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영역(20)에 그림자 효과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도 8의 두 번째 도면과 같이 주변이 어두워지면, 제1 영역(10) 및 제2 영역(20)의 휘도를 낮출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content in the first area 10 and display an image providing a shadow effect in the second area 20, as in the first figure of FIG. 8, 8, the brightness of the first area 10 and the brightness of the second area 20 can be lowered.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백라이트를 구비한 경우, 백라이트의 휘도를 낮출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백라이트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 각 픽셀의 명도 값을 낮출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cessor 130 can lower the brightness of the backlight when the display apparatus 100 has a backlight. The processor 130 may lower the brightness value of each pixel if the display device 100 does not have a backlight.

한편,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면, 제1 영역(10) 및 제2 영역(20)의 휘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프레임 모드에서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되면, 제1 영역(10) 및 제2 영역(20)의 휘도를 올릴 수도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30 may change the brightness of the first area 10 and the second area 20 when the user detects the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n the frame mode. For example, the processor 130 may increase the brightness of the first area 10 and the second area 20 when the user is detected in the frame mode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림자 효과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UI screen for inputting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hadow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그림자 효과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림자 효과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 화면은 그림자 영역의 색상, 그림자 각도 및 레이아웃 등을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processor 130 may display a UI screen for inputting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hadow effect. The UI screen for inpu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hadow effect may include a UI screen for setting the color, shadow angle, and layout of the shadow area.

또한, 그림자 효과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UI 화면은 시간대별 태양의 위치에 따른 그림자 방향을 결정하는 설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I screen for inpu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hadow effect may include a setting for determining the shadow dire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un by the time zone.

스토리지는 그림자 효과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스토리지에 저장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Storage can store configuration information related to shadow effects.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 shadow effect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whe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value.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서(1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와 무관하게,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그림자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을 센싱하여 동작하는 제1 프레임 모드와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제2 프레임 모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1 프레임 모드 및 제2 프레임 모드 중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 shadow effect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regardless of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For example, the display apparatus 100 may provide a first frame mode, which operates by sensing light, and a second frame mode, which operates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and may select a first frame mode and a second frame mode Can be determin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한다(S1010). 그리고, 주변 광을 센싱한다(S1020). 그리고,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한다(S1030).First, a screen including a first area for displaying contents and a second area outside the first area is provided (S1010). Then, ambient light is sensed (S1020). Then, the size of the second area is changed based on the sensed light (S1030).

여기서, 변경하는 단계(S1030)는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을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복수의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Here, the changing step S1030 may divide the second area into a plurality of edge areas based on the sensed light, and change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dge areas.

그리고, 변경하는 단계(S1030)는 복수의 에지 영역 중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The changing step S1030 is a step of reducing the size of the at least one first edge region located i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among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and changing the size of the at least one second edge region located opposite to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Can be enlarged.

여기서, 변경하는 단계(S10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Here, the changing step (S1030) may change the siz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edge region and the at least one second edge region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또한, 변경하는 단계(S1030)는 제1 영역의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nging step (S1030) may reduce the size of the first edge area and enlarge the size of the at least one second edge area while maintaining the same size of the first area.

한편, 변경하는 단계(S1030)는 센싱된 광의 세기 및 입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을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anging step (S1030) may divide the second area into a plurality of edge area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and the incidence direction.

여기서, 변경하는 단계(S1030)는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에지 영역의 개수를 결정하고,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에지 영역의 경계를 결정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changing (S103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and determine the boundary of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based o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한편, 변경하는 단계(S1030)는 센싱된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hanging step (S1030) may change the size of the second area whe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그리고, 변경하는 단계(S1030)는 컨텐츠의 평균 휘도에 기초하여 제2 영역의 크기의 변경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The changing step (S1030) may determine the degree of change of the size of the second area based on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content.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감지 여부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providing different func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senses and / or the user inputs.

한편, 이상에서는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그림자 영역이 결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1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고려하여 그림자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hadow regions are determined based on the sensed ligh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shadow area by considering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first area.

한편, 이상에서는 제1 영역이 직사각형 형태의 영역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은 원형, 사다리꼴 등의 형태일 수도 있다. 제1 영역의 형태에 따라 제2 영역의 형태도 달라지고, 제2 영역을 구성하는 복수의 에지 영역의 형태도 달라질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region is a rectangular reg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region may be in the form of a circle, a trapezoid, or the like. The shape of the second reg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constituting the second region may be changed.

한편, 이러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프로그래밍되어 각종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매체를 실행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에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이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grammed and stored in various storage media. As such, the method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that execute the storage medium.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Specifically,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provided in which a program for sequentiall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control method is stored.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A 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is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but semi-permanently stores data and is readable by the apparatus. In particular, the various applications or programs described above may be stored on non-volatile readable media such as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제1 영역 20 : 제2 영역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센서
120 : 디스플레이 130 : 프로세서
140 : 스토리지 150 : 통신부
155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60 : 오디오 처리부
170 : 비디오 처리부 180 : 스피커
181 : 버튼 182 : 마이크
10: first region 20: second region
100: display device 110: sensor
120: display 130: processor
140: Storage 150:
155: user interface unit 160: audio processing unit
170: video processor 180: speaker
181: button 182: microphone

Claims (18)

주변 광을 센싱하는 센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sensor for sensing ambient light;
A display providing a screen including a first area for displaying content and a second area outside the first area; And
And a processor for changing the size of the second area based on the sensed 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divides the second region into a plurality of edge regions based on the sensed light, and changes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 중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a second edge region that is located on a side opposite to an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and enlarges a size of at least one first edge region located in an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Display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changes the siz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edge region and the at least one second edge region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reduces the size of the first edge area and enlarges the size of the at least one second edge area while maintaining the same size of the first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 및 입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divides the second region into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and the incidence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의 경계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rocessor comprising:
Determine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and determines the boundary of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based o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changes the size of the second area whe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의 평균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크기의 변경 정도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determines the degree of change of the size of the second area based on the average luminance of the content.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 외곽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주변 광을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Providing a screen including a first area for displaying content and a second area outside the first area;
Sensing ambient light; And
And changing the size of the second area based on the sensed ligh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는,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odifying comprises:
And dividing the second region into a plurality of edge regions based on the sensed light, and changing the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 중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는,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odifying comprises:
And a second edge region that is located on a side opposite to an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and enlarges a size of at least one first edge region located in an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Control metho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지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 각각의 크기를 변경하는,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odifying comprises:
And changes the size of each of the at least one first edge region and the at least one second edge region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제1 에지 영역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에지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는,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odifying comprises:
Reducing the size of the first edge area and enlarging the size of the at least one second edge area while keeping the size of the first area the sam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 및 입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을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으로 구분하는, 제어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odifying comprises:
And divides the second region into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ntensity and the incidence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의 개수를 결정하고, 상기 센싱된 광의 입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지 영역의 경계를 결정하는, 제어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modifying comprises:
Determines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and determines the boundary of the plurality of edge regions based on the incident direction of the sensed ligh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광의 세기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변경하는,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odifying comprises:
And changes the size of the second area when the intensity of the sensed ligh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평균 휘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영역의 크기의 변경 정도를 결정하는,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odifying comprises:
And determines the degree of change of the size of the second area based on the average brightness of the content.
KR1020160164591A 2016-04-29 2016-12-05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808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77,472 US10115372B2 (en) 2016-04-29 2017-04-03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6/116,507 US10417997B2 (en) 2016-04-29 2018-08-29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29481P 2016-04-29 2016-04-29
US62/329,481 2016-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069A true KR20170124069A (en) 2017-11-09
KR102180820B1 KR102180820B1 (en) 2020-11-20

Family

ID=6038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591A KR102180820B1 (en) 2016-04-29 2016-12-05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8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551A (en) * 2018-11-15 2020-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7928A1 (en) * 2006-05-04 2007-11-08 Richard Marks Bandwidth Management Through Lighting Control of a User Environment via a Display Device
US20100079426A1 (en) * 2008-09-26 2010-04-01 Apple Inc. Spatial ambient light profiling
KR20160014915A (en) * 2014-07-30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7928A1 (en) * 2006-05-04 2007-11-08 Richard Marks Bandwidth Management Through Lighting Control of a User Environment via a Display Device
US20100079426A1 (en) * 2008-09-26 2010-04-01 Apple Inc. Spatial ambient light profiling
KR20160014915A (en) * 2014-07-30 2016-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551A (en) * 2018-11-15 2020-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820B1 (en) 2020-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799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209513B2 (en)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050067B2 (en) Displa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US1062916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98208B1 (en) Display system for enhancing visibility and methods thereof
US1063537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236003B2 (en)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display method, data receiving method and data transmitting method
US9239642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37647A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user terminal device thereof
KR20140133362A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40128207A (en) user terminal device with a p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426079B (en) The method of adjustment and device of picture luminance
US10467949B2 (en) 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242407B1 (en)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N110476147B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thereof
US2019001212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20170015089A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903150B2 (en) Displa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20150109992A (en) Method of controll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005406B1 (en) Dispal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180820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27139B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in portable device
CN107454308A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194921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125004A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