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053A -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4053A
KR20170124053A KR1020160053649A KR20160053649A KR20170124053A KR 20170124053 A KR20170124053 A KR 20170124053A KR 1020160053649 A KR1020160053649 A KR 1020160053649A KR 20160053649 A KR20160053649 A KR 20160053649A KR 20170124053 A KR20170124053 A KR 20170124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server
unit
creation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명원
Original Assignee
(주)엘리펀트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리펀트이엔티 filed Critical (주)엘리펀트이엔티
Priority to KR1020160053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4053A/ko
Publication of KR20170124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다양한 음악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면서 음악 창착에 대한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은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면서 전자기기를 통하여 접속 가능한 뮤직 플랫폼(11); 뮤직 플랫폼(11)과 연결되어 정해진 접속자에게 고유 공간을 제공하는 창작 서버(12); 뮤직 플랫폼(11)의 접속자가 접속하여 업로드 또는 링크가 된 파일에 접속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공연 서버(13); 뮤직 플랫폼(11)을 통하여 다양한 음악 관련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15); 음악 관련 전문 종사가가 접속하여 창작 서버(12) 또는 공연 서버(13)에 업로드가 된 음악 관련 내용에 대한 의견을 업로드를 하는 전문 그룹 서버(16); 및 전문 그룹 서버(16)의 접속자 또는 업로드가 된 내용과 창작 서버(12)에 고유 공간을 가지는 접속자와 관련된 내용을 탐지하여 상기 고유 공간을 가진 접속자에게 제공하는 연결 탐색 유닛(1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A O2O Platform System for Providing a Field of a Music Creation and a Musical Source}
본 발명은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다양한 음악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면서 음악 창착에 대한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이와 같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과 같은 전자기기를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식으로부터 점차 휴대용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 기기는 다양한 위치에서 임의의 시각에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으면서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연결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한 마케팅의 일종으로 휴대용 모바일 기기가 서비스 제공업자의 영역에 위치하면 실시간으로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로 관련 업체에 의하여 제공되는 쿠폰 또는 할인 가격 정보가 자동으로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는 O2O 서비스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1611620호는 수신된 오프라인으로 구동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시리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정품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정품인 경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가용한 매칭 정보를 발급하여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 생성되는 쿠폰 정보에 따른 온라인으로 구동되는 제2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특허등록번호 제10-1523494호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지불 결제 요청 발생 시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사용자 단말부와 지불 결제 대행사 사이에서 발생된 지불 결제에 대해 사용자 단말부를 통해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성공 시 지불 결제에 대한 사용자의 최종 승인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지불 결제 대행사로 지불 결제를 요청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겸용 모바일 지불 결제 중계 검증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또는 개인용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시키는 O2O 서비스는 참여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고,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오프라인을 통한 접근이 어려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음악 창작에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한 참여 의사를 가지고 있지만 주변 여건으로 인하여 창작 연습을 할 수 없는 경우 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이러한 종류의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등록번호 제10-1611620호(주식회사 넥슨코리아, 2011년08월03일 공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어플리케이션 연동 장치 및 방법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제10-1523494호(주식회사 시큐브, 2015년05월28일 공고) 온라인 및 오프라인 겸용 모바일 지불 결제 중계 검증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창작에 관심을 가지는 다양한 사람이 참여하여 창작 과정의 습득이 가능하면서 창작곡의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는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은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면서 전자기기를 통하여 접속 가능한 뮤직 플랫폼; 뮤직 플랫폼과 연결되어 정해진 접속자에게 고유 공간을 제공하는 창작 서버; 뮤직 플랫폼의 접속자가 접속하여 업로드 또는 링크가 된 파일에 접속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공연 서버; 뮤직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음악 관련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음악 관련 전문 종사가가 접속하여 창작 서버 또는 공연 서버에 업로드가 된 음악 관련 내용에 대한 의견을 업로드를 하는 전문 그룹 서버; 및 전문 그룹 서버의 접속자 또는 업로드가 된 내용과 창작 서버에 고유 공간을 가지는 접속자와 관련된 내용을 탐지하여 상기 고유 공간을 가진 접속자에게 제공하는 연결 탐색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연 서버는 접속자의 개인 창작물이 업로드가 되는 창작 유닛; 서로 다른 접속자의 창작물 사이의 경쟁을 위한 경쟁 유닛; 및 미리 결정된 음악에 대한 접속자의 의견이 제시되는 평가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연 서버에서 접속자에 의하여 업로드가 된 창작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경연 선정 유닛 및 다양한 외부 음악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뮤직 선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창작물 및 상기 선택된 외부 음악에 대한 일반 및 전문가 평이 수집되어 저장되는 평가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지고, 평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가 상기 고유 공간을 가지는 접속자에게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다양한 음악 관련 서비스의 제공과 함께 사용자가 창작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이와 동시에 참여자에게 창작 과정의 습득 및 창작 음악의 시험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음악 배틀(battle)과 같은 경쟁을 통하여 참여자의 창작 의욕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전문 음악인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창작 능력이 별도의 오프라인 교육이 없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높은 수준의 창작 음악이 직접 상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오프라인 과정이 온라인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음악 창작을 위한 정보가 생성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음악 배틀이 진행되는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은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면서 전자기기를 통하여 접속 가능한 뮤직 플랫폼(11); 뮤직 플랫폼(11)과 연결되어 정해진 접속자에게 고유 공간을 제공하는 창작 서버(12); 뮤직 플랫폼(11)의 접속자가 접속하여 업로드 또는 링크가 된 파일에 접속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공연 서버(13); 뮤직 플랫폼(11)을 통하여 다양한 음악 관련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15); 음악 관련 전문 종사가가 접속하여 창작 서버(12) 또는 공연 서버(13)에 업로드가 된 음악 관련 내용에 대한 의견을 업로드를 하는 전문 그룹 서버(16); 및 전문 그룹 서버(16)의 접속자 또는 업로드가 된 내용과 창작 서버(12)에 고유 공간을 가지는 접속자와 관련된 내용을 탐지하여 상기 고유 공간을 가진 접속자에게 제공하는 연결 탐색 유닛(17)을 포함한다.
플랫폼 시스템은 다양한 음악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다양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음원 로드 서비스, 음악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또는 공연 표 판매 서비스와 같은 것을 제공할 수 있고, 특별히 음악 창작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임의의 접속자가 회원제로 또는 임의로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시스템에 인터넷과 같은 접속 수단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다. 플랫폼 시스템의 접속자로부터 오프라인 지망생(14)이 선택될 수 있고, 플랫폼 시스템은 임의의 접속자의 접속 정보를 분석하여 오프라인 지망생(14)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자는 플랫폼 시스템에 접속하여 오프라인 지망생(14)이 될 수 있다. 오프라인 지망생(14)은 음악 창작에 대한 의사를 가진 접속자를 의미한다.
오프라인 지망생(14)은 뮤직 플랫폼(11)에 접속하여 창작 서버(12)로 연결될 수 있고, 오프라인 지망생(14)은 고유 공간을 가지게 된다. 뮤직 플랫폼(11)은 일반 접속자와 오프라인 지망생(14)을 구별하여 정해진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한다. 또한 뮤직 플랫폼(11)은 임의의 접속자에게 서비스 제공을 허용하거나 오프라인 지망생(14)에 대한 접속 권한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오프라인 지망생(14)은 뮤직 플랫폼(11)을 통하여 창작 서버(12)에 접속하여 고유 공간을 통하여 음악 창작과 관련된 정보를 습득하여 저장하거나 자신의 창작 음악 또는 습작 음악을 저장할 수 있다. 고유 공간은 디지털 음악 프로그램에 접속되도록 하면서 프로그램 형태의 음악 창작 수단에 접속되어 음악 창작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창작된 음악이 저장되고 공연 서버(13)에 업로드가 되도록 한다.
공연 서버(13)는 임의의 접속자가 접속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오프라인 지망생(14)에 의하여 창작된 음악, 전문 작곡자의 음악 또는 선택된 유명 음악이 업로드가 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또한 공연 서버(13)는 창작 음악의 경연장이 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오프라인 지망생(14)이 창작한 음악의 시험 무대 또는 경연장이 될 수 있다. 공연 서버(13)에 다양한 음악이 업로드가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실시간 공연 무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연 서버(13)는 아마추어 음악가의 실시간 라이브 무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악 전문가 그룹이 전문적으로 또는 임의로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시스템에 뮤직 플랫폼(11)을 통하여 미리 결정된 경로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창작 서버(12)에 접속하는 오프라인 지망생(14)의 창작 음악에 대하여 의견을 제공할 수 있고, 공연 서버(13)에 대한 평가 또는 의견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지망생(14)에 대하여 창작 활동에 필요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연 서버(13)에서 공연되는 음악을 선택하여 상업화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문 그룹 서버(16)가 준비될 수 있고, 음악 전문가는 창작 서버(12)에 업로드가 된 창작곡 또는 공연 서버(13)에 업로드가 된 창작 음악, 실시간 라이브 공연 또는 선택된 외부 음악에 대한 의견, 평 또는 특성과 같은 내용을 전문 그룹 서버(16)에 업로드 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창작에 대한 다양한 전문 의견 또는 창작 방법에 대한 팁을 업로드 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탐색 유닛(17)은 전문 그룹 서버(16)에 업로드가 된 다양한 내용을 검색하여 각각의 창작 서버(12)에 고유 공간을 가지는 오프라인 지망생(14)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연결 탐색 유닛(17)을 통하여 오프라인 지망생(14)에 필요한 정보가 탐색되어 제공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오프라인 지망생(14)과 전문 그룹 서버(16)에 접속하는 음악 전문가가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탐색 유닛(17)은 오프라인 지망생(14)에게 창작 또는 관심 영역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오프라인 지망생(14)을 음악 전문가와 연결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시스템은 외부의 다양한 음악 관련 사이트와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외국 유명 음악 사이트, 라이브 공연 사이트 또는 실시간 공연장과 업로드 서버(18)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업로드 서버(18)는 공연 서버(13)와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또는 다른 사이트에 업로드가 된 음악 관련 파일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5)에 의하여 다양한 음악 관련 정보, 음악 관련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시스템은 임의의 접속자가 다양한 음악 또는 음악 관련 정보에 접근되도록 하면서 오프라인 지망생의 창작 공간 또는 창작 음악의 시험 장소가 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뮤직 플랫폼(11)은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의 관심 영역을 분류하는 관심 분류 유닛(111), 관심 분류 유닛(111)의 분류에 따라 각각의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이 속하는 그룹을 결정하는 그룹 결정 유닛(112) 및 결정된 그룹에 따라 각각의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의 활동 범위에 따른 연결을 설정하면서 필요한 정보가 자동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활동 연결 유닛(1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심 분류 유닛(111)은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의 활동 상황 또는 설문 조사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의 관심 영역을 분류하고, 관심 영역은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분류된 관심 영역에 따라 각각의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은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속할 수 있고, 그룹은 예를 들어 1 그룹, 1 그룹에 속하는 다수 개의 2 그룹 또는 2 그룹에 속하는 다수 개의 3 그룹과 같은 계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음악 영역에 따라 미리 분류될 수 있다.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은 그룹을 새로이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이 속하는 그룹이 결정되면 그룹을 기준으로 공연 서버(13)와 창작 서버(12)로 연결 또는 정보 공유가 활동 연결 유닛(113)에 의하여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창작 서버(12)는 각각의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에 대한 활동 공간을 제공하는 영역 할당 유닛(121), 영역 할당 유닛(121)에 의하여 제공된 영역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 사이의 활동 상황을 연결시키면서 창작물의 업로드, 창작 활동 과정에서 정보 공유와 같은 창작을 위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활동 공간 유닛(122) 및 활동 공간 유닛(122)의 다양한 창작 활동 과정에 따라 필요한 연결 관계를 설정하고 활동 연결 유닛(113)와 연결되는 정보 연결 유닛(1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활동 공간 유닛(122)은 그룹 결정 유닛(112)의 결정에 따라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이 속하는 그룹을 기준으로 창작 활동의 방법을 설정할 수 있고, 정보 연결 유닛(123)은 활동 공간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활동에 대한 정보를 공연 서버(13) 또는 전문 그룹 서버(16)로 연결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공연 서버(13) 또는 전문 그룹 서버(16)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가 활동 공간 유닛(122)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공연 서버(13)는 접속자의 개인 창작물이 업로드가 되는 창작 유닛(131); 서로 다른 접속자의 창작물 사이의 경쟁을 위한 경쟁 유닛(132); 및 미리 결정된 음악에 대한 접속자의 의견이 제시되는 평가 유닛(133)을 포함한다.
활동 공간 유닛(122)의 활동 과정에서 생성된 창작 음악이 창작 유닛(131)에 업로드가 될 수 있고, 임의의 접속자가 정해진 조건에 따라 창작 유닛(131)에 업로드 할 수 있다. 또한 창작 유닛(131)을 통하여 실시간 라이브 공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창작 유닛(131)은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의 창작 시험 무대가 될 수 있다.
경쟁 유닛(132)은 창작 활동의 결과로 발생된 창작 음악 사이의 경쟁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정해진 일정에 따라 그룹 별로 또는 분야 별로 창작 음악에 대한 경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일정에 따라 경쟁 작품이 결정되고 그에 따라 경쟁 유닛(132)에서 경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창작 유닛(131) 또는 경쟁 유닛(132)에서 공연되는 창작 음악에 대한 평가가 평가 유닛(133)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평가 유닛(133)은 일반 평가와 전문가 평가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르면 창작 유닛(131) 또는 경쟁 유닛(132)에 업로드가 되거나 또는 공연이 된 창작 음악에 대하여 전문가의 평가가 업로드가 된다. 각각의 분야에 따라 전문가가 결정되고 전문가에 대한 평가가 필수적으로 업로드가 된다. 그리고 전문가의 평가는 각각의 그룹에 따라 활동 연결 유닛(113)을 통하여 각각의 그룹에 속한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에게 전달된다. 전문가의 평가는 비공개 또는 공개로 업로드가 될 수 있고, 활동 연결 유닛(113)은 각각의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에 해당되는 전문가의 평가를 해당하는 각각의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반인의 평가를 탐색하여 각각의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에게 전달할 수 있다.
시스템 구조에 전문 평가 분류 유닛(21)이 설치될 수 있고, 창작 유닛(131) 또는 경쟁 유닛(132)에 업로드가 되거나 공연된 창작 음악이 전문 평가 분류 유닛(21)에 의하여 분류되어 전문 그룹 서버(16)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전문 그룹 서버(16)는 미리 결정된 내부 전문가 또는 외부 전문가에 대하여 분류된 창작 음악에 대한 평가를 획득할 수 있고, 전문 그룹 서버(16)에 각각의 분야에 대한 전문가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창작 음악에 대한 전문가의 평가가 활동 연결 유닛(113)을 통하여 각각의 오프라인 지망생의 활동 공간 유닛(122)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작 정보 유닛(22)이 설치될 수 있고, 창작 정보 유닛(22)은 음악 창작에 유용한 정보를 전문 그룹 서버(16) 또는 외부 음악 사이트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얻어진 정보가 전문 정보 분류 유닛(23)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전문 정보 분류 유닛(23)은 창작 정보 유닛(22)에 의하여 획득된 정보를 각각의 그룹 또는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에 따라 분류하여 각각의 활동 공간 유닛(12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작 음악에 대한 평가 또는 전문 정보를 각각의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에 따라 분류하여 전달하는 것에 의하여 오프라인 지망생(141, 142 내지 14n)이 스스로 창작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창작 능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창작 음악 또는 다른 음악에 대한 일반인의 평가 또는 전문가의 평가를 통하여 오프라인 지망생이 자신의 창작물에 대한 문제점을 찾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음악 창작을 위한 정보가 생성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시스템은 공연 서버에서 접속자에 의하여 업로드가 된 창작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경연 선정 유닛(311) 및 다양한 외부 음악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뮤직 선정 유닛(312)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창작물 및 상기 선택된 외부 음악에 대한 일반 및 전문가 평이 수집되어 저장되는 평가 데이터베이스(36)가 만들어지고, 평가 데이터베이스(36)에 저장된 정보가 상기 고유 공간을 가지는 접속자에게 제공된다.
경연 선정 유닛(311)에서 선정되는 하나의 창작물은 오프라인 지망생의 창작 음악이 될 수 있다. 하나의 창작물의 선정은 전문가에 의하여 또는 오프라인 지망생의 투표로 정해지거나 각 그룹별로 순번을 정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하나의 창작물이 선정될 수 있다. 외부 음악은 예를 들어 국내외에서 현재 유행하고 있는 유명 음악 또는 공연과 같은 것이 되거나 시대별로 유명한 음악이 될 수 있다. 하나의 외부 음악은 하나의 창작물과 유사한 방법으로 또는 다른 방법으로 선정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창작 음악 또는 외부 음악의 선정 방법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창작물 또는 외부 음악이 선정되면 경연 선정 유닛(311) 또는 뮤직 선정 유닛(312)에 업로드가 될 수 있고, 오프라인 지망생 또는 전문가에 의하여 평가될 수 있고, 일반 평 유닛(321) 또는 전문가 평 유닛(322)에 업로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유닛(33)에 의하여 평가가 필터링이 될 수 있다. 필터 유닛(33)에 의한 필터링은 주로 일반 접속자 또는 오프라인 지망생의 평가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전문가 평에 대하여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 유닛(33)에 의한 필터링은 실질적으로 평가와 관계되지 않는 평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필터 유닛(33)에 의하여 필터링이 된 평가에 기초하여 선정된 하나의 창작물 또는 하나의 외부 음악에 대한 등급이 결정된다. 등급 결정은 예를 들어 미리 평가에 점수가 부여되도록 하거나 등급 결정 유닛(34)에 의하여 결정되는 점수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를 부정, 긍정 및 모호로 분류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평가 수에 따라 점수가 부여되고 그에 따라 등급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등급이 결정되면 창작 도우미 유닛(35)으로 전송될 수 있다. 창작 도우미 유닛(35)은 평가된 창작 음악 또는 외부 음악을 그룹에 대한 연관성에 따라 분류하면서 창작 음악 또는 외부 음악에 대한 평가를 분석하여 창작에 도움이 되는 평가를 검색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창작 도우미 유닛(35)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분석 및 분류된 창작 음악 또는 외부 음악은 평가 데이터베이스(36)에 저장될 수 있다. 평가 데이터베이스(36)에 저장된 창작 음악 또는 외부 음악은 차후 정보 검색 유닛(37)에 의하여 검색되어 위에서 설명된 활동 연결 유닛을 통하여 오프라인 지망생 또는 각각의 그룹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오프라인 지망생에 의하여 검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평가 데이터베이스(36)에 저장된 평가 및 분석 결과는 오프라인 지망생 이외의 접속자에게 비공개로 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본 발명에 플랫폼 시스템에서 창작 음악에 대한 경연 또는 배틀(battle)이 이루어질 수 있고, 창작 음악의 경연은 오프라인 지망생이 자신의 창작 능력을 시험할 수 있는 무대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 음악 배틀(battle)이 진행되는 과정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음악 배틀(battle)의 진행을 위하여 오프라인 지망생의 창작 작품이 접수될 수 있다(P41). 그리고 접수된 창작 작품에 대한 유사 작품이 검색될 수 있다(P42). 유사 작품은 표절 또는 모방 작품을 미리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접수된 작품에 대한 선정 테마가 결정될 수 있다(P43). 선정 테마는 작품의 창작자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고, 창작 작품의 일부가 되거나 창작 작품의 특징을 나타내는 표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정 테마가 결정되면(P43), 접수된 창작 작품이 분류되고 선정 테마가 일반 접속자, 전문가 또는 오프라인 지망생에게 공개될 수 있다. 그리고 배틀을 위한 창작 작품의 결정을 위하여 일반 접속자, 전문가 또는 오프라인 지망생에 의하여 테마 노출 횟수 또는 클릭 횟수가 산출될 수 있다(P45). 대안으로 선정 테마에 대한 투표 또는 점수제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배틀 작품이 결정될 수 있고(P46), 결정된 창작 작품에 대한 배틀이 위에서 설명된 경쟁 유닛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P47). 창작 작품에 대한 배틀은 라이브 방식으로 또는 일정 기간 동안 업로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오프라인 접속자 또는 전문가에게 순위 결정을 위한 선정 코인이 배포될 수 있다(P48). 선정 코인은 배틀 과정에 있는 창작 제품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오프라인 접속자, 일반 접속자 또는 전문가에게 주어질 수 있고, 선정 코인은 서로 다른 수로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접속자에게 5개의 코인, 오프라인 접속자에게 20개의 코인, 그리고 전문가에게 100개의 코인이 주어질 수 있다. 일반 접속자, 오프라인 접속자 또는 전문가는 배틀 작품에 대하여 코인을 통하여 투표할 수 있고, 투표가 된 코인에 의하여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P49). 만약 배포된 코인의 수에 비하여 작은 수의 코인이 투표가 되어 순위가 결정되지 않거나 순위가 결정되지 않는 분야가 생기는 경우(NO), 배틀을 위한 기간이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틀이 실시될 수 있다(P47). 이에 비하여 순위가 결정되면(YES), 전문 그룹으로 결과가 전송될 수 있다(P50). 그리고 전문 그룹에서 배틀 결과에 대한 평가가 만들어지고 창작 데이터베이스에 배틀 결과와 함께 전문가 평가가 저장될 수 있다(P51). 그리고 필요에 따라 오프라인 지망생에게 관련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배틀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다양한 음악 관련 서비스의 제공과 함께 사용자가 창작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이와 동시에 참여자에게 창작 과정의 습득 및 창작 음악의 시험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음악 배틀(battle)과 같은 경쟁을 통하여 참여자의 창작 의욕이 향상되도록 하면서 전문 음악인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창작 능력이 별도의 오프라인 교육이 없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높은 수준의 창작 음악이 직접 상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오프라인 과정이 온라인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뮤직 플랫폼 12: 창작 서버
13: 공연 서버 14: 오프라인 지망생
15: 서비스 제공 서버 16: 전문 그룹 서버
17: 연결 탐색 유닛 18: 업로드 서버
21: 전문 평가 분류 유닛 22: 창작 정보 유닛
23: 전문 정보 분류 유닛 33: 필터 유닛
34: 등급 결정 유닛 35: 창작 도우미 유닛
36: 평가 데이터베이스 37: 정보 검색 유닛
111: 관심 분류 유닛 112: 그룹 결정 유닛
113: 활동 연결 유닛 121: 영역 할당 유닛
122: 활동 공간 유닛 123: 정보 연결 유닛
131: 창작 유닛 132: 경쟁 유닛
133: 평가 유닛 141, 142 내지 14n: 오프라인 지망생
311: 경연 선정 유닛 312: 뮤직 선정 유닛
321: 일반 평 유닛 322: 전문가 평 유닛

Claims (3)

  1.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면서 전자기기를 통하여 접속 가능한 뮤직 플랫폼(11);
    뮤직 플랫폼(11)과 연결되어 정해진 접속자에게 고유 공간을 제공하는 창작 서버(12);
    뮤직 플랫폼(11)의 접속자가 접속하여 업로드 또는 링크가 된 파일에 접속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공연 서버(13);
    뮤직 플랫폼(11)을 통하여 다양한 음악 관련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15);
    음악 관련 전문 종사가가 접속하여 창작 서버(12) 또는 공연 서버(13)에 업로드가 된 음악 관련 내용에 대한 의견을 업로드를 하는 전문 그룹 서버(16); 및
    전문 그룹 서버(16)의 접속자 또는 업로드가 된 내용과 창작 서버(12)에 고유 공간을 가지는 접속자와 관련된 내용을 탐지하여 상기 고유 공간을 가진 접속자에게 제공하는 연결 탐색 유닛(17)을 포함하는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공연 서버(13)는 접속자의 개인 창작물이 업로드가 되는 창작 유닛(131); 서로 다른 접속자의 창작물 사이의 경쟁을 위한 경쟁 유닛(132); 및 미리 결정된 음악에 대한 접속자의 의견이 제시되는 평가 유닛(133)을 포함하는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공연 서버(13)에서 접속자에 의하여 업로드가 된 창작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경연 선정 유닛(311) 및 다양한 외부 음악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뮤직 선정 유닛(312)을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창작물 및 상기 선택된 외부 음악에 대한 일반 및 전문가 평이 수집되어 저장되는 평가 데이터베이스(36)가 만들어지고, 평가 데이터베이스(36)에 저장된 정보가 상기 고유 공간을 가지는 접속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
KR1020160053649A 2016-05-01 2016-05-01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 KR20170124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649A KR20170124053A (ko) 2016-05-01 2016-05-01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649A KR20170124053A (ko) 2016-05-01 2016-05-01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070A Division KR20180039028A (ko) 2018-03-02 2018-03-02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053A true KR20170124053A (ko) 2017-11-09

Family

ID=6038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649A KR20170124053A (ko) 2016-05-01 2016-05-01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40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845A (ko)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오드아이앤씨 공연 음악 플랫폼 시스템
KR20190076846A (ko)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오드아이앤씨 디지털 음원에 대한 창작자와 편곡자와 소비자가 함께 참여하는 뮤직 플랫폼 시스템
KR102259612B1 (ko) 2020-07-15 2021-06-01 김영균 온라인 트레이닝 및 온라인 오디션이 가능한 뮤직 플랫폼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845A (ko)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오드아이앤씨 공연 음악 플랫폼 시스템
KR20190076846A (ko)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오드아이앤씨 디지털 음원에 대한 창작자와 편곡자와 소비자가 함께 참여하는 뮤직 플랫폼 시스템
KR102259612B1 (ko) 2020-07-15 2021-06-01 김영균 온라인 트레이닝 및 온라인 오디션이 가능한 뮤직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00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쇼핑몰에서 커뮤니티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39028A (ko)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
KR20000036648A (ko) 광고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1155231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CN111026977B (zh) 信息推荐方法、装置及存储介质
RU2447506C2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популярности творческих проектов и компьютерный сервер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20140073753A (ko) 사용자 생성 퀴즈셋을 이용한 실시간 퀴즈게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42783A (ko) 전시박람회 공간정보에 연결하는 조인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KR20170124053A (ko) 창작 및 음원 보급 공간 제공을 위한 오투오 플랫폼 시스템
CN116595398A (zh) 基于元宇宙的资源智能匹配方法及相关装置
Jia et al. Discovery of behavioral patterns in online social commerce practice
Oliveira et al. GameFoundry: social gaming platform for digital marketing, user profiling and collective behavior
US20120290356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online service for evaluating and awarding websites
KR20000036565A (ko) 인터넷을 이용한 노래실력 평가 및 가수 선발시스템과 그선발방법
Fondevila Gascón et al. New digital metrics in marketing: A comparative study on social media use
Morris Anti-market research: Piracy, new media metrics, and commodity communities
KR102449602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 상품 정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N104641314A (zh) 计算机化的互联网搜索系统和方法
KR102240888B1 (ko) 전문가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젝트 결과물을 블록체인에 저장된 빅데이터 기반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0610397B (zh) 信用项目中的应约处理方法以及装置
Gomes et al. Cassino musical: A game with a purpose for social recruitment and measurement of musical talent
Lawson et al. Public participation in planning in the UK: A review of the literature
KR20230028066A (ko) 개별 음원의 창작 및 보급 향상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CN112541847A (zh) 基于大数据技术的线上线下相结合的智慧生活研学系统
CN107545461A (zh) 一种出版物选题及发行的分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