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873A - 해외건설기업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외건설기업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873A
KR20170123873A KR1020160053091A KR20160053091A KR20170123873A KR 20170123873 A KR20170123873 A KR 20170123873A KR 1020160053091 A KR1020160053091 A KR 1020160053091A KR 20160053091 A KR20160053091 A KR 20160053091A KR 20170123873 A KR20170123873 A KR 20170123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ry
attractiveness
factors
factor
project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6550B1 (ko
Inventor
한승헌
이강욱
원진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3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550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313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or inde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06F17/306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Algebra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및 그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 인자 선택부가 사용자에 의해 인자 선택부가 해외 건설사업 진출 후보 국가별로 다수의 국가 매력도 인자와 다수의 프로젝트 성과 인자를 선택하는 단계; (b) 가중치 결정부가 퍼지(Fuzzy) 기법을 이용하여 각 국가별 선택된 국가 매력도 인자들 간의 가중치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들 간의 가중치를 결정하여 생성하는 단계; (c) 인자값 평가부가 건설산업 국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국가별 국가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표준화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d) 인자값 평가부가 각 국가별 생성된 상기 가중치와 산출된 상기 표준화 점수를 통해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e) 평가정보 생성부가 산출된 상기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통해 해외 건설사업 발주국가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해외건설기업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및 시스템{HOST COUNTRY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ENTERPRISES}
본 발명은 해외 건설기업의 발주국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가를 두 측면(국가매력도, 프로젝트 성과)에서 평가하고 다수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진출국가 선정 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해외건설기업의 발주국 평가방법 및 그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 발족 이래로 해외건설시장은 각국의 기업들에게 더 많은 해외시장 진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각 기업들은 국내 건설시장의 경쟁 심화, 포화 등의 한계를 극복하고 재정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외사업 규모를 확장하고 있다. 그러나 해외사업은 국내사업에 비해 불확실성이 크며 정치, 제도,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더욱이 해외시장 진출은 대규모의 투자를 동반하기 때문에 진출 국가 선정은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주요 요소 중 하나이다.
최근 들어 예상치 못한 경제 침체와 같은 불확실성은 해외 건설시장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가 또는 보다 광범위한 단위로 발생하는 불확실성으로 인해 해외건설시장에서 기업의 안정적인 매출과 이익을 확보하기에는 전통적인 프로젝트 기반 위험 관리체계로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급변하는 시장과 불확실한 환경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엔지니어링 및 건설 회사가 해야 하는 전략적 의사 결정 중 하나는 국가의 평가와 선택에 관한 것이다.
기업의 전략적 선택은 내/외부 상황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개별기업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비즈니스 목표와 전략을 가지며 이에 따라 상이한 성과를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가 평가 및 선정과정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위해 진출국가의 불확실성과 개별기업별 비즈니스 목표 등을 통합적 고려한 의사결정 지원 모델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0110호(공개일자: 2015년07월09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47279호(공개일자: 2003년06월18일)
본 발명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및 그 평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국가 수준의 사업환경 분석 및 평가방법 및 그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둘째, 본 발명은 해외 건설사업 진출후보 국가를 평가하고 국가를 국가매력도와 프로젝트 성과 수준에 따라 분류함으로 기업의 해외 건설사업 진출 국가선정에 관한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정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및 그 평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객관적인 시장정보와 의사결정자의 주관적인 판단을 통해 국가를 두 측면(국가매력도, 프로젝트 성과)에서 평가하고 분류하여 해외건설기업 진출국가 선정 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발주국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둘째, 본 발명은 기업들의 비즈니스 목적에 따라 진출후보 국가들의 평가를 진행하고 국가와 프로젝트 관점에서 국가를 분류하여 해외건설기업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발주국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셋째, 본 발명은 국가별 우선순위를 제공할 뿐 아니라 평과결과를 통해 기업의 현 포트폴리오 상태를 진단하고 국가별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시스템(100)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퍼지 판단 매트릭스 결정 단계에서 쌍대비교행렬(pairwise comparison matrix)의 예시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예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매트릭스 변환단계의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인자의 가중치를 계산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평가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 시스템(100)의 블록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은, (a) 인자 선택부(110)가 사용자에 의해 인자 선택부(110)가 해외 건설사업 진출 후보 국가별로 다수의 국가 매력도 인자와 다수의 프로젝트 성과 인자를 선택하는 단계; (b) 가중치 결정부(120)가 퍼지(Fuzzy) 기법을 이용하여 각 국가별 선택된 국가 매력도 인자들 간의 가중치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들 간의 가중치를 결정하여 생성하는 단계; (c) 인자값 평가부(130)가 건설산업 국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국가별 국가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표준화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d) 인자값 평가부(130)가 각 국가별 생성된 상기 가중치와 산출된 상기 표준화 점수를 통해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e) 평가정보 생성부(140)가 산출된 상기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통해 해외 건설사업 발주국가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 시스템(100)은, 다수의 국가 매력도 인자와 다수의 프로젝트 성과 인자를 선택하는 인자 선택부(110)와, 국가 매력도 인자들 간의 가중치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들 간의 가중치를 결정하여 생성하는 가중치 결정부(120)와, 국가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표준화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가중치와 산출된 상기 표준화 점수를 통해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산출하는 인자값 평가부(130)와,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통해 발주국가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평가정보 생성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객관적인 시장정보와 의사결정자의 주관적인 판단을 통해 국가를 두 측면(국가매력도, 프로젝트 성과)에서 평가하고 분류하여 진출국가 선정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모델을 제안하는 것으로, 진출 국가 후보들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가능하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별 우선순위를 제공할 뿐 아니라 평과결과를 통해 기업의 현 포트폴리오 상태를 진단하고 국가별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는데 지원 할 수 있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및 그 평가 시스템(100)을 제안한다.
여기서, 인자 선택부(110), 가중치 결정부(120), 인자값 평가부(130) 및 평가정보 생성부(14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또는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이고,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 요소에 의해 구분되는 것은 아니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로서, 특정 장치는 물론 여러 가지 컴퓨팅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장치 또는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델 프레임 워크 (Model framework)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국가 분류를 위해 총 5단계의 평가체계를 제안한다.
첫 번째 단계는 인자 선택부(110)가 국가 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를 의사결정자에 의해 선택하는 단계이다. 해당 인자는 각 8가지(국가매력도)와 6가지 인자(프로젝트성과)로 구분 된다.((a) 단계)
두 번째 단계는 가중치 결정부(120)가 퍼지 fuzzy LinPreRa based AHP 기법을 활용하여 선택된 국가 매력도 인자들 간의 가중치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들 간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이다.((b) 단계)
세 번째 단계는 인자값 평가부(130)가 건설산업 국가 데이터 등의 실제 객관적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국가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후보 국가들 간의 상대적인 차이를 도출하기 위해 standard deviation method를 활용하여 표준화 점수로 나타낸다.((c) 단계)
네 번째 단계는 인자값 평가부(130)가 도출된 가중치와 표준화 점수를 통해 진출 후보 국가별로 국가매력도와 프로젝트 성과를 평가하는 단계이다.((d) 단계)
마지막 다섯 번째 단계는 평가정보 생성부(140)가 국가매력도와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통해 다수개의 유형으로 국가를 분류하여 해외 건설사업 발주국가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e) 단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계별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인자 선택 단계(Select the variables of country attractiveness and project performance)((a) 단계)
국가 선별을 위한 평가 인자(variable)를 문헌조사와 실무자 인터뷰를 통해 다음의 [표 1]과 같이 총 14가지의 인자(국가매력도 인자: 8가지, 프로젝트 성과 인자: 6가지)로 구성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에서 (a) 단계는 인자 선택부(110)가 의사결정자의 판단에 따라 국가매력도(V1 C,V2 C,···VM C)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V1 P,V2 P,···VN P)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인자의 선택은 해당 기업의 비즈니스 목적이나, 의사결정자의 주관적인 중요성, 판단 등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pat00001
국가매력도 인자는 1) 시장 동향 및 전망 및 2) 제도적 시스템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시장 동향 및 전망은 해당 국가의 건설산업의 특성을 반영하며 (V1~V4), 제도적 시스템은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수행 환경을 나타낸다 (V5~V8).
프로젝트성과 인자는 1) 사업 수행 경험 및 2) 사업 성공 가능성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업 수행 경험은 해외건설사업 계약의 양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V9~V10), 사업 성공 가능성은 해외건설사업의 질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V11~V14).
이하에서는 국가 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에 포함되는 개별 인자(varible:V1 ~ V14)에 대한 설명과 그 평가값의 산정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V1] 각 국가의 현재 건설사업 수행 규모를 의미하며, IHS Global Insight(GI)의 과거 및 예측 자료를 활용하여 US dollar의 자연로그 값으로 산정한다.
[V2] 미래 건설시장의 규모 변화율 예측값을 의미하며, 각 국가의 건설시장에 대한 전문가들의 분석에 기반하여 건설시장의 연평균 성장률(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을 계산한다.
[V3] 건설시장이 얼마나 안정성이 있는가를 평가하며 변동성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과거 건설시장 데이터의 변동률(
Figure pat00002
)을 1에서 뺀 값으로 계산한다. (i.e.,
Figure pat00003
)
[V4] 건설시장 내에서의 경쟁강도를 의미하며, 국내 기업의 관점에서 Engineering News Record(ENR)과 해외건설협회의 자료를 바탕으로 경쟁업체의 수를 산출한다.
[V5] 각 국가의 정치 제도 안정성을 평가하며 World Bank의 세계 통치 지표(WGI) 자료를 활용한다. 세계 통치 지표(WGI)는 각 국가마다 민권 및 언론자유도(voice and accountability), 정치적 안정성(political stability and absence of violence), 정부의 효율성(government effectiveness), 법 및 규제의 완성도(regulatory quality), 준법 수준(rule of law) 및 부패의 통제(control of corruption)의 항목에서 각각 -2.5(취약)에서 +2.5(우수) 사이의 점수를 부여하는 정보로서, 세계은행의 홈페이지로부터 스프레드시트 파일로 획득할 수 있다.
세계 통치 지표의 6개 평가 항목들의 각각의 평가 수치들(
Figure pat00004
, i는 1≤i≤6인 정수)을 [-2.5, +2.5]에서 [0, +100] 구간으로 변환한 다음 산술 평균하여 산출할 수 있다.
[V6] 각 국가에서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안정성을 평가하며, World Bank의 사업 환경 지표(DBI) 자료를 활용한다. 사업 환경 지표(DBI)는 세계은행(World Bank)과 국제금융공사(International Finance Corporation)에서 공동으로 세계 185 개국의 사업 용이성에 관하여 매년 발표하는 자료로 함께 제공되는 DF(stance to frontier) 값들을 사용한다.
사업환경 지표(DBI)는 각국의 기업 활동 관련 법규정에 대한 평가를 기초로 하여 주재국의 현 기업 환경과 타국과의 상대적 수준을 평가하는 데에 유용하며, 기업의 설립(starting a business), 건설 인허가(dealing with construction permits), 전력 수급(getting electricity), 재산권 등록(registering property), 금융 접근성(getting credit), 투자자 보호(protecting investors), 세금 지불(paying taxes), 국제 무역(trade across borders), 계약 이행(enforcing contracts), 부채 해결(resolving insolvency)의 총 10가지 항목에 대한 개별적 평가와 순위, 종합 순위를 제공한다.
이 평가값들 또는 그 순위는 각 항목들의 평가 기준이 상이하기 때문에 국가간 상대 비교는 가능하지만 절대적 수준의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세계은행은 가장 사업이 용이한(best performance) 국가와 특정 국가 사이의 점수 격차를 0부터 100 사이의 값으로 나타내는 선두 국가 대비 격차값(DF)을 함께 제공한다. 사업환경 지표(DBI)의 10개 평가 항목들과 함께 발표되는 각 평가 항목들의 선두 국가 대비 격차값들(DF)을 별다른 변환 없이 산술 평균하여 전반적 사업수행 안정성 지표를 산출할 수 있다.
[V7] 각 국가의 제품, 서비스, 자본, 사람, 정보 등이 이동에 대한 용이성을 평가하며, CEPII의 Institutional Profiles Database(IPD) 자료를 활용한다. IPD는 사람 및 정보 이동의 자유(public institutions and civil society), 무역의 자유(the market for goods and services), 자산의 자유(the capital market), 근로자 이동의 자유(the labor market and social relations)의 총 4가지 항목에 대한 평가를 0(폐쇄적) ~ 4(개방적) 범위로 제공한다.
[V8] 건설 산업의 특성에서 비롯되는 보상을 의미하며, IHS Global Insight(GI) 자료를 활용한다. GI에서는 건설산업 관점에서의 리스크(정치(political), 경제(economic), 법(legal), 세금(tax), 운영(operational), 안전(security))를 고려하여 리스크 점수(risk score)를 제공한다. V8은 100에서 리스크 점수(
Figure pat00005
)를 뺀 값으로(i.e., 1-
Figure pat00006
), 0(낮은 보상) ~ 100(큰 보상)으로 평가한다.
[V9] 각 국가별 1990년부터 2014년까지 25년간의 한국 기업의 해외건설 프로젝트 누적 계약 건수를 의미하며, 해외건설협회 자료를 활용한다.
[V10] 각 국가별 1990년부터 2014년까지 25년간의 한국 기업의 해외건설 프로젝트 누적 수주액을 의미하며, 해외건설협회 자료를 활용하여 US dollar의 자연로그 값으로 산정한다.
[V11] 각 국가별 1990년부터 2014년까지 25년간의 한국 기업의 해외건설 프로젝트 입찰 대비 수주에 성공한 계약의 비율을 의미하며, 해외건설협회 자료를 활용한다.
[V12] 각 국가에서의 1990년부터 2014년까지 25년간의 한국 기업의 수익률의 평균을 의미하며, 해외건설협회 자료를 활용한다.
[V13] 각 국가별 얼마나 안정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는가를 평가하며, 각 국가에서의 1990년부터 2014년까지 25년간의 한국 기업의 수익의 불확실성(
Figure pat00007
)를 1에서 뺀 값으로 계산한다. (i.e., 1-
Figure pat00008
) 수익의 불확실성은 수익률의 표준편차로 계산한다.
[V14] 각 국가별 사업 성공 빈도를 의미하며, 각 국가에서의 1990년부터 2014년까지 25년간의 완료된 흑자 프로젝트의 비율을 산출한다.
가중치 결정 단계 (Determine the weights)((b) 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에서 (b) 단계는 가중치 결정부(120)가 퍼지 린프리라 기반 분석적 계층화 기법(fuzzy LinPreRa-base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활용하여 국가매력도(W1 C,W2 C,···WM C)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W1 P,W2 P,···WN P)의 가중치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즉, 첫 번째 단계에서 선택된 인자를 대상으로 의사결정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인자 간 중요성 평가가 진행되고 이를 바탕으로 가중치가 계산된다.
특히, 상술한 (b) 단계에서 단순 AHP 방식과 달리 fuzzy AHP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언어적 변수가 가지고 있는 '애매함'을 수학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의사결정자의 주관적 판단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모든 변수들에 대한 평가가 진행되어야 하는 fuzzy AHP와 달리 퍼지 린프리라 기반 분석적 계층화 기법(fuzzy LinPreRa based AHP)을 사용하여 n-1개의 변수만 평가하면 나머지 값들이 수식에 의해 자동적으로 계산되게 함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했다.
(b) 단계로서, 가중치 설정 단계는 총 3단계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단계 1: 퍼지 판단 매트릭스 결정(Determine the fuzzy judgment matrices)
단계 1로서 퍼지 판단 매트릭스 결정 단계는 의사결정자에 의해서 선택된 변수들을 바탕으로 쌍대비교행렬(pairwise comparison matrix)를 구성하고, 선택된 인자들(n개) 간 상대적 중요성을 [표 2]와 같이 언어적 표현으로 평가하여 퍼지 판단 매트릭스(fuzzy judgment matrix)를 생성한다. 이때, n-1개 변수만을 평가하며, 나머지 행렬의 경우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자동적으로 계산되어 비교행렬을 채우게 된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단계 2: 매트릭스 변환(Transform the obtained matrices for the variables)
단계 2로서 매트릭스 변환 단계는 퍼지 판단 매트릭스(fuzzy judgment matrix)의 퍼지 수를 [수학식 2]의 변환 함수(transformation function)를 통해 [0,1] 범위로 표준화하는 단계이다. (i.e., f : [-c, 1+c] → [0, 1])
Figure pat00011
단계 3: 가중치 산출(Calculate the weights of the variables)
단계 3으로서, 가중치 산출 단계는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가중치 계산식은 다음의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pat00012
여기서,
Figure pat00013
= 각 인자들의 가중치(fuzzy weight)이고,
Figure pat00014
= '인자i'에 대한 퍼지 값들(fuzzy comparison value)의 평균값이고,
Figure pat00015
= 최종 가중치(defuzzified weights)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퍼지 판단 매트릭스 결정 단계에서 쌍대비교행렬(pairwise comparison matrix)의 예시를 나타낸 결과이고, 도 4는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예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3의 (a)는 국가 매력도 인자의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의 결과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의 결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4의 (a)는 국가 매력도 인자의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예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매트릭스 변환단계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5의 (a)는 도 3의 (b)에 대한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변환 결과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도 4의 (a)에 대한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변환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인자의 가중치를 계산한 결과를 나타낸다.
표준화 점수 산출 단계(Assign standardized score)((c) 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에서 (c) 단계는 인자값 평가부(130)가 건설산업 국가 데이터와 같은 객관적인 실제 데이터를 활용하여 발주국가들의 국가매력도 인자(Zi1 C,Zi2 C,···ZiM C)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Zi1 P,Zi2 P,···ZiN P)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건설산업 국가 데이터는, 국가 특성을 반영하는 자료와 건설 산업을 반영하는 자료를 모두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객관적인 실제 데이터의 수집을 위해, 외부의 건설산업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건설산업정보DB로서, 세계은행(World Bank), IHS Global Insight(GI), Engineering News Record(ENR) 등과 같은 공신력 있는 국제기관의 자료뿐만 아니라, 해외건설협회에서 제공한 설계 및 시공사의 해외건설 프로젝트 수행 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해외 건설산업의 평가에 사용되는 자료에 대비하여, 방대한 자료 사용함으로써, 자료의 질 및 양적인 측면에서 큰 장점이 있다.
그리고, Zim C는 '국가 i' 의 m번째 국가 매력도 인자의 평가점수를 의미하며, Zin P는 '국가 i' 의 n번째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평가점수를 의미한다. M과 N은 각각 의사결정자가 선택한 국가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개수를 의미한다.
특히 해당 인자들의 단위(scale)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4번째 단계에서 최종 합산 점수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비교 가능한 단위(comparable standard scale)가 사용되어야 한다. 본 모델에서는 standard deviation method를 활용하여 발주국가들 간의 상대적인 차이를 측정하여 표준화 점수로 평가하였으며, '국가 i'에 대한 '인자 j'의 표준화 점수는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계산된다.
Figure pat00016
여기서,
Figure pat00017
= '국가 i'에 대한 '인자 j'의 원래(Original) 점수이고,
Figure pat00018
= 후보 국가들의 '인자 j'의 평균 점수이고,
Figure pat00019
= 후보 국가들의 '인자 j'의 표준편차이다.
종합 점수 산출 단계(Calculate the final aggregated score)((d) 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에서 (d) 단계는 인자값 평가부(130)가 (b) 단계에서 계산한 가중치(Wi C,Wi P)와 세 번째 단계에서 계산한 표준화 점수(Zi C,Zi P)를 통해 후보 국가별로 국가매력도(Si C)와 프로젝트 성과(Si P)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이다.
국가매력도(Si C)와 프로젝트 성과(Si P) 점수는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계산된다.
Figure pat00020
국가 분류 및 평가 단계(Classify the countries)((d) 단계)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에서 (e) 단계는 평가정보 생성부(140)가 국가매력도(Si C)와 프로젝트 성과(Si P)를 나타내는 이차원 평면을 활용하여 후보 국가들을 다수개의 유형으로 분류하는 단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에 의해 생성된 해외 건설사업 발주국 평가정보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국가 분류 유형은 다음과 같다.
[Type 1] 높은 리스크, 낮은 보상 국가 (High Risk, Low Reward; Si C < α and Si P < β)
[Type 2] 높은 리스크, 높은 보상 국가 (High Risk, High Reward; Si C < α and Si P ≥ β)
[Type 3] 낮은 리스크, 낮은 보상 국가 (Low Risk, Low Reward; Si C ≥ α and Si P < β)
[Type 4] 낮은 리스크, 높은 보상 국가 (Low Risk, High Reward; Si C ≥ α and Si P ≥ β)
이때, α와 β는 국가매력도와 프로젝트 성과를 구분 짓는 포인트(cut-off points)로써, α=0, β=0이 의미하는 것은 분석 후보 국가의 국가매력도(Si C), 프로젝트 성과 (Si P)의 평균수준을 나타낸다. 이는 국가매력도와 프로젝트 성과의 최종점수는 각 국가의 상대적 위치를 평가하는 표준화된 점수이기 때문이다. ((d) 단계 참조)
의사결정자의 선호도에 따라 컷-오프 포인트 (α, β)의 조정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2×2 분류뿐 아니라 2×3 분류(α, β1, β2), 3×3 분류(α1, α2, β1, β2) 등 의사결정자의 판단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 국가 분류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평가 시스템 110: 인자 선택부
120: 가중치 결정부 120: 인자값 평가부
140: 평가정보 생성부

Claims (15)

  1. (a) 인자 선택부가 사용자에 의해 인자 선택부가 해외 건설사업 진출 후보 국가별로 다수의 국가 매력도 인자와 다수의 프로젝트 성과 인자를 선택하는 단계;
    (b) 가중치 결정부가 퍼지(Fuzzy) 기법을 이용하여 각 국가별 선택된 국가 매력도 인자들 간의 가중치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들 간의 가중치를 결정하여 생성하는 단계;
    (c) 인자값 평가부가 건설산업 국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국가별 국가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표준화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d) 인자값 평가부가 각 국가별 생성된 상기 가중치와 산출된 상기 표준화 점수를 통해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e) 평가정보 생성부가 산출된 상기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통해 해외 건설사업 발주국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국가 매력도 인자는,
    건설사업의 시장 동향 및 전망 정보에 관한 것으로, 건설시장 규모(V1), 건설시장 성장율(V2), 건설시장 안정성(V3) 및 건설시장 경쟁도(V4)의 정보; 및
    제도적 시스템 정보에 관한 것으로, 정치 제도 안정성(V5), 사업 수행의 안정성(V6), 시장 개방 정도(V7) 및 건설 시장 보상(V8)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성과 인자는,
    사업 수행 경험 정보에 관한 것으로, 누적 입찰수(V9), 누적 계약량(V10)의 정보; 및
    사업 성공 가능성 정보에 관한 것으로, 입찰 적중률(V11), 수익률 평균(V12), 수익의 안정성(V13) 및 완료된 프로젝트의 흑자 비율(V14)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퍼지 기법은,
    퍼지 린프리라 기반 분석적 계층화 기법(fuzzy LinPreRa based AH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선택된 인자들을 바탕으로 선택된 인자들 간의 퍼지 판단 매트릭스(fuzzy judgement matrix)를 생성하는 단계;
    (b2) 상기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퍼지 수를 변환하여 표준화하는 단계; 및
    (b3) 표준화된 퍼지 수를 바탕으로 선택된 인자들 간의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인자값 평가부가 건설산업 국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국가별 국가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평가값을 후보 국가들 간의 상대적인 차이를 도출하기 위해, 표준 분산 방법(standard deviation method)을 이용하여 표준화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선택된 상기 인자들을 바탕으로 쌍대비교행렬(pairwise comparison matrix)을 구성하는 단계; 및
    선택된 인자들 간 상대적 중요도를 언어적 표현으로 평가하여 퍼지 판단 매트릭스(fuzzy judgement matrix)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에서, 상기 가중치를 산출하는 식은,
    Figure pat00021

    (여기서,
    Figure pat00022
    = 각 인자들의 가중치(fuzzy weight)이고,
    Figure pat00023
    = '인자i'에 대한 퍼지 값들(fuzzy comparison value)의 평균값이고,
    Figure pat00024
    = 최종 가중치(defuzzified weights)이다.)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표준화 점수를 산출하는 식은,
    Figure pat00025

    (여기서,
    Figure pat00026
    = '국가 i'에 대한 '인자 j'의 원래(Original) 점수이고,
    Figure pat00027
    = 후보 국가들의 '인자 j'의 평균 점수이고,
    Figure pat00028
    = 후보 국가들의 '인자 j'의 표준편차이다.)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각 국가별 상기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산출하는 식은,
    Figure pat00029

    (여기서, (Si C) 및 (Si P)는 후보 국가별로 국가매력도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 점수를 나타내고, Wi C Wi P는 국가 매력도 인자 가중치 및 프로젝트 성과 인자 가중치를 나타내며, Zi C 및 Zi P 는 국가 매력도 인자 및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표준화 점수를 나타낸다.)
    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해외 건설사업 후보국가 평가정보는,
    상기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점수와 프로젝트 성과 점수로 나타나는 정보를 바탕으로 각 후보 국가들을 다수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생성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12. 사용자에 의해 해외 건설사업 진출 후보 국가별로 다수의 국가 매력도 인자와 다수의 프로젝트 성과 인자를 선택하는 인자 선택부;
    퍼지(Fuzzy) 기법을 이용하여 각 국가별 선택된 국가 매력도 인자들 간의 가중치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들 간의 가중치를 결정하여 생성하는 가중치 결정부;
    건설산업 국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국가별 국가매력도 인자와 프로젝트 성과 인자의 표준화 점수를 산출하고, 각 국가별 생성된 상기 가중치와 산출된 상기 표준화 점수를 통해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산출하는 인자값 평가부; 및
    산출된 상기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및 프로젝트 성과 점수를 통해 해외 건설사업 발주국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평가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결정부는, 선택된 인자들을 바탕으로 선택된 인자들 간의 퍼지 판단 매트릭스(fuzzy judgement matrix)를 생성하고, 상기 퍼지 판단 매트릭스의 퍼지 수를 변환하여 표준화하며, 표준화된 퍼지 수를 바탕으로 선택된 인자들 간의 가중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 시스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평가정보 생성부는,
    상기 각 국가별 국가 매력도 점수에 따른 프로젝트 성과 점수로 나타나는 정보를 바탕으로 각 후보 국가들을 다수개의 분류하여 생성되는 상기 해외 건설사업 발주국가 평가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 시스템.
  15.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청구항 1의 해외건설기업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KR1020160053091A 2016-04-29 2016-04-29 해외건설기업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및 시스템 KR101856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091A KR101856550B1 (ko) 2016-04-29 2016-04-29 해외건설기업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091A KR101856550B1 (ko) 2016-04-29 2016-04-29 해외건설기업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873A true KR20170123873A (ko) 2017-11-09
KR101856550B1 KR101856550B1 (ko) 2018-05-10

Family

ID=6038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091A KR101856550B1 (ko) 2016-04-29 2016-04-29 해외건설기업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861A (ko) * 2019-03-07 2020-09-1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로벌 공급망 설계 시스템
CN112734221A (zh) * 2021-01-06 2021-04-30 安徽易测评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文明城市测评项目对各责任单位任务量预估的统计计算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861A (ko) * 2019-03-07 2020-09-1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로벌 공급망 설계 시스템
CN112734221A (zh) * 2021-01-06 2021-04-30 安徽易测评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文明城市测评项目对各责任单位任务量预估的统计计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550B1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integrated reporting and firm valuation
Efimova Integrating sustainability issues into investment decision evaluation
Çepni et al. The role of an aligned investor sentiment index in predicting bond risk premia of the US
Ahmadi et al. Sustainable portfolio optimization model using promethee ranking: A case study of palm oil buyer companies
Bruni et al. Lending decisions under uncertainty: a DEA approach
Moon et al. Technology credit rating system for funding SMEs
Özdağoğlu et al. Evaluating financial performance with grey relational analysis: an application of manufacturing companies listed on borsa Istanbul
Chikunov et al. Financial risks of Russian oil companies in conditions of volatility of global oil prices
Miciuła The concept of FTS analysis in forecasting trends of exchange rate changes
Phua et al. Peer effects in equity research
KR101856550B1 (ko) 해외건설기업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발주국 평가방법 및 시스템
Ristanović et al. Application of Multi-Criteria Assessment in Banking Risk Management
Mousanezhad et al. Using Contingency Approach to Improve Firms’ Financial Performance Forecasts
Blandina et al. Strategic intellige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in the commercial banks in Kenya
KR20180104967A (ko) 투자가치지수 및 모델
Rafał et al. Forecasting bankruptcy risk of international commercial road transport companies
KR101861322B1 (ko) 해외 건설사업 관점의 발주국 분류방법 및 그 시스템
Rachmawati et al.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financial performance and moderated environmental disclosure
Østrup-Møller et al. Impact of ESG ratings on stock performance & resiliency
Caia et al. MODELING A BUSINESS INTELLIGENCE SYSTEM FOR INVESTMENT PROJECTS.
Pritam et al. An efficient portfolio management for trading under uncertain environment
Jarzebowski et al. Efficiency and integration in the food supply chain
Bravo et al. Evaluating Fund Performance by Compromise Programming with Linear‐Quadratic Composite Metric: An Actual Case on The CaixaBank in Spain
US20230281709A1 (en) Corporate credit ratings based on the overall organisational performance
Kumar Exploring a Risk Adjusted Return on Capital Model for the Performance and Persistence of the Indian Equity Mutual F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