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803A -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803A
KR20170123803A KR1020160052815A KR20160052815A KR20170123803A KR 20170123803 A KR20170123803 A KR 20170123803A KR 1020160052815 A KR1020160052815 A KR 1020160052815A KR 20160052815 A KR20160052815 A KR 20160052815A KR 20170123803 A KR20170123803 A KR 20170123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luid
seabed
interspace
circula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8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4661B1 (en
Inventor
이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2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661B1/en
Publication of KR20170123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8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6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7/00Drilling rods or pipes; Flexible drill strings; Kellies; Drill collars; Sucker rods; Cables; Casings; Tubing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4/00Valve arrangements for boreholes or wel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leakag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akage detection device to detect a leakage of a submarine structure disposed on a seabed comprises: a housing surrounding a submarine structure; a circulation line connected to the housing on both ends thereof, providing a circulation path of a first fluid to be fill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seabed structure and the housing; a pump installed in the circulation line, and circulating the first fluid; and a sensor portion installed in the circulation line, and sensing a leakage of a second fluid in the seabed structure into the space.

Description

누설 검출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Apparatus for < RTI ID = 0.0 >

본 발명은 누설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kage detection device.

한정된 자원에 의해 해저에 매장된 원유나 가스와 같은 해양 자원을 채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해저에 매장된 해양 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해저에 배치되는 해저구조물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밸브, 또는 세퍼레이터와 같은 해저구조물이 해저에서 작동하도록 개발되어 배치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 is a need to harvest marine resources such as crude oil and gas buried in the seabed by limited resources. Subsea structures are now under development to develop marine resources buried in the seabed. For example, submarine structures such as pipes, valves, or separators have been developed and deployed to operate at sea floor.

위와 같은 해저구조물은 심해의 해저에서 높은 수압을 견디며 작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해저구조물은 수압 또는 해류, 해저구조물 내부를 통과하는 해양 자원 등의 영향으로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These subsea structures are able to withstand high water pressures in deep water seabed. In this process, the seabed structures may be damaged by hydraulic pressure or currents, and marine resources passing through the seabed structures.

이 경우, 해저구조물을 통과하는 해양 자원은 손상이 발생한 해저구조물에서 해저로 누설될 수 있다. 해저로 누설된 해양 자원은 환경적 측면 또는 작업의 안전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marine resources passing through the seabed structure may leak to the seabed from the damaged underwater structure. Marine resources leaked to the seabed can cause serious problems in terms of environmental aspects or work safety.

따라서, 해저에 배치되는 해저구조물에 대한 누설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development of a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detecting leakage to seabed structures disposed in the seab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저에 배치되는 해저구조물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누설 검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leakage detection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detecting leakage of a seabed structure disposed on the seab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저에 배치되는 해저구조물에 대한 누설을 검출하는 누설 검출 장치로서, 상기 해저구조물을 둘러싸는 하우징;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해저구조물과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채워지는 제1유체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순환라인; 상기 순환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유체를 순환시키는 펌프; 및 상기 순환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해저구조물 내부의 제2유체가 상기 사이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누설 검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eakage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leakage to a submarine structure disposed on the seabed, comprising: a housing surrounding the submarine structure; A circulation line connected to the housing at both ends thereof to provide a circulation path of the first fluid to be fill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seabed structure and the housing; A pump installed on the circulation line for circulating the first fluid; And a sensor portion installed on the circulation line and sensing a leakage of the second fluid inside the seabed structure into the interspace.

상기 순환라인에는 상기 제1유체를 일방향으로만 이동하게 하는 일방향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line may be provided with a one-way valve for moving the first fluid only in one direction.

상기 제1유체는 상기 하우징 주변의 해수이고, 상기 해수는 상기 펌프가 공급동작을 할 때, 상기 순환라인에 연결된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사이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first fluid is seawater around the housing, and the seawater can be supplied to the interspace through a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line when the pump performs a supply operation.

상기 연결라인에는 상기 연결라인을 개폐시키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line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line.

상기 해저구조물을 해상으로 부상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사이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air into the space when it is necessary to float the seabed structure.

상기 사이 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 사이 압력차를 측정하는 차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pressure difference portion for measur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상기 펌프 및 상기 공기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저구조물을 해상으로 부상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유체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차압부의 측정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측정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공기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ump and the air supply unit so that the first flui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ecessary to float the submarine structure to the sea, Controls the operation, receives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por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portion so that the received measurement value is kept constant.

상기 사이 공간으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상기 하우징에 대해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air supplied into the interspace may provide buoyancy to the hous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과 해저구조물이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채워지는 제1유체를 순환시킴으로써 해저구조물에 대한 누설 검출 작업을 연속적이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이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여 해상 구조물을 해상으로 부상시킴으로써, 해저구조물에 대한 수리 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해상에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k detection operation for the submarine structure can be continuously and easily performed by circulating the first fluid fill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seabed structure. In addition, by supplying air to the space to float the sea structure, the repair or maintenance work for the sea structure can be easily performed at se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누설 검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leakag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eakag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terms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the meaning is not limited to itself, and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모습이다.1 is a view showing a leakag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출 장치(100)는 하우징(110), 순환라인(120), 펌프(130), 및 센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leakage det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10, a circulation line 120, a pump 130, and a sensor unit 140.

본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출 장치(100)는 해저에 배치되는 해저구조물(10)에 대한 누설을 검출하는 장치이다.The leakage det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to a submarine structure 10 disposed on the seabed.

여기서, 해저구조물(10)은 원유나 가스와 같은 해양 자원의 개발을 위해 해저에 배치되는 파이프, 밸브, 또는 세퍼레이터와 같은 시추장비일 수 있다. 해저구조물(10)은 수압 또는 해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해양 자원은 해저구조물(10)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해저구조물(10)의 손상 부위를 통해 해저로 누설될 수 있다.Here, the seabed structure 10 may be a drilling equipment such as a pipe, a valve, or a separator disposed on the seabed for the development of marine resources such as crude oil and gas. The seabed structure 10 may be damaged by various causes such as hydraulic pressure or current. The marine resources may leak to the seabed through the damaged portion of the seabed structure 10 in the course of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seabed structure 10. [

하우징(110)은 해저구조물(10)을 둘러싼다.The housing 110 surrounds the seabed structure 10.

예컨대, 하우징(110)은 도 1과 같이 해저 환경에 대해 밀폐되는 박스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은 해저구조물(10)과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using 110 may have a box structure that is hermetically sealed against the submarine environment as in Fig. At this time, the housing 110 may form a space with the seabed structure 10.

하우징(110)과 해저구조물(10)이 형성하는 사이 공간(111)에는 제1유체가 채워진다.The first fluid is filled in the space 111 formed by the housing 110 and the seabed structure 10.

이때, 제1유체는 하우징(110) 주변의 해수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first fluid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seawater around the housing 110.

순환라인(120)은 양단부가 하우징(110)에 연결된다.Both ends of the circulation line 120 are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예컨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순환라인(120)의 일단부는 하우징(110)의 일측 하부에 연결되고, 순환라인(120)의 타단부는 하우징(110)의 일측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one end of the circulation line 120 may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housing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circulation line 120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housing 110.

순환라인(120)은 사이 공간(111)에 채워진 제1유체의 순환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유체는 사이 공간(111)과 순환라인(120) 사이를 이동하며 순환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line 120 may provide a circulation path of the first fluid filled in the interspace 111. In this case, the first fluid can circulate between the interspace 111 and the circulation line 120.

펌프(130)는 순환라인(120) 상에 설치된다.The pump 130 is installed on the circulation line 120.

펌프(130)는 제1유체를 순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펌프(130)는 제1유체가 사이 공간(111)과 순환라인(120) 사이를 순환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The pump 130 can circulate the first fluid. In other words, the pump 130 is operable to cause the first fluid to circulate between the interspace 111 and the circulation line 120.

이때, 순환라인(120)에는 일방향밸브(121)가 설치될 수 있다. 일방향밸브(121)는 제1유체를 일방향으로만 이동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a one-way valve 121 may be installed in the circulation line 120. The one-way valve 121 can move the first fluid only in one direction.

한편, 펌프(130)는 제1유체를 사이 공간(111)으로 공급시키거나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Meanwhile, the pump 130 may operate to supply the first fluid to the interspace 111 or to discharge the first flui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펌프(130)는 양방향 펌프(130)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This pump 130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bidirectional pump 130.

센서부(140)는 순환라인(120) 상에 설치된다.The sensor unit 140 is installed on the circulation line 120.

센서부(140)는 해저구조물(10) 내부의 제2유체가 사이 공간(111)으로 누설되는 것을 감지한다. 보다 상세히, 해저구조물(10)에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 해저구조물(10) 내부의 제2유체는 사이 공간(111)으로 누설될 수 있다. 누설된 제2유체는 사이 공간(111)에 채워진 제1유체와 혼합되고, 제1유체와 함께 순환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40 senses that the second fluid in the seabed structure 10 leaks into the interspace 111. More specifically, when leakage occurs in the seabed structure 10, the second fluid inside the seabed structure 10 may leak into the interspace 111. [ The leaked second fluid is mixed with the first fluid filled in the interspace 111 and can move along the circulation path together with the first fluid.

이 경우, 센서부(140)는 제1유체와 혼합되어 이동하는 제2유체를 감지함으로써 용이하게 해저구조물(10)의 누설을 검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or unit 140 can easily detect the leakage of the seabed structure 10 by sensing the second fluid that is mixed with the first fluid and moves.

예컨대, 제2유체는 원유 또는 가스와 같은 해양 자원일 수 있다. 이때, 제1유체가 해수인 경우, 제2유체는 해저구조물(10)에서 누설되어 제1유체와 혼합되어 이동하더라도, 제1유체와 구분되어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fluid may be a marine resource such as crude oil or gas. At this time, when the first fluid is seawater, the second fluid leaks from the seabed structure 10 and mixes with the first fluid and moves, it can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first fluid.

한편, 하우징(110) 주변의 해수가 제1유체로 사용되는 경우, 해수는 펌프(130)가 공급동작을 할 때, 순환라인(120)에 연결된 연결라인(150)을 통해 사이 공간(11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연결라인(150)은 도 1과 같이 순환라인(120)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seawater around the housing 110 is used as the first fluid, the seawater is supplied to the interspace 111 through the connection line 150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line 12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connection line 150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circulation line 120 as shown in FIG.

연결라인(150)에는 연결라인(150)을 개폐시키는 밸브(151)가 설치될 수 있다. 해수가 연결라인(150)을 통해 사이 공간(111)으로 공급될 때, 밸브(151)는 연결라인(150)을 개방할 수 있다. 사이 공간(111)에 채워진 해수가 순환경로를 따라 순환할 때, 밸브(151)는 연결라인(150)을 폐쇄할 수 있다.The connection line 150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15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line 150. When the seawater is supplied to the interspace 111 through the connection line 150, the valve 151 may open the connection line 150. [ When the seawater filled in the interspace 111 circulates along the circulation path, the valve 151 may close the connection line 150.

본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출 장치(100)는 공기공급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air supply unit 160.

공기공급부(160)는 사이 공간(111)으로 공기를 공급시킬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160 can supply air to the interspace 111. [

예컨대, 공기공급부(160)는 도 1과 같이 하우징(110)에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ir supply unit 160 may be supported by the housing 110 as shown in FIG.

사이 공간(111)으로 공급된 공기는 하우징(110)에 대해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10)은 해저구조물(10)과 함께 해상으로 부상할 수 있다.Air supplied to the interspace 111 may provide buoyancy to the housing 110. In this case, the housing 110 can float with the seabed structure 10 at sea.

공기공급부(160)는 공기탱크 및 펌프(13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air supply 16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 air tank and a pump 130.

공기공급부(160)는 해저구조물(10)을 해상으로 부상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작동할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160 can operate when it is necessary to float the seabed structure 10 at sea.

예컨대, 해저구조물(10)의 누설이 발생한 경우, 해저구조물(10)에 대한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해 해저구조물(10)을 부상시킬 필요가 있다. 또는 해저구조물(10) 또는 누설 검출 장치(100)에 대한 통상적인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해저구조물(10) 또는 누설 검출 장치(100)를 부상시킬 필요가 있다.For example, when leakage of the seabed structure 10 occurs, it is necessary to float the seabed structure 10 for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seabed structure 10. It is necessary to float the seabed structure 10 or the leakage detecting device 100 for the ordinary maintenance work for the submarine structure 10 or the leakage detecting device 100. [

이 경우, 공기공급부(160)가 작동하여 해저구조물(10) 또는 누설 검출 장치(100)가 해상으로 부상하면, 해상에서 용이하게 수리, 교체 또는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submarine structure 10 or the leakage detection device 100 is flo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part 160, it is easy to easily perform repair, replacement or maintenance work at sea.

본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출 장치(100)는 차압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differential pressure portion 170.

차압부(170)는 사이 공간(111)과 하우징(110)의 외부 사이 압력차를 측정할 수 있다.The differential pressure portion 170 can measure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space 111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본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출 장치(100)는 제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180. [

제어부(180)는 펌프(130) 및 공기공급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mp 130 and the air supply unit 160.

제어부(180)는 해저구조물(10)을 해상으로 부상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저구조물(10)이 부상하도록 펌프(130) 및 공기공급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mp 130 and the air supply unit 160 so that the seabed structure 10 floa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abed structure 10 needs to be floated.

일례로, 센서부(140)가 제2유체의 누설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센서부(140)로부터 누설신호를 수신하고, 설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해저구조물(10)을 해상으로 부상시킬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해저구조물(10)을 해상으로 부상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해저구조물(10)이 부상하도록 펌프(130) 및 공기공급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nsor unit 140 senses leakage of the second fluid, the control unit 180 receives a leakage signal from the sensor unit 140, and floats the seabed structure 10 by the predetermined algorithm Or not. The control unit 18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mp 130 and the air supply unit 160 so that the seabed structure 10 floats.

다른 예로, 센서부(140)가 제2유체의 누설을 감지하면, 제어부(180)는 센서부(140)로부터 누설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해상의 작업자에게 송신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제2유체의 누설을 인지하고,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부상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부상신호를 수신하면, 해저구조물(10)을 해상으로 부상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해저구조물(10)이 부상하도록 펌프(130) 및 공기공급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sensor unit 140 senses the leakage of the second fluid, the control unit 180 can receive the leakage signal from the sensor unit 140 and transmit it to the marine worker. The operator recognizes the leakage of the second fluid and can input the float signal through an input unit (not shown).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that it is necessary to float the seabed structure 10 to the sea when receiving the float signal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ump 130 and the air supply unit 160 so that the seabed structure 10 floats can do.

해저구조물(10)을 부상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1유체가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펌프(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유체는 사이 공간(111)에서 연결라인(150)을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연결라인(150)의 밸브(151)는 개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ump 130 such that the first flui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In this case, In this case, the first flui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connecting line 150 in the interspace 111. At this time, the valve 151 of the connection line 150 can be opened.

그리고 제어부(180)는 차압부(170)의 측정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측정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공기공급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110)은 해상으로 부상하는 과정에서, 수심의 변화에 따른 압력차에 의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receives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unit 170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unit 160 so that the received measurement value is maintained constant. In this case, damage to the housing 110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due to a change in the depth of the water can be prevented in the process of floating the housing 110 in the sea.

한편, 사이 공간(111)으로 공기가 공급될 때, 제1유체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110) 외부로 밀려날 수 있다. 이 경우, 제1유체는 펌프(130)의 동작과 함께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ir is supplied to the space 111, the first fluid can be pushed out of the housing 110 by the pressure of the air. In this case, the first flui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quickly and easily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pump 130.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출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해저구조물(10)이 형성하는 사이 공간(111)에 채워지는 제1유체를 순환시킴으로써 해저구조물(10)에 대한 누설 검출 작업을 연속적이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이 공간(111)에 공기를 공급하여 해상 구조물을 해상으로 부상시킴으로써, 해저구조물(10)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 해상에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seabed structure 10 by circulating the first fluid filled in the space 111 formed by the housing 110 and the seabed structure 10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leakage detection operation continuously and easily. Also, by supplying air to the interspace 111 to float the sea structure to the sea, the maintenance work for the sea floor structure 10 can be easily performed at sea.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eakage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출 장치(100)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eakage det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Fig.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설 검출 장치(100)는 하우징(110)이 해저에 배치된 해저구조물(10)을 둘러싸도록 해저에 배치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leakage det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disposed on the seabed so that the housing 110 surrounds the seabed structure 10 arranged on the seabed.

도 2를 참조하면, 해저구조물(10)과 하우징(110)이 형성하는 사이 공간(111)에 제1유체가 채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유체는 하우징(110) 주변의 해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first fluid may be filled in a space 111 formed by the seabed structure 10 and the housing 110. In this case, the first fluid may be seawater around the housing 110.

이때, 제어부(180)는 해수가 사이 공간(111)으로 공급되도록 펌프(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연결라인(150)의 밸브(151)는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해수는 도 2와 같이 연결라인(150)을 이동하여 순환라인(120)의 일단부를 통해 사이 공간(111)으로 공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pump 130 so that seawater is supplied to the space 111. The valve 151 of the connecting line 150 can be opened. In this case, the seawater may be supplied to the interspace 111 through one end of the circulation line 120 by moving the connection line 150 as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사이 공간(111)에 채워진 해수는 사이 공간(111)과 순환라인(120)을 이동하며 순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eawater filled in the interspace 111 can circulate through the interspace 111 and the circulation line 120.

해수가 사이 공간(111)에 채워진 경우, 연결라인(150)의 밸브(151)는 폐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해수가 순환하도록 펌프(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해수는 순환라인(120)의 일단부에서 사이 공간(111)으로 이동하고, 사이 공간(111)에서 순환라인(120)의 타단부로 이동하는 순환경로를 따라 순환할 수 있다. 이때, 일방향밸브(121)는 해수가 순환경로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seawater is filled in the interspace 111, the valve 151 of the connection line 150 can be closed.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pump 130 to circulate the seawater. For example, the seawater can circulate along a circulation path that moves from one end of the circulation line 120 to the interspace 111 and from the interspace 111 to the other end of the circulation line 120. At this time, the one-way valve 121 can prevent the seawater from mov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irculation path.

해저구조물(10)에 누설이 발생한 경우, 센서부(140)는 해수가 순환하는 과정에서 제2유체가 사이 공간(111)으로 누설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해저구조물(10)을 해상으로 부상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해수가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펌프(130)의 동작을 제어하고, 공기가 사이 공간(111)으로 공급되도록 공기공급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When leakage occurs in the seabed structure 10, the sensor unit 140 can detect that the second fluid leaks into the interspace 111 in the process of circulating the seawater.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can determine that it is necessary to float the seabed structure 10 to the sea. 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ump 130 so that the sea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nd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unit 160 so that the air is supplied to the interspace 111.

도 4를 참조하면, 사이 공간(111)에 채워진 해수는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공기공급부(160)는 사이 공간(111)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급된 공기는 해수를 대체하며 사이 공간(111)을 채우고, 하우징(110)에 대해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seawater filled in the interspace 11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t this time, the air supply unit 160 can supply air to the interspace 111. The supplied air replaces seawater, fills the interspace 111, and can provide buoyancy to the housing 110.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사이 공간(111)으로 공급된 공기에 의한 부력으로 해저구조물(10)과 함께 부상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housing 110 may float with the undersea structure 10 by buoyancy by the air supplied to the interspace 111.

이때, 차압부(170)는 사이 공간(111)과 하우징(110) 외부의 압력차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하우징(110)이 부상하는 과정에서, 차압부(170)의 측정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공기공급부(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fferential pressure portion 170 can measure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space 111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unit 160 such that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unit 170 is kept constant during the lifting of the housing 110. [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many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해저구조물
100: 누설 검출 장치
110: 하우징
111: 사이 공간
120: 순환라인
121: 일방향밸브
130: 펌프
140: 센서부
150: 연결라인
151: 밸브
160: 공기공급부
170: 차압부
180: 제어부
10: Subsea structure
100: Leak detection device
110: Housing
111: Space between
120: circulation line
121: One-way valve
130: pump
140:
150: connection line
151: Valve
160: Air supply
170: Differential pressure part
180:

Claims (8)

해저에 배치되는 해저구조물에 대한 누설을 검출하는 누설 검출 장치로서,
상기 해저구조물을 둘러싸는 하우징;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해저구조물과 상기 하우징이 형성하는 사이 공간에 채워지는 제1유체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는 순환라인;
상기 순환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유체를 순환시키는 펌프; 및
상기 순환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해저구조물 내부의 제2유체가 상기 사이 공간으로 누설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누설 검출 장치.
A leakage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leakage of a seabed structure disposed on the seabed,
A housing surrounding the submarine structure;
A circulation line connected to the housing at both ends thereof to provide a circulation path of the first fluid to be fill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seabed structure and the housing;
A pump installed on the circulation line for circulating the first fluid; And
And a sensor unit installed on the circulation line and sensing a leakage of the second fluid inside the seabed structure into the inter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에는 상기 제1유체를 일방향으로만 이동하게 하는 일방향밸브가 설치되는, 누설 검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irculation line is provided with a one-way valve for moving the first fluid only in one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는 상기 하우징 주변의 해수이고,
상기 해수는 상기 펌프가 공급동작을 할 때, 상기 순환라인에 연결된 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사이 공간으로 공급되는, 누설 검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luid is seawater around the housing,
Wherein the seawater is supplied to the interspace through a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line when the pump performs a supply oper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에는 상기 연결라인을 개폐시키는 밸브가 설치되는, 누설 검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on line is provided with a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저구조물을 해상으로 부상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사이 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누설 검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air to the interspace when it is necessary to float the submarine structure in the s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 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 사이 압력차를 측정하는 차압부를 더 포함하는, 누설 검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differential pressure portion for measuring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및 상기 공기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저구조물을 해상으로 부상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유체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차압부의 측정값을 수신하고, 수신한 측정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공기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누설 검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pump and the air supply unit,
Wherein,
If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float the seabed structure at sea,
Controls operation of the pump so that the first flui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Receives the measured value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por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portion so that the received measured value is kept consta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 공간으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부력을 제공하는, 누설 검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ir supplied to the interspace provides buoyancy to the housing.
KR1020160052815A 2016-04-29 2016-04-29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KR1018546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815A KR101854661B1 (en) 2016-04-29 2016-04-29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815A KR101854661B1 (en) 2016-04-29 2016-04-29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803A true KR20170123803A (en) 2017-11-09
KR101854661B1 KR101854661B1 (en) 2018-05-04

Family

ID=6038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815A KR101854661B1 (en) 2016-04-29 2016-04-29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66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256A (en) 2018-07-11 2021-03-1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Work vehicle
KR20210030255A (en) 2018-07-11 2021-03-1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Work vehicle
KR102388835B1 (en) * 2021-10-01 2022-04-21 비오티 주식회사 Filter assembly and leakage detector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026B1 (en) * 2018-12-12 2020-05-12 중앙엔지니어링 주식회사 Closed type expansion tank with com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9220A (en) * 2007-02-26 2008-09-11 Denso Corp Leak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256A (en) 2018-07-11 2021-03-1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Work vehicle
KR20210030255A (en) 2018-07-11 2021-03-17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Work vehicle
KR102388835B1 (en) * 2021-10-01 2022-04-21 비오티 주식회사 Filter assembly and leakage detecto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661B1 (en)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661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RU2591752C1 (en) Method of detecting emergency leaks of pipeline for environment protection
US3703207A (en) Subsea bunker construction
US9109430B2 (en) Blow-out preventer, and oil spill recovery management system
US20200166427A1 (en) Subsea valve, flow system and method of use
WO2018014394A1 (en) Underwater pipeline inspection device launcher assembly used by unmanned vessel
KR20150040519A (en) Pressure Vessel for Testing Drilling Equipment and Test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40126650A (en)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Drilling Equipment
KR101470743B1 (en) Marine structure with equipment to prevent oil outflow
KR20150002089A (en) Pressure Vessel and Test Apparatus for Drilling Equipment Using The Same
KR200484979Y1 (en) Test Apparatus for Drilling Equipment
US201800802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lubricating riser slip joint and containing seal leakage
KR20150063752A (en) Pressure Vessel and Test Apparatus for Drilling Equipment Using The Same
KR101599315B1 (en) Test Wellhead Assembly and BOP Test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50040516A (en) Pressure Vessel for Testing Drilling Equipment and Test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18014393A1 (en) Underwater pipeline inspection device launcher assembly used by unmanned vessel
KR20150048974A (en) Drilling Equipment Test System and Method
KR102087176B1 (en)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Drilling Equipment
KR102075969B1 (en) BOP Test Control System
KR102050651B1 (en) Hydraulic test system for control optimization of high pressure diverter
CN115060486A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underwater control module and hydraulic valve
KR20150048975A (en) BOP Test Apparatus
KR20140129588A (en)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Drilling Equipment
KR20150040515A (en) Pressure Vessel for Testing Drilling Equipment and Test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40121974A (en)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Drill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