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784A -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784A
KR20170123784A KR1020160052728A KR20160052728A KR20170123784A KR 20170123784 A KR20170123784 A KR 20170123784A KR 1020160052728 A KR1020160052728 A KR 1020160052728A KR 20160052728 A KR20160052728 A KR 20160052728A KR 20170123784 A KR20170123784 A KR 2017012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t
change
template
management system
fluc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현선
이왕근
최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2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3784A/ko
Publication of KR2017012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06F17/24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에 대한 변동내역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 집계된 원가 내역에 대해 익스포트(export)된 스프레드시트에 기초한 원가 변동 템플릿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템플릿 관리부; 견적활동을 위한 기능별 담당자 단말에 의해 수정 취합된 상기 원가 변동 템플릿을 이용하여 취합 정보의 변동 총액과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기록된 변동 총액을 비교하는 매칭부; 및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원가 변동을 확정하여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반영시키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기능별 담당자 단말로 상기 원가 변동 템플릿에 대한 수정을 재지시하는 원가 변동 확정부를 포함하는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Cost fluctuation management system for tender of offshore construction}
본 발명은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FPSO와 같은 해양구조물 혹은 대형 선박과 같은 경우 발주처의 입찰을 통해 해당 해양공사를 수주하게 된다. 입찰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해양공사의 일반적인 입찰가(제시가) 책정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해양공사의 일반적 입찰가 책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ERP와 같은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기능별 담당자들로부터 입찰 원가를 집계하고(단계 S10), 상용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엑셀(Excel))의 스프레드시트로 익스포트(export)한다(단계 S20). 그리고 상위 의사결정권자가 가격 제출을 심의하는데(단계 S30), 입찰 원가에 변동상황이 발생한 경우 이를 반영하여 수정을 수행하고 수정사유를 기록 및 수집한다(단계 S40). 그리고 수정사유 및 수정내용을 반영하여 최종 결정가격을 기록함으로써 다시 ERP에서 집계되도록 한다.
여기서, 입찰전략수정 혹은 갑작스런 사정으로 인해 입찰 내용을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잦은 것이 현실이며, 최종 입찰가는 최초 ERP로 집계한 내용과는 상이하게 된다. 이러한 상이한 결과를 일일이 추적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에는 많은 개발비가 소요되고, 시스템이 무거워질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082618호 (2013.07.22 공개) - 해양공사 입찰가 산정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과도한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도 스프레드시트로 작성된 템플릿(template)을 통해 체계적으로 수정내역, 수정사항 등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고 기록 유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프레드시트 템플릿을 통해 견적활동을 하는 기능별 담당자들이 오류 없이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원가 결정작업을 하는 동시에 템플릿 하나로 견적작업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게 함으로써 상위 의사결정권자가 최종 가격을 심의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킨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에 대한 변동내역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 집계된 원가 내역에 대해 익스포트(export)된 스프레드시트에 기초한 원가 변동 템플릿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템플릿 관리부; 견적활동을 위한 기능별 담당자 단말에 의해 수정 취합된 상기 원가 변동 템플릿을 이용하여 취합 정보의 변동 총액과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기록된 변동 총액을 비교하는 매칭부; 및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원가 변동을 확정하여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반영시키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기능별 담당자 단말로 상기 원가 변동 템플릿에 대한 수정을 재지시하는 원가 변동 확정부를 포함하는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원가 변동 템플릿은, 자재비, 운송비, 인건비, 기타 비용에 관한 원가 세부항목 테이블, 원가의 집계시점 혹은 변동이 발생한 시점에 관한 원가 변동 단계 테이블 및 원가 변동 사유가 카테고리화되고 소정의 코드가 부여된 원가 변동 사유 테이블이 규정된 항목 정의 시트와; 변동단계, 원가 구분, 이전금액, 새금액, 변경 금액, 변동 사항 및 변동 사유 항목을 포함하는 원가 변동 사유 로그 테이블이 규정된 원가 변동 사유 로그 시트와; 상기 원가 변동 사유 로그 시트에 기록된 원가 변동 내역이 집계되고,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원가 변동 사항이 표기되어 비교 및 검토되는 원가 변동 내역서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가 변동 사유 로그 시트는 상기 기능별 담당자 단말에 의해 원가 변동 사항에 상응하여 상기 변동단계, 상기 원가 구분, 상기 이전금액, 상기 새금액, 상기 변동 사항 및 변동 사유 항목이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원가 병동 내역서 시트는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원가 변동 사항이 비교데이터로 표기되고, 집계된 상기 원가 변동 내역과 상기 비교데이터를 비교한 결과를 검토 플래그로 표기할 수 있다.
상기 템플릿 관리부는 상기 원가 변동 템플릿을 통계 분석하여, 원가 변동 사유별로 수정사항 건수를 카운트하여 통계 처리한 원가 변동 사유 자동 집계 테이블, 선택된 원가 변동 단계에 대해 원가 변동 사유별로 직전 단계 대비 변동 금액을 통계 처리한 원가 변동 사유 및 금액 자동 합계 테이블, 선택된 원가 변동 단계에 대해 원가 세부항목 별 변동 금액을 통계 처리한 원가 변동 관심항목 금액 테이블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템플릿 관리부는 상기 원가 변동 템플릿의 모든 시트를 전자파일 및 하드카피로 동시에 유지하고,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상에 상기 전자파일의 원가 변동 내역과 관련된 주요 변동 기록의 근거를 문서로 업로드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과도한 비용을 들이지 않고서도 스프레드시트로 작성된 템플릿을 통해 체계적으로 수정내역, 수정사항 등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고 기록 유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레드시트 템플릿을 통해 견적활동을 하는 기능별 담당자들이 오류 없이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원가 결정작업을 하는 동시에 템플릿 하나로 견적작업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게 함으로써 상위 의사결정권자가 최종 가격을 심의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해양공사의 일반적 입찰가 책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방법의 순서도,
도 4a 내지 4c는 원가 변동 템플릿의 항목 정의 시트에 포함되는 테이블들,
도 5는 원가 변동 사유 로그 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6a 및 6b는 원가 변동 내역서 시트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통계 처리를 위한 테이블 및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유닛"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4a 내지 4c는 원가 변동 템플릿의 항목 정의 시트에 포함되는 테이블들이고, 도 5는 원가 변동 사유 로그 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a 및 6b는 원가 변동 내역서 시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통계 처리를 위한 테이블 및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은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ERP 시스템)과 연동하여 입찰 원가의 변동상황을 정리하고 기록하기 위한 템플릿(template)을 생성하여 배포하고 취합하며, 취합된 정보를 시스템 상 집계하여 매칭시킨 후 원가 변동에 대한 사항을 최종 확정하여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반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에서는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를 집계한다(단계 S200).
집계된 입찰 원가는 스프레드시트로 익스포트된다(단계 S210).
익스포트된 스프레드시트에 기초하여 상위 의사결정권자가 발주처에 집계된 입찰 원가에 관한 최종 가격의 제출 여부를 심의한다(단계 S220).
심의 결과 입찰 전략 수정 혹은 기타 사유로 인해 가격 수정이 요구되는 경우,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100)을 통해 원가 변동 템플릿을 생성, 배포 및 취합하여 입찰 원가의 변동상황을 정리하고 매칭 작업을 통해 원가 변동에 대한 사항을 최종 확정하여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반영한다(단계 S230).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100)은 템플릿 관리부(110), 매칭부(120), 원가 변동 확정부(130)를 포함한다.
템플릿 관리부(110)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에서 익스포트된 스프레드시트에 기초하여 원가 변동 템플릿을 생성하고, 견적 활동을 하는 기능별 담당자들에게 배포한 후 수정사항이 반영되도록 하여 수정된 원가 변동 템플릿을 취합한다.
원가 변동 템플릿은 3개의 시트(항목 정의 시트, 원가 변동 사유 로그 시트, 원가 변동 내역서 시트)로 구성된다.
첫번째 시트는 항목 정의 시트로, 원가의 세부항목, 원가 변동 단계, 원가 변동 사유가 정의되어 있다.
도 4a에는 미리 지정되거나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 있는 원가의 세부항목 테이블(310)이 도시되어 있다. 원가의 세부항목에는 원가에 반영되는 각종 항목들이 상세하게 정의되며, 주자재, 구입품 등 자재비에 대한 원가(원가 1), 액션(action) 등 운송비에 대한 원가(원가 2), 설계 등 인건비에 대한 원가(원가 3), 경비, 기타항목에 대한 원가(원가 4), 판매에 관련된 비용(판매관련)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b에는 원가 변동 단계 테이블(320)이 예시되어 있다. 원가 변동 단계는 원가의 집계시점(예컨대, 심의회 실시) 혹은 변동이 발생한 시점(예컨대, 재검토 실시, 수정 실시 등)을 이벤트(event)라 하고, 이벤트의 발생시점마다 구분되도록 순차적으로 식별번호(도면에서는 D1 ~ D11)가 부여되어 있으며, 각 이벤트에 대한 상세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도 4c에는 원가 변동 사유가 카테고리화되어 있고, 원가 변동 사유 각각에 대하여 부여된 코드(code)가 정리된 원가 변동 사유 테이블(330)이 도시되어 있다. 변동 사유로는 크게 견적 오류, 재입수 가격, 환율 반영, 조건 변동, 내부정책 반영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가 변동 사유가 '사양변경/Alternative Vendor 적용 (발주처 승인無)' 인 경우의 코드는 'b1'이 되는 것이다.
두번째 시트는 원가 변동 사유 로그(log)에 관한 시트다. 원가 변동사유 로그 탭에서 관리 기록하고자 하는 원가 변동의 상세한 과정에 대해서는 드롭다운 메뉴로부터 선택하여 작성할 수 있게 한다.
도 5에 도시된 원가 변동 사유 로그 테이블은 순번, 변동단계, 원가 구분, 이전금액, 단위(Unit), 변동 사항 및 변동 사유 항목을 포함한다.
순번 항목은 로그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부여된다.
변동 단계(혹은 변경 단계) 항목은 변경 사항이 발생한 원가 변동 단계가 항목 정의 시트에 정의되어 있는 원가 변동 단계 중에서 드롭다운 메뉴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원가 변동 단계에 따른 드롭다운 메뉴가 예시되어 있다.
원가 구분 항목은 변경 사항이 발생한 원가 세부항목이 항목 정의 시트에 정의되어 있는 원가 세부항목 테이블에서 선택될 수 있다. 원가 세부항목 역시 드롭다운 메뉴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전금액 항목에는 원가 변동 이전의 금액과 변동된 새 금액, 그리고 이전 금액과 새 금액 사이의 차액(변경금액)이 표시된다. 변경금액은 새 금액과 이전 금액이 결정되면 자동 계산될 수 있다.
단위 항목은 이전금액 항목에서 계산되는 금액들의 기본 단위를 나타낸다.
변동 사항 및 변동 사유 항목에는 항목 정의 탭에 정의되어 있는 원가 변동 사유 테이블의 변동 사유 중 하나가 드롭다운 메뉴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변동 사유를 선택하기 위한 드롭다운 메뉴가 예시되어 있다.
세번째 시트는 변동사유 로그로부터 원가 변동 내역이 집계되어 그 합이 한꺼번에 표시되는 원가 변동 내역서 시트다(도 6a 참조).
좌측의 시스템 기록 영역(410) 중 각 이벤트 열(Event 1~8)에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과 연동하여 해당 이벤트 시점에서 원가 세부항목에 대하여 집계된 금액이 기록된다. 예를 들어, 각 금액 집계 시기별 총 원가내역으로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이 기록한 내용을 불러와 저장할 수 있다.
우측의 비교 영역(420)에는 순차적인 이벤트 시점 사이에 변경된 금액에 관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비교데이터(변경금액)와 검토 플래그가 표시된다.
비교데이터는 시스템 기록 영역(410)에 기록되어 있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에 등록된 내용에 따른 변경금액이다. 예를 들어, 변경단계 D1은 이벤트 1(R0)과 이벤트 2(R1) 사이의 변경에 관한 것으로, 원가 1의 주자재 1 항목은 그 금액이 17,788(천USD)에서 11,538(천USD)로 변경되어 변경금액이 -6,250(천USD)이 된다.
검토 플래그는 앞서 설명한 원가 변동사유 로그 시트에 기록되어 있는 변경 금액 중에서 해당 원가 세부항목 및 변동단계에 대응되는 변경 금액을 찾아 비교데이터와 비교한 결과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검토 플래그는 두 값이 동일할 경우 'OK', 다를 경우 'Error'로 자동 표기될 수 있다. 따라서, 검토 플래그의 확인을 통해 원가 변동사유 로그 시트에 기록된 값이 잘못 입력되어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가 변동사유 로그에 항목 A.1 이라는 금액이 100원에서 200원, A.2 라는 금액이 10원에서 20원, A.3 이라는 금액이 1원에서 2원으로 변하였다고 가정하면,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 상에서는 A.1/A.2/A.3 의 값이 이미 R0 이벤트에 대해서는 100원/10원/1원으로 저장되어 있고, R1 이벤트에 대해서는 200원, 20원/2원으로 저장되어 있게 된다.
이 경우 시스템 기록 영역(410) 내에서 R0 이벤트와 R1 이벤트를 나타내는 열에는 카테고리 A 값들의 합인 111원과 222원이 각각 저장된다. 이 두 원가의 변동값인 R1-R0 값은 111-222=-111원 이며, 이 값이 원가 변동사유 로그에 기록된 변동단계 D1에서 카테고리 A 값에 생긴 모든 금액 변화의 기록값과 동일하지 않으면 검토 플래그가 Error로 나타난다. 이때 사용자는 A 카테고리에 대한 기록내역을 다시 확인하여 A.1/A.2/A.3 에 기록한 숫자가 틀리지 않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템플릿 관리부(110)에서는 앞서 설명한 원가 변동 템플릿의 기본적인 자료 구조를 수정할 수도 있다. 원가 변동 템플릿의 각 시트(특히, 항목 정의 시트)에 정의된 내용들은 수정 혹은 추가하여 작성할 수 있다.
템플릿 관리부(110)는 항목 정의 시트가 확정된 이후 견적활동을 위한 기능별 담당자 단말에게 원가 변동 템플릿을 배포하여 기능별 원가 변동 내역이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견적활동을 위한 기능별 담당자 단말들은 사전 입력되어 있는 항목 정의 시트의 원가 변동사유에 기초하여 드롭다운 메뉴 방식으로 선택하고자 하는 항목의 금액에 대해서만 원가 변동사유 로그 시트에 기록함으로써 원가 변동 템플릿에 기능별 원가 변동 내역을 반영시킬 수 있다.
기능별 원가 변동 내역이 반영된 원가 변동 템플릿은 다시 템플릿 관리부(110)에서 취합하게 된다.
템플릿 관리부(110)는 원가 변동 템플릿에 대해서 원가서의 계산식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원가 변동 내역서 시트에서 각 금액에 대한 계산식을 수정할 수도 있다.
템플릿 관리부(110)는 수정사항(즉, 기능별 원가 변동 내역)에 대해서 한꺼번에 통계로 보여지고, 관심있는 원가 변동 단계만이 선택적으로 확인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를 위해 원가 변동 템플릿에는 통계 분석을 위해 원가 변동 사유별로 수정사항 건수를 카운트하여 통계 처리한 원가 변동 사유 자동 집계 테이블(510), 선택된 원가 변동 단계에 대해 원가 변동 사유별로 직전 단계 대비 변동 금액을 통계 처리한 원가 변동 사유 및 금액 자동 합계 테이블(520), 선택된 원가 변동 단계에 대해 원가 세부항목 별 변동 금액을 통계 처리한 원가 변동 관심항목 금액 테이블(530)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원가 변동 사유 및 금액 자동 합계 테이블(520)과 원가 변동 관심항목 금액 테이블(530)의 경우에는 관심있는 원가 변동 단계를 드롭다운 메뉴 방식으로 선택하여 손쉽게 통계값을 확인하게 할 수도 있다(도 7의 (b) 참조). 도 8의 (a) 내지 (c)에는 관심있는 원가 변동 단계로 D2, D3, D5가 선택된 경우의 통계값이 예시되어 있다.
템플릿 관리부(110)는 원가 변동 템플릿의 모든 시트를 전자파일 및 하드카피로 동시에 유지하고,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 상에 전자파일의 원가 변동 내역과 관련된 주요 변동 기록의 근거를 문서로 업로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의 추가적인 개발비용 없이도 현재의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원가 변동 관리 기록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서 변동내역 9번 항목의 경우 D2 단계에서의 'b5-시수/Rate 조정(생산, 설계)'에 의한 원가 변동이므로, 시수/Rate 변동 비율에 대한 부서 결재본 혹은 실무담당자 확인 메시지를 첨부문서로 담당자가 업로드하여 기록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템플릿 관리부(110)는 취합된 정보를 각 해양공사에 이미 부여된 공사번호명과 같은 이름을 붙여 저장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여러 해양공사의 원가서에 기록된 특정 셀 안의 값만을 확인하여, 추후 작업자가 해당 셀의 항목에 해당하는 값에 대해서만 그 간의 역사적(historical) 통계를 내고, 추후 해양공사에서 견적을 위한 정보가 부족한 경우 이 통계값을 근거로 예측 견적가를 낼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템플릿 관리부(110)에 의해 관리되는 원가 변동 템플릿의 구조에 기초하여, 원가 변동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230에서 가격 제출 심의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템플릿 관리부(110)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에서 익스포트된 스프레드시트에 기초하여 원가 변동 템플릿을 생성한다. 생성된 원가 변동 템플릿에는 익스포트된 스프레드시트에 기재된 내용에 상응하여 항목 정의 시트가 미리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템플릿 관리부(110)는 생성된 원가 변동 템플릿을 견적활동을 위한 기능별 담당자 단말에게 배포하여 가격 수정 및 수정 사유에 대한 기록을 취합한다(단계 S231).
기능별 담당자 단말은 배포된 원가 변동 템플릿에 대해서 원가 변동 사유 로그 시트에 순차적으로 변동 단계, 원가 구분, 이전 금액과 새 금액, 변동 사항 및 변동 사유를 기록한다(단계 S232). 이 경우 변동 단계, 원가 구분, 변동 사항 및 변동 사유의 기록 시에는 항목 정의 시트에 정의된 내용에 기초하여 드롭다운 메뉴 방식으로 선택되도록 함으로써, 기능별 담당자 단말이 임의로 범주를 정의하여 통계데이터로서 활용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취합이 완료되면, 매칭부(120)는 취합된 정보와 관련하여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과 연동하여 비교 데이터를 수집한다(단계 S233).
매칭부(120)는 원가 변동 템플릿을 통해 취합된 취합 정보의 변동 총액과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과의 연동을 통해 수집한 비교 데이터에서의 총액을 비교한다(단계 S235).
비교 결과(단계 S237) 일치하는 경우에는 검토 플래그가 'OK'로 표기되고, 원가변동 확정부(130)는 취합된 원가 변동 템플릿에 기초하여 최종 수정 내용을 확정하고(단계 S238)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에 최종 확정 금액을 입력한다.
하지만, 비교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검토 플래그가 'Error'로 표기되고, 원가변동 확정부(130)는 기능별 담당자 단말에 대해 원가 변동 내역에 대한 재기록을 지시한다(단계 S239). 이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에 반영하기에 앞서 오류를 사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비교 및 검토, 재기록을 통해 체계적인 수정, 수정사항의 분석, 기록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원가 변동 템플릿을 통해 견적활동을 하는 기능별 담당자들이 오류 없이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원가 결정작업을 하는 동시에 원가 변동 템플릿 하나로 견적작업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게 함으로써 상위 의사결정권자가 최종 가격을 심의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100: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
110: 템플릿 관리부 120: 매칭부
130: 원가 변동 확정부

Claims (6)

  1.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에 대한 변동내역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서 집계된 원가 내역에 대해 익스포트(export)된 스프레드시트에 기초한 원가 변동 템플릿을 생성하여 관리하는 템플릿 관리부;
    견적활동을 위한 기능별 담당자 단말에 의해 수정 취합된 상기 원가 변동 템플릿을 이용하여 취합 정보의 변동 총액과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기록된 변동 총액을 비교하는 매칭부; 및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원가 변동을 확정하여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반영시키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기능별 담당자 단말로 상기 원가 변동 템플릿에 대한 수정을 재지시하는 원가 변동 확정부를 포함하는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 변동 템플릿은,
    자재비, 운송비, 인건비, 기타 비용에 관한 원가 세부항목 테이블, 원가의 집계시점 혹은 변동이 발생한 시점에 관한 원가 변동 단계 테이블 및 원가 변동 사유가 카테고리화되고 소정의 코드가 부여된 원가 변동 사유 테이블이 규정된 항목 정의 시트와;
    변동단계, 원가 구분, 이전금액, 새금액, 변경 금액, 변동 사항 및 변동 사유 항목을 포함하는 원가 변동 사유 로그 테이블이 규정된 원가 변동 사유 로그 시트와;
    상기 원가 변동 사유 로그 시트에 기록된 원가 변동 내역이 집계되고,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원가 변동 사항이 표기되어 비교 및 검토되는 원가 변동 내역서 시트를 포함하는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 변동 사유 로그 시트는 상기 기능별 담당자 단말에 의해 원가 변동 사항에 상응하여 상기 변동단계, 상기 원가 구분, 상기 이전금액, 상기 새금액, 상기 변동 사항 및 변동 사유 항목이 기록되는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 병동 내역서 시트는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원가 변동 사항이 비교데이터로 표기되고, 집계된 상기 원가 변동 내역과 상기 비교데이터를 비교한 결과를 검토 플래그로 표기하는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관리부는 상기 원가 변동 템플릿을 통계 분석하여,
    원가 변동 사유별로 수정사항 건수를 카운트하여 통계 처리한 원가 변동 사유 자동 집계 테이블, 선택된 원가 변동 단계에 대해 원가 변동 사유별로 직전 단계 대비 변동 금액을 통계 처리한 원가 변동 사유 및 금액 자동 합계 테이블, 선택된 원가 변동 단계에 대해 원가 세부항목 별 변동 금액을 통계 처리한 원가 변동 관심항목 금액 테이블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관리부는 상기 원가 변동 템플릿의 모든 시트를 전자파일 및 하드카피로 동시에 유지하고,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상에 상기 전자파일의 원가 변동 내역과 관련된 주요 변동 기록의 근거를 문서로 업로드하는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
KR1020160052728A 2016-04-29 2016-04-29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 KR20170123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728A KR20170123784A (ko) 2016-04-29 2016-04-29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728A KR20170123784A (ko) 2016-04-29 2016-04-29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784A true KR20170123784A (ko) 2017-11-09

Family

ID=6038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728A KR20170123784A (ko) 2016-04-29 2016-04-29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37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6203B1 (en) Property insurance risk assessment using application data
JP5247434B2 (ja) リスクの評価及び提示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30135481A1 (en) Rules based method and system for project performance monitoring
US201801141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osite scoring, classification, and decision making based on machine learning
US857777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nvestments
US20130085801A1 (en) Supply Chain Performance Management Tool Having Predictive Capabilities
US201502545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ject Planning and Management
Bolancé et al. Quantitative operational risk models
US20050154628A1 (en) Automated management of business performance information
US118167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a service provider of a retirement plan
US201400677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nvestments
US8738502B2 (en) Electronic trading system and method that provide real-time trade analytics
JP6049799B2 (ja) 経営支援プログラム
CN112700149A (zh) 一种投资组合风险评估系统、方法及计算机设备
US20070078748A1 (en) Central pricing system and method
KR20210110162A (ko) 펀드의 주식요인분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ärvinen et al. Customer Profitability Analysis Using Time-Driven Activity-Based Costing. Three Interventionist Case Studies.
US201403794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Quality Business Impact Analysis
US202102014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nciliation of electronic data processes
Grody et al. Risk accounting-part 2: The risk data aggregation and risk reporting (BCBS 239) foundation of enterprise risk management (ERM) and risk governance
KR20170123784A (ko) 해양공사의 입찰 원가 변동 관리 시스템
Chawla et al. Demand Forecasting and Inventory Management for Spare Parts
Nichita Enhancing quality of information through risk reporting in financial statements
Zhu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in Automotive Industry
US20230342700A1 (en) Data Supply Chain Gover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