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620A - 가상 터미널들을 사용한 x2 링크의 셋업 - Google Patents

가상 터미널들을 사용한 x2 링크의 셋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620A
KR20170123620A KR1020177023918A KR20177023918A KR20170123620A KR 20170123620 A KR20170123620 A KR 20170123620A KR 1020177023918 A KR1020177023918 A KR 1020177023918A KR 20177023918 A KR20177023918 A KR 20177023918A KR 20170123620 A KR20170123620 A KR 20170123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anagement unit
virtual
e2nb
en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7957B1 (ko
Inventor
로맹 파블로
나비드 니카에인
Original Assignee
데쎄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쎄엔에스 filed Critical 데쎄엔에스
Publication of KR20170123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네트워크용 베이스 스테이션(e2NB)은 무선주파수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고,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통신 링크를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베이스 스테이션들에 적합한 무선 프로토콜 섹션과 사용자 터미널들에 적합한 무선 프로토콜 섹션을 포함하는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링크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용자 터미널과 통신하는 파일럿 블록(eNB)(1); 및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베이스 스테이션에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과 통신하기 적합한 다수의 제2 가상 사용자 터미널(vUE)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관리 유니트(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터미널들을 사용한 X2 링크의 셋업
본 발명은, 무선통신 네트워크용 베이스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베이스 스테이션들과 제1 사용자 터미널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무선주파수 데이터를 발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 및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통신 링크를 수립하고, 베이스 스테이션들에 특수한 무선 프로토콜 섹션 및 사용자 터미널들에 특수한 무선 프로토콜 섹션을 포함하는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링크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용자 터미널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어 블록을 포함한다.
4세대 셀 네트워크들 특히, LTE 및 LTE-A는, 대량 처리가 가능한 통신, 낮은 지연 속도, 다중 대역폭들, 송신기들의 상대 이동에 대한 높은 공차, 다양한 가용 터미널들, 및 민간 영역의 투자의 도움에 의한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 등과 같이, 일정한 수의 장점들을 구비한다.
종래의 이들 네트워크들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다. 이것은 그들의 무선 인터페이스 LTE를 통해 모바일 사용자들 소위, UE("장비의 사용자 피스들")들에게 무선 라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적으로 고정된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계획된 세트 소위, eNodeB들 또는 eNB("진화된 노드 B")들에 기반한다.
eNB들과 UE들은 E-UTRAN(진화된 유니버설 지구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을 구성한다.
eNB들은 논리 링크들을 통해 MME("이동성 관리 엔터티")들, 및 네트워크 코어 소위, EPC("진화된 패킷 코어")의 P/S-GW(패킷/서빙 게이트웨이)들에 연결된다. 이들 요소들 사이의 논리 링크들(S1-MME, S1-U, S6a, S7, S5-8, S11)은 유선 물리적 링크(예를 들어, 섬유, 케이블, ADSL)들 또는 포인트-투-포인트 무선 연결들, 또는 심지어 포인트-투-멀티포인트 링크(ISM 밴드들(산업, 과학 및 의료) 또는 라이센스드, Wi-Fi 등에 기반한 사유 기술)들을 통해 종종 달성된다.
EPC는 통신들을 집중화한다. eNB들 사이 또는 UE들 사이의 교환(exchange)들은 EPC에 기반하고, 논리 링크(X2)가 2개의 eNB들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더라도, eNB들은 그들의 무선 인터페이스 LTE를 통해 그들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없고, EPC만 특정의 구체적인 제어 메시지들의 전송을 인가한다.
예를 들어, 재난(disaster) 동안 또는 eNB들의 이동성(mobility) 시나리오 내에서 만약, eNB들이 느슨하거나 그들을 EPC(또는 서로 연결된 EPC들)에 연결할 수 없으면, 그들 사이 또는 그들의 UE들(그들이 단일의 eNB에 의해 취급되거나 다양한 상이한 eNB들에 의해 지탱되는지에 관계없이) 사이에는 임의의 교환들이 더 이상 있을 수 없고, 상기 eNB들이 서로 무선 범위(LTE) 안에 있을 때조차도 이것은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치유하기 위하여, eNB와 네트워크 코어 EPC 사이에 물리적인 링크들 소위, <<백홀(backhaul) 링크>>가 위치될 수 있지만, 그들은 특수한 무선 링크들의 설치가 필요하다.
더욱이, UE들과 eNB 소위, "도너 eNB" 또는 DeNB 모두와 통신할 수 있는 릴레이 노드들의 LTE 구조가 존재한다. 이러한 릴레이 노드들은 eNB의 커버리지의 확장 가능성 및 그 능력의 향상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릴레이 노드들은 단독으로 UE들을 취급할 수 없고, EPC에 대한 엑세스를 그들에게 제공하는 그들의 DeNB에 의존하고 단일의 eNB에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선된 무선통신 네트워크용 베이스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술한 형태이고, 다수의 제2 사용자 터미널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생성된 제2 사용자 터미널들이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베이스 스테이션에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가상 사용자 터미널들로 되어 있는 관리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제안한다.
베이스 스테이션은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망사형(meshed)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고, 베이스 스테이션들 사이에서 예를 들어, LTE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은 하나 이상의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더 포함한다.
- 관리 유니트는, 제어 블록과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용자 터미널 사이의 통신을 위해, 제어 블록과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과 그들의 통신을 위한 제2 가상 터미널들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의 사용을 선택적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 관리 유니트는 각각의 제2 가상 터미널에게 각각의 식별자를 할당한다.
-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LTE 표준에 따른다.
- 제2 가상 사용자 터미널은, 무선 스캔을 정기적으로 수행하고,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을 탐지하고, 탐지된 이웃하는 스테이션들을 관리 유니트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리 유니트는, 탐지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하나가 제2 가상 터미널들과 함께 수립된 링크를 가진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일부가 아닐 때, 새로운 제2 가상 터미널과 상기 탐지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사이에 통신을 적용하기 위해 새로운 가상 제2 터미널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 베이스 스테이션은 이동성 관리 블록, 및 제1 사용자 터미널과 제2 사용자 터미널과 관련된 인증(authentification)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성 관리 블록은, 제어 블록이 제1 사용자 터미널로부터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과의 통신 링크를 적용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할 때, 요청 내에 표시된 다른 인증 요소들 및 상기 제1 사용자 터미널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 내의 인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사용자 터미널의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관리 유니트는, 그것이 제2 가상 사용자 터미널을 생성할 때, 인증 요소들이 상기 제2 가상 사용자 터미널에 특수한지를 제2 가상 사용자 터미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제2 가상 사용자 터미널은, 그것이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위해 의도된 통신 링크를 적용하기 위한 요청을 발신할 때, 관리 유니트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인증 요소들을 상기 요청 내에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 관리 유니트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연결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리스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 각각의 제2 가상 사용자 터미널은 그것이 현재의 통신 링크를 함께 수립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관리 유니트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관리 유니트는 표시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리스트에 삽입하고, 리스트 내에서 상기 제2 가상 사용자 터미널과 매칭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연결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 제어 블록은 그것이 현재의 통신 링크와 함께 수립된 상기 제1 터미널들을 관리 유니트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터미널들의 하나가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의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의 가상 터미널일 때, 관리 유니트는 상기 이웃하는 매칭된 베이스 스테이션을 리스트 안에 삽입하고, 리스트 내에서 상기 제1 가상 터미널과 매칭시킴으로써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도록 구성된다.
- 베이스 스테이션은 라우터를 포함하고, 관리 유니트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연결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업데이트된 리스트에 따라 라우팅 규칙들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라우터는 관리 유니트에 의해 업데이트된 라우팅 규칙들에 따라, 제1 사용자 터미널들을 향하는 발신을 위한 제어 블록을 향하거나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을 향하는 발신을 위한 제2 가상 터미널들을 향하도록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라우팅하도록 구성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 스테이션들과 제1 사용자 터미널들의 세트를 포함하고,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과 제어 블록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용 베이스 스테이션 내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적절한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해 무선주파수 데이터를 발신 및 수신하는 단계; 및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제어 블록을 통해 통신 링크를 수립하고 베이스 스테이션들에 특수한 무선 프로토콜 섹션과 사용자 터미널들에 특수한 무선 프로토콜 섹션을 포함하는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용자 터미널과 상기 링크를 통해 제어 블록에 의해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베이스 스테이션의 관리 유니트를 통해,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베이스 스테이션의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제2 가상 사용자 터미널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들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서만 주어진,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들을 읽을 때 더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선행기술의 전기통신 LTE 시스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베이스 스테이션의 기능적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네트워크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사용자 터미널들, UE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베이스 스테이션의 기능적 도면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스테이션은 3GPP 컨소시엄에 의해 정의된 무선 프로토콜 LTE(<<Long Term Evolution>>)에 따라 UE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알려진 방식에서, LTE 프로토콜은 사용자 터미널들에 특수한 통신 규칙들 및 베이스 스테이션들에 특수한 통신 규칙들을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은 e2NB 스테이션(<<확장된 eNB>>)으로 명명된다.
e2NB는 eNB 블록(1), vUE(들)의 세트(2), 관리 유니트(3), MME 블록(4), HSS(<<홈 가입자 서버>>) 블록(5), 및 라우터(6)를 구비한다.
vUE는 가상 사용자 터미널이다.
실시예에서, vUE는 실제 사용자 터미널들과 동일한 프로토콜들 및 기능성들을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관련된 실시예에서, e2NB의 eNB 블록(1)과 vUE(들)의 세트(2)는 무선 프로토콜 LTE를 적용하도록 구성된 무선 처리 체인과 공유되고, 다음을 포함한다:
- e2NB의 무선 커버리지 영역(vUE들의 세트(2)의 무선 커버리지 영역과 동일함)을 정의하는 무선 트랜시버 안테나; 및
- 특히, 신호들을 변조/복조하도록 구성된 무선 트랜시버 모듈; 그렇게 함으로써, 모듈은 안테나에 의해 제공된 무선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증폭하고, 신호를 필터링하고, 무선주파수 캐리어의 유용한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낮춘 후 그것을 디지털화하고; 또한, 모듈은 디지털 형태로 발신될 유용한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탈-디지털화하고, 무선주파수 캐리어와 함께 그것을 안테나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e2NB의 eNB 블록(1)과 vUE(들)의 세트(2)는 무선 프로토콜 LTE를 적용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무선 처리 체인들을 공유한다(예를 들어, 각각 무선 트랜시버 모듈, 및 수평면에서 120°의 공간의 분명한 부분을 커버링함으로써 전체 공간을 커버할 수 있는 안테나를 가진, 3개의 무선 체인들).
본 발명에 따른 e2NB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e2NB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의 소프트웨어 명령들의 실행에 이어서 후술하는 오퍼레이션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eNB 블록
eNB 블록(1)은 무선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된 사용자 터미널들(vUE(들)의 세트(2)의 그것들과 다름)에 대해 선행기술의 eNB LTE의 기능들을 수행하고: 사용자 터미널들은 실제 사용자 터미널들을 포함하고, vUE(들)은 무선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된 다른 e2NB들의 부분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eNB 블록(1)은, 무선 처리 체인(radio treatment chain)을 통해, 비콘(beacon) 신호들을 규칙적으로 발신하도록 구성되고, 이것은 실제 또는 가상 사용자 터미널들 각각이 그것을 탐지하고 그것에 동기화되고 eNB 블록(1)으로부터 시그널링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리소스들을 할당받고, 필요한 경우 e2NB의 eNB 블록(1)에 대한 부착 오퍼레이션(attachment operation)을 적용할 가능성을 준다.
실제 또는 가상 UE는, 유용한 데이터(즉, 시그널링 데이터와 다른 데이터)를 수신처에게 전송하기를 원하고, e2NB를 통해 데이터들을 통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e2NB의 eNB 블록(1)에 부착되어야 한다.
e2NB의 eNB 블록(1)에 대한 부착 오퍼레이션 동안, 실제 또는 가상 사용자 터미널은 이러한 사용자 터미널의 SIM 타입의 식별 및 인증 데이터를 eNB 블록(1)으로 전송한다. 실제 UE의 경우, 데이터들은 UE의 SIM 카드 내에 저장된 요소들에 기반한다. 가상 UE의 경우에, 데이터들은 그 안에 UE가 생성되었던 e2NB의 관리 유니트에 의해 전송된 요소들에 기반한다.
eNB 블록(1)이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여 그것을 MME 블록(4)으로 제공하면, MME 블록(4)은, 식별된 사용자 터미널이 실제로 e2NB와 통신이 허용되는지 확인하고 사용자 터미널의 인증을 식별하기 위해 LTE 표준에 표시된 단계들을 적용한다.
그러면, eNB 블록(1)은 MME 블록(4)으로부터 식별, 인증, 및 부착 또는 그 실패의 통지의 적절한 발생을 수신한다.
"e2NB에 부착된 UE"는, 실제 또는 가상 UE가 e2NB의 eNB 블록(1)에 대한 부착 오퍼레이션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것을 의미한다.
UE가 인증되면, UE와 통신이 적용될 때, UE에 의해 전송된 IP 흐름의 종료로서 사용되는 eNB 블록(1)은, 흐름의 수신처에 따라 라우터가 그것을 적절히 유도하도록 이러한 IP 흐름을 라우터(6)로 제공한다.
부착된 UE가 실제 또는 가상 UE일 때, eNB 블록(1)은 UE와 함께 수립된 링크들, 따라서 식별된 UE뿐만 아니라 식별 절차 동안 UE를 통해 전송되고 SIM 카드("구독자 식별 모듈") 또는 MME에 의해 제공된 UE의 IP 주소와 선택적으로 연관된 그것의 IMEI("국제 모바일 설비 식별")에 특수하고 이와 관련된 UE의 IMSI("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와 같은 UE의 식별자를 관리 유니트(3)에게 표시한다.
부착된 UE가 이웃하는 e2NB의 vUE일 때, 관리 유니트(3)는, 예를 들어, vUE들의 IMSI들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IMSI들의 각각을 위해 상응하는 E-CGI 셀의 식별자("EUTRAN 셀 글로벌 식별자)(또는 글로벌 eNB ID)를 표시하는 관련성 테이블을 통해 이웃하는 e2NB의 식별자를 결정하고, 어떤 e2NB가 vUE에 속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e2NB 내에 오직 하나의 eNB 블록이 있는 한, e2NB의 식별자는 또한 그것이 포함하는 eNB 블록의 식별자이거나 그 반대임을 유의해야 한다.
vUE(들)의 세트
vUE(들)의 세트(2)는 하나 이상의 가상 UE들을 포함한다.
e2NB 내부의 가상 UE들의 각각은 관리 유니트(3)에 의해 생성(즉, 인스턴시에이트(instantiate)된다.
각각의 vUE는 단일의 식별자 IMEI 및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SIM 서비스(IMSI 및 연관된 키(key))와 연관된다.
LTE 레벨에서, vUE는 종래의 UE의 모든 기능성들을 가지고, 특히, vUE는 그것으로 전송된 메시지들을 디코딩하고, 그것이 전송하는 메시지들을 코딩하고, 부착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이것은 다른 vUE들과 독립된다(구현 레벨에서, 이것은, ISO 모델의 상이한 프로토콜 레이어들 등을 위한 상이한 버퍼 메모리들("버퍼들")과 같이, 그 오퍼레이션을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vUE의 연결 내의 시간-의존 변화 동안 점진적으로 생성할 IMEI를 파라미터로서 그것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부착 오퍼레이션들을 적용하는 새로운 인스턴스(instance)("쓰레드(thread)") 프로그램의 론칭에 해당함).
또한, eNB와 RRC("무선 리소스 제어") 연결을 수립 동안, 무선 체인에서 그 하드웨어 능력에 대해 알려주어야 한다. 무선 체인은 e2NB의 실제 무선 체인에 의존하므로, e2NB와 관련된 정보는 vUE로 제공되어야 한다.
e2NB가 시작하면, 단일의 vUE가 생성되고, vUE는 LTE 프로토콜 섹션에 따라 사용자 터미널들과 관련된 규칙적인 무선 스캐닝(scan) 오퍼레이션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이웃하는 e2NB들 즉, vUE가 그 안에 생성되었고 vUE의 무선 범위 내에서 발견된 e2NB와 다른 e2NB들을 탐지하도록 구성되고, 그것들을 관리 유니트(3)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vUE의 무선 커버리지는 vUE가 그 안에 생성되었던 e2NB의 무선 커버리지이다(그들은 동일한 무선 체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vUE는 e2NB와 동시에 발생된다.
이러한 예에서, vUE는 무선 부근(radio vicinity)의 단일 e2NB에 부착될 수 있을 뿐이고(다른 실시예에서, vUE는 무선 부근의 다수의 e2NB들에 동시에 부착될 수 있음), 실제 UE의 경우와 같이, vUE에 의해 발신 또는 수신되는 유용한 통신 데이터는 e2NB 부착에 의해 vUE를 위해 유보되었던 vUE와 e2NB 부착 사이의 무선 링크들을 차용한다.
e2NB 부착은 관리 유니트(3)에 의해 제공되는 e2NB들의 블랙 리스트 및/또는 e2NB들의 화이트 리스트에 따라 선택된다. 블랙 리스트는 부착이 인가되지 않은 e2NB들을 포함하고, 화이트 리스트는 부착이 인가된 e2NB들을 포함한다.
가상 UE는, 선택된 e2NB와 함께, 사용자 터미널들에 대한 프로토콜 LTE 섹션에 따라 부착 오퍼레이션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vUE에 특수한 SIM 타입이고, 부착 오퍼레이션을 위해 필요한 식별 및 인증 데이터는, 관리 유니트(3)에 의해 vUE(들)의 세트(2)의 각각의 vUE로 제공된다.
vUE(들)의 세트(2)의 vUE가 e2NB에 부착될 때, vUE는 관리 유니트(3)에게 그것이 부착되는 e2NB의 식별자 또는 e2NB의 eNB 블록(1)의 식별자(예를 들어, eNB(1)의 E-CGI 또는 eNB ID)를 알려준다.
가상 UE는, 일단 이웃하는 e2NB에 부착되면, 이러한 e2NB 부착을 통해, vUE들을 통해 함께 연결된 eNB들 타입 또는 e2NB들 타입의 베이스 스테이션들, 및 베이스 스테이션들에 부착된 실제 또는 가상 사용자 터미널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발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vUE의 세트(2)에 의한 패킷들의 무선주파수 발신 및 무선주파수 수신은, e2NB의 무선 처리 체인을 사용함으로써, e2NB 부착을 통해 vUE에 할당된 무선 링크들 상에서 적용된다.
관리 유니트
관리 유니트(3)는 vUE(들)의 세트(2)의 각각의 vUE의 생성, 억제, 및 오퍼레이션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관리 유니트는 vUE의 세트(2)에 의해 전송되고 탐지된 이웃하는 e2NB들의 표시의 수신에 이어서, 탐지된 e2NB들의 하나와 함께 새로운 연결이 적용되어야 할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탐지된 e2NB가 아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e2NB에 의해 유지된 이웃하는 e2NB의 리스트의 일부가 아닐 때).
이웃하는 e2NB와 새로운 연결이 적용되어야 할 때, 관리 유니트는, 예를 들어, 만약 그것이 존재하면 부착 오퍼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하여, 먼저 생성되었고 현재 부착되지 않은 vUE에게 이웃하는 e2NB를 표시하는 화이트 리스트를 제공한다. 만약 모든 vUE(들)의 세트(2)가 현재 부착되면, 관리 유니트(3)는 탐지된 이웃하는 e2NB에 부착될 수 있는 부가적인 vUE를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이웃하는 e2NB의 가상 터미널이 e2NB에 이미 부착되었을 경우, 관리 유니트는 vUE 세트(2)와 이웃하는 e2NB 사이의 부착을 인증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 경우, 이웃하는 e2NB는 예를 들어, 각각의 새로운 vUE의 블랙 리스트 내에 나타난다.
관리 유니트(3)는 vUE들에게 각각 제공되는 e2NB들의 화이트 리스트와 블랙 리스트를 결정하기 위해, e2NB들의 망사형 네트워크의 토폴로지(topology)를 제어 및 조종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관리 유니트(3)는 eNB 블록(1)과 vUE들의 세트(2)의 각각의 사이에 e2NB의 무선 처리 체인의 사용의 기간(및/또는 주파수)을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분배의 규칙들은 예를 들어, eNB 블록(1)과 vUE들의 각각에 의해 통신되는 바와 같은 각각의 필요성에 의존한다.
관리 유니트(3)는 특히, 각각의 vUE에게 SIM 타입의 식별 및 인증 요소들의 제공을 포함하는, vUE들의 세트(2)에 대한 SIM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결정된 식별 및 인증 데이터가 관리 유니트에 의해 제공된 요소들에 따라 부착이 의도된 e2NB로 제공됨으로써 부착 오퍼레이션들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을 위해, 관리 유니트(3)는 실제 및/또는 가상 SIM 카드들을 포함한다.
관리 유니트(3)는, UE들의 부착 오퍼레이션 및 부착 실패를 표시하는 eNB 블록(1)에 의해 그것에게 제공되는 상응하는 정보들에 의존하여 eNB 블록(1)이 부착되는, 실제 및 가상 UE들을 메모리 내에 저장하고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관리 유니트(3)는 이웃하는 e2NB들의 리스트를 메모리에 저장 및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이웃하는 e2NB들의 리스트는 아래와 같다:
- vUE(들)의 세트(2)에 부착된 이웃하는 e2NB들(각각 e2NB의 eNB 블록(1)의 식별자의 매칭)의 식별자들로서, 이웃하는 e2NB들의 각각이 리스트 내에서 그것에 부착된 vUE의 세트(2)의 식별자 및 할당된 무선 링크들(또는 예를 들어, 이러한 vUE에 의해 관리 유니트(3)에게 표시되는 신호 레벨과 같은 링크들의 성능들)의 식별과 매칭되어 있음; 및/또는
- eNB 블록(1)에 부착된 vUE(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이웃하는 e2NB 상의 식별자로서, 이웃하는 e2NB들의 각각이 리스트 내에서 eNB 블록(1)에 부착된 vUE의 식별자 또는 할당된 무선 링크들(또는 예를 들어, eNB 블록(1)에 의해 관리 유니트(3)에게 표시되는 신호 레벨과 같은 링크들의 성능들)의 식별에 매칭되어 있음.
실시예에서, 관리 유니트(3)는 네트워크의 현재 망사(meshing)를 정의하는 이웃하는 e2NB들의 리스트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다른 e2NB들의 관리 유니트(3)와 통신(예를 들어, 각각의 vUE들을 통해)하도록 구성된다.
관리 유니트(3)는, vUE들(및 따라서 상응하는 링크들)의 억제와 부가에 의해 개선하거나, vUE들의 e2NB 부착의 변화에 의해 개선할 목적으로, 네트워크의 망사를 정의/수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이웃하는 e2NB들의 리스트의 정보, 또는 심지어 이웃하는 e2NB들의 통신된 리스트들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관리 유니트(3)는 특히, 현재의 토폴로지에 따라 라우팅 규칙들을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관리 유니트(3)는 IP 어드레싱(addressing) 규칙들을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eNB와 이웃하는 e2NB 사이에 이미 링크가 존재하지만, 그들 사이의 통신 흐름 속도의 관점에서 추가적인 통신 용량이 필요할 때, vUE의 세트(2)는 관리 유니트(3)에 의해 생성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MME 블록
MME 블록은 관리 유니트(3)를 통해 연결된 UE들에게 그것이 줄 수 있는 IP 어드레스들의 파라미터들과 리스트들을 수신할 수 있는 것만을 제외하고 선행기술의 MME LTE의 기능들을 수행한다(대신에, 선행기술의 MME는 S/P-GW를 통해 이것을 회복함).
MME 블록(4)은, 식별 및 인증 요소들을 표시하고 eNB 블록(1)에 의해 릴레이 된 실제 또는 가상 UE의 부착을 위한 각각의 요청을 수신할 때, HSS 블록(5)에서 교대로 UE가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하기 위해 잘 인가되고 정확하게 인증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를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실제 또는 가상 UE가 성공으로 인증되면, MME 블록은 절차의 근원에 있는 IP 어드레스를 UE(또는 vUE)에게 제공한다(실시예에서, 그렇지 않으면, UE가 종래의 LTE 네트워크의 S/P-GW의 기능을 하는 라우터(6)의 IP 어드레스를 얻을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HSS 블록
HSS 블록은 선행기술의 HSS LTE의 기능들을 수행한다.
HSS 블록(5)은 인증된 UE들을 실제 및 가상으로 정의하는 리스트를 포함한다. 인증된 UE들의 이러한 리스트는 실제로, 관련된 경우, SIM 카드들과 연관된 암호 키(cryptographic key)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리스트는 통신을 위해 인증된 네트워크의 실제 UE들의 전체 키들, 및 통신을 위해 인증되고 관련된 e2NB의 무선 커버리지 내에서 발견될 수 있는 네트워크의 e2NB들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가상 UE들의 전체 키들을 포함한다.
LTE 프로토콜(<<인증 및 키 협약>> 섹션, 소위 AKA 섹션)에 명시된 인증 절차는, HSS로서 역할을 하는 HSS 블록(5)의 도움으로 MME로서 역할을 하는 MME 블록(4)이 인증을 수행하게 한다.
라우터
라우터(6)는, 관리 유니트(3)에 의해 주어진 라우팅 규칙들에 따라, 어떤 e2NB의 요소로(vUE들의 세트(2) 및 eNB 블록(1)으로부터) 또는 어떤 e2NB의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타입의 외부 연결)로, 수신된 패킷이 최종 수신처로서 릴레이 또는 전달되어야 하는지를, 라우터(6) 및/또는 패킷의 최종 수신처 상으로 통과시킨 e2NB의 요소 또는 e2NB의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타입의 외부 연결)에 따라, 탐지하기 위하여, e2NB(vUE의 세트(2) 또는 eNB 블록(1))의 요소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행기술의 LTE 구조에서, 게이트웨이, P-GW("패킷 게이트웨이")는 사용자 흐름들뿐만 아니라 라우터 흐름들을 다른 네트워크들을 향해 또는 오퍼레이터의 네트워크 상으로 유도하기 위한 라우터 흐름들을 위한 엔드(end)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eNB와 P-GW 사이의 연결은 eNB와 P-GW 사이의 네트워크 요소들을 투명하게 크로스시키기 위해 프로토콜 레이어(및 연관된 부담)를 부가하고, 또는 e2NB는 동시-배치된(co-localized) 요소들을 가진 "일체형(all-in-one)" 엔터티이고 그러한 메커니즘이 필요없다. 그러므로, S-GW 및 P-GW는 오퍼레이션을 간소화하기 위해 전술한 특정의 실시예에서 e2NB 내에 구현되지 않지만 특정의 필요가 있는 경우 간소화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그들의 오퍼레이션의 범위 내에서 도 3의 e2NB의 말미에 붙어 있는 참조부호 1 내지 6의 요소들에 의해 적용되는 교환들은 특히, 도 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기술된 교환들을 포함한다.
vUE(들)의 세트(2)의 vUE는 무선주파수 루트를 통해 이웃하는 e2NB들과 교환들(100)을 적용하고, 그러한 교환들은, 이웃하는 e2NB에 대한 부착 절차들, vUE가 부착되는 이웃하는 e2NB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패킷들의 무선주파수 수신, 및 e2NB 부착을 통해 그것에 할당된 물리적 리소스들(시간/주파수)을 통해 그것이 발송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vUE에 의한 무선주파수 발신을 포함한다.
eNB 블록(1)은 무선주파수 루트를 통해 이웃하는 실제 및 가상 UE들과 교환들(101)을 적용하고, 이러한 교환들은, 이웃하는 e2NB에 대한 부착 절차들, 그것에 할당된 상승(ascending) 링크 상에 그것에 부착된 UE에 의해 발송되는 데이터 패킷들의 무선주파수 수신, 및 이러한 UE에 할당된 하강(descending) 루트 상에서 그것에 부착된 UE를 향해 발신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eNB 블록(1)에 의한 무선주파수 발신을 포함한다.
vUE들의 세트(2)는 관리 유니트(3)와 교환들(103)을 적용하고, 교환들은 다음 내용들을 포함한다:
- 각각의 vUE가, 탐지되거나 및/또는 부착된 이웃하는 eNB들, 수신 및/또는 발신에서 리소스들을 위한 필요성을, 관리 유니트(3)에게 표시하고;
- 관리 유니트(3)에 의한 새로운 vUE의 발생을 위해 필요한 교환들;
- 관리 유니트(3)가 각각의 vUE에게 화이트 및 블랙 리스트를 제공하고;
- 관리 유니트가 vUE에게 주파수 및 무선 처리 체인의 사용을 위한 시간 리소스들을 할당(LTE에서 필요한 경우 주파수 및 시간 멀티플렉싱을 줌)하고;
- 관리 유니트(3)가 각각의 vUE에게 SIM 타입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부착 오퍼레이션을 위한 AKA 절차에 따라, eNB 블록(1)은 MME 블록(4)과 교환들(104)을 적용하고, MME 블록(4)은 Hss 블록(5)와 교환들(105)을 적용한다.
eNB 블록(1)은 라우터(6)와 교환들(106)을 적용하고, 그러한 교환은 다음 내용들을 포함한다:
- eNB 블록(1)이 라우터(6)에게 IP 패킷들을 제공하고, 라우터(6)가 eNB 블록(1)에게 IP 패킷들을 제공함;
라우터(6)는 관리 유니트(3)와 교환들(107)을 적용하고, 그러한 교환은 다음 내용들을 포함한다:
- 관리 유니트(3)가 라우터(6)에게 라우팅 규칙들을 제공하고;
- 관리 유니트(3)가 라우터(6)에게 IP 패킷들을 제공하고, 라우터(6)가 관리 유니트(3)에게 IP 패킷들을 제공(예를 들어, 정보의 교환을 위해 다른 e2NB들의 다른 관리 유니트들을 위해 의도됨)한다.
라우터(6)는 vUE(들)의 세트(2)와 교환들(109)을 적용하고, 이러한 교환들은, vUE(들)이 라우터(6)에게 IP 패킷들을 제공하고, 라우터(6)가 vU들에게 IP 패킷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관리 유니트(3)는 eNB 블록(1)과 교환들(108)을 적용하고 그러한 교환은 다음 내용들을 포함한다:
- 관리 유니트(3)는 eNB 블록(1)에게 무선 처리 체인(또는 e2NB가 다양한 무선 처리 체인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 내의 무선 처리 체인들)을 사용하기 위한 주파수와 시간 리소스들을 할당하고;
- eNB 블록(1)은 관리 유니트(3)에게 eNB에 현재 부착된 실제 및 가상 UE들을 표시하고;
- eNB 블록(1)은 관리 유니트(3)에게 수신 및/또는 발신의 리소스들을 위한 현재의 필요성을 표시한다.
라우터(6)는 이더넷 네트워크와 같은, e2NB의 외부 인터페이스(들)와 교환들(110)을 적용하고 그러한 교환들은, IP 패킷들의 제공과 수신을 포함한다.
MME 블록(4)은 관리 유니트(3)와 교환들(111)을 적용하고, 그러한 교환들은, 관리 유니트(3)가 사전에 MME 블록(4)에게 제공하는 IP 어드레싱 규칙들에 근거하여 MME 블록(4)이 UE들에게 주는 IP 어드레스들의 리스트들과 파라미터들과 연관된다.
함대(fleet)의 선박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수단은 제어를 유지하고 상이한 전력들 사이의 실시간 정보의 공유를 위해 전략상 중요하고, 사건들에 직면하여 신속한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함정(surface ship), 서피스(surface) 또는 공중 드론(drone)들과 같이, 상이한 행위자들 사이의 강인하고, 확실하고 대기 시간 작은 통신을 수립할 수 있는 능력은 작전 성공의 핵심 포인트이다.
본 발명은, 실제 UE들과의 교환을 위해 그들이 가진 그것들과 동일한 물적 자원들(특히, 무선 처리 체인)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LTE 프로토콜에 따라 UE 터미널들과 대량 처리가 가능한 통신이 되게 하고, LTE 무선 프로토콜을 또한 사용하여 서로들 사이에 직접적인 통신들이 가능하도록 변경되는, 신규한 개념의 베이스 스테이션들(e2NodeB)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e2NB가 설비된 선박들 각각은 그들의 이동 가능한 사용자들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한편 선박들이 서로 연결되게 하고 e2NB들의 망사형 네트워크를 수립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가상 UE들을 통해 그들 사이에 연결된 e2NB들을 포함하는 망사형 네트워크의 도면이다.
이러한 망사형 네트워크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7개의 e2NB들(e2NB1, e2NB2, e2NB3, e2NB4, e2NB5, e2NB6, 및 e2NB7)을 포함한다.
e2NB들은 예를 들어, 각각의 선박들과 같은 선박들 상에 설치된다. 실제 터미널들은 예를 들어, 하나의 선박으로부터 다른 선박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보트들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선박들을 떠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사용자들에 의해 소유된다.
각각의 e2NB는, 일점 쇄선의 직사각형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eNB 블록과 가상 터미널(들)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e2NB1은 가상 터미널을 포함하고, e2NB2는 2개의 가상 터미널들을 포함한다. e2NB의 부착으로부터 이웃하는 가상 터미널까지의 무선주파수 링크들은 실선으로 도시되는 한편, 실제 UE와 e2NB 사이의 부착으로부터 유래하는 링크들은 점선으로 도시된다.
그러므로, e2NB들은 그들의 vUE들을 통해 서로 다이나믹하게 연결됨으로써, e2NB들 사이, 이들 eNB들에 부착된 UE들 사이, 및 eNB들과 UE들 사이의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는 망사형 무선 네트워크를 생성하게 된다.
2개의 e2NB들이 서로의 무선 범위 내에 있고, 그들 사이에 링크들이 생성되면, 2개의 e2NB들은 각각 서로의 무선 커버리지 내에서 발견되고 이들 2개의 e2NB들이 vUE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서로에 대해 국부적으로 발견될 필요가 있다.
가끔, e2NB들 사이의 링크들은 이중으로 된다: 예를 들어, e2NB4의 가상 터미널은 e2NB6에 부착되고 대칭적으로 e2NB6의 가상 터미널은 e2NB4에 부착된다.
망사형 네트워크에서, e2NB3에 부착된 실제 UE와 e2NB5에 부착된 실제 UE 사이에는, 기호들("+")에 의해 마킹된 경로를 따르는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포함하는 통신이 적용되고,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거치게 된다:
- e2NB3의 eNB 블록에 부착된 실제 UE로부터, 그 후
- e2NB3의 라우터를 통해, e2NB3의 eNB 블록으로부터 e2NB3에 부착된 e2NB4의 가상 터미널까지,
- e2NB4의 라우터를 통해, e2NB3에 부착된 e2NB4의 가상 터미널부터 e2NB4의 eNB 블록까지,
- e2NB4의 eNB 블록으로부터 e2NB4에 부착된 e2NB5의 가상 터미널까지,
- e2NB5의 라우터를 통해, e2NB4에 부착된 e2NB5의 가상 터미널로부터 e2NB5의 eNB 블록까지,
- eNB5의 라우터를 통해, e2NB5의 eNB 블록으로부터 e2NB5에 부착된 실제 UE까지.
물론, 각각의 e2NB 내의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들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e2NB 내의 라우팅 테이블은 네트워크 내부의 목적지 어드레스들에 상응하는 어드레스들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이러한 라우팅 테이블은 eNB의 각각의 요소(관리 유니트, vUE, eNB 블록, 인터페이스 이더넷...)를 향해, 리스트의 각각의 어드레스를 위해 표시하고, 라우터는 목적지 어드레스가 이러한 어드레스에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해야만 한다. 목적지 어드레스는 관리 유니트, eNV 블록들, 이더넷 인터페이스 등의 실제 UE들, 가상 UE들의 어드레스들일 수 있다. 테이블은 예를 들어, 마스크 식별자를 더 표시(e2NB의 요소가 관리 유니트, vUE, eNB 블록인 라우터를 향할 때)하거나 게이트웨이 식별자를 더 표시(e2NB의 요소가 외부 인터페이스인 라우터를 향할 때)한다.
예를 들어, e2NB1에 인터페이스된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음의 요소들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가 e2NB7에 인터페이스될 의도로, 기호들("+" 및 "-")이 연속적으로 마킹된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들의 전송을 포함하는 다른 통신이 적용되고, 아래와 같은 요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 e2NB1에 인터페이스된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e2NB1의 라우터를 통해, e2NB1의 eNB 블록까지,
- e2NB1의 eNB 블록으로부터 e2NB1에 부착된 e2NB2 내의 vUE까지,
- e2NB1에 부착된 e2NB2 내의 vUE로부터, 라우터를 통해, e2NB4에 부착된 e2NB2 내의 vUE까지,
- e2NB4의 eNB 블록에서 e2NB4에 부착된 e2NB2 내의 vUE로부터
- e2NB4의 eNB 블록으로부터, e2NB4의 라우터를 통해, e2NB6에 부착된 e2NB4의 vUE까지,
- e2NB6에 부착된 e2NB4의 vUE로부터, e2NB6의 eNB 블록까지,
- e2NB6의 eNB 블록으로부터, e2NB6의 라우터를 통해, e2NB6의 eNB 블록까지,
- e2NB6의 eNB 블록으로부터 e2NB6에 부착된 e2NB7의 vUE까지,
- e2NB6에 부착된 e2NB7의 vUE로부터 e2NB7의 라우터까지, 그 후, e2NB7의 라우터로부터 e2NB7의 외부 인터페이스까지.
물론, 이러한 개념은 해군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육상에서의 사용도 유용하다.
본 발명은 특히, LTE 무선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물론 다른 무선 프로토콜들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특히, 전술한 실시예에서, e2NB는 eNB 블록(1), vUE(들)의 세트(2), 관리 유니트(3), MME 블록(4), HSS 블록(5) 및 라우터(6)를 포함한다. e2NB들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 스테이션들 e2NB 사이의 통신들/연결들(특히, 물리적 및 제1 LTE 레이어들의)은 임의의 MME 블록 및/또는 임의의 HSS 및/또는 라우터들의 사용은 없지만, eNB 블록, vUE들 및 관리 유니트(라우팅은 예를 들어, eNB 블록에 직접 적용되는 경우와 같이, IP 레이어라기 보다는 하부 레이어들임)만으로 수립된다.
1...eNB 블록
2...vUE(들)의 세트
3...관리 유니트
4...MME 블록
5...HSS 블록
6...라우터

Claims (16)

  1. 베이스 스테이션들과 제1 사용자 터미널들의 세트를 구비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용 베이스 스테이션(e2NB)에 있어서:
    - 무선주파수 데이터를 발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 및
    -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통신 링크를 수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들에 특수한 무선 프로토콜 섹션과 사용자 터미널들에 특수한 무선 프로토콜 섹션을 포함하는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링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용자 터미널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어 블록(eNB)(1)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다수의 제2 사용자 터미널(vUE)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관리 유니트(3)를 더 포함하고,
    생성된 상기 제2 사용자 터미널들은,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의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가상 사용자 터미널들로 되어 있는, 베이스 스테이션(e2NB).
  2. 청구항 1에서,
    상기 관리 유니트(3)는 상기 제어 블록(eNB)(1)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용자 터미널 사이의 통신을 위한 제어 블록(eNB)(1)과,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과 그들의 통신을 위한 제2 가상 터미널들 사이에서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의 사용을 선택적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된, 베이스 스테이션(e2NB).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서,
    상기 관리 유니트(3)는 상기 제2 가상 터미널들의 각각에 식별자를 각각 할당하는, 베이스 스테이션(e2NB).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LTE 표준을 따르는, 베이스 스테이션(e2NB).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서,
    제2 사용자 가상 터미널은 무선 스캔을 규칙적으로 수행하고,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을 탐지하고, 상기 관리 유니트에게 탐지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리 유니트는, 탐지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하나가 제2 가상 터미널들과 함께 수립된 링크를 가진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일부가 아닐 때, 신규의 제2 가상 터미널과 탐지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사이에 통신을 적용하기 위해 상기 신규의 제2 가상 터미널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베이스 스테이션(e2NB).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서,
    이동성 관리 블록(MME)(4)과 제1 및 제2 사용자 터미널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HSS)(5)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성 관리 블록(MME)(4)은, 상기 제어 블록(eNB)(1)이 제1 사용자 터미널로부터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과 함께 통신 링크를 적용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할 때, 상기 요청 내에서 표시된 인증 요소들 및 상기 제1 사용자 터미널에 대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의 인증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터미널의 인증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관리 유니트(3)는, 제2 가상 사용자 터미널을 생성할 때, 상기 제2 가상 터미널에 특수한 인증 요소들을 상기 제2 가상 사용자 터미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제2 가상 터미널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위해 의도된 통신 링크를 적용하기 위한 요청을 발신할 때, 상기 관리 유니트에 의해 제공된 인증 요소들을 상기 요청 내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베이스 스테이션(e2NB).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관리 유니트(3)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연결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리스트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 각각의 제2 가상 터미널은 현재의 통신 링크를 함께 수립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상기 관리 유니트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관리 유니트는, 상기 제2 가상 터미널과 매칭되고 표시된 상기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상기 리스트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연결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제어 블록(eNB)(1)은 현재의 통신 링크를 함께 수립한 제1 터미널들을 상기 관리 유니트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터미널들의 하나가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의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의 가상 터미널일 때, 상기 관리 유니트는 상기 제1 가상 터미널과 매칭된 상기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상기 리스트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도록 구성된, 베이스 스테이션(e2NB).
  8. 청구항 7에서,
    라우터(6)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유니트(3)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연결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업데이트된 리스트에 따라 라우팅 규칙들을 업데이트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라우터는, 상기 관리 유니트에 의해 업데이트된 라우팅 규칙들에 따라, 제1 사용자 터미널들을 향하는 발신을 위한 제어 블록을 향하거나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을 향하는 발신을 위한 제2 가상 터미널들을 향하도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된, 베이스 스테이션(e2NB).
  9. 베이스 스테이션들과 제1 사용자 터미널들의 세트를 구비하고,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과 제어 블록(eNB)(1)을 구비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용 베이스 스테이션(e2NB) 내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해 무선주파수 데이터를 발신 및 수신하는 단계; 및
    -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어 블록(eNB)(1)에 의한 통신 링크를 수립하고, 상기 제어 블록(eNB)(1)에 의해 상기 링크를 통해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들에 특수한 무선 프로토콜 섹션과 사용자 터미널들에 특수한 무선 프로토콜 섹션을 구비하는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용자 터미널과 통신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의 관리 유니트(3)에 의해,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의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과 상기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제2 가상 사용자 터미널(vUE)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베이스 스테이션(e2NB) 내의 처리 방법.
  10. 청구항 9에서,
    상기 관리 유니트(3)에 의해, 상기 제어 블록(eNB)(1)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터미널 사이의 통신을 위한 제어 블록(eNB)(1)과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과 그들의 통신을 위한 제2 가상 터미널들 사이에서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모듈의 사용을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이스 스테이션(e2NB) 내의 처리 방법.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서,
    상기 관리 유니트(3)는 각각의 제2 가상 터미널에게 각각의 식별자를 할당하는, 베이스 스테이션(e2NB) 내의 처리 방법.
  12.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LTE 표준을 따르는, 베이스 스테이션(e2NB) 내의 처리 방법.
  13.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서,
    제2 사용자 가상 터미널은 무선 스캔을 규칙적으로 수행하고,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을 탐지하고, 상기 관리 유니트에게 탐지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탐지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하나가 제2 가상 터미널들과 함께 수립된 링크를 가진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일부가 아닐 때, 상기 관리 유니트가 신규의 제2 가상 터미널과 탐지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사이에 통신들을 적용하기 위해 상기 신규의 제2 가상 터미널을 생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e2NB) 내의 처리 방법.
  14.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어 블록(eNB)(1)이 제1 사용자 터미널로부터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과 통신 링크를 적용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할 때,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의 이동성 관리 블록(MME)(4)은 상기 요청 내에서 표시된 인증 요소들 및 제1 및 제2 사용자 터미널들에 대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의 HSS 블록(5) 내에 저장되고 상기 제1 사용자 터미널에 대한 인증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터미널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관리 유니트(3)는, 제2 가상 사용자 터미널을 생성할 때, 제2 가상 터미널에 특수한 인증 요소들을 상기 제2 가상 사용자 터미널에게 제공하고,
    각각의 제2 가상 터미널은,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위해 의도된 통신 링크를 적용하기 위한 요청을 발신할 때, 상기 관리 유니트에 의해 제공된 상기 인증 요소들을 상기 요청 내에 삽입하는, 베이스 스테이션(e2NB) 내의 처리 방법.
  15.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관리 유니트(3)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연결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리스트를 저장하고,
    - 각각의 제2 가상 터미널은 현재의 통신 링크를 함께 수립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상기 관리 유니트에게 표시하고, 상기 관리 유니트는, 상기 제2 가상 터미널과 매칭되고 표시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상기 리스트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연결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의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고,
    - 상기 제어 블록(eNB)(1)은 현재의 통신 링크를 함께 수립한 제1 터미널들을 상기 관리 유니트에게 표시하고, 상기 제1 터미널들의 하나가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의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의 가상 터미널일 때, 상기 관리 유니트는 상기 제1 가상 터미널과 매칭된 상기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상기 리스트 내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는, 베이스 스테이션(e2NB) 내의 처리 방법.
  16. 청구항 15에서,
    상기 관리 유니트(3)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연결된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업데이트된 상기 리스트에 따라 라우팅 규칙들을 업데이트 하고, 베이스 스테이션의 라우터는, 상기 관리 유니트에 의해 업데이트된 라우팅 규칙들에 따라, 제1 사용자 터미널들을 향하는 발신을 위한 제어 블록을 향하거나 이웃하는 베이스 스테이션들을 향하는 발신을 위한 제2 가상 터미널들을 향하도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라우팅하는, 베이스 스테이션(e2NB) 내의 처리 방법.
KR1020177023918A 2015-02-25 2016-02-25 가상 터미널들을 사용한 x2 링크의 셋업 KR1024379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00366A FR3033121B1 (fr) 2015-02-25 2015-02-25 Station de base pour un reseau de radiocommunications et procede de traitement dans une station de base
FR1500366 2015-02-25
PCT/EP2016/054002 WO2016135252A1 (fr) 2015-02-25 2016-02-25 Etablissement d'une liaison x2 utilisant des terminaux virtu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620A true KR20170123620A (ko) 2017-11-08
KR102437957B1 KR102437957B1 (ko) 2022-08-29

Family

ID=5326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918A KR102437957B1 (ko) 2015-02-25 2016-02-25 가상 터미널들을 사용한 x2 링크의 셋업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3262864B1 (ko)
KR (1) KR102437957B1 (ko)
BR (1) BR112017018090A2 (ko)
DK (1) DK3262864T3 (ko)
ES (1) ES2718936T3 (ko)
FR (1) FR3033121B1 (ko)
MY (1) MY189562A (ko)
PL (1) PL3262864T3 (ko)
PT (1) PT3262864T (ko)
SG (1) SG11201706795WA (ko)
TR (1) TR201903594T4 (ko)
WO (1) WO2016135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1453B1 (fr) 2018-12-30 2023-01-20 Air Lynx Etablissement d’une liaison d’échange de données sous protocole IP entre des stations de base de structures mobiles avec partage de la bande de fréquence en sous-bandes de fréquences
FR3091450B1 (fr) 2018-12-30 2024-01-19 Air Lynx Etablissement d’une liaison d’échange de données sous protocole IP entre des stations de base améliorées par communication direc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495A (ko) * 2001-01-17 2002-10-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구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라디오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22208A (ko) * 2003-03-12 2005-12-28 오렌지 에스에이 원격 통신
KR20080085039A (ko) * 2006-01-16 2008-09-22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동성을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네트워크 내의 게이트웨이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WO2013153128A2 (en) * 2012-04-12 2013-10-17 Telefonica, S.A. A method and a system for communication in lte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0775B1 (fr) * 2006-12-22 2009-01-23 Alcatel Lucent Sa Reseau radio flexib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495A (ko) * 2001-01-17 2002-10-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구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라디오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22208A (ko) * 2003-03-12 2005-12-28 오렌지 에스에이 원격 통신
KR20080085039A (ko) * 2006-01-16 2008-09-22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동성을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네트워크 내의 게이트웨이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WO2013153128A2 (en) * 2012-04-12 2013-10-17 Telefonica, S.A. A method and a system for communication in lte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262864T3 (pl) 2019-05-31
TR201903594T4 (tr) 2019-04-22
EP3262864B1 (fr) 2018-12-12
MY189562A (en) 2022-02-16
WO2016135252A1 (fr) 2016-09-01
FR3033121A1 (fr) 2016-08-26
BR112017018090A2 (pt) 2018-04-10
KR102437957B1 (ko) 2022-08-29
PT3262864T (pt) 2019-03-25
ES2718936T3 (es) 2019-07-05
DK3262864T3 (en) 2019-04-01
FR3033121B1 (fr) 2017-03-24
EP3262864A1 (fr) 2018-01-03
SG11201706795WA (en)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275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ellular network communication based on plural mobile cores
US11224032B2 (en) Layer 2 relay to support coverage and resource-constrained devices in wireless networks
US9124510B2 (en) Configuring relay cell identities in cellular networks
Gomez et al. Enabling disaster-resilient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Doppler et al.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s an underlay to LTE-advanced networks
US9258697B2 (en) Mobile station, position management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600663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in Communications Systems with Relay Nodes
EP2910047B1 (en) Optimized user equipement relaying
KR20110123662A (ko)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70034765A1 (en) A method for operating a base station
KR102416366B1 (ko) 키를 설정하고 전송하는 방법
KR102437957B1 (ko) 가상 터미널들을 사용한 x2 링크의 셋업
CN103974228B (zh) 一种实现x2代理的方法及系统
US20210092601A1 (en) Authentication system
US11115817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mutual authentication for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structures of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1932061A (zh) 一种长期演进增强系统中传递公共过程信息的方法和系统
WO2024031342A1 (en) Srap header formats for ue-to-ue relay
CN109874157B (zh) 一种rn支持lte与wlan汇聚的方法及系统
US20200214060A1 (en) Establishment of a link for exchanging ip protocol data between improved base stations by direct communication
Gamboa Sánchez LTE self-backhaul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