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604A - 엘라스토머 체인을 가지는 치과교정용 기구 - Google Patents

엘라스토머 체인을 가지는 치과교정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604A
KR20170123604A KR1020177015858A KR20177015858A KR20170123604A KR 20170123604 A KR20170123604 A KR 20170123604A KR 1020177015858 A KR1020177015858 A KR 1020177015858A KR 20177015858 A KR20177015858 A KR 20177015858A KR 20170123604 A KR20170123604 A KR 20170123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h wire
tooth
flange
hook
conn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2598B1 (ko
Inventor
롤프 하겔간츠
주르겐 바텐
로버트 카바니
Original Assignee
월드 클래스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076,280 external-priority patent/US9517112B2/en
Application filed by 월드 클래스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월드 클래스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123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61C7/303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Abstract

치과교정용 기구는 환자의 차이에 부착되도록 조정된 베이스 부 및 아치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튜브형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유연한 탄성 후크를 포함하는 상단부를 포함한다. 상단부는 후크에 부착되고 엘라스토머 파워 체인의 루프를 연결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의 플랜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라스토머 체인을 가지는 치과교정용 기구{ORTHODONTIC APPLIANCE WITH ELASTOMERIC CHAIN}
본 발명은 치과교정용 기구(orthodontic appliances)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단면이 둥글고 엘라토머 체인과 맞물리기 위한 플랜지(flange)를 갖춘 만곡형 아치와이어(archwire) 슬롯을 가지는 치과교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재배열을 위한 치과교정 치료는 치아에 부착되는 기구, 및 기구에 연결되는 아치와이어의 조합물을 채용한다. 아치와이어에 정확한 크기의 장력을 줌으로써, 치과교정 전문의는 환자 치아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치과교정용 기구("브래킷"으로도 알려짐) 각각은 아치와이어를 수용하는 아치와이어 슬롯을 가진다. 아치와이어는 사람 구강 내 치아의 아치와 유사한 곡선을 가지는 뻣뻣한 와이어 조각이다. 즉, 구강 좌측의 뒷어금니에서 구강 우측의 뒷어금니까지, 대략 180도의 아치를 형성하는 자연적인 곡선이 존재한다. 이러한 아치는 원형이 아니라 U자 형상이다. 그 말단부에서, 이 아치는 거의 어떤 곡선을 가지지 않고 대체로 곧다. 그러나, 이 아치는 앞쪽 치아로 갈수록, 그 곡선이 더 두드러진다.
아치와이어의 장력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아치와이어 슬롯 내에서의 아치와이어의 상호작용은 가능한 외부 힘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할 필요가 있다. 적절하게 조절된 아치와이어가 치아에 가하는 토크는 치아의 표면에 수직인, 내측/외측 방향으로 작용한다. 옆에서 옆 방향으로 작용하는, 즉, 아치와이어 자신의 아치를 따르는 힘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힘은 존재할 수 있는데, 이는 아치와이어 슬롯의 단부가 아치와이어와 접촉하는 에지들을 가지고 슬롯 내에서 아치와이어의 움직임에 대한 저항으로 역할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아치와이어의 굴곡이 가장 두드러지는 구강 내 위치에서 일어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아치와이어는 슬롯의 반대 에지까지 거의 완전히 가로지르는데, 이는 그러한 가장자리들이 와이어로 파고들 때 수용할 수 없는 크기의 마찰을 야기한다. 그 다음, 아치와이어를 조이는 것(tightening)은 원치 않는 방향으로 향하는 힘을 가지는 모멘트를 야기한다.
아치와이어는 단면이 원형이거나 직사각형일 수 있다. 직사각형 아치와이어는 치과교정 전문의에게 더 큰 통제력을 제공하지만 문제점도 제공한다. 직사각형 슬롯 내의 직사각형 아치와이어는 마찰을 만들어낸다. 슬롯 내 각각의 표면은 마찰을 만들 수 있고 원하는 힘의 적용을 방해할 수 있는 베어링 면(bearing surface)이다. 치료의 어느 단계에서, 하나의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다른 타입을 사용하는 것보다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의 종료 단계에는 주로 원형 아치와이어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원형 와이어와 아치와이어 슬롯 사이에 적은 마찰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는 원형 아치와이어가 선택된다. 그러나, 아치와이어 슬롯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아치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해 직사각형으로 만들어진다. 원형 아치와이어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슬롯 내에서도 흔히 사용되는데, 이러한 배열은 가능하지만 덜 바람직하다. 슬롯의 곧은 벽과 접촉하는 원형 아치와이어에 의해 만들어지는 마찰도 여전히 존재한다. 더욱이, 원형 아치와이어는 직사각형 슬롯 내에서 토크를 잘 만들지 못하는데, 이는 와이어와 슬롯 벽 사이에 접촉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전형적으로, 치과교정용 브래킷은 환자의 안쪽 입술 표면의 자극을 유발하는 프로파일을 가지는데, 이는 브래킷의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그 가장자리가 치아의 최상부 위로 너무 멀리까지 돌출하기 때문이다. 전형적인 치과교정용 브래킷 디자인은 다양한 미국 특허, 예컨대, 와일드만 등(번호 5,613,850), 대몬(번호 5,466,151), 및 파르진-니아 등의 공개 출원 번호 US2004/0072117 (현재, 미국 특허 번호 7,419,375)에서 볼 수 있다.
치과교정용 기구는 치아의 최상부 표면에 부착되도록 조정되어 있고, 베이스부 및 상단부를 포함하는데, 상단부는 아치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플렉시블 후크를 가진다. 상단부는 엘라스토머 파워 체인에 연결되기 위한 크기의 플랜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아래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살펴볼 때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복수의 치아 최상부 부분 및 연결 수단으로 이루어진 치아 교정 수단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기능 위치에 있는 치아 최상부 부분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치아 최상부 부분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2 및 3에 따른 치아 최상부 부분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기능적 위치가 실선으로 도시되고 조립 위치가 점선으로 도시된, 치아 최상부 부분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6은 기능 위치에 있는 치아 최상부 부분의 제3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로 프로파일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브래킷의 상면도이다.
도 9는 아치와이어가 점선 윤곽으로 도시된 도 8의 라인 9-9를 따라 취해진 절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라인 10-10을 따라 취해진 절단면도이다.
도 11은 점선으로 도시된 환자의 치아에 장착되고 파워 체인에 의해 연결된 도 8의 브래킷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브래킷의 측절단면도이다.
도 13은 치아에 부착된 한 세트의 치과교정용 브래킷 및 브래킷 세트를 잇는 아치와이어를 보여주는 환자 구강의 밑면도이다.
도 14는 직사각형 아치와이어 슬롯을 특징으로 하는 종래기술의 브래킷의 상면도이다.
도 14a는 도 14의 라인 A-A를 따라 취해진 절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의 라인 B-B를 따라 취해진 절단면도이다.
도 15a는 원형 아치와이어 슬롯 및 원형 아치와이어를 가진 치과교정용 브래킷의 상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브래킷의 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a의 아치와이어 및 브래킷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라인 17-17을 따라 취해진 도 15a의 아치와이어 및 브래킷의 절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a의 라인 18-18을 따라 취해진 도 15a의 아치와이어 및 브래킷의 절단면도이다.
도 19는 환자의 치아에 부착된 도 17의 브래킷의 절단면도이다.
도 20은 5개의 치과교정용 브래킷에 부착된 미리 성형된 아치와이어의 상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아치와이어 및 2개의 부착된 브래킷의 확대된 도면이다.
도 22는 엘라스토머 체인이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치과교정용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기구 중 하나의 중앙-말단 축을 따른 측면도이다.
도 24는 잇몸-교합 평면 내의 도 22의 기구 쌍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엘라스토머 체인의 루프와 맞물리기 위한 최상부 플랜지를 가진 치과교정용 기구의 상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기구의 측절단면도이다.
도 28은 엘라스토머 체인의 루프와 맞물리기 위한 최상부 플랜지를 가진 치과교정용 기구의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는 베이스 바디를 가지는 치아 교정 수단용 치아 최상부 부분에 관한 것이고, 이 베이스 바디에는 치아 지지면이 본딩(bonding)에 의해 치아 표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웃한 치아 최상부 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바디를 이격된 관계로 통과하여 가이딩 축을 따라 치아 지지면까지 이어지는 가이드 오목부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타입의 치아 최상부 부분은 브래킷이라고도 불리며, DE 20 2009 008571 U1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치아 최상부 부분은 치아의 외측면에서 본딩에 의해 형성되고, 그 단부에 치아 최상부 부분을 치아의 표면에 부착(접착)시키기 위한 접착면으로 사용되는 치아 지지면을 포함한다. 치아 최상부 부분에는 가이딩 축을 따라 뻗어 있고 치아 지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홈 타입의 오목부가 제공되어 있다. 공지된 치아 최상부 부분은 가이딩 축에 수직인 단면 평면에서 대체로 H자 형상의 단면을 포함한다. 치아 최상부 부분의 오목부는 이웃한 치아에 부착된 치아 최상부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 수단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치아 간 힘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연결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힘 및, 적용 가능하다면, 토크는 치아가 서로에 대하여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치아의 잘못된 위치(부정교합)의 교정을 가능하게 한다.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치아 최상부 부분은 단면 평면에서 직사각형 엔벨로프(곡선)로 근사화될 수도 있는 H자 형상의 단면이 특히 입술 안쪽의 구강점막(oral mucosa)의 자극을 야기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것은 복수의 그러한 치아 최상부 부분으로 이루어진 치아 교정 수단에 대한 착용감의 감소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 영역 내의 해부학적 조건에 대한 향상된 적응력을 포함하고, 점막을 덜 자극시키는 치아 최상부 부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베이스 바디가 가이딩 축에 수직인 단면 평면에서 대체로 삼각형 또는 원형 단면 형상의 단면을 포함하는 청구항 1항의 특징을 이용한, 상기 도입부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치아 최상부 부분으로 달성된다.
삼각형 또는 원형 단면 형상의 단면은 치아 최상부 부분과 대향하는 점막 간의 상대 이동 동안 마찰 감소를 보장한다. 그러므로, 마찰 감소로 인해, 점막은 말하는 동안 및 음식을 섭취하는 동안 모두 자극을 덜 받을 것이고, 점막 내 상처에 의한 불편함이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공지된 치아 최상부 부분과 달리, 이러한 치아 최상부 부분은 감소된 전체 높이를 가지며, 이는 점막 자극의 추가적인 감소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아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치아 최상부 부분의 높이는 연결 수단의 직경 또는 (예컨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때) 가장 긴 에지 길이의 2.5배 미만, 특히 2배 미만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연결 수단은 0.5mm 미만, 특히 0.4mm 미만이 되도록 선택된 가장 긴 에지 길이 또는 직경을 포함한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들이 하위 청구항에 제공되어 있다.
적절하게도, 대체로 삼각형 또는 원형 단면 형상인 단면의 베이스 라인은 치아 지지면에 의해 형성되고, 베이스 라인에 대한 평균 수직선은 베이스 라인 길이의 50 퍼센트 미만의 길이를 포함한다. 치아 최상부의 프로파일의 이러한 형상을 통해, 치아 표면에서의 치아 최상부 부분의 확실한 고정을 위해 필요한 치아 지지면의 크기와 각각의 치아 최상부 부분의 높이 간의 유리한 비율이 달성된다. 치아 표면을 지난 치아 최상부 부분의 최대 높이에 대응하는 평균 수직선의 길이는 공지된 치아 최상부 부분에 비해 작다. 그 결과, 치아 최상부 부분의 삼각형 또는 원형 단면 형상의 단면과 결합된 때,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최상부 부분으로 이루어진 치아 교정 수단의 매우 부드러운 사용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치아 지지면 부근의 베이스 바디의 각각의 외측면은 치아 지지면과 예각, 바람직하게는 45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5도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25도 미만의 각도를 이룬다. 치아 최상부 부분의 외측면은 구강 영역의 대향하는 점막과 특히 집중적으로 접촉하는 베이스 바디에 있는 면들이다. 외측면과 치아 지지면 사이의 선택된 각도가 작을수록, 치아 최상부 부분으로 구성된 치아 교정 수단의 착용감이 더 좋아진다. 그러나, 연결 수단의 수용이 항상 요구되기 때문에, 이 각도를 마음대로 줄일 수는 없다.
베이스 바디의 삼각형 단면은 2개의 외측면과 치아 지지면 사이에 동일한 예각을 가지는 이등변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러한 삼각형 단면은 각각의 외측면과 치아 지지면 사이에 포함되는 예각이 상이하게 선택된 임의의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원형 단면 형상의 단면은 대칭 또는 비대칭 원형 단면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개선으로서, 외측면들 사이 및/또는 외측면과 치아 지지면 사이에 전이 부분(transitional region)이 라운딩 오프 반경(rounding-off radius)과 함께 형성된다. 이것은 원치않는 점막을 자극할 수 있는, 외측면들 사이 또는 외측면과 치아 지지면 사이의 전이부에서의 날카로운 에지를 방지한다.
적절하게도, 바람직하게 언더커팅된(undercut), 가이드 오목부는 베이스 바디의 외측면 중 하나에서 시작하는 홈-타입의 자국(indentation)으로서 형성된다. 홈-타입의 자국은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형상의 연결 수단의 가이드 오목부로의 편안하고 신속한 삽입 및, 필요하다면, 가이드 오목부로부터의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가이드 오목부의 홈 개구가 가이드 오목부의 가이딩 축을 따라 뻗어 있고 그로 인해 그것의 전체적으로 뻗은 방향에 대하여 가로로/횡방향으로 연결 수단의 삽입/제거를 가능하게 한다면 특히 그러하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오목부에는, 예컨대, 가이드 오목부 내에 연결 수단이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언더컷(undercut)이 형성되어 있다.
유리하게도,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단면적으로 탄성인, 스냅-온 노즈(snap-on nose)가 베이스 바디에 형성되는데, 상기 스냅-온 노즈는 홈 형태의 자국을 국부적으로(regionally) 제한시키고, 가이드 홈 내에 연결 수단을 고정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스냅-온 노즈는 한편으로 후자가 인접한 치아 사이로 원하는 힘을 전달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치아 최상부에 쉽게 부착될 수 있고, 필요하다면 그것으로부터 다시 제거될 수 있도록, 치아 최상부에 연결 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스냅-온 노즈는 연결 수단의 스냅-인을 가능하게 하고, 치아 최상부 부분에 있는 연결 수단의 고정을 셀프 로킹(self-locking), 특히, 포지티브 로킹(positive locking)(폼 로킹(form-locking))시키는 적어도 단면적으로 탄성인 스프링 노즈로서 형성된다. 대안으로서, 홈-타입의 오목부는 또한 베이스 바디에 일체형으로 부착된 로킹 엘리먼트 또는 별도의 로킹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폐쇄될 수 있는데, 이때 로킹 엘리먼트는 잠금 위치와 풀림 위치 사이에서 시프트 또는 스윙/피벗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으로서, 스냅-온 노즈는 베이스 바디에 연결 수단을 셀프 로킹, 특히 포지티브 로킹(폼-로킹), 또는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스냅-온 노즈의 셀프 로킹 설계를 통해, 연결 수단은 탄성 변형되는 동안 치아 최상부로 밀려지고, 미리 정해진 기능 위치에 도달한 때, 사용자에 의한 임의의 노력이 없이 스냅-온 노즈의 회복력(탄성 회복 특성)에 의해 단독으로 움직이지 않게 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수단, 치아 최상부 부분 내의 가이드 오목부, 및 스냅-온 노즈는 포지티브 로킹에 의한 연결 수단의 고정이 달성되도록 협력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바디는 치아색,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 재료(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치아 최상부 부분이 환자의 구강 영역 내에 눈에 띄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치아 최상부 부분은 각각의 치아 색상에 로 콘트라스트(low contrast) 적응을 허용하기 위해 상이한 색상 및 반투명도로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하게도, 홈-타입의 자국은 이웃한 치아 최상부 부분 사이에 비트는 힘(torsional force)을 전달하도록 형성된, 프로파일의 연결 수단을 고정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이것은 이웃한 치아 간의 피벗 움직임을 유도할 가능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최상부 부분으로 이루어진 치아 교정 수단의 융통성(versatility)을 강화시킨다. 더 바람직하게는, 연결 수단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포함하는데, 이는 치아 최상부 부분의 오목부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맵핑되어 연결 수단과 치아 최상부 부분 사이의 토크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으로서, 홈-타입의 자국은 베이스 바디에 대한, 특히, 오목부의 가이딩 축을 따르는 또는 그것과 나란한 연결 수단의, 바람직하게는 저마찰 또는 거의 제로(0) 마찰의 상대적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 수단에 적응된다. 이것은 연결 수단의 빈번한 재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치아 오배열의 매우 신속한 교정을 가능하게 한다. 오목부와 연결 수단 간의 언급된 협력은 또한 자가 결찰(self-ligating)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연결 수단이 치아 최상부에 있는 연결 수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무 링과 같은 임의의 추가 엘리먼트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환자의 필요에 따라 치아 최상부의 오목부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치아교정용 기구는 원형 아치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해 탄력 있게 구부러지는 후크 부 위에 위치하는 플랜지(flange)를 포함한다. 플랜지는 엘라스토머 체인의 루프에 의한 맞물림이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이다. 이러한 체인은 타이 윙(tie wing) 등과 맞물릴 수 있는 루프를 가지는 재료의 플렉시블 웹(flexible web)이다. 이 기구는 로 프로파일 기기여서 플랜지가 주목할 만한 높이를 추가시키지 않지만, 종래의 타이 윙보다 엘라스토머 체인을 부착하기 위한 더 편리한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앞니, 송곳니, 및 어금니를 포함하는 사람 치아 배열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치아 교정 수단(1)이 도 1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수단은 도 1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다. 두 치아 교정 수단 모두 서로에 대하여 치아의 바람직한 배열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치아 교정 수단(1)은, 하나의 예로서, 모든 치아의 치아 표면(3)에 부착되어 있고, 예컨대, 와이어 형상을 가지는 연결 수단(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몇 개의 치아 최상부 부분을 포함한다. 연결 수단(4)은 치과교정 치료 동안 미리 정해진 위치로 치아를 옮기기 위해 치아 간 힘의 전달 및, 필요하다면, 토크의 전달도 가능하게 한다. 종래기술의 치아 교정 수단에서, 치아 최상부 부분은 확실히 치아보다 더 뻗어 있고, 연결 수단의 와이어 두께는 확실히 더 두껍게 선택된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최상부 부분(2)(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바디와 동일함)은 치아 지지면(5)을 포함하는데, 이것에 의해 치아 최상부 부분이 공지된 방법으로 치아 표면(3)에 본딩된다. 치아 지지면(5)의 측면에 각각 치아 지지면(5)과 예각(18, 19)(도 4)을 이루는 제1 외측면(6) 및 제2 외측면(7)이 존재한다. 외측면(6, 7)과 치아 지지면(5) 사이의 전이 영역이 라운딩 오프(rounding-off) 반경(20, 21)과 함께 형성되어 있다.
치아 최상부 부분(2)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치아 최상부 부분(2)의 단면(8, 9)은 외측면(6, 7) 및 치아 지지면(5)에 직각이다. 그러므로, 치아 최상부 부분(2)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면(8, 9)은 도 2 및 4의 도면 평면과 일치하는 단면 평면과 평행하다.
도 4의 개략적인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치아 최상부 부분(2)의 단면은 그것이 삼각형 엔벨로프(11) 내에 또는 원형 단면 형상의 엔벨로프(11a) 내에 포함되도록 형성된다. 엔벨로프(11)의 평균 수직선(14)은 치아 지지면(5)에 의해 결정되는 엔벨로프(11)의 베이스 라인(13)과 수직이다. 평균 수직선(14)의 길이는 베이스 라인(13)의 길이의 50 퍼센트 미만, 본 예에서 대략 40 퍼센트 미만인데, 이는 치아 최상부 부분(2)에 대한 로 프로파일을 야기하여 (도시되지 않은) 구강 점막의 자극을 줄인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치아 최상부 부분의 실시예에서, 단면 평면(10)에 수직으로 뻗은 오목부(12)가 대체로 L자 형상의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제공되어 있다. 예컨대, 치아 최상부 부분(2)은 그 길이 전체에 걸쳐 단면 평면(la)에 수직인 일정한 단면을 가지는 기하학적으로 돌출된 컴포넌트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오목부(12)는 또한 일정한 단면을 가지고 뻗어 있어, 예컨대, 원형 단면을 가지는 와이어 형상의 연결 수단(4)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가이딩 축(17)을 결정한다.
이러한 대체로 L자 형상의 프로파일 디자인으로 인해, 연결 수단을 고정화/고정시키기 위한 스냅-온 노즈(15) 및 스냅-온 후크(16)가 치아 최상부 부분의 베이스 바디(2)에 형성된다. 스냅-온 노즈(15)는 스냅-온 후크(15) 내의 도시된 기능 위치에서 연결 수단(4)을 로킹하도록 설계되었고, 그러므로 연결 수단(4)의 뻗은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횡방향으로 치아 최상부 부분(2)에 있는 연결 수단(4)의 안전한 포지티브 로킹(폼 로킹) 고정을 보장한다. (도시되지 않은) 조립 공정 동안, 연결 수단(4)은 그것의 세로로 뻗은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오목부(12)로 푸시되고, 스냅-온 노즈(15) 및 스냅-온 후크(15) 모두 탄성 변형된다. 조립 공정 동안, 스냅-온 노즈(15)가 치아 지지면(5)을 향해 구부러지고, 스냅-온 후크(15)는 반대 방향으로 변형된다. 그 결과, 오목부(12)는 연결 수단(4)의 삽입이 가능한 단면으로 개방된다. 스냅-온 노즈(15)와 스냅-온 후크(15)의 바람직하게는 배타적인 탄성 변형의 결과로서, 치아 최상부는 연결 수단(4)에 대하여 셀프 로킹된다.
연결 수단(4)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기능 위치에 도달하면, 스냅-온 노즈(15) 및 스냅-온 후크(15)의 복원력, 즉, 탄성 복원력이 그 단부에 대한 임의의 추가적인 조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단면 평면(la) 내에서 발생하는 힘에 대한 논-포지티브 로킹(포스 로킹) 및 포지티브 로킹(폼 로킹) 효과를 가질 것이다. 스냅-온 노즈(15) 및 스냅-온 후크(15) 모두 어셈블리 위치로의 탄성 피버팅 및 기능 위치로의 복원을 가능하게 하는 솔리드-스테이트 조인트(joint)로서 형성된 탄성 부분을 포함한다.
치아 최상부 부분(2)의 한 변형에서, 스냅-온 후크(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삽입물(22)을 이용하여 보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치아 최상부 부분(22)의 제2 실시예의 아래의 설명에서, 동일한 기능을 가진 컴포넌트들은 20씩 증가된 참조 번호가 부여된다. 치아 최상부 부분(22)은 본 경우에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이웃한 치아 최상부 부분(22) 사이에 토크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 수단(24)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오목부(32)는 연결 수단(24)이 3개의 측면을 통해 스냅-온 후크(36)와 맞물리고, 오목부(32)의 이러한 영역으로 스냅-온 노즈(35)에 의해 눌러지도록 연결 수단(24)에 대하여 조정된다.
도 5의 점선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연결 수단(24)이 장착된 때, 스냅-온 노즈(35)는 아래로 구부러질 것으로 가정되고, 스냅-온 후크는 치아 지지면(25)을 향해 아래로 변형된다. 이것은 오목부(32)가 연결 수단(24)이, 도 5의 실선 표현으로 도시된 기능 위치로 옮겨질 수 있는 단면까지 개방되게 한다. 연결 수단(24)이 기능 위치에 도달한 후, 스냅-온 노즈(35) 및 스냅-온 후크(36)는 실선으로 도시된 초기 위치로 탄성에 의해 다시 피벗할 것이고, 그러므로 연결 수단의 포지티브 로킹(폼 로킹)이 이루어질 것이다.
연결 수단(24)의 해체는 (도시되지 않은) 툴을 통해 치아 지지면(25)을 향하 스냅-온 노즈(35)를 아래로 잡은 후, 연결 수단(24)을 스냅-온 후크(36)를 변형시킨 동안 피벗 움직임을 수행하여 오목부(32) 밖으로 피벗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치아 최상부 부분(42)의 간단한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오목부(52)의 단면은 연결 수단(44)의 단면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고, 홈 개구부 영역의 양측에 제공된 가시형(barbed) 후크(57)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이러한 가시형 후크(57)는 연결 수단(44)이 오목부(52)로 삽입될 때 탄성 변형되고, 연결 수단(44)이 기능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도시된 위치로 되돌아갈 것이다. 도 6에 따른 실시예의 이점은 연결 수단(44) 및 오목부(52)의 대응하는 단면으로 인해 치아 최상부 부분(42)에 빈 공간이 없다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연결 수단(44)의 해체는 도 6의 도면 평면에 수직인 방향의 가이딩 축을 따라 측방향으로 연결 수단을 잡아당겨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치아 최상부 부분(2, 22, 42)은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합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치아 최상부 부분을 만들기 위해 세라믹 또는 금속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렇게 함에 있어서, 원하는 탄성 특성을 보장하기 위해, 치아 최상부 부분, 특히 솔리드-스테이트 조인트 영역의 기하학적 형상을 수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치아 최상부 부분에 플라스틱 재료 또는 세라믹 제로와 같은 합성 재료를 사용할 때, 금속 삽입물을 채용하는 지역적/부분적 보강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최상부 부분(2, 22, 42)은 이웃한 치아의 상대적 변위 및/또는 피버팅을 가능하게 한다. 치아 최상부 부분(2, 22, 42)이 임의의 후크 및 아일릿(eyelet)을 가지지 않는다고 가정하면("누크(nook)"와 구멍)(cranny")이 없다면), 고무 밴드와 같은 추가적인 연결 엘리먼트가 삽입될 수 없다. 교정될 치아에 추가적인 힘 적용을 제공하기 위해, 추가적인 후크가 잇몸 라인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선택된 또는 모든 치아에서 치아 최상부 부분(2, 22, 42)으로부터 구조적으로 분리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합성 재료로 만들어진 이러한 추가적인 후크는 치아 최상부 부분(2, 22, 42)보다 전형적으로 상당히 더 짧은 추가적인 연결 엘리먼트가 후크 업(hook up)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들이 추가적인 연결 엘리먼트를 배타적으로 연결하는데 적합하다면, 그들은 매우 얇은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다. 잇몸 라인 부근에 추가 후크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후크는 또한 거의 눈에 띄지 않게 그리고, 특히 이동될 치아에 대한 매우 적절한 힘 적용 포인트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이들이 치아의 평행 변위를 촉진할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치아 최상부 부분(2, 22, 42)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추가 후크에 의해 결정되는, 상이한 힘 적용 시스템의 분리로 인해, 구강 점막의 자극을 줄이면서 치아 교정 수단에 대한 대응하는 컴포넌트의 선택적으로 눈에 잘 띄지 않게 부착하는 것 뿐만 아니라, 힘 작용 포인트의 유리한 선택성으로 인해 치아의 매우 효과적인 이동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브래킷(100)은 베이스(102) 및 최상부 부분(104)을 포함한다. 브래킷(100)은 (점선 윤곽으로 도시된) 치아(101)에 부착된다. 베이스(102)는 잇몸-교합 평면(L1) 양측에 폭, 및 말단-전면 방향(W1)으로 길이를 가진다. 최상부 부분(104)은 대체로 실린더형 또는 튜브형인 아치와이어 채널(108)을 만들기 위해 정점을 지나 둥글게 말린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후크 부분(106)으로 이루어진다. 이 채널의 내부가 도한 도 6의 실시예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 실시예에서, 스냅-온 노즈는 제거되어 있고, 후크 부분(106) 아래에 선반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선반부 및 후크 부분(106)의 말단부는 아치와이어(114)(도 9의 점선 육곽)의 가장 큰 직경보다 약간 작은 개구(112)를 형성한다. 아치와이어(114)가 개구(112)로 끼워맞춤되도록 눌러질 때, 후크 부분(106)은 탄성 변형되어 아치와이어가 채널(112)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아치와이어(114)가 그 기능 위치에 도달하면, 후크는 스냅 백되어 아치와이어(114)를 그 안에 고정시킨다. 아치와이어는 (도시되지 않은) 도구를 통해 후크 부분(106)를 위로 들어올려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브래킷을 위한 아치와이어(114)는 얇다. 치료는 전형적으로 0.010"의 직경을 가진 아치와이어로 시작한다. 이것은 치료 동안 0.012" 및 마지막에는 0.014"까지 증가된다. 모든 아치와이어는 0.016"의 명목 채널 직경을 가지는, 브래킷(100) 내에 끼워맞춤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와이어 채널은 마찰을 줄이기 위해 브래킷의 중앙 부분이 더 크다.
아치와이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률 반경 "R"을 가진다. 말단-전면 방향에서 최상부 부분의 후크 부분(및 아치와이어 채널(108))의 내부 형상은 굽어있고, 아치와이어의 곡률 반경 "R"과 일치하게 만들어진 곡률 반경을 가진다. 이것은 가능한 한 작은 마찰력으로 아치와이어가 채널을 통해 미끄러지는 것을 보장한다.
베이스 및 최상부 부분은 탄성 파워 체인(120)을 위한 타이 윙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 파워 체인(도 1 참조)은 브릿지 부분(124)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2개의 개방 루프(122)를 가지는 탄성 밴드이다. 파워 체인(120)은 3개의 루프를 가지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을 함께 끌어당기기 위한 압축력을 가하기 위해 인접한 브래킷에 접하게 루프가 만들어질 수 있다. 파워 체인은 원하는 임의의 개수의 루프를 가질 수 있다.
타이 윙을 형성하기 위해, 최상부 부분(104)은 W1 및 W2로 지정된 화살표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향으로 베이스(102)의 폭보다 말단-전면 방향으로 더 길게 만들어진다. 게다가, 베이스(102)는 파워 체인(120)이 브래킷의 최상부 위에서 그것이 루프 형태가 될 때 더 쉽게 유지될 수 있도록, 그 코너가 챔퍼링될 수 있다. 코너(130, 132, 134 및 136)는 파워 체인 루프(122)를 유지하기 위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모두 챔퍼링될 수 있다.
브래킷(100)은 그 평균 높이, "h"가 잇몸-교합 방향으로 베이스(102)의 길이(L1)의 절반보다 작은 로-프로파일 브래킷이다. 이러한 로 프로파일은 브래킷이 환자의 입술 내부를 자극하지 않을 것임을 보장한다. 전형적인 치수로, 베이스의 잇몸-교합 길이는 대략 0.135"이다. 그러므로, 브래킷의 길이는 0.140" 내지 0.130" 인치일 수 있다. 로 프로파일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대략 0.053"이지만, 바람직하게는 대략 0.048" 내지 0.058" 범위일 수 있는 브래킷의 높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브래킷의 높이는 잇몸-교합 길이의 절반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그 길이가 0.130"이라면, 브래킷 높이는 0.065"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이것은 정점에서 둥근 왕관 형태를 가지는 단면이 삼각형인 브래킷을 야기한다. 이러한 삼각형이 그 브래킷을 환자에게 편안하고 조절하기 쉽게 만드는 얇은 로-프로파일 형상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아치와이어(200)는 환자의 치아에 부착되는 브래킷(202)에 연결된다. 아치와이어는 편자 형상으로 그 길이에 걸쳐 굽어 있지만, 굴곡이 일정한 것은 아니다. 구강 튜브의 말단부(204, 205)에서, 아치와이어(200)는 어금니(203)를 따라 거의 직선이다. 곡률 반경은 소구치(206, 207), 송곳니(208)에서 매우 갑작스럽게 변하기 시작하고, 측면(209) 및 중앙(210)을 거쳐 곡선을 이룬다. 그 길이를 따른 상이한 포인트에서 아치와이어의 다양한 곡률 반경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4, 14a, 14b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브래킷에서, 직사각형 아치와이어(211)는 전형적인 브래킷(213)의 아치와이어 슬롯(212) 내로 뻗는다. 도 14a에서 볼 수 있듯이, 아치와이어(211)에 굴곡이 존재할 때, 그것은 슬롯(212)의 단부와 접촉하고 평평하게 놓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슬롯의 단부는 이 지점에서 아치와이어 내로 파고들고 측방향의 미끄러짐 움직임에 저항한다.
도 15a 내지 도 18의 브래킷의 실시예에서, 둥근 아치와이어(220)는 두 부분, 즉 슬롯부(222a) 및 슬롯부(222b)를 가지는 브래?c(224) 내의 아치와이어 슬롯(222)을 차지한다. 아치와이어 슬롯 부분은 직선 벽을 가지고, 아치와이어의 반경과 적어도 대략적으로 일치하는 반경을 가지는 튜브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바닥이 굽어 있는 둥근 U자 형상의 채널이다. 슬롯부는 타이 윙(219, 218)의 각각의 쌍 사이에 형성된다. 타이 윙(218, 219) 사이에 갭(217)이 존재하므로, 아치와이어는 오직 슬롯부(222a 및 222b)와 접촉한다. 이것은 아치와이어(222)와 아치와이어 슬롯(222) 사이에 측방향 미끄러짐 마찰의 크기를 줄인다. 아치와이어의 와측면의 180도 윗 부분은 아치와이어 슬롯부(222a, 222b)의 벽 및 바닥과 직접 접촉한다. 그러므로, 치아에 안쪽으로 수직인 방향의 힘, 또는 잇몸-교합 방향의 힘은 브래킷(224)에 잘 연결된다. 이것은 둥근 바닥의 아치와이어 슬롯(222) 내의 아치와이어(220)에 의해 환자의 치아에 토크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보여주는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특성은 또한 도 7-12의 로 프로파일 브래킷에도 존재한다. 도 9에서, 아치와이어 슬롯 또는 채널(108)은 둥근 아치와이어(114)를 수용하기 위해 원형이다. 아치와이어(114)는 오직 브래킷의 양단부에서만 채널(108)과 접촉한다. 그러므로, 아치와이어가 접촉하지 않는 브래킷 중앙에서 확장된 반경으로 인해 마찰이 감소된다.
아치와이어는 니켈-티타늄이고, 그들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열처리된다. 그러므로, 이들은 메모리를 가지고, 최적의 결과를 위해 선택되고 만들어졌던 그들의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경향을 가진다. 이러한 스프링 효과는 아치와이어 슬롯의 벽에 가해지는 힘을 발생시킨다. 원형 아치와이어 슬롯의 경우, 아치와이어의 원주의 절반 이상이 표면이 슬롯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힘이 더 효과적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이는 아치와이어 슬롯 내의 임의의 접촉점에 복원력을 효과적으로 연결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브래킷(224)의 아치와이어 슬롯(222)은 그 부분에서 아치와이어(220)의 곡률 반경과 일치하는 중앙-말단 평면으로의 곡률 반경을 가진다. 아치와이어 슬롯(222a, 222b)의 바닥은 거의 평평하게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아치와이어(220)의 굴곡을 따라 그들이 놓여지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브래킷에 대하여 상이할 수 있는 볼록한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0 및 21을 참조하면, 각각의 아치와이어 슬롯(231, 233)의 굴곡은 브래킷(230 및 232)에 대하여 상이하다. 곡률 반경은 아치와이어(22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아래의 표는 아치와이어의 가장 일반적인 형상 및 크기에 대한 전형적인 값의 범위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이러한 값들은 단지 전형적인 것일 뿐이고, 아치와이어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게다가, 하나의 세트 내의 각각의 브래킷은 구강 내의 그 위치에 따라 그들 자신의 윤곽을 가진 아치와이어 슬롯을 가질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의 세트의 브래킷 내의 각각의 아치와이어 슬롯에 대한 곡률 반경에 대하여 하나의 세트의 값이 존재한다.
윤곽을 가진 아치와이어 슬롯의 사용은 도 1 내지 도 12의 로 프로파일 브래킷을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치과교정용 브래킷 또는 도 13 내지 도 21의 일반적인 풀 사이즈 브래킷에 적용 가능하다. 이는 원형 아치와이어 슬롯에 대해서도 그러하다. 상호 보완적인 원형 아치와이어 슬롯 내의 원형 와이어의 사용은 임의의 타입의 치과교정 브래킷에서 유리하다.
대안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도 22 내지 도 28에 도시된 브래킷(300)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브래킷(300)은 환자 치아에 부착되도록 조정된 베이스 부(302) 및 상단부(304)를 포함한다. 도 27에서 볼 수 있듯이, 베이스 부(302)는 브래킷(320)의 밑면 부근에 본드 패드(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드 패드(322)는 (도시되지 않은) 접착제가 채워지기 위한, 베이스 부(302) 내 채널을 형성하는 측벽을 가진다. 접착제와 함께 본드 패드(322)의 사용은 브래킷(300)이 브래킷이 전단력을 받을 때 치아 표면에 고정 유지되는 것을 돕는다.
도 25 내지 도 26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듯이, 상단부(304)는 내부 튜브형 벽을 가지는 대체로 실린더형 또는 튜브형인 아치와이어 채널 또는 트로프(trough)(308)를 형성하도록 정점을 지나 둥글게 말린 유연한 탄성 후크(306)를 포함한다. 채널 또는 트로프(308)는 중앙-말단 방향으로 뻗도록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 채널의 내부는 또한 도 6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단면일 수도 있다. 후크부(306)의 말단부는 (도 22-24에서 볼 수 있는) 아치와이어(312)의 최대 직경보다 약간 더 작은 개구(310)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아치와이어(312)는 그 길이에 걸쳐 편자 형상으로 굽어 있지만, 그 굴곡이 일정한 것은 아니다. 아치와이어(312)가 개구(310)로 눌러져 끼워맞춤될 때, 후크부(306)는 탄성 변형되어 아치와이어가 채널(308)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치와이어(312)가 채널(308) 내 그 기능 위치에 도달하면, 후크(306)는 다시 스냅되어 그 안에 아치와이어(312)를 고정시킨다. 채널(308)은 아치와이어가 채널의 표면 영역의 180도 이상과 접촉하도록, 아치와이어의 반경과 대략 일치하는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아치와이어는 (도시되지 않은) 도구를 통해 후크 부(306)를 위로 들어올려 제거될 수 있다.
상단부(304)는 또한 플랜지(314)를 포함한다. 플랜지(314)는 후크 부(306)의 최상부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플랜지는 잇몸-교합 방향보다 말단-전면 방향으로 더 짧다. 플랜지(314)는 도 22-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 파워 체인(316)과 맞물리는 형상이다. 파워 체인(316)은 적어도 2개의 이격된 구멍 또는 루프(318)를 가지는 일반적인 탄성 재료의 밴드일 수 있다. 플랜지(314)의 코너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플랜지(314)와 파워 체인(316)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챔퍼링될 수 있다. 플랜지(314)는 또한 브래킷(320)의 바닥면 도는 베이스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에 놓일 수 있다.
아치와이어(312)가 브래킷(300) 내부 위치에 고정되도록, 그리고 파워 스트립(316)이 아치와이어 최상부 위에 맞물리도록 하는 브래킷(300)의 구성은 파워 스트립(316)의 치과교정 사용을 돕는다. 이러한 파워 스트립은 인접한 치아 내의 갭을 막기 위한 힘을 가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파워 스트립(316)이 아치와이어(312)가 채널(308) 내의 제 위치에 세팅된 후에, 플랜지(314)의 사용을 통해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아치와이어(312)를 해체하지 않고도 환자의 필요에 따라 파워 스트립(316)의 구성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명세서에서 사용되었던 용어 및 표현들은 제한이 아닌 설명을 위해 여기서 사용되었고, 그러한 용어 및 표현의 사용에 있어서, 도시되고 서술된 특징의 동등물 또는 그 일부분을 배제할 의도는 없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항에 의해서만 정의되고 제한됨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8)

  1. 엘라스토머 파워 체인 및 치과교정용 브래킷 조합물로서,
    상기 치과교정용 브래킷은 환자의 치아에 부착되도록 조정된 베이스 부 및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는
    내측 튜브형 벽을 가지는 탄성 후크로서, 상기 탄성 후크는 원형 트로프 위에 놓여있고, 상기 트로프 및 상기 내측 튜브형 벽은 아치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말단 방향으로 뻗은 채널을 형성하는 것인 상기 탄성 후크, 및
    상기 탄성 후크 위에 위치하고 상기 엘라스토머 파워 체인과 맞물리도록 조정된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라스토머 파워 체인 및 치과교정용 브래킷 조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 파워 체인은 이격된 구멍을 가지는 유연한 재료의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라스토머 파워 체인 및 치과교정용 브래킷 조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치과교정용 브래킷의 상기 베이스 부와 대체로 평행한 평면 내에 놓인 대체로 직사각형인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라스토머 파워 체인 및 치과교정용 브래킷 조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튜브형인 상기 채널은 상기 아치와이어가 튜브형인 상기 채널의 표면 영역의 180도 초과 부분과 접촉하도록 상기 아치와이어의 단면 반경과 대략 일치하는 단면 반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라스토머 파워 체인 및 치과교정용 브래킷 조합물.
  5. 치과교정용 기구로서,
    환자 치아에 부착되도록 조정된 베이스 부, 및
    아치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튜브형 채널을 형성하는 유연한 후크를 포함하는 상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는 상기 유연한 후크에 부착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과교정용 기구는 상기 플랜지에 의해 맞물려지도록 조절된 루프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 파워 체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엘라스토머 파워 체인에 연결되기 위한 크기 및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기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채널 내에 편안하게 끼워맞춤되도록 조정된 아치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기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유연한 후크 위에 대체로 중앙에 있는 평평한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교정용 기구.
KR1020177015858A 2016-03-21 2016-07-29 엘라스토머 체인을 가지는 치과교정용 기구 KR101932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76,280 US9517112B2 (en) 2010-02-20 2016-03-21 Low profile bracket with elastomeric chain
US15/076,280 2016-03-21
PCT/US2016/044802 WO2017164916A1 (en) 2016-03-21 2016-07-29 Orthodontic appliance with elastomeric ch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604A true KR20170123604A (ko) 2017-11-08
KR101932598B1 KR101932598B1 (ko) 2018-12-27

Family

ID=5989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858A KR101932598B1 (ko) 2016-03-21 2016-07-29 엘라스토머 체인을 가지는 치과교정용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247307B1 (ko)
KR (1) KR101932598B1 (ko)
AU (1) AU2016333711B2 (ko)
BR (1) BR112018008610A2 (ko)
TW (1) TW201735872A (ko)
WO (1) WO201716491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2028A (en) * 1960-09-27 1962-09-04 Wallshein Melvin Orthodontic brackets
US3218712A (en) * 1961-04-11 1965-11-23 Wallshein Melvin Orthodontic fittings
US3327393A (en) * 1964-06-16 1967-06-27 Allen C Brader Orthodontic arch wire edgewise brackets
US3530583A (en) * 1967-04-24 1970-09-29 Paul E Klein Tractive means for use with orthodontic apparatus
US4416627A (en) * 1977-06-07 1983-11-22 Beazley William W Orthodontic appliance
US5474448A (en) * 1990-01-19 1995-12-12 Ormco Corporation Low profile orthodontic appliance
US5317074A (en) 1991-02-07 1994-05-3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ain-resistant elastomeric orthodontic force module
DE102004016317B4 (de) * 2004-03-30 2007-09-06 Bernhard Förster Gmbh Kieferorthopädische Vorrichtung
JP4505815B2 (ja) * 2005-07-20 2010-07-21 チカミミルテック株式会社 歯列矯正装置
WO2009141825A2 (en) * 2008-05-22 2009-11-26 Rgb Orthodontics Ltd.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US8807995B2 (en) * 2010-02-20 2014-08-19 World Class Technology Corporation Tooth top part
US9566134B2 (en) * 2010-02-20 2017-02-14 World Class Technology Corporation Orthodontic applicance with radiused wire slot
US9119689B2 (en) * 2011-02-08 2015-09-01 World Class Technology Corporation Manipulator tool for low-profile bracket
DE102012006173B4 (de) * 2012-03-28 2017-10-19 Tena Eichenberg Kappe für ein orthodontisches Bracket und Vorrichtung zur Zahnreguli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7307B1 (en) 2019-11-13
BR112018008610A2 (pt) 2018-10-30
AU2016333711A1 (en) 2017-10-05
WO2017164916A1 (en) 2017-09-28
KR101932598B1 (ko) 2018-12-27
EP3247307A4 (en) 2017-11-29
TW201735872A (zh) 2017-10-16
EP3247307A1 (en) 2017-11-29
AU2016333711B2 (en)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6134B2 (en) Orthodontic applicance with radiused wire slot
US9517112B2 (en) Low profile bracket with elastomeric chain
US8807995B2 (en) Tooth top part
US9119689B2 (en) Manipulator tool for low-profile bracket
ES2288826T3 (es) Bracket ortodontico y sus herramientas.
US8246347B2 (en) Low profil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and methods of using such orthodontic brackets
ES2684539T3 (es) Bracket ortodóncico autoligante
EP2644150A1 (en) Active self-ligating bracket
US20190175306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20090136889A1 (en) Orthodontic bracket including mechanism for reducing slot width for early torque control
US11911235B2 (en) Occlusal splint arrangement with a fixing band
JPH0371896B2 (ko)
US5540586A (en) Elastomeric orthodontic ligatures
US20150173859A1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ligating feature
US11589959B2 (en) Intraoral device with a pair of articulated dental aligners
US20230329842A1 (en) Bracket
KR101932598B1 (ko) 엘라스토머 체인을 가지는 치과교정용 기구
US5967774A (en) Dental assist appliance for attachment of orthodontic wire and orthodontic appliance using it
CA2963893C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elastomeric chain
US6488498B1 (en) Elastic orthodontic component
WO2011102994A1 (en) Tooth top part
WO2017087533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20230165663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KR200455491Y1 (ko) 치열교정용 파워체인
BR102014003075A2 (pt) bráquete autoligável com sistema de encaixe para clipe flexìvel passívo e interativ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