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364A - 다수의 단말기의 동시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단말기의 동시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364A
KR20170122364A KR1020160051156A KR20160051156A KR20170122364A KR 20170122364 A KR20170122364 A KR 20170122364A KR 1020160051156 A KR1020160051156 A KR 1020160051156A KR 20160051156 A KR20160051156 A KR 20160051156A KR 20170122364 A KR20170122364 A KR 20170122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power supply
wireless power
opening
out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춘택
이은수
구범우
김호직
손호성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051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2364A/ko
Publication of KR20170122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3Multiple coils at either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5Magnetic shield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수의 단말기의 동시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를 개시한다.
단말기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중공 또는 요홈부가 형성된 외측 코어부의 내측면에 급전코일이 권취된 무선 급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수의 단말기의 동시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Apparatus for Wireless Power Supply for Simultaneous Wireless Power Charge for Plurality of Mobile Terminal}
본 실시예는 다수의 단말기의 동시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모바일 기기, 사물인터넷,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스마트 전자기기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는 가운데, 이러한 스마트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전력공급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현재 스마트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은 대부분 배터리 충전기를 이용한 유선충전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선충전기와 스마트 전자기기당 1:1 충전, 충전기의 충전포트와 전자기기의 수동 연결, 충전시 유선으로 인한 사용자유도 감소로 인해 무선충전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의 필요성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특정위치에 고정시켜 접촉식으로 무선충전하는 방식의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출시(한국공개특허 2013-0069692 참고)되었으나, 송수신부간 1:1 무선충전, 송수신부간 단방향 정렬 특성, 고정된 모바일 기기로 인한 사용자유도 제한 등의 단점이 있다. 상기 단점을 일부 보완하고자 박스형 무선 급전장치(한국등록특허 1145682)가 제안되었으나, 송수신부간 정확한 정렬 요구, 주변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정렬 오차로 인해 사용하기에 여전히 불편하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모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무선 급전장치를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단말기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중공 또는 요홈부가 형성된 외측 코어부의 내측면에 급전코일이 권취된 무선 급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무선 급전장치는 무선충전박스 내부에 외장코어형 루프코일을 설치하고, 단말기에는 다이폴 코일을 부착하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무선 급전장치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자장이 발생하고 발생된 자장이 어떤 회전방향(투입방향 기준)에서도 단말기에 수신될 수 있도록 하며, 무선 급전장치 및 단말기가 서로 밀착될 필요도 없이, 다수의 단말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단말기의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중공이 형성된 외측 코어부; 및 상기 외측 코어부의 일측 개구부에서 타측 개구부 사이의 내측면에 권취되는 급전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급전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단말기를 상하/전후방향에 관계없이 무선 급전장치에 투입하기만 하면, 다수의 단말기와 무선 급전장치 간에 이격이 존재하더라도 무선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급전장치의 외측에 코어부를 구비하여 무선급전효율 증가 및 외부로부터 누설 자기장을 차폐하여 인체 안전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급전장치의 일측 또는 타측에 추가적인 차폐코일을 구비하여 외부로 방사되는 자기장을 상쇄하여 인체 안전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급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급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폐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급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단말기의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급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급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폐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급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단말기의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급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급전장치(100)는 외측 코어부(110) 및 급전코일(120)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급전장치(100)에 포함된 외측 코어부(110)는 중공이 형성된 통형 코어를 말하며, 급전코일(120)에서 방사하는 자기장의 전달 방향을 제어한다. 외측 코어부(110)는 형성된 중공에 의해 양측에 개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외측 코어부(110)는 양측에 구비된 개구부를 통해 무선충전을 위한 단말기(400)의 입출이 가능하다.
외측 코어부(1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태를 갖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외측 코어부(110)는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 중 어느 하나의 중공 형태를 갖는 통형 코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코어부(110)는 사각형 형태의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태의 중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원형 형태의 중공이 형성된 외측 코어부(110) 경우, 무선 급전장치(100)가 지면에서 굴러가지 않도록 외측 코어부(110)의 외측면에 고정부(130)를 구비한다. 여기서, 고정부(130)는 외측 코어부(11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탈착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130)는 도 1의 (b)에서 외측 코어부(110)의 외측면의 중앙에 구비된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측 코어부(110)의 길이방향(A - A')으로 외측면 전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외측 코어부(110)는 중공의 길이방향(A - A')과 지면(x, y 평면)이 평행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측 코어부(110)는 중공의 길이방향(A - A')과 지면(x, y 평면)이 수직인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중공의 길이방향(A - A')과 지면(x, y 평면)이 수직인 경우, 외측 코어부(110)의 일측 개구부는 지면에 의해 폐쇄되고, 타측 개구부를 통해 단말기(400)의 입출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전코일(120)은 무선 급전장치(100)에 포함된 외측 코어부(110)의 내측에 권취되며,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자기장을 방사한다. 여기서, 전원부(미도시)는 무선 급전장치(100)의 자기장 발생을 위한 각종 회로 예컨대, AC-DC 정류기, DC-AC 인버터, 전류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급전코일(120)은 외측 코어부(110)의 일측 개구부 및 타측 개구부 사이의 내측면을 따라 권취된다. 예컨대, 급전코일(120)은 외측 코어부(110)의 내측면을 따라 일측 개구부에서 타측 개구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권취된 코일일 수 있다.
급전코일(120)은 중공의 길이방향(A - A')과 나란한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외측 코어부(110)의 내측면을 따라 권취되며, 급전코일(120)이 권취된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과 같이 중공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급전코일(120)의 권선 수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차폐코일(310, 320)의 유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차폐코일(310, 320)은 외부로 방사되는 자기장을 감쇄시키기 위한 코일로서, 도 3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급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사각형 형태의 중공이 형성된 무선 급전장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의 (b)는 원형 형태의 중공이 형성된 무선 급전장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의 중공이 형성된 무선 급전장치(100)의 급전코일(120)은 외측 코어부(110)의 내측면의 형태에 따라 4 개의 절곡부를 갖는 형태로 권취된다. 여기서, 급전 코일은 x, z 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절곡부를 갖는 형태로 권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x, z 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권취될 수도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태의 중공이 형성된 무선 급전장치(100)의 급전코일(120)은 외측 코어부(110)의 내측면의 형태에 따라 원형의 형태로 권취된다. 여기서, 급전 코일은 x, z 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원형으로 권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x, z 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권취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폐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급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급전장치(100)는 외부로 방사되는 자기장을 감쇄시키기 위한 차폐코일(310, 320)을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서, 차폐코일(310, 320)은 무선 급전장치(100)의 일측 개구부에 인접한 차폐코일a(310) 및 무선 급전장치(100)의 타측 개구부에 인접한 차폐코일b(320)를 포함하며, 차폐코일a(310) 및 차폐코일b(320)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권취되고, 급전코일(120)의 권취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코일(310, 320)은 급전코일(120)과 동일한 코일이면서 권선 방향만 급전코일(120)과 반대인 코일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급전코일(120)과 별도의 폐루프 코일일 수도 있다.
무선 급전장치(100)의 차폐코일(310, 320)은 외부로 발생하는 자기장을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국제기준 이하로 감소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예컨대, 인체에 대한 자장 노출을 국제기준인 ICNIRP(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Non-Ionizing Radiation Protection) 가이드라인(예: 27 uT) 이하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차폐코일a(310), 차폐코일b(320) 및 급전코일(120) 간의 권선 비율은 3 turns : 3 turns : 20 turns 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급코일(12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감소시키기 위한 설정치에 근거하여 차폐코일(310, 320)의 턴 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단말기의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무선 급전장치(100)의 내부에 단말기(400)가 위치하여 충전 중인 상태를 나타내며, 무선 급전장치(100)의 크기에 따라 충전 가능한 단말기(40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단말기(400)는 수신코어(810) 및 수신코일(820)을 포함하는 다이폴 구조의 수신부를 포함하며, 수신부를 통해 무선 급전장치(100)의 중공의 길이방향으로 발생하는 자기장을 수신한다.
무선 급전장치(100)는 x, z 평면과 수직 방향으로 자기장이 발생하며, 이러한 자기장의 발생 방향으로 인해 단말기(400)가 무선 급전장치(100)의 내측면과 밀착될 필요가 없으며, 단말기(400)가 어떤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어도 충전 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급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급전장치(500)는 외측 코어부(110), 급전코일(120) 및 제1 코어부(510)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급전장치(500)에 포함된 외측 코어부(110)는 중공이 형성된 통형 코어를 말하며, 급전코일(120)에서 방사하는 자기장의 전달 방향을 제어한다. 외측 코어부(110)는 형성된 중공에 의해 일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타측 개구부에는 제1 코어부(510)를 구비한다. 즉, 무선 급전장치(500)는 외측 코어부(110) 및 제1 코어부(510)의 결합에 의해 요홈부를 구비하며, 요홈부의 일측 개구부를 통해 무선충전을 위한 단말기(400)의 입출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 코어부(510)는 외측 코어부(110)와 별도로 제작되어 접합한 것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코어부(510)가 외측 코어부(110)에 포함된 하나의 코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외측 코어부(1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태를 갖는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외측 코어부(110)는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 중 어느 하나의 요홈부 형태를 갖는 통형 코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급전장치(500)는 사각형 형태의 요홈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태의 요홈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급전장치(500)는 제1 코어부(510)가 지면(x, y 평면)과 평행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코어부(510)가 지면(x, y 평면)과 수직한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무선 급전장치(500)는 외측 코어부(110) 및 제1 코어부(510)의 결합에 의한 요홈부의 일측 개구부에 제2 코어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나, 제2 코어부는 개폐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무선 급전장치(500)에 포함된 급전코일(120)은 외측 코어부(110)의 내측에 권취되며,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자기장을 방사한다. 급전코일(120)은 외측 코어부(110)의 일측 개구부 및 제1 코어부(510) 사이의 내측면을 따라 권취된다. 예컨대, 급전코일(120)은 외측 코어부(110)의 내측면을 따라 일측 개구부에서 제1 코어부(510)를 향해 순차적으로 권취된 코일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급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사각형 형태의 요홈부를 포함하는 무선 급전장치(50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의 (b)는 원형 형태의 요홈부를 포함하는 무선 급전장치(5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의 요홈부를 포함하는 무선 급전장치(500)의 급전코일(120)은 외측 코어부(110)의 내측면의 형태에 따라 4 개의 절곡부를 갖는 형태로 권취된다. 여기서, 급전 코일은 x, y 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절곡부를 갖는 형태로 권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x, y 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권취될 수도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태의 요홈부를 포함하는 무선 급전장치(500)의 급전코일(120)은 외측 코어부(110)의 내측면의 형태에 따라 원형의 형태로 권취된다. 여기서, 급전 코일은 x, y 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원형으로 권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x, y 평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권취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폐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급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급전장치(500)는 외부로 방사되는 자기장을 감쇄시키기 위한 차폐코일(710)을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서, 차폐코일(710)은 무선 급전장치(500)의 일측 개구부에 인접하여 권취된 코일을 의미하며, 급전코일(120)의 권취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코일(710)은 급전코일(120)과 동일한 코일이면서 권선 방향만 급전코일(120)과 반대인 코일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급전코일(120)과 별도의 폐루프 코일일 수도 있다.
무선 급전장치(500)의 차폐코일(710)은 외부로 발생하는 자기장을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국제기준 이하로 감소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예컨대, 인체에 대한 자장 노출을 국제기준인 ICNIRP 가이드라인(예: 27 uT) 이하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차폐코일(710)과 급전코일(120)의 권선 비율은 3 turns : 20 turns 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급전코일(12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감소시키기 위한 설정치에 근거하여 차폐코일(710)의 턴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무선 급전장치(500)의 내부에 단말기(400)가 위치하여 충전 중인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무선 급전장치(500)의 크기에 따라 충전 가능한 단말기(40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단말기(400)는 수신코어(810) 및 수신코일(820)을 포함하는 다이폴 구조의 수신부를 포함하며, 수신부를 통해 무선 급전장치(500)에 포함된 제1 코어부(510)와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자기장을 수신한다. 이러한 자기장의 발생 방향으로 인해 단말기(400)가 무선 급전장치(500)의 내측면과 밀착될 필요가 없으며, 단말기(400)가 어떤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어도 충전 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수신코어(810)의 형태는 단말기(400)의 후면에서 바라볼 때, 가로 방향의 유효 단면적을 넓혀서 자속을 수신하는 영역을 넓히는 효과를 갖는 'I' 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 |, * 등의 형태를 갖을 수도 있다.
수신코일(820)은 수신코어(810)의 중앙 기둥 부분에 균등하게 권취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수신코일(820)이 수신코어(810)의 중앙 기둥 부분에 권취된 형태만을 도시하였으며, 수신코일(820)에서 발생된 유도 기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하거나 전원으로 사용하는 수신 회로에 관한 구성은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도 8에서는 그에 대한 도면 표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말기(400)는 수신코일(820)이 권취된 수신코어(810)와 단말기(400) 사이에 금속 차폐판(미도시)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차폐판은 사용자의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장이 ICNIRP 가이드라인을 만족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금속물질 예컨대, 철판, 알루미늄 등이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단말기의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무선 급전장치(500)의 내부에 다수의 단말기가 위치하여 충전 중인 상태를 나타내며, 무선 급전장치(500)의 크기에 따라 충전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무선 급전장치(100)는 x, z 평면과 수직 방향으로 자기장이 발생하며, 이러한 자기장의 발생 방향으로 인해 다수의 단말기가 무선 급전장치(500)의 내측면과 밀착될 필요가 없으며, 다수의 단말기가 어떤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어도 충전 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500: 무선 급전장치
110: 외측 코어부 120: 급전코일
310, 320, 710: 차폐코일
400: 단말기 510: 제1 코어부

Claims (7)

  1. 단말기의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중공이 형성된 외측 코어부; 및
    상기 외측 코어부의 일측 개구부에서 타측 개구부 사이의 내측면에 권취되는 급전코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급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일은,
    상기 내측면을 따라 상기 일측 개구부에서 상기 타측 개구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권선되되, 상기 중공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일측 방향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급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제1 코어부; 및
    상기 타측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는 자기장을 감쇄시키기 위한 제1 차폐코일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급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코일 및 차폐코일 간의 권선 비율은 기 설정된 자기장 감소 설정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급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코일은,
    상기 급전코일과 동일한 코일이면서 권선 방향이 상기 급전코일과 반대인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급전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폐코일은,
    상기 급전코일과 별도로 권취된 폐루프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급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개구부 및 상기 타측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는 자기장을 감쇄시키기 위한 제2 차폐코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급전장치.
KR1020160051156A 2016-04-26 2016-04-26 다수의 단말기의 동시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 KR20170122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156A KR20170122364A (ko) 2016-04-26 2016-04-26 다수의 단말기의 동시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156A KR20170122364A (ko) 2016-04-26 2016-04-26 다수의 단말기의 동시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364A true KR20170122364A (ko) 2017-11-06

Family

ID=60384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156A KR20170122364A (ko) 2016-04-26 2016-04-26 다수의 단말기의 동시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23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9718B2 (en) Power supply unit, power receiving unit, and power supply system
US11062841B2 (en) Electromagnetic shield device, wireless charging transmitting terminal, wireless charging receiving terminal and system
KR102552493B1 (ko)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지는 무선충전기
US20120049645A1 (en) Electronic component, power feeding apparatu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feeding system
JP6392649B2 (ja) 受電装置および送電装置
JP2017168522A (ja) コイル装置
KR20160090420A (ko)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US20200412175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20150207337A1 (en) Split winding repeater
US11855358B2 (en) Planar antenna
US20150380154A1 (en) Power supplying side coil and contactless power supplying apparatus
KR102579078B1 (ko)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20200403449A1 (en) Uniform wireless charging device
CN108879864A (zh) 一种通信电子设备
US10804741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1450115B1 (ko) 호환성을 갖는 무선충전용 전원수신코일모듈
KR20170122364A (ko) 다수의 단말기의 동시 무선충전을 위한 무선 급전장치
CN107342636A (zh) 非接触电力传输装置及非接触电力发送接收装置
JP6454941B2 (ja) 非接触給電装置およ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KR20140130837A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US10141772B2 (en) Communication device
KR101927215B1 (ko) 편차에 강인한 급전장치
WO2021085464A1 (ja) 電子機器、及びアンテナ装置
KR102153418B1 (ko) 무선 충전 시스템
JP6760326B2 (ja) 通信補助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