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227A - 담배 제품용 필터 및 담배 제품 - Google Patents

담배 제품용 필터 및 담배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227A
KR20170122227A KR1020177027045A KR20177027045A KR20170122227A KR 20170122227 A KR20170122227 A KR 20170122227A KR 1020177027045 A KR1020177027045 A KR 1020177027045A KR 20177027045 A KR20177027045 A KR 20177027045A KR 20170122227 A KR20170122227 A KR 20170122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material
low
cigarette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908B1 (ko
Inventor
켄지 이토
유 니노미야
토미하루 나가타
히로유키 토라이
사다오 오기
카즈마사 아라에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2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24D1/025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the covers having material applied to defined areas, e.g. bands for reducing the ignition propensity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24D1/027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with ventilating mean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75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for filters with spe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1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with adjustable means for modifying the degree of filtration of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5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with smoke acceleration means, e.g. impact-filters

Abstract

향끽미를 가역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담배 제품용 필터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흡구단측에 배치되는 흡구단측 필터재와, 중공 필터재의 전단에 배치되어, 주류연을 여과하는 전단 필터재를 구비하고, 흡구단측 필터재는, 전단면에서 후단면에 걸쳐 횡단면의 일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통기 저항이 낮은 저통기 저항부와, 전단면에서 후단면에 걸쳐 횡단면의 잔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저통기 저항부보다 통기 저항이 높은 고통기 저항부를 가지고, 적어도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의 후단면에 있어서, 저통기 저항부는, 흡구단측 필터재의 횡단면을 이분할하는 한쪽의 반원 영역 내에만 배치된다.

Description

담배 제품용 필터 및 담배 제품{FILTER FOR TOBACCO PRODUCT, AND TOBACCO PRODUCT}
본 발명은, 담배 제품용 필터 및 담배 제품에 관한 것이다.
시가렛이나 전자 담배나 코 담배 등의 담배 제품 중, 필터 부착 담배 제품에 있어서, 향끽미(香喫味)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 향료를 봉입한 향료 캡슐을 필터 내에 배치하는 방법이나(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주류연(主流煙)을 희석하는 공기량을 컨트롤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공표 2007-520204호
그러나, 향료 캡슐을 필터 내에 배치하는 경우, 향료 캡슐을 파쇄함으로써 향끽미가 변화하지만, 이는 향료의 딜리버리량을 변화시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며, 또한, 향료 캡슐의 파쇄 후에는 변화시킨 향끽미를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은 어렵다. 또한, 팁 페이퍼의 벤틸레이션 구멍으로부터 도입되는 공기의 주류연에 대한 도입 비율(벤틸레이션 비율)을 컨트롤함으로써 향끽미가 변화하지만, 이는 타르·니코틴량을 변화시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며, 또한, 이 방법에서는 끽연자의 기호에 따라 끽연시에 있어서의 향끽미를 변화시키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향끽미를 임의의 타이밍에서 가역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담배 제품용 필터 및 담배 제품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터에 있어서의 흡구단측에 배치되는 흡구단측 필터재에 있어서, 그 횡단면의 일부에 저(低)통기 저항부를 배치함과 동시에 잔부에 고(高)통기 저항부를 배치하고, 적어도 흡구단측 필터재의 후단면(後端面)에 있어서, 저통기 저항부를, 흡구단측 필터재의 횡단면을 이분할하는 한쪽의 반원 영역 내에만 배치하는 것으로 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일 태양(態樣)으로서, 흡구단측에 배치되는 흡구단측 필터재와,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의 전단(前段)에 배치되어, 주류연을 여과하는 전단 필터재를 구비하고,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는, 전단면(前端面)에서 후단면에 걸쳐 횡단면의 일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통기 저항이 낮은 저통기 저항부와, 전단면에서 후단면에 걸쳐 횡단면의 잔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저통기 저항부보다 통기 저항이 높은 고통기 저항부를 가지고, 적어도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의 후단면에 있어서, 상기 저통기 저항부는,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의 횡단면을 이분할하는 한쪽의 반원 영역 내에만 배치되는, 담배 제품용 필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끽연자가 필터를 해당 필터의 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구강 내에 흡인된 주류연이 닿는 부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담배 제품용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단 필터재와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 사이에는 공동(空洞)의 캐비티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주류연이 전단 필터재를 통과할 때에, 전단 필터재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일부를 주류연이 흐르기 어려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단 필터재의 전체 단면(斷面, 횡단면 전체)을 연기 중 성분의 여과재로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통기 저항부가 단일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하면, 고통기 저항부를 복수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필터의 제조 프로세스의 공정수를 줄일 수 있어서, 제조 코스트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는, 전단면에서 후단면 사이에 위치하는 중도부를 경계로 하여 전단측(前端側)에 위치하는 상류부와 후단측(後端側)에 위치하는 하류부가 상대적으로 회동 자재(自在)여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의 상기 중도부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중심부를 남기고 깊이 베어진 슬릿에 의해, 상기 상류부 및 상기 하류부가 상대적으로 회동 자재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에 의하면, 끽연시에 있어서, 흡구단측 필터재에 있어서의 상류부 및 하류부를 상대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필터의 흡구단으로부터 끽연자의 구강 내로 유입되는 주류연의 선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끽연시에 감수(感受)하는 자극의 강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통기 저항부는,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의 전단면에서 후단면에 걸쳐 형성되는 중공부여도 된다. 저통기 저항부를 중공부로 하는 것에 의해, 해당 중공부에서의 연기 여과가 없어지기 때문에, 연기의 흐름을 보다 현저하게 편심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중공부에 있어서의 연기 여과가 없는 것으로 연기 중 성분의 딜리버리량 컨트롤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제품 표시값의 보증이 쉬워진다. 또한, 필터의 외주면에,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의 횡단면에 편심 배치되는 상기 저통기 저항부의 위치를 끽연자에게 식별시키기 위한 식별 수단이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끽연자는 식별 수단에 근거하여, 흡구단측 필터재에 편심 배치되는 저통기 저항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담배 제품의 흡연 중에 향끽미를 변화시킬 때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구단측 필터가 다각형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것까지의 어느 하나의 담배 제품용 필터를 포함하는 담배 제품으로서 본 발명을 특정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가능한 한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향끽미를 임의의 타이밍에서 가역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담배 제품용 필터 및 담배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외관도이다.
[도 3]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도 4A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필터를 연기 상향 자세로 하여 흡연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B] 도 4B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필터를 연기 하향 자세로 하여 흡연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도 5는, 실시 형태 1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종단면도이다.
[도 6A] 도 6A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의 바리에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도 6B] 도 6B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의 바리에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도 6C] 도 6C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의 바리에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도 6D] 도 6D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의 바리에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도 6E] 도 6E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의 바리에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도 6F] 도 6F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의 바리에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도 6G] 도 6G는, 실시 형태 1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종단면도이다.
[도 7] 도 7은, 비교예에 관련되는 컨트롤 시가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도 8은, 실시예에 관련되는 향끽미 가변 시가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도 9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타르·니코틴량, 통기 저항의 측정 결과의 일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도 10은, 비교예에 관련되는 레퍼런스 시가렛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도 11은,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 도 12는, 실시예 2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 도 13은, 실시예 3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 도 14는, 실시예 4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 도 15는, 실시예 5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 도 16은, 실시예 1∼5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관능 평가의 결과를 정리한 도면이다.
[도 17] 도 17은, 실시예 7∼10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관능 평가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도 18은, 실시예에 관련되는 저통기 저항부의 각 파라미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 도 19는, 필터의 자세를 도 18에 나타내는 자세로부터 중심축 회전으로 180° 회전시킨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도 20은,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종단면도이다.
[도 21] 도 21은,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외관도이다.
[도 22] 도 22는,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에 있어서의 하류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23] 도 23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담배 제품용 필터를 적용하는 비가열형 흡인구(吸引具)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도 24] 도 24는,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담배 제품용 필터를 적용하는 비가열형 흡인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도 25] 도 25는, 비가열형 흡인구의 마우스피스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도 26은,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담배 제품용 필터를 적용하는 가열형 흡인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담배 제품용 필터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요소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그들만으로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담배 제품의 일례로서의 시가렛(1)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시가렛(1)의 외관도이다. 시가렛(1)은, 담배 로드(2), 이 담배 로드(2)의 일단에 팁 페이퍼(3)를 통하여 접속된 담배 제품용 필터의 일례로서의 필터(4)를 구비하고 있다.
담배 로드(2)는, 담배살(21)을 권지(22)로 권취하여 원주 형상(봉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며, 「단권(單券)」이라고도 불린다. 필터(4)는, 시가렛(1)의 끽연시에 발생하는 주류연을 통과시켰을 때에, 주류연에 포함되는 연기 성분을 여과하기 위한 부재이며, 담배 로드(2)와 실질적으로 동일 지름의 원주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필터(4)는, 끽연 중의 임의의 타이밍에서 시가렛(1)의 향끽미를 가역적으로 변경 가능한 향끽미 가변 필터이다. 필터(4)는, 팁 페이퍼(3)에 의해 권장(卷裝)되어 있고, 이 팁 페이퍼(3)를 통하여 담배 로드(2)의 후단측에 접속되어 있다. 팁 페이퍼(3)는, 담배 로드(2)의 단부(端部)와 필터(4)를 일체로 권취함으로써, 이들을 접속(연결)한다. 이하, 필터(4)의 길이 방향(축 방향)에 있어서, 담배 로드(2)와 접속되는 쪽의 단부를 「전단(前端)」이라 부르고, 전단과 반대측의 단부를 「흡구단(후단(後端))」이라고 부른다. 또한, 필터(4)를 길이 방향(축 방향)을 따라 절단 한 단면을 「종단면」이라고 정의하고, 그와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횡단면」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부호 CL은, 시가렛(1, 담배 로드(2), 필터(4))의 중심축을 나타낸다.
필터(4)의 내부에는, 전단측으로부터 전단 필터재(41), 캐비티부(42), 흡구단측 필터재(43)가 이들의 순서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캐비티부(42)는 공동 형상의 중공 공간이며, 전단 필터재(41) 및 흡구단측 필터재(43)의 사이에 배설(配設)되어 있다.
전단 필터재(41)는, 원주 형상으로 성형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섬유 다발을 권취지에 의해 권취한 필터재이다. 단,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단 필터재(41)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섬유 다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소재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단 필터재(41)는 주류연의 연기 성분을 흡착하는 흡착재(예를 들면, 활성탄)나 그 밖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전단 필터재(41)는, 주류연 여과에 더하여, 담배살(21)이나 그 미세한 가루의 흡구로의 유입을 저지하는 메시(mesh)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구조라고 해도 된다. 또한, 전단 필터재(41)에 향미 소재나 식물잎(예를 들면, 향료 엑기스, 민트잎)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흡구단측 필터재(43)는, 필터(4)의 흡구단측에 배치되어 있고, 원주 형상으로 성형됨과 동시에 축 방향을 따라 중공로(431)가 형성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섬유 다발을 권취지에 의해 권취한 필터재이다. 흡구단측 필터재(43)는, 전단면(43a)에서 후단면(43b)에 걸쳐 중공로(431)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43)의 횡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듯이, 흡구단측 필터재(43)는, 그 횡단면의 일부에 중공로(431)가 형성되어 있고, 횡단면의 일부에 섬유 다발로 이루어지는 고통기 저항부(43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와 같이, 중공로(431)는 반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는 관통 구멍이다. 중공로(431)는, 성형된 섬유 다발이 점유하는 고통기 저항부(432)에 비해 상대적으로 통기 저항이 낮으며,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저통기 저항부에 상당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저통기 저항부를 중공로(431)로 한 구성이지만, 고통기 저항부(43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통기 저항이 낮은,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의 섬유 다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흡구단측 필터재(43)는, 그 횡단면을 이분할하는 한쪽의 제1 반원 영역(A1) 내에만 배치되고 있으며(존재하며), 다른 한쪽의 제2 반원 영역(A2) 내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은(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반원 영역(A1) 및 제2 반원 영역(A2)은, 흡구단측 필터재(43)의 횡단면을, 중심축(CL)을 중심으로 하여 이분할함으로써 각각 얻어지는 평면 영역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횡단면은, 제1 반원 영역(A1)의 전체가 중공로(431)에 의해 점유되고, 제2 반원 영역(A2)의 전체가 고통기 저항부(432)에 의해 점유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중공로(431)가 제1 반원 영역(A1) 내에만 자리매김됨으로써, 중공로(431)는, 흡구단측 필터재(43)의 횡단면 방향에 있어서 편심 배치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고통기 저항부(432)는 단일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고통기 저항부(432)의 통기 저항이, 횡단면 방향에 있어서 한결같아진다. 즉, 고통기 저항부(432)의 횡단면 방향에 있어서 통기 저항이 변화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 2에 나타내듯이, 필터(4)를 권장하는 팁 페이퍼(3)에는, 벤틸레이션용 주변 공기를 필터(4) 내에 도입하여 주류연을 희석하는 통기 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 구멍(31)은, 도 1에 나타내듯이 필터(4)에 있어서의 전단 필터재(4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끽연시에 있어서, 통기 구멍(31)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필터(4) 내에 유입되고, 담배 로드(2)측으로부터 필터(4) 내로 유입되는 주류연에 통기 구멍(31)으로부터 도입된 공기가 섞임으로써 주류연이 희석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듯이, 필터(4)의 흡구단측에 있어서의 팁 페이퍼(3)의 외면에는, 식별용 마크(32)가 인쇄되어 있다. 식별용 마크(32)는, 흡구단측 필터재(43)의 횡단면에 편심 배치되는 중공로(431)의 위치를 끽연자에게 식별시키기 위한 식별 수단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식별 수단으로서 식별용 마크(32)를 채용하고 있지만, 저통기 저항부(중공로(431))의 위치를 끽연자가 식별 가능한 태양이면 여러 가지의 변경을 채용할 수 있다. 그러한 태양으로서, 예를 들면, 팁 페이퍼(3)의 외면에 인쇄된 문자, 혹은, 팁 페이퍼(3)의 외면에 설치된 요철 가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터(4)의 축 방향(길이 방향) 중, 흡구단측 필터재(43)에 대응하는 구간에 있어서의 팁 페이퍼(3)의 외면에 식별용 마크(32)를 인쇄하고 있으나, 필터(4)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식별용 마크(32)의 배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단 필터재(41)나 캐비티부(42)에 대응하는 구간에 있어서의 팁 페이퍼(3)의 외면에 식별용 마크(32)를 인쇄해도 된다. 그 밖의 식별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필터(4)의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횡단면 중, 저통기 저항부를 고통기 저항부(432)보다 통기 저항이 낮은 필터재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저통기 저항부 및 고통기 저항부 각각의 필터재를 서로 다른 색으로 착색하는 태양이나, 혹은 어느 한쪽만을 착색하는 태양, 혹은, 저통기 저항부를 성형하는 권취지(즉, 저통기 저항부에 있어서의 고통기 저항부와의 경계)에 착색지를 사용하는 양태(樣態)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저통기 저항부를 중공로(431)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중공로(431)의 주연에 위치하는 고통기 저항부(432)를 착색하거나 하는 등, 임의로 적합하게 식별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시가렛(1)은, 끽연시에 있어서, 담배 로드(2)의 불씨부에서 생성된 주류연이 필터(4)를 통과하고 나서 끽연자에게 끽연된다. 담배 로드(2)로부터 필터(4)로 유입된 주류연은, 전단 필터재(41), 캐비티부(42), 흡구단측 필터재(43)를 순차로 통과하여 흡구단으로부터 끽연자의 구강 내로 흡인된다. 그때, 필터(4)에 유입된 주류연은, 전단 필터재(41)를 통과할 때에 타르나 니코틴 등의 연기 중 성분이 여과된다. 또한, 팁 페이퍼(3)에 천설된 통기 구멍(31)을 통해 필터(4) 내부로 도입된 외부 공기는, 전단 필터재(41)를 통과하는 주류연와 섞임으로써 주류연에 포함되는 타르, 니코틴, CO 등이 희석된다.
그리고, 전단 필터재(41) 및 캐비티부(42)를 통과한 주류연은, 흡구단측 필터재(43)의 중공로(431)를 유통하고 나서 끽연자의 구강 내로 흡입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흡구단측 필터재(43)는 중공로(431)가 횡단면 방향으로 편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지향성을 가지고 끽연자의 구강 내로 주류연을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가렛(1)의 끽연시에 끽연자가 필터(4)를 무는 자세(방향,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구강 내로 도입된 주류연이 닿는 부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끽연자가, 필터(4)를 그 긴 축(중심축(CL))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즉, 필터(4)를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구강 내에 흡인된 주류연이 닿는 부위를 변화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중공로(431)를, 흡구단측 필터재(43)의 횡단면을 이분할하는 한쪽의 제1 반원 영역(A1) 내에만 배치하고, 다른 한쪽의 제2 반원 영역(A2) 내에는 배치하지 않게 했으므로, 끽연자가 긴 축(중심축(CL))을 중심으로 필터(4)를 회전시켰을 때에, 구강 내에 흡인된 주류연이 닿는 부위를 보다 현저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에 나타내듯이, 흡구단측 필터재(43)의 중공로(431)를 위턱으로부터 목구멍 방향으로 자리매김한 자세(이하, 「연기 상향 자세」라 한다)로 필터(4)를 물고 흡연함으로써, 주류연을 구강 내에 상향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주로 위턱으로 주류연이 안내된다. 한편, 도 4B는, 도 4A에 나타내는 연기 상향 자세로부터 시가렛(1, 필터(4))의 상하를 반전시켜, 흡구단측 필터재(43)의 중공로(431)를 혀 방향으로 자리매김한 자세(이하, 「연기 하향 자세」라 한다)로 필터(4)를 문 상태를 나타낸다. 도 4B에 나타내듯이 연기 하향 자세로 필터(4)를 물고 흡연하면, 주류연을 구강 내로 하향으로 유입시킬 수 있고, 주로 혀로 주류연이 안내된다. 또한, 끽연시에 있어서의 연기 상향 자세 및 연기 하향 자세로의 변환은, 시가렛(1)을 문 방향을 시가렛(1, 필터(4))의 긴 축을 중심으로 180° 반전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람의 위턱에는, 향(냄새)을 느끼는 후각 수용체가 많이 존재한다. 한편, 사람의 혀에는 맛을 느끼는 미각 수용체가 많이 존재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시가렛(1)에 의하면, 끽연자는, 자신의 기호나 기분에 따라, 긴 축(중심축(CL))을 중심으로 필터(4)를 회전시킴으로써, 구강 내에 도입된 주류연이 닿는 부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의 예에서는, 도 4A에 나타내는 연기 상향 자세로 필터(4)를 문 상태로 흡연함으로써, 끽연자는, 향·위턱 및 목에 대한 자극(체성 감각)을 강하게 느낄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나타내는 연기 하향 자세로 필터(4)를 문 상태로 흡연함으로써, 끽연자는, 맛·혀에 대한 자극(체성 감각)을 강하게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시가렛(1)에 의하면, 끽연시에 필터(4)를 문자세를 변경해도, 팁 페이퍼(3)의 통기 구멍(31)으로부터 도입되는 공기의 주류연에 대한 도입 비율(벤틸레이션 비율)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타르·니코틴량(TN량)이 변화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필터(4)에는 향료 캡슐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시가렛(1)은, 끽연시에 있어서의 TN량이나 향료의 딜리버리량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향끽미를 변화시킨다는 종래 수법과는 전혀 다르며, 구강 내에 있어서 주류연이 닿는 위치를 변경한다는 독자적인 수법에 따라 향끽미의 변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또한, 물론,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필터(4)에 있어서도, 향료를 봉입한 파쇄 가능한 향료 캡슐을 필터(4) 내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시가렛(1)에 의하면, 끽연자는, 끽연시에 있어서의 임의의 타이밍에서, 필터(4)를 그 긴 축(중심축(CL))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필터(4)를 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류연이 구강 내에 흡인되었을 때에 주류연이 닿는 구강 내에 있어서의 부위를 변경하여, 끽연시의 향끽미의 변화를 즐길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4)의 자세를 연기 상향 자세에서 연기 하향 자세로 전환하여, 향(Aroma)의 자극보다 맛(Taste)의 자극을 향상시킨 상태(이하, 이 상태를 「테이스트 리치 상태」라고 한다)로 전환한 후, 다시, 필터(4)의 자세를 연기 상향 자세로 되돌림으로써 맛(Taste)의 자극보다 향(Aroma)의 자극을 향상시킨 상태(이하, 이 상태를 「아로마 리치 상태」라고 한다)로 전환하는 등, 여러 가지의 끽연 방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테이스트 리치 상태와 아로마 리치 상태의 전환은, 끽연시에 있어서 필터(4)를 문 자세를 연기 상향 자세와 연기 하향 자세 사이에서 전환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되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필터(4)에 의하면 가역적인 향끽미의 변화가 가능하다. 또한, 가역적인 향끽미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끽연시에 있어서의 시가렛(1)의 향끽미를, 테이스트 리치 상태와 아로마 리치 상태 사이에서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필터(4)에 의하면, 끽연시에 있어서의 향료의 딜리버리량이나, 타르·니코틴량을 변화시키지 않아도, 향끽미를 임의의 타이밍에서 가역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팁 페이퍼(3)의 외면에 식별용 마크(32)가 인쇄되어 있고, 끽연자는, 식별용 마크(32)에 근거하여 흡구단측 필터재(43)의 횡단면에 편심 배치되는 중공로(431)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끽연 중에 시가렛(1)의 향끽미를 변화시킬 때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필터(4)에 의하면,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고통기 저항부(432)는 단일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통기 저항이 횡단면 방향에 있어서 한결같아진다. 이 때문에, 고통기 저항부(432)를, 복수의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필터(4)의 제조 프로세스의 공정수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 코스트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필터(4)는, 전단 필터재(41) 및 흡구단측 필터재(43) 사이에 공동 형상의 캐비티부(42)를 배설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전단 필터재(41)의 횡단면 전체(전체 영역)를 흘러 온 주류연을 그대로 유로를 좁히는 일 없이 캐비티부(42)로 유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캐비티부(42)를 주류연의 버퍼로서 기능시키면서, 이 캐비티부(42)로부터 흡구단측 필터재(43)의 중공로(431)로 주류연을 유입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주류연이 전단 필터재(41)를 통과할 때에, 전단 필터재(41)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일부를 주류연이 흐르기 어려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전단 필터재(41)의 전단면(횡단면 전체)을 연기 중 성분의 여과재로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단, 도 5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전단 필터재(41) 및 흡구단측 필터재(43) 사이에 캐비티부(42)를 설치하지 않고, 전단 필터재(41)의 후단에 흡구단측 필터재(43)의 전단을 연속해서 설치해도 상관없다.
여기서, 흡구단측 필터재(43)의 구성은, 여러 가지의 바리에이션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흡구단측 필터재(43)의 바리에이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A∼도 6F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43)의 바리에이션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A에 나타내는 흡구단측 필터재(43)는, 흡구단측 필터재(43)의 횡단면을 이분할하는 한쪽의 제1 반원 영역(A1)에 중공로(431) 대신에 반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는 저통기 저항부(433)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3에 나타내는 흡구단측 필터재(43)와 상이하다. 저통기 저항부(433)는, 제2 반원 영역(A2)에 배치되는 고통기 저항부(432)에 비해 상대적으로 통기 저항이 낮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구단측 필터재(43)의 횡단면에, 통기 저항이 다른 저통기 저항부(433) 및 고통기 저항부(432)를 설치함으로써,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유입된 주류연은, 고통기 저항부(432)에 비해 통기 저항이 낮은 저통기 저항부(433)를 통과하여 흡구단으로부터 구강 내로 흡인된다. 따라서, 끽연 중에 있어서의 필터(4)의 자세를 임의의 타이밍에서 임의의 자세로 변경함으로써, 구강 내에 흡인된 주류연이 닿는 부위가 변경되어, 끽연시의 향끽미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B∼도 6F에 나타내는 흡구단측 필터재(43)는, 도 3에 나타내는 중공로(431)와 각각 형상이 다른 중공로(431B∼431F)가 제1 반원 영역(A1)에 설치되어 있다. 도 6B에 나타내는 흡구단측 필터재(43)는, 제1 반원 영역(A1) 내에만 원형 단면을 가지는 단일 중공로(431B)가 형성되어 있다. 도 6C에 나타내는 흡구단측 필터재(43)는, 제1 반원 영역(A1) 내에만 달 모양 단면을 가지는 단일 중공로(431c)가 형성되어 있다. 도 6D에 나타내는 흡구단측 필터재(43)는, 제1 반원 영역(A1) 내에만 부채꼴(扇形) 형상을 가지는 단일 중공로(431D)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중공로(431D)의 단면 형상은, 1/4 원(중공부의 내각이 90°)이 되어 있다.
도 6E에 나타내는 흡구단측 필터재(43)는, 제1 반원 영역(A1) 내에만 반원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중공로(431E)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3개의 중공로(431E) 모두가 제1 반원 영역(A1)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6F에 나타내는 흡구단측 필터재(43)는, 제1 반원 영역(A1) 내에만 중공로(431F)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흡구단측 필터재(43)에 형성되는 중공로(431F)의 형상, 크기, 수 등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6B∼도 6F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도, 각각의 중공로(431B∼431F)를, 고통기 저항부(432)에 비하여 통기 저항이 낮은 필터재에 의해 형성된 저통기 저항부로 바꾸어 놓아도 된다. 즉, 저통기 저항부를 중공부에 의해 형성해도 되고, 고통기 저항부를 형성하는 필터재에 비하여 통기 저항이 낮은 필터재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전자와 같이 중공부에 의해 저통기 저항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해당 중공부에서의 연기 여과가 없어지기 때문에, 연기의 흐름을 보다 현저하게 편심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중공부에 있어서의 연기 여과가 없음으로써 연기 중 성분의 딜리버리량의 컨트롤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제품 표시값의 보증을 하기 쉬워진다. 한편, 후자와 같이 통기 저항이 낮은 필터재에 의해 저통기 저항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도 주류연을 여과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필터(4)에 있어서의 흡구단측 필터재(43)의 형상은 원주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43)의 중공로(431, 저통기 저항부)는, 적어도 후단면(43b, 흡구단)의 위치에 있어서, 횡단면을 이분할하는 한쪽의 제1 반원 영역(A1) 내에만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적어도, 흡구단측 필터재(43)의 후단면(43b, 흡구단)의 위치에 있어서, 중공로(431, 저통기 저항부)가 제1 반원 영역(A1) 내에 편심 배치함으로써, 끽연자는 긴 축(중심축(CL)) 둘레로 필터(4)를 적절히 회전시켜, 구강 내에 있어서 주류연이 닿는 부위를 변경함으로써 시가렛(1)의 향끽미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중공로(431, 저통기 저항부)를,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전단면(43a)에서 후단면(43b)에 걸쳐 필터(4)의 긴 축(중심축)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하고 있지만, 이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G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중공로(431, 저통기 저항부)의 긴 축을, 필터(4)의 긴 축(중심축(CL))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해도 된다. 도 6G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흡구단측 필터재(43)의 후단면(43b, 흡구단)의 위치에 있어서, 중공로(431, 저통기 저항부)의 후단 위치가 제1 반원 영역(A1)에만 배치되어 있다. 또한, 흡구단측 필터재(43)의 전단면(43a)의 위치에 있어서, 중공로(431, 저통기 저항부)의 전단 위치가 제2 반원 영역(A2)에만 배치되어 있다. 도 6G에 나타내듯이,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중공로(431, 저통기 저항부)의 긴 축을, 필터(4)의 긴 축(중심축(CL))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함으로써, 끽연자가, 긴 축(중심축(CL)) 둘레로 필터(4)를 회전시키는 전후에 있어서, 흡구단측 필터재(43)의 후단면(43b, 흡구단)으로부터 흡인된 주류연이 구강 내에 닿는 부위를 보다 현저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끽연자의 취향에 따라, 시가렛(1)의 향끽미를 보다 현저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르·니코틴량, 통기 저항의 측정》
여기서, 실시예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샘플을 제작하여, 타르·니코틴량, 통기 저항에 관하여 측정했다. 도 7은, 비교예에 관련되는 표준 시가렛(컨트롤 시가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컨트롤 시가렛에 관련되는 필터는, 일반적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이하, 「AF 필터」라고도 한다)이며, 필터 전체 길이를 27mm, 외경을 7.2mm로 했다. 한편, 도 8은, 실시예에 관련되는 향끽미 가변 시가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향끽미 가변 시가렛에 관련되는 필터(4)는, 컨트롤 필터(AF 필터)의 후단에, 흡구단측 필터재(43)을 내면에 접착한 통 모양의 지통(5, 紙筒)을 접속함으로써 제작했다. 도 7의 상단에는 「캐비티부 있음」 타입을 나타내고, 하단에는 「캐비티부 없음」 타입을 나타낸다.
캐비티부 있음 타입은, 길이가 7mm인 지통(5)의 내면에, 길이가 5mm인 흡구단측 필터재(43)를 CMC 풀로 접착한 것을 AF 필터의 후단에 장착한 것이고, AF 필터의 후단면과 흡구단측 필터재(43)의 전단면의 사이에 길이 2mm인 캐비티부(42)를 형성하도록 했다. 캐비티부 없음 타입은, 길이가 7mm인 지통(5)의 내면에, 길이가 7mm인 흡구단측 필터재(43)을 CMC 풀으로 접착한 것을 AF 필터의 후단에 장착한 것이고, AF 필터의 후단면과 흡구단측 필터재(43)의 전단면을 맞대어 틈새 없이 연설한 것이다. 또한, 지통(5)은, 셀로판 테이프에 의해 AF 필터와 접속했다. 흡구단측 필터재(43)의 고통기 저항부(432)에는 2.2Y/44000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 저통기 저항부(431)에는 8.6Y/21000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를 사용하고, 고통기 저항부측의 트리아세틴 함량을 23%가 되도록 설정하여 조제했다.
도 9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타르·니코틴량, 통기 저항의 측정 결과의 일람을 나타낸다.
도 9 중에 나타내는 실시예 1∼6은, 각각 흡구단측 필터재(43)의 사양이 상이하다. 실시예 1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43)는, 도 6A에 나타낸 흡구단측 필터재(43)에 대응하고 있으며, 제1 반원 영역(A1)에 반원 형상의 저통기 저항부(433)가 배치되고, 제2 반원 영역(A2)에 고통기 저항부(432)가 배치되어 있다. 저통기 저항부(433)의 내경(직경)은 5.2mm로 했다. 또한, 실시예 1은 캐비티부 있음 타입만의 설정으로 했다.
실시예 2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43)는, 도 6B에 나타낸 흡구단측 필터재(43)에 대응하고 있으며, 제1 반원 영역(A1) 내에만 원형 단면을 가지는 단일 중공로(431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중공로(431B)의 내경(직경)을 3mm로 하고, 고통기 저항부(432)의 두께가 최소가 되는 부분의 두께 치수(이하, 「고통기 저항부 최소 두께」라고 한다)를 1mm로 했다. 실시예 2는, 캐비티부 있음 타입, 캐비티부 없음 타입의 쌍방에 관하여 제작했다.
실시예 3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43)는, 도 6C에 나타낸 흡구단측 필터재(43)에 대응하고 있으며, 제1 반원 영역(A1) 내에만 달 모양 단면의 중공로(431C)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3에 있어서는,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고통기 저항부의 최소 두께를 1.4mm로 했다. 실시예 3에 관하여도, 캐비티부 있음 타입, 캐비티부 없음 타입의 쌍방에 관하여 제작했다.
실시예 4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43)는, 도 3에 나타낸 흡구단측 필터재(43)에 대응하고 있으며, 제1 반원 영역(A1)의 전체를 점유하도록 반원 형상의 중공로(431)가 형성되어 있다. 중공로(431)의 내경(직경)은 5.2mm로 했다. 실시예 4는 캐비티부 있음 타입만의 설정으로 했다.
실시예 5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43)는, 도 6D에 나타낸 흡구단측 필터재(43)에 대응하고 있으며, 제1 반원 영역(A1) 내에만 부채형 형상을 가지는 중공로(431D)가 형성되어 있다. 중공로(431D)의 내각을 90°(1/4 원)로 했다. 실시예 5에 있어서는,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고통기 저항부 최소 두께를 1mm로 했다. 또한, 실시예 5는 캐비티부 있음 타입만의 설정으로 했다.
다음으로, 실시예 6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43)는, 도 6E에 나타낸 흡구단측 필터재(43)에 대응하고 있으며, 제1 반원 영역(A1) 내에만 반원 형상을 가지는 3개의 중공로(431E)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6에 있어서는,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고통기 저항부의 최소 두께를 0mm로 하고, 중공로(431E)의 내경(직경)을 1.5mm로 했다. 실시예 6은, 캐비티부 있음 타입만의 설정으로 했다.
상술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련되는 시가렛에 관하여 샘플을 3개씩 제작하여, 이하의 조건·환경하에서 타르·니코틴량, 통기 저항의 측정을 실시했다. 즉, 실온 22℃, 상대습도 60%, 풍속 0.2m/초의 환경하에서 자동 끽연기(SERULEAN사제 SM410)에 세트하고, ISO 표준 끽연 조건(연소형 긱연 물품 1개에 대해, 공(空)퍼프 1회에 2초간 35mL 흡연하는 동작을 58초 간격으로 반복)에 준하여 끽연시켰다. 주류연 중의 입자상 성분의 포집용으로 켐브리지 필터(borgwaldt, 400 Filter 44mm)를 이용하고, 가스상 성분의 포집용으로 가스 백(SUPELCO, Tedlar Bag)을 이용했다. 입자상 성분은, 켐브리지 필터의 중량 변화로부터 TPM(미립자 성분: Total Particular Matter)량을 산출한 후, 이소프로파놀 10mL로 20분간 진탕 추출을 실시하여, GC-FID/TCD(6890N, Agilent)를 이용하여 물 및 니코틴량의 측정을 실시하고, 타르량을 산출했다. 통기 저항의 측정은, 통기 저항 측정기 PV21(JT토시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하여, 정법에 따라 측정했다.
도 9에 나타내듯이, 실시예 1∼6에 관련되는 시가렛과 비교예에 관련되는 시가렛 사이에서, 타르량, 니코틴량, 통기 저항 모두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관능 평가 시험》
다음으로, 실시예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끽연시에 있어서의 향끽미 변화에 관한 효과를, 이하의 관능 평가 시험에 근거하여 평가했다. 관능 평가 시험은, 상술한 실시예 1∼5와, 참조용의 레퍼런스 시가렛에 관하여 실시했다. 레퍼런스 시가렛은, 도 7에서 설명한 컨트롤 시가렛의 AF 필터에 대하여, 해당 AF 필터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센터 홀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레퍼런스 시가렛에 관련되는 필터의 센터 홀은, 필터의 중심축과 같은 축으로 했다. 또한, 본 관능 평가 시험에 이용하는 실시예 1∼5에 관련되는 시가렛 및 레퍼런스 시가렛은, 향료를 봉입한 캡슐을 필터 내에 배치했다.
관능 평가는, 실시예 1∼5에 관련되는 시가렛 및 레퍼런스 시가렛을 각각 5명의 평가자(A∼E)에게 끽연시켜, 필터의 무는 방법을 상하 반전시켜 끽연했을 때에 얻어지는 향끽미의 차이에 관하여 평가했다. 또한, 실시예 1∼5에 관련되는 시가렛을 끽연할 때에는, 도 4A에 나타내는 연기 상향 자세와, 도 4B에 나타내는 연기 하향 자세를 교체하여 끽연하도록 했다. 관능 평가는, 평가 항목을, 「맛」, 「향」, 및 「체성 감각(자극)」의 강도로 하고, 「매우 약하다」, 「약하다」, 「딱 좋다」, 「강하다」, 「매우 강하다」의 5 단계, 프리 스케일로 평가했다. 특히, 체성 감각(자극)의 강도에 관해서는, 「위턱」, 「혀」, 「인두」, 「기도」의 부위마다 평가했다. 본 관능 평가 시험에 있어서는, 연기 상향 자세와 연기 하향 자세의 각각의 자세에서 필터를 문 상태로 끽연하고, 맛, 향, 및 체성 감각(자극)의 강도에 관하여 평가했다. 도 10∼도 15의 각 평가 항목의 값은 5명의 평가자의 평균값으로 하여 표시했다. 각 항목의 평가는, 「매우 약하다」, 「약하다」, 「딱 좋다」, 「강하다」, 「매우 강하다」의 5 단계 평가에 근거하여 실시했다. 또한, 「매우 약하다」는 -50, 「약하다」는 -25, 「딱 좋다」는 0, 「강하다」는 25, 「매우 강하다」는 50으로 하여, 상하 반전시켰을 때에 느끼는 감각에 관하여 평가를 실시했다.
도 10은, 비교예에 관련되는 레퍼런스 시가렛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도 15는, 실시예 1∼5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한, 도 10∼도 15의 그래프에 있어서, 좌측 그래프는, 끽연시에 향료 캡슐을 파쇄한 경우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우측 그래프는, 끽연시에 향료 캡슐을 파쇄하지 않은 경우의 관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0∼도 15에 있어서, 「연기 상향 자세」에 대응하는 평가 결과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연기 하향 자세」에 대응하는 평가 결과를 파선으로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레퍼런스 시가렛에 있어서 끽연시에 필터 무는 방법을 상하 반전시켜도, 맛, 향, 및, 위턱, 혀, 인두, 기도 등의 체성 감각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1∼도 15에 나타내듯이, 실시예 1∼5에 관련되는 시가렛에 있어서는, 전술한 연기 상향 자세시와 연기 하향 자세시에 있어서, 맛, 향, 및 위턱, 혀, 인두, 기도 등의 체성 감각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을 관능 평가로부터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를 임의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향끽미에 가역적인 변화를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것은 향료 캡슐의 파쇄 유무에서 동일한 경향을 나타낸다.
도 16은, 실시예 1∼5에 관련되는 시가렛의 관능 평가 결과를 정리한 도면이다. 도 16에 나타내듯이, 실시예 1∼5에 관련되는 시가렛에 있어서는,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중공로 형상의 상이에 의해, 필터를 연기 상향 자세로 물고 끽연했을 때와 연기 하향 자세로 물고 끽연했을 때에 있어서 각 평가 항목의 패턴이나 강도는 약간 다르지만, 전체적으로는 대체로 대응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필터를 연기 상향 자세로 물고 실시예에 관련되는 시가렛을 끽연한 경우, 체성 감각에 관하여는 위턱, 인두, 기도에 대한 자극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혀에 대한 자극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약하게 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연기 상향 자세에 있어서는, 맛보다 향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필터를 연기 하향 자세로 물고 실시예에 관련되는 시가렛을 끽연한 경우, 체성 감각에 관하여는 위턱, 인두, 기도에 대한 자극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약하게, 혀에 대한 자극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연기 하향 자세에 있어서는, 향보다 맛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강하게 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경향은, 끽연시에 향료 캡슐을 파쇄하여 향료의 딜리버리량을 늘리는 경우와, 끽연시에 향료 캡슐을 파쇄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필터 및 그를 구비한 시가렛에 의하면, 끽연시에 있어서의 향료의 딜리버리량이나, 타르·니코틴량을 변화시키는 일 없이, 향끽미를 임의의 타이밍에서 가역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7은, 실시예에 관련되는 시가렛(1)에 관하여 필터(4)의 횡단면 내에 있어서의 중공로의 형상, 위치, 크기, 범위 등을 파라미터로 하여 변화시켰을 때의 끽연시에 있어서의 향끽미 변화에 관한 효과를 관능 평가 시험에 근거하여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7에 관련되는 필터(4)의 흡구단측 필터재(43)는, 도 6B에 나타내듯이, 제1 반원 영역(A1), 제2 반원 영역(A2)으로 이루어지는 횡단면 중, 제1 반원 영역(A1) 내에만 원형 단면을 가지는 단일의 중공로(431B)가 저통기 저항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8∼10에 관련되는 필터(4)의 흡구단측 필터재(43)는, 도 6C에 나타내듯이, 제1 반원 영역(A1), 제2 반원 영역(A2)으로 이루어지는 횡단면 중, 제1 반원 영역(A1)의 영역 내에만 달 모양 단면을 가지는 단일의 중공로(431C)가 저통기 저항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7∼10은, 필터(4)의 제1 반원 영역(A1)에 배치되는 저통기 저항부(중공로(431B), 중공로(431C))의 단면적(S), 폭 치수(W),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 등의 파라미터가 상이하다.
도 18은, 실시예에 관련되는 저통기 저항부의 각 파라미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에 있어서는, 삼각형의 저통기 저항부를 예로, 그 폭 치수(W),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를 설명한다. 또한, 단면적(S)은, 제1 반원 영역(A1)에 형성되는 저통기 저항부의 면적이다. 여기서, 흡구단측 필터재(43)의 제1 반원 영역(A1) 및 제2 반원 영역(A2)의 경계선(BL)을 따르는 방향을, 저통기 저항부의 폭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도 18에 나타내듯이, 저통기 저항부의 폭 치수(W)는, 저통기 저항부 중, 제1 반원 영역(A1) 및 제2 반원 영역(A2)의 경계선(BL)에 따른 방향의 치수이다.
다음으로,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는, 저통기 저항부 중, 제1 반원 영역(A1) 및 제2 반원 영역(A2)의 경계선(BL)에서 가장 떨어져 있는 부분의 경계선(BL)으로부터의 이간 거리를 말한다. 한편,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는, 저통기 저항부 중, 제1 반원 영역(A1) 및 제2 반원 영역(A2)의 경계선(BL)에 대하여 가장 근접하고 있는 부분의 경계선(BL)으로부터의 이간 거리를 말한다. 도 19는, 필터(시가렛)의 자세를 도 18에 나타내는 자세로부터 중심축 회전으로 180° 회전시켜, 상술한 연기 상향 자세로부터 연기 하향 자세, 혹은, 연기 하향 자세로부터 연기 상향 자세로 전환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의 파선은, 자세를 전환하기 전의 저통기 저항부의 상대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실시예 7은, 저통기 저항부(중공로(431B))가 직경 2mm인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폭 치수(W)가 2.0mm,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가 2.8mm,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가 0.8mm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비교예 1은, 저통기 저항부를 배치하는 위치만이 실시예 7과 상이하며,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가 1.6mm,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가 -0.5mm이다. 여기서,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가 음(마이너스)의 값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저통기 저항부의 일부가, 제1 반원 영역(A1) 및 제2 반원 영역(A2)의 경계선(BL)을 넘어 제2 반원 영역(A2)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실시예 8∼10의 저통기 저항부(중공로(431C))를 설명한다. 실시예 8, 9에 관련되는 저통기 저항부(중공로(431C))는, 모두 단면적(S)이 5.2mm2, 폭 치수(W)가 4.0mm인 작은 달 형상을 가지고 있고,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 및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가 서로 상이하다. 실시예 8은,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가 2.1mm,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가 0.1mm인데 대하여, 실시예 9는,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가 2.9mm,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가 0.7mm이다. 다음으로, 실시예 10에 관련되는 저통기 저항부(중공로(431C))는, 단면적(S)이 7.8mm2, 폭 치수(W)가 5.3mm인 큰 달 형상을 가지고 있고,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가 2.8mm,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가 0.1mm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비교예 2는, 저통기 저항부를 배치하는 위치만이 실시예 10과 상이하고,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가 2.1mm,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가 -0.8mm이다. 비교예 2에 있어서도,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의 값이 음(마이너스)이 되어 있으며, 저통기 저항부의 일부가 제1 반원 영역(A1) 및 제2 반원 영역(A2)의 경계선(BL)을 넘어 제2 반원 영역(A2)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실시예 7∼10, 비교예 1 및 2에 대하여, 관능 평가 시험을 실시했다. 관능 평가는, 5명의 평가자(A∼E)에게 각 시료를 끽연시키고, 필터(4)의 무는법을 상하 반전시켜 끽연했을 때에 얻어지는 향끽미의 차이에 관하여 평가했다. 그리고, 각 시료의 평가는, 연기 상향 자세 및 연기 하향 자세로 전환하여 끽연했을 때의 향끽미 변화의 강도에 관하여, ◎(매우 강함), ○(강함), △(약함), ×(매우 약함)의 4 단계로 평가했다.
이하, 도 17의 평가 결과에 나타내듯이,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를 크게 함으로써, 연기 상향 자세 및 연기 하향 자세 사이에서 전환하여 끽연한 전후에 있어서의 향끽미 변화가 강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를 크게 함으로써, 연기 상향 자세 및 연기 하향 자세 사이에서 전환하여 끽연한 전후에 있어서의 향끽미 변화가 강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면, 실시예 7은, 저통기 저항부의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 및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를 비교예 1보다 크게 함으로써, 연기 상향 자세 및 연기 하향 자세 사이에서 전환했을 때에 있어서의 향끽미 변화가 강해진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8과 비교예 2를 대비하면, 실시예 8은, 저통기 저항부의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를 비교예 2보다 크게 함으로써, 연기 상향 자세 및 연기 하향 자세 사이에서 전환했을 때에 있어서의 향끽미 변화가 강해진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8과 실시예 10을 대비하면, 실시예 10은, 저통기 저항부의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를 실시예 8보다 크게 함으로써, 연기 상향 자세 및 연기 하향 자세 사이에서 전환했을 때에 있어서의 향끽미 변화가 강해진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9와 실시예 10을 대비하면, 실시예 9는, 저통기 저항부의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를 실시예 10보다 크게 함으로써, 연기 상향 자세 및 연기 하향 자세 사이에서 전환했을 때에 있어서의 향끽미 변화가 강해진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여기서,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가 클수록, 또한,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가 클수록, 끽연시에 있어서의 자세를 연기 상향 자세 및 연기 하향 자세 사이에서 전환할 때에, 구강 내에 있어서 주류연이 충돌하는 부분의 변위량이 커지기 쉽고, 그 결과, 연기 상향 자세 및 연기 하향 자세 사이에서 전환한 전후에 있어서의 향끽미 변화의 정도가 강해진 것이라고 추측된다. 그리고, 도 17에 나타내는 평가 결과에 의하면, 연기 상향 자세 및 연기 하향 자세 사이에서 전환한 전후에 있어서의 향끽미 변화를 강하게 하는 관점에서, 저통기 저항부의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를 0.1mm 이상으로 하면 바람직하고, 0.7mm 이상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평가 시험에서 사용한 필터(4)의 직경은 7.2mm이며,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를 필터(4)의 직경으로 나눈 값을 이용하여 무차원화하면, 필터 직경에 대한 반경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의 비율은 1.4% 이상으로 하면 바람직하고, 9.7% 이상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저통기 저항부에 있어서의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가 클수록, 연기 상향 자세 및 연기 하향 자세 사이에서 전환한 전후에 있어서의 향끽미 변화를 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 직경에 대한 반경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의 비율의 상한값은, 100%보다 작으면 된다. 이상으로부터, 필터 직경에 대한 반경 경계선 최소 이간 거리(Dmin)의 비율은, 1% 이상 100% 미만이면 바람직하고, 9% 이상 100% 미만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하게, 연기 상향 자세 및 연기 하향 자세 사이에서 전환한 전후에 있어서의 향끽미 변화를 강하게 하는 관점에서, 저통기 저항부의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를 2.1mm 이상으로 하면 바람직하고, 2.8mm 이상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를 필터(4)의 직경으로 나눈 값을 이용하여 무차원화하면, 필터 직경에 대한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의 비율은 29.2% 이상으로 하면 바람직하고, 38.9% 이상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으로부터, 필터 직경에 대한 경계선 최대 이간 거리(Dmax)의 비율은, 29% 이상 100% 미만이면 바람직하고, 38% 이상 100% 미만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 2>
도 20은,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시가렛(1A)의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시가렛(1A)의 외관도이다. 이하에서는,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시가렛(1A)과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시가렛(1)에 있어서 공통의 구성에 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을 할애하고, 쌍방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시가렛(1A)에 관련되는 필터(4A)는, 흡구단측 필터재(43)가, 전단면에서 후단면 사이에 위치하는 중도부(430a)를 경계로 하여 전단 측에 위치하는 상류부(43b)와 후단 측에 위치하는 하류부(430c)가 상대적으로 회동 자재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필터(4A)에 관련되는 중도부(43a)에는, 흡구단측 필터재(43)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중심부를 남기고 깊이 베어진 슬릿(434)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슬릿(434)을 경계로 상류부(43b) 및 하류부(43c)를 상대적으로 비트는 것으로, 상대 회동시키는 것이 허용되고 있다.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상류부(430b) 및 하류부(430c)에는, 동일한 중공로(431)가 형성되어 있다. 즉,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상류부(430b) 및 하류부(430c)는, 그 횡단면을 이분할하는 한쪽의 제1 반원 영역(A1)과 다른 한쪽의 제2 반원 영역(A2)에 있어서, 고통기 저항부(43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통기 저항이 낮은 중공로(431)가 제1 반원 영역(A1) 내에만 배치되고, 상기 횡단면에 있어서의 그 밖의 영역은 고통기 저항부(432)가 배치되어 있다. 이하,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상류부(430b)에 설치되는 중공로를 「상류측 중공로(431b)」라고 부르고, 하류부(43c)에 설치되는 중공로를 「하류측 중공로(431c)」라 부른다. 또한,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하류부(43c)의 외주에는 지통(5)이 접착되어 있다. 지통(5)의 전단측은, 흡구단측 필터재(43)의 상류부(430b)를 권취하는 팁 페이퍼(3)의 외측으로 오버랩되어 있으나, 지통(5)과 팁 페이퍼(3)는 접착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상류부(430b) 및 하류부(430c)가 상대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상류부(430b) 및 하류부(430c)의 쌍방에 있어서의 외주면에 식별용 마크(32)가 설치되어 있다.
도 2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하류부(430c)의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상류부(430b) 및 하류부(430c)의 제1 반원 영역(A1) 내에만 원형 단면을 가지는 중공로(431B, 431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단,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중공로는 여러 가지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시가렛(1A)에 의하면,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상류부(430b)에 대하여 하류부(430c)를 비트는 등으로 하여 상대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류부(430b)에 있어서의 상류측 중공로(431B)와 하류부(430c)에 있어서의 하류측 중공로(431c)가 중도부(430a)에 있어서 서로 겹치는 면적(이하, 중공로 대향 면적(S))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하류측 중공로(431c)를 흐르는 주류연의 선속도는, 중공로 대향 면적(S)에 의해 율속(律速)된다. 이 때문에, 시가렛(1A)의 끽연시에 있어서,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상류부(430b) 및 하류부(430c)를 상대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필터(4A)의 흡구단으로부터 끽연자의 구강 내로 유입되는 주류연의 선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중공로 대향 면적(S)을 감소시킴으로써 끽연시에 구강 내로 유입되는 주류연의 속도를 올릴 수 있고, 반대로, 중공로 대향 면적(S)을 증가시킴으로써 끽연시에 구강 내로 유입되는 주류연의 속도를 내릴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필터(4A) 및 시가렛(1A)에 의하면, 끽연시에 무는 필터(4A) 자세를 변경하는 것으로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구강 내에서 주류연이 닿는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향끽미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흡구단측 필터재(43)에 있어서의 상류부(430b) 및 하류부(430c)와의 상대 각도를 변경하는 것으로 끽연자의 구강 내로 유입되는 주류연의 선속도를 변경함으로써 끽연시에 감수하는 자극의 강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담배 제품용 필터는, 여러 가지의 변경, 개량, 조합 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담배 제품용 필터를 시가렛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시가(여송연), 시가릴로, 스누스, 코 담배, 씹는 담배, 전자 담배 등, 시가렛 이외의 담배 제품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담배 제품용 필터를 적용해도 된다.
시가렛 이외의 담배 제품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담배 제품용 필터를 적용하는 일례로서, 도 23∼도 25에 나타내는 비가열형 흡인구나, 도 26에 나타내는 가열형 흡인구의 흡구(마우스피스)에 있어서의 흡구단측에 본 발명의 흡구 형상을 적용한 경우를 들 수 있다.
도 23∼도 25에 나타내는 비가열형 흡인구(1B)는, 코 담배 재료를 내부에 수용한 카트리지(10B)와, 이 카트리지(10B)에 장착된 마우스피스(4B)를 가진다. 마우스피스(4B)에 대하여, 카트리지(10)는 착탈 자재이다. 카트리지(10B) 및 마우스피스(4B)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비가열형 흡인구(1B)는, 소위 무연 담배이다. 그리고, 코 담배 재료는, 예를 들면 담배의 잎을 분쇄한 것과 향료를 혼합하여, 담배의 향미 성분을 포함시킨 것이다. 또한, 카트리지(10B)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은, 통기성을 가지는 뚜껑재가 각각 끼워넣어져 있고, 비가열형 흡인구(1B)의 사용자는 마우스피스(4B)를 물고 공기를 흡인할 수 있다. 그리고, 마우스피스(4B)로부터 흡인이 실시되면, 카트리지(10B)의 후단에서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코 담배 재료와 접촉하여, 코 담배 재료의 향미를 포함한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사용자는 코 담배 재료의 향미를 맛볼 수 있다.
도 25에, 마우스피스(4B)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마우스피스(4B)에는, 그 횡단면의 일부에 중공로(431B)가 형성되어 있고, 코 담배 재료의 향미를 포함한 공기가 이 중공로(431B)를 지나 사용자의 구강 내로 흡인되도록 되어 있다. 중공로(431B)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마우스피스(4B)의 횡단면을 이분할하는 한쪽의 제1 반원 영역(A1) 내에만 배치되고 있고(존재하고), 다른 한쪽의 제2 반원 영역(A2) 내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마우스피스(4B)의 횡단면 중, 중공로(431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인 비중공부(432B)는, 코 담배 재료의 향미를 포함하는 공기를 유통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즉, 마우스피스(4B)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중공로(431B)는, 비중공부(432B)에 비해 통기 저항이 현저하게 낮게 되어 있고, 해당 공기는 중공로(431B)만을 유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비가열형 흡인구(1B)의 마우스피스(4B)에 의하면, 흡인시에 있어서의 마우스피스(4B)의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흡인한 코 담배 재료의 향미를 포함하는 공기가 구강 내에 있어서 닿는 부위를 변경할 수 있고, 코 담배 재료의 향미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26에 나타내는 가열형 흡인구(1C)는, 예를 들면, 담배 재료가 채워진 포드(pod)를 가열함으로써 담배 성분이 포함된 안개 형상의 증기(vapor)를 발생시키고, 이 증기를 흡인함으로써 담배 재료의 향미를 맛볼 수 있는 흡인구이다. 가열형 흡인구(1C)는, 본체부(10C) 및 마우스피스(4C)를 가진다. 마우스피스(4C)는, 본체부(10C)의 선단부에 착탈 자재이며, 도 25에 있어서 설명한 마우스피스(4B)와 실질적으로 동일 구조로 되고 있다. 또한, 본체부(10C)의 선단 측에는, 포드(11)를 수용함과 동시에, 수용한 포드(11)를 가열하는 가열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10C)에는, 사용자에 의해 온, 오프의 변경 조작이 가능한 스위치(13)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스위치(13)를 온으로 하면, 가열부(12)에 설치되어 있는 히터(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여, 포드(11)를 가열한다. 이에 의해, 담배 성분이 포함된 안개 형상의 증기가 가열부(12)에서 발생하고, 마우스피스(4C)를 통하여 사용자는 이 증기를 흡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가열형 흡인구(1C)에 있어서도, 도 25에 나타내는 마우스피스(4B)와 동일한 마우스피스(4C)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흡인시에 있어서의 마우스피스(4C)의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흡인한 증기가 구강 내에 있어서 닿는 부위를 변경할 수 있어, 증기의 향미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마우스피스(4B, 마우스피스(4C))의 흡구 형상은 원형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유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마우스피스(4B, 마우스피스(4C))를 육각형으로 하면 적합하다. 또한, 마우스피스(4B, 마우스피스(4C))를 플라스틱 등의 수지에 의해 제작함으로써, 임의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1…시가렛
2…담배 로드
3…팁 페이퍼
4…필터
31…통기 구멍
32…식별용 마크
41…전단 필터재
42…캐비티부
43…흡구단측 필터재
A1…제1 반원 영역
A2…제2 반원 영역
431…중공로
432…고통기 저항부

Claims (11)

  1. 흡구단측에 배치되는 흡구단측 필터재와,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의 전단에 배치되어, 주류연을 여과하는 전단 필터재,
    를 구비하고,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는, 전단면에서 후단면에 걸쳐 횡단면의 일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통기 저항이 낮은 저통기 저항부와, 전단면에서 후단면에 걸쳐 횡단면의 잔부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저통기 저항부보다 통기 저항이 높은 고통기 저항부, 를 가지고,
    적어도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의 후단면에 있어서, 상기 저통기 저항부는,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의 횡단면을 그 중심축을 통과하는 경계선을 경계로 이분할하는 한쪽의 반원 영역 내에만 배치되는,
    담배 제품용 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단 필터재와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 사이에는 공동의 캐비티부가 설치되어 있는,
    담배 제품용 필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는, 전단면에서 후단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도부를 경계로 하여 전단측에 위치하는 상류부와 후단측에 위치하는 하류부가 상대적으로 회동 자재인,
    담배 제품용 필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의 상기 중도부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중심부를 남기고 깊이 베어진 슬릿에 의해, 상기 상류부 및 상기 하류부가 상대적으로 회동 자재가 되어 있는, 담배 제품용 필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통기 저항부가 단일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담배 제품용 필터.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통기 저항부는,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의 전단면에서 후단면에 걸쳐 형성되는 중공부인, 담배 제품용 필터.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 제품용 필터의 외주면에, 상기 흡구단측 필터재의 횡단면에 편심 배치되는 상기 저통기 저항부의 위치를 끽연자에게 식별시키기 위한 식별 수단이 부착되어 있는, 담배 제품용 필터.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구단측 필터가 다각형인, 담배 제품용 필터.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통기 저항부 중 상기 경계선으로부터 가장 근접되어 있는 부분의 그 경계선으로부터의 이간 거리의, 필터 직경에 대한 비율이, 1% 이상 100% 미만인, 담배 제품용 필터.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통기 저항부 중 상기 경계선에 가장 떨어져 있는 부분의 그 경계선으로부터의 이간 거리의, 필터 직경에 대한 비율이, 29% 이상 100% 미만인, 담배 제품용 필터.
  11. 청구항 1 내지 10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담배 제품용 필터를 포함하는 담배 제품.
KR1020177027045A 2015-03-13 2015-03-13 담배 제품용 필터 및 담배 제품 KR102042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7432 WO2016147246A1 (ja) 2015-03-13 2015-03-13 たばこ製品用フィルタおよびたばこ製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227A true KR20170122227A (ko) 2017-11-03
KR102042908B1 KR102042908B1 (ko) 2019-11-08

Family

ID=56918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045A KR102042908B1 (ko) 2015-03-13 2015-03-13 담배 제품용 필터 및 담배 제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67550B2 (ko)
EP (1) EP3269266A4 (ko)
JP (1) JP6367468B2 (ko)
KR (1) KR102042908B1 (ko)
CN (1) CN107635416A (ko)
HK (1) HK1250316A1 (ko)
RU (1) RU2670042C1 (ko)
WO (1) WO20161472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01522A1 (en) 2016-05-31 2018-01-04 Innovative Designs, Inc. Process for forming closed cell expanded low density polyethylene foam and products formed thereby
WO2018185014A1 (en) * 2017-04-03 2018-10-11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mouthpiece configured to receive an insert unit
HUE053170T2 (hu) * 2017-10-02 2021-06-28 Essentra Filter Products Dev Co Pte Ltd Dohányzási cikkhez való szûrõ
GB201817573D0 (en) * 2018-10-29 2018-12-12 Nerudia Ltd Smoking substitute consumable
GB201817537D0 (en) * 2018-10-29 2018-12-12 Nerudia Ltd Smoking substitute consumable
GB201817864D0 (en) * 2018-11-01 2018-12-19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isable formulation
KR102332541B1 (ko) * 2018-11-23 2021-11-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물품
WO2023149875A1 (en) * 2022-02-03 2023-08-10 Attilio Tebano Natural wax cigarette fil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8868A (ja) * 1984-10-03 1986-05-07 ブリテイツシユ‐アメリカン・タバコ・カンパニー・リミテツド たばこ用吸口体
JPH0523158A (ja) * 1991-07-17 1993-02-02 Daicel Chem Ind Ltd シガレツトフイルター
JP2007520204A (ja) 2003-06-23 2007-07-26 アール・ジエイ・レイノルズ・タバコ・カンパニー 破壊可能なカプセルを組み込んだフィルタ付きシガレット
JP2010011841A (ja) * 2009-04-10 2010-01-21 Kazuto Koshiishi タバコ用フィルター
KR20140032437A (ko) * 2011-05-13 2014-03-14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흡연 물품용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96737A (en) * 1977-03-14 1981-03-03 Jan Van Tilburg Smoke filters
GB8620109D0 (en) * 1986-08-19 1986-10-01 Tabac Fab Reunies Sa Filter
US5178166A (en) * 1990-09-20 1993-01-12 Philip Morris Incorporated Filter cigarette
GB0813567D0 (en) * 2008-07-24 2008-09-03 British American Tobacco Co Filter for a smoking article
EP2368448A1 (en) * 2010-03-26 2011-09-28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with variable ventilation
CN103110191A (zh) * 2013-02-05 2013-05-22 大亚科技股份有限公司 加炭聚丙烯烟用丝束与醋酸纤维素丝束复合过滤嘴棒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8868A (ja) * 1984-10-03 1986-05-07 ブリテイツシユ‐アメリカン・タバコ・カンパニー・リミテツド たばこ用吸口体
JPH0523158A (ja) * 1991-07-17 1993-02-02 Daicel Chem Ind Ltd シガレツトフイルター
JP2007520204A (ja) 2003-06-23 2007-07-26 アール・ジエイ・レイノルズ・タバコ・カンパニー 破壊可能なカプセルを組み込んだフィルタ付きシガレット
JP2010011841A (ja) * 2009-04-10 2010-01-21 Kazuto Koshiishi タバコ用フィルター
KR20140032437A (ko) * 2011-05-13 2014-03-14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흡연 물품용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67550B2 (en) 2020-06-02
WO2016147246A1 (ja) 2016-09-22
HK1250316A1 (zh) 2018-12-14
JPWO2016147246A1 (ja) 2017-08-31
CN107635416A (zh) 2018-01-26
US20180000152A1 (en) 2018-01-04
RU2670042C1 (ru) 2018-10-17
EP3269266A1 (en) 2018-01-17
KR102042908B1 (ko) 2019-11-08
JP6367468B2 (ja) 2018-08-01
EP3269266A4 (en)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2227A (ko) 담배 제품용 필터 및 담배 제품
US11419362B2 (en) Insertable filter unit
TWI654942B (zh) 包含液體傳送構件及包覆材的菸品
US11918035B2 (en) Tobacco smoke filter
CN103648310B (zh) 通气的吸烟物品
JP2018174938A (ja) 吸口端汚損を低減した喫煙物品
JP2013509161A (ja) 喫煙品用流れ制御装置
CN201207922Y (zh) 一种用于替代烟的仿真烟嘴
EP3694345B1 (en) Aerosol generating article having a cavity with particulate aerosol altering material
JP2013518569A (ja) 喫煙品用煙流調整装置
JPH11178562A (ja) 非燃焼型香味発生品
KR102230170B1 (ko) 끽연 물품
TWI584744B (zh) 菸草製品用濾嘴及菸草製品
KR102265731B1 (ko) 담배 필터 권지 및 이를 포함하는 담배 필터
JP2006296398A (ja) 禁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