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607A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 of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pparatu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 of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607A
KR20170121607A KR1020160050318A KR20160050318A KR20170121607A KR 20170121607 A KR20170121607 A KR 20170121607A KR 1020160050318 A KR1020160050318 A KR 1020160050318A KR 20160050318 A KR20160050318 A KR 20160050318A KR 20170121607 A KR20170121607 A KR 20170121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band signal
time
ais equipment
ai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3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찬복
황현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50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1607A/en
Publication of KR20170121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6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233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coherent demodulation
    • H04L27/2335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coherent demodulation using temporal properties of the received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5Transmission equipment in satellites or space-based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system for detecting the error of an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apparatu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lot tick generating part for generating a slot tick based on coordinated global time information, a communication part for receiving a baseband signal from an AIS apparatus, and a control part which determines whether a time from the time point of occurrence of the slot tick to the time point of a baseband signal is within a first time range set based on the maximum tolerance of a baseband signal reception tim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apparatus, and determines whether the AIS apparatus malfunctio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radio resources occupied by malfunction.

Description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 OF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PPARATUS}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 AIS equipment malfunction,

본 발명은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S equipment malfunct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해상 통신에 사용하는 선박 자동 식별 장치(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는 표준 규격 “ITU-R M.1371”에 따라 동작한다.The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used for maritime communications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ITU-R M.1371".

AIS 장비를 사용하는 선박은 해당 선박의 정보에 따라 SOTDMA(Self Organize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슬롯 할당 방식이나 CSTDMA(Carrier Sense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슬롯 할당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한다.The ship using the AIS equipment performs data transmission using a slot allocation scheme based on SOTDMA (Self Organize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r a slot allocation scheme based on Carrier Sense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STDMA)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ship .

SOTDMA 방식을 사용하는 AIS 장비는 수신한 메시지의 통신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슬롯의 영역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송 가능한 슬롯 영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The AIS equipment using the SOTDMA scheme analyzes the communic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received message, calculates the slot area where data can be transmitted, and transmits the data through the calculated slot number.

SOTDMA 방식을 사용하는 AIS 장비는 SOTDMA방식의 전송 타이밍에 맞게 송신하며, 선박국의 동기 시간 오차는 최대 312ms 허용되며, 육상국의 동기 시간 오차는 최대 104ms 허용된다.The AIS equipment using the SOTDMA scheme transmits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timing of the SOTDMA scheme, the synchronization time error of the ship station is allowed for a maximum of 312 ms, and the synchronization time error of the land station is allowed for a maximum of 104 ms.

CSTDMA 방식을 사용하는 AIS 장비는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슬롯에서 833ms~1,979ms의 시간 구간 동안에 CS(Carrier Sence)가 있는지 검출하여, 데이터가 검출되지 않으면 해당 슬롯에서 CSTDMA방식의 전송 타이밍에 맞게 데이터를 송신하며, 동기 시간 오차는 최대 312ms 허용된다.The AIS equipment using the CSTDMA scheme detects CS (Carrier Sence) during a time interval of 833 ms to 1,979 ms in the slot to which data is to be transmitted. If no data is detected, the AIS equipment uses data in the slot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ssion timing of the CSTDMA scheme And the synchronization time error is allowed for a maximum of 312 ms.

AIS 장비는 전송 방식에 따른 전송 타이밍에 맞게 동작해야 하지만, AIS 장비의 오작동으로 전송 타이밍에 맞지 않게 동작할 수도 있다.The AIS equipment should operat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timing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ode, but it may not operate properly due to the malfunction of the AIS equipment.

SOTDMA 방식을 사용하는 AIS 장비는 수신한 메시지의 통신 상태 정보 분석을 통하여 전송 타이밍을 구성하고, CSTDMA 방식을 사용하는 AIS 장비는 데이터를 송신하고자 하는 슬롯의 데이터 검출 유무에 의해서 전송 시점을 판단하기 때문에, 전송 타이밍에 맞게 데이터를 전송하는지 여부는 고려되지 않는다.The AIS equipment using the SOTDMA scheme configures the transmission timing by analyzing the communic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message and the AIS equipment using the CSTDMA scheme determines the transmission time point based on the presence / absence of data detection in the slot to which the data is transmitted , Whether or not to transmit data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ssion timing is not considered.

따라서 무선 통신 환경과 무선 자원 환경이 나쁜 상황에서도 AIS 장비는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게 된다.Therefore,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the wireless resource environment are bad, the AIS equipment performs data transmission.

도 1은 AIS 장비 1, 2 및 3이 AIS 규격에 맞게 데이터를 송신하고, AIS 장비 4가 동일한 시간에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IS equipment 1, 2 and 3 transmit data according to the AIS standard and the AIS equipment 4 receives the data at the same time.

도 1을 참조하면, AIS 장비 1은 SOTDMA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AIS 장비 2는 정상적인 전송 타이밍에 맞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AIS 장비 3은 CSTDMA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AIS 장비 4는 AIS 장비 1, 2 및 3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AIS 장비 1, 2 및 3은 각 슬롯 내에서 타이밍에 맞게 데이터를 송신하므로 AIS 장비 4는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한다.1, the AIS equipment 1 transmits data according to the SOTDMA scheme, the AIS equipment 2 transmits data according to the normal transmission timing, the AIS equipment 3 transmits data according to the CSTDMA scheme, and the AIS equipment 4 transmits data according to the AIS equipment 1, 2 and 3, respectively. AIS equipment 1, 2, and 3 transmit data according to timing within each slot, so AIS equipment 4 normally receives data.

도 2는 AIS 장비 1, 2 및 3 중 AIS 장비 2가 전송 타이밍에 맞지 않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AIS 장비 4는 동일한 시간에 이러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IS equipment 1, 2 and 3 AIS equipment 2 transmits data in a manner inconsistent with a transmission timing and AIS equipment 4 receives such data at the same time.

도 2를 참조하면, AIS 장비 1 및 3는 각 방식에 따라 정상적인 타이밍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송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AIS 장비 2는 도 1에서와는 달리 오작동으로 인하여 전송 타이밍에 맞지 않게 데이터를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2, the AIS devices 1 and 3 are attempting to transmit or transmit data at normal timing according to each method. However, the AIS equipment 2 transmits data in a manner inconsistent with the transmission timing due to a malfunction.

SOTDMA 방식을 사용하는 AIS 장비 1은 수신한 메시지의 통신 상태 정보 분석을 통하여 전송 타이밍을 구성하기 때문에 AIS 장비 2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AIS 장비 1이 전송한 데이터와 AIS 장비 2가 전송한 데이터가 섞여서 AIS 장비 4는 데이터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The AIS equipment 1 using the SOTDMA scheme transmits data irrespective of the AIS equipment 2 because it configures the transmission timing by analyzing the communic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received message. As a result, the data transmitted by the AIS equipment 1 and the data transmitted by the AIS equipment 2 are mixed and the AIS equipment 4 may not be able to detect the data.

또한, AIS 장비 3은 CSTDMA 방식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슬롯의 데이터 유무를 검출한 후 송신하게 되는데, AIS 장비 2로 인해 하나의 슬롯에만 전송할 수 있게 되고, 전송 가능한 무선 자원이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Also, the AIS equipment 3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ta in the slot to be transmitted in the CSTDMA scheme, and then transmits the data.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AIS equipment 2 can transmit only one slot and the available radio resources are reduced.

즉, 도 2의 AIS 장비 2와 같이 오작동으로 인하여 전송 타이밍에 맞지 않게 데이터를 송신하는 AIS 장비에 의해 무선 통신 환경이 훼손된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That is, as in the AIS equipment 2 of FIG. 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damaged by the AIS equipment that transmits data in a manner incompatible with the transmission timing due to malfun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송타이밍에 맞지 않게 전송하는 AIS 장비를 찾아내 오작동으로 인한 무선 통신 환경 훼손을 막아 해상 무선 송수신의 성능을 높이고, 오작동으로 점유된 무선 자원의 손실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S apparatus for transmitting AIS apparatuses that do not conform to transmission timings and to prevent deterio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due to malfunction, Thereby preventing loss of radio resources.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can be understood.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은 협정세계시 정보를 기반으로 슬롯 틱을 발생시키는 슬롯 틱 발생부,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장비로부터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시간의 최대 허용 오차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 1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S equipment malfunction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cludes a slot tick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slot tick based on the coordinated global time information, a baseband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baseband signal from an AIS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ime from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slot tick to the time of the baseband signal is within a first time range set based on the maximum allowable error of the baseband signal reception tim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또한, 상기 제 1 시간 범위는,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의 기준 타이밍의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늦은 시점까지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ime range may be from a time point that is earlier by the maximum allowable error to a time that is later by the maximum allowable error based on a time point of a reference timing of the baseband signal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cheme of the AIS equipment.

또한,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이 SOTDMA인 경우, 상기 제 1 시간 범위는 0.521ms부터 1.145ms이고,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이 CSTDMA인 경우, 상기 제 1 시간 범위는 2.084ms부터 2.708ms일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is SOTDMA, the first time range is 0.521 ms to 1.145 ms, and whe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is CSTDMA, the first time range is 2.084 ms to 2.708 ms hav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시간의 최대 허용 오차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 2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time from the generation of the slot tick to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falls within a second time range set based on the maximum tolerance of the baseband signal reception tim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또한, 상기 제 2 시간 범위는,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기준 타이밍의 종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상기 슬롯 틱의 다음 슬롯 틱 발생 시점까지일 수 있다.The second time range may be from an earlier point of time of the maximum allowable error to an end of a next slot tick of the slot tick based on an end point of a baseband signal reception reference timing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cheme of the AIS equipment.

또한,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이 SOTDMA인 경우, 상기 제 2 시간 범위는 23.855ms부터 26.667ms이고,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이 CSTDMA인 경우, 상기 제 2 시간 범위는 25.417ms부터 26.667ms일 수 있다.Whe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is SOTDMA, the second time range is 23.855 ms to 26.667 ms. Whe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is CSTDMA, the second time range is 25.417 ms to 26.667 ms. have.

또한,상기 슬롯 틱 발생부는 위성위치 측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측위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로란-C(LORAN-C), GALILEO(Europian Satellite Navigation System),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및 GAGAN(GPS Aided Geo Augmented Navigation)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협정세계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slot tick generator may b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a Loran-C, a GALILEO (Europian Satellite Navigation System), a QZSS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and GPS Aided Geo Augmented Navigation (GAGA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해상이동 업무 식별 부호(MMSI: 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ty)를 검출하고, 상기 해상이동 업무 식별 부호를 기반으로 상기 AIS 장비를 식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ct a 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ty (MMSI) from the baseband signal and identify the AIS equipment based on the 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fication cod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메시지 ID를 검출하고, 상기 메시지 ID를 기반으로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복수의 슬롯을 통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ct a message ID from the baseband signal and determine whether the baseband signal is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slots based on the message I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하나의 슬롯을 통해 수신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종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시간의 최대 허용 오차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 2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base band signal is determined to be received through one slo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time from the generation of the slot tick to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is shorter than the baseband signal reception tim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And determines whether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or not by determining whether the AIS equipment is in a second time range based on the maximum allowable error of the AIS equipmen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이 SOTDMA(Self Organize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CSTDMA(Carrier Sense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중 어느 것인지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 1 시간 범위는, 상기 SOTDMA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의 기준 타이밍의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늦은 시점까지인 제 3 시간 범위 및 상기 CSTDMA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의 기준 타이밍의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늦은 시점까지인 제 4 시간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If the communication scheme of the AIS equipment does not recognize either SOTDMA (Self Organize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r CSTDMA (Carrier Sense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he first time range is set to the SOTDMA A third time range from a time point of the maximum allowable error to a time point of the maximum allowable error and a time point of a base timing of the baseband signal according to the CSTDMA, And may include a fourth time range from an earlier point of time by the maximum tolerance to a point of time after the maximum tolerance.

또한,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제 3 시간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종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SOTDMA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의 기준 타이밍의 종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상기 슬롯 틱의 다음 슬롯 틱 발생 시점까지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제 4 시간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CSTDMA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의 기준 타이밍의 종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상기 슬롯 틱의 다음 슬롯 틱 발생 시점까지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time from the generation of the slot tick to the star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third time rang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time from the generation point of the slot tick to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Judges whether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by judging whether the AIS equipment belongs to the end of the reference timing of the baseband signal according to the SOTDMA from the time point of the maximum tolerance to the next slot tick occurrence point of the slot tick, When the time from the generation of the slot tick to the star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fourth time rang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time from the generation point of the slot tick to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corresponds to the CSTDMA From the point at which the maximum allowable error is reached at an earlier point on the basis of the end point of the reference timing of the baseband signal Group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next slot belongs to a tick occurs and the time slot of the tick to determine whether a malfunction of the AIS equipment.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AIS 장비 오작동 검출 방법은 협정세계시 정보를 기반으로 슬롯 틱을 발생시키는 단계,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장비로부터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시간의 최대 허용 오차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 1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etecting an AIS equipment malfunction, including the steps of generating a slotted tick based on coordinated global time information, receiving a baseband signal from an 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Determining whether a time from a time point of occurrence of a slot tick to a time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is within a first time range set based on a maximum allowable error of a baseband signal reception tim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또한, 상기 제 1 시간 범위는,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의 기준 타이밍의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늦은 시점까지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ime range may be from a time point that is earlier by the maximum allowable error to a time that is later by the maximum allowable error based on a time point of a reference timing of the baseband signal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cheme of the AIS equipment.

또한,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시간의 최대 허용 오차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 2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of the malfunction of the AIS equipment may include determining a time from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slot tick to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based on the maximum tolerance of the baseband signal reception tim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IS equipment is malfunctioning or not.

또한, 상기 제 2 시간 범위는,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의 기준 타이밍의 종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상기 슬롯 틱의 다음 슬롯 틱 발생 시점까지일 수 있다.The second time range may be from an earlier point of time of the maximum allowable error to an end of a next slot tick of the slot tick based on an end point of a reference timing of a baseband signal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cheme of the AIS equipment.

또한, 상기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해상이동 업무 식별 부호(MMSI)를 검출하고, 상기 해상이동 업무 식별 부호를 기반으로 상기 AIS 장비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a 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fication (MMSI) from the baseband signal and identifying the AIS equipment based on the 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fication code.

또한, 상기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메시지 ID를 검출하고, 상기 메시지 ID를 기반으로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복수의 슬롯을 통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a message ID from the baseband sig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baseband signal is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slots based on the message ID.

또한,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하나의 슬롯을 통해 수신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종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시간의 최대 허용 오차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 2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etermining that the baseband signal is received through one slo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 time from the generation of the slot tick to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is greater than a time It is further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by determining whether it is within a second time range set based on the maximum allowable error of the baseband signal reception tim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송타이밍에 맞지 않게 전송하는 AIS 장비를 찾아내 오작동으로 인한 무선 통신 환경 훼손을 막아 해상 무선 송수신의 성능을 높이고, 오작동으로 점유된 무선 자원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maritime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prevent the loss of radio resources occupied by malfunctions by preventing the AIS equipment from transmitting malfunctioning due to erroneous opera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ffects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possibl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AIS 장비 1, 2 및 3이 AIS 규격에 맞게 데이터를 송신하고, AIS 장비 4가 동일한 시간에 이러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AIS 장비 1, 2 및 3 중 AIS 장비 2가 전송 타이밍에 맞지 않게 데이터를 전송하고, AIS 장비 4는 동일한 시간에 이러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OTDMA 방식에서 송수신 타이밍 허용치를 고려한 AIS 장비의 오작동 판별 기준을 도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STDMA 방식에서 송수신 타이밍 허용치를 고려한 AIS 장비의 오작동 판별 기준을 도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OTDMA 방식 및 CSTDMA 방식에서 수신 타이밍 허용치를 고려한 AIS 장비의 오작동 판별 기준을 도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S 장비 오작동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S 장비 오작동 검출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IS equipment 1, 2 and 3 transmit data according to the AIS standard and the AIS equipment 4 receives such data at the same time.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IS equipment 1, 2 and 3 AIS equipment 2 transmits data in a manner inconsistent with a transmission timing and AIS equipment 4 receives such data at the same time.
3 is a block diagram of an AIS equipment malfunction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deriving a malfunction discrimination criterion of the AIS equipment consider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iming tolerance in the SOTDMA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deriving a malfunction discrimination criterion of the AIS equipment consider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iming tolerance in the CSTDMA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deriving a malfunction discrimination criterion of the AIS equipment considering the reception timing tolerance in the SOTDMA system and the CSTDM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an AIS equipment mal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system that implements the AIS instrument malfunction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OTDMA 방식에서 송수신 타이밍 허용치를 고려한 AIS 장비의 오작동 판별 기준을 도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STDMA 방식에서 송수신 타이밍 허용치를 고려한 AIS 장비의 오작동 판별 기준을 도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OTDMA 방식 및 CSTDMA 방식에서 대한 수신 타이밍 허용치를 고려한 AIS 장비의 오작동 판별 기준을 도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AIS equipment malfunction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deriving a malfunction discrimination criterion of the AIS equipment consider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iming tolerance in the SOTDMA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D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deriving a malfunction discrimination criterion of the AIS equipment consider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iming tolerance in the CSTDMA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deriving a malfunction discrimination criterion of the AIS equipment considering the reception timing tolerance in the SOTDMA system and the CSTDM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은 슬롯 틱 발생부(100), 통신부(200) 및 제어부(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3, the AIS device malfunction detection system may include a slot tick generator 100, a communication unit 200, a controller 300, and the like.

다만,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However,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re not essential, and an AIS equipment malfunction detection system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슬롯 틱 발생부(100)는 협정세계시 정보를 기반으로 주기적으로 슬롯 틱을 발생시킨다. AIS의 표준 규격에서 1 프레임은 1분이고 1개의 프레임에는 2250개의 슬롯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1개의 슬롯의 길이는 80/3(ms)이다. 슬롯 틱은 매 슬롯의 시작 지점에서 슬롯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로서, 슬롯 틱 발생부(100)는 80/3(≒26.667)ms 마다 슬롯 틱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slot tick generator 100 periodically generates slot ticks based on the coordinated global time information. In the AIS standard specification, one frame is one minute and one frame contains 2250 slots, so that the length of one slot is 80/3 (ms). The slot tick is a signal for notifying the start of a slot at the start point of each slot, and the slot tick generator 100 can generate a slot tick every 80/3 (26.667) ms.

슬롯 틱 발생부(100)는 협정세계시(UTC: Universal Time Coordinated) 정보를 기반으로 매 슬롯의 시작 시점에서 슬롯 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슬롯 틱 발생부(100)는 위성위치 측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측위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로란-C(LORAN-C), GALILEO(Europian Satellite Navigation System),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GAGAN(GPS Aided Geo Augmented Navigation) 등과 같은 시스템으로부터 협정세계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slot tick generator 100 may generate a slot tick at the start of each slot based on Universal Time Coordinated (UTC) information. The slot-tick generating unit 100 include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a Loran-C, a GALILEO (Europian Satellite Navigation System) The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the GPS Aided Geo Augmented Navigation (GAGAN), and the like.

통신부(200)는 AIS 장비로부터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며, 무선 상의 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복조하고, 기저대역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통신부(200)는 상술한 SOTDMA 또는 CSTDMA의 통신 방식 뿐만 아니라 언급되지 않은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00 receives the baseband signal from the AIS equipment, demodulates the signal on the baseband into a baseband signal, and detects the baseband signal. The communication unit 200 can wirelessly receive data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SOTDMA or CSTDMA as well as other communication methods not mentioned.

제어부(300)는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과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시간의 최대 허용 오차를 기반으로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0 can determine whether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based on the time of the baseband signal and the maximum allowable error of the baseband signal reception tim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까지의 시간이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시간의 최대 허용 오차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 1 시간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time from the generation of the slot tick to the star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first time range set based on the maximum tolerance of the baseband signal reception tim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상기 제 1 시간 범위는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제 1 시간 범위를 판단하기 위해, 제어부(300)는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해상이동 업무 식별 부호(MMSI: 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ty)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한 해상이동 업무 식별 부호를 기반으로 AIS 장비를 식별하여 AIS 장비의 통신 방식 또한 식별할 수 있다.The first time range depends o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In order to determine the first time range, the control unit 300 may detect 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ty (MMSI) from the baseband signal. The identification of the AIS equipment can also be identified by identifying the AIS equipment based on the detected 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fication code.

또한, 제어부(300)는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메시지 ID(Identifier)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검출한 메시지 ID를 기반으로 기저대역 신호가 1개의 슬롯만을 통해 수신되는지 복수의 슬롯을 통해 수신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300 can detect a message ID (Identifier) from the baseband signal. The control unit 300 can determine whether the baseband signal is received through only one slot or a plurality of slots based on the detected message ID.

기저대역 신호가 1개의 슬롯만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기저대역 신호가 종점까지의 시간이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시간의 최대 허용 오차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 2 시간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baseband signal is received through only one slot,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that the time from the generation of the slot tick to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corresponds to the maximum allowable error of the baseband signal reception tim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or not based on the second time range.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AIS 장비의 오작동 판별 기준이 되는 제 1 시간 범위 및 제 2 시간 범위가 도출되는 과정과 제어부(300)가 AIS 장비의 오작동을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deriving a first time range and a second time range as malfunction discrimination criteria of the AIS equipment and a method of determining the malfunction of the AIS equipment by the control uni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6C.

먼저, AIS 장비가 SOTDMA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case where the AIS equipment transmits data in the SOTDMA system will be described.

도 4a는 기준 타이밍(Reference timing)으로 기저대역 신호가 전송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기저대역 신호는 슬롯 틱을 기준으로 0.833ms에 시작하고, 슬롯 틱을 기준으로 24.167ms 이후에 끝난다.4A shows a case where a baseband signal is transmitted at a reference timing. The baseband signal starts at 0.833 ms based on the slot tick, and ends after 24.167 ms based on the slot tick.

도 4b는 기준 타이밍을 기준으로 기저대역 신호가 최대 허용 오차인 0.312ms 만큼 이르게 전송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기저대역 신호는 슬롯 틱을 기준으로 0.521ms에 시작하고, 슬롯 틱을 기준으로 23.855ms 이후에 끝난다.FIG. 4B shows a case where the baseband signal is transmitted as much as 0.312 ms, which is the maximum allowable error, based on the reference timing. The baseband signal starts at 0.521 ms based on the slot tick, and 23.855 ms It ends later.

도 4c는 기준 타이밍을 기준으로 기저대역 신호가 최대 허용 오차인 0.312ms 만큼 늦게 전송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기저대역 신호는 슬롯 틱을 기준으로 1.145ms에 시작하고, 슬롯 틱을 기준으로 24.479ms 이후에 끝난다.FIG. 4C shows a case where the baseband signal is transmitted as late as the maximum allowable error of 0.312 ms based on the reference timing. The baseband signal starts at 1.145 ms based on the slot tick and 24.479 ms It ends later.

결론적으로,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은 기준 타이밍을 기준으로 최대 허용 오차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따라서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이 속해야 하는 상기 제 1 범위는 기저대역 신호 수신 기준 타이밍의 시점을 기준으로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최대 허용 오차만큼 늦은 시점까지이다.Consequently, the time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should be within the maximum tolerance range based on the reference timing. Therefore, the first range in which the time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should belong is from the point at which the maximum allowable error is reached to the point at which the maximum allowable error is late, based on the point of time of the baseband signal reception reference timing.

도 4d는 도 4b 및 도 4c에 나타난 시점을 모두 나타낸 도면으로서,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이 도 4d의 B 구간에 속한다면, 기저대역 신호는 다른 기저대역 신호와 충돌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다.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이 B 구간 외에 속한다면, 제어부(300)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송신한 AIS 장비가 오작동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FIG. 4D is a view showing all of the viewpoints shown in FIGS. 4B and 4C. If the viewpoin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section B of FIG. 4D, the baseband signal will not collide with the other baseband signal. If the time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a region other than region B, the control unit 300 may determine that the AIS equipment that transmitted the baseband signal malfunc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가 1개의 슬롯만을 통해 수신된다면, 제어부(300)는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이 상기 제 2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baseband signal is received through only one slot, the controller 300 may further determine whether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second range.

기저대역 신호가 종점은 기저대역 신호가 다음 슬롯을 침범하지 않도록 기준 타이밍의 종점을 기준으로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슬롯 틱의 다음 슬롯 틱 발생 시점까지에 속해야 한다.The endpoint of the baseband signal must belong to the point of occurrence of the next slot tick of the slot tick from a point as early as the maximum tolerance with respect to the end point of the reference timing so that the baseband signal does not invade the next slot.

즉,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은 도 4d의 슬롯 구간 중 A, B 및 C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 속해야 한다.That is,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should belong to the slot except for A, B and C sections in the slot section of FIG. 4D.

따라서 기저대역 신호가 종점이 A, B 또는 C 구간에 속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송신한 AIS 장비가 오작동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A, B, or C section, the controller 300 may determine that the AIS device that transmitted the baseband signal is malfunctioning.

다음으로, AIS 장비가 CSTDMA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case where the AIS equipment transmits data by the CSTDMA method will be described.

도 5a는 기준 타이밍(Reference timing)으로 기저대역 신호가 전송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기저대역 신호는 슬롯 틱을 기준으로 2.396ms에 시작하고, 슬롯 틱을 기준으로 25.729ms 이후에 끝난다.5A shows a case where a baseband signal is transmitted at a reference timing. The baseband signal starts at 2.396 ms based on the slot tick, and ends after 25.729 ms based on the slot tick.

도 5b는 기준 타이밍을 기준으로 기저대역 신호가 최대 허용 오차인 0.312ms 만큼 이르게 전송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기저대역 신호는 슬롯 틱을 기준으로 2.084ms에 시작하고, 슬롯 틱을 기준으로 25.417ms 이후에 끝난다.5B shows a case where the baseband signal is transmitted as much as 0.312 ms which is the maximum allowable error based on the reference timing. The baseband signal starts at 2.084 ms based on the slot tick, and 25.417 ms It ends later.

도 5c는 기준 타이밍을 기준으로 기저대역 신호가 최대 허용 오차인 0.312ms 만큼 늦게 전송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기저대역 신호는 슬롯 틱을 기준으로 2.708ms에 시작하고, 슬롯 틱을 기준으로 26.041ms 이후에 끝난다.5c shows a case where the baseband signal is transmitted by 0.312ms, which is the maximum allowable error, based on the reference timing. The baseband signal starts at 2.708ms based on the slot tick, and 26.041ms It ends later.

상술한 SOTDMA 방식에서와 같이 CSTDMA 방식에서도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은 기준 타이밍을 기준으로 최대 허용 오차범위 내에 속해야 한다. 따라서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이 속해야 하는 상기 제 1 범위는 기저대역 신호 수신 기준 타이밍의 시점을 기준으로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최대 허용 오차만큼 늦은 시점까지이다.As in the above-described SOTDMA system, the time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must be within the maximum tolerance range based on the reference timing even in the CSTDMA system. Therefore, the first range in which the time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should belong is from the point at which the maximum allowable error is reached to the point at which the maximum allowable error is late, based on the point of time of the baseband signal reception reference timing.

도 5d는 도 5b 및 도 5c에 나타난 시점을 모두 나타낸 도면으로서,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이 도 5d의 E 구간에 속한다면, 기저대역 신호는 다른 기저대역 신호와 충돌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다.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이 E 구간 외에 속한다면, 제어부(300)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송신한 AIS 장비가 오작동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FIG. 5D is a view showing all of the viewpoints shown in FIGS. 5B and 5C. If the viewpoin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section E of FIG. 5D, the baseband signal will not collide with the other baseband signal. If the time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outside the period E, the control unit 300 may determine that the AIS equipment that transmitted the baseband signal is malfunctio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가 1개의 슬롯만을 통해 수신된다면, 제어부(300)는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이 상기 제 2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baseband signal is received through only one slot, the controller 300 may further determine whether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second range.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은 기저대역 신호가 다음 슬롯을 침범하지 않도록 기준 타이밍의 종점을 기준으로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슬롯 틱의 다음 슬롯 틱 발생 시점까지에 속해야 한다.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must belong to the point of occurrence of the next slot tick of the slot tick from a point as early as the maximum tolerance with respect to the end point of the reference timing so that the baseband signal does not invade the next slot.

즉,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은 도 5d의 슬롯 구간 중 D, E 및 F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 속해야 한다.That is,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should belong to a section except D, E and F sections in the slot section of FIG. 5D.

따라서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이 D, E 또는 F 구간에 속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송신한 AIS 장비가 오작동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D, E, or F section, the controller 300 may determine that the AIS equipment that transmitted the baseband signal malfunctions.

도 6a는 SOTDMA 방식에서 송수신 타이밍 허용치를 고려한 AIS 장비의 오작동 판별 기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CSTDMA 방식에서 송수신 타이밍 허용치를 고려한 AIS 장비의 오작동 판별 기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c는 SOTDMA 방식 및 CSTDMA 방식 모두의 송수신 타이밍 허용치를 고려한 AIS 장비의 오작동 판별 기준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A is a view showing a malfunction discrimination criterion of the AIS equipment consider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iming tolerance in the SOTDMA system, FIG. 6B is a view showing a malfunction discrimination criterion of the AIS equipment consider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timing tolerance in the CSTDMA system, CSTDM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c의 A 및 B 구간은 도 6a의 A 및 B 구간과 동일하고, 도 6c의 E 구간은 도 6b의 E 구간과 동일하다. 도 6c의 G구간은 도 6b의 D구간에서 도 6a의 A 및 B 구간을 제외한 구간이고, H 구간은 도 6a의 C구간과 도 6b의 F구간이 중첩되는 구간이며, I구간은 도 6b의 F구간에서 도 6a의 C구간이 제외된 구간이다.The sections A and B of FIG. 6C are the same as the sections A and B of FIG. 6A, and the section E of FIG. 6C is the same section E of FIG. 6B. 6B is a section except the sections A and B of FIG. 6A in section D of FIG. 6B, the section C of FIG. 6A overlaps the section F of FIG. 6B, the section I is a section of FIG. And the section C in FIG. 6A is excluded in the section F.

앞선 설명에서 AIS 장비의 통신 방식이 SOTDMA인 경우,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이 B구간에 속해야 AIS 장비가 정상 작동한다고 볼 수 있고, AIS 장비의 통신 방식이 CSTDMA인 경우,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이 E구간에 속해야 AIS 장비가 정상 작동한다고 볼 수 있다고 하였다.In the above description, if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is SOTDMA, the AIS equipment should operate normally when the base band signal is in the B zone, and if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is CSTDMA, And that the AIS equipment should be in normal operation.

따라서 제어부(300)는 AIS 장비의 통신방식이 SOTDMA인지 및 CSTDMA 중 어느 것인지 인식하지 못하고,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이 B 구간 및 E 구간 중 어느 하나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기적대역 신호를 송신한 장비가 오작동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mmunication mode of the AIS equipment is not recognized as SOTDMA or CSTDMA, and the time of the baseband signal does not belong to any one of the B section and the E section, Can be judged to be a malfunction.

그러나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이 B 구간에 속하는 경우라도,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전송한 AIS 장비의 통신방식이 CSTDMA인 경우에는 비정상적으로 전송된 기저대역 신호이다.However, even if the time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section B, it is an abnormally transmitted baseband signal whe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transmitting the baseband signal is CSTDMA.

따라서 제어부(300)는 AIS 장비의 통신방식이 SOTDMA인지 및 CSTDMA 중 어느 것인지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이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판단하여 정상적으로 전송된 기저대역 신호인지 판단해야 한다.Accordingly, if the communication scheme of the AIS equipment can not recognize either SOTDMA or CSTDMA, the controller 300 determines which segment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and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is a normally transmitted baseband signal.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이 B 구간에 속하는 경우,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SOTDMA 방식의 기저대역 신호라면,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이 도 6c의 슬롯 구간 중 A, B, G, E 및 H 구간(도 6a의 A, B 및 C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 속해야 한다. 즉,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은 기저대역 신호가 다음 슬롯을 침범하지 않도록 기준 타이밍의 종점을 기준으로 SOTDMA 방식의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슬롯 틱의 다음 슬롯 틱 발생 시점까지에 속해야 한다.I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period B and the baseband signal is the baseband signal of the SOTDMA scheme,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is divided into the period A, B, G, E, and H A, B, and C). That is,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must belong to the maximum tolerance of the SOTDMA scheme from the point at which the base band signal does not invade the next slot to the point at which the next slot tick occurs in the slot tick based on the end point of the reference timing.

또한,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이 E 구간에 속하는 경우,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CSTDMA 방식의 기저대역 신호라면,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이 도 6c의 슬롯 구간 중 A, B, G, E, H 및 I 구간(도 6b의 D, E 및 F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 속해야 한다. 즉,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은 기저대역 신호가 다음 슬롯을 침범하지 않도록 기준 타이밍의 종점을 기준으로 CSTDMA 방식의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슬롯 틱의 다음 슬롯 틱 발생 시점까지에 속해야 한다.I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period E and the baseband signal is the baseband signal of the CSTDMA scheme,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is A, B, G, E, H and I (Section D, E and F in Fig. 6B). That is,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must belong to a point from the earliest point of the CSTDMA scheme to the next slot tick occurrence point of the slot tick based on the end point of the reference timing so that the baseband signal does not invade the next slot.

따라서 제어부(300)는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이 B 구간에 속하고,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이 A, B, G, E 및 H 구간에 속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송신한 AIS 장비가 오작동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that the start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section B and that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section A, B, G, E, and H, It can be judged that the equipment is malfunctioning.

또한, 제어부(300)는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이 E 구간에 속하고,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이 A, B, G, E, H 및 I 구간에 속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송신한 AIS 장비가 오작동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that the start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section E and that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section A, B, G, E, H and I, It can be judged that the transmitted AIS equipment malfunctions.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들을 기초로 AIS 장비 오작동 검출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detecting an AIS equipment mal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을 참조하면 AIS 장비 오작동 검출 방법은 주기적으로 슬롯 틱을 발생시키는 단계(S100), 기적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0) 및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method of detecting an AIS equipment malfunction may include periodically generating a slot tick (S100), receiving a miraculous band signal (S200),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S300) have.

이하에서, 상술한 S100 단계 내지 S300 단계가 도 3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Hereinafter, steps S100 to S30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C.

S100 단계에서, 슬롯 틱 발생부(100)는 협정세계시 정보를 기반으로 주기적으로 슬롯 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슬롯 틱 발생의 주기는 80/3(ms)일 수 있고, 슬롯 틱 발생부(100)는 위성위치 측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측위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로란-C(LORAN-C), GALILEO(Europian Satellite Navigation System),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GAGAN(GPS Aided Geo Augmented Navigation) 등과 같은 시스템으로부터 협정세계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S100, the slot tick generating unit 100 may periodically generate a slot tick based on the coordinated time information. The slot tick generation unit 100 may b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a Loran- C standard information from a system such as C (LORAN-C), GALILEO (Europian Satellite Navigation System), QZSS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GAGAN (GPS Aided Geo Augmented Navigation)

S200 단계에서, 통신부(200)는 AIS 장비로부터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00)는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상의 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복조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In step S200, the communication unit 200 can receive the baseband signal from the AIS equipment. In order to receive the baseband signal, the communication unit 200 can detect the baseband signal by demodulating the radio-base signal into the baseband.

S300 단계에서, 제어부(300)는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까지의 시간이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시간의 최대 허용 오차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 1 시간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S300, the controll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time from the generation of the slot tick to the start of the baseband signal falls within the first time range set based on the maximum allowable error of the baseband signal reception tim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or not.

제어부(300)는 AIS 장비를 식별하기 위해,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해상이동 업무 식별 부호(MMSI: 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ty)를 검출할 수 있고, 해상이동 업무 식별 부호로부터 AIS 장비를 식별하고, AIS 장비의 통신 방식 또한 식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may detect the 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ty (MMSI) from the baseband signal to identify the AIS equipment, identify the AIS equipment from the 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fication code, Communication methods can also be identified.

또한, 제어부(300)는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메시지 ID(Identifier)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검출한 메시지 ID를 기반으로 기저대역 신호가 1개의 슬롯만을 통해 수신되는지 복수의 슬롯을 통해 수신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300 can detect a message ID (Identifier) from the baseband signal. The control unit 300 can determine whether the baseband signal is received through only one slot or a plurality of slots based on the detected message I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가 1개의 슬롯만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까지의 시간이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시간의 최대 허용 오차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 2 시간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baseband signal is received through only one sl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300 determines that the time from the generation of the slot tick to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corresponds to the baseband It is further determined whether the AIS equipment is malfunctioning or not based on the second time range set based on the maximum allowable error of the signal reception time.

제 1 시간 범위와 제 2 시간 범위는 도 4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The first time range and the second time range ar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5D.

제어부(300)가 AIS 장비의 통신방식이 SOTDMA인지 및 CSTDMA 중 어느 것인지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제어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AIS 장비의 오작동을 검출할 수 있다.If the control unit 300 can not recognize whether the communication scheme of the AIS equipment is SOTDMA or CSTDMA, the control can detect malfunction of the AIS equipment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C.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S 장비 오작동 검출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system that implements the AIS instrument malfunction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8, a computing system 1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00, a memory 1300, a user interface input device 1400, a user interface output device 1500, (1600), and a network interface (1700).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10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memory device 1300 and /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performs processing for instructions stored in the storage 1600. Memory 1300 and storage 160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the memory 1300 may include a ROM (Read Only Memory) and a RAM (Random Access Memory).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Thus, 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directly in hardware,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processor 1100, or in a combination of the two. The software module may reside in a storage medium (i.e., memory 1300 and / or storage 1600) such as a RAM memory, a flash memory, a ROM memory, an EPROM memory, an EEPROM memory, a register, a hard disk, a removable disk, You may. An exemplary storage medium is coupled to the processor 1100, which can read information from, and write information to,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storage medium may be integral to the processor 1100. [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reside within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The ASIC may reside within the user terminal. Alternatively, the processor and the storage medium may reside as discrete components in a user terminal.

상기와 같이 설명된 AIS 장비 오작동 검출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AIS apparatus malfunction detection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

100 : 슬롯 틱 발생부
200 : 통신부
300 : 제어부
1000: 컴퓨팅 시스템
1100: 프로세서
1200: 시스템 버스
1300: 메모리
1310: ROM
1320: RAM
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100: Slot tick generator
200:
300:
1000: Computing System
1100: Processor
1200: System bus
1300: Memory
1310: ROM
1320: RAM
1400: User interface

Claims (19)

협정세계시 정보를 기반으로 슬롯 틱을 발생시키는 슬롯 틱 발생부;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장비로부터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시간의 최대 허용 오차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 1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
A slot tick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slot tick based on the coordinated global time informa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baseband signal from an 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equipment; And
Determining whether a time from a time point of occurrence of the slot tick to a time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is within a first time range set based on a maximum tolerance of a baseband signal reception tim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범위는,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의 기준 타이밍의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늦은 시점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ime range is from a time point that is earlier by the maximum allowable error to a time point that is later than the maximum allowable error based on a time point of a reference timing of a baseband signal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cheme of the AIS equipment. Detect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이 SOTDMA인 경우, 상기 제 1 시간 범위는 0.521ms부터 1.145ms이고,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이 CSTDMA인 경우, 상기 제 1 시간 범위는 2.084ms부터 2.708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communication scheme of the AIS equipment is SOTDMA, the first time range is 0.521 ms to 1.145 ms,
Wherein the first time range is from 2.084 ms to 2.708 ms whe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is CSTDM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시간의 최대 허용 오차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 2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time from the generation of the slot tick to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is within a second time range set based on the maximum tolerance of the baseband signal reception tim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And further determines whether the AIS equipment is malfunctioning or no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범위는,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기준 타이밍의 종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상기 슬롯 틱의 다음 슬롯 틱 발생 시점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time range is from an early point by the maximum tolerance to an end point of a baseband signal reception reference timing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cheme of the AIS equipment, Equipment malfunction detection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이 SOTDMA인 경우, 상기 제 2 시간 범위는 23.855ms부터 26.667ms이고,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이 CSTDMA인 경우, 상기 제 2 시간 범위는 25.417ms부터 26.667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If the communication scheme of the AIS equipment is SOTDMA, the second time range is from 23.855 ms to 26.667 ms,
Wherein the second time range is from 25.417 ms to 26.667 ms whe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is CSTDM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틱 발생부는 위성위치 측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측위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로란-C(LORAN-C), GALILEO(Europian Satellite Navigation System),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및 GAGAN(GPS Aided Geo Augmented Navigation)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협정세계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ot tick generator may includ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a Loran-C, a Europian Satellite Navigation System (GALILEO), a Quasi- Zenith Satellite System) and the GPS Aided Geo Augmented Navigation (GAGA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해상이동 업무 식별 부호(MMSI: 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ty)를 검출하고, 상기 해상이동 업무 식별 부호를 기반으로 상기 AIS 장비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a 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ty (MMSI) from the baseband signal and identifies the AIS equipment based on the 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fication c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메시지 ID를 검출하고, 상기 메시지 ID를 기반으로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복수의 슬롯을 통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a message ID from the baseband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baseband signal is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slots based on the message I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하나의 슬롯을 통해 수신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종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시간의 최대 허용 오차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 2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when the base band signal is received through one slo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time from the generation of the slot tick to the end point of the base band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aximum baseband signal reception tim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AIS equipment is malfunctioning by further determining whether the AIS equipment is within a second time range set based on the toler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이 SOTDMA(Self Organize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CSTDMA(Carrier Sense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중 어느 것인지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 1 시간 범위는, 상기 SOTDMA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의 기준 타이밍의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늦은 시점까지인 제 3 시간 범위 및 상기 CSTDMA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의 기준 타이밍의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늦은 시점까지인 제 4 시간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f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does not recognize either SOTDMA (Self Organize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r CSTDMA (Carrier Sense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herein the first time range includes a third time range from a time point that is earlier by the maximum allowed error to a time point that is later by the maximum allowed error based on a time point of the base timing of the baseband signal according to the SOTDMA, And a fourth time range from a point at which the maximum allowable error is reached to a point at which the maximum allowable error is delayed from a point in time at which the reference timing of the signal is bas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제 3 시간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종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SOTDMA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의 기준 타이밍의 종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상기 슬롯 틱의 다음 슬롯 틱 발생 시점까지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제 4 시간 범위에 속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CSTDMA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의 기준 타이밍의 종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상기 슬롯 틱의 다음 슬롯 틱 발생 시점까지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time from the generation of the slot tick to the star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third time rang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ntrol unit such that the time from the generation of the slot tick to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reaches the end point of the base timing of the baseband signal according to the SOTDMA, Determines whether the AIS equipment is malfunctioning or not,
When the time from the generation of the slot tick to the start of the baseband signal belongs to the fourth time rang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ntrol unit such that the time from the generation of the slot tick to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is shorter than the maximum allowable error based on the end point of the base timing of the baseband signal according to the CSTDMA,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or not by determining whether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협정세계시 정보를 기반으로 슬롯 틱을 발생시키는 단계;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장비로부터 기저대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시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시간의 최대 허용 오차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 1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방법.
Generating a slotted tick based on the coordinated universal time information;
Receiving a baseband signal from an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device; And
Determining whether a time from a time point of occurrence of the slot tick to a time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is within a first time range set based on a maximum tolerance of a baseband signal reception tim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범위는,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의 기준 타이밍의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늦은 시점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time range is from a time point that is earlier by the maximum allowable error to a time point that is later than the maximum allowable error based on a time point of a reference timing of a baseband signal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cheme of the AIS equipment. Detection metho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종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시간의 최대 허용 오차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 2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comprises:
It is further determined whether the time from the occurrence of the slot tick to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is within a second time range set based on the maximum tolerance of the baseband signal reception tim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간 범위는,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의 기준 타이밍의 종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허용 오차만큼 이른 시점부터 상기 슬롯 틱의 다음 슬롯 틱 발생 시점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econd time range is from an earlier point in time of the maximum allowable error to a next slot tick occurrence point of the slot tick based on an end point of a reference timing of a baseband signal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ystem of the AIS equipment. How to detect equipment malfunc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해상이동 업무 식별 부호(MMSI)를 검출하고, 상기 해상이동 업무 식별 부호를 기반으로 상기 AIS 장비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detecting a 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fication (MMSI) from the baseband signal and identifying the AIS equipment based on the maritime mobile service identification cod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메시지 ID를 검출하고, 상기 메시지 ID를 기반으로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복수의 슬롯을 통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Detecting a message ID from the baseband sig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baseband signal is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slots based on the message ID.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하나의 슬롯을 통해 수신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슬롯 틱의 발생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저대역 신호가 종점까지의 시간이 상기 AIS 장비의 통신방식에 따른 기저대역 신호 수신 시간의 최대 허용 오차를 기반으로 설정된 제 2 시간 범위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상기 AIS 장비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S 장비 오작동 검출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seband signal is received through one slo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comprises:
It is further determined whether the time from the occurrence of the slot tick to the end point of the baseband signal falls within a second time range set based on the maximum allowable error of the baseband signal reception tim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AIS equipmen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IS equipment malfunctions.
KR1020160050318A 2016-04-25 2016-04-25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 of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pparatus KR201701216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318A KR20170121607A (en) 2016-04-25 2016-04-25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 of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318A KR20170121607A (en) 2016-04-25 2016-04-25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 of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607A true KR20170121607A (en) 2017-11-02

Family

ID=6038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318A KR20170121607A (en) 2016-04-25 2016-04-25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 of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160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3203794A1 (en) Reporting beam failure
US9503905B2 (en) Spectrum sharing
US10728724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1902741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from radio downlink failure
EP3556148B1 (en) Wake-up radio
US20190029054A1 (en) Random access method, random access device, and terminal
US11812452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signal and channel information
US201503821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2D Discovery Sequences,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2D Data
US20100225530A1 (en) Method of handling radar signal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13518473A (en) Enhanced reporting of random access channels
CN114258118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of terminal and base station
US20170245303A1 (en) Collision Avoidance with Synchronized Transmission
US10159040B2 (en) Access node dormancy
CN116114363A (en) Synchronization offset identification and refinement for network-based positioning in unlicensed spectrum
US68015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unused arbitrary bits in the data field of a special burst
US9300355B2 (en) Fast automated radio link establishment
KR20170121607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 of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pparatus
JP2021035257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US9270444B2 (en) Signal detector device and signal detection method
CN105281882A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time synchronization
US20230362665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plink signal transmissions
US20220159727A1 (en) Increasing Preamble Transmission Opportunities for Random Access in Unlicensed Band
CN108632980B (en) Synchronization method and terminal
CN107947908B (en) Synchronization signal sending method, synchronization signal receiving method, network equipment and terminal equipment
RU2776681C1 (en) Control method, device, apparatus and information carrier for prevention of interference from pseudo gnss sig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