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79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795A
KR20170119795A KR1020160047790A KR20160047790A KR20170119795A KR 20170119795 A KR20170119795 A KR 20170119795A KR 1020160047790 A KR1020160047790 A KR 1020160047790A KR 20160047790 A KR20160047790 A KR 20160047790A KR 20170119795 A KR20170119795 A KR 20170119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play module
plate portion
display devi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수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7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9795A/ko
Publication of KR2017011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01L51/009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및 곡률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모듈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면 및 상기 표시면과 두께 방향으로 마주하는 배면을 포함한다. 상기 곡률 제어부는 상기 표시 모듈 상기 배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곡률을 제어한다. 상기 곡률 제어부는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회전부 및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모듈의 배면 상에 제공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모듈의 일부와 중첩한다.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모듈의 배면 상에 제공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모듈의 일부와 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이격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고, 상기 두께 방향과 평행하게 제공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접촉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접촉된 제2 플레이트에 외력을 가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표시 모듈을 서로 연결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률 변경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TV, 모니터, 노트북 및 휴대폰 등 다양한 정보 처리 장치들에 영상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평판형 표시 장치뿐 아니라, 휘어진 형상을 갖는 곡면형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상기 곡면형 표시 장치는 곡면의 형상을 갖는 표시 영역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입체감, 몰입감 및 임장감이 향상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황에 따라 플랫 모드와 벤딩 모드로 곡률이 변경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및 곡률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모듈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면 및 상기 표시면과 두께 방향으로 마주하는 배면을 포함한다. 상기 곡률 제어부는 상기 표시 모듈 상기 배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곡률을 제어한다. 상기 곡률 제어부는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회전부 및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모듈의 배면 상에 제공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모듈의 일부와 중첩한다.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모듈의 배면 상에 제공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모듈의 일부와 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이격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고, 상기 두께 방향과 평행하게 제공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접촉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접촉된 제2 플레이트에 외력을 가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표시 모듈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부, 제2 플레이트부 및 제3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일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일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제4 플레이트부, 제5 플레이트부 및 제6 플레이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4 플레이트부의 일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6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5 플레이트부의 일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4 플레이트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상기 일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5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4 플레이트부의 상기 일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부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일측면 일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상기 노출된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제4 플레이트부는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측면은 상기 제4 플레이트부의 일측면 일 수 있다. 상기 제4 측면은 상기 제3 측면과 대향하고 상기 제4 플레이트부의 상기 노출된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모듈을 벤딩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벤딩을 펼치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제3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표시 모듈을 벤딩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제2 측면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제4 측면에 접촉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벤딩을 펼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상기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는 제1 서브 회전부 및 제2 서브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회전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제2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회전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제4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서브 회전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서브 회전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은 상기 고정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표시 모듈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은 제1 고정홀 및 제2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홀은 상기 제3 플레이트부에 제공되고, 상기 고정축이 결합되어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홀은 상기 제6 플레이트부에 제공되고, 상기 고정축이 결합되어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제2 플레이트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홀 및 상기 제2 고정홀 각각은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평면상에서 원 형상이고, 상기 회전부의 상기 회전축은 상기 원의 중심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평면상에서 타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곡률 제어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회전부를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은 제1 표시 모듈부, 제2 표시 모듈부 및 제3 표시 모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모듈부는 상기 곡률 제어부의 동작에 의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모듈부는 상기 제1 표시 모듈부의 일단과 연결되고, 플랫할 수 있다. 상기 제3 표시 모듈부는 상기 제1 표시 모듈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표시 모듈부와 이격되고, 플랫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은 표시 패널 및 바텀 샤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텀 샤시는 상기 표시 패널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곡률 제어부는 상기 표시 모듈의 하부에 제공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모듈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제3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상황에 따라 플랫 모드와 벤딩 모드로 곡률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모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모드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플랫 모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플랫 모드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 모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 모듈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모드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플랫 모드의 측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모드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플랫 모드의 배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모드의 배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플랫 모드의 배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모드의 배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플랫 모드의 배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모드의 배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플랫 모드의 배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모드의 배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모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모드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플랫 모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플랫 모드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a, 1b, 1c 및 도 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표시 장치(10)는 곡면의 표시영역을 가지는 벤딩 형상일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표시 장치(10)는 벤딩이 펼쳐져 플랫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표시 모듈(DM) 및 곡률 제어부(11)를 포함한다. 곡률 제어부(11)는 제1 플레이트(110), 제2 플레이트(120), 회전부(200) 및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회전부(200)는 제1 회전부(210) 및 제2 회전부(220)를 포함한다. 제2 회전부(220)는 제1 서브 회전부(221) 및 제2 서브 회전부(222)를 포함한다. 곡률 제어부(1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3a 내지 도 3c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 모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표시 모듈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는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도 2a에서의 표시 모듈(DM)은 평면상에서 사각형인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
표시 모듈(DM)은 리지드(rigid)한 것일 수도 있고, 플렉서블(flexible)한 것일 수도 있다. 플렉서블이란 휘어질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하며, 완전히 접히는 구조에서부터 수 나노미터 수준으로 휠 수 있는 구조까지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에 포함된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및 바텀 샤시(B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표시 모듈(DM)의 구성 중 표시 패널(DP)과 바텀 샤시(BC)를 중심으로 도시한 것으로, 표시 모듈(DM)은 그 이외에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면(DS) 및 표시면(DS)과 두께 방향으로 마주하는 배면(RS)을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에서 두께 방향은 제3 방향(DR3)과 제4 방향(DR4)으로 이어지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표시 패널(DP)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패널(DP)에서 영상이 제공되는 방향은 상부 방향으로 정의되고, 상부 방향의 반대 방향은 하부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2a 및 도 2b에서 상부 방향은 제4 방향(DR4), 하부 방향은 제3 방향(DR3)으로 정의된다. 표시 패널(DP)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유기발광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또는 일렉트로웨팅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등이 적용될 수 있다.
바텀 샤시(BC)는 표시 패널(DP)을 수용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바텀 샤시(BC)는 예를 들어 광원들이 배치되는 바닥부(미도시) 및 바닥부로부터 연장된 측벽들을 포함한다. 측벽들은 바닥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벽들은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에 포함된 곡률 제어부(11)는 제1 플레이트(110), 제2 플레이트(120), 회전부(200),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는 두께 방향을 따라 표시 모듈(DM)의 하부에 배치된다. 회전부(200)는 제1 회전부(210) 및 제2 회전부(220)를 포함한다. 제2 회전부(220)는 제1 서브 회전부(221) 및 제2 서브 회전부(222)를 포함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110)는 제1 플레이트부(111), 제2 플레이트부(112) 및 제3 플레이트부(113)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부(111)의 일단과 제2 플레이트부(112)의 일단은 연결되고, 제3 플레이트부(113)의 일단은 제2 플레이트부(112)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1 플레이트부(111)와는 이격된다. 제2 플레이트부(112)의 일부에는 제1 플레이트부(111) 및 제3 플레이트부(113)가 연결되지 않은 제1 개구부(110-OP)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부(111)는 상부 방향에 위치한 상면(미도시),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미도시), 상면 및 하면과 연결되고 제2 플레이트부(112)와 연결되지 않은 제1 측면(114), 및 상면 및 하면과 연결되고 제1 개구부(110-OP)에 의해 노출되고 제1 측면(114)에 대향하는 제2 측면(115)을 포함한다.
제2 플레이트(120)도 제1 플레이트(110)를 설명한 바와 같다. 제2 플레이트(120)는 구체적으로, 제4 플레이트부(121), 제5 플레이트부(122) 및 제6 플레이트부(123)를 포함한다. 제4 플레이트부(121)의 일단과 제5 플레이트부(122)의 일단은 연결되고, 제6 플레이트부(123)의 일단은 제5 플레이트부(122)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4 플레이트부(121)의 일단과는 이격된다. 제5 플레이트부(122)의 일부에는 제4 플레이트부(121) 및 제6 플레이트부(123)가 연결되지 않은 제2 개구부(120-OP)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제4 플레이트부(121)는 상부 방향에 위치한 상면(미도시),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미도시), 상면 및 하면과 연결되고 제5 플레이트부(122)와 연결되지 않은 제3 측면(124), 및 상면 및 하면과 연결되고 제2 개구부(120-OP)에 의해 노출되고 제3 측면(124)에 대향하는 제4 측면(125)을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CH1, CH2)을 포함한다. 고정부(300)는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에 존재하는 고정홀(CH1, CH2) 및 표시 모듈(DM)의 특정 위치에 결합되고, 이를 통해 표시 모듈(DM)과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를 고정한다. 고정부(300)가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와 표시 모듈(DM)을 고정함으로써, 제1 모드에서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와 표시 모듈(DM)이 두께 방향(DR3, DR4)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에서 고정홀(CH1, CH2)은 제1 플레이트(110)의 제3 플레이트부(113)에 위치하는 제1 고정홀(CH1) 및 제2 플레이트(120)의 제6 플레이트부(123)에 위치하는 제2 고정홀(CH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c에서 고정홀(CH1, CH2) 및 고정축(300)은 4개인 것을 예시하여 도시하였으나, 고정홀(CH1, CH2) 및 고정축(30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 일수 있다.
고정홀(CH1, CH2)의 크기는 고정부(300)의 단면상의 크기에 비해 같거나 확장될 수 있다. 도 3c에서 고정홀(CH1, CH2)의 크기는 고정부(300)의 단면상의 크기와 같은 것을 예시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홀(CH1, CH2)이 고정부(300)의 단면상의 크기에 비해 확장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홀(CH1, CH2)은 고정부(300)에 비해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확장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고정홀(CH1, CH2)이 고정부(300)의 크기와 동일하지 않고 확장된 크기를 가짐에 따라, 제1 모드에서 벤딩으로 인해 표시 모듈(DM)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회전부(200)는 제1 플레이트(110)의 제1 측면(114) 및 제2 플레이트(120)의 제3 측면(124)과 접촉하는 제1 회전부(210), 및 제1 플레이트(110)의 제2 측면(115) 또는 제2 플레이트(120)의 제4 측면(125)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제2 회전부(220)를 포함한다. 제2 회전부(220)는 제1 플레이트(110)의 제2 측면(115)에 접촉하는 제1 서브 회전부(221) 및 제2 플레이트(120)의 제4 측면(125)에 접촉하는 제2 서브 회전부(222)를 포함한다.
회전부(200)는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또는, 회전부(200)는 회전축의 중심이 원의 중심에서 어긋난 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회전부(20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회전부(200)는 두께 방향(DR3, DR4)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진다.
회전부(200)는 별도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200)의 회전은 구동부에 포함된 모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회전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가 이동하여 표시 장치(10)에 곡률을 만들 수 있다. 모터의 동작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어되어, 사용자는 표시 장치(10)가 원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청 위치가 표시 장치(10)로부터 멀어질수록 표시 장치(10)의 곡률이 작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플랫 모드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모드의 측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모드의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플랫 모드의 배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모드의 배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제1 플레이트(110), 제2 플레이트(120), 제1 회전부(210), 제1 서브 회전부(221), 제2 서브 회전부(222) 및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곡률 제어부(11)의 동작에 의해 제1 모드 및 제2 모드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1 회전부(210)는 제1 플레이트(110)를 제1 방향(DR1)으로, 제2 플레이트(120)를 제2 방향(DR2)으로 외력을 가하여 밀어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의 제1 모드에서, 제1 회전부(210)의 동작에 의해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 간 거리가 연장된다. 이에 따라 곡률 제어부(11)의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너비(d2)가 커진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모드에서 곡률 제어부(11)의 너비(d2)가 표시 모듈(DM)의 너비(d1)에 비해 커진다. 표시 모듈(DM)과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의 고정홀(CH1, CH2) 간에 고정부(300)로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표시 모듈(DM)과 곡률 제어부(11)의 너비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의 양 끝단이 제4 방향(DR4)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표시 장치(10)가 휘어질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부분적으로 곡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측면상에서 제1 구간(S1), 제2 구간(S2) 및 제3 구간(S3)이 순차적으로 정의된다. 제1 구간(S1) 및 제3 구간(S3) 각각은 직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구간(S2)은 곡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직선 구간인 제1 구간(S1) 및 제3 구간(S3) 각각에 대응하여 플랫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구간(S2)에 대응하여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4a 및 도 4b,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의 제1 모드에서,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와 표시 모듈(DM)을 연결한 고정부(300)의 배치에 따라 표시 장치(10)의 곡률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110)에 연결된 고정부(300)와 제2 플레이트(120)에 연결된 고정부(300)의 위치가 가까울수록 제1 모드에서 표시 장치(10)의 곡률이 커지게 되고, 위치가 멀수록 제1 모드에서 표시 장치(10)의 곡률이 작아지게 된다. 제1 모드에서 고정부(300)가 고정홀(CH1, CH2)에 결합하여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와 표시 모듈(DM)을 고정하여, 표시 모듈(DM)에 일정한 곡률을 제공하고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와 표시 모듈(DM)이 두께 방향(DR3, DR4)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의 제2 모드에서, 제2 회전부(220)는 제1 플레이트(110)를 제 2방향(DR2)으로, 제2 플레이트(120)를 제 1방향(DR1)으로 외력을 가하여 밀어낸다. 제2 모드에서는 제1 모드에서 너비가 확장된 곡률 제어부(11)에 대하여 표시 모듈(DM)과 같은 너비가 되도록 복원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2 모드에서 표시 모듈(DM)의 너비(d1)과 곡률 제어부의 너비(d2)가 동일해 짐에 따라,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의 양 끝단이 제3 방향(DR3)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표시 장치(10)의 곡률이 감소되어 표시 장치(10)가 플랫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플랫 모드의 배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모드의 배면도이다.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제1 플레이트(110), 제2 플레이트(120), 회전부(200),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의 회전부(20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a에서는 제1 회전부(210)가 1개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 회전부(21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도 5a에서는 제2 회전부(220)가 1개의 제1 서브 회전부(221) 및 1개의 제2 서브 회전부(222)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제1 서브 회전부(221) 및 제2 서브 회전부(22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도 5a 및 도 5b,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곡률 제어부(11)의 동작에 의해 제1 모드 및 제2 모드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제1 회전부(210)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제2 회전부(220)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단축된 형상을 가진다. 제1 회전부(210) 및 제2 회전부(220)의 동작에 의하여 제1 플레이트(110)는 제1 방향(DR1)으로, 제2 플레이트(120)는 제2 방향(DR2)으로 외력이 가해져 밀려난다.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 간의 거리가 연장되어 곡률 제어부(11)의 너비(d2)가 표시 모듈(DM)의 너비(d1)보다 커진다. 이에 따라,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의 양 끝단이 제4 방향(DR4)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표시 장치(10)가 휘어질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제1 회전부(210)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단축된 형상을 가진다. 제2 회전부(220)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제1 회전부(210) 및 제2 회전부(220)의 동작에 의하여 제1 플레이트(110)는 제2 방향(DR2)으로, 제2 플레이트(120)는 제1 방향(DR1)으로 외력이 가해져 밀려난다.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 간의 거리가 단축되어 곡률 제어부(11)의 너비(d2)가 표시 모듈(DM)의 너비(d1)와 동일해진다. 이에 따라,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의 양 끝단이 제3 방향(DR3)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표시 장치(10)의 곡률이 감소되어 표시 장치(10)가 플랫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플랫 모드의 배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모드의 배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제1 플레이트(110), 제2 플레이트(120), 제1 회전부(210),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와 제1 회전부(210)를 연결하는 와이어(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와이어(40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제1 모드에서 제1 회전부(210)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제1 회전부(210)의 동작에 의하여 제1 플레이트(110)는 제1 방향(DR1)으로, 제2 플레이트(120)는 제2 방향(DR2)으로 외력이 가해져 밀려난다. 이에 따라,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의 양 끝단이 제4 방향(DR4)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표시 장치(10)가 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제2 회전부(220)가 아닌 와이어(400)를 통하여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400)는 제2 모드로 동작 시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모드로 동작시 제1 회전부(210)가 회전 하여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단축된 형상을 가진다. 제1 회전부(210)의 양 끝단에 연결된 와이어(400)의 장력에 의해 제1 플레이트(110)는 제2 방향(DR2)으로, 제2 플레이트(120)는 제1 방향(DR1)으로 외력이 작용하게 되어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2 모드에서 표시 모듈(DM)의 너비(d1)과 곡률 제어부의 너비(d2)가 동일해 지고,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의 양 끝단이 제3 방향(DR3)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표시 장치(10)의 곡률이 감소되어 표시 장치(10)가 플랫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플랫 모드의 배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모드의 배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에서 회전부(200)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회전부(210) 및 제2 회전부(220)는 회전축이 원의 중심에서 벗어난 원의 형상을 갖는다. 원형 형상을 갖는 회전부(200)에서 회전축을 지나는 지름을 정의 했을 때, 지름이 회전부(200)의 경계에 접하는 지점 중 회전축으로부터 먼 지점을 제1 지점, 회전축으로부터 가까운 지점을 제2 지점이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의 제1 회전부(210)는 제3 서브 회전부(211) 및 제4 서브 회전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서브 회전부(211)는 제1 플레이트(110)의 제1 측면(114)과 접촉하고, 제4 서브 회전부(212)는 제2 플레이트(120)의 제3 측면(124)과 접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의 제2 회전부(220)는 제1 서브 회전부(221) 및 제2 서브 회전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회전부(221)는 제1 플레이트(110)의 제2 측면(115)과 접촉하고, 제2 서브 회전부(222)는 제2 플레이트(120)의 제1 측면(125)과 접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의 제1 모드 동작 시 제1 회전부(210)의 제3 서브 회전부(211)는 제1 측면(114)에 대하여 제1 지점에서 접점을 갖는다. 제1 회전부(210)의 제4 서브 회전부(212)는 제3 측면(124)에 대하여 제1 지점에서 접점을 갖는다. 제2 회전부(220)의 제1 서브 회전부(221)는 제2 측면(115)에 대하여 제2 지점에서 접점을 갖는다. 제2 회전부(220)의 제2 서브 회전부(222)는 제4 측면(125)에 대하여 제2 지점에서 접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곡률 제어부의 너비(d2)가 표시 모듈(DM)의 너비(d1)보다 커지고,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의 양 끝단이 제4 방향(DR4)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여 표시 장치(10)에 곡률이 만들어 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10)의 제2 모드 동작 시 제1 회전부(210)의 제3 서브 회전부(211)는 제1 측면(114)에 대하여 제2 지점에서 접점을 갖는다. 제1 회전부(210)의 제4 서브 회전부(212)는 제3 측면(124)에 대하여 제2 지점에서 접점을 갖는다. 제2 회전부(220)의 제1 서브 회전부(221)는 제2 측면(115)에 대하여 제1 지점에서 접점을 갖는다. 제2 회전부(220)의 제2 서브 회전부(222)는 제4 측면(125)에 대하여 제1 지점에서 접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표시 모듈(DM)의 너비(d1)과 곡률 제어부의 너비(d2)가 동일해 지고, 제1 플레이트(110) 및 제2 플레이트(120)의 양 끝단이 제3 방향(DR3)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표시 장치(10)의 곡률이 감소되어 표시 장치(10)가 플랫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표시 장치 110: 제1 플레이트
120: 제2 플레이트 210: 제1 회전부
220: 제2 회전부 300: 고정부
400: 와이어 DM: 표시 모듈
DP: 표시 패널 BC: 바텀 샤시

Claims (17)

  1.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면 및 상기 표시면과 두께 방향으로 마주하는 배면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배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 모듈의 곡률을 제어하는 곡률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률 제어부는
    상기 배면 상에 제공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모듈의 일부와 중첩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배면 상에 제공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모듈의 일부와 중첩하고, 평면상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고, 상기 두께 방향과 평행하게 제공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외력을 가하는 회전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표시 모듈을 서로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부;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일면과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부의 일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와 이격되는 제3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제4 플레이트부;
    상기 제4 플레이트부의 일면과 연결되는 제5 플레이트부; 및
    상기 제5 플레이트부의 일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4 플레이트부와 이격되는 제6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상기 일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제5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4 플레이트부의 상기 일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인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부의 상기 노출된 적어도 일부인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4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인 제3 측면; 및
    상기 제3 측면과 대향하고 상기 제4 플레이트부의 상기 노출된 적어도 일부인 제4 측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모듈을 벤딩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벤딩을 펼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제3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표시 모듈을 벤딩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제2 측면 또는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제4 측면에 접촉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표시 모듈의 상기 벤딩을 펼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상기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기 제2 측면과 접촉한 제1 서브 회전부;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제4 측면과 접촉한 제2 서브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서브 회전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고,
    상기 제2 서브 회전부는 상기 제2 플레이트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표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은 상기 고정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표시 모듈을 고정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상기 제3 플레이트부에 제공되는 제1 고정홀; 및
    상기 제6 플레이트부에 제공되는 제2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홀은 상기 고정축이 결합되어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홀은 상기 고정축이 결합되어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제2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홀 및 상기 제2 고정홀 각각은
    복수 개로 제공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평면상에서 원 형상이고,
    상기 회전부의 상기 회전축은 상기 원의 중심과 이격되는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평면상에서 타원 형상인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제어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회전부를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곡률 제어부의 동작에 의해 곡률을 가지게 되는 제1 표시 모듈부;
    상기 제1 표시 모듈부의 일단과 연결되고, 플랫한 제2 표시 모듈부; 및
    상기 제1 표시 모듈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표시 모듈부와 이격되고, 플랫한 제3 표시 모듈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수용하는 바텀 샤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제어부는
    상기 표시 모듈의 하부에 제공되고, 평면상에서 상기 표시 모듈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이격되는 제3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60047790A 2016-04-19 2016-04-19 표시 장치 KR20170119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790A KR20170119795A (ko) 2016-04-19 2016-04-19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790A KR20170119795A (ko) 2016-04-19 2016-04-19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795A true KR20170119795A (ko) 2017-10-30

Family

ID=6030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790A KR20170119795A (ko) 2016-04-19 2016-04-1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97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6656A (zh) * 2021-03-30 2021-08-10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弯曲显示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6656A (zh) * 2021-03-30 2021-08-10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弯曲显示器
CN113236656B (zh) * 2021-03-30 2022-05-03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弯曲显示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515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111223402B (zh) 可折叠显示装置
US10575415B2 (en) Hinged support member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173287B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20120147542A1 (en) Portable display device
US9864221B2 (en) Display apparatus
KR20160027625A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09726A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3608A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3318A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37286A (ko) 표시 장치
KR20190131156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50037236A (ko) 표시 장치
KR20170034999A (ko) 표시장치
KR20170005946A (ko) 표시 장치
WO2018138861A1 (ja) 表示装置
CN106960633B (zh) 显示装置
KR20220018115A (ko) 표시 장치
KR20170119795A (ko) 표시 장치
KR20210067159A (ko) 곡률 가변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46206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73731A (ko) 차량용 중앙 정보 디스플레이
CN114495705A (zh) 显示装置
CN219122910U (zh) 显示装置
KR102131372B1 (ko)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