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658A - Method for mate guarding personal possessions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te guarding personal possess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658A
KR20170117658A KR1020160045339A KR20160045339A KR20170117658A KR 20170117658 A KR20170117658 A KR 20170117658A KR 1020160045339 A KR1020160045339 A KR 1020160045339A KR 20160045339 A KR20160045339 A KR 20160045339A KR 20170117658 A KR20170117658 A KR 20170117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ter
slaves
slave
proximity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3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43888B1 (en
Inventor
임성규
임종호
임종윤
Original Assignee
임성규
임종호
임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규, 임종호, 임종윤 filed Critical 임성규
Priority to KR1020160045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888B1/en
Publication of KR20170117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6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8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터(2)를 기준으로 하는 다수의 슬레이브(4)(6)(8)와의 근접 경호존(GZ)의 범위를 50~300cm 거리로 형성하면서 상호간의 RFID방식의 인지교신이 이루어지도록 RFID리더인 마스터(2)와 무선태그인 슬레이브(4)(6)(8)를 사용하여서 개인사용자(9)가 마스터(2)나 슬레이브(4)(6)(8)를 통해 설정하거나 변경한 근접 경호존(GZ) 범위 내에서 근접 경호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개인이 자주 사용하는 스마트폰, 스마트와치,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와치, MP3기기, 노트북 PC 등과 같은 휴대형 전자기기 유형의 개인 소지품이나 지갑, 손가방 등과 같은 개인 소지품들이 일괄적으로 챙겨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개인 소지품이 분실 직전에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경호해 주는 이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of the proximity guard zone GZ with respect to the slaves 4, 6, and 8 based on the master 2 is set at a distance of 50 to 300 cm, The personal user 9 is set or changed via the master 2 or the slaves 4, 6 and 8 by using the master 2 as an RFID reader and the slaves 4, Personal belonging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types such as smart phones, smart watches, tablet PCs, digital cameras, smart watches, MP3 devices, notebook PCs, etc., which are frequently used by individuals by allowing proximity guarding within a proximity zone (GZ) And personal items such as wallets, purses, etc. can be collected in bulk,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ersonal items can be recognized immediately before the loss.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Description

개인 소지품 근접 경호방법{METHOD FOR MATE GUARDING PERSONAL POSSESSIONS}{METHOD FOR MATE GUARDING PERSONAL POSSESSIONS}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개인 소지품들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사용하는 소지품들끼리의 근접 교신을 통해 소지품들끼리의 근접 경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개인 소지품 근접 경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tecting personal belongings of a 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rsonal proximity protection method for allowing personal belongings to be closely guarded through close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sonal belongings used by the user.

요즈음 스마트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와치, MP3기기, 노트북 PC와 같은 휴대형 전자기기는 개인이 휴대하는 것이 보편화 되고 있고 또 일상 생활을 하거나 사회활동을 하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다.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tablet PCs, digital cameras, smart watches, MP3 devices, and notebook PCs are now becoming commonplace, and they are becoming indispensable necessities for everyday life and social activities.

또 개인이 휴대하는 가방에는 지갑, 안경케이스, 다이어리, 보조배터리, 화장품 등과 같은 소지품을 다양하게 수납하게 되는데, 이때 본인이 요긴하게 사용 중에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도 소지품으로서 가방이나 호주머니에 넣는 등으로 휴대하면서 자신의 목적지로 가게 된다. In addition, the personal carrying bag stores a variety of personal items such as wallet, eyeglass case, diary, secondary battery, and cosmetics. In this cas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the user needs to use can be stored in a bag or pocket And go to his destination.

본인이 가방 등에 넣어서 소지하고 나간 소지품들이나 여러 소지품들을 넣어둔 작은 가방을 외부 활동중 꺼내서 사용하다가 그 자리에 나두고 나오는 경우도 있고 호주머니에서 빠져서 분실되는 경우도 생기게 되는데,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지품은 고가제품이 늘어나는 추세이고 노출되면 곤란한 개인의 정보들도 저장되어 있는 관계로 분실시 위험이 있고 또 가방이나 지갑 등도 분실시에 큰 낭패감을 느끼게 된다. A small bag that has been stored in a bag or the like, or a small bag in which a plurality of personal items are stored, may be taken out of the outside activity, and may be left in the place, or may be lost in the pocket. In such a case, Because of the increasing trend of the products and the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s who have difficulties when they are exposed, there is a danger of loss, and when a bag or wallet is lost, it becomes a big nuisance.

그러므로 이러한 것에 대한 방지책이나 개인의 여러 소지품 분실 직전에 즉각적으로 찾을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된다면 많은 사람들부터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many people will be able to get a good response if measures are taken to prevent them or to immediately find them immediately before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7302호 "휴대폰 위치를 손쉽게 찾는 장치와 동작 방법"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1-0107302, entitled "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이 자주 사용하는 스마트폰, 스마트와치 등과 같은 휴대형 전자기기형 소지품이나 지갑, 손가방 등과 같은 개인 소지품들이 일괄적으로 챙겨질 수 있도록 도움 주는 개인 소지품 근접 경호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ximal personal protection of personal belongings such as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watch, etc. frequently used by individuals, personal items such as wallets, and handbag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다양한 개인 소지품이 분실 직전에 바로 해당 사용자가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경호해 주는 개인 소지품 근접 경호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protecting personal belongings of a user, which allows a user to immediately recognize various personal belongings immediately before they are lost.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개인 사용자(9)의 개인 소지품들에 구분하여 넣거나 개인 사용자(9)가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터(2)와 다수의 슬레이브(4)(6)(8)를 구비하되, 마스터(2)는 RFID리더이고 다수의 슬레이브(4)(6)(8)는 마스터(2)와 RFID방식으로 인지교신하는 무선태그로 구성한 경호장치에서의 개인 소지품 근접 경호방법에 있어서, 마스터(2)는 마스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마스터(2)내에 구비된 송신부(22)의 출력파워를 조절하는 출력파워 조절부(20)를 이용하여서 마스터(2)를 기준으로 하는 다수의 슬레이브(4)(6)(8)와의 근접 경호존(GZ)의 범위를 50~300cm 거리로 형성하면서 상호간의 인지교신이 이루어지게 하는 과정과, 마스터(2)는 슬레이브(4)(6)(8)중 근접경호존(GZ)을 벗어나기전 한계거리에 있는 슬레이브가 있으면 해당 슬레이브에 경고알람 명령을 전송함과 동시에 마스터(2)에서의 경고알람이 발생되게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경고알람 명령을 수신한 해당 슬레이브는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후 마스터(2)의 읽기명령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슬레이브는 상기 대기시간 경과후의 판단에서 마스터(2)에서의 읽기명령이 미수신되면 경고음을 적어도 포함하는 경고알람을 발생하는 과정과, 경고알람이 발생도중 해당 슬레이브에서는 상기 해당 슬레이브를 통한 선택입력부(42)와 움직임 컴포넌트(40)를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입력중지에 대응한 유효명령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유효명령이 있음에 따라 경고알람을 중지하는 과정과, 경고알람이 발생도중 해당 슬레이브가 상기 근접경호존(GZ)내로 이동됨에 의해 마스터(2)로부터의 읽기명령을 수신되면 해당 슬레이브에서는 상기 해당 슬레이브에서의 겅고알람을 중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providing a master 2 and a plurality of slaves 4, 6, and 8 for dividing personal belongings of individual users 9 or worn by individual users 9, The master 2 is an RFID reader and the plurality of slaves 4 and 6 and 8 communicate with the master 2 in a radio tag in which RFID tag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master 2 is controlled by the master control unit 10 to control the output power of the transmission unit 22 in the master 2 based on the master 2 A process of forming a range of the proximity guard zone GZ with a plurality of slaves 4, 6 and 8 at a distance of 50 to 300 cm while performing mutual recogni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slaves 4, 6) If there is a slave at the limit distance before leaving the close guard zone (GZ) among (8), a warning alarm Controlling the master 2 to generate a warning alarm at the same time that the master 2 receives the warning command and the corresponding slave receiving the warning alarm command notifies the master 2 that a read command of the master 2 has been received Generating a warning alarm including at least a warning sound when a read command from the master (2) is not received in the determination after the elapse of the waiting time; and when the corresponding slave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valid command corresponding to an input stop using a combination of the selection input unit 42 and the motion component 40 through the slave and stopping the warning alarm in response to the valid command; When the read command from the master 2 is received by moving the slave into the proximity guard zone GZ, It is characterized in constituted by any process that stops geonggo alarm in the corresponding slave.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이 RFID방식 마스터나 슬레이브를 통해 설정한 근접 경호존 범위 내에서 개인이 자주 사용하는 스마트폰, 스마트와치,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와치, MP3기기, 노트북 PC 등과 같은 휴대형 전자기기 유형의 개인 소지품이나 지갑, 손가방 등과 같은 개인 소지품들이 일괄적으로 챙겨질 수 있도록 도움 주게 되며, 개인 소지품이 분실 직전에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경호해 주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watch, a tablet PC, a digital camera, a smart watch, an MP3 device, a notebook PC, etc., It helps to collect personal belongings such as device type personal belongings or wallet, handbag etc. collectively, and has the advantage of protecting personal items immediately before they are lo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소지품 근접 경호장치의 근접 경호개념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소지품 근접 경호장치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리더기인 마스터의 회로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태그인 슬레이브의 회로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소지품 근접경호를 위한 제어 흐름도.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roximity guard concept of a personal belongings close proximity gua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a personal belongings proximity gua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master which is an RFID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slave which is an RFID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trol flow chart for a personal belongings proximity gu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소지품 근접 경호장치의 개념 구성도로서, 개인 소지품들의 상호간의 근접 경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방식을 이용하며 또 근접 경호존(GZ) 범위를 개인 사용자(9)가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FIG. 1 is a conceptual block diagram of a personal belongings proximity guar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method is used so that personal belongings can be closely guarded, So that the range can be easily selected by the individual user (9).

통상 RFID시스템은 트랜스폰더(transponder)라고도 칭해지며 내부 태그메모리에 고유식별정보를 갖고 있는 무선 태그(tag)와, 질문기(interrogator)라고도 칭해지며 태그가 갖고 있는 식별정보를 읽거나 새로운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리더(reader), 그리고 리더를 연결하는 컴퓨터를 포함한다. In general, an RFID system is called a transponder, and includes a radio tag hav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n internal tag memory, an RFID reader, and an RFID reader. The tag is also called an interrogator, A reader for reading, and a computer for connecting the reader.

본 발명의 마스터(2)에 해당하는 RFID리더는 전기 자기장을 리더(reader)용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하여 수동형 태그의 경우에는 그 태그에 파워를 공급하면서 태그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An RFID reader corresponding to the master (2)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 electric magnetic field through an antenna for a reader, and in case of a passive tag, supplies power to the tag and exchanges data with the tag.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개인 소지품들에 대한 상호간 근접 경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RFID리더인 마스터(2)를 구비함과 아울러 RFID방식의 무선태그인 다수의 슬레이브(4)(6)(8)들을 구비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laves (4), (6), and (8), which are RFID tags, are provided in addition to a master (2) serving as an RFID reader so that mutual proximity to the user's personal belongings can be secured .

개인 사용자(9)는 자신의 개인 소지품들 각각에 본 발명에 따라 마스터(2)나 슬레이브(4)(6)(8)들을 동봉시키거나 부착시키거나 또는 사용자 본인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다. The individual user 9 may enclose or affix the master 2 or the slaves 4, 6, 8 to each of his or her personal belongings according to the invention or may wear it on the user's body.

도 2의 일 예에서는 사용자의 개인 소지품중 큰 가방(52)에 마스터(2)를 넣고 큰 가방(52) 안에 들어가는 손가방(54)내에 무선태그인 제1 슬레이브(4)를 집어 넣으며, 사용자의 스마트폰(6a)에 무선 태그인 제2 슬레이브(6)를 부착하고, 사용자의 손가락에 무선태그인 반지형태의 제3 슬레이브(8)를 착용한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2, the master 2 is inserted into the large bag 52 of the user's personal belongings and the first slave 4, which is the wireless tag, is inserted into the bag 54 inside the large bag 52, A second slave 6 as a wireless tag is attached to the smartphone 6a and a third slave 8 in the form of a ring as a wireless tag is worn on the user's finger.

도 1 및 도 2에서는 구분의 편의를 위해 마스터(2)를 부호 "M"으로 표시되게 하고 슬레이브(4)(6)(8)를 부호 "S"로 표시해 놓고 있다. In FIG. 1 and FIG. 2, the master 2 is indicated by the symbol "M" and the slaves 4, 6, 8 are indicated by the symbol "S" for the convenience of class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소지품 근접 경호장치에서 RFID리더인 마스터(2)는 핸드헬드(hand held)형으로서 특히 사람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거의 명함 절반 크기까지 될 만큼 사이즈 작게 구현될 수 있다. 또 그 두께는 5~10mm까지도 가능하다.In the personal proximity guar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ter 2 as an RFID reader is of a hand held type and can be implemented in a size as small as half the size of a business card, . The thickness can be up to 5 to 10 mm.

본 발명에서는 근접 경호존(GZ)의 범위는 마스터(2)를 중심으로 하는 거리(ℓ)로서 50cm~300cm(0.5미터 ~ 3미터)되는 근접거리가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of the proximity guard zone (GZ) is preferably a proximity distance of 50 to 300 cm (0.5 to 3 meters) as the distance (ℓ) centered on the master (2).

본 발명에서는 슬레이브(4)(6)(8)가 근접 경호존(GZ) 안에 위치하게 되면 각 슬레이브(4)(6)(8)에 대응된 개인 소지품은 근접 경호가 이루어지는 상태이고, 개인 소지품의 슬레이브(4)(6)(8)중 하나가 근접 경호존(GZ)을 벗어나기전 한계거리에 있게 되면 경호존 이탈지점을 알리는 경고 알람이 마스터(2) 및 이탈지점에 있는 슬레이브에서 발생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aves 4, 6, and 8 are located in the proximity guard zone GZ, personal belongings corresponding to the slaves 4, 6, and 8 are in a state of proximity guarding, If one of the slaves 4, 6, and 8 of the slaves 4, 6, and 8 is in the limit distance before leaving the proximity guard zone GZ, a warning alarm is generated in the master 2 and the slave at the departure point .

즉 본 발명에서는 RFID리더인 마스터(2)와 무선 태그인 슬레이브(4)(6)(8)간의 인지교신이 계속 일어나게 하다가 서로 간의 거리(ℓ)가 기설정된 근접 경호존(GZ)를 벗어나기 직전이 되면 마스터(2)와 함께 이탈되려는 슬레이브가 동시 경고알람을 발생한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2 as the RFID reader and the slaves 4, 6, and 8 as the wireless tags continues to occur, and immediately before the distance l between the masters 2 and slaves 4, The slave to be released together with the master 2 generates a simultaneous warning alarm.

상기 근접 경호존(GZ)의 범위 50cm~300cm(0.5미터 ~ 3미터)는 사용자가 마스터(2)를 이용해 설정이나 변경을 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좀더 도모하기 위해 슬레이브(4)(6)(8)중에서도 근접 경호존(GZ)의 범위의 선택 변경이 가능하다. The range of the proximity guard zone GZ ranges from 50 cm to 300 cm (0.5 meters to 3 meters) can be set or changed by the user using the master 2, and slaves 4 (6 (8),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election range of the proximity guard zone (GZ).

마스터(2)에서의 근접 경호존 범위의 설정 및 변경을 위해 입력부(12) 및 표시부(14)가 마련되며, 슬레이브(4)(6)(8)중에서의 근접 경호존 범위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슬레이브(4)(6)(8)에는 선택입력부(도 4의 42) 및 움직임검출 컴포넌트(40)가 마련된다.
The input unit 12 and the display unit 14 are provided for setting and changing the proximity guard zone range in the master 2 so that the proximity guard zone range setting and change of the slave units 4, 6, (42 in FIG. 4) and a motion detection component 40 are provided in the slaves 4, 6,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리더기인 마스터(2)의 회로블록 구성도이다. 3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master 2, which is an RFID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스터(2)는, 제어부(10), 입력부(12), 표시부(14), 경고알람 출력부(16), 메모리(18), 출력파워조절부(20), 송신부(22), 수신부(24) 및 안테나(26)를 포함한다. 3, the master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0, an input unit 12, a display unit 14, a warning alarm output unit 16, a memory 18, an output power control unit 20, a transmitting unit 22, a receiving unit 24, and an antenna 26. [

즉 상기의 마스터(2)는, 입력부(12) 및 표시부(14)를 포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슬레이브(4)(6)(8)와의 무선을 통한 인지교신을 위한 안테나(26)와, 안테나(26)와 연결되며 슬레이브(4)(6)(8)와의 RFID방식 데이터 무선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22)(24)와, 경고알람 출력을 위한 경고알람 출력부(16)와, 마스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송신부(22)의 출력파워를 조절하는 출력파워 조절부(20)와, 마스터(2)의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스터 제어부(10)로 구성한다. That is, the master 2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including an input unit 12 and a display unit 14, an antenna 26 for cognitive communication via radio between the slaves 4, 6 and 8, Receiving unit 22 and 24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ID-type data to and from the slaves 4, 6 and 8, a warning alarm output unit 16 for outputting a warning alarm, An output power adjusting unit 20 for adjusting the output power of the transmitting unit 2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 and a master control unit 10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parts of the master 2 as a whole.

본 발명에서 마스터 제어부(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등록대상 슬레이브(4)(6)(8)을 근접경호용 태그로서 메모리(18)에 등록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근접 경호존(GZ) 범위에 대한 설정요구나 슬레이브(4)(6)(8)중 하나 이상에서 읽어진 근접 경호존(GZ) 선택정보가 무신 수신되면 메모리(18)에 이를 즉각 설정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ter control unit 10 registers the registration target slaves 4, 6, and 8 in the memory 18 as a tag for proximity security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transmits the proximity guard zone GZ range (GZ) selection information read out from one or more of the setting request for the slaves (4), (6) and (8) is received by the memory 18 immediately.

또 마스터 제어부(10)는 출력파워 조절부(20)에 의해 조절된 근접 경호존(GZ) 내에서의 무선 교신으로 마스터(2)와 등록 슬레이브(4)(6)(8)간의 인지교신이 계속 일어나게 하다가 서로 간의 거리가 근접 경호존(GZ)을 벗어나기 전 한계거리에 이르면, 슬레이브(4)(6)(8)중 한계거리에 있는 해당 슬레이브에게 경고알람 명령의 전송을 수행함과 동시에 마스터(2)의 경고알람 출력부(16)를 통해서 해당 슬레이브가 근접경호존(GZ) 이탈지점이 있음에 대응된 경고알람을 발생한다.
The master control unit 10 is also connected to the registration slaves 4, 6 and 8 by radio communication in the proximity guard zone GZ controlled by the output power control unit 20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laves 4, 6, and 8 reaches the limit distance b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slaves 4, 6, and 8 is exceeded, the slaves 4, 6, 2 through the warning alarm output unit 16, the corresponding slave generates a warning alarm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of the point of departure of the close guard zone GZ.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FID태그인 슬레이브(4)(6)(8)의 회로블록 구성도로서, 근접경호존(GZ) 범위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입력부(42)를 갖는 경우에는 능동형 전자태그로 구현된다. 4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slaves 4, 6, and 8, which are RFID ta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having a selection input unit 42 for selecting a proximity guard zone GZ range It is implemented as an active electronic tag.

본 발명에 따른 슬레이브(4)(6)(8) 각각은, 태그 제어부(30), 무선부(32), 태그안테나(34), 에너지 하베스팅부(36)나 배터리(38), 움직임검출 컴포넌트(40), 선택입력부(42), 경고알람 출력부(44), 및 태그 메모리(46)로 구성한다. Each of the slaves 4, 6 and 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g control unit 30, a radio unit 32, a tag antenna 34, an energy harvesting unit 36 and a battery 38, A selection input unit 42, a warning alarm output unit 44, and a tag memory 46. [0035]

에너지 하베스팅부(36) 및 배터리(38)는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레이브(4)(6)(8)의 사이즈가 마스터(2)에 버금가는 사이즈인 경우에는 에너지 하베스팅부(36) 및 배터리(38) 모두가 구비될 수도 있다. The energy harvesting portion 36 and the battery 38 may be selectively provided and when the slaves 4, 6 and 8 have a size equal to that of the master 2, the energy harvesting portion 36, And the battery 38 may be provided.

에너지 하베스팅부(36)는 주변의 에너지를 수확하는 수단으로서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고도 슬레이브(4)(6)(8)가 작동될 수 있는 전력을 각 부(특히 무선부(32))에 공급한다. 에너지 하베스팅부(2)는 광전소자, 열전소자, 압전소자 및 무선전기 변환소자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The energy harvesting unit 36 is a means for harvesting the energy around the slaves 4, 6, and 8, and supplies power to each of the slaves 4, 6, Supply. The energy harvesting section 2 can be formed of any one of a photoelectric element, a thermoelectric element, a piezoelectric element, and a radio-electronic conversion element,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의 슬레이브(4)(6)(8) 각각은 내부 태그메모리(46)에 고유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마스터(2)의 무선태그 리드시에 태그 제어부(30)의 제어 하에 태그메모리(46)에 저장된 고유식별정보가 읽혀진다. Each of the slaves 4, 6 and 8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the internal tag memory 46. Under the control of the tag control unit 30 at the time of reading the radio tag of the master 2,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46 is read.

본 발명에 따라 슬레이브(4)(6)(8)의 각 태그메모리(46)는 태그의 고유식별정보 이외에도 슬레이브를 소지한 개인 사용자(9)가 자신이 원하는 경우 근접 경호존(GZ)의 거리 변경을 선택요청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근접 경호존 거리정보(1번: 근접 경호존 거리1, 2번: 근접 경호존 거리2)가 기저장되어 있고, 또 근접경호존 경고알람의 기능을 해제할 수 있는 정보(3번: 경고알람 오프)도 저장되어 있다. 또 각 태그메모리(46)에는 마스터(2)와 슬레이브(4)(6)(8)의 근접경호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확인알람을 요청할 수 있는 경호작동 확인알람 정보(4번)도 저장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tag memory 46 of the slaves 4, 6, and 8 stores, in addition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the individual user 9 holding the slave, A plurality of proximity guard zone distance information (No. 1: proximity guard zone distance 1, 2: proximity guard zone distance 2) capable of requesting change can be stored and the function of the proximity guard zone warning alarm can be released Information (No. 3: warning alarm off) is also stored. In addition, each tag memory 46 also stores guard operation confirmation alarm information (No. 4) for requesting a confirmation alarm as to whether the close guard operation of the master 2 and the slaves 4, 6, 8 is properly performed have.

태그 메모리(46)에 순번대로 저장된 근접경호존 거리정보들 및 경고알람의 기능해제정보, 및 경호작동 확인알람 정보는 마스터(2)에서 무선태그 리드시에 읽혀져 전송될 수 있는 전송후보데이터가 된다. The proximity guard zone distance information and alarm release information of the warning alarm stored in the tag memory 46 in order and the security operation confirmation alarm information are transmission candidate data that can be read and transmitted at the time of reading the radio tag in the master 2 .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라 선택입력부(42)와 움직임검출 컴포넌트(40)를 동시 입력하여야만 전송후보데이터를 온전히 선택 지정할 수 있다. The user can fully specify the transmission candidate data only by simultaneously inputting the selection input section 42 and the motion detection component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선택입력부(42)는 전송후보데이터의 개수에 대응되는 버튼 개수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버튼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슬레이브에 선택입력부(42)가 하나의 버튼으로 구비될 경우에는 그 버튼을 다수 번 누름으로써 다수 버튼이 있는 것처럼 작동할 수 있다. The selection input unit 42 may be implemented by a number of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ransmission candidate data, but may also be implemented by one button. When the selection input unit 42 is provided as one button on the slave, it can operate as if there are multiple buttons by pressing the button a plurality of times.

움직임검출 컴포넌트(40)는 가속도센서나 자이로센서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외 균등한 센싱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otion detection component 4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or may be implemented by other equivalent sensing means.

슬레이브(4)(6)(8)의 특성상 사용자의 슬레이브 휴대도중 선택입력부(42)의 버튼이 눌려지거나 선택입력부(42)의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무심코 눌러지거나 호기심으로 버튼을 누를 수 있으므로 움지임검출 컴포넌트(40)는 무분별한 선택입력부(42)의 입력 중에서 제대로 된 입력만을 받아들이기 위한 선별 도구로 기능한다.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laves 4, 6 and 8, the button of the selection input section 42 is pressed during slave transfer of the user, the button of the selection input section 42 is pressed by the user unintentionally, The detection component 40 functions as a sorting tool for accepting only a proper input from the input of the indiscriminate selection input unit 42. [

예컨대 선택입력부(42)의 1번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움직임검출 컴포넌트(40)가 검출할 수 있는 슬레이브(4)(6)(8)를 휙 뒤집는 행위를 하게 되면, 태그 제어부(30)는 움직임검출 컴포넌트(40)가 센싱한 움직패턴이 미리 설정한 움직임패턴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판별하고 충족하게 되면 사용자가 선택입력부(42)의 입력 버튼에 대응된 태그메모리(46)의 근접경호존 거리1(1번)를 선택 지정한 것으로 확정한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button of the selection input unit 42 is depressed and the motion detection component 40 performs an operation of flipping the slaves 4, 6, 8 that can be detected, When the sensing component 40 determines that the sensed movement pattern meets a predetermined movement pattern criterion and satisfies the predetermined movement pattern criterion, the proximity guard zone distance 1 (() of the tag memory 46 corresponding to the input button of the selection input section 42 1) is selected and confirmed.

사용자의 선택 지정이 제대로 이루어진 후, RFID리더기인 마스터(2)에서 데이터제공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태그 제어부(30)는 태그메모리(46)의 전송후보데이터중 선택 지정된 정보를 읽어 무선부(32)를 통해서 RF리더기인 마스터(2)로 제공한다. After the selection of the user is properly performed, when the master 2, which is the RFID reader, receives the data providing request signal, the tag controller 30 reads the selected information from the transmission candidate data of the tag memory 46, To the master 2, which is an RF reader.

마스터(2)의 마스터제어부(10)는 해당 슬레이브(4)(6)(8)로부터 전송후보데이터가 수신되면 전송후보데이터를 내용에 의거하여, 근접경호존 거리의 변경요청이 있으면 출력파워 조절부(20)를 조절함으로써 마스터(2)가 인지하는 근접경호존(GZ)의 거리를 변경한다. When the master control unit 10 of the master 2 receives the transfer candidate data from the slaves 4, 6 and 8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transfer candidate data, The distance of the proximity guard zone GZ recognized by the master 2 is changed by adjusting the portion 20.

만일 해당 슬레이브(4)(6)(8)로부터 전송후보데이터의 내용이 경고알람 오프요청이 있으면 해당 슬레이브(4)(6)(8)가 근접경호존(GZ)을 이탈하여도 마스터(2)나 해당 슬레이브(4)(6)(8)로 경고알람을 출력하라는 명령을 하지 않는다. If the content of the transfer candidate data from the slaves 4, 6 and 8 is a warning alarm-off request, even if the slaves 4, 6 and 8 deviate from the close guard zone GZ, ) Or the corresponding slave (4) (6) (8).

그러므로 개인 사용자(9)는 개별 소지하는 슬레이브(4)(6)(8)중에서 경고알람이 필요치 않는 슬레이브 예컨대 슬레이브(8)가 있으면 소지한 해당 슬레이브(8)의 선택입력부(42)와 움직임검출컴포넌트(40)의 입력에 의거해 선택지정되는 경고알람 오프기능을 이용하면 된다. Therefore, the individual user 9 can select the slave (4), (6) or (8) of the slave (8) having the slave (8) A warning alarm-off function that is selected and designated based on the input of the component 40 can be used.

또 만일 개인 사용자(9)가 마스터(2) 및 모든 슬레이브(4)(6)(8)에 대한 근접경호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 확인하기 위한 선택도 할 수 있으며, 이는 마스터(2)에서도 수행할 수 있고 슬레이브(4)(6)(8)를 통해서도 수행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dividual user 9 to make a choice to ensure that the proximity guard operation to the master 2 and all the slaves 4, 6 and 8 is properly performed, And also through the slaves (4) (6) and (8).

개인 사용자(9)가 개별 소지하는 슬레이브(4)(6)(8)중 하나로 경호작동 확인 알람을 선택시도하면 마스터(2)와의 인지교신으로 마스터(2) 및 모든 슬레이브(4)(6)(8)가 근접경호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확인알람을 발생시킨다. When the personal user 9 attempts to select the guard operation confirmation alarm as one of the slaves 4, 6 and 8 individually held by the individual user 9, the master 2 and all the slaves 4, 6, (8) generates an alarm confirming that the close guard operation is properly performed.

본 발명에 따라 슬레이브(4)(6)(8)에 구비되는 근접 경호존(GZ)의 이탈방지를 위해 경고알람을 발생하는 경고알람 출력부(44)는 초소형 스피커로도 구현될 수 있고, 초소형 압전소자 진동체나 초소형 진동모터로 구현될 수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rning alarm output unit 44 for generating the warning alarm for preventing the escape of the proximity guard zone GZ provided in the slaves 4, 6, 8 can be realized as a micro speaker, It can be realized as a tiny piezoelectric device vibrator or a very small vibration motor.

본 발명에서 마스터(2) 및 슬레이브(4)(6)(8)에 구비된 경고알람 출력부(16)(44)는 마스터제어부(10) 및 태그제어부(30)의 제어 하에 근접경호 작동에 관련한 경고알람을 발생한다. The warning alarm output unit 16 (44) provided in the master (2) and the slaves (4) (6) (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close guard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master control unit 10 and the tag control unit 30 And generates a warning alarm related thereto.

본 발명에서는 슬레이브(4)(6)(8)의 개인사용자(9)가 근접경호존(GZ)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지만 마스터(2)에서도 근접 경호존(GZ)의 거리를 가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individual user 9 of the slaves 4, 6 and 8 can change the distance of the close guard zone GZ, the distance of the close guard zone GZ can also be varied in the master 2 .

마스터(2)에서의 무선태그인 슬레이브(4)(6)(8)를 인지할 수 있는 근접 경호존(GZ)의 거리 가변은 입력부(12) 및 표시부(14)로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사용자의 요구나 맵핑된 프로그램에 의한 자체 제어를 통해 RFID리더인 마스터(2)의 출력파워를 조절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The distance variable of the proximity guard zone GZ that can recognize the slaves 4, 6 and 8 as the wireless tags in the master 2 is determin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consisting of the input unit 12 and the display unit 14. [ Or by controlling the output power of the master 2, which is an RFID reader, through its own control by the mapped program.

마스터 제어부(10)는 마스터(2)나 슬레이브(4)(6)(8)중에서 가장 최근에 근접 경호존(GZ)의 거리 가변요청이 있는 값으로 출력파워 조절부(20)를 이용해서 근접경호 존(GZ)의 거리를 공통 설정한다. The master control unit 10 sets the value of the proximity guard zone GZ to the value closest to the proximity guard zone GZ among the master 2 and the slaves 4, The distance of the guard zone GZ is set in common.

그 후 마스터(2)의 마스터 제어부(10)는 출력파워 조절부(20)에 의해 조절된 근접 경호존(GZ) 내에서의 무선 교신으로 마스터(2)와 등록 슬레이브(4)(6)(8)간의 인지교신이 계속 일어나게 하다가 서로 간의 거리가 근접 경호존(GZ)을 벗어나기 전 한계거리에 이르면, 슬레이브(4)(6)(8)중 한계 거리에 있는 해당 슬레이브에게 경고알람 명령의 전송을 수행함과 동시에 마스터(2)의 경고알람 출력부(16)를 통해서 해당 슬레이브가 근접경호존(GZ) 이탈지점에 있음에 대응된 경고알람을 발생한다. Thereafter, the master control unit 10 of the master 2 controls the master 2 and the registration slaves 4 and 6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proximity guard zone GZ controlled by the output power control unit 20) 8), if the distance between the slaves 4, 6, and 8 reaches the limit distance before leaving the proximity guard zone GZ, a warning alarm command is sent to the corresponding slave at the limit distance among the slaves 4, And at the same time, generates a warning alarm corresponding to the slave is located at the departure point of the close guard zone (GZ) through the warning alarm output unit 16 of the master 2.

그러므로 마스터(2)와 슬레이브(4)(6)(8)를 모두 큰 가방(52)이나 손가방(54) 또는 스마트폰(6a)이나 반지와 같은 개인사용자(9)의 착용물로 분류해서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마스터(2)나 슬레이브(4)(6)(8)가 마스터(2)에 의해 상호적으로 형성된 근접경호존(GZ)을 벗어나기 직전에 해당 슬레이브와 마스터(2)가 동시에 경고알람을 제공하므로 소지품이나 지갑, 손가방 등과 같은 개인 소지품들이 일괄적으로 챙겨질 수 있도록 도움 주게 되며, 개인 소지품이 분실 직전에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경호도 가능해진다. Therefore, both the master 2 and the slaves 4, 6 and 8 are classified into a large bag 52 or a bag 54 or a wearer of a personal user 9 such as a smart phone 6a or a ring A user who is a slave and a master 2 simultaneously receives a warning alarm 2 immediately before the master 2 or the slaves 4, 6 and 8 come out of the proximity guard zone GZ formed mutually by the master 2, So that personal belongings such as personal belongings, purses, and handbag can be collected in a lump sum, and personal security can be made so that the personal belongings can be recognized immediately before the loss.

도 5는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소지품 근접경호를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FIG. 5 is a control flowchart for proximity guarding of personal belong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개인 소지품 근접경호를 위한 마스터(2)와 슬레이브(4)(6)(8)들에서의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Now, a control method in the master 2 and the slaves 4, 6, and 8 for the proximity guard of personal belonging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개인 사용자(9)는 개인 사용자(9)의 개인 소지품들에 구분하여 넣거나 개인 사용자(9)가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터(2)와 다수의 슬레이브(4)(6)(8)를 사용한다. 이때 마스터(2)는 RFID리더이고 다수의 슬레이브(4)(6)(8)로서 마스터(2)와는 RFID방식으로 인지교신하는 무선태그이다. The individual user 9 uses a master 2 and a plurality of slaves 4, 6 and 8 to divide the personal belongings of the individual user 9 into pieces or worn by the individual user 9 . At this time, the master 2 is an RFID reader, and is a radio tag that communicates with the master 2 in an RFID manner as a plurality of slaves 4, 6, and 8.

먼저 마스터(2)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근접 경호존(GZ) 설정이 있으면 그에 따라 마스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마스터(2)내에 구비된 송신부(22)의 출력파워를 출력파워 조절부(20)를 이용하여 조절하여서 마스터(2)를 기준으로 하는 다수의 슬레이브(4)(6)(8)와의 근접 경호존(GZ)의 범위를 50~300cm 거리 내의 사용자 요구 거리값으로 설정한다. The master 2 transmits the output power of the transmitter 22 provided in the master 2 under the control of the master controller 10 to the output power controller 20 To set the range of the proximity guard zone GZ with respect to the slaves 4, 6, and 8 based on the master 2 as a user required distance value within a distance of 50 to 300 cm.

또한 마스터(2)에서는 슬레이브(4)(6)(8)중 하나로부터 거리변경에 관련된 전송후보 데이터가 수신되면 전송후보데이터를 거리변경 내용에 의거하여, 근접경호존(GZ)의 변경요청 거리값에 상응하는 출력파워로 출력파워 조절부(20)를 이용해 조절함으로써 근접경호존(GZ)의 거리를 변경한다.When the master 2 receives the transmission candidate data related to the distance change from one of the slaves 4, 6 and 8, the master 2 transmits the transmission candidate data to the change request distance of the proximity guard zone GZ The output power adjusting unit 20 adjusts the distance of the close guard zone GZ.

그러므로 마스터(2)에서의 근접 경호존(GZ)의 거리값 설정 및 변경은 마스터(2)나 슬레이브(4)(6)(8)중 어디에서도 가능하며, 가장 최근에 거리값 설정이나 변경 요구된 거리값으로 근접 경호존(GZ) 범위가 설정된다. Therefore, the distance value setting and change of the proximity guard zone GZ in the master 2 can be performed by either the master 2 or the slaves 4, 6 and 8, The range of the proximity guard zone (GZ) is set.

이렇게 근접 경호존(GZ) 범위가 설정되면, 마스터(2)는 슬레이브(4)(6)(8)들에 대한 읽기명령을 주기적(수밀리초 주기 등)으로 수행하여서 슬레이브(4)(6)(8)중에서 50~300cm 거리의 근접경호존(GZ)내에서의 마스터(2)와 슬레이브(4)(6)(8)간의 인지교신을 수행한다(도 5의 100단계). When the proximity guard zone GZ range is set, the master 2 periodically (for several milliseconds, for example) issues a read command to the slaves 4, 6, (Step 100 in FIG. 5) within the proximity guard zone GZ at a distance of 50 to 300 cm from the master 2 and the slaves 4, 6,

또 마스터(2)는 근접경호존(GZ)내에서의 마스터(2)와 슬레이브(4)(6)(8)간의 인지교신중 근접경호존(GZ)을 벗어나기 전의 한계거리에 있는 슬레이브가 있는지를 판단한다(도 5의 102단계). The master 2 also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lave at the limit distance before the proximity guard zone GZ is exited during the percep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2 and the slaves 4, 6 and 8 in the proximity guard zone GZ (Step 102 of FIG. 5).

만일 근접경호존(GZ)을 벗어나기 전의 한계거리에 있는 슬레이브가 있으면 마스터(2)는 교신이 끊어지기 전 즉각적으로 해당 슬레이브에 경고알람 명령을 전송함과 동시에 마스터(2)에서도 경고알람이 발생되게 제어한다(도 5의 102단계). If there is a slave at the limit distance before leaving the proximity guard zone GZ, the master 2 immediately sends a warning alarm command to the slave before the communication is disconnected, and at the same time, (Step 102 of FIG. 5).

이때 마스터(2)의 마스터 제어부(10)에서는 경고알람 출력부(16)를 통해서 경고알람을 바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한계 거리에 있는 해당 슬레이브로 읽기 명령을 슬레이브(4)(6)(8)로 주기적으로 전송을 하다가 읽기 명령에 대한 해당 슬레이브의 응답이 없으면 그 때에 마스터(2)에서의 경고 알람이 발생된다. At this time, the master control unit 10 of the master 2 does not immediately generate an alarm via the alarm alarm output unit 16 but sends a read command to the slave 4, 6, 8 If the slave does not respond to the read command while periodically transmitting, a warning alarm is generated at the master (2) at that time.

한편 마스터(2)로부터 경고알람 명령을 수신하게 되면 해당 슬레이브는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예컨대 2~3초)를 기다리고 그 대기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마스터(2)에서의 읽기명령이 다시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도 5의 104단계).On the other hand, when receiving a warning alarm command from the master 2, the slave waits fo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for example, 2 to 3 seconds) and judges whether the read command from the master 2 is received again (Step 104 of FIG. 5).

만일 해당 슬레이브는 상기 대기시간 경과후의 판단에서 마스터(2)에서의 읽기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슬레이브가 근접경호존(GZ)을 벗어남을 의미하므로 경고음을 적어도 포함하는 경고알람을 경고알람 출력부(44)를 통해서 발생한다(도 5의 106단계). If the slave does not receive a read command from the master 2 in the judgment after the elapse of the waiting time, the corresponding slave indicates that the slave is out of the proximity guard zone GZ, 44) (step 106 of FIG. 5).

슬레이브에서의 경고알람 출력부(44)를 통한 경고 알람은 경고음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게 구현할 수도 있고 단속적으로 발생되게 구현할 수도 있으며, 진동을 포함하는 경고음 발생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슬레이브에서의 경고알람 출력부(44)를 통한 경고 알람의 경고음 지속시간은 1분 내지 3분이 바람직하다. The warning alarm through the warning alarm output unit 44 in the slave can be implemented to generate a warning sound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or to generate a warning sound including vib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warning sound duration of the warning alarm through the warning alarm output unit 44 in the slave is 1 minute to 3 minutes.

그러므로 만일 누군가가 해당 슬레이브가 들어있는 지갑을 훔쳐갔다면 슬레이브에서 출력되는 경고음을 필수로 포함한 경고알람은 상당히 성가시럽고 곤혹스러운 소리가 될 것이며, 다른 사람들에게 쉽게 발각될 빌미를 제공한다. Therefore, if someone steals a purse containing the slave, a warning alarm, which includes a slave's required beep sound, will be quite annoying and annoying, and will provide a sensation that will be easily seen by others.

그런데 해당 슬레이브를 휴대한 개인 사용자(9)가 근접경호존(GZ)을 벗어나도 상관이 없다고 판단하게 되면 개인 사용자(9)는 알람중지에 대응된 유효명령을 해당 슬레이브를 통해 입력할 것이다.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ividual user 9 carrying the slave does not need to leave the proximity guard zone GZ, the individual user 9 will input the valid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alarm stop through the corresponding slave.

본 발명에서 슬레이브(4)(6)(8)에서의 알람중지에 대응된 유효명령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슬레이브(4)(6)(8)에 구비된 선택입력부(42)와 움직임 컴포넌트(40)를 복합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예컨대 선택입력부(42)중 임의의 버튼을 누르고 해당 슬레이브를 3번 이상 흔들어주는 동작이 될 수 있다. In order to input the effective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alarm stop in the slaves 4, 6 and 8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ection input unit 42 and the motion component 40 provided in the slaves 4, 6, Should be used in combination. For example, it may be an operation of pressing any one of the selection input unit 42 and shaking the slave three or more times.

만일 해당 슬레이브를 통한 선택입력부(42)와 움직임 컴포넌트(40)를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알람중지에 대응한 유효명령이 있으면 해당 슬레이브는 알람중지에 대응한 유효명령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경고알람 출력부(44)를 통한 경고알람을 중지한다(도 5의 108단계). 그렇지만 이 때에도 마스터(2)에서의 경고알람은 계속 발생된다. If there is a valid instruction corresponding to the alarm stop using the combination of the selection input unit 42 and the motion component 40 through the slave, the corresponding slave recognizes that there is a valid instruction corresponding to the alarm stop, ) (Step 108 of FIG. 5). At this time, however, a warning alarm in the master 2 is still generated.

다른 한편, 경고알람이 발생도중 개인 사용자(9)가 본인의 마스터(2)나 해당 슬레이브에 대응된 소지품을 두고서 이동했음을 인지하고는 마스터(2)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좁혀서 근접경호존(GZ)내에 이동됨에 따라 즉, 해당 슬레이브가 상기 근접경호존(GZ)내로 이동하게 되면 마스터(2)로부터의 읽기명령이 수신된다. 그에 따라 해당 슬레이브에서는 해당 슬레이브에서 발생하는 경고 알람을 즉각 중지하게 되고, 마스터(2) 역시도 읽기명령에 따른 해당 슬레이브에서의 응답이 있음에 따라 마스터(2)에서 발생되는 경고알람을 즉각 중지하게 된다(도 5의 110단계).
On the other hand, if it is recognized that the personal user 9 has moved with respect to his or her master 2 or the slave corresponding to the slave during the occurrence of the alarm, the relative distance to the master 2 is narrowed, When the slave moves into the proximity guard zone GZ as a result of the movement, the read command from the master 2 is received. Accordingly, the corresponding slave immediately stops the warning alarm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slave, and the master 2 immediately stops the warning alarm generated in the master 2 in response to the response from the corresponding slave according to the read command (Step 110 of FIG. 5).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본 발명은 물건분실 방지장치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as a device for preventing the loss of objects.

(2)-- 마스터 (4)(6)(8)-- 슬레이브
(6a)-- 스마트폰 (9)-- 개인사용자
(GZ)-- 근접경호존
(10)-- 제어부 (12)-- 입력부
(14)-- 표시부 (16)-- 경고알람 출력부
(18)-- 메모리 (20)-- 출력파워조절부
(30)-- 태그 제어부 (32)-- 무선부
(36)-- 에너지하베스팅부 (38)-- 배터리
(40)-- 움직임 컴포넌트 (42)-- 선택입력부
(44)-- 경고알람 출력부 (46)-- 태그메모리
(52)-- 큰 가방 (54)-- 손가방
(2) - Master (4) (6) (8) - Slave
(6a) - Smartphones (9) - Personal users
(GZ) - Close guard zone
(10) - Control section (12) - Input section
(14) - Display (16) - Warning alarm output
(18) - Memory (20) - Output power regulator
(30) a tag control unit (32) a radio unit
(36) - Energy Harvesting (38) - Battery
(40) - motion component (42) - selection input
(44) - a warning alarm output part (46) - a tag memory
(52) - Large bag (54) - Hand bag

Claims (1)

개인 사용자(9)의 개인 소지품들에 구분하여 넣거나 개인 사용자(9)가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터(2)와 다수의 슬레이브(4)(6)(8)를 구비하되, 마스터(2)는 RFID리더이고 다수의 슬레이브(4)(6)(8)는 마스터(2)와 RFID방식으로 인지교신하는 무선태그로 구성한 경호장치에서의 개인 소지품 근접 경호방법에 있어서,
마스터(2)는 마스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마스터(2)내에 구비된 송신부(22)의 출력파워를 조절하는 출력파워 조절부(20)를 이용하여서 마스터(2)를 기준으로 하는 다수의 슬레이브(4)(6)(8)와의 근접 경호존(GZ)의 범위를 50~300cm 거리로 형성하면서 상호간의 인지교신이 이루어지게 하는 과정과,
마스터(2)는 슬레이브(4)(6)(8)중 근접경호존(GZ)을 벗어나기전 한계거리에 있는 슬레이브가 있으면 해당 슬레이브에 경고알람 명령을 전송함과 동시에 마스터(2)에서의 경고알람이 발생되게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경고알람 명령을 수신한 해당 슬레이브는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후 마스터(2)의 읽기명령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슬레이브는 상기 대기시간 경과후의 판단에서 마스터(2)에서의 읽기명령이 미수신되면 경고음을 적어도 포함하는 경고알람을 발생하는 과정과,
경고알람이 발생도중 해당 슬레이브에서는 상기 해당 슬레이브를 통한 선택입력부(42)와 움직임 컴포넌트(40)를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알람중지에 대응한 유효명령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유효명령이 있음에 따라 경고알람을 중지하는 과정과,
경고알람이 발생도중 해당 슬레이브가 상기 근접경호존(GZ)내로 이동됨에 의해 마스터(2)로부터의 읽기명령을 수신되면 해당 슬레이브에서는 상기 해당 슬레이브에서의 겅고알람을 중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소지품 근접 경호방법.
(2) and a plurality of slaves (4), (6) and (8) for allowing the personal user (9) to divide the personal belongings of the personal user (9) A method of proximity guarding of personal belongings in a security device comprising an RFID reader and a plurality of slaves (4), (6), and (8)
The master 2 is controlled by the master control unit 10 to control the output power of the transmission unit 22 provided in the master 2 and a plurality of A process of forming a range of the proximity guard zone GZ with the slaves 4, 6 and 8 at a distance of 50 to 300 cm,
The master 2 sends a warning alarm command to the slave 4, 6, or 8 if there is a slav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fore leaving the proximity guard zone GZ, and at the same time, Controlling an alarm to be generated;
Upon receiving the warning alarm command, the corresponding slave determines whether a read command of the master (2) is received afte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has elapsed.
Generating a warning alarm including at least a warning sound when a read command from the master (2) is not received in the determination after the lapse of the waiting time;
During the occurrence of a warning alarm, the corresponding slave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valid command corresponding to an alarm stop using the selection input unit 42 and the motion component 40 through the corresponding slave, and when there is a valid command, The process of stopping,
When a read command from the master (2) is received by moving the corresponding slave to the proximity guard zone (GZ) during the occurrence of a warning alarm, the corresponding slave suspends the security alarm in the corresponding slave Proximity guards for personal belongings.
KR1020160045339A 2016-04-14 2016-04-14 Method for mate guarding personal possessions KR1018438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339A KR101843888B1 (en) 2016-04-14 2016-04-14 Method for mate guarding personal possess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339A KR101843888B1 (en) 2016-04-14 2016-04-14 Method for mate guarding personal possess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658A true KR20170117658A (en) 2017-10-24
KR101843888B1 KR101843888B1 (en) 2018-03-30

Family

ID=6029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339A KR101843888B1 (en) 2016-04-14 2016-04-14 Method for mate guarding personal possess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88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9892A1 (en) * 2017-11-03 2019-05-09 Roku, Inc. Tracking proximities of devices and/or objects
US11997562B2 (en) 2017-11-03 2024-05-28 Roku, Inc. Tracking proximities of devices and/or objec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8718B2 (en) 1999-03-31 2009-05-27 昭雄 保賀 Lost and lost child prevention device and mobile phone
KR100933690B1 (en) * 2008-11-06 2009-12-23 김익상 Antitheft apparatus of bicycle using rfid module, and method thereof
KR101023939B1 (en) * 2010-07-23 2011-03-28 임성규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lost of item and qucikly searching i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9892A1 (en) * 2017-11-03 2019-05-09 Roku, Inc. Tracking proximities of devices and/or objects
US10524090B2 (en) 2017-11-03 2019-12-31 Roku, Inc. Tracking proximities of devices and/or objects
US10939234B2 (en) 2017-11-03 2021-03-02 Roku, Inc. Tracking proximities of devices and/or objects
US11412346B2 (en) 2017-11-03 2022-08-09 Roku, Inc. Tracking proximities of devices and/or objects
US11997562B2 (en) 2017-11-03 2024-05-28 Roku, Inc. Tracking proximities of devices and/or obj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888B1 (en)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169B1 (en) Skin care device
EP2956825B1 (en) Facilitating transactions with a user account using a wireless device
EP259763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on loss of item and prompt search thereof
EP3273328B1 (en) Haptic functionality for network connected devices
US20140285416A1 (en) Short Range Wireless Powered Ring for User Interaction and Sensing
KR101253337B1 (en) System for prrotection missing using location-aware
JP2017532689A (en) A system for locating remote objects
CN110570180A (en) User device enabling access to payment information in response to mechanical input detection
CN111077943A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JP6723420B2 (en) Terminal for Tracking Position of Item Set by Individual, Posi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Terminal for Tracking Position of Item Set by Individual
CN109076077B (en) Security system with gesture-based access control
US11004283B1 (en) Temperature detection device
CN107251072A (en) Body area network for secure payment
US20180294844A1 (en) Watch-type mobile terminal
KR101843888B1 (en) Method for mate guarding personal possessions
EP3494713B1 (en) Wearable nfc device for secure data interaction
US20180139597A1 (en) Socially Enabled, Body Wor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Use
WO2018109785A1 (en) A portable safety apparatus
KR101843885B1 (en) Apparatus for mate guarding personal possessions
KR20180137125A (en) Pet signage system
KR101856419B1 (en)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personal possessions
KR200488747Y1 (en) Smart cards for wallet that works with smartphones
CN112470169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60127921A (en) IoT terminal based is installed a bluetooth based smart keeper
US20230237304A1 (en) Rfid-enabled watch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