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139A - 기능들의 선택의 프로그래밍 및 관리를 위해 연결된 단말기들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기능들의 선택의 프로그래밍 및 관리를 위해 연결된 단말기들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139A
KR20170117139A KR1020177025413A KR20177025413A KR20170117139A KR 20170117139 A KR20170117139 A KR 20170117139A KR 1020177025413 A KR1020177025413 A KR 1020177025413A KR 20177025413 A KR20177025413 A KR 20177025413A KR 20170117139 A KR20170117139 A KR 20170117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munication
protocol
communication protocol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2037B1 (ko
Inventor
조르쥬 니꼴라 하이에크
미셸 빌르맹
장-끌로드 마르땡
토마스 기거
Original Assignee
이엠. 마이크로일레크트로닉-마린 쏘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15158715.1A external-priority patent/EP3068116A1/fr
Application filed by 이엠. 마이크로일레크트로닉-마린 쏘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이엠. 마이크로일레크트로닉-마린 쏘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70117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7C9/00007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5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data carrier can be programm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53
    • H04M1/7256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5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data carrier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6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data carrier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wireless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셈블리 (1) 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어셈블리 (1) 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을 허용하는 통신 네트워크 (100) 에 메인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제 1 통신 프로토콜 (P1) 로서, 상기 메인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프로그램 (PCONF) 을 사용하도록 고안되고, 상기 구성 프로그램 (PCONF) 은 적어도 하나의 우선적 기능 (FCTi) 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우선적 기능을 나타내는 코드 (CODEi) 를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 (P1),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 (P2) 을 사용하는 통신 모듈 (14) 이 구비된 메인 단말기 (T1) 를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는 그 선택된 우선적 기능을 나타내는 코드 (CODEi) 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메인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해 제 2 통신 프로토콜 (P2) 을 사용하는 패시브 통신 모듈 (20) 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세컨더리 단말기 (T2) 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들의 선택의 프로그래밍 및 관리를 위해 연결된 단말기들의 어셈블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메인 단말기를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 모듈이 구비된 상기 메인 단말기를 포함하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메인 단말기는 세컨더리 단말기의 구성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사용하도록 배열된다.
수개의 기능들의 동작을 허용하는 휴대용 연결된 디바이스들이 알려져 있다. 사용되는 휴대용 디바이스의 하나의 타입은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3G, 4G, LTE...) 뿐아니라 WiFi 프로토콜, 블루투스 프로토콜 또는 NFC 프로토콜과 같은 수개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 구비된 이동 전화이다. 이들 이동 전화들은 무접촉 지불, 전자 티켓팅 또는 무접촉 액세스와 같은 소위 연결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동작의 단점은 이동 전화가 활성인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사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배터리로 동작하여서, 배터리가 방전되면, 소위 연결된 기능들은 사용 불가능하게 된다.
다른 타입의 연결된 디바이스는 무접촉 지불을 위해 사용되는 시계들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디바이스는 지불 기능을 위해 특정된 집적된 전자 회로 (칩) 가 그 안에 배열되는 시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불 칩은 후원하는 금융기관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것은 그 후 제품의 특정의 슬롯에 삽입되거나, 또는 블랭크 칩이 제품에 직접 배치되고, 그 후 금융기관에 의해 프로그래밍된다.
따라서, 슬롯에 삽입되는 지불 칩을 갖는다는 사실은 밀봉 (seal) 의 가능한 손실의 단점을 갖는 반면, 칩이 금융기관에 의해 프로그래밍되게 한다는 사실은 상당한 물류관리를 수반하며, 이는 시계가 금융기관으로 보내져야 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구매자가 그것을 사용할 수 있기 전에 지연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따라서 항상 이용가능하면서 프로그램하기에 간단한 휴대용 연결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추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메인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제 1 통신 프로토콜로서, 상기 메인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프로그램을 사용하도록 배열되고, 구성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기능이 선택되고, 선택된 선호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코드가 생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 모듈이 구비된 메인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는 선택된 선호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코드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메인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해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패시브 (passive) 통신 모듈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세컨더리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컨더리 단말기는 패시브 통신 모듈이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또한 사용하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나오는 외부 전원에 의해 깨워지고 활성화되도록 그리고 세컨더리 단말기가 이러한 다른 단말기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다른 단말기가 선호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러한 활성화에 응답하여 및 상기 메인 단말기와 독립적으로 이러한 다른 단말기로 커맨드를 전송하도록 배열된다.
제 1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세컨더리 단말기가 통신하는 단말기는 메인 단말기이다.
제 2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세컨더리 단말기가 통신하는 단말기는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 회로가 구비된 터셔리 (tertiary) 단말기이다.
제 3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세컨더리 단말기가 통신하는 단말기는 세컨더리 단말기이고,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액티브 통신 회로가 구비된 보조 단말기가 중재자로서 사용된다.
제 4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세컨더리 단말기는 다른 세컨더리 단말기와 통신하고, 여기서 각각의 세컨더리 단말기는 패시브 통신 모듈에 대한 추가적인 서플라이 회로가 구비된다.
제 5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선호되는 기능은 정보 디스플레이 기능이다.
제 6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선호되는 기능은 애플리케이션 론치 (launch) 기능이다.
제 7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선호되는 기능은 액션 론치 기능 (액세스, 도어 개방 ...) 이다.
다른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제 1 통신 프로토콜은 무엇보다도 블루투스, GSM, EDGE, UMTS, CDMA, LTE, HSPA, xDSL 또는 WiFi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프로토콜이다.
다른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제 2 통신 프로토콜은 패시브 통신 모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프로토콜이다.
다른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제 2 프로토콜은 NFC 프로토콜이다.
다른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메인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및 제어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 다음의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단말기이다: 이동 전화 또는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랩톱, 태블릿 또는 상기 구성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
다른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세컨더리 단말기는 시계, 손목밴드, 장신구, 클립-온 핀 또는 다른 타입의 손목밴드를 포함하는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단말기이다.
다른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세컨더리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및 제어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다른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선호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는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 회로가 구비된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디바이스의 내부 회로 또는 와이어 연결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된 외부 회로이다.
다른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세컨더리 단말기 및 메인 단말기는 단일의 단말기를 형성하도록 동일한 타입이며, 여기서 상기 단일의 단말기는 따라서 적어도 제 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 모듈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패시브 통신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어셈블리의 선호되는 기능들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메인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 모듈이 구비된 메인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프로그램을 사용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어셈블리는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패시브 (passive) 통신 모듈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세컨더리 단말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 구성 프로그램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메인 단말기를 사용하는 단계;
- 구성 프로그램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 선택된 선호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메인 단말기의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세컨더리 단말기의 통신 회로의 메모리 구역으로 선택된 선호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이러한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운 실시형태에서, 제 2 단말기의 통신 회로의 메모리 구역으로 선택된 선호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코드의 전송 후에, 상기 방법은 세컨더리 단말기가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 회로가 구비된 단말기에 의해 접근되는 경우 상기 선호되는 기능과 연관된 커맨드를 전송하여, 이러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말기가 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에 명백해질 것이다.
-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의 제 1 실시형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의 제 1 실시형태의 특정의 경우를 도시한다.
-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의 제 2 실시형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 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그러한 어셈블리 (1) 는 먼저 메인 단말기 (T1) 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인 단말기는 LCD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12) 및 터치 또는 다른 키들과 같은 제어 디바이스들 (13) 을 관리하는 산술 논리 유닛 (11) 을 포함한다. 산술 논리 유닛 (11) 은 또한 통신 모듈 (14) 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통신 모듈 (14) 은 적어도 2 개의 별개의 통신 인터페이스들 (14a, 14b)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14c) 가 구비된 전송 및 수신 회로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인터페이스는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제 1 인터페이스 (14a) 는 블루투스, GSM, EDGE, UMTS, CDMA, LTE, HSPA, xDSL 또는 WiFi 와 같은 제 1 프로토콜 P1 을 사용할 것인 반면, 제 2 인터페이스 (14b) 는 NFC 또는 더 일반적으로 RFID 와 같은 제 2 프로토콜 P2 을 사용할 것이다. 물론, 통신 모듈이 WiFi 타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메인 단말기 (T1) 는 이동 전화 또는 컴퓨터 또는 터치스크린 태블릿 또는 기타의 형태일 수 있다.
메인 단말기 (T1) 의 통신 모듈 (14) 은 통신 네트워크 (100) 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한다. 그러한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인터넷 또는 내부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 (100) 는 사용자가 소정 수의 기능들 (FCTi) 을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한다. 하나의 타입의 기능 (FCTi) 은 정보 기능이다. 이러한 정보 기능 (FCTi) 은 사용자가 대량의 정보를 액세스하는 것, 즉 인터넷 사이트들과 같은 특수화된 페이지들을 액세스하거나 또는 따라서 정보를 취출할 수 있는 것을 허용한다. 도 2 는 프로그램 (PCONF) 이 4 개의 기능들 (FCT1, FCT2, FCT3 및 FCT4) 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물론,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물품들에 대해 지불하는 것을 허용하는 지불 기능 또는 사용자가 그의/그녀의 차의 구성 또는 그의/그녀의 집의 구성과 같은 구성 또는 지불된 방식에 따라 개인화된 액세스를 갖는 호텔 구성을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 기능과 같은 다른 기능들 (FCTi) 이 존재한다.
따라서, 메인 단말기 (T1) 는 그 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12) 및 제어 디바이스들 (13) 을 통해 구성 프로그램 (PCONF) 을 사용하도록 배열된다. 그러한 구성 프로그램 (PCONF) 은 메인 단말기 (T1) 와 통신 네트워크 (100) 사이의 중재자로서 작용하고 메인 단말기 상에 직접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통신 네트워크 (100) 로 직접 이식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메인 단말기는 따라서 상기 구성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다.
구성 프로그램 (PCONF) 은 모든 기능들에 대한 단일의 인터페이스 또는 상이한 플랫폼들 상으로 통합될 수 있는 커널이라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텔 예약 사이트들 또는 지불 사이트들은 이러한 구성 프로그램이 구비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는 것 또는 연결이 메인 단말기 (T1) 에 링크된 식별자 또는 상기 단말기 (T1) 의 시리얼 넘버 또는 심지어 이것이 이동 전화인 경우 단말기 (T1) 의 전화 번호를 통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프로그램 (PCONF) 은 따라서 그/그녀가 선택을 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다. 이러한 선택은 사용자에게 중요한 정보의 아이템들을 수집하기 위해 수행된다. 이들 정보의 아이템들은 그의/그녀의 대중 교통 가입, 날씨 정보, 뉴스 또는 스포츠 결과들 또는 또한 지불 가능성들 또는 보안 문을 여는 것과 같은 기능들 또는 디바이스의 구성일 수 있다.
일단 선택이 행해지면, 구성 프로그램 (PCONF) 은 선택을 나타내는 코드 (CODEi) 또는 키를 생성하기 위해 이들 상이한 기능들을 컴파일한다.
이롭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어셈블리 (1) 는 추가적으로 세컨더리 단말기 (T2) 를 포함한다. 이러한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신호가 상기 세컨더리 단말기 (T2) 와 메인 단말기 (T1) 사이의 통신을 위해 전송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적어도 통신 모듈 (20) 을 포함한다. 사용된 프로토콜은 바람직하게는 메인 단말기 (T1) 의 제 2 인터페이스 (14b) 에 의해 사용되는 제 2 프로토콜 (P2) 과 동일할 것이다. 이러한 통신 모듈은 따라서 전송 및 수신 회로 (21), 정보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 구역 (22) 및 안테나 (23) 를 포함한다. 세컨더리 단말기의 통신 모듈 (20), 즉 방출기-수신기 회로 (21) 는 바람직하게는 패시브 (passive) 일 것이며, 즉 그것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력이 그것과 통신하는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급된다. 이롭게는, 이것의 결과로서, 임의의 자율성 문제에 대한 염려들이 존재하지 않고, 그것은 세컨더리 단말기 (T2) 가 전력 실패를 겪을지라도 여전히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롭게는 메인 단말기 (T1) 의 통신 모듈 (20) 의 메모리 구역 (22) 으로 선택을 나타내는 코드 또는 키를 전송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송은 메인 단말기 (T1) 및 세컨더리 단말기 (T2) 에 공통인 통신 프로토콜 (P2) 을 사용하는 신호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세컨더리 단말기 (T2) 가 세컨더리 단말기 (T2) 와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로 피팅된 통신 모듈 (30) 이 구비된 터셔리 (tertiary) 단말기 (T3) 로 지칭되는 다른 단말기와의 통신 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세컨더리 단말기 (T2) 의 패시브 통신 회로 (20) 에 전력이 인가된다. 이러한 전력 공급에 후속하여, 메모리 구역 (22) 은 깨어나고 선택과 관련된 데이터가 터셔리 단말기 (T3) 로 신호에 의해 전송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액세스될 수 있다.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따라서 메인 단말기 (T1) 와 독립적이며, 이는 일단 선택을 나타내는 코드 또는 키가 메인 단말기 (T2) 의 통신 모듈 (20) 의 메모리 구역 (22) 으로 전송되면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더이상 메인 단말기에 대한 필요를 갖지 않기 때문이다.
모든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은 아니고, 그들은 기능에 따라 소정의 조건들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송된다. 사실, 어떤 단말기들은 지불 단말기들 또는 전자 티켓팅과 같은 단일의 기능만을 가지는 반면, 이동 전화들 또는 터치스크린 태블릿들 또는 컴퓨터들과 같은 단말기들은 수개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리하여, 세컨더리 단말기 (T2) 와 통신하는 터셔리 단말기 (T3) 는 상기 터셔리 단말기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식별 코드를 전송한다.
질의 신호에 응답하여,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터셔리 단말기 (T3) 에게 양립가능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터셔리 단말기가 전자 티켓팅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이전에 구입되고 저장된 전자 티켓 또는 가입과 연관된 커맨드를 전송할 것이다.
이러한 터셔리 단말기가 정보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이러한 터셔리 단말기 (T3) 가 상기 정보에 대해 검색하고 그것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사용자의 선호하는 정보와 연관된 커맨드를 전송한다. 이러한 정보는 시간과 같이 터셔리 단말기 (T3) 에 직접 포함될 수 있거나, 심지어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취출될 수 있다.
터셔리 단말기가 다른 디바이스들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터셔리 단말기 (T3) 가 원하는 디바이스를 구성하도록 구성 커맨드를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다른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이러한 다른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을 활성화하도록 연관된 커맨드를 전송한다.
질의를 받는 경우,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모든 기억된 코드들을 전송하고 터셔리 단말기 (T3) 는 그것이 인식하는 것들에 대한 연관된 기능들 (FCTi) 만을 활성화한다.
터셔리 단말기 (T3) 는 메인 단말기 (T1) 와 동일한 타입일 수 있을 것이며, 즉 이동 전화 또는 컴퓨터 또는 터치스크린 태블릿의 형태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제 2 프로토콜 (P2) 을 사용하는 통신 모듈 (30) 이 구비된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예를 들어 USB 또는 RS232 또는 HDMI 연결 또는 기타를 통해 통신 주변장치가 연결되는 예를 들어 홈 자동화 제어 패널과 같은 와이어 연결 (42) 을 통해 외부 통신 회로 (41) 가 연결되는 임의의 디바이스 (40) 일 수 있을 것이다.
세컨더리 단말기는 도 3 에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단말기를 사용하는 동일한 타입의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사실상,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패시브 통신 모듈 (20) 이 구비되기 때문에, 2 개의 제 2 단말기들 (T2) 사이의 통신은 직접 발생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메인 단말기 (T1) 와 같은 다른 단말기 또는 액티브 통신 회로를 사용하는, 즉 그 자신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다른 단말기가 필요하다. 용어 NFC 부스터 또는 추가적인 파워 서플라이로 알려진 부속물 (accessory) 이 2 개의 단말기들 (T2) 을 서로 일시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또한 사용가능하다.
제 1 실시형태에서,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사용자가 영구적으로 착용하는 별개의 디바이스이다.
제 1 솔루션에 따르면, 세컨더리 단말기는 시계이다. 이러한 시계는 케이스 및 시계줄을 포함하며, 여기서 케이스는 전자적 또는 기계적 무브먼트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및 제어 디바이스들과 함께 피팅된다. 통신 모듈 (20) 은 예를 들어 시계줄 또는 케이스에 통합될 수 있다. 통신 회로는, 물론, 시계 유리 또는 시계줄 버클에 통합될 수 있다.
제 2 솔루션에 따르면, 세컨더리 단말기는 손목밴드, 클립-온 핀 또는 목걸이 또는 브로치와 같은 장신구의 아이템일 수 있을 것이다. 목걸이는 통신 회로가 배열될 펜던트 또는 체인의 형태일 수 있을 것이다. 손목밴드의 경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손목밴드가 활성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제 2 실시형태에서, 메인 단말기 및 세컨더리 단말기는 동일한 타입이고 단일의 단말기를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 세컨더리 단말기는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27), 제어 디바이스들 (26) 및 파워 서플라이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산술 논리 유닛 (25) 을 포함한다. 세컨더리 단말기 (T2) 의 통신 모듈 (20) 은 또한 구성 프로그램 (PCONF) 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 (100) 에 대한 직접적인 액세스를 허용하는 안테나 (24a) 및 통신 프로토콜 (P1) 을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24) 가 구비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 에서, 예를 들어, 시계 (T2) 는 LCD 스크린 (27), 터치-감지 키들 (26a) 및 버튼들 (26b) 과 같은 제어 디바이스들 (26)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GSM 또는 블루투스 또는 WiFi 모듈 또는 기타가 구비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선호하는 것들의 선택이 사용자가 항상 착용하는 디바이스에 직접 저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세컨더리 단말기 (T2) 의 패시브 통신 모듈과 통신할 수 있는 다른 단말기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원하는 기능들 (FCTi) 이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 에 도시된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에서,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커뮤니티 (community)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제 1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범위 내의 제 2 단말기들 (T2) 을 리스트하고 그들 각각에게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나타내는 코드를 전송하기 위해 관리 단말기를 통해 구성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러한 기능은 검출된 각각의 세컨더리 단말기 (T2) 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특정의 활동들에 대한 무료 액세스의 면에서 특권들을 수여하는 것 또는 가족들 또는 우수 고객들과 같은 주민들의 소정의 섹션들에게 홍보 자료를 전송하는 것이 생각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상이한 실시형태들의 변형에서,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커뮤니티 환경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공유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사실, 사용자들 사이의 공유를 허용하는 기능들 (FCTi) 을 갖는 것이 생각가능할 수 있다. 그러한 기능 (FCTi) 은 예를 들어, 펑션룸 또는 호텔이 특권을 갖는 액세스로부터 이익을 얻는 것을 허용하는 가능성과 같은 특권들을 공유하는 것, 또는 돈 또는 바우처 공유에 링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말기 (T2) 상에 신용거래로서 금전 또는 세일 바우처들 또는 식사 바우처들을 로드하는 것 및 이들을 다른 세컨더리 (T2), 터셔리 (T3) 또는 메인 (T1) 단말기들 상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여러 변경들 및/또는 개선들 및/또는 조합들이 첨부된 청국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발명의 프레임워크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위에서 요약된 발명의 상이한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7)

  1. 어셈블리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 (FCTi) 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네트워크 (100) 에 메인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제 1 통신 프로토콜 (P1) 로서, 상기 메인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프로그램 (PCONF) 을 사용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구성 프로그램 (PCONF) 은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기능 (FCTi) 이 선택되고, 선택된 상기 선호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코드 (CODEi) 가 생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 (P1),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 (P2) 을 사용하는 통신 모듈 (14) 이 구비된 상기 메인 단말기 (T1) 를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선택된 선호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상기 코드 (CODEi) 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메인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 (P2) 을 사용하는 패시브 (passive) 통신 모듈 (20) 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세컨더리 단말기 (T2)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컨더리 단말기는 상기 패시브 통신 모듈 (20) 이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 (P2) 을 또한 사용하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나오는 외부 전원에 의해 깨워지고 활성화되도록 그리고 상기 세컨더리 단말기 (T2) 가 상기 다른 단말기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다른 단말기가 상기 선호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러한 활성화에 응답하여 및 상기 메인 단말기와 독립적으로 상기 다른 단말기로 커맨드를 전송하도록 배열되는,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단말기 (T2) 가 통신하는 단말기는 상기 메인 단말기 (T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단말기 (T2) 가 통신하는 단말기는 액티브 방식으로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 (P2) 을 사용하는 통신 회로 (30) 가 구비된 터셔리 (tertiary) 단말기 (T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세컨더리 단말기 (T2) 와 통신하고,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 (P2) 을 사용하는 액티브 통신 회로가 구비된 중간 단말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세컨더리 단말기 (T2) 와 통신하고,
    각각의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상기 패시브 통신 모듈 (20) 에 대한 추가적인 서플라이 회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되는 기능 (FCTi) 은 정보 디스플레이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되는 기능 (FCTi) 은 애플리케이션 또는 액션 론치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 (P1) 은 블루투스, GSM, EDGE, UMTS, CDMA, LTE, HSPA, xDSL 또는 WiFi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 (P2) 은 패시브 통신 모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토콜 (P2) 은 NFC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단말기 (T1) 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12) 및 제어 디바이스들 (13) 을 포함하고 다음의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이동 전화, 컴퓨터, 태블릿 또는 상기 구성 프로그램 (PCONF) 을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시계, 손목밴드, 장신구, 클립-온 핀 또는 다른 타입의 손목밴드를 포함하는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단말기 (T2) 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27) 및 제어 디바이스들 (2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되는 기능 (FCTi) 을 수행하는 단말기는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 (P2) 을 사용하는 통신 회로가 구비된 임의의 디바이스 (40) 일 수 있으며,
    상기 통신 회로는 상기 디바이스의 내부 회로 또는 와이어 연결 (42) 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에 연결된 외부 회로 (4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컨더리 단말기 및 상기 메인 단말기는 단일의 단말기를 형성하도록 동일한 타입이며,
    상기 단일의 단말기는 따라서 적어도 상기 제 1 프로토콜 (P1) 을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24) 및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 (P2) 을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23) 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 (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6. 어셈블리 (1) 의 선호되는 기능들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어셈블리 (1) 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네트워크 (100) 에 메인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는 적어도 제 1 통신 프로토콜 (P1) 로서, 상기 메인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 프로그램 (PCONF) 을 사용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제 1 통신 프로토콜 (P1), 상기 구성 프로그램 (PCONF), 및 제 2 통신 프로토콜 (P2) 을 사용하는 통신 모듈 (14) 이 구비된 상기 메인 단말기 (10) 를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패시브 (passive) 통신 모듈 (20) 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세컨더리 단말기 (T2)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구성 프로그램 (PCONF) 을 통해 상기 통신 네트워크 (100) 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메인 단말기를 사용하는 단계;
    - 상기 구성 프로그램 (PCONF) 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선호되는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 선택된 상기 선호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코드 (CODEi) 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프로토콜 (P2) 을 갖는 상기 메인 단말기의 액티브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세컨더리 단말기의 통신 모듈의 메모리 구역으로 상기 선택된 선호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상기 코드 (CODEi) 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1) 의 선호되는 기능들을 관리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 2 단말기의 통신 회로의 메모리 구역으로 선택된 선호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코드 (CODE1) 의 전송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세컨더리 단말기가 상기 제 2 통신 프로토콜 (P2) 을 사용하는 액티브 통신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에 의해 접근되는 경우, 상기 선호되는 기능과 연관된 커맨드를 전송하여, 이러한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말기가 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 의 선호되는 기능들을 관리하는 방법.

KR1020177025413A 2015-03-11 2016-03-02 기능들의 선택의 프로그래밍 및 관리를 위해 연결된 단말기들의 어셈블리 KR101992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58715.1 2015-03-11
EP15158715.1A EP3068116A1 (fr) 2015-03-11 2015-03-11 Ensemble de terminaux connectés pour la programmation et la gestion d'une sélection de fonctions
EP15158872 2015-03-12
EP15158872.0 2015-03-12
PCT/EP2016/054465 WO2016142245A1 (fr) 2015-03-11 2016-03-02 Ensemble de terminaux connectes pour la programmation et la gestion d'une selection de fonc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139A true KR20170117139A (ko) 2017-10-20
KR101992037B1 KR101992037B1 (ko) 2019-06-21

Family

ID=5545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413A KR101992037B1 (ko) 2015-03-11 2016-03-02 기능들의 선택의 프로그래밍 및 관리를 위해 연결된 단말기들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96300B2 (ko)
EP (1) EP3269130A1 (ko)
JP (1) JP6486491B2 (ko)
KR (1) KR101992037B1 (ko)
CN (1) CN107409160B (ko)
HK (1) HK1246050A1 (ko)
TW (1) TWI739736B (ko)
WO (1) WO20161422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9037B2 (ja) * 2019-07-10 2023-09-0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制御装置、診断方法及び診断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916A (ko) * 1999-07-12 2001-04-16 포만 제프리 엘 컴퓨터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및 그프로그램 제품
KR20140043808A (ko) * 2011-07-05 2014-04-10 애플 인크.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위한 액세서리의 구성
KR20140068492A (ko) * 2012-11-28 2014-06-09 김준열 근접장 자기 커플링을 활용한 무배터리 장치 연동 기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737A (ja) * 1995-06-30 1997-01-17 Nippondenso Co Ltd 情報記憶カード
AUPP880199A0 (en) * 1999-02-22 1999-03-18 Chip Application Technologies Limited Integrated pos and internet multi-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04334414A (ja) * 2003-05-06 2004-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本人認証システム
CN1564575A (zh) * 2004-03-16 2005-01-12 李琴 一种自助式可移动网络终端系统
GB0415926D0 (en) * 2004-07-16 2004-08-1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7433649B2 (en) * 2004-09-10 2008-10-07 Motorola, Inc. Tag for facilitating interac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643798B2 (en) * 2005-12-09 2010-01-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assive NFC activation of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CN102411753A (zh) * 2011-09-28 2012-04-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nfc实现受众细分的方法、服务器以及系统
CN103258266A (zh) * 2012-04-01 2013-08-21 深圳市家富通汇科技有限公司 使用移动装置结算支付的装置和方法
US20150178532A1 (en) * 2012-06-20 2015-06-25 David Allen Brulé Wearable rfid storage devices
JP5796789B2 (ja) * 2012-12-20 2015-10-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端末、無線端末による携帯情報端末の起動方法
KR20140132917A (ko) * 2013-05-09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와 연결 가능한 부가 장치를 통한 표시 방법 및 장치
TWI596546B (zh) * 2013-06-28 2017-08-21 微科電子有限公司 感應卡學習裝置、穿戴式產品及其操作方法
GB2516861A (en) * 2013-08-01 2015-02-11 Mastercard International Inc Paired Wearable payment device
CN103455913B (zh) * 2013-08-26 2017-09-19 天地融科技股份有限公司 Nfc支付方法、装置、系统及移动终端
US20150145653A1 (en) * 2013-11-25 2015-05-28 Invensense, Inc. Device control using a wearable device
CN103824012A (zh) * 2014-03-05 2014-05-28 许建华 智能移动终端射频近场用户身份识别
US20150381793A1 (en) * 2014-06-30 2015-12-31 Anthony Cerda Bracelet with buttons remotely connected to a smart phone information accessing system
CN104217326A (zh) * 2014-08-14 2014-12-17 陈业军 基于nfc的电子支付、消费方法及系统
CN204086832U (zh) * 2014-11-06 2015-01-07 超然实力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带nfc支付功能的智能手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916A (ko) * 1999-07-12 2001-04-16 포만 제프리 엘 컴퓨터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및 그프로그램 제품
KR20140043808A (ko) * 2011-07-05 2014-04-10 애플 인크.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위한 액세서리의 구성
KR20140068492A (ko) * 2012-11-28 2014-06-09 김준열 근접장 자기 커플링을 활용한 무배터리 장치 연동 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9160B (zh) 2021-04-20
US10796300B2 (en) 2020-10-06
KR101992037B1 (ko) 2019-06-21
EP3269130A1 (fr) 2018-01-17
WO2016142245A1 (fr) 2016-09-15
US20180047013A1 (en) 2018-02-15
JP2018513585A (ja) 2018-05-24
TWI739736B (zh) 2021-09-21
HK1246050A1 (zh) 2018-08-31
CN107409160A (zh) 2017-11-28
JP6486491B2 (ja) 2019-03-20
TW201644312A (zh) 201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850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lectronic transactions using electronic tokens and tokenized vehicles
US7775442B2 (en) Method for accessing after-operation information of secure element applications
US201400467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ultiple electronic user wallet data cards
US8706628B2 (en) Automated opening of electronic wallet function in mobile device
US11810099B2 (en) One use wearable
US20140222670A1 (en) Contactless payment application management
US20160180210A1 (en) Multifunction contactless smart chip device with integrated user actuated switch
US117208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arrying out a payment transaction on a bank terminal using an electronic device
KR101992037B1 (ko) 기능들의 선택의 프로그래밍 및 관리를 위해 연결된 단말기들의 어셈블리
US20200210995A1 (en) Multi-card and payment method using same
US11321686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108322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token-based communication between extraneous applications and an electronic wallet
JP5614841B2 (ja) 電子カード使用状況管理システム
US10269204B2 (en) Method for individualizing a portable data carrier, in particular a chip card
KR100627807B1 (ko) 이동 단말 결제 수신 장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059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Ambient Device Control
Sahana et al. Design of secure SMART card reader and Wi-Fi interface for Point of Sale terminal
KR20190131457A (ko)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전자 카드 관리 방법
KR20190131255A (ko) 멀티 카드 기능을 갖는 전자 카드, 상기 전자 카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CA29647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lectronic transactions using electronic tokens and tokenized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