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952A - 무선전력 전송방법 및 무선전력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력 전송방법 및 무선전력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952A
KR20170116952A KR1020170040220A KR20170040220A KR20170116952A KR 20170116952 A KR20170116952 A KR 20170116952A KR 1020170040220 A KR1020170040220 A KR 1020170040220A KR 20170040220 A KR20170040220 A KR 20170040220A KR 20170116952 A KR20170116952 A KR 20170116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power
signal
power transmission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3750B1 (ko
Inventor
육경환
이재성
서정교
박진섭
정병상
권재순
조영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7/00388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79874A1/ko
Priority to US15/484,728 priority patent/US10367368B2/en
Publication of KR20170116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02J7/025
    • H04B5/0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전력 수신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무선전력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전기장,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과 같은 에너지 필드의 형태로 전달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전력 변환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전력 송신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는,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아닌 NFC 검출 신호가 송신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고, 상기 NFC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전력 변환부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어한다.

Description

무선전력 전송방법 및 무선전력 전송장치{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분야에서, 무선 전력 전송방법 및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무선전력 수신장치들에게 유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법 대신에, 최근에는 접촉 없이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무선으로 에너지를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에 의하여 직접 구동되거나,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충전된 전력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 간에 원활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하여, 무선 전력의 전송과 관련된 기술의 규격화(즉,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무선 전력의 전송과 관련된 기술의 표준화의 일환으로,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에 대한 기술을 다루는 무선 전력 협의체(Wireless Power Consortium)는 2010년 4월 12일에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호환성(interoperability)에 대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설명서, 제1권, 저전력, 파트 1: 인터페이스 정의, 버전 1.00 RC1(System Description Wireless Power Transfer, Volume 1, Low Power, Part 1: Interface Definition, Version 1.00 Release Candidate 1)" 표준 문서를 공개하였다.
한편, 또 다른 기술표준협의체인 파워매터스얼라이언스(Power Matters Alliance)는 2012년 3월 설립되어, 인터페이스 표준의 제품군을 발전시키고, 유도 공진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도 결합 기술을 기반으로 한 표준 문서를 공개하였다.
이밖에, 자기 공명 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 기술을 표준화하기 위한 무선충전연합(Aliance for Wireless Power; A4WP)이 있다. 자기 공명 방식은 송신부 코일에서 자기장을 생성해 같은 주파수를 갖고 있는 수신부 코일에만 전력을 전달하는 원리이다.
상기와 같은 전자기유도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식은 우리 생활에서 이미 자주 접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동 칫솔, 무선커피포트 등에서 상용화되어 활용되고 있다.
더불어,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에는,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비콘(Beacon),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무선 충전은 다른 기기에 구비된 전자 소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무선 충전은 전기장,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과 같은 에너지 필드의 형태로 전달되는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일 예로, 무선 충전시 발생하는 에너지 필드는 다른 기기에 구비된 안테나에 유기되어 전자 소자를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다른 기기에 구비된 전자 소자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방법 및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일 목적은, 무선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코일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기기를 탐색할 수 있는 무선전력 전송방법 및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전기장,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과 같은 에너지 필드의 형태로 전달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전력 변환부; 및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전력 송신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는,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아닌 NFC 검출 신호가 송신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고, 상기 NFC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전력 변환부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는, 상기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전력 전달 방식이 달라지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NFC가 검출되면 자기공명방식으로의 충전이 불가능하므로, 자기공명방식을 자기유도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전력 전달 방식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며,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상기 다른 하나로 전환된 경우 상기 어느 하나로 전송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는, 상기 NFC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상기 전력 변환부를 통해 송신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신호 및 상기 NFC 검출 신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코일을 통해 선택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로써, 별도의 안테나를 구비하지 않아도, 무선 충전을 위해 구비된 코일을 이용하여 NFC 안테나를 탐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NFC 검출 신호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너지 필드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에 의하여 형성되는 왜곡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NFC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NFC 검출부는 상기 왜곡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는 복조기일 수 있다. NFC 안테나보다 복조기의 단가가 저렴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생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NFC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패킷(packet)이 상기 NFC 검출 신호에 포함되도록, 상기 NFC 검출 신호를 변조하며, 상기 패킷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수행할 수 있는 NFC 기기가 복조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의 제어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 및 상기 NFC 검출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전력 변환부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다중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의 제어에 근거하여, 상기 NFC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생성하는 분주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신호와 상기 NFC 검출 신호는 정수비를 이룰 수 있다. 하나의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신호와 NFC 검출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저렴해지게 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은 경우일 수 있다. 이 밖에도, NFC 검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다양한 조건들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는, 상기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NFC 기기가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림 신호를 수신받은 차량은 탑승객에게 무선 충전 박스 내에 위치한 NFC 기기의 제거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NFC 기기가 상기 무선 충전 박스 내에서 제거될 때까지 무선 충전이 수행되지 않음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달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무선전력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방법은, 무선 충전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무선 충전 코일을 이용하여 NFC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NFC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소정시간 이내에 상기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소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신호 및 상기 NFC 검출 신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을 통해 선택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는 복조기를 이용하여, 상기 NFC 검출 신호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너지 필드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에 의하여 형성되는 왜곡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왜곡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충전방법은, 상기 NFC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패킷(packet)이 상기 NFC 검출 신호에 포함되도록, 상기 NFC 검출 신호를 변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킷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수행할 수 있는 NFC 기기가 복조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신호 및 상기 NFC 검출 신호 중 어느 하나는, 다중화기에 의하여 상기 무선 충전 코일에 선택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신호는 분주기에 의하여 상기 NFC 검출 신호로부터 생성되며, 상기 무선 전력 신호와 상기 NFC 검출 신호는 정수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NFC 기기가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차량 또는 무선전력 전송방법을 수행하는 차량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방법 및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는, 소정 범위 내에 NFC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전송된다. 상기 NFC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 신호의 전송이 제한되기 때문에, NFC 기기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이 사전에 차단된다.
나아가, 상기 NFC 기기를 탐색하기 위한 NFC 검출 신호가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충전 코일을 통해 전송되며, 복조기를 이용해 상기 NFC 기기의 응답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로써, 근거리 통신을 위한 별도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복조기는 간단한 회로로 구현되지만,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복조기에 비해 많은 비용과 공간이 필요하므로, 생산 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이 전달되는 개념을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을 가지도록 구성된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이 전달되는 개념을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공진 방식의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을 가지도록 구성된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달에 있어서 무선 전력 신호의 변조 및 복조를 통하여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전자 기기 사이에 패킷을 송수신하는 개념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에서 전력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에서 수행되는 변조 및 복조에서의 신호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동작 상태들을 도시한다.
도 13은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무선전력 수신장치 사이에 NFC 카드가 위치한 경우 발생하는 문제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무선전력 전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도 14의 무선전력 전송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로서, 다중화기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들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도 14의 무선전력 전송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로서, 분주기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들이다.
도 17은 도 15a 내지 도 16c에서 설명한 NFC 검출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18은 도 14의 무선전력 전송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로서, NFC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9는 무선전력 전송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mission)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무선 충전회로 및 방법, 그 외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력을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필요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 전달 장치일 수 있다 .
또한,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일 수 있다.
그 밖에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이 필요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게 전력을 전달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동작이 가능한 기기이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수신된 무선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휴대가 가능한 모든 전자 기기,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영상 또는 음성의 보조 출력장치 등의 입출력장치를 비롯하여, 휴대폰, 셀룰러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태블릿, 혹은 멀티미디어 기기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셀룰러폰, 태블릿) 또는 멀티미디어 기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전달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 상호간 접촉이 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한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과 특정한 주파수의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한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은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이용하여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술로, 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하나의 코일에서 변화하는 자기장 통해 다른 코일 쪽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공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송신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서 전송한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서 공진이 발생하고, 상기 공진 현상에 의하여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 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관한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2a 및 2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전력 전달부(Power Transmission Unit)(1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력 전달부(110)는 전력 변환부(Power Conversion Unit)(111) 및 전력 송신 제어부(Power Transmission Control Unit)(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송신측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무선 전력 신호(wireless power signal)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 전달한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의하여 전달되는 무선 전력 신호는 진동(oscillation)하는 특성을 가진 자기장(magnetic field) 또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발생하는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각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다른 형태의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2차 코일에 전류를 유도시키기 위하여 변화하는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1차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공진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특정 공진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코일(또는 안테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술된 유도 결합 방식과 공진 결합 방식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 중 유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것들에 대하여는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여, 공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것들에 대하여는 도 7 a, 도 7b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한편,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인가되는 전압, 전류 등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회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력 전달부(110)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공급 장치(100)를 제어하는 다른 제어부(미도시)와 통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영역은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활동 영역(active area)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 전력을 전달하는 무선 전력 신호가 통과하는 영역을 말한다. 다음으로, 감지 영역(semi-active area)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는 관심 영역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상기 활동 영역 또는 감지 영역에 배치(placement)되거나 제거(removal)되었는지 여부에 대하여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서 형성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거나, 별도로 구비된 센서에 의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상기 활동 영역 또는 감지 영역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감지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 인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영향을 받아,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전력의 특성이 변화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활동 영역 및 감지 영역은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 등의 무선 전력 전달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존재를 검출한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식별하는 과정을 수행하거나, 무선 전력 전송을 시작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주파수, 전압, 전류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특성의 결정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조건에 의하여 또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조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주파수, 전압, 전류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다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정류된 전력량 정보, 충전 상태 정보 및 식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전류, 전압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는 그 밖의 다른 제어 동작으로서,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무선 전력 전달과 관련된 일반적인 제어 동작을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와 관련된 청각적 또는 시각적으로 출력할 정보를 수신하거나, 기기간의 인증 등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수신하는 방법 및 그 외의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변복조부(Power Communications Modulation/Demodulation Unit)(11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113)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의하여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에, 어떤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전력 제어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전력 제어 메시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환경에서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전송하는 데이터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전력 제어 메시지를 보내도록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200)는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전력 수신부(291) 및 전력 수신 제어부(2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전달되는 전력을 수신한다.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무선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각 방식에 따라 필요한 서로 구성 요소들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진동하는 특성을 가진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의 형태로 전달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른 구성 요소로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변화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전류가 유도되는 2차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공진 결합 방식에 따른 구성 요소로서 특정 공진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 현상이 발생되는 코일 및 공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력 수신부(291)가 하나 이상의 무선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하나의 코일을 이용하여 수신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각 전력 전달 방식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코일을 이용하여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부(291)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들 중 유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것들에 대하여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공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것들에 대하여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한편,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 회로(rectifier) 및 평활 회로(reg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수신된 전력 신호에 의하여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원 공급부(290)에 포함되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로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게 무선 전력 신호의 전달을 개시하거나 종료하도록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게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특성을 조절하도록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갈은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외의 사용자 데이터를 통하여 전송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변복조부(Power Communications Modulation/Demodulation Unit)(29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전술된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장치(100)의 전력 변환부(111)를 흐르는 전류 및/또는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측과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각각의 변복조부(113 및 293)가 무선 전력 신호를 통한 전력 제어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의하여 형성된 무선 전력 신호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에 의하여 수신된다. 이때,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modulation)하도록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변복조부(293)를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과 연결된 변복조부(293)의 리액턴스(reactance)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수신하는 전력량이 그에 따라 변하도록 변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수신되는 전력량의 변경은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시키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전류 및/또는 전압의 변경을 가져온다. 이 때,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변복조부(113)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전류 및/또는 전압의 변경을 감지하여 복조(demodulation) 과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packet)을 생성하여 상기 패킷이 포함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변복조부(113)의 복조 과정 수행 결과를 기초로 상기 패킷을 디코드함으로써, 상기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전력 제어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 밖에,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포함되어 있는 통신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전력 제어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전력 제어 메시지를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환경에서는,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충전부(298) 및 배터리(299)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로부터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전력에 의하여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299)를 충전한 후 상기 배터리(299)에 충전된 전력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충전부(298)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대하여 설명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3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이 전달되는 개념을 도시한다.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의 전력 전달이 유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전력 전달부(110) 내의 1차 코일(primary coil)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변화되면, 그 전류에 의해 1차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장이 변화한다. 이와 같이 변화된 자기장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내의 2차 코일(secondary coil) 측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이 방식에 따르면,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자기 유도에서의 1차 코일로 동작하는 전송 코일(Tx coil)(1111a)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자기 유도에서의 2차 코일로 동작하는 수신 코일(Rx coil)(2911a)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상기 전송 코일(1111a)과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수신 코일이 근접하도록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배치한다. 그 후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전송 코일(1111a)의 전류가 변화되도록 제어하면,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수신 코일(2911a)에 유도된 기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의 효율은, 주파수 특성에 따른 영향은 적으나, 각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사이의 배열(alignment) 및 거리(distance)의 영향을 받게 된다.
한편,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을 위하여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평평한 표면(flat surface) 형태의 인터페이스 표면(interface surface)(미도시)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놓일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는 상기 전송 코일(1111a)가 장착될 수 있다. 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는 장착된 상기 전송 코일(1111a)과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 위치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911a) 사이의 수직 공간(vertical spacing)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코일들 간의 거리는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분히 작게 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놓일 위치를 지시하는 배열 지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열 지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 장착된 전송 코일(1111a)과 상기 수신 코일(2911a) 사이의 배열이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를 지시한다. 상기 배열 지시부는 단순한 표시(marks)이거나,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돌출 구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배열 지시부는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 장착되는 자석과 같은 자성체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내부에 장착된 다른 극의 자성체와의 상호간 인력에 의하여 상기 코일들이 적합한 배열을 이루도록 가이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 중에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911a)과 적합하게 배열된 일부의 코일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전력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 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한 유도 결합 방식의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a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상기 전력 전달부(1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포함된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송 코일(Tx coil)(1111a) 및 인버터(11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 코일(1111a)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전류의 변화에 따라 무선 전력 신호에 해당하는 자기장을 형성한다. 상기 전송 코일(1111a)은 평판 나선형태(Planar Spiral type) 또는 원통형 솔레노이드 형태(Cylindrical Solenoid typ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1112)는 상기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얻은 직류 입력(DC input)을 교류 파형(AC waveform)으로 변형시킨다. 상기 인버터(1112)에 의해 변형된 교류 전류는 상기 전송 코일(1111a) 및 커패시터(capacitor)(미도시)를 포함하는 진동 회로(resonant circuit)를 구동시킴으로써 자기장이 상기 전송 코일(1111a)에서 형성된다.
그 밖에,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위치 결정부(Positioning Unit)(111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결정부(1114)는 상기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전송 코일(1111a)을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유도 결합 방식에 의한 전력 전달은 1차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사이의 배열(alignment) 및 거리(distance)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위치 결정부(1114)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활동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 결정부(1114)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송 코일(1111a)과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상기 수신 코일(2911a)의 중심간 거리(distance)가 일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상기 전송 코일(1111a)을 이동시키거나, 상기 전송 코일(1111a)과 상기 수신 코일(2911a)의 중심이 중첩되도록 상기 전송 코일(1111a)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진 위치 감지부(detection unit)(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 결정부(111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변복조부(113)를 통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와의 배열 또는 거리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배열 또는 거리에 대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 결정부(1114)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전력 변환부(111)가 복수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면, 상기 위치 결정부(1114)는 상기 복수의 전송 코일 중에서 어느 것이 전력 전달을 위하여 사용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송 코일을 포함한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한편,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력 센싱부(111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전력 센싱부(1115)는 상기 전송 코일(1111a)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전력 센싱부(1115)는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 또는 전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센싱부(1115)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저항과 상기 검출된 전원의 전압값 또는 전류값과 임계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센싱부(1115)의 상기 확인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스위칭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상기 전송 코일(1111a)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수신 코일(Rx 코일)(2911a) 및 정류 회로(29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 코일(1111a)로부터 형성된 자기장에 변화에 의하여 상기 수신 코일(2911a)에서 전류가 유도된다. 상기 수신 코일(2911a)의 구현 형태는, 상기 전송 코일(1111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평판 나선 형태 또는 원통형 솔레노이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의 수신 효율을 높이거나 공진 감지(resonant detection)를 위해 직/병렬 커패시터들(series and parallel capacitors)이 상기 수신 코일(2911a)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코일(2911a)은 단일 코일 또는 복수의 코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정류 회로(2913)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전류에 대하여 전파 정류(full-wave rectification)를 수행한다. 상기 정류 회로(2913)는, 예컨대, 4개의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브릿지(full bridge) 정류 회로, 또는 능동 소자(active components)를 이용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정류 회로(2913)는 정류된 전류를 보다 평탄하고 안정적인 직류로 만들어 주는 평활 회로(regula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류 회로(2913)의 출력 전원은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각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정류 회로(2913)은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각 구성 요소(예컨대, 충전부(298)와 같은 회로)에 필요한 전원에 맞추기 위하여 적정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과 연결되고, 직류 전류에 대해서는 저항(resistance)이 변하는 저항성 소자로 구성될 수 있고, 교류 전류에 대해서는 리액턴스(reactance)가 변하는 용량성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변복조부(293)의 저항 또는 리액턴스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전력 수신부(291)에 수신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전력 센싱부(291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전력 센싱부(2914)는 상기 정류 회로(2913)에 의하여 정류된 전원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정류된 전원의 전압 및/또는 전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적절한 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게 전력 제어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을 가지도록 구성된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의 전력 변환부(111)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은 부분적으로 겹치는 1차 코일들의 배열(an array of partly overlapping primary coils)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 중 일부에 의하여 활동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은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 중 일부의 코일들의 연결을 수립하고 해제하는 다중화기(Multiplexer)(1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 놓인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감지된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 중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911a)과 유도 결합 관계에 놓일 수 있는 코일들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다중화기(11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 구비된 상기 위치 감지부(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 상의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a-1 내지 1111a-n)을 각각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 상의 물체로부터 무선 전력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전력 제어 메시지 또는 상기 물체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과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 중 어느 코일의 위치와 근접한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활동 영역은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일부로서,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때 높은 효율의 자기장이 통과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활동 영역을 통과하는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단일 전송 코일 또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의 조합을 주요 셀(primary cell)로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감지된 위치를 기초로 활동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활동 영역에 대응되는 주요 셀의 연결을 수립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수신 코일(2911a)와 상기 주요 셀에 속한 코일들이 유도 결합 관계에 놓일 수 있도록 상기 다중화기(1113)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연결된 코일들과 진동 회로(resonant circuit)를 형성하도록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임피던스 매칭부(impedance matching unit)(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은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전력 전송장치로부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이 전달되는 개념을 도시한다.
먼저, 공진(resonance)(또는 공명)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진(resonance)이란, 진동계가 그 고유 진동수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외력을 주기적으로 받아 진폭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공진은 역학적 진동 및 전기적 진동 등 모든 진동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진동계에 진동시킬 수 있는 힘을 가했을 때 그 진동계의 고유 진동수와 외부에서 가해주는 힘의 진동수가 같으면 그 진동은 심해지고 진폭도 커진다.
같은 원리로, 일정 거리 내에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진동체들이 서로 동일한 주파수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진동체들은 상호 공진하며,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진동체들 간에는 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전기 회로에서는 인덕터과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공진 회로를 만들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전력 전달이 공진 결합 방식을 따르는 경우, 상기 전력 전달부(110)에서 교류 전원에 의하여 특정한 진동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서 공진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내에서는 상기 공진 현상에 의하여 전력이 발생된다.
공진 주파수는, 예를 들어, 다음 수학식 1과 같은 수식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공진 주파수 (f)는 회로 내의 인덕턴스(L) 및 커패시턴스(C)에 의하여 결정된다. 코일을 사용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인덕턴스는 상기 코일의 회전 수 등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커패시턴스는 상기 코일 사이의 간격, 면적 등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공진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 외에 용량성 공진 회로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으로 전력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자기장이 형성되는 전송 코일(Tx coil)(1111b) 및 상기 전송 코일(1111b)와 연결되고 특정한 진동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한 공진 회로(11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진 회로(1116)는 용량성 회로(capacitors)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송 코일(1111b)의 인덕턴스 및 상기 공진 회로(1116)의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상기 특정한 진동 주파수가 결정된다.
상기 공진 회로(1116)의 회로 소자의 구성은 상기 전력 변환부(111)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상기 전송 코일(1111b)과 병렬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서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 현상이 일어날 수 있도록 구성된 공진 회로(2912) 및 수신 코일(Rx coil)(2911b)을 포함한다. 즉, 상기 공진 회로(2912)는 역시 용량성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공진 회로(2912)는 상기 수신 코일(2911b)의 인덕턴스와 상기 공진 회로(2912)의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결정되는 공진 주파수가 상기 형성된 자기장의 공진 주파수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진 회로(2912)의 회로 소자의 구성은 상기 전력 수신부(291)가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이 일어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상기 수신 코일(2911b)과 직렬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서의 상기 특정한 진동 주파수는 LTx, CTx를 가지고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LRX 및 CRX를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한 결과가 상기 특정한 진동 주파수와 동일한 경우에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서는 공진이 일어난다.
상기 공진 결합 방식에 의한 무선 전력 전달의 효율은, 주파수 특성에 따른 영향이 큰 반면, 각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사이의 배열 및 거리에 따른 영향은 유도 결합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 적용 가능한 공진 결합 방식의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공진 방식의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구성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a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상기 전력 전달부(11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된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송 코일(Tx coil)(1111b), 인버터(1112) 및 공진 회로(11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1112)는 상기 전송 코일(1111b) 및 상기 공진 회로(1116)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송 코일(1111b)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송 코일(1111a)과 별도로 장착될 수 있으나, 하나의 단일 코일을 이용하여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전송 코일(1111b)은, 전술된 바와 같이,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자기장을 형성한다. 상기 전송 코일(1111b) 및 상기 공진 회로(1116)는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전송 코일(1111b)의 인덕턴스 및 상기 공진 회로(1116)의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진동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인버터(1112)는 상기 전원 공급부(190) 로부터 얻은 직류 입력을 교류 파형으로 변형시키고, 상기 변형된 교류 전류가 상기 전송 코일(1111b) 및 상기 공진 회로(1116)에 인가된다.
그 밖에,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공진 주파수 값을 변경시키기 위한 주파수 조절부(1117)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공진 주파수는 수학식 1에 의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111)를 구성하는 회로내의 인덕턴스 및 커패시턴스를 기초로 결정되므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인덕턴스 및/또는 커패시턴스가 변경되도록 상기 주파수 조절부(1117)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공진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조절부(1117)는, 예를 들어, 상기 공진 회로(1116)에 포함된 커패시터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커패시턴스를 변경시킬 수 있는 모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전송 코일(1111b)의 회전 수(number of turns) 또는 직경을 조절하여 인덕턴스를 변경시킬 수 있는 모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커패시턴스 및/또는 인덕턴스를 결정하는 능동 소자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력 센싱부(111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센싱부(1115)의 동작에 대해서는 전술된 바와 동일하다.
도 7b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포함된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29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 코일(Rx coil)(2911b) 및 공진 회로(291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전원 공급부(290)의 전력 수신부(291)는 공진 현상에 의하여 생성된 교류 전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정류 회로(2913)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류 회로(2913)는 전술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수신부(291)는 정류된 전원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모니터링하는 전력 센싱부(291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센싱부(2914)는 전술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용 가능한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을 가지도록 구성된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전력 변환부(111)는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b-1 내지 1111b-n) 및 각 전송 코일들과 연결된 공진 회로(1116-1 내지 1116-n)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b-1 내지 1111b-n) 중 일부의 코일들의 연결을 수립하고 해제하는 다중화기(Multiplexer)(1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b-1 내지 1111b-n)은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정되거나, 일부가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b-1 내지 1111b-n)과 각각 연결된 상기 공진 회로(1116-1 내지 1116-n)들이 어떠한 인덕턴스 및/또는 커패시턴스를 갖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주파수 조절부(1117)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들(1111b-1 내지 1111b-n)과 각각 연결된 상기 공진 회로(1116-1 내지 1116-n)들의 인덕턴스 및/또는 커패시턴스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달에 있어서 무선 전력 신호의 변조 및 복조를 통하여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전자 기기 사이에 패킷을 송수신하는 개념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 포함된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한다. 상기 무선 전력 신호는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포함된 전송 코일(1111)을 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에 의하여 형성된 무선 전력 신호(10a)는 전자 기기(200)에 도달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에 포함된 전력 수신부(291)를 통하여 수신된다. 상기 형성된 무선 전력 신호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에 포함된 수신 코일(2911)을 통하여 수신된다.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와 연결된 상기 변복조부(293)을 제어하여 상기 전자 기기(200)가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중에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modulation)한다. 상기 수신되는 무선 전력 신호가 변조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전력 신호는 자기장(magnetic field) 또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 내에서 폐루프(closed-loop)를 형성하므로 상기 전자 기기(200)가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중에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변조(modulation)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10b)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113)는 상기 감지된 무선 전력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고, 복조된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상기 패킷을 디코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와 상기 전자 기기(200)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변조 방법은 진폭 변조(Amplitude Modulation)일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진폭 변조 방식은 상기 전력 변환부(111)가 형성한 무선 전력 신호(10a)의 진폭을 상기 전자 기기(200) 측의 변복조부(293)가 변경시켜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변복조부(293)가 상기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10b)의 진폭을 검출하는 백스캐터 변조(backscatter modulation) 방식일 수 있다.
이하, 도 10, 도 11a, 도 11b 및 도 11c을 참조하여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전자 기기(20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패킷의 변조 및 복조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에서 전력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 전력 전송에서 수행되는 변조 및 복조에서의 신호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기기(200) 측의 상기 전력 수신부(291)를 통하여 수신되는 무선 전력 신호는 도 1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되지 않은 무선 전력 신호(51)이다. 상기 전력 수신부(291) 내의 공진 형성 회로(2912)에 의하여 설정된 공진 주파수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200) 및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사이에 공진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신 코일(2911b)을 통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51)가 수신된다.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상기 전력 수신부(291)을 통하여 수신되는 무선 전력 신호(51)를 상기 변복조부(293) 내의 부하 임피던스(Impedance)를 변경시킴으로써 변조한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51)를 변조하기 위한 수동 소자(2931) 및 능동 소자(29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복조부(293)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로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이 포함되도록 상기 무선 전력 신호(51)를 변조한다. 이때, 상기 패킷은 상기 변복조부(293) 내의 상기 능동 소자(2932)에 입력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52)를 포락선 검출(Envelop Detection) 과정을 통하여 복조하고, 상기 검출된 신호(53)를 디지털 데이터(54)로 디코드한다. 상기 복조 과정은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111)를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이 HI 상태(HI state) 및 LO 상태(LO state)로 두 가지 상태로 구분되는 것을 감지하고, 상기 상태들에 따라 구분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전자 기기(200)가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을 획득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복조된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상기 전자 기기(200)가 전송하고자 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1b 를 참조하면,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포락선 검출된 신호로부터 클럭 신호(CLK)를 이용하여 인코딩된 비트를 검출한다. 상기 검출되는 인코딩된 비트는 상기 전자 기기(200) 측의 변조 과정에서 사용된 비트 인코딩 방법에 따라 인코딩 된 것이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비트 인코딩 방법은 NRZ(non-return to zero)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비트 인코딩 방법이 2-위상(bi-phase) 인코딩일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검출되는 비트는 차동 2-위상(differential bi-phase; DBP) 인코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DBP 인코딩에 의하면, 상기 전자 기기(200) 측의 전력 수신 제어부(292)는 데이터 비트 1을 인코딩하기 위하여 두 번의 상태 전이(transitions)를 갖도록 하고, 데이터 비트 0을 인코딩하기 위하여 한 번의 상태 전이를 갖도록 한다. 즉, 데이터 비트 1은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rising edge) 및 하강 에지(falling edge)에서 HI 상태 및 LO 상태간의 전이가 발생하도록 인코딩된 것이고, 데이터 비트 0은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서 HI 상태 및 LO 상태간의 전이가 발생하도록 인코딩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비트 인코딩 방법에 따라 검출된 비트열로부터 패킷을 구성하는 바이트 포맷(byte format)을 이용하여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검출된 비트열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11 비트 비동기 직렬 포맷(11-bit asynchronous serial format)을 이용하여 전송된 것일 수 있다. 즉, 바이트의 시작을 알리는 시작 비트(start bit)와 종료를 알리는 종료 비트(stop)를 포함하고, 시작 비트와 종료 비트 사이에 데이터 비트들(b0 내지 b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하기 위한 패러티 비트(parity bit)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패킷을 구성한다.
이상, 도 9에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형성한 반송파 신호(carrier signal)(10a)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패킷을 송신하는 것에 대하여 도시되었으나,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도 위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변복조부(113)를 제어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보낼 데이터가 상기 반송파 신호(10a)에 실리도록 변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측의 상기 전력 수신 제어부(292)가 상기 변조된 상기 반송파 신호(10a)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변복조부(293)를 제어하여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동작 상태들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따르는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동작 상태들을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동작 상태는 선택 상태(Selection Phase) (610), 검출 상태(Ping Phase)(620), 식별 및 설정 상태(Identification and Configuration Phase)(630), 그리고 전력 전송 상태(Power Transfer Phase)(64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범위 내에 물체(object)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검출 상태(620)에서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상기 감지된 물체로 검출 신호를 보내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을 보낸다.
또한,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에서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이전 상태들을 통하여 선택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식별하고 전력 전달을 위한 설정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전력 전송 상태(640)에서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여 전송하는 전력을 조절하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 전력을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 동작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선택 상태 (Selection Phase)
상기 선택 상태(610)에 있는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감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선택하기 위하여 검출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감지 영역은, 전술된 바와 같이, 해당 영역 내의 물체가 상기 전력 변환부(111)의 전력의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상기 검출 상태(620)와 비교하여,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선택을 위한 검출 과정은 전력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방식 대신에,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측의 전력 변환부에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전력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일정 범위 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의 검출 과정은 후술될 검출 상태(620)에서 디지털 형식의 패킷을 이용하지 아니하고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물체를 검출하는 점에서 아날로그 검출 과정(analog ping)으로 불릴 수 있다.
상기 선택 상태(610)의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감지 영역 내에 물체가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감지 영역 내에 있는 물체들 중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와 그 밖의 물체들(예를 들어, 열쇠, 동전 등)을 구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거리가 다르므로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 물체가 검출되는 감지 영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먼저, 유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이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 상태(610)의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물체들의 배치 및 제거를 감지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 표면(미도시)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 놓인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전송 코일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 상기 검출 상태(620)로 진입하고, 상기 검출 상태(620)에서 각각의 코일을 이용하여 상기 물체로부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이 전송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그 후 상기 식별 상태(630)로 진입하여 상기 물체로부터 식별 정보가 전송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획득한 상기 감지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될 코일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공진 결합 방식에 따라 전력이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 상태(610)의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감지 영역 내의 물체로 인한 상기 전력 변환부의 주파수, 전류, 전압 중 하나 이상이 변경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 상태(610)의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유도 결합 방식 및 공진 결합 방식에 따른 검출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각 전력 전송 방식에 따른 물체 검출 과정을 수행하고, 이후에 다른 상태들(620, 630, 640)로 진행하기 위하여 무선 전력 전달을 위한 결합 방식 중에서 상기 물체를 검출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 상태(610)의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에 있어서, 물체를 검출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무선 전력 신호와 이후 상태들(620, 630, 640)에서의 디지털 검출, 식별, 설정 및 전력 전송을 위하여 형성하는 무선 전력 신호는 그 주파수, 세기 등의 특성이 다를 수 있다. 이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선택 상태(610)는 물체를 검출하기 위한 대기 상태(idle phase)에 해당하여,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대기 중의 소비 전력을 줄이거나, 또는 효율적인 물체 검출을 위하여 특화된 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2) 검출 상태 (Ping Phase)
상기 검출 상태(620)에 있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전력 제어 메시지를 통해 상기 감지 영역 내에 존재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검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선택 상태(610)에서 무선 전력 신호의 특성 등을 이용한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검출 과정과 비교하여, 상기 검출 상태(620)에서의 검출 과정은 디지털 검출 과정(digital ping)이라 불릴 수 있다.
상기 검출 상태(620)에서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검출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에 의하여 변조된 무선 전력 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복조된 무선 전력 신호로부터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디지털 데이터 형태의 전력 제어 메시지를 획득한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전력 전송의 대상이 되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인지 할 수 있다.
상기 검출 상태(620)에 있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디지털 검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검출 신호는 특정 동작 포인트(operating point)의 전력 신호를 일정한 시간 동안 인가함으로써 형성되는 무선 전력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동작 포인트는 전송 코일(Tx coil)에 인가되는 전압의 주파수, 듀티 사이클(duty cycle) 및 진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특정 동작 포인트의 전력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생성된 상기 검출 신호를 일정한 시간 동안 생성하고,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것을 시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수신한 무선 전력 신호의 강도(strength)를 나타내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된 무선 전력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포함된 신호 강도 패킷(Signal Strength Packet)(5100)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패킷(5100)은 신호 강도를 나타내는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120)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수신한 전력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는 메시지(5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5130) 내의 전력 신호의 강도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 사이의 전력 전송을 위한 유도 결합 또는 공진 결합의 정도(degree of coupling)를 나타내는 값일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발견한 후에, 상기 디지털 검출 과정을 연장하여 식별 및 검출 상태(630)로 진입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발견한 후에 상기 특정 동작 포인트의 전력 신호를 유지하여 상기 식별 및 검출 상태(630)에서 필요한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가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상기 선택 상태(610)로 되돌아갈 수 있다.
3) 식별 및 설정 상태 (Identification and Configuration Phase)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의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전송하는 식별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전력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에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예컨대,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포함된 식별 패킷(Identification Packet)(5200) 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패킷(5200)은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220) 및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52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5230)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규약의 버전을 나타내는 정보(2531 및 5232),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의 제조 업체를 식별하는 정보(5233), 확장 장치 식별자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5234) 및 기본 장치 식별자(523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 장치 식별자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5234)에 확장 장치 식별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표시되는 경우, 확장 장치 식별자를 포함한 확장 식별 패킷(Extended Identification Packet)(5300) 이 별도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패킷(5300)은 확장 장치 식별자를 나타내는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320) 및 확장 장치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53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장 장치 식별자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 업체의 식별 정보(5233), 상기 기본 장치 식별자(5235) 및 상기 확장 장치 식별자(5330)에 기초한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에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예상 최대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예컨대, 설정 패킷(Configuration Packet)(5400) 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패킷은 설정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420) 및 상기 예상 최대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54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5430)는 전력 클래스(5431), 예상 최대 전력에 대한 정보(5432), 무선전력 전송장치 측의 주요 셀의 전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지시자(5433), 선택적인 설정 패킷들의 수(54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시자(5433)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규약에 명시된 대로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 측의 주요 셀의 전류가 결정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식별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와 전력 충전에 사용되는 전력 전달 규약(power transfer contract)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전달 규약은 상기 전력 전달 상태(640)에서의 전력 전달 특성을 결정하는 파라미터들의 한정 사항들(limit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전달 상태(640)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를 종료하고, 상기 선택 상태(610)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른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찾기 위하여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를 종료할 수 있다.
4) 전력 전송 상태 (Power Transfer Phase)
상기 전력 전송 상태(640)에서의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 전력을 전송한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전력을 전송하는 도중에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전력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력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전송 코일에 인가되는 전력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송 코일의 전력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 제어 메시지는 제어 오류 패킷(Control Error Packet)(550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패킷(5500)은 제어 오류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520)와 제어 오류 값을 포함하는 메시지(55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제어 오류 값에 따라 상기 전송 코일에 인가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송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는 상기 제어 오류 값이 0인 경우에 유지되고, 음수(negative value)인 경우에 감소되고, 양수(positive value)인 경우에 증가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전송 상태(640)에서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식별 정보 및/또는 설정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전력 전달 규약(power transfer contract) 내의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와의 전력 전송이 상기 전력 전달 규약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한정 사항들을 위반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전송을 취소하고 상기 선택 상태(610)로 되돌아갈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로부터 전달된 전력 제어 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전력 전송 상태(640)를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로 무선 전력 전송을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전송의 중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무선 전력 전송을 종료하고 상기 선택 상태(610)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이미 생성된 전력 전달 규약을 갱신하기 위하여 재협상(renegotiation) 또는 재설정(reconfigure)을 요청하는 전력 제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는 현재 전송되는 전력량보다 많거나 적은 양의 전력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전력 전달 규약의 재협상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는 상기 전력 전달 규약의 재협상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후, 무선 전력 전송을 종료하고 상기 식별 및 설정 상태(630)로 되돌아 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200)가 전송하는 메시지는, 예컨대, 전력 전송 중단 패킷(End Power Transfer Packet)(5600)일 수 있다. 상기 패킷(5600)은 전력 전송 중단 패킷임을 알리는 헤더(5620) 및 중단의 이유를 나타내는 전력 전송 중단 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56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력 전송 중단 코드는 충전 완료(Charge Complete), 내부 오류(Internal Fault), 과열(Over Temperature), 과전압(Over Voltage), 과전류(Over Current), 배터리 오류(Battery Failure), 재설정(Reconfigure), 무응답(No Response), 알려지지 않은 오류(Unknown)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술한 무선전력 전송장치(100)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에 구비된 전자 소자의 손상을 막는 방법에 대하여 이하 도 13 내지 도 20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3은 무선전력 전송장치와 무선전력 수신장치 사이에 NFC 카드가 위치한 경우 발생하는 문제를 도시한다.
무선전력 전송장치(100 또는 1210)는, 무선 전력 전달을 위하여 평평한 표면(flat surface) 형태의 인터페이스 표면(interface surface)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무선전력 수신장치(1220)가 놓일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의 하부에는 전송 코일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에 동전과 같은 이물질이 있는 경우, 전력 전달의 효율이 떨어지며, 상기 이물질은 발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전력 전송장치는 이물질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구비하고, 이물질이 제거되어야만 무선 충전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고 있다.
무선전력 수신장치(1220)는 휴대가 가능한 이동 단말기인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또는, 범퍼)를 이동 단말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케이스가 개발되고 있으며, 지갑의 기능이 구현되도록 카드 수납부가 구비된 케이스가 다수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고유의 기능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상기 카드 수납부에 자주 사용하는 카드를 수납시킴으로써 상기 카드에 내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카드는 각종 정보를 구비한 칩과 안테나를 구비하며,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술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으로 호칭되며, 대표적인 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NFC에서 규정한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카드를 ‘NFC 카드’로 호칭한다.
상기 케이스에 카드가 수납된 상태로, 상기 이동 단말기(또는, 무선전력 수신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에 놓이면,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와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1220) 사이에는 NFC 카드(1230)가 위치하게 된다.
종래, NFC 카드는 무선전력 전송장치가 무선 충전을 수행함에 있어서 이물질로 분류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실험 결과에 따르면, NFC 카드가 놓여있는 상태에서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NFC 카드에 구비된 안테나를 통해 무선 충전의 전력이 유기되어 NFC 카드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심지어 NFC 카드에서 발생하는 발열에 의하여 발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도 13에는 13.56 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NFC 카드가 일 예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NFC 카드는 임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임의의 전자 기기로 대체될 수 있다. 즉, NFC 카드뿐만 아니라 임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임의의 전자기기는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에서 전달되는 전력에 의하여 훼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NFC 카드처럼 무선 충전으로 손상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어를 수행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무선전력 수신장치(1220)가 감지되면, 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무선 전력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한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과 특정한 주파수의 무선 전력 신호에 의한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1220)로 전력을 전달하거나, 다수의 방식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을 선택하고 선택된 방식에 따라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1220)를 식별하고,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전력 변환부의 주파수, 전압, 전류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특성의 결정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 측의 조건에 의하여 또는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1220) 측의 조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방식들은 A4WP의 표준에 규정된 제1방식(6.78 MHz 사용), WPC나 PMA의 표준에 규정된 제2방식(145 kHz 및 5W 사용) 및/또는 제3방식(145 kHz 및 15W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 외에도 무선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들이 본 발명의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의 활동 영역 또는 감지 영역 내에 NFC 카드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방식들에 의한 무선 충전을 실험한 결과, 상기 제1 및 제3 방식에 의하여 전력이 전달되는 경우 NFC 카드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달리, 제2 방식에 의하여 전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NFC 카드가 무선 충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NFC 카드에 손상도 발생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NFC 카드가 검출되는 경우, 전력 전달 방식을 변경하거나, 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다른 기기에 구비된 전자 소자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그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무선전력 전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전력 변환부(111) 및 전력 송신 제어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전기장,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과 같은 에너지 필드의 형태로 전달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며, 무선 충전 코일(또는, 전송 코일; 1111a)을 포함한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 또는 1212)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전력 수신장치(1220)에 전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12)는 ‘무선 충전 MCU’로 호칭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무선전력 전송방법은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먼저,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무선 충전 코일을 이용하여 NFC 검출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212)는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가 아닌 NFC 검출 신호가 송신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111)를 제어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는, 무선 충전을 수행하기에 앞서 또는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중에 무선 충전에 의하여 손상될 우려가 있는 물체가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해야 하는 상황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는, 무선 충전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일 수 있다.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한 무선전력 수신장치(1220)로부터 무선 충전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범위는 상기 활동 영역 및/또는 상기 감지 영역일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는,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소정 범위 내에 물체가 감지된 경우일 수 있다. 즉,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의 동작상태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선택 상태(610)로 전환되는 경우,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는,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소정 범위 내에 무선전력 수신장치(1220)가 감지된 경우일 수 있다. 임의의 물체가 감지되었으나, 감지된 물체가 무선전력 수신장치(1220)가 아닌 경우에는,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로 판단된다. 이경우, 선택 상태가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은 경우일 수도 있다 .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아지는 경우, 무선전력 수신장치(1220)가 아닌 이물질에 의한 발열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다른 일 예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가 시작된 시점부터 단위 시간 마다 무선 전력 신호가 아닌 NFC 검출 신호가 전송될 수도 있다. 즉, 전력 송신 제어부(1212)는 무선 충전 중에 단위시간 마다 무선 충전을 일시 중지하고, NFC 검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무선 충전 중에 이물질이 상기 소정 범위 내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예 이외에도, 다양한 조건들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212)는 상기 다양한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NFC 검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NFC 검출 신호는, NFC 기기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하며, 13.56MHz의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다.
상기 NFC 검출 신호는, 일 예이며, 탐색 대상이 되는 기기의 종류에 따라 검출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그비 검출 신호는 지그비 기기를 검출하기 신호로 2.4GHz의 주파수 대역에 포함될 수 있다.
검출하고자 하는 기기의 종류가 복수 개이면, 전력 송신 제어부(1212)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검출 신호가 기설정된 순서대로 출력되도록 전력 변환부(1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검출 신호는 주파수 변조 연속파로 이루어져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특정 기기를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NFC 기기를 탐색하기 위한 NFC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본원발명의 일 예로 설명한다.
상기 NFC 검출 신호는 무선전력을 전달하는데 이용되는 무선 충전 코일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전력 신호 및 상기 NFC 검출 신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을 통해 선택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제어부(1212)는 상기 어느 하나를 송신 하기 위하여 주파수를 스위칭하고 안테나의 특성을 스위칭 할 수 있다. 이로써, 무선 충전 코일은 무선 충전을 위한 주파수로 동작하거나, NFC 검출을 위한 주파수로 동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NFC 기기를 검출하려면 NFC 기기를 검출하기 위한 안테나가 구비되어야 한다.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안테나와 무선 충전을 수행하기 위한 충전 안테나가 각각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통신 안테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며, 그만큼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충전 안테나에 해당하는 무선 충전 코일을 필요에 따라 NFC 기기를 검출하기 위한 통신 안테나로 이용한다. 별도의 통신 안테나가 구비되지 않아도 NFC 검출 신호가 무선 충전 코일을 통해 전송되게 된다.
상기 전력 변환부(111)는 상기 NFC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패킷(packet)이 상기 NFC 검출 신호에 포함되도록, 상기 NFC 검출 신호를 변조한다. 상기 패킷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수행할 수 있는 NFC 기기가 복조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
다음으로,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검출한다(S1430).
NFC 기기는 상기 NFC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계된다. NFC를 위한 통신 안테나가 구비되면 상기 응답 신호를 직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나, 충전 안테나에 해당하는 무선 충전 코일로는 상기 응답 신호를 검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상기 응답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NFC 검출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NFC 검출부는 통신 안테나와 전혀 다른 구성에 해당하며, 상기 NFC 검출 신호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너지 필드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에 의하여 형성되는 왜곡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 상기 NFC 검출부는 통신 안테나에 비하여 훨씬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복조기일 수 있으며, 상기 복조기는 상기 왜곡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한다 .
상기 NFC 검출부는 상기 응답 신호의 검출 여부를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212)로 전송한다.
전력 송신 제어부(1212)는 상기 NFC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전력 변환부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소정시간 이내에 상기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전력 전달 방식이 변경되거나, 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을 제어한다(S1450) .
상기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 것은 소정 범위 내에 NFC 기기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무선 전력 신호를 송신하게 되면 상기 NFC 기기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송신 제어부(1212)는 전력 전달 방식이 달라지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111)를 제어하거나,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1220)로 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11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력 송신 제어부는 제1 방식으로 무선 전력 신호가 전달되도록 세팅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또는 제2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제1 무선전력 수신장치, 그리고 NFC 기기가 동시에 감지된 경우, 전력 송신 제어부(1212)는 NFC 기기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제1 방식이 아닌 제2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전달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또는 제3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제2 무선전력 수신장치, 그리고 NFC 기기가 동시에 감지된 경우, 선택할 수 있는 전력 전달 방식이 없으므로, 전력 송신 제어부(1212)는 무선 전력 신호가 상기 전력 변환부(111)를 통해 송신되는 것을 제한한다 .
전력 전달 방식을 변경하는 것은, 복수의 전력 전달 방식들 중에서 NFC 기기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방식을 제외하고, NFC 기기를 손상시킬 우려가 없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력 전달 방식이 달라진다는 것은 전력을 제공하는 무선 전력 신호의 주파수 및/또는 단위전력량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1212)는 상기 전력 전달 방식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상기 다른 하나로 전환된 경우 상기 어느 하나로 전송되는 것은 제한된다 .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전력 전달 방식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제1 주파수로 송신되는 것을 제한하고 상기 제1 주파수가 아닌 제2 주파수로 송신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로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전송되면 NFC 기기가 손상되기 때문이다.
NFC 기기가 검출되면 자기공명방식으로의 충전이 불가능하므로, 전력 전달 방식은 자기공명방식에서 자기유도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답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소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신호를 송신한다(S1470).
상기 응답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것은, 무선 충전으로 손상될 수 있는 NFC 기기가 소정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므로, 전력 송신 제어부(1212)는 무선 전력 신호가 전송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111)를 제어한다.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무선 전력 신호는, 소정 범위 내에 NFC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전송된다. 상기 NFC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 신호의 전송이 제한되기 때문에, NFC 기기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이 사전에 차단된다.
나아가, 상기 NFC 기기를 탐색하기 위한 NFC 검출 신호가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충전 코일을 통해 전송되며, 복조기를 이용해 상기 NFC 기기의 응답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로써, 근거리 통신을 위한 별도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복조기는 간단한 회로로 구현되지만,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복조기에 비해 많은 비용과 공간이 필요하므로, 생산 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전력 송신 제어부(1212)가 무선 전력 신호 또는 NFC 검출 신호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전력 송신 제어부(1212, 또는 wireless charger MCU), 복조기(1216, 또는 AMD), 무선 충전 코일(1214, 또는 wireless charger antenn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도 14의 무선전력 전송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로서, 다중화기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들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전력 송신 제어부(1212)는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에 따라 주파수를 스위칭 하고 안테나 특성을 스위칭 하게 된다.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13.56 Mhz의 NFC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에너지 필드를 생성한다.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상기 에너지 필드에 왜곡을 만들어 줌으로써 패킷을 NFC 기기(1220, 또는 NFC 카드)로 전송한다.
NFC 기기(1220)는 상기 에너지 필드의 왜곡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NFC 기기(1220)는 상기 에너지 필드에 왜곡을 만드는 방법으로 상기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에 구비된 NFC 검출부에 해당하는 복조기(1216, 또는, analog demodulator)는 상기 NFC 기기(12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에너지 필드의 왜곡을 이용하여 응답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복조기는 고주파 전기장에 생성된 저주파 왜곡을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통해 상기 NFC 기기(1220)가 생성한 패킷만 걸러내서 응답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복조기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는 점에서 아날로그 복조기로 호칭될 수 있다.
전력 송신 제어부(1212)는 상기 복조기(1216)에서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에 근거하여 응답 신호의 검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추가적으로 다중화기(multiplexer, 12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b 및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중화기(1217)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의 제어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 및 상기 NFC 검출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전력 변환부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
예를 들어, 6.78M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 전력 신호 및/또는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NFC 검출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다중화기(1217)는 전력 송신 제어부(1212)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선 전력 신호 또는 상기 NFC 검출 신호를 상기 전력 변환부(111)로 전송한다.
도 15b에는, NFC 검출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의 블록도가 개시되어 있다. 무선 전력 신호(6.78 Mhz) 대신 NFC 검출 신호(13.56 Mhz)가 무선 충전 코일(1214)을 통해 송신된다. 복조기(1216)를 통해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NFC 검출 모드가 계속해서 유지되며, 무선 전력 신호가 송신되는 것이 제한된다.
이와 달리, 도 15c에는, 무선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의 블록도가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NFC 검출 신호 대신 무선 전력 신호가 무선 충전 코일(1214)을 통해 송신된다.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충전 모드에서는 복조기(1216)로 전력이 전달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도 14의 무선전력 전송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로서, 분주기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들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다중화기(1217) 대신 분주기(1218)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하나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분주기(1218)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신호 또는 NFC 검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주기(1218)는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의 제어에 근거하여, 상기 NFC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진다 . 상기 무선 전력 신호와 상기 NFC 검출 신호는 정수비를 이루기 때문에, 하나의 신호로부터 서로 다른 신호가 분주될 수 있다 .
도 16b에 도시된 것처럼, NFC 검출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NFC 검출 신호(13.56 Mhz)가 무선 충전 코일(1214)을 통해 송신된다. 복조기(1216)를 통해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NFC 검출 모드가 계속해서 유지되며, 무선 전력 신호가 송신되는 것이 제한된다.
이와 달리, 도 16c에 도시된 것처럼, 무선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NFC 검출 신호(13.56 Mhz)는 분주되어 상기 NFC 검출 신호가 아닌 무선 전력 신호(6.78 Mhz)가 무선 충전 코일(1214)을 통해 송신된다.
도 17은 도 15a 내지 도 16c에서 설명한 NFC 검출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도면이다.
복조기(1216)은 아날로그로 입력된 입력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 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필터에는 저역 필터(low pass filter), 증폭기(Amplify), 비교기(comparator), 변조기(Level Shift)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복조기(1216)는 변조된 반송파에서 원래의 신호를 복원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송신측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공간이나 전송 선로를 전파하기 쉬운 전자파인 반송파의 진폭, 주파수 또는 위상 등을 변화시켜 전송한다. 수신측에 구비된 상기 복조기(1216)는 반송파의 진폭, 주파수 또는 위상 등을 변화시킨 전자파인 피변조파에서 송신측에서 보내고자 했던 신호를 복원한다.
상기 복조기(1216)는 NFC 안테나와 달리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의 생산 단가가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도 18은 도 14의 무선전력 전송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로서, NFC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블록도이다.
상술한 복조기(1216) 대신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듈(1810)이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810)은 NFC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NFC 안테나(1812)와 상기 통신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는 NFC 제어부(1814)를 포함한다.
NFC 검출 모드가 시작되면, 상기 NFC 제어부(1814)는 상기 NFC 안테나(1812)를 이용하여 NFC 검출 신호를 전송하고, NFC 기기(122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NFC 제어부(1814)는 NFC 기기(1220)가 검출되는 경우, NFC 검출 모드를 유지할 것을 전력 전송 제어부(1212)로 요청한다. 상기 전력 전송 제어부(121)는 상기 NFC 제어부(1814)의 요청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제한하거나, 전력 전달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9는 무선전력 전송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인터페이스 표면에 물체가 놓여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에 물체가 놓여지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물체의 종류를 식별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에 무선 충전을 방해하는 이물질이 있는지 여부도 상기 무선 충전 신호에 의하여 탐색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면에 놓여 있는 물체가 무선전력 수신장치(1220)이고 이물질이 없는 경우, 전력 송신 제어부(1212)는 무선 충전 모드를 NFC 검출 모드로 전환한다. NFC 검출 모드가 실행됨에 따라, 주파수와 안테나 특성이 스위칭 되고, 무선 전력 신호 대신 NFC 검출 신호가 송신된다. 상기 NFC 검출 모드에서는 NFC 검출을 위한 동작이 이루어지며, 무선 충전 코일을 통해 NFC 검출 신호가 송신되고, 복조기를 통해 응답 신호가 검출된다.
소정 시간 이내에 응답 신호가 검출되면 계속해서 NFC 검출 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응답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NFC 검출 모드는 상기 무선 충전 모드로 전환되면서 전력 전송 상태(640)가 된다
NFC 검출 모드는 NFC 검출 상태(650)로 호칭될 수 있으며, 전력 전송 상태(640)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NFC 검출 상태(650)에서 NFC 기기가 검출되지 않아야 한다. 즉, 상기 NFC 검출 상태에서 NFC 기기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전력 전송 상태(640)가 시작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은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를 구비하는 차량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다.
도 20a 및 도 20b는 무선전력 전송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장치(2000)나 차량에 구비된 차량 출력부(2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는 동작 상태를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를 상기 차량 제어장치(2000) 및/또는 상기 차량 출력부(2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출력부(2100)는 비디오 출력부 및/또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의 동작과 관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무선전력 전송장치(1210)의 전력 송신 제어부(1212)는 NFC 검출 모드에서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NFC 기기가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출력부(2100)는 상기 알림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NFC 기기와 관련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기기가 검출되어 급속 충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저속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정보, NFC 기기를 제거해야만 무선 충전이 가능해진다는 정보 등이 상기 안내 정보로 상기 차량 출력부(2100)에 출력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또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소프트웨어)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 방법은 메모리 등에 저장된 코드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무선전력 수신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에 있어서,
    전기장, 자기장 또는 전자기장과 같은 에너지 필드의 형태로 전달되는 무선 전력 신호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전력 변환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전력 송신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는,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아닌 NFC 검출 신호가 송신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고,
    상기 NFC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전력 변환부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는,
    상기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전력 전달 방식이 달라지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는,
    상기 전력 전달 방식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제1 주파수 및 제2 주파수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전환되도록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며,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상기 다른 하나로 전환된 경우 상기 어느 하나로 전송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는,
    상기 NFC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상기 전력 변환부를 통해 송신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력 신호 및 상기 NFC 검출 신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코일을 통해 선택적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FC 검출 신호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너지 필드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에 의하여 형성되는 왜곡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지는 NFC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NFC 검출부는 상기 왜곡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는 복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부는,
    상기 NFC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패킷(packet)이 상기 NFC 검출 신호에 포함되도록, 상기 NFC 검출 신호를 변조하며,
    상기 패킷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수행할 수 있는 NFC 기기가 복조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의 제어에 근거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 및 상기 NFC 검출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전력 변환부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다중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의 제어에 근거하여, 상기 NFC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를 생성하는 분주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신호와 상기 NFC 검출 신호는 정수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은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송신 제어부는, 상기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NFC 기기가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14.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달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무선전력 전송방법에 있어서,
    무선 충전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무선 충전 코일을 이용하여 NFC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NFC 검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소정시간 이내에 상기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로 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소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무선전력 수신장치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무선전력 전송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신호 및 상기 NFC 검출 신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무선 충전 코일을 통해 선택적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무선전력 전송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는 복조기를 이용하여, 상기 NFC 검출 신호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너지 필드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에 의하여 형성되는 왜곡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왜곡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무선전력 전송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NFC 검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패킷(packet)이 상기 NFC 검출 신호에 포함되도록, 상기 NFC 검출 신호를 변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킷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수행할 수 있는 NFC 기기가 복조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무선전력 전송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신호 및 상기 NFC 검출 신호 중 어느 하나는, 다중화기에 의하여 상기 무선 충전 코일에 선택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무선전력 전송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신호는 분주기에 의하여 상기 NFC 검출 신호로부터 생성되며,
    상기 무선 전력 신호와 상기 NFC 검출 신호는 정수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무선전력 전송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NFC 기기가 검출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의 무선전력 전송방법.
KR1020170040220A 2016-04-12 2017-03-29 무선전력 전송방법 및 무선전력 전송장치 KR101983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3881 WO2017179874A1 (ko) 2016-04-12 2017-04-10 무선전력 전송방법 및 무선전력 전송장치
US15/484,728 US10367368B2 (en) 2016-04-12 2017-04-11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and wireless power transmi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21213P 2016-04-12 2016-04-12
US62/321,213 2016-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952A true KR20170116952A (ko) 2017-10-20
KR101983750B1 KR101983750B1 (ko) 2019-05-29

Family

ID=6029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220A KR101983750B1 (ko) 2016-04-12 2017-03-29 무선전력 전송방법 및 무선전력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7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586A1 (ko) * 2018-01-02 2019-07-11 엘지이노텍(주) Nfc 신호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WO2019240565A1 (ko) * 2018-06-15 2019-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타 통신카드의 검출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410A (ko) * 2011-03-31 2014-03-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전력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통신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보호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40110673A (ko) * 2013-03-08 2014-09-17 오투 마이크로,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기기의 무선 충전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31428A (ko) * 2013-05-02 2014-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410A (ko) * 2011-03-31 2014-03-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전력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통신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보호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40110673A (ko) * 2013-03-08 2014-09-17 오투 마이크로,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기기의 무선 충전을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31428A (ko) * 2013-05-02 2014-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586A1 (ko) * 2018-01-02 2019-07-11 엘지이노텍(주) Nfc 신호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WO2019240565A1 (ko) * 2018-06-15 2019-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타 통신카드의 검출을 수행하는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방법
US11316376B2 (en) 2018-06-15 2022-04-26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FID/NFC card
US11689064B2 (en) 2018-06-15 2023-06-27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RFID/NFC c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750B1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253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US10367368B2 (en)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and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101788603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604310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099819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212032B1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711538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708312B1 (ko) 무선 전력 수신 및 전송 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667725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50870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2438626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622694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750345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613956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EP3185262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1688158B1 (ko)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649655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49046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40142163A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677655B1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731447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3750B1 (ko) 무선전력 전송방법 및 무선전력 전송장치
KR20160096826A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60086685A (ko)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40144656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