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269A - Electric rice cooker - Google Patents

Electric rice coo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269A
KR20170116269A KR1020160043213A KR20160043213A KR20170116269A KR 20170116269 A KR20170116269 A KR 20170116269A KR 1020160043213 A KR1020160043213 A KR 1020160043213A KR 20160043213 A KR20160043213 A KR 20160043213A KR 20170116269 A KR20170116269 A KR 20170116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ide wall
screw
boss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2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4510B1 (en
Inventor
이의환
송재준
박철우
정동영
성연학
문광오
김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60043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510B1/en
Publication of KR20170116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2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5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류가 상부본체의 측벽 하부를 상, 하로 관통하여 하부본체의 측벽 상부의 보스부에 결합됨으로써, 본체 뚜껑 개방에 따른 충격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cooker capable of preventing a screw from being deformed by impact due to opening of a main body lid by being coupled to a boss portion of an upper portion of a side wall of a lower body through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 side wall of a lower body.

Description

전기밥솥 { Electric rice cooker }Electric rice cooker

본 발명은 본체 뚜껑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본체와, 상부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본체를 포함하는 전기밥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cooker including an upper main body to which a main body lid is rotatably coupled, and a lower main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main body.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은 전기를 가열원으로 하여 취사대상물을 취사 및 보온하는 조리기기이다. 한편, 최근에는 내부를 일정 압력으로 유지시키면서 취사 및 보온을 하고, IH(전자유도)방식으로 가열하는 전기압력밥솥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Generally, an electric rice cooker is a cooking device that uses electricity as a heating source to cook and maintain a cooking object. On the other hand, recently, an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which cooks and keeps the insid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pressure and heats it by the IH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is widely used.

한국등록특허 제10-0793408호에 기재된 전기압력밥솥을 도 1에 나타내었다.An electric pressure cooker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793408 is shown in Fig.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은 본체(20) 및 상기 본체(20)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20)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10)의 상부에는 증기조절캡(3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후방에는 상기 증기조절캡(30)을 통한 증기 배출시 발생되는 밥물 등이 집수되는 물받이(4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1, a conventional electric pressure cooker includes a main body 20 and a lid 10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20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20, And a steam regulating cap 3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a water receptacle 4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20 so as to collect the cooking water generated when the steam is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control cap 30.

또한, 상기 본체(20)에는 내솥이 안착되고, 상기 본체(20)에는 외관을 이루도록 외곽 케이스가 설치되며, 상기 외곽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내솥을 안착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워킹코일 베이스가 설치된다. 상기 워킹코일 베이스의 하부 외측면에는 워킹코일이 설치되며, 상기 워킹코일 베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내솥을 둘러싸도록 측면 히터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곽 케이스의 전방에는 다수개의 선택 버튼과 피씨비 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이 설치된다. In addition, an inner pot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20, an outer case is installed to form an outer appearance of the main body 20, and a working coil base is installed in the outer case to form a space for seating the inner pot . A working coil is installed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working coil base, and a side heater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ing coil base to surround the inner pot. A control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selection buttons and a printed circuit board (PCB)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outer case.

또한, 상기 뚜껑(10)에는 상부 열판 및 상부 히터가 설치되며, 상기 뚜껑(10)을 관통하여 상기 증기조절캡(30) 하부에 압력유지장치 및 자동증기배출장치가 설치된다.An upper heating plate and an upper heater are installed in the lid 10 and a pressure holding device and an automatic steam discharging device ar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eam adjusting cap 30 through the lid 10. [

이와 같은 전기압력밥솥은 취사시 상기 워킹코일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유도열이 상기 내솥에 전달되며, 보온시 상기 측면 히터와 상기 상부 히터에 의해 상기 내솥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다.In such an electric pressure cooker,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 generated by the working coil is transmitted to the inner pot when cooking, and the inner pot maintains a constant temperature by the side heater and the upper heater when warmed.

또한, 상기 뚜껑(10)은 본체(2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개폐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20)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로킹될 수 있도록 본체(20)의 상부 전방에는 공지의 록킹부재가 마련되고 있으며, 상기 록킹부재의 언-로킹에 의해 뚜껑(10)이 자동 개방될 수 있게 별도의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있다.The lid 10 is hinged to the main body 20 so that the lid 10 can be pivotally opened and closed. A known locking member is provided at an upper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20 so as to be locked in a state of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The unlocking of the locking member allows the lid 10 to be automatically opened A separate elastic member is provided.

여기서 탄성부재는 뚜껑(10)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는 것으로 록킹부재의 언-로킹시 뚜껑(10)이 급 개방된다.Here, the resilient member is urged in a direction to open the lid 10, so that the lid 10 is rapidly opened when the locking member is unlocked.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0)는 상부에 뚜껑(10)이 힌지 결합되고, 후방에 물받이(40)를 포함하는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본체로 구분된다.1, the main body 20 includes an upper body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id 10 and including a water receptacle 40 at the rear thereof, and a lower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Respectively.

일반적으로 상기 하부본체의 내부 하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중공결합부가 형성되고, 스크류가 상기 중공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본체에 결합되고 있다.Generally, a plurality of hollow coupling portions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main body, and a screw is coupled to the upper main body through the hollow coupling portion.

또한, 상기 하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의 외곽케이스 및 후방측벽도 소정의 결합수단들을 사용하여 결합된다.Also, the outer case and the rear side wall of the lower main body and the upper main body are coupled using predetermined coupling means.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록킹부재의 언-로킹과 동시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뚜껑(10)이 급 개방되므로, 물받이(40) 하측의 상기 상부본체의 후방 측벽 하부와 상기 하부본체의 후방 측벽 상부의 결합부분이 뚜껑(10) 개방에 따른 충격을 이기지 못하여 변형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id 10 is rapidly ope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t the same time as the unlocking of the locking member,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side wall of the upper body and the rear side w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pper joining portion is not easily damaged due to the opening of the lid 10 and is thus easily deformed.

한국등록특허 제10-0793408호Korean Patent No. 10-079340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부본체의 측벽 하부와 하부본체의 측벽 상부의 결합이 견고하여, 본체 뚜껑 개방에 따른 충격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밥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cooker capable of preventing the lower side wall of the upper body and the upper side wall of the lower body from being firmly coupled, It has its purpos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기밥솥은, 일측의 상부에는 본체 뚜껑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이 배치되고, 상기 일측의 하부에는 스크류 체결홀이 형성된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본체; 상기 하부본체의 측벽 내면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보스부; 및 상기 스크류 체결홀을 상, 하로 관통하여 상기 보스부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크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lectromagnetic cook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body having a hinge shaft on which a main body lid is rotatably coupled, and a screw fastening hole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hinge shaft; A lower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A hollow boss portion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lower body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crew inserted into the boss unit through the screw hole,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스크류 체결홀은, 상기 상부본체의 측벽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crew fastening hole is formed in a flange extending horizontally outward from a lower end of a side wall of the upper body.

또한, 상기 하부본체의 측벽에는 하부에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되며 상부로 융기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부의 하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ide wall of the lower main body may include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toward the inside, and a lower portion of the boss portion is supported on the support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상부본체의 측벽 하부와 하부본체의 측벽 상부의 결합이 견고하여, 본체 뚜껑 개방에 따른 충격으로 상부본체의 측벽과 하부본체의 측벽의 결합부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ower side wall of the upper main body and the upper side wall of the lower main body are firmly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ngagement of the side wall of the upper main body and the side wall of the lower main bod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by the impact caused by opening the main body lid.

도 1은 종래의 전기밥솥의 후방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의 후방사시도
도 3은 물받이부재가 분리된 전기밥솥의 후방사시도.
도 4는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분리사시도(내부 부품 생략).
도 5는 플랜지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보스부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oker.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magnetic cook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magnetic rice cooker in which a water receiving member is separated.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main body (internal components are omitted).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lange portion;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oss por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상세히 후술된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hieve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different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mean that the stated element, step, operation and / or element does not imply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In addition, since they are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 the reference numerals presented in the order of descrip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밥솥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의 상부에는 본체 뚜껑(11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122)이 배치되고, 상기 일측의 하부에는 스크류 체결홀(144)이 형성된 상부본체(100);와, 상부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본체(200);와, 하부본체(200)의 측벽 내면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보스부(240); 및 스크류 체결홀(144)을 상, 하로 관통하여 보스부(240)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크류(14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to 6, the electromagnetic cook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nge shaft 122 to which a main body lid 110 is rotatably coupl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lower main body 20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main body 100 and a lower main body 200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a side wall of the lower main body 200, An elongated hollow boss portion 240; A screw 148 inserted into the boss 240 through the screw coupling hole 144 and inserted into the boss 240; And a control uni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일측은 상부본체(100)의 후방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ne side will be described as the rear of the upper body 100.

본 설명은 도면에 도시된 좌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the coordinates shown in the drawings.

본 발명의 전기밥솥은 전기압력밥솥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electromagnetic rice cook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 including an electric pressure cooker.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밥솥은 상부본체(100)와, 상부본체(100)의 후방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본체 뚜껑(110)과, 상부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본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2, the rice cooker includes an upper body 100, a main body lid 110 rotatably hinged to a rear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00, And a lower main body 200.

하부본체(200) 내부에는 내솥(미도시)이 내부에 수용되어 안착되는 코일 베이스(미도시)가 설치되고, 그 외주에 코일이 배치된다. 코일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유도열이 내솥에 전달되며 취사된다.Inside the lower main body 200, a coil base (not shown) in which an inner pot (not shown) is received and seated is provided, and a coil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thereof.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 generated by the coil is transmitted to the inner pot and cooked.

전기밥솥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비롯하여 종래에 많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는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200)의 결합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The electromagnetic cooker has been widely disclosed in the prior art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so tha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Only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200 will be described below.

상부본체(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내솥 등이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upper body 100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elliptical shape, and an inner pot or the like may be disposed inside the upper body 100.

또한, 상부본체(100)의 후방에는 대략 사각 형상의 공간(135)이 형성되고, 공간(135)에 물받이부재(130)가 수용되어 결합된다. 공간(135)은 상부본체(100)의 후방 측벽(150)의 후방에 위치한다.A substantially rectangular space 135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upper body 100 and the water receiving member 130 is received in the space 135 and is coupled thereto. The space 135 is located behind the rear side wall 150 of the upper body 100.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135)의 상부, 즉 상부본체(100)의 후방 상부에는 힌지축(122)이 배치된다. 그래서 본체 뚜껑(110)의 후방에 돌출 형성된 힌지결합부(120)가 힌지축(1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체 뚜껑(110)은 힌지축(122)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부본체(10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본체 뚜껑(110)은 상부본체(100)에 대한 록킹 해제시, 탄성부재(124, 도 5에 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된다.3, a hinge shaft 122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pace 135, that is, at a rear upper portion of the upper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Thus, the hinge coupling part 120 protruding from the back of the main body lid 1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shaft 122. The main body lid 110 rotates about the hinge shaft 122 and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main body 100. The body lid 110 is ope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24 (shown in Fig. 5) when the upper body 100 is unlocked.

또한, 공간(135)의 하부에는 상부본체(100)의 후방 측벽(150)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플랜지(140)가 형성된다. A flange 140 extending horizontally outward from a lower end of the rear side wall 150 of the upper body 10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pace 135.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140)의 상면(140a)은 상부본체(100)의 후방 측벽(150)에 대해 수평하게 연장되고, 플랜지(140)의 측벽(140b)은 플랜지(140)의 상면(140a)의 외측단에서 수직 하향으로 연장된다.5, the upper surface 140a of the flange 140 extends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rear side wall 150 of the upper body 100, and the side wall 140b of the flange 140 extends along the flange 140, And extends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outer end of the upper surface 140a of the base plate 140. [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200)의 결합시, 플랜지(140)의 하부, 보다 자세하게 플랜지(140)의 측벽(140b)은 하부본체(200)의 내부에 삽입된다. 3, when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lower portion of the flange 140, more specifically, the side wall 140b of the flange 140, .

플랜지(140)의 상면(140a)에는 물받이부재(130) 하부의 후크(미도시)가 삽입되는 결합구(146)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40)의 상면(140a)은 물받이부재(130)를 지지한다.The upper surface 140a of the flange 140 may have a coupling hole 146 into which a hook (not shown) below the water receiving member 130 is inserted. The upper surface 140a of the flange 140 supports the water receiving member 130. [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결합구(146) 사이에는 단차부(142)가 형성된다. 단차부(142)는 각각의 결합구(146)에 인접하여 하나씩 형성된다.Further, as shown in Fig. 5, a step portion 142 is formed between the two engaging holes 146. As shown in Fig. The step portions 142 are formed one by one adjacent to the respective engaging holes 146. [

단차부(142)는 플랜지(140)의 상면(140a)에 대해 하측으로 단차져 오목하고, 대략 반원 형상을 가진다.The stepped portion 142 is recessed downwardly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140a of the flange 140 and has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그리고 단차부(142)의 내부 하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스크류 체결홀(144)이 형성된다. 스크류 체결홀(144)은 상부본체(100)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것이다. A screw coupling hole 144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tep portion 142. The screw coupling hole 144 is formed in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00.

스크류(148)는 스크류 체결홀(144)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후, 도 6의 하부본체(200)의 보스부(240)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스크류 체결홀(144)에 스크류(148)가 삽입될 때, 스크류(148)의 상부인 머리부는 단차부(142)의 내부에 수용되어 배치된다. 물받이부재(130)가 플랜지(140)의 상면(140a)에 올려짐으로써 결합된 스크류(148)가 가려지는 효과가 있다.The screw 148 passes through the screw coupling hole 144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inserted into the boss portion 240 of the lower main body 200 of FIG. When the screw 148 is inserted into the screw tightening hole 144, the top portion of the screw 148 is received and disposed inside the step portion 142. The water receiving member 13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140a of the flange 140 so that the combined screw 148 is blocked.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본체(100)의 외주 하단에는 외주를 따라 하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부(160)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60)는 상부본체(100)의 외주면에 대해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4, a guide part 160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body 100. As shown in FIG. The guide portion 160 is formed to be stepped inward with respec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body 100.

가이드부(160)는 상부본체(100)의 외주 하단의 전방에 외주를 따라 형성되고, 또한 좌우측방에서 외주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The guide portion 160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in front of the lower outer end of the upper body 100 and extends along the outer periphery in the left and right rooms.

가이드부(160)는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200)의 결합시, 하부본체(200)의 돌출편(210)의 홈(214)에 끼워진다. 가이드부(160)와 돌출편(210)의 결합을 통해,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200)의 결합이 어긋남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guide portion 160 is fitted into the groove 214 of the protruded piece 210 of the lower main body 200 when the upper main body 100 and the lower main body 200 are coupled. The engagement between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200 can be made without any deviation through the engagement of the guide portion 160 and the projecting piece 210. [

또한, 상부본체(100)의 외주 하단에서, 가이드부(160)에 대해 이격된 후방에는 돌출바(164)를 2개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돌출바(164)는 하부본체(200)의 삽입공(22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Further,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100, two protruding bars 164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rear side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ortion 160. Each protruding bar 164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220 of the lower main body 200.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본체(100)의 하부에는 하부본체(200)가 결합된다.3 and 4, the lower body 200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00. As shown in FIG.

하부본체(200)의 상부는 상부본체(100)의 하부에 대응되어 형성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200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00.

도 4와 같이, 하부본체(200)의 측벽 내면에는 역삼각 형상의 돌출편(210)이 다수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inverted triangular protrusions 210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lower main body 200.

돌출편(210)은 하부본체(200)의 측벽 내면에서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본체(200)의 측벽 내주면을 따라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된다. 돌출편(210)의 상단은 하부본체(200)의 측벽 상단에 인접한다.The protruded pieces 210 ar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lower body 200 and are spaced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wall of the lower body 200. The upper end of the projecting piece 210 is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lower main body 200.

돌출편(210)의 상단에서 하부본체(200)의 측벽에 접하는 위치에는 홈(214)이 형성된다. A groove 214 is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lower main body 200 at the upper end of the projecting piece 210.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200)의 결합시, 가이드부(160)의 하부는 홈(214)에 삽입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6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14 when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200 are coupled.

또한, 하부본체(200)의 상단에서 돌출편(210)의 후방 부근에는 상하방향으로 삽입공(220)이 형성되어, 돌출바(164)가 삽입된다.An insertion hole 220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main body 200 in the vicinity of the rear of the protruding piece 210 so that the protruding bar 164 is inserted.

한편, 하부본체(200)의 내부 하면에서 원통 형상의 하부체결부(260)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cylindrical lower coupling part 260 protrudes upwar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main body 200.

하부체결부(260)는 하부본체(200)의 내부에서 전방부에 2개, 후방부에 3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fastening portion 260 may be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body 200 and the rear fastening portion 260 may be formed in the rear portion.

하부체결부(260)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스크류가 하부체결부(260)의 내부를 관통한 후, 상부본체(100)에 형성된 중공의 상부체결부(170)에 결합된다.The lower coupling part 260 is hollow and is coupled to the hollow upper coupling part 170 formed in the upper body 100 after the screw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lower coupling part 260.

이하에는 도 4 및 도 6을 참고하여, 보스부(240)가 연결되는 하부본체(200)의 후방 측벽(25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rear side wall 250 of the lower body 200 to which the boss 240 is connec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6. FIG.

도 4와 같이, 하부본체(200)의 후방 측벽(250)은 상단에서 하단까지 수직으로 형성된다. 4, the rear side wall 250 of the lower body 200 is formed vertically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또한, 도 6과 같이, 하부본체(200)의 후방 측벽(250)에는 하부에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되며 상부로 융기된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그래서 도 4와 같이, 후방에서 볼 때, 하부본체(200)의 후방 측벽(250)은 중심에 사각 형상의 공간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rear side wall 250 of the lower main body 200 includes a support part 230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lower side and raised upward. 4, the rear side wall 250 of the lower main body 200 includes a square-shaped space at the center, as viewed from the rear.

지지부(23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하부본체(200)의 내측을 향해 더 돌출된다. 그리고 지지부(230)의 전후를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 개의 토출구를 포함하는 토출부(234)가 형성된다.The support portion 230 further protrudes toward the inside of the lower main body 200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he discharge part 234 including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form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of the support part 230 is formed.

또한, 지지부(230)의 상면(232)은 하부본체(200)의 후방 측벽(250)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지지부(230)의 상면(232)은 평평하다.The upper surface 232 of the support portion 230 protrudes horizontally inward from the rear side wall 250 of the lower main body 200. Thus, the upper surface 232 of the support portion 230 is flat.

지지부(230)의 상부, 보다 자세하게는 상면(232)에는 보스부(240)의 하부가 올려져 지지된다.A lower portion of the boss portion 240 is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230, more specifically, on the upper surface 232 thereof.

보스부(240)는 도 6과 같이,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boss portion 24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 6,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보스부(240)의 하부의 중심에서 후방부까지는 지지부(230)의 상면(232)에 올려져 지지되고, 나머지 하부의 전방부는 지지부(230)의 전방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보스부(240)의 내부에는 스크류 체결홀(144)을 상, 하로 관통한 스크류(148)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ss portion 240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232 of the support portion 230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230 is extended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30. A screw 148 passing through the screw coupling hole 144 may be inserted into the boss unit 240 and coupled thereto.

한편, 보스부(240)의 좌우 측방에는 직각삼각형 형상의 제1리브(242)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first ribs 242 having a right triangle shape are form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boss portion 240.

제1리브(242)의 일측면은 보스부(240)의 좌우 측방에 연결되고, 제1리브(242)의 하단은 지지부(230)의 상면(232)에 연결된다. One side of the first rib 242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ss 240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rib 242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232 of the support 230.

또한, 보스부(240)의 후방에는 역삼각형 형상의 제2리브(244)가 형성된다. 보스부(240)는 제2리브(244)를 통해 하부본체(200)의 후방 측벽(250)에 연결된다.Further, a second rib 244 having an inverted triangular shape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boss portion 240. The boss portion 240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wall 250 of the lower main body 200 through the second rib 244.

제2리브(244)의 전단면은 보스부(240)의 후방에 연결되고, 제2리브(244)의 후단면은 하부본체(200)의 후방 측벽(250)에 연결된다.The rear end surface of the second rib 244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wall 250 of the lower main body 200. The front end of the second rib 244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boss portion 240,

또한, 지지부(230)의 상면(232)에는 후방돌출편(252)이 형성된다. 후방돌출편(252)의 후단은 하부본체(200)의 후방 측벽(250)의 내면에 연결된다.Further, a rear protruding piece 25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232 of the support part 230. [ The rear end of the rear protruding piece 252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ide wall 250 of the lower main body 200.

후방돌출편(252)은 보스부(240)에 인접하여 각각 하나씩과, 두 개의 보스부(240) 사이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One of the rear protruding pieces 252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boss portion 240 and one between the two boss portions 240.

후방돌출편(252)의 상부에는 하부본체(200)의 후방 측벽(250)에 인접하여 홈(254)이 형성된다. 상부본체(100)와 하부본체(200)의 결합시, 홈(254)에는 플랜지(140)의 측벽(140b)이 삽입된다.A groove 254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protruding piece 252 adjacent to the rear side wall 250 of the lower main body 200. The side wall 140b of the flange 14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54 when the upper body 100 and the lower body 200 are coupl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본체(100)의 후방 측벽(150)에서 수평하게 형성된 플랜지(140)에 스크류 체결홀(144)이 형성되고, 스크류(148)가 스크류 체결홀(144)을 상하로 관통하여 하부본체(200)의 후방 측벽(250)의 내면에 연결된 보스부(240) 내부에 결합된다. 또한, 하부본체(200)의 후방 측벽(250)은 하부에서부터 상측으로 융기된 지지부(230)를 포함하여 보스부(240)의 하부가 견고히 지지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crew coupling hole 144 is formed in the flange 140 formed horizontally in the rear side wall 150 of the upper body 100, and the screw 148 penetrates the screw coupling hole 144 vertically And is coupled into the boss unit 240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ide wall 250 of the lower main body 200. In addition, the rear side wall 250 of the lower main body 200 includes a support portion 230 protrud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ss portion 240 is firmly supported.

그래서 상부본체(100)의 후방 측벽(150) 하부와 하부본체(200)의 후방 측벽(250) 상부의 결합이 견고하다. 상부본체(100)의 상부에 힌지결합된 본체 뚜껑(110)이, 상부본체(100)에 대해 록킹 해제되어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에 의해 급 개방됨에 따라 충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충격으로 인한 상부본체(100)의 후방 측벽(150)의 하부와, 하부본체(200)의 후방 측벽(250)의 상부의 결합부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부본체(100)에 대한 본체 뚜껑(110)의 록킹 해제시,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 뚜껑(110)이 급 개방됨에 따른 충격으로, 상부본체(100)의 후방 측벽(150)과 하부본체(200)의 후방 측벽(250)의 결합부위가 변형되기 쉬운 단점이 있었다.The coupling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side wall 150 of the upper body 1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side wall 250 of the lower body 200 is firm. The body lid 110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00 is unlocked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100 and is urg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24 to generate an impact.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side wall 150 of the upper body 100 and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rear side wall 250 of the lower body 200. [ When the main body lid 110 is unlocked from the upper main body 100 by the urg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124 due to the urging force of the main body lid 110, 150 and the rear side wall 250 of the lower main body 200 are easily deformed.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상부본체 110: 본체 뚜껑
120: 힌지결합부 122: 힌지축
124: 탄성부재 130: 물받이부재
135: 공간 140: 플랜지
140a: 플랜지의 상면 140b: 플랜지의 측벽
142: 단차부 144: 스크류 체결홀
146: 결합구 148: 스크류
150: 후방 측벽(상부본체) 160: 가이드부
164: 돌출바 170: 상부체결부
200: 하부본체 210: 돌출편
214: 홈 220: 삽입공
230: 지지부 232: 지지부의 상면
234: 토출부 240: 보스부
242: 제1리브 244: 제2리브
250: 후방 측벽(하부본체) 252: 후방돌출편
254: 홈 260: 하부체결부
100: upper body 110: body lid
120: hinge coupling part 122: hinge shaft
124: elastic member 130:
135: space 140: flange
140a: Upper surface of the flange 140b: Side wall of the flange
142: step 144: screw tightening hole
146: Coupling port 148: Screw
150: rear side wall (upper body) 160:
164: protruding bar 170: upper fastening part
200: Lower main body 210:
214: groove 220: insertion hole
230: support part 232: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234: discharging portion 240: boss portion
242: first rib 244: second rib
250: rear side wall (lower body) 252:
254: groove 260: lower fastening portion

Claims (3)

일측의 상부에는 본체 뚜껑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이 배치되고, 상기 일측의 하부에는 스크류 체결홀이 형성된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본체;
상기 하부본체의 측벽 내면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보스부; 및
상기 스크류 체결홀을 상, 하로 관통하여 상기 보스부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스크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An upper body having a hinge shaft to which a main body lid is rotatably coupled, and a screw coupling hol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inge shaft;
A lower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A hollow boss portion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lower body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crew inserted through the screw fastening hol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boss unit; And an electric cooker for heating the rice cook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체결홀은, 상기 상부본체의 측벽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w fastening hole is formed in a flange extending horizontally outward from a lower end of a side wall of the upper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의 측벽에는 하부에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되며 상부로 융기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부의 하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밥솥.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wall of the lower main bod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oss portion is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KR1020160043213A 2016-04-08 2016-04-08 Electric rice cooker KR1024445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213A KR102444510B1 (en) 2016-04-08 2016-04-08 Electric rice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213A KR102444510B1 (en) 2016-04-08 2016-04-08 Electric rice coo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269A true KR20170116269A (en) 2017-10-19
KR102444510B1 KR102444510B1 (en) 2022-09-21

Family

ID=60298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213A KR102444510B1 (en) 2016-04-08 2016-04-08 Electric rice coo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51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704Y1 (en) * 1995-01-04 1998-06-01 김용진 Structure for force of cover in eletric pressure rice cooker
JP2001346677A (en) * 2000-06-07 2001-12-18 Zojirushi Corp Mounting structure of cooling fan at rice cooking jar
JP2005211322A (en) * 2004-01-29 2005-08-11 Zojirushi Corp Rice cooker
JP2006025861A (en) * 2004-07-12 2006-02-02 Zojirushi Corp Rice cooker
KR100793408B1 (en) 2006-09-26 2008-01-09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704Y1 (en) * 1995-01-04 1998-06-01 김용진 Structure for force of cover in eletric pressure rice cooker
JP2001346677A (en) * 2000-06-07 2001-12-18 Zojirushi Corp Mounting structure of cooling fan at rice cooking jar
JP2005211322A (en) * 2004-01-29 2005-08-11 Zojirushi Corp Rice cooker
JP2006025861A (en) * 2004-07-12 2006-02-02 Zojirushi Corp Rice cooker
KR100793408B1 (en) 2006-09-26 2008-01-09 쿠쿠전자주식회사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510B1 (en) 202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7482B1 (en) Cooking apparatus
JP5860312B2 (en) Electric heater
US10663173B2 (en) Electric cooking appliance
JP6545095B2 (en) Cooker
KR20170116269A (en) Electric rice cooker
JP2016007428A (en) Grill device
KR101673893B1 (en) electric rice cooker
KR101093418B1 (en) a Built-In Range
KR102030472B1 (en) Apparatus for fixing electric wires of electric rice cooker
JP2002089854A (en) Built-in heater
KR102403973B1 (en) Electric rice cooker having air discharging structure
KR200483145Y1 (en) Grill pan with detachable crackdown sphere having a closed two-sided electric grill
KR102331673B1 (en) Electric cooker
KR102329141B1 (en) Button of electric cooker
CN219396915U (en) Cooking utensil
KR20100032548A (en) Electricity double-side cooker
CN219438796U (en) Cooking utensil
JP2018196542A (en) Cooker
EP2811231A1 (en) Cooker
KR102414317B1 (en) Electric rice cooker
JP5332844B2 (en) rice cooker
KR102509218B1 (en) Rice cooker
JP6692540B2 (en) This time
KR100826705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and installation device thereof
KR101965661B1 (en) Hidden type electric rice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